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3147B1 - Mobile Terminal and Shoot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Mobile Terminal and Shoot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3147B1
KR101393147B1 KR1020070012694A KR20070012694A KR101393147B1 KR 101393147 B1 KR101393147 B1 KR 101393147B1 KR 1020070012694 A KR1020070012694 A KR 1020070012694A KR 20070012694 A KR20070012694 A KR 20070012694A KR 101393147 B1 KR101393147 B1 KR 1013931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camera
photographed
display
photograp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269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80073896A (en
Inventor
허정윤
홍승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126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3147B1/en
Publication of KR200800738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389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31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314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Control of means for changing angle of the field of view, e.g. optical zoom objectives or electronic zoom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functional features of a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사체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이동단말기 및 그 촬영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obile terminal capable of capturing an image of a subject and a method of photographing the same.

촬영방법, 이동단말기 Shooting method, mobile terminal

Description

이동단말기 및 그 촬영방법{Mobile Terminal and Shooting method thereof}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terminal and a shooting method thereof,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들에 따른 이동단말기의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촬영방법의 흐름도이다. 2 is a flowchart of a photographing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3a 내지 도3c는 도2의 촬영단계와 영상처리단계에 대응하는 화면이다.3A to 3C are views corresponding to the photographing step and the image processing step of FIG.

도4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촬영방법의 흐름도이다. 4 is a flowchart of a photographing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5a 내지 도5c은 도4의 촬영단계와 영상처리단계에 대응하는 화면이다.5A to 5C are views corresponding to the imaging step and the image processing step of FIG.

도6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촬영방법의 흐름도이다. 6 is a flowchart of a photographing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7a 내지 도7c는 도6의 촬영방법에 대응하는 화면들이다.7A to 7C are screens corresponding to the photographing method of Fig.

*도면의 주요부에 대한 설명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10: 이동단말기 12: 입력장치10: mobile terminal 12: input device

14: 제어부 16: 메모리14: control unit 16: memory

20: 카메라 22: 오디오처리부20: camera 22: audio processor

24: 송수신장치24: Transceiver

본 발명은 피사체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이동단말기 및 그 촬영방법을 제 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obile terminal capable of capturing an image of a subject and a method of capturing the same.

최근의 이동단말기들 중 일부는 카메라를 포함하고 있어, 피사체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었다.Some of recent mobile terminals include a camera, so that it is possible to take an image of a subject.

일반적으로 카메라가 내장된 이동단말기의 사용자는 휴대 통신수단으로서 항상 몸에 지니고 다니는 이동단말기의 특징상, 풍경사진보다 생활 속에서의 인물 사진을 찍거나 자신을 포함하는 사진을 얻기 위해 셀프 촬영을 하는 경우가 많았다.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0005] Generally, a user of a mobile terminal with a built-in camera is a portable communication means. The mobile terminal always carries a self-photographing mode to take a portrait photograph in life or a self- There were many cases.

본 발명은, 카메라가 영상상태를 조절하여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이동단말기와 그 촬영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obile terminal capable of capturing an image by adjusting a video state and a method of photographing the same.

본 발명은, 입력장치와, 입력장치의 입력신호에 따라 피사체의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와,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의 크기에 따라, 카메라의 촬영상태를 조절하여 상기 카메라가 촬영상태가 조절된 영상을 재촬영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단말기를 제공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ncluding an input device, a camera that captures an image of a subject in accordance with an input signal of an input device, and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shooting state of the camera,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image to be re-photographed.

또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입력장치의 입력신호에 따라, 카메라가 피사체의 영상을 촬영하는 촬영단계와,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의 크기에 따라, 카메라의 촬영상태를 조절하는 조절단계와, 카메라가 촬영상태가 조절된 영상을 재촬영하는 재촬영단계를 포함하는 이동단말기의 촬영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 to still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controlling a camera, comprising the steps of: capturing an image of a subject in accordance with an input signal of an input device; adjusting an image capturing state of the camera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And a re-photographing step of re-photographing the image in which the camera is adjusted in the photographing state.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들에 따른 이동단말기의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기(10)는, 입력장치(12)와, 제어부(14), 메모리(16), 표시부(18), 카메라(20), 오디오 처리부(22), 송수신장치(24)를 포함한다.A mobile terminal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put device 12, a control unit 14, a memory 16, a display unit 18, a camera 20, an audio processing unit 22, (24).

