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6182B1 - Apparatus for treatment organic matter using diptera insect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treatment organic matter using diptera insec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6182B1
KR101396182B1 KR1020130167542A KR20130167542A KR101396182B1 KR 101396182 B1 KR101396182 B1 KR 101396182B1 KR 1020130167542 A KR1020130167542 A KR 1020130167542A KR 20130167542 A KR20130167542 A KR 20130167542A KR 101396182 B1 KR101396182 B1 KR 1013961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rva
box
main body
larvae
organic ma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754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명수
Original Assignee
이명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명수 filed Critical 이명수
Priority to KR10201301675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618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61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618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7/00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reparing animal feeding-stuffs
    • A23N17/002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reparing animal feeding-stuffs for treating of meat, fish waste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5/00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by a single other group in this subc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3/00Fertilisers from human or animal excrements, e.g. manure
    • C05F3/06Apparatus for the manufac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1/00Preparation of compounds or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12P3/00 - C12P39/00, by using microorganisms or enzym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40Bio-organic fraction processing; Production of fertilisers from the organic fraction of waste or refus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ir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Myc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Feed For Specific Animal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treating diposed organic materials using a dipteria insect which feeds on organic materia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pparatus for treating diposed organic materials using a dipteria insect includes: a main body; a larva container which can be drawn from the main body and contains organic materials a larva of the dipteria insect feeds on; a collection box which is located on an upper part of the larva container and can be drawn from the main body; a corridor which is inclined and extends from the larva container to the collection box to enable a mature larva to pass through the corridor; an imago dome which is located on the top of the main body and includes an activity space and a spawning area where an imago spawns. The imago which hatched in the collection box immigrates to and then stays in the activity space.

Description

파리목 곤충을 이용한 유기물 처리장치{Apparatus for treatment organic matter using diptera insect}[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treating an organic matter using a flyworm insect,

본 발명은 유기물을 먹이로 섭취하는 파리목 곤충을 이용하여 버려지는 유기물을 처리하는 장치에 관련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treating an abandoned organic matter using a flyworm insect which feeds an organic matter.

유기물을 먹이로 삼는 파리목 곤충은 버려지는 유기물의 생물학적 처리의 방안 중 하나로 각광을 받고 있다. 예를 들어 동애등에의 유충(BSF larva)은 농가에서 산출되는 유기성 쓰레기를 먹이로 사육되고 있으며, 유충이 남긴 분변을 퇴비로 재활용하고 있다. 또한 유충에서 발산하는 화학성분을 이용하여 항균 물질을 얻고, 이를 의약 분야 또는 미용 분야에서 사용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Fly-screened insects that feed on organic matter are in the spotlight as one of the biological treatment methods for the abandoned organic matter. For example, the larvae (BSF larva) of domestic animals are fed with organic garbage produced by farm households, and the feces left by the larva are recycled as compost. In addition, attempts have been made to obtain antimicrobial substances by using chemical components emanating from larvae, and to use them in the fields of medicine and cosmetics.

개개의 유충이 섭취하는 유기물의 분량이 많지 않기 때문에, 유충을 이용한 다량의 유기물의 처리에는 많은 수의 유충이 요구된다. 가축 분료 등 매일 다량의 유기물이 발생하는 농가에서, 유충을 이용한 생물학적 유기물 처리를 위해서는 넓은 장소와 큰 시설이 요구된다. Since the amount of organic matter consumed by individual larvae is not so large, a large number of larvae are required for treating large amounts of organic matter using larvae. In farmhouses where large amounts of organic matter such as livestock fodder are generated daily, large places and large facilities are required for biological organic matter treatment using larvae.

한편 가정이나 식당에서는 농가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적은 유기물, 즉 음식물 쓰레기를 배출한다. 도시에 밀집된 주거 환경에서 각 가정이나 식당 마다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의 분량을 줄이는 방안이 제시되어 왔다. 이러한 종래의 기술 중 하나는 음식물 건조 및 분쇄 장치이다. 음식물 쓰레기는 다량의 수분을 함유하고 있어 쉽게 부패되며 중량이 많이 나간다. 대부분의 건조 및 분쇄 장치는 전기를 사용하는 히터를 이용해 음식물 쓰레기에 함유된 수분을 증발시키고, 덩어리진 것을 전기모터를 사용하여 잘게 분쇄시킨다. 이러한 처리 장치를 통해 음식물 쓰레기의 분량이 크게 저감되는 장점을 가지지만, 히터나 전기모터의 사용에 따른 전력 소비가 큰 것이 단점이다. On the other hand, households and restaurants produce less organic matter, ie food waste, than farmers. There has been a suggestion to reduce the amount of food waste emitted from each household or restaurant in a densely populated residential environment. One such conventional technique is a food drying and grinding apparatus. Food waste contains a lot of water and is easily decayed and heavy. Most of the drying and grinding apparatus uses an electric heater to evaporate the moisture contained in the food waste, and finely pulverize the lump with an electric motor. The disadvantage of this type of treatment device is that the amount of food waste is greatly reduced, but the electric power consumed by the use of the heater or the electric motor is large.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000253호 (2010.01.16)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0-0000253 (January 16, 2010)

본 발명은 버려지는 유기물을 먹이로 활용하는 파리목 곤충을 사육하면서 버려지는 유기물을 생물학적 처리를 달성하고자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aims at achieving a biological treatment of organic matter that is abandoned while raising flyworm insects utilizing abandoned organic matter as a food.

또한 가정이나 식당과 같이 제한된 공간을 가지는 곳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공간 집약적이면서 파리목 곤충이 복수의 세대를 거쳐 연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게 한다. It is also space-intensive and can be kept continuously through multiple generations for use in places with limited space, such as homes and restaurants.

