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8980B1 - Head mounted display apparatus - Google Patents

Head mounted display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8980B1
KR101388980B1 KR1020120091346A KR20120091346A KR101388980B1 KR 101388980 B1 KR101388980 B1 KR 101388980B1 KR 1020120091346 A KR1020120091346 A KR 1020120091346A KR 20120091346 A KR20120091346 A KR 20120091346A KR 101388980 B1 KR101388980 B1 KR 1013889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user
housing
head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134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025121A (en
Inventor
권순재
김동균
최장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도담시스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도담시스템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도담시스템스
Priority to KR10201200913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8980B1/en
Publication of KR201400251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512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89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898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7/0172Head mounted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7/0176Head mounted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2Viewing or reading apparatus
    • G02B27/022Viewing apparatu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23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devices increasing the field of view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32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binocular syste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4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information/image processing syste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027/0178Eyeglass type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되는 착용부, 상기 착용부에 설치되며 상기 사용자의 안면에 위치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사용자의 시선 방향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및 상기 하우징 내부의 상기 디스플레이와 상기 사용자의 시선 방향 사이에 설치되는 광학계를 구비하고, 상기 광학계는 상기 디스플레이에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비구면 렌즈와 상기 비구면 렌즈와 상기 사용자의 시선 방향 사이에 설치되는 구면렌즈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장치는 고해상도를 제공하는 마이크로 디스플레이의 화상을 광학계를 거쳐서 투시할 때 화상의 왜곡을 최소화하여 사용자에게 안정적이고, 선명한 화상을 제공할 수 있고, 또한 양안에 각각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사이의 간격 및 양안과 디스플레이 간의 거리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여 신체적 특성에 맞도록 위치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The head mounted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earing part worn on a user's head, a housing installed on the wearing part and positioned on the face of the user, a display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and positioned in the user's gaze direction and the And an optical system installed between the display inside the housing and the user's gaze direction, wherein the optical system is installed between at least one aspherical lens and the aspheric lens and the user's gaze direction install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display. Including a spherical lens, the head mounted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able and clear image to a user by minimizing distortion of the image when the image of the micro display providing high resolution is viewed through an optical system. Number And, also it has the effect of the adjustment to enable the distances between the distance and both eyes and the display between the display respectively located in both sides to enable the position control to match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Description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장치{HEAD MOUNTED DISPLAY APPARATUS}Head Mounted Display Devices {HEAD MOUNTED 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헤드에 착용되어 사용자의 양안 각각에 영상을 제공하도록 하는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d mounted display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head mounted display device to be worn on the user's head to provide an image to each of the eyes of the user.

일반적으로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장치(Head Mounted Display: HMD)는 사용자의 헤드에 착용되는 헤드 마운트와 헤드 마운트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눈에 근접하여 영상을 제공하는 근접 디스플레이(Near-to-eyes display)를 구비한다. 또한 근접 디스플레이는 통상적으로 한 개 내지는 두 개의 미소시현소자와 확대 렌즈(Magnify lens) 및 이와 관련된 광학계를 구비한다. In general, a head mounted display (HMD) includes a head mount worn on a user's head and a near-to-eyes display coupled to the head mount to provide an image close to the user's eyes. do. In addition, the proximity display typically includes one or two micro display elements, a magnify lens, and an associated optical system.

이러한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장치는 최근 군사, 의료 및 교육용 영상 시스템과 오락용 가상현실 시스템 등의 영상 구현을 위한 용도로 주로 사용되고 있고, 최근에는 가정용 또는 휴대용 영상장치에도 활용되고 있다. 그리고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장치는 초점거리가 매우 짧게 구현되며 단안형(Monocular Type) 또는 양안형(Binocular Type)으로 구분되기도 한다. Recently, the head mounted display device is mainly used for realizing images of military, medical and educational imaging systems and entertainment virtual reality systems, and recently, it is also used in home or portable imaging devices. In addition, the head mounted display device has a very short focal length and may be classified into a monocular type or a binocular type.

한편,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확대 렌즈를 사용하는 이유는 근접 디스플레이의 이미지가 매우 작은 표시 면적으로 표시되므로 사용자가 최대한 큰 화면을 시청할 수 있도록 이미지를 확대시키기 위한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확대 렌즈와 광학계를 사용하게 되면 필연적으로 광학적인 왜곡(Optical Distortion)이 발생한다. 이 광학적인 왜곡은 장시간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장치를 착용하는 경우 눈에 심한 피로감을 유발시켜 장시간 착용이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Meanwhile, the reason why the enlarged lens is used in the head mounted display device is to enlarge the image so that the user can watch the largest screen as the image of the proximity display is displayed with a very small display area. However, when the magnifying lens and the optical system are used, optical distortion inevitably occurs. This optical distortion causes severe fatigue on the eyes when the head mounted display device is worn for a long time, which makes it difficult to wear for a long time.

더욱이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장치는 매우 짧은 초점 거리를 가지므로 광학적인 왜곡 현상은 더욱 두드려지게 나타나는 문제가 있다. 한편, 이러한 왜곡 현상은 광학계의 디자인에 따라 최소화될 수 있지만 완전하게 해소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그리고 영상처리방법을 이용하여 왜국을 일부 해소할 수 있지만 이 경우에는 고비용의 하드웨어 구성이 요구되므로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하기에 한계가 있다.
Furthermore, since the head mounted display device has a very short focal length, there is a problem that the optical distortion phenomenon is more noticeable. On the other hand, such distortion may be minimized depending on the design of the optical system, but it is difficult to completely eliminate it. In addition, the image processing method can be used to solve a part of the Korean soup, but in this case, a high-cost hardware configuration is required, there is a limit to apply to the head mounted display device.

