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9807B1 - Apparatus for mirroring having changeover between mirroring and file streaming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mirroring having changeover between mirroring and file stream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9807B1
KR101389807B1 KR1020120057859A KR20120057859A KR101389807B1 KR 101389807 B1 KR101389807 B1 KR 101389807B1 KR 1020120057859 A KR1020120057859 A KR 1020120057859A KR 20120057859 A KR20120057859 A KR 20120057859A KR 101389807 B1 KR101389807 B1 KR 1013898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rroring
file
mode
stream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785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134392A (en
Inventor
이수우
Original Assignee
(주)정직한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정직한기술 filed Critical (주)정직한기술
Priority to KR10201200578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9807B1/en
Priority to PCT/KR2012/004277 priority patent/WO2013180318A1/en
Publication of KR201301343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439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98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980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6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4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5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 H04N21/4755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for defining user preferences, e.g. favourite actors or genre

Abstract

미러링과 파일 스트리밍 자동 전환 기능을 갖는 미러링 장치는 사용자 장치에서 실행되는 화면을 상기 사용자 장치에 연결된 표시 장치에 미러링하는 장치로서, 스트리밍 모드에서 미러링 모드 또는 미러링 모드에서 스트리밍 모드로의 모드 전환이 감지되면, 수행 중에 있던 모드를 중지시키고 전환하고자 하는 모드를 개시한다. A mirroring device having an automatic switching function of mirroring and file streaming is a device that mirrors a screen running on a user device to a display device connected to the user device. When a mirroring mode or a mirroring mode to streaming mode switching mode is detected In this case, the current mode is stopped and the mode to be switched is started.

Description

미러링과 파일 스트리밍 자동 전환 기능을 갖는 미러링 장치{APPARATUS FOR MIRRORING HAVING CHANGEOVER BETWEEN MIRRORING AND FILE STREAMING}Mirroring device with automatic switching of mirroring and file streaming {APPARATUS FOR MIRRORING HAVING CHANGEOVER BETWEEN MIRRORING AND FILE STREAMING}

본 발명은 미러링 장치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 장치에서 실행되고 있는 영상을 무선으로 전송하여 다른 표시 장치를 통해서 표시할 수 있는 미러링과 파일 스트리밍 자동 전환 기능을 갖는 미러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irror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mirroring apparatus having a mirroring function and an automatic file streaming switching function that can be displayed through another display device by wirelessly transmitting an image executed in a user device.

PC나 노트북, 태블릿 PC, 스마트 폰 등과 같은 사용자 장치는 스트리밍 및 미러링을 지원한다. 미러링은 사용자 장치의 화면 자체를 캡쳐하여 사용자 장치와 유무선으로 연결된 표시 장치(예를 들면, TV)를 통해 표시하는 기술이다. User devices such as PCs, laptops, tablet PCs, and smartphones support streaming and mirroring. Mirroring is a technology of capturing a screen of a user device and displaying it on a display device (for example, a TV) connected to the user device in a wired or wireless manner.

일반적으로, 미러링과 스트리밍을 모두 지원하는 사용자 장치에서, 미러링 기능과 스트리밍 기능은 각각의 어플리케이션에서 동작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사용자 장치를 통해서 미러링 중에 파일 스트리밍을 수행하는 경우, 미러링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하고 스트리밍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스트리밍을 시작해야 하며, 이와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스트리밍을 종료하고 미러링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미러링을 시작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In general, in a user device supporting both mirroring and streaming, the mirroring function and the streaming function operate in each application. Therefore, when a user performs file streaming while mirroring through the user device, the user must terminate the mirroring application and start the streaming application to start streaming. There is a hassle to do.

또한 미러링 기능과 스트리밍 기능은 각각의 어플리케이션에서 동작함에 따라서 이를 구동하는 하드웨어도 별개로 존재하므로, 사용자 장치의 크기가 커지며 사용자 장치와 표시 장치간 케이블을 통해 유선으로 연결되는 경우, 사용자 장치와 표시 장치간 연결도 복잡해진다. In addition, since the mirroring function and the streaming function operate in each application, hardware for driving them exists separately. Therefore, when the size of the user device increases and a wired connection is made through a cable between the user device and the display device, the user device and the display device The connection between them is also complicated.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서 스트리밍과 미러링을 지원할 수 있는 미러링과 파일 스트리밍 자동 전환 기능을 갖는 미러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irroring device having an automatic switching function of mirroring and file streaming, which can support streaming and mirroring in one application.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사용자의 조작 없이 스트리밍과 미러링을 전환할 수 있는 미러링과 파일 스트리밍 자동 전환 기능을 갖는 미러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irroring device having an automatic switching function of mirroring and file streaming that can switch between streaming and mirroring without a user's manipulation.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장치에서 실행되는 화면을 상기 사용자 장치에 연결된 표시 장치에 미러링하는 장치가 제공된다. 미러링 장치는 미러링 제어부, 파일 스트리밍부, 그리고 모드 전환부를 포함한다. 상기 미러링 제어부는 미러링 모드에서 동작하며, 사용자 장치에서 실행되는 화면을 상기 표시 장치에 미러링하여 표시한다. 상기 파일 스트리밍부는 스트리밍 모드에서 동작하며, 해당 파일을 상기 표시 장치로 스트리밍한다. 그리고 상기 모드 전환부는 상기 스트리밍 모드에서 상기 미러링 모드 또는 상기 미러링 모드에서 상기 스트리밍 모드로의 모드 전환을 감지하고, 상기 미러링 제어부 및 상기 파일 스트리밍부를 제어하여 수행 중에 있던 모드를 중지시키고 전환하고자 하는 모드를 개시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n apparatus for mirroring a screen executed on a user device to a display device connected to the user device is provided. The mirroring apparatus includes a mirroring controller, a file streaming unit, and a mode switching unit. The mirroring controller operates in a mirroring mode and mirrors and displays a screen executed on a user device on the display device. The file streaming unit operates in a streaming mode and streams a corresponding file to the display device. The mode switching unit detects a mode change from the streaming mode to the mirroring mode or the mirroring mode to the streaming mode, and controls the mirroring control unit and the file streaming unit to stop a mode that is being performed and change the mode to be switched. It starts.

