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9051B1 - Wireless hdmi system and wireless module therfor - Google Patents

Wireless hdmi system and wireless module therf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9051B1
KR101389051B1 KR1020120072737A KR20120072737A KR101389051B1 KR 101389051 B1 KR101389051 B1 KR 101389051B1 KR 1020120072737 A KR1020120072737 A KR 1020120072737A KR 20120072737 A KR20120072737 A KR 20120072737A KR 101389051 B1 KR101389051 B1 KR 1013890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power
hdmi
module
wire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273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005472A (en
Inventor
최진구
Original Assignee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727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9051B1/en
Publication of KR201400054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547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90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905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6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 H04W52/0274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switching on or off the equipment or part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2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d protocol, e.g. IEEE 1394
    • H04N21/43635HDM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7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less protocol, e.g. Bluetooth, RF or wireless LAN [IEEE 802.11]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18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Power Source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는 무선 HDMI 시스템은, HDMI 데이터를 제공받아 HDMI 데이터를 처리하여 출력하는 싱크 디바이스; 외부의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HDMI 데이터를 무선으로 수신받아 처리하여 상기 싱크 디바이스로 전달하며, 상기 싱크 디바이스로부터의 무선모듈 제어신호에 따라 HDMI 데이터의 처리를 이행하는 HDMI 처리모듈 또는 무선 통신을 이행하는 무선통신모듈로의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는 무선모듈;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A wireless HDMI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ink device that receives HDMI data and processes and outputs HDMI data; Receives HDMI data from an external source device, processes it wirelessly, delivers it to the sink device, and performs an HDMI processing module or wireless communication for performing HDMI data processing according to a wireless module control signal from the sink device. And a wireless module for supplying or cutting off power to the module.

Figure R1020120072737
Figure R1020120072737

Description

무선 HDMI 시스템 및 그를 위한 무선모듈{WIRELESS HDMI SYSTEM AND WIRELESS MODULE THERFOR} Wireless HDD system and wireless module therefor {WIRELESS HDMI SYSTEM AND WIRELESS MODULE THERFOR}

본 발명은 무선 HDMI((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무선 HDMI 시스템에 구비되는 무선모듈에 의한 전력 소모를 감소시키는 무선 HDMI 시스템 및 그를 위한 무선모듈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HDMI)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wireless HDMI system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by a wireless module provided in the wireless HDMI system and a wireless module therefor.

최근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다양해짐에 따라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재생하고 전송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들도 함께 발전하였으며, 이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들 간의 신호연결을 간편하고 손실없이 할 수 있는 다양한 인터페이스 기술도 개발되고 있다.Recently, as multimedia contents are diversified, multimedia devices for reproducing and transmitting multimedia contents have also been developed. Various interface technologies for simple and lossless signal connection between the multimedia devices have been developed.

대표적인 멀티미디어 인터페이스로는 DVI와 HDMI가 있다. Representative multimedia interfaces include DVI and HDMI.

상기 DVI(Digital Visual Interface)는 모니터와 PC를 디지털로 연결하기 위해 디지털 디스플레이 워킹그룹(DIGITAL DISPLAY WORKING GROUP)이라고 불리는 컴퓨터 업계의 주요 회사들이 구성한 컨소시엄에서 제정한 전송규격이다. 이러한 DVI 규격은 PC와 모니터뿐만 아니라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주변기기 등에 그 적용대상을 확장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DVI를 기반으로 고선명 멀티미디어 환경에 적합한 HDMI 규격이 개발되어 상용화되기 시작하고 있다.The DVI (Digital Visual Interface) is a transmission standard established by a consortium formed by major companies in the computer industry called DIGITAL DISPLAY WORKING GROUP to digitally connect a monitor and a PC. The DVI standard is expanding its application not only to PCs and monitors but also to plasma displays and peripherals. Recently, HDMI standard suitable for high-definition multimedia environment based on DVI has been developed and commercialized.

상기 HDMI는 압축되지 않은 풀 디지털 오디오와 비디오 신호를 통합하여 전송할 수 있는 초고속 멀티미디어 인터페이스로서, 모든 ATSC, HDTV를 전송할 수 있으며, 오디오/비디오 소스, 셋탑박스와 DVD 플레이어, 모니터, 디지털 TV와 같은 장치들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The HDMI is a high-speed multimedia interface that integrates and transmits uncompressed full digital audio and video signals, and can transmit all ATSC and HDTV, and devices such as audio / video sources, set-top boxes and DVD players, monitors, and digital TVs. Provides an interface between them.

이러한 HDMI는 5 기가 bps급의 디지털 비디오와 오디오를 압축하지 않고 그대로 처리함으로써 회로가 간단하고 품질의 열화가 발생하지 않으며, HDCP(High-bandwidth Digital Content Protection)에 의한 콘텐츠의 저작권 보호가 지원되고, 단일 케이블 연결로 사용이 간편한 장점이 있다. By processing 5 gigabit bps-grade digital video and audio without any compression, HDMI has a simple circuit, no quality degradation, and supports copyright protection of content by HDCP (High-bandwidth Digital Content Protection). The advantage is easy to use with a single cable connection.

또한, 컴퓨터 산업에서 사용되는 DVI와 상호 호환이 가능하여, 그 적용 대상이 날로 발전하고 있는 멀티미디어 인터페이스이다.It is also compatible with DVI, which is used in the computer industry, and is being applied to the multimedia interface.

