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9538B1 - Container auto-transportation apparatus and icecream vending machine having thereof - Google Patents

Container auto-transportation apparatus and icecream vending machine having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9538B1
KR101389538B1 KR1020120153189A KR20120153189A KR101389538B1 KR 101389538 B1 KR101389538 B1 KR 101389538B1 KR 1020120153189 A KR1020120153189 A KR 1020120153189A KR 20120153189 A KR20120153189 A KR 20120153189A KR 101389538 B1 KR101389538 B1 KR 1013895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holder
guide
path
transfer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318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유세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스트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스트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스트로
Priority to KR10201201531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9538B1/en
Priority to PCT/KR2013/000074 priority patent/WO2014104458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95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953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0064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processing of food articles
    • G07F17/0071Food articles which need to be processed for dispensing in a cold condition, e.g. ice and ice cream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7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in which the articles are formed in the apparatus from components, blanks, or material constitu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9/00Frozen sweets, e.g. ice confectionery, ice-cream; Mixtures therefor
    • A23G9/04Production of frozen sweets, e.g. ice-cream
    • A23G9/22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of apparatus insofar as not peculiar to a single one of the preceding groups
    • A23G9/28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of apparatus insofar as not peculiar to a single one of the preceding groups for portioning or dispensing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3/0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 G07F13/1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with associated dispensing of containers, e.g. cups or other artic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onfectionery (AREA)
  • Vending Machines For Individual Product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ainer automatic transfer apparatus and an ice cream vending machine including the same.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crew axis (120) which is arranged vertically; a lower fixing member (114) and an upper fixing member (116) which fixate the lower and upper parts of the screw axis (120) in a rotatable state; a driving motor (122) which drives the screw axis (120) to rotate; an ascending and descending member (130) which reciprocates in an up and down direction by the bidirectional rotation of the screw axis (120) by being screw-combined with the screw axis (120); a horizontal guide (160) which is installed in the ascending and descending member (130) and moves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with the ascending and descending member (130); a transfer block (170) which has a holder (182) in one side and is installed in the horizontal guide (160) in order to be able to reciprocate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a path guide (200) which sets a discharge position which is a lower vertical part of a discharge hole (24) and a sales position at which the holder (182) and a container (2) are not mutually overlapped in a vertical direction regarding the discharge position by being position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lower vertical part of the discharge position, has a first transfer path (S1) which is linearly extended to the lower vertical part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discharge position and a second transfer path (S2) which is more extended by changing a direction from the lower end of the first transfer path (S1) to the sales position, and guides the transfer block (170) to move along the first transfer path (S1) and the second transfer path (S2). [Reference numerals] (AA) Up; (BB) Back; (CC) Down; (DD) Front

Description

용기 자동이송장치 및 그것을 구비하는 아이스크림 판매기{CONTAINER AUTO-TRANSPORTATION APPARATUS AND ICECREAM VENDING MACHINE HAVING THEREOF}CONTAINER AUTO-TRANSPORTATION APPARATUS AND ICECREAM VENDING MACHINE HAVING THEREOF}

본 발명은 용기 자동이송장치 및 그것을 구비하는 아이스크림 판매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대기위치로부터 투출위치까지의 이송 및 투출위치로부터 판매위치까지의 이송을 자동으로 수행함과 더불어 이송 시나 대기 시에 용기나 홀더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이러한 기능을 간단한 구조의 장치로 실현한 용기 자동이송장치 및 그것을 구비하는 아이스크림 판매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ainer automatic transfer device and an ice cream vending machine having the same.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ainer at the time of transport or at the same time as it automatically performs the transfer from the standby position to the discharge position and the transfer from the discharge position to the sales posi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ainer automatic transfer device capable of preventing contamination of the holder and to realizing such a function by a device having a simple structure, and an ice cream vending machine having the same.

일반적으로 소프트 아이스크림 제조기는, 저장조에 있는 아이스크림 원료를 공기와 함께 교반 실린더로 보낸다. 교반 실린더에서는 원료를 냉각함과 동시에 대셔(Dasher)로 혼합하여 원료에 공기를 함입시킴으로써, 원료가 부풀려진 부드러운 크림 성상(性狀)의 아이스크림을 제공한다.Generally, a soft ice cream maker sends the ice cream raw material in a reservoir with air to a stirring cylinder. In the stirring cylinder, the raw material is cooled and mixed with a dasher to infiltrate air into the raw material to provide an ice cream with soft creamy properties in which the raw material is inflated.

그런데 종래에 알려진 소프트 아이스크림 제조기 또는 판매기는, 운영자가 매장에 비치된 용기(컵 또는 콘)를 한 손으로 취하여 노즐 밑에 위치시키고, 다른 한 손으로는 아이스크림 제조기의 투출 레버를 당겨, 노즐로부터 투출 되는 아이스크림을 용기에 받아 구매자에게 주는 형태이다.However, conventionally known soft ice cream makers or vending machines, the operator takes the container (cup or cone) stored in the store with one hand and positioned under the nozzle, the other hand pulls the discharge lever of the ice cream maker, and is discharged from the nozzle Receive ice cream in a container and give it to the buyer.

또는 구매자가 아이스크림 제조기의 용기 적치대에 있는 용기를 들고 노즐 아래에 갖다 대면 노즐로부터 소정량의 아이스크림이 용기에 담기는 형태이다.Alternatively, when the purchaser picks up the container in the container holder of the ice cream maker and places it under the nozzle, a predetermined amount of ice cream is contained in the container from the nozzle.

위와 같은 종래의 아이스크림 제조기는, 운영자이건 구매자이건 누구나 한 명은 용기를 직접 손으로 잡고 아이스크림을 받아야만 한다.In the conventional ice cream maker as described above, everyone, whether the operator or the buyer, must hold the container by hand and receive the ice cream.

따라서, 아이스크림 제조기 소유자는 1인의 조작자를 두어야 하기 때문에 경제적 부담이 가중된다. 또한, 구매자는 아이스크림 구매가 번거롭고 불편하며 위생적이지 못하다는 인식을 가지게 된다.Therefore, the ice cream maker owner has to put one operator, which adds to the economic burden. In addition, buyers have the perception that ice cream purchases are cumbersome, inconvenient and not hygienic.

예를 들어, 사람이 직접 용기(컵이나 콘)를 잡고 아이스크림을 받아야 하는데, 이것을 미숙련자나 구매자가 잘하기란 쉽지 않은 일이다. 즉, 아이스크림의 모양을 미려하고 균일하게 쌓아 올리기가 어렵고 아이스크림의 양도 매번 균일하게 맞추기가 어렵다.For example, a person must hold a container (cup or cone) and get ice cream, which is not easy for an inexperienced or buyer. That is, it is difficult to stack the shape of the ice cream beautifully and uniformly, and it is difficult to uniformly adjust the amount of ice cream every time.

이러한 문제에 따라, 본 발명자 등은 아이스크림 용기를 자동으로 이송하고 아이스크림을 자동으로 투출 할 수 있는 판매 시스템에 대한 연구를 진행해 왔다.In accordance with these problems, the present inventors have conducted research on a sales system that can automatically transfer ice cream containers and automatically dispense ice cream.

그런데 아이스크림 용기를 자동으로 이송하는 시스템에서 아이스크림 용기를 투출구로 이송할 때, 또는 아이스크림을 담은 용기를 판매위치(사용자나 구매자가 아이스크림이 담긴 용기를 판매기로부터 꺼내기 위한 위치)까지 이송할 때, 또는 판매위치나 대기위치(아이스크림 용기를 홀더에 배급하여 장착하기 위해 대기하는 위치)에 머무를 때 용기나 홀더가 오염되는 현상이 예견되었다.However, when the ice cream container is transferred to the discharge port in the system for automatically transferring the ice cream container, or when the container containing the ice cream is transferred to the selling position (a position where the user or the buyer can remove the container containing the ice cream from the vending machine), or Contamination of the container or holder was expected when staying at the sales or waiting location (a location where the ice cream container would be waiting for distribution to the holder).

예를 들어, 투출구에 혹시라도 아이스크림 잔량이 마치 고드름처럼 달려 있을 수 있는데, 이때 용기를 투출위치와 같은 높이에서 수평방향으로 이송시켜 투출위치까지 도달시키게 되면 아이스크림 잔량이 용기나 홀더의 외측 둘레면에 묻을 수 있다.For example, the amount of ice cream remaining in the discharge port may be like an icicle. When the container is transported horizontally at the same height as the dispensing position to reach the dispensing position, the amount of ice cream remains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container or holder. Can be buried in

