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1606B1 - Apparatus for controlling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vehicle thereof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controlling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vehicle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1606B1
KR101391606B1 KR1020120135866A KR20120135866A KR101391606B1 KR 101391606 B1 KR101391606 B1 KR 101391606B1 KR 1020120135866 A KR1020120135866 A KR 1020120135866A KR 20120135866 A KR20120135866 A KR 20120135866A KR 101391606 B1 KR101391606 B1 KR 1013916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ne
unit
control
current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586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광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1201358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160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16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160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08Active safety systems predicting or avoiding probable or impending collision or attempting to minimise its consequences
    • B60W30/095Predicting travel path or likelihood of colli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04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 B60W10/06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including control of combustion eng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2050/0001Details of the control system
    • B60W2050/0002Automatic control, details of type of controller or control system archite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42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ensors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ir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ehicle control apparatus and a vehicle control method thereof.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comprises an object detection unit that detects a current object in the vicinity of a subject vehicle which is in driving in an underground parking lot; a control unit that is supplied with the current object which is detected by the object detection unit and includes an access information range from a pre-set reference object; a first determination unit that determines whether the current object which is detected by the object detection unit is within the access information range from the reference object according to control of the control unit; and a first recognition unit that discerns a situation of collision with the current object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in case where the current object determined by the first determination unit is within the access information range from the reference object.

Description

차량 제어 장치 및 그 차량 제어 방법{Apparatus for controlling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vehicle thereof}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control apparatus,

본 발명은 차량 제어 장치 및 그 차량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control apparatus and a vehicle control method thereof.

일반적으로, 종래 차량이 골목길과 지하 주차장 및 좁은 통로중 어느 한 장소에서 주행중일 때에, 특히 미숙한 운전자는 현재의 상황을 예의 주시하여 현재 물체와의 충돌을 방지하면서 운전해야만 했었다.In general, when a conventional vehicle is running in an alleyway, an underground parking lot, or a narrow passage, an inexperienced driver has to operate while preventing a collision with a current object.

이러한, 종래 차량은 운전에 대한 스트레스를 받게 되어 피로감이 쌓이는 문제점이 있었고, 심각하게는 현재 물체와의 충돌을 미연에 방지하지 못해 탑승자의 생명에 해를 끼치는 문제점이 있었다.Such a conventional vehicle has a problem that fatigue is piled up due to stress on driving, and serious collision with a current object can not be prevented beforehand, which has a problem of damaging the passenger's life.

따라서, 최근에는 골목길과 지하 주차장 및 좁은 통로중 어느 한 장소에서 충돌 상황이 될 경우 미리 현재 물체와의 충돌 상황임을 식별시켜, 현재 물체와의 충돌을 미연에 방지함으로써, 탑승자의 생명을 보호할 수가 있는 개선된 차량 제어 장치 및 그 차량 제어 방법의 연구가 지속적으로 행해져 오고 있다.
Accordingly, in recent years, when a collision situation occurs in any one of an alleyway, an underground parking lot, and a narrow passage, it is identified that the collision situation with the current object is in advance and the collision with the current object is prevented in advance, There has been a continuous study on an improved vehicle control apparatus and a vehicle control method therefor.

본 발명의 목적은, 골목길과 지하 주차장 및 좁은 통로중 어느 한 장소에서 현재 물체와의 접근 상태에 따라 충돌 상황이 될 경우 현재 물체와의 충돌 상황임을 식별시킬 수가 있으므로, 현재 물체와의 충돌을 미연에 방지할 수가 있어 탑승자의 생명을 보호할 수가 있는 차량 제어 장치 및 그 차량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make it possible to identify a collision situation with a current object when a collision situation occurs according to an access state of the current object in an alley, an underground parking lot, or a narrow passage, Which can protect the passenger's life, and a vehicle control method for the vehicl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현재 주행 가능 차선이 기준 주행 가능 차선 정보 범위일 경우 현재 주행 가능한 차선임을 식별시킬 수가 있으므로, 현재 물체와의 충돌을 더욱 미연에 방지할 수가 있어 탑승자의 생명을 더욱 보호할 수가 있는 차량 제어 장치 및 그 차량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ehicle control system capable of preventing collision with a current object more effectively because it is possible to identify the presently possible lane when the presently possible lane can be regarded as the reference travelable lane information range And a vehicle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주행 차선으로 주행중인 자기 차량을 기준 차선 유지 간격 범위로 맞춰 차선을 유지시킬 수가 있으므로, 현재 물체와의 충돌을 더욱 미연에 방지할 수가 있어 탑승자의 생명을 더욱 보호할 수가 있는 차량 제어 장치 및 그 차량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에 있다.It is 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lane keeping apparatus and a lane keeping apparatus which can maintain a lane by adjusting a lane of a lane in which the lane of the lane of the lane is maintained to the reference lane keeping interval range to further prevent collision with the current lane, And a vehicle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주행 차선으로 주행중인 자기 차량을 기준 속도 레벨 범위로 맞춰 속도를 조절시킬 수가 있으므로, 현재 물체와의 충돌을 더욱 미연에 방지할 수가 있어 탑승자의 생명을 더욱 보호할 수가 있는 차량 제어 장치 및 그 차량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에 있다.
It is 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ehicle speed control system and a vehicle speed control method for controlling a speed of a subject vehicle traveling in a driving lane in accordance with a reference speed level range so that collision with a current object can be prevented further, And a vehicle control method therefor.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골목길과 지하 주차장 및 좁은 통로중 어느 한 장소에서 주행중인 자기 차량 주변의 현재 물체를 감지하는 물체 감지부와; 물체 감지부에서 감지한 현재 물체를 공급받고, 이미 설정된 기준 물체와의 접근 정보 범위를 포함하는 제어부와; 물체 감지부에서 감지한 현재 물체가 기준 물체와의 접근 정보 범위인지를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판단하는 제 1 판단부; 및 제 1 판단부에서 판단한 현재 물체가 기준 물체와의 접근 정보 범위일 경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현재 물체와의 충돌 상황임을 식별시키는 제 1 식별부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object detection apparatus comprising: an object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a current object in a vicinity of a vehicle, which is running in an alley, an underground parking lot, or a narrow passage; A control unit receiving a current object detected by the object detection unit and including an access information range with the already set reference object; A first judging unit for judging whether the current object detected by the object detecting unit is in the access information range with the reference object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And a first identification unit for identifying a collision situation with the current object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when the current object determined by the first determination unit is in the access information range with the reference object.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어부는 이미 설정된 기준 주행 가능 차선 정보 범위를 더 포함하고; 제 1 판단부에서 판단한 현재 물체가 기준 물체와의 접근 정보 범위를 벗어날 경우, 자기 차량 주변의 현재 주행 가능 차선을 감지하는 주행 가능 차선 감지부를 더 포함하며; 주행 가능 차선 감지부에서 감지한 현재 주행 가능 차선이 기준 주행 가능 차선 정보 범위인지를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판단하는 제 2 판단부를 더 포함하고; 제 2 판단부에서 판단한 현재 주행 가능 차선이 기준 주행 가능 차선 정보 범위일 경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현재 주행 가능한 차선임을 식별시키는 제 2 식별부를 더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further includes the already set reference travelable lane information range; Further comprising: a travelable lane sensing section for sensing a current lane capable of traveling around the subject vehicle when the current object determined by the first determination section is out of the access information range with the reference object; Further comprising: a second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based on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whether the current driveable lane sensed by the driveable lane sensing unit is in the reference driveable lane information range; And a second identification unit for identifying the currently-travelable lane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when the current driveable lane determined by the second determination unit is the reference driveable lane information range.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어부는 이미 설정된 기준 차선 유지 간격 범위를 더 포함하고; 제 1 판단부에서 판단한 현재 물체가 기준 물체와의 접근 정보 범위일 경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주행중인 자기 차량을 기준 차선 유지 간격 범위로 맞춰 차선을 유지시키는 차선 유지부를 더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further includes a reference lane keeping interval range that is already set; And a lane keeping unit for keeping the lane by keeping the lane keeping interval within the reference lane keeping interval range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when the current object determined by the first determining unit is the access information range with the reference object.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어부는 이미 설정된 기준 속도 레벨 범위를 더 포함하고; 제 1 판단부에서 판단한 현재 물체가 기준 물체와의 접근 정보 범위일 경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주행중인 자기 차량을 기준 속도 레벨 범위로 맞춰 속도를 조절시키는 속도 조절부를 더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further includes a predetermined reference speed level range; And a speed adjusting unit for adjusting the speed of the subject vehicl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reference speed level range when the current object determined by the first determining unit is the access information range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object.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현재 물체는 외벽과 다른 차량 및 오토바이와 자전거 및 동물과 장애물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urrent object is at least one of an outer wall and other vehicles, a motorcycle, a bicycle, an animal, and an obstacle.