상기의 HDMI 규격에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복수 개의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들을 간단히 제어할 수 있는 사용자 전자 제어(CEC) 및 CEC 버스가 정의되어 있다. 상기 CEC에 따르면, HDMI로 연결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들에 대한 제어를 개별적으로 하지 않고도 하나의 기기를 통해 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편리하게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들을 연동시켜 동작시킬 수 있다. The HDMI standard defines a user electronic control (CEC) and a CEC bus that can easily control a plurality of networked multimedia devices. According to the CEC, the user can conveniently operate the multimedia devices by interworking with each other since the devices can be controlled through one device without individually controlling the multimedia devices connected by HDMI.

상술한 바와 같은 장점이 있는 HDMI 역시 케이블을 사용하여 유선으로 각 디바이스들을 연결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이러한 케이블의 사용으로 말미암아 각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사이의 연결이 번거로워지며, 각 디바이스의 이동성이 제한되어 그 설치에 제약이 따르는 단점이 있었다. HDMI, which has the advantages described above, is also generally connected to each device by wire using a cable. However, the use of such a cable makes the connection between the multimedia devices cumbersome, and the mobility of each device is limited, thereby limiting its installation.

이에따라 HDMI 데이터를 무선으로 전송하는 무선 HDMI 기술이 제안되었다. 상기 무선 HDMI 기술에 대한 예를들면 대한민국 특허청에 HDMI의 무선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을 명칭으로 하여 특허출원된 제10-2006-0059979호가 있다. Accordingly, a wireless HDMI technology for wirelessly transmitting HDMI data has been proposed. For example, the Korean Patent Office has a patent application No. 10-2006-0059979 in the name of the radio interface device and method of the HDMI.

상기 특허출원된 기술은 N개의 디바이스들과, 상기 N개의 디바이스들에 각각 연결된 N개의 무선통신 수단들로 구성되는 HDMI 기반 시스템에서, 상기 N개의 디바이스들 중의 제1 디바이스; 및 상기 제1 디바이스에 연결되는 상기 N개의 무선통신 수단들 중의 제1 무선통신 수단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제1 무선통신 수단은, 상기 N개의 디바이스들 중의 제2 디바이스에 연결된 상기 N개의 무선통신 수단들 중의 제2 무선통신 수단과 오디오/비디오 신호를 무선통신하며, 상기 오디오/비디오 신호를 무선통신하는 사이사이에, 상기 N개의 디바이스들 중의 제1 디바이스를 제외한 나머지 디바이스들의 위치와 무선주소를 포함하는 정보를 갱신하기 위해, 상기 N개의 무선통신 수단들 중의 상기 제1 무선통신 수단을 제외한 나머지 무선통신 수단들과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HDMI의 무선 인터페이스 장치를 개시한다. The patented technology comprises: a first device of the N devices in an HDMI based system consisting of N devices and N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connected to the N devices, respectively; And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of the N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connected to the first device, wherein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is the N wireless devices connected to a second device of the N devices. Between the second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of the communication means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of the audio / video signal,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of the audio / video signal, the location and radio address of the remaining devices except the first one of the N devices In order to update the information including a,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wireless interface device of HDMI for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with other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except for the first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of the N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상기한 바와 같은 무선 HDMI 시스템의 구성시에는 각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마다 무선통신수단과 연결하여 무선통신경로를 형성하였다.In the configuration of the wireless HDMI system as described above, a wireless communication path is formed for each multimedia device by connecting with a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무선통신수단과 멀티미디어 디바이스가 별도로 장치로 구성됨에 따라 효율적인 전력제어가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However,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and the multimedia device are configured as separate devices, there is a problem that efficient power control is not achieved.

즉, 멀티미디어 디바이스가 스텐바이 모드이거나 전원 오프 상태이어서 무선통신이 불필요한 경우에도 무선통신수단은 전원 온되어 정상동작하였으며, 이는 불필요한 전력소모를 야기시켰다.
That is, even when the multimedia device is in the standby mode or the power-off state, even if wireless communication is unnecessary,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is powered on and operated normally, which causes unnecessary power consumption.

본 발명은 무선 HDMI 시스템에 구비되는 무선모듈의 각부에 대한 구동전원 공급 여부를 그 무선모듈과 연결된 싱크 디바이스의 상태에 대응되게 가변하여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는 무선 HDMI 시스템 및 그를 위한 무선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ireless HDMI system and a wireless module for minimizing unnecessary power consumption by varying whether or not the driving power supply to each part of the wireless module provided in the wireless HDMI system corresponding to the state of the sink device connected to the wireless module. It is for that purpos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는 무선 HDMI 시스템은, HDMI 데이터를 제공받아 HDMI 데이터를 처리하여 출력하는 싱크 디바이스; 외부의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HDMI 데이터를 무선으로 수신받아 처리하여 상기 싱크 디바이스로 전달하며, 상기 싱크 디바이스로부터의 무선모듈 제어신호에 따라 HDMI 데이터의 처리를 이행하는 HDMI 처리모듈 또는 무선 통신을 이행하는 무선통신모듈로의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는 무선모듈;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wireless HDMI system, comprising: a sink device that receives HDMI data and processes and outputs HDMI data; Receives HDMI data from an external source device, processes it wirelessly, delivers it to the sink device, and performs an HDMI processing module or wireless communication for performing HDMI data processing according to a wireless module control signal from the sink device. And a wireless module for supplying or cutting off power to the module.

