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8474B1 - Display apparatus using face-recognition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 Google Patents

Display apparatus using face-recognition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8474B1
KR101398474B1 KR1020070089068A KR20070089068A KR101398474B1 KR 101398474 B1 KR101398474 B1 KR 101398474B1 KR 1020070089068 A KR1020070089068 A KR 1020070089068A KR 20070089068 A KR20070089068 A KR 20070089068A KR 101398474 B1 KR101398474 B1 KR 1013984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ce recognition
subject
reproduction mode
recognition information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906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90023933A (en
Inventor
배성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890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8474B1/en
Publication of KR200900239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393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84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847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2User authentication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pri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Multimedia (AREA)
  • Studio Device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얼굴 인식 기술 및 신체 감지 기술을 이용하여 관측자가 원하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고 소비 전력을 감소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Figure R1020070089068

디스플레이 장치, 얼굴 인식, 재생 모드 설정, 재생 모드 변경, 신체 감지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device capable of displaying an image desired by an observer and reducing power consumption by using a face recognition technology and a body sensing technology,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Figure R1020070089068

Display device, face recognition, playback mode setting, playback mode change, body detection

Description

얼굴 인식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Display apparatus using face-recognition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apparatus using face recognition and a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얼굴 인식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device using face recognition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최근 디지털 촬영 장치의 발달로, 사진 촬영 및 촬영한 이미지의 확인이 용이해졌다. 종래 필름 카메라와 비교하여 보면, 필름 카메라로 촬영한 이미지들은 반드시 현상을 해야 확인할 수 있었으나, 디지털 촬영 장치로 촬영한 이미지들은 자체적으로 구비된 LCD 창, 또는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손쉽게 확인할 수 있다. 즉 촬영된 이미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현상의 필요 없어진 것이다. With the recent development of a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it has become easy to take a picture and confirm a photographed image. Compared with a conventional film camera, images photographed with a film camera must be developed to be sure, but images photographed by a digital photographing device can easily be confirmed on an LCD window or an external display device provided by itself. In other words, there is no need for development to confirm the photographed image.

그러나, 디지털 촬영 장치로 촬영한 이미지라 하더라도 전시를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현상하여 사진으로 제작하고, 상기 사진을 액자에 끼워 집안 또는 회사에서 전시하고 있다. 일반 액자는 한 개의 사진만을 넣어 전시할 수 있으며, 다른 사진을 전시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사진을 상기 액자에 갈아 끼워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However, even if an image is photographed by a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it is usually developed and produced as a photograph for exhibition, and the photograph is put on a frame and displayed in a house or a company. The general frame can display only one photograph, and in order to display other pictures, the user has to insert the picture into the frame.

상기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사진이 아닌 촬영한 이미지 데이터를 디스 플레이할 수 있는 전자 액자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발되었다. 따라서 이미지를 전시하기 위해서도 현상이 필요하지 않게 되었다. 즉, 디지털 촬영 장치로 촬영한 이미지를 현상 공정 없이, 이미지 데이터를 전자 액자에 직접 제공함으로써, 촬영한 이미지를 전시할 수 있게 된 것이다. 또한 상기 전자 액자는 동시에 많은 수의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사진을 교체해야 하는 불편함 없이 다수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In order to solve the inconvenience, a display device such as an electronic frame capable of displaying image data photographed, not a photograph, has been developed. Therefore, the phenomenon is no longer required to display images. That is, the image photographed by the digital photographing device can be displayed on the photographed image by directly providing the image data to the electronic frame without a development process. In addition, the electronic frame can store a large number of images at the same time, and can display a plurality of images without inconvenience that the user has to replace the photographs.

그러나, 상기 전자 액자에는 다수의 이미지들이 저장되므로, 이들 중 사용자가 원하는 이미지를 확인 및 전시하기 위해서는 상기 이미지들을 검색하고 선택 및 분류 해야 하는 또 다른 불편함이 발생하게 된다. However, since a plurality of images are stored in the electronic frame, there is another inconvenience that the user must search for and select and classify the images in order to view and display desired images.

따라서 본 출원인은 사용자 또는 관측자에 따라 원하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전자 액자 및 이의 제어방법을 개발하게 되었다.Accordingly, the present applicant has developed an electronic fram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capable of displaying a desired image according to a user or an observer.

본 발명은 관측자에 따라 원하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isplay device capable of displaying a desired image according to an observer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또한 본 발명은 소비 전력을 저감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display device capable of reducing power consumption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피사체를 촬영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촬영부와, 상기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상기 피사체의 얼굴을 인식하고 얼굴 인식 정보를 생성하는 얼굴 인식부와, 상기 얼굴 인식 정보에 따라 재생 모드를 설정하는 신호 처리부와, 상기 재생 모드에 해당하는 이미지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A face recognizing unit recognizing a face of the object from the image data and generating face recognition information; and a signal setting unit for setting a signal for setting a reproduction mode according to the face recognition information, 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reproduction mode.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피사체의 얼굴 인식 정보가 저장되고, 상기 얼굴 인식 정보에 따른 재생 모드가 설정 등록된 메모리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메모리에는 피사체의 우선 순위 정보가 더 저장될 수 있다.The display apparatus further includes a memory in which face recognition information of a subject is stored, and a reproduction mode according to the face recognition information is set and registered. Further, priority information of the subject can be stored in the memory.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피사체의 신체를 감지하는 신체 감지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신호 처리부는 상기 신체 감지부에서 상기 피사체의 신체가 감지된 경우 재생 모드를 선택 또는 유지하고, 상기 피사체의 신체가 감지되지 않은 경우 재생 모드를 종료하거나 전자 액자의 전원을 오프(OFF)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e display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body sensing unit for sensing a body of a subject. At this time, the signal processing unit selects or maintains the playback mode when the body of the subject is sensed by the body sensing unit, terminates the playback mode when the body of the subject is not sensed, or turns off the power of the electronic frame Can be controlled.

또한, 본 발명은 피사체의 얼굴을 인식하여 얼굴 인식 정보를 생성하는 단 계, 상기 얼굴 인식 정보에 해당하는 재생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 선택된 상기 재생 모드에 해당하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isplay device including a step of recognizing a face of a subject to generate face recognition information, a step of selecting a reproduction mode corresponding to the face recognition information, and a step of displaying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reproduction mode A method of controlling a device is provided.

상기 제어방법은 피사체의 얼굴 인식 정보와 상기 얼굴 인식 정보에 해당하는 재생 모드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The control method further includes setting a face recognition information of the subject and a reproduction mode corresponding to the face recognition information.