상기 모드 전환부는 상기 사용자 장치에 실행되는 파일의 용량이 설정 값 이상인 경우, 상기 미러링 모드를 일시 중지시킨 후 상기 파일 스트리밍부를 통해서 압축 형태의 원파일을 상기 표시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When the capacity of the file to be executed in the user devic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set value, the mode switching unit may suspend the mirroring mode and transmit the original file in a compressed form to the display device through the file streaming unit.

상기 미러링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장치의 화면을 통해 실행되고 있는 화면 영상을 캡쳐하고, 네트워크 상태가 포화 상태를 나타내는 임계치 이상인 경우 상기 화면을 챕쳐한 미러링 데이터의 비트 레이트나 프레임 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할 수 있다. The mirroring control unit may capture a screen image being executed through the screen of the user device, and change at least one of a bit rate and a frame rate of mirroring data captured by the screen when the network stat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threshold indicating a saturation state. .

상기 모드 전환부는 상기 사용자 장치에 실행되는 파일의 용량이 미리 설정된 임계 값 이상인 경우, 상기 미러링 모드를 일시 중지시킨 후 상기 파일 스트리밍부를 통해서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를 상기 표시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When the capacity of the file to be executed in the user devic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threshold, the mode switcher may suspend the mirroring mode and transmit a command for performing a corresponding operation to the display device through the file streaming unit.

상기 미러링 제어부, 상기 파일 스트리밍부 및 상기 모드 전환부는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상기 사용자 장치에 구현될 수 있다. The mirroring controller, the file streaming unit, and the mode switching unit may be implemented in the user device in one application form.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서 미러링과 파일 스트리밍을 모두 지원함으로써, 사용자의 조작 없이 스트리밍과 미러링을 자동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장치와 표시 장치간 유선으로 연결되는 경우에 연결 또한 간단해질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supporting both mirroring and file streaming in one application, streaming and mirroring can be automatically switched without user intervention. In addition, the connection may be simplified when the user device and the display device are wir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미러링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미러링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미러링 장치에서 네트워크 부하를 줄일 수 있는 미러링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 및 도 5는 각각 본 발명의 제2 및 제3 실시 예에 따른 미러링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mirro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mirroring apparatus shown in FIG. 1.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mirroring method capable of reducing a network load in a mirro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and 5 are schematic views illustrating a mirro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cond and thir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As those skilled in the art would realize, the described embodiments may be modified in various different ways, all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parts are denoted by like reference character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및 청구범위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and claims, when a part refers to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except to exclude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미러링 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Now, a mirro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미러링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mirror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러링 장치(100)는 사용자 장치(10)의 화면을 표시 장치(20)의 화면을 통해 그대로 보여주는 미러링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미러링 장치(100)는 파일 스트리밍 기능을 수행한다. As illustrated in FIG. 1, the mirroring apparatus 100 performs a mirroring function of displaying the screen of the user device 10 as it is through the screen of the display device 20. In addition, the mirroring apparatus 100 performs a file streaming function.

미러링 장치(100)는 사용자 장치(10)에 구현될 수 있으며, 사용자 장치(10)와 표시 장치(20)는 케이블이나 와이파이(wi-fi)와 같은 유무선을 통해서 연결될 수 있다. The mirroring device 100 may be implemented in the user device 10, and the user device 10 and the display device 20 may be connected through a wired or wireless wire such as a cable or Wi-Fi.

사용자 장치(10)로는 PC, 노트북, 테블릿 PC, 스마트 폰 등이 있을 수 있다. The user device 10 may be a PC, a notebook, a tablet PC, a smartphone, or the like.

표시 장치(20)는 일종의 표시 역할을 수행하는 장치로서, 모니터나 TV 등이 있을 수 있다. The display device 20 is a device that performs a kind of display role and may include a monitor or a TV.

