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9500B1 - Speaker of a musical instrument type - Google Patents

Speaker of a musical instrument typ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9500B1
KR101389500B1 KR1020120131601A KR20120131601A KR101389500B1 KR 101389500 B1 KR101389500 B1 KR 101389500B1 KR 1020120131601 A KR1020120131601 A KR 1020120131601A KR 20120131601 A KR20120131601 A KR 20120131601A KR 101389500 B1 KR101389500 B1 KR 1013895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generator
instrument
controller
wireless communication
driving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160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노시청
전하영
정상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필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필룩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필룩스
Priority to KR10201201316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950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95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950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1/00General design of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461Transducers, i.e. details, positioning or use of assemblies to detect and convert mechanical vibrations or mechanical strains into an electrical signal, e.g. audio, trigger or control signa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eaker of a musical instrument type, capable of outputting a unique sound of a musical instrument without the direct performance of a performer and performing an ensemble without a plurality of performers. The speaker of the musical instrument ty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vibration generator and a controller. The vibration generator is installed at each musical instrument and outputs the unique sound. The controller applies a driving signal to the vibration generator. The speaker of the musical instrument ty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n actuator which operates a key formed in the musical instrument according to the driving signal of the controller. [Reference numerals] (11) Musical instrument; (20) Vibration generator; (40) Controller

Description

악기형 스피커{Speaker of a musical instrument type}Speaker of a musical instrument type

본 발명은 악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악기에 설치된 진동 발생기를 구동시켜 해당 악기가 갖는 고유의 음을 발생시키는 악기형 스피커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sical instrument, and more particularly, to a musical instrument speaker for driving a vibration generator installed in the musical instrument to generate the unique sound of the musical instrument.

음악은 일반적으로 '시간예술'로 불리고 있다. 회화, 조각, 건축물 등의 조형예술은 3차원의 세계에 실재하는 구체적인 소재에 바탕을 두고 공간적인 대상을, 말하자면 항구적인 형태로 창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나, 음악은 문예나 무용과 더불어 시간의 흐름에 따라 생성(生成) 및 전개되어 간다.Music is generally called 'time art'. The formative arts such as paintings, sculptures, and architectures aim to create spatial objects in a permanent way, based on concrete materials in the three-dimensional world. It is produced and developed according to the flow.

따라서 조형예술을 정적이고 공간예술이라 부르는 데 대해 음악 등은 동적이고 시간예술이라 불리는데, 같은 시간예술이라 하더라도 그것은 각각 독자적인 특성을 갖추고 있다. 즉 문예는 언어의 사용으로 관념적인 의미내용을 표현하고, 무용은 무용수의 움직임을 중심으로 함으로써 시각적이고 형상적인 데 반해 음악은 소재인 소리의 순수성(純粹性)에다 시간적인 성질에 바탕을 둔 가장 단적인 시간예술이라 할 수 있다. Therefore, the formative art is called static and spatial art, and the music is dynamic and temporal art. Even the same time art has its own characteristics. In other words, literary art expresses the conceptual meaning by the use of language, and dance is visual and shape by focusing on the movement of dancers, whereas music is the most purely based on the temporal nature of sound as the material. It can be called a time art.

더구나 음악은 발생적으로도 언어와는 불가분의 관계에 있고, 또한 무용, 연극과도 깊은 관계를 지니고 있다. 음악은 이와 같은 예술의 장르와 연관을 갖고서 독자적인 형식이 창출되는 것 외에도 회화 등과는 달리 그때마다 재현할 필요가 있어, 이와 같은 의미로서는 재현예술로서의 공통적인 기반 위에 성립되어 있다. 음악을 '유동하는 건축', 건축을 '언(凍) 음악'이라 부르는 것은 비유적(比喩的)인 표현이기는 하나 소재가 지닌 순수한 질서성(秩序性)이나 통일성이라는 점에서 공통된 성격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Moreover, music is inherently inseparable from language, and also deeply related to dance and theater. In addition to the creation of its own form in connection with the genre of art like this, music needs to be reproduced differently from paintings, and in this sense, it is established on a common basis as a reproduction art. Although music is called 'flowing architecture' and 'building music' is a figurative expression, it has a common character in that it is pure order or unity of the material. Because.

이러한 음악은 소리를 매체로 하는 예술로서, 통상적으로 음의 높낮이와 박자를 통해 표현할 수 있다. 음악은 다양한 악기를 통해 사람들이 들일 수 있는 음으로 표현된다.Such music is art using sound, and can be expressed through pitch and time of the sound. Music is expressed by the sounds that people can hear through various instruments.

음악을 연주할 수 있는 악기는 크게 타악기, 관악기, 현악기로 구분할 수 있다. 이러한 악기는 연주자가 직접 연주를 통하여 해당 악기가 갖는 고유의 음을 출력시키게 된다. 두 개 이상의 악기로서 동시에 연주하는 협주가 필요한 경우에는 협주에 투입되는 악기의 수에 대응하는 연주자가 필요로 한다.Musical instruments that can play music can be largely divided into percussion, wind and string instruments. These instruments output their own notes through the player's performance. In case where an concerto is played with two or more instruments at the same time, a player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instruments to be entered into is required.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연주자가 직접 연주하지 않더라도 악기가 갖는 고유의 음을 출력시킬 수 있는 악기형 스피커를 제공하는 데 있다.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nstrument-type speaker capable of outputting a unique sound of an instrument even if a player does not play directly.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수의 연주자가 없더라도 협주가 가능한 악기형 스피커를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usical instrument speaker that can be concerted even without a large number of player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악기에 설치된 진동 발생기를 구동시켜 해당 악기가 갖는 고유의 음을 발생시키는 악기형 스피커를 제공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악기형 스피커는 진동 발생기와 제어기를 포함한다. 상기 진동 발생기는 악기에 각각 설치되며, 구동 신호에 따라 진동을 발생시키고, 발생된 진동으로 상기 악기를 진동시켜 상기 악기가 갖는 고유의 음을 출력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진동 발생기에 구동 신호를 인가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usical instrument speaker for driving the vibration generator installed in the instrument to generate the unique sound of the instrument. In other words, the musical instrument sp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vibration generator and a controller. The vibration generators are installed in the musical instruments, respectively, and generate vibrations according to driving signals, and vibrate the musical instruments with the generated vibrations, thereby outputting unique sounds of the musical instruments. The controller then applies a drive signal to the vibration generator.