입력부 또는 입력장치(12)는 주변장치나 사용자와 소통하는 인터페이스이다. 입력장치(12)는 다수의 키버튼이 형성된 키패드나, 각종 방향키들이 형성된 네비게이션키, 회전량에 따라 입력이 선택되는 조그장치, 음성인식장치가 내장된 음성입력장치, 터치패드나 터치스크린과 같은 터치입력장치, 무선리모콘 등일 수 있다. 입력장치(12)를 통해 주변장치나 사용자로부터 이동단말기(10)에 각종 정보나 명령, 예를 들어 촬영 명령, 촬영된 영상의 재상, 촬영 모드 변경과 관련된 정보나 명령이 입력된다.The input unit or input device 12 is an interface for communicating with a peripheral device or a user. The input device 12 includes a keypad having a plurality of key buttons, a navigation key having various direction keys, a jog device for selecting an input according to the amount of rotation, a voice input device having a built-in voice recognition device, A touch input device, a wireless remote controller, or the like. Various information or commands such as a photographing instruction, recollection of the photographed image, information related to the photographing mode change, and a command are input from the peripheral device or the user to the mobile terminal 10 through the input device 12.

제어부(14)는 이동단말기(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4)는 음성통화 및 데이터통신을 위한 처리 및 제어를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14)는 앞으로 설명할 카메라(20)와 관련된 촬영, 영상데이터의 처리 및 영상데이터의 표시를 수행한다. 통상적인 제어부(14)의 처리 및 제어에 관한 설명은 생략하며,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촬영방법과 관련된 제어부(14)의 처리 및 제어에 관한 설명은 도2 내지 4를 참조하여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The control unit 14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4 performs processing and control for voice communication and data communication. Further, the control unit 14 performs photographing, processing of image data, and display of image data associated with the camera 20 to be described later. The description of the processing and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4 will be omitted, and the description of the processing and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4 related to the photographing method according to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메모리(16)는 이동단말기(10), 특히 제어부(14)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 참조 데이터, 갱신 가능한 각종 보관용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6)는 삭제 요청이 없는 경우 영구적으로 저장할 뿐만 아니라 각종 버퍼들과 같 이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내장형 또는 외장형 저장매체들 또는 저장장치들을 포함한다.The memory 16 may store a program for processing and controlling the mobile terminal 10, in particular, the control unit 14, reference data, various updatable storage data, and the like. The memory 16 includes internal or external storage media or storage devices for temporarily storing, such as various buffers, as well as permanently storing in the absence of a deletion request.

메모리(16)는 위에서 설명하였거나 앞으로 설명할 촬영 명령, 촬영된 영상의 재상, 촬영 모드 변경 등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모든 프로그램과 입출력되는 데이터 및 처리되는 각종 데이터 등을 제어부(14)에 제어 하에 다양한 데이터구조(data structure)를 이용하여 저장하고 있거나 저장할 수 있는 저장공간을 제공한다.The memory 16 controls all the programs, input / output data, and various kinds of data to be processed, which are necessary for performing the above-described imaging command, the recapturing of the photographed image, the change of the photographing mode, And provides a storage space for storing or storing data structures.

한편, 메모리(16)는, 제어부(14)의 제어 하에, 카메라(22)에 의해 촬영한 다양한 영상 데이터들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6)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들은, 제어부(14)의 제어 하에, 디스플레이(20)에 표시되거나, 송수신장치(12)를 통해 멀티미디어 메시지에 포함되거나 이메일에 첨부되어 다른 단말기들에 송신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4, the memory 16 can store various image data photographed by the camera 22. [ The image data stored in the memory 16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2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4 or included in the multimedia message via the transceiver 12 or attached to the e-mail and transmitted to other terminals .

표시부 또는 표시장치(18)는, 제어부(14)의 제어 하에, 이동단말기(10)의 각종 처리 및 제어동작, 각종 화상 등을 표시한다. 표시부(18)는 위에서 예시한 촬영 명령, 촬영된 영상의 재상, 촬영 모드 변경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나 명령의 입력 등을 화면을 통해 제공한다. 표시부(18)를 통해 표시되는 다양한 정보나 명령의 입력 등에 의해 사용자는 이동단말기(10)의 각종 처리 및 제어동작의 진행상황을 알 수 있다. The display unit or display device 18 displays various processing and control operations of the mobile terminal 10 and various images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4. [ The display unit 18 provides the above-described imaging command, recapture of the photographed image, various information related to the change of the imaging mode, input of a command, and the like through the screen. The user can know the progress of various processes and control operations of the mobile terminal 10 by inputting various information or commands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unit 18. [

표시부(18)는 영상데이터를 이용하여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표시부(40)는 일반적인 표시장치, 예를 들어 액정표시장치(LCD)나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OLED), 플라즈마표시장치(PDP)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8 can display a still image or a moving image using the image data. The display unit 40 may be implemented by a general display device, for example,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OLED), or a plasma display (PDP).