상기한 본 발명은 무선 HDMI 시스템에 구비되는 무선모듈의 각부에 대한 구동전원 공급 여부를 그 무선모듈과 연결된 싱크 디바이스의 상태에 대응되게 가변하여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는 효과를 야기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ing power is supplied to each part of the wireless module provided in the wireless HDMI system to correspond to the state of the sink device connected to the wireless module, thereby minimizing unnecessary power consumption.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HDMI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모듈의 구성도.
도 3은 도 2의 무선모듈의 상태천이도.
도 4는 도 2의 전력관리부의 상세구성도.
1 is a block diagram of a wireless HDMI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of a wireless modu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tate transition diagram of the wireless module of FIG.
4 is a detailed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power management unit of FIG.

본 발명은 무선 HDMI 시스템에 구비되는 무선모듈의 각부에 대한 구동전원 공급 여부를 그 무선모듈과 연결된 싱크 디바이스의 상태에 대응되게 가변하여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최소화한다.
The present invention changes the supply of driving power to each part of the wireless module provided in the wireless HDMI system corresponding to the state of the sink device connected to the wireless module to minimize unnecessary power consumption.

<무선 HDMI 시스템의 구성도><Configuration diagram of the wireless HDMI system>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HDMI 시스템의 구성을 도 1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The configuration of a wireless HDMI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1.

상기 무선 HDMI 시스템은 제1 내지 제N소스 디바이스(1001~100N)와, 상기 제1 내지 제N소스 디바이스(1001~100N)에 연결되어 제2무선모듈(104)을 통해 상기 제1 내지 제N소스 디바이스(1001~100N)와 싱크 디바이스(106)와의 무선통신을 담당하는 제1무선모듈(102)과, 상기 제1 내지 제N소스 디바이스(1001~100N)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의 HDMI 데이터를 제공받아 처리하여 AV 데이터를 출력하는 싱크 디바이스(106)와, 상기 싱크 디바이스(106)에 연결되어 상기 제1무선모듈(100)을 통해 상기 제1 내지 제N소스 디바이스(1001~100N)와 싱크 디바이스(106) 사이의 무선통신을 담당하는 제2무선모듈(104)로 구성된다. The wireless HDMI system is connected to first to Nth source devices 1001 to 100N and the first to Nth source devices 1001 to 100N and is connected to the first to Nth through a second wireless module 104. Provides the first wireless module 102 in charge of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source devices 1001-100N and the sink device 106, and HDMI data from at least one of the first to Nth source devices 1001-100N. A sink device 106 that receives and processes the AV data, and is connected to the sink device 106 and the first to Nth source devices 1001 to 100N and the sink device through the first wireless module 100. And a second wireless module 104 in charge of wireless communication therebetween.

상기 제1 내지 제N소스 디바이스(1001~100N)로는 비디오 카메라, DVD 플레이어, 셋 톱 박스, 컴퓨터 본체 등이 있다. The first to Nth source devices 1001 to 100N include a video camera, a DVD player, a set top box, a computer main body, and the like.

상기 싱크 디바이스(106)로는 HDMI 입력 포트를 갖는 장치로 TV, 모니터, 프로젝트 등이 있다. The sink device 106 is a device having an HDMI input port, such as a TV, a monitor, a project, and the like.

상기 제1 내지 제N소스 디바이스(1001~100N)와 상기 싱크 디바이스(106)는 CEC(Consumer Electronics Control) 규정에 따라 디바이스 사이의 CEC 명령(CEC Command)을 송수신하기 위해 양방향 통신을 제공한다. The first to Nth source devices 1001 to 100N and the sink device 106 provide bidirectional communication to transmit and receive a CEC command between devices in accordance with Consumer Electronics Control (CEC).

상기한 CEC 규정에 따른 제어기능으로는 싱크 디바이스(106)에 대한 전원제어명령이 포함된다. 이로는 스텐바이 모드 절환명령, 파워 온, 파워 오프, 웨이크업, 리셋, 션트 오프(Shunt_off), 션트 다운(Shunt_down) 등이 있다.The control function according to the above CEC regulations includes a power control command for the sink device 106. This includes a standby mode switching command, power on, power off, wake up, reset, shunt off (Shunt_off), and shunt down (Shunt_down).

상기 CEC 규정에 따른 제어기능에 대해 좀 더 설명하면, 원 터치 플레이(One touch play), 스텐바이(system standby), 원 터치 레코드(one touch record), 덱 콘트롤(deck control), 튜너 콘트롤(tuner control), 디바이스 메뉴 콘트롤(device manu control), 리모트 콘트롤 패스 쓰루(remote control pass through), 디바이스 OSD 네임 트랜스퍼(device OSD name transfer), 디바이스 전력 상태(device power status), OSD 디스플레(OSD display), 라우팅 콘트롤(routing control), 시스템 정보(system information), 밴더 상세 커멘드(vandor specific command) 등이 있다.In more detail, the control function according to the CEC regulations is described as: one touch play, standby, one touch record, deck control, tuner control. control, device manu control, remote control pass through, device OSD name transfer, device power status, OSD display, Routing control, system information, and vendor specific commands.

이에 본 발명의 싱크 디바이스(106)는 상기 제1 내지 제N소스 디바이스(1001~100N) 중 어느 하나로부터 제공되는 CEC 제어명령을 토대로 스텐바이 모드로 절환하거나 파워 오프하거나 파워 온함은 물론이고, 그에 따른 제2무선모듈(104)에 대한 무선모듈 제어신호들, POWER_EN 신호, WAKE_UP 신호, RESET 신호, 션트 다운(Shunt down) 신호, 션트 오프(shunt off) 신호를 생성하여 제2무선모듈(104)로 제공한다. Accordingly, the sink device 106 of the present invention switches to the standby mode, powers off, or powers on the standby mode based on the CEC control command provided from any one of the first to Nth source devices 1001 to 100N. The second wireless module 104 generates the wireless module control signals, the POWER_EN signal, the WAKE_UP signal, the RESET signal, the shunt down signal, and the shunt off signal for the second wireless module 104. To provide.