본 발명에 따른 악기형 스피커에 있어서, 상기 악기는 울림 공간을 갖는 현악기 또는 관악기이다. 상기 울림 공간에 상기 진동 발생기가 설치되어 상기 진동 발생기가 상기 울림 공간을 진동시켜 음을 출력시킨다.In the musical instrument sp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usical instrument is a string instrument or a wind instrument having a ringing space. The vibration generator is installed in the ringing space, and the vibration generator vibrates the ringing space to output sound.

본 발명에 따른 악기형 스피커에 있어서, 상기 진동 발생기는 상기 제어기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제1 무선 통신부와, 상기 제1 무선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제어기로부터 구동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구동 신호에 따라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 발생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musical instrument sp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vibration generator is a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performing a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controller, and when receiving a drive signal from the controller through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generates a vibration in accordance with the drive signal It may include a vibration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본 발명에 따른 악기형 스피커에 있어서, 상기 진동 발생부는 트랜스듀서일 수 있다.In the musical instrument sp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vibration generating unit may be a transducer.

본 발명에 따른 악기형 스피커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진동 발생기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제2 무선 통신부와, 상기 제2 무선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진동 발생기로 구동 신호를 전송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musical instrument sp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ler may include a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vibration generator, and a control unit for transmitting a drive signal to the vibration generator through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

본 발명에 따른 악기형 스피커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사용자의 선택 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와, 구동 신호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한 선택 신호에 따라 상기 저장부에서 구동 신호를 추출하고, 추출한 구동 신호를 상기 제2 무선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진동 발생기로 전송할 수 있다.In the musical instrument sp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ler may further include an input unit for receiving a user's selection signal and a storage unit for storing driving signal information. In this case, the controller may extract the driving signal from the storage unit according to the selection signal through the input unit, and transmit the extracted driving signal to the vibration generator through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본 발명에 따른 악기형 스피커는 액추에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관악기의 키가 배치된 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기의 구동 신호에 따라 상기 키를 눌렀다 떼다하여 상기 관악기에서 출력되는 음을 조절한다.The musical instrument sp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actuator. The actuator is installed in a portion where the key of the wind instrument is disposed to adjust the sound output from the wind instrument by pressing and releasing the key according to a driving signal of the controller.

본 발명에 따른 악기형 스피커에 있어서, 상기 구동 신호는 상기 악기가 출력할 음에 대응하는 상기 진동 발생기의 진동 세기 및 진동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musical instrument sp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ing signal may include information on the vibration intensity and vibration time of the vibration generator corresponding to the sound to be output by the instrument.

본 발명은 또한, 복수의 진동 발생기 및 제어기를 포함하는 악기형 스피커를 제공한다. 상기 복수의 진동 발생기는 복수의 악기에 각각 설치되며, 구동 신호에 따라 진동을 발생시키고, 발생된 진동으로 상기 악기를 진동시켜 상기 악기가 갖는 고유의 음을 출력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복수의 악기에 각각 설치된 진동 발생기에 선택적으로 구동 신호를 인가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n instrument type speaker including a plurality of vibration generators and a controller. The plurality of vibration generators are installed in the plurality of musical instruments, respectively, and generate vibrations according to a driving signal, and vibrate the musical instrument by the generated vibrations, thereby outputting unique sounds of the musical instruments. The controller selectively applies driving signals to vibration generators installed in the plurality of musical instruments, respectively.

본 발명에 따른 악기형 스피커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복수의 악기에 설치된 진동 발생기에 각각, 순차적 또는 동시에 구동 신호를 인가하여 협주를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the musical instrument sp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ler may control to perform a concertee by applying a driving signal sequentially or simultaneously to the vibration generators installed in the plurality of musical instruments, respectively.

본 발명에 따른 악기형 스피커에 있어서, 상기 진동 발생기는 상기 제어기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제1 무선 통신부와, 상기 제1 무선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제어기로부터 구동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구동 신호에 따라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 발생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musical instrument sp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vibration generator is a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controller, and when receiving a drive signal from the controller through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he vibration in accordance with the drive signal It may include a vibration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a.

본 발명에 따른 악기형 스피커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입력부, 저장부, 제2 무선 통신부 및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는 사용자의 선택 신호를 입력받는다. 상기 저장부는 구동 신호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제2 무선 통신부는 상기 진동 발생기와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무선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진동 발생기로 구동 신호를 전송시키되, 상기 입력부를 통한 선택 신호에 따라 상기 저장부에서 구동 신호를 추출하고, 추출한 구동 신호를 상기 제2 무선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진동 발생기로 전송시킨다.In the musical instrument sp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ler may include an input unit, a storage unit, a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d a control unit. The input unit receives a user's selection signal. The storage unit stores driving signal information.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performs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vibration generator. The control unit transmits a driving signal to the vibration generator through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extracts a driving signal from the storage unit according to a selection signal through the input unit, and extracts the extracted driving signal through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o the vibration generator.

