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0312B1 - H-bridge converter system - Google Patents

H-bridge converter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0312B1
KR101390312B1 KR1020120070361A KR20120070361A KR101390312B1 KR 101390312 B1 KR101390312 B1 KR 101390312B1 KR 1020120070361 A KR1020120070361 A KR 1020120070361A KR 20120070361 A KR20120070361 A KR 20120070361A KR 101390312 B1 KR101390312 B1 KR 1013903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cell
power
communication interface
signal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036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001712A (en
Inventor
유재성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703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0312B1/en
Publication of KR201400017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171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03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031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4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4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4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7/483Converters with outputs that each can have more than two voltages levels
    • H02M7/4835Converters with outputs that each can have more than two voltages levels comprising two or more cells, each including a switchable capacitor, the capacitors having a nominal charge voltage which corresponds to a given fraction of the input voltage, and the capacitors being selectively connected in series to determine the instantaneous output voltag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4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4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4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7/493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he static converters being arranged for operation in parallel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7/00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 H02P27/04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using variable-frequency supply voltage, e.g. inverter or converter supply voltage
    • H02P27/06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using variable-frequency supply voltage, e.g. inverter or converter supply voltage using dc to ac converters or inverters
    • H02P27/08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using variable-frequency supply voltage, e.g. inverter or converter supply voltage using dc to ac converters or inverters with pulse width modu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2012/40208Bus networks characterized by the use of a particular bus standard
    • H04L2012/40215Controller Area Network CA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88/00Electricity: motor control systems
    • Y10S388/907Specific control circuit element or device
    • Y10S388/9072Bridge circu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verter Devices (AREA)

Abstract

H-브릿지 컨버터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H-브릿지 컨버터 시스템은 전동기 또는 발전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복수의 제1 제어신호들을 출력하는 마스터 제어기(Master Controller), 상기 제1 제어신호에 따라 복수의 파워셀(Power Cell)들 각각을 제어하는 복수의 파워셀 제어기(Power Cell Controller)들, 및 상기 마스터 제어기 및 상기 파워셀 제어기들 간의 동기식 직렬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며,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가 각각의 파워셀 제어기로 전송하는 신호는 파워셀 선택신호에 의해 동기가 맞춰지고, 상기 직렬통신은 주변장치용 직렬 인터페이스(Serial Peripheral Interconnect; SPI) 통신 규약을 따른다. 이에 따라 통신 속도가 개선된다.An H-bridge converter system is disclosed. H-bridge converter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aster controller for outputting a plurality of first control signals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otor or generator, each of a plurality of power cells in accordance with the first control signal A plurality of power cell controllers controlling a plurality of power cell controllers, and a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performing synchronous serial communication between the master controller and the power cell controllers, the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transmitting to each power cell controller. The signal is synchronized by the power cell selection signal, and the serial communication follows the Serial Peripheral Interconnect (SPI) communication protocol for peripheral devices. This improves the communication speed.

Description

H―브릿지 컨버터 시스템{H-BRIDGE CONVERTER SYSTEM} H-bridge converter system {H-BRIDGE CONVERTER SYSTEM}

본 발명은 파워 셀의 위상제어를 위한 H-브릿지 컨버터(Converter)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시스템의 제어기를 마스터 제어기와 파워셀 제어기로 구성하고, 마스터 제어기와 파워셀 제어기 간에 동기식 직렬통신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통신하는 H-브릿지 컨버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H-bridge converter system for controlling the phase of a power cell. More particularly, the controller of the system includes a master controller and a power cell controller, and synchronous serial communication between the master controller and the power cell controller. It relates to an H-bridge converter system for communicating data using a.

일반적으로 고급 회생형 H-브릿지 컨버터 시스템(H-bridge Converter System)의 각 상(Phase)은 직렬 접속된 여러 개의 셀(Cell)로 구성된다. In general, each phase of an advanced regenerative H-bridge converter system is composed of several cells connected in series.

상기 고급 회생형 H-브릿지 컨버터는 전원부, 변압부, 파워셀 스택부 및 전동기를 포함한다. 전원부는 변압부로 전동기를 구동하기 위한 전원을 공급한다. The advanced regenerative H-bridge converter includes a power supply unit, a transformer unit, a power cell stack unit, and an electric motor. The power supply unit supplies power for driving the motor to the transformer unit.

