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2917B1 - Portable terminal and its image transfer and screen display method - Google Patents

Portable terminal and its image transfer and screen display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2917B1
KR101392917B1 KR1020070074242A KR20070074242A KR101392917B1 KR 101392917 B1 KR101392917 B1 KR 101392917B1 KR 1020070074242 A KR1020070074242 A KR 1020070074242A KR 20070074242 A KR20070074242 A KR 20070074242A KR 101392917 B1 KR101392917 B1 KR 1013929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camera
transmission
input
video c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424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90010831A (en
Inventor
이정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742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2917B1/en
Publication of KR200900108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083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29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291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7Communication arrangements, e.g. identifying the communication as a video-communication, intermediate storage of th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50Telephonic communication in combination with video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functional features of a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tudio De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통화 중 카메라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의 상태에 따라 영상의 전송과 영상통화 표시 화면을 제어하는 방법 및 그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of an image and a video call display screen according to the state of an image input through a camera during a video call, and a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function.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는 단말 또는 서버와 영상 또는 음성 통화를 위한 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부와; 영상통화 또는 사진촬영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와, 영상통화 중 통화 영상이나 오디오를 출력하는 출력부와, 영상통화 중 카메라를 통해 입력된 광량의 변화에 따라, 그 영상의 전송 또는 화면 표시를 차단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 portab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for video or voice communication with a terminal or a server; An output unit for outputting a call image or audio during a video call, and a display unit for prohibiting transmission or display of the video image according to a change in the amount of light input through the camera during a video call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motor.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는 영상통화 중 카메라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이 기준화질 이하이거나 카메라가 가려질 경우, 영상 전송이나 화면 표시를 차단할 수 있으며, 또한 기 설정된 대체영상을 자동으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The mobi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lock image transmission or screen display when an image input through a camera during a video call is less than a reference image quality or a camera is hidden and can also automatically transmit a predetermined alternative image have.

휴대 단말기, 영상통화, 영상전송 Mobile terminal, video call, video transmission

Description

휴대 단말기 및 그 휴대 단말기의 영상전송과 화면표시 방법{Portable terminal and its image transfer and screen display method}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영상통화 중 카메라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의 상태의 상태를 판단하여, 그 상태에 따라 영상의 전송과 영상통화 표시 화면을 제어하는 방법 및 그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determining a state of an image input through a camera during a video call, controlling transmission of the image and a video call display screen according to the state, and a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function.

종래 기술에 따른 영상통화용 휴대 단말기는 카메라를 통해 입력되는 모든 영상을 그 상태 그대로 전송하였다. 예를 들어, 영상통화 중 카메라가 가려지거나, 통화 장소가 아주 어두워 카메라의 입력 영상을 구분할 수 없을 정도로 화질이 떨어질 경우에도, 상기 카메라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을 그대로 상대방에게 전송하거나 화면으로 표시하였다.The portable terminal for video call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transmits all the images inputted through the camera in the same state. For example, even when the camera is blocked during a video call or the image quality is deteriorated to such an extent that the input image of the camera can not be distinguished because the calling place is very dark, the image input through the camera is directly transmitted to the other party or displayed on the screen.

본 발명은 영상통화 중 카메라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의 상태에 따라, 영상 전송이나 카메라의 구동을 자동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및 그 휴대 단말기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for automatically shutting down a video transmission or a camera in accordance with the state of an image input through a camera during a video call, and a portable terminal.

또한, 본 발명은 카메라가 특정 사물에 의해 가려지는지 여부를 검출하여, 영상 전송이나 카메라의 구동을 자동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및 그 휴대 단말기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for detecting whether or not a camera is blocked by a specific object so as to automatically shut off image transmission or camera driving, and a portable terminal thereof.

또한, 본 발명은 영상통화 중 카메라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의 화질이나 카메라의 가려짐 여부를 판단하여, 그 상황에 따라 기 설정된 특정 대체영상을 자동으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및 그 휴대 단말기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automatically determining a quality of an image input through a camera during a video call or whether a camera is hidden, and automatically transmitting a predetermined alternative video according to the status, and a portable terminal There is a purpose.

본 발명은 단말 또는 서버와 영상 또는 음성 통화를 위한 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부와; 영상통화 또는 사진촬영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와; 영상통화 중 통화 영상이나 오디오를 출력하는 출력부와; 영상통화 중 카메라를 통해 입력된 광량의 변화에 따라, 그 영상의 전송 또는 화면 표시를 차단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상기 목적을 실현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munication terminal for transmitting / receiving a signal for video or voice communication with a terminal or a server, At least one camera for video call or photo taking; An output unit for outputting a call image or audio during a video call; And a controller for blocking transmission or display of the image in accordance with a change in the amount of light input through the camera during a video call.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영상통화 중 카메라를 통해 입력되는 광량 또는 휘도의 변화에 따라 카메라의 가려짐을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광량 또는 휘도의 변화량이 특정 설정값 이상인 경우, 상기 카메라를 통해 입 력되는 영상의 전송이나 화면표시를 자동으로 차단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목적을 실현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detecting a blindness of a camera in accordance with a change in an amount of light or luminance input through a camera during a video call; And a process of automatically transmitting an image input through the camera or screen display when the amount of change in the amount of light or luminanc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specific set value.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는 영상통화 중 카메라를 통해 입력되는 컬러톤, 광량, 휘도값, 또는 그 각각의 변화량에 따라 영상의 상태를 판단하여, 그 영상의 전송이나 화면 표시를 자동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The portab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s the state of an image according to a color tone, a light amount, a luminance value, or a variation amount of each of the color tones, the light amount, and the luminance amount inputted through a camera during a video call, It is effective.

또한,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는 카메라가 가려지는지 여부를 검출하여, 영상 전송이나 영상의 화면 표시, 또는 카메라의 구동을 자동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ortab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whether the camera is hidden or not, thereby enabling the image transmission, the image display, or the camera operation to be automatically interrupted.