또한, 판매위치에서 대기하고 있을 때 아이스크림 투출구에 매달려 있는 잔류 아이스크림이 아래로 떨어진다면 홀더나 용기가 오염될 것이다.In addition, the holder or container will be contaminated if the remaining ice cream hanging on the ice cream outlet falls down when waiting at the point of sale.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2-0064399호(2012.06.19. 공개)Publication No. 10-2012-0064399 (published June 19, 2012)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05-0094602호(2005.09.28. 공개)Publication No. 10-2005-0094602 (published on September 28, 2005)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365621호(2004.10.22. 공고)Registratio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365621 (August 22, 2004.)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한 것으로서, 대기위치로부터 투출위치까지의 이송 및 투출위치로부터 판매위치까지의 이송을 자동으로 수행함과 더불어 이송 시나 대기 시에 용기나 용기 홀더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이송경로를 간단한 구조에 의해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용기 자동이송장치 및 그것을 구비하는 아이스크림 판매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elop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automatic transfer from the stand-by position to the discharge position and the transfer from the discharge position to the sales position, and also the contamination of the container or container holder during transfer or standb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tainer automatic transfer device and an ice cream vending machine having the same, which can ensure a transfer path that can be prevented by a simple structure.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용기 자동이송장치는, 수직으로 배치되는 나사축; 상기 나사축의 하부 및 상부를 회전가능한 상태로 고정하는 하부 고정부재 및 상부 고정부재; 상기 나사축을 회전 구동하는 구동 모터; 상기 나사축에 나사결합되어 나사축의 양방향 회전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승강부재; 상기 승강부재에 장착되어 승강부재와 함께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수평 가이드; 일측에는 홀더가 구비되고, 상기 수평 가이드에 수평방향으로 왕복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송블록; 및 투출구의 수직 하방 위치인 투출위치와, 상기 투출위치의 수직 하방으부터 수평방향으로 일정거리 벗어나서, 홀더 및 용기가 상기 투출위치의 홀더(182) 및 용기(2)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서로 중복되지 않는 위치인 판매위치를 설정하고, 상기 투출위치로부터 수직 하부로 일정거리 직선연장되는 제1 이송경로(S1) 및 상기 제1 이송경로(S1)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판매위치까지 방향을 바꾸어 더 연장되는 제2 이송경로(S2)를 가져, 상기 이송블록을 제1 이송경로(S1)와 제2 이송경로(S2)를 따라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경로안내 가이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Container automatic transfe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screw shaft disposed vertically; A lower fixing member and an upper fixing member for fixing the lower and upper parts of the screw shaft in a rotatable state; A drive motor for rotating the screw shaft; A lifting member screwed to the screw shaft and reciprocat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bidirectional rotation of the screw shaft; A horizontal guide mounted to the elevating member and moving upward and downward along with the elevating member; One side is provided with a holder, the transport block is installed to be reciprocat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n the horizontal guide; And a discharge position which is a vertically downward position of the discharge port and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vertical downward of the discharge position, so that the holder and the container are mutually perpendicular to the holder 182 and the container 2 at the discharge position. Set the sales position that is a position that does not overlap, by changing the direction from the lower end of the first conveying path (S1) and the first conveying path (S1) extending a predetermined distance linearly downward from the discharge position and the selling position further It has a second conveying path (S2) extending,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ath guide guide for guiding the conveying block to move along the first conveying path (S1) and the second conveying path (S2).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이송경로(S2)는, 제1 이송경로(S1)의 하단부로부터 판매위치까지 측하방으로 경사져서 직선연장되는 형태의 경로로 이루어진다.In one embodiment, the second conveying path (S2) is made of a path of the form extending inclined sideways downward from the lower end of the first conveying path (S1) to the sales position.

일 실시예에 있어서, 수평 가이드는, 상기 승강부재에 수평방향으로 길게 고정되는 슬라이드 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이송블록에는, 상기 슬라이드 레일을 따라 미끄럼 이동하도록 결합되는 슬라이더를 형성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horizontal guide includes a slide rail fixed to the lifting membe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transfer block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a slider is coupled to slide along the slide rail.

본 발명의 용기 자동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경로안내 가이드에는, 상기 제1 이송경로(S1) 및 제2 이송경로(S2)를 따르는 안내장홈이 연장형성되고; 상기 이송블록에는, 상기 안내장홈에 삽입되어 안내장홈을 따라 미끄럼 이동하는 안내축이 형성된다.In the automatic container transfer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uide guide groove, the guide groove along the first conveying path (S1) and the second conveying path (S2) is extended; In the transfer block, the guide shaft is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is formed to slide along the guide groove.

여기서, 상기 제2 이송경로(S2)는, 제1 이송경로(S1)의 하단부로부터 판매위치까지 측하방으로 경사져서 직선연장되는 형태의 경로이다.Here, the second conveyance path S2 is a path in which the second conveyance path S2 is inclined laterally downward from the lower end of the first conveyance path S1 to the selling position and is linearly extended.

또한, 안내축에는 미끄럼 부재가 결합되고; 상기 안내장홈은, 상기 안내축이 관통하는 제1 안내장홈과, 상기 미끄럼 부재가 삽입되어 길이방향으로 미끄럼 이동하는 제2 안내장홈으로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sliding member is coupled to the guide shaft; The guide groove comprises a first guide groove through which the guide shaft passes, and a second guide groove into which the sliding member is inserted and sli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이 경우, 홀더는 상기 안내축의 연장 단부에 설치된다.In this case, the holder is provided at the extended end of the guide shaft.

본 발명의 용기 자동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부 고정부재와 상부 고정부재 사이에는 안내축이 설치되고; 상기 안내축은 승강부재를 미끄럼 가능하게 관통하여 상기 승강부재의 상하방향 직선이동을 안내한다.In the automatic container transfer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 guide shaft is provided between the lower fixing member and the upper fixing member; The guide shaft slidably penetrates the elevating member to guide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elevating member.

본 발명의 용기 자동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판매위치는, 홀더에 용기가 로딩 되기를 기다리는 대기위치와 동일한 위치로 설정된다.In the container automatic transfer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lling position is set to the same position as the standby position waiting for the container to be loaded in the holder.

본 발명의 용기 자동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부 고정부재와 승강부재에는, 상기 승강부재가 하강 행정 마지막 지점에 이르렀는지를 검출하여 구동모터의 작동을 멈추게 하기 위한 하부 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상부 고정부재와 승강부재에는, 상기 승강부재가 상승 행정 마지막 지점에 이르렀는지를 검출하여 구동모터의 작동을 멈추게 하기 위한 상부 센서가 설치된다.In the automatic container transfer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fixing member and the elevating member is provided with a lower sensor for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drive motor by detecting whether the elevating member has reached the end of the lower stroke, the upper fixing The member and the elevating member are provided with an upper sensor for detecting whether the elevating member has reached the end of the upstroke and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drive motor.

본 발명의 용기 자동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원주 둘레의 일부가 개구된 링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링 안에 용기가 삽입되어 용기의 측벽 또는 상단 테두리 부분이 링에 걸려 지지 된다.In the container automatic transfer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lder may be configured in a ring shape in which a part of the circumference is opened. In this case, the container is inserted into the ring so that the side wall or top edge of the container is hung on the ring.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홀더는, 몸체에 용기의 하부 일부분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홈과 바닥면을 가지는 형태로 이루어져서, 상기 바닥면에 의해 용기의 저면을 받치도록 한다.In another embodiment, the holder has a shape having a receiving groove and a bottom surface for receiving a lower portion of the container in the body, to support the bottom of the container by the bottom surface.

또한, 상기 수용홈의 바닥면에는 높이조절용 블록을 삽입할 수 있다.In addition, a height adjusting block may be inserted into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eiving groove.

본 발명에 따른 아이스크림 판매기는, 냉동회로에 의해 냉동 유지되면서 내부에 아이스크림을 수용하는 교반 실린더; 교반 실린더의 내부에서 회전하여 아이스크림 원료와 공기를 혼합하면서 전방으로 이송하는 대셔; 상기 교반 실린더의 전방에 장착되고 투출구가 형성되는 밸브 바디; 상기 투출구를 개방 또는 차단하는 투출 밸브; 구매자가 홀더에 있는 용기를 꺼내는 판매위치와, 투출구로부터 용기에 아이스크림을 담는 투출위치 사이를 왕복하여 용기를 이송하되, 상기 판매위치가 상기 투출위치의 수직 하부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일정거리 벗어나서, 홀더 및 용기가 상기 투출위치의 홀더 및 용기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서로 중복되지 않는 지점에 설정되는 용기 자동이송장치를 포함한다.Ice cream vending machine 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stirring cylinder for receiving ice cream therein while being frozen and maintained by the freezing circuit; A dasher that rotates inside the stirring cylinder and moves forward while mixing the ice cream raw material and air; A valve body mounted to the front of the stirring cylinder and having a discharge port formed therein; A discharge valve for opening or closing the discharge port; The buyer transfers the container by reciprocating between the selling position where the buyer takes out the container in the holder and the dispensing position for placing the ice cream in the container from the dispensing port, wherein the selling position is deviated by a horizontal distance from the vertical lower portion of the dispensing position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a container automatic transfer device which is set at a point where the containers do not overlap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holder and the container in the discharge position.

본 발명의 용기 자동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판매위치는, 홀더에 용기가 로딩 되기를 기다리는 대기위치와 동일한 위치로 설정된다.In the container automatic transfer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lling position is set to the same position as the standby position waiting for the container to be loaded in the holder.

본 발명의 용기 자동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투출위치 및 판매위치에서 홀더에 용기가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제1 용기감지센서 및 제2 용기감지센서를 구비한다.In the container automatic transfer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ainer is provided with a first container sensor and a second container sensor for detecting whether there is a container in the holder at the discharge position and the sale position.

본 발명의 용기 자동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용기 자동이송장치의 외부를 보호하고, 사이드 커버에 안내축의 이송경로를 따르는 안내축 통과공이 형성된 판매기 케이스; 및 용기를 적치하고, 판매 신호에 의해 적치된 용기를 대기위치에 있는 홀더에 하나씩 로딩하는 용기 디스펜서를 구비한다.A container automatic transfer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ing: a vending machine case which protects the outside of the automatic container transfer device and has a guide shaft passage hole formed in a side cover along a transfer path of the guide shaft; And a container dispenser which loads the containers and loads the containers loaded by the sales signal one by one into holders in the standby position.

상기 용기 디스펜서는, 용기가 적치되는 여러 줄의 적치대를 구비하는 트레이; 상기 트레이를 회전시켜 분배할 하나의 적치대를 선택하고, 선택된 적치대의 하단에 있는 용기를 하나씩 낙하시키는 분배기; 및 상기 분배기로부터 대기위치의 홀더까지 연장되어 분배기에서 낙하하는 용기를 홀더로 인도하는 슈트를 포함한다.The container dispenser may include: a tray having a plurality of rows of stacks in which containers are placed; A dispenser which rotates the tray, selects one stockpile to be dispensed, and drops the containers at the bottom of the selected stockpile one by one; And a chute extending from the dispenser to the holder in the standby position and leading the container falling from the dispenser to the holder.

