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2590B1 -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relay device, transmission source device and control device - Google Patents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relay device, transmission source device and control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2590B1
KR101392590B1 KR1020127017768A KR20127017768A KR101392590B1 KR 101392590 B1 KR101392590 B1 KR 101392590B1 KR 1020127017768 A KR1020127017768 A KR 1020127017768A KR 20127017768 A KR20127017768 A KR 20127017768A KR 101392590 B1 KR101392590 B1 KR 1013925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de
relay
information
transmission source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776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102757A (en
Inventor
나오마사 이와하시
타카시 니시무라
Original Assignee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0056487A external-priority patent/JP5353774B2/en
Priority claimed from JP2010056486A external-priority patent/JP5402739B2/en
Application filed by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1027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275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25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259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24Connectivity information management, e.g. connectivity discovery or connectivity upd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0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 H04W40/1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based on transmission quality or channel quality
    • H04W40/14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based on transmission quality or channel quality based on sta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33Random access procedures, e.g. with 4-step acc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무선 통신 시스템(9)은, 복수의 장치를 중계하여 장치 사이에서 데이터의 통신을 행한다. 무선 통신 시스템(9)은, 데이터의 송신원이 되는 송신원 장치(11)와, 데이터의 송신처가 되는 송신처 장치(12)와, 송신원 장치(11)와 송신처 장치(12)와의 사이에 위치하여, 송신원 장치(11)로부터 송신처 장치(12)까지의 데이터의 통신을 중계하는 중계 장치(13a, 13b)를 갖는다. 중계 장치(13a, 13b)는, 통신 경로를 파악하기 위해 필요한 중계 정보를 기억하는 중계 정보 기억 수단을 구비한다. 송신원 장치(11)는, 중계 정보 기억 수단에 의해 기억된 중계 정보를 수집하는 중계 정보 수집 수단을 구비한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9 relays a plurality of apparatuses to perform data communication between the apparatuses.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9 includes a transmission source apparatus 11 as a transmission source of data, a transmission destination apparatus 12 as a transmission destination of data, and a transmission destination apparatus 12 located between the transmission source apparatus 11 and the transmission destination apparatus 12, And relay apparatuses 13a and 13b for relaying the communication of data from the apparatus 11 to the transmission destination apparatus 12. The relay apparatuses (13a, 13b) include relay information storage means for storing relay information necessary for grasping a communication path. The transmission source apparatus (11) includes relay information collection means for collecting relay information stored by the relay information storage means.

Figure R1020127017768
Figure R1020127017768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 통신 방법, 중계 장치, 송신원 장치, 및 제어 장치{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RELAY DEVICE, TRANSMISSION SOURCE DEVICE AND CONTROL DEVIC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 relay apparatus, a transmission source apparatus, and a control apparatus.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 통신 방법, 중계 장치, 송신원 장치, 및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복수의 장치를 이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 통신 방법, 이와 같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 사용되는 중계 장치, 송신원 장치, 및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 relay apparatus, a transmission source apparatus, and a control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 A transmission source apparatus, and a control apparatus.

메시 네트워크에 관한 기술이, 예를 들면, 일본 특개2009-33730호 공보(특허 문헌 1)에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1에 의하면, 메시 네트워크의 경우, 통신 기기끼리가 각각에게 통신을 행함으로써 망목상(網目狀)의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복수의 통신 경로를 구축하는 취지가 개시되어 있다. 그리고, 무선 통신 방식에 메시 네트워크를 적용한 경우, 통신하는 2개의 장치가 직접 무선 통신 가능한 거리에 없는 경우, 그 사이에 위치하는 다른 장치가, 데이터를 중계하는 취지가 개시되어 있다.BACKGROUND ART [0002] A technique relating to a mesh network is disclosed, for example,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9-33730 (Patent Document 1). According to Patent Document 1, in the case of a mesh network, it is disclosed that communication apparatuses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o construct a network in a mesh network and establish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paths. In the case where the mesh network is applied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t is disclosed that, when two communicating apparatuses are not located in direct wireless communication distance, another apparatus located therebetween relays data.

일본 특개2009-33730호 공보Japanese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09-33730

여기서, 특허 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무선 통신 방식에 메시 네트워크를 적용한 경우, 통신하는 2개의 장치인 송신원 노드로부터 송신처 노드까지의 통신 경로는, 중계하는 장치인 중계 노드 이외에, 별도 안테나 등 외부 장치를 마련하고, 중계 노드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감시함에 의해 파악되고 있다.Here, as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1, when a mesh network is applied to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 communication path from a source node to a destination node, which are two communicating apparatuses, is a relay node, An external device is provided, and data is transmitted and received between the relay nodes.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에서는, 별도 외부 장치를 이용하기 때문에, 중계 노드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데이터의 누설 등, 세큐어러티가 나빠져 버린다.However, in such a method, since an external device is used separately, the leakage of data transmitted and received between the relay nodes deteriorates the security.

본 발명의 목적은, 통신 경로 해석할 때의 세큐어러티를 향상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 통신 방법, 중계 장치, 송신원 장치, 및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 relay device, a transmission source device, and a control device capable of improving the secuity in communication path analysis.

본 발명에 관한 무선 통신 시스템은, 복수의 장치를 중계하여 장치 사이에서 데이터의 통신을 행한다. 무선 통신 시스템은, 데이터의 송신원이 되는 송신원 장치와, 데이터의 송신처가 되는 송신처 장치와, 송신원 장치와 송신처 장치와의 사이에 위치하여, 송신원 장치로부터 송신처 장치까지의 데이터의 통신을 중계하는 중계 장치를 갖는다. 중계 장치는, 통신 경로를 파악하기 위해 필요한 중계 정보를 기억하는 중계 정보 기억 수단을 구비한다. 송신원 장치는, 중계 정보 기억 수단에 의해 기억된 중계 정보를 수집하는 중계 정보 수집 수단을 구비한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lays a plurality of apparatuses to perform data communication between the apparatuses.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ncludes a transmission source device that is a transmission source of data, a transmission destination device that is a transmission destination of data, a relay device that is located between the transmission source device and the transmission destination device and relays communication of data from the transmission source device to the transmission destination device . The relay apparatus includes relay information storage means for storing relay information necessary for grasping the communication path. The transmission source apparatus includes relay information collection means for collecting relay information stored by the relay information storage means.

이와 같은 무선 통신 시스템은, 송신원 장치에서, 송신원 장치로부터 송신처 장치까지의 통신 경로를 파악하기 위해 필요한 중계 정보를 수집하기 위해, 중계 정보에 의거하여, 어느 중계 장치를 중계하여 통신을 행하고 있는지, 통신 경로를 파악할 수 있다. 이 경우, 외부 장치 등을 이용하는 일 없이, 중계 장치로부터 수집하는 정보를 이용하여 통신 경로를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세큐어러티가 저하되는 일도 없다. 따라서 통신 경로 해석할 때의 세큐어러티를 향상할 수 있다.In such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n order to collect relay information necessary for grasping the communication path from the transmission source apparatus to the transmission destination apparatus, in the transmission source apparatus, based on the relay information, Path can be grasped. In this case, since the communication path can be grasped by using the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 relay device without using an external device or the like, the security does not deteriorat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secu- rity in interpreting the communication path.

바람직하게는, 중계 장치는, 데이터를 수신한 때의 신호 강도를 계측하는 신호 강도 계측 수단을 구비한다. 송신원 장치는, 신호 강도 계측 수단에 의해 계측한 신호 강도의 정보를 수집하는 신호 강도 수집 수단을 구비한다.Preferably, the relay apparatus includes signal strength measuring means for measuring the signal strength at the time of receiving the data. The transmission source apparatus includes signal strength collection means for collecting information on the signal strength measured by the signal strength measurement means.

종래, 송신원 장치로부터 송신처 장치까지의 통신 경로를 파악할 때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중계 장치 이외에 별도 외부 장치를 마련하고 있다. 따라서 외부 장치와 중계 장치와의 신호 강도를 파악할 수는 있었지만, 통신 경로 중의 장치 사이의 신호 강도를 파악할 수는 없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외부 장치 등을 이용하는 일이 없기 때문에, 중계 장치에서 데이터를 수신한 때의 신호 강도를 계측하고, 중계 장치로부터 신호 강도를 수집함에 의해, 송신원 장치에서, 통신 경로 중의 장치 사이의 신호 강도를 파악할 수 있다. 그러면, 예를 들면, 신호 강도에 응하여, 통신 정밀도의 향상을 위한 대책을 시행할 수 있다.Conventionally, when the communication path from the transmission source apparatus to the transmission destination apparatus is grasped, an external apparatus other than the relay apparatus is provided as described above. Therefore, although the signal strength between the external device and the relay device can be grasped, the signal strength between the devices in the communication path can not be grasped.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n external device or the like is not used, the signal intensity at the time of receiving the data by the relay device is measured, and the signal strength is collected from the relay device, It is possible to grasp the signal strength of the signal. Then, for example, countermeasures for improving the communication accuracy can be performed in response to the signal strength.

바람직하게는, 중계 장치는, 중계 정보 기억 수단에 의해 기억한 중계 정보를 송신원 장치에 회신하는 중계 정보 회신 수단을 구비한다. 송신원 장치는, 중계 정보 회신 수단에 의해 회신된 중계 정보를 수집하는 회신 중계 정보 수집 수단을 구비한다. 이렇게 함에 의해, 송신원 장치는, 중계 정보의 수집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Preferably, the relay apparatus includes relay information returning means for returning the relay information stored by the relay information storing means to the transmission source apparatus. The transmission source apparatus includes reply relay information collection means for collecting relay information returned by the relay information reply means. By doing so, the transmission source apparatus can easily collect the relay information.

한 실시 형태로서, 중계 정보는, 데이터를 다음에 송신하는 수신처(宛先)가 되는 수신처 중계 장치의 정보이다.In one embodiment, the relay information is information of a destination relay device which is a destination (destination) for transmitting data next time.

더욱 바람직하게는, 무선 통신 시스템은, 송신원 장치에 접속되는 제어 장치를 갖는다. 그리고, 송신원 장치는, 모든 중계 장치의 정보를 제어 장치에 통지하는 중계 장치 정보 통지 수단과, 중계 정보 수집 수단에 의해 수집한 중계 정보를 제어 장치에 통지하는 중계 정보 통지 수단을 구비한다. 제어 장치는, 중계 정보 통지 수단에 의해 통지된 중계 정보에 의거하여, 중계 장치 정보 통지 수단에 의해 통지된 모든 중계 장치 중에서, 송신원 장치와 송신처 장치와의 사이에서 데이터의 통신을 중계하는데 잉여의 중계 장치를 추출하는 잉여 장치 추출 수단을 구비한다. 이렇게 함에 의해, 제어 장치에서, 통지된 중계 정보에 의거하여, 모든 중계 장치 중에서, 데이터의 통신을 중계하는데 잉여의 중계 장치를 추출할 수 있다. 그러면, 유저에 있어서 잉여의 중계 장치를 파악할 수 있고, 잉여의 중계 장치를 제거할 수 있다. 그 결과, 불필요한 중계 장치가 없는 적절한 무선 통신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More preferably, the radio communication system has a control device connected to the transmission source device. The transmission source apparatus includes relay apparatus information notification means for notifying the control apparatus of information of all relay apparatuses and relay information notification means for notifying the control apparatus of the relay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relay information collection means. The control device controls the relay device to relay the communication of data between the transmission source device and the transmission destination device among all the relay devices notified by the relay device information notification means based on the relay information notified by the relay information notification means, And an excess device extracting means for extracting the device. By doing so, the control apparatus can extract the surplus relay apparatus from among all the relay apparatuses based on the relay information notified in order to relay the data communication. Then, the surplus relay device can be grasped by the user and the surplus relay device can be removed.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construct an appropriat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ithout an unnecessary relay device.

본 발명의 다른 국면에서는, 복수의 장치를 중계하여 장치 사이에서 데이터의 통신을 행하는 무선 통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방법은, 데이터의 송신원이 되는 송신원 장치와 데이터의 송신처가 되는 송신처 장치와의 사이에 위치하여, 송신원 장치로부터 송신처 장치까지의 데이터의 통신을 중계하는 중계 장치가, 통신 경로를 파악하기 위해 필요한 중계 정보를 기억하는 중계 정보 기억 스텝과, 송신원 장치에서, 중계 장치가 기억하는 중계 정보를 수집하는 중계 정보 수집 스텝을 구비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for relaying a plurality of devices to perform data communication between devices.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is characterized in that a relay device which is located between a transmission source device that is a data transmission source and a transmission destination device that is a transmission destination of data and that relays communication of data from a transmission source device to a transmission destination device, A relay information storing step of storing necessary relay information; and a relay information collecting step of collecting relay information stored in the relay apparatus in the transmission source apparatus.

이와 같은 통신 방법은, 송신원 장치에서, 송신원 장치로부터 송신처 장치까지의 통신 경로를 파악하기 위해 필요한 중계 정보를 수집하기 위해, 중계 정보에 의거하여, 어느 중계 장치를 중계하여 통신을 행하고 있는지, 통신 경로를 파악할 수 있다. 이 경우, 외부 장치 등을 이용하는 일 없이, 중계 장치로부터 수집하는 정보를 이용하여 통신 경로를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세큐어러티가 저하되는 일도 없다. 따라서 통신 경로 해석할 때의 세큐어러티를 향상할 수 있다.In order to collect the relay information required for grasping the communication path from the transmission source apparatus to the transmission destination apparatus in the transmission source apparatus, such a communication method may be configured to determine which relay apparatus is relaying to perform communication based on the relay information, . In this case, since the communication path can be grasped by using the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 relay device without using an external device or the like, the security does not deteriorat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secu- rity in interpreting the communication path.

바람직하게는, 송신원 장치와 송신처 장치와의 사이에서 데이터의 통신을 중계하는 중계 장치 중에서 데이터의 통신을 중계하는데 잉여의 중계 장치를 추출하는 소정의 추출부에서, 모든 중계 장치의 정보를 취득하는 중계 장치 정보 취득 스텝과, 소정의 추출부에서, 중계 정보 수집 스텝에서 수집한 중계 정보에 의거하여, 중계 장치 정보 취득 스텝에 의해 취득한 모든 중계 장치 중에서, 송신원 장치와 송신처 장치와의 사이에서 데이터의 통신을 중계하는데 잉여의 중계 장치를 추출하는 잉여 장치 추출 스텝을 구비한다. 이렇게 함에 의해, 소정의 추출부에서, 수집한 중계 정보에 의거하여, 모든 중계 장치 중에서, 데이터의 통신을 중계하는데 잉여의 중계 장치를 추출할 수 있다. 그러면, 소정의 추출부를 이용하여, 유저에 있어서 잉여의 중계 장치를 파악할 수 있고, 잉여의 중계 장치를 제거할 수 있다. 그 결과, 불필요한 중계 장치를 배제할 수 있다.Preferably, in a predetermined extraction unit for extracting a surplus relay apparatus for relaying data communication among relay apparatuses for relaying data communication between the transmission source apparatus and the transmission destination apparatus, A device information acquiring step of acquiring the relay information acquired by the relay information acquiring step and a data communication between the transmission source device and the transmission destination device among all the relay devices acquired by the relay device information acquiring step, And a redundant device extracting step of extracting a surplus relay device to relay the redundant relay device. By doing this, the predetermined extraction unit can extract the surplus relay device to relay the data communication among all the relay devices based on the collected relay information. Then, the surplus relay apparatus can be grasped by the user by using the predetermined extracting unit, and the surplus relay apparatus can be removed. As a result, an unnecessary relay apparatus can be eliminated.

한 실시 형태로서, 소정의 추출부에서, 잉여의 중계 장치를 추출하는 잉여 장치 추출 스텝은, 송신원 장치에 접속되는 제어 장치에서, 잉여의 중계 장치를 추출하는 스텝을 포함한다.In one embodiment, the redundant device extracting step of extracting a surplus relay device in a predetermined extraction unit includes a step of extracting a surplus relay device in a control device connected to the transmission source device.

다른 실시 형태로서, 소정의 추출부에서, 잉여의 중계 장치를 추출하는 잉여 장치 추출 스텝은, 송신원 장치에서, 잉여의 중계 장치를 추출하는 스텝을 포함한다.In another embodiment, the surplus device extracting step of extracting the surplus repeater in the predetermined extracting unit includes a step of extracting the surplus repeater in the transmitting source device.