또한,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는 영상통화 중 카메라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의 화질이나 카메라가 가려지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기 설정된 대체 영상 또는 사용자가 선택한 대체 영상을 자동으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ortab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automatically determining whether a video image input through a camera during a video call or a camera is blinded, and automatically transmitting a preset video or a user selected video.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및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for the sake of clarity and conciseness.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denote components performing the same function.

도1은 본 발명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100)는 외부의 단말 또는 서버와 유 선 또는 무선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110)와, 영상통화나 사진 촬영을 위한 카메라부(140)와, 오디오 또는 영상을 출력하는 출력부(130)와, 단말기의 제어를 위한 입력을 받는 입력부(120)와, 단말기에서 수행하는 프로그램 또는 입/출력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150)와, 특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각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컨트롤러(160)로 구성된다. Referring to FIG. 1, a portable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110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 terminal or server in a wired or wireless manner, a camera unit 140 for video call or photographing, An output unit 130 for outputting audio or video data, an input unit 120 for receiving an input for controlling the terminal, a memory 150 for storing programs or input / output data to be executed in the terminal, And a controller 160 for controlling the respective components to perform the functions.

상기 통신부(110)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외부의 단말 또는 소정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통신에는 음성, 화상 및 데이터 통신이 포함되며, 상기 컨트롤러(160)의 제어를 받아 외부의 서버와 접속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10 may communicate with an external terminal or a server providing a predetermined service through 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he communication includes voice, image, and data communication, and can be connected to an external serve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60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상기 입력부(120)는, 마이크(MIC)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의 오디오, 단말기에 구비된 각종 센서(미도시)를 통해 입력되는 센싱정보, 키 패드 또는 터치 패드를 통해 입력되는 정보를 그에 해당하는 신호로 변환하여 컨트롤러(160)에 출력한다. The input unit 120 may include external audio input through a microphone (MIC), sensing information input through various sensors (not shown) included in the terminal, information input through a keypad or a touch pad, And outputs the converted signal to the controller 160.

이때, 상기 입력부(120)에는 카메라의 가려짐을 검출할 수 있는 센서를 구비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터치 센서, 광 센서, 광량 센서, 정전용량 센서, 압력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반드시 상기 센서들로만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센서들의 특성에 따라 카메라에 부착할 수도 있고, 수화기(Receiver)에 부착할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input unit 120 may include a sensor capable of detecting the obscuration of the camera. For example, the input unit 120 may include a touch sensor, an optical sensor, a light amount sensor, a capacitance sensor, a pressure senso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sensors, and it may be attached to a camera or attached to a receiver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the sensors.

상기 카메라부(140)는 상기 컨트롤러(160)의 제어를 받아 사진 촬영이나 영상통화를 수행한다. 상기 카메라부(140)는 사진촬영 또는 영상통화에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으며, 사진촬영 또는 영상통화 각각을 위한 둘 이상의 카메라를 포함할 수도 있다. The camera unit 140 performs photographing or video call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60. The camera unit 140 may include at least one camera that can be commonly used for photographing or video call, and may include two or more cameras for photographing or video call, respectively.

상기 메모리(150)는 상기 영상통화를 포함하여 단말기의 각종 동작제어에 필요한 프로그램, 또는 단말기에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입/출력 데이터들은 상기 카메라부(140)를 통해 촬영된 사진이거나, 영상통화 중 사용자 자신의 단말기를 통해 입력되거나, 상대방 단말기를 통해 전송된 오디오나 영상 데이터가 포함된다.The memory 150 may store a program necessary for controlling various operations of the terminal including the video call, or data input / output to / from the terminal. The input / output data includes a picture photographed through the camera unit 140, audio or video data input through the user's own terminal during video communication or transmitted through the other terminal.

상기 출력부(130)는, 컨트롤러(160)의 제어를 받아 외부의 다른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오디오, 또는 휴대 단말기의 각종 기능수행 시 발생되는 오디오를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 또는 휴대 단말기의 각종 상태정보, 또는 각종 기능수행 시 발생되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한다. The output unit 130 may include at least one speaker for outputting audio transmitted from another external terminal under control of the controller 160 or audio generated when various functions of the portable terminal are performed, Information, or a display for displaying an image generated when various functions are performed.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액정디스플레이(LCD : Liquid Crystal Display), 또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LDE :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는 영상 출력기능에 터치 입력기능을 결합한 터치스크린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Here, the display may be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or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DE), and the display may be a touch screen combining a touch input function with a video output function It is possible.

특히, 상기 출력부(130)는, 영상통화 시 상기 카메라부(140)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또는 상대방 단말기에서 전송되는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한다. 이를 위해, 상기 출력부(130)는, 컨트롤러(160)의 제어를 받아, 화면을 복수의 표시영역으로 분할하여, 일부 표시영역에는 상대방 단말에서 전송된 영상을 출력하고, 다른 표시영역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카메라부(140)를 통해 입력된 영상을 출력한다. 만약, 상대방 단말기에서 전송되는 영상이 없을 경우에는 사용자의 휴대 단말 기 자체의 카메라 입력 영상을 전체화면으로 전환시켜 출력할 수 있다. In particular, the output unit 130 displays at least one of an image input through the camera unit 140 and an image transmitted from a counterpart terminal during a video call. To this end, the output unit 13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60, divides the screen into a plurality of display areas, outputs the image transmitted from the counterpart terminal in a part of the display area, And outputs the image input through the camera unit 140 of the terminal. If there is no image transmitted from the other terminal, the camera input image of the user's portable terminal can be converted into a full screen and output.