변압부는 2차측이 지그재그 또는 확장 델타 결선방법의 여러 개의 탭을 갖는다. 변압부는 각 파워셀에 독립된 전원을 공급하고, 2차측 탭 간에 위상차를 두어 멀티-펄스(Multi-pulse) 방식의 정류기형 컨버터를 구성함으로써 기존의 6-펄스 정류 방식에 비하여 아주 낮은 입력단 THD(Total Harmonic Distortion)를 얻는다. The transformer section has several tabs on the secondary side in a zigzag or extended delta connection method. The transformer supplies independent power to each power cell and forms a multi-pulse rectifier type converter with a phase difference between the secondary side taps. Thus, the input stage THD (Total) is much lower than the conventional 6-pulse rectification method. Harmonic Distortion).

파워셀 스택부 각각의 스택은 독립된 단상 컨버터 구조이며, 고급 회생형 셀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고급 회생형 셀은 급 가감속이 필요한 부하의 경우 회생에너지를 전원측으로 반환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를 위하여 입력 컨버터부를 IGBT(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를 이용한 3상 단상 펄스폭변조(PWM: Pulse Width Modulation; 이하, PWM이라 한다.) 컨버터로 구성한다. 전류제어를 위한 리액터가 컨버터에 연결되고, 스위칭에 의한 EMI(Electromagnetic interference) 노이즈가 전원계통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노이즈 필터를 부착하며, 입력변압기는 기본 경제형과 달리 입력부의 PWM 컨버터가 위상제어를 하므로 변압기 2차측 사이에 위상차를 두지 않는다. Each stack of power cell stacks has an independent single-phase converter structure, and has an advanced regenerative cell structure. The advanced regenerative cell is used to return the regenerative energy to the power supply in case of a load requiring rapid acceleration and deceleration. To this end, the input converter unit is configured as a three-phase single pulse width modulation (PWM) converter using an 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IGBT). A reactor for current control is connected to the converter, and a noise filter for preventing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noise from switching into the power system is attached.In contrast to the basic economy type, the input transformer has a phase-controlled PWM converter in the input unit. Therefore, there is no phase difference between the secondary sides of the transformer.

일반적인 멀티-레벨(Multi-level) 방식의 컨버터에 비해, 캐스캐이드(Cascaded) 방식의 H-브릿지 컨버터는 셀 수를 조정함으로써 전압 레벨을 손쉽게 바꿀 수 있고, 고장시 셀 단위 교체가 가능하여 수리가 용이하며, 셀 단위의 고장감시 및 시스템 단위의 고장 감시 기능으로 분리하여 좀 더 신뢰성 있고 유연한 고장 감시 및 진단 기능을 구현할 수 있어 유리한 파워 토폴로지(Power Topology)이다. Compared with the general multi-level converter, the cascaded H-bridge converter can easily change the voltage level by adjusting the number of cells, and can be repaired by unit replacement in case of failure. It is easy to use, and it is advantageous power topology because it is possible to implement more reliable and flexible failure monitoring and diagnosis function by separating into failure monitoring function by cell unit and failure monitoring function by system unit.

이러한 파워 토폴로지를 H-브릿지 컨버터로 할 경우 제어기는 집중제어와 분산제어 두 가지 방식으로 구성할 수 있다. If the power topology is an H-bridge converter, the controller can be configured in two ways: centralized control and distributed control.

분산제어 방식은 각각의 셀마다 보조제어기가 설치되어 게이팅 신호를 만들어 내거나 셀 단위의 보호동작을 수행한다. 따라서, 셀과 주제어기 사이에는 전압/전류 기준값, 고장신호 등의 데이터 교환만 이루어지므로 신호선이 간단하고, 주제어기의 부담이 줄어드는 장점이 있다. 또한, 셀 단위의 보호동작이 용이하므로 전체 시스템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으며 모듈화라는 면에 있어서 유리한 구조이다. In the distributed control method, an auxiliary controller is installed in each cell to generate a gating signal or to perform cell-based protection. Therefore, since only data exchange such as a voltage / current reference value and a fault signal is performed between the cell and the main controller, the signal line is simple and the burden on the main controller is reduced. In addition, since the protection operation of the cell unit is easy,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reliability of the entire system and advantageous structure in terms of modularization.