상기 제어방법은 얼굴 인식 모드를 설정할지 여부를 제1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1 판단 결과에 따라 얼굴 인식 모드를 설정하지 않는 경우 제1 재생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제1 판단 결과에 따라 얼굴 인식 모드를 설정하는 경우 피사체의 얼굴을 인식하여 얼굴 인식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방법은 제1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얼굴 인식 모드를 설정하지 않는 경우 상기 피사체를 촬영 및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 method includes a first determination as to whether or not to set a face recognition mode, a step of selecting a first reproduction mode when the face recognition mode is not set according to the first determination result, And generating face recognition information by recognizing the face of the subject when the recognition mode is set. In this case, the control method may further include photographing and storing the subject when the face recognition mode is not set according to the first determination result.

상기 제어방법은 생성된 상기 얼굴 인식 정보가 등록되어 있는지를 제2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2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얼굴 인식 정보가 등록되어 있지 않다면 상기 제1 재생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제2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얼굴 인식 정보가 등록되어 있다면 상기 얼굴 인식 정보에 해당하는 재생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지를 제3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3 판단 결과에 따라 재생 모드가 설정되어 있지 않다면 상기 제1 재생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제3 판단 결과에 따라 재생 모드가 설정되어 있다면 설정된 제2 재생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방법은 제2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얼굴 인식 정보가 등록되어 있지 않다면 상기 피사체를 촬영 및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determining whether the generated face recognition information is registered; selecting the first reproduction mode if the face recognition information is not registered according to the second determination result; Determining whether a face recogni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face recognition information is registered according to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and if the face recognition information is not registered, And selecting a second reproduction mode if the reproduction mode is set according to the third determination result. In this case, the control method may further include photographing and storing the subject if the face recognition information is not registered according to the second determination result.

상기 제어방법은 피사체의 우선 순위 정보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방법은 피사체가 복수의 인간(人間) 들을 포함하여 복수의 얼굴들을 인식하는 경우, 우선 순위가 높은 인간에 해당하는 재생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우선 순위가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 복수의 얼굴들을 인식하는 경우 상기 얼굴들을 모두 포함하는 이미지를 선택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The control method may further include setting priority information of a subject. In this case, when the subject recognizes a plurality of faces including a plurality of human beings, the control method can select a reproduction mode corresponding to a human having a high priority. If no priority is set, an image including all the faces can be selected and displayed when a plurality of faces are recognized.

상기 제어방법은 피사체의 신체를 감지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피사체의 신체를 감지하는 경우 재생 모드를 선택 및 유지하고, 상기 피사체의 신체를 감지하지 않는 경우 상기 재생 모드를 종료하거나 전자 액자의 전원을 오프(OFF)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control method includes the steps of: determining whether the body of the subject is sensed; selecting and maintaining a reproduction mode when the body of the subject is sensed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and when the body of the subject is not sensed, And turning off the power of the electronic frame.

상기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은 관측자를 인식하고 관측자에 따라 원하는 재생 모드에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can recognize an observer and display an image in a desired reproduction mode according to an observer.

또한, 관측자(피사체)가 없는 경우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필요가 없으므로 자동으로 재생 모드 종료 또는 전원을 끔으로써(OFF) 디스플레이 장치의 소비 전력을 감소할 수 있다. Further, since there is no need to display an image in the absence of an observer (subject),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display device can be reduced by automatically turning off the playback mode or turning off the power (OFF).

나아가, 얼굴 인식 또는 등록되지 않은 경우 피사체를 촬영하여 촬영된 이미지를 저장하여 둠으로써 방범용으로도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다. Furthermore, when the face is not recognized or registered, the photographed subject is photographed and the photographed image is stored, so that the photographed image can be effectively used for crime prevention.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전자 액자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자 액자의 블럭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전자 액자를 예시한 것으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PC, TV 등도 본 발명에 포함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한 통상의 기술 지식을 갖는 자에 있어서 자명한 것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lectronic 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block diagram of the electronic frame shown in Fig. 1. Fig. In the present embodiment, an electronic frame is exemplified as a display devic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a PC or a TV capable of displaying an image can be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도 1과 2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에 관한 전자 액자(100)는 전원부(10)로부터 소정의 전원을 공급 받아 구동된다. Referring to FIGS. 1 and 2 together, the electronic fram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riven by receiving a predetermined power from the power supply unit 10. FIG.

또한, 상기 전자 액자(100)는 사용자 등에 의한 외부 신호를 입력부(20)를 통해 입력 받아 제어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electronic frame 100 may be controlled by receiving an external signal from a user through the input unit 20.

상기 전자 액자(100)는 촬영부(30)와, 메모리(40)와 얼굴 인식부(50)를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촬영부(30)는 피사체를 촬영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미지 데이터는 임시로 메모리(40)에 저장될 수 있다. The electronic frame 100 includes a photographing unit 30, a memory 40, and a face recognizing unit 50. Specifically, the photographing section 30 photographs a subject and generates image data. The image data may be temporarily stored in the memory 40. [

뿐만 아니라 상기 메모리(40)에는 전자 액자(100)를 구동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메모리(40)에는 피사체의 얼굴 인식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상기 얼굴 인식 정보에 따른 재생 모드를 설정 등록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메모리(40)에는 피사체의 우선 순위 정보를 더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얼굴 인식 정보와 상기 얼굴 인식 정보에 따른 재생 모드, 우선 순위 정보 등은 사용자에 의해 미리 저장 및 설정 등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본 재생 모드인 제1 재생 모드, A 인간의 얼굴을 인식하면 A 를 포함하는 이미지들을 재생하는 제2 재생 모드, B 인간의 얼굴을 인식하면 최근 1개월 이미지들을 재생하는 제3 재생 모드로 설정 등 록할 수 있다. 또한, A 인간과 B 인간 사이에 우선 순위를 각각 두 번째, 첫 번째로 미리 설정할 수 있다. In addition, a program for driving the electronic frame 100 may be stored in the memory 40. Particularly, the memory 40 can store face recognition information of a subject and can set and register a reproduction mode according to the face recognition information. Furthermore, the memory 40 may further store the priority information of the subject. The playback mode, priority information, and the like according to the face recognition information and the face recognition information can be stored and set and registered in advance by the user. For example, a first reproduction mode which is a basic reproduction mode, a second reproduction mode which reproduces images including A when a human face is recognized, a third reproduction mode which reproduces images of recent one month by recognizing a human face B, Mode can be registered. In addition, the priorities can be preset between the A human and the B human, respectively, second and first.