상기 제2무선모듈(104)은 상기 싱크 디바이스(106)로부터의 무선모듈 제어신호들인 POWER_EN 신호, WAKE_UP 신호, RESET 신호, 션트 오프(Shunt_off) 신호, 션트 다운(Shunt_down) 신호에 따라 풀 온 상태와 파워 세이브 상태와 오프 상태와 디스에이블 상태로 천이하면서 동작하며, 이로서 전력소모를 최소화한다.
The second wireless module 104 is in a pull-on state according to a POWER_EN signal, a WAKE_UP signal, a RESET signal, a shunt off signal, and a shunt down signal that are wireless module control signals from the sink device 106. It operates by transitioning from the power save state to the off and disable states, thereby minimizing power consumption.

<싱크 디바이스와 상기 제2무선모듈의 구성><Configuration of the sink device and the second wireless module>

상기 싱크 디바이스(106)와 상기 제2무선모듈(104)의 구성을 도 2를 참조하여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 The configuration of the sink device 106 and the second wireless module 104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2.

상기 싱크 디바이스(106)는 전원부(200)와 MCU(202)와 AV 프로세서(204)와 HDMI 처리모듈(206)로 구성된다. The sink device 106 includes a power supply unit 200, an MCU 202, an AV processor 204, and an HDMI processing module 206.

상기 전원부(200)는 상용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싱크 디바이스(106)를 구성하는 각부에 구동전원인 POWER_5V을 공급함과 아울러, 그 구동전원을 제2무선모듈(104)로 제공한다. The power supply unit 200 receives commercial power and supplies POWER_5V, which is driving power, to each of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sink device 106, and provides the driving power to the second wireless module 104.

상기 MCU(202)는 상기 싱크 디바이스(106)의 각부를 전반적으로 제어함과 아울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제2무선모듈(104)을 통해 어느 한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제공된 CEC 명령 및 미도시된 자신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를 통한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스텐바이 모드로 절환하거나 파워 오프하거나 파워 온함은 물론이고, 그에 따른 제2무선모듈(104)에 대한 무선모듈 제어신호들인 POWER_EN 신호, WAKE_UP 신호, RESET 신호, 션트 오프(Shunt_off) 신호, 션트 다운(Shunt_down) 신호를 생성하여 제2무선모듈(104)로 제공한다. The MCU 202 controls the respective parts of the sink device 106 as well as the CEC command and not shown provided from any source device through the second wireless module 104 in accordance with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switching to the standby mode, powering off or powering-on according to a user's request through the user's own user interface device, the POWER_EN signal, WAKE_UP signal, which are wireless module control signals for the second wireless module 104 accordingly, A RESET signal, a shunt off signal, and a shunt down signal are generated and provided to the second wireless module 104.

상기 Power_EN 신호는 싱크 디바이스(106)의 MCU(202)에서 CEC 명령에 따라 제2무선모듈(104)로 전송하는 것으로, 제2무선모듈(104)은 상기 POWER_EN 신호의 상태(0 또는 1)에 따라서 무선통신모듈(212)과 HDMI 처리모듈(214)의 전원 공급 여부를 결정한다. 즉, 상기 POWER_EN 신호가 1 상태(high)일 때 전원공급 제어부(210)는 전원을 무선통신모듈(212) 및 HDMI 처리모듈(214)에 공급하고, 상기 POWER_EN 신호가 로우상태(low)일 때, 무선통신모듈(212)의 베이스밴드(Baseband) 모듈과 RF 칩과 HDMI 처리모듈(214)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게 한다. The Power_EN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MCU 202 of the sink device 106 to the second wireless module 104 according to a CEC command, and the second wireless module 104 is in a state (0 or 1) of the POWER_EN signal. Therefore,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power supply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212 and the HDMI processing module 214 is supplied. That is, when the POWER_EN signal is 1, the power supply controller 210 supplies power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212 and the HDMI processing module 214, and when the POWER_EN signal is low. The power is not supplied to the baseband module, the RF chip, and the HDMI processing module 214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212.

상기 Reset 신호는 상기 싱크 디바이스(106)의 MCU(202)가 제2무선모듈(104)로 전송하는 것으로, 이 신호가 0 상태(low)이면 상기 제2무선모듈(104)은 리셋(reset)되어 모든 동작이 정지되고 초기화한다. The reset signal is transmitted by the MCU 202 of the sink device 106 to the second wireless module 104. When the signal is low, the second wireless module 104 resets. All operations are stopped and initialized.

상기 Wake_up 신호는 상기 싱크 디바이스(106)의 MCU(202)가 제2무선모듈(104)로 전송하는 것으로, 이 신호가 액티브(Active) 상태가 될 때 파워세이브 상태였던 제2무선모듈(104)의 무선통신모듈(212) 및 HDMI 처리모듈(214)에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풀 온상태로 천이한다. The Wake_up signal is transmitted by the MCU 202 of the sink device 106 to the second wireless module 104. The second wireless module 104 was in a power save state when the signal became an active state. Transition to a pull-on state for supplying driving power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212 and the HDMI processing module 214 of the.