상기 컨트롤러(160)는 영상통화 중 사용자에 의해 카메라가 가려졌는지 검출하고, 만약 카메라가 가려졌을 경우 사용자에게 영상통화 의사가 없는 것으로 판단하여, 영상출력 또는 디스플레이의 구동을 일정 시간동안 중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카메라는 사용자가 습관적으로 음성통화를 수행하는 것으로 착각하여 수화기(Receiver)를 귀에 데는 경우, 또는 사용자가 고의적으로 손가락 등을 이용해 카메라 렌즈를 가리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60 detects whether the camera is hidden by a user during a video call and if the camera is hidden, the controller 160 determines that the user does not intend to make a video call and can stop the video output or the display for a predetermined time . For example, the camera may occur when a user mistakenly thinks that a user is habitually making a voice call and puts a receiver in his / her ear, or the user deliberately covers the camera lens using a finger or the like.

이때, 상기 카메라의 가려짐 여부는, 입력부(120)의 영상통화용 카메라를 통해 입력된 영상의 상태를 판단하거나, 또는 수화기에 부착된 특정 센서의 입력이 있는지를 판단하여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영상의 상태는 입력된 영상이 기준화질 이하이거나, 컬러톤이 높아 흑색 화면을 출력하는 경우에 카메라 렌즈가 가려진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카메라가 가려지지 않더라도 너무 강한 빛이 카메라에 입사되는 경우에도 화질이 저하될 수 있다. 또는, 카메라를 통해 입력되는 광량, 휘도, 또는 그 각각의 변화량에 의해 카메라의 가려짐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whether or not the camera is blocked can be determined by determining the state of the image input through the video communication camera of the input unit 120, or by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an input of a specific sensor attached to the receiver. For example, the state of the image can be determined when the input image is less than the reference image quality or the color tone is high, so that the camera lens is hidden when the black image is output. Even if the camera is not covered, The image quality may be deteriorated even when it is incident. Alternatively,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camera is blocked by the amount of light input through the camera, the luminance, or the amount of each change.

이때, 상기 화질의 객관적인 평가 방법으로는 PSNR(Peak Signal-to-Noise Ratio)이 있으며, 그 이외에도 픽셀 스캐닝(Pixcel scanning), 프레임 레이트(frame rate), 또는 조도에 의해 분석할 수 있다. 최근 개선된 화질 평가 방법이 계속 개발되고 있으므로, 그 중 적절한 알고리즘을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At this time, an objective evaluation method of the image quality is a PSNR (Peak Signal-to-Noise Ratio), and it can be analyzed by pixel scanning, frame rate, or illumination. Since recently improved image quality evaluation methods have been continuously developed, appropriate algorithms can be selectively used.

또한, 본 발명에서는 영상의 컬러톤에 의해 카메라의 가려짐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화상 통화 중 단말 사용자가 카메라 렌즈부위를 손으로 가릴 경우, 사용자의 영상은 특정한 컬러톤(예 : black)으로 바뀌게 된다. 이에 따라, 컨트롤러는 사용자 자신의 영상을 전송하지 않기를 바란다고 판단하여 일시적으로 영상 전송을 중단하고 대체영상을 전송한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camera is covered by the color tone of the image. That is, when the terminal user hides the camera lens portion by hand during a video call, the user's image is changed to a specific color tone (for example, black). Accordingly, the controller determines that it desires not to transmit the user's own image, suspends the image transmission temporarily, and transmits the substitute image.

상기와 같이 컬러톤에 의해 영상의 상태를 판단할 경우 별도의 센서를 필요로 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state of the image is determined by the color tone, there is no need of a separate sensor.

상기와 같이 카메라의 입력 영상을 전송할 수 없을 경우, 컨트롤러(160)는 대체 영상을 전송할 수 있으며, 상대방이 지루해 하지 않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대체영상을 순차로 순환(rotation)시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대체영상은 컨트롤러(160)에서 자동으로 순환시키거나, 사용자에 의해 카메라를 반복적으로 가리거나, 특정 버튼이 반복적으로 입력되거나, 카메라 또는 수화기에 구비된 특정 센서를 통해 반복적인 입력이 있을 때마다 다른 대체영상으로 변경 또는 순환시킬 수 있다.In the case where the input image of the camera can not be transmitted, the controller 160 may transmit the substitute image, and may rotate the at least one substitute image sequentially in order to prevent the other person from being bored. At this time, the substitute image may be automatically circulated by the controller 160, repeatedly hiding the camera by the user, repeatedly inputting a specific button, repeated input through a specific sensor provided in the camera or the receiver It can be changed or rotated to another alternative image every time.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를 통해 입력된 영상의 전송과 그 영상의 화면표시를 위한 제어 과정에 대해서 도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process of transmitting an image input through the camera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controlling the screen display of the im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영상통화 중 입력된 영상의 상태에 따른 영상의 전송과 표시를 제어하는 과정을 보인 일 예의 순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100)는 상대방과 영상통화 호를 연결하여 영상통화 상태로 진입한다(S101). FIG.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emplary process of controlling transmission and display of an image according to the state of an input image during a video call in the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2, Connects the video call with the other party and enters the video call state (S101).

여기서, 상기 영상통화 상태란, 상대방 단말기와 음성과 영상을 이용해 통화를 수행하는 상태이다. 상기 영상통화 상태에서는 상대방 단말기에서 전송된 영상과 사용자 단말기에서 입력된 영상을 하나의 화면에 출력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어느 일측 영상만을 화면에 출력할 수 있고, 다른 영상(또는 동영상)을 대체하여 전송할 수도 있다. Here, the video call state refers to a state in which a call is performed using a voice and an image with a counterpart terminal. In the video call state, it is possible to output the video transmitted from the partner terminal and the video input from the user terminal on one screen, and only one video can be outputted on the screen by the user's selection, May be replaced and transmitted.