종래에 사용되어 온 분산제어 방식에 대하여 자세히 살펴보면, 콘솔(Console)로부터 원하는 제어 지령치를 제어기에 장착 되어 있는 RS-232C 직렬통신으로 받고, 이를 셀제어기(Cell Controller)로 보내기 위하여 통신 프레임(Frame)으로 구성을 한 후에 EPLD 내의 단상 펄스폭변조(PWM) 로직을 사용하여 정의된 듀티 사이클(Duty Cycle)로 변환하여 이를 광커넥터를 통하여 셀제어기로 전송한다. Looking at the distributed control method used in the prior art in detail, the desired control command value from the console (Console) to receive the RS-232C serial communication that is mounted on the controller, the communication frame (Frame) to send it to the cell controller (Cell Controller) After configuration, it converts into duty cycle defined using single phase pulse width modulation (PWM) logic in EPLD and transmits it to cell controller through optical connector.

제어기를 분산제어 방식으로 구성하고, 파워셀을 PWM컨버터를 이용하는 고급 회생형 구조를 사용할 경우 주제어기와 파워셀 제어기 사이에 주고받을 데이터의 양이 증가하므로 스위칭 주파수를 높이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When the controller is configured in a distributed control scheme and the power cell uses an advanced regenerative structure using a PWM converter, it is difficult to increase the switching frequency because the amount of data to be transmitted and received between the main controller and the power cell controller increases.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동기식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고속으로 통신할 수 있는 H-브릿지 컨버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H-bridge converter system capable of high speed communication using a synchronous communication method.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H-브릿지 컨버터 시스템은 전동기 또는 발전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복수의 제1 제어신호들을 출력하는 마스터 제어기(Master Controller); 상기 제1 제어신호에 따라 복수의 파워셀(Power Cell)들 각각을 제어하는 복수의 파워셀 제어기(Power Cell Controller)들; 및 상기 마스터 제어기 및 상기 파워셀 제어기들 간의 동기식 직렬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한다.H-bridge converter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technical problem is a master controller for outputting a plurality of first control signals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otor or generator; A plurality of power cell controllers controlling each of a plurality of power cells according to the first control signal; And a communication interface configured to perform synchronous serial communication between the master controller and the power cell controllers.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가 각각의 파워셀 제어기로 전송하는 신호는 파워셀 선택신호에 의해 동기가 맞춰지고, 상기 직렬통신은 주변장치용 직렬 인터페이스(Serial Peripheral Interconnect; SPI) 통신 규약을 따른다.Signals transmitted by the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to each power cell controller are synchronized by a power cell selection signal, and the serial communication follows a serial peripheral interconnect (SPI) communication protocol for peripheral devices.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복수의 제1 제어신호들을 상기 복수의 파워셀 제어기들로 각각 전송하기 위하여 복수의 제2 제어신호들로 변환하는 EPLD(Erasable Programmable Logic Device)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may further include an erasable programmable logic device (EPLD) for converting the plurality of first control signals into a plurality of second control signals for transmission to the plurality of power cell controllers, respectively.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각각의 파워셀 제어기들로 동시에 데이터를 송신하고, 상기 각각의 파워셀 제어기들로부터 동시에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may simultaneously transmit data to each of the power cell controllers and simultaneously receive data from each of the power cell controllers.

상기 파워셀은 복수의 펄스폭변조(Pulse Width Modulation; PWM) 컨버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The power cell may include a plurality of pulse width modulation (PWM) converters.

상기 각 파워셀 제어기는 상기 제2 제어신호를 펄스폭변조(PWM) 제어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각 파워셀로 전송하고, 상기 각 파워셀의 전압, 전류, 고장 여부(Fault), 및 스택 온도를 센싱할 수 있다.Each of the power cell controllers converts the second control signal into a pulse width modulation (PWM) control signal and transmits it to each of the power cells. You can sense it.