본 발명에 따른 악기형 스피커에 있어서, 상기 악기는 울림 공간을 갖는 현악기 또는 관악기이며, 상기 울림 공간에 상기 진동 발생기가 설치되어 상기 진동 발생기가 상기 울림 공간을 진동시켜 음을 출력시킨다.In the musical instrument sp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usical instrument is a string instrument or a wind instrument having a ringing space, and the vibration generator is installed in the ringing space so that the vibration generator vibrates the ringing space to output sound.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악기형 스피커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악기 중 적어도 하나의 관악기의 키가 배치된 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기의 구동 신호에 따라 상기 키를 눌렀다 떼다하여 상기 관악기에서 출력되는 음을 조절하는 액추에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e musical instrument sp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ound is output from the wind instrument by pressing and releasing the key according to a driving signal of the controller, which is installed at a portion where the keys of at least one wind instrument of the plurality of instruments are arranged. The actuator may further include a.

본 발명에 따르면, 악기에 설치된 진동 발생기에서 발생되는 진동으로 악기의 울림 공간을 진동시켜 악기가 갖는 고유의 음을 출력시킬 수 있기 때문에, 연주자가 직접 연주하지 않더라도 악기가 갖는 고유의 음을 출력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ound generated by the vibration generator installed in the instrument can vibrate the sounding space of the instrument to output the unique sound of the instrument, even if the player does not play directly, Can b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악기형 스피커는 다수의 악기에 각각 설치된 진동 발생기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다수의 연주자가 없더라도 협주가 가능하다. 즉 악기형 스피커의 제어기는 다수의 악기에 설치된 진동 발생기에 선택적으로 구동 신호를 공급하여 개별 악기음이 각각,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출력되도록 함으로써, 오케스트라와 같은 협주를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strument-type sp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vibration generator respectively installed in a plurality of instruments, it is possible to cooperate even without a plurality of players. That is, the controller of the musical instrument speaker may selectively supply a driving signal to vibration generators installed in a plurality of musical instruments so that individual musical instrument sounds are output sequentially, simultaneously or simultaneously, thereby performing an orchestra.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악기형 스피커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진동 발생기의 세부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의 진동 발생기가 설치된 악기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제어기의 세부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악기형 스피커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악기형 스피커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진동 발생기 및 액추에이터가 설치된 악기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musical instrument speak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vibration generator of FIG. 1.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musical instrument in which the vibration generator of FIG. 1 is installed.
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controller of FIG. 1.
5 is a view showing a musical instrument speak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 musical instrument speak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musical instrument in which the vibration generator and the actuator of FIG. 6 are installed.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nly parts necessary for understand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nd the description of other parts will be omitted so as not to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 is not limited to the meaning of the terms in order to describe his invention in the best way.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merely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so that various equivalent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악기형 스피커를 보여주는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musical instrument speak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제1 실시예에 따른 악기형 스피커(100)는 악기(10)에 설치되는 진동 발생기(20)와, 진동 발생기(2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기(4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the musical instrument speaker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ncludes a vibration generator 20 installed in the musical instrument 10, and a controller 40 for controlling driving of the vibration generator 20. .

진동 발생기(20)는 악기(10)에 설치되며 구동 신호에 따라 진동을 발생시켜 악기(10)를 진동시킨다. 즉 악기(10)는 진동 발생기(20)에서 발생되는 진동에 따라 진동하여 악기(10)가 갖는 고유의 음을 출력하게 된다.The vibration generator 20 is installed in the instrument 10 to generate a vibration in accordance with the drive signal to vibrate the instrument 10. That is, the musical instrument 10 vibrates according to the vibration generated by the vibration generator 20 to output the unique sound of the musical instrument 10.

그리고 제어기(40)는 진동 발생기(20)에 구동 신호를 인가하여 진동 발생기(20)에서 발생되는 진동으로 악기(10)를 진동시켜 악기(10)가 갖는 고유의 음을 출력시킨다. 제어기(40)는 무선 통신을 통하여 진동 발생기(20)로 구동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40 applies a driving signal to the vibration generator 20 to vibrate the musical instrument 10 by the vibration generated by the vibration generator 20 to output the unique sound of the musical instrument 10. The controller 40 may transmit a driving signal to the vibration generator 20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이때 제어기(40)는 진동 발생기(20)와 무선 통신이 가능한 장치로서, 예컨대 컴퓨터, 이동통신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스마트 폰(smart phone), 타블렛 PC(Tablet PC), MP3 Player, IPTV, 스마트 TV, 네트워크 상에 구현된 장치 등이 될 수 있으며,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물론 제어기(40)는 별도로 제작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ntroller 40 is a device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vibration generator 20, for example, a compute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a smart phone, a tablet PC ( Tablet PC), MP3 Player, IPTV, smart TV, devices implemented on the network, and the like, but is not limited thereto. Of course, the controller 40 can be manufactured separately.

진동 발생기(20)는 악기(10)에 설치되며, 제어기(40)는 악기(10)에서 이격되어 무선 통신 방식으로 진동 발생기(20)에 구동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The vibration generator 20 is installed in the instrument 10, and the controller 40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instrument 10 to apply a driving signal to the vibration generator 20 in a wireless communication manner.

사용자가 악기(10)를 직접 연주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진동 발생기(20)는 탈착 가능한 구조로 악기(10)에 설치될 수 있다.Since the user may play the musical instrument 10 directly, the vibration generator 20 may be installed in the musical instrument 10 in a removable structure.

이와 같이 제1 실시예에 따른 악기형 스피커(100)는 악기(10)에 설치된 진동 발생기(20)에서 발생되는 진동으로 악기(10)를 진동시켜 악기(10)가 갖는 고유의 음을 출력시킬 수 있기 때문에, 연주자가 악기(10)를 직접 연주하지 않더라도 악기(10)가 갖는 고유의 음을 출력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instrument-type speaker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vibrates the instrument 10 by the vibration generated by the vibration generator 20 installed in the instrument 10 to output the unique sound of the instrument 10. Therefore, even if the player does not play the instrument 10 directly, the unique sound of the instrument 10 can be output.