본 발명의 또 다른 국면에서는, 복수의 장치를 중계하여 장치 사이에서 데이터의 통신을 행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사용되는 중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중계 장치는, 데이터의 송신원이 되는 송신원 장치와 데이터의 송신처가 되는 송신처 장치와의 사이에 위치하여 데이터의 통신을 중계하는 것이다. 그리고, 통신 경로를 파악하기 위해 필요한 중계 정보를 기억하는 중계 정보 기억 수단과, 중계 정보 기억 수단에 의해 기억한 중계 정보를 송신원 장치에 회신하는 중계 정보 회신 수단을 구비한다.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lay apparatus used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for relaying a plurality of apparatuses to perform data communication between apparatuses. The relay device is located between the transmission source device that is the transmission source of the data and the transmission destination device that is the transmission destination of the data and relays the communication of the data. A relay information storing means for storing relay information necessary for grasping the communication path and a relay information returning means for returning the relay information stored by the relay information storing means to the transmission source apparatus are provided.

이와 같은 중계 장치는, 송신원 장치를 향하여, 송신원 장치로부터 송신처 장치까지의 통신 경로를 파악하기 위해 필요한 중계 정보를 회신한다. 따라서 송신원 장치에서, 회신된 중계 정보에 의거하여, 어느 중계 장치를 중계하여 통신을 행하고 있는지, 통신 경로를 파악할 수 있다. 이 경우, 외부 장치 등을 이용하는 일 없이, 중계 장치로부터 수집하는 정보를 이용하여 통신 경로를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세큐어러티가 저하되는 일도 없다. 따라서 통신 경로 해석할 때의 세큐어러티를 향상할 수 있다.Such a relay apparatus returns relay information necessary for grasping a communication path from the transmission source apparatus to the transmission destination apparatus toward the transmission source apparatus. Therefore, on the basis of the relay information returned by the transmission source apparatus, it is possible to grasp which relay device is relaying to perform communication and the communication path. In this case, since the communication path can be grasped by using the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 relay device without using an external device or the like, the security does not deteriorat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secu- rity in interpreting the communication path.

본 발명의 또 다른 국면에서는, 데이터의 송신원이 되는 송신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송신원 장치는, 송신원 장치로부터 데이터의 송신처가 되는 송신처 장치까지, 송신원 장치와 송신처 장치와의 사이에서 데이터의 통신을 중계하는 중계 장치를 통하여 데이터를 송신할 때에 이용된다. 그리고, 중계 장치에서 기억되는 정보로서, 송신원 장치로부터 송신처 장치까지의 통신 경로를 파악하기 위해 필요한 중계 정보를, 중계 장치로부터 수집하는 중계 정보 수집 수단과, 모든 중계 장치의 정보를 기억하는 중계 장치 정보 기억 수단과, 중계 정보 수집 수단에 의해 수집한 중계 정보에 의거하여, 중계 장치 정보 기억 수단에 의해 기억한 모든 중계 장치 중에서, 송신원 장치와 송신처 장치와의 사이에서 데이터의 통신을 중계하는데 잉여의 중계 장치를 추출하는 잉여 장치 추출 수단을 구비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transmission source apparatus as a transmission source of data. The transmission source apparatus is used when transmitting data from a transmission source apparatus to a transmission destination apparatus as a transmission destination of data through a relay apparatus that relays communication of data between the transmission source apparatus and the transmission destination apparatus. As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relay apparatus, relay information collection means for collecting relay information necessary for grasping the communication path from the transmission source apparatus to the transmission destination apparatus from the relay apparatus, relay apparatus information for storing information of all relay apparatuses And relay means for relaying communication of data between the transmission source apparatus and the transmission destination apparatus among all the relay apparatuses stored by the relay apparatus information storage means on the basis of the relay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relay information collection means, And an excess device extracting means for extracting the device.

이와 같은 송신원 장치는, 송신원 장치로부터 송신처 장치까지의 통신 경로를 파악하기 위해 필요한 중계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한 중계 정보에 의거하여, 모든 중계 장치 중에서, 데이터의 통신을 중계하는데 잉여의 중계 장치를 추출할 수 있다. 그러면, 유저에 있어서 잉여의 중계 장치를 파악할 수 있고, 잉여의 중계 장치를 제거할 수 있다. 그 결과, 불필요한 중계 장치를 배제할 수 있다.Such a transmission source apparatus collects relay information necessary for grasping the communication path from the transmission source apparatus to the transmission destination apparatus and transmits surplus relay apparatuses for relaying data communication among all the relay apparatuses based on the collected relay information Can be extracted. Then, the surplus relay device can be grasped by the user and the surplus relay device can be removed. As a result, an unnecessary relay apparatus can be eliminated.

본 발명의 또 다른 국면에서는, 제어 장치에 접속되고, 데이터의 송신원이 되는 송신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송신원 장치는, 송신원 장치로부터 데이터의 송신처가 되는 송신처 장치까지, 송신원 장치와 송신처 장치와의 사이에서 데이터의 통신을 중계하는 중계 장치를 통하여 데이터를 송신할 때에 이용된다. 그리고, 중계 장치에서 기억되는 정보로서, 송신원 장치로부터 송신처 장치까지의 통신 경로를 파악하기 위해 필요한 중계 정보를, 중계 장치로부터 수집하는 중계 정보 수집 수단과, 모든 중계 장치의 정보를 제어 장치에 통지하는 중계 장치 정보 통지 수단과, 중계 정보 수집 수단에 의해 수집한 중계 정보를 제어 장치에 통지하는 중계 정보 통지 수단을 구비한다.Yet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nsmission source apparatus connected to a control apparatus and serving as a transmission source of data. The transmission source apparatus is used when transmitting data from a transmission source apparatus to a transmission destination apparatus as a transmission destination of data through a relay apparatus that relays communication of data between the transmission source apparatus and the transmission destination apparatus. As relay information, there are relay information collection means for collecting relay information necessary for grasping the communication path from the transmission source apparatus to the transmission destination apparatus, from the relay apparatus, and information about all relay apparatuses to the control apparatus Relay apparatus information notification means and relay information notification means for notifying the control apparatus of the relay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relay information collection means.

이와 같은 송신원 장치는, 송신원 장치로부터 송신처 장치까지의 통신 경로를 파악하기 위해 필요한 중계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한 중계 정보를 제어 장치에 통지한다. 따라서 제어 장치에서, 통지된 중계 정보에 의거하여, 모든 중계 장치 중에서, 데이터의 통신을 중계하는데 잉여의 중계 장치를 추출시킬 수 있다. 그러면, 유저에 있어서 잉여의 중계 장치를 파악할 수 있고, 잉여의 중계 장치를 제거할 수 있다. 그 결과, 불필요한 중계 장치를 배제할 수 있다.Such a transmission source apparatus collects relay information necessary for grasping the communication path from the transmission source apparatus to the transmission destination apparatus, and notifies the control apparatus of the collected relay information. Therefore, on the basis of the relay information notified by the control device, it is possible to extract surplus relay devices to relay the data communication among all the relay devices. Then, the surplus relay device can be grasped by the user and the surplus relay device can be removed. As a result, an unnecessary relay apparatus can be eliminated.

본 발명의 또 다른 국면에서는, 데이터의 송신원이 되는 송신원 장치와 데이터의 송신처가 되는 송신처 장치와의 사이에서 데이터의 통신을 중계하는데 잉여의 중계 장치를 추출하는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어 장치는, 송신원 장치에 접속되어 있고, 송신원 장치로부터 송신처 장치까지의 통신 경로를 파악하기 위해 필요한 중계 정보와, 모든 중계 장치의 정보를, 송신원 장치로부터 통지된다. 그리고, 제어 장치는, 통지된 중계 정보에 의거하여, 통지된 모든 중계 장치 중에서, 송신원 장치와 송신처 장치와의 사이에서 데이터의 통신을 중계하는데 잉여의 중계 장치를 추출하는 잉여 장치 추출 수단을 구비한다.A fur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rol apparatus for extracting a surplus relay apparatus for relaying data communication between a transmission source apparatus as a data transmission source and a transmission destination apparatus as a data transmission destination. The control apparatus is connected to the transmission source apparatus and is notified from the transmission source apparatus of the relay information necessary for grasping the communication path from the transmission source apparatus to the transmission destination apparatus and the information of all the relay apparatuses. The control device further includes a surplus device extracting means for extracting surplus relay devices for relaying data communication between the transmission source device and the transmission destination device among all the relay devices notified based on the notified relay information .

이와 같은 제어 장치는, 송신원 장치로부터 송신처 장치까지의 통신 경로를 파악하기 위해 필요한 중계 정보를 송신원 장치로부터 통지되고, 통지된 중계 정보에 의거하여, 모든 중계 장치중에서, 데이터의 통신을 중계하는데 잉여의 중계 장치를 추출할 수 있다. 그러면, 유저에 있어서 잉여의 중계 장치를 파악할 수 있고, 잉여의 중계 장치를 제거할 수 있다. 그 결과, 불필요한 중계 장치를 배제할 수 있다.Such a control apparatus is notified from the transmission source apparatus of the relay information necessary for grasping the communication path from the transmission source apparatus to the transmission destination apparatus and based on the notified relay information, The relay apparatus can be extracted. Then, the surplus relay device can be grasped by the user and the surplus relay device can be removed. As a result, an unnecessary relay apparatus can be eliminated.

본 발명에 의하면, 송신원 장치에서, 송신원 장치로부터 송신처 장치까지의 통신 경로를 파악하기 위해 필요한 중계 정보를 수집하기 위해, 중계 정보에 의거하여, 어느 중계 장치를 중계하여 통신을 행하고 있는지, 통신 경로를 파악할 수 있다. 이 경우, 외부 장치 등을 이용하는 일 없이, 중계 장치로부터 수집하는 정보를 이용하여 통신 경로를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세큐어러티가 저하되는 일도 없다. 따라서 통신 경로 해석할 때의 세큐어러티를 향상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collect the relay information necessary for grasping the communication path from the transmission source apparatus to the transmission destination apparatus in the transmission source apparatus, it is determined on the basis of the relay information which relay apparatus is relaying and performing communication, . In this case, since the communication path can be grasped by using the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 relay device without using an external device or the like, the security does not deteriorat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secu- rity in interpreting the communication path.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관한 통신 노드 시스템의 한 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2는 기억부에 유지되는 정보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3은 송신원 노드로부터 송신처 노드까지의 통신 경로를 파악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송신원 노드의 동작에 관해 도시하는 플로 차트.
도 4는 송신원 노드로부터 송신처 노드까지의 통신 경로를 파악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제 1 중계 노드의 동작에 관해 도시하는 플로 차트.
도 5는 송신원 노드로부터 송신처 노드까지의 통신 경로를 파악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제 2 중계 노드의 동작에 관해 도시하는 플로 차트.
도 6은 송신원 노드로부터 송신처 노드까지의 통신 경로를 파악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송신처 노드의 동작에 관해 도시하는 플로 차트.
도 7은 송신원 노드로부터 송신처 노드까지의 통신 경로를 파악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제 2 중계 노드의 동작에 관해 도시하는 플로 차트.
도 8은 송신원 노드로부터 송신처 노드까지의 통신 경로를 파악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제 1 중계 노드의 동작에 관해 도시하는 플로 차트.
도 9는 송신원 노드로부터 송신처 노드까지의 통신 경로를 파악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송신원 노드의 동작에 관해 도시하는 플로 차트.
도 10은 데이터의 흐름에 관해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소정의 데이터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12는 회신 데이터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13은 통신 경로를 표시한 화면의 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4는 복수의 노드의 각각의 위치 관계와, 교신 범위를 도시하는 도면.
도 15는 제 4의 노드가, 네트워크에 참가하고, 인접 정보를 유지하는 경우에 관해 도시하는 플로 차트.
도 16은 제 1 내지 제 4의 노드에서, 수신처 중계 노드의 정보를 유지하는 경우에 관해 도시하는 플로 차트.
도 17은 경로 구축 신호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18은 경로 구축 리스폰스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통신 노드 시스템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20은 ID의 일람을 도시하는 도면.
도 21은 잉여 노드를 추출하는 경우의 통신 노드 시스템의 동작을 도시하는 플로 차트.
도 22는 잉여 노드의 화면의 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communication nod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information held in a storage unit;
3 is a flowchart showing an operation of a transmission source node in the case of grasping a communication route from a transmission source node to a transmission destination node;
4 is a flowchart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first relay node in the case of grasping the communication path from the source node to the destination node.
5 is a flowchart showing an operation of a second relay node in the case of grasping a communication path from a source node to a destination node;
6 is a flowchart showing an operation of a transmission destination node in the case of grasping a communication route from a transmission source node to a transmission destination node;
7 is a flowchart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second relay node in the case of grasping the communication path from the source node to the destination node.
8 is a flowchart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first relay node in the case of grasping the communication route from the source node to the destination node.
9 is a flowchart showing an operation of a transmission source node in the case of grasping a communication route from a transmission source node to a transmission destination node;
10 is a diagram showing a flow of data;
11 is a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predetermined data.
12 is a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reply data;
13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screen displaying communication paths;
14 is a diagram showing a positional relationship and a communication range of each of a plurality of nodes;
15 is a flowchart showing a case where a fourth node participates in a network and maintains neighbor information.
16 is a flowchart showing a case where information of a destination relay node is held in the first to fourth nodes.
17 is a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path establishment signal;
18 is a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path establishment response;
19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mmunication node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0 is a view showing a list of IDs;
21 is a flowchart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communication node system in the case of extracting redundant nodes;
22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screen of a surplus node;

이하,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관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 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관한 무선 통신 시스템인 통신 노드 시스템(9)의 한 예를 도시하는 블록도다. 도 1을 참조하면, 통신 노드 시스템(9)은, 복수의 노드를 구비한다. 복수의 노드는,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원이 되는 송신원 장치인 송신원 노드(11)와,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처가 되는 송신처 장치인 송신처 노드(12, 8)와, 송신원 노드(11)와 송신처 노드(12, 8)와의 사이에서, 송신원 노드(11)로부터 송신처 노드(12, 8)에 데이터를 송신할 때에, 데이터를 중계하는 중계 장치인 제 1 내지 제 2 중계 노드(13a 내지 13b)를 포함하다. 또한, 중계 노드는, 실선으로 도시하는 제 1 내지 제 2 중계 노드(13a 내지 13b) 이외에도, 점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복수 마련되어 있다.Hereinafter,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communication node system 9 which is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the communication node system 9 has a plurality of nodes. The plurality of nodes include a transmission source node 11 serving as a transmission source that transmits data, transmission destination nodes 12 and 8 serving as transmission destinations to which data is transmitted, 13a to 13b which are relay devices for relaying data when data is transmitted from the transmission source node 11 to the transmission destination nodes 12 and 8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relay nodes 13a and 13b . In addition to the first and second relay nodes 13a to 13b shown by solid lines, a plurality of relay nodes are provided as indicated by dotted lines.

복수의 노드의 각각은, 무선 통신을 행하고, 메시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복수의 노드의 각각은, 도 1에서는 도시는 하지 않지만, 데이터를 송신 가능한 교신 범위를 갖는 구성이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송신원 노드(11)의 교신 범위에는 제 1 중계 노드(13a)가 위치하고, 제 1 중계 노드(13a)의 교신 범위에는 제 2 중계 노드(13b) 및 송신원 노드(11)가 위치하고, 제 2 중계 노드(13b)의 교신 범위에는 송신처 노드(12), 송신처 노드(8) 및 제 1 중계 노드(13a)가 위치하고, 송신처 노드(12)의 교신 범위에는 제 2 중계 노드(13b)가 위치하고, 송신처 노드(8)의 교신 범위에는 제 2 중계 노드(13b)가 위치한다. 그리고, 복수의 노드의 각각은, 자신 이외의 다른 노드의 존재를 인식하고 있다.Each of the plurality of nodes performs wireless communication to form a mesh network. Although not shown in Fig. 1, each of the plurality of nodes has a communication range capable of transmitting data.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relay node 13a is located in the communication range of the transmission source node 11, the second relay node 13b and the transmission source node 11 are located in the communication range of the first relay node 13a The communication node 12 and the first relay node 13a are located in the communication range of the first relay node 13b and the communication range of the transmission destination node 12 is located in the communication range of the second relay node 13b, And the second relay node 13b is located in the communication range of the transmission destination node 8. [ Each of the plurality of nodes recognizes the existence of a node other than itself.

송신원 노드(11)는, 정보를 기억하기 위한 기억부(11a)와, 데이터를 수신한 때의 신호 강도를 계측하는 계측부(11b)와, 송신원 노드(11) 전체를 제어하는 제어부(11c)를 구비한다. 또한, 이 구성은, 송신처 노드(12, 8)나, 제 1 내지 제 2 중계 노드(13a 내지 13b)에서도 마찬가지이다.The transmission source node 11 includes a storage unit 11a for storing information, a measurement unit 11b for measuring the signal strength at the time of receiving the data, and a control unit 11c for controlling the entire transmission source node 11 Respectively. This configuration is also applicable to the transmission destination nodes 12 and 8 and the first and second relay nodes 13a to 13b.