그 외 본 발명의 세부적인 목적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위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실시예로, 본체, 상기 본체에서 인출이 가능하고, 상기 곤충의 유충의 먹이가 되는 유기물이 담기는 유충상자, 상기 유충상자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본체에서 인출이 가능한 포집상자, 상기 유충상자에서 상기 포집상자까지 경사지게 이어져 성숙한 유충이 이동할 수 있게 하는 이동통로 및 상기 본체의 상부에 상기 포집상자에서 부화한 성충이 이동하여 머무는 활동공간을 형성하고 있고, 상기 성충이 산란할 수 있는 산란자리가 형성되어 있는 성충돔을 포함하는 파리목 곤충을 이용한 유기물 처리장치를 제시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s an embodiment, a food processing apparatus comprising a main body, a larva box capable of being drawn out from the main body and containing organic matter to be fed to the larva of the insect, A movable path through which a mature larva is allowed to slant so as to extend from the larva box to the collecting box and an activity space in which adult larvae hatching from the collecting box move on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n apparatus for treating an organic matter using a flyworm insect including an adult dome having scattered spots formed therein.

여기서 상기 이동통로는 상기 유충상자에 경사지게 고정되어 있는 하부경사로와, 일단은 상기 본체에 장착된 상기 포집상자의 내부와 연통되고, 타단은 상기 본체에 상기 유충상자가 장착되었을 때에 상기 하부경사로의 상단부와 연결되는 상부경사로를 포함할 수 있다. Wherein the transfer passage is communicated with the inside of the collecting box mounted on the main body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lower ramp when the larva box is mounted on the main body, And an upper ramp connected to the upper ramp.

나아가 상기 하부경사로 또는 상기 상부경사로에는 미성숙 유충이 빠져 다시 상기 유충상자로 낙하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트랩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Further, at least one trap hole may be formed in the lower ramp or the upper ramp so that the immature larvae are removed from the larva and dropped into the larva.

한편 상기 유충상자의 바닥은 매시망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유충상자의 아래에는 상기 매시망을 통해 빠져나온 물이 담기며, 상기 본체의 외부로 반출이 가능한 물받이가 구비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bottom of the larvae box is made of a mesh net, and the water outlet that can be taken out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can be provided under the larva box.

또한 상기 유충상자의 개방된 상단 둘레를 따라 내측벽에서 돌출되어 상기 내측벽을 따라 기어오르는 유충의 이탈을 방지하는 돌출턱이 형성될 수 있다. And a protruding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inner wall along the open upper end of the larva box to prevent release of the larva that climbs along the inner wall may be form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파리목 곤충의 유충을 이용함으로써 음식물 쓰레기의 생물학적 처리가 가능하다. 또한 유충이 먹고 배설한 것을 퇴비로 활용할 수 있고, 성충이나 번데기를 이용하여 다른 애완동물의 먹이나 연구용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유충에서 성충의 산란까지 하나의 장치 내에서 모두 이루어지므로 곤충의 생애가 연속적으로 이어져, 매번 새로이 유충을 공급하지 아니하여도 연속적인 처리장치의 운용이 가능하다. 또한 소규모 사이즈로 제작할 수 있으므로 가정이나 식당에서 운용하기가 용이하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iological treatment of food waste is possible by using a larva of a flyworm insect. In addition, the larvae eat and excrete can be used as compost, adult or pupa can be used as feed and research materials for other pets. In addition, from the larva to the adult, the whole life cycle of the insect is continuous, and the continuous treatment device can be operated even if the larva is not newly supplied every time. Also, it can be manufactured in small size, so it is easy to operate in home or restaurant.

그 외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또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과정 중에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clearly understood and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either through the specific details described below, or during the course of practicing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리목 곤충을 이용한 유기물 처리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를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채용된 유충상자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채용된 유충상자와 이동경로를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단면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pparatus for treating organic matter using a flyworm ins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 is a perspective view explaining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 Fig.
Figure 3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larva box employed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ure 1;
FIG. 4 is a plan view showing a larva box and a movement path employed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 FIG.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ure 1;
FIG. 6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use state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 FI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파리목 곤충을 이용한 유기물 처리장치의 구성, 기능 및 작용을 설명한다. 단, 도면들에 걸쳐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한 도면번호는 통일하여 사용하기로 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Reference will now be made in detail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examples of which are illustra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noted, however, tha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throughout the drawings.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적용된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통하여 제한 해석해서는 아니된다. 이 기술분야에 속하는 전문가의 견지에서 도면에 도시된 일부 또는 전부가 발명의 실시를 위하여 필연적으로 요구되는 형상, 모양, 순서가 아니라고 해석될 수 있다면, 이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을 한정하지 아니한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are incorporated in and constitute a part of the specification, illustrate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nd, therefore, are not to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technical spirit of the inven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to be limited by any of the details of the descrip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standpoint of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hat any or all of the drawings shown in the drawings are not necessarily the shape,

본 발명이 사육의 대상으로 삼는 것은 파리목 곤충으로, 알, 애벌레, 번데기 및 성충의 과정으로 성장하는 개체이다. 예를 들어, 파리목 곤충은 아메리카 동애등에일 수 있다. The su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flyworm insect, which grows in the course of eggs, larvae, pupae, and adults. For example, a flyworm insect may be an American hominid or the like.

도 1과 도 2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리목 곤충을 이용한 유기물 처리장치(100)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물 처리장치(100)는 본체(1), 유충상자(2), 포집상자(3), 이동통로(4) 및 성충돔(5)을 포함한다. FIG. 1 and FIG. 2 show an apparatus 100 for treating organic matter using a flyworm ins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organic substance treatment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1, a larval pack 2, a collecting box 3, a moving passage 4, and an adult adult dome 5.