미국 공개특허 US2011/0234584, "HEAD-MOUNTED DISPLAY DEVICE",US published patent US2011 / 0234584, "HEAD-MOUNTED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광학계의 렌즈 구성으로 발생하는 왜곡 현상을 최소화하도록 하고, 착용 및 사용효율을 보다 향상시키도록 한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ead mounted display device to minimize the distortion caused by the lens configuration of the optical system, and to further improve the wear and use efficiency. .

본 발명에 따른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되는 착용부, 상기 착용부에 설치되며 상기 사용자의 안면에 위치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사용자의 시선 방향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및 상기 하우징 내부의 상기 디스플레이와 상기 사용자의 시선 방향 사이에 설치되는 광학계를 구비하고, 상기 광학계는 상기 디스플레이에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비구면 렌즈와 상기 비구면 렌즈와 상기 사용자의 시선 방향 사이에 설치되는 구면렌즈를 포함한다.The head mounted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earing part worn on a user's head, a housing installed on the wearing part and positioned on the face of the user, a display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and positioned in the user's gaze direction; And an optical system installed between the display inside the housing and the user's gaze direction, wherein the optical system is disposed between at least one aspherical lens and the aspheric lens and the user's gaze direction install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display. It includes a spherical lens to be installed.

상기 비구면 렌즈는 상기 디스플레이와 마주하는 일면에 소정 폭의 포물면이 형성된 제 1비구면 렌즈와 상기 제 1비구면 렌즈의 타면에 위치하며, 상기 제 1비구면 렌즈의 상기 타면에 접하는 일면에 이중 곡면이 형성된 제 2비구면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The aspherical lens is position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first aspherical lens and the first aspherical lens having a parabolic surface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on one surface facing the display, and the double curved surface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aspherical lens in contact with the other surface. It may include two aspherical lenses.

상기 디스플레이의 상하폭은 상기 제 1비구면 렌즈의 상기 포물면의 폭 이하일 수 있다. The vertical width of the display may be equal to or less than the width of the parabolic surface of the first aspherical lens.

상기 구면렌즈와 상기 비구면렌즈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블랙영역이 축소되어 와이드뷰(wide view)를 제공할 수 있도록 상하부가 커팅될 수 있다.The spherical lens and the aspherical lens may be cut i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to reduce the black area of the display to provide a wide view.

상기 구면렌즈는 상기 비구면렌즈측과 인접하는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사용자의 시선 방향으로 볼록한 평볼록렌즈와 상기 평볼록렌즈의 볼록면과 인접한 위치에 설치된 양볼록렌즈와 상기 양볼록렌즈의 상기 사용자의 시선 방향으로 위치하며 상기 양볼록렌즈의 볼록구면과 접하는 오목면을 가지는 평오목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The spherical lens is install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aspherical lens side and is a convex lens convex in the direction of the user's eyes and a convex lens and a convex lens of the biconvex lens install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convex surface of the flat convex lens. It may include a spherical concave lens positioned in the eye direction and having a concav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convex sphere of the biconvex lens.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가속도 센서가 설치될 수 있다.An acceleration sensor may be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상기 디스플레이와 상기 광학계는 상기 사용자의 좌안과 우안에 대응하는 제 1디스플레이와 제 1광학계 및 제 2디스플레이와 제 2광학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display and the optical system may include a first display, a first optical system, a second display, and a second optical system corresponding to the left and right eyes of the user.

상기 제 1디스플레이와 상기 제 2디스플레이로 영상을 제공하는 프로세서를 구비하고, 상기 프로세서로 영상 신호를 제공하는 외부 소스를 구비할 수 있다.The processor may include a processor configured to provide an image to the first display and the second display, and an external source configured to provide an image signal to the processor.

상기 외부 소스는 휴대 가능하고, 소스 이미지가 저장된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The external source is portable and may include a memory in which a source image is stored.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영상을 제 1디스플레이와 상기 제 2디스플레이로 분할하여 제공할 수 있다.The processor may provide the image by dividing the image into a first display and a second display.

상기 착용부는 상기 사용자의 머리 둘레를 감싸는 헤드 밴드부와 헤드 밴드부의 양측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머리 상부를 감싸는 헤드 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헤드 밴드부와 상기 헤드 지지부는 사용자의 머리 크기에 맞도록 내경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조절부를 구비할 수 있다.The wearing part includes a head band part surrounding the head of the user and a head support part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head band part to surround the user's head, and the head band part and the head support part adjust an inner diameter to fit the head size of the user. It may be provided with a control unit to enable.

상기 헤드 밴드부에는 설치 브라켓이 설치되고, 상기 설치 브라켓에는 스윙 암이 설치되며, 상기 스윙 암은 각각 평행하게 연장되며 각각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장공이 형성된 제 1암과 제 2암을 구비할 수 있다.An installation bracket is installed on the head band portion, a swing arm is installed on the installation bracket, and the swing arms may have a first arm and a second arm each having a long hole extending in parallel with each other. have.

상기 제 1암과 제 2암의 사이에는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결합되어 연장된 하우징 지지부가 위치하고, 상기 제 1암의 상기 장공과 상기 하우징 지지부 그리고 상기 제 2암의 상기 장공을 차례로 관통하는 조절 볼트를 구비할 수 있다.An adjustment bolt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arm and the second arm, the housing support being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and extending through the long hole of the first arm, the housing support, and the long hole of the second arm. It may be provided.