본 발명에 따른 용기 자동이송장치에 의하면, 대기위치로부터 투출위치까지, 그리고 투출위치로부터 판매위치까지의 이송 과정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으므로, 용기에 담기는 아이스크림의 양과 형태를 균일하고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판매나 구매가 용이하다.According to the automatic container transfe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fer process from the standby position to the dispensing position, and from the dispensing position to the sales position can be automatically performed, thereby maintaining a uniform and good amount of ice cream in the container. It is easy to sell or buy.

또한, 용기의 이송 경로를 아이스크림 투출구의 수직 하부를 피한 다른 영역으로 설정함으로써 대기위치 또는 판매위치에서 홀더나 용기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by setting the conveying path of the container to another area avoiding the vertical lower portion of the ice cream outlet, contamination of the holder or the container in the standby position or the selling position can be prevented.

또한, 용기를 투출위치까지 이송하는 경로가 투출구 하방에서 수직방향으로 상승하도록 함으로써, 이송 도중에 용기나 홀더에 아이스크림 잔량이 묻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by allowing the path for transferring the container to the discharge position to rise in the vertical direction from below the discharge por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roblem of remaining ice cream in the container or the holder during the transf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아이스크림 판매기의 용기 이송 경로를 나타내는 다이어그램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 자동이송장치를 일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용기 자동이송장치를 다른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 자동이송장치를 또 다른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 자동이송장치의 좌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용기 자동이송장치의 경로 안내 가이드를 제거한 상태의 좌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용기 자동이송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X-X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이송 경로에 대한 다양한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스크림 판매기의 외관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의 정면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측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홀더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단면도이다.
1 is a diagram showing a container transfer path of the ice cream vend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automatic container transfe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rom one direction.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ntainer automatic transfe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een from another direc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ntainer automatic transfe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rom another direction.
5 is a left side view of the automatic container transfe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left side view of the path removal guide of the automatic container transfe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ront view of the automatic container transfe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XX of FIG. 7.
9 is a view showing various examples of the transport path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n ice cream vend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front view of FIG. 10.
12 is a side view of FIG. 10.
1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hold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sectional view of Fig.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명세서, 청구범위 및 도면에서, '상', '하', '전', '후', '좌', '우', '위', '아래', '앞', '뒤', '상부', '하부', '수직', '수평', '수직 하방', '수직 상방', '수직 하부', '측방', '측하방', '상승', '하강' 등과 같이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하나의 구성 요소와 다른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 관계를 쉽게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이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 시 또는 동작 시 구성요소들 간의 상대적인 위치나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다른 구성요소의 '상' 또는 '위'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하' 또는 '아래'에 놓이거나 향할 수 있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claims and drawings, 'up', 'down', 'before', 'after', 'left', 'right', 'up', 'down', 'front', 'back', ' Spatially, such as 'upper', 'lower', 'vertical', 'horizontal', 'vertical downward', 'vertical upward', 'vertical lower', 'sideward', 'side down', 'rising', 'falling', etc. Relative terms are used to easily explain the correlation between one component and the other components, as shown in the figure. Spatially relative terms are to be understood as terms including relative positions or directions between components in use or operation in addition to the directions shown in the figures. For example, a component described as 'up' or 'up' of another component may be placed or faced at the 'bottom' or 'down' of the other component when the component shown in the drawings is inverted. .

또한,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홀더(182) 및 용기(2)가 투출구(24)의 수직하부로부터 도피하는 방향을 후방에서 전방으로 설정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지만, 실린더(10) 및 투출구(24)에 상대적인 이송장치의 설치 방향을 다르게 설정하면(이송장치의 설치방향은 당연히 도시된 예와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투출구(24)의 수직하부로부터 도피하는 방향이 전방에서 후방으로, 또는 좌측에서 우측으로, 또는 우측에서 좌측으로 바뀔 수 있다.Further, for example, in th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the direction in which the holder 182 and the container 2 escape from the vertical bottom of the discharge port 24 is shown and described by setting from the rear to the front, but the cylinder 10 ) And the setting direction of the conveying device relative to the discharge port 24 (the installation direction of the conveying device can be set differently from the example shown), the direction to escape from the vertical lower portion of the discharge port 24 is forward To rear, or from left to right, or from right to lef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아이스크림 판매기의 용기 이송 경로를 나타내는 다이어그램이다. 도 1에서는 아이스크림 판매기의 투출구 부분과 판매 게이트의 위치만을 나타내었고, 아이스크림 판매기의 다른 구성요소나 외부 케이스 등의 도시는 생략하였다.1 is a diagram showing a container transfer path of the ice cream vend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1, only the outlet portion of the ice cream vending machine and the position of the selling gate are shown, and other components of the ice cream vending machine and the outer case are not shown.

도 1을 참조하면, 아이스크림 판매기는, 아이스크림의 혼합과 투출을 위한 요소들로서, 냉동회로에 의해 냉동 유지되면서 내부에 아이스크림을 수용하는 하나 또는 두 개의 교반 실린더(10)와, 교반 실린더(10)의 내부에서 회전하여 아이스크림 원료와 공기를 혼합하면서 전방으로 이송하는 대셔(Dasher)(12)와, 교반 실린더(10)의 전방에 장착되고 투출 통로(22)와 투출구(24)가 형성되는 밸브 바디(20)와, 투출구(24)를 개방 또는 차단하는 투출 밸브(3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ure 1, the ice cream vending machine, as the elements for mixing and dispensing the ice cream, one or two stirring cylinders 10 to receive the ice cream therein while being frozen by the freezing circuit, and the stirring cylinder 10 A dasher 12 which rotates inside and transfers the ice cream raw material and air forward while mixing, and a valve body mounted to the front of the stirring cylinder 10 and having an outlet passage 22 and an outlet 24 formed therein. And a discharge valve 30 for opening or closing the discharge port 24.

투출 밸브(30)는 여러 가지 형태로 구현가능하지만,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피스톤 모양으로 이루어져서 구동원인 투출 밸브 구동모터(32)에 의해 도면상 상하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여 투출구(24)를 개방 또는 폐쇄한다. 투출구(24)가 개방되면 교반 실린더(10) 내에 있는 아이스크림이 아래쪽으로 나와 용기(컵 또는 콘 등)(2)에 담기게 된다.The discharge valve 30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However, in th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 the discharge port 30 is reciproc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the discharge valve drive motor 32, which is a driving source, having a piston shape. Open or closed. When the outlet 24 is opened, the ice cream in the stirring cylinder 10 comes out to be contained in the container (cup or cone, etc.) 2.

투출 밸브(30)의 개방 및 차단 위치(상태)는 밸브 감지 센서(34)에 의해 검출할 수 있다.The opening and closing positions (states) of the discharge valve 30 can be detected by the valve detection sensor 34.

이하, 투출 밸브(30) 아래에 용기(2)를 위치시켜 아이스크림을 받는 지점을 '투출위치'라고 정하고, 아이스크림이 담긴 용기(2)를 사용자 또는 구매자가 꺼낼 수 있는 위치에 머무르는 지점을 '판매위치'라고 정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oint where the container 2 is placed under the discharge valve 30 to receive the ice cream is designated as the 'dispensing position', and the point at which the user or buyer can take out the container 2 containing the ice cream is sold. Location '.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의 '판매위치'는 빈 홀더(182)가 용기(2)의 로딩을 기다리는 '대기위치'와 동일할 수 있다. 즉, 대기 위치에 빈 홀더(182)를 위치시켜 대기함으로써 사용자나 구매자, 또는 소정의 용기 디스펜서로부터 용기(2)를 홀더(182)에 로딩하기까지 기다리게 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ale position' may be the same as the 'stand position' where the empty holder 182 waits for loading of the container 2. That is, by placing the empty holder 182 in the standby position and waiting, the container 2 waits until the container 2 is loaded into the holder 182 from a user, a purchaser, or a predetermined container dispenser.

투출위치 및 판매위치(또는 대기위치)에서 홀더(182)에 용기(2)가 있는지의 여부는 제1 용기감지센서(36) 및 제2 용기감지센서(38)에 의해 검출된다.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container 2 in the holder 182 at the discharge position and the sale position (or the standby position) is detected by the first container sensor 36 and the second container sensor 38.

도 1에서, 투출위치와 판매위치 사이에는 홀더(182) 및 용기(2)를 이송 궤적을 나타내는 이송경로가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다.In Fig. 1, a conveyance path showing the trajectory of conveying the holder 182 and the container 2 between the dispensing position and the selling position is shown by a dotted line.

이송 경로는, 투출구(24)의 수직 하부인 투출위치와, 투출위치의 수직 하부로부터 수평방향(또는 측방)으로 일정거리 벗어난 지점에 형성되는 판매위치 사이를 왕복하는 홀더(182) 및 용기(2)의 이송 궤적이다.The conveying path includes a holder 182 and a container for reciprocating between a discharge position which is a vertical lower portion of the discharge port 24 and a selling position formed at a point away from the vertical lower portion of the discharge position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r laterally). 2) the transport trajectory.

본 실시예에서, 홀더(182) 및 용기(2)가 투출위치와 판매위치에 동시에 존재할 경우, 투출위치와 판매위치는, 홀더(182) 및 용기(2)가 수직방향으로 서로 중복되지 않도록 투출위치의 수직하부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일정거리 벗어난 지점에 설정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holder 182 and the container 2 are simultaneously present in the dispensing position and the selling position, the discharging position and the selling position are discharged so that the holder 182 and the container 2 do not overlap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It is set at a point away from the vertical bottom of the position by a certain distanc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이에 의하면, 홀더(182) 및 용기(2)가 판매위치에 있을 때, 홀더(182) 및 용기(2)를 투출구(24)의 수직하부로부터 도피시킴으로써, 투출구(24)에 매달려 있는 아이스크림 잔여물이 떨어져도 홀더(182)나 용기(2)에 묻지 않게 된다.According to this, when the holder 182 and the container 2 are in the selling position, the holder 182 and the container 2 are evacuated from the vertical lower portion of the outlet 24 so that the ice cream hanging on the outlet 24 can be obtained. Even if the residue falls off, it will not get on the holder 182 or the container 2.