도 1을 참고하면, 조립된 처리장치(100)는 본체(1)의 상부에 성충돔(5)이 올려지고, 본체(1)에는 유충상자(2), 포집상자(3)가 장착된다. 추가적으로 유충상자(2)의 하부에는 물받이(6)가 장착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1, an assembled treatment apparatus 100 is provided with an adult adult dome 5 on an upper part of a main body 1, and a larva box 2 and a collecting box 3 are mounted on the main body 1. In addition, a water receptacle 6 is attached to the lower part of the larva box 2.

처리장치(100)의 상부에 위치하는 성충돔(5)은 투명한 재질로 제작되어, 내부가 관찰되도록 할 수 있다. 성충돔(5)의 내부는 비어 있는 공간이다. 이 공간에는 번데기에서 우화한 성충이 머물게 되고, 성충의 짝짓기와 산란이 이루어지게 된다. The adult dome 5 located at the upper part of the processing apparatus 100 i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so that the inside can be observed. The interior of the adult dome 5 is an empty space. In this space, alienated adults stay in the pupa, and adult matings and spawning occur.

성충돔(5)의 내부 공간에는 성충에게 물이나 먹이를 공급하는 그릇(52)과 성충이 산란하는 장소인 산란자리(53)가 형성되어 있다. 도면에서 산란자리(53)와 그릇(52)의 성충돔의 하단을 막고 있는 중간판(51)에 구비되는 것으로 제시되어 있다. In the inner space of the adult adult dome 5, a bowl 52 for feeding water or food to an adult, and a scattering seat 53 for scattering adults are formed. In the drawing, it is proposed that the scattering plate 53 and the intermediate plate 51, which blocks the lower end of the adult dome of the vessel 52, are provided.

도시하지 않은 다른 실시예에서 그릇은 성충돔의 내벽면에 바로 고정할 수 있다. 성충돔의 외벽에 장착된 경사진 대롱을 통해 물이나 먹이를 그릇(52)에 투하시킬 수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not shown, the bowl can be fastened directly to the inner wall of the adult dome. Water or food can be dropped into the vessel 52 through a sloping wall mounted on the outer wall of the adult dome.

성충돔(5)의 상부에는 개폐 가능한 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도어(55)를 개방함으로써 사용자는 성충돔(5)의 내부에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성충돔을 들어내지 않고서도 산란자리(53)에 후술하는 산란블록(B)을 설치하거나 교체할 수 있다. 또 그릇을 교체하거나 내부 공간을 청소할 수 있다. On the upper portion of the adult dome 5, a door (door)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is provided. By opening the door 55, the user can easily access the adult dome 5. For example, the scattering block (B) described later can be installed or replaced in the scattering part (53) without lifting the adult dome. You can also replace the bowl or clean the internal space.

도 2를 참고하면, 본체(1)의 개방된 상부를 중간판(51)이 덮도록 구성된다. 이 중간판(51) 위에 성충돔(5)이 설치됨으로써, 중간판(51)은 성충돔(5)의 내부 공간과 본체(1)의 내부 공간을 구획하게 된다.Referring to FIG. 2, the middle plate 51 is configured to cover the opened top of the main body 1. The adult plate dome 5 is provided on the intermediate plate 51 so that the intermediate plate 51 divides the internal space of the adult dome 5 and the internal space of the main body 1. [

중간판(51)에는 하부로 함몰된 형태의 산란자리(53)가 형성된다. 산란자리(53)의 하부는 개방되어 있으며, 이 산란자리(53)에는 산란블록(B)이 안치된다. 산란블록(B)은 목재, 합성수지재, 부직포 등의 재질로 제작된다. The intermediate plate (51) is formed with a scattering part (53) which is depressed downward. The lower part of the scattering part 53 is opened, and the scattering block B is placed in the scattering part 53. The scattering block (B) is made of wood, a synthetic resin material, a nonwoven fabric or the like.

또 산란블록(B)에는 복수의 통공이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어 있다. 다양한 종류의 산란블록(B)을 준비하면서 각기 상하 높이를 달리함으로써, 산란자리(53)에 삽입된 산란블록(B)이 중간판보다 더 도출되거나 함몰되게 구성할 수 있다. In the scattering block B,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re vertically penetrated. The scattering block B inserted into the scattering spot 53 may be more derived or recessed than the intermediate plate by varying the height of the scattering block B while preparing various kinds of scattering blocks.

성충돔(5)에 머무는 성충들은 교미 후에 산란블록(B)에 산란하게 되며, 갓 깨어난 어린 유충이 산란블록(B)의 통공을 타고 내려가 낙하하여 본체(1)의 하부로 내려가게 된다. Adults staying in the adult dome 5 are scattered in the scattering block B after mating, and a fresh larva that has just awakened descends down the through hole of the scattering block B and descends to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1.

여기서 산란블록(B)의 재질이나 통공의 사이즈, 간격 등은 사육하는 파리목 곤충의 산란 특성을 고려하여 선택된다.Here, the material of the scattering block (B), the size and spacing of the through holes, etc. are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the scattering characteristics of the parasitic insects.

본체(1)에는 높낮이를 달리하여 순차적으로 포집상자(3), 유충상자(2) 및 물받이(6)가 장착된다. 본체(1)의 일측에는 포집상자(3)가 수납되는 공간이 함몰되게 형성되어 있다. 이 공간의 내측벽에는 후술하는 이동통로(4)가 연결되어 있다. The collection box 3, the larva box 2, and the water tray 6 are sequentially mounted on the main body 1 at different elevations. A space for accommodating the collection box 3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main body 1 so as to be recessed. On the inner side wall of this space, a moving passage 4 to be described later is connected.