카메라(20)는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한 센서와 이 센서로부터 아날로그 전기 적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신호처리부를 포함한다.The camera 20 includes a sensor for photographing a subject and a signal processing unit for converting an analog electric signal from the sensor into a digital signal.

카메라(20)에 사용되는 센서는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센서나 CCD(Charge Coupled Device) 센서일 수 있다. 신호처리부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로 구현할 수도 있고, 위에서 설명한 제어부(16)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신호처리부는 카메라부(20)와 독립적으로 구현되나, 본 명세서에서는 신호처리부를 카메라부(20)에 포함되는 것으로 설명한다.The sensor used in the camera 20 may be a CMOS (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sensor or a CCD (Charge Coupled Device) sensor. The signal processing unit may be implemented by a DSP (Digital Signal Processor) or may be implemented by the control unit 16 described above. In the latter case, the signal processing unit is implemented independently of the camera unit 20, but the signal processing unit will be described as being included in the camera unit 20 in this specification.

카메라(20)는 피사체를 촬영하여 얻은 영상신호들와, 동기신호들을 동시에 출력한다. 동기신호는 수평동기신호(HSYNC)와 수직동기신호(VSYNC)가 있다. 수평동기신호(HSYNC)는 표시되는 화면의 라인 단위로 발생되며, 수직동기신호(VSYNC)는 1 프레임의 영상신호 종료시 발생된다. 즉, 수직동기신호는 카메라들(20)에서 1 프레임의 영상신호를 출력한 후 발생한다. The camera 20 simultaneously outputs video signals and synchronization signals obtained by photographing a subject. The synchronizing signal includes a horizontal synchronizing signal HSYNC and a vertical synchronizing signal VSYNC. The 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 HSYNC is generated on a line-by-line basis of a displayed screen, and the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VSYNC is generated upon completion of a video signal of one frame. That is, the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is generated after the camera 20 outputs the video signal of one frame.

카메라(20)는, 이동단말기(10)의 케이스의 외측에 구비될 수도 있고, 이동단말기(10)의 케이스의 내측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카메라(20)는 두개의 카메라들을 포함할 수 있다. The camera 20 may be provided outside the case of the mobile terminal 10 or may be provided inside the case of the mobile terminal 10. Meanwhile, the camera 20 may include two cameras.

오디오처리부(22)는 마이크(MIC)와 스피커(SPK)를 통해 음성을 입출력하도록 음성을 처리한다. 오디오처리부(22)는 이동단말기(10)의 각종 처리 및 제어동작을 스피커(SPK)를 통해 음성으로 출력하거나, 각종 정보나 명령을 마이크(MIC)를 통해 음성으로 입력하도록 음성을 처리한다. 예를 들어, 이동단말기(10)의 각종 촬영 명령, 촬영된 영상의 재상, 촬영 모드 변경 등과 관련된 각종 정보나 명령을 마이 크(MIC)를 통해 입력받아, 입력부(12) 중 하나인 음성인식장치가 내장된 음성입력장치를 이용하여 제어부(14)에 전달할 수도 있다.The audio processing unit 22 processes the voice to input and output the voice through the microphone (MIC) and the speaker (SPK). The audio processing unit 22 outputs various kinds of processing and control operations of the mobile terminal 10 through the speaker SPK or processes the voice to input various information and commands through the microphone MIC. For example, various information or commands related to various shooting commands of the mobile terminal 10, recapture of the photographed image, change of the shooting mode, and the like are inputted through the microphone (MIC) To the control unit 14 by using the built-in voice input device.

송수신장치(24)는, 이동통신망과의 음성 또는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무선통신 장치이다. 송신장치(24)는 본 발명의 구현을 위한 필수적인 구성 요소는 아니지만, 본 발명의 구현을 위한 방송 수신 기능 외에도 음성 통화를 주목적으로 하는 통신 기능을 동시에 구현하는 경우 필요한 구성 요소이다.The transceiver 24 is a radio communication device for transmitting or receiving voice or data to / from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e transmitting device 24 is not an essential component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is a necessary component in the case of simultaneously implementing a communication function for voice communication in addition to the broadcast receiving function for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이와 같이 송수신장치(24)를 포함하는 이동단말기(10)는 음성통화나 메시지 전송, 웹페이지 접속, 데이터 송수신, 전화접속, 인스턴트 메신저 등 현재 또는 장래의 다양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mobile terminal 10 including the transceiver 24 can perform current or future various communications such as voice call, message transmission, web page connection,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dial-up, and instant messenger.