여기서 악기(10)는 울림 공간(11)을 갖는 현악기 또는 관악기이며, 울림 공간(11)에 진동 발생기(20)가 설치된다. 예컨대 현악기로는 기타, 바이올린, 비올라, 첼로, 더블 베이스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관악기로는 플루트, 오보에, 클라리넷, 바순, 트럼펫, 트롬본, 호른, 튜바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것에 한정되는 아니다.The musical instrument 10 is a string instrument or a wind instrument having a ringing space 11, the vibration generator 20 is installed in the ringing space (11). For example, as a string instrument, a guitar, a violin, a viola, a cello, a double bass, etc. may be us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As the wind instrument, flute, oboe, clarinet, bassoon, trumpet, trombone, horn, tuba and the like can be used, but are not limited thereto.

제1 실시예에 따른 악기형 스피커(100)의 진동 발생기(20)에 대해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도 2는 도 1의 진동 발생기(20)의 세부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The vibration generator 20 of the musical instrument speaker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as follows.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vibration generator 20 of FIG.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진동 발생기(20)는 제1 무선 통신부(21)와 진동 발생부(23)를 포함한다.1 and 2, the vibration generator 20 includes a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1 and a vibration generator 23.

제1 무선 통신부(21)는 제어기(40)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며, 제어기(40)로부터 구동 신호를 수신한다. 이때 제1 무선 통신부(21)는 제어기(40)와 다양한 무선 통신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WLAN(Wireless LAN), 와이파이(Wi-Fi), 와이브로(Wibro), 와이맥스(Wimax),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의 무선 통신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는 적외선, 블루투스, 지그비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술한 통신 방식 이외에도 기타 널리 공지되었거나 향후 개발될 모든 형태의 통신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1 performs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controller 40 and receives a driving signal from the controller 40. In this case,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1 may be connected to the controller 40 in various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s. For example, wireless LAN (WLAN), Wi-Fi (Wi-Fi), Wibro (Wibro), Wimax (Wimax), HSDP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can be connected by a wireless communication scheme. Alternatively,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chemes such as infrared, Bluetooth, Zigbee, etc. may be used.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communication schemes, all other well-known or future forms of communication schemes may be used.

그리고 진동 발생부(23)는 제1 무선 통신부(21)를 통하여 제어기(40)로부터 구동 신호를 수신하면, 수신한 구동 신호에 따라 진동을 발생시킨다. 이때 진동 발생부(23)로는 트랜스듀서가 사용될 수 있다.When the vibration generator 23 receives the drive signal from the controller 40 through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1, the vibration generator 23 generates vibration in accordance with the received drive signal. In this case, a transducer may be used as the vibration generator 23.

이와 같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기(20)가 설치된 악기(10a)의 일 예에 대해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도 3은 도 1의 진동 발생기(20)가 설치된 악기(10a)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An example of the musical instrument 10a provided with the vibration generator 2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as follows. 3 is a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the musical instrument 10a in which the vibration generator 20 of FIG. 1 is installed.

도 3을 참조하면, 진동 발생기(20)는 악기(10a)의 울림 공간(11)에 설치된다. 이때 악기(10a)로는 기타를 예시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악기(10a)의 울림 공간(11)에 진동 발생기(20)를 설치하되, 진동 발생기(20)에서 발생되는 진동으로 울림 공간(11)을 통하여 악기(10a)가 갖는 고유의 음을 효과적으로 출력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Referring to FIG. 3, the vibration generator 20 is installed in the ringing space 11 of the musical instrument 10a. At this time, although the guitar is illustrated as the musical instrument 10a, it is not limited to this. The vibration generator 20 is installed in the ringing space 11 of the instrument 10a, but the sound generated by the vibration generator 20 can effectively output the unique sound of the instrument 10a through the ringing space 11. It is desirable to install in a position where possible.

한편 도 3에서는 악기(10a)의 울림 공간(11)에 제1 무선 통신부 및 진동 발생부가 일체화된 진동 발생기(20)가 설치된 예를 개시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무선 통신부와 진동 발생부는 각각 독립적으로 제조되어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1 무선 통신부는 울림 공간(11) 또는 그 외의 악기(10a) 부분에 설치될 수 있으며, 진동이 상대적으로 적게 발생되는 부분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FIG. 3, an example in which the vibration generator 20 in which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d the vibration generator are integrated is provided in the ringing space 11 of the musical instrument 10a is not limited thereto. Each of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d the vibration generator may be independently manufactured and connected by wire. In this case,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may be installed in the ringing space 11 or the other musical instrument 10a, and is preferably installed in a portion where vibration is relatively low.

다음으로 제1 실시예에 따른 악기형 스피커(100)의 제어기(40)에 대해서, 도 1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도 4는 도 1의 제어기(40)의 세부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Next, the controller 40 of the musical instrument speaker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4.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controller 40 of FIG.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어기(40)는 제2 무선 통신부(41) 및 제어부(49)를 포함하며, 입력부(43), 저장부(45) 및 출력부(47)를 더 포함할 수 있다.1 and 4, the controller 40 includes a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1 and a controller 49, and further includes an input unit 43, a storage unit 45, and an output unit 47. Can be.

제2 무선 통신부(41)는 진동 발생기(20)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며, 제어부(49)에서 생성된 구동 신호를 진동 발생기(20)로 전송한다.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1 performs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vibration generator 20, and transmits a driving signal generated by the controller 49 to the vibration generator 20.

