KR101398839B1 - Method for taking a picture of a subject using a smart phone gps connected to a network cctv - Google Patents

Method for taking a picture of a subject using a smart phone gps connected to a network cctv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8839B1
KR101398839B1 KR1020130010408A KR20130010408A KR101398839B1 KR 101398839 B1 KR101398839 B1 KR 101398839B1 KR 1020130010408 A KR1020130010408 A KR 1020130010408A KR 20130010408 A KR20130010408 A KR 20130010408A KR 101398839 B1 KR101398839 B1 KR 1013988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phone
cctv
network
network cctv
gp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040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임승균
이상욱
이현태
Original Assignee
목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목원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목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0104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883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88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883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17Surveillance camera constructional details
    • G08B13/1963Arrangements allowing camera rotation to change view, e.g. pivoting camera, pan-tilt and zoom [PTZ]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operating a CCTV capturing a subject by using a smartphone GPS and, more specifically, to a method for operating a CCTV capable of quickly solving a problem by requesting a rescue using a smartphone and searching adjacent network CCTVs, wherein the network CCTV photographs a problem situation around a user and transmits a photographed image to a relevant agency.

Description

스마트폰의 GPS와 네트워크 CCTV 연동을 이용한 피사체 포착 촬영방법{Method for taking a picture of a subject using a smart phone GPS connected to a network CCTV}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capturing a subject using a GPS and a network CCTV interworking of a smart phone,

본 발명은 스마트폰의 GPS와 네트워크 CCTV 연동을 이용한 피사체 포착 촬영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스마트폰을 이용해 구조요청하고, 스마트폰 GPS를 통해 사용자의 위치를 추적하여 추적한 위치 주변에 있는 네트워크 CCTV를 탐색하고, 상기 네트워크 CCTV는 사용자 중심으로 문제 상황을 촬영함으로써 문제 상황에 대한 구체적인 자료를 유관기관에 전송함으로써 문제를 신속하게 해결할 수 있도록 하는 CCTV 운영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capturing an object using a GPS and a network CCTV interworking of a smart phon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of capturing an object using a smart phone, The CCTV is searched, and the network CCTV captures a problem situation based on the user, thereby transmitting detailed data on the problem situation to the related authorities, thereby quickly resolving the problem.

오늘날 우리는 많은 범죄 및 위험상황에 노출되어 있다. 특히 어린이, 노약자, 여성들에게 있어서 납치, 실종, 폭행, 성폭행, 등의 범죄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범죄 상황을 줄이기 위해서 곳곳에 CCTV를 설치하여 문제 발생시점의 영상을 증거자료로 활용한다. 그러나 이는 증거자료로 쓰이는 범죄 상황의 후처리일 뿐, 범죄를 미연에 방지하는 데는 별로 도움이 되지 않고 있다.Today we are exposed to many crime and danger situations. Especially for children, elderly people and women, crimes such as kidnapping, disappearance, assault, sexual assault are increasing. In order to reduce the crime situation, CCTV is installed in various places, and images of the time of occurrence of the problem are used as evidence. However, this is only a post-process of the criminal situation, which is used as evidence, and it does not help to prevent crime in advance.

또한 휴대용 경보기를 소지하고 다녀, 긴급 상황 발생 시 경보음을 내어 주위사람들에게 GPS기능을 구비한 방법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휴대용 경보기는 인적이 드문 곳에서는 효과가 없을뿐더러, 인적이 많은 곳에서 사용을 하더라도 주변사람들은 위험상황에 대한 책임이 없기 때문에 문제를 적극적으로 도와줄 수 있다는 확신을 가질 수 없다. 또한, 범죄자에게는 경보음을 울림으로써 범죄 상황을 노출시켰다는 이유로, 피해자를 더 위험한 상황으로 끌고 갈 수도 있다.There is also a method of carrying a portable alarm and having a GPS function to the people around by issuing an alarm in case of an emergency. However, these portable alarms are ineffective in places where people are unfamiliar and can not be convinced that even if people use them in places with many people, people around them can not actively support the problem because they are not responsible for the dangerous situation. In addition, criminals may be able to lead victims to more dangerous situations because they have exposed the crime by ringing an alarm.

특허문헌 1에 제시된 발명은 RFID와 네트워크 CCTV의 연동을 이용한 영상 기반 이동체 위치 확인 방법과 이를 위한 이동체 휴대용 RFID 태그에 관한 것으로서, RFID 태그를 소지한 보호대상이 비상콜 버튼을 누르면 보호대상의 위치를 근처 RFID 리더기를 통해 파악하고, 그 파악된 위치 주변의 네트워크 CCTV를 통하여 보호대상 및 그 주변상황에 대한 영상 정보를 보호자, 유관기관 등에 전송하여 비상상태 시 상황에 맞는 적절한 조치를 신속하게 취하며, 범죄 현장에 대한 영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하지만, RFID 태그를 항상 소지하고 다녀야하는 불편함과, 위치 계산을 위하여 다수의 RFID 리더기를 설치하는 등 인프라 구축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The invention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1 relates to an image-based moving object position determination method using an interworking between RFID and a network CCTV and a portable RFID tag for a mobile object. In this case, when a protected object holding an RFID tag presses an emergency call button, And transmits the image information about the protection target and the surrounding situation to the guardian and the related organizations through the network CCTV around the detected location to take appropriate measures according to the situation in the emergency state, It is possible to acquire image information about a crime scene. 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inconvenient to carry the RFID tag at all times and the infrastructure construction cost such as installing a large number of RFID readers is required to calculate the position.