또한, 이송 경로는, 투출위치로부터 수직 하부로 일정거리 직선연장되는 제1 이송경로(S1)와, 제1 이송경로(S1)의 하단으로부터 판매위치까지 방향을 바꾸어 더 연장되는 제2 이송경로(S2)가 연계된 형태로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conveying path is a first conveying path (S1) linearly extending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dispensing position in a vertical downward direction, and the second conveying path extending further by changing the direction from the lower end of the first conveying path (S1) to the selling position ( S2) is made in a linked form.

제2 이송경로(S2)는, 제1 이송경로(S1)의 하단부로부터 판매위치까지 측하방(도 1에서 우측 하방)으로 경사져서 직선연장되는 형태의 경로로 이루어진다.The 2nd conveyance path S2 consists of a path | route of the form extended inclined laterally downward (lower right in FIG. 1) from the lower end part of the 1st conveyance path S1 to a sale position.

제1 이송경로(S1)를 투출위치로부터 수직 하부로 일정거리 직선연장되는 형태로 설정하면, 홀더(182) 및 용기(2)를 판매위치에서 투출위치로 이송시키는 도중에 홀더(182) 및 용기(2)가 일찍이 투출위치로부터 먼 아래쪽에서부터 수직상승 되어 투출위치에 도달하게 된다. 따라서, 투출구(24)에 혹시 매달려 있을지 모르는 아이스크림이 홀더(182)나 용기(2)의 둘레에 묻는 것이 방지된다. 예를 들어, 이전의 판매 과정에서, 투출구(24)에 혹시라도 아이스크림 잔량이 마치 고드름처럼 매달려 있을 수 있다. 이때 용기(2)를 투출위치와 같은 높이에서 수평방향으로 이송시켜 투출위치까지 도달시키게 되면 매달려 있던 아이스크림 잔량이 용기(2)의 외측 둘레나 홀더(182)의 둘레에 묻을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와 같이 용기를 투출위치 아래에서 미리 수직 상승시키면 그러한 문제가 방지된다.When the first conveying path S1 is set in such a manner as to extend linearly downwardly from the dispensing position at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holder 182 and the vessel ( 2) is raised vertically from the bottom far from the discharge position to reach the discharge position. Thus, ice cream that may be suspended in the discharge port 24 is prevented from being circumscribed around the holder 182 or the container 2. For example, in the previous sales process, the remaining amount of ice cream may be suspended like an icicle in the outlet 24. At this time, when the container 2 is transpor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t the same height as the dispensing position to reach the dispensing position, the remaining ice cream remaining may be buried arou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container 2 or around the holder 182. However, such a problem is prevented by raising the container vertically below the dispensing position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또한, 제2 이송경로(S2)를, 제1 이송경로(S1)의 하단부로부터 판매위치까지 측하방으로 경사져서 직선연장되는 형태로 구성하는 것에 의해, 이송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구매자나 사용자가 기다리는 시간이 줄어든다.Further, by constructing the second conveyance path S2 in a form in which the second conveyance path S2 is inclined laterally downward from the lower end of the first conveyance path S1 to the selling position, the conveyance time can be shortened and the buyer or the user can Less time to wait

또한, 아이스크림 판매기는, 도시하지 않은 외부 케이스를 구비한다. 케이스에는 판매위치에 일치하는 지점에 케이스를 개구 한 형태의 판매 게이트(4)가 구비된다. 판매 게이트(4)는 사용자 또는 구매자가 손을 넣어 홀더(182)에 있는 용기(2)를 꺼내는 출입구가 된다. 만일, 홀더(182)에 용기(2)를 디스펜서로 자동으로 로딩하는 타입이 아니라 수동으로 로딩하는 타입이라면, 구매자나 사용자는 빈 용기(2)를 가져다가 판매위치(대기위치)에서 대기하고 있는 홀더(182)에 끼우게 된다.Moreover, the ice cream vending machine is equipped with the outer case which is not shown in figure. The case is provided with a selling gate 4 of a type in which the case is opened at a point corresponding to the selling position. The sales gate 4 is a doorway through which the user or purchaser pulls out the container 2 in the holder 182. If the holder 182 is not a type of automatically loading the container 2 into the dispenser, but a type of manually loading, the buyer or user takes the empty container 2 and waits at the sales position (standby position). It is inserted into the holder 182.

다음으로, 홀더(182) 및 용기(2)를 상기의 특별한 이송경로를 따라 이송하기 위한 용기 자동이송장치에 대해 설명한다.Next,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an automatic container transfer device for transferring the holder 182 and the container 2 along the special transfer path.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 자동이송장치(100)를 여러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즉, 도 2는 자동이송장치(100)의 우측전방에서 좌측후방을 향해 바라본 도면이다. 도 3은 자동이송장치(100)의 좌측전방에서 우측후방을 향해 바라본 도면이다. 도 4는 자동이송장치(100)의 좌측후방에서 우측전방을 향해 바라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는 홀더(182) 및 용기(2)가 판매위치에 있는 상태로 도시하였다.2 to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ntainer automatic transfer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rom several directions. That is, FIG. 2 is a view from the right front side of the automatic transfer apparatus 100 toward the left rear side. 3 is a view from the left front of the automatic transfer device 100 toward the right rear. 4 is a view from the left rear of the automatic feeder 100 toward the right front. 2 to 4 show the holder 182 and the container 2 in the sales position.

그리고 도 5 내지 도 7 중, 도 5는 용기 자동이송장치(100)의 좌측면도이고, 도 6은 용기 자동이송장치(100)의 경로 안내 가이드(200)를 제거한 상태의 좌측면도이며, 도 7은 용기 자동이송장치(100)의 정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X-X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8은 홀더(182) 및 용기(2)가 이송경로의 중간 부분에 위치한 상태로 도시하였다.5 to 7, FIG. 5 is a left side view of the container automatic transfer device 100, and FIG. 6 is a left side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path guide guide 200 of the container automatic transfer device 100 is removed. Is a front view of the automatic container transfer device 100, Figure 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XX of FIG. 5 to 8 show the holder 182 and the container 2 located in the middle of the transport path.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용기 자동이송장치(100)는, 수직으로 배치되는 나사축(120)과, 나사축(120)의 하부 및 상부를 회전가능한 상태로 고정하는 하부 고정부재(114) 및 상부 고정부재(116)와, 나사축(120)을 회전 구동하는 구동 모터(122)와, 나사축(120)에 나사결합되어 나사축(120)의 양방향 회전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승강부재(130)와, 승강부재(130)에 장착되어 승강부재(130)와 함께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수평 가이드(160)와, 일측에는 홀더(182)가 설치되어 상기 홀더(182)와 함께 수평 가이드(160)에 수평방향으로 왕복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송블록(170)과, 상기 이송블록(170)을 제1 이송경로(S1)와 제2 이송경로(S2)를 따라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경로안내 가이드(200)를 구비한다.2 to 8, the container automatic transfer device 100 includes a screw shaft 120 arranged vertically, and a lower fixing member 114 for fixing the lower and upper portions of the screw shaft 120 in a rotatable state. And the upper fixing member 116, the drive motor 122 for rotationally driving the screw shaft 120, and screwed to the screw shaft 120 to reciprocate upward and downward by bidirectional rotation of the screw shaft 120 The elevating member 130 and the horizontal guide 160 which is mounted on the elevating member 130 and moves up and down together with the elevating member 130, and a holder 182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elevating member 130 and The transfer block 170 is installed to be reciproca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the horizontal guide 160 and guides the transfer block 170 to move along the first transfer path S1 and the second transfer path S2. It is provided with a route guide guide 200.

일 실시예에 있어서, 하부 고정부재(114)와 상부 고정부재(116)는 자동이송장치(100) 전체를 지지하는 지지부(110)를 이루는 요소들이다. 지지부(110)는, 이것들 이외에도, 하부 고정부재(114)와 상부 고정부재(116)를 연결하여 지지하는 측방 지지부재(112)를 더 구비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lower fixing member 114 and the upper fixing member 116 are elements constituting the support 110 for supporting the entire automatic transfer device 100. In addition to these, the support part 110 may further include the side support member 112 which connects and supports the lower fixing member 114 and the upper fixing member 116, and is supported.

하부 고정부재(114)와 상부 고정부재(116) 사이에는 하나 이상의 안내축(132)이 설치된다. 이 안내축(132)은 승강부재(130)를 상하방향으로 미끄럼 가능하게 관통하며, 나사축(120) 회전 시 승강부재(130)를 상하방향 직선이동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원활한 이동이 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One or more guide shafts 132 are installed between the lower fixing member 114 and the upper fixing member 116. The guide shaft 132 slidably penetrates the elevating member 130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and allows the elevating member 130 to be linearly moved up and down while the screw shaft 120 rotates, while guiding the smooth movement. Play a role.

또한, 구동모터(122)는 감속기(124)를 매개로 나사축(120)과 연결할 수 있다. 나사축(120)의 상단과 하단은 베어링(126)에 의해 상부 고정부재(116)와 하부 고정부재(114)에 회전가능한 상태로 지지 된다.In addition, the driving motor 122 may be connected to the screw shaft 120 via the speed reducer 124.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screw shaft 120 are rotatably supported by the upper fixing member 116 and the lower fixing member 114 by the bearing 126.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부 고정부재(114)와 승강부재(130)에는, 승강부재(130)가 하강 행정 마지막 지점에 이르렀는지를 검출하여 구동모터(122)의 작동을 멈추게 하기 위한 하부 센서(141, 142)가 설치된다.In one embodiment, the lower fixing member 114 and the elevating member 130, a lower sensor for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drive motor 122 by detecting whether the elevating member 130 has reached the end of the lower stroke stroke 141 and 142 are provided.