포집상자(3)는 상부가 개방된 상자의 형태이고, 본체(1)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된다. 포집상자(3)의 안쪽 벽면에는 이동통로(4)와 연통되는 홀(31)이 형성되어 있다. The collecting box 3 is in the form of a box with an open top and is detachably mounted on the main body 1. O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collecting box 3, a hole 31 communicating with the moving passage 4 is formed.

포집상자(3)는 본체(1)에 장착되면, 중간판(51)의 통과공(54)을 통해 성충돔(5)의 내부와 연통된다. 그에 따라 포집상자(3)에서 우화한 성충이 통과공을 통해 포집상자(3)에서 성충돔(5)의 내부로 이동할 수 있다. When the collection box 3 is mounted on the main body 1, the collection box 3 is communicated with the interior of the adult dome 5 through the through hole 54 of the intermediate plate 51. So that adult imitators emerging from the collecting box 3 can move from the collecting box 3 to the inside of the adult dome 5 through the through-holes.

유충상자(2)는 포집상자(3) 보다 낮은 위치에 장착된다. 유충상자(2)는 상부가 개방된 형태이고, 본체(1)에서 서랍과 마찬가지로 인출되어 분리 가능하다. 유충상자(2)의 바닥에는 매시망(21)이 장착된다. 매시망(21)은 유충상자(2)에 담기는 유기물에서 나오는 물이 아래로 유출될 수 있게 한다. The larvae box (2) is mounted at a lower position than the collection box (3). The larvae box (2) is in the form of an open top, and is pulled out and detachable from the main body (1) like a drawer. A mesh net (21) is mounted on the bottom of the larva box (2). The mesh network 21 allows the water from the organic matter contained in the larvae box 2 to flow down.

도시하지 아니한 다른 실시예에서 물받이가 구비되지 않는다면, 유충상자의 바닥은 매시망이 아니라 상하가 막힌 단순한 평판이 될 수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not shown, if the water tray is not provided, the bottom of the larva box may be a simple flat plate clogging up and down rather than a mesh net.

유충상자(2)가 본체(1)에서 인출 가능함에 따라 사용자는 음식물 쓰레기와 같은 유충의 먹이를 유충상자에 담거나, 유충의 먹이 활동 후 배설된 배설물들을 용이하게 수거할 수 있다.Since the larva box 2 can be taken out from the main body 1, the user can store the food of the larva, such as food waste, in the larva or easily collect the excreted body after the feeding of the larva.

이동통로(4)는 유충상자(2)에서 포집상자(3)의 내부까지 이어지며, 번데기가 되기 직전의 유충이 이동하는 통로로 제공된다. The transfer passage 4 extends from the larva box 2 to the inside of the collection box 3 and is provided as a passage through which the larva immediately before becoming a pupa is moved.

몇몇의 파리목 유충은 충분히 성숙하여 우화가 가까워지면 높은 장소를 찾아 오르는 습성이 있다. 구체적으로 동애등에의 유충은 우화 직전 일정 각도의 경사면을 타고 높은 곳으로 기어오른 후 번데기 단계로 접어드는 습성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Some flyworms are fully mature and have a habit of locating high places nearer to their fables. Specifically, it is known that the larvae of Dongae and so on have a habit of climbing up to a high place on a slope at a certain angle just before the fable, and then entering the pupa stage.

이러한 유충의 습성을 이용하여 먹이 활동을 하는 유충상자(2)로부터 높은 곳에 위치하는 포집상자(3)에 이르는 이동통로(4)를 형성하여 두어, 일정 수순으로 성숙한 유충을 포집상자(3)로 수집할 수 있다. Using the larvae of the larvae, a feeding passage 4 extending from the larvae box 2 to the collecting box 3 located at a high position is formed so as to feed the mature larvae to the collecting box 3 Can be collected.

도시된 실시예에서 이동통로(4)는 하부경사로(41)와 상부경사로(42)를 포함한다. 하부경사로(41)는 유충상자(2)의 내벽면에 고정 설치된다. 도 2와 도 3을 참고하면, 하부경사로(41)는 반원형 단면을 가지는 관의 형상으로, 유충상자(2)의 내측면에 고정되어 있다.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moving passage 4 includes a lower ramp 41 and an upper ramp 42. The lower inclined path 41 is fixed to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larva box 2. 2 and 3, the lower inclined path 41 is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larva box 2 in the shape of a tube having a semicircular cross section.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유충상자의 내측면에 끼움돌기를 형성하고, 하부경사로에는 끼움돌기에 대응하는 끼움홈을 형성하여, 유충상자에 하부경사로를 분리 가능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사육하려는 파리목 곤충의 특성에 적합한 경사를 가지는 하부경사로를 선택하여 조립할 수 있다. Although not shown, a fitting protrusion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larva box, and a fitting groove corresponding to the fitting protrusion is formed on the lower inclination path so that the lower inclination path can be detachably fixed to the larva box. In this case, a lower ramp having a slope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parasitic insects to be raised can be selected and assembled.

하부경사로(41)의 상단부는 유충상자(2)의 상단보다 높게 돌출되어 있지 아니하다. 따라서 유충상자(2)를 본체(1)에서 인출함에 있어서 하부경사로(41)가 본체(1)의 다른 부분과 간섭되지 않는다.The upper end of the lower inclined path 41 does not protrude higher than the upper end of the larva box 2. The lower inclined path 41 does not interfere with the other part of the main body 1 when the larva box 2 is drawn out from the main body 1. [

또 유충상자(2)의 상단에는 유충이 벽면을 타고 기어올라 유충상자(2)를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돌출턱(22)이 형성되어 있다. 이 돌출턱(22)은 유충상자(2)의 상단 둘레를 따라 내측벽에서 돌출되어 있는데, 하부경사로(41)와 겹치는 부분에는 유충이 통과할 수 있도록 구멍(221)이 형성되어 있다. At the upper end of the larva box 2, there is formed a protruding protrusion 22 for preventing the larvae from climbing on the wall surface and leaving the larva box 2. The protruding jaw 22 protrudes from the inner wall along the upper edge of the larva box 2 and a hole 221 is formed at a portion overlapping the lower ramp 41 to allow the larval to pass therethrough.