또한, 본 발명은 골목길과 지하 주차장 및 좁은 통로중 어느 한 장소에서 주행중인 자기 차량 주변의 현재 물체를 물체 감지부에서 감지하는 물체 감지 단계와; 물체 감지부에서 감지한 현재 물체가 제어부에 설정된 기준 물체와의 접근 정보 범위인지를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제 1 판단부에서 판단하는 제 1 판단 단계; 및 제 1 판단부에서 판단한 현재 물체가 기준 물체와의 접근 정보 범위일 경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제 1 식별부에서 현재 물체와의 충돌 상황임을 식별시키는 제 1 식별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object detection method comprising: an object detection step of detecting a current object in a vicinity of a running vehicle in an alleyroad, an underground parking lot, or a narrow passage; A first determination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current object detected by the object detection unit is a range of access information with respect to a reference object set in the control unit according to control of the control unit; And a first identification step of identifying, in a case where the current object determined by the first determination unit is the access information range with the reference object, a collision situation with the current object in the first identification unit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 1 판단 단계 이후에, 제 1 판단부에서 판단한 현재 물체가 기준 물체와의 접근 정보 범위를 벗어날 경우, 자기 차량 주변의 현재 주행 가능 차선을 주행 가능 차선 감지부에서 감지하는 주행 가능 차선 감지 단계를 더 수행하고; 주행 가능 차선 감지부에서 감지한 현재 주행 가능 차선이 제어부에 설정된 기준 주행 가능 차선 정보 범위인지를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제 2 판단부에서 판단하는 제 2 판단 단계를 더 수행하며; 제 2 판단부에서 판단한 현재 주행 가능 차선이 기준 주행 가능 차선 정보 범위일 경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제 2 식별부에서 현재 주행 가능한 차선임을 식별시키는 제 2 식별 단계를 더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ase where the current object determined by the first determination unit is out of the access information range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object after the first determination step, Further performing a driveable lane detection step for sensing the vehicle; A second determination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current driveable lane sensed by the driveable lane sensing unit is the reference driveable lane information range set in the control unit, in accordance with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And a second identifying step of identifying, in accordance with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that the current driving allowable lane determined by the second determining unit is the currently drivable lane in the second identifying unit.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 1 판단 단계 이후에, 제 1 판단부에서 판단한 현재 물체가 기준 물체와의 접근 정보 범위일 경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차선 유지부에서 주행중인 자기 차량을 제어부에 설정된 기준 차선 유지 간격 범위로 맞춰 차선을 유지시키는 차선 유지 단계를 더 수행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case where the current object determined by the first determination unit is in the access information range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object after the first determination step,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vehicle in- A lane keeping step of keeping the lane in accordance with the reference lane keeping interval range set in the lane keeping step.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 1 판단 단계 이후에, 제 1 판단부에서 판단한 현재 물체가 기준 물체와의 접근 정보 범위일 경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속도 조절부에서 주행중인 자기 차량을 제어부에 설정된 기준 속도 레벨 범위로 맞춰 속도를 조절시키는 속도 조절 단계를 더 수행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urrent object determined by the first determination unit is in the access information range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object after the first determination step,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vehicle in- And the speed is adjusted in accordance with the reference speed level range set in the speed control step.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차량 제어 장치 및 그 차량 제어 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According to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and the vehicle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obtained.

첫째, 골목길과 지하 주차장 및 좁은 통로중 어느 한 장소에서 현재 물체와의 접근 상태에 따라 충돌 상황이 될 경우 현재 물체와의 충돌 상황임을 식별시킬 수가 있으므로, 현재 물체와의 충돌을 미연에 방지할 수가 있어 탑승자의 생명을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First, it is possible to identify a collision situation with the current object in the event of a collision according to the access state with the current object at any one of the alley, the underground parking lot, and the narrow passage, so that the collision with the current object can be prevented There is an effect that can protect the life of the passenger.

둘째, 현재 주행 가능 차선이 기준 주행 가능 차선 정보 범위일 경우 현재 주행 가능한 차선임을 식별시킬 수가 있으므로, 현재 물체와의 충돌을 더욱 미연에 방지할 수가 있어 탑승자의 생명을 더욱 보호할 수 있는 다른 효과가 있다.Secondly, if the presently possible lane is in the range of the standard lane possible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identify the presently possible lane, so that it is possible to prevent collision with the present object more effectively, thereby further improving the life of the occupant have.

셋째, 주행 차선으로 주행중인 자기 차량을 기준 차선 유지 간격 범위로 맞춰 차선을 유지시킬 수가 있으므로, 현재 물체와의 충돌을 더욱 미연에 방지할 수가 있어 탑승자의 생명을 더욱 보호할 수 있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Third, since the lane can be maintained by adjusting the range of the lane keeping interval to the range of the reference lane keeping interval, it is possible to further prevent collision with the current object, thereby further protecting the occupant's life. have.