상기 AV 프로세서(204)는 상기 MCU(202)의 제어에 따라 어느 한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제공된 AV 데이터를 처리하여 미도시된 AV 출력모듈을 통해 출력한다. The AV processor 204 processes AV data provided from one source device under the control of the MCU 202 and outputs the AV data through an AV output module (not shown).

상기 HDMI 처리모듈(206)은 상기 MCU(202)의 제어에 따라 제2무선모듈(104)을 통해 수신된 HDMI 데이터를 처리하여 AV 데이터는 상기 AV 프로세서(204)로 제공하고 나머지 제어관련 데이터는 MCU(202)에 제공한다.
The HDMI processing module 206 processes the HDMI data received through the second wireless module 104 under the control of the MCU 202 to provide AV data to the AV processor 204 and the rest of the control related data. To the MCU 202.

상기 제2무선모듈(104)은 전력관리부(208)과 전원공급부(210)와 무선통신모듈(212)과 HDMI 처리모듈(214)로 구성된다. The second wireless module 104 includes a power management unit 208, a power supply unit 210,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212, and an HDMI processing module 214.

상기 전력관리부(208)는 싱크 디바이스(106)로부터의 구동전원 POWER_5V를 제공받아 구동함과 아울러 상기 구동전원을 상기 전원공급부(210)에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전력관리부(208)는 싱크 디바이스(106)로부터의 제어명령들 중 일부인 POWER_EN 신호, WAKE_UP 신호, RESET 신호와 상기 HDMI 처리모듈(206)로부터의 CEC 신호에 따라 전원제어신호 M_POWER EN을 생성하여 전원공급 제어부(210)에 제공한다. The power manager 208 receives and drives the driving power POWER_5V from the sink device 106 and provides the driving power to the power supply 210. In addition, the power manager 208 generates a power control signal M_POWER EN according to a POWER_EN signal, a WAKE_UP signal, a RESET signal, and a CEC signal from the HDMI processing module 206, which are some of the control commands from the sink device 106. It is provided to the power supply control unit 210.

상기 전원공급 제어부(210)는 상기 전력관리부(208)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제어신호 M_POWER EN 및 상기 싱크 디바이스(106)로부터 제공되는 제어명령들 션트 오프(Shunt_off) 신호, 션트 다운(Shunt_down) 신호에 따라 무선통신모듈(212)과 HDMI 처리모듈(214)에 대해 구동전원을 공급한다. The power supply control unit 210 according to the power control signal M_POWER EN provided from the power management unit 208 and the control commands shunt_off signal and the shunt_down signal provided from the sink device 106. The driving power is supplied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212 and the HDMI processing module 214.

상기 무선통신모듈(212)은 상기 전원공급 제어부(210)로부터 구동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며, 어느 한 소스 디바이스와 상기 싱크 디바이스(106) 사이의 HDMI 데이터의 송수신을 이행한다.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212 operates by receiving driving power from the power supply controller 210, and performs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HDMI data between any one source device and the sink device 106.

상기 HDMI 처리모듈(206)은 상기 무선통신모듈(212)을 통해 수신된 HDMI 데이터를 처리하여 상기 싱크 디바이스(106)로 전달하거나, 상기 싱크 디바이스(106)로부터 HDMI 데이터를 제공받아 처리하여 상기 무선통신모듈(212)을 통해 송신한다.The HDMI processing module 206 processes and transmits HDMI data received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212 to the sink device 106 or receives and processes HDMI data from the sink device 106 to process the wireless data. Transmit through communication module 212.

특히 상기 HDMI 처리모듈(206)은 HDMI 데이터에 포함된 CEC 신호를 검출하고, 이를 전력관리부(208) 및 전원공급부(210)에 제공한다.
In particular, the HDMI processing module 206 detects the CEC signal included in the HDMI data and provides the same to the power management unit 208 and the power supply unit 210.

<무선모듈의 상태 천이><Status Transition of Wireless Module>

상기한 제2무선모듈(104)의 상태천이를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The state transition of the second wireless module 104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상기 제2무선모듈(104)은 크게 싱크 디바이스(106)로부터의 무선모듈 제어신호인 POWER_EN 신호를 제공받아 그 신호가 0 레벨이면 모든 구성에 대해 구동전원을 차단하는 디스에이블상태로 천이한다. The second wireless module 104 receives the POWER_EN signal, which is a radio module control signal from the sink device 106, and transitions to the disable state in which the driving power is cut off for all components when the signal is 0 level.

그리고 상기 제2무선모듈(104)은 상기 싱크 디바이스(106)로부터의 무선모듈 제어신호인 POWER_EN 신호가 1 레벨인 상태에서 전력관리부(208)로부터의 전원제어신호인 M_POWER_EN 신호가 1 레벨이면 모든 구성에 대해 전원을 공급하는 풀 온 상태로 동작하고, 그 풀 온 상태에서 CEC 신호가 스탠바이 상태를 나타내면 제1일부 구성에 대해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파워 세이브 상태로 천이하고, 그 풀 온 상태에서 Shunt_off 신호가 제공되면 제2일부 구성에 대해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무선모듈 오프 상태로 천이한다. 여기서 상기 제1일부 구성에는 HDMI 처리모듈(206)이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제2일부 구성에는 HDMI 처리모듈(206)과 무선통신모듈(212)이 포함된다. The second wireless module 104 configures all components when the M_POWER_EN signal, which is the power control signal from the power management unit 208, is 1 level while the POWER_EN signal, which is a wireless module control signal from the sink device 106, is 1 level. It operates in the pull-on state, which supplies power to the power supply, and when the CEC signal indicates the standby state in the pull-on state, transitions to the power save state that cuts off the power supply for the first some configuration, and the Shunt_off signal in the pull-on state. If is provided, the transition to the wireless module off state to cut off the power supply for the second some configuration. The first some configuration includes an HDMI processing module 206. The second partial configuration includes an HDMI processing module 206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212.