또한, 송신원 노드(11)는, 제어 장치인 퍼스널 컴퓨터(컴퓨터)(14)와 접속되어 있고, 예를 들면, 데이터의 송신 지시를 퍼스널 컴퓨터(14)로부터 접수한다. 퍼스널 컴퓨터(14)는,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14a)를 구비한다.The transmission source node 11 is also connected to a personal computer (computer) 14, which is a control device, and receives, for example, a data transmission instruction from the personal computer 14. The personal computer 14 has a display 14a for displaying a screen.

송신처 노드(12, 8)는, 도시는 하지 않지만, 센서 등과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센서로 한정하는 일 없이, 퍼스널 컴퓨터에 접속되어 있어도 좋고, 데이터를 기억 가능한 장치에 접속되어 있으면 된다.The transmission destination nodes 12 and 8 are connected to sensors and the like although not shown. It is not limited to a sensor, but may be connected to a personal computer or connected to a device capable of storing data.

여기서, 복수의 노드의 각각에서, 기억부에 유지하고 있는 정보에 관해 설명한다. 도 2는, 기억부에 유지하고 있는 정보를 도시하는 블록도다. 도 2를 참조하면, 복수의 노드의 각각은, 기억부에서, 송신처 정보(40a)를 유지하고 있다. 송신처 정보(40a)란,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처가 되는 노드의 정보이다. 구체적으로는, 송신처 노드(12)의 정보와 송신처 노드(8)의 정보를, 송신처 정보(40a)로서 유지하고 있다.Here, the information held in the storage unit in each of the plurality of nodes will be described.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information held in the storage unit. Referring to Fig. 2, each of the plurality of nodes holds transmission destination information 40a in the storage unit. The transmission destination information 40a is information of a node as a transmission destination of data. More specifically, the information of the transmission destination node 12 and the information of the transmission destination node 8 are held as the transmission destination information 40a.

또한, 복수의 노드의 각각은, 기억부에서, 중계 정보를 유지하고 있다. 중계 정보란, 송신원 노드(11)로부터 송신처 노드(12, 8)까지의 통신 경로를 파악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이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송신처 정보(40a)가 나타내는 노드에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해, 어느 노드를 향하여 데이터를 다음에 송신하여야 하는지를 나타내는 정보, 즉, 송신처 노드(12, 8)까지 중계점이 되고, 당해 중계 노드에서, 데이터를 다음에 송신하는 수신처가 되는 수신처 중계 장치의 정보인 수신처 중계 노드의 정보(40b)를 유지하고 있다. 수신처 중계 노드의 정보(40b)는, 송신처 정보(40a)와 대응하는 것이다. 여기서, 기억부는, 중계 정보 기억 수단으로서 작동한다. 구체적으로는, 송신원 노드(11)는, 송신처 노드(12)에 대응하는 수신처 중계 노드의 정보(40b)로서, 제 1 중계 노드(13a)의 정보를 유지하고 있다. 제 1 중계 노드(13a)는, 송신처 노드(12)에 대응하는 수신처 중계 노드의 정보(40b)로서, 제 2 중계 노드(13b)의 정보를 유지하고 있다. 제 2 중계 노드(13b)는, 송신처 노드(12)에 대응하는 수신처 중계 노드의 정보(40b)로서, 송신처 노드(12)의 정보를 유지하고 있다. 송신처 노드(12)는, 송신처 노드(12)에 대응하는 수신처 중계 노드의 정보(40b)로서, 자신(自身)이라고 유지하고 있다. 또한, 복수의 노드의 각각은, 송신처 노드(8)에서도 마찬가지로, 송신처 노드(8)에 대응하는 수신처 중계 노드의 정보(40b)를 유지하고 있다.Each of the plurality of nodes maintains relay information in the storage unit. The relay information is information necessary for grasping the communication path from the transmission source node 11 to the transmission destination node 12, 8. In this embodiment, in order to transmit data to the node indicated by the transmission destination information 40a, information indicating to which node the data should be transmitted next, i.e., a relay point to the transmission destination nodes 12 and 8, Node 40b of the destination relay node, which is information of the destination relay apparatus as a destination to which data is to be transmitted next. The information 40b of the destination relay node corresponds to the destination information 40a. Here, the storage unit operates as relay information storage means. Specifically, the transmission source node 11 holds the information of the first relay node 13a as information 40b of the destination relay node corresponding to the transmission destination node 12. The first relay node 13a holds the information of the second relay node 13b as information 40b of the destination relay node corresponding to the transmission destination node 12. [ The second relay node 13b holds the information of the transmission destination node 12 as information 40b of the destination relay node corresponding to the transmission destination node 12. [ The transmission destination node 12 keeps itself as the information 40b of the destination relay node corresponding to the transmission destination node 12. [ Each of the plurality of nodes also holds the information 40b of the destination relay node corresponding to the destination node 8 in the destination node 8 as well.

여기서, 송신원 노드(11)로부터 송신처 노드(12)까지의 통신 경로를 파악하는 경우에 관해 설명한다. 도 3 및 도 9는, 송신원 노드(11)로부터 송신처 노드(12)까지의 통신 경로를 파악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송신원 노드(11)의 동작에 관해 도시하는 플로 차트이다. 도 4 및 도 8은, 송신원 노드(11)로부터 송신처 노드(12)까지의 통신 경로를 파악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제 1 중계 노드(13a)의 동작에 관해 도시하는 플로 차트이다. 도 5 및 도 7은, 송신원 노드(11)로부터 송신처 노드(12)까지의 통신 경로를 파악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제 2 중계 노드(13b)의 동작에 관해 도시하는 플로 차트이다. 도 6은, 송신원 노드(11)로부터 송신처 노드(12)까지의 통신 경로를 파악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송신처 노드(12)의 동작에 관해 도시하는 플로 차트이다. 도 10은, 데이터의 흐름에 관해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면 중의 스텝 번호는, 플로 차트 중의 스텝 번호에 대응하는 것이다. 도 11은, 소정의 데이터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회신 데이터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 the case of grasping the communication route from the source node 11 to the destination node 12 will be described. Figs. 3 and 9 are flowcharts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transmission source node 11 in the case of grasping the communication path from the transmission source node 11 to the transmission destination node 12. Fig. Figs. 4 and 8 are flowcharts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first relay node 13a in the case of grasping the communication route from the source node 11 to the destination node 12. Fig. 5 and 7 are flowcharts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second relay node 13b in the case of grasping the communication path from the transmission source node 11 to the transmission destination node 12. [ 6 is a flowchart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transmission destination node 12 when the communication route from the transmission source node 11 to the transmission destination node 12 is grasped. 10 is a diagram showing the flow of data, and the step number in the figure corresponds to the step number in the flowchart. 11 is a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predetermined data. 12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reply data.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2. Fig.

우선, 송신원 노드(11)는, 송신처 노드(12)에 소정의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퍼스널 컴퓨터(14)로부터 지시를 접수한다(도 3에서, 스텝 S11, 이하, 스텝을 생략한다). 그러면, 송신원 노드(11)는, 소정의 데이터를 작성한다(S12). 도 11을 참조하면, 소정의 데이터는, 송신처 정보(41a)와, 송신원 정보(41b)와, 다음 노드의 정보(41c)와, 전(前) 노드의 정보(41d)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송신처 정보(41a)란, 소정의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처가 되는 노드의 정보이고, 송신원 정보(41b)란, 소정의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원이 되는 노드의 정보이고, 다음 노드의 정보(41c)란, 수신처 중계 노드의 정보(40b)이고, 전 노드의 정보(41d)란, 자신의 정보이다. 즉, 송신원 노드(11)에서는, 송신처 정보(41a)로서 송신처 노드(12)의 정보와, 송신원 정보(41b)로서 자신인 송신원 노드(11)의 정보와, 다음 노드의 정보(41c)로서 제 1 중계 노드(13a)의 정보와, 전 노드의 정보(41d)로서 자신인 송신원 노드(11)의 정보에 의해 소정의 데이터를 구성한다. 그리고, 송신원 노드(11)는, 교신 범위에서, 소정의 데이터를 송신한다(S13).First, the transmission source node 11 receives an instruction from the personal computer 14 to transmit predetermined data to the transmission destination node 12 (step S11 in FIG. 3, step is omitted hereafter). Then, the transmission source node 11 creates predetermined data (S12). 11, the predetermined data includes the transmission destination information 41a, the transmission source information 41b, the information of the next node 41c, and the information of the previous node 41d. The transmission source information 41a is information of a node that is a transmission destination for transmitting predetermined data, the transmission source information 41b is information of a node that is a transmission source for transmitting predetermined data, and the information 41c , The information 40b of the destination relay node, and the information 41d of the entire node is its own information. That is, in the transmission source node 11, the information of the transmission destination node 12 as the transmission destination information 41a, the information of the transmission source node 11 itself as the transmission source information 41b, The predetermined data is constituted by the information of the one relay node 13a and the information of the transmission source node 11 as the information 41d of the all nodes. Then, the transmission source node 11 transmits predetermined data in the communication range (S13).

그러면, 제 1 중계 노드(13a)는, 송신원 노드(11)의 교신 범위에 위치하기 때문에, 소정의 데이터를 수신한다(도 4에서, S21). 이때, 제 1 중계 노드(13a)는, 계측부(15b)에 의해 소정의 데이터를 수신한 때의 신호 강도를 계측한다. 여기서, 계측부(15b)는, 신호 강도 계측 수단으로서 작동한다. 그리고, 제 1 중계 노드(13a)는, 소정의 데이터에 포함되는 다음 노드의 정보(41c)로부터, 다음 노드가 자신이라고 판단하고(S22에서, YES), 송신처 정보(41a)로부터, 송신처가 자신이 아니라고 판단한다(S23에서, YES). 그러면, 제 1 중계 노드(13a)는, 기억부(15a)의 송신처 정보(40a)에서, 수신한 소정의 데이터의 송신처 정보(41a)에 해당하는 송신처 노드(12)의 정보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제 1 중계 노드(13a)는, 소정의 데이터를 갱신한다(S24). 구체적으로는, 기억부(15a)에 의거하여, 소정의 데이터 중, 다음 노드의 정보(41c)를 수신처 중계 노드의 정보(40b)인 제 2 중계 노드(13b)의 정보와, 전 노드의 정보(41d)를 자신인 제 1 중계 노드(13a)의 정보로 갱신한다. 그리고, 제 1 중계 노드(13a)는, 교신 범위에서, 소정의 데이터를 송신한다(S25).Then, since the first relay node 13a is located in the communication range of the transmission source node 11, predetermined data is received (S21 in Fig. 4). At this time, the first relay node 13a measures the signal strength when predetermined data is received by the measuring section 15b. Here, the measuring section 15b operates as signal intensity measuring means. Then, the first relay node 13a judges from the information 41c of the next node included in the predetermined data that the next node is itself (YES in S22), from the transmission destination information 41a, (S23: YES). Then, the first relay node 13a holds the information of the transmission destination node 12 corresponding to the transmission destination information 41a of the predetermined data received from the transmission destination information 40a of the storage unit 15a , The first relay node 13a updates the predetermined data (S24). More specifically, based on the storage unit 15a, the information 41c of the next node among the predetermined data is used as information of the second relay node 13b, which is the information 40b of the destination relay node, And updates the first relay node 41d with the information of the first relay node 13a. Then, the first relay node 13a transmits predetermined data in the communication range (S25).

또한, 제 1 중계 노드(13a)는, 제 1의 회신 데이터를 작성한다(S26). 도 12를 참조하면, 제 1의 회신 데이터는, 회신처 정보(42a)와, 회신 다음 노드의 정보(42b)와, 신호 강도(42c)와, 수신처 중계 노드의 정보(42d)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회신처 정보(42a)란, 회신 데이터를 회신하는 회신처가 되는 노드의 정보이고, 회신 다음 노드의 정보(42b)란, 자신에 대해 소정의 데이터를 송신한 노드이고, 회신 데이터의 다음의 회신처가 되는 노드의 정보, 즉, 수신한 소정의 데이터 중의 전 노드의 정보(41d)이고, 신호 강도(42c)는, 소정의 데이터를 수신한 때에 계측한 신호 강도의 정보이다. 즉, 제 1 중계 노드(13a)는, 회신처 정보(42a)로서 송신원 노드(11)의 정보와, 회신 다음 노드의 정보(42b)로서 송신원 노드(11)의 정보와, 신호 강도(42c)와, 수신처 중계 노드의 정보(42d)로서 기억부(15a)에 의거하여 제 2 중계 노드(13b)의 정보에 의해 제 1의 회신 데이터를 구성한다. 그리고, 제 1 중계 노드(13a)는, 교신 범위에서, 제 1의 회신 데이터를 송신한다(S27). 여기서, 제어부(15c)는, 중계 정보 회신 수단으로서 작동한다.Further, the first relay node 13a creates the first reply data (S26). 12, the first reply data includes the configuration including the return destination information 42a, the information 42b after the reply, the signal strength 42c, and the information 42d of the destination relay node to be. The return destination information 42a is the information of the node to which the reply data is returned and the information 42b of the node after the reply is the node that has transmitted the predetermined data to itself, Information 41d of all the nodes in the received predetermined data, and the signal strength 42c is information of the signal strength measured when predetermined data is received. That is, the first relay node 13a transmits the information of the source node 11 as the return destination information 42a, the information of the source node 11 as the information 42b of the next node after the reply, And the information of the second relay node 13b based on the storage unit 15a as the information 42d of the destination relay node. Then, the first relay node 13a transmits the first reply data in the communication range (S27). Here, the control unit 15c operates as a relay information returning means.

그리고, 제 2 중계 노드(13b)는, 제 1 중계 노드(13a)의 교신 범위에 위치하기 때문에, 소정의 데이터를 수신한다(도 5에서, S31). 이때, 제 2 중계 노드(13b)는, 계측부(16b)에 의해 소정의 데이터를 수신한 때의 신호 강도를 계측한다. 그리고, 제 2 중계 노드(13b)는, 소정의 데이터에 포함되는 다음 노드의 정보(41c)로부터, 다음 노드가 자신이라고 판단하고(S32에서, YES), 송신처 정보(41a)로부터, 송신처가 자신이 아니라고 판단한다(S33에서, YES). 그러면, 제 2 중계 노드(13b)는, 기억부(16a)의 송신처 정보(40a)에서, 수신한 소정의 데이터의 송신처 정보(41a)에 해당하는 송신처 노드(12)의 정보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제 2 중계 노드(13b)는, 소정의 데이터를 갱신한다(S34). 구체적으로는, 기억부(16a)에 의거하여, 소정의 데이터 중, 다음 노드의 정보(41c)를 수신처 중계 노드의 정보(40b)인 송신처 노드(12)의 정보와, 전 노드의 정보(41d)를 자신인 제 2 중계 노드(13b)의 정보로 갱신한다. 그리고, 제 2 중계 노드(13b)는, 교신 범위에서, 소정의 데이터를 송신한다(S35).Since the second relay node 13b is located in the communication range of the first relay node 13a, the second relay node 13b receives predetermined data (S31 in FIG. 5). At this time, the second relay node 13b measures the signal strength at the time when predetermined data is received by the measuring section 16b. Then, the second relay node 13b judges from the information 41c of the next node included in the predetermined data that the next node is itself (YES in S32), and from the transmission destination information 41a, (NO in S33). Then, the second relay node 13b holds the information of the transmission destination node 12 corresponding to the transmission destination information 41a of the predetermined data received from the transmission destination information 40a of the storage unit 16a , The second relay node 13b updates the predetermined data (S34). More specifically, based on the storage section 16a, the information 41c of the next node among the predetermined data is divided into the information of the transmission destination node 12, which is the information 40b of the destination relay node, ) With the information of the second relay node 13b as its own. Then, the second relay node 13b transmits predetermined data in the communication range (S35).

또한, 제 2 중계 노드(13b)는, 제 2의 회신 데이터를 작성한다(S36). 제 2 중계 노드(13b)는, 회신처 정보(42a)로서 송신원 노드(11)의 정보와, 회신 다음 노드의 정보(42b)로서 제 1 중계 노드(13a)의 정보와, 신호 강도(42c)와, 수신처 중계 노드의 정보(42d)로서 송신처 노드(12)의 정보에 의해 제 2의 회신 데이터를 구성한다. 그리고, 제 2 중계 노드(13b)는, 교신 범위에서, 제 2의 회신 데이터를 송신한다(S37).Further, the second relay node 13b creates the second reply data (S36). The second relay node 13b transmits the information of the source node 11 as the return destination information 42a and the information of the first relay node 13a as the information 42b of the next node after the return and the signal strength 42c, And the information of the destination node 12 as information 42d of the destination relay node. Then, the second relay node 13b transmits the second reply data in the communication range (S37).