넷째, 주행 차선으로 주행중인 자기 차량을 기준 속도 레벨 범위로 맞춰 속도를 조절시킬 수가 있으므로, 현재 물체와의 충돌을 더욱 미연에 방지할 수가 있어 탑승자의 생명을 더욱 보호할 수 있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Fourth, since the speed of the subject vehicle traveling in the driving lane can be adjusted to the range of the reference speed level, it is possible to further prevent the collision with the current object, thereby further protecting the life of the occupant .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를 나타낸 블럭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물체 감지부를 통해 일정 크기의 스캔 영역을 빛으로 조사하여 감지하는 과정을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를 나타낸 블럭 구성도.
도 5는 도 4에 도시한 주행 가능 차선 감지부를 통해 일정 크기의 스캔 영역을 빛으로 조사하여 자기 차량 주변의 현재 주행 가능 차선을 감지하는 과정을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를 나타낸 블럭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를 나타낸 블럭 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vehicl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irradiating a scan region of a predetermined size with light through the object detection unit shown in FIG. 1 and detecting the scan region. FIG.
3 is a flowchart showing a control method of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vehicl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sensing a current driving lane around a subject vehicle by illuminating a scan area of a predetermined size with light through the driveable lane detecting unit shown in FIG. 4; FIG.
6 is a flowchart showing a control method of a vehicl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vehicl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lowchart showing a control method of a vehicl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vehicl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flowchart showing a control method of a vehicl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제 1 실시예>&Lt; Embodiment 1 >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를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물체 감지부를 통해 일정 크기의 스캔 영역을 빛으로 조사하여 감지하는 과정을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다.FIG.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vehicl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shows a process of irradiating a scan region of a predetermined size with light through the object sensing unit shown in FIG. Fig.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100)는 물체 감지부(102)와 제어부(104) 및 제 1 판단부(106)와 제 1 식별부(108)를 포함한다.1 and 2, a vehicle control apparatus 100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bject detection unit 102, a control unit 104, a first determination unit 106, 108).

물체 감지부(102)는 골목길과 지하 주차장 및 좁은 통로중 어느 한 장소에서 주행 차선(L1)으로 주행중인 자기 차량(V1) 주변의 현재 물체(P)를 감지하도록 제공된다.The object detection unit 102 is provided to detect the current object P around the subject vehicle V1 running on the driving lane L1 at any one of the alleyway, the underground parking lot, and the narrow passage.

이때, 물체 감지부(102)는 일정 크기의 스캔 영역(S1)을 빛으로 조사하여 골목길과 지하 주차장 및 좁은 통로중 어느 한 장소에서 주행중인 자기 차량(V1) 주변의 현재 물체(P)를 감지할 수가 있다.At this time, the object detecting unit 102 irradiates the scan area S1 of a predetermined size with light to detect the current object P around the subject vehicle V1 in the alley, the underground parking lot, and the narrow passage I can do it.

여기서, 현재 물체(P)는 외벽과 다른 차량 및 오토바이와 자전거 및 동물과 장애물중 적어도 하나일 수가 있다.Here, the current object P may be at least one of a vehicle, a motorcycle, a bicycle, an animal, and an obstacle other than the outer wall.

이때, 물체 감지부(102)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외벽과 다른 차량 및 오토바이와 자전거 및 동물과 장애물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도록 초음파 센서(미도시)와 레이더 센서(미도시) 및 광학 센서(미도시)와 적외선 센서(미도시) 및 사각지대 영역 검출 센서(Blind Spot Detection, BSD) 센서(미도시)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가 있다.The object sensing unit 102 may include an ultrasonic sensor (not shown), a radar sensor (not shown), and an optical sensor (not shown) to detect at least one of a vehicle, a motorcycle, a bicycle, And at least one of an infrared sensor (not shown) and a blind spot detection (BSD) sensor (not shown).

제어부(104)는 물체 감지부(102)에서 감지한 현재 물체(P)를 공급받고, 이미 설정된 기준 물체와의 접근 정보 범위를 포함하도록 제공된다.The control unit 104 receives the current object P sensed by the object sensing unit 102 and is provided to include an access information range with the previously set reference object.

일예로, 제어부(104)는 이미 설정된 기준 물체와의 접근 정보 범위에 해당하는 기준 물체와의 접근 거리 범위와 기준 물체와의 접근 속도 범위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04 may be provided to include at least one of a range of approach distance to a reference object corresponding to an already set reference object and an approach speed range of the reference object.

제 1 판단부(106)는 물체 감지부(102)에서 감지한 현재 물체(P)가 기준 물체와의 접근 정보 범위인지를 제어부(104)의 제어에 따라 판단하도록 제공된다.The first determination unit 106 is provided to determine whether the current object P sensed by the object detection unit 102 is in the access information range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object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04. [

이때, 제어부(104)와 제 1 판단부(106)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차량에 적용되는 메인 컴퓨터로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거나, 엔진의 내부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ECU(Electric Control Unit, Engine Control Unit, 미도시) 또는 단일 칩 내부에 프로세서와 메모리 및 입출력 장치를 갖춰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MCU(Micro Control Unit, 미도시)를 포함하여 제공될 수가 있다.Although not shown, the controller 104 and the first determiner 106 may be implemented by an ECU (Electric Control Unit, Engine Control Unit, etc.) that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ain computer, which controls the internal operation of the engine, (Not shown), or an MCU (Micro Control Unit) (not shown) that has a processor, a memory, and an input / output device in a single chip to control overall operation.

제 1 식별부(108)는 제 1 판단부(106)에서 판단한 현재 물체(P)가 기준 물체와의 접근 정보 범위일 경우, 제어부(104)의 제어에 따라 현재 물체(P)와의 충돌 상황임을 식별시키도록 제공된다.When the current object P determined by the first determination unit 106 is in the access information range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object, the first identification unit 108 determines that the current state is a collision situation with the current object P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04 .

이때, 제 1 식별부(108)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스피커(미도시)와 발광 부재(미도시) 및 운전자가 차량의 정보나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 탑재되는 HMI(Human Machine Interface) 모듈(미도시)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스피커(미도시)의 음성 동작과 발광 부재(미도시)의 발광 동작 및 HMI(Human Machine Interface) 모듈(미도시)의 HMI(Human Machine Interface) 메시지 표시 동작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통해 현재 물체(P)와의 충돌 상황임을 식별시킬 수가 있다.Although not shown, the first identification unit 108 includes a speaker (not shown), a light emitting member (not shown), and an HMI (Human Machine Interface) module (not shown) At least one of a voice operation of a speaker (not shown), a light emitting operation of a light emitting member (not shown), and a HMI (human machine interface) message display operation of an HMI (human machine interface) module It is possible to identify the collision situation with the current object P.

이러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100)를 이용하여 차량을 제어하는 방법을 살펴보면 다음 도 3과 같다.
A method of controlling the vehicle using the vehicle control device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3 is a flowchart showing a control method of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100)의 제어 방법(300)은 물체 감지 단계(S302)와 제 1 판단 단계(S304) 및 제 1 식별 단계(S306)를 포함한다.3, the control method 300 of the vehicle control device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bject detection step S302, a first determination step S304, and a first identification step S306, .