상기 파워 세이브 상태에서 싱크 디바이스(106)로부터의 제어신호인 WAKE_UP 신호가 제공되거나 CEC 신호가 액티비티 상태를 나타내면 상기 풀 온 상태로 천이하고, 션트 오프(Shunt_off) 신호가 제공되면 제2일부 구성에 대해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무선모듈 오프 상태로 천이한다. In the power save state, when a WAKE_UP signal, which is a control signal from the sink device 106, is provided or a CEC signal indicates an activity state, the state transitions to the pull-on state, and when a shunt off signal is provided, Transition to wireless module off state which cuts off power supply.

상기 무선모듈 오프 상태에서 싱크 디바이스(106)로부터의 제어신호인 WAKE_UP 신호가 제공되거나 CEC 신호가 액티비티 상태를 나타내면 상기 풀 온 상태로 천이한다.
When the WAKE_UP signal, which is a control signal from the sink device 106, is provided or the CEC signal indicates an activity state in the radio module off state, the state transitions to the pull on state.

<전력 관리부(208)의 구성><Configuration of Power Management Unit 208>

상기 제2무선모듈(104)의 전력 관리부(208)의 구성 및 동작을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ower management unit 208 of the second wireless module 104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4.

상기 전력 관리부(208)는 제1 및 제2인버터(300,302)와 D_플립플롭(304)과 앤드게이트(304)로 구성된다. The power management unit 208 includes first and second inverters 300 and 302, a D flip-flop 304, and an end gate 304.

상기 D_플립플롭(304)의 D 단자에는 구동전원인 POWER_5V가 연결되고, CLK 단자에는 제1인버터(300)를 통해 반전된 CEC 상태신호가 입력되고, 상기 PRE 단자에는 RESET 신호가 입력되고, CLR 단자에는 WAKE_UP 신호가 입력된다. The D_ flip-flop 304 is connected to the POWER_5V driving power to the D terminal, the inverted CEC state signal is input to the CLK terminal, the RESET signal is input to the PRE terminal, The WAKE_UP signal is input to the CLR terminal.

상기 앤드게이트(304)에는 상기 POWER_EN 신호와 상기 D_플립플롭(304)의 출력 Q가 입력된다. The AND gate 304 receives the POWER_EN signal and the output Q of the D_ flip-flop 304.

상기한 전력 관리부(208)의 D_플립플롭(304)은 WAKE_UP 신호가 제공되거나 RESET 신호에 의해 리셋되거나, CEC 신호가 액티비티를 나타내는 경우에 1 상태(HIGH)의 출력을 출력한다. The D flip-flop 304 of the power management unit 208 outputs an output of one state (HIGH) when the WAKE_UP signal is provided or reset by the RESET signal, or when the CEC signal indicates the activity.

상기 앤드게이트(304)는 상기 POWER_EN 신호와 상기 D_플립플롭(304)의 출력 Q가 동시에 1 상태(HIGH)인 경우에 1 상태(HIGH)의 출력을 출력하며, 이 앤드게이트(304)의 출력이 전원제어신호 M_POWER_EN이다. The AND gate 304 outputs an output of one state HIGH when the POWER_EN signal and the output Q of the D_ flip-flop 304 are in one state HIGH at the same time. The output is power control signal M_POWER_EN.

상기 전원공급 제어부(210)는 상기 전력 관리부(208)가 출력하는 전원제어신호 M_POWER_EN과 CEC 상태신호, 션트 오프 신호, 션트 다운 신호에 따라 무선통신모듈(212)과 HDMI 처리모듈(214)의 전원 공급 여부를 결정하여, 선택적으로 전원을 공급한다. The power supply control unit 210 supplies power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212 and the HDMI processing module 214 according to the power control signal M_POWER_EN, the CEC status signal, the shunt off signal, and the shunt down signal output from the power management unit 208. Determine whether to supply, selectively supply power.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싱크 디바이스가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제공받은 CEC 명령에 따라 파워 세이브 상태로 절환하거나, 웨이크 업하거나, 전원 오프하거나, 전원 온하는 것에 대응되게 파워 세이브 상태로 절환하거나, 웨이크 업하거나, 전원 오프하거나 전원 온한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k device switches to a power save state, wakes up, or powers up in response to a power save state, wake up, power off, or power on according to a CEC command provided from a source device. Turn off or power on.

즉, 싱크 디바이스가 파워 세이브 상태이면 HDMI 처리 모듈의 사용이 이루어지지 않을 것으로 판단하여 HDMI 처리모듈의 전원공급을 차단하고, 싱크 디바이스가 전원 오프상태이면 소스 디바이스와 무선통신조차 이행하지 않을 것으로 판단하여 무선통신모듈 및 HDMI 처리모듈의 전원공급을 모두 차단한다. That is, when the sink device is in the power save state,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 of the HDMI processing module will not be performed, and thus the power supply of the HDMI processing module is cut off. Shut off both power supply of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nd HDMI processing module.

이로서 본 발명은 무선모듈에 의한 불필요한 전력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As a result, the present invention can minimize unnecessary power consumption by the wireless module.