상기 하우징 지지부에는 상기 하우징 지지부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장공이 형성될 수 있다.The housing support may have a long hol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using support.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제 1렌즈 커버와 제 2렌즈 커버가 구비되고, 각각의 상기 제 1렌즈 커버와 상기 제 2렌즈 커버의 하부에는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제 1렌즈 커버와 상기 제 2렌즈 커버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노브가 구비될 수 있다.A first lens cover and a second lens cover are provided inside the housing, and a lower portion of each of the first lens cover and the second lens cover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to expose the first lens cover and the second lens cover. A knob may be provided to adjust the gap between the lens covers.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제 1렌즈 커버와 상기 제 2렌즈 커버의 조절 동작을 안내하는 가이드바와 상기 제 1렌즈 커버와 상기 제 2렌즈 커버를 가압 지지하는 판스프링이 구비될 수 있다.The housing may include a guide bar for guiding the adjustment operation of the first lens cover and the second lens cover, and a leaf spring for pressing and supporting the first lens cover and the second lens cover.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장치는 고해상도를 제공하는 마이크로 디스플레이의 화상을 광학계를 거쳐서 투시할 때 화상의 왜곡을 최소화하여 사용자에게 안정적이고, 선명한 화상을 제공할 수 있고, 또한 양안에 각각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사이의 간격 및 양안과 디스플레이 간의 거리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여 신체적 특성에 맞도록 위치 조절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렌즈의 일부를 플라스틱 렌즈로 사용하고, 렌즈의 불필요한 상하 단부를 커팅하여 무게를 줄이도록 한 효과가 있다.
The head mounted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can provide a stable and clear image to the user by minimizing the distortion of the image when the image of the micro display providing high resolution through the optical system. The distance between the displays positioned on both eyes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eyes and the display can be adjusted so that the position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physical characteristics. In addition, by using a portion of the lens as a plastic lens, there is an effect to reduce the weight by cutting the unnecessary upper and lower ends of the len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a와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장치의 하우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장치의 하우징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장치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장치에 구비된 광학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장치에 구비된 광학계의 왜곡율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head mounted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A and 2B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 housing of a head mounted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housing of a head mounted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lock diagram of a head mounted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tical system provided in the head mounted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graph measuring a distortion ratio of an optical system included in a head mounted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 head mounted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may be embodied in various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To be fully inform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a와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장치의 하우징(200)을 도시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head mounted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2a and 2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housing 200 of the head mounted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과 도 2a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되는 착용부(100)와 이 착용부(100)에 설치되며 사용자의 안면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하우징(200)을 구비한다. As shown in FIGS. 1 and 2A and 2B, the head mounted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wearing part 100 and the wearing part 100 which are worn on the user's head and is placed on the face of the user. It is provided with a display housing 200 located.

착용부(100)는 사용자의 머리 둘레를 감싸는 헤드 밴드부(110)와 헤드 밴드부(110)의 양측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머리 상부를 감싸는 헤드 지지부(130)를 구비한다. 헤드 밴드부(110)와 헤드 지지부(130)는 사용자의 머리 크기에 맞도록 내경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밴드 조절부(120)와 지지 조절부(140)가 구비된다. 이 각각의 조절부(120)(140)에는 조임 볼트가 설치되어 착용과 조절이 이루어진 상태에 대한 고정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The wearing part 100 includes a head band part 110 surrounding a head of a user and a head support part 130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head band part 110 to surround an upper part of a user's head. The head band unit 110 and the head support unit 130 are provided with a band adjusting unit 120 and the support adjusting unit 140 to adjust the inner diameter to match the size of the user's head. Tightening bolts are installed on each of the adjusting parts 120 and 140 to be fixed to a state in which wearing and adjustment are made.

그리고 헤드 밴드부(110)의 전방에는 설치 브라켓(111)이 설치되고, 이 설치 브라켓(111)에는 스윙 암(112)(113)이 설치된다. 스윙 암(112)(113)은 각각 평행하게 연장된 제 1암(112)과 제 2암(113)을 구비하고, 이 각각의 스윙 암(112)(113)에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장공(112a)(113a)이 형성된다.In addition, the mounting bracket 111 is installed at the front of the head band part 110, and swing arms 112 and 113 are installed at the mounting bracket 111. The swing arms 112 and 113 each have a first arm 112 and a second arm 113 extending in parallel, and each of the swing arms 112 and 113 has a long hol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 112a) 113a are formed.

그리고 제 1암(112)과 제 2암(113)의 사이에는 하우징(200)의 상부에 결합되어 연장된 하우징 지지부(210)가 그 사이에 위치한다. 하우징 지지부(210)에는 하우징 지지부(21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장공(211)이 형성된다. 따라서 제 1암(112)의 장공(112a)과 하우징 지지부(210)의 장공(211) 그리고 제 2암(113)의 장공(113a)을 차례로 관통한 조절 볼트(160)가 설치되어 제 1암(112)과 하우징 지지부(210) 그리고 제 2암(113)이 서로 락 또는 언락(lock 또는 unlock) 되도록 한다.In addition, a housing support portion 210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200 and extended between the first arm 112 and the second arm 113 is positioned therebetween. The housing support 210 has a long hole 211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using support 210. Therefore, the adjustment bolt 160 which penetrates the long hole 112a of the 1st arm 112, the long hole 211 of the housing support part 210, and the long hole 113a of the 2nd arm 113 is installed, and a 1st arm is installed. The 112, the housing support 210, and the second arm 113 are locked or unlocked from each other.