먼저, 물체 감지 단계(S302)는 골목길과 지하 주차장 및 좁은 통로중 어느 한 장소에서 주행중인 자기 차량(도2의 V1) 주변의 현재 물체(도2의 P)를 물체 감지부(도1의 102)에서 감지하는 단계를 수행한다.First, the object detection step S302 detects the current object (P in Fig. 2) around the subject vehicle (V1 in Fig. 2) running at any one of the alleyway, underground parking lot, ). &Lt; / RTI &gt;

이 후, 제 1 판단 단계(S304)는 물체 감지부(도1의 102)에서 감지한 현재 물체(도2의 P)가 제어부(도1의 104)에 설정된 기준 물체와의 접근 정보 범위인지를 제어부(도1의 104)의 제어에 따라 제 1 판단부(도1의 106)에서 판단하는 단계를 수행한다.Thereafter, the first determination step S304 determines whether the current object (P in FIG. 2) detected by the object detection unit 102 (FIG. 1) is in the access information range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object set in the control unit (106 in FIG. 1)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04 in FIG. 1).

마지막으로, 제 1 식별 단계(S306)는 제 1 판단부(도1의 106)에서 판단한 현재 물체(도2의 P)가 기준 물체와의 접근 정보 범위일 경우, 제어부(도1의 104)의 제어에 따라 제 1 식별부(도1의 108)에서 현재 물체(도2의 P)와의 충돌 상황임을 식별시키는 단계를 수행한다.
Lastly, in the first identification step S306, when the current object (P in FIG. 2) determined by the first determination unit 106 in FIG. 1 is the access information range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object, And performs a step of identifying the collision situation with the current object (P in Fig. 2) in the first identification unit (108 in Fig. 1) according to the control.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100) 및 그 차량 제어 방법(300)은 물체 감지부(102)와 제어부(104) 및 제 1 판단부(106)와 제 1 식별부(108)를 포함하여 물체 감지 단계(S302)와 제 1 판단 단계(S304) 및 제 1 식별 단계(S306)를 수행한다.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100 and the vehicle control method 3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object detection unit 102, a control unit 104, a first determination unit 106, (S302), a first determination step (S304), and a first identification step (S306).

따라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100) 및 그 차량 제어 방법(300)은 골목길과 지하 주차장 및 좁은 통로중 어느 한 장소에서 현재 물체(P)와의 접근 상태에 따라 충돌 상황이 될 경우 현재 물체(P)와의 충돌 상황임을 식별시킬 수가 있으므로, 현재 물체(P)와의 충돌을 미연에 방지할 수가 있어 탑승자의 생명을 보호할 수가 있게 된다.
Therefore,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100 and the vehicle control method 3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control a collision situ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quot; collision situation &quot;) according to the access state with the current object P at any one of the alleyway, The collision with the current object P can be identified, so that the collision with the current object P can be prevented beforehand, and the life of the occupant can be protected.

<제 2 실시예>&Lt; Embodiment 2 >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를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한 주행 가능 차선 감지부를 통해 일정 크기의 스캔 영역을 빛으로 조사하여 자기 차량 주변의 현재 주행 가능 차선을 감지하는 과정을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다.FIG.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vehicl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can area of a predetermined size is irradiated with light through the driveable lane detecting unit shown in FIG. FIG. 5 is a plan view showing a process of detecting a current lane capable of driving.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400)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100)와 동일하게 물체 감지부(102)와 제어부(404) 및 제 1 판단부(106)와 제 1 식별부(108)를 포함한다.4 and 5, a vehicle control apparatus 400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bject detection unit 102 and a control unit 404 (not shown) similar to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nd a first determination unit 106 and a first identification unit 108. [

이러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400)에 해당하는 각각의 구성요소들에 대한 기능 및 그것들 간의 유기적인 연결 관계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100)에 해당하는 각각의 구성요소들에 대한 기능 및 그것들 간의 유기적인 연결 관계와 동일하므로, 이것에 대한 각각의 부연설명들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The function of each component corresponding to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4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organic connection relation between them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The functions of the respective components and the organic connection relationship therebetween are the same, so that the respective further explana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below.

여기에,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400)는 주행 가능 차선 감지부(410, 510)와 제 2 판단부(412) 및 제 2 식별부(414)를 더 포함한다.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4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the driving possibility lane sensing units 410 and 510, the second determination unit 412, and the second identification unit 414. [

즉, 주행 가능 차선 감지부(410, 510)는 제 1 판단부(106)에서 판단한 현재 물체(V2)가 기준 물체와의 접근 정보 범위를 벗어날 경우, 자기 차량(V1) 주변의 현재 주행 가능 차선(L2)을 감지하도록 제공된다.That is, if the current object V2 determined by the first determination unit 106 is out of the access information range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object, the driveable lane detection unit 410 or 510 may detect the current lane (L2).

이때, 주행 가능 차선 감지부(410, 510)는 일정 크기의 스캔 영역(S2)을 빛으로 조사하여 자기 차량(V1) 주변의 현재 주행 가능 차선(L2)을 감지할 수가 있다.At this time, the driveable lane detecting units 410 and 510 can sense the current driveable lane L2 around the own vehicle V1 by irradiating the scan area S2 of a predetermined size with light.

여기서, 현재 물체(V2)는 다른 차량과 오토바이 및 자전거와 동물 및 장애물중 적어도 하나일 수가 있다.Here, the current object V2 may be at least one of another vehicle, a motorcycle, a bicycle, an animal, and an obstacle.

이때, 주행 가능 차선 감지부(410, 510)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현재 주행 가능 차선(L2)을 감지하도록 초음파 센서(미도시)와 레이더 센서(미도시) 및 광학 센서(미도시)와 적외선 센서(미도시) 및 사각지대 영역 검출(Blind Spot Detection, BSD) 센서(미도시)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가 있다.At this time, the travelable lane detecting units 410 and 510 are provided with an ultrasonic sensor (not shown), a radar sensor (not shown), an optical sensor (not shown) and an infrared sensor (Not shown) and a blind spot detection (BSD) sensor (not shown).

제 2 판단부(412)는 주행 가능 차선 감지부(410)에서 감지한 현재 주행 가능 차선(L2)이 기준 주행 가능 차선 정보 범위인지를 제어부(404)의 제어에 따라 판단하도록 제공된다.The second determination unit 412 is provided to determine whether the current driveable lane L2 detected by the driveable lane sensing unit 410 is in the reference driveable lane information rang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404.

여기서, 제어부(404)는 이미 설정된 기준 주행 가능 차선 정보 범위를 더 포함할 수가 있다.Here, the control unit 404 may further include the already set reference travelable lane information range.

일예로, 제어부(404)는 이미 설정된 기준 주행 가능 차선 정보 범위에 해당하는 기준 주행 가능 차선 접근 거리와 기준 주행 가능 차선 접근 속도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가 있다.For example, the control unit 404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of a reference travelable lane approach distance and a reference travelable lane approach speed corresponding to the already set reference travelable lane information range.

