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5313B1 - Case for portable terminal - Google Patents

Case for portable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5313B1
KR101385313B1 KR1020130091748A KR20130091748A KR101385313B1 KR 101385313 B1 KR101385313 B1 KR 101385313B1 KR 1020130091748 A KR1020130091748 A KR 1020130091748A KR 20130091748 A KR20130091748 A KR 20130091748A KR 101385313 B1 KR101385313 B1 KR 1013853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cover member
portable terminal
mobile terminal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174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충원
안영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가온랩
안영진
이충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가온랩, 안영진, 이충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가온랩
Priority to KR10201300917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531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53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531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2Protective co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8Arrangements for carrying or protecting transcei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se for a portable terminal having excellent sense of touch, beautiful appearance and excellent durability, wherein cover members composed of different materials can be replaced according to the needs of a user because a main body of the case and the cover members composed of different materials, which constitute the case for a portable terminal, can be separated and coupled by assembly. For the purpose, the case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main body of the case mold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exterior shape of a portable terminal to envelop and protect the circumference surface which is the whole or part of the side surface part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part of a rear surface part; and cover members composed of different materials such as wood, shell and metal to be assembled to the main body of the case on the circumference surface while enveloping and protecting the rear surface part of the portable terminal except for the circumference surface.

Description

휴대단말기용 케이스{Case for Portable Terminal}Case for Portable Terminal {Case for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용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단말기용 케이스의 구성인 케이스 본체와 이종(異種) 재료의 커버 부재가 별도로 분리 제작되어 조립에 의해 체결 및 분리될 수 있어 이종 재료로 된 커버 부재를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수시로 교체 사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감촉이 좋고 외관도 미려하면서도 내구성이 보다 우수한 휴대단말기용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se for a mobil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a case body and a cover member of a dissimilar material, which are components of a case for a mobile terminal, can be separately manufactured and fastened and separated by assembling. It is possible to replace and use the cover member at any time according to the user's needs, an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se for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good feel and a beautiful appearance but more excellent durability.

이동통신발달에 힘입어 휴대폰, PDA, DMB 등의 휴대용 단말기가 필수적인 소지품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으며, 그 대표적인 예가 휴대폰이다. 휴대폰은 고유 기능인 통화 기능 외에도 동영상 재생, 음악 재생, 디지털 카메라, DMB 수신, 네비게이션, 인터넷 등 다양한 부가 기능이 추가되고, 그 디자인이나 형상 등도 점점 미려해지고 있다.With the development of mobile communication, portable terminals such as mobile phones, PDAs, and DMBs are becoming essential items, and a representative example is a mobile phone. In addition to the call function that is unique to the mobile phone, various additional functions such as video playback, music playback, digital camera, DMB reception, navigation, and the Internet are added, and the design and shape thereof are becoming more and more beautiful.

최근에는 일명 '스마트폰'으로 명명되는 지능형 휴대폰이 개발되어 상용화되고 있으며, 이러한 스마트폰은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응용프로그램을 통해 다양한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는 이점 때문에 수요자에게 많은 각광을 받고 있다.Recently, intelligent mobile phones, also known as 'smart phones', have been developed and commercialized, and these smart phones are attracting much attention from consumers due to the advantage of providing various services to users through applications installed directly by users.

이러한 지능형 휴대 단말기의 개발은 휴대폰의 가격 상승을 이끌어 휴대폰의 가격도 점점 상승하는 추세에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들은 고가이면서 미려한 자신의 휴대 단말기에 생길 수 있는 긁힘이나 흠집, 파손 등에 더욱 민감해졌으며, 나아가 휴대 단말기의 외관을 더욱 아름답게 꾸며 일종의 액세서리로 활용하고자 하는 경향도 강해지고 있다.The development of such intelligent mobile terminals leads to an increase in the price of mobile phones, and the prices of mobile phones are also gradually increasing. Accordingly, users are more sensitive to scratches, scratches, and damages that may occur on their own expensive and beautiful portable terminals, and moreover, users tend to make their appearance more beautiful and use them as a kind of accessories.

이에 따라, 휴대 단말기의 손상을 막으면서 미려한 외관을 자랑하는 다양한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가 제안되고 있다. 이와 같이 종래에 제안된 휴대 단말기 케이스들은 대부분 폴리카보네이트 등과 같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며, 합성수지의 탄성력으로 휴대단말기의 좌우 측면부와 후면부를 감싸 보호하도록 상기 휴대단말기의 외형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Accordingly, various portable terminal cases have been proposed, which have a beautiful appearance while preventing damage to the portable terminals. As described above, most of the conventionally proposed portable terminal cases are made of a synthetic resin such as polycarbonate, and ar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outer shape of the portable terminal so as to surround and protect the left and right side parts and the rear part of the mobile terminal with the elastic force of the synthetic resin.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에 따른 케이스들은 사용자의 손에 땀이나 물기와 같은 액체 성분이 묻어 있는 경우 쉽게 미끄러지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짐에 따라 사용자가 손에 파지하여 휴대하거나 통화시 땀 등으로 인하여 미끄러지게 되는 현상이 종종 발생하며, 이는 휴대 단말기가 지면에 낙하되어 파손되는 문제 등을 유발시키고 있다.However, the case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made of a synthetic resin that slips easily when the user's hands are liquid components such as sweat or water, so that the user glides on the hand or slips due to sweat when carrying or talking on the phone. This often occurs, which causes a problem that the portable terminal falls to the ground and breaks.