그리고, 송신처 노드(12)는, 제 2 중계 노드(13b)의 교신 범위에 위치하기 때문에, 소정의 데이터를 수신한다(도 6에서, S41). 이때, 송신처 노드(12)는, 계측부(12b)에 의해 소정의 데이터를 수신한 때의 신호 강도를 계측한다. 그리고, 송신처 노드(12)는, 소정의 데이터에 포함되는 다음 노드의 정보(41c)로부터, 다음 노드가 자신이라고 판단하고(S42에서, YES), 송신처 정보(41a)로부터, 송신처가 자신이라고 판단한다(S43에서, YES). 그러면, 송신처 노드(12)는, 제 3의 회신 데이터를 작성한다(S44). 송신처 노드(12)는, 회신처 정보(42a)로서 송신원 노드(11)의 정보와, 회신 다음 노드의 정보(42b)로서 제 2 중계 노드(13b)의 정보와, 신호 강도(42c)와, 수신처 중계 노드의 정보(42d)로서 소정의 데이터가 도달한 것을 나타내는 종료 플래그에 의해 제 3의 회신 데이터를 구성한다. 그리고, 송신처 노드(12)는, 교신 범위에서, 제 3의 회신 데이터를 송신한다(S45).Since the transmission destination node 12 is located in the communication range of the second relay node 13b, it receives the predetermined data (S41 in Fig. 6). At this time, the transmission destination node 12 measures the signal strength when predetermined data is received by the measurement section 12b. The transmission destination node 12 judges from the information 41c of the next node included in the predetermined data that the next node is itself (YES in S42), judges from the transmission destination information 41a that the transmission destination is itself (YES in S43). Then, the transmission source node 12 creates the third reply data (S44). The transmission destination node 12 transmits the information of the transmission source node 11 as the return destination information 42a and the information of the second relay node 13b as the information 42b of the next node to be returned, And the third reply data is configured by the end flag indicating that predetermined data has arrived as information 42d of the destination relay node. Then, the transmission destination node 12 transmits the third reply data in the communication range (S45).

그리고, 제 2 중계 노드(13b)는, 송신처 노드(12)의 교신 범위에 위치하기 때문에, S45에서, 송신처 노드(12)로부터 송신된 제 3의 회신 데이터를 수신한다(도 7에서, S51). 그러면, 제 2 중계 노드(13b)는, 제 3의 회신 데이터에 포함되는 회신 다음 노드의 정보(42b)로부터, 회신 다음 노드가 자신이라고 판단하고(S52에서, YES), 회신처 정보(42a)로부터, 회신처가 자신이 아니라고 판단한다(S53에서, YES). 그러면, 제 2 중계 노드(13b)는, 제 3의 회신 데이터를 갱신한다(S54). 구체적으로는, 제 3의 회신 데이터중의 회신 다음 노드의 정보(42b)를, 제 2의 회신 데이터를 작성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제 1 중계 노드(13a)의 정보로 갱신한다. 그리고, 제 2 중계 노드(13b)는, 교신 범위에서, 제 3의 회신 데이터를 송신한다(S55).Since the second relay node 13b is located in the communication range of the transmission destination node 12, in step S45, the second relay node 13b receives the third reply data transmitted from the transmission destination node 12 (S51 in Fig. 7) . Then, the second relay node 13b judges from the information 42b of the next node included in the third reply data that the next node to be returned is itself (YES in S52), and transmits the return destination information 42a It is determined that the sender is not the sender (S53: YES). Then, the second relay node 13b updates the third reply data (S54). More specifically, the information 42b of the next node in the third reply data is updated with the information of the first relay node 13a as in the case of generating the second reply data. Then, the second relay node 13b transmits the third reply data in the communication range (S55).

또한, 제 1 중계 노드(13a)는, 제 2 중계 노드(13b)의 교신 범위에 위치하기 때문에, S37에서, 제 2 중계 노드(13b)로부터 송신된 제 2의 회신 데이터를 수신함과 함께, S55에서, 송신처 노드(12)를 기점으로 한, 제 2 중계 노드(13b)로부터 송신된 제 3의 회신 데이터를 수신한다(도 8에서, S61). 그러면, 제 1 중계 노드(13a)는, 제 2 및 제 3의 회신 데이터에 포함되는 회신 다음 노드의 정보(42b)로부터, 회신 다음 노드가 자신이라고 판단하고(S62에서, YES), 회신처 정보(42a)로부터, 회신처가 자신이 아니라고 판단한다(S63에서, YES). 그러면, 제 1 중계 노드(13a)는, 제 2 및 제 3의 회신 데이터를 갱신한다(S63). 구체적으로는, 제 2 및 제 3의 회신 데이터 중의 회신 다음 노드의 정보(42b)를, 제 1의 회신 데이터를 작성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송신원 노드(11)의 정보로 갱신한다. 그리고, 제 1 중계 노드(13a)는, 교신 범위에서, 제 2 및 제 3의 회신 데이터를 송신한다(S64).Since the first relay node 13a is located in the communication range of the second relay node 13b, in step S37, the second relay node 13a receives the second reply data transmitted from the second relay node 13b, Receives the third reply data transmitted from the second relay node 13b starting from the transmission destination node 12 (S61 in Fig. 8). Then, the first relay node 13a judges from the information 42b of the next node included in the second and third reply data that the node next to the reply is itself (YES in S62) (YES in S63), the control unit 42a determines that the sender is not the sender. Then, the first relay node 13a updates the second and third reply data (S63). More specifically, the information 42b of the next node in the second and third reply data is updated with the information of the source node 11 as in the case of generating the first reply data. Then, the first relay node 13a transmits the second and third reply data in the communication range (S64).

또한, 송신원 노드(11)는, 제 1 중계 노드(13a)의 교신 범위에 위치하기 때문에, S27에서, 제 1 중계 노드(13a)로부터 송신된 제 1의 회신 데이터를 수신하고, 또한, 송신원 노드(11)는, S65에서, 송신처 노드(12)를 기점으로 한 것으로서, 제 2 중계 노드(13b)를 통과하고, 제 1 중계 노드(13a)로부터 송신된 제 3의 회신 데이터를 수신함과 함께, S65에서, 제 2 중계 노드(13b)를 기점으로 한, 제 1 중계 노드(13a)로부터 송신된 제 2의 회신 데이터를 수신한다(도 9에서, S71). 이와 같이, 송신원 노드(11)는, 제 1 내지 제 3의 회신 데이터를 수신하고, 중계 정보인 수신처 중계 노드의 정보(42d)와, 신호 강도(42c)의 정보를 수집한다. 여기서, 제어부(11c)는, 중계 정보 수집 수단, 회신 중계 정보 수집 수단 및 신호 강도 수집 수단으로서 작동한다. 그리고, 송신원 노드(11)는, 제 1 내지 제 3의 회신 데이터에 포함되는 회신 다음 노드의 정보(42b)로부터, 회신 다음 노드가 자신이라고 판단하고(S72에서, YES), 회신처 정보(42a)로부터, 회신처가 자신이라고 판단한다(S73에서, YES). 그리고, 송신원 노드(11)는, 제 1 내지 제 3의 회신 데이터와, 자신이 유지하는 수신처 중계 노드의 정보(40b)를, 외부, 즉 퍼스널 컴퓨터(14)에 통지한다(S74). 여기서, 제어부(11c)는, 중계 정보 통지 수단으로서 작동한다.Since the source node 11 is located in the communication range of the first relay node 13a, the source node 11 receives the first reply data transmitted from the first relay node 13a in S27, The relay station 11 receives the third reply data transmitted from the first relay node 13a through the second relay node 13b with the transmission destination node 12 as a start point in S65, In S65, the second relay node 13b receives the second reply data transmitted from the first relay node 13a (S71 in Fig. 9). In this way, the transmission source node 11 receives the first to third reply data, and collects the information 42d of the destination relay node which is the relay information and the information of the signal strength 42c. Here, the control unit 11c operates as relay information collecting means, reply relay information collecting means, and signal strength collecting means. Then, the source node 11 judges from the information 42b of the next node included in the first to third reply data that the next node to be returned is itself (YES in S72), and transmits the return destination information 42a (YES in S73). Then, the source node 11 notifies the external, that is, the personal computer 14, of the first to third reply data and the destination relay node information 40b held by the source node 11 (S74). Here, the control unit 11c operates as relay information notification means.

그러면, 퍼스널 컴퓨터(14)는, 통지된 제 1 내지 제 3의 회신 데이터에 의거하여, 송신원 노드(11)로부터 송신처 노드(12)까지의 통신 경로를 해석한다. 구체적으로는, 제 1 내지 제 3의 회신 데이터에 포함되는 수신처 중계 노드의 정보(42d)에 의거하여 해석한다. 즉, 송신원 노드(11)의 수신처 중계 노드의 정보(40b)는, 제 1 중계 노드(13a)이고, 제 1의 회신 데이터의 수신처 중계 노드의 정보(42d)는, 제 2 중계 노드(13b)이고, 제 2의 회신 데이터의 수신처 중계 노드의 정보(42d)는, 송신처 노드(12)이고, 제 3의 회신 데이터는, 종료 플래그를 포함하기 때문에, 송신원 노드(11)로부터 제 1 중계 노드(13a) 및 제 2 중계 노드(13b)를 통하여 송신처 노드(12)까지 도달한 경로라고 파악한다. 또한, 퍼스널 컴퓨터(14)는, 디스플레이(14a)에 통신 경로의 화면을 표시한다.Then, the personal computer 14 analyzes the communication path from the transmission source node 11 to the transmission destination node 12 on the basis of the notified first to third reply data. More specifically, it analyzes based on the information 42d of the destination relay node included in the first to third reply data. That is, the destination relay node information 40b of the source node 11 is the first relay node 13a, and the destination relay node information 42d of the first reply data is the second relay node 13b, , The information 42d of the destination relay node of the second reply data is the destination node 12 and the third reply data includes the end flag so that the information from the source node 11 to the first relay node 13a and the second relay node 13b to the destination node 12. [ In addition, the personal computer 14 displays a screen of the communication route on the display 14a.

도 13은, 통신 경로를 표시한 화면(20)의 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송신원 노드(11)로부터 제 1 중계 노드(13a) 및 제 2 중계 노드(13b)를 통하여 송신처 노드(12)까지 도달한 경로(17)를 표시하고 있다. 그리고, 노드 사이의 신호 강도(18)가, 경로의 하부에 표시되어 있다. 또한, 화면(14a)의 하부에는, 유저에 대한 메시지(19)가 표시되어 있다.13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screen 20 on which communication paths are displayed. Referring to FIG. 13, a route 17 reaching the transmission destination node 12 from the transmission source node 11 through the first relay node 13a and the second relay node 13b is displayed. The signal strength 18 between the nodes is indicated at the lower part of the path. Below the screen 14a, a message 19 for the user is displayed.

이와 같이, 무선 통신 시스템은, 송신원 노드(11)에서, 송신원 노드(11)로부터 송신처 노드(12)까지의 통신 경로를 파악하기 위해 필요한 중계 정보를 수집하기 위해, 중계 정보에 의거하여, 어느 중계 노드를 중계하여 통신을 행하고 있는지, 통신 경로를 파악할 수 있다. 이 경우, 외부 장치 등을 이용하는 일 없이, 중계 노드로부터 수집한 정보를 이용하여 통신 경로를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세큐어러티가 저하되는 일도 없다. 따라서 통신 경로 해석할 때의 세큐어러티를 향상할 수 있다.Thus, in order to collect the relay information necessary for grasping the communication path from the transmission source node 11 to the transmission destination node 12 in the transmission source node 11,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ransmits, based on the relay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communication is performed by relaying the node and the communication route. In this case, since the communication path can be grasped by using the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 relay node without using an external device or the like, the security does not deteriorat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secu- rity in interpreting the communication path.

또한, 이와 같은 통신 방법은, 송신원 노드(11)에서, 송신원 노드(11)로부터 송신처 노드(12)까지의 통신 경로를 파악하기 위해 필요한 중계 정보를 수집하기 위해, 중계 정보에 의거하여, 어느 중계 노드를 중계하여 통신을 행하고 있는지, 통신 경로를 파악할 수 있다. 이 경우, 외부 장치 등을 이용하는 일 없이, 중계 노드로부터 수집한 정보를 이용하여 통신 경로를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세큐어러티가 저하되는 일도 없다. 따라서 통신 경로 해석할 때의 세큐어러티를 향상할 수 있다.Such a communication method is a method in which the transmission source node 11 acquires relay information necessary for grasping the communication path from the transmission source node 11 to the transmission destination node 12,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communication is performed by relaying the node and the communication route. In this case, since the communication path can be grasped by using the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 relay node without using an external device or the like, the security does not deteriorat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secu- rity in interpreting the communication path.

또한, 이와 같은 중계 장치인 중계 노드는, 송신원 노드(11)를 향하여, 송신원 노드(11)로부터 송신처 노드(12)까지의 통신 경로를 파악하기 위해 필요한 중계 정보를 회신한다. 따라서 송신원 노드(11)에서, 회신된 중계 정보에 의거하여, 어느 중계 노드를 중계하여 통신을 행하고 있는지, 통신 경로를 파악할 수 있다. 이 경우, 외부 장치 등을 이용하는 일 없이, 중계 노드로부터 수집한 정보를 이용하여 통신 경로를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세큐어러티가 저하되는 일도 없다. 따라서 통신 경로 해석할 때의 세큐어러티를 향상할 수 있다.The relay node, which is such a relay device, returns relay information necessary for grasping the communication path from the source node 11 to the destination node 12 toward the source node 11. [ Therefore, the transmission source node 11 can ascertain which relay node is relaying to perform communication and the communication route based on the relay information returned. In this case, since the communication path can be grasped by using the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 relay node without using an external device or the like, the security does not deteriorat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secu- rity in interpreting the communication path.

또한, 이 경우, 송신원 노드(11)에 신호 강도를 회신하기 때문에, 송신원 노드(11)에서, 통신 경로 중의 노드 사이의 신호 강도를 파악할 수 있다. 그러면, 예를 들면, 신호 강도에 응하여, 통신 정밀도의 향상을 위한 대책을 시행할 수 있다.In this case, since the signal strength is returned to the transmission source node 11, the transmission source node 11 can grasp the signal strength between the nodes in the communication route. Then, for example, countermeasures for improving the communication accuracy can be performed in response to the signal strength.

또한, 상기한 실시의 형태에서는, 도 3 내지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중계 노드(13a) 및 제 2 중계 노드(13b)는, 소정의 데이터를 수신하면, 제 1 및 제 2의 회신 데이터로서, 수신처 중계 노드의 정보를 회신하는 예에 관해 설명하였지만, 이것으로 한정하는 일 없이, 송신처 노드(12)가 일괄하여 수신처 중계 노드의 정보를 회신하여도 좋다. 즉, 제 1 중계 노드(13a) 및 제 2 중계 노드(13b)는, 제 1 및 제 2의 회신 데이터를 회신하지 않아도 좋다.3 to 9, when the first relay node 13a and the second relay node 13b receive predetermined data, the first and second relay nodes 13a, The example of returning the information of the destination relay node as the reply data has been described. However, the transmission destination node 12 may return the information of the destination relay node collectively. That is, the first relay node 13a and the second relay node 13b may not return the first and second reply data.

구체적으로는, 제 1 중계 노드(13a)는, 송신원 노드(11)로부터 소정의 데이터를 수신하면, 송신처 정보로서 송신처 노드(12)의 정보와, 송신원 정보로서 송신원 노드(11)의 정보와, 다음 노드의 정보로서 제 2 중계 노드(13b)의 정보와, 전 노드의 정보로서 제 1 중계 노드(13a)의 정보와, 또한, 수신처 중계 노드의 정보로서 제 2 중계 노드(13b)의 정보에 의해 소정의 데이터를 구성한다. 그리고, 교신 범위에서, 소정의 데이터를 송신한다.Specifically, when receiving the predetermined data from the transmission source node 11, the first relay node 13a transmits, as transmission destination information, information of the transmission destination node 12, information of the transmission source node 11 as transmission source information, The information of the second relay node 13b as the information of the next node, the information of the first relay node 13a as the information of the former node and the information of the second relay node 13b as the information of the destination relay node Thereby constituting predetermined data. Then, predetermined data is transmitted in the communication range.

그러면, 제 2 중계 노드(13b)는, 제 1 중계 노드(13a)로부터 소정의 데이터를 수신하면, 송신처 정보로서 송신처 노드(12)의 정보와, 송신원 정보로서 송신원 노드(11)의 정보와, 다음 노드의 정보로서 송신처 노드(12)의 정보와, 전 노드의 정보로서 제 2 중계 노드(13b)의 정보와, 자신에 대해 소정의 데이터를 송신한 제 1 중계 노드(13a)에서 수신처 중계 노드의 정보인 제 2 중계 노드(13b)의 정보와, 또한, 자신이 유지하는 수신처 중계 노드의 정보인 송신처 노드(12)의 정보에 의해 소정의 데이터를 구성한다. 그리고, 교신 범위에서, 소정의 데이터를 송신한다.Then, when receiving the predetermined data from the first relay node 13a, the second relay node 13b transmits, as the transmission destination information, information of the transmission destination node 12, information of the transmission source node 11 as transmission source information, The first relay node 13a that has transmitted the information of the transmission destination node 12 as information of the next node, the information of the second relay node 13b as information of the former node, and predetermined data to itself, And the information of the transmission destination node 12, which is the information of the destination relay node that the relay node 13 itself maintains. Then, predetermined data is transmitted in the communication range.