이때, 제어부(404)와 제 2 판단부(412)는 차량에 적용되는 메인 컴퓨터로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거나, 엔진의 내부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ECU(Electric Control Unit, Engine Control Unit, 미도시) 또는 단일 칩 내부에 프로세서와 메모리 및 입출력 장치를 갖춰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MCU(Micro Control Unit, 미도시)를 포함하여 제공될 수가 있다.The control unit 404 and the second determination unit 412 may be implemented by an ECU (Electric Control Unit) (not shown) for controlling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ain computer, A microcontroller (MCU) (not shown) may be provided that includes a processor, a memory, and an input / output device in a single chip to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제 2 식별부(414)는 제 2 판단부(412)에서 판단한 현재 주행 가능 차선(L2)이 기준 주행 가능 차선 정보 범위일 경우, 제어부(404)의 제어에 따라 현재 주행 가능한 차선임을 식별시키도록 제공된다.The second identifying unit 414 identifies the current driving lane by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404 when the current driving lane L2 determined by the second determining unit 412 is in the reference driving possible lane information range / RTI &gt;

이때, 제 2 식별부(414)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스피커(미도시)와 발광 부재(미도시) 및 운전자가 차량의 정보나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 탑재되는 HMI(Human Machine Interface) 모듈(미도시)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스피커(미도시)의 음성 동작과 발광 부재(미도시)의 발광 동작 및 HMI(Human Machine Interface) 모듈(미도시)의 HMI(Human Machine Interface) 메시지 표시 동작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통해 현재 물체(P)와의 충돌 상황임을 식별시킬 수가 있다.Although not shown, the second identification unit 414 includes a speaker (not shown), a light emitting member (not shown), and an HMI (Human Machine Interface) module (not shown) At least one of a voice operation of a speaker (not shown), a light emitting operation of a light emitting member (not shown), and a HMI (human machine interface) message display operation of an HMI (human machine interface) module It is possible to identify the collision situation with the current object P.

이러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400)를 이용하여 차량을 제어하는 방법을 살펴보면 다음 도 6과 같다.
A method of controlling the vehicle using the vehicle control device 4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6 is a flowchart showing a control method of the vehicl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400)의 제어 방법(600)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100)의 제어 방법(300)과 동일하게 물체 감지 단계(S302)와 제 1 판단 단계(S304) 및 제 1 식별 단계(S306)를 포함하여 수행한다.6, the control method 600 of the vehicle control device 4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imilar to the control method 300 of the vehicle control device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The detection step S302, the first determination step S304, and the first identification step S306.

이러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400)의 제어 방법(600)에 해당하는 각각의 단계들에 대한 기능 및 그것들 간의 유기적인 연결 관계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100)의 제어 방법(300)에 해당하는 각각의 단계들에 대한 기능 및 그것들 간의 유기적인 연결 관계와 동일하므로, 이것에 대한 각각의 부연설명들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The function of each step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method 600 of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4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organic connection relation between them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4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The functions of the respective steps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method 300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00 and the organic connections between them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control method 300 of FIG.

여기에,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400)의 제어 방법(600)은 제 1 판단 단계(S304) 이후에, 주행 가능 차선 감지 단계(S606) 및 제 2 판단 단계(S608)와 제 2 식별 단계(S610)를 더 수행한다.Here, the control method 600 of the vehicle control device 4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tep S606 of detecting a driveable lane and a step S608 ) And a second identification step (S610).

즉, 주행 가능 차선 감지 단계(S606)는 제 1 판단부(S304)에서 판단한 현재 물체(도2의 V2)가 기준 물체와의 접근 정보 범위를 벗어날 경우, 자기 차량(도5의 V1) 주변의 현재 주행 가능 차선(도5의 L2)을 주행 가능 차선 감지부(도4의 410)에서 감지하는 단계를 수행한다.That is, if the current object (V2 in FIG. 2) determined in the first determination unit S304 is out of the access information range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object, the driveable lane detection step S606 (Step L2 in FIG. 5) is sensed by the driveable lane sensing unit (410 in FIG. 4).

이 후, 제 2 판단 단계(S608)는 주행 가능 차선 감지부(도4의 410)에서 감지한 현재 주행 가능 차선(도5의 L2)이 제어부(도4의 404)에 설정된 기준 주행 가능 차선 정보 범위인지를 제어부(도4의 404)의 제어에 따라 제 2 판단부(도4의 412)에서 판단하는 단계를 수행한다.Then, in the second determination step S608, the current driveable lane (L2 in FIG. 5) sensed by the driveable lane sensing unit 410 (see FIG. 4) is stored in the reference driveable lane information (412 of FIG. 4)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404 of FIG. 4).

마지막으로, 제 2 식별 단계(S610)는 제 2 판단부(도4의 412)에서 판단한 현재 주행 가능 차선(도5의 L2)이 기준 주행 가능 차선 정보 범위일 경우, 제어부(도4의 404)의 제어에 따라 제 2 식별부(도4의 414)에서 현재 주행 가능한 차선임을 식별시키는 단계를 수행한다.
Lastly, in the second identification step S610, the controller (404 in FIG. 4), if the current driveable lane (L2 in FIG. 5) determined in the second determination unit 412 in FIG. 4 is in the reference driveable lane information range, (Step 414 in FIG. 4)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405.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400) 및 그 차량 제어 방법(600)은 물체 감지부(102)와 제어부(104) 및 제 1 판단부(106)와 제 1 식별부(108) 및 주행 가능 차선 감지부(410)와 제 2 판단부(412) 및 제 2 식별부(414)를 포함하여 물체 감지 단계(S302)와 제 1 판단 단계(S304) 및 제 1 식별 단계(S306)와 주행 가능 차선 감지 단계(S606) 및 제 2 판단 단계(S608)와 제 2 식별 단계(S610)를 수행한다.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400 and the vehicle control method 6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the object detection unit 102, the control unit 104, the first determination unit 106, The object recognition step S302, the first determination step S304, and the first identification step S302 including the first and second identification units 410 and 422, the second determination unit 412, and the second identification unit 414, Step S306, the driving lane detection step S606, the second determination step S608, and the second identification step S610 are performed.

따라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400) 및 그 차량 제어 방법(600)은 골목길과 지하 주차장 및 좁은 통로중 어느 한 장소에서 현재 물체(도2의 P)와의 접근 상태에 따라 충돌 상황이 될 경우 현재 물체(도2의 P)와의 충돌 상황임을 식별시킬 수가 있으므로, 현재 물체(도2의 P)와의 충돌을 미연에 방지할 수가 있어 탑승자의 생명을 보호할 수가 있게 된다.Therefore,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400 and the vehicle control method 6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the approach state with the current object (P in Fig. 2) at any one of the alleyway, the underground parking lot, The collision situation with the current object (P in Fig. 2) can be identified, so that the collision with the current object (P in Fig. 2) can be prevented in advance, and the life of the occupant can be protected.

또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400) 및 그 차량 제어 방법(600)은 현재 주행 가능 차선(도5의 L2)이 기준 주행 가능 차선 정보 범위일 경우 현재 주행 가능한 차선임을 식별시킬 수가 있으므로, 현재 물체(도5의 V2)와의 충돌을 더욱 미연에 방지할 수가 있어 탑승자의 생명을 더욱 보호할 수가 있게 된다.
In addition,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400 and the vehicle control method 6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determine that the presently-travelable lane (L2 in Fig. 5) The collision with the current object (V2 in Fig. 5) can be prevented more effectively, and the life of the occupant can be further protected.