한편 도 2와 도 4를 참고하면, 상부경사로(42)는 포집상자(3)가 수납되는 공간을 형성하고 있는 본체의 벽면에 일단이 고정되는 배관의 형태로 도시되어 있다. 이로써 상부경사로(42)의 일단은 포집상자(3)의 내부와 연통된다. 상부경사로(42)의 타단은 본체(1)의 내부에 유충상자(2)가 완전히 삽입되어 올바르게 장착되었을 때에 유충상자(2)에 구비된 하부경사로(41)의 상단과 연통된다. 즉,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에 유충상자(2)가 장착됨에 따라 상부경사로(42)와 하부경사로(41)는 하나의 이동통로(4)로 기능하게 된다. 2 and 4, the upper inclined path 42 is shown in the form of a pipe having one end fixed to a wall surface of a main body forming a space in which the collecting box 3 is accommodated. Thereby, one end of the upper inclined path 42 communicates with the inside of the collecting box 3. The other end of the upper ramp 42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upper end of the lower ramp 41 provided in the larva box 2 when the larva box 2 is fully inserted into the main body 1 and is properly mounted. 4 and 5, as the larvae box 2 is mounted on the main body 1, the upper ramp 42 and the lower ramp 41 function as one moving path 4 .

하부경사로(41)와 이어지는 상부경사로(42)의 타단은 유충상자(2)의 상단보다 낮게 형성되지 아니함으로써, 유충상자(2)의 출납에 간섭하지 아니한다. The other end of the upper ramp 42 connected to the lower ramp 41 is not formed lower than the upper end of the larva box 2 and thus does not interfere with the insertion and withdrawal of the larva box 2.

도면에서 상부경사로(42)는 원형 단면을 가지는 배관의 형태를 가지고 있지만, 하부경사로와 마찬가지로 반원형 단면을 가질 수 있다. In the figure, the upper ramp 42 has the form of a pipe having a circular cross section, but may have a semi-circular cross section like the lower ramp.

도시한 실시예들에서 이동통로(4)는 좌측과 우측 각각에 하나씩 구비되어 있다. 한 쌍의 이동통로(4)는 유충이 좌측 또는 우측 중 어느 한 이동통로를 통해 포집상자로 기어오르도록 함으로써 유충이 어느 한 쪽으로 쏠리지 않게 하고, 유충이 포집상자로 이동할 기회를 증대시킨다.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s, one of the moving passages 4 is provided on each of the left and right sides. The pair of transfer passages (4) allow the larvae to climb through the left or right transfer passages to the collection box, thereby preventing the larvae from leaning to one side and increasing the chance that the larva will migrate to the collection box.

또한 유충상자(2)의 좌측과 우측에 각기 설치된 하부경사로(41)의 경사 각도는 서로 다르다. 도 3을 참고하면, 도면의 우측 놓인 하부경사로(41)는 완만한 경사를 가져 그 하단이 유충상자(2)의 전단부에 가깝게 위치하고, 좌측의 하부경사로(41)는 급한 경사로 그 하단이 유충상자(2)의 중앙 부근에 위치한다. 그에 따라 유충상자(2)의 전단부와 중앙에서 성장하는 각각의 유충들이 가까운 하부경사로(41)를 타고 이동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the inclination angles of the lower inclined roads 41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larva box 2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3, the lower slope 41 located at the right side of the drawing has a gentle slope, and the lower end of the lower slope 41 is positioned close to the front end of the larva box 2. The lower slope 41 on the left side is a steep slope, Is located near the center of the box (2). Whereby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larva box 2 and the larvae growing at the center thereof can move along the lower inclined path 41.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처리장치(100)의 사이즈에 따라 이동통로(4)는 하나만 설치되거나, 셋 이상의 이동통로를 구비할 수도 있다. Although not shown, only one transfer passage 4 may be provided, or three or more transfer passages may be provided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processing apparatus 100. [

또한 생략 가능한 추가적인 구성으로, 하부경사로(41) 또는 상부경사로(42)에는 미성숙 유충이 빠져 다시 상기 유충상자(2)로 낙하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트랩구멍(43)이 형성되어 있다. 도면에서는 하부경사로(41)와 상부경사로(42)로 모두에 복수의 트랩구멍(43)이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At least one trap hole 43 is formed in the lower inclined path 41 or the upper inclined path 42 so as to allow immature larvae to escape from the larva again into the larva box 2 with an additional configuration that can be omitted. In the figure, a plurality of trap holes 43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on both the lower inclined path 41 and the upper inclined path 42.

트랩구멍(43)은 미처 충분히 큰 사이즈로 자라지 않은 유충, 즉 미성숙 유충이 이동통로(4)를 통해 포집상자(3)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미성숙 유충이 이동통로(4)를 기어오르다가 트랩구멍(43)을 넘어가지 못하고 빠져 낙하함으로써, 미성숙 유충이 포집상자로 들어가지 못하게 하는 것이다. The trap hole 43 prevents the larva that has not yet grown to a sufficiently large size, that is, immature larvae, from moving to the collection box 3 through the transfer passage 4. Immature larvae climb up the transfer passage (4) and fall off without falling over the trap hole (43), thereby preventing immature larvae from entering the collection box.