도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촬영방법의 흐름도이다. 도3a 내지 도3c는 도2의 촬영단계와 영상처리단계에 대응하는 화면이다.2 is a flowchart of a photographing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A to 3C are views corresponding to the photographing step and the image processing step of FIG.

도2 및 도3a 내지 도3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기의 촬영방법(100)은, 영상 촬영단계(S110)와, 조절단계(S120), 재촬영단계(S130)를 포함한다.2 and 3A to 3C, a method 100 of photograph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hotographing step S110, an adjusting step S120, a resampling step S130, .

영상 촬영단계(S110)는, 카메라(20)에 의해 피사체의 동영상 또는 정지영상을 촬영하는 단계이다. 물론, 입력장치(12)의 입력신호에 따라 카메라(20)가 피사체의 영상을 촬영한다. 카메라(20)가 두개인 경우, 두개의 카메라들(20)은 별개로 또는 동시에 피사체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한편, 영상 촬영단계(S110)에서 영상촬영과 함께 마이크(MIC)를 통해 입력된 오디오도 영상데이터로 저장될 수 있 다. The image capturing step S110 is a step of capturing a moving image or a still image of a subject by the camera 20. [ Of course, the camera 20 captures an image of the subject in accordance with the input signal of the input device 12. [ When there are two cameras 20, the two cameras 20 can shoot images of the subject separately or simultaneously. On the other hand, in the image capturing step S110, the audio inputted through the microphone (MIC) together with the image capturing can also be stored as the image data.

도3a는 조절단계에서 카메라(20)가 촬영한 피사체의 영상을 표시장치((18)에 미리보기 화면으로 표시한 도면이다. 도3a의 미리보기 화면처럼, 셀프카메라 촬영 때문에, 사용자 자신의 영상, 특히 얼굴의 크기가 지나치게 클 수 있다. 특히 사람들의 팔길이가 다를 수 있으므로, 도31의 미리보기 화면으로 표시되는 영상의 크기는 사용자들마다 다를 수 있다.3A is a view showing an image of a subject photographed by the camera 20 in a control step on a display device 18 as a preview screen. As in the preview screen of FIG. 3A, , Especially the size of the face may be excessively large. Especially, since the arms length of people may be different, the size of the image displayed on the preview screen of FIG. 31 may be different for each user.

조절단계(S120)는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의 크기에 따라, 카메라의 줌상태를 조절하는 단계이다.The adjusting step S120 is a step of adjusting the zoom state of the camera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image photographed by the camera.

조절단계(S120)는, 먼저 영상 촬영단계(S110)에서 촬영된 영상의 외각선을 인식하고(S122), 이 인식된 외각선에 기초하여 패턴을 분석하고(S124), 특정 객체, 예를 들어 사람의 크기에 따라 줌 인 또는 줌 아웃(S126)하는 단계이다.The adjustment step S120 first recognizes the outline of the image photographed in the image photographing step S110 in step S122 and analyzes the pattern on the basis of the recognized outline in step S124, Zooming in or zooming out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person (S126).

도3b는 S122에서 촬영된 영상의 외각선을 인식한 결과를 도시하고 있다. S124에서, 이동단말기(10)의 영상처리부 또는 제어부(14)는 이 인식된 외각선에 기초하여 메모리(16)에 저장된 사람의 영상패턴들과 S122에서 인식한 영상의 외각선을 비교하여 일치하는 사람의 영상을 확인한다.FIG. 3B shows a result of recognizing an outline of the image photographed at S122. In step S124, the image processing unit or control unit 14 of the mobile terminal 10 compares the image pattern of the person stored in the memory 16 based on the recognized outline with the outline line of the image recognized in step S122, Check the image of the person.

