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0392B1 - Case for digital assistants of keyboard type - Google Patents

Case for digital assistants of keyboard typ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0392B1
KR101390392B1 KR1020110123256A KR20110123256A KR101390392B1 KR 101390392 B1 KR101390392 B1 KR 101390392B1 KR 1020110123256 A KR1020110123256 A KR 1020110123256A KR 20110123256 A KR20110123256 A KR 20110123256A KR 101390392 B1 KR101390392 B1 KR 1013903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terminal
keyboard
unit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325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057516A (en
Inventor
안성기
Original Assignee
안성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성기 filed Critical 안성기
Priority to KR10201101232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0392B1/en
Publication of KR201300575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751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03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039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54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comprising one or a plurality of mechanically detachable modules
    • H04M1/0256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comprising one or a plurality of mechanically detachable modules wherein the modules are operable in the detached state, e.g. one module for the user interface and one module for the transceiv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키보드형 단말기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단말기의 케이스 기능과 별도의 외부입력키보드 구조를 동시에 갖도록 하여,
단말기 디스플레이 창의 활용면적을 최대화 할 수 있음과 동시에 단말기의 휴대성 및 사용편리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외부키보드가 단말기를 덮고 있는 상태에서도 항시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창을 확인 및 조작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상의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더불어 케이스기능과 외부입력키보드 구조를 동시에 가짐에 따라 단말기 케이스와 외부입력키보드의 별개 구매에 의한 비용낭비도 줄일 수 있는 키보드형 단말기 케이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eyboard-type terminal case, and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ique capable of maximizing a utilization area of a terminal display window and not affecting portability and usability of the terminal.
And a display window of the terminal can be checked and manipulated at any time even when the external keyboard is covering the terminal, so that the hassle of use can be solved.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keyboard-type terminal case capable of reducing cost wasted by separately purchasing a terminal case and an external input keyboard as having both a case function and an external input keyboard structure.

Description

키보드 형 단말기 케이스{CASE FOR DIGITAL ASSISTANTS OF KEYBOARD TYPE}[0001] CASE FOR DIGITAL ASSISTANTS OF KEYBOARD TYPE [0002]

본 발명은 태블릿PC나 휴대폰 등의 단말기의 외부 보호케이스 기능과 더불어 단말기의 키보드 역할까지 병행할 수 있어 단말기 디스플레이 창의 활용 면적과 커버 면적을 동시에 최대화할 수 있음과 동시에 키보드로 활용하는 덮개부분이 투명성 재질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키보드로 활용하지 않을 때에도 덮개를 개방하지 않고도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창을 확인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can simultaneously perform functions of an external protection case of a terminal such as a tablet PC or a mobile phone and a keyboard function of the terminal, thereby maximizing both the use area and the cover area of the terminal display window, and at the same tim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ique for confirming a display window of a terminal without opening the cover even when the terminal is not utilized as a keyboard.

일반적으로 스마트폰이나 기타 테블릿PC 등은 모두 터치스크린 방식의 정보입력 구조를 갖는다.Generally, smart phones and other tablet PCs all have a touch screen information input structure.

즉 하나의 디스플레이창이 키패드입력화면과 입력내용 표시화면으로 분할되는 구조이다.That is, one display window is divided into a keypad input screen and an input content display screen.

따라서 이렇게 하나의 디스플레이창에서 기능별 화면이 동시에 표시됨에 따라 그만큼 입력내용 화면과 키패드입력화면의 면적이 좁게 형설될 수밖에 없어, 시각적으로나 사용에 불편함을 가져오는 문제점이 있다.Accordingly, as the functional screens are simultaneously displayed in one display window, the area of the input contents screen and the keypad input screen are inevitably narrowed so that they are visually and inconvenient to use.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별도의 외부키보드를 휴대단말기와 연결하여 디스플레이창의 활용면적을 최대화 한 상태로 사용하기도 한다.Recently,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a separate external keyboard is connected to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utilized area of the display window is maximized.

하지만 이 경우 외부키보드를 별도로 휴대해야함으로 태블릿pc등의 장점인 휴대성에 방해가 될 뿐만 아니라, 외부키보드와 단말기 간 연결구조로 인한 사용 상 간편성에도 문제를 가질 수밖에 없다.However, in this case, since the external keyboard must be carried separately, it is not only hindering the portability which is an advantage of the tablet PC, but also has a problem in the simplicity of use due to the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the external keyboard and the terminal.

또한 외부키보드를 단말기에 덮개 형태로 결합시키고, 평소에는 외부키보드가 단말기를 덮고 있고, 외부 자판 사용 시 외부키보드를 외부로 젖혀 펼쳐 사용하는 구조도 제안되어 있기는 하다.Also, there is proposed a structure in which an external keyboard is coupled to a terminal in the form of a cover, an external keyboard normally covers the terminal, and an external keyboard is extended and used when the external keyboard is used.

하지만 이러한 종래기술은 외부키보드와 단말기를 단순히 결합한 구조이기 때문에, 외부키도드가 단말기를 덮고 있는 상태에서는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창을 확인할 수 없어 매번 외부키보드를 펼쳐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technology simply combines the external keyboard and the terminal, the display window of the terminal can not be confirmed in the state where the external key dod is covering the terminal, so that it is troublesome to unfold the external keyboard every time.