미러링 장치(100)는 기본적으로 화면 영상을 압축하여 표시 장치(20)로 전송하기 때문에 표시 장치(20)는 압축된 화면 영상을 풀어서 영상을 표시하게 된다. 따라서 표시 장치(20)는 기본적으로 압축된 화면 영상을 푸는 디코딩 모듈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표시 장치(20)가 TV인 경우, 디코딩 모듈은 TV와 연결된 셋탑 박스에 구현될 수 있다. Since the mirroring apparatus 100 basically compresses the screen image and transmits the screen image to the display device 20, the display device 20 displays the image by decompressing the compressed screen image. Therefore, the display device 20 basically includes a decoding module for solving the compressed screen image. For example, when the display device 20 is a TV, the decoding module may be implemented in a set top box connected to the TV.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미러링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mirroring apparatus shown in FIG. 1.

도 2를 참고하면, 미러링 장치(100)는 모드 전환부(110), 미러링 제어부(120) 및 파일 스트리밍부(130)를 포함한다. 여기서, 모드 전환부(110), 미러링 제어부(120) 및 파일 스트리밍부(130)는 미러링 어플리케이션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미러링 어플리케이션은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서버에서 구매 및 다운로드되어 설치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the mirroring apparatus 100 includes a mode switching unit 110, a mirroring control unit 120, and a file streaming unit 130. Here, the mode switching unit 110, the mirroring control unit 120 and the file streaming unit 130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mirroring application, such a mirroring application may be purchased and downloaded from the server providing the application and installed. have.

모드 전환부(110)는 사용자가 명시적으로 미러링 모드에서 스트리밍 모드로 전환하거나 이와 반대로 스트리밍 모드에서 미러링 모드로 전환하는 경우 현재 실행되고 있는 모드를 일시 정지하고, 전환하고자 하는 모드로의 전환을 제어한다. When the user explicitly switches from the mirroring mode to the streaming mode or vice versa, the mode switching unit 110 pauses the currently running mode and controls the switching to the desired mode. do.

구체적으로, 모드 전환부(110)는 미러링 모드에서 스트리밍 모드로 전환하는 경우, 미러링 정지 신호를 생성하여 미러링 제어부(120)로 전달하여 미러링 제어부(120)의 동작을 중지시키고, 파일 스트리밍부(130)로 동작 개시를 지시한다. 이와 반대로, 모드 전환부(110)는 스트리밍 모드에서 미러링 모드로 전환하는 경우 스트리밍 정지 신호를 생성하여 파일 스트리밍부(130)로 전달하여 파일 스트리밍부(130)의 동작을 중지시키고, 미러링 제어부(120)로 동작 개시를 지시한다. In detail, when the mode switching unit 110 switches from the mirroring mode to the streaming mode, the mode switching unit 110 generates a mirroring stop signal and transmits the signal to the mirroring control unit 120 to stop the operation of the mirroring control unit 120 and the file streaming unit 130. ) To start operation. On the contrary, when the mode switching unit 110 switches from the streaming mode to the mirroring mode, the mode switching unit 110 generates a streaming stop signal and transmits the signal to the file streaming unit 130 to stop the operation of the file streaming unit 130 and the mirroring control unit 120. ) To start operation.

이때 모드 전환부(110)는 미러링 모드에서 사용자가 파일을 재생하면, 모드 전환부(110)는 미러링 모드를 중지시키고 파일 스트리밍부(130)로 동작 개시를 지시함으로써, 파일 스트리밍부(130)는 해당 파일을 표시 장치(20)로 전송한다. In this case, when the user plays the file in the mirroring mode, the mode switching unit 110 stops the mirroring mode and instructs the file streaming unit 130 to start the operation, whereby the file streaming unit 130 The file is transmitted to the display device 20.

미러링 제어부(120)는 미러링 모드에서 동작하며, 사용자 장치(10)의 화면 영상을 표시 장치(20)의 화면을 통해 그대로 보여준다. The mirroring controller 120 operates in the mirroring mode and displays the screen image of the user device 10 through the screen of the display device 20 as it is.

이를 위해, 미러링 제어부(120)는 파일을 사용자 장치(10)의 화면을 통해 실행시키는 동시에 사용자 장치(10)의 화면을 통해 실행되고 있는 화면 영상(이하, "미러링 데이터"라 함)을 캡쳐하고, 캡쳐한 미러링 데이터를 압축한 후 표시 장치(20)로 전송한다. 표시 장치(20)는 압축한 미러링 데이터를 풀어서 표시 장치(20)의 화면을 통해 표시함으로써, 사용자 장치(10)의 화면 영상과 동일한 화면 영상이 표시 장치(20)를 통해서 표시된다. 이때 파일이 압축되어 있는 경우, 미러링 제어부(120)는 파일의 압축을 풀어서 비압축 형태의 파일로 만든 후에 미러링 기능을 수행한다. To this end, the mirroring controller 120 executes the file through the screen of the user device 10 and simultaneously captures a screen image (hereinafter referred to as "mirror data") that is being executed through the screen of the user device 10. The captured mirroring data is compressed and then transmitted to the display device 20. The display device 20 decompresses the compressed mirroring data and displays the same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device 20 so that the same screen image as the screen image of the user device 10 is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device 20. At this time, if the file is compressed, the mirroring control unit 120 decompresses the file to form an uncompressed file and then performs a mirroring function.