입력부(43)는 제어기(40)의 조작을 위한 복수의 키를 제공하며, 사용자의 키선택에 따른 선택 신호를 발생하여 제어부(49)로 전달한다. 사용자는 입력부(43)를 통해 악기(10)를 통하여 출력할 음원에 대한 선택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여기서 음원은 특정 음악이거나 음소일 수 있다. 이때 입력부(43)로는 키패드, 터치패드와 같은 포인팅 장치, 터치스크린(touch screen) 등의 입력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The input unit 43 provides a plurality of keys for the operation of the controller 40, and generates and transmits a selection signal according to a user's key selection to the controller 49. The user may input a selection signal for a sound source to be output through the musical instrument 10 through the input unit 43. Here, the sound source may be specific music or phoneme. In this case, the input unit 43 may be a keypad, a pointing device such as a touch pad, or an input device such as a touch screen.

저장부(45)는 제어기(40)의 동작 제어시 필요한 프로그램과, 그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되는 정보를 저장한다. 저장부(45)는 음원에 따른 진동 발생기(20)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실행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45)에 저장된 정보는 제어기(40)의 제조 단계에서 디폴트로 저장되는 내부 정보와, 사용자가 제어기(40)의 사용 중 자신이 입력하거나 외부의 단말로부터 수신받은 외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정보는 음원 정보와, 음원 정보에 대응하는 구동 신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 신호는 악기(10)가 출력할 음에 대응하는 진동 발생기(20)의 진동 세기 및 진동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구동 신호는 진동 발생기(20)의 구동을 정지 또는 차단시키기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orage unit 45 stores a program necessary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controller 40 and information generated while executing the program. The storage unit 45 may store an execution program for generating a driving signal for driving the vibration generator 20 according to the sound source.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45 may include internal information that is stored by default at the manufacturing stage of the controller 40 and external information that the user inputs or receives from an external terminal during use of the controller 40. have. In this case, the information may include sound source information and driving signa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ound source information. The driving signal includes information about the vibration intensity and the vibration time of the vibration generator 20 corresponding to the sound to be output by the musical instrument 10. In addition, the driving signal may include information for stopping or blocking driving of the vibration generator 20.

출력부(47)는 제어기(40)에서 실행되는 각종 기능 메뉴를 비롯하여 저장부(45)에 저장된 정보를 소리 또는 영상으로 출력한다. 즉 출력부(47)는 표시부 또는 음원처리부를 포함한다.The output unit 47 outputs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45 as a sound or an image, including various function menus executed by the controller 40. That is, the output unit 47 includes a display unit or a sound source processing unit.

표시부는 제어부(49)의 제어에 따라 영상을 표시한다. 이때 영상은 음원 정보 또는 구동 신호 정보와 관련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표시부로는 LCD(Liquid Crystal Display)나 터치스크린이 사용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은 표시 장치와 입력 장치로서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한다.The display unit displays an imag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49. In this case, the image may display information related to sound source information or driving signal information. As the display unit,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or a touch screen may be used. The touch screen serves both as a display device and as an input device.

음원처리부는 제어부(49)의 제어에 따라 음원을 스피커로 출력하고, 마이크로 입력되는 음원을 디지털화하여 제어부(49)로 전송한다. 특히 음원처리부는 사용자의 선택 신호를 음성으로 입력받아 제어부(49)로 전송할 수 있다.The sound source processing unit outputs the sound source to the speake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49, and digitizes the sound source input to the microphone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 unit 49. In particular, the sound source processor may receive a user's selection signal as a voice and transmit the same to the controller 49.

그리고 제어부(49)는 제어기(40)의 전반적인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이다. 제어부(49)는 진동 발생기(20)의 구동을 제어한다. 즉 제어부(49)는 사용자의 입력부(43)를 통한 선택 신호에 따라 저장부(45)에서 구동 신호를 추출한다. 제어부(49)는 추출한 구동 신호를 제2 무선 통신부(41)를 통하여 악기(10)의 진동 발생기(20)로 전송한다.The controller 49 is a microprocessor that performs overall control operations of the controller 40. The controller 49 controls the driving of the vibration generator 20. That is, the controller 49 extracts the driving signal from the storage unit 45 according to the selection signal through the user's input unit 43. The controller 49 transmits the extracted driving signal to the vibration generator 20 of the musical instrument 10 through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1.

한편 제1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악기(10)에 설치된 진동 발생기(20)를 제어기(40)로 제어하는 예를 개시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아니다. 예컨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악기(10)에 각각 설치된 복수의 진동 발생기(20)를 하나의 제어기(40)로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Meanwhile, in the first embodiment, an example in which the vibration generator 20 installed in one musical instrument 10 is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40 is disclos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as shown in FIG. 5, a plurality of vibration generators 20 installed in the plurality of musical instruments 10 may be controlled by one controller 40.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악기형 스피커(200)를 보여주는 도면이다.5 is a view showing an instrument-type speaker 200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제2 실시예에 따른 악기형 스피커(200)는 복수의 악기(10)에 각각 설치된 복수의 진동 발생기(20)와, 복수의 악기(10)에 설치된 복수의 진동 발생기(2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기(4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5, the musical instrument speaker 2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ncludes a plurality of vibration generators 20 installed in the plurality of musical instruments 10, and a plurality of vibration generators installed in the plurality of musical instruments 10 ( And a controller 40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20.

복수의 악기(10)에 설치된 진동 발생기(20)는 각각 제어기(40)로부터 수신되는 구동 신호에 따라 진동을 발생시킨다. 진동 발생기(20)에서 발생된 진동에 의해 악기(10)의 울림 공간(11)이 진동하여 악기(10)가 갖는 고유의 음이 외부로 출력된다.The vibration generators 20 installed in the plurality of musical instruments 10 generate vibrations according to driving signals received from the controllers 40, respectively. Due to the vibration generated by the vibration generator 20, the ringing space 11 of the instrument 10 vibrates, and the unique sound of the instrument 10 is output to the outside.

그리고 제어기(40)는 복수의 악기(10)에 각각 설치된 진동 발생기(20)에 선택적으로 구동 신호를 인가하여 복수의 악기(10) 중 적어도 하나의 악기(10)가 갖는 고유의 음을 출력시킨다.The controller 40 selectively applies driving signals to the vibration generators 20 installed in the plurality of musical instruments 10 to output unique sounds of at least one of the musical instruments 10 of the plurality of musical instruments 10. .