이러한 문제점은 휴대단말기의 장점인 신속한 조작 등의 장점에 직접적인 악영향을 미치는 요소가 된다.Such a problem has a direct adverse effect on advantages such as quick operation, which is an advantage of the portable terminal.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2011-0001066(2011.01.06)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11-0001066 (2011.01.06)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in order to solve such problems,

기본적으로 휴대단말기와 별개의 외부입력키보드 구조를 갖도록 하여 휴대단말기 디스플레이 창의 활용면적을 최대화 할 수 있는 키보드 형 단말기 케이스를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keyboard-type terminal case capable of maximizing a utilization area of a display window of a portable terminal by having an external input keyboard structure different from a portable terminal basically.

그리고 휴대단말기의 케이스 기능도 함께 갖도록 함으로써 휴대단말기와 항시 일체화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어 휴대단말기의 휴대성 및 사용편리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 케이스를 제공하고자 한다.And a case func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is also provided so that the integrated state of the portable terminal can be maintained at all times, thereby preventing the portability and the usability of the portable terminal from being affected.

뿐만 아니라 외부키보드가 단말기를 덮고 있는 상태에서도 항시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창을 확인 및 조작할 수 있는 키보드형 단말기 케이스를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keyboard-type terminal case capable of checking and operating the display window of the terminal at all times even when the external keyboard covers the terminal.

더불어 케이스기능과 외부입력키보드 구조를 동시에 가짐에 따라 단말기 케이스와 외부입력키보드의 별개 구매에 의한 비용낭비도 줄일 수 있는 키보드형 단말기 케이스를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keyboard-type terminal case capable of reducing cost wasted by separately purchasing a terminal case and an external input keyboard as having both a case function and an external input keyboard structure.

이러한 목적을 갖는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는,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purpose,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는 단말기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케이스본체, 일단부가 힌지부를 통해 상기 케이스본체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상기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창을 덮거나 개방할 수 있으며 투광성 재질이고 표면에 전도성 구조를 갖는 커버, 상기 커버에 연결되어 있는 터치감지센서, 상기 케이스본체와 커버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연결되어 있는 전원부,A case body having an upper portion thereof opened and a receiving space in which a terminal can be received is formed, and one end portion thereof is rotatably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case body through a hinge portion so as to cover or open the display window of the terminal, A cover having a conductive structure on its surface, a touch sensing sensor connected to the cover, a power source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case body and the cover,

상기 단말기의 CPU와 상기 전원부 및 상기 터치감지센서와 연결되어 상기 터치감지센서의 입력신호를 상기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창에 표시되도록 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단말기와 무선 또는 유선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법으로 연결되는 데이터 통신부를 포함한다.A control unit connected to the CPU of the terminal, the power unit, and the touch sensor to display an input signal of the touch sensor on a display window of the terminal, and a controller connected to the controller, And a data communication unit connected thereto.

그리고 상기 커버는 상기 케이스본체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고 투명재질의 연결프레임 및 상기 연결프레임에 적층되어 있고 상기 터치감지센서와 연결되어 있는 투명재질의 터치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연결프레임에 연결되어 상기 터치프레임 표면에 자판표시광을 조사하는 광 조사부가 구비될 수 있다.The cover may be rotatably connected to the case body, and may include a connection frame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and a touch frame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which is laminated on the connection frame and is connected to the touch sensing sensor. And a light irradiating unit for irradiating a keypad display light to the surface of the touch frame.

또한 상기 터치프레임은 상기 연결프레임의 양측면에 대칭 형태로 배치되어 있는 제1터치프레임과 제2터치프레임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touch frame may include a first touch frame and a second touch frame arranged symmetrically on both sides of the connection frame.

그리고 상기 전원부는 상기 케이스본체와 상기 커버 중 어느 하나의 표면 상에 노출되어 있는 태양광 집광판 및 상기 태양 집광판과 연결되어 있는 충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power unit may include a solar light collecting plate exposed on a surface of the case main body and the cover, and a charger connected to the solar light collecting plate.

또한 상기 힌지부는 상기 케이스본체와 상기 커버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어 있는 회전체, 상기 케이스본체와 상기 커버 중 다른 하나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회전체를 감싸고 있는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회전체와 연결부재간 연결지점을 중심으로 상기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창을 덮거나 개방하는 형태로 회동하거나 상기 디스플레이 창을 덮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1, 2터치프레임의 위치가 상호 바뀌도록 회동될 수 있다.The hinge unit may include a rotating body connected to any one of the case body and the cover, a connecting member connected to the other of the case body and the cover and surrounding the rotating body, The first and second touch frames may be rotated to cover or open the display window of the terminal around the connection point between the whole and the connection part or may be rotated such that the posi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touch frames are changed with each other.

그리고 상기 커버 및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커버의 회동 방향 및 회동 상태에 따라 상기 전원부의 작동여부를 제어하는 작동제어센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nd an operation control sensor unit connected to the cover and the control unit and configured to control operation of the power unit according to a rotating direction and a rotating state of the cover.