<제 3 실시예>&Lt; Third Embodiment >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를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7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vehicl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700)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100)와 동일하게 물체 감지부(102)와 제어부(404) 및 제 1 판단부(106)와 제 1 식별부(108)를 포함한다.7,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7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bject detection unit 102, a control unit 404, 1 judgment unit 106 and a first identification unit 108. [

이러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700)에 해당하는 각각의 구성요소들에 대한 기능 및 그것들 간의 유기적인 연결 관계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100)에 해당하는 각각의 구성요소들에 대한 기능 및 그것들 간의 유기적인 연결 관계와 동일하므로, 이것에 대한 각각의 부연설명들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The function of each component corresponding to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7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organic connection relation therebetween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The functions of the respective components and the organic connection relationship therebetween are the same, so that the respective further explana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below.

여기에,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700)는 차선 유지부(716)를 더 포함한다.Here, the vehicle control device 7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lane-keeping unit 716. [

즉, 차선 유지부(716)는 제 1 판단부(106)에서 판단한 현재 물체(도2의 P)가 기준 물체와의 접근 정보 범위일 경우, 제어부(704)의 제어에 따라 주행 차선(도2의 L1)으로 주행중인 자기 차량(도2의 V1)을 기준 차선 유지 간격 범위로 맞춰 차선을 유지시키도록 제공된다.That is, when the current object (P in Fig. 2) determined by the first determination unit 106 is in the access information range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object, the lane-keeping unit 716 performs the lane-keeping operation in accordance with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704 (V1 in Fig. 2) to the reference lane keeping interval range in the lane L1 of the vehicle.

여기서, 제어부(704)는 이미 설정된 기준 차선 유지 간격 범위를 더 포함할 수가 있다.Here, the control unit 704 may further include a predetermined reference lane-keeping interval range.

이러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700)를 이용하여 차량을 제어하는 방법을 살펴보면 다음 도 8과 같다.
A method of controlling the vehicle using the vehicle control device 7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8 is a flowchart showing a control method of the vehicl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700)의 제어 방법(800)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100)의 제어 방법(300)과 동일하게 물체 감지 단계(S302)와 제 1 판단 단계(S304) 및 제 1 식별 단계(S306)를 포함하여 수행한다.8, the control method 800 of the vehicle control device 7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imilar to the control method 300 of the vehicle control device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The detection step S302, the first determination step S304, and the first identification step S306.

이러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700)의 제어 방법(800)에 해당하는 각각의 단계들에 대한 기능 및 그것들 간의 유기적인 연결 관계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100)의 제어 방법(300)에 해당하는 각각의 단계들에 대한 기능 및 그것들 간의 유기적인 연결 관계와 동일하므로, 이것에 대한 각각의 부연설명들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The function of each step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method 800 of the vehicle control device 7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organic connection relation between them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vehicle control device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The functions of the respective steps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method 300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00 and the organic connections between them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control method 300 of FIG.

여기에,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700)의 제어 방법(800)은 제 1 판단 단계(S304) 이후에, 차선 유지 단계(S808)를 더 수행한다.Here, the control method 800 of the vehicle control device 7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performs the lane keeping step (S808) after the first determination step (S304).

일예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700)의 제어 방법(800)은 제 1 식별 단계(S306) 이후에, 차선 유지 단계(S808)를 더 수행할 수가 있다.For example, the control method 800 of the vehicle control device 7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perform the lane keeping step S808 after the first identifying step S306.

즉, 차선 유지 단계(S808)는 제 1 판단부(106)에서 판단한 현재 물체(도2의 P)가 기준 물체와의 접근 정보 범위일 경우, 제어부(704)의 제어에 따라 차선 유지부(716)에서 주행 차선(도2의 L1)으로 주행중인 자기 차량(도2의 V1)을 제어부(704)에 설정된 기준 차선 유지 간격 범위로 맞춰 차선을 유지시키는 단계를 수행한다.
That is, in the lane keeping step S808, when the current object (P in Fig. 2) determined by the first determining unit 106 is in the access information range with the reference object, the lane keeping unit 716 (V1 in Fig. 2) in the running lane (L1 in Fig. 2) to the reference lane keeping interval interval set in the control unit 704 to maintain the lane.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700) 및 그 차량 제어 방법(800)은 물체 감지부(102)와 제어부(104) 및 제 1 판단부(106)와 제 1 식별부(108) 및 차선 유지부(716)를 포함하여 물체 감지 단계(S302)와 제 1 판단 단계(S304) 및 제 1 식별 단계(S306)와 차선 유지 단계(S808)를 수행한다.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700 and the vehicle control method 8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the object detection unit 102, the control unit 104, the first determination unit 106, The object recognition step S302, the first determination step S304, the first identification step S306, and the lane maintenance step S808 are performed.

따라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700) 및 그 차량 제어 방법(800)은 골목길과 지하 주차장 및 좁은 통로중 어느 한 장소에서 현재 물체(도2의 P)와의 접근 상태에 따라 충돌 상황이 될 경우 현재 물체(도2의 P)와의 충돌 상황임을 식별시킬 수가 있으므로, 현재 물체(도2의 P)와의 충돌을 미연에 방지할 수가 있어 탑승자의 생명을 보호할 수가 있게 된다.Therefore,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700 and the vehicle control method 8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state of approach to the current object (P in Fig. 2) at any one of the alleyway, the underground parking lot, The collision situation with the current object (P in Fig. 2) can be identified, so that the collision with the current object (P in Fig. 2) can be prevented in advance, and the life of the occupant can be protected.

또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700) 및 그 차량 제어 방법(800)은 주행 차선(도2의 L1)으로 주행중인 자기 차량(도2의 V1)을 기준 차선 유지 간격 범위로 맞춰 차선을 유지시킬 수가 있으므로, 현재 물체(도2의 P)와의 충돌을 더욱 미연에 방지할 수가 있어 탑승자의 생명을 더욱 보호할 수가 있게 된다.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700 and the vehicle control method 8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vehicle lane (L1 in Fig. 2) The collision with the current object (P in Fig. 2) can be prevented more effectively, and the life of the occupant can be further protected.

<제 4 실시예><Fourth Embodiment>

도 9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를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9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vehicl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900)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100)와 동일하게 물체 감지부(102)와 제어부(904) 및 제 1 판단부(106)와 제 1 식별부(108)를 포함한다.9,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900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bject detection unit 102, a control unit 904, and a control unit 904, as in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1 judgment unit 106 and a first identification unit 108. [

이러한,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900)에 해당하는 각각의 구성요소들에 대한 기능 및 그것들 간의 유기적인 연결 관계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100)에 해당하는 각각의 구성요소들에 대한 기능 및 그것들 간의 유기적인 연결 관계와 동일하므로, 이것에 대한 각각의 부연설명들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The function of each component corresponding to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900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organic connection relationship therebetween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The functions of the respective components and the organic connection relationship therebetween are the same, so that the respective further explana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below.