특허문헌 2에 제시된 발명은 아동 범죄 예방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아이들이 근거리 무선통신이 가능한 휴대형 단말기의 응급버튼, 비상안전핀을 통해 무선AP모듈로 신호를 보내면 근처 CCTV를 통해 영상을 촬영하고, 메인서버와 인터넷망을 통해 아이들의 정보, 위치 등을 메인서버로 송신하고, 부모에게 문자를 전송한다.The invention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2 is directed to a child crime prevention system. When a child sends a signal to a wireless AP module via a emergency button or emergency safety pin of a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short-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And transmits the information and location of the children to the main server through the Internet and transmits the text to the parent.

특허문헌 3에 제시된 발명은 CCTV를 이용한 위험 알림 통신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애드혹 네트워크방식으로 이루어진다. 긴급 또는 비상상황 발생 시 휴대하고 있는 비상 알림 호출기를 눌러, 이 신호가 건물에 설치된 중계기를 통해 접수되고, 이를 CCTV내의 송수신기에 전달하여 위험 상황을 실시간으로 촬영하도록 한다. 최초 송신 중계기를 파악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식별, 저장하고 이를 원격의 관리실이나 경찰서 등에 전송되도록 함으로써 위험상황을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e invention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3 relates to a risk notification communication system using CCTV, and is implemented by an ad hoc network system. When an emergency or emergency occurs, press the portable emergency call pager and this signal will be received via the repeater installed in the building, and the signal will be transmitted to the transceiver in the CCTV so that the dangerous situation is photographed in real time. The first transmission repeater is identified, the location of the user is identified, stored, and transmitted to a remote management room or a police station so that the risk situation can be promptly processed.

하지만, 특허문헌 2와 3은 사용자와 가장 가까운 무선AP모듈 또는 중계기가 가장 먼저 위험신호를 받고, 이를 통해 무선AP모듈 또는 중계기와 가까이 위치한 CCTV의 영상을 활용하는 것으로써, 해당 CCTV는 사용자가 어디에 위치했는지 정확히 알 수가 없어 고정된 화면만을 제공할 뿐이다. 그래서 위험에 처한 사용자의 실제상황을 구체적으로 제공하는 데에는 어려움이 있다.However, in Patent Documents 2 and 3, the wireless AP module or the repeater closest to the user first receives the danger signal and utilizes the image of the CCTV located close to the wireless AP module or the repeater, It only provides a fixed screen because it is not known exactly where it is located. Thus, it is difficult to provide the concrete situation of the user at risk.

이렇듯 범죄상황, 위험상황 발생시 신속한 대처를 위해서는 사용자의 정확한 위치를 필요로 하고, 그러한 사용자 중심의 영상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문제가 해결된다면 사용자의 문제 발생시, 유관기관, 보호자 등이 문제 상황을 정확히 파악하고, 신속히 대처할 수 있어 수많은 범죄를 예방함으로써 안전한 생활을 할 수 있을 것이다.In order to cope with crime situations and risk situations in a rapid manner, it is necessary to provide accurate position of users and to provide such user-oriented images. If these problems are resolved, the concerned institutions and guardians will be able to accurately identify the problem situations and promptly respond to the user's problems,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live a safe life by preventing numerous crimes.

1. 한국 등록특허 10-10021301. Korean Patent No. 10-1002130 2. 한국 공개특허 10-2010-00105482.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0-0010548 3. 한국 공개특허 10-2008-00691603.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8-0069160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에서는 널리 보급되어 대부분의 사용자가 소지한 스마트폰의 GPS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하고, 사용자 주변의 네트워크 CCTV를 탐색하여 사용자를 포착하여 촬영하는 등 문제 상황에 대한 구체적인 자료를 수집함으로써, 문제 발생시 유관기관 또는 보호자 등이 문제 상황을 정확히 파악하고, 신속히 대처하여 사람들이 안전한 생활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폰의 GPS와 네트워크 CCTV 연동을 이용한 피사체 포착 촬영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widely used to identify the location of a user using GPS of a smart phone possessed by most users, to search for a network CCTV around the user, To capture a specific subject and to capture the subject using GPS and network CCTV interworking of smartphone that enables the related organizations or guardians to accurately grasp the problem situation and to cope with it promptly and maintain people's safe lives. .

상기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의 GPS와 네트워크 CCTV 연동을 이용한 피사체 포착 촬영방법은,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capturing an object using GPS and network CCTV interworking of a smartphone,

스마트폰에서 앱을 구동하여 구조신호와 GPS 신호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Transmitting a rescue signal and a GPS signal to a server by driving an app on a smartphone;

상기 서버는 GPS신호를 분석하여 스마트폰 주변의 네트워크 CCTV를 탐색하여 추적 명령을 하는 단계;The server analyzes the GPS signal and searches for a network CCTV around the smart phone to perform a tracking command;

상기 네트워크 CCTV는 스마트폰의 위치를 중심으로 PTZ(Pan, Tilt, Zoom) 기법을 사용하여 피사체를 추적하여 촬영하는 단계;The network CCTV tracks a subject by using a PTZ (Pan, Tilt, Zoom) technique, focusing on the position of a smartphone,