이러한 여러 실시예를 갖는 본 발명은,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se various embodiments,

기본적으로 단말기의 외부 전체를 둘러싸는 케이스 기능을 갖되 커버에 단말기의 키보드 기능이 부여됨에 따라, Basically, it has a case function to surround the entirety of the terminal, but as the cover is provided with the keyboard function of the terminal,

기본적으로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창에서 입력화면이 제거됨으로 그만큼 디스플레이창의 활용면적이 최대화됨과 동시에 더불어 커버의 면적도 넓어짐으로써 자판입력이 손쉽고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Basically, since the input screen is removed from the display window of the terminal, the utilization area of the display window is maximized, and at the same time, the area of the cover is enlarged, so that the keyboard can be easily and conveniently input.

그리고 항시 단말기와 일체화된 상태로 사용이 가능하므로 단말기의 휴대성 등이 저하되는 문제점도 해결할 수 있는 장점도 갖는다.Also, since the portable terminal can be used in a state in which it is integrated with the terminal at all times, it has an advantage that the portability of the terminal deteriorates.

또한 커버가 항시 투명성을 갖기 때문에 커버가 단말기를 덮고 있는 상태에서도 항시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창을 확인할 수 있음은 물론 커버를 통해 디스플레이 창을 조작할 수 있어 자판을 사용하지 않을 때의 사용 편리성이 향상되는 장점도 갖는다.In addition, since the cover has transparency at all times, the display window of the terminal can be always checked even when the cover covers the terminal, and the display window can be operated through the cover, so that the convenience of use when the keyboard is not used is improved .

도1은 전체 분해사시도
도2는 단말기와 결합된 상태에서 커버가 개방된 상태의 사시도
도3은 커버가 단말기 상부면을 덮은 상태의 사시도
도4는 커버가 개방된 상태에서 키보드 기능이 발휘된 상태의 평면 개략도
도5 내지 도7은 커버를 덮는 과정에서 회전하여 터치프레임이 상부면에 노출된 상태로 덮여지는 모습의 사시도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over is opened in a state of being engaged with a terminal;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ver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terminal covered;
Fig. 4 is a schematic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keyboard function is exerted in a state in which the cover is opened
5 to 7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touch frame is covered with the upper surface while being rotated in the process of covering the cover.

이하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바탕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성 및 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specific configurations and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ased on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본 발명 키보드형 단말기 케이스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케이스본체(100)와 커버(200), 전원부(300), 제어부(400) 및 데이터 통신부(8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keyboard-type terminal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se body 100, a cover 200, a power supply 300, a controller 400, and a data communication unit 800, as shown in FIGS. 1 to 3 .

먼저 케이스본체(100)는 본 발명의 두가지 기능 중 실질적인 단말기 보호케이스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전체적으로 사각 박스 형태이고 상부가 개방된 상태에서 내부에는 단말기(M)가 수용될 수용공간이 형성된 구조이다.First, the case body 100 serves as a substantial terminal protection case of the two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se body 100 has a rectangular box shape as a whole, and a housing space in which the terminal M is accommodated is formed inside the upper case.

즉 휴대폰 등의 단말기가 수용공간(110)에 수용되면 케이스본체(100)는 단말기의 하부면과 테두리면을 감싸는 상태로 결합된다.That is, when a terminal such as a cellular phone is receiv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110, the case body 100 is coupled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terminal in a state of wrapping the terminal surface.

이러한 케이스본체(100)는 플라스틱이나 금속, 합성수지 등 외부충격이 가해졌을 때 단말기에 전해지는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재질이라면 얼마든지 다양하게 선택 적용될 수 있다.The case main body 100 can be variously applied as far as it can minimize the impact transmitted to the terminal when an external impact such as plastic, metal, or synthetic resin is applied.

또한 단말기의 형상도 사각 박스 형태 외에도 단말기의 종류 등에 맞게 규격별로 다양하게 제작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hape of the terminal can be variously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terminal as well as the square box type.

이러한 케이스본체(100)에는 커버(200)가 연결 설치된다.
A cover 200 is connected to the case body 100.

커버(200)는 케이스본체(100)와 더불어 단말기의 보호케이스 역할 및 외부입력 키보드 역할을 병행하는 것으로, 다시 연결프레임(210)과 터치프레임(2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cover 200, in addition to the case body 100, serves as both a protective case of the terminal and an external input keyboard. The cover 200 includes the connection frame 210 and the touch frame 220.

그 중 연결프레임(210)은 커버의 뼈대 역할을 하는 것으로 케이스본체(100)의 상부면과 거의 동일한 면적의 사각 판재 형태이고 일측 테두리가 케이스본체(100)의 일측 테두리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된다.The connection frame 210 functions as a cover of the cover and is formed in the shape of a rectangular plate having substantially the same area as the upper surface of the case body 100 and is rotatably connected to one side edge of the case body 100.

케이스본체(100)와 연결프레임(210) 간의 회동 구조는 아래에서 별도로 설명한다.The rotating structure between the case body 100 and the connection frame 210 will be separately described below.

이러한 연결프레임(210)은 전체적으로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져 투광성 및 투시성이 높도록 하되, 강화유리나 투명플라스틱 등처럼 충분한 자체 강도를 가지거나 투명실리콘 등 충격흡수력이 높은 재질로 이루어진다.The connection frame 210 is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as a whole and has high transparency and transparency. The connection frame 210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sufficient self-strength, such as tempered glass or transparent plastic, or a material having high impact absorbing ability such as transparent silicone.