파일 스트리밍부(130)는 스트리밍 모드에서 해당 파일을 표시 장치(20)로 스트리밍한다. The file streaming unit 130 streams the file to the display device 20 in the streaming mode.

한편, 멀티미디어 데이터와 같이 대용량 파일의 경우, 미러링 시 네트워크 부하를 가중시킬 수 있다. 따라서 미러링 장치(100)에서 미러링 시 네트워크 부하를 줄일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Meanwhile, in the case of a large file such as multimedia data, the network load may be increased during mirroring.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method of reducing network load when mirroring in the mirroring apparatus 100.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미러링 장치에서 네트워크 부하를 줄일 수 있는 미러링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mirroring method capable of reducing a network load in a mirro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고하면, 미러링 장치(100)의 미러링 제어부(120)에서 일반 텍스트가 아닌 멀티미디어 데이터와 같은 대용량 파일을 재생하는 경우, 모드 전환부(110)는 대용량 파일의 재생을 감지한다(S310). Referring to FIG. 3, when the mirroring controller 120 of the mirroring apparatus 100 plays a large file such as multimedia data instead of plain text, the mode switching unit 110 detects the playback of the large file (S310). .

모드 전환부(110)는 대용량 파일의 재생을 감지하면, 미러링 제어부(120)의 미러링 모드를 일시 중지시키고(S320), 파일 스트리밍부(130)의 스트리밍 모드를 개시시킨다(S330). 즉, 모드 전환부(110)는 미러링 시 재생되는 파일의 용량이 설정 값보다 작은지 큰지를 판단하고, 재생 파일의 용량이 설정 값보다 큰 경우에는 미러링 모드를 일시 중지시킨다. 이와 반대로 모드 전환부(110)는 일반 텍스트와 같이 재생 파일의 용량이 설정 값 이하인 경우에는 미러링 모드를 유지한다. 이때, 재생 파일의 용량이 설정 값보다 작은지 큰지를 판단하는 기능은 모드 전환부(110)와 다른 별개의 모듈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When the mode switching unit 110 detects the reproduction of the large file, the mode switching unit 110 pauses the mirroring mode of the mirroring control unit 120 (S320) and starts the streaming mode of the file streaming unit 130 (S330). That is, the mode switching unit 110 determines whether the capacity of the file to be reproduced at the time of mirroring is smaller or larger than the setting value, and suspends the mirroring mode when the capacity of the reproduction file is larger than the setting value. In contrast, the mode switching unit 110 maintains the mirroring mode when the capacity of the playback file is equal to or smaller than the set value as in the plain text. In this case, the function of determining whether the capacity of the playback file is smaller or larger than the set value may be performed by a separate module different from the mode switching unit 110.

스트리밍 모드가 개시되면, 파일 스트리밍부(130)는 모드 전환부(110)의 제어에 따라서 동작을 개시하여 본래의 압축 형태의 대용량 파일을 표시 장치(20)로 전송한다(S340). 이렇게 하면, 표시 장치(20)에서 압축 형태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풀어서 화면을 통해 재생함으로써, 미러링과 동일한 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 When the streaming mode is started, the file streaming unit 130 starts an operation under the control of the mode switching unit 110 and transmits the large file having the original compressed form to the display device 20 (S340). In this case, the display device 20 decompresses and reproduces the compressed multimedia data through the screen, thereby producing the same effect as mirroring.

즉, 미러링 제어부(120)는 기존과 같이 멀티미디어와 같이 압축 형태의 대용량 파일의 경우, 이를 디코딩하여 재생 후 다시 압축해서 표시 장치(20)로 전송하지 않고, 이 대신에 파일 스트리밍부(130)에서 압축 형태의 대용량 파일을 표시 장치(20)로 전송하여 표시 장치(20)에서 해당 파일이 실행되도록 함으로써, 미러링과 동일한 효과를 내면서 네트워크 부하를 줄일 수 있다. That is, the mirroring controller 120 does not decompress, replay, and recompress the large file in a compressed form as in the multimedia as in the conventional art, and transmits the compressed file to the display device 20, instead of the file streaming unit 130. By transmitting the compressed large file to the display device 20 to execute the file on the display device 20, the network load can be reduced while having the same effect as mirroring.

예를 들어, 사용자 장치(10)에서 동영상 파일을 재생하고 있었다면, 동영상 파일은 디코딩된 후에 영상 버퍼(도시하지 않음)에 랜더링되고 화면에 표시된다. 기존의 방식으로 미러링하기 위해서는 사용자 장치(10)의 영상 버퍼에 있는 로우 데이터를 읽어서 이를 압축한 후 표시 장치(20)로 전송해야 했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미러링 제어부(120)에서 동영상 파일이 재생되면 모드 전환부(110)에서 동영상 파일의 재생을 자동으로 인식하고, 미러링 모드를 일시 중지시키고 파일 스트리밍 모드로 전환한다. 파일 스트리밍부(130)는 동영상 파일을 그대로 표시 장치(20)로 전송한다. 그러면, 표시 장치(20)는 전체 화면으로 동영상 파일을 재생한다. For example, if the user device 10 was playing a video file, the video file is decoded and then rendered in an image buffer (not shown) and displayed on the screen. In order to mirror in a conventional manner, the raw data in the image buffer of the user device 10 has to be read and compressed, and then transmitted to the display device 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irroring controller 120 generates a video. When the file is played, the mode switching unit 110 automatically recognizes the playback of the video file, pauses the mirroring mode, and switches to the file streaming mode. The file streaming unit 130 transmits the video file to the display device 20 as it is. Then, the display device 20 plays the video file in full screen.