통상적으로, 상기 영상통화 중에는 사용자가 습관적으로 음성통화를 위해 단말의 수화기(Receiver)를 귀에 데거나, 돌발 상황의 발생 또는 일시적으로 영상 전송을 방지하기 위해, 손가락 등을 이용해 카메라의 렌즈를 가리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Typically, during the video call, a user hides a lens of a camera using a finger or the like in order to allow a user to habitually receive a receiver of the terminal for voice communication,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an unexpected situation, Can occur.

이때, 컨트롤러(160)는 상기 카메라를 통해 입력되는 컬러톤, 광량, 휘도 또는 그 각각의 변화량에 의해 카메라의 가려짐 또는 영상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으며,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 렌즈(141), 또는 수화기(Receiver)(131) 주위에 부착된 센서(121)를 통해 입력되는 센싱정보를 분석하여(S102), 카메라를 통해 입력된 영상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판단된 영상의 상태에 따라 전송이 가능한 상태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S103). At this time, the controller 160 can determine the state of the image or the shading of the camera based on the color tone, the amount of light, the luminance, or the variation amount of each of the color tone, the light amount, and the luminance amount inputted through the camera. The sensing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sensor 121 attached to the periphery of the receiver 141 or the receiver 131 is analyzed (S102), and the state of the image input through the camera can be determined. In operation S103,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ransmission is possible according to the determined state of the image.

여기서, 전송이 가능한 상태의 영상이란, 영상을 전송받은 상대방이 그 영상을 식별할 수 있는 정도의 상태를 갖는 영상을 의미하며, 전송이 어려운 상태의 영상이란, 영상을 전송하더라도 그 영상을 전송받은 상대방이 식별할 수 없는 정도의 상태를 갖는 영상이다. 이때, 상기 영상이 식별 가능한지 여부는 개인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특히 카메라가 가려지는 경우, 광량이 아주 많거나 적어 서 배경과 사용자(피사체)를 구분할 수 없거나, 컬러톤(특히 흑색)이 기준치 이상인 경우에 영상 전송이 어려운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Here, the image in a state in which transmission is possible means an image having a state such that the other party to which the image is transmitted can identify the image. In the image in a state in which transmission is difficult, It is an image with a state that the other party can not identify. In this case, when the camera is hidden, the amount of light is very large or small so that the background and the user (the subject) can not be distinguished, or the color tone (especially black) If it is higher than the reference value, it can be judged that image transmission is difficult.

예를 들어, 상기 영상이 전송 가능한지 여부는, 영상의 컬러톤이 특정 설정값 이하이면 영상 전송이 가능한 상태로 판단할 수 있고, 영상의 컬러톤이 특정 설정값 이상이면 영상 전송이 어려운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를 통해 입력된 광량, 컬러톤, 휘도값이 특정 설정값 이하일 경우의 영상은 전송이 어려운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량, 컬러톤, 휘도값의 변화량이 특정 값 이상일 경우에 전송이 어려운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특정 설정값은 가변할 수 있는 값으로, 단말기 설계 시 디폴트 값으로 설정할 수도 있고, 메뉴를 이용해 사용자가 직접 설정하게 할 수도 있다.For example, whether or not the image can be transmitted can be determined to be a state in which image transmission is possible if the color tone of the image is equal to or less than a specific set value. If the color tone of the imag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specific set value, can do. In addition, if the amount of light, color tone, and luminance value inputted through the camera is less than a specific set value,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image is difficult to transmit. Further, when the amount of change in the light amount, color tone, and luminance valu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specific value,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transmission is difficult. At this time, the specific set value may be a variable value, and may be set to a default value when designing a terminal, or may be set by a user using a menu.

상기와 같이 카메라를 통해 입력된 영상이 흑색화면(예 : 컬러톤이 높은경우 또는 광량, 휘도가 적거나 낮은 경우), 백색화면(예 : 광량, 휘도가 많거나 높은 경우)이거나, 갑자기 밝아지거나 어두워지는 경우(예 : 광량, 휘도, 컬러톤에 급격한 변화가 있는 경우), 컨트롤러(160)는 영상전송이 어려운 것으로 판단하여, 통신부(110)를 제어하여, 카메라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의 전송을 차단하거나(S104), 기 설정된 대체 이미지, 동영상, 안내 메시지 등을 전송한다(S105). As described above, when the image input through the camera is a black screen (e.g., when the color tone is high or the amount of light, the brightness is low or low), the white screen (when the amount of light is high or high) The controller 160 determines that the image transmission is difficult and controls the communication unit 110 to transmit the image input through the camera to the control unit 160. [ (S104), and transmits a predetermined alternative image, moving image, guidance message or the like (S105).

가령, 상기 안내 메시지는 '잠시만 기다리세요'와 같이, 통신은 가능하지만 단말기의 카메라 입력에 이상이 발생하여 화면이 전송되지 않음을 상대에게 안내하는 메시지가 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guide message may be a message indicating that the communication is possible but the camera input of the terminal is abnormal and the screen is not transmitted, such as 'Wait for a moment'.

상기와 같이 카메라 렌즈가 가려질 경우, 컨트롤러(160)는 카메라부를 제어 하여 카메라의 구동을 차단하거나(S106), 출력부를 제어하여 디스플레이에 카메라 입력영상을 출력시키지 않거나 디스플레이의 구동 자체를 중지시킬 수 있다(S107). When the camera lens is hidden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ler 160 controls the camera unit to shut off the camera (S106), or controls the output unit so as not to output the camera input image to the display or stop the display itself (S107).

이때, 컨트롤러(160)는 카메라 렌즈의 가려짐이 해제되거나, 카메라를 통해 입력된 영상을 화면에 표시하지 않더라도, 주기적으로 그 영상의 상태를 판단하여 특정 기준화질 이상으로 회복되면(S108, S103), 상기 카메라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의 전송을 자동으로 재개한다(S111 ~ S113). At this time, the controller 160 periodically determines the state of the image even if the camera lens is not blocked or the image inputted through the camera is not displayed on the screen, and if the image is restored to a predetermined reference image quality or more (S108, S103) , And automatically resumes transmission of the image input through the camera (S111 to S113).