한편, 도 2a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00)은 사각의 함체 형상이며, 하측 중앙부분에 사용자의 코 부분이 안착되는 콧등이 안착되는 안착부(203)가 형성되고, 사용자의 양안의 외측 시야를 막아주는 가림부(204)가 형성된다. Meanwhile, as shown in FIGS. 2A and 2B, the housing 200 has a rectangular enclosure shape, and a seating portion 203 is formed in a lower center portion in which a nose, etc., in which a user's nose is seated is seated, and both eyes of a user are formed. An obstruction portion 204 is formed to block the outer field of view.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장치의 하우징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housing of a head mounted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이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200)은 전방 커버(220), 후방 커버(230), 상부 커버(240)로 구성되어 전체적인 외관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부 커버(240)의 하측에는 동작 제어를 위한 프로세스(252) 및 가속도 센서(251)를 포함하는 헤드 트렉커가 구비된 제어 보드(250)가 구비된다. 제어 보드(250)의 하부에는 프레임(260)이 구비된다.As shown in FIG. 3, the housing 200 forming the exterior as described above is composed of the front cover 220, the rear cover 230, and the upper cover 240 to form an overall appearance. In addition, a control board 250 having a head tracker including a process 252 and an acceleration sensor 251 for controlling an operation is provided below the upper cover 240. The frame 260 is provided below the control board 250.

프레임(260)의 하부에는 각각이 상부 렌즈 커버(271)와 하부 렌즈 커버(272)로 된 제 1렌즈 커버(270)와 제 2렌즈 커버(280)가 구비되고, 각각의 제 1렌즈 커버(270)와 제 2렌즈 커버(290)의 내부에는 광학계(300)(310)와 마이크로 디스플레이(320)(330)가 설치된다. The lower part of the frame 260 is provided with a first lens cover 270 and a second lens cover 280, each of which consists of an upper lens cover 271 and a lower lens cover 272, and each first lens cover ( The optical system 300, 310, and the micro display 320, 330 are installed in the interior of the second lens cover 290 and 270.

그리고 각각의 렌즈 커버(270)(280)의 하부에는 노브(290)가 설치되는데, 이 노브(290)는 각각의 렌즈 커버(270)(280)가 측면 방향으로 위치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이를 위하여 제어 보드(250)와 프레임(260) 사이에는 각각의 렌즈 커버(270)(280) 상부에 형성된 고리 형태의 4개의 가이드부(271)를 지지하는 가이드 바(291)가 설치되고, 또한 조절된 위치에서 각각의 렌즈 커버(270)(280)가 안정적으로 위치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판스프링(292)이 각각 설치된다. And a lower portion of each lens cover 270, 280 is provided with a knob 290, the knob 290 is to allow the respective lens cover 270, 280 to adjust the position in the lateral direction. . In addition, for this purpose, a guide bar 291 is provided between the control board 250 and the frame 260 to support four guide parts 271 having a ring shape formed on each lens cover 270 and 280. In addition, leaf springs 292 are installed to allow each lens cover 270 and 280 to be stably held at the adjusted position.

그리고 하우징(200)의 후방 커버(230)의 사용자 안면에 착용되는 부분에 사용자의 좌안과 우안이 위치할 수 있도록 하는 제 1투시창(201)과 제 2투시창(202)이 각각 구비된다. A first viewing window 201 and a second viewing window 202 are provided to allow the left eye and the right eye of the user to be positioned at a portion worn on the user face of the rear cover 230 of the housing 200.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학계(300)(310)와 함께 설치되는 마이크로 디스플레이(320)(330)는 사용자의 시선 방향으로 화상을 표시하고, 마이크로 디스플레이(320)(330)와 투시창(201)(202) 사이에는 다수개의 렌즈로 구성된 광학계(300)(310)가 구비된다. 4 is a block diagram of a head mounted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4, the micro display 320 and 330 installed together with the optical system 300 and 310 display an image in the direction of the user's eye, and the micro display 320 and 330 and the viewing window 201. Between the 202, the optical system 300, 310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lenses is provided.

마이크로 디스플레이(320)(330)는 1280 X 1024 인 고해상도의 마이크로 박막 디스플레이 장치가 사용된다. 예를 들어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또는 LCD(liquid crystal display)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스케일러를 사용하여 최소부품으로 구현할 수 있다. The micro display 320, 330 is a high resolution micro thin film display device of 1280 × 1024. For exampl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OLEDs) or liquid crystal displays (LCDs) may be used.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with a minimum component using a scaler.

한편 디스플레이(320)(330)는 제 1투시창(201)이 위치하는 방향에 설치되는 제 1디스플레이(320)와 제 2투시창(202)에 위치하는 방향에 설치되는 제 2디스플레이(330)를 구비한다. 그리고 제 1디스플레이(320)와 제 1투시창(201) 사이에는 제 1광학계(300)가 구비되고, 제 2디스플레이(330)와 제 2투시창(202) 사이에는 제 2광학계(310)가 구비된다. Meanwhile, the display 320 or 330 includes a first display 320 install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viewing window 201 is located and a second display 330 installed in a direction located in the second viewing window 202. do. The first optical system 300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display 320 and the first viewing window 201, and the second optical system 310 is provided between the second display 330 and the second viewing window 202. .

그리고 하우징(200)의 내부의 제어 보드(250)에 가속도 센서(251)와 함께 설치된 헤드 트렉커는 사용자의 헤드가 움직이는 것에 따라 화면도 함께 이동하도록 하는 적응적 화상을 디스플레이에 제공하는 모션 트렉킹(motion tracking) 동작이 가능하게 한다. In addition, the head tracker installed together with the acceleration sensor 251 on the control board 250 inside the housing 200 may provide motion tracking for providing an adaptive image to the display to move the screen as the user's head moves. motion tracking) enable motion.

또한 하우징(200)의 내부에는 제 1디스플레이(320)와 상기 제 2디스플레이(330)로 영상을 제공하는 프로세서(252)가 설치된다. 한편, 프로세서(252)는 영상을 제 1디스플레이(320)와 상기 제 2디스플레이(330)로 분할하여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a processor 252 for providing an image to the first display 320 and the second display 330 is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200. The processor 252 may divide an image into a first display 320 and a second display 330, and provide the divided image.