그런 후에, 동영상 파일의 재생이 끝나거나, 사용자가 사용자 장치(10)에서 동영상 파일의 재생을 정지했을 경우 모드 전환부(110)는 다시 미러링 모드로 전환시켜서 해당 미러링 데이터를 표시 장치(20)로 전송한다. Then, when the playback of the video file is finished or when the user stops playing the video file on the user device 10, the mode switching unit 110 switches to the mirroring mode again and transfers the mirroring data to the display device 20. send.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미러링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4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mirroring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고하면, 미러링 장치(100)는 네트워크 상태 확인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the mirroring apparatus 100 may further include a network state checker 140.

네트워크 상태 확인부(140)는 미러링 시 네트워크 상태를 확인한다. 네트워크 상태 확인부(140)는 표시 장치(20)의 미러링 데이터의 처리 성능이 포화 상태인지 아닌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네트워크 상태 확인부(140)는 미러링 제어부(120)에 구현될 수 있다. The network status checker 140 checks the network status when mirroring. The network state checking unit 140 may check whether the processing performance of the mirroring data of the display device 20 is saturated or not. In this case, the network state checking unit 140 may be implemented in the mirroring control unit 120.

미러링 제어부(120)는 네트워크 상태가 포화 상태를 나타내는 임계치 이상인 경우, 캡쳐한 미러링 데이터의 비트 레이트나 프레임 레이트를 일시적으로 줄여서 압축시킴으로써, 압축 파일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무선 채널의 경우, 채널 대역폭에 한계가 있으므로 데이터 전송 시 데이터 유실 또는 데이터 지연이 발생할 수 있다. 데이터 유실 또는 데이터 지연이 발생하는 경우, 비트 레이트나 프레임 레이트를 일정량 감소시켜 지연을 최소화할 수 있다. When the network stat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threshold indicating the saturation state, the mirroring controller 120 may reduce the size of the compressed file by temporarily reducing the bit rate or the frame rate of the captured mirroring data. In the case of a wireless channel, there is a limit in channel bandwidth, which may result in data loss or data delay. If data loss or data delay occurs, the delay can be minimized by reducing the bit rate or frame rate by a certain amount.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미러링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5 is a schematic view of a mirroring apparatu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고하면, 미러링 장치(100)는 파일 확인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파일 확인부(150)는 모드 전환부(110)에 구현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the mirroring apparatus 100 may further include a file checking unit 150. In this case, the file checking unit 150 may be implemented in the mode switching unit 110.

파일 확인부(150)는 미러링 제어부(120)에 의해 화면에 실행되는 파일(또는 프로그램)이 오픈지엘(OpenGL) 등의 그래픽(graphics)을 이용하여 만들어진 그래픽 파일인지 확인한다. 이때 파일 확인부(150)은 미러링 제어부(120)에 의해 화면에 실행되는 파일의 용량이 설정 값보다 작은지 큰지를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The file checking unit 150 checks whether the file (or program) executed on the screen by the mirroring control unit 120 is a graphic file made by using graphics such as OpenGL. In this case, the file checking unit 150 may perform a function of determining whether the capacity of the file executed on the screen by the mirroring control unit 120 is smaller or larger than the set value.

미러링 제어부(120)는 하나의 파일의 모든 영상을 캡쳐해서 표시 장치(20)로 전송할 수도 있지만, 네트워크 부하를 최소화하기 위해서 그래픽 파일(예를 들면, 게임)이 실행되는 경우, 미러링 제어부(120)의 미러링 모드를 일시 중지시키고(S320), 파일 스트리밍부(130)의 스트리밍 모드를 개시시킨다. 그러면, 파일 스트리밍부(130)는 해당 명령어와 리소스(resource)만을 표시 장치(20)로 전송한다. 표시 장치(20)는 해당 명령어와 리소스를 수신하면, 해당 명령어를 실행한다. 그러면, 미러링과 동일한 효과가 나타나면서 네트워크 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물론, 이 경우 표시 장치(20)는 openGL 등의 그래픽 명령어를 처리할 수 있는 모듈을 포함하고 있어야 한다. 여기서, 리소스는 사진, 그림 등의 파일일 수 있다. Although the mirroring controller 120 may capture all images of one file and transmit the captured image to the display device 20, when the graphic file (eg, a game) is executed to minimize the network load, the mirroring controller 120 may be used. The mirroring mode is suspended (S320), and the streaming mode of the file streaming unit 130 is started. Then, the file streaming unit 130 transmits only the corresponding command and resource to the display device 20. When the display device 20 receives the command and the resource, the display device 20 executes the command. This minimizes the network load while producing the same effect as mirroring. Of course, in this case, the display device 20 should include a module capable of processing a graphic command such as openGL. Here, the resource may be a file such as a picture or a picture.