그리고, 송신처 노드(12)는, 제 2 중계 노드(13b)로부터 소정의 데이터를 수신하면, 회신처 정보로서 송신원 노드(11)의 정보와, 회신 다음 노드의 정보로서 제 2 중계 노드(13b)의 정보와, 신호 강도와, 소정의 데이터가 도달한 것을 나타내는 종료 플래그와, 소정의 데이터에 포함되는 수신처 중계 노드의 정보 전부에 의해 회신 데이터를 구성한다. 그리고, 송신처 노드(12)는, 교신 범위에서, 회신 데이터를 송신한다. 이와 같이, 송신처 노드(12)로부터 송신원 노드(11)에, 일괄하여 수신처 중계 노드의 정보를 회신하고, 중계 노드에서는 회신하지 않도록 제어하여도 좋다.When receiving the predetermined data from the second relay node 13b, the transmission destination node 12 transmits the information of the transmission source node 11 as the return destination information and the information of the second relay node 13b as the information of the next node to be returned, A signal strength, an end flag indicating that predetermined data has been reached, and reply data based on all the information of the destination relay node included in the predetermined data. Then, the transmission destination node 12 transmits the reply data in the communication range. In this way, the information of the destination relay node may be collectively returned from the transmission source node 12 to the transmission source node 11, and control may be made so that the relay node does not reply.

또한, 상기한 실시의 형태에서는, 제 1 중계 노드(13a)는, 송신원 노드(11)로부터 소정의 데이터를 수신한 것을 계기로 하여, 교신 범위에서, 소정의 데이터를 송신하는 예에 관해 설명하였지만, 이것으로 한정하는 일 없이, 송신원 노드(11)로부터 소정의 데이터를 수신한 후, 재차, 송신원 노드(11)로부터 지시를 접수함에 의해, 그 지시를 계기로 하여, 교신 범위에서, 소정의 데이터를 송신하여도 좋다.In the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 first relay node 13a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in which predetermined data is transmitted in the communication range, on the occasion of receiving predetermined data from the transmission source node 11 , It is not limited to this and after accepting the instruction from the transmission source node 11 again after receiving the predetermined data from the transmission source node 11, May be transmitted.

또한, 상기한 실시의 형태에서는, 제 1 중계 노드(13a)는, 계측부(15b)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하고, 소정의 데이터를 수신한 때의 신호 강도를 계측하여, 송신원 노드(11)에 회신하는 예에 관해 설명하였지만, 이것으로 한정하는 일 없이, 특히 신호 강도의 정보가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는, 계측부(15b)를 구비하는 일 없이, 신호 강도를 회신하지 않아도 좋다. 이것은, 송신원 노드(11)나, 제 2 중계 노드(13b), 송신처 노드(12)에서도 마찬가지이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first relay node 13a is configured to include the measuring unit 15b, measures the signal strength at the time of receiving predetermined data,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In particular, when the signal strength information is not required, the signal strength may not be returned without the provision of the measuring section 15b. This also applies to the transmission source node 11, the second relay node 13b, and the transmission destination node 12.

또한, 송신원 노드(11)는, 수신처 중계 노드의 정보(42d)로서, 전지(電池) 구동형의 노드의 정보가 회신된 경우에는, 소정의 데이터의 송신을 종료하도록 지시를 내려도 좋다.The source node 11 may instruct the destination relay node 42d to terminate the transmission of predetermined data when the information of the battery-driven node is returned as the information 42d of the destination relay node.

또한, 도 2에 도시하는 송신처 정보(40a) 및 수신처 중계 노드의 정보(40b)는, 정보의 내용으로서, 복수의 노드의 각각을 식별 가능하면 좋고, 예를 들면, 복수의 노드의 각각에 ID가 할당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ID라도 좋고, 다른 정보라도 좋다. 또한, 소정의 데이터를 구성하는 송신처 정보(41a), 송신원 정보(41b), 다음 노드의 정보(41c), 및 전 노드의 정보(41d) 등에서도 마찬가지이고, 회신 데이터를 구성하는 회신처 정보(42a), 및 회신 다음 노드의 정보(42b) 등에서도 마찬가지이다.The transmission destination information 40a and the destination relay node information 40b shown in Fig. 2 need only be able to identify each of a plurality of nodes as the contents of information. For example, The ID may be the ID, or other information may be used. This also applies to the transmission destination information 41a, the transmission source information 41b, the information on the next node 41c and the information on all the nodes 41d constituting the predetermined data, And the information 42b of the next node after the reply.

또한, 상기한 실시의 형태에서는, 회신 데이터로서,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신처 정보(42a)와, 회신 다음 노드의 정보(42b)와, 신호 강도(42c)와, 중계 정보인 수신처 중계 노드의 정보(42d)를 포함하는 구성인 예에 관해 설명하였지만, 이것으로 한정하는 일 없이, 송신원 노드(11)에 회신하기 위해 필요하게 되는 정보와, 중계 정보를 적어도 갖는 구성이라면 좋다. 예를 들면, 제 2의 회신 데이터인 경우, 송신원 노드(11)에 회신하기 위한 정보로서는, 회신처 정보로서 회신원 노드(11)의 정보와, 회신 다음 노드의 정보로서 제 1 중계 노드(13a)의 정보를 갖는 구성으로 하고, 중계 정보로서는, 제 2 중계 노드(13b) 자신의 정보를 갖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12, the reply destination data 42a, the information 42b after the reply, the signal strength 42c, and the relay information, that is, And the relay node information 42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it is sufficient if the relay node has at least the information required to reply to the source node 11 and the relay information. 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second reply data, as information for returning to the transmission source node 11, information of the reply source node 11 as return destination information and information of the next relay node 13a , And the relay information may have the information of the second relay node 13b itself.

또한, 상기한 실시의 형태에서는, S35에서, 제 2 중계 노드(13b)는, 송신처 노드(12)를 향하여, 소정의 데이터를 송신하는 예에 관해 설명하였지만, 이것으로 한정하는 일 없이, 제 2 중계 노드(13b)는, 수신처 중계 노드의 정보(40b)로서, 수신한 소정의 데이터의 송신처 정보(41a)에 해당하는 송신처 노드(12)의 정보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제 2의 회신 데이터를 송신할 뿐이라도 좋다. 즉, 유지하는 수신처 중계 노드의 정보(40b)가, 수신한 소정의 데이터의 송신처 정보(41a)에 일치하는 경우에는, 소정의 데이터를 송신하는 일 없이, 회신 데이터를 송신할 뿐이라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한 경우, 퍼스널 컴퓨터(14)는, 송신원 노드(11)의 수신처 중계 노드의 정보(40b)와, 제 1의 회신 데이터의 수신처 중계 노드의 정보(42d)와, 제 2의 회신 데이터의 수신처 중계 노드(42d)의 정보에 의거하여, 경로를 파악한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example in which the second relay node 13b transmits predetermined data toward the transmission destination node 12 has been described in S35.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Since the relay node 13b holds the information of the transmission destination node 12 corresponding to the transmission destination information 41a of the received predetermined data as the destination relay node information 40b, It may be transmitted only. In other words, when the information 40b of the destination relay node to be maintained coincides with the destination information 41a of the received predetermined data, it is possible to transmit the reply data without transmitting the predetermined data. In this case, the personal computer 14 transmits the information 40b of the destination relay node of the source node 11, the destination relay node information 42d of the first reply data, And recognizes the route based on the information of the destination relay node 42d.

또한, 상기한 실시의 형태에서는, 제 1 내지 제 3의 회신 데이터를 퍼스널 컴퓨터(14)에 통지하고, 퍼스널 컴퓨터(14)에서, 송신원 노드(11)로부터 송신처 노드(12)까지의 통신 경로를 해석하는 예에 관해 설명하였지만, 이것으로 한정하는 일 없이, 송신원 노드(11)에서, 제 1 내지 제 3의 회신 데이터에 의거하여, 통신 경로를 해석하여도 좋다.In the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 first to third reply data are notified to the personal computer 14 and the communication path from the transmission source node 11 to the transmission destination node 12 in the personal computer 14 i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The source node 11 may analyze the communication path based on the first to third return data.

여기서, 노드가, 상기한 수신처 중계 노드의 정보(40b)를 유지하는 방법에 관해 설명한다. 도 14는, 복수의 노드의 각각의 위치 관계와, 교신 범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교신 범위에 관해서는, 제 1의 노드(51)는 실선으로 나타내고, 제 2의 노드(52)는 점선으로 나타내고, 제 3의 노드(53)는 1점 쇄선으로 나타내고, 제 4의 노드(54)는 2점 쇄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또한, 제 1 내지 제 4의 노드(51 내지 54)는, 예를 들면, 상기한 송신원 노드(11)나 송신처 노드(12), 중계 노드에 해당한다.Here, a method for the node to hold the information 40b of the destination relay node will be described. 14 is a diagram showing the positional relationship and communication range of each of a plurality of nodes. As for the communication range, the first node 51 is represented by a solid line, the second node 52 is represented by a dotted line, the third node 53 is represented by a one-dot chain line, and the fourth node 54 ) Is indicated by a chain double-dashed line. The first to fourth nodes 51 to 54 correspond to the above-described transmission source node 11, transmission destination node 12, and relay node, for example.

도 14를 참조하면, 제 1 내지 제 3의 노드(51 내지 53)는, 이미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있고, 각각의 교신 범위에서, 예를 들면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자신의 위치 정보를 송신하고 있다. 위치 정보란, 예를 들면, 제 1의 노드(51)를 기점으로 한 좌표 정보이다. 이 위치 정보의 송신은, 송신처를 특정하는 일 없이 행한다. 제 4의 노드(54)에서는, 아직도 네트워크에 참가할 수가 없다.Referring to Fig. 14, the first to third nodes 51 to 53 have already established a network and transmit their own position information in the respective communication ranges, for example,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 The position information is, for example, coordinate information based on the first node 51 as a starting point. The transmission of the position information is performed without specifying the transmission destination. At the fourth node 54, it is still not possible to join the network.

제 1의 노드(51)는, 제 2의 노드(52)의 교신 범위에 위치하여, 제 2의 노드(52)의 정보를 인접 정보로서 유지하고 있다. 여기서, 인접 정보란, 복수의 노드 중 자신에게 인접하는 노드의 정보이다. 제 2의 노드(52)는, 제 1 및 제 3의 노드(51, 53)의 교신 범위에 위치하여, 제 1 및 제 3의 노드(51, 53)의 정보를 인접 정보로서 유지하고 있다. 제 3의 노드(53)는, 제 2의 노드(52)의 교신 범위에 위치하여, 제 2의 노드(52)의 정보를 인접 정보로서 유지하고 있다. 또한, 제 3의 노드(53)는, 제 4의 노드(54)의 교신 범위에 위치하여 있지만, 제 4의 노드(54)가 아직 네트워크에 참가할 수가 없기 때문에, 인접 정보로서 유지하고 있지 않다. 제 4의 노드(54)에서는, 아직 네트워크에 참가할 수가 없기 때문에, 인접 정보는 전혀 유지하고 있지 않다.The first node 51 is located in the communication range of the second node 52 and holds the information of the second node 52 as the neighbor information. Here, the neighbor information is information of a node adjacent to itself among a plurality of nodes. The second node 52 is located in the communication range of the first and third nodes 51 and 53 and holds the information of the first and third nodes 51 and 53 as adjacent information. The third node 53 is located in the communication range of the second node 52 and holds the information of the second node 52 as the neighbor information. Further, although the third node 53 is located in the communication range of the fourth node 54, the fourth node 54 is not kept as adjacent information because the fourth node 54 can not participate in the network yet. Since the fourth node 54 can not participate in the network yet, adjacent information is not held at all.

여기서, 우선, 제 4의 노드(54)가, 네트워크에 참가하고, 인접 정보를 유지하는 경우에 관해 설명한다. 도 15는, 제 4의 노드(54)가, 네트워크에 참가하고, 인접 정보를 유지하는 경우에 관해 도시하는 플로 차트이다. 도 14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 first, the case where the fourth node 54 participates in the network and holds the neighbor information will be described. 15 is a flowchart showing a case where the fourth node 54 participates in the network and maintains the neighbor inform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4 to 15. Fig.

우선, 제 4의 노드(54)는, 교신 범위에서, 네트워크 참가 요구 신호를 송신한다(도 15에서, S81). 그러면, 제 4의 노드(54)의 교신 범위에 위치하는 제 3의 노드(53)가, 네트워크 참가 요구를 접수한다(S82). 제 3의 노드(53)는, 제 4의 노드(54)에 대해, 참가 허가를 회신한다(S83). 그러면, 제 4의 노드(54)는, 네트워크에 참가한다(S84).First, the fourth node 54 transmits a network participation request signal in the communication range (S81 in Fig. 15). Then, the third node 53 located in the communication range of the fourth node 54 accepts the network participation request (S82). The third node 53 returns the participation permission to the fourth node 54 (S83). Then, the fourth node 54 joins the network (S84).

그리고, 네트워크에 참가하면, 제 4의 노드(54)는, 교신 범위에서,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자신의 위치 정보를 송신한다(S85). 그러면, 제 4의 노드(54)의 교신 범위에 위치한 제 3의 노드(53)가, 제 4의 노드(54)로부터의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이에 의해, 제 3의 노드(53)는, 제 4의 노드(54)의 정보를 인접 정보로서 유지한다(S86).Then, when joining the network, the fourth node 54 transmits its own position information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in the communication range (S85). Then, the third node 53 located in the communication range of the fourth node 54 receives the positional information from the fourth node 54. Then, Thereby, the third node 53 keeps the information of the fourth node 54 as neighbor information (S86).

또한, 제 3의 노드(53)에서도, 교신 범위에서,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자신의 위치 정보를 송신하고 있기 때문에, 제 3의 노드(53)의 교신 범위에 위치한 제 4의 노드(54)는, 제 3의 노드(53)로부터의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이에 의해, 제 4의 노드(54)는, 제 3의 노드(53)의 정보를 인접 정보로서 유지한다(S87).The fourth node 54 located in the communication range of the third node 53 also transmit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ourth node 54 to the third node 53 becaus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hird node 53 itself is transmitted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in the communication range. The position information from the third node 53 is received. Thereby, the fourth node 54 keeps the information of the third node 53 as adjacent information (S87).

이와 같이 하여 노드는, 네트워크에 참가하고, 인접 정보를 유지한다.In this way, the node participates in the network and maintains the neighbor information.

다음에, 노드가, 중계 정보로서 상기한 수신처 중계 노드의 정보(40b)를 유지하는 방법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한 도 14를 참조하면, 여기서는, 제 1 내지 제 4의 노드(51 내지 54)는, 이미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있고, 인접 정보를 유지하고 있다. 예를 들면, 제 1의 노드(51)는, 제 2의 노드(52)의 정보를 인접 정보로서 유지하고 있고, 제 2의 노드(52)는, 제 1 및 제 3의 노드(51, 53)의 정보를 인접 정보로서 유지하고 있고, 제 3의 노드(53)는, 제 2 및 제 4의 노드(52, 54)의 정보를 인접 정보로서 유지하고 있고, 제 4의 노드(54)는, 제 3의 노드(53)의 정보를 인접 정보로서 유지하고 있다.Next, a method for the node to hold the relay node information 40b as the relay information will be described. Referring to FIG. 14, the first to fourth nodes 51 to 54 have already established a network, and maintain adjacent information. For example, the first node 51 maintains the information of the second node 52 as neighbor information, and the second node 52 maintains the information of the first and third nodes 51 and 53 And the third node 53 holds the information of the second and fourth nodes 52 and 54 as the neighbor information and the fourth node 54 keeps the information of the second node 54 and the fourth node 52 as neighboring information , The information of the third node 53 is held as the neighbor information.

여기서, 제 4의 노드(54)가 데이터의 송신원이 되고, 제 1의 노드(51)가 데이터의 송신처가 되는 통신에서, 제 1 내지 제 4의 노드(51 내지 54)에서, 수신처 중계 노드의 정보(40b)를 유지하는 경우에 관해 설명한다. 도 16은, 제 1 내지 제 4의 노드(51 내지 54)에서, 수신처 중계 노드의 정보(40b)를 유지하는 경우에 관해 도시하는 플로 차트이다. 도 17은, 경로 구축 신호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8은, 경로 구축 리스폰스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4, 도 16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 in the communication in which the fourth node 54 becomes the transmission source of data and the first node 51 becomes the transmission destination of data, in the first to fourth nodes 51 to 54, Information 40b is maintained. Fig. 16 is a flowchart showing the case where the first to fourth nodes 51 to 54 hold the information 40b of the destination relay node. 17 is a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path establishment signal. 18 is a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path establishment respons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4 and 16 to 18. Fig.