상기 얼굴 인식부(50)는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분석하여 피사체의 얼굴을 인식하고 얼굴 인식 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얼굴 인식 정보는 얼굴의 각 구성 요소, 예를 들어 눈, 코, 입과 같은 얼굴의 특징점들의 위치나 크기 또는 이들 상호간의 거리 등의 기하학적인 인자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기하학적인 인자를 이용하여 미리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와 매칭시켜 얼굴을 인식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기하학적인 인자들에 입력된 얼굴이미지를 투영시킨 후, 저장된 얼굴이미지의 투영체와 비교하거나 상관시켜 특징들을 추출하여 얼굴인식을 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얼굴이미지를 얼굴 전체를 나타내는 템플릿 화상과 비교하여 이에 따른 상관도를 분석함으로써 얼굴을 인식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얼굴 인식 정보는 상기와 같은 기하학적인 인자들로 반드시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며, 인공신경망을 이용한 학습형 인식방법을 위해 신경망의 학습 및 인식에 관한 정보들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얼굴 인식 정보는 이미지 파일의 헤더 부분에 저장될 수 있다. The face recognition unit 50 analyzes the image data to recognize a face of a subject and generates face recognition information. The face recognition information may be a geometric factor such as the position or size of each component of a face, for example, facial feature points such as eyes, nose, mouth, or the distance between them. The face may be recognized by matching with a previously stored database using such a geometric factor or a face image inputted to the geometric factors may be projected and then compared with or correlated with a projected image of the stored face image to acquire features Face recognition can be performed. Alternatively, the face image can be recognized by comparing the face image with a template image representing the entire face, and analyzing the degree of correlation therebetween. In addition, the face recognition information is not necessarily made up of geometric factors as described above, and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learning and recognition of a neural network for a learning-type recognition method using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Such face recognition information can be stored in the header portion of the image file.

상기 전자 액자(100)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65), 상기 표시부(65)를 구동하는 표시 구동부(60)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부(65)는 상기 얼굴 인식 정보에 따라 설정 등록된 재생 모드에 해당하는 이미지를 표시한다. 표시부(65)는 액정 표시장치(LCD),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OLED) 등의 평판 표시 장치들로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구동부(60)는 순차적으로 이미지를 표시하는 표시부(60)를 구동하기 위하여, 주사 구동부, 데이터 구동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electronic frame 100 includes a display unit 65 for displaying an image, and a display driver 60 for driving the display unit 65. The display unit 65 displays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set reproduction mode according to the face recognition information. The display unit 65 may include flat panel display devices such a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OLED), and the like. For example, the display driver 60 may include a scan driver, a data driver, and the like in order to drive the display unit 60 displaying an image sequentially.

상기 전자 액자(100)는 오디오 처리부(70)를 구비하는데, 오디오 처리부(70)는 마이크(MI)로부터 입력된 음성 신호를 처리하거나 또는 스피커(SP)를 통해 외부로 나가는 음성을 신호 처리한다. The electronic frame 100 includes an audio processing unit 70 which processes a voice signal input from a microphone MI or processes a voice output to the outside through a speaker SP.

또한, 상기 전자 액자(100)는 피사체의 신체를 감지하는 신체 감지부(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신체 감지부(80)는 열 변화를 감지하는 센서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신체 감지부(80)는 외부에 피사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신체 감지부(80)에 의한 감지 신호에 따라 전자 액자(100)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소비 전력을 저감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electronic frame 100 may further include a body sensing unit 80 for sensing the body of the subject. The body detecting unit 80 may use a sensor for detecting a thermal change. The body sensing unit 80 senses whether a subject is present outside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electronic frame 100 according to a sensing signal from the body sensing unit 80, thereby reducing power consumption.

상기 전자 액자(100)는 디스플레이하고자 하는 이미지를 내장 메모리(40)에 저장할 수도 있지만, 상기 이미지 크기 또는 개수가 많아 용량이 증가하면 내장 메모리(40)만으로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외장 메모리로서, 이미지를 저장한 저장 매체(200)를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저장 매체(200)에 저장된 이미지를 전자 액자(100)에서 디스플레이하기 위해서, 상기 전자 액자(100)는 저장매체(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저장 매체 인터페이스(90)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 매체(200)에는 이미지뿐만 아니라 얼굴 인식 정보, 얼굴 인식 정보에 따른 재생 모드 정보, 우선 순위 정보 등이 저장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정보들을 저장 매체 인터페이스(90)를 통해 전자 액자(100)에서 활용할 수 있다. The electronic frame 100 may store an image to be displayed in the built-in memory 40. However, when the size or number of the image is large and the capacity increases, the built-in memory 40 has a limitation. Therefore, the storage medium 200 storing the image can be used as the external memory. In order to display an image stored in the storage medium 200 in the electronic frame 100, the electronic frame 100 may have a storage medium interface 90 that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torage medium 200. [ The storage medium 200 may store not only the image but also the face recognition information, the play mod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face recognition information, the priority information, and the like. The information can be stored in the electronic frame 100 ).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전자 액자(100)는 상기 정보들을 외부로부터 유, 무선으로 제공 받을 수 있는 통신부(95)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95)는 케이블 등을 이용하여 디지털 카메라, 핸드폰, 컴퓨터 등의 외부 장치와 원하는 정보 를 전송할 수 있으며, 또는 블루투스, 지그비, RFID 등의 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상기 외부 장치와 송, 수신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electronic fram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95 that can receive the information from external sources. 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unit 95 can transmit desired information to an external device such as a digital camera, a mobile phone, or a computer using a cable or the like, or transmit the desired information to the external device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such as Bluetooth, Zigbee, , ≪ / RTI >