상기 서버는 상기 네트워크 CCTV를 통해 촬영한 영상 및 위치 등의 사건정보를 유관기관 또는 보호자에게 전송하여 알리는 단계; 및The server transmits event information such as a video and a location photographed through the network CCTV to a related institution or a guardian and notifies it; And

상기 사건정보를 서버에 저장하여 위험지역 DB를 구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storing the event information in a server to construct a dangerous area DB.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네트워크 CCTV는 PTZ 드라이버에 의하여 제어되는 PTZ 카메라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네트워크 CCTV는 PTZ 드라이버에 의하여 제어되는 스피드돔(speed dome) 카메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etwork CCTV is a PTZ camera controlled by a PTZ driver, and the network CCTV is a speed dome camera controlled by a PTZ driver.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네트워크 CCTV가 피사체를 포착하면, 경고음을 울리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경고음은 사이렌 또는 경고안내를 방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network CCTV captures a subject, a warning sound is emitted, and the warning sound is broadcasted as a siren or warning notic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보호자 또는 유관기관에서 스마트폰의 GPS와 네트워크 CCTV 연동을 이용한 피사체 포착 촬영방법은,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of capturing an object using a GPS and a network CCTV interworking of a smart phone in a guardian or a related organization,

보호자 또는 유관기관에서 위치추적 기능을 사용하여 스마트폰 사용자의 위치를 탐색하는 단계;Using a location tracking function at a guardian or a related authority to search for the location of a smartphone user;

서버는 상기 스마트폰의 현재 위치와 서버에 저장된 위험지역 DB를 분석하는 단계;Analyzing the current location of the smartphone and the risk area DB stored in the server;

상기 서버는 상기 스마트폰의 현재 위치가 위험지역이 아닐 경우 종료하고, 위험지역일 경우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위험지역임을 상기 스마트폰에 알려주는 단계;The server terminates the current location of the smartphone if the current location is not a dangerous area, and if the current location is a dangerous area, notifying the smartphone that the current location is a dangerous area based on the current location;

상기 서버는 상기 스마트폰 주변의 네트워크 CCTV를 탐색하는 단계;The server searching for a network CCTV around the smartphone;

상기 스마트폰 위치와 가장 가까운 네트워크 CCTV는 피사체를 포착하여 촬영하는 단계; 및 Capturing and capturing an object of a network CCTV closest to the smartphone location; And

상기 네트워크 CCTV를 통해 촬영한 영상 및 위치 등 사건정보를 유관기관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transmitting event information such as a video and a location photographed through the network CCTV to a relevant authority.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사용자가 위험지역을 검색하여 안전을 확인하거나 불가피하게 위험지역을 경유할 때 스마트폰의 GPS와 네트워크 CCTV 연동을 이용한 피사체 포착 촬영방법은,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capturing an object using a GPS and a network CCTV interworking of a smartphone when a user searches for a dangerous area and confirms safety or inevitably passes through a dangerous area,

사용자의 스마트폰에서 목적지를 입력하여 검색하는 단계;Inputting and searching for a destination from a user's smartphone;

서버는 상기 목적지가 위험지역인지 위험지역 DB를 분석하는 단계;The server analyzes the dangerous area database to determine whether the destination is a dangerous area.

상기 서버는 상기 목적지가 위험지역이 아닐 경우 종료하고, 위험지역일 경우 목적지를 기준으로 위험지역을 경고하는 단계;The server terminates when the destination is not a dangerous area, and warns a dangerous area based on a destination when the destination is a dangerous area;

상기 서버는 사용자가 목적지 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이동경로 주변의 네트워크 CCTV를 탐색하는 단계;The server searching for a network CCTV around a mobile path when the user moves toward a destination;

상기 네트워크 CCTV는 사용자인 피사체를 촬영하는 단계; 및Capturing a subject that is a user of the network CCTV; And

상기 서버는 상기 네트워크 CCTV를 통해 촬영한 영상 및 위치 등의 사건정보를 보호자 또는 유관기관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server transmits event information such as a video and a location photographed through the network CCTV to a guardian or a related authority.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복수의 스마트폰에서 구조요청이 오는 경우 스마트폰의 GPS와 네트워크 CCTV 연동을 이용한 피사체 포착 촬영방법은,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rescue request is sent from a plurality of smartphones, a method of capturing an object using a GPS of a smartphone and a network CCTV linkage,

제1 스마트폰의 구조 요청받는 단계;Receiving a rescue request for the first smartphone;

네트워크 CCTV(CCTV1)가 제1 스마트폰 사용자를 촬영하는 제1 단계;A first step of the network CCTV (CCTV1) photographing the first smartphone user;

제1 스마트폰 사용자를 촬영하고 있는 도중 제2 스마트폰의 구조 요청받는 제2 단계;A second step of requesting a rescue of the second smartphone while shooting the first smartphone user;

서버는 상기 CCTV1 주변에 추가적으로 네트워크 CCTV가 존재(CCTV2)하면 상기 제2 스마트폰 사용자의 요청을 네트워크 CCTV2에 연결하고, CCTV1은 제1 스마트폰 사용자 촬영을 계속하는 제3 단계;The server further includes a third step of connecting the request of the second smartphone user to the network CCTV2 when the network CCTV exists in the vicinity of the CCTV1 (CCTV2), and continuing the first smartphone user photographing of the CCTV1;