이후, 촬영단계(S110)에서 촬영된 영상 중 사람이 포함된 경우, 그 사람의 영상의 크기에 따라 특정 비율로 카메라를 줌 아웃한다. 이 특정 비율은 임의로 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 특정 비율은 전체 영상의 크기 중 사람의 영상이 차지하는 비율이 50~70%, 바람직하기로 60%일 수 있다. 60%의 줌아웃 비율은 통상적으로 인간이 감정적으로 최적 비율이라고 알려진 비율이기 때문에 바람직하나, 본 발 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 특정 비율은 이동단말기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셀프카메라 촬영할 경우, 사용자의 팔길이를 반영하여 인간이 감정적으로 최적 비율이라고 알려진 비율일 수 있다.  Thereafter, when a person is included in the images photographed in the photographing step S110, the camera is zoomed out at a specific ratio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person's image. This specific ratio can be determined arbitrarily. For example, the specific ratio may be 50 to 70%, preferably 60%, of the total image size. A zoom-out ratio of 60% is preferred because it is typically a rate that humans are emotionally known as the optimal ratio, but the disclosure is not limited thereto. When the self-camera is photographed using the camera of the mobile terminal, the specific ratio may be a ratio known to be the emotionally optimal ratio of the human being, reflecting the length of the user's arm.

재촬영단계(S130)는 카메라(20)가 특정 비율로 줌상태가 조절된 영상을 재촬영하는 단계이다.The resampling step S130 is a step in which the camera 20 retakes the image whose zoom state is adjusted at a specific ratio.

도3c는, 재촬영단계(S130)에서, 그 사람의 영상의 크기에 따라 특정 비율로 줌 아웃하여 재촬영한 영상이다. 이 재촬영된 영상은 영상데이터로 메모리(16)에 저장되거나, 미리보기 화면으로 디스플레이(18)에 표시될 수 있다. 이 영상데이터에 오디오데이터가 포함된 경우, 재촬영된 영상과 함께 오디오도 스피커(SPK)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FIG. 3C is an image obtained by zooming out at a specific ratio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person's image in the resampling step (S130). The re-photographed image may be stored in the memory 16 as image data or displayed on the display 18 as a preview screen. When audio data is included in the video data, audio can be output through the speaker SPK together with the re-captured video.

도4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촬영방법의 흐름도이다. 도5a 내지 도5c은 도4의 촬영단계와 영상처리단계에 대응하는 화면이다.4 is a flowchart of a photographing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A to 5C are views corresponding to the imaging step and the image processing step of FIG.

도4 및 도5a 내지 도5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기의 촬영방법(200)은, 영상 촬영단계(S210)와, 조절단계(S220), 재촬영단계(S230)를 포함한다. 이때 영상 촬영단계(S210)과 재촬영단계(S230)는 실질적으로 도2 및 도3a 내지 도3c를 참조하여 설명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기의 촬영방법(100)과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위에서 설명한 것으로 대신한다.Referring to FIGS. 4 and 5A to 5C, a photographing method 200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mage photographing step S210, an adjusting step S220, a resampling step S230 ). Here, the image capturing step S210 and the retaking step S230 are substantially the same as or similar to the capturing method 100 of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and FIGS. 3A to 3C, Replace with what is described above.

조절단계(S220)는, 먼저 영상 촬영단계(S210)에서 촬영된 영상(도5a 참조)의 외각선을 인식하고(S222), 이 인식된 외각선에 기초하여 패턴을 분석하고(S224), 적어도 하나의 특정 객체, 예를 들어 사람을 선택하고, 선택된 특정 객체의 외각선의 크기에 대응하여, 즉 예를 들어 사람의 크기에 따라 줌 인 또는 줌 아웃(S226)하는 단계이다.The adjusting step S220 first recognizes the outline of the image photographed in the image photographing step S210 (S222), analyzes the pattern based on the recognized outline (S224) For example, a person, and zooming in or out (S226)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outline of the selected specific object, that is, for example, according to the size of a person.

도5b는 S222에서 촬영된 영상의 외각선을 인식한 결과를 도시하고 있다. S224에서, 이동단말기(10)의 영상처리부 또는 제어부(14)는 이 인식된 외각선에 기초하여 메모리(16)에 저장된 사람의 영상패턴들과 S222에서 인식한 영상의 외각선을 비교하여 일치하는 사람의 영상을 확인한다.FIG. 5B shows a result of recognizing the outline of the image photographed at S222. The image processing unit or the control unit 14 of the mobile terminal 10 compares the image pattern of the person stored in the memory 16 based on the recognized outline with the outline of the image recognized in S222, Check the image of the person.

이후, 촬영단계(S210)에서 촬영된 영상 중 사람이 복수로 포함된 경우, 그 사람의 영상의 크기에 따라 특정 비율로 카메라를 줌 아웃한다. 이 특정 비율은 임의로 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 특정 비율은 자신만을 셀프 촬영했을 때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Thereafter, when a plurality of persons are included in the images photographed in the photographing step S210, the camera is zoomed out at a specific ratio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person's image. This specific ratio can be determined arbitrarily. For example, it is preferable that this specific ratio is larger than when self-photographed alon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도5c는, 재촬영단계(S230)에서, 두사람 이상의 영상의 크기에 따라 특정 비율로 줌 아웃하여 재촬영한 영상이다.FIG. 5C shows an image taken at a specific ratio in a resampling step (S230) by zooming out according to the size of two or more images.