또한, 상기 전자 액자(100)는 전자 액자(10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도록 신호 처리를 행하는 신호 처리부(150)를 구비한다. 신호 처리부(150)는 메모리(40)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라 전자 액자(100)의 전체 동작을 제어한다. 일례로, 신호 처리부(150)는 촬영부(30)로부터 입력된 이미지 데이터의 감마 보정을 행할 수 있으며, 전자 액자(100)를 대기 모드, 얼굴 인식 모드, 재생 모드로 설정 또는 변환함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신호 처리부(150)는 얼굴 인식 모드를 설정할 것인지를 판단할 수도 있으며 얼굴 인식 모드를 설정하는 경우 촬영부(30)가 작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촬영부(30)의 이미지 데이터들로부터 피사체의 얼굴을 인식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얼굴이 인식되지 않으면 촬영부(30)로 하여금 피사체를 촬영 및 촬영된 이미지 데이터를 메모리(40)에 저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얼굴 인식 정보가 등록되어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으며, 등록되지 않으면 촬영부(30)로 하여금 피사체를 촬영 및 촬영된 이미지 데이터를 메모리(40)에 저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electronic frame 100 includes a signal processing unit 150 that performs signal processing to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electronic frame 100. The signal processing unit 150 controls the entire operation of the electronic frame 100 according to the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40. [ For example, the signal processing unit 150 may perform gamma correction of the image data input from the photographing unit 30, and may control the setting or conversion of the electronic frame 100 to the standby mode, the face recognition mode, .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ignal processor 150 may determine whether to set the face recognition mode, and may control the shooting unit 30 to operate when setting the face recognition mode. If the face is not recognized, the photographing section 30 photographs the subject and stores the photographed image data in the memory 40, As shown in FIG.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face recognition information is registered. If the face recognition information is not registered, the photographing section 30 can control the photographing of the photographed subject and the photographed image data to be stored in the memory 40.

또한, 상기 신호 처리부(150)는 신체 감지부(80)에서 피사체의 신체가 감지되면, 신호 처리부(150)는 상기 피사체에 이미지를 보여주기 위하여 재생 모드를 선택하거나 이미 작동하고 있는 재생 모드를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신체 감지부(80)에서 피사체의 신체가 감지되지 않으면, 신호 처리부(150)에서 재생 모드 또는 얼굴 인식 모드를 종료하거나 전자 액자의 전원을 오프(OFF)하도록 제어 할 수 있다. 재생 모드를 종료하면 대기 모드로 전환될 수 있고, 얼굴 인식 모드를 종료하면 촬영부(30)가 피사체를 촬영하지 않도록, 즉 카메라의 작동을 오프(OFF)할 수 있다. 신호 처리부(150)는 타이머를 구비하여 기준 시간 이상 동안 신체 감지부(80)로부터 감지 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전자 액자의 전원을 오프(OFF)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When the body of the subject is detected by the body detection unit 80, the signal processing unit 150 selects the playback mode to display the image on the subject, or maintains the already- . Or if the body of the subject is not detected by the body detection unit 80, the signal processing unit 150 may control to end the playback mode or the face recognition mode or turn off the power of the electronic frame. When the reproduction mode is ended, the camera can be switched to the standby mode. When the face recognition mode is terminated, the photographing unit 30 can not photograph the subject, that is, the camera operation can be turned off. The signal processing unit 150 may include a timer and may control the power of the electronic frame to be turned off if a sensing signal is not inputted from the body sensing unit 80 for a reference time or more.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전자 액자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본 실시예에 관한 전자 액자의 제어방법은 얼굴 인식을 이용하여 재생 모드를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액자의 제어방법을 예시한다.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n electronic 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method of the electronic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llustrates a control method of the electronic frame including the step of converting the reproduction mode using face recognition.

도 3을 참조하면, 우선 전자 액자를 켜면(S10), 대기 모드를 수행한다(S11). 그리고 얼굴 인식 모드를 설정할지 여부를 판단한다(S12). Referring to FIG. 3, when the electronic frame is turned on (S10), the standby mode is performed (S11). Then, it is determined whether to set the face recognition mode (S12).

얼굴 인식 모드 설정은 사용자가 수동으로 입력하여 설정할 수도 있으며, 또는 소정 조건에서 자동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얼굴 인식 모드를 설정하면 촬영부가 작동한다. 얼굴 인식 모드를 설정하지 않으며, 제1 재생 모드가 선택된다(S13). 제1 재생 모드는 기본 재생 모드로서, 예를 들어 저장 매체, 내장 메모리 등에 저장된 이미지를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재생 모드일 수 있다. 얼굴 인식 모드를 설정하면 촬영부가 작동을 하고 상기 촬영부에서 피사체(관측자)를 촬영한다. The face recognition mode setting may be set manually by the user or may be set automatically under a predetermined condition. When the face recognition mode is set, the shooting section operates. The face recognition mode is not set, and the first reproduction mode is selected (S13). The first reproduction mode is a basic reproduction mode, and may be a reproduction mode for sequentially displaying images stored in, for example, a storage medium, a built-in memory, or the like. When the face recognition mode is set, the shooting section operates and the subject (observer) is photographed by the shooting section.

이때 피사체의 얼굴이 인식되는지를 판단한다(S14). 얼굴 인식이 되지 않으며, 상기 제1 재생 모드가 선택된다(S13). At this time,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face of the subject is recognized (S14). The face recognition is not performed, and the first reproduction mode is selected (S13).

얼굴이 인식되어 얼굴 인식 정보가 생성되면, 상기 얼굴 인식 정보가 등록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S15). 즉, 상기 얼굴 인식 정보가 기존의 데이터 베이스에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 상기 데이터 베이스는 외부 저장 매체, 내장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으며, 또는 외부 장치 등에 저장되어 통신부를 통해 얼굴 인식 정보를 전송 받을 수 있다. 얼굴 인식 정보가 등록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제1 재생 모드가 선택된다(S13). When the face is recognized and the face recognition information is generate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face recognition information is registered (S15). That is,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face recognition information exists in the existing database. The database may be stored in an external storage medium, a built-in memory, or may be stored in an external device or the like to receive facial recognition information through a communication unit. If the face recognition information is not registered, the first reproduction mode is selected (S13).

또한, 얼굴 인식 정보가 등록되어 있으면 상기 얼굴 인식 정보에 해당하는 재생 모드가 등록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S16). 우선, 얼굴 인식 정보에 따른 재생 모드의 데이터 베이스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먼저 판단하고, 상기 데이터 베이스가 존재한다면 이전에 생성된 얼굴 인식 정보에 해당하는 재생 모드가 등록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If the face recognition information is registered, it is determined whether a reproduction mode corresponding to the face recognition information is registered (S16). First,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a database of a reproduction mode according to face recognition information exists, and if the database exists, it can be determined whether a reproduction mode corresponding to previously generated face recognition information is registered.