우선, 송신원인 제 4의 노드(54)는, 교신 범위에서, 경로 구축 신호를 송신한다(도 16에서, S91). 도 17을 참조하면, 경로 구축 신호란, 송신처 정보(43a)와, 송신원 정보(43b)와, 전 노드의 정보(43c)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송신처 정보(43a)란, 경로 구축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처가 되는 노드의 정보이고, 송신원 정보(43b)란, 경로 구축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원이 되는 노드의 정보이고, 전 노드의 정보(43c)란, 자신의 정보이다. 즉, 제 4의 노드(54)에서는, 송신처 정보(43a)로서 제 1의 노드(51)의 정보와, 송신원 정보(43b)로서 자신인 제 4의 노드(54)의 정보와, 전 노드의 정보(43c)로서 자신인 제 4의 노드(54)의 정보에 의해 경로 구축 신호를 구성한다.First, the fourth node 54 as a transmission source transmits a route establishment signal in the communication range (S91 in FIG. 16). Referring to Fig. 17, the route establishment signal includes the transmission destination information 43a, the transmission source information 43b, and the information 43c of all nodes. The transmission source information 43a is information of a node to be a transmission destination for transmitting a route establishment signal. The transmission source information 43b is information of a node that is a transmission source for transmitting a route establishment signal. , His information. In other words, in the fourth node 54, the information of the first node 51 as the transmission destination information 43a, the information of the fourth node 54 itself as the transmission source information 43b, And constitutes a path establishment signal by the information of the fourth node 54 which is itself as the information 43c.

그러면, 제 3의 노드(53)는, 제 4의 노드(54)의 교신 범위에 위치하기 때문에, 경로 구축 신호를 수신한다(S92). 그리고, 제 3의 노드(53)가 유지하는 송신처 정보(40a)로서, 수신한 경로 구축 신호에 해당하는 제 1의 노드(51)의 정보를 유지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유지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한다면(S93에서, YES), 제 3의 노드(53)는, 수신한 경로 구축 신호중, 전 노드의 정보(43c)를 자신인 제 3의 노드(53)의 정보로 갱신한다(S94). 그리고, 교신 범위에서, 갱신한 경로 구축 신호를 송신한다(S95).Then, since the third node 53 is located in the communication range of the fourth node 54, the third node 53 receives the route establishment signal (S92).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information of the first node 51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route establishment signal is held as the transmission destination information 40a held by the third node 53, If judged (YES in S93), the third node 53 updates the information 43c of all the nodes in the received route establishment signal to the information of the third node 53 itself (S94). Then, in the communication range, the updated route establishment signal is transmitted (S95).

그러면, 제 2의 노드(52)는, 제 3의 노드(53)의 교신 범위에 위치하기 때문에, 경로 구축 신호를 수신한다(S96). 그리고, 제 2의 노드(52)가 유지하는 송신처 정보(40a)로서, 수신한 경로 구축 신호에 해당하는 제 1의 노드(51)의 정보를 유지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유지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한다면(S97에서, YES), 제 2의 노드(52)는, 수신한 경로 구축 신호중, 전 노드의 정보(43c)를 자신인 제 2의 노드(52)의 정보로 갱신한다(S98). 그리고, 교신 범위에서, 갱신한 경로 구축 신호를 송신한다(S99).Then, since the second node 52 is located in the communication range of the third node 53, the route establishment signal is received (S96).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information of the first node 51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route establishment signal is retained as the transmission destination information 40a held by the second node 52, If judged (YES in S97), the second node 52 updates the information 43c of all the nodes in the received route establishment signal to the information of the second node 52 of itself (S98). Then, in the communication range, the updated route establishment signal is transmitted (S99).

그러면, 제 1의 노드(51)는, 제 2의 노드(52)의 교신 범위에 위치하기 때문에, 경로 구축 신호를 수신한다(S100). 그리고, 제 1의 노드(51)는, 경로의 종점이 되기 때문에, 수신처 중계 노드의 정보(40b)로서, 자신이라고 기억부에 유지한다. 그리고, 수신한 경로 구축 신호에 대한 경로 구축 리스폰스를 송신한다(S101). 도 18을 참조하면, 경로 구축 리스폰스는, 회신처 정보(44a)와, 회신 다음 노드의 정보(44b)와, 회신 다음 노드에서의 수신처 중계 노드의 정보(44c)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회신처 정보(44a)란, 경로 구축 리스폰스를 회신하는 회신처가 되는 노드의 정보이고, 회신 다음 노드의 정보(44b)란, 자신에 대해 경로 구축 신호를 송신한 노드이고, 경로 구축 리스폰스의 다음의 회신처가 되는 노드의 정보이고, 회신 다음 노드에서의 수신처 중계 노드의 정보(44c)란, 회신 다음 노드가 유지하여야 할 수신처 중계 노드의 정보이다. 즉, 회신 다음 노드에서의 수신처 중계 노드의 정보(44c)란, 회신 다음 노드에서, 경로 구축 리스폰스가 회신된 노드이다. 제 1의 노드(51)에서는, 회신처 정보(44a)로서 제 4의 노드(54)의 정보와, 회신 다음 노드의 정보(44b)로서 제 2의 노드(52)의 정보와, 회신 다음 노드에서의 수신처 중계 노드의 정보(44c)로서 자신인 제 1의 노드(51)의 정보에 의해, 경로 구축 리스폰스를 구성한다. 그리고, 제 1의 노드(51)는, 교신 범위에서, 경로 구축 리스폰스를 송신한다.Then, since the first node 51 is located in the communication range of the second node 52, the route establishment signal is received (S100). Since the first node 51 is the end point of the route, the first node 51 keeps the information 40b of the destination relay node in the storage section. Then, a path establishment response to the received path establishment signal is transmitted (S101). Referring to Fig. 18, the path establishment response includes the return destination information 44a, the information 44b after the reply, and the relay node information 44c at the node next to the reply. The return destination information 44a is the information of the node to be the return destination for returning the path establishment response and the information 44b of the node after the reply is the node that has transmitted the route establishment signal to itself, The information 44c of the destination relay node at the next node is the information of the destination relay node to be maintained by the node next to the reply. That is, the information 44c of the relay node at the node next to the reply is the node to which the route establishment response is returned at the node next to the reply. In the first node 51, the information of the fourth node 54 as the return destination information 44a, the information of the second node 52 as the information 44b of the next node after the reply, The route establishment response is configured by the information of the first node 51, which is itself, as the information 44c of the destination relay node. Then, the first node 51 transmits the path establishment response in the communication range.

그러면, 제 2의 노드(52)는, 제 1의 노드(51)의 교신 범위에 위치하기 때문에, 경로 구축 리스폰스를 수신한다(S102). 그리고, 제 2의 노드(52)는, 회신 다음 노드의 정보(44b)로부터, 다음 노드가 자신이라고 판단하고, 회신처 정보(44a)로부터, 회신처가 자신이 아니라고 판단한다. 그리고, 제 2의 노드(52)는, 회신 다음 노드에서의 수신처 중계 노드의 정보(44c)로부터, 제 1의 노드(51)가 송신처가 되는 수신처 중계 노드의 정보(40b)로서, 제 1의 노드(51)의 정보를 기억부에 유지한다(S103).Then, since the second node 52 is located in the communication range of the first node 51, it receives the path establishment response (S102). Then, the second node 52 judges from the information 44b of the next node after the reply that the next node is the own node, and judges from the return destination information 44a that the reply destination is not itself. The second node 52 receives from the destination relay node information 44c at the node following the reply the information 40b of the destination relay node to which the first node 51 is the transmission destination, The information of the node 51 is held in the storage unit (S103).

그리고, 제 2의 노드(52)는, 수신한 경로 구축 리스폰스 중, 회신 다음 노드의 정보(44b)를 제 3의 노드(53)의 정보로 갱신하고, 회신 다음 노드에서의 수신처 중계 노드의 정보(44c)를 제 2의 노드(52)의 정보로 갱신한다. 이와 같이 하여, 경로 구축 리스폰스를 구성하고(S104), 교신 범위에서, 경로 구축 리스폰스를 송신한다(S105).The second node 52 updates the information 44b of the next node in the received route establishment response with the information of the third node 53 and transmits the relay node information (44c) to the information of the second node (52). In this way, a path establishment response is configured (S104), and a path establishment response is transmitted in the communication range (S105).

그러면, 제 3의 노드(53)는, 제 2의 노드(52)의 교신 범위에 위치하기 때문에, 경로 구축 리스폰스를 수신한다(S106). 그리고, 제 3의 노드(53)는, 회신 다음 노드의 정보(44b)로부터, 다음 노드가 자신이라고 판단하고, 회신처 정보(44a)로부터, 회신처가 자신이 아니라고 판단한다. 그리고, 제 3의 노드(53)는, 회신 다음 노드에서의 수신처 중계 노드의 정보(44c)로부터, 제 1의 노드(51)가 송신처가 되는 수신처 중계 노드의 정보(40b)로서, 제 2의 노드(52)의 정보를 기억부에 유지한다(S107).Then, since the third node 53 is located in the communication range of the second node 52, it receives the path establishment response (S106). Then, the third node 53 judges from the information 44b of the next node after the reply that the next node is the own node, and judges from the reply destination information 44a that the reply destination is not itself. The third node 53 receives from the destination relay node information 44c at the next node the reply as the destination relay node information 40b to which the first node 51 is the destination, The information of the node 52 is held in the storage unit (S107).

그리고, 제 3의 노드(53)는, 수신한 경로 구축 리스폰스 중, 회신 다음 노드의 정보(44b)를 제 4의 노드(54)의 정보로 갱신하고, 회신 다음 노드에서의 수신처 중계 노드의 정보(44c)를 제 3의 노드(53)의 정보로 갱신한다. 이와 같이 하여, 경로 구축 리스폰스를 구성하고(S108), 교신 범위에서, 경로 구축 리스폰스를 송신한다(S109).The third node 53 updates the information 44b of the next node in the received route establishment response with the information of the fourth node 54 and transmits the relay node information (44c) to the information of the third node (53). In this manner, a path establishment response is configured (S108), and a path establishment response is transmitted in the communication range (S109).

그러면, 제 4의 노드(54)는, 제 3의 노드(53)의 교신 범위에 위치하기 때문에, 경로 구축 리스폰스를 수신한다(S110). 그리고, 제 4의 노드(54)는, 회신 다음 노드의 정보(44b)로부터, 다음 노드가 자신이라고 판단하고, 회신처 정보(44a)로부터, 회신처가 자신이라고 판단한다. 그리고, 제 4의 노드(54)는, 회신 다음 노드에서의 수신처 중계 노드의 정보(44c)로부터, 제 1의 노드(51)가 송신처가 되는 수신처 중계 노드의 정보(40b)로서, 제 3의 노드(53)의 정보를 기억부에 유지한다(S111).Then, since the fourth node 54 is located in the communication range of the third node 53, the route establishment response is received (S110). Then, the fourth node 54 judges from the information 44b of the next node after the reply that the next node is the node itself, and determines from the reply destination information 44a that the reply destination is the relay node itself. The fourth node 54 receives from the destination relay node information 44c at the node following the reply the information 40b of the destination relay node to which the first node 51 is the transmission destination, The information of the node 53 is held in the storage unit (S111).

이와 같이 하여 노드는, 수신처 중계 노드의 정보(40b)를 유지한다.Thus, the node maintains the information 40b of the destination relay node.

또한, S93에서, 유지하고 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S93에서, NO), S108로 진행한다. 그리고, 회신처 정보(44a)로서 제 4의 노드(54)의 정보와, 회신 다음 노드의 정보(44b)로서 제 4의 노드(54)의 정보와, 회신 다음 노드에서의 수신처 중계 노드의 정보(44c)로서 자신인 제 3의 노드(53)의 정보에 의해, 경로 구축 리스폰스를 구성하고, S109에서, 경로 구축 리스폰스를 송신한다.If it is determined in S93 that it is maintained (NO in S93), the process proceeds to S108. The information of the fourth node 54 as the return destination information 44a and the information of the fourth node 54 as the information 44b of the next node to be returned and the relay node information The path establishment response is constituted by the information of the third node 53, which is its own node 44c, and in step S109, the path establishment response is transmitted.

또한, S97에서, 유지하고 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S97에서, NO), S104로 진행한다. 그리고, 회신처 정보(44a)로서 제 4의 노드(54)의 정보와, 회신 다음 노드의 정보(44b)로서 제 3의 노드(53)의 정보와, 회신 다음 노드에서의 수신처 중계 노드의 정보(44c)로서 자신인 제 2의 노드(52)의 정보에 의해, 경로 구축 리스폰스를 구성하고, S105에서, 경로 구축 리스폰스를 송신한다.If it is determined in S97 that it is maintained (NO in S97), the process proceeds to S104. The information of the fourth node 54 as the return destination information 44a and the information of the third node 53 as the information 44b of the next node to be returned and the relay node information The path establishment response is constituted by the information of the second node 52 as its own node 44c, and in step S105, the path establishment response is transmitted.

또한, 상기한 실시의 형태에서는, 경로 구축 리스폰스를, 회신처 정보(44a)와, 회신 다음 노드의 정보(44b)와, 회신 다음 노드에서의 수신처 중계 노드의 정보(44c)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한 예에 관해 설명하였지만, 이것으로 한정하는 일 없이, 신호 강도를 또한 포함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이 경우, 신호 강도는, 예를 들면 제 2의 노드(52)에서는, 제 1의 노드(51)로부터 경로 구축 리스폰스를 수신한 때에 계측한 강도라도 좋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route establishment response is configured to include the return destination information 44a, the information 44b after the reply, and the destination relay node information 44c at the node next to the reply Although an example has been describe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signal strength may be also included. In this case, the signal strength may be, for example, the strength measured at the second node 52 when the path establishment response is received from the first node 51. [

또한, 상기한 실시의 형태에서는, 제 3의 노드(53)의 교신 범위에는, 제 4의 노드(54)가 위치하고, 제 4의 노드(54)의 교신 범위에는, 제 3의 노드(53)가 위치한 예에 관해 설명하였지만, 이것으로 한정하는 일 없이, 제 3의 노드(53)의 교신 범위가 되는 영역으로서, 또한 제 4의 노드(54)의 교신 범위가 되는 영역, 즉, 도 14 중의 사선으로 나타내는 영역에, 예를 들면 제 5의 노드(도시 생략)가 위치하는 경우에는, 제 4의 노드(54)로부터 송신된 경로 구축 신호는, 제 5의 노드에서도 수신한다. 그러면, 제 3의 노드(53)는, S92에서, 제 4의 노드(54)로부터 송신된 경로 구축 신호와, 제 5의 노드로부터 송신된 경로 구축 신호를 수신한다. 이와 같은 경우, 제 3의 노드(53)는, 먼저 수신한 경로 구축 신호에 관해, 상기한 바와 같은 처리를 행하고, 후에 수신한 경로 구축 신호에 관해서는, 특히 처리하지 않는다. 즉, 같은 경로 구축 신호를 다른 노드로부터 수신한 경우에는, 먼저 수신한 경로 구축 신호에 관해서는 처리하고, 후에 수신한 경로 구축 신호에 관해서는 처리하지 않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경로 구축 신호를 이미 수신한 것인지의 여부의 판단은, 예를 들면, 경로 구축 신호를 식별하기 위한 ID를 경로 구축 신호에 포함하는 구성으로 하여, 판단 가능하게 하여도 좋다.In the above embodiment, the fourth node 54 is located in the communication range of the third node 53, the third node 53 is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range of the fourth node 54, The area to be the communication range of the third node 53 and the area to be the communication range of the fourth node 54 as shown in Fig. 14 In the case where, for example, a fifth node (not shown) is located in the region indicated by oblique lines, the route establishment signal transmitted from the fourth node 54 is also received at the fifth node. Then, in step S92, the third node 53 receives the route establishment signal transmitted from the fourth node 54 and the route establishment signal transmitted from the fifth node. In such a case, the third node 53 performs the above-described processing with regard to the previously received path establishment signal, and does not particularly deal with the path establishment signal received later. That is, when the same route establishment signal is received from another node, the received route establishment signal may be processed first, and the route establishment signal received later may not be processed. Further, the determination as to whether or not the path establishment signal has already been received may be made by making a configuration including, for example, an ID for identifying the path establishment signal in the path establishment signal.