서버는 상기 CCTV1 주변에 추가로 네트워크 CCTV가 없을 경우 소정 시간 후에 네트워크 CCTV1의 촬영권을 제2 스마트폰 사용자에게 넘기는 제4 단계;If the server does not have a network CCTV in the vicinity of the CCTV 1, the server transmits the photographed right of the network CCTV 1 to the second smartphone user after a predetermined time;

소정 시간 동안 상기 제2 스마트폰 사용자의 촬영을 하고 제1 스마트폰 사용자를 소정 시간 촬영하는 제5 단계; 및 A fifth step of photographing the second smartphone user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photographing the first smartphone user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상기 제4 단계 및 제5 단계를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ourth step and the fifth step are repeated.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GPS를 이용한 피사체 포착 CCTV 시스템은 피해자의 주변상황에 대한 구체적인 영상 정보를 보호자 및 유관기관에 전송함으로써 문제 상황을 쉽게 파악할 수 있어 대처시간이 단축된다.The object capturing CCTV system using the smartphone GP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transmit the detailed image information about the victim's surroundings to the guardian and the related organizations, thereby easily grasping the problem situation and shortening the coping time.

또한 항시 소지하고 다니는 스마트폰을 이용함으로써 사용자는 추가 장치가 따로 필요가 없다.Also, by using a smartphone that is always in possession, the user does not need additional device.

또한 누적 데이터를 통해 위험지역 DB를 구축함으로써 사용자가 가고자 하는 목적지가 위험지역인지를 예측할 수 있어 문제 상황을 예방할 수 있다.In addition, by constructing the risk area DB through the accumulated data, it is possible to predict whether the destination that the user wants to visit is a dangerous area, thereby preventing a problem situation.

도 1은 스마트폰 GPS를 이용한 피사체 포착 CCTV 운영을 위한 구성도
도 2는 스마트폰 앱을 통한 CCTV 구조요청 흐름도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CCTV가 설치된 공간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CCTV의 촬영중인 화면
도 5는 주변탐색 요청시 스마트폰의 화면표시부
도 6은 주변탐색 요청시 서버 및 네트워크 CCTV 흐름도
도 7은 목적지 탐색 요청시 서버 및 네트워크 CCTV 흐름도
도 8은 중복호출시 CCTV 운영방법 흐름도
Fig.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CCTV operation for capturing a subject using a smartphone GPS
FIG. 2 is a flowchart of a request for a CCTV rescue via a smartphone application
FIG.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in which a network CCTV
FIG. 4 is a view illustrating a screen during capturing of a network CCTV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display unit
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erver and network CCTV flow chart
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erver and network CCTV flow chart
8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operating a CCTV in a redundant call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하나의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권리범위는 예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예시된 도면은 발명의 명확성을 위하여 핵심적인 내용만 확대 도시하고 부수적인 것을 생략하였으므로 도면에 한정하여 해석하여서는 아니 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intended to be illustrative of and in no way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nd shall not interpret it.

도 1은 스마트폰의 GPS와 네트워크 CCTV 연동을 이용한 피사체 포착 촬영방법을 위한 구성도로서, GPS기능을 구비한 스마트폰(200), 상기 스마트폰(200)에 GPS신호를 제공하는 위성(10), 상기 스마트폰(200)의 긴급 구조신호를 수신하고 GPS를 기초로 주변의 네트워크 CCTV를 탐색하고 CCTV를 제어하는 서버(100), 상기 서버(100)로부터 추적명령을 받아 피사체를 포착하고 영상을 촬영하고 인터넷을 통해 서버(100)로 전송하는 네트워크 CCTV(300)로 구성된다. FIG. 1 is a block diagram of a method for capturing an object using a GPS and a network CCTV interworking of a smartphone, including a smartphone 200 having a GPS function, a satellite 10 providing a GPS signal to the smartphone 200, A server 100 for receiving an emergency rescue signal of the smartphone 200 and searching for a nearby network CCTV based on the GPS and controlling the CCTV, a server 100 for receiving a tracking command from the server 100, And a network CCTV 300 for capturing and transmitting to the server 100 via the Internet.

상기 네트워크 CCTV는 인터넷으로 연결된 CCTV로서 PTZ(Pan, Tilt, Zoom)카메라 또는 스피드돔(speed dome) 카메라로서 360°회전, 줌 및 틸트 기능으로 피사체를 추적할 수 있다. 네트워크 CCTV는 기존의 경찰서, 소방서 및 일반 관공서의 방법, 주차단속, 화재감시, 쓰레기 투기 감시 카메라와 사설 카메라 등을 인터넷 망으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사회 안정망의 인프라로 새로 설치할 수 있다. 네트워크 CCTV는 가로등(311) 및 스피커(312) 방송시설과 연동시킬 수 있다.The network CCTV is a CCTV connected to the Internet, and can be used as a PTZ (Pan, Tilt, Zoom) camera or a speed dome camera to track a subject by a 360 ° rotation, zoom and tilt function. Network CCTV can be connected to the existing network of police station, fire station and general public office, parking control, fire monitoring, garbage surveillance camera and private camera, or can be newly installed as infrastructure of social security network. The network CCTV can be interworked with the street lamp 311 and the speaker 312 broadcasting facility.