도6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촬영방법의 흐름도이다. 도7a 내지 도7c는 도6의 촬영방법에 대응하는 화면들이다.6 is a flowchart of a photographing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A to 7C are screens corresponding to the photographing method of Fig.

도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촬영방법(300)은 영상 촬영단계(S310)와, 조절단계(S320), 재촬영단계(S33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6, a photographing method 3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hotographing step S310, an adjusting step S320, and a resampling step S330.

영상 촬영단계(S310)는, 카메라(20)에 의해 피사체의 동영상 또는 정지영상을 촬영하는 단계이다. The image photographing step S310 is a step of photographing a moving image or a still image of a subject by the camera 20. [

조절단계(S320)는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의 크기에 따라, 카메라의 줌상태를 조절하는 단계이다.The adjustment step S320 is a step of adjusting the zoom state of the camera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image photographed by the camera.

조절단계(S320)는, 먼저 영상 촬영단계(S310)에서 촬영된 영상의 눈동자를 기준으로 얼굴을 인식하고(S322), 이 인식된 얼굴에 기초하여 렌즈와 피사체 사이 거리를 계산하고(S324), 피사체의 수를 계산하고(S326), 피사체의 크기에 따라 줌 인 또는 줌 아웃(S328)하는 단계이다. 이때 S322 단계에서, 피사체의 눈동자 기준으로 얼굴을 인식한 후, 피사체의 수를 계산하고, 렌즈와 피사체 사이 거리를 계산할 수도 있다. 물론, 이 S324와 S326 단계는 동시에 수행되고, 그 결과에 따라 S328 단계에서 줌 인/아웃할 수도 있다.The adjusting step S320 first recognizes the face based on the pupil of the image photographed in the image photographing step S310 in step S322 and calculates the distance between the lens and the subject based on the recognized face in step S324, Calculates the number of subjects (S326), and zooms in or out (S328)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subject. In this case, in step S322, after recognizing the face based on the pupil of the subject, the number of subjects may be calculated,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lens and the subject may be calculated. Of course, steps S324 and S326 may be performed simultaneously, and zooming in / out may be performed in step S328 depending on the result.

도7a는 S322 단계에서 촬영된 영상의 눈동자를 기준으로 얼굴을 인식하는 과정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S322 단계에서, 두개의 눈동자를 기준으로 특정 객체, 예를 들어 사람의 얼굴의 일반적인 또는 통계적인 비율에 따른 마름모 형상을 계산하고, 이 마름모 형상에 따라 도7a에 원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최종적으로 얼굴을 인식한다. FIG. 7A is a conceptual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recognizing a face based on a pupil of an image photographed in step S322. In step S322, a rhombic shape according to a general or statistical ratio of a specific object, for example, a face of a person, is calculated on the basis of two pupils, and finally, according to the rhombic shape, .

사람의 얼굴은 눈동자의 거리에 비해 1.5 내지 2.5배 턱과 머리의 길이가 큰 것으로 통계적으로 알려져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이 눈동자의 거리 대비 턱과 머리의 길이는 통계적으로 보충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임의적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셀프카메라 촬영시 자신의 눈동자의 거리 대 비 턱과 머리의 길이는 특정되어 있으므로 이 특정된 비율을 수동적으로 입력할 수도 있다.The face of a person is statistically known to be 1.5 to 2.5 times larger than the distance of the pupil and larger in head length,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the length of the jaw and the head relative to the distance of the pupil may be supplemented statistically or arbitrarily set by the user. For example, when shooting a self-camera, the distance between the pupil of the subject and the length of the nose and head are specified, so the specified ratio may be entered manually.

도7b는 S324와 S326 단계를 수행한 결과 S310 단계에서 촬영된 영상과 S330 단계에서 재촬영된 영상을 오버랩하여 도시한 화면이다. 결과적으로 S330 단계에서 재촬영된 영상은, S310 단계에서 촬영한 영상과 비교할 때, 줌 인되었으며 얼굴을 기준으로 좌측으로 초점이 이동하여 재촬영된 것을 알 수 있다.FIG. 7B is a view illustrating an overlap between the image photographed in step S310 and the image photographed in step S330 as a result of performing steps S324 and S326. As a result, it can be seen that the re-photographed image in step S330 is zoomed in when compared with the photographed image in step S310, and the focus is shifted to the left based on the face.