그리고 연결프레임(210)과 함께 커버(200)를 구성하는 터치프레임(220)은 커버(200)를 키보드 용도로 사용할 시 실질적인 사용자와의 접촉을 통해 조작이 이루어지는 부분으로 전도성을 갖는 얇은 필름 형태이고 연결프레임(210)의 상부면에 적층 형성된다.
The touch frame 220 constituting the cover 200 together with the connection frame 210 is a thin film having conductivity when the cover 200 is used as a keyboard, And is lamin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nection frame 210.

참고로 커버(200)는 이러한 구조 외에도 자체적으로 전도성 및 투광성을 동시에 갖는 재질이라면 이러한 적층구조 외에 하나의 판재 형태로 제작되어 연결프레임과 터치프레임 기능이 동시에 발휘되도록 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o the above structure, the cover 200 may be made of a single plate material in addition to the laminated structure, so that the connection frame and the touch frame function can be simultaneously displayed if the cover 200 itself has both conductive and translucent materials.

이러한 커버와 케이스본체(100)를 연결하는 힌지부(230)은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커버(200)가 다양한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하는 부분으로, 다시 회전체(232)와 연결부재(234)로 나뉘어 구성된다.The hinge part 230 connecting the cover and the case body 100 is a part that allows the cover 200 to be rotated in various directions as described above and is further connected to the rotating body 232 and the connecting member 234 Respectively.

그 중 회전체(232)는 전체적으로 구 형태로 일측이 커버(200)의 일측 테두리 중간 지점에 고정 연결된다.The rotating body 232 has a spherical shape, and one side thereof is fixedly connected to an intermediate point of one side edge of the cover 200.

그리고 연결부재(234)는 일측이 개방되고 내부에는 회전체(232)가 삽입 수용될 수 있는 끼움홈(235)이 형성되어 있는 구조로, 일측이 케이스본체(100)의 일측 테두리 중앙에 고정 연결된다.The connecting member 234 is formed with a fitting groove 235 which is opened at one side and into which the rotating body 232 can be inserted. do.

이 상태에서 회전체(232)가 연결부재(234)의 끼움홈(235)에 끼워짐에 따라 회전체(232)는 연결부재(234) 안에서 자유롭게 회전되는 구조를 갖는다.In this state, as the rotating body 232 is fitted into the fitting groove 235 of the connecting member 234, the rotating body 232 is freely rotated in the connecting member 234.

이로 인해 커버(200)는 [도 2] 및 [도 3]과 같이 회전체(232)와 연결부재(234)간 연결지점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케이스본체(100)의 상부면, 즉 단말기(M)의 디스플레이창()을 덮거나 개방하는 형태로 회동될 수 있고,The cover 200 rotates about the connection point between the rotating body 232 and the connecting member 234 as shown in FIGS. 2 and 3,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case body 100, that is, the terminal M , The display window () of the display unit

[도 5] 내지 [도 7]처럼 단말기 디스플레이창을 덮는 과정에서 타 방향으로 회전하여 커버의 상하부면 위치가 상호 바뀐 상태로 덮도록 할 수도 있다.As shown in FIGS. 5 to 7, when the terminal display window is covered, the cover may be rotated in the other direction so that the upper and lower surface positions of the cover may be covered with each other.

즉 [도 2]와 같이 커버(200)가 회동하여 단말기(M)의 디스플레이창(S)이 개방된 상태에서는 터치프레임(220)이 커버의 상부면에 위치되고, 이 상태에서 반대로 회동하여 디스플레이창을 덮게 되면 터치프레임(220)이 커버의 하부면에 위치된다.That is, as shown in FIG. 2, when the cover 200 is rotated and the display window S of the terminal M is opened, the touch frame 220 is position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When the window is covered, the touch frame 220 is position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over.

하지만 디스플레이창을 덮는 과정에서 [도 5] 및 [도 6]처럼 커버를 회전시키면 디스플레임창을 덮은 상태에서도 [도 7]처럼 터치프레임(220)이 커버 상부면에 위치되어, 이 상태에서도 터치프레임을 터치하여 자판 입력이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However, in the process of covering the display window, if the cover is rotated as shown in FIGS. 5 and 6, the touch frame 220 is position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as shown in FIG. 7 even when the display window is covered. So that the keyboard can be input.

이러한 커버(200)가 케이스본체(100) 상부면을 덮은 상태에서는 단말기의 외부전체가 케이스본체와 연결프레임(210)에 의해 완전히 둘러싸여진 상태가 되고, 커버(200)가 회동하여 외부로 펼쳐진 상태에서는 단말기(M)의 디스플레이창(S)이 개방된 상태가 된다.In a state in which the cover 200 covers the upper surface of the case body 100, the entirety of the terminal is completely surrounded by the case body and the connection frame 210, and the cover 200 is rotated The display window S of the terminal M is opened.

참고로 힌지부(230)의 구조는 도면과 위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커버가 단말기 상부면을 덮거나 개방하는 형태로 회동됨과 동시에 단말기를 덮는 과정에서 상하면의 위치가 바뀔 수 있도록 회동이 가능한 구조라면 얼마든지 변형 적용될 수 있다.
The structure of the hinge unit 230 is not limited to the drawings and the above description. The structure of the hinge unit 230 is such that the cover rotates in such a manner as to cover or open the upper surface of the terminal, and at the same time, Any number of variations can be applied.

본 발명은 이러한 구조에서 커버(200)의 키보드기능 발휘를 위한 구성요소들이 더 포함된다.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components for exerting the keyboard function of the cover 200 in this structure.