프로세서(252)로 영상 신호를 제공하는 외부 소스(400)를 구비한다. 외부 소스(400)는 하우징(200)의 외부에 별도로 마련될 수 있다. 즉 외부 소스(400)는 휴대 가능하며, 내부에 소스 이미지가 저장된 메모리가 구비된 휴대형 컴퓨터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고, 외부 소스(400)와 하우징(200) 사이는 USB 또는 HDMI와 같은 유선 방법으로 데이터 송신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고, 또는 무선 근거리 통신 방법으로 데이터 송수신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USB 또는 HDMI를 이용하여 외부 소스(400)로부터 디스플레이(310)(330) 및 제어 보드(250)의 동작을 위한 전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An external source 400 for providing an image signal to the processor 252 is provided. The external source 400 may be separately provided outside the housing 200. That is, the external source 400 is portable and may include a portable computer terminal having a memory in which a source image is stored therein, and the external source 400 and the housing 200 may be connected by a wired method such as USB or HDMI. Data transmission may be performed, or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may be performed by a wireless local area communication method. In addition, power for the operation of the display 310 and 330 and the control board 250 may be provided from the external source 400 using USB or HDMI.

한편, 제 1광학계(300)와 제 2광학계(310)는 동일한 구성으로 실시된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제 1광학계(300)에 대한 실시예를 설명하며 이를 통하여 제 2광학계(310)의 구성을 이해할 수 있다.Meanwhile, the first optical system 300 and the second optical system 310 are implemented in the same configuration. Therefore, hereinafter, the embodiment of the first optical system 300 will be described, and through this, the structure of the second optical system 310 can be understood.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장치에 구비된 광학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학계(300)(310)는 디스플레이(320)(330)에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비구면 렌즈(301)(302)와 비구면 렌즈(301)(302)와 투시창(201)(202) 사이에 설치되는 구면렌즈(303)(304)(305)를 포함한다.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tical system provided in the head mounted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5, the optical system 300 and 310 may include at least one aspherical lens 301 and 302 and aspheric lens 301 and 302 installed in a position adjacent to the display 320 and 330. And spherical lenses 303 and 304 and 305 provided between the 201 and 202.

비구면 렌즈(301)(302)는 디스플레이(320)와 마주하는 일면에 소정 폭의 포물면이 형성된 제 1비구면 렌즈(301)를 구비하고, 제 1비구면 렌즈(301)의 타면에 위치하며 제 1비구면 렌즈(301)의 타면에 접하는 일면에 이중 곡면이 형성된 제 2비구면 렌즈(302)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 1비구면 렌즈(301)의 포물면의 상하폭 이내에 디스플레이(320)가 위치하도록 디스플레이(320)의 상하폭은 제 1비구면 렌즈(310)의 포물면의 폭 이하로 구비된다. The aspherical lens 301 and 302 includes a first aspherical lens 301 having a parabolic surface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formed on one surface facing the display 320 and position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first aspherical lens 301 and having a first aspherical surface. The second aspherical lens 302 has a double curved surface formed on on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other surface of the lens 301. In addition, the vertical width of the display 320 is provided to be equal to or less than the width of the paraboloid of the first aspherical lens 310 such that the display 320 is positioned within the vertical width of the paraboloid of the first aspherical lens 301.

구면렌즈(303)(304)(305)는 비구면렌즈(301)(302) 측과 인접하는 위치에 설치되며 사용자의 시선 방향인 투시창 측으로 볼록한 평볼록렌즈(330)와 평볼록렌즈(330)의 볼록면과 인접한 위치에 설치된 양볼록렌즈(340)와 양볼록렌즈(340)의 투시창(201)을 향하는 면에 위치하며 양볼록렌즈(340)의 볼록구면과 접하는 오목면을 가지는 평오목렌즈(350)로 구성된다. 그리고 제 1광학계(300)의 상술한 렌즈 구성은 제 2광학계(310)에도 동일하게 실시된다.The spherical lenses 303, 304, and 305 are installed at positions adjacent to the aspherical lenses 301 and 302, and are formed of the convex lenses 330 and the convex lenses 330 convex toward the viewing window side in the user's gaze direction. Pseudo lens having a concav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convex spherical surface of the biconvex lens 340 and the convex spherical surface of the biconvex lens 340 is located on the surface facing the viewing window 201 of the biconvex lens 340 is installed adjacent to the convex surface ( 350). The above-described lens configuration of the first optical system 300 is similarly implemented in the second optical system 310.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학계의 구성은 도 6에 도시된 측정 그래프에서와 같이 왜곡(Distortion)율이 대략 5% 내외의 매우 낮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들 구면렌즈(303)(304)(305)와 비구면렌즈(301)(302)는 모두 디스플레이(320)(330)의 블랙영역이 축소되어 와이드뷰(wide view)를 제공할 수 있도록 상하부가 커팅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광학계는 화각(Field of view : FOV) 60 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구면렌즈들은(303)(304)(305)는 는 플라스틱 재질로 제조된 것을 사용할 수 있고, 상술한 바와 같이 렌즈들의 상하부를 커팅하여 전체적으로 렌즈의 무게를 가볍게 할 수 있다. 또한 렌즈의 상하부를 커팅하게 되면 렌즈들이 수납되는 광학계의 하우징인 경통의 형태를 사각 형태로 제작할 수 있기 때문에 경통의 크기를 줄일 수 있고, 이에 따라 하우징의 형태를 The configuration of the optical system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obtain very low distortion rate of about 5% as shown in the measurement graph shown in FIG. 6. In addition, the spherical lenses 303, 304, 305 and the aspherical lens 301, 302 are both upper and lower parts so that the black area of the display 320, 330 is reduced to provide a wide view Can be cut. In addition, the optical system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provide a field of view (FOV) 60. In addition, the spherical lenses 303, 304 and 305 may be made of a plastic material, and as described above,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lenses may be cut to reduce the weight of the lens as a whole. In addition, cutting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lens can reduce the size of the barrel because the shape of the barrel, which is the housing of the optical system in which the lenses are accommodated, can be reduced to a rectangular shape.