본 발명에 따른 H-브릿지 컨버터 시스템은 동기식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고속의 통신을 구현할 수 있어, 발전 및 회생 기능을 갖는 H-브릿지 컨버터 시스템에 보다 적합하다. The H-bridge converter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lement high-speed communication by using a synchronous communication method, which is more suitable for the H-bridge converter system having power generation and regenerative function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H-브릿지 컨버터 시스템의 광통신 구조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도 1의 파워셀 내부 신호를 보다 자세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제2 제어신호의 타이밍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제2 제어신호의 타이밍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optical communication structure of the H-bridge converter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in detail the internal signal of the power cell of FIG.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timing diagram of a plurality of second control signal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timing diagram of a plurality of second control signal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Specific structural and functional descriptions of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s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or application are merely illustrative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ng embodiments in accordance with the concep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xamples may be embodied in various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or in the application.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Embodiments in accordance with the concep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ake various changes and have various forms, so that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is specification or appl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it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s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forms of disclosure,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Terms such as first and / or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intended to distinguish one elem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in accordance with the concep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element may be termed the second element,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but it may be understood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present in between.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elements in between. Other expressions that describe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onents, such as "between" and "between" or "neighboring to" and "directly adjacent to" should be interpreted as well.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s "comprises ", or" having ", or the like, specify that there is a stated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as a matter of principle.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the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construed as having meanings consistent with the meanings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are not construed i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s unless expressly defined herein. Do not.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BEST 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H-브릿지 컨버터 시스템의 광통신 구조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도 1의 파워셀 내부 신호를 보다 자세히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optical communication structure of the H-bridge converter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in detail the internal signal of the power cell of FIG.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H-브릿지 컨버터 시스템(200)은 마스터 제어기(Master Controller)(210)와 각각 파워셀 제어기(231)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파워셀(230)을 포함한다. 마스터 제어기(210)와 복수의 파워셀 제어기(231) 사이에는 직렬통신(Serial Communication)에 의한 전압 기준값, 고장신호 등의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220)가 구비된다. 이하 전동기를 예를 들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발전기인 경우에도 적용가능하다. Referring to FIGS. 1 and 2, the H-bridge converter system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power cells 230 including a master controller 210 and a power cell controller 231, respectively. ). A communication interface 220 is provided between the master controller 210 and the plurality of power cell controllers 231 to perform data communication such as a voltage reference value and a failure signal by serial communication. Hereinafter, an electric motor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applicable to a generator.

마스터 제어기(210)는 전동기의 가속 및 변속을 제어하기 위한 가변속 제어기를 내장하며, 이에 필요한 전압값 및 전류값을 계산한다. 또한, 전체 컨버터 시스템의 감시(Monitering), 진단(Diagnostic) 및 보호(Protection) 기능을 수행하는 한편, MMI(Man-machine interface), 파워 셀과의 통신(Communication)과 기타 보조기능을 수행한다. The master controller 210 has a variable speed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acceleration and the shift of the electric motor, and calculates a voltage value and a current value required for the motor. It also performs the monitoring, diagnostic and protection functions of the entire converter system, as well as man-machine interface (MMI), communication with the power cells and other auxiliary functions.

마스터 제어기(210)는 전동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복수의 제1 제어신호들을 통신 인터페이스부(220)를 통해 파워셀 제어기(231)로 출력한다. 복수의 제1 제어신호들은 SPI Com 신호에 포함된다.  복수의 제1 제어신호들은 전압 기준값(Voltage Reference), PWM 싱크(Sync) 신호, 무효전력 기준값(Reactive Power Reference), DC 링크 기준값(DC Link Ref)을 포함할 수 있다. The master controller 210 outputs a plurality of first control signals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otor to the power cell controller 231 through the communication interface 220. The plurality of first control signals are included in the SPI Com signal. The plurality of first control signals may include a voltage reference value, a PWM sync signal, a reactive power reference value, and a DC link reference value.

PWM 싱크(Sync) 신호는 가변속 제어기의 출력인 3상의 전압 기준값을 각 위상별로 동기를 맞추어 파워셀 제어기(231)로 송신하기 위해 사용된다. The PWM sync signal is used to transmit the voltage reference value of the three phases, which are outputs of the variable speed controller, to the power cell controller 231 in synchronization with each phase.

한편, 마스터 제어기(21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220)를 통해 파워셀 제어기(231)로부터 각 셀의 상태(Cell state)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Meanwhile, the master controller 210 may receive information about a cell state of each cell from the power cell controller 231 through the communication interface 220.

통신 인터페이스부(220)는 마스터 제어기(210) 및 파워셀 제어기(231)들 간의 동기식 직렬통신을 수행한다. 직렬통신은 주변장치용 직렬 인터페이스(Serial Peripheral Interconnect; SPI) 통신 규약을 따를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interface 220 performs synchronous serial communication between the master controller 210 and the power cell controller 231. Serial communication may follow the Serial Peripheral Interconnect (SPI) communication protocol.