마찬가지로, 상부 고정부재(116)와 승강부재(130)에는, 승강부재(130)가 상승 행정 마지막 지점에 이르렀는지를 검출하여 구동모터(122)의 작동을 멈추게 하기 위한 상부 센서(151, 152)가 설치된다.Similarly, the upper fixing member 116 and the elevating member 130, the upper sensor (151, 152) for detecting whether the elevating member 130 has reached the end of the upward stroke to stop the operation of the drive motor 122 Is installed.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평 가이드(160)는, 승강부재(130)에 수평방향으로 길게 고정되는 슬라이드 레일(164)을 포함한다. 슬라이드 레일(164)은 단독으로 또는 장착판(162)을 통해 승강부재(130)에 설치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horizontal guide 160 includes a slide rail 164 is fixed to the lifting member 13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slide rail 164 may be installed on the elevating member 130 alone or through the mounting plate 162.

수평 가이드(160)에 대응하여, 이송블록(170)에는 슬라이드 레일(164)을 따라 미끄럼 이동하도록 결합되는 슬라이더(172)가 형성된다. 도면에 도시된 예에서, 슬라이더(172)는 별도로 제조되어 이송블록(170)에 부착된 형태이지만, 이송블록(170)에 직접 형성할 수 있다.Corresponding to the horizontal guide 160, the transfer block 170 is formed with a slider 172 coupled to slide along the slide rail 164. In the example shown in the drawings, the slider 172 is manufactured separately and attached to the transfer block 170, but may be formed directly on the transfer block 170.

가이드 레일(164)과 슬라이더(172)의 결합에 의해, 이송블록(170)은 수평방향으로 미끄럼 왕복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이송블록(170)은 나사축(120)을 따르는 승강부재(130)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이동 도중에 가이드 레일(172)을 따라 수평방향(도면상 전후방향)으로 미끄럼 이동을 할 수 있게 된다.By combining the guide rail 164 and the slider 172, the transfer block 170 can slide reciprocat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ccordingly, the transfer block 170 is moved up and down by the elevating member 130 along the screw shaft 120, and at the same time, the transfer block 170 slides along the guide rail 172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ack and forth direction in the drawing). You can do it.

경로안내 가이드(200)는 이송블록(170)을 설정된 이송경로를 따라 이동하도록 안내하기 위한 요소로서, 하부 고정부재(114)나 상부 고정부재(116), 또는 두 부재(114, 116) 모두에 고정된다.The path guide guide 200 is an element for guiding the transport block 170 to move along a set transport path. The path guide guide 200 includes a lower fixing member 114, an upper fixing member 116, or both members 114 and 116. It is fixed.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의 경로안내 가이드(200)에는 안내장홈(210)이 형성된다.In one embodiment, the guide guide groove 210 is formed in the path guide guide 200.

안내장홈(210)은, 전술한 제1 이송경로(S1) 및 제2 이송경로(S2)를 따라 연장된 형태를 이룬다. 이송블록(170)은 안내장홈(210)이 이루는 경로를 따라 미끄럼 이동한다. 이송블록(170)에는 안내장홈(210)에 삽입되어 안내장홈(210)을 따라 미끄럼 이동하는 안내축(180)이 형성된다.The guide groove 210 has a shape extending along the first transfer path S1 and the second transfer path S2 described above. The transfer block 170 slides along the path formed by the guide groove 210. The transfer block 170 is formed with a guide shaft 180 is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210 to slide along the guide groove 210.

안내장홈(210)의 제1 이송경로(S1) 및 제2 이송경로(S2)는 도 1에서 설명한 궤적과 동일하다. 즉, 안내장홈(210)은, 투출위치로부터 수직 하부로 일정거리 직선연장되는 제1 이송경로(S1) 부분과, 제1 이송경로(S1)의 하단으로부터 판매위치까지 방향을 바꾸어 더 연장되는 제2 이송경로(S2) 부분이 연결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안내장홈(210)은, 그것의 제2 이송경로(S2)가 제1 이송경로(S1)의 하단부로부터 판매위치까지 측하방(도면에서는 전방 아래쪽)으로 경사져서 직선연장되는 형태를 가진다.The first transport path S1 and the second transport path S2 of the guide groove 210 are the same as the locu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That is, the guide groove 210 is a portion extending further by changing the direction from the lower end of the first conveying path (S1) to the sale position and the portion of the first conveying path (S1) linearly extending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discharge position vertically downward 2 conveying path (S2) portion is made of a connected form. Preferably, the guide groove 210 has a form in which its second conveying path S2 is inclined laterally downward (front lower in the drawing) from the lower end of the first conveying path S1 to the sales position. .

이송블록(170)의 안내축(180)은 이러한 제1 이송경로(S1)와 제2 이송경로(S2)를 따라 미끄럼 이동한다. 이송블록(170)이 승강부재(130)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하는 도중에 안내축(180)이 경사진 형태의 제2 이송경로(S2)에 진입하면, 제2 이송경로(S2)의 경사에 의한 분력이 안내축(180)에 작용하여 안내축(180)을 수평방향(도면에서는 전방 또는 후방)으로 밀게 되고, 그것에 의해 이송블록(170)의 수평방향 이동이 병행되어 경사진 제2 이송경로(S2)의 궤적을 자연스럽게 따르게 된다.The guide shaft 180 of the transfer block 170 slides along the first transfer path S1 and the second transfer path S2. When the guide shaft 180 enters the inclined second transfer path S2 while the transfer block 170 is raised or lowered by the elevating member 130, the inclination of the second transfer path S2 may occur. The component force acts on the guide shaft 180 to push the guide shaft 18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ront or rear in the drawing), whereby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transfer block 170 is in parallel and inclined in the second transfer path ( It naturally follows the trajectory of S2).

일 실시예에 있어서, 홀더(182)는 상기 안내축(180)의 연장 단부에 설치된다. 홀더(182)는 안내축(180)과는 무관하게 이송블록(170)의 어느 한 부분으로부터 연장되는 소정의 지지 부재에 설치될 수도 있다.In one embodiment, the holder 182 is installed at the extending end of the guide shaft 180. The holder 182 may be installed on a predetermined support member extending from any part of the transfer block 170 irrespective of the guide shaft 180.

또한, 안내축(180)에는 미끄럼 부재(190)가 결합된다. 미끄럼 부재(190)는 안내축(180)의 미끄럼 이동을 더욱 원활하게 하기 위한 요소이다(특히, 도 8 참조).In addition, the sliding member 190 is coupled to the guide shaft 180. The sliding member 190 is an element for smoothly sliding the guide shaft 180 (see, in particular, FIG. 8).

미끄럼 부재(190)를 위해, 안내장홈(210)은, 전술한 안내축(180)이 관통하는 제1 안내장홈(212)과, 미끄럼 부재(190)가 삽입되어 길이방향으로 미끄럼 이동하는 제2 안내장홈(214)으로 구성할 수 있다.For the sliding member 190, the guide groove 210, the first guide groove 212 through which the above-described guide shaft 180, and the second sliding member 190 is inserted in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sliding The guide groove 214 can be configured.

이러한 미끄럼 부재(190)는 통상적인 볼 베어링, 롤러 베어링, 메탈 베어링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처럼, 미끄럼 부재(190)는 고정축(192)과 베어링(194)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고정축(192)은 안내축(180)에 고정된다.The sliding member 190 may use a conventional ball bearing, roller bearing, metal bearing, and the like. Alternatively, as shown in the embodiment, the sliding member 190 may be composed of a fixed shaft 192 and a bearing 194. The fixed shaft 192 is fixed to the guide shaft 180.

한편, 상부 고정부재(116)에는 승강부재(130)나 이송블록(170)의 지나친 상승을 제한하는 안전장치로서 스토퍼(220)가 설치된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스토퍼(220)는 장착판(162)을 저지하는 위치에 설치된다.On the other hand, the upper fixing member 116 is provided with a stopper 220 as a safety device for limiting excessive rise of the elevating member 130 or the transfer block 170. In the embodiment shown in the figure, the stopper 220 is installed in a position to block the mounting plate 162.

본 발명의 용기 자동이송장치(100)에 있어서, 도 2 내지 도 4에서처럼, 대기상태에서는 홀더(182)는 제2 이송경로(S2)의 최하단 지점에 위치하여 대기하고 있는다. 그런 도중에, 구매자, 사용자, 또는 디스펜서에 의해 용기(도시하지 않음)가 홀더(182)에 로딩 되면, 아이스크림을 받기 위해 투출 위치로 이송한다.In the container automatic transfer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2 to 4, in the standby state, the holder 182 is located at the lowest point of the second transfer path S2 and is waiting. In the meantime, when a container (not shown) is loaded into the holder 182 by a buyer, a user, or a dispenser, it is transferred to the dispensing position to receive the ice cream.

즉, 구동모터(122)에 의해 나사축(120)이 회전되면 승강부재(130)가 나사축(120)을 따라 상승한다. 승강부재(130)의 상승에 따라 수평 가이드(160) 및 이송블록(170)도 함께 상승한다.That is, when the screw shaft 120 is rotated by the drive motor 122, the lifting member 130 is raised along the screw shaft 120. As the lifting member 130 rises, the horizontal guide 160 and the transfer block 170 also rise together.