예를 들어, 사용자가 사용자 장치(10)에서 특정 사진이 30도 각도로 10번 빙글빙글 돌도록 명령어를 내린 경우 사용자 장치(10)에서는 해당 동작이 수행되는데, 미러링 제어부(120)에서 해당 동작을 정해진 프레임마다 캡쳐해서 표시 장치(20)로 전송하는 것이 아니라, 파일 스트리밍부(130)에서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와 사진 파일만을 표시 장치(20)로 전송한다. 그러면, 표시 장치(20)에서는 해당 사진에 대하여 해당 명령어를 수행함으로써, 미러링과 동일한 효과를 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최소의 데이터만을 전송할 수 있어 네트워크 부하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For example, when a user instructs the user device 10 to rotate a specific picture 10 times around at a 30 degree angle, the user device 10 performs the corresponding operation, and the mirroring control unit 120 performs the corresponding operation. Instead of capturing a predetermined frame and transmitting the same to the display device 20, the file streaming unit 130 transmits only a command and a picture file for performing the operation to the display device 20. Then, the display device 20 may perform the corresponding command on the corresponding picture, thereby producing the same effect as mirroring, thereby minimizing network load by transmitting only the minimum data.

또한 미러링 제어부(120)에서 그래픽 파일이 실행되는 경우, 모드 전환부(110)는 사용자 장치(10) 자체에서 해당 명령어가 실행되는지 여부를 감지해서 파일 스트리밍부(130)를 통해서 해당 명령어만 표시 장치(20)에 전송되도록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장치(10)에서 x=10, y=20, 두께=10, 색상=노랑색(yellow), 반지름=10인 원을 그리는 경우 기존의 미러링에서는 전체 화면을 캡쳐한 후에 전송해야 했지만, 미러링 제어부(120)는 해당 명령어만 표시 장치(20)로 전송하면, 표시 장치에서 해당 명령어 따라서 x=10, y=20, 두께=10, 색상=노랑색(yellow), 반지름=10을 그리게 된다. 이렇게 하면, 기존 미러링과 동일한 효과를 낼 수 있음은 물론이고 기존 미러링에 비해 데이터량을 줄일 수도 있다. In addition, when the graphic file is executed in the mirroring controller 120, the mode switching unit 110 detects whether the corresponding command is executed in the user device 10 itself and displays only the corresponding command through the file streaming unit 130. May be sent to (20). For example, if the user device 10 draws a circle with x = 10, y = 20, thickness = 10, color = yellow, and radius = 10, conventional mirroring had to capture the entire screen and then send it. When the mirroring control unit 120 transmits only the corresponding command to the display device 20, the display device draws x = 10, y = 20, thickness = 10, color = yellow, and radius = 10 according to the corresponding command. . In this way, the same effect as the existing mirroring can be achieved, and the amount of data can be reduced compared to the existing mirroring.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미러링 장치 중 적어도 일부 기능은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에 결합된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미러링 장치가 컴퓨터 시스템에 결합된 실시 예에 대해서 도 6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At least some of the functions of the mirro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in hardware or software coupled to the hardware. Hereinafter, an embodiment in which the mirroring device is coupled to a computer system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6.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미러링 장치의 개략적인 도면으로, 도 2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설명한 모드 전환부(110), 미러링 제어부(120) 및 파일 스트리밍부(130)의 기능 중 적어도 일부를 수행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시스템을 나타낸다. 여기서, 도 4에 도시된 네트워크 상태 확인부(140)는 미러링 제어부(120)에 구현되고, 도 5에 도시된 파일 확인부(150)는 모드 전환부(110)에 구현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6 is a schematic diagram of a mirro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mong the functions of the mode switching unit 110, the mirroring control unit 120, and the file streaming unit 13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to 5. Represents a system that can be used to perform at least some. Here, it is assumed that the network status checker 140 illustrated in FIG. 4 is implemented in the mirroring controller 120, and the file checker 150 illustrated in FIG. 5 is implemented in the mode switch 110.

도 6을 참고하면, 미러링 장치(600)는 프로세서(610), 메모리(620), 적어도 저장 장치(630), 입출력(input/output, I/O) 인터페이스(640)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65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6, the mirroring device 600 may include a processor 610, a memory 620, at least a storage device 630, an input / output (I / O) interface 640, and a network interface 650. Include.