이와 같이 제2 실시예에 따른 악기형 스피커(200)는 복수의 악기(10)에 각각 설치된 진동 발생기(20)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다수의 연주자가 없더라도 협주가 가능하다. 즉 제어기(40)는 복수의 악기(10)에 설치된 진동 발생기(20)에 선택적으로 구동 신호를 공급하여 개별 악기음이 각각,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출력되도록 함으로써, 오케스트라와 같은 협주를 수행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instrument-type speaker 2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controls the driving of the vibration generators 20 installed in the plurality of musical instruments 10, so that even if there are not a large number of players, it is possible to cooperate. That is, the controller 40 may selectively perform supply of driving signals to the vibration generators 20 installed in the plurality of musical instruments 10 so that individual musical instrument sounds are output sequentially or simultaneously, thereby performing an orchestra. .

한편 제1 실시예에서는 악기(10)에 진동 발생기(20)를 설치하는 예를 개시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악기(10)에 액추에이터(30)를 더 설치할 수도 있다.In the first embodiment, an example in which the vibration generator 20 is provided in the musical instrument 10 is disclos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as shown in FIG. 6, the actuator 30 may be further installed in the musical instrument 10.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악기형 스피커(300)를 보여주는 도면이다.6 is a view showing an instrument type speaker 300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제3 실시예에 따른 악기형 스피커(300)는 악기(10)에 설치되는 진동 발생기(20) 및 액추에이터(30)와, 제어기(40)를 포함한다. 이때 악기(10)는 적어도 하나의 키를 갖는 관악기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the musical instrument speaker 3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includes a vibration generator 20, an actuator 30, and a controller 40 installed in the musical instrument 10. At this time, the musical instrument 10 may be a wind instrument having at least one key.

진동 발생기(20)는 악기(10)에 설치되며 구동 신호에 따라 진동을 발생시킨다. 이때 진동 발생기(20)는 악기(10)의 울림 공간(11)에 설치될 수 있다. 진동 발생기(20)는 제1 실시예와 같이 제1 무선 통신부와 진동 발생부로 구성될 수 있다.The vibration generator 20 is installed in the musical instrument 10 and generates vibration in accordance with a drive signal. In this case, the vibration generator 20 may be installed in the ringing space 11 of the musical instrument 10. The vibration generator 20 may be configured of a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d a vibration generator as in the first embodiment.

제어기(40)는 진동 발생기(20)에 구동 신호를 인가하여 진동 발생기(20)에서 발생되는 진동으로 악기(10)가 갖는 고유의 음을 출력시킨다. 또한 제어기(40)는 진동 발생기(20)에 액추에이터(30)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신호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The controller 40 applies a drive signal to the vibration generator 20 and outputs a sound unique to the instrument 10 by vibration generated by the vibration generator 20. In addition, the controller 40 may transmit a driving signal for driving the actuator 30 to the vibration generator 20.

그리고 액추에이터(30)는 악기(10)의 키가 배치된 부분(13)에 설치되어 제어기(40)의 구동 신호에 따라 키를 눌렀다 떼다하여 악기(10)에서 출력되는 음을 조절한다. 이때 액추에이터(30)는 진동 발생기(20)로 전달된 구동 신호를 진동 발생기(20)로부터 전달받아 구동할 수 있다. 즉 액추에이터(30)는 진동 발생기(20)의 제1 무선 통신부로부터 구동 신호를 전달받아 구동한다. 액추에이터(30)는 복수의 키를 개별적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복수의 키에 각각 대응되게 설치된 복수의 단위 액추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ctuator 30 is installed in the portion 13 on which the key of the instrument 10 is disposed, and adjusts the sound output from the instrument 10 by pressing and releasing the key according to the driving signal of the controller 40. In this case, the actuator 30 may receive and drive the driving signal transmitted to the vibration generator 20 from the vibration generator 20. That is, the actuator 30 receives the driving signal from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of the vibration generator 20 to drive the actuator. The actuator 30 may include a plurality of unit actuators installed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keys so as to individually operate the plurality of keys.

이러한 액추에이터(30)는 악기(10)의 키가 배치된 부분(13)에 고정 방식이 아닌 탈착 방식으로 설치된다. 또한 진동 발생기(20) 또한 악기(10)의 울림 공간(11)에 탈착 방식으로 설치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직접 연주가 필요한 경우, 악기(10)에서 액추에이터(30)와 진동 발생기(20)를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다.The actuator 30 is installed in a detachable manner rather than a fixed manner in the portion 13 on which the key of the musical instrument 10 is disposed. In addition, the vibration generator 20 is also installed in the ringing space 11 of the instrument 10 in a detachable manner. Therefore, when the user needs to play directly, the actuator 10 and the vibration generator 20 may be separated from the instrument 10 and used.

이와 같이 제3 실시예에 따른 악기형 스피커(300)는 악기(10)에 진동 발생기(20)와 함께 액추에이터(30)가 설치된 구조를 갖기 때문에, 제1 및 제2 실시예와 같이 진동 발생기(20)만 설치할 때 보다 액추에이터(30)를 통하여 다양한 음을 출력시킬 수 있다.Thus, since the instrument-type speaker 3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actuator 30 is installed in the instrument 10 together with the vibration generator 20, the vibration generator ( When installing only 20, it is possible to output a variety of sounds through the actuator (30).

한편 제3 실시예에서는 진동 발생기(20)에 제1 무선 통신부가 포함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제1 무선 통신부는 진동 발생부와 별도로 제작되거나 액추에이터(30)와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Meanwhile, in the third embodiment, the vibration generator 20 has been described as including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but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may be manufactured separately from the vibration generator or may be manufactured integrally with the actuator 30.