1001~100N : 제1 내지 제N소스 디바이스
102 : 제1무선모듈
104 : 제2무선모듈
106 : 싱크 디바이스
1001 to 100N: first to Nth source device
102: first wireless module
104: second wireless module
106: sink device

Claims (5)

무선 HDMI 시스템에 있어서,
HDMI 데이터를 제공받아 HDMI 데이터를 처리하여 출력하는 싱크 디바이스;
외부의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HDMI 데이터를 무선으로 수신받아 처리하여 상기 싱크 디바이스로 전달하며, 상기 싱크 디바이스로부터의 무선모듈 제어신호에 따라 HDMI 데이터의 처리를 이행하는 HDMI 처리모듈 또는 무선 통신을 이행하는 무선통신모듈로의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는 무선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무선모듈은,
외부의 소스 디바이스와 HDMI 데이터의 무선 송수신을 담당하는 무선통신모듈;
상기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수신된 HDMI 데이터를 처리하여 미리 정해둔 싱크 디바이스로 전달하거나, 미리 정해둔 싱크 디바이스로부터 HDMI 데이터를 제공받아 처리하여 상기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송신하는 HDMI 처리모듈;
상기 미리 정해둔 싱크 디바이스로부터의 무선모듈 제어신호를 제공받아 전원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전력 관리부; 및
상기 전력 관리부로부터 전원제어신호를 제공받아 상기 무선통신모듈 및 상기 HDMI 처리모듈로 구동전원을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전원공급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력 관리부는,
상기 HDMI 처리모듈로부터 제공되는 CEC 신호를 반전시켜 출력하는 제1 인버터;
WAKE-UP 신호를 반전시켜 출력하는 제2 인버터;
D 단자에는 구동전원 신호가 입력되고, CLK 단자에는 제1 인버터의 출력 신호가 입력되고, PRE 단자에는 RESET 신호가 입력되고, CLR 단자에는 WAKE-UP 신호가 입력되는 D-플립플롭; 및
D-플립플롭의 출력신호와 POWER_EN 신호가 입력되며, 출력신호가 전원공급 제어부로 제공되는 앤드게이트;
를 포함하며, 상기 POWER_EN 신호는 싱크 디바이스로부터 제공되는 무선모듈 제어신호로서 무선통신모듈과 HDMI 처리모듈의 전원공급여부를 결정하는 제어신호이며, 상기 RESET 신호 및 상기 WAKE-UP 신호는 싱크 디바이스로부터 제공되는 무선 모듈 제어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HDMI 시스템.
In a wireless HDMI system,
A sink device that receives the HDMI data and processes and outputs the HDMI data;
Receives HDMI data from an external source device, processes it wirelessly, delivers it to the sink device, and performs an HDMI processing module or wireless communication for performing HDMI data processing according to a wireless module control signal from the sink device. And a wireless module that supplies or cuts power to the module.
The wireless module,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for wirelessly transmitting and receiving HDMI data with an external source device;
An HDMI processing module for processing the HDMI data received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nd transferring the received HDMI data to the predetermined sink device, or receiving and processing the HDMI data from the predetermined sink device and transmitting the processed HDMI data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 power management unit receiving a wireless module control signal from the predetermined sink device and generating a power control signal; And
And a power supply controller which receives a power control signal from the power management unit and selectively provides driving power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HDMI processing module.
The power management unit,
A first inverter for inverting and outputting a CEC signal provided from the HDMI processing module;
A second inverter for inverting and outputting a WAKE-UP signal;
A D-flip-flop to which a driving power signal is input to the D terminal, an output signal of the first inverter is input to the CLK terminal, a RESET signal is input to the PRE terminal, and a WAKE-UP signal is input to the CLR terminal; And
An AND gate to which an output signal of the D-flip flop and a POWER_EN signal are input, and the output signal is provided to a power supply controller;
Wherein the POWER_EN signal is a wireless module control signal provided from the sink device and is a control signal for determining whether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HDMI processing module are powered. The RESET signal and the WAKE-UP signal are provided from the sink device. Wireless HDMI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signal is a wireless modu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싱크 디바이스가 상기 외부의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제공된 제어명령에 대응되게 상기 무선모듈 제어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제어명령은 상기 소스 디바이스가 제공한 스텐바이 모드 절환명령 또는 파워 오프 또는 파워 온 또는 웨이크업 또는 리셋 또는 션트 다운 또는 션트 오프임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HDMI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sink device generates the radio module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command provided from the external source device,
And the control command is a standby mode switching command or power off or power on or wake up or reset or shunt down or shunt off provided by the source device.
무선 HDMI 시스템을 위한 무선모듈에 있어서,
외부의 소스 디바이스와 HDMI 데이터의 무선 송수신을 담당하는 무선통신모듈;
상기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수신된 HDMI 데이터를 처리하여 미리 정해둔 싱크 디바이스로 전달하거나, 미리 정해둔 싱크 디바이스로부터 HDMI 데이터를 제공받아 처리하여 상기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송신하는 HDMI 처리모듈;
상기 미리 정해둔 싱크 디바이스로부터의 무선모듈 제어신호를 제공받아 전원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전력 관리부;
상기 전력 관리부로부터 전원제어신호를 제공받아 상기 무선통신모듈 및 상기 HDMI 처리모듈로 구동전원을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전원공급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력 관리부는,
상기 HDMI 처리모듈로부터 제공되는 CEC 신호를 반전시켜 출력하는 제1 인버터;
WAKE-UP 신호를 반전시켜 출력하는 제2 인버터;
D 단자에는 구동전원 신호가 입력되고, CLK 단자에는 제1 인버터의 출력 신호가 입력되고, PRE 단자에는 RESET 신호가 입력되고, CLR 단자에는 WAKE-UP 신호가 입력되는 D-플립플롭; 및
D-플립플롭의 출력신호와 POWER_EN 신호가 입력되며, 출력신호가 전원공급 제어부로 제공되는 앤드게이트;
를 포함하며, 상기 POWER_EN 신호는 싱크 디바이스로부터 제공되는 무선모듈 제어신호로서 무선통신모듈과 HDMI 처리모듈의 전원공급여부를 결정하는 제어신호이며, 상기 RESET 신호 및 상기 WAKE-UP 신호는 싱크 디바이스로부터 제공되는 무선 모듈 제어신호이며,
상기 무선모듈 제어신호는, 상기 소스 디바이스가 상기 싱크 디바이스의 전원 제어를 위해 제공한 스텐바이 모드 절환명령 또는 파워 오프 명령 또는 파워 온 명령 또는 웨이크 업 명령 또는 리셋 명령에 따라 생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모듈.
In the wireless module for a wireless HDMI system,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for wirelessly transmitting and receiving HDMI data with an external source device;
An HDMI processing module for processing the HDMI data received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nd transferring the received HDMI data to the predetermined sink device, or receiving and processing the HDMI data from the predetermined sink device and transmitting the processed HDMI data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 power management unit receiving a wireless module control signal from the predetermined sink device and generating a power control signal;
And a power supply controller which receives a power control signal from the power management unit and selectively provides driving power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HDMI processing module.
The power management unit,
A first inverter for inverting and outputting a CEC signal provided from the HDMI processing module;
A second inverter for inverting and outputting a WAKE-UP signal;
A D-flip-flop to which a driving power signal is input to the D terminal, an output signal of the first inverter is input to the CLK terminal, a RESET signal is input to the PRE terminal, and a WAKE-UP signal is input to the CLR terminal; And
An AND gate to which an output signal of the D-flip flop and a POWER_EN signal are input, and the output signal is provided to a power supply controller;
Wherein the POWER_EN signal is a wireless module control signal provided from the sink device and is a control signal for determining whether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HDMI processing module are powered. The RESET signal and the WAKE-UP signal are provided from the sink device. Is a wireless module control signal,
The wireless modul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according to a standby mode switching command or a power off command or a power on command or a wake up command or a reset command provided by the source device for power control of the sink device. module.
삭제delet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 제어부는,
상기 미리 정해둔 싱크 디바이스로부터의 션트 다운 명령 또는 션트 오프 명령에 따라 무선통신모듈 및 상기 HDMI 처리모듈에 대한 전원 공급을 차단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모듈.
The method of claim 3,
The power supply control unit,
And supplying power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HDMI processing module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shunt down command or a shunt off command from the sink device.
KR1020120072737A 2012-07-04 2012-07-04 Wireless hdmi system and wireless module therfor KR10138905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2737A KR101389051B1 (en) 2012-07-04 2012-07-04 Wireless hdmi system and wireless module ther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2737A KR101389051B1 (en) 2012-07-04 2012-07-04 Wireless hdmi system and wireless module therf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5472A KR20140005472A (en) 2014-01-15
KR101389051B1 true KR101389051B1 (en) 2014-04-28