또한, 종래의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는 모두 합성수지 재질의 일체형으로만 제작되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합성수지 재질의 케이스 본체로부터 분리하거나 체결할 수 있는 목재와 같은 이종(異種) 재질의 케이스 커버 부재는 전혀 제안된 바가 없다.
In addition, the case for the conventional mobile terminal is all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only, so that the case cover member made of a heterogeneous material such as wood that can be separated or fastened from the synthetic resin case body according to the user's needs at all proposed It has not been done.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 10-1195106 호 (2012.10.22)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195106 (2012.10.22)

상기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단말기용 케이스의 구성인 케이스 본체와 이종(異種) 재료의 커버 부재가 별도로 분리 제작되어 조립에 의해 체결 및 분리될 수 있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목재나 자개 등으로 된 다양한 이종 재료로 된 커버 부재만을 간단히 교체가 가능해 사용의 편의성을 제고(提高)하면서도 경제적인 휴대단말기용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problems according to the prior art, the case body and the cover member of the dissimilar material, which is a configuration of a case for a mobile terminal is separately manufactured and can be fastened and separated by assembling of the user If necessary, it is possible to simply replace only the cover member made of various different materials such as wood or mother-of-pearl, thereby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use and providing an economical case for a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나무나 자개 등과 같은 다양한 이종 재료로 된 커버 부재의 교체 사용에 의해 종래의 합성 수지에서는 느낄 수 없는 다양한 재질감 및 파지감을 느낄 수 있는 휴대단말기용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ase for a mobile terminal that can feel a variety of texture and gripping feeling that can not be felt in the conventional synthetic resin by replacing the cover member made of various different materials such as wood or mother-of-pearl.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본체 케이스와 커버 부재의 색상 및 재질을 달리하여 더욱 미려하면서도 내구성이 보다 우수한 휴대단말기용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ase for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more beautiful and more durable by changing the color and material of the body case and the cover member.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용 케이스는, 휴대단말기의 측면부의 전부 또는 일부와 후면부의 일부 영역인 둘레면을 감싸 보호하도록 상기 휴대단말기의 외형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케이스 본체와; 상기 둘레면을 제외한 휴대단말기의 후면부 영역을 감싸 보호하되, 상기 둘레면에서 상기 케이스 본체와 조립되는 커버 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ase for a portab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case body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appearance of the portable terminal to surround and protect the circumferential surface, which is all or part of the side por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a partial region of the rear portion. Wow; It covers and protects the rear por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except for the circumferential surface, and comprises a cover member assembled with the case body i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버 부재는 사각판상의 제 1 커버 부재와, 상기 제 1 커버 부재와는 이종(異種)의 재료로 된 사각판상의 제 2 커버 부재가 상호 면접착에 의해 부착되어 일체화될 수 있다.Preferably, the cover member may be integrally formed by attaching a first cover member on a rectangular plate and a second cover member on a rectangular plate of a different material from the first cover member by surface bonding. have.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커버 부재와 제 2 커버 부재는 초음파 융착, 열 융착, 진동융착, 양면테이프를 이용한 접착, 접착제를 이용한 접착, 이중 사출, 및 인서트 사출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상호 부착될 수 있다.Preferably, the first cover member and the second cover member may be attached to each other by any one of ultrasonic welding, thermal welding, vibration welding, adhesive with double-sided tape, adhesive with adhesive, double injection, and insert injection. have.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2 커버 부재는 나무, 자개 또는 금속 재질일 수 있다.Preferably, the second cover member may be made of wood, mother-of-pearl or metal.