예를 들어, A 인간의 얼굴 인식 정보로 A 인간 얼굴의 눈 사이 간격이 a인 정보를 생성한 후, 얼굴 인식 정보에 따른 재생 모드 데이터 베이스가 존재하는지 판단한다. 상기 데이터 베이스가 존재한다면, 상기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상기 A 인간의 얼굴 인식 정보에 해당하는 제2 재생 모드가 등록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 얼굴 인식 정보에 따른 재생 모드의 상기 데이터 베이스는 외부 저장 매체, 내장 메모리에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으며, 또는 외부 장치 등에 저장되어 통신부를 통해 전송 받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상기 A 인간의 얼굴 인식 정보에 따른 제2 재생 모드가 등록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 For example,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re is a reproduction mode database corresponding to the face recognition information after generating the information of the interval A between the eyes of the A human face as the A face recognition information. If the database exists, it is determined whether a second reproduction mode corresponding to the A person's face recognition information is registered from the database. The database in the playback mode according to the face recognition information may be stored in advance in an external storage medium or an internal memory, or may be stored in an external device or the like and transmitted through a communication unit. Therefore,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second reproduction mode according to the face information of the human A is registered from the database.

상기 데이터 베이스가 존재하지 않으면, 또는 데이터 베이스는 존재하나 A 인간의 얼굴 인식 정보에 따른 제2 재생 모드가 등록되어 있지 않으면, 제1 재생 모드를 선택한다(S13). 또한,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A 인간의 얼굴 인식 정보에 따 른 제2 재생 모드가 등록되어 있으면 A 인간에 해당하는 제2 재생 모드를 선택한다(S17).If the database does not exist or the database exists but the second reproduction mode according to human face recognition information is not registered, the first reproduction mode is selected (S13). If the second reproduction mode is registered according to the human face information of the A person in the database, the second reproduction mode corresponding to the A person is selected (S17).

인간의 얼굴 인식 정보에 따른 재생 모드는 미리 설정 등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A 인간이 원하는 재생 모드를 설정 등록하고자 하는 경우, A 인간의 얼굴을 인식하여 얼굴 인식 정보를 생성 및 저장하고, 즉 A 인간의 얼굴을 등록한다. 만약 이미 A 인간의 얼굴 인식 정보가 있다면 A 인간의 얼굴 등록을 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A 인간의 얼굴 인식 정보에 따른 재생 모드를 설정한다. 예를 들어 A 인간이 원하는 상기 제2 재생 모드는 A 인간을 포함하는 이미지 및 A 인간이 여행지에 촬영한 이미지를 선택 및 분류한 것일 수 있다. A 인간을 포함하는 이미지는 A 인간의 얼굴 인식 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 만을 선택적으로 분류할 수 있다. 또는 촬영 시각 정보를 이용하여 소정 기간, 예를 들어 최근 1개월 간의 이미지들을 선택 및 분류할 수 있으며, 태그(Tag)를 이용하여 분류하는 방법도 있을 수 있는데 이는 특정 여행지에서 촬영한 이미지, 풍경 이미지, 가족 이미지, 친구 이미지 등을 선택 및 분류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The reproduction mode according to human face recognition information can be set and registered in advance. For example, when the A person wishes to set and register a desired reproduction mode, the A person's face is recognized and the face recognition information is generated and stored, that is, the A person's face is registered. If there is already A human face recognition information, A human face registration can be avoided. Then, a reproduction mode according to the face recognition information of the human A is set. For example, the second reproduction mode desired by the A person may be an image including the A person and an image selected by the A person on the trip spot. The image including the human A can selectively classify only the image including the human face recognition information. Alternatively, there may be a method of selecting and classifying images for a predetermined period, for example, recent one month, using tagging time information, and classifying the images using a tag, , A family image, a friend image, and the like.

그리고 선택된 재생 모드에 해당하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한다(S18). 따라서 A 인간의 얼굴을 인식하여 A 인간에 해당하는 얼굴 인식 정보에 해당하는 제2 재생 모드를 선택하고, 상기 제2 재생 모드에 따라 A 인간을 포함하는 이미지 및 A 인간이 여행지에 촬영한 이미지를 선택 및 분류하여 슬라이드 쇼 타입으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는 얼굴 인식 모드가 설정되지 않거나, 얼굴이 인식되지 않거나, 얼굴 인식 정보 또는 상기 얼굴 인식 정보에 따른 재생 모드가 설정되지 않 은 경우 기본 재생 모드에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Then,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reproduction mode is displayed (S18). Accordingly, the second reproduction mode corresponding to the face recogni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A person is recognized by recognizing the A person's face, and the image including the A person and the image photographed by the A person on the destination in accordance with the second reproduction mode And display images in a slideshow type by selecting and sorting them. Or the face recognition mode is not set, the face is not recognized, or the face recognition information or the face recognition information is not set, the image can be displayed in the basic reproduction mode.

본 실시예에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얼굴을 인식하여 얼굴 인식 정보를 생성하는 즉 얼굴 등록 및 얼굴 인식 정보에 따른 재생 모드 데이터 베이스는 미리 설정될 수 있다. Although not show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ace mode registration and face recognition information generating face recognition information can be set in advance.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전자 액자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자 액자의 전원이 켜지고, 얼굴 인식 모드가 설정된 후에 복수의 피사체(관측자)를 촬영한 경우의 전자 액자 제어방법을 예시한 것이다. 4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control method of an electronic fram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electronic frame control method is exemplified in a case where a plurality of subjects (observers) are photographed after the electronic frame is powered on and the face recognition mode is set.

도 4를 참조하면, 전자 액자가 얼굴 인식 모드를 수행한다(S21). 그리고 피사체의 얼굴을 인식하여 얼굴 인식 정보를 생성한다(S22). 상기 얼굴 인식 정보에 따라 인식된 얼굴이 2명 이상인지를 판단한다(S23). 2명 이상이 아니라면, 즉 1명이라면 인식된 얼굴 인식 정보에 해당하는 재생 모드를 선택한다(S24). 이는 얼굴 인식이 가능하고, 인식된 얼굴 인식 정보와 상기 얼굴 인식 정보에 따른 재생 모드가 미리 설정되어 있음을 가정한 것이다. Referring to FIG. 4, the electronic frame performs a face recognition mode (S21). Then, face recognition information is generated by recognizing the face of the subject (S22). It is determined whether there are two or more recognized faces according to the face recognition information (S23). If the number is not two or more, that is, if there is one person, a playback mode corresponding to the recognized face recognition information is selected (S24). It is assumed that face recognition is possible, and the recognized face recognition information and the reproduction mode according to the face recognition information are set in advance.