그 중 전원부(300)는 커버의 전기적 자판기능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부분으로, [도 3] 및 [도 4]와 같이 전체적으로 태양전지 구조로 이루어진다.Among them, the power supply unit 300 supplies the power required for the electric keyboard function of the cover. The power supply unit 300 has a solar cell structure as shown in FIGS. 3 and 4 as a whole.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전원부(300)는 다시 크게 태양광 집광판(310)과 집전부(320)로 나누어 구성되는데, 태양광 집광판(310)은 태양광을 최초 수집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커버(200) 상에 형성되어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위치된다.More specifically, the power supply unit 300 is divided into a solar collecting plate 310 and a collecting unit 320. The solar collecting plate 310 collects sunlight for the first time, And is exposed to the outside.

그리고 집전부(320)는 집광판(310)을 통해 수집된 태양광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함과 동시에 저장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커버(200)의 내부에 설치된다.The collector unit 320 converts solar energy collected through the light collecting plate 310 into electric energy and simultaneously stores the solar energy. The collector unit 320 is installed inside the cover 200.

태양광 집광판(310) 및 집전부(320)의 구조는 공지된 것으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The structures of the solar light collecting plate 310 and the current collector 320 are well known, and a mor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참고로 전원부(300)는 이러한 태양전지 구조 외에도 별도의 배터리를 사용하는 구조 등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For reference, the power supply unit 300 may be realized by a structure using a separate battery in addition to the solar cell structure.

제어부(400)는 커버(200)의 자판 입력 시 입력신호의 생성 및 단말기로의 전달 등의 전체 제어기능을 것으로, 전원부(300)와 연결된 상태에서 도면 처럼 커버(200) 내부에 위치하거나 케이스본체(100)에 설치된다.The control unit 400 is an overall control function such as generating an input signal when the keyboard of the cover 200 is input and transmitting the signal to the terminal 200. The control unit 400 may be located inside the cover 200, (100).

이와 더불어 구비되는 광 조사부(500)는 커버(200) 상에 자판의 위치가 표시되도록 광신호를 조사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전원부(300) 및 제어부(400)와 연결된 상태에서 커버(200) 내부에 위치하여 터치프레임(220) 표면 상으로 광 신호를 조사한다.The light irradiating unit 500 irradiates an optical signal such that the position of the keyboard is displayed on the cover 200. The light irradiating unit 500 irradiates an optical signal to the cover 200 in a state of being connected to the power unit 300 and the controller 400, And irradiates an optical signal onto the surface of the touch frame 220.

이때 광 조사부(500)에서 조사되는 광신호는 자체적으로 자판구조가 표현되도록 세팅되어 있고,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커버(200)자체가 투광성 재질임에 따라 자판(510) 형상의 광신호가 커버 표면상에 표시되는 구조를 갖는다.As described above, the optical signal of the shape of the keyboard 510 is displayed on the surface of the cover 200 according to the fact that the cover 200 itself is a translucent material, as described above, .

그리고 터치감지센서(600)는 사용자 피부가 커버(200)에 접촉되었을 때 이를 감지하여 터치신호를 제어부에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제어부(400)와 연결되어 전원부(300)로부터 전달된 고주파신호를 감지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접촉시 발생되는 파형을 감지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The touch sensing sensor 600 senses when the user's skin touches the cover 200 and transmits the touch signal to the control unit. The touch sensing sensor 600 is connected to the controller 400 and transmits a high frequency signal And a method of detecting a waveform generated when a user touches the apparatus.

이러한 구성과 더불어 구비되는 데이터 통신부(800)는 단말기(M)와 커버의 제어부(400)를 연결하여 커버(200)로부터 입력된 입력신호를 무선통신망을 통해 단말기로 전달하여 디스플레이창에 표시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In addition to this configuration, the data communication unit 800 may connect the terminal M and the control unit 400 of the cover to transmit the input signal input from the cover 200 to the terminal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

이러한 데이터 통신부(800)는 일반적인 블루투스나 와이파이 등의 다채널 무선통신방식을 이용하여 단말기와의 상호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한다.The data communication unit 800 enables mutual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with the terminal using a general multi-channel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such as Bluetooth or Wi-Fi.

물론 데이터 통신부는 이러한 무선구조 외에도 필요에 따라 유선연결을 통해서도 구현될 수 있다.Of course, the data communication unit can be implemented through a wired connection as needed in addition to the wireless structure.

또한 함께 구비되는 작동제어센서부(700)는 커버와 연결된 각 구성요소의 작동여부를 제어하는 것으로, 기본적으로 전원부(300) 및 힌지부(230)와 연결되어 있고 커버(200) 사용을 위해 커버(200)를 외부로 젖히는 과정에서 힌지부의 작동을 감지하여 전원부(300)로 부터의 전원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한다.The operation control sensor unit 700 is connected to the power source unit 300 and the hinge unit 230 to control the operation of each component connected to the cover. The operation of the hinge part is sensed in the process of lifting the hinge part 200 to the outside, so that power supply from the power source part 300 is performed.

그리고 반대로 커버(200)가 단말기 상부면을 덮고 있는 상태에서는 이를 감지하여 전원부(300)로 부터의 전원공급을 차단하여 커버 사용과 관련된 각 요소들의 작동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는 구조를 갖는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cover 200 covers the upper surface of the terminal, the cover 200 senses the cover and cuts off the power supply from the power supply unit 300 so that the operation of each element related to the use of the cover is not performed.