Family

ID=501408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2737A KR101389051B1 (en) 2012-07-04 2012-07-04 Wireless hdmi system and wireless module therf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9051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20897A (en) * 2007-08-24 2009-02-27 삼성전자주식회사 A wireless video system and a wireless video receiver controlled according to a control command of an externa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wireless video system thereof
KR20110022160A (en) * 2009-08-27 2011-03-0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Wireless av reception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20897A (en) * 2007-08-24 2009-02-27 삼성전자주식회사 A wireless video system and a wireless video receiver controlled according to a control command of an externa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wireless video system thereof
KR20110022160A (en) * 2009-08-27 2011-03-0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Wireless av reception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5472A (en) 2014-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47999B2 (en) Electrical power saving system
EP2351141B1 (en) Transmission of alternative content over standard device connectors
US7889201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US20160085280A1 (en) Adaptive power configuration for a mhl and hdmi combination multimedia device
TWI482485B (en) Audio/video system, control method of an audio/video system, and display device
JP4846841B2 (en) Communication device
US10846041B2 (en) Audio and video processors
US20130038801A1 (en)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US9720638B2 (en) Display system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US20130024709A1 (en) Display device, host device, display system, methods of controlling the display device, the host device, and the display system
JP2009060204A (en) Device used in common as source and sink
KR20090020897A (en) A wireless video system and a wireless video receiver controlled according to a control command of an externa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wireless video system thereof
US8767123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output switching control method
US20130159751A1 (en) Installation or device with a 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KR101389051B1 (en) Wireless hdmi system and wireless module therfor
CN116209971A (en)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JP2009260730A (en) Video-recording and playback system, and outlet strip
EP3451680B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KR102349363B1 (en) Image Processing System, Image Display Apparatus, Interface Device for Saving Power, Electronic Device and Driving Method of Image Display Apparatus
KR20090047798A (en) Video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09065584A (en) Video signal communication apparatus
JP2014021598A (en) Electronic device, and video system
KR101330217B1 (en) Control device of power for monitor and computer system and the method thereof
US20130031591A1 (en) Internet Protocol Television
EP2237263A1 (en) Method and circuit for controlling HDMI related blocks&#39; power in a sink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