상기 스마트폰은 널리 보급되어 대중화된 통신수단으로서 RFID 태그와 같이 별도로 소지할 필요가 없으며 위급상황 또는 주변탐색 상황과 같이 간단한 어플리케이션(이하 '앱'이라 한다.) 메뉴를 구비한다. 사용자(220)는 납치, 성폭행, 범죄, 사고 등의 위급상황 시에 스마트폰(200)에 설치된 앱(210,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으로 이하 '앱'이라 한다)을 구동하여 서버(100)에 접속하여 GPS 신호와 함께 구조신호를 송신하면, 서버(100)는 사용자(220)의 GPS를 분석하여 사용자(220)와 가장 가까운 네트워크 CCTV(300)를 탐색하여 사용자를 추적하게 하고 촬영하도록 한다. 상기 네트워크 CCTV(300)는 사용자(220)를 중심으로 촬영을 시작한다. 촬영한 영상(320b)과 사용자(220)의 GPS위치 정보를 서버(100)에 전송하면, 서버(100)는 이를 유관기관, 보호자, 사용자 등에게 전송하고, 서버(100)에 위험지역 DB로 저장한다.The smart phone is widely popularized and popularized communication means does not need to be held separately like an RFID tag and has a simple applic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app') menu such as an emergency situation or a peripheral search situation. The user 220 drives the app 210 installed in the smart phone 200 in an emergency such as kidnapping, sexual assault, crime, or accident, and accesses the server 100, The server 100 analyzes the GPS of the user 220 and searches for the network CCTV 300 closest to the user 220 to allow the user to track and photograph the user. The network CCTV 300 starts to photograph the user 220. When the server 100 transmits the photographed image 320b and the GPS position information of the user 220 to the relevant agency, guardian, user, and the like, .

도 2는 스마트폰(200)의 앱(210)을 통한 CCTV 구조요청 흐름도이다.FIG. 2 is a flowchart of a request for a CCTV structure through the app 210 of the smartphone 200.

스마트폰(200)에 설치된 앱(210)을 구동하여 서버(100)에 접속하여 구조를 요청하면,When the application 210 installed in the smartphone 200 is driven to access the server 100 to request the structure,

상기 서버(100)는 상기 스마트폰(200)의 GPS신호를 수신하는 단계(S110);The server 100 receives the GPS signal of the smartphone 200 (S110);

상기 스마트폰(200) 주변의 네트워크 CCTV(300)를 탐색하는 단계(S150);Searching for a network CCTV 300 around the smartphone 200 (S150);

상기 스마트폰(200)과 가장 가까운 곳에 설치된 네트워크 CCTV(300)는 스마트폰(200)의 위치를 중심으로 PTZ(Pan, Tilt, Zoom) 기법을 사용하여 피사체(220)를 추적하는 단계(S160);The network CCTV 300 installed closest to the smartphone 200 tracks the subject 220 using a PTZ technique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smartphone 200 at step S160, ;

상기 네트워크 CCTV(300)를 통해 촬영한 영상 및 위치 등 사건정보를 유관기관 또는 보호자 등에 전송하여 알리는 단계(S170);(S170) transmitting event information such as a video and a location photographed through the network CCTV 300 to a related institution or a guardian and notifying it;

상기 사건정보를 서버(100)에 저장하여 위험지역 DB를 구축하는 단계(S190)를 포함한다.And storing the event information in the server 100 to construct a dangerous area DB (S190).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CCTV(300)가 설치된 공간이며, 도 4는 상기 도3에 위치한 네트워크 CCTV가 촬영 중인 화면(320a, 320b)을 나타낸 도면이다.FIG. 3 is a view showing a network CCTV 300 instal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view showing screens 320a and 320b in which the network CCTV located in FIG. 3 is being photographed.

네트워크 CCTV(300)는 기존 설정에 따라 일반적인 화면(320a)을 촬영한다. 스마트폰(200)의 구조요청 신호를 받은 네트워크 CCTV(300)는 사용자인 피사체(220)의 위치를 추적하고, 사용자(220)를 포착하게 된다. 사용자를 포착하여 촬영한 화면(320b) 영상 및 위치정보 등의 사건정보를 유관기관 또는 보호자 등에 실시간으로 전송한다.The network CCTV 300 captures a general screen 320a according to the existing setting. The network CCTV 300 receiving the rescue request signal of the smart phone 200 tracks the location of the user 220 and captures the user 220. And the event information such as the image and the positional information on the screen 320b captured by capturing the user is transmitted to the relevant organization or guardian in real time.

네트워크 CCTV(300)가 가로등(311) 및 스피커(312)와 연동이 되는 경우, 피사체(220)를 포착하여 촬영을 시작하면 가로등(311)을 밝혀 주변을 환하게 함으로써 CCTV 촬영 화면의 화질을 높일 수 있고 피사체는 안정감을 갖고 범죄자에게는 감시하고 있다는 것을 알려 피해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스피커(312)를 통해 경고음을 울리거나, 경고메시지를 안내함으로써 가해자에게 경고를 하거나, 피사체를 위험상황으로부터 빠르게 대처할 수 있도록 돕는다.When the network CCTV 300 is interlocked with the street lamp 311 and the speaker 312, when capturing the subject 220 and starting photographing, the streetlight 311 is illuminated to brighten the surroundings, thereby enhancing the picture quality of the CCTV photographing screen The victim can be prevented by informing the victim that the subject has a sense of security and is monitoring the criminal. It also alerts the perpetrator by sounding a warning sound through the speaker 312 or by issuing a warning message, and helps the subject to quickly respond to a dangerous situation.