이하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장치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head mounted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사용자가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장치를 머리 부분에 착용하여 헤드 밴드부(110)와 헤드 지지부(130)를 밴드 조절부(120) 및 지지 조절부(140)를 이용하여 견고하여 조여서 사용자의 헤드에 맞춘다. 그런 다음 하우징(200)의 위치를 조절한다. 하우징(200)의 위치 조절은 3가지를 수행할 수 있다. 먼저 하우징(200)의 상하 위치 조절, 하우징(200)의 전후 위치 조절 그리고 디스플레이(320)(330) 사이의 간격 조절이다.The user wears the head mounted display device on the head to tighten the head band part 110 and the head support part 130 using the band adjusting part 120 and the support adjusting part 140 to fit the head of the user. Then adjust the position of the housing 200. Position adjustment of the housing 200 may be performed in three ways. First, vertical position adjustment of the housing 200, front and rear position adjustment of the housing 200, and gap adjustment between the display 320 and 330 are performed.

하우징(200)의 상하 위치 조절은 조절볼트(160)를 느슨하게 한 후 하우징 지지부(210)의 장공을 따라 하우징(200)을 상하로 이동시키면 하우징(200)의 상하 위치 조절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하우징(200)의 전후 위치 조절은 조절 볼트(160)가 느슨해진 상태에서 제 1암(112)과 제 2암(113)의 장공(112a)(113a)을 따라 하우징(200)을 전후로 이동시켜면 위치조절이 이루어지며, 조절이 완료되면 조절 볼트(160)를 조여서 조절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The up and down position adjustment of the housing 200 is made by loosening the adjusting bolt 160 and moving the housing 200 up and down along the long hole of the housing support 210 to adjust the up and down position of the housing 200. And the front and rear position adjustment of the housing 200 when moving the housing 200 back and forth along the holes 112a, 113a of the first arm 112 and the second arm 113 in a state in which the adjustment bolt 160 is loosened. Turn on the position adjustment is made, and when the adjustment is complete, you can maintain the adjustment state by tightening the adjustment bolt 160.

또한, 디스플레이 사이의 간격 조절은 하우징(200)의 하부에 설치된 노브(290)를 사용자가 디스플레이(320)(330)를 시청하고 있는 상태에서 조절하면 간격 조절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사용중 하우징(200)을 상부로 젖히면 제 1암(112)과 제 2암(113)이 상하로 스윙 동작 하여 하우징(200) 전체를 사용자의 머리 부분 상부로 젖힐 수 있다.In addition, the gap between the displays is adjusted when the user adjusts the knob 290 install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200 while the user is watching the displays 320 and 330. When the housing 200 is folded upward during use, the first arm 112 and the second arm 113 swing upward and downward to flip the entire housing 200 onto the user's head.

한편, 디스플레이(320)(330)가 동작을 개시하면 외부 소스(400)로부터 영상신호가 프로세스(252)로 제공된다. 프로세스(252)로 제공되는 신호는 제 1디스플레이(320)와 제 2디스플레이(330)에 각각 분할된 신호일 수 있고, 또는 프로세스(252)에서 영상 신호를 제 1디스플레이(320)와 제 2디스플레이(330)에 맞도록 분할 수 있다. Meanwhile, when the display 320 or 330 starts to operate, an image signal is provided to the process 252 from the external source 400. The signal provided to the process 252 may be a signal divided into the first display 320 and the second display 330, respectively, or the image signal may be converted into the first display 320 and the second display ( 330 may be divided to fit.

영상신호가 프로세스(252)에 제공되면 프로세스(252)는 제 1디스플레이(320)와 제 2디스플레이(330)에 각각 영상신호를 출력하여 제공한다. 영상 신호가 제 1디스플레이(320)와 제 2디스플레이(330)에 제공되는 동안 사용자의 헤드가 움직이면 가속도 센서(251)를 이를 감지하여 프로세스(252)로 전달한다. When an image signal is provided to the process 252, the process 252 outputs and provides an image signal to the first display 320 and the second display 330, respectively. When the user's head moves while the video signal is provided to the first display 320 and the second display 330, the acceleration sensor 251 detects it and transmits it to the process 252.

프로세스(252)는 감지된 움직임 신호를 외부 소스(400)에 전송한다. 외부 소스(400)는 이 움직임 신호를 계산하여 움직임에 대응하는 트레킹 화면을 추출한 후 프로세스(400)로 전송한다. 그리고 프로세스(400)는 제 1디스플레이(320)와 제 2디스플레이(330)에 트렉킹 영상을 제공한다. Process 252 sends the sensed motion signal to external source 400. The external source 400 calculates the movement signal, extracts a tracking screen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and transmits the same to the process 400. In addition, the process 400 provides a tracking image to the first display 320 and the second display 330.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장치는 총 5장의 렌즈를 사용하고, 그 중에서 2개의 비구면렌즈는 유리렌즈로 구비되고, 3개의 구면렌즈는 플라스틱렌즈로 구비되며, 더욱이 이 렌즈들은 상하를 커팅하여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장치의 무게를 줄일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회로기판에 적용되는 부품들을 밀집시킴으로써 컨트롤러와 같은 추가장치의 사용없이 구현 가능하게 하고, 단위면적당 집중되는 무게를 분산하여 보다 가벼운 느낌을 사용자가 받을 수 있도록 구현하였다. The head mounted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uses a total of five lenses, of which two aspherical lenses are provided with glass lenses, and three spherical lenses are provided with plastic lenses. They cut the top and bottom to reduce the weight of the head mounted display. By concentrating the parts applied to the circuit board, it is possible to implement without using additional devices such as a controller, and to distribute the concentrated weight per unit area so that the user can feel lighter.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는 최소의 부품으로 저항을 줄였으며, 또한 실시예에서 HDMI전용 Receiver를 사용할 수 있고, 3개의 대표 해상도를 3개의 칩의 전력을 스위칭 레귤레이팅 방식으로 동작시키도록 할 수 있도록 하여 최소한의 전력이 사용되도록 구현하였다.In addition, the display device has reduced resistance with a minimum number of components, and in an embodiment, an HDMI-only receiver can be used, and the three representative resolutions allow the power of three chips to be operated in a switching regulating manner. Implemented to use power.