그리고 2명 이상이라면, 상기 얼굴 인식 정보에 해당하는 우선 순위 정보가 있는지를 판단한다(S25). 우선 순위 정보가 있다면 우선 순위가 높은 인간에 해당하는 재생 모드를 선택한다(S26). 예를 들어 미리 저장된 데이터 베이스는 하기 표 1과 같은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 베이스는 A 인간의 제1 얼굴 인식 정보는 A 인간의 얼굴 눈 사이 간격이 a인 정보를 포함하고, B 인간의 제2 얼굴 인식 정보는 B 인간의 얼굴 눈 사이 간격이 b인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 베이스 는 상기If there are two or more persons, it is determined whether there is priority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face recognition information (S25). If there is priority information, the playback mode corresponding to the high priority human is selected (S26). For example, the pre-stored database includes information as shown in Table 1 below. The database includes information that the first human face information of the human face A includes information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human face eyes is a and the second face face recognition information of the human B includes information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human face eyes of the human B is b do. In addition,

A 인간의 얼굴이 인식되면 A 인간을 포함하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제1 재생 모드가 설정 등록되며, A 인간의 우선 순위 정보는 두 번째인 정보들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 베이스는 B 인간의 얼굴이 인식되면 최근 1개월 동안 촬영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제2 재생 모드가 등록되며, 우선 순위 정보는 첫 번째인 정보들을 포함한다.  When a human face is recognized, a first reproduction mode for displaying an image including a human being is set and registered, and the priority information of the human A includes information of a second one. In addition, when the face of the human B is recognized, the database records a second playback mode for displaying an image photographed in the last one month, and the priority information includes the first information.

[표][table]

인간human 얼굴 인식 정보Face recognition information 재생 모드Playback mode 우선 순위Priority AA (x1, y1), a(x1, y1), a A 인간을 포함하는 이미지Images containing A human 22 BB (x2, y2), b(x2, y2), b 최근 1개월 이미지Recent 1 month image 1One

따라서,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따르면 B 인간의 우선 순위가 높으므로 B 인간에 해당하는 제2 재생 모드를 선택한다. 즉, 최근 1 개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하는 제2 재생 모드를 선택한다. Therefore, according to the database, since the priority of the human B is high, the second reproduction mode corresponding to the human B is selected. That is, the second reproduction mode for displaying the image of the last one month is selected.

또는 우선 순위 정보가 없다면 인식된 얼굴들을 포함하는 이미지들을 선택 및 분류한다(S27). 즉, A 인간 및 B 인간의 얼굴 인식 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들을 선택하여 분류한다. Or if there is no priority information, images including recognized faces are selected and classified (S27). That is, the images including the face recognition information of human A and human B are selected and classified.

그리고 선택된 재생 모드에 해당하는 이미지들을 디스플레이 한다(S28). 이미지 디스플레이는 소정 시간 간격으로 다른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는 슬라이드 쇼 타입으로 행해질 수도 있다. Then, images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reproduction mode are displayed (S28). The image display may be performed in a slide show type in which other images are displayed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전자 액자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피사체(관측자)의 신체를 감지하여 이에 따라 전자 액자를 제어하는 방법을 예시한다. 5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control method of an electronic fram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embodiment, a method of detecting the body of a subject (an observer) and controlling the electronic frame according to the body is exemplified.

도 5를 참조하면, 전자 액자의 전원을 켜고(S31), 대기 모드로 진입한다(S32). 그리고 피사체(관측자)의 신체가 감지되는지를 판단한다(S33). 피사체의 신체가 감지되지 않은 경우, 대기 모드를 유지한다. 피사체의 신체가 감지되는 경우 재생 모드로 전환하고(S34), 재생 모드에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한다(S35). 이때, 슬라이드 쇼 타입으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면서, 즉 재생 모드가 수행되는 중에 피사체의 신체를 감지하는지 판단한다(S36). 또는 원하는 이미지를 모두 디스플레이한 후에, 피사체의 신체를 감지하는지 판단한다(S36). 피사체의 신체가 감지되면, 상기 재생 모드를 수행한다. 또는 피사체의 신체가 감지되지 않으면, 감지되지 않는 시간이 기준 시간, 본 실시예에서는 30분 이상인지를 판단한다(S37). 30분 미만이면 피사체의 신체 감지 여부를 다시 판단한다. 30분 이상이면 상기 재생 모드를 종료하거나, 또는 전자 액자의 전원을 끈다(S38). Referring to FIG. 5, the electronic frame is powered on (S31) and enters a standby mode (S32). Then,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body of the subject (observer) is sensed (S33). If the body of the subject is not detected, it remains in standby mode. When the body of the subject is sensed, the mode is switched to the reproduction mode (S34), and the image is displayed in the reproduction mode (S35). At this time, an image can be displayed in the slide show type.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subject's body is sensed while displaying the image, that is, while the reproduction mode is being performed (S36). Alternatively, after all desired images are displaye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subject's body is sensed (S36). When the body of the subject is sensed, the reproduction mode is performed. Or if the body of the subject is not sense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time that is not sensed is the reference time, in this embodiment, 30 minutes or more (S37). If it is less than 30 minutes, it is judged again whether or not the subject senses the body. If it is longer than 30 minutes, the reproduction mode is terminated or the electronic frame is turned off (S38).

따라서, 본 발명에 관한 전자 액자는 외부의 관측자(피사체)에 원하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면서, 관측자가 없는 경우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지 않도록 제어함으로써 소비 전력을 저감할 수 있다. Therefore, the electronic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power consumption by displaying a desired image on an external observer (subject) while controlling not to display an image in the absence of an observer.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전자 액자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피사체의 신체 감지와 얼굴 인식을 함께 수행하는 전자 액자의 제어방법을 예시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인식 또는 등록되지 않은 피사체의 얼굴은 사진 촬영 및 저장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는 전자 액자의 제 어방법을 예시한다. 이는 무단 침입자의 검거를 위해 보안용으로도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6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control method of an electronic frame according to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embodiment, a control method of an electronic frame that performs body detection of a subject and facial recognition is exemplified. In addition, the present embodiment illustrates a control method of an electronic frame that further includes a function of photographing and storing a face of a subject not recognized or registered. This can also be useful for security purposes to arrest trespassers.