또한, 동일한 경로 구축 신호를 다른 노드로부터 수신한 경우라도, S109에서의 경로 구축 리스폰스의 송신은, 제 4의 노드(54) 및 제 5의 노드의 양쪽에 행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이 경우, 제 4의 노드(54)는, S110에서의 경로 구축 리스폰스의 수신을, 제 3의 노드(53) 및 제 5의 노드의 양쪽에서 행하여진다.In addition, even when the same route establishment signal is received from another node, transmission of the route establishment response in step S109 may be performed on both the fourth node 54 and the fifth node. In this case, the fourth node 54 receives the path establishment response at S110 at both the third node 53 and the fifth node.

다음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 관해 설명한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무선 통신 시스템인 통신 노드 시스템(26)을 도시하는 블록도다. 도 19를 참조하면, 통신 노드 시스템(26)은, 복수의 장치인 복수의 노드와, 제어 장치인 퍼스널 컴퓨터(컴퓨터)(28)를 구비한다.Next,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19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mmunication node system 26 that is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9, the communication node system 26 includes a plurality of nodes, which are a plurality of apparatuses, and a personal computer (computer) 28, which is a control apparatus.

복수의 노드는, 송신원 장치인 송신원 노드(21)와, 송신처 장치인 제 1 내지 제 4의 송신처 노드(22 내지 25)와, 송신원 노드(21)와 제 1 내지 제 4의 송신처 노드(22 내지 25)와의 사이에서 데이터를 중계하는 중계 장치인 제 1 내지 제 10중계 노드(29a 내지 29j)를 포함한다.The plurality of nodes includes a transmission source node 21 as a transmission source device, first to fourth transmission destination nodes 22 to 25 as transmission destination devices, a transmission source node 21 and first to fourth transmission destination nodes 22 to 25, 25, which are relay devices for relaying data between the first to tenth relay nodes 29a to 29j.

송신원 노드(21)는, 상기한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정보를 기억하기 위한 기억부(21a)와, 데이터를 수신한 때의 신호 강도를 계측하는 계측부(21b)와, 송신원 노드(21) 전체를 제어하는 제어부(21c)를 구비한다. 또한, 이 구성은, 도시는 하지 않지만, 제 1 내지 제 4의 송신처 노드(22 내지 25)나, 제 1 내지 제 10중계 노드(29a 내지 29j)에서도 마찬가지이다.The transmission source node 21 includes a storage section 21a for storing information, a measurement section 21b for measuring the signal strength at the time of receiving the data, And a control unit 21c for controlling the control unit 21c. This configuration is also the same in the first to fourth transmission source nodes 22 to 25 and the first to tenth relay nodes 29a to 29j, though not shown.

복수의 노드에는, 각각을 식별하기 위해 ID가 할당되어 있다. ID는, 기억부에 유지되어 있다. 도 20은, ID의 일람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송신원 노드(21)에는, ID : 01이 할당되어 있다. 제 1 내지 제 4의 송신처 노드(22 내지 25)에는, ID : 02 내지 05가 할당되어 있다. 제 1 내지 제 10중계 노드(29a 내지 29j)에는, ID : 06 내지 15가 할당되어 있다.IDs are assigned to a plurality of nodes in order to identify each of them. The ID is held in the storage unit. 20 is a diagram showing a list of IDs. Referring to FIG. 20, ID: 01 is assigned to the source node 21. IDs 02 to 05 are assigned to the first to fourth transmission source nodes 22 to 25, respectively. IDs 06 to 15 are assigned to the first to tenth relay nodes 29a to 29j.

송신원 노드(21)는, 미리 복수의 노드 각각에 할당된 ID의 전부를 유지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송신원 노드(21)는, 통신 노드 시스템(26)에서의 모든 제 1 내지 제 10중계 노드(29a 내지 29j)의 정보를 기억한다. 여기서, 기억부(21a)는, 중계 장치 정보 기억 수단으로서 작동한다.The transmission source node 21 holds all of the IDs assign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nodes in advance. Thereby, the transmission source node 21 stores information of all the first to tenth relay nodes 29a to 29j in the communication node system 26. [ Here, the storage unit 21a operates as relay apparatus information storage means.

또한, 퍼스널 컴퓨터(28)는, 송신원 노드(21)와 접속되어 있고,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28a)와, 퍼스널 컴퓨터(28) 전체를 제어하는 제어부(28b)를 구비한다.The personal computer 28 is connected to the transmission source node 21 and includes a display 28a for displaying a screen and a control section 28b for controlling the entire personal computer 28. [

여기서, 제 1 내지 제 10중계 노드(29a 내지 29j)와 같이, 많은 중계 노드를 마련하고 있으면, 중계 노드 중에는, 송신원 노드(21)로부터 제 1 내지 제 4의 송신처 노드(22 내지 25)에 데이터를 송신할 때에, 데이터를 중계하는 일 없이, 통신 경로를 구축하지 않는 잉여의 중계 노드, 즉, 잉여 노드가 존재하는 경우가 있다. 도 21은, 잉여 노드를 추출하는 경우의 통신 노드 시스템(26)의 동작을 도시하는 플로 차트이다. 도 21을 참조하여, 잉여 노드를 추출하는 경우에 관해 설명한다.Here, if a large number of relay nodes are provided as in the first to tenth relay nodes 29a to 29j, among the relay nodes, data is transmitted from the source node 21 to the first to fourth destination nodes 22 to 25 There may be a surplus relay node, that is, a surplus node that does not establish the communication path without relaying the data. 21 is a flowchart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communication node system 26 in the case of extracting redundant nodes. The case of extracting redundant node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우선, 퍼스널 컴퓨터(28)는, 송신원 노드(21)로부터 제 1 내지 제 4의 송신처 노드(22 내지 25)의 각각까지의 통신 경로를 파악한다(S201). 이 통신 경로의 파악은, 상기한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다. 즉, 송신원 노드(21)에 대해, 제 1 내지 제 4의 송신처 노드(22 내지 25)의 각각을 향하여 소정의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지시하고, 송신원 노드(21)로부터 회신 데이터를 통지됨에 의해 행한다. 이것 의해, 송신원 노드(21)로부터 제 1의 송신처 노드(22)까지의 통신 경로는, 송신원 노드(21)로부터 제 2 중계 노드(29b)를 통하여 제 1의 송신처 노드(22)까지 도달한 경로이라고 파악한다. 송신원 노드(21)로부터 제 2의 송신처 노드(23)까지의 통신 경로는, 송신원 노드(21)로부터 제 4중계 노드(29d)를 통하여 제 2의 송신처 노드(23)까지 도달한 경로라고 파악한다. 송신원 노드(21)로부터 제 3의 송신처 노드(24)까지의 통신 경로는, 송신원 노드(21)로부터 제 4중계 노드(29d)를 통하여 제 3의 송신처 노드(24)까지 도달한 경로라고 파악한다. 송신원 노드(21)로부터 제 4의 송신처 노드(25)까지의 통신 경로는, 송신원 노드(21)로부터 제 5중계 노드(29e)를 통하여 제 6중계 노드(29f)를 통하여 제 4의 송신처 노드(25)까지 도달한 경로라고 파악한다.First, the personal computer 28 grasps communication routes from the transmission source node 21 to each of the first to fourth transmission source nodes 22 to 25 (S201). This communication path is grasped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at is, the transmission source node 21 is instructed to transmit predetermined data toward each of the first to fourth transmission source nodes 22 to 25, and the reply data is notified from the transmission source node 21. The communication route from the source node 21 to the first destination node 22 is the route from the source node 21 to the first destination node 22 through the second relay node 29b . The communication route from the source node 21 to the second destination node 23 is regarded as the route from the source node 21 to the second destination node 23 through the fourth relay node 29d . The communication route from the source node 21 to the third destination node 24 is regarded as the route from the source node 21 to the third destination node 24 via the fourth relay node 29d . The communication route from the source node 21 to the fourth destination node 25 is transmitted from the source node 21 through the fifth relay node 29e through the sixth relay node 29f to the fourth destination node 25).

또한, 퍼스널 컴퓨터(28)는, 송신원 노드(21)에 대해, 모든 중계 노드의 정보를 통지하도록 지시한다. 그러면, 송신원 노드(21)는, 퍼스널 컴퓨터(28)를 향하여, 기억부(21a)에 기억하고 있는 모든 중계 노드의 정보를 통지한다(S202). 여기서, 제어부(21c)는, 중계 장치 정보 통지 수단으로서 작동한다. 그러면, 퍼스널 컴퓨터(28)는, 송신원 노드(21)로부터 제 1 내지 제 4의 송신처 노드(22 내지 25)까지의 통신 경로에 포함되는 중계 노드의 ID와, 모든 중계 노드의 ID를 비교하여, 차분을 추출함에 의해(S203), 통신 경로에 포함되지 않는 중계 노드를 잉여 노드로서 추출한다(S204). 즉, 통지된 회신 데이터에 포함되는 중계 정보에 의거하여, 모든 제 1 내지 제 10중계 노드(29a 내지 29j) 중, 수신처 중계 노드에 포함되지 않는 중계 노드를, 잉여 노드로서 추출한다. 여기서는, 송신원 노드(21)로부터 제 1 내지 제 4의 송신처 노드(22 내지 25)까지의 통신 경로에 포함되는 중계 노드의 ID는, 제 2 중계 노드(29b)의 ID : 07과, 제 4중계 노드(29d)의 ID : 09와, 제 5중계 노드(29e)의 ID : 10과, 제 6중계 노드(29f)의 ID : 11이다. 따라서 제 1 중계 노드(29a)의 ID : 06과, 제 3중계 노드(29c)의 ID : 08과, 제 7중계 노드(29g)의 ID : 12와, 제 8중계 노드(29h)의 ID : 13과, 제 9중계 노드(29i)의 ID : 14와, 제 10중계 노드(29j)의 ID : 15를 잉여 노드로서 추출하게 된다. 여기서, 제어부(28b)는, 잉여 장치 추출 수단으로서 작동하고, 퍼스널 컴퓨터(28)는, 잉여 노드를 추출하는 소정의 추출부가 된다.Further, the personal computer 28 instructs the transmission source node 21 to notify the information of all the relay nodes. Then, the source node 21 notifies all of the relay nodes stored in the storage section 21a to the personal computer 28 (S202). Here, the control unit 21c operates as relay apparatus information notification means. Then, the personal computer 28 compares the IDs of the relay nodes included in the communication route from the source node 21 to the first to fourth destination nodes 22 to 25 and the IDs of all the relay nodes, By extracting the difference (S203), the relay node not included in the communication path is extracted as a surplus node (S204). That is, on the basis of the relay information included in the notified reply data, among all the first to tenth relay nodes 29a to 29j, the relay node not included in the destination relay node is extracted as the surplus node. Here, the ID of the relay node included in the communication route from the source node 21 to the first to fourth destination nodes 22 to 25 is the ID of the second relay node 29b, 07, The ID of the node 29d is 09, the ID of the fifth relay node 29e is 10, and the ID of the sixth relay node 29f is 11. Therefore, the ID of the first relay node 29a, the ID of the third relay node 29c, the ID of the seventh relay node 29g, and the ID of the eighth relay node 29h, 13 of the seventh relay node 29j, the ID 14 of the ninth relay node 29i and the ID 15 of the tenth relay node 29j as redundant nodes. Here, the control unit 28b operates as surplus device extracting means, and the personal computer 28 becomes a predetermined extracting unit for extracting surplus nodes.

또한, 퍼스널 컴퓨터(28)는, 디스플레이(28a)에 추출한 잉여 노드의 화면을 표시한다. 도 22는, 잉여 노드의 화면(30)의 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제 1 내지 제 4의 송신처 노드(22 내지 25)까지의 경로를 표시함과 함께, 경로를 구성하는 노드의 ID를 표시하고 있다. 그리고, 화면(30)의 하부에 잉여 노드의 ID를 표시하고 있다. 이에 의해, 예를 들면 유저는, 표시된 화면(30)에 따라, 잉여 노드인 제 1 중계 노드(29a)(ID : 06), 제 3중계 노드(29c)(ID : 08), 제 7중계 노드(29g)(ID : 12), 제 8중계 노드(29h)(ID : 13), 제 9중계 노드(29i)(ID : 14), 및 제 10중계 노드(29j)(ID : 15)의 설치를 그만두고, 불필요한 노드가 없는 통신 노드 시스템(26)으로 한다.Also, the personal computer 28 displays a screen of the surplus node extracted on the display 28a. 22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screen 30 of a surplus node. 22, the route to the first to fourth destination nodes 22 to 25 is indicated and the ID of the node constituting the route is displayed. Then, the ID of the surplus node is displayed in the lower part of the screen 30. Thus, for example, the user can select the first relay node 29a (ID: 06), the third relay node 29c (ID: 08), the seventh relay node 29b (ID) 12, the eighth relay node 29h (ID) 13, the ninth relay node 29i (ID) 14, and the tenth relay node 29j And makes the communication node system 26 without unnecessary nodes.

이와 같이, 무선 통신 시스템은, 송신원 노드(21)에서, 송신원 노드(21)로부터 송신처 노드(22 내지 25)까지의 통신 경로를 파악하기 위해 필요한 중계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한 중계 정보를 컴퓨터에 통지한다. 그리고, 컴퓨터는, 통지된 중계 정보에 의거하여, 모든 중계 노드 중에서, 잉여 노드를 추출한다. 그러면, 유저에 있어서 잉여 노드를 파악할 수 있고, 잉여 노드를 제거할 수 있다. 그 결과, 불필요한 노드가 없는 적절한 통신 노드 시스템(26)을 구축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ollects relay information necessary for grasping the communication path from the transmission source node 21 to the transmission destination nodes 22 to 25 in the transmission source node 21, and transmits the collected relay information to the computer Notify. Then, the computer extracts surplus nodes from all the relay nodes based on the notified relay information. Then, the surplus node can be grasped by the user, and the surplus node can be removed. As a result, an appropriate communication node system 26 without unnecessary nodes can be constructed.

또한, 이와 같은 무선 통신 방법인 잉여 노드를 추출한 방법은, 송신원 노드(21)에서, 송신원 노드(21)로부터 송신처 노드(22 내지 25)까지의 통신 경로를 파악하기 위해 필요한 중계 정보를 수집하고, 소정의 추출부가 되는 퍼스널 컴퓨터(28)에서, 수집한 중계 정보에 의거하여, 모든 중계 노드 중에서, 잉여 노드를 추출한다. 그러면, 소정의 추출부를 이용하여, 유저에 있어서 잉여 노드를 파악할 수 있고, 잉여 노드를 제거할 수 있다. 그 결과, 불필요한 노드를 배제할 수 있다.The method of extracting the surplus node as th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collects the relay information necessary for grasping the communication path from the transmission source node 21 to the transmission destination nodes 22 to 25 in the transmission source node 21, In the personal computer 28 which is a predetermined extraction unit, the redundant node is extracted from all the relay nodes based on the collected relay information. Then, the user can grasp the redundant node and remove the redundant node by using the predetermined extracting unit. As a result, unnecessary nodes can be excluded.

또한, 이와 같은 송신원 장치인 송신원 노드(21)는, 송신원 노드(21)에서, 송신원 노드(21)로부터 송신처 노드(22 내지 25)까지의 통신 경로를 파악하기 위해 필요한 중계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한 중계 정보를 퍼스널 컴퓨터(28)에 통지한다. 따라서 퍼스널 컴퓨터(28)에서, 통지된 중계 정보에 의거하여, 모든 중계 노드 중에서, 잉여 노드를 추출시킬 수 있다. 그러면, 유저에 있어서 잉여 노드를 파악할 수 있고, 잉여 노드를 제거할 수 있다. 그 결과, 불필요한 노드를 배제할 수 있다.The transmission source node 21 as the transmission source device collects the relay information necessary for grasping the communication route from the transmission source node 21 to the transmission destination nodes 22 to 25 at the transmission source node 21, And notifies the personal computer 28 of the relay information. Therefore, the personal computer 28 can extract the surplus node from all the relay nodes based on the notified relay information. Then, the surplus node can be grasped by the user, and the surplus node can be removed. As a result, unnecessary nodes can be excluded.

또한, 이와 같은 제어 장치인 퍼스널 컴퓨터(28)는, 송신원 노드(21)로부터 송신처 노드(22 내지 25)까지의 통신 경로를 파악하기 위해 필요한 중계 정보를 송신원 노드(21)로부터 통지되고, 통지된 중계 정보에 의거하여, 모든 중계 노드 중에서, 잉여 노드를 추출할 수 있다. 그러면, 유저에 있어서 잉여 노드를 파악할 수 있고, 잉여 노드를 제거할 수 있다. 그 결과, 불필요한 노드를 배제할 수 있다.The personal computer 28 as such a control device is notified of the relay information necessary for grasping the communication path from the transmission source node 21 to the transmission destination nodes 22 to 25 from the transmission source node 21, The redundant node can be extracted from all the relay nodes based on the relay information. Then, the surplus node can be grasped by the user, and the surplus node can be removed. As a result, unnecessary nodes can be excluded.