여기에,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900)는 속도 조절부(910)를 더 포함한다.Here, the vehicle control device 900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speed adjusting unit 910. [

즉, 속도 조절부(910)는 제 1 판단부(106)에서 판단한 현재 물체(도2의 P)가 기준 물체와의 접근 정보 범위일 경우, 제어부(904)의 제어에 따라 주행 차선(도2의 L1)으로 주행중인 자기 차량(도2의 V1)을 기준 속도 레벨 범위로 맞춰 속도를 조절시키도록 제공된다.That is, when the current object (P in FIG. 2) determined by the first determination unit 106 is in the access information range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object, the speed adjusting unit 910 controls the speed lane (V1 in Fig. 2) to the reference speed level range to adjust the speed.

여기서, 제어부(904)는 이미 설정된 기준 속도 레벨 범위를 더 포함할 수가 있다.Here, the control unit 904 may further include a predetermined reference speed level range.

이러한,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900)를 이용하여 차량을 제어하는 방법을 살펴보면 다음 도 10과 같다.
A method of controlling the vehicle using the vehicle control device 900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10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10 is a flowchart showing a control method of the vehicl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900)의 제어 방법(1000)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100)의 제어 방법(300)과 동일하게 물체 감지 단계(S302)와 제 1 판단 단계(S304) 및 제 1 식별 단계(S306)를 포함하여 수행한다.10, the control method 1000 of the vehicle control device 900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imilar to the control method 300 of the vehicle control device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The detection step S302, the first determination step S304, and the first identification step S306.

이러한,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900)의 제어 방법(1000)에 해당하는 각각의 단계들에 대한 기능 및 그것들 간의 유기적인 연결 관계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100)의 제어 방법(300)에 해당하는 각각의 단계들에 대한 기능 및 그것들 간의 유기적인 연결 관계와 동일하므로, 이것에 대한 각각의 부연설명들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The function of each step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method 1000 of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900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organic connection relation between them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10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The functions of the respective steps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method 300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00 and the organic connections between them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control method 300 of FIG.

여기에,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900)의 제어 방법(1000)은 제 1 판단 단계(S304) 이후에, 속도 조절 단계(S1008)를 더 수행한다.Here, the control method 1000 of the vehicle control device 900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performs a speed adjustment step (S1008) after the first determination step (S304).

일예로,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900)의 제어 방법(1000)은 제 1 식별 단계(S306) 이후에, 속도 조절 단계(S1008)를 더 수행할 수가 있다.For example, the control method 1000 of the vehicle control device 900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perform the speed adjustment step S1008 after the first identification step S306.

즉, 속도 조절 단계(S1008)는 제 1 판단부(106)에서 판단한 현재 물체(도2의 P)가 기준 물체와의 접근 정보 범위일 경우, 제어부(904)의 제어에 따라 속도 조절부(910)에서 주행 차선(도2의 L1)으로 주행중인 자기 차량(도2의 V1)을 제어부(904)에 설정된 기준 속도 레벨 범위로 맞춰 속도를 조절시키는 단계를 수행한다.
That is, if the current object (P in FIG. 2) determined by the first determination unit 106 is in the access information range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object, the speed adjustment step S1008 is performed by the speed adjustment unit 910 (V1 in Fig. 2) in the traveling lane (L1 in Fig. 2) to the reference speed level range set in the control unit 904 to adjust the speed.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900) 및 그 차량 제어 방법(1000)은 물체 감지부(102)와 제어부(104) 및 제 1 판단부(106)와 제 1 식별부(108) 및 속도 조절부(910)를 포함하여 물체 감지 단계(S302)와 제 1 판단 단계(S304) 및 제 1 식별 단계(S306)와 속도 조절 단계(S1008)를 수행한다.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900 and the vehicle control method 1000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to an object detection unit 102, a control unit 104, a first determination unit 106, The object detection step S302, the first determination step S304, the first identification step S306, and the speed adjustment step S1008 are performed, including the step S108 and the speed adjustment unit 910. [

따라서,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900) 및 그 차량 제어 방법(1000)은 골목길과 지하 주차장 및 좁은 통로중 어느 한 장소에서 현재 물체(도2의 P)와의 접근 상태에 따라 충돌 상황이 될 경우 현재 물체(도2의 P)와의 충돌 상황임을 식별시킬 수가 있으므로, 현재 물체(도2의 P)와의 충돌을 미연에 방지할 수가 있어 탑승자의 생명을 보호할 수가 있게 된다.Therefore,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900 and the vehicle control method 1000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the approach state with the current object (P in Fig. 2) at any one of the alleyway, the underground parking lot, The collision situation with the current object (P in Fig. 2) can be identified, so that the collision with the current object (P in Fig. 2) can be prevented in advance, and the life of the occupant can be protected.

또한,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900) 및 그 차량 제어 방법(1000)은 주행 차선(도2의 L1)으로 주행중인 자기 차량(도2의 V1)을 기준 속도 레벨 범위로 맞춰 속도를 조절시킬 수가 있으므로, 현재 물체(도2의 P)와의 충돌을 더욱 미연에 방지할 수가 있어 탑승자의 생명을 더욱 보호할 수가 있게 된다.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900 and the vehicle control method 1000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vehicle speed control system in which a vehicle (V1 in Fig. 2) The collision with the current object (P in Fig. 2) can be prevented more effectively, and the life of the occupant can be further protected.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to be considere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being indicat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scription, It is intended that all changes and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equivalent concept b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9)