그와 함께, 이송블록(170)의 안내축(180)은 안내장홈(210) 중 경사진 형태의 제2 이송경로(S2)를 따르게 됨으로써, 이송블록(170)은 수평 가이드(160)를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작을 병행하게 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이송블록(170)은 수평 가이드(160)를 따라 전방에서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At the same time, the guide shaft 180 of the transfer block 170 follows the second transfer path S2 of the inclined form in the guide groove 210, such that the transfer block 170 is along the horizontal guide 160. The movemen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s performed in parallel. Referring to FIG. 6, the transfer block 170 moves from the front to the rear along the horizontal guide 160.

이와 같이 승강부재(130)의 상승 동작과 이송블록(170)의 수평방향 이동 동작이 조합되어(병행되어), 이송블록(170) 및 홀더(182)는 제2 이송경로(S2)를 따라 대각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As such, the lifting operation of the elevating member 130 and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transfer block 170 are combined (parallel), and the transfer block 170 and the holder 182 are diagonally along the second transfer path S2. Will be moved in the direction.

이송블록(170)의 안내축(180)이 제2 이송경로(S2)를 지나 제1 이송경로(S1)에 이르게 되면, 이때부터 이송블록(170)은 수평방향 이동 없이 승강부재(130)에 의해 수직방향으로만 상승 된다.When the guide shaft 180 of the transfer block 170 reaches the first transfer path S1 after passing through the second transfer path S2, the transfer block 170 is moved to the elevating member 130 without mov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t rises only in the vertical direction.

이송블록(170)의 안내축(180)이 제1 이송경로(S1)의 상단부에 이르면 홀더(182) 및 용기는 투출구(24)(도 1 참조)의 수직하부의 투출위치에 위치하게 된다.When the guide shaft 180 of the transfer block 170 reaches the upper end of the first transfer path S1, the holder 182 and the container are positioned at the discharge position of the vertical lower portion of the discharge port 24 (see FIG. 1). .

투출구(24)가 열려 용기에 아이스크림을 담은 후에(또는 담는 도중에), 하강행정을 시작한다.After the outlet 24 is opened (or in the middle) of the ice cream in the container, the downstroke starts.

하강 행정은 아이스크림이 담긴 용기를 투출위치에서 판매위치까지 이송하는 것이다.The downstroke is to transfer the container containing the ice cream from the dispensing position to the selling position.

하강 행정 시, 나사축(120)의 반대방향 회전에 의해 승강블록(130)이 하강하고, 그와 함께 이송블록(170)의 안내축(180)도 제1 이송경로(S1)를 따라 하강한다.During the down stroke, the elevating block 130 is lowered by the opposite rotation of the screw shaft 120, and the guide shaft 180 of the transport block 170 is also lowered along the first transport path S1. .

하강 도중, 제1 이송경로(S1)의 하단에서 제2 이송경로(S2)를 만나면, 이송 블록(170)이 수평 가이드(160)를 따라 상승 행정의 반대방향으로 미끄럼 이동하는 동작이 병행된다.During the lowering, when the second conveying path S2 is encountered at the lower end of the first conveying path S1, the movement of the conveying block 170 sliding along the horizontal guide 160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ascending stroke is performed in parallel.

이렇게 하여 이송블록(170)의 안내축(180)이 제2 이송경로(S2)의 최하단까지 이동하면 홀더(182) 및 아이스크림이 담긴 용기는 투출위치의 수직 하부를 벗어난 지점의 판매위치에 위치하게 된다.In this way, when the guide shaft 180 of the transfer block 170 is moved to the lowest end of the second transfer path (S2), the holder 182 and the container containing the ice cream is located in the sales position of the point outside the vertical lower portion of the dispensing position do.

판매위치에서, 사용자 또는 구매자는 케이스의 판매 게이트(4)(도 1 참조)에 손을 넣어 아이스크림이 담긴 용기를 꺼내면 판매가 종료되고, 홀더(182)는 계속하여 그 자리에서 대기하게 된다.At the selling position, the user or the buyer puts his hand into the selling gate 4 (see FIG. 1) of the case, takes out the container containing the ice cream, and the selling ends, and the holder 182 continues to stand in place.

앞에서 설명한 실시예에서는, 안내장홈(120)을 수직한 방향의 제1 이송경로(S1)와 측방으로 경사진 방향의 제2 이송경로(S2)로 구성한 예를 설명하였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 example in which the guide groove 120 is configured as the first transfer path S1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second transfer path S2 in the sloping direction is described.

도 9는 이송 경로에 대한 다양한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9 shows various examples of transport paths.

도 9의 (a)는 판매위치와 투출위치에서 일정거리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는 구간을 두고, 두 개의 수직방향 구간을 경사지게 연결하는 구간을 둔 형태도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는 안내장홈(120)의 형태만을 변경함으로써 쉽게 구현된다.9 (a) shows that a section having a section mov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selling position and the ejecting position and having a section connecting the two vertical sections inclinedly is also possible. This is easily implemented by changing only the shape of the guide groove 120.

도 9의 (b)는 투출위치로부터 판매위치의 높이까지 수직하방으로 연장되는 수직구간과, 수직구간의 하단으로부터 판매위치까지 수평으로(또는 측방으로) 연장되는 수평구간을 조합한 예이다. 이를 위해서는 안내장홈(120)의 형태를 변경할 뿐만 아니라, 이송블록(170)을 수평방향으로 강제 이송하기 위한 구동원이 더 필요하다.9B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a vertical section extending vertically downward from the discharge position to the height of the selling position and a horizontal section extending horizontally (or laterally) from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section to the selling position. To this end, as well as changing the shape of the guide groove 120, a driving source for forcibly transporting the transfer block 17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s required.

도 9의 (c)는 도 1 내지 도 8에서 설명한 것에 비해 투출위치에 도달하기 위한 수직구간인 제1 이송경로(S1)의 길이를 할 수 있는 한 짧게 구성하고, 경사방향의 제2 이송경로(S2)의 길이를 그만큼 길게 형성한 예이다. 이는 안내장홈(120)의 형태만을 변경함으로써 쉽게 구현된다.9 (c) is configured as short as possible the length of the first transfer path (S1) as a vertical section for reaching the discharge position as described in Figures 1 to 8, the second transfer path in the inclined direction This is an example in which the length of S2 is formed as long as that. This is easily implemented by changing only the shape of the guide groove 120.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스크림 판매기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도 10은 외관 사시도이고, 도 11은 정면도이며, 도 12는 측면도이다.10 to 12 show an ice cream vend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FIG. 11 is a front view, and FIG. 12 is a side view.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이스 크림 판매기(1)는 케이스(300)의 내부에 전술한 용기 자동이송장치(100)가 설치된다.As shown in Figures 10 to 12, the ice cream vending machine 1 is installed in the container automatic transfer device 100 described above in the case 300.

케이스(300)는 홀더(182)의 이송을 허용하면서 내부의 부품을 보호하는 사이드 커버(310)를 포함한다.The case 300 includes a side cover 310 that protects the components therein while allowing the transfer of the holder 182.

사이드 커버(310)에는 홀더(182)가 설치된 안내축(180)의 이송경로(S1, S2)를 따름과 아울러, 안내축(180)이 적절한 틈새를 가지고 여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폭을 가지는 통과공(312)이 형성된다.The side cover 310 follows the transfer paths S1 and S2 of the guide shaft 180 in which the holder 182 is installed, and has a width through which the guide shaft 180 has a width that can be moved with ease. 312) is formed.

아이스크림 투출구(24)는 상기 사이드 커버(310)에 인접하여 앞에서 설명한 투출위치에 위치한다.The ice cream outlet 24 is located at the above-described dispensing position adjacent to the side cover 310.

일 실시예에 있어서, 아이스 크림 판매기(1)에는 판매신호에 의해 용기(2)를 자동으로 로딩하는 용기 디스펜서(320)를 더 구비한다.In one embodiment, the ice cream vending machine 1 further includes a container dispenser 320 for automatically loading the container 2 in response to a sales signal.

용기 디스펜서(320)는 케이스(300)의 외측에 설치할 수도 있고, 아니면 케이스(300)의 내측에 설치할 수도 있다. 즉, 케이스(300)의 디자인과 용기 디스펜서(300)의 종류 및 크기에 따라 외장 또는 내장의 형태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The container dispenser 320 may be installed outside the case 300 or may be installed inside the case 300. That is, one of the exterior or interior may be selected according to the design of the case 300 and the type and size of the container dispenser 300.

일 실시예에 있어서, 용기 디스펜서(320)는, 용기(2)가 적치되는 여러 줄의 적치대를 구비하는 트레이(322)와, 트레이(322)를 회전시켜 분배할 하나의 적치대를 선택하고, 선택된 적치대의 하단에 있는 하나의 용기(2)를 낙하시키는 분배기(324)와, 분배기(324)로부터 대기위치에 있는 홀더(182)까지 연장되어 분배기(324)에서 낙하하는 용기(2)를 홀더(182)로 인도하는 슈트(chute)(326)를 포함한다.In one embodiment, the container dispenser 320 selects a tray 322 having a plurality of rows of stacks in which the container 2 is loaded, and one stack to distribute by rotating the tray 322. A dispenser 324 for dropping one container 2 at the bottom of the selected loading stand and a container 2 extending from the dispenser 324 to a holder 182 in the standby position and dropping from the dispenser 324. And a chute 326 leading to the holder 182.

용기 디스펜서(320)는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형태 이외의 것도 사용가능하다.The container dispenser 320 may use other than the type shown in FIGS. 10 to 12.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홀더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도 13은 사시도이고, 도 14는 단면도이다.13 and 14 show a hold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3 is a perspective view and FIG. 14 is a sectional view.