이때 작동제어센서부(700)은 별도의 작동버튼(미도시)을 통해 수동 작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커버(200)이 단말기 상부면을 덮고 있는 상태에서도 필요에 따라 작동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한다.
At this time, the operation control sensor unit 700 can be manually operated through a separate operation button (not shown), so that the operation can be performed as needed even in a state where the cover 200 covers the upper surface of the terminal.

이하에서는 이러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작용 및 그 과정에서 발생 되는 특유의 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such a configuration and the unique effects generated in the process will be described.

먼저 [도 2] 및 [도 3]과 같이 평상시에는 케이스본체(100)가 단말기의 하부 및 사방의 테두리를 감싸고 있고 커버(200)가 단말기의 상부면을 덮고 있어, 외부 충격이 가해졌을 때 단말기를 보호하는 일반 단말기 케이스 역할을 한다.As shown in FIGS. 2 and 3, the case body 100 usually surrounds the bottom and four sides of the terminal, and the cover 200 covers the upper surface of the terminal. Thus, when an external shock is applied, As a general terminal case to protect.

이때 커버(200)는 투명 상태이기 때문에 [도 3]처럼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창을 덮고 있는 상태에서도 사용자가 디스플레이창을 확인할 수 있다.At this time, since the cover 200 is in a transparent state, the user can check the display window even in the state of covering the display window of the terminal as shown in FIG.

이 상태에서 SMS송신이나 인터넷 검색 등을 위해 자판입력이 필요할 경우 커버(200)를 [도 2] 및 [도 4]처럼 회동시켜 펼치면 작동제어센서부(700)가 이를 감지하고 이로 인해 전원부(300)로 부터 각 구성요소에 전원이 공급된다.In this state, when the keyboard input is required for SMS transmission or Internet search, if the cover 200 is rotated as shown in FIG. 2 and FIG. 4 and expanded, the operation control sensor unit 700 senses this, ) Are supplied with power from each component.

전원공급과 동시에 고주파신호가 커버(200)의 터치프레임(220) 전면에 걸쳐 공급되고 광 조사부(500)로부터 조사된 광신호에 의해 커버(200) 상에는 [도 4]와 같이 자판(510) 형상이 표시된다.A high frequency signal is supplied to the entire surface of the touch frame 220 of the cover 200 and the optical signal irradiated from the light irradiating unit 500 forms a shape of the keyboard 510 Is displayed.

그리고 이와 동시에 데이터 통신부(800)를 통해 단말기와 커버(200)간 무선통신이 이루어짐에 따라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창에서는 자판 입력화면은 생성되지 않고 정보표시 화면만 생성된다.At the same time, as the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cover 200 is performed through the data communication unit 800, the keyboard input screen is not generated but only the information display screen is generated in the display window of the terminal.

이 상태에서 사용자의 손이나 전용펜이 커버(200)에 접촉되면 터치프레임(220) 표면에 분포된 고주파신호의 파형 변화가 생성되고, 터치감지센서(600)가 이를 감지하여 해당 터치 지점에 해당하는 입력신호를 제어부(400)로 보낸다.In this state, when the user's hand or the dedicated pen touches the cover 200, a waveform change of a high-frequency signal distributed on the surface of the touch frame 220 is generated, and the touch sensing sensor 600 detects the change, And sends the input signal to the control unit 400.

제어부(400)에서는 이러한 입력신호의 위치를 계산하여 해당 위치의 입력신호를 데이터 통신부(800)를 통해 단말기로 전송함과 동시에 단말기 디스플레이창(S)에서 해당 문자나 기호 등이 표시된다.The control unit 400 calculates the position of the input signal and transmits the input signal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 to the terminal through the data communication unit 800, and displays the corresponding character or symbol in the terminal display window S.

그 후 입력이 종료된 후 커버(200)를 반대로 회동시켜 단말기 상부면을 덮으면 작동제어센서부(700)가 이를 감지하여 전원부(300)로부터의 전원공급을 차단함에 따라 커버의 작동이 차단된다.
Then, when the cover 200 is reversely rotated to cover the upper surface of the terminal after the input is completed, the operation control sensor unit 700 senses this and stops the operation of the cover as the power supply from the power supply unit 300 is cut off.

이처럼 본 발명은 단말기 외부에서 자판입력이 가능하도록 하여 기본적으로 단말기 디스플레이 창의 활용면적이 최대화 되어 디스플레이창에서 표시되는 화면의 확인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고, 자판의 형성면적도 기존에 비해 훨씬 넓어지기 때문에 입력오류 등의 발생 가능성이 낮아지는 효과를 갖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nput a keyboard from outside the terminal, so that the utilization area of the terminal display window is basically maximized and the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window can be easily confirmed, Errors and the like are less likely to occur.

뿐만 아니라 케이스 기능이 함께 발휘됨에 따라 항시 단말기와 일체화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단말기와의 연결에 따른 번거로움이 해소되고 휴대성이 낮아지는 현상도 방지되는 장점도 갖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case functions are exerted together,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integrated state with the terminal at all times, thereby eliminating the troubles associated with the connection with the terminal and preventing the portability from being lowered.