이때, 상기 기준화질 이상이란, 영상의 컬러톤이 기준치 이하인 화질, 일정 범위 이내의 광량을 갖는 화질, 광량의 변화량이 일정 값이 이하인 화질로 판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reference picture quality abnormality can be determined as an image quality in which a color tone of an image is lower than a reference value, an image quality having a light quantity within a certain range, and an image quality in which a variation amount of the light quantity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value.

만약, 카메라의 제어 또는 영상 전송에 관련된 특정 메뉴(예: 강제전송, 강제 화면표시, 강제 카메라구동 등), 버튼, 또는 센서의 입력을 검출하여 강제 영상전송(또는, 화면표시, 카메라 구동)을 재개할 수도 있다(S108). 상기 과정에서 컨트롤러(160)는 출력부를 제어하여 사용자에게 영상의 전송을 재개할 지 묻는 안내 메시지를 출력하고(S109), 그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을 받아 전송을 재개할 수 있다(S110 ~ S113). If a specific menu related to camera control or image transmission (eg, forced transmission, forced screen display, forced camera operation, etc.), button, or sensor input is detected and forced video transmission (S108). In operation S109, the controller 160 controls the output unit to display a message asking the user to resume transmission of the image (S109). The controller 160 can resume the transmission of the selected message (S110 to S113).

이하에서는, 상기 영상통화 중 카메라 입력영상의 상태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판단된 영상의 상태에 따라 영상전송 또는 화면표시를 제어하는 과정을 구분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process of determining the state of the camera input image during the video call and a process of controlling the video transmission or the screen display according to the determined state of the video will be separately described.

먼저, 도4A는 수신된 호(call)가 영상통화 호 인데도 불구하고, 사용자가 마치 음성통화 호 인것처럼 전화 통화를 수행하는 예를 보인 도면이고, 도4B는 영상 통화 중 손가락 등을 이용해 사용자가 고의적으로 카메라 렌즈를 가림으로써, 카메라의 입력을 차단하는 예를 보인 도면이다.4A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a user performs a telephone conversation as if the received call is a video call but a user as if the call was a voice call. Fig. 5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input of the camera is interrupted by intentionally covering the camera lens.

도4B와 같이 영상통화 호를 음성통화 호처럼 수신하여 통화할 경우, 휴대 단말기의 수화기(131)가 사용자의 귀에 닿아 있으며, 이 경우 도4B와 마찬가지로 카메라(141)는 사용자의 얼굴에 가려져 카메라의 입력이 차단된다.4B, the handset 131 of the portable terminal is in contact with the user's ear. In this case, the camera 141 may be hidden from the user's face, as shown in FIG. 4B, Input is interrupted.

이에 따라, 컨트롤러(160)는 수화기(131)에 부착된 특정 센서(121)를 통해 상기 카메라 렌즈의 가려짐을 검출하거나, 카메라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의 상태를 분석하여, 만약 상기 영상이 흑색화 되는 경우에 영상통화가 어려운 상태로 판단한다. 한편, 상기 설명한 실시예 이외에도 카메라가 강한 빛에 노출되는 경우에 입력영상이 갑자기 백색화 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도 컨트롤러(160)는 영상통화가 어려운 상태임을 판단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controller 160 detects the closure of the camera lens through the specific sensor 121 attached to the handset 131, analyzes the state of the image input through the camera, and if the image is blackened It is determined that the video call is difficult. Meanwhile,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when the camera is exposed to strong light, the input image may suddenly become whitened. In this case, the controller 160 can determine that the video call is difficult.

상기와 같이 카메라 렌즈(141)가 가려지는 등의 이유에 의해, 카메라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의 상태가 특정 기준화질 이하인 경우, 상기 도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컨트롤러(160)는 통신부를 제어하여 카메라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의 전송을 차단하거나, 기 설정된 대체 이미지, 동영상, 안내 메시지 등을 전송한다. 또는 카메라부를 제어하여 카메라의 구동을 차단하거나, 출력부를 제어하여 카메라의 입력영상을 표시하지 않거나, 디스플레이의 구동을 중지시킬 수 있다.2, when the state of the image input through the camera is lower than or equal to the specific reference image quality due to the reason that the camera lens 141 is blocked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ler 160 controls the communication unit, A transmission of a predetermined alternative image, a moving image, a guidance message, and the like are transmitted. Or the camera unit may be controlled to block the driving of the camera, or the output unit may be controlled so as not to display the input image of the camera, or the driving of the display may be stopped.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사용자 또는 단말기의 주변환경에 의해 카메라 입력이 차단되거나 영상통화가 어렵다고 판단될 경우, 영상전송 또는 화면표시를 제어하는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controlling image transmission or screen display when camera input is interrupted or the video communication is difficult due to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f the user or the terminal,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5A는 상기 카메라를 통해 입력된 영상의 전송이나 카메라의 구동을 차단할 경우, 기 설정된 특정 대체 영상을 전송하는 예를 보인 도면이다. FIG. 5A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transmitting a predetermined specific substitute image when transmission of an image input through the camera or operation of the camera is interrupted.

상술한 바와 같이, 카메라가 가려지거나 카메라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의 화질이 기준화질 이하가 될 경우, 컨트롤러(160)는 자동으로 영상의 전송 또는 카메라의 구동을 차단할 수 있으며, 안내메시지(210)를 출력한 후 사용자의 선택을 받아 차단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image quality of an image blocked by a camera or inputted through a camera becomes lower than a reference image quality, the controller 160 can automatically block the transmission of images or the driving of the camera, After output, the user's choice can be blocked.