프로세서(610)는 중앙 처리 유닛(central processing unit, CPU)이나 기타 칩셋,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메모리(620)는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 램버스 DRAM(rambus DRAM, RDRAM), 동기식 DRAM(synchronous DRAM, SDRAM), 정적 RAM(static RAM, SRAM) 등의 RAM과 같은 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저장 장치(630)는 하드 디스크 (hard disk), CD-ROM(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CD-RW(CD rewritable), DVD-ROM(digital video disk ROM), DVD-RAM, DVD-RW 디스크, 블루레이(blu-ray) 디스크 등의 광학 디스크, 플래시 메모리, 다양한 형태의 RAM과 같은 영구 또는 휘발성 저장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I/O 인터페이스(640)는 프로세서(610) 및/또는 메모리(620)가 저장 장치(630)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650)는 프로세서(610) 및/또는 메모리(620)가 네트워크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The processor 610 may be implemented as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other chipsets, microprocessors, or the like, and the memory 620 may include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 and rambus DRAM (rambus DRAM). DRAM, RDRAM), synchronous DRAM (synchronous DRAM, SDRAM), static RAM (RAM, etc.) may be implemented as a medium such as RAM. The storage device 630 may include a hard disk, a 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CD-ROM), a CD rewritable (CD-RW), a digital video disk ROM (DVD-ROM), a DVD-RAM, and a DVD-RW disk. The optical disk may be implemented as a permanent or volatile storage device such as an optical disk such as a blu-ray disk, a flash memory, or various types of RAM. The I / O interface 640 also allows the processor 610 and / or memory 620 to access the storage device 630, and the network interface 650 may be the processor 610 and / or memory 620. Access to the network.

이 경우, 프로세서(610)는 모드 전환부(110), 미러링 제어부(120) 및 파일 스트리밍부(130)의 기능의 적어도 일부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메모리(620)에 로드시켜, 도 1 내지 도 5를 참고로 하여 설명한 동작이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그램 명령은 저장 장치(630)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으며, 또는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는 다른 시스템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In this case, the processor 610 loads a program command for implementing at least some of the functions of the mode switching unit 110, the mirroring control unit 120, and the file streaming unit 130 into the memory 620, and FIG. 1. 5 may be controlled to perform the operatio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The program command may be stored in the storage device 630 or may be stored in another system connected to the network.

도 6에 도시한 프로세서(610), 메모리(620), 저장 장치(630), I/O 인터페이스(640)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650)는 하나의 컴퓨터에 구현될 수도 있으며 또는 복수의 컴퓨터에 분산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The processor 610, the memory 620, the storage device 630, the I / O interface 640, and the network interface 650 shown in FIG. 6 may be implemented in one computer or distributed in a plurality of computers .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belongs to the scope of right.

Claims (5)

사용자 장치에서 실행되는 화면을 상기 사용자 장치에 연결된 표시 장치에 미러링하는 장치에 있어서,
미러링 모드에서 동작하며, 사용자 장치에서 실행되는 화면을 상기 표시 장치에 미러링하여 표시하는 미러링 제어부,
스트리밍 모드에서 동작하며, 해당 파일을 상기 표시 장치로 스트리밍하는 파일 스트리밍부, 그리고
상기 스트리밍 모드에서 상기 미러링 모드 또는 상기 미러링 모드에서 상기 스트리밍 모드로의 모드 전환을 감지하고, 상기 미러링 제어부 및 상기 파일 스트리밍부를 제어하여 수행 중에 있던 모드를 중지시키고 전환하고자 하는 모드를 개시하는 모드 전환부
를 포함하는 미러링과 파일 스트리밍 자동 전환 기능을 갖는 미러링 장치.
A device for mirroring a screen executed on a user device to a display device connected to the user device,
A mirroring controller which operates in a mirroring mode and mirrors and displays a screen executed on a user device on the display device;
A file streaming unit which operates in a streaming mode and streams a corresponding file to the display device; and
A mode switching unit for detecting a mode switching from the streaming mode to the streaming mode from the streaming mode and controlling the mirroring control unit and the file streaming unit to stop a mode being performed and to start a mode to be switched
Mirroring device having a mirroring and file streaming automatic switching function comprising a.
제1항에서,
상기 모드 전환부는 상기 사용자 장치에 실행되는 파일의 용량이 설정 값 이상인 경우, 상기 미러링 모드를 일시 중지시킨 후 상기 파일 스트리밍부를 통해서 압축 형태의 원파일을 상기 표시 장치로 전송하는 미러링과 파일 스트리밍 자동 전환 기능을 갖는 미러링 장치.
In claim 1,
When the capacity of the file to be executed in the user devic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set value, the mode switching unit suspends the mirroring mode and automatically switches between mirroring and file streaming for transmitting the original file in a compressed form to the display device through the file streaming unit. Mirroring device with a function.
제1항에서,
상기 미러링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장치의 화면을 통해 실행되고 있는 화면 영상을 캡쳐하고,
네트워크 상태가 포화 상태를 나타내는 임계치 이상인 경우 상기 화면을 챕쳐한 미러링 데이터의 비트 레이트나 프레임 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는 미러링과 파일 스트리밍 자동 전환 기능을 갖는 미러링 장치.
In claim 1,
The mirroring control unit
Capture a screen image running through the screen of the user device,
And a mirroring function and an automatic file streaming switching function for changing at least one of a bit rate and a frame rate of mirroring data on the screen when the network stat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threshold indicating a saturation state.
제1항에서,
상기 모드 전환부는 상기 사용자 장치에 실행되는 파일의 용량이 미리 설정된 임계 값 이상인 경우, 상기 미러링 모드를 일시 중지시킨 후 상기 파일 스트리밍부를 통해서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를 상기 표시 장치로 전송하는 미러링과 파일 스트리밍 자동 전환 기능을 갖는 미러링 장치.
In claim 1,
The mode switching unit suspends the mirroring mode when the capacity of the file to be executed in the user devic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threshold value, and then transmits a command for performing a corresponding operation to the display device through the file streaming unit; Mirroring device with automatic file streaming switching.
제1항에서,
상기 미러링 제어부, 상기 파일 스트리밍부 및 상기 모드 전환부는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상기 사용자 장치에 구현되는 미러링과 파일 스트리밍 자동 전환 기능을 갖는 미러링 장치.
In claim 1,
And the mirroring controller, the file streaming unit, and the mode switching unit have a mirroring function and an automatic file streaming switching function implemented in the user device in one application form.
KR1020120057859A 2012-05-31 2012-05-31 Apparatus for mirroring having changeover between mirroring and file streaming KR101389807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7859A KR101389807B1 (en) 2012-05-31 2012-05-31 Apparatus for mirroring having changeover between mirroring and file streaming
PCT/KR2012/004277 WO2013180318A1 (en) 2012-05-31 2012-05-31 Mirroring apparatus having automatic conversion function between mirroring and file stream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7859A KR101389807B1 (en) 2012-05-31 2012-05-31 Apparatus for mirroring having changeover between mirroring and file stream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4392A KR20130134392A (en) 2013-12-10
KR101389807B1 true KR101389807B1 (en) 2014-04-29