즉 본 발명은 단말기의 케이스구조를 가짐과 동시에 케이스 커버에 자판기능을 형성시켜 케이스커버의 터치만으로 단말기 디스플레이 창에서 입력정보가 표시되도록 한 것이 특징 중 하나이다.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ase structure of a terminal and forms a keyboard function on the case cover, so that input information is displayed on a terminal display window only by touching the case cover.

그리고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커버(200)는 전체적으로 투명구조이기 때문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창을 덮고 있는 상태에서도 디스플레이 창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cover 200 is entirely transparent, the contents of the display window can be checked even when the cover 200 covers the display window of the terminal.

즉 본 발명은 기존의 외부자판처럼 디스플레이창 내용을 확인하기 위해서 매번 외부키보드를 젖혀 펼쳐야 하는 번거로움이 전혀 발생되지 않도록 함을 또 다른 특징으로 갖는다.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has another feature in that it does not cause any inconvenience to unfold the external keyboard every time to check the contents of the display window like an existing external keyboard.

본 발명은 이러한 특징 외에도 또 다른 특징을 갖는데,The present invention has another feature in addition to this feature,

커버(200)을 단말기 상부면에 덮는 과정에서 [도 5] 및 [도 6]과 같이 회전시키면 [도 7]처럼 단말기 상부면을 덮은 상태에서 터치프레임(220)이 커버 상부면에 노출된 상태가 된다.When the cover 200 is cover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erminal, the touch frame 220 is ex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in a state in which the upper surface of the terminal is covered as shown in FIGS. 5 and 6 .

이 상태에서 작동제어센서부(700)를 작동시키면 위와 동일한 방식으로 커버에 전원이 공급되어, 결국 커버가 단말기를 덮고 있는 상태에서도 디스플레이창을 보면서 자판입력이 가능하게 되고, 이로 인해 커버를 터치하는 것만으로 디스플레이창을 터치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When the operation control sensor unit 700 is operated in this state, power is supplied to the cover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As a result, even when the cover covers the terminal, the keyboard can be input while viewing the display window, The effect of touching the display window can be obtained.

즉 본 발명은 커버 자체가 투명상태이고 회동구조에 의해 커버가 단말기를 덮고 있는 상태에서도 디스플레이 창의 조작이 가능하도록 함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ver itself is transparent and the display window can be operated even when the cover covers the terminal by the pivoting structure.

참고로 커버가 단말기를 덮고 있는 상태에서의 터치조작은 순수하게 제어부를 통해 제어될 수 있도록 하거나, 별도의 소프트웨어를 통해 조작이 연동되도록 할 수도 있다.For reference, the touch operation in the state where the cover covers the terminal can be controlled through the control unit purely, or the operation can be interlocked through the separate software.

그리고 위 설명과 도면에서는 제어부와 전원부, 터치감지센서, 광 조사부, 작동제어센서부가 커버에 형성된 것으로 표현되었으나, 위 구성요소들은 커버 외에 케이스본체에도 설치될 수 있다.
In the above description and drawings, the control unit, the power source unit, the touch sensing sensor, the light irradiation unit, and the operation control sensor unit are illustrated as being formed on the cover, but the above components may be installed in the case body in addition to the cover.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여러 특징들은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 및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으나, 이러한 변형 및 조합이 단말기 케이스 덮개에 외부자판 입력기능을 부가하여 외부자판 입력내용이 단말기 표시창에 표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디스플레이창의 활용면적을 최대화 할 수 있도록 한 구성 및 목적과 관련이 있을 경우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판단하여야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s far as it is related to the constitution and purpose of maximizing the utilization area of the display window.

100 : 케이스본체 110 : 수용공간
200 : 커버 210 : 연결프레임
220 : 터치프레임 230 : 힌지부
232 : 회전체 234 : 연결부재
235 : 끼움공 300 : 전원부
310 : 집광판 320 : 집전부
400 : 제어부 500 : 광 조사부
510 : 자판
600 : 터치감지센서
700 : 작동제어센서부 M : 단말기
100: case body 110: accommodation space
200: cover 210: connection frame
220: touch frame 230: hinge part
232: rotating body 234: connecting member
235: insertion hole 300: power source part
310: condenser plate 320:
400: control unit 500:
510: Keyboard
600: Touch Sensing Sensor
700: Operation control sensor part M:

Claims (5)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는 단말기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케이스본체,
일단부가 힌지부를 통해 상기 케이스본체의 일측에 분리 또는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상기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창을 덮거나 개방할 수 있으며 투광성 재질인 커버,
상기 커버에 연결되어 있는 터치감지센서,
상기 케이스본체와 커버 중 어느 하나 이상에 형성되어 있는 전원부,
상기 단말기의 CPU와 상기 전원부 및 상기 터치감지센서와 연결되어 상기 터치감지센서의 입력신호를 상기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창에 표시되도록 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단말기와 무선 또는 유선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법으로 연결되는 데이터 통신부
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는 상기 케이스본체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고 투명재질의 연결프레임, 상기 연결프레임에 적층되어 있고 상기 터치감지센서와 연결되어 있는 투명재질의 전도성 터치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프레임에 연결되어 상기 터치프레임에 자판표시광을 조사하는 광 조사부를 더 가지며,
상기 힌지부는,
상기 케이스본체와 상기 커버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어 있는 회전체,
상기 케이스본체와 상기 커버 중 다른 하나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회전체를 감싸고 있는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회전체와 연결부재간 연결지점을 중심으로 상기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창을 덮거나 개방하는 형태로 회동하거나, 상기 디스플레이 창을 덮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연결 프레임과 터치 프레임의 위치가 상호 바뀌도록 회동되는
키보드형 단말기 케이스.
A case body in which an upper portion is opened and an accommodation space in which a terminal can be accommodated is formed,
A cover which i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and can be opened or closed by being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case body through a hinge part so as to be detachable or rotatable,
A touch sensor connected to the cover,
A power supply unit formed on at least one of the case body and the cover,
A controller connected to the CPU of the terminal, the power unit, and the touch sensor to display an input signal of the touch sensor on a display window of the terminal,
A data communication unit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and connected to the terminal by at least one of wireless and wired communication;
/ RTI >
The cover includes a connection frame rotatably connected to the case body, a transparent connection frame, and a transparent conductive touch frame connected to the touch sensing sensor.
And a light irradiation unit connected to the connection frame for irradiating the keypad display light to the touch frame,
The hinge unit includes:
A rotating body connected to any one of the case body and the cover,
And a connecting member connected to the other of the case body and the cover and surrounding the rotating body,
The cover rotates in such a manner as to cover or open the display window of the terminal around the connection point between the rotating body and the connection member or to rotate the display frame in a state where the connection frame and the touch frame are exchanged felled
Keyboard type terminal cas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서,
상기 커버 및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커버의 회동 방향 및 회동 상태에 따라 상기 전원부의 작동여부를 제어하는 작동제어센서부
를 더 포함하는 키보드형 단말기 케이스.
The method of claim 1,
And an operation control sensor unit connected to the cover and the control unit and controlling whether the power unit is operated according to a rotating direction and a rotating state of the cover,
Further comprising a keyboard-type terminal case.
KR1020110123256A 2011-11-24 2011-11-24 Case for digital assistants of keyboard type KR10139039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3256A KR101390392B1 (en) 2011-11-24 2011-11-24 Case for digital assistants of keyboard typ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3256A KR101390392B1 (en) 2011-11-24 2011-11-24 Case for digital assistants of keyboard typ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7516A KR20130057516A (en) 2013-06-03
KR101390392B1 true KR101390392B1 (en) 2014-04-30

Family

ID=48857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3256A KR101390392B1 (en) 2011-11-24 2011-11-24 Case for digital assistants of keyboard typ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0392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8855B1 (en) * 2014-02-27 2021-03-17 엘지전자 주식회사 Portable key-board
KR101465024B1 (en) * 2013-12-23 2014-11-27 이창현 A case for portable terminal
KR102245289B1 (en) * 2014-02-11 2021-04-27 삼성전자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user interface in mobile terminal and cover of mobile terminal
US20160139635A1 (en) * 2014-11-17 2016-05-19 Infocase, Inc. Protective case for hybrid computer
KR200488610Y1 (en) 2017-01-25 2019-06-11 조성찬 A hair rod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20742A (en) * 2003-04-14 2004-11-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Personal digital assistance machine equipped with rotary type camera lens housing
KR20100082920A (en) * 2009-01-12 2010-07-21 삼성전자주식회사 Cover for portable terminal
KR20110068661A (en) * 2009-12-16 2011-06-22 엘지전자 주식회사 Portable terminal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20742A (en) * 2003-04-14 2004-11-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Personal digital assistance machine equipped with rotary type camera lens housing
KR20100082920A (en) * 2009-01-12 2010-07-21 삼성전자주식회사 Cover for portable terminal
KR20110068661A (en) * 2009-12-16 2011-06-22 엘지전자 주식회사 Portable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7516A (en) 2013-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0392B1 (en) Case for digital assistants of keyboard type
CN104238662B (en) With the electronic equipment of antenna window on opposite surface of shell
CN203689264U (en) Carrying device of flat-plate movable electronic device
CN108696608A (en) Support construction including conductive path and the electronic equipment with the support construction
CN103576880B (en) The external connection keyboard of electronic installation and the sheath of electronic installation
CN103845041B (en) Multi-mode temperature measuring equipment
CN206378766U (en) Cover of keyboard for tablet personal computer
CN101594402A (en) Portable terminal and the method that is used to control its display
CN204129441U (en) A kind of intelligent system and intelligent watch
CN107343061A (en) Mobile terminal
CN104238344A (en) Intelligent system and intelligent wrist watch
KR20150096905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keypad in electonic device
CN207184575U (en) Cover plate assembly, housing unit and the terminal of terminal
KR101695382B1 (en) Case Having Mouse Function
KR20190080516A (en) Roll type digital touch note
CN201182293Y (en) Cover for containing computer device
KR20170002658U (en) Touch type input apparatus
CN103034294A (en) Tablet personal computer protecting sleeve and protecting sleeve control method
CN207304680U (en) The housing unit of terminal and there is its terminal
CN203397309U (en) Computer keyboard and panel personal computer using same
KR102078618B1 (en) Cover device having input apparatus and portable terminal thereof
KR100556751B1 (en) Pda case with touch screen
KR101546949B1 (en) Case for personal portable device having capacitance type touch panel and operation method of the same
CN108055430A (en) Electronic device
CN207410404U (en) The housing unit of terminal and with its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