이때 트랩구멍(43)의 사이즈 변경을 통해 포집상자에 수집되는 유충의 사이즈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트랩구멍의 사이즈와 뚫린 형상은 사육하는 파리목 곤충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At this time, the size of the larva collected in the collection box can be adjusted by changing the size of the trap hole (43). The size and shape of the trap hole can also vary depending on the type of parasitic insects that are raised.

또 다른 추가적인 구성으로 유충상자(2)의 바닥에는 매시망(21)이 구비되고, 외부로 반출이 가능한 물받이(6)를 유충상자(2)의 아래에 장착할 수 있다. 이로써 먹이로 공급되는 유기물(E), 즉 음식물 쓰레기에 과도하게 함유되어 있는 수분을 어느 정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In a further additional construction, a mesh net 21 is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larva box 2 and a water receiver 6 which can be taken out to the outside can be mounted under the larva box 2.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remove some amount of the organic matter (E) supplied to the food, that is, the moisture contained in the food waste.

한편 도 5에서 본체(1)의 일측에는 송풍기(7)와 공기닥트(71)를 구비하고 있다. 이 송풍기(7)와 공기닥트(71)는 본체(1)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내보내는 것으로, 유기물에서 나오는 악취 등을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공기닥트(71)는 처리장치(100)가 실내 공간에 설치되는 경우, 건물의 밖으로 악취 등을 배출하기 위해 사용된다.
On the other hand, in FIG. 5, a blower 7 and an air duct 71 ar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1. The air blower 7 and the air duct 71 are for discharging the air inside the main body 1 to the outside to remove odor and the like from the organic material. Particularly, the air duct 71 is used for discharging odor or the like outside the building when the processing apparatus 100 is installed in the interior space.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고하여 처리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processing apparatu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사용자는 유충상자(2)를 열고, 음식물 쓰레기와 같은 처리하고자 하는 유기물(E)을 투입한다. 또한 최초의 사용에 있어 분양 받은 유충을 함께 투입한다. The user opens the larva box 2 and inputs the organic matter E to be treated, such as food waste. In addition, the larvae that have been sold in the first use are put together.

유충은 유기물(E)을 먹이로 삼아 성장하게 된다. 유충의 활발한 활동을 위하여 유기물(E)에 과도하게 함유된 물은 매시망(21)을 통해 아래로 빠져 물받이(6)에 수집된다. 따라서 유충은 적정한 수분을 가진 유기물을 섭취할 수 있게 되고, 지나친 물기에 의한 유충의 질식사를 방지할 수 있다. The larvae grow to feed on organic matter (E). Water which is excessively contained in the organic matter (E) is collected through the mesh net (21) down to the water receptacle (6) for active activity of the larva. Therefore, the larvae can take organic matter with proper moisture,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asphyxiation of the larva due to excessive water.

또한 성충돔(5)의 천장에 구비된 조명수단(8)을 작동하여 처리장치 내의 온도가 일정 수순 이상으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조명수단(8)의 작동을 위해 온도 센서와, 측정된 온도에 따른 제어모듈이 구비될 수 있다. Also, by operating the lighting means 8 provided on the ceiling of the adult dome 5, the temperature in the processing apparatus can be maintained at a certain level or more. Although not shown, a temperature sensor and a control module according to the measured temperature may be provided for the operation of the illumination means 8. [

한편 하절기와 같이 본체의 내부의 온도가 지나치게 상승하는 경우, 송풍기(7)를 작동함으로써 본체(1) 내부의 온도를 낮출 수 있다. 먹이로 공급되는 유기물(E)이 젖은 음식물 쓰레기인 경우에 표면의 수분을 증발시킴으로써 본체의 내부를 적정히 식히는데 주요한 수단이 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main body rises excessively as in the summer, the temperature inside the main body 1 can be lowered by operating the blower 7. When the organic matter (E) fed to the food is wet food waste, it evaporates water on the surface, which is a main means for properly cooling the inside of the body.

유충이 성숙함에 따라 번데기가 될 시기가 다가오면, 유충은 습성상 높은 곳을 찾아 이동하게 된다. 성숙한 유충은 하부경사로(41)와 상부경사로(42)를 순차적으로 타고 오르면서 높은 곳으로 이동하고, 결국 포집상자(3)의 내부로 이동하게 된다. As the larva matures, when the time comes to become a pupa, the larva travels in search of higher places. The mature larva is moved up to the high place in succession along the lower ramp 41 and the upper ramp 42, and eventually moves to the inside of the collection box 3.

포집상자(3)의 내부에서 유충은 번데기로 변하고, 우화하여 성충이 된다. 포집상자(3)는 필요에 따라 외부로 반출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적정한 성충의 수를 유지하기 위하여 또는 번데기나 성숙한 유충을 다른 용도로 활용하기 위하여 포집상자(3)에서 일부를 빼낼 수 있다. Inside the collecting box (3), the larva turns into a pupa, and alien becomes adult. The collecting box (3) can be taken out to the outside as needed. For example, a portion can be removed from the collection box (3) to maintain a suitable adult number or to utilize a pupa or mature larva for other uses.

포집상자(3)에 남아 우화를 마친 성충은 통상 높은 곳으로 날아가는 성질이 있으므로, 포집상자(3)의 천장을 형성하는 중간판(51)의 통과공(54)을 통해 포집상자를 빠져 나가게 된다. Adults who have remained in the collecting box 3 usually have a property of flying to a higher place and therefore exit the collecting box through the through hole 54 of the intermediate plate 51 forming the ceiling of the collecting box 3 .

성충돔(5)의 내부 공간에서 성충들이 머물면서 교미를 하게 된다. 이때 특정 파장의 조명수단(8)을 사용하는 등 교미를 위한 환경 조건을 형성하는 각종 수단이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성충돔(5)의 내부에서 성충이 살아갈 수 있도록 물이나 먹이를 공급한다. Adults stay in the inner space of adult adult dome (5) and mate. At this time, various means for forming environmental conditions for mating such as using the lighting means 8 of a specific wavelength may be utilized. In addition, water or food is supplied to the adults in the adult dome (5) so that adults can live there.