통신 인터페이스부(220)는 복수의 제1 제어신호들을 복수의 파워셀 제어기(231)들로 각각 전송되는 복수의 제2 제어신호들(240)로 변환하는 EPLD(Erasable Programmable Logic Device)(221)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파워셀 제어기(231)에 대응되는 복수의 제2 제어신호들(240)은 EPLD(221)에 포함되는 각각의 제어부(221-1, 221-2, ... , 221-9)에서 로직으로 처리되기 때문에, 통신 인터페이스부(220)는 각각의 파워셀 제어기(231)들로 동시에 데이터를 송신하고, 각각의 파워셀 제어기들로부터 동시에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각각의 제어부(221-1, 221-2, ... , 221-9)의 개수는 파워셀 제어기(231)의 개수와 동일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interface 220 converts a plurality of first control signals into a plurality of second control signals 240 respectively transmitted to the plurality of power cell controllers 231, and an erasable programmable logic device (EPLD) 221. It may include. The plurality of second control signals 240 corresponding to the respective power cell controllers 231 are respectively controlled by the controllers 221-1, 221-2,..., 221-9 included in the EPLD 221. Since processed in logic, the communication interface 220 can simultaneously transmit data to each of the power cell controllers 231 and receive data from each of the power cell controllers at the same time. The number of each of the controllers 221-1, 221-2,..., 221-9 may be the same as the number of the power cell controllers 231.

복수의 제2 제어신호들은 파워셀 선택신호(Chip Select; nCS), 클락 (Clock; CLK), MOSI(Master Output Slave Input), MISO(Master Input Slave Output) 신호를 포함한다. 각각의 파워셀로 전송되는 nCS 신호, MOSI, MISO 신호는 통신 인터페이스부(220)의 EPLD(221) 구현 방식에 따라, 같을 수도 있고, 다를 수도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부(220)는 각 파워셀과 4개의 신호선으로 각각 연결되어, 복수의 제2 제어신호들을 주고받는다. 이에 대해서는 도 4에서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The plurality of second control signals include a power cell select signal (nCS), a clock (CLK), a master output slave input (MOSI), and a master input slave output (MISO) signal. The nCS signal, the MOSI, and the MISO signal transmitted to each power cell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according to the EPLD 221 implementation scheme of the communication interface 220. The communication interface 220 is connected to each of the power cells by four signal lines, and transmits and receives a plurality of second control signals. 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4.

통신 인터페이스부(220)는 SPI 통신이 가능한 광통신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광통신 소자는 직류(DC) 신호를 전달할 수 있어, 복수의 제2 제어신호에 포함된 파워셀 선택신호를 전달한다. The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220 may include an optical communication device capable of SPI communication. The optical communication device may transmit a direct current (DC) signal and transmit a power cell selection signal included in the plurality of second control signals.

각 파워셀(230)은 3개의 그룹(G1, G2, G3)으로 분류될 수 있으며, 각각의 그룹의 파워셀들은 직렬 연결되어 H-브릿지 컨버터 시스템의 각 상(Phase)(S1, S2, S3)을 출력한다. 도면에서는 각 그룹에 파워셀이 3개씩 포함되도록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Each power cell 230 may b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G1, G2, and G3, and the power cells of each group are connected in series to each phase S1, S2, and S3 of the H-bridge converter system. ) In the drawings, three power cells are included in each group,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파워셀 제어기(231)는 각 파워셀(Power Cell)(230)마다 위치하며, 마스터 제어기(210)의 제1 제어신호에 따라 복수의 파워셀들 각각을 제어한다. 파워셀은 입력 컨버터부가 복수의 펄스폭변조(Pulse Width Modulation; PWM) 컨버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The power cell controller 231 is located for each power cell 230, and controls each of the plurality of power cells according to the first control signal of the master controller 210. The power cell may include a plurality of pulse width modulation (PWM) converters having an input converter unit.

각 파워셀 제어기(231)는 제2 제어신호를 펄스폭변조(PWM) 제어신호로 변환하여 각 파워셀의 스택(Stack)(233)으로 전송하여, 파워셀(230)을 구동시킨다. Each power cell controller 231 converts the second control signal into a pulse width modulation (PWM) control signal and transmits it to the stack 233 of each power cell to drive the power cell 230.