Family

ID=49673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7859A KR101389807B1 (en) 2012-05-31 2012-05-31 Apparatus for mirroring having changeover between mirroring and file streaming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389807B1 (en)
WO (1) WO2013180318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7397B1 (en) * 2013-12-12 2020-09-17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ents playing
KR102134816B1 (en) 2014-03-14 2020-07-16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mirroring service
WO2015142135A1 (en) * 2014-03-21 2015-09-24 삼성전자 주식회사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image
KR102374584B1 (en) * 2014-03-21 2022-03-16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image
KR102407295B1 (en) * 2015-10-30 2022-06-10 현대오토에버 주식회사 Method for data mirroring
KR102412283B1 (en) * 2016-02-17 2022-06-23 삼성전자 주식회사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sharing image thereof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17607A (en) * 2006-08-21 2008-02-27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joint screen in communication terminal
KR20120015931A (en) * 2010-08-13 2012-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Portable electric device and display mirorring method therof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80695A (en) * 2003-03-18 2004-10-07 Sony Corp Data-sharing system, transmission side terminal device, reception side terminal device, program, and processing method of the transmission side terminal device
JP5074233B2 (en) * 2008-02-26 2012-11-14 パイオニア株式会社 Screen sharing processing apparatus, screen shar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17607A (en) * 2006-08-21 2008-02-27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joint screen in communication terminal
KR20120015931A (en) * 2010-08-13 2012-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Portable electric device and display mirorring method ther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180318A1 (en) 2013-12-05
KR20130134392A (en) 2013-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9807B1 (en) Apparatus for mirroring having changeover between mirroring and file streaming
EP3195606B1 (en) Direct streaming for wireless display
KR102133531B1 (en) Method for reproducing a content, terminal thereof, and system thereof
US20160142742A1 (en) Method, system, player and mobile terminal for online video playback
US9055272B2 (en) Moving image reproduction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oving image reproduction method
JP4564565B2 (en) REPRODUCTION DEVICE AND REPRODUCTION DEVICE CONTROL METHOD
US20180095531A1 (en) Non-uniform image resolution responsive to a central focus area of a user
US20160100011A1 (en) Content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ent processing method thereof
JP2010045593A (en) Reproducing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reproducing device
KR20140117889A (en) Client apparatus, server apparatus, multimedia redirection system and the method thereof
JP5936685B2 (en) Relay device
US2021040033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oop-playing video content
US9538119B2 (en) Method of capturing moving picture and apparatus for reproducing moving picture
JP6048073B2 (en) CONTENT REPRODUCTION SYSTEM, COMMUNICATION DEVICE, CONTENT REPRODUCTION METHOD, AND PROGRAM
US938605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time shift function in cloud computing system
WO2013145699A1 (en) Image transfer system, image transfer method, terminal apparatus, image transmission method, and non-temporary computer readable medium storing image transmission program
JP6036373B2 (en) Content reproduction system,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ntent reproduction method
JP2019036787A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video distribution method, and video distribution program
JP4960321B2 (en) REPRODUCTION DEVICE AND REPRODUCTION DEVICE CONTROL METHOD
JP2015080146A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KR20230018568A (en) Method for streaming content video and user terminal implementing the same method
JP5105960B2 (en) DVD playback device
JP2012138690A (en) Recording apparatus, recording method and program
JP2006270829A (en) Motion picture reproducing device
JP2015095804A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of the same, and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