이상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nd illustrated in the drawing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only by the matters described in the claim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modify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 various forms. Accordingly, such improvements and modifications will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long as they are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100...착용부
200...하우징
300...제 1광학계
310...제 2광학계
320...제 1디스플레이
100.Wear
200 ... Housing
300 ... First Optical System
310 ... Second Optical System
320 ... 1st display

Claims (16)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되는 착용부;
상기 착용부에 설치되며 상기 사용자의 안면에 위치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사용자의 시선 방향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및
상기 하우징 내부의 상기 디스플레이와 상기 사용자의 시선 방향 사이에 설치되는 광학계를 구비하고, 상기 광학계는 상기 디스플레이에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비구면 렌즈와 상기 비구면 렌즈와 상기 사용자의 시선 방향 사이에 설치되는 구면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착용부에는 설치 브라켓이 설치되고, 상기 설치 브라켓에는 스윙 암이 힌지 결합되어 설치되고,
상기 스윙 암은 각각 평행하게 연장된 제 1암과 제 2암을 구비하고, 상기 제 1암에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제 1암측 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 2암에는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제 2암측 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 1암과 제 2암의 사이에는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결합되어 연장된 하우징 지지부가 위치하고,
상기 제 1암의 상기 제 1암측 장공과 상기 하우징 지지부 그리고 상기 제 2암의 상기 제 2암측 장공을 차례로 관통하는 조절 볼트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 지지부에는 상기 하우징 지지부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조절 볼트가 관통하는 하우징 지지부측 장공이 형성된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장치.
A wearing part worn on a user's head;
A housing installed in the wearing part and positioned on the face of the user;
A display installed in the housing and positioned in the user's gaze direction; And
And an optical system installed between the display inside the housing and the user's gaze direction, wherein the optical system is installed between at least one aspherical lens and the aspheric lens and the user's gaze direction install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display. Including a spherical lens,
An installation bracket is installed on the wearing part, and a swing arm is hingedly installed on the installation bracket.
Each of the swing arms includes a first arm and a second arm extending in parallel, and the first arm has a first arm side hol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second arm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2arm side holes are formed,
Between the first arm and the second arm is located a housing support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extending,
An adjustment bolt which sequentially passes through the first arm side hole of the first arm, the housing support part, and the second arm side hole of the second arm,
And a housing support side side hole extending from the housing support part in a length direction of the housing support part, through which the adjustment bolt penetrate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구면 렌즈는 상기 디스플레이와 마주하는 일면에 소정 폭의 포물면이 형성된 제 1비구면 렌즈와 상기 제 1비구면 렌즈의 타면에 위치하며, 상기 제 1비구면 렌즈의 상기 타면에 접하는 일면에 이중 곡면이 형성된 제 2비구면 렌즈를 포함하는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장치.
The aspheric lens of claim 1, wherein the aspherical lens is position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first aspherical lens and the first aspherical lens having a parabolic surface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formed on one surface facing the display, and the other surface of the first aspherical lens. A head mounted display device comprising a second aspherical lens having a double curved surface.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의 상하폭은 상기 제 1비구면 렌즈의 상기 포물면의 폭 이하인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장치.
The head mounted display device of claim 2, wherein an upper and lower width of the display is equal to or less than a width of the parabolic surface of the first aspherical len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면렌즈와 상기 비구면 렌즈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블랙영역이 축소되어 와이드뷰(wide view)를 제공할 수 있도록 상하부가 커팅된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장치.
The head mounted display device of claim 1, wherein the spherical lens and the aspherical lens have upper and lower portions cut to reduce a black area of the display to provide a wide view.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면렌즈는 상기 비구면 렌즈 측과 인접하는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사용자의 시선 방향으로 볼록한 평볼록렌즈와 상기 평볼록렌즈의 볼록면과 인접한 위치에 설치된 양볼록렌즈와 상기 양볼록렌즈의 상기 사용자의 시선 방향으로 위치하며 상기 양볼록렌즈의 볼록구면과 접하는 오목면을 가지는 평오목렌즈를 포함하는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pherical lens is installed in a position adjacent to the aspherical lens side and the convex lens convex in the user's line of sight and the convex lens and the both convex lens installed in a position adjacent to the convex surface of the flat convex lens and the amount A head mounted display device comprising a convex lens positioned in the direction of the user's eye of the convex lens and having a concav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convex spherical surface of the biconvex len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가속도 센서가 설치된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장치.
The head mounted display device of claim 1, wherein an acceleration sensor is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와 상기 광학계는 상기 사용자의 좌안과 우안에 대응하는 제 1디스플레이와 제 1광학계 및 제 2디스플레이와 제 2광학계를 포함하는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장치.
The head mounted display device of claim 1, wherein the display and the optical system include a first display, a first optical system, a second display, and a second optical system corresponding to the left and right eyes of the user.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디스플레이와 상기 제 2디스플레이로 영상을 제공하는 프로세서를 구비하고, 상기 프로세서로 영상 신호를 제공하는 외부 소스를 구비하는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장치.
The head mounted display device of claim 7, further comprising a processor configured to provide an image to the first display and the second display, and an external source configured to provide an image signal to the processor.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소스는 휴대 가능하고, 소스 이미지가 저장된 메모리를 포함하는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장치.
The head mounted display device of claim 8, wherein the external source is portable and includes a memory in which a source image is stored.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부는 상기 사용자의 머리 둘레를 감싸는 헤드 밴드부와 상기 헤드 밴드부의 양측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머리 상부를 감싸는 헤드 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헤드 밴드부와 상기 헤드 지지부는 사용자의 머리 크기에 맞도록 내경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조절부를 구비하는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장치.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wearing portion is provided with a head band portion surrounding the head of the user and the head support portion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head band portion surrounding the user's head, the head band portion and the head support portion of the user's head A head mounted display device having an adjustment unit for adjusting the inner diameter to match the siz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제 1렌즈 커버와 제 2렌즈 커버가 구비되고, 각각의 상기 제 1렌즈 커버와 상기 제 2렌즈 커버의 하부에는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제 1렌즈 커버와 상기 제 2렌즈 커버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노브가 구비되는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장치.
The display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a first lens cover and a second lens cover are provided inside the housing, and a lower portion of each of the first lens cover and the second lens cover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And a knob for adjusting a gap between the lens cover and the second lens cover.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제 1렌즈 커버와 상기 제 2렌즈 커버의 조절 동작을 안내하는 가이드바와 상기 제 1렌즈 커버와 상기 제 2렌즈 커버를 가압 지지하는 판스프링이 구비되는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장치.
The head mounted device of claim 15, wherein the housing includes a guide bar for guiding adjustment of the first lens cover and the second lens cover, and a leaf spring for pressing and supporting the first lens cover and the second lens cover. Display device.
KR1020120091346A 2012-08-21 2012-08-21 Head mounted display apparatus KR10138898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1346A KR101388980B1 (en) 2012-08-21 2012-08-21 Head mounted display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1346A KR101388980B1 (en) 2012-08-21 2012-08-21 Head mounted display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5121A KR20140025121A (en) 2014-03-04
KR101388980B1 true KR101388980B1 (en) 2014-04-24