파워셀 제어기(231)는 키패드(Key-Pad)와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여 셀의 위치정보 및 이상 유/무를 입력 및 확인할 수 있다. The power cell controller 231 may input and confirm cell position information and abnormality / absence using a keypad and a display device.

또한, 파워셀 제어기(231)는 시스템 보호 및 PWM 제어를 위해 각 파워셀의 전압, 전류, 고장 여부(Fault), 및 스택 온도를 센싱할 수 있으며, 파워셀의 고장시 바이패스(Bypass) 스위치를 동작시켜 파워셀의 고장시에도 시스템이 정지하고 않고 운전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 In addition, the power cell controller 231 may sense voltage, current, fault, and stack temperature of each power cell for system protection and PWM control, and a bypass switch in case of power cell failure. By operating the controller, the system can be operated without stopping even in the event of a power cell failure.

마스터 제어기(210)는 고기능 DSP(Digital Signal Processing)와 주변회로로 구성되며, 파워셀 제어기(231)는 주변회로 기능이 포함된 원칩(One-Chip) DSP로 구성될 수 있다. The master controller 210 may include a high function digital signal processing (DSP) and peripheral circuits, and the power cell controller 231 may include a one-chip DSP including peripheral circuit functions.

통신 인터페이스부(220)의 EPLD(221)는 하나의 제어부(221-1)만을 구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제2 제어신호들은 제어부(221-1)에서 로직으로 처리될 수 있다. The EPLD 221 of the communication interface 22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only one control unit 221-1. The plurality of second control signals may be processed in logic by the controller 221-1.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제2 제어신호의 타이밍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제2 제어신호의 타이밍도이다. 3 is a timing diagram of a plurality of second control signal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timing diagram of a plurality of second control signal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복수의 nCS 신호를 이용하여 각각의 파워셀을 선택한다. nCS 신호는 n개의 파워셀 각각으로 전송되는 /CS#1~/CS#n 신호로 구성된다. 이때 마스터 제어기(210)에서 통신 인터페이스부(220)로 전송된 PWM 싱크 신호에 따라 각각의 파워셀로 전송되는 nCS 신호가 제어되어, 각각의 파워셀을 구동하는 PWM 신호의 동기를 맞출 수 있다. 3 and 4, first, each power cell is selected using a plurality of nCS signals. The nCS signal is composed of / CS # 1 to / CS # n signals transmitted to each of n power cells. At this time, the nCS signal transmitted to each power cell i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PWM sync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aster controller 210 to the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220, thereby synchronizing the PWM signals driving the respective power cells.

nCS 신호가 0일 때 해당하는 파워셀이 선택되어, 클락 신호(CLK)에 동기를 맞추어서 데이터를 전송한다. MOSI 신호선을 통해 마스터 제어기에서 각 파워셀 제어기로 신호를 전송하고, MISO 신호선을 통해 각 파워셀 제어기에서 마스터 제어기로 신호를 전송한다. 도면에서는 MOSI 신호와 MISO 신호가 순차적으로 전송되는 실시예가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MOSI 신호와 MISO 신호는 동시에 전송될 수 있다. When the nCS signal is 0, a corresponding power cell is selected to transmit data in synchronization with the clock signal CLK. A signal is transmitted from a master controller to each power cell controller through a MOSI signal line, and a signal is transmitted from each power cell controller to a master controller through a MISO signal line. In the drawings, an embodiment in which the MOSI signal and the MISO signal are sequentially transmitted is illustrat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the MOSI signal and the MISO signal may be transmitted at the same time.

데이터는 클락에 맞추어 한 비트씩 전송되며, 8비트 단위로 도시되었으나 12비트, 16비트 또는 그 이상의 단위로 구현될 수도 있다. 데이터의 전송은 MSB부터 시작될 수도 있고 LSB부터 시작될 수도 있다. Data is transmitted bit by bit in accordance with the clock, and is shown in units of 8 bits, but may be implemented in units of 12 bits, 16 bits, or more. The transmission of data may begin with the MSB or may begin with the LSB.

nCS 신호가 1인 파워셀은 MISO 신호선이 하이 임피던스(HIZ)로 유지되어, 데이터 송수신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In a power cell having an nCS signal of 1, the MISO signal line is maintained at a high impedance (HIZ), and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are not performed.