사용자 본인이 위급상황일 때에는 유관기관이나 보호자에게 구조를 요청할 수 있고, 반대로 보호자나 유관기관이 보호대상에 대하여 관찰하고자 하는 경우 스마트폰의 위치추적 기능을 활용하여 보호대상을 촬영할 수 있다. 도 5는 보호자 또는 유관기관이 보호대상을 포착 촬영하는 흐름도이다.If the user is in an emergency situation, he or she can ask the concerned organization or guardian for the rescue. Conversely, if the guardian or the related organization intends to observe the protected object, the protected object can be photographed using the location tracking function of the smartphone. Fig. 5 is a flowchart of a capture or capture of a protected object by a guardian or an associated organization.

보호자 또는 유관기관에서 위치추적 기능을 사용하여 스마트폰(200) 사용자의 위치를 탐색하는 단계(S210);Searching for a location of a user of the smartphone 200 using a location tracking function at a guardian or a related authority (S210);

상기 스마트폰의 현재 위치와 서버에 저장된 위험지역 DB를 분석하는 단계(S220);Analyzing the current location of the smartphone and the risk area DB stored in the server (S220);

상기 스마트폰의 현재 위치가 위험지역이 아닐 경우 종료하고(S230), 위험지역일 경우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위험지역임을 상기 스마트폰에 알려주는 단계(S240);If the current position of the smartphone is not a dangerous area, the process ends (S230); if the smartphone is in a dangerous area, informing the smartphone that the current location is a dangerous area (S240);

상기 스마트폰 주변의 네트워크 CCTV를 탐색하는 단계(S150);Searching for a network CCTV around the smartphone (S150);

상기 스마트폰 위치와 가장 가까운 네트워크 CCTV는 피사체를 포착하여 촬영하는 단계(S160);The network CCTV closest to the smartphone location captures and captures an object (S160);

상기 네트워크 CCTV를 통해 촬영한 영상 및 위치 등 사건정보를 유관기관에 전송하는 단계(S170);Transmitting event information such as a video and a location photographed through the network CCTV to a related authority (S170);

상기 사건정보를 서버에 저장하여 위험지역 DB를 구축하는 단계(S180)를 포함한다.And storing the event information in a server to construct a dangerous area DB (S180).

도 6은 사용자 본인이 가고자 하는 목적지의 주변을 미리 탐색하여 목적지의 안전여부를 확인하거나, 불가피하게 위험지역을 경유하게 될 때 보호자나 유관기관에 사용자인 피사체의 영상을 지속적으로 보내 확인 감시하도록 하는 흐름도이다.FIG. 6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afety of a destination by searching the vicinity of a destination to which the user intends to go, and when the user goes through a dangerous area inevitably, FIG.

사용자의 스마트폰에서 목적지를 입력하여 검색하는 단계(S210);A step S210 of inputting and searching for a destination in the user's smartphone;

서버는 상기 목적지가 위험지역인지 위험지역 DB를 분석하는 단계(S220);The server analyzes the dangerous area DB in step S220.

상기 목적지가 위험지역이 아닐 경우 종료하고(S230), 위험지역일 경우 목적지를 기준으로 위험지역을 경고하는 단계(S240);If the destination is not a dangerous area, the process ends (S230). If the destination is a hazardous area, warning the dangerous area based on the destination (S240);

목적지 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이동경로 주변의 네트워크 CCTV를 탐색하는 단계(S150);Searching for a network CCTV around the movement path when moving toward the destination direction (S150);

상기 네트워크 CCTV는 사용자인 피사체를 촬영하는 단계(S160);The network CCTV photographing a user as a user (S160);

상기 네트워크 CCTV를 통해 촬영한 영상 및 위치 등의 사건정보를 보호자 또는 유관기관에 전송하는 단계(S170);(S170) transmitting event information such as a video and a location photographed through the network CCTV to a guardian or a related authority;

상기 사건정보를 서버에 저장하여 위험지역 DB를 구축하는 단계(S180)를 포함한다.And storing the event information in a server to construct a dangerous area DB (S180).

도 7은 주변탐색 요청(212a)시 스마트폰(200)의 화면표시부이다. 사용자가 가고 있는 지역이 위험지역인지를 파악하기 위해 스마트폰(200)의 탐색버튼(212)을 누른다. 탐색방법으로는 현재위치 탐색, 목적지 탐색의 2가지가 있다. 현재위치의 주변을 탐색하기 위해서 주변탐색 요청(212a)을 누르면 현재 위치에서 소정 거리(예를 들면 50m) 이내 지역에 대한 위험지역DB가 나타난다. 소정 거리는 사용자 설정에 따라 변경 가능하다. 목적지의 주변을 탐색하기 위해서 목적지탐색 요청(212b)을 누르면 목적지 위치의 소정거리 이내 지역에 대한 위험지역이 표시된다. 해당 지역에 위험지역DB에 저장된 자료가 있을 경우, 스마트폰의 화면에 표시해 준다. 이로써, 사용자(220)는 각종 도난 및 범죄 상황을 예방함으로써 보다 안전한 생활을 유지할 수 있다.7 is a screen display unit of the smartphone 200 when the peripheral search request 212a is received. The user presses the navigation button 212 of the smartphone 200 to determine whether the area where the user is going is a dangerous area. There are two methods of searching: current location search and destination search. If the surrounding search request 212a is pressed in order to search the periphery of the current location, the dangerous area DB for the area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or example, 50 m) from the current location appears. The predetermined distance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user setting. If the destination search request 212b is clicked to search the vicinity of the destination, the dangerous area for the area within the predetermined distance of the destination location is displayed. If there is data stored in the dangerous area DB in the area, display it on the screen of the smartphone. Thus, the user 220 can maintain a safer life by preventing various theft and crime situations.