앞에서 설명한 홀더(182)는, 원주 둘레의 일부가 개구된 링 형태로 이루어져서, 링 안에 삽입된 용기(2)의 측벽이나 상단 테두리 부분이 걸리도록 하는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The holder 182 described above is formed in a ring shape in which a portion of the circumference is opened so that the upper edge portion or the side wall of the container 2 inserted into the ring is caught.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홀더는, 몸체(183)에 용기(2)의 하부 일부분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홈(184)과 바닥면(185)을 가지는 형태로 이루어져서, 상기 바닥면(185)에 용기(2)의 저면이 안착하는 형태, 즉, 바닥면(185)으로 용기(2)의 저면을 받친다.13 and 14, the holder is formed in the form having a receiving groove 184 and the bottom surface 185 that can accommodate the lower portion of the container 2 in the body 183, the bottom surface 185 ),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2 rests on the bottom surface 185 of the container 2.

몸체(183)의 상단 테두리 일측에는 손가락이 들어갈 수 있는 절취홈(186)을 형성할 수 있다. 구매자가 용기(2)를 잡을 때 절취홈(186)을 통해 좀 더 쉽고 안정적으로 잡을 수 있다.One side of the upper edge of the body 183 may form a cutting groove 186 into which a finger may enter. When the buyer grabs the container 2, it can be more easily and stably grabbed through the cutting groove 186.

또한, 수용홈(184)에는 바닥면(185)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조절용 블록(187)을 삽입한 구성도 가능하다. 높이가 낮은 용기를 사용할 때 낮아진 높이에 대응하는 높이조절용 블록(187)을 끼워 보상함으로써 투출구(24)로부터 용기(2)까지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ceiving groove 184 is also possible to insert a height adjusting block 187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bottom surface 185. When using a low height container, the distance from the discharge port 24 to the container 2 can be kept constant by compensating for the height adjusting block 187 corresponding to the lowered height.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The foregoing is a description of certain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but may be modified and alter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1 : 아이스크림 판매기
2 : 용기
4 : 판매 게이트
10 : 교반 실린더
12 : 대셔
20 : 밸브 바디
22 : 투출 통로
24 : 투출구
30 : 투출 밸브
32 : 투출 밸브 구동모터
36 : 제1 용기감지센서
38 : 제2 용기감지센서
100 : 용기 자동이송장치
110 : 지지부
112 : 측방 지지부재
114 : 하부 고정부재
116 : 상부 고정부재
120 : 나사축
122 : 구동모터
124 : 감속기
130 : 승강부재
132 : 안내축 통과공
141, 142 : 하부 센서
151, 152 : 상부 센서
160 : 수평 가이드
162 : 장착판
164 : 슬라이드 레일
170 : 이송블록
172 : 슬라이더
180 : 안내축
182 : 홀더
190 : 미끄럼 부재
200 : 경로안내 가이드
210 : 안내장홈
212 : 제1 안내장홈
214 : 제2 안내장홈
300 : 판매기 케이스
310 : 사이드 커버
312 : 통과공
320 : 용기 디스펜서
322 : 트레이
324 : 분배기
326 : 슈트
1: ice cream vending machine
2: container
4: sales gate
10: stirring cylinder
12: dasher
20: valve body
22: discharge passage
24: outlet
30: discharge valve
32: discharge valve drive motor
36: first vessel detection sensor
38: second container detection sensor
100: container automatic transfer device
110: Support
112: side support member
114: lower fixing member
116: upper fixing member
120: screw shaft
122: drive motor
124: reducer
130: lifting member
132: guide shaft through hole
141, 142: lower sensor
151, 152: upper sensor
160: horizontal guide
162: mounting plate
164: Slide Rail
170: transfer block
172: slider
180: guide shaft
182: Holder
190: sliding member
200: route guide
210: Invitation Home
212: First Invitation Home
214: Second Home
300: Vending Case
310: side cover
312: through hole
320: container dispenser
322 tray
324: Splitter
326: suit

Claims (18)

수직으로 배치되는 나사축(120);
상기 나사축(120)의 하부 및 상부를 회전가능한 상태로 고정하는 하부 고정부재(114) 및 상부 고정부재(116);
상기 나사축(120)을 회전 구동하는 구동 모터(122);
상기 나사축(120)에 나사결합되어 나사축(120)의 양방향 회전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승강부재(130);
상기 승강부재(130)에 장착되어 승강부재(130)와 함께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수평 가이드(160);
일측에는 홀더(182)가 구비되고, 상기 수평 가이드(160)에 수평방향으로 왕복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송블록(170); 및
투출구(24)의 수직 하방 위치인 투출위치와, 상기 투출위치의 수직 하방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일정거리 벗어나서, 홀더(182) 및 용기(2)가 상기 투출위치의 홀더(182) 및 용기(2)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서로 중복되지 않는 위치인 판매위치를 설정하고, 상기 투출위치로부터 수직 하부로 일정거리 직선연장되는 제1 이송경로(S1) 및 상기 제1 이송경로(S1)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판매위치까지 방향을 바꾸어 더 연장되는 제2 이송경로(S2)를 가져, 상기 이송블록(170)을 제1 이송경로(S1)와 제2 이송경로(S2)를 따라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경로안내 가이드(20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자동이송장치.
A screw shaft 120 disposed vertically;
A lower fixing member 114 and an upper fixing member 116 for fixing the lower and upper parts of the screw shaft 120 in a rotatable state;
A drive motor 122 for rotationally driving the screw shaft 120;
A lifting member 130 screwed to the screw shaft 120 to reciprocate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bidirectional rotation of the screw shaft 120;
A horizontal guide 160 mounted to the elevating member 130 and moving upward and downward along with the elevating member 130;
A holder 182 is provided at one side, and a transport block 170 installed in the horizontal guide 160 so as to reciprocate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discharge position which is a vertically downward position of the discharge port 24, and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vertical downward of the discharge position, the holder 182 and the container 2 is the holder 182 and the container 2 of the discharge position Set a selling position that is a position that does not overlap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and the first feed path (S1) and the lower end of the first feed path (S1) extending linearly vertically downward from the discharge position from the discharge position Route guide guide for guiding the transfer block 170 to move along the first transfer path (S1) and the second transfer path (S2) by having a second transfer path (S2) extending further by changing the direction to the selling position Container automatic transfer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20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이송경로(S2)는, 제1 이송경로(S1)의 하단부로부터 판매위치까지 측하방으로 경사져서 직선연장되는 형태의 경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자동이송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second conveyance path (S2), the container automatic transfer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path in the form of a straight line inclined laterally downward from the lower end of the first conveyance path (S1) to the sales position.
제1항에 있어서,
수평 가이드(160)는, 상기 승강부재(130)에 수평방향으로 길게 고정되는 슬라이드 레일(164)을 포함하고,
상기 이송블록(170)에는, 상기 슬라이드 레일(164)을 따라 미끄럼 이동하도록 결합되는 슬라이더(17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자동이송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horizontal guide 160 includes a slide rail 164 long fix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 the elevating member 130,
The transfer block 170, the container automatic transfer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lider 172 is coupled to slide along the slide rail (164) is form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안내 가이드(200)에는, 상기 제1 이송경로(S1) 및 제2 이송경로(S2)를 따르는 안내장홈(210)이 연장형성되고,
상기 이송블록(170)에는, 상기 안내장홈(210)에 삽입되어 안내장홈(210)을 따라 미끄럼 이동하는 안내축(18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자동이송장치.
The method of claim 1,
In the path guide guide 200, the guide groove 210 along the first transport path (S1) and the second transport path (S2) is extended,
The transfer block 170, the container automatic transfer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guide shaft 180 is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210 to slide along the guide groove 210 is formed.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이송경로(S2)는, 제1 이송경로(S1)의 하단부로부터 판매위치까지 측하방으로 경사져서 직선연장되는 형태의 경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자동이송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second conveyance path (S2), the container automatic transfer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path in the form of a straight line inclined laterally downward from the lower end of the first conveyance path (S1) to the sales position.
제4항에 있어서,
안내축(180)에는 미끄럼 부재(190)가 결합되고,
상기 안내장홈(210)은, 상기 안내축(180)이 관통하는 제1 안내장홈(212)과, 상기 미끄럼 부재(190)가 삽입되어 길이방향으로 미끄럼 이동하는 제2 안내장홈(214)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자동이송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sliding member 190 is coupled to the guide shaft 180,
The guide groove 210 includes a first guide groove 212 through which the guide shaft 180 penetrates, and a second guide groove 214 in which the sliding member 190 is inserted to sl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Container automatic transfer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제6항에 있어서,
홀더(182)는 상기 안내축(180)의 연장 단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자동이송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Holder 182 is a container automatic transfer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nstalled on the extended end of the guide shaft (18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고정부재(114)와 상부 고정부재(116) 사이에는 안내축(132)이 설치되고,
상기 안내축(132)은 승강부재(130)를 미끄럼 가능하게 관통하여 상기 승강부재(130)의 상하방향 직선이동을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자동이송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 guide shaft 132 is installed between the lower fixing member 114 and the upper fixing member 116,
The guide shaft 132 is slidably penetrates the elevating member 130 to guide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elevating member 130, the container automatic transfer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매위치는, 홀더(182)에 용기(2)가 로딩 되기를 기다리는 대기위치와 동일한 위치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자동이송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selling position is automatic container transfer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holder is set to the same position as the waiting position waiting for the container (2) to be loaded (18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고정부재(114)와 승강부재(130)에는, 상기 승강부재(130)가 하강 행정 마지막 지점에 이르렀는지를 검출하여 구동모터(122)의 작동을 멈추게 하기 위한 하부 센서(141, 142)가 설치되고,
상기 상부 고정부재(116)와 승강부재(130)에는, 상기 승강부재(130)가 상승 행정 마지막 지점에 이르렀는지를 검출하여 구동모터(122)의 작동을 멈추게 하기 위한 상부 센서(151, 152)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자동이송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lower fixing member 114 and the elevating member 130, the lower sensor (141, 142) for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drive motor 122 by detecting whether the elevating member 130 has reached the end of the lower stroke stroke Is installed,
The upper fixing member 116 and the elevating member 130, the upper sensor (151, 152) for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drive motor 122 by detecting whether the elevating member 130 has reached the end of the upstroke stroke Container automatic transfer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install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182)는, 원주 둘레의 일부가 개구된 링 형태로 이루어지고, 링 안에 용기(2)가 삽입되어 용기(2)의 측벽 또는 상단 테두리 부분이 링에 걸려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자동이송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holder 182 is formed in a ring shape with a portion of the circumference open, the container 2 is inserted into the r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side wall or upper edge portion of the container 2 is supported by the ring Auto transpo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182)는, 몸체(183)에 용기(2)의 하부 일부분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홈(184)과 바닥면(185)을 가지는 형태를 이루어, 상기 바닥면(185)에 의해 용기(2)의 저면을 받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자동이송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holder 182 has a shape having a receiving groove 184 and a bottom surface 185 to accommodate a lower portion of the container 2 in the body 183, the container by the bottom surface 185 Container automatic transfer device characterized by supporting the bottom of (2).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184)의 바닥면(185)에는 높이조절용 블록(187)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자동이송장치.
The method of claim 12,
Container bottom automatic transfer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height adjustment block 187 is inserted into the bottom surface 185 of the receiving groove (184).
냉동회로에 의해 냉동 유지되면서 내부에 아이스크림을 수용하는 교반 실린더(10);
교반 실린더(10)의 내부에서 회전하여 아이스크림 원료와 공기를 혼합하면서 전방으로 이송하는 대셔(12);
상기 교반 실린더(10)의 전방에 장착되고 투출구(24)가 형성되는 밸브 바디(20);
상기 투출구(24)를 개방 또는 차단하는 투출 밸브(30);
구매자가 홀더(182)에 있는 용기(2)를 꺼내는 판매위치와, 투출구(24)로부터 용기(2)에 아이스크림을 담는 투출위치 사이를 왕복하여 용기(2)를 이송하되, 상기 판매위치가 상기 투출위치의 수직 하부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일정거리 벗어나서, 홀더(182) 및 용기(2)가 상기 투출위치의 홀더(182) 및 용기(2)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서로 중복되지 않는 지점에 설정되는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용기 자동이송장치(1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스크림 판매기.
Stirring cylinder 10 for receiving ice cream therein while being kept frozen by the freezing circuit;
A dasher 12 which rotates inside the stirring cylinder 10 and moves forward while mixing the ice cream raw material and air;
A valve body 20 mounted to the front of the stirring cylinder 10 and having a discharge port 24 formed therein;
A discharge valve 30 which opens or closes the discharge port 24;
The buyer transfers the container 2 by reciprocating between the selling position at which the container 2 in the holder 182 is taken out and the dispensing position at which the ice cream is placed in the container 2 from the discharge port 24, and the selling position is The holder 182 and the container 2 are set at a point which does not overlap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holder 182 and the container 2 in the discharge position from the vertical lower portion of the discharge positio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 ice cream vending machine comprising the container automatic transfer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3.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판매위치는, 홀더(182)에 용기(2)가 로딩 되기를 기다리는 대기위치와 동일한 위치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스크림 판매기.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selling position, ice cream vending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the holder is set to the same position as the waiting position waiting for the container (2) to be loaded (182).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투출위치 및 판매위치에서 홀더(182)에 용기(2)가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제1 용기감지센서(36) 및 제2 용기감지센서(38)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스크림 판매기.
15. The method of claim 14,
And a first container sensor (36) and a second container sensor (38) for detecting whether there is a container (2) in the holder (182) at the dispensing and selling positions.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자동이송장치(100)의 외부를 보호하고, 사이드 커버(310)에 안내축(180)의 이송경로를 따르는 안내축 통과공(312)이 형성된 판매기 케이스(300); 및
용기(2)를 적치하고, 판매 신호에 의해 적치된 용기(2)를 대기위치에 있는 홀더(182)에 하나씩 로딩하는 용기 디스펜서(32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스크림 판매기.
15. The method of claim 14,
A vending machine case 300 which protects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automatic transfer device 100 and has a guide shaft passage hole 312 formed along the transfer path of the guide shaft 180 on the side cover 310; And
And a container dispenser (320) for storing the containers (2) and loading the containers (2) loaded by the sales signal into the holder (182) at the standby position one by one.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디스펜서(320)는,
용기(2)가 적치되는 여러 줄의 적치대를 구비하는 트레이(322);
상기 트레이(322)를 회전시켜 분배할 하나의 적치대를 선택하고, 선택된 적치대의 하단에 있는 용기(2)를 하나씩 낙하시키는 분배기(324); 및
상기 분배기(324)로부터 대기위치의 홀더(182)까지 연장되어 분배기(324)에서 낙하하는 용기(2)를 홀더(182)로 인도하는 슈트(32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스크림 판매기.
18. The method of claim 17,
The container dispenser 320,
A tray 322 having a plurality of rows of loading tables in which the containers 2 are loaded;
A dispenser 324 which rotates the tray 322 to select one stockpile to be dispensed and drops the containers 2 at the bottom of the selected stockpile one by one; And
And a chute (326) extending from the dispenser (324) to the holder (182) in a standby position and leading to a holder (182) for a container (2) falling from the dispenser (324).
KR1020120153189A 2012-12-26 2012-12-26 Container auto-transportation apparatus and icecream vending machine having thereof KR101389538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3189A KR101389538B1 (en) 2012-12-26 2012-12-26 Container auto-transportation apparatus and icecream vending machine having thereof
PCT/KR2013/000074 WO2014104458A1 (en) 2012-12-26 2013-01-07 Apparatus for automatic transfer of container, and ice cream vending machine compris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3189A KR101389538B1 (en) 2012-12-26 2012-12-26 Container auto-transportation apparatus and icecream vending machine having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9538B1 true KR101389538B1 (en) 2014-04-28