만약, 상기 안내메시지(210) 출력 후 일정시간 이상 사용자의 선택이 없을 경우, 컨트롤러(160)는 카메라 입력영상의 전송, 카메라 입력영상의 화면표시 또는 카메라의 구동을 자동으로 차단시킬 수 있다.If no user is selected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after the guidance message 210 is output, the controller 160 may automatically block transmission of a camera input image, screen display of a camera input image, or driving of the camera.

상기와 같이 카메라의 구동을 차단하거나, 카메라를 통해 입력된 영상의 표시나 전송을 차단할 경우, 기 설정된 대체영상을 전송할 수 있으며, 그 대체영상이 카메라의 입력영상 표시영역(220)에 대신 표시될 수 있다. When the driving of the camera is interrupted or the display or transmission of the image input through the camera is interrupted as described above, the predetermined alternative image can be transmitted, and the alternative image may be displayed in the input image display area 220 of the camera instead .

또는, 메모리(150)에 저장된 대체 영상들의 파일 리스트(230)를 출력하고, 상기 카메라 입력영상 표시영역(220)을 프리뷰(Preview) 표시영역으로 이용하여, 상기 대체영상 파일 리스트에서 선택되는 파일의 프리뷰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Or a file list 230 of alternative images stored in the memory 150 and uses the camera input image display area 220 as a preview display area to display a file list A preview image can be output.

도5B는 상기 카메라를 통해 입력된 영상의 전송이나 카메라의 구동을 차단할 경우, 상대방 영상의 사이즈를 더 크게 조절하여 표시하는 예를 보인 도면이다. 5B is a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the size of the other party image is adjusted to be larger when the transmission of the image input through the camera or the driving of the camera is interrupted.

상기와 같이 카메라의 구동을 차단하거나, 카메라를 통해 입력된 영상의 전송을 차단할 경우, 컨트롤러(160)는 카메라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의 사이즈를 줄이고, 대신 상대방 단말에서 전송된 영상(240)의 사이즈를 더 크게 표시할 수 있다. 즉, 중요하지 않은 대체영상이나 흑색으로 표시되는 화면을 작게 표시하는 것이다.The controller 160 may reduce the size of the image input through the camera and may reduce the size of the image 240 transmitted from the counterpart terminal, Can be displayed in a larger size. That is, it displays a non-important substitute image or a black screen.

한편, 상기 대체영상은 상기와 같이 파일 리스트를 출력한 후 사용자의 선택을 받아 변경할 수도 있고, 특정 버튼이 입력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카메라가 가려질 경우에 순차로 교체할 수도 있으며, 대체영상을 전송하기 위한 상황별 옵션도 환경설정 메뉴에서 미리 설정할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replacement image may be changed in response to a user's selection after outputting the file list as described above, or may be sequentially changed when a specific button is input or the camera is hidden by the user. Alternatively, You can also set up context-sensitive options in the Preferences menu.

예컨대, 상기 상황별 옵션에는 카메라를 구동하지 않을 경우, 카메라를 가렸을 경우, 강제로 대체영상을 전송할 경우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그 대체영상의 전송을 시작하기 위한 시간, 및 각 상황에 따라 대체영상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메뉴의 각 항목에 대한 도움말을 표시할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context-based options may include a case in which the camera is not driven, a case in which the camera is hidden, a case in which a substitute image is forcibly transmitted, and the like. The time for starting transmission of the substitute image, Make it possible to set different images. At this time, help for each item of the menu may be displayed.

상기 환경설정 메뉴를 설정하기 위한 방법의 일 예는 도6에 도시되어 있다. An example of a method for setting the configuration menu is shown in Fig.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차단되었던 영상의 전송이나 카메라 구동을 재개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for resuming transmission of a video or camera driving that has been interrupt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도7A는 상기 카메라의 가려짐이 해제되거나 영상의 상태가 좋아질 경우, 영상전송이나 카메라 구동을 자동으로 재개하는 예를 보인 도면이다. FIG. 7A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utomatically resuming image transmission or camera operation when the camera shake is released or the image quality is improved.

예를 들어, 상기 도4A와 같이 음성통화 방식으로 통화하던 사용자가, 영상통화 중 임을 인식하여 수화기(131)를 귀에서 뗄 경우, 상기 카메라 또는 수화기(Receiver)에 부착된 센서(121)를 통해 입력되던 정보의 상태가 바뀜으로써, 컨트롤러(160)는 카메라(141)의 가려짐이 해제되었음을 감지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user who is talking on the voice communication method recognizes that the user is in a video communication and disconnects the handset 131 from the ear as shown in FIG. 4A, the user may be able to access the receiver 121 through the sensor 121 attached to the camera or the receiver The state of the inputted information is changed so that the controller 160 can detect that the cover of the camera 141 is released.

이에 따라, 컨트롤러(160)는 영상전송을 재개할 수 있음을 판단하여 자동으로 전송을 시작한다. 이때, 영상전송이 가능함을 알리는 안내메시지(311)를 출력하 고, 사용자가 그 안내메시지(311)를 참조하여 전송을 재개하도록 선택할 경우에 전송을 시작할 수 있다. 물론, 카메라의 구동을 재개하는 경우에도 상기와 마찬가지 방법으로 구동을 재개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controller 160 determines that the image transmission can be resumed and automatically starts transmission. At this time, a guide message 311 indicating that the image transmission is possible is output, and when the user selects to resume the transmission with reference to the guidance message 311, the transmission can be started. Of course, when the camera is restarted, the driving can be resumed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카메라 렌즈(141)의 가려짐이 해제될 경우, 컨트롤러(160)는 상기 카메라를 통해 입력된 영상이 기준화질 이상인지 판단하고, 그 상태가 기준화질 이상인 경우에 영상의 전송을 자동으로 재개한다.More specifically, when the cover of the camera lens 141 is released, the controller 160 determines whether the image input through the camera is the reference image quality or more, and transmits the image when the state is equal to or higher than the reference image quality Resume automatically.