도 8은 하나의 네트워크 CCTV(300)에 다수의 구조요청을 받을 경우의 CCTV 제어권에 관한 흐름도이다.FIG. 8 is a flowchart of CCTV control right when a plurality of rescue requests are received from one network CCTV 300. FIG.

제1 스마트폰(200)의 구조 요청받는 단계(S310);Receiving a request for the structure of the first smartphone 200 (S310);

네트워크 CCTV(CCTV1)가 제1 스마트폰 사용자를 촬영하는 단계(S315);The step S315 of the network CCTV (CCTV1) photographing the first smartphone user;

제1 스마트폰 사용자를 촬영하고 있는 도중 제2 스마트폰의 구조 요청받는 단계(S320);A step (S320) of receiving a request for a structure of the second smartphone while photographing the first smartphone user;

네트워크 CCTV가 주변에 추가적으로 존재(CCTV2)하면 상기 제2 스마트폰 사용자의 요청을 네트워크 CCTV2에 연결하고(S322), CCTV1은 제1 스마트폰 사용자 촬영을 계속하는 단계(S315);When the network CCTV is additionally present in the vicinity (CCTV2), the request of the second smartphone user is connected to the network CCTV2 (S322), and the CCTV1 continues the photographing of the first smartphone user (S315).

네트워크 CCTV가 주변에 추가로 없을 경우 소정 시간 후에 네트워크 CCTV1의 촬영권을 제2 스마트폰 사용자에게 넘기는 단계(S325);(S325) if the network CCTV is not present in the vicinity, passing the photographing right of the network CCTV 1 to the second smartphone user after a predetermined time;

상기 제2 스마트폰 사용자(222)의 촬영이 종료되면 제1 스마트폰 사용자를 촬영하는 단계(S330)를 반복함으로써 중복요청을 해결할 수 있다.When the photographing of the second smartphone user 222 is completed, photographing the first smartphone user (S330) may be repeated to solve the duplicate request.

상기 S325 단계에서 네트워크 CCTV1의 제어권은 제1 스마트폰 사용자와 제 2스마트폰 사용자가 소정의 시간을 두고 번갈아가며 획득하거나 서버(100) 관리자가 상황을 판단하여 제어할 수 있다.In step S325, the first smartphone user and the second smartphone user alternately receive control over the network CCTV1, or the administrator of the server 100 can determine and control the situation.

10 : 위성 100 : 서버
200 : 스마트폰 220 : 사용자(피사체)
300 : 네트워크 CCTV
311 : 가로등 312 : 스피커
320 : CCTV 촬영 표시화면
320a : 일반화면 320b : 사용자 포착화면
10: satellite 100: server
200: smart phone 220: user (subject)
300: Network CCTV
311: street lamp 312: speaker
320: CCTV shooting display screen
320a: general screen 320b: user capture screen

Claims (8)

스마트폰의 GPS와 네트워크 CCTV 연동을 이용한 피사체 포착 촬영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스마트폰에서 앱을 구동하여 목적지를 입력하여 검색하는 단계;
서버는 상기 목적지가 위험지역인지 위험지역 DB를 분석하여 경고하는 단계;
위급상황 발생 시 상기 스마트폰에서 앱을 구동하여 구조신호와 GPS 신호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는 GPS신호를 분석하여 스마트폰 주변의 네트워크 CCTV를 탐색하여 추적 명령을 하는 단계;
상기 네트워크 CCTV는 스마트폰의 위치를 중심으로 PTZ(Pan, Tilt, Zoom) 기법을 사용하여 피사체를 추적하여 촬영하는 단계;
상기 서버는 상기 네트워크 CCTV를 통해 촬영한 영상 및 위치 등의 사건정보를 유관기관 또는 보호자에게 전송하여 알리는 단계; 및
상기 사건정보를 서버에 저장하여 위험지역 DB를 구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의 GPS와 네트워크 CCTV 연동을 이용한 피사체 포착 촬영방법.
A method of capturing an object using GPS and network CCTV interworking of a smart phone,
Inputting and searching for a destination by driving an app on a user's smartphone;
The server analyzes and warns the dangerous area database whether the destination is a dangerous area;
When an emergency occurs, activating the app in the smartphone to transmit a rescue signal and a GPS signal to the server;
The server analyzes the GPS signal and searches for a network CCTV around the smart phone to perform a tracking command;
The network CCTV tracks a subject by using a PTZ (Pan, Tilt, Zoom) technique, focusing on the position of a smartphone,
The server transmits event information such as a video and a location photographed through the network CCTV to a related institution or a guardian and notifies it; And
And storing the event information in a server to construct a dangerous area database. A method of capturing a subject using a GPS and a network CCTV interworking of a smartphon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CCTV는 PTZ 드라이버에 의하여 제어되는 PTZ 카메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의 GPS와 네트워크 CCTV 연동을 이용한 피사체 포착 촬영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network CCTV is a PTZ camera controlled by a PTZ driver. A method of capturing an object using a GPS and a network CCTV interworking of a smartphon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CCTV는 PTZ 드라이버에 의하여 제어되는 스피드돔(speed dome) 카메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의 GPS와 네트워크 CCTV 연동을 이용한 피사체 포착 촬영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network CCTV is a speed dome camera controlled by a PTZ driver. 2.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network CCTV is a speed dome camera controlled by a PTZ driv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CCTV가 피사체를 포착하면, 경고음을 울리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의 GPS와 네트워크 CCTV 연동을 이용한 피사체 포착 촬영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when the network CCTV captures a subject, emitting a warning sound. The method of capturing a subject using a GPS and a network CCTV interworking of a smartphone.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음은 사이렌 또는 경고안내를 방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의 GPS와 네트워크 CCTV 연동을 이용한 피사체 포착 촬영방법.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warning sound broadcasts a siren or a warning notice. A method of capturing a subject using GPS and network CCTV interworking of a smartphon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30010408A 2013-01-30 2013-01-30 Method for taking a picture of a subject using a smart phone gps connected to a network cctv KR10139883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0408A KR101398839B1 (en) 2013-01-30 2013-01-30 Method for taking a picture of a subject using a smart phone gps connected to a network cctv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0408A KR101398839B1 (en) 2013-01-30 2013-01-30 Method for taking a picture of a subject using a smart phone gps connected to a network cctv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6668A Division KR101401299B1 (en) 2014-03-28 2014-03-28 Method for taking a picture of a subject using a smart phone gps connected to network cctv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8839B1 true KR101398839B1 (en) 2014-05-27