Family

ID=50640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1346A KR101388980B1 (en) 2012-08-21 2012-08-21 Head mounted display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8980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38281A1 (en) * 2016-08-23 2018-03-01 엘지전자 주식회사 Wearable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55916B (en) * 2014-03-14 2019-08-09 索尼互动娱乐股份有限公司 Track the method and system of head-mounted display (HMD) and the calibration for the adjustment of HMD headband
CN107003523B (en) 2014-10-24 2019-05-14 埃马金公司 Immersion based on micro-display wears view device
KR101598480B1 (en) * 2014-11-10 2016-03-02 (주)그린광학 See-through type head mounted display
KR102275778B1 (en) 2014-12-04 2021-07-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Head mounted display device
KR102571818B1 (en) 2016-01-06 2023-08-29 삼성전자주식회사 Head mounted type electronic device
KR102595020B1 (en) * 2016-05-03 2023-10-27 엘지전자 주식회사 Head mounted display
US10935184B2 (en) * 2016-07-15 2021-03-02 Magic Leap, Inc. Compliant mounting arm
KR102614047B1 (en) * 2016-09-13 2023-12-15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nic apparatus comprising flexible display
CN109891297A (en) * 2016-10-18 2019-06-14 Lg电子株式会社 Head-mounted display
CN206523701U (en) 2016-12-30 2017-09-26 深圳市大疆创新科技有限公司 Wearable device
CN114252995A (en) * 2020-09-25 2022-03-29 宏达国际电子股份有限公司 Head-mounted display device
WO2022160012A1 (en) * 2021-01-29 2022-08-04 ResMed Pty Ltd Positioning, stabilising and interfacing structures and system incorporating sam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95242B2 (en) * 1993-04-28 2003-04-07 ソニー株式会社 Glasses-type image display device
JP2004096224A (en) * 2002-08-29 2004-03-25 Sony Corp Power supply control method and head mount device
JP3617257B2 (en) * 1997-07-01 2005-02-02 三菱電機株式会社 Eyepiece optical system and eyepiece image display de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95242B2 (en) * 1993-04-28 2003-04-07 ソニー株式会社 Glasses-type image display device
JP3617257B2 (en) * 1997-07-01 2005-02-02 三菱電機株式会社 Eyepiece optical system and eyepiece image display device
JP2004096224A (en) * 2002-08-29 2004-03-25 Sony Corp Power supply control method and head mount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38281A1 (en) * 2016-08-23 2018-03-01 엘지전자 주식회사 Wearable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5121A (en) 2014-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8980B1 (en) Head mounted display apparatus
JP7033678B2 (en) Micro-display based immersive headset
EP3532887B1 (en) Using pupil location to correct optical lens distortion
US937234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 bioptic real time video system
US9696552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n augmented reality lightweight clip-on wearable device
US20180321484A1 (en)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wearable heads-up displays
US9939648B2 (en) Head mounted display device with dual curved displays
WO2017071458A1 (en) Diopter self-adaptive head-mounted display device
EP3023828B1 (en) Image display apparatus
CN110426847A (en) Head-mounted display, lens and its configuration method for head-mounted display
US11391906B2 (en) Optical system for head-mounted display device
EP285939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 bioptic real time video system
US20230050117A1 (en) Polarization compensation for wire grid polarizer of head-mounted display system
EP3047883B1 (en) Compressible eyecup assemblies in a virtual reality headset
US10228727B1 (en) Adjustable front assembly in head-mounted display
JP2023512879A (en) Spatial/temporal polarization correction optical system for scanning beam system
US20150219900A1 (en) Adjustable Display Mounting
KR101958366B1 (en) Glasses implementing far vision for image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