이와 같은 제3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기(20) 및 액추에이터(30)가 설치된 악기(10b)의 일 예에 대해서 도 6 및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도 7은 도 6의 진동 발생기(20) 및 액추에이터(30)가 설치된 악기(10b)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An example of the musical instrument 10b provided with the vibration generator 20 and the actuator 3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 and 7 as follows. 7 is a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the musical instrument 10b in which the vibration generator 20 and the actuator 30 of FIG. 6 are installed.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진동 발생기(20)는 악기(10b)의 울림 공간(11)에 설치된다. 액추에이터(30)는 악기(10b)의 키가 배치된 부분(13)에 설치된다. 이때 악기(100b)로는 트럼펫을 예시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6 and 7, the vibration generator 20 is installed in the ringing space 11 of the musical instrument 10b. The actuator 30 is provided in the part 13 in which the key of the musical instrument 10b is arrange | positioned. At this time, the trumpet is illustrated as the musical instrument 100b, but is not limited thereto.

한편 도 7에서는 악기(10b)의 울림 공간(11)에 제1 무선 통신부 및 진동 발생부가 일체화된 진동 발생기(20)가 설치된 예를 개시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무선 통신부와 진동 발생부는 독립적으로 제조되어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1 무선 통신부는 울림 공간(11) 또는 그 외의 악기 부분에 설치될 수 있으며, 진동이 상대적으로 많이 발생되지 않는 부분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7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the vibration generator 20 in which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d the vibration generating unit are integrated in the ringing space 11 of the musical instrument 10b is not limited thereto.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d the vibration generator may be independently manufactured and connected by wire. At this time,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may be installed in the ringing space 11 or other musical instrument parts, it is preferable to install in a portion where vibration is relatively not generated.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specification and drawings are merely presented specific examples to aid understanding,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other modifications based 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ossible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10 : 악기
20 : 진동 발생기
21 : 제1 무선 통신부
23 : 진동 발생부
30 : 액추에이터
40 : 제어기
41 : 제2 무선 통신부
43 : 입력부
45 : 저장부
47 : 출력부
49 : 제어부
100 : 악기형 스피커
10: musical instrument
20: vibration generator
21: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3: vibration generating unit
30: actuator
40:
41: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3: input unit
45: storage unit
47: output unit
49: control unit
100: musical instrument speaker

Claims (14)

악기에 각각 설치되며, 구동 신호에 따라 진동을 발생시키고, 발생된 진동으로 상기 악기를 진동시켜 상기 악기가 갖는 고유의 음을 출력시키는 진동 발생기;
상기 진동 발생기에 구동 신호를 인가하는 제어기; 및
상기 악기의 키가 배치된 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기의 구동 신호에 따라 상기 키를 눌렀다 떼다하여 상기 악기에서 출력되는 음을 조절하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악기는 울림 공간을 갖는 현악기 또는 관악기이며, 상기 울림 공간에 상기 진동 발생기가 설치되어 상기 진동 발생기가 상기 울림 공간을 진동시켜 음을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액추에이터는 복수의 키를 개별적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복수의 키에 각각 대응되게 설치된 복수의 단위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기형 스피커.
A vibration generator installed in each of the musical instruments, the vibration generator generating vibrations according to a driving signal, and vibrating the musical instrument with the generated vibrations, thereby outputting a unique sound of the musical instrument;
A controller for applying a drive signal to the vibration generator; And
And an actuator installed at a portion where the key of the instrument is arranged to adjust the sound output from the instrument by pressing and releasing the key according to a driving signal of the controller.
The instrument is a string instrument or a wind instrument having a ringing space, the vibration generator is installed in the ringing spac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vibration generator to output the sound by vibrating the ringing space,
The actuator comprises a plurality of unit actuators installed to correspond to the plurality of keys, respectively, so that the plurality of keys can be operated individually.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발생기는,
상기 제어기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제1 무선 통신부;
상기 제1 무선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제어기로부터 구동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구동 신호에 따라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 발생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기형 스피커.
The vibration generator of claim 1,
A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controller;
A vibration generator for generating a vibration according to the driving signal when receiving a driving signal from the controller through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Instrument-type speaker comprising a.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발생부는 트랜스듀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기형 스피커.
The method of claim 3,
The vibration generating unit is a musical instrument speaker, characterized in that the transduce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진동 발생기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제2 무선 통신부;
상기 제2 무선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진동 발생기로 구동 신호를 전송시키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기형 스피커.
4. The apparatus of claim 3,
A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vibration generator;
A control unit for transmitting a driving signal to the vibration generator through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Instrument-type speaker comprising a.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사용자의 선택 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
구동 신호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한 선택 신호에 따라 상기 저장부에서 구동 신호를 추출하고, 추출한 구동 신호를 상기 제2 무선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진동 발생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기형 스피커.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controller,
An input unit for receiving a user selection signal;
Further comprising: a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driving signal information,
The controller extracts a driving signal from the storage unit according to the selection signal through the input unit, and transmits the extracted driving signal to the vibration generator through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신호는 상기 악기가 출력할 음에 대응하는 상기 진동 발생기의 진동 세기 및 진동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기형 스피커.
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driving signal includes information on the vibration intensity and vibration time of the vibration generator corresponding to the sound to be output by the instrument.
복수의 악기에 각각 설치되며, 구동 신호에 따라 진동을 발생시키고, 발생된 진동으로 상기 악기를 진동시켜 상기 악기가 갖는 고유의 음을 출력시키는 복수의 진동 발생기; 및
상기 복수의 악기에 각각 설치된 진동 발생기에 선택적으로 구동 신호를 인가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며,
상기 악기는 울림 공간을 갖는 현악기 또는 관악기이며, 상기 울림 공간에 상기 진동 발생기가 설치되어 상기 진동 발생기가 상기 울림 공간을 진동시켜 음을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복수의 악기 중 적어도 하나의 관악기의 키가 배치된 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기의 구동 신호에 따라 상기 키를 눌렀다 떼다하여 상기 관악기에서 출력되는 음을 조절하는 액추에이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액추에이터는 복수의 키를 개별적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복수의 키에 각각 대응되게 설치된 복수의 단위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기형 스피커.
A plurality of vibration generators installed in a plurality of musical instruments, respectively, for generating vibrations according to driving signals, and for vibrating the musical instruments with the generated vibrations, thereby outputting unique sounds of the musical instruments; And
And a controller for selectively applying a drive signal to vibration generators installed in the plurality of musical instruments, respectively.
The instrument is a string instrument or a wind instrument having a ringing space, the vibration generator is installed in the ringing spac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vibration generator to output the sound by vibrating the ringing space,
An actuator installed at a portion of which the keys of at least one wind instrument of the plurality of musical instruments are arranged to adjust the sound output from the wind instrument by pressing and releasing the key according to a driving signal of the controller;
The actuator comprises a plurality of unit actuators installed to correspond to the plurality of keys, respectively, so that the plurality of keys can be operated individually.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복수의 악기에 설치된 진동 발생기에 각각, 순차적 또는 동시에 구동 신호를 인가하여 협주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기형 스피커.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controller,
An instrument-type speaker,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is performed to apply the drive signal to each of the vibration generators installed in the plurality of instruments sequentially or simultaneously.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발생기는,
상기 제어기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제1 무선 통신부;
상기 제1 무선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제어기로부터 구동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구동 신호에 따라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 발생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기형 스피커.
The vibration generator of claim 9,
A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controller;
A vibration generator for generating a vibration according to the driving signal when receiving a driving signal from the controller through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unit;
Instrument-type speaker comprising a.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사용자의 선택 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
구동 신호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진동 발생기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제2 무선 통신부;
상기 제2 무선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진동 발생기로 구동 신호를 전송시키되, 상기 입력부를 통한 선택 신호에 따라 상기 저장부에서 구동 신호를 추출하고, 추출한 구동 신호를 상기 제2 무선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진동 발생기로 전송시키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기형 스피커.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controller,
An input unit for receiving a user selection signal;
A storage unit which stores driving signal information;
A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vibration generator;
The driving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vibration generator through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he driving signal is extracted from the storage unit according to the selection signal through the input unit, and the extracted driving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vibration generator through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 control unit for transmitting;
Instrument-type speaker comprising a.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20131601A 2012-11-20 2012-11-20 Speaker of a musical instrument type KR10138950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1601A KR101389500B1 (en) 2012-11-20 2012-11-20 Speaker of a musical instrument typ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1601A KR101389500B1 (en) 2012-11-20 2012-11-20 Speaker of a musical instrument typ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9500B1 true KR101389500B1 (en) 2014-04-29