Family

ID=50658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3189A KR101389538B1 (en) 2012-12-26 2012-12-26 Container auto-transportation apparatus and icecream vending machine having thereof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389538B1 (en)
WO (1) WO2014104458A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62838A (en) * 2017-07-31 2017-10-20 宝鸡虢西磨棱机厂 Gear-face profiling chamfer machining head
KR102308215B1 (en) * 2021-08-06 2021-10-05 농업회사법인(주)영풍 Tteokbokki vending machine equipped with sauce supplying device
KR20220133420A (en) * 2021-03-25 2022-10-05 이재호 Vending machine cup transfer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70738B (en) * 2022-07-07 2022-09-20 河南省恒富机械设备有限公司 Automatic quantitative liquid adding device of fermented feed mix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7405A (en) * 2001-02-16 2002-08-22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Apparatus for agitating ice cream of bead type ice cream vending machine
KR20030021883A (en) * 2001-09-08 2003-03-15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Vending machine for ice cream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0466U (en) * 1998-11-21 2000-06-15 이혁병 Sludge
KR100401257B1 (en) * 2000-10-09 2003-10-17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Vending machine for ice cream
KR100373454B1 (en) * 2000-11-10 2003-02-25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A discharge device of ball type ice-cream vending machine
KR200231268Y1 (en) * 2001-02-19 2001-07-19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A cup discharge device of ball type ice-cream vending machine
JP2009045031A (en) * 2007-08-22 2009-03-05 Sanyo Electric Co Ltd Apparatus for producing frozen desser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7405A (en) * 2001-02-16 2002-08-22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Apparatus for agitating ice cream of bead type ice cream vending machine
KR20030021883A (en) * 2001-09-08 2003-03-15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Vending machine for ice cream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62838A (en) * 2017-07-31 2017-10-20 宝鸡虢西磨棱机厂 Gear-face profiling chamfer machining head
CN107262838B (en) * 2017-07-31 2023-11-14 宝鸡虢西磨棱机制造有限公司 Gear end face profiling chamfering processing head
KR20220133420A (en) * 2021-03-25 2022-10-05 이재호 Vending machine cup transfer device
KR102517762B1 (en) * 2021-03-25 2023-04-03 이재호 Vending machine cup transfer device
KR102308215B1 (en) * 2021-08-06 2021-10-05 농업회사법인(주)영풍 Tteokbokki vending machine equipped with sauce supply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104458A1 (en) 2014-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9538B1 (en) Container auto-transportation apparatus and icecream vending machine having thereof
US8607831B2 (en) Cup conveyor and holder device for beverage dispensing
US11238689B2 (en) Smoothie vending machine
KR20050085117A (en) Machine for supplying/dispensing containers and long articles in general
CN111557598A (en) Automatic change food and beverage equipment
US5293757A (en) Ice dispenser
CN111407147B (en) Cooking system and feeding recovery device
KR101364037B1 (en) An improved automatic goods dispenser and an automatic goods feeding machine having the same
US20190090691A1 (en) Product dispenser and lift unit
KR101387707B1 (en) Icecream vending machine and operating method therof
US9156574B2 (en) Apparatus for and method of filling container with similar articles
CN107787195A (en) Capsule distributor
KR20140101459A (en) Grain automatic transmission supplying device
KR101341528B1 (en) Food automatic vending machine
KR102303528B1 (en) Packaging alignment system
CN212464454U (en) Apparatus for dispensing dunnage into a feeding cage
JP4876527B2 (en) Cup-type vending machine straw feeder
US20060272285A1 (en) Vending machine for cosmetic materials
CN214540907U (en) Hot drink vending machine
CN212923633U (en) Automatic replenishment structure of retail machine
JPH04112096U (en) ice dispenser
JP4003701B2 (en) Cup feeder for beverage supply machine
KR101234197B1 (en) A decanting apparatus
CN112652117A (en) Hot drink vending machine
JP3998172B2 (en) Beverage supply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