도 3과 같이 복수의 파워셀 선택신호가 동시에 0이 되어 복수의 파워셀과 데이터 송수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통신 인터페이스부(220)의 EPLD(221)에서 각각의 파워셀에 대응하는 제어부(221-1, 221-2, ... , 221-9)를 복수 개 구비하므로, 각각의 파워셀로부터 전송되는 MISO#1~MISO#n 신호 및 각각의 파워셀로 전송하는 MOSI#1~MOSI#n 신호가 서로 충돌되지 않고 각각의 제어부(221-1, 221-2, ... , 221-9)에서 처리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3, the plurality of power cell selection signals may be zero at the same time, and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may be performed with the plurality of power cells. At this time, since the EPLD 221 of the communication interface 220 includes a plurality of controllers 221-1, 221-2,..., 221-9 corresponding to each power cell, transmission from each power cell. The MISO # 1 to MISO # n signals and the MOSI # 1 to MOSI # n signals transmitted to the respective power cells do not collide with each other, and the respective controllers 221-1, 221-2, ..., 221-9 Can be processed in

그러나 도 4와 같이, 복수의 파워셀 선택신호가 순차적으로 0이 되어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도 있다. 이때 통신 인터페이스부(220)의 EPLD(221)는 전체 파워셀에 대응되는 하나의 제어부(221-1)만 구비할 수도 있다. However, as shown in FIG. 4, the plurality of power cell selection signals may be sequentially 0 to exchange data. In this case, the EPLD 221 of the communication interface 220 may include only one controller 221-1 corresponding to the entire power cell.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110: 전원부 120: 변압부
130: 파워셀 스택부 140: 전동기
200: 본 발명의 H-브릿지 컨버터 시스템
210: 마스터 제어기 220: 통신 인터페이스부
221: EPLD 221-1~221-9: 제어부
230: 파워셀 231: 파워셀 제어기
233: 파워셀 스택 240: 제2 제어신호
nCS: 파워셀 선택신호 CLK: 클락
110: power supply unit 120: transformer
130: power cell stack 140: electric motor
200: H-bridge converter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210: master controller 220: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221: EPLD 221-1 to 221-9: control unit
230: power cell 231: power cell controller
233: power cell stack 240: second control signal
nCS: Power cell select signal CLK: Clock

Claims (7)

전동기 또는 발전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복수의 제1 제어신호들을 출력하는 마스터 제어기(Master Controller);
상기 제1 제어신호에 따라 복수의 파워셀(Power Cell)들 각각을 제어하는 복수의 파워셀 제어기(Power Cell Controller)들; 및
상기 마스터 제어기 및 상기 파워셀 제어기들 간의 동기식 직렬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며,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가 상기 각각의 파워셀 제어기로 전송하는 신호는 파워셀 선택신호에 의해 동기가 맞춰지고,
상기 직렬통신은 주변장치용 직렬 인터페이스(Serial Peripheral Interconnect; SPI) 통신 규약을 따르며,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각 파워셀 제어기와 적어도 4개의 신호선으로 각각 연결되고,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에서 상기 복수의 파워셀 제어기들로 전송하는 상기 파워셀 선택신호는 서로 동일하며,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파워셀 선택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파워셀들을 동시에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복수의 파워셀들과 SPI 통신을 수행하는 H-브릿지 컨버터 시스템.
A master controller for outputting a plurality of first control signals for controlling an operation of an electric motor or a generator;
A plurality of power cell controllers controlling each of a plurality of power cells according to the first control signal; And
A communication interface configured to perform synchronous serial communication between the master controller and the power cell controllers,
The signal transmitted to the respective power cell controllers by the communication interface is synchronized with the power cell selection signal,
The serial communication is in accordance with the Serial Peripheral Interconnect (SPI) communication protocol,
The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Connected to each of the power cell controllers by at least four signal lines,
The power cell selection signals transmitted from the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to the plurality of power cell controllers are the same,
The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And selecting the plurality of power cells simultaneously using the power cell selection signal and performing SPI communication with the selected plurality of power cell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복수의 제1 제어신호들을 상기 복수의 파워셀 제어기들로 각각 전송하기 위하여 복수의 제2 제어신호들로 변환하는 EPLD(Erasable Programmable Logic Device)를 더 포함하는 H-브릿지 컨버터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And an erasable programmable logic device (EPLD) for converting the plurality of first control signals into a plurality of second control signals for transmission to the plurality of power cell controllers, respectively.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각각의 파워셀 제어기들로 동시에 데이터를 송신하고, 상기 각각의 파워셀 제어기들로부터 동시에 데이터를 수신하는 H-브릿지 컨버터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And simultaneously transmit data to the respective power cell controllers and simultaneously receive data from the respective power cell controllers.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파워셀은
복수의 펄스폭변조(Pulse Width Modulation; PWM) 컨버터들을 포함하는 H-브릿지 컨버터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power cell
An H-bridge converter system comprising a plurality of Pulse Width Modulation (PWM) converters.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각 파워셀 제어기는
상기 제2 제어신호를 펄스폭변조(PWM) 제어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각 파워셀로 전송하고, 상기 각 파워셀의 전압, 전류, 고장 여부(Fault), 및 스택 온도를 센싱하는 H-브릿지 컨버터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each power cell controller is
H-bridge converter converts the second control signal into a pulse width modulation (PWM) control signal and transmits it to each of the power cells, and senses a voltage, a current, a fault, and a stack temperature of each of the power cells. system.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20070361A 2012-06-28 2012-06-28 H-bridge converter system KR10139031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0361A KR101390312B1 (en) 2012-06-28 2012-06-28 H-bridge converter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0361A KR101390312B1 (en) 2012-06-28 2012-06-28 H-bridge converter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1712A KR20140001712A (en) 2014-01-07
KR101390312B1 true KR101390312B1 (en) 2014-04-29