도7c는 S324와 S326 단계를 수행한 후, 3개의 특정 객체가 S310 단계에서 촬영된 영상과 S330 단계에서 재촬영된 영상을 오버랩하여 도시한 화면이다. FIG. 7C is a view showing images of three specific objects overlapping the images photographed in step S310 and the images re-photographed in step S330 after performing steps S324 and S326.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위 실시예에서, 카메라의 촬영상태를 조절하는 것으로, 줌상태를 조절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카메라의 촬영상태로 카메라 또는 영상의 각도나 위치 등을 조절할 수도 있다. 즉, 영상을 촬영한 후 외각선의 패턴을 분석하여 획득한 적어도 하나의 특정한 객체의 위치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In the above embodiment, the zoom state is controlled by adjusting the photographing state of the camera,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adjust the angle or the position of the camera or the image in the photographing state of the camera. That is, after capturing an image, the position and angle of at least one specific object obtained by analyzing the pattern of the outline can be adjusted.

위 실시예에서, 특정 객체로 사람을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사람 뿐만 아니라 동물이나 특정 사물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셀프 카메라 촬영하면서 동물 중 하나인 강아지를 품고 있는 경우, 자신의 얼굴과 강아지의 외각선을 분석하여 자신의 얼굴과 강아지를 촬영하기에 적당한 배율로 촬영상태가 조절될 수 있다.In the above embodiment, although a person is exemplarily described as a specific object, it may be an animal or a specific object as well as a person. For example, when a dog is being held while taking a picture of a self-camera, the photographing state can be adjusted at an appropriate magnification for photographing his or her face and puppy by analyzing the outline of the face and the dog.

위 실시예에서, 특정 객체를 인식하기 위해 외각선을 분석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특정 객체의 패턴을 인식하는 방법은 외각선을 분석하는 방법 이외에 다양한 방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미리보기 상태에서 사람의 미세한 동작을 확인하여 움직이는 물체를 특정 객체로 인식할 수도 있다.In the above embodiment, the analysis of the outline line for recognizing a specific object has been exemplarily described. However, a method of recognizing a pattern of a specific object may be various other than the method of analyzing the outline line. For example, a moving object may be recognized as a specific object by confirming a minute motion of a person in a preview state.

본 발명은, 카메라가 영상상태를 조절하여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that a camera can photograph an image by adjusting a video state.

Claims (14)