도 6을 참조하면, 전자 액자의 전원을 켜고(S41), 대기 모드에 진입한다(S42). 그리고 피사체(관측자)의 신체가 감지되는지를 판단한다(S43). 신체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 대기 모드를 그대로 유지한다. 피사체(관측자)의 신체가 감지되는 경우 기본 재생 모드인 제1 재생 모드로 변환한다(S44). 그리고 제1 재생 모드에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한다(S45). 그리고 얼굴 인식 모드를 설정할지 여부를 판단한다(S46). 얼굴 인식 모드를 설정하지 않는 경우, 피사체(관측자)의 신체가 감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55). 얼굴 인식 모드를 설정한 경우, 피사체(관측자)의 얼굴을 인식하는지를 판단한다(S47). 얼굴이 인식되지 않는 경우, 즉 피사체(관측자)를 촬영하여 얼굴 인식 정보가 생성되지 않는 경우 피사체(관측자)를 촬영하고 촬영한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한다(S48). 그리고 피사체(관측자)의 신체가 감지되는지를 판단한다(S55). 피사체(관측자)의 얼굴이 인식되어 얼굴 인식 정보가 생성되면, 상기 얼굴 인식 정보가 기존의 데이터 베이스에 존재하는지, 즉 인식된 얼굴이 등록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S50). 등록되어 있지 않으면 피사체(관측자)를 촬영 및 저장하고(S51), 피사체(관측자)의 신체가 감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55). 얼굴 인식 정보가 등록되어 있으면 상기 얼굴 인식 정보에 따른 재생 모드가 설정 등록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S52). 상기 얼굴 인식 정보에 따른 재생 모드가 설정 등록되어 있다면 상기 얼굴 인식 정보에 해당하는 제2 재생 모드를 선택한다(S53). 등록되어 있지 않으면, 피사체(관측자)의 신체가 감지되는지를 판단한 다(S55). Referring to FIG. 6, the electronic frame is powered on (S41) and enters a standby mode (S42). Then,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body of the subject (observer) is sensed (S43). If the body is not detected, the standby mode is maintained. When the body of the subject (observer) is detected, the mode is switched to the first reproduction mode which is the basic reproduction mode (S44). Then, the image is displayed in the first reproduction mode (S45). Then,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face recognition mode is set (S46). If the face recognition mode is not set,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body of the subject (observer) is sensed (S55). If the face recognition mode is set,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face of the subject (observer) is recognized (S47). If the face is not recognized, that is, the subject (observer) is photographed and the face recognition information is not generated, the subject (observer) is photographed and the photographed image data is stored (S48). Then,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body of the subject (observer) is detected (S55). When the face of the object (observer) is recognized and the face recognition information is generate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face recognition information exists in the existing database, that is, whether the recognized face is registered (S50). If not registered, the subject (observer) is photographed and stored (S51), and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body of the subject (observer) is sensed (S55). If the face recognition information is registered,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reproduction mode corresponding to the face recognition information is set and registered (S52). If the reproduction mode according to the face recognition information is set and registered, the second reproduction mode corresponding to the face recognition information is selected (S53). If not registere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body of the subject (observer) is detected (S55).

피사체(관측자)의 신체가 감지되면 피사체(관측자)의 얼굴이 인식되는지를 판단한다(S47). 또는 상기 신체가 감지되지 않으면, 기준 시간 이상 감지되지 않는지를 판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기준 시간을 2개로 설정하였으며, 각각 5분 및 30분으로 정하였다. 따라서, 피사체(관측자)의 신체가 5분 이상 감지되지 않는지를 판단한다(S56). 5분 이상 감지되지 않으면 얼굴 인식 모드를 종료한다(S57). 얼굴 인식 모드를 종료함은 예를 들어 촬영부의 전원을 끄거나, 카메라의 렌즈를 덮는 등일 수 있다. 5분 미만에서 피사체(관측자)의 신체가 감지되면, 다시 피사체(관측자)의 신체 감지 여부를 판단한다(S55). 얼굴 인식 모드를 종료하고, 피사체(관측자)의 신체가 30분 이상 감지되지 않으면 재생 모드를 종료하거나 전자 액자의 전원을 끈다(S59). 5분 이상 30분 미만에서 피사체(관측자)의 신체가 감지되면 얼굴 인식 모드 종료 상태를 유지한다. If the body of the subject (observer) is detecte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face of the subject (observer) is recognized (S47). Or if the body is not sensed, it is judged whether or not it is sensed longer than the reference time. In this embodiment, the reference time is set to 2, and the time is set to 5 minutes and 30 minutes, respectively. Therefore, it is judged whether or not the body of the subject (observer) is not detected for 5 minutes or more (S56). If it is not detected for 5 minutes or more, the face recognition mode is ended (S57). The termination of the face recognition mode may be, for example, turning off the power of the photographing unit, covering the lens of the camera, and the like. When the body of the subject (observer) is detected in less than 5 minutes, it is judged again whether or not the subject (observer) senses the body (S55). When the face recognition mode is terminated and the body of the subject (observer) is not detected for 30 minutes or more, the reproduction mode is exited or the electronic frame is powered off (S59). If the body of the subject (observer) is detected for less than 5 minutes and less than 30 minutes, the face recognition mode is maintained.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관측자가 원하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나아가 얼굴 인식 또는 등록되지 않는 피사체를 촬영하여 기록해둠으로써 방범용으로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Therefore, in the present embodiment, an observer can display a desired image, and furthermore, a face recognition or an unregistered subject is photographed and recorded, so that it can be also useful for crime prevention.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전자 액자의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lectronic 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자 액자의 블럭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of the electronic frame shown in Fig.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전자 액자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n electronic 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전자 액자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4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control method of an electronic fram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전자 액자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5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control method of an electronic fram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전자 액자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6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control method of an electronic frame according to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4)