Family

ID=501391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0361A KR101390312B1 (en) 2012-06-28 2012-06-28 H-bridge converter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0312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9596B1 (en) * 2018-12-03 2020-02-06 타이니파워주식회사 Direct Current power line communication module connection devi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8571B1 (en) * 2003-09-29 2007-07-11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Cascaded H-bridge Inverter System Using CAN Communication Interrupt
US7339287B2 (en) 2002-06-23 2008-03-04 Powerlynx A/S Power converter
KR100863767B1 (en) 2006-12-28 2008-10-16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h-bridge milti-level inverter with faulty power cells
KR20090044126A (en) * 2007-10-31 2009-05-0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Contro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phase unbalance of h-bridge multi-level invert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39287B2 (en) 2002-06-23 2008-03-04 Powerlynx A/S Power converter
KR100738571B1 (en) * 2003-09-29 2007-07-11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Cascaded H-bridge Inverter System Using CAN Communication Interrupt
KR100863767B1 (en) 2006-12-28 2008-10-16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h-bridge milti-level inverter with faulty power cells
KR20090044126A (en) * 2007-10-31 2009-05-0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Contro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phase unbalance of h-bridge multi-level inver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1712A (en) 2014-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50067B2 (en) Method and control system for controlling power conversion in a power converter
CN106787875B (en) Pulse driving system and pulse driving method
JP5592236B2 (en) Power converter
EP2408102B1 (en) Power layer generation of inverter gate drive signals
US8817503B2 (en) Power converter with a central controller and cell controllers daisy-chained by optical fiber
EP2975754B1 (en) Energy conversion system and method
EP2270969A1 (en) Control methods for parallel-connected power converters
CN102075104A (en) Converting device with multiple input terminals and two output terminals and photovoltaic system employing the same
CN104811073A (en) Converter module, device, system and related method
WO2011120572A1 (en) Converter
CN105281355A (en) Multi-level power converter
US20180219501A1 (en) Control Method for Power Converters with Inverter Blocks with Silicon Carbide Mosfets
CN107134937A (en) A kind of three level multiple-pulses output transformerless inverter circuit
EP311750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btaining electricity from offshore wind turbines
KR100738571B1 (en) Cascaded H-bridge Inverter System Using CAN Communication Interrupt
KR101390312B1 (en) H-bridge converter system
CN111884493B (en) Multi-power-supply master-slave multi-machine communication method and multi-power-supply system
JP7117818B2 (en) power converter
KR100786696B1 (en) H-bridge inverter system using serial communication
WO2017027681A1 (en) Column-switched multi-module dc-to-dc power transformation system
Scott et al. Bidirectional, three-port, three-phase multilevel inverter based on switched-capacitor cells
Liu et al. A modular digital controller architecture for multi-node high power converter applications
JP5551929B2 (en) Serial multiple power conversion method, serial multiple power drive method, and multiple transformer
CN210958198U (en) Cascade multilevel inverter
CN109361206A (en) A kind of ship medium voltage network structure and its energy control method based on multiterminal DC-DC conver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