교미한 성충은 산란자리(53)에 놓인 산란블록(B)에 산란을 하게 된다. 산란한 알에서 부화한 새끼 유충은, 산란블록(B)의 통공을 타고 올라오는 먹이의 냄새에 따라 통공을 타고 내려가며, 이윽고 낙하하여 먹이인 유기물(E)이 담긴 유충상자(2)로 떨어지게 된다. 유기물로 먹이 활동을 하면서 유충이 성장하게 된다. The adult matings spawn on the scattering block (B) placed in the scattering site (53). The larvae hatching from the scattered eggs descend through the through holes according to the smell of the food that rises in the through holes of the scatter block (B), and fall down to the larva box (2) containing the organic matter (E) do. The larvae grow as they feed on organic matter.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제시하는 처리장치(100)는 유충의 태생에서 시작하여 교미 후 산란까지 하나의 장치에서 내에서 모두 이루어지게 한다. 따라서 유기물의 공급이 제때에 이루어진다면 연속적인 유기물의 생물학적 처리가 가능하다. As described above, the processing apparatus 100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all the processes from the birth of the larva to the post-mating scattering in one device. Thus, if the supply of organic matter is done in time, it is possible to biological treat the continuous organic matter.

또한 곤충의 세대가 진행됨에 있어서 사용자의 관여가 최소화할 수 있다. 종래의 기술에서는 유충에서 성충까지만 기를 수 있는 구조를 가지거나, 산란한 알을 인력으로 수거하고 다시 유기물 위에 직접 옮기는 수작업을 요구하는 것이었다.In addition, the involvement of the user can be minimized in the generation of insects. In the conventional art, it was required to have a structure capable of raising only adult to larvae, or to manually collect eggs scattered by eggs and to transfer them directly onto organic matter again.

한편 서랍식으로 개폐되는 유충상자(2)와 포집상자(3)는 가정이나 식당과 같이 소규모의 장치로써 운용을 쉽게 한다. 일반 가정 등에서 거의 매일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유충상자에 담는 것이 쉽다. 또한 유충상자를 열었을 때에 날아다니는 성충이 외부로 빠져나오지 않게 됨으로써, 실내 공간에 설치하여 사용하기가 좋다.On the other hand, the larvae box (2) and the collection box (3), which are opened and closed by a drawer, are easily operated with a small device such as a home or a restaurant. It is easy to put garbage in the larva box almost every day in general households. In addition, when the larva box is opened, the flying adult is prevented from escaping to the outside.

투명한 성충돔(5)은 내부를 관찰할 수 있게 함으로써 곤충을 기르는 재미를 주며 학생들에게는 교육적인 효과가 있다. The transparent adult dome (5) provides insight into insects by making it possible to observe the interior, and has an educational effect for students.

포집상자(3)에서 얻는 성숙한 유충이나 번데기는 의약 연구 등에 사용할 수 있으며, 식용 또는 애완동물의 먹이로 활용할 수 있다. Adult larvae or pupae obtained from the collection box (3) can be used for medical research and can be used for edible or pet food.

100 : 처리장치
1 : 본체
2 : 유충상자, 21 : 매시망, 22 : 돌출턱, 221 : 구멍
3 : 포집상자, 31 : 홀
4 : 이동통로
41 : 하부경사로, 42 : 상부경사로, 43 : 트랩구멍
5 : 성충돔
51 : 중간판, 52 : 그릇, 53 : 산란자리, 54 : 통과공, 55 : 도어
B : 산란블록, 6 : 물받이. 7 : 송풍기, 71 : 공기닥트
8 : 조명수단. E : 유기물
100: Processing device
1: Body
2: larva box, 21: mesh mesh, 22: protruding jaw, 221: hole
3: collection box, 31: hole
4:
41: lower ramp, 42: upper ramp, 43: trap hole
5: adult dome
51: Middle plate, 52: Bowl, 53: Spawning spot, 54: Through ball, 55: Door
B: Scatter block, 6: Drain. 7: blower, 71: air duct
8: Lighting means. E: organic matter

Claims (5)

본체;
상기 본체에서 인출이 가능하고, 파리목 곤충의 유충의 먹이가 되는 유기물이 담기는 유충상자;
상기 유충상자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본체에서 인출이 가능한 포집상자;
상기 유충상자에서 상기 포집상자까지 경사지게 이어져 성숙한 유충이 이동할 수 있게 하는 이동통로; 및
상기 본체의 상부에 상기 포집상자에서 부화한 성충이 이동하여 머무는 활동공간을 형성하고 있고, 상기 성충이 산란할 수 있는 산란자리가 형성되어 있는 성충돔;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통로는
상기 유충상자에 경사지게 고정되어 있는 하부경사로와,
일단은 상기 본체에 장착된 상기 포집상자의 내부와 연통되고, 타단은 상기 본체에 상기 유충상자가 장착되었을 때에 상기 하부경사로의 상단부와 연결되는 상부경사로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경사로 또는 상기 상부경사로에는
미성숙 유충이 빠져 다시 상기 유충상자로 낙하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트랩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파리목 곤충을 이용한 유기물 처리장치.
main body;
A larva box capable of being drawn out from the main body and containing organic matter to be fed to larvae of a paralytic insect;
A collecting box locat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larva box and capable of being drawn out from the body;
A transfer passage for slidably leading the mature larva from the larva box to the collecting box; And
And an adult dome forming an activity space in which the adult hatching in the collecting box moves and staying in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wherein a scattering spot for scattering the adult is formed,