자기 차량 주변의 현재 물체를 감지하는 물체 감지부와;
상기 물체 감지부에서 감지한 현재 물체를 공급받고, 이미 설정된 기준 물체와의 접근 정보 범위와 기준 주행 가능 차선 정보 범위를 포함하는 제어부와;
상기 물체 감지부에서 감지한 현재 물체가 상기 기준 물체와의 접근 정보 범위인지를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판단하는 제 1 판단부와;
상기 제 1 판단부에서 판단한 현재 물체가 상기 기준 물체와의 접근 정보 범위일 경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현재 물체와의 충돌 상황임을 식별시키는 제 1 식별부와;
상기 제 1 판단부에서 판단한 현재 물체가 상기 기준 물체와의 접근 정보 범위를 벗어날 경우, 상기 자기 차량 주변의 현재 주행 가능 차선을 감지하는 주행 가능 차선 감지부; 및
상기 주행 가능 차선 감지부에서 감지한 현재 주행 가능 차선이 상기 기준 주행 가능 차선 정보 범위인지를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판단하는 제 2 판단부를 포함하는 차량 제어 장치.
An object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a current object in the vicinity of the subject vehicle;
A controller receiving a current object sensed by the object sensing unit and including an access information range and a reference travelable lane information range with respect to a preset reference object;
A first judging unit for judging whether the current object detected by the object detecting unit is in the access information range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object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A first identification unit for identifying a collision situation with a current object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when the current object determined by the first determination unit is in the access information range with the reference object;
A lane-capable lane sensing unit for sensing a current lane capable of traveling around the subject vehicle when the current object determined by the first determination unit is out of the access information range with the reference object; And
And a second determiner for determining whether the presently drivable lane detected by the drivable lane detector is in the reference drivable lane information rang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판단부에서 판단한 현재 주행 가능 차선이 상기 기준 주행 가능 차선 정보 범위일 경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현재 주행 가능한 차선임을 식별시키는 제 2 식별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 제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second identification unit that identifies the currently-travelable lan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when the current driveable lane determined by the second determination unit is in the reference driveable lane information rang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이미 설정된 기준 차선 유지 간격 범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판단부에서 판단한 현재 물체가 상기 기준 물체와의 접근 정보 범위일 경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주행중인 자기 차량을 상기 기준 차선 유지 간격 범위로 맞춰 차선을 유지시키는 차선 유지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 제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further includes a reference lane keeping interval range that is already set;
And a lane keeping unit for keeping the lane by keeping the lane of the vehicle in the reference lane keeping interval range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when the current object determined by the first determining unit is the access information range with the reference object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이미 설정된 기준 속도 레벨 범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판단부에서 판단한 현재 물체가 상기 기준 물체와의 접근 정보 범위일 경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주행중인 자기 차량을 상기 기준 속도 레벨 범위로 맞춰 속도를 조절시키는 속도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 제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further comprises a predetermined reference speed level range;
And a speed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speed of the subject vehicle in accordance with the reference speed level rang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when the current object determined by the first determination unit is the access information range with the reference object, Vehicle control devi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물체는 외벽과 다른 차량 및 오토바이와 자전거 및 동물과 장애물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urrent object is at least one of a vehicle, a motorcycle, a bicycle, an animal, and an obstacle other than the outer wall.
자기 차량 주변의 현재 물체를 물체 감지부에서 감지하는 물체 감지 단계와;
상기 물체 감지부에서 감지한 현재 물체가 제어부에 설정된 기준 물체와의 접근 정보 범위인지를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제 1 판단부에서 판단하는 제 1 판단 단계와;
상기 제 1 판단부에서 판단한 현재 물체가 상기 기준 물체와의 접근 정보 범위일 경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제 1 식별부에서 현재 물체와의 충돌 상황임을 식별시키는 제 1 식별 단계와;
상기 제 1 판단부에서 판단한 현재 물체가 상기 기준 물체와의 접근 정보 범위를 벗어날 경우, 상기 자기 차량 주변의 현재 주행 가능 차선을 주행 가능 차선 감지부에서 감지하는 주행 가능 차선 감지 단계; 및
상기 주행 가능 차선 감지부에서 감지한 현재 주행 가능 차선이 상기 제어부에 설정된 기준 주행 가능 차선 정보 범위인지를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제 2 판단부에서 판단하는 제 2 판단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 제어 방법.
An object detecting step of detecting the current object in the vicinity of the subject vehicle by the object detecting unit;
A first determination step of determining, by the first determination unit, whether the current object detected by the object detection unit is an access information range with respect to a reference object set in the control unit,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A first identification step of identifying a collision situation with a current object in the first identification unit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when the current object determined by the first determination unit is in the access information range with the reference object;
If the current object determined by the first determination unit is out of the access information range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object, sensing the presently drivable lane around the subject vehicle by the drivable lane sensing unit; And
And a second determination step of determining, by the second determination unit, whether the current driveable lane sensed by the driveable lane sensing unit is a reference driveable lane information range set in the control unit,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판단 단계 이후에,
상기 제 2 판단부에서 판단한 현재 주행 가능 차선이 상기 기준 주행 가능 차선 정보 범위일 경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제 2 식별부에서 현재 주행 가능한 차선임을 식별시키는 제 2 식별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 제어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After the second determination step,
Further comprising a second identification step of identifying, in accordance with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that the current lane possible is the current lane enabling the vehicle, Way.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판단 단계 이후에,
상기 제 1 판단부에서 판단한 현재 물체가 상기 기준 물체와의 접근 정보 범위일 경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차선 유지부에서 상기 주행중인 자기 차량을 상기 제어부에 설정된 기준 차선 유지 간격 범위로 맞춰 차선을 유지시키는 차선 유지 단계를 더 수행하는 차량 제어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After the first determination step,
When the current object determined by the first determination unit is in the approach information range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object, the lane keeping unit adjusts the lane keeping unit to the reference lane keeping interval range set in the control unit, And a lane-keeping step of maintaining the lane-keeping state.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판단 단계 이후에,
상기 제 1 판단부에서 판단한 현재 물체가 상기 기준 물체와의 접근 정보 범위일 경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속도 조절부에서 상기 주행중인 자기 차량을 상기 제어부에 설정된 기준 속도 레벨 범위로 맞춰 속도를 조절시키는 속도 조절 단계를 더 수행하는 차량 제어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After the first determination step,
When the current object determined by the first determination unit is in the approach information range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object, the speed control unit adjusts the speed of the subject vehicl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to the reference speed level range set in the control unit The vehicle speed control method further comprising:
KR1020120135866A 2012-11-28 2012-11-28 Apparatus for controlling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vehicle thereof KR10139160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5866A KR101391606B1 (en) 2012-11-28 2012-11-28 Apparatus for controlling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vehicle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5866A KR101391606B1 (en) 2012-11-28 2012-11-28 Apparatus for controlling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vehicle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1606B1 true KR101391606B1 (en) 2014-05-07

Family

ID=50893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5866A KR101391606B1 (en) 2012-11-28 2012-11-28 Apparatus for controlling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vehicle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1606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35269B2 (en) 2016-12-16 2020-01-14 Hyundai Motor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collision control of vehicle based on boundary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3982B1 (en) * 2005-05-12 2007-11-08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Driver condition detecting device, in-vehicle alarm system and drive assistance syste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3982B1 (en) * 2005-05-12 2007-11-08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Driver condition detecting device, in-vehicle alarm system and drive assistance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35269B2 (en) 2016-12-16 2020-01-14 Hyundai Motor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collision control of vehicle based on boundar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082062B (en) The control device of vehicle
CN106114494B (en) A kind of reversing auxiliary collision avoidance system and method for vehicle
US9616809B1 (en) Lane change prediction and turn signal activation upon observation of head and eye movement
US8258935B2 (en) Device and method for warning of lane deviation detection
US10642266B2 (en) Safe warning system for automatic driving takeover and safe warning method thereof
US9235778B2 (en) Human detection apparatus
JP2009015548A (en) Drive assisting device and method, and program
US10600323B2 (en) Vehicle external notification device
KR20140094794A (en) Apparatus for assisting parking and method for assisting thereof
CN107209995A (en) Drive assistance device, method and program
JP4696792B2 (en) Car alarm system
JP2008293122A (en) Obstacle monitoring device
CN113734048B (en) Reversing early warning method and device
KR101478073B1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lamp of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lamp thereof
US20210011481A1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behavior of autonomous vehicle and method thereof
KR101391606B1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vehicle thereof
KR2017008929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ar speed during changing lane automatically
JP2015055921A (en) Driving evaluation device
KR101576055B1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vehicle distance interv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CN109733409B (en) Driving assistance system and method
CN109949613A (en) Pedestrian&#39;s alarming device
KR20140092025A (en) Apparatus for assisting lane and method for assisting thereof
KR101399786B1 (en) Automatic parking system and traffic signal alarm method by the same
KR20140021317A (en) Apparatus for assisting parking and method for assisting parking thereof
CN113370991A (en) Driving assistance method, device, equipment, storage mediu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