도7B는 상기 카메라를 통해 입력된 영상의 상태가 비록 좋지 않더라도, 영상전송이나 카메라 구동을 사용자에 의해 강제로 재개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FIG. 7B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forcibly resuming the image transmission or the camera driving by the user even if the state of the image inputted through the camera is not good.

예를 들어, 사용자가 고의적으로 카메라를 가리지 않고, 단순히 주변환경이 너무 어둡거나 너무 밝아서 카메라를 통해 입력된 영상의 상태가 좋지 않을 경우, 사용자는 비록 화질이 좋지않은 영상이라도 전송을 원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user deliberately does not select the camera, simply because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s too dark or too bright, and the state of the image input through the camera is not good, the user may want to transmit the image even if the image quality is poor.

이때,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로부터 특정 메뉴(예 : 강제전송) 또는 버튼을 입력하여 영상전송이나 카메라 구동을 재개시킬 수 있다.At this time, the portab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sume video transmission or camera operation by inputting a specific menu (e.g., forced transmission) or button from the user.

물론, 상기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강제로 영상전송을 재개하는 경우에도, 컨트롤러(160)는 영상전송을 수행할 것인지 확인하는 안내메시지(312)를 출력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전송을 재개하거나, 영상전송을 위한 카메라 구동을 재개한다.Of course, in the case where the controller 160 forcibly resumes the image transmission by the user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ler 160 outputs a guidance message 312 confirming whether or not to perform image transmission, resumes transmission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Resume camera operation for video transmission.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설명하였다. 여기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 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In the foregoing,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ere, the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meanings, but should be constru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mere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not all of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various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may be present.

도 1은 본 발명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영상통화 중 입력된 영상의 상태에 따라 영상의 전송과 표시를 제어하는 과정을 보인 순서도.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도 3은 본 발명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에 센서와 카메라가 부착되는 일 예를 보인 도면.3 is a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a sensor and a camera are attached to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a는 본 발명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일 예의 영상통화 방법을 보인 도면.4A is a diagram illustrating a video communication method using an exemplary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b는 본 발명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영상통화 중 카메라를 가리는 일 예를 보인 도면.4B is a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covering a camera during a video call using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a는 본 발명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에서 대체 영상을 전송하는 예를 보인 도면.FIG. 5A illustrates an example of transmitting a substitute image in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5b는 본 발명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에서 영상의 사이즈를 조절하여 표시하는 예를 보인 도면.FIG. 5B is a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a size of an image is adjusted and displayed in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6은 본 발명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에서 대체영상을 설정하기 위한 환경설정 메뉴의 일 예를 보인 도면.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onfiguration menu for setting a substitute image in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a는 본 발명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에서 영상전송이나 카메라 구동을 자동으로 재개하는 예를 보인 도면.FIG. 7A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utomatically restarting image transmission or camera operation in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7b는 본 발명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에서 영상전송이나 카메라 구동을 강제로 재개하는 예를 보인 도면.FIG. 7B is a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forcibly resuming image transmission or camera driving in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0002]

110 : 통신부 120 : 입력부110: communication unit 120: input unit

130 : 출력부 140 : 카메라부130: output unit 140: camera unit

150 : 메모리 160 : 컨트롤러150: memory 160: controller

Claims (16)