디스플레이;display; 카메라; 및camera; And 상기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는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상기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는 영상으로부터 상기 영상의 외곽선을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외곽선의 패턴을 토대로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인식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수를 판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크기 및 상기 객체의 수에 기초하여 미리 정해진 배율로 줌(zoom) 배율을 조절하고, 상기 조절된 배율에 따라 영상을 재촬영하며, 상기 재촬영된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단말기.Recognizing an outline of the image from an image photographed through the camera, recognizing at least one object based on a pattern of the recognized outline, Determining a number of objects, adjusting a zoom magnification at a predetermined magnification based on the size of the at least one object and the number of objects, re-photographing the image according to the adjusted magnification, And displaying the displayed image on the display.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The apparatus of claim 1, 상기 재촬영된 영상을 상기 촬영된 영상과 오버랩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And displays the re-photographed image in an overlapping manner with the photographed imag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에 대한 얼굴인식을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Wherein the controller recognizes the at least one object through face recognition of the imag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제어부는, Wherein, 상기 카메라의 각도나 위치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And adjusts an angle or a position of the camera.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Displaying an image photographed through a camera on a display; 상기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는 영상으로부터 상기 영상의 외곽선을 인식하는 단계;Recognizing an outline of the image from an image photographed through the camera; 상기 인식된 외곽선의 패턴을 토대로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인식하는 단계;Recognizing at least one object based on the pattern of the recognized outline;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수를 판단하는 단계;Determining a number of the at least one object; 상기 인식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크기 및 상기 객체의 수에 기초하여 미리 정해진 배율로 줌(zoom) 배율을 조절하는 단계; 및Adjusting a zoom magnification at a predetermined magnification based on the size of the recognized at least one object and the number of the objects; And 상기 조절된 배율에 따라 영상을 재촬영하고, 상기 재촬영된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를Capturing the image again according to the adjusted magnification, and displaying the re-captured image on the display 포함하는 이동단말기의 촬영방법.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제7 항에 있어서, 8. The method of claim 7, 상기 재촬영된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는, Wherein the step of displaying the resampled image on the display comprises: 상기 재촬영된 영상을 상기 촬영된 영상과 오버랩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의 촬영방법.And displaying the re-photographed image in an overlapping manner with the photographed imag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7항에 있어서,8. The method of claim 7,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인식하는 단계는,Wherein recognizing the at least one object comprises: 상기 영상에 대한 얼굴인식을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인식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의 촬영방법.And recognizing the at least one object through face recognition of the image. 제7항에 있어서,8. The method of claim 7, 상기 카메라의 각도나 위치를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의 촬영방법.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adjusting an angle or a position of the camera. 디스플레이;display; 카메라; 및camera; And 상기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는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상기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는 영상으로부터 피사체의 눈동자를 기준으로 얼굴을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얼굴에 기초하여 상기 카메라와 상기 피사체 사이의 거리를 판단하며, 상기 피사체의 수를 판단하고, 상기 피사체의 크기 및 상기 피사체의 수에 기초하여 미리 정해진 배율에 따라 줌(zoom) 배율을 조절하며, 상기 조절된 배율에 따라 영상을 재촬영하고, 상기 재촬영된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단말기.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n image photographed by the camera on the display, recognizing a face based on a pupil of the subject from an image photographed through the camera, and determining a distance between the camera and the subject based on the recognized face And adjusting a zoom magnification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magnification on the basis of the size of the subject and the number of subjects, re-photographing the image according to the magnification, And displaying the photographed image on the display. 제13 항에 있어서, 14. 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제어부는, Wherein, 상기 재촬영된 영상을 상기 촬영된 영상과 오버랩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And displays the re-photographed image in an overlapping manner with the photographed image.
KR1020070012694A 2007-02-07 2007-02-07 Mobile Terminal and Shooting method thereof KR10139314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2694A KR101393147B1 (en) 2007-02-07 2007-02-07 Mobile Terminal and Shoot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2694A KR101393147B1 (en) 2007-02-07 2007-02-07 Mobile Terminal and Shooting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3896A KR20080073896A (en) 2008-08-12
KR101393147B1 true KR101393147B1 (en) 2014-05-08

Family

ID=39883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2694A KR101393147B1 (en) 2007-02-07 2007-02-07 Mobile Terminal and Shooting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3147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45947A1 (en) * 2018-08-27 2020-03-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to control screen property based on distance between pen input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14115A2 (en) 2008-07-31 2010-02-04 F3 & I2, Llc Modular panels for enclosures
US9955068B2 (en) 2013-07-15 2018-04-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a composition of a picture in a portable terminal
CN107846515A (en) * 2017-11-07 2018-03-27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shooting parameter adjustment method, device and terminal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45947A1 (en) * 2018-08-27 2020-03-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to control screen property based on distance between pen input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US11178334B2 (en) 2018-08-27 2021-11-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to control screen property based on distance between pen input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US11659271B2 (en) 2018-08-27 2023-05-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to control screen property based on distance between pen input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3896A (en) 2008-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0804B1 (en) Method for photographing panorama picture
KR101231518B1 (en) Camera control apparatus, camera system, electronic conference system, and camera control method
US8976270B2 (en) Imaging device and imaging device control method capable of taking pictures rapidly with an intuitive operation
JP5967473B2 (en) Imaging apparatus and imaging system
KR10086995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anorama photography
JP4575443B2 (en) Face image correction
JP5393340B2 (en) Imaging terminal, display terminal, display method, and imaging system
US8638372B2 (en) Image capture unit with changeable image capture direction
KR101433157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transmitting image thereof
JP2005117661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uto-zooming operation of mobile terminal
JP5991514B2 (en) Imaging apparatus and imaging system
JP2013013063A (en) Imaging apparatus and imaging system
JP2010081535A (en) Imaging apparatus, imaging method, and program
CN106664361B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JP5294889B2 (en) Imaging apparatus and imaging method
JP2015204595A (en) Imaging apparatus, camera, remote control apparatus, imaging method, and program
KR101393147B1 (en) Mobile Terminal and Shooting method thereof
JP2008277983A (en) Television receiver
JP2007166011A (en) Imaging apparatus and its program
JP2010004480A (en) Imaging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and program
JP2010062834A (en) Photographing system, photographing device constituting the same, and operation device
JP2008206085A (en) Intercom device
JP2006238033A (en) Electronic apparatus
JP2006222617A (en) Remote photography system, remote display controller, and remote photographic device
JP2016019092A (en) Information processor,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