Family

ID=506587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1601A KR101389500B1 (en) 2012-11-20 2012-11-20 Speaker of a musical instrument typ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9500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8606B1 (en) * 2017-07-17 2018-07-13 김진구 Stringed instruments having an music outputting functio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1709Y1 (en) 2005-12-16 2006-03-20 (주)사운드스케이프 Stringed instrument having sound vibrator
JP2007065196A (en) 2005-08-30 2007-03-15 Yamaha Corp Actuator for brass instrument performance, and brass instrument player
JP2008034998A (en) 2006-07-26 2008-02-14 Kirihara Sangyo:Kk Automatic violi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65196A (en) 2005-08-30 2007-03-15 Yamaha Corp Actuator for brass instrument performance, and brass instrument player
KR200411709Y1 (en) 2005-12-16 2006-03-20 (주)사운드스케이프 Stringed instrument having sound vibrator
JP2008034998A (en) 2006-07-26 2008-02-14 Kirihara Sangyo:Kk Automatic violi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8606B1 (en) * 2017-07-17 2018-07-13 김진구 Stringed instruments having an music outputting func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Overholt et al. Advancements in actuated musical instruments
CN107424593B (en) Digital musical instrument of touch-control type curved surface stereo loudspeaker array is moved to regional stroke
EP2946479A1 (en) Synthesizer with bi-directional transmission
US10418012B2 (en) Techniques for dynamic music performance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TW201737239A (en) Musical instrument with intelligent interface
JP2018146876A (e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sound production control method, and program
JP6492933B2 (en) CONTROL DEVICE, SYNTHETIC SINGING SOUND GENERATION DEVICE, AND PROGRAM
JP5130348B2 (en) Karaoke collaboration using portable electronic devices
KR101389500B1 (en) Speaker of a musical instrument type
US10805475B2 (en) Resonance sound signal generation device, resonance sound signal generation metho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storing resonance sound signal generation program and electronic musical apparatus
US11508342B2 (en) Shoulder rest with haptic feedback
Michalakos The augmented drum kit: an intuitive approach to live electronic percussion performance
CN101777342A (en) Electric keyboard instrument
CN106981279B (en) Piano sound compensation method and system
JP6582517B2 (en) Control device and program
Lupone et al. Research at Rome's Centro Ricerche Musicali on Interactive and Adaptive Installations and on Augmented Instruments
KR102597777B1 (en) Portable piano
JP7440727B2 (en) Rhythm comprehension support system
Martin Creating mobile computer music for percussionists: Snow Music
JP2010231248A (e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KR101063941B1 (en) Musical equipment system for synchronizing setting of musical instrument play, and digital musical instrument maintaining the synchronized setting of musical instrument play
CN104424934A (en) Instrument-type loudspeaker
JP2008191691A (en) Electronic keyboard musical instrument
RU2573369C1 (en) Piano-guitar
JP2020178324A (en) Stringed instru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