또한, 상기한 실시의 형태에서는, 모든 중계 노드 중, 중계 정보에 포함되지 않는 것을 잉여 노드로서 추출하는 예에 관해 설명하였지만, 이것으로 한정하는 일 없이, 신호 강도에 의거하여 추출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소정의 임계치 이하의 신호 강도를 포함하는 통신 경로에서는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하고, 그 통신 경로를 구성한 중계 노드를 잉여 노드로서 추출하여도 좋다. 또한, 통신 경로를 구성하는 중계 노드의 개수가, 소정의 개수 이상인 통신 경로에서도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그 통신 경로를 구성하는 중계 노드를 잉여 노드로서 추출하여도 좋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mong the relay nodes, those that are not included in the relay information are extracted as the redundant node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extraction may be performed based on the signal strength. For example, it is not used in a communication route including a signal strength lower than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and a relay node constituting the communication route may be extracted as a redundant node. The relay node constituting the communication path may be extracted as a surplus node by not using the same number of relay nodes constituting the communication path in a communication path of a predetermined number or more.

또한, 상기한 실시의 형태에서는, 통신 노드 시스템(26)은, 퍼스널 컴퓨터(28)를 포함하는 구성의 예에 관해 설명하였지만, 이것으로 한정하는 일 없이, 퍼스널 컴퓨터(28)를 포함하지 않는 구성으로 하고, 송신원 노드에서, 잉여 노드를 추출하도록 제어하여도 좋다. 즉, 송신원 노드가, 잉여 노드를 추출하는 소정의 추출부라도 좋다. 그리고, 통신 노드 시스템(26)은, 송신원 노드와, 송신처 노드와, 중계 노드를 포함하는 구성으로서, 중계 노드는, 중계 정보를 기억하는 중계 정보 기억 수단을 구비하고, 송신원 노드는, 기억된 중계 정보를 수집하는 중계 정보 수집 수단과, 모든 중계 노드의 정보를 기억하는 중계 장치 정보 기억 수단과, 중계 정보 수집 수단에 의해 수집한 중계 정보에 의거하여, 중계 장치 정보 기억 수단에 의해 기억한 모든 중계 노드 중에서, 잉여 노드를 추출하는 잉여 장치 추출 수단을 구비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communication node system 26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including the personal computer 28. However, the communication node system 26 is not limited to this configuration, , And the source node may control to extract the redundant node. That is, the transmitting node may be a predetermined extracting unit for extracting the redundant node. The communication node system 26 includes a transmission source node, a transmission destination node, and a relay node. The relay node includes relay information storage means for storing relay information, A relay device information storage unit that stores information of all the relay nodes; and a relay device information storage unit that stores all relay information stored by the relay device information storage unit, based on the relay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relay information collection unit And a redundant apparatus extracting means for extracting redundant nodes from among the nodes.

이렇게 함에 의해, 송신원 노드에서, 송신원 노드로부터 송신처 노드까지의 통신 경로를 파악하기 위해 필요한 중계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한 중계 정보에 의거하여, 모든 중계 노드 중에서, 잉여 노드를 추출한다. 그러면, 유저에 있어서 잉여 노드를 파악할 수 있고, 잉여 노드를 제거할 수 있다. 그 결과, 불필요한 노드를 배제할 수 있다.By doing so, the transmitting node collects the relay information necessary for grasping the communication path from the transmitting source node to the transmitting node, and extracts the redundant node from all the relay nodes based on the collected relay information. Then, the surplus node can be grasped by the user, and the surplus node can be removed. As a result, unnecessary nodes can be excluded.

또한, 상기한 실시의 형태에서는, 송신원 노드(21)가, 통신 노드 시스템(26)에서의 모든 제 1 내지 제 10중계 노드(29a 내지 29j)의 정보를 기억하고, 퍼스널 컴퓨터(28)에 대해 통지하는 예에 관해 설명하였지만, 이것으로 한정하는 일 없이, 미리 퍼스널 컴퓨터(28)에 기억시키고 있어도 좋다.In the above embodiment, the transmission source node 21 stores information of all the first to tenth relay nodes 29a to 29j in the communication node system 26,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but may be stored in the personal computer 28 in advance.

또한, 네트워크 루팅할 때에, AODV(Ad hoc On-demand Distance Vector) 등의 수법을 적절히 이용하여도 좋다.Also, when routing the network, a technique such as AODV (Ad hoc On-demand Distance Vector) may be used as appropriate.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도시한 실시 형태의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시된 실시 형태에 대해, 본 발명과 동일한 범위 내에서, 또는 균등한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의 수정이나 변형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It is possible to apply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to the illustrated embodiments within the same range or within an equivalent range of the present invention.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Industrial Availability]

본 발명은, 무선 통신에서, 통신 정밀도의 향상을 위해 유효하게 이용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effectively used for improving communication accuracy in wireless communication.

9, 26 : 통신 노드 시스템
11, 21 : 송신원 노드
8, 12, 22, 23, 24, 25 : 송신처 노드
13a, 13b, 29a, 29b, 29c, 29d, 29e, 29f, 29g, 29h, 29i, 29j : 중계 노드
14, 28 : 퍼스널 컴퓨터
14a, 28a : 디스플레이
8a, 11a, 12a, 15a, 16a, 21a : 기억부
8b, 11b, 12b, 15b, 16b, 21b : 계측부
8c, 11c, 12c, 15c, 16c, 21c, 28b : 제어부
17 : 경로
18 : 신호 강도
19 : 메시지
20, 30 : 화면
40a, 41a, 43a : 송신처 정보
40b, 42d : 수신처 중계 노드의 정보
41b, 43b : 송신원 정보
41c : 다음 노드의 정보
41d, 43c : 전 노드의 정보
42a, 44a : 회신처 정보
42b, 44b : 회신 다음 노드의 정보
42c : 신호 강도
44c : 회신 다음 노드에서의 수신처 중계 노드의 정보
51, 52, 53, 54 : 노드
9, 26: Communication node system
11, 21: source node
8, 12, 22, 23, 24, 25: destination node
29a, 29b, 29a, 29b, 29c, 29d, 29e, 29f, 29g, 29h, 29i,
14, 28: personal computer
14a, 28a: Display
8a, 11a, 12a, 15a, 16a, 21a:
8b, 11b, 12b, 15b, 16b, 21b:
8c, 11c, 12c, 15c, 16c, 21c, 28b:
17: Path
18: Signal strength
19: Messages
20, 30: Screen
40a, 41a, 43a: transmission destination information
40b, 42d: information of the destination relay node
41b, 43b: transmission source information
41c: information of the next node
41d, 43c: Information of all nodes
42a, 44a: Return destination information
42b, 44b: information of the next node
42c: signal strength
44c: Reply The information of the relay node at the next node
51, 52, 53, 54: node

Claims (13)

복수의 장치를 중계하여 장치 사이에서 데이터의 통신을 행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으로서,
데이터의 송신원이 되는 송신원 장치와, 데이터의 송신처가 되는 송신처 장치와, 상기 송신원 장치와 상기 송신처 장치와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송신원 장치로부터 상기 송신처 장치까지의 데이터의 통신을 중계하는 중계 장치를 가지며,
상기 중계 장치는,
통신 경로를 파악하기 위해 필요한 중계 정보를 기억하는 중계 정보 기억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송신원 장치는,
상기 중계 정보 기억 수단에 의해 기억된 상기 중계 정보를 수집하는 중계 정보 수집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중계 장치는, 데이터를 수신한 때의 신호 강도를 계측하는 신호 강도 계측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송신원 장치는, 상기 신호 강도 계측 수단에 의해 계측한 신호 강도의 정보를 수집하는 신호 강도 수집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중계 정보 기억 수단은 상기 중계 정보로서 다음의 중계 노드 정보만을 기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1.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for relaying a plurality of devices to perform data communication between devices, comprising:
A relay apparatus for relaying communication of data from the transmission source apparatus to the transmission destination apparatus, the transmission source apparatus being a transmission source of data, the transmission destination apparatus being a data transmission destination, and the relay apparatus located between the transmission source apparatus and the transmission destination apparatus And,
The relay apparatus includes:
And relay information storage means for storing relay information necessary for grasping a communication path,
The transmission source apparatus,
And relay information collection means for collecting the relay information stored by the relay information storage means,
The relay apparatus includes signal strength measuring means for measuring signal strength when data is received,
The transmission source apparatus includes signal strength collection means for collecting information on the signal strength measured by the signal strength measurement means,
And the relay information storage means stores only the next relay node information as the relay informa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 장치는, 상기 중계 정보 기억 수단에 의해 기억한 상기 중계 정보를 상기 송신원 장치에 회신하는 중계 정보 회신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송신원 장치는, 상기 중계 정보 회신 수단에 의해 회신된 상기 중계 정보를 수집하는 회신 중계 정보 수집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elay apparatus includes relay information returning means for returning the relay information stored by the relay information storing means to the transmission source apparatus,
Wherein the transmission source apparatus includes reply relay information collection means for collecting the relay information returned by the relay information reply means.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 정보는, 데이터를 다음에 송신하는 수신처가 되는 수신처 중계 장치의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relay information is information of a destination relay device which is a destination for transmitting data next time.
복수의 장치를 중계하여 장치 사이에서 데이터의 통신을 행하는 무선 통신 방법으로서,
데이터의 송신원이 되는 송신원 장치와 데이터의 송신처가 되는 송신처 장치와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송신원 장치로부터 상기 송신처 장치까지의 데이터의 통신을 중계하는 중계 장치가, 통신 경로를 파악하기 위해 필요한 중계 정보를 기억하는 중계 정보 기억 스텝과,
송신원 장치에서, 중계 장치가 기억하는 중계 정보를 수집하는 중계 정보 수집 스텝을 구비하고,
상기 중계 장치는, 데이터를 수신한 때의 신호 강도를 계측하는 스텝을 포함하고,
상기 송신원 장치는, 계측한 신호 강도의 정보를 수집하는 스텝을 구비하고,
상기 중계 정보 기억 스텝은 중계 정보로서 다음의 중계 노드 정보만을 기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for relaying a plurality of devices to perform data communication between devices,
A relay apparatus which is located between a transmission source apparatus as a transmission source of data and a transmission destination apparatus as a transmission destination of data and which relays communication of data from the transmission source apparatus to the transmission destination apparatus includes relay information A relay information storage step of storing,
And a relay information collecting step of collecting relay information stored in the relay apparatus in the transmission source apparatus,
Wherein the relay device includes a step of measuring a signal strength at the time of receiving the data,
Wherein the transmission source device has a step of collecting information on the measured signal strength,
Wherein the relay information storing step stores only the next relay node information as relay information.
복수의 장치를 중계하여 장치 사이에서 데이터의 통신을 행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사용되는 중계 장치로서,
데이터의 송신원이 되는 송신원 장치와 데이터의 송신처가 되는 송신처 장치와의 사이에 위치하여 데이터의 통신을 중계하는 것이고,
통신 경로를 파악하기 위해 필요한 중계 정보를 기억하는 중계 정보 기억 수단과,
상기 중계 정보 기억 수단에 의해 기억한 상기 중계 정보를 상기 송신원 장치에 회신하는 중계 정보 회신 수단을 구비하고,
데이터를 수신한 때의 신호 강도를 계측하는 신호 강도 계측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송신원 장치는, 상기 신호 강도 계측 수단에 의해 계측한 신호 강도의 정보를 수집하는 신호 강도 수집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중계 정보 기억 수단은 상기 중계 정보로서 다음의 중계 노드 정보만을 기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 장치.
A relay apparatus used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for relaying a plurality of apparatuses and performing data communication between the apparatuses,
And is located between a transmission source device that is a transmission source of data and a transmission destination device that is a transmission destination of data and relays communication of data,
Relay information storage means for storing relay information necessary for grasping a communication path,
And relay information returning means for returning the relay information stored by the relay information storing means to the transmission source device,
And signal strength measuring means for measuring signal strength at the time of receiving the data,
The transmission source apparatus includes signal strength collection means for collecting information on the signal strength measured by the signal strength measurement means,
And the relay information storage means stores only the next relay node information as the relay informa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27017768A 2010-03-12 2011-03-01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relay device, transmission source device and control device KR101392590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056487A JP5353774B2 (en) 2010-03-12 2010-03-12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transmission source apparatus, and control apparatus
JP2010056486A JP5402739B2 (en) 2010-03-12 2010-03-12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relay device
JPJP-P-2010-056487 2010-03-12
JPJP-P-2010-056486 2010-03-12
PCT/JP2011/054623 WO2011111570A1 (en) 2010-03-12 2011-03-01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relay device, transmission source device and control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2757A KR20120102757A (en) 2012-09-18
KR101392590B1 true KR101392590B1 (en) 2014-05-08

Family

ID=445633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7768A KR101392590B1 (en) 2010-03-12 2011-03-01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relay device, transmission source device and control device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392590B1 (en)
CN (1) CN102714881B (en)
WO (1) WO2011111570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73400A (en) * 2014-03-12 2015-10-01 三菱電機株式会社 network monitoring device and network monitoring method
TW201804309A (en) * 2016-07-22 2018-02-01 華碩電腦股份有限公司 Electronic device, operating method of electronic device,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86405A (en) 2004-03-26 2005-10-13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2007124296A (en) 2005-10-28 2007-05-17 Hitachi Ltd Communication route establishment method of adhoc network, and communication equipment
JP2007306547A (en) 2006-04-11 2007-11-22 Nagoya Institute Of Technology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in ad hoc network between vehicle
JP2009246931A (en) 2008-03-10 2009-10-22 Nissan Motor Co Ltd On-vehicle communication apparatus and vehicle-to-vehicle communication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96314B2 (en) * 2005-11-14 2011-06-08 株式会社国際電気通信基礎技術研究所 Wireless device and wireless network system including the same
JP4586854B2 (en) * 2008-02-05 2010-11-24 ソニー株式会社 Display generating apparatus, display generating method, program,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5103324B2 (en) * 2008-08-18 2012-12-19 一般財団法人電力中央研究所 Sensor terminal arrangement support method and program for wireless sensor network
CN101534520B (en) * 2009-04-10 2010-09-15 北京航空航天大学 Reliable routing method of mobile Ad hoc network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86405A (en) 2004-03-26 2005-10-13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2007124296A (en) 2005-10-28 2007-05-17 Hitachi Ltd Communication route establishment method of adhoc network, and communication equipment
JP2007306547A (en) 2006-04-11 2007-11-22 Nagoya Institute Of Technology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in ad hoc network between vehicle
JP2009246931A (en) 2008-03-10 2009-10-22 Nissan Motor Co Ltd On-vehicle communication apparatus and vehicle-to-vehicle communication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714881A (en) 2012-10-03
KR20120102757A (en) 2012-09-18
CN102714881B (en) 2015-08-19
WO2011111570A1 (en) 2011-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1252B1 (en) Wireless sensor network
JP5412636B1 (en) Moving object detection system, wrinkle detection system, and moving object detection method
CN104244277B (en) For keeping the device and method of the reliability with asymmetric or other low quality Radio Links wireless network
JP6003631B2 (en) Wireless device installation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in remote monitoring system
EP2595432A1 (en) Communication network system, node apparatus, and route selection method for communication network system
JP6693506B2 (en) Sensor network system
JP5861769B2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node, and monitoring node
JP6606469B2 (en) Communication system and wireless network engineering support method
JP2005094530A (en) Data transfer path construction method,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system and sensor network system
KR101392590B1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relay device, transmission source device and control device
CN101960875A (en) System for visualizing design and organization of wireless mesh networks in physical space
JP2017181287A (en) Position estimation device, position estimation program, monitoring device, and state monitoring system
JP5387010B2 (en) User behavior monitoring system and user behavior monitoring method
JP4796014B2 (en) COMMUNICATION CONTROL SUPPORT DEVICE, COMMUNICATION CONTROL SUPPORT METHOD, AND PROGRAM
JP5402739B2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relay device
JP5353774B2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transmission source apparatus, and control apparatus
JP6259600B2 (en) Communication progra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JP5848191B2 (en) Distribution management system, distribution management terminal and distribution management method
JP2013128227A (en) Information processing terminal,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JP2016139911A (en) Radio network situation presentation device and program
JP2011250181A (en) Network management system, network element, network management device, and network management method
JP2015211317A (en) Factor identification method of wireless sensor network failure, factor identification device and factor identification program
JP2010074650A (en) Apparatus, method, and program for giving communication condition information, access point, and wireless terminal
JP2006005753A (en) Method, system, server and program for deriving communication topology
JP2007306280A (en) Retrieval and display system for node position on radio communication multi-hop networ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