단말 또는 서버와 영상 또는 음성 통화를 위한 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부와;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ignal for video or voice communication with a terminal or a server; 영상통화 또는 사진촬영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와;At least one camera for video call or photo taking; 영상통화 중 통화 영상이나 오디오를 출력하는 출력부와;An output unit for outputting a call image or audio during a video call; 영상통화 중 카메라를 통해 입력되는 광량 또는 휘도의 변화량이 특정 설정값 이상인 경우 상기 카메라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의 전송이나 화면표시를 자동으로 차단하고, 상기 광량 또는 휘도의 변화량이 상기 특정 설정값 이하인 경우 상기 카메라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의 전송이나 화면표시를 자동으로 재개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휴대 단말기.When the amount of change in the amount of light or brightness input through the camera during a video call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specific set value, transmission of an image input through the camera or screen display is automatically interrupted, and when the amount of change in the amount of light or luminance is less than And a controller for automatically restarting transmission of an image input through the camera or screen displa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The mobile terminal of claim 1, 카메라 또는 수화기에 카메라의 가려짐을 판단하기 위한 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And a sensor for determining whether the camera is covered by the camera or the handse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2. The apparatus of claim 1, 영상통화 중 카메라를 통해 입력되는 광량 또는 휘도가 특정 설정값 이하인 경우에 영상의 전송 또는 화면 표시를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Wherein when the amount of light or brightness input through the camera during a video call is less than or equal to a specific set value, transmission of the video or screen display is block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2. The apparatus of claim 1, 상기 카메라를 통해 입력된 현재 영상과 이전 영상의 휘도를 비교하여 급격한 변화가 있을 경우에 영상의 전송 또는 화면 표시를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 는 휴대 단말기.Wherein the portable terminal compares the luminance of the current image input through the camera with the luminance of the previous image and intercepts transmission or display of the image when there is a sudden chang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2. The apparatus of claim 1, 영상통화 중 카메라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의 컬러톤이 특정 설정값 이상인 경우에 영상의 전송 또는 화면 표시를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Wherein when the color tone of the image input through the camera during the video communication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specific set value, the transmission of the image or the screen display is block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The mobile terminal of claim 1, 상기 전송 또는 화면출력이 차단된 영상을 사용자에 의해 강제로 제어할 수 있는 메뉴, 버튼,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And at least one of a menu, a button, and a sensor capable of forcibly controlling an image of which transmission or screen output is blocked by a us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2. The apparatus of claim 1, 상기 카메라를 통해 입력된 영상의 전송을 차단할 때 마다 기 설정된 특정 대체영상들을 순차로 순환시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And sequentially transmits predetermined specific substitute images to the portable terminal whenever a transmission of an image input through the camera is interrupted.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9. The apparatus of claim 8, 대체영상을 전송할 경우, 그 대체영상의 선택을 위한 리스트와 그 리스트에서 선택된 대체영상의 프리뷰(Preview) 화면을 출력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Wherein when the substitute image is transmitted, a list for selecting the substitute image and a preview screen of the substitute image selected from the list are displayed on the output unit. 영상통화 중 카메라를 통해 입력되는 광량 또는 휘도의 변화에 따라 카메라의 가려짐을 판단하는 과정과;Determining whether the camera is blinded according to a change in the amount of light or luminance input through the camera during a video call; 상기 광량 또는 휘도의 변화량을 특정 설정값과 비교하고, 상기 광량 또는 휘도의 변화량이 특정 설정값 이상인 경우 상기 카메라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의 전송이나 화면표시를 자동으로 차단하고, 상기 광량 또는 휘도의 변화량이 상기 특정 설정값 이하인 경우 상기 카메라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의 전송이나 화면표시를 자동으로 재개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영상전송 및 화면표시 방법.The control unit automatically compares the amount of change in the amount of light or brightness with a specific set value and automatically blocks transmission or screen display of the image input through the camera when the amount of change in the amount of light or brightness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specific set value, And automatically restarting transmission or display of an image input through the camera when the predetermined setting value is less than the predetermined setting value. 삭제delete 제10항에 있어서, 11. 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영상통화 중 카메라를 통해 입사되는 광량 또는 휘도가 특정 설정값 이하인 경우 영상의 전송이나 화면표시를 자동으로 차단하는 과정;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영상전송 및 화면표시 방법.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automatically shutting off transmission of the image or screen display when the amount of light or luminance incident through the camera during the video call is less than a specific set value. 제10항에 있어서, 11. 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영상통화 중 카메라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의 컬러톤이 특정 설정값 이상인 경우에 영상의 전송이나 화면표시를 자동으로 차단하는 과정;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영상전송 및 화면표시 방법.And a step of automatically shutting off transmission or display of the image when the color tone of the image input through the camera during the video call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specific set value.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의 전송을 차단할 때마다 기 설정된 특정 대체영상들을 순차로 순환시켜 전송하는 과정;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영상전송 및 화면표시 방법.The method as claimed in claim 10,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when the transmission of the image is interrupted, sequentially transmitting predetermined predetermined alternate images and transmitting the images.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를 통해 입력된 영상의 전송을 차단할 경우,The method as claimed in claim 10, wherein, when the transmission of the image input through the camera is interrupted, 상대 단말에서 전송된 영상을 전체 화면으로 표시하는 과정;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영상전송 및 화면표시 방법.And displaying the image transmitted from the counterpart terminal in a full screen mod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를 통해 입력된 영상의 전송을 재개하는 경우,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when resuming transmission of the image input through the camera, 영상전송을 재개할지 묻는 안내메시지를 출력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재개하는 과정;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영상전송 및 화면표시 방법.And outputting a message asking whether to resume the image transmission and resuming the selection according to the selection of the user.
KR1020070074242A 2007-07-24 2007-07-24 Portable terminal and its image transfer and screen display method KR10139291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4242A KR101392917B1 (en) 2007-07-24 2007-07-24 Portable terminal and its image transfer and screen display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4242A KR101392917B1 (en) 2007-07-24 2007-07-24 Portable terminal and its image transfer and screen display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0831A KR20090010831A (en) 2009-01-30
KR101392917B1 true KR101392917B1 (en) 2014-05-09

Family

ID=40489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4242A KR101392917B1 (en) 2007-07-24 2007-07-24 Portable terminal and its image transfer and screen display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2917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895639A (en) * 2010-08-12 2010-11-24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Method for displaying data and mobile terminal
CN114296667A (en) * 2021-03-11 2022-04-08 海信视像科技股份有限公司 Display devi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3106B1 (en) 2006-11-29 2008-05-28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its operating method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3106B1 (en) 2006-11-29 2008-05-28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its operating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0831A (en) 2009-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60921B2 (en) Portable electronic equipment with automatic control to keep display turned on and method
US7677817B2 (en) Device comprising camera elements
CN107038037B (en) Display mode switching method and device
US7555141B2 (en) Video phone
US20090036158A1 (en) Projector-attached electronic equipment
EP2316115B1 (en) Improved display for conditions of high ambient brightness
KR20060087744A (en)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 the data using afterimage in wireless terminal
KR20130071808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creen brightness in portable terminal
JP2002111801A (en) Mobile telephone device
US20180338029A1 (en) Method and device for switching display mode
KR20040100746A (en) Device and method for compensating photographing of back light in mobile telephone with camera
KR101392917B1 (en) Portable terminal and its image transfer and screen display method
JP4647552B2 (en) Portable device
KR100663455B1 (en)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screen response to surroundings illumination
CN113360052A (en) Page display adjusting method and device, mobile terminal and storage medium
KR20010056621A (en) Translucency type lcd back light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camera telephone therefor
CN112911066A (en) Device control method, device and medium
KR100602722B1 (en)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flash lightness automatically
CN114205566A (en) Photosensitive element, photosensitive control method, photosensitive control device and medium
KR100456738B1 (en) Method for improving transmission rate of data in mobile telephone
CN112543280A (en) Image acquisition method and device, mobile terminal and storage medium
JP5526741B2 (en)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DEVICE CONTROL METHOD, AND COMMUNICATION DEVICE CONTROL PROGRAM
KR100576915B1 (en) Apparatus For Automatic Controlling Camera Frame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60068393A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camera and photographing controlling the same
CN115129286A (en) Display brightness adjusting method and device, mobile terminal and storage medi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