삭제delete 삭제delete 피사체를 촬영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촬영부,A photographing unit for photographing a subject to generate image data, 상기 피사체의 얼굴 인식 정보 및 상기 피사체의 우선 순위 정보가 저장되고, 상기 얼굴 인식 정보에 따른 재생 모드가 설정 등록된 메모리,A memory for storing the face recognition information of the subject and the priority information of the subject and registering the reproduction mode according to the face recognition information, 상기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상기 피사체의 얼굴을 인식하고 얼굴 인식 정보를 생성하는 얼굴 인식부,A face recognition unit for recognizing the face of the subject from the image data and generating face recognition information, 상기 얼굴 인식 정보에 따라 재생 모드를 설정하는 신호 처리부, 및A signal processing unit for setting a reproduction mode in accordance with the face recognition information, 상기 재생 모드에 해당하는 이미지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reproduction mode. 삭제delete 피사체를 촬영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촬영부,A photographing unit for photographing a subject to generate image data, 상기 피사체의 신체를 감지하는 신체 감지부,A body sensing unit for sensing the body of the subject, 상기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상기 피사체의 얼굴을 인식하고 얼굴 인식 정보를 생성하는 얼굴 인식부,A face recognition unit for recognizing the face of the subject from the image data and generating face recognition information, 상기 얼굴 인식 정보에 따라 재생 모드를 설정하는 신호 처리부, 및A signal processing unit for setting a reproduction mode in accordance with the face recognition information, 상기 재생 모드에 해당하는 이미지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고,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reproduction mode, 상기 신호 처리부는,The signal processing unit, 상기 신체 감지부에서 상기 피사체의 신체가 감지된 경우 상기 재생 모드를 선택 또는 유지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상기 재생 모드를 종료하거나 전원을 오프(OFF)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Wherein the body detection unit selects or maintains the reproduction mode when the body of the subject is sensed, and if not, ends the reproduction mode or turns off the power. 삭제delete 피사체의 얼굴을 인식하여 얼굴 인식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Generating face recognition information by recognizing a face of a subject; 상기 얼굴 인식 정보에 해당하는 재생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 및Selecting a playback mode corresponding to the face recognition information; And 선택된 상기 재생 모드에 해당하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And displaying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reproduction mode, 상기 피사체의 얼굴 인식 정보와 상기 얼굴 인식 정보에 해당하는 재생 모드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 And setting a reproduction mode corresponding to the face recognition information and the face recognition information of the subject. 제 7 항에 있어서, 얼굴 인식 모드를 설정할지 여부를 제1 판단하는 단계;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7, further comprising: determining whether to set a face recognition mode; 상기 제1 판단 결과에 따라 얼굴 인식 모드를 설정하지 않는 경우 제1 재생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 및Selecting a first reproduction mode when the face recognition mode is not set according to the first determination result; And 상기 제1 판단 결과에 따라 얼굴 인식 모드를 설정하는 경우 피사체의 얼굴을 인식하여 얼굴 인식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 And generating face recognition information by recognizing a face of the subject when the face recognition mode is set according to the first determination result.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얼굴 인식 모드를 설정하지 않는 경우 상기 피사체를 촬영 및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8, further comprising capturing and storing the subject when the face recognition mode is not set according to the first determination result.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생성된 상기 얼굴 인식 정보가 등록되어 있는지를 제2 판단하는 단계; The method of claim 8 or 9, further comprising: determining whether the generated face recognition information is registered; 상기 제2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얼굴 인식 정보가 등록되어 있지 않다면 상기 제1 재생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Selecting the first reproduction mode if the face recognition information is not registered according to the second determination result; 상기 제2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얼굴 인식 정보가 등록되어 있다면 상기 얼굴 인식 정보에 해당하는 재생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지를 제3 판단하는 단계;If the face recognition information is registered according to a result of the second determination, determining whether a reproduction mode corresponding to the face recognition information is set; 상기 제3 판단 결과에 따라 재생 모드가 설정되어 있지 않다면 상기 제1 재생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 및Selecting the first reproduction mode if the reproduction mode is not set according to the third determination result; And 상기 제3 판단 결과에 따라 재생 모드가 설정되어 있다면 설정된 제2 재생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 And selecting a second reproduction mode if the reproduction mode is set according to the third determination result.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얼굴 인식 정보가 등록되어 있지 않다면 상기 피사체를 촬영 및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10, further comprising capturing and storing the subject if the face recognition information is not registered according to the second determination result.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피사체의 우선 순위 정보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 8.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7, further comprising setting priority information of the subject.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피사체가 복수의 인간(人間) 들을 포함하여 복수의 얼굴들을 인식하는 경우, 상기 설정된 우선 순위 정보에 따른 재생 모드를 선택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1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2, wherein, when the subject recognizes a plurality of faces including a plurality of human beings, the control unit selects a reproduction mode according to the set priority information.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피사체의 신체를 감지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8. The method of claim 7, further comprising: determining whether the subject is sensed; And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피사체의 신체를 감지하는 경우 상기 재생 모드를 선택 및 유지하고, 상기 피사체의 신체를 감지하지 않는 경우 상기 재생 모드를 종료하거나 전원을 오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And selecting and maintaining the playback mode when the body of the subject is sensed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and terminating the playback mode or turning off the power when the body of the subject is not sensed Control method.
KR1020070089068A 2007-09-03 2007-09-03 Display apparatus using face-recognition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139847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9068A KR101398474B1 (en) 2007-09-03 2007-09-03 Display apparatus using face-recognition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9068A KR101398474B1 (en) 2007-09-03 2007-09-03 Display apparatus using face-recognition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3933A KR20090023933A (en) 2009-03-06
KR101398474B1 true KR101398474B1 (en) 2014-05-27

Family

ID=406930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9068A KR101398474B1 (en) 2007-09-03 2007-09-03 Display apparatus using face-recognition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8474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8246B1 (en) * 2010-03-03 2016-10-28 엘지전자 주식회사 Apparatus for displaying image and and method for operationg the same
KR102085702B1 (en) * 2017-12-20 2020-03-06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Electronic frame syste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1220A (en) * 2000-10-10 2002-10-26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Device control via image-based recognition
JP2006323621A (en) * 2005-05-19 2006-11-30 Noritsu Koki Co Ltd Electronic album syste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1220A (en) * 2000-10-10 2002-10-26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Device control via image-based recognition
JP2006323621A (en) * 2005-05-19 2006-11-30 Noritsu Koki Co Ltd Electronic album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3933A (en) 2009-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783136B (en) For taking the imaging device of self-portrait images
CN101399916B (en) Image taking apparatus and image taking method
JP636283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mobile terminal based on user face analysis result
CN100556078C (en) Camera head,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CN102761706B (en) Imaging device and imaging method
CN101325658B (en) Imaging device, imag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JP5967473B2 (en) Imaging apparatus and imaging system
US7995106B2 (en) Imaging apparatus with human extraction and voice analysi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7801360B2 (en) Target-image search apparatus, digital camera and methods of controlling same
US20090080716A1 (en) Image recognition device for performing image recognition including object identification on each of input images
CN101262561B (en) Imag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10004118A (en) Digital photograph fram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control method, program, and information storage medium
US20100053363A1 (en) Photographing method and apparatus
JP2004356683A (en) Image management system
JP2013013063A (en) Imaging apparatus and imaging system
US20070242149A1 (en) Image display control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control program therefor
US11438501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thereof
US20130235245A1 (en) Managing two or more displays on device with camera
JP2013013062A (en) Imaging apparatus and imaging system
JP2003092701A (en) Imaging apparatus
KR101398474B1 (en) Display apparatus using face-recognition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11196924B2 (en) Methods and devices for managing a dual camera mode based on image-related information
KR20130109777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attendance based on face recognition
JP2007258953A (en) Automatic photography system and instrument
US7714899B2 (en) Image pickup camera and program for picking up-an optimal-state image of a print/pi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