The moving passage
A lower ramp slantingly fixed to the larva box,
And an upper ramp which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lower ramp when the larva box is mounted on the main body,

The lower ramp or the upper ramp
At least one trap hole is formed so that the immature larvae are withdrawn and dropped back into the larva box
An apparatus for treating organic matter using a flyworm insect.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서,
상기 유충상자의 바닥은 매시망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유충상자의 아래에는 상기 매시망을 통해 빠져나온 물이 담기며, 상기 본체의 외부로 반출이 가능한 물받이가 구비되어 있는
파리목 곤충을 이용한 유기물 처리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bottom of the larva box is made of mesh mesh,
Below the larvae box, there is provided a water reservoir capable of taking out the wate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mesh network and being able to be taken out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An apparatus for treating organic matter using a flyworm insect.
제1항에서,
상기 유충상자의 개방된 상단 둘레를 따라 내측벽에서 돌출되어 상기 내측벽을 따라 기어오르는 유충의 이탈을 방지하는 돌출턱이 형성되어 있는
파리목 곤충을 이용한 유기물 처리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 protruding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inner wall along the open upper end of the larva box to prevent the larvae from escaping along the inner wall is formed
An apparatus for treating organic matter using a flyworm insect.
KR1020130167542A 2013-12-30 2013-12-30 Apparatus for treatment organic matter using diptera insect KR10139618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7542A KR101396182B1 (en) 2013-12-30 2013-12-30 Apparatus for treatment organic matter using diptera insec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7542A KR101396182B1 (en) 2013-12-30 2013-12-30 Apparatus for treatment organic matter using diptera insec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6182B1 true KR101396182B1 (en) 2014-05-19

Family

ID=50894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7542A KR101396182B1 (en) 2013-12-30 2013-12-30 Apparatus for treatment organic matter using diptera insec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6182B1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7165B1 (en) * 2017-03-03 2018-07-10 강장석 Animal corpse handling method using larva of fly
KR102099630B1 (en) * 2019-07-29 2020-04-10 신계주 Black soldier fly Spawning facility
KR102145046B1 (en) * 2019-10-11 2020-08-14 이보라 Eco-friendly recycling apparatus of food waste
KR20210000950A (en) * 2019-06-26 2021-01-06 이정준 Food waste recycling device using black soldier fly
CN115349499A (en) * 2022-08-30 2022-11-18 拱北海关技术中心 Lepidoptera insect raises suitcas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5522B1 (en) * 2002-11-07 2005-03-11 충청북도 (관리부서:충청북도 농업기술원) The rearing equipment for luciola lateralis and the rearing method
KR20060082344A (en) * 2005-01-12 2006-07-18 이.엠 주식회사 Cage for inserts larva of fly for feeding
KR20130001836U (en) * 2011-09-08 2013-03-18 문형관 Earthworm culturing box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5522B1 (en) * 2002-11-07 2005-03-11 충청북도 (관리부서:충청북도 농업기술원) The rearing equipment for luciola lateralis and the rearing method
KR20060082344A (en) * 2005-01-12 2006-07-18 이.엠 주식회사 Cage for inserts larva of fly for feeding
KR20130001836U (en) * 2011-09-08 2013-03-18 문형관 Earthworm culturing box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7165B1 (en) * 2017-03-03 2018-07-10 강장석 Animal corpse handling method using larva of fly
KR20210000950A (en) * 2019-06-26 2021-01-06 이정준 Food waste recycling device using black soldier fly
KR102229690B1 (en) * 2019-06-26 2021-03-17 이정준 Food waste recycling device using black soldier fly
KR102099630B1 (en) * 2019-07-29 2020-04-10 신계주 Black soldier fly Spawning facility
KR102145046B1 (en) * 2019-10-11 2020-08-14 이보라 Eco-friendly recycling apparatus of food waste
CN115349499A (en) * 2022-08-30 2022-11-18 拱北海关技术中心 Lepidoptera insect raises suitcas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6182B1 (en) Apparatus for treatment organic matter using diptera insect
US9844223B2 (en) Hermetia illucens frass production and use in plant nutrition and pest management
ES2646596T3 (en) Confinement systems to provide a reproductive habitat for hermetia illucens
KR101729167B1 (en) A Soldier Fly Breeding Equipment
CN106106381B (en) Black soldier fly breeding and collecting device
KR101946833B1 (en) Insect breeding bed and equipment
KR101044636B1 (en) A fly larva breeding device
KR101220410B1 (en) Propag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natural enemy of moth
KR101405889B1 (en) Apparatus for keeping the black soldier fly
CN206005604U (en) A kind of black soldier flies cultivation, collection device
KR20190024381A (en) food waste treatment equipment using lava of black soldier fly
CN109122582A (en) A kind of black soldier flies cultivation equipment and its application method with automatic cleaning function
WO2016005296A1 (en) System and method for breeding and harvesting insects
KR20110015340A (en) Black soldier fly breeding and disposal of waste system
KR20160131452A (en) Medicated edible insect rearing unit
KR20060082344A (en) Cage for inserts larva of fly for feeding
KR20200063431A (en) Egg separation device for mass breeding of edible insects
KR102145046B1 (en) Eco-friendly recycling apparatus of food waste
CN207911828U (en) The cycle formula device of food waste is handled using black soldier flies
KR20160137275A (en) Device and method for breeding larvae of insects
KR101762186B1 (en) Apparatus for breeding lava of black soldier fly
JP7448154B2 (en) Larva collection device
TWM551534U (en) Waste treatment device convenient to collect worms and rear black soldier flies
CN112335538A (en) Ecological business car
CN208300631U (en) Bamboo rat aquaculture pond and bamboo rat column home with the bamboo rat aquaculture pon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