Family

ID=508951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0408A KR101398839B1 (en) 2013-01-30 2013-01-30 Method for taking a picture of a subject using a smart phone gps connected to a network cctv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8839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2464A (en) * 2014-09-16 2016-03-24 박찬영 Social security network method and system
KR20160098776A (en) 2015-02-11 2016-08-19 이정훈 Cctv video-sharing system and provide methods using thereof
KR20200068858A (en) * 2018-12-06 2020-06-16 이우석 Road guidance system for smart stick service, and method for the sam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64784A (en) 2003-08-11 2005-03-10 Nec Commun Syst Ltd Emergency call reception center and emergency call generation place image acquisition system provided with the center
KR20080033907A (en) * 2005-05-20 2008-04-17 하드로넥스, 엘엘씨 A remote sensing and communication system
KR20110129744A (en) * 2010-05-26 2011-12-02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ward's imag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64784A (en) 2003-08-11 2005-03-10 Nec Commun Syst Ltd Emergency call reception center and emergency call generation place image acquisition system provided with the center
KR20080033907A (en) * 2005-05-20 2008-04-17 하드로넥스, 엘엘씨 A remote sensing and communication system
KR20110129744A (en) * 2010-05-26 2011-12-02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ward's image
KR101145543B1 (en) 2010-05-26 2012-05-15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ward's image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2464A (en) * 2014-09-16 2016-03-24 박찬영 Social security network method and system
KR101664556B1 (en) * 2014-09-16 2016-10-10 박찬영 Social security network method and system
KR20160098776A (en) 2015-02-11 2016-08-19 이정훈 Cctv video-sharing system and provide methods using thereof
KR20200068858A (en) * 2018-12-06 2020-06-16 이우석 Road guidance system for smart stick service, and method for the same
KR102164902B1 (en) * 2018-12-06 2020-10-13 배성수 Road guidance system for smart stick ser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2398B1 (en) State monitoring system using zigbee and cctv
JP4668014B2 (en) Security status notification device, security status notification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causing computer to execute security status notification method
CN100383826C (en) System and method for informing a critical situation by using network
KR101643253B1 (en) Closed circuit television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 same
KR101245165B1 (en) Crime prevention security system
KR101657046B1 (en) Smart Bell Control Apparatus
KR101459104B1 (en) Intelligent cctv system detecting emergency with motion analysis and method of emergency detection using the same
KR101392628B1 (en) System for safety returning-home using integrated control
JP2007329757A (en) Monitoring camera system, and monitoring control server
JP6529062B1 (en) DIGITAL ACCURATE SECURITY SYSTEM, METHOD, AND PROGRAM
WO2018116485A1 (en) Video collection system, video collection server, video collection method and program
KR101654181B1 (en) A security closed circuit television emergency call bell system using smart phone apps and smart tags
KR101398839B1 (en) Method for taking a picture of a subject using a smart phone gps connected to a network cctv
JP2014044641A (en) Crime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and crime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KR101166075B1 (en) Location based user care system and method
KR101401299B1 (en) Method for taking a picture of a subject using a smart phone gps connected to network cctvs
KR101944217B1 (en) Life crime prevention system using bus inform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processing thereof
KR102368523B1 (en) Method for providing emergency reporting service using physical buttion
KR100975861B1 (en) System for providing family safety service
KR101383583B1 (en) Remote supervisory method for scene of accident, management method for remote supervisory system and remote supervisory realization method for application operated on mobile terminal
KR100880428B1 (en) Ubiquitous security system
KR20100129859A (en) Accident prevention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accident prevention service
KR101613623B1 (en) LED Security system connected with smart device and method thereof
KR101393719B1 (en) Intruder supervising system using camera and object perception sensor
KR20160032462A (en) Social security network method and system using a social network ser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