바람직하게는, 상기 케이스 본체는 휴대단말기의 후면부의 일부 영역인 상기 둘레면을 감싸 보호하도록 사각 개구부를 갖는 바닥부와, 휴대단말기의 측면부의 전부 또는 일부를 감싸 보호하도록 된 측면 커버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Preferably, the case body may include a bottom portion having a rectangular opening to surround and protect the circumferential surface, which is a partial region of the rear portion of the mobile terminal, and a side cover portion which surrounds and protects all or part of the side portion of the mobile terminal. .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커버 부재는, 그 조립시에 상기 휴대단말기 후면부의 둘레면을 따라 그 가장자리가 상기 케이스 본체의 바닥부의 하향 단차(段差)진 내측면내로 압입되어 끼워짐에 따라 상기 케이스 본체와 조립될 수 있다.Preferably, the first cover member is inserted into the case as the edge thereof is pressed into the downwardly stepped inner surface of the bottom of the case main body along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ar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during assembly. Can be assembled with the body.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향 단차(段差)진 내측면에는 전면으로 개방된 결합홈이 이격하여 복수개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는 상기 사각 판상의 제 1 커버 부재의 적어도 하나의 대향하는 양변 단부에는 결합돌기가 복수개 형성되어 상기 복수개의 결합홈과 상기 복수개의 결합돌기가 서로 압입되어 끼워질 수 있다.Preferably, the downwardly stepped inner surface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oupling grooves that are open to the front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t least one opposing side end portion of the first cover member on the quadrangular plate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protrusions A plurality of coupling grooves and the plurality of coupling protrusions may be press-fitted to each other.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향 단차(段差)진 내측면의 상부에는 상기 사각 개구부쪽으로 돌출되어 둘레방향을 따라 걸림턱이 형성되어 조립시에 상기 제 1 커버 부재의 결합돌기의 단부가 걸려 완전 압입 결합될 수 있다.Preferably, the upper part of the downward stepped inner side surface protrudes toward the rectangular opening to form a locking jaw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so that the end of the coupling protrusion of the first cover member is completely engaged by the fitting. Can be.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향 단차(段差)진 내측면에는 상기 사각 개구부쪽으로 개방된 결합홈이 이격하여 복수개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는 제 1 커버 부재의 적어도 하나의 대향하는 양변 단부에는 결합돌기가 복수개 형성되어 상기 복수개의 결합홈과 상기 복수개의 결합돌기가 서로 압입되어 끼워질 수 있다.Preferably, a plurality of coupling grooves opened toward the rectangular opening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downwardly stepped inner surface, and a plurality of coupling protrusions are formed on at least one opposing side end of the first cover member corresponding thereto. Thus, the plurality of coupling grooves and the plurality of coupling protrusions may be pressed into each other.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향 단차(段差)진 내측면의 일측단에는 추가적으로 하향 단차(段差)진 가이드 요홈이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는 제 1 커버 부재의 후면부의 가장자리 둘레면에는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요홈내에 상기 가이드 돌기가 가이드되어 안착될 수 있다.Preferably, one side end of the downwardly stepped inner side surface is further formed with a downwardly stepped guide groove, and a guide protrusion is formed on an edg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ar portion of the first cover member corresponding thereto. The guide protrusion may be guided and seated in the guide recess.

바람직하게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일측면부를 감싸 보호하도록 상기 케이스 본체에 일체로 형성되는 측면 커버부와, 상기 측면 커버부와 일체로 연결되며 휴대단말기의 정면부를 감싸 보호하도록 된 정면 커버부로 이루어지는 플립(flip) 커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Preferably, a flip comprising a side cover part integrally formed in the case body to surround and protect one side part of the mobile terminal, and a front cover part integrally connected to the side cover part to surround and protect the front part of the mobile terminal. It may further comprise a flip cover.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케이스에 의하면, 휴대단말기용 케이스의 구성인 케이스 본체와 이종(異種) 재료의 커버 부재가 별도로 분리 제작되어 조립에 의해 체결 및 분리될 수 있어 목재나 자개 등과 같이 이종 재료로 된 커버 부재를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수시로 교체 사용이 가능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제고(提高)하면서도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case f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case body and the cover member of different materials, which are the components of the case for the mobile terminal, can be separately manufactured and fastened and separated by assembling. The cover member made of different materials, such as can be replaced at any time according to the user's needs, thereby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use and economical effect.

또한, 나무, 자개 또는 금속 등과 같은 다양한 이종 재료로 된 커버 부재를 상황에 따라 교체 사용에 가능함으로, 종래의 합성 수지에서는 느낄 수 없는 다양한 재질감을 감득(感得)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cover member made of a variety of different materials such as wood, mother-of-pearl or metal can be used in accordance with the situation, there is an effect that can feel a variety of textures that can not feel in the conventional synthetic resin.

아울러, 다양한 이종 재료된 커버 부재의 사용에 의해 외관도 미려하면서도 내구성이 보다 우수한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use of a cover member made of various dissimilar materials has a beautiful appearance but also has excellent durability.

도 1a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케이스에 휴대단말기를 장착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케이스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c은 도 1의 A-A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a 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케이스에 휴대단말기를 장착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케이스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c은 도 2a의 B-B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a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케이스에 휴대단말기를 장착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케이스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c은 도 3a의 C-C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케이스를 도시한 사시도들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케이스에 휴대단말기를 장착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케이스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5c는 도 5b의 A-A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1A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portable terminal is mounted in a case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B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ase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C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AA cross section of FIG. 1.
2A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portable terminal is mounted in a case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b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ase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C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BB cross section of FIG. 2A.
3A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portable terminal is mounted in a case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b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ase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C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cross section taken along line CC of FIG. 3A.
4A and 4B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 case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A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portable terminal is mounted in a case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b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ase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C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ross section along AA of FIG. 5B.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other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its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Accordingl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to be considered in all respects as merely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제1, 제2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도 제1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And / or < / RTI > includes any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but it may be understood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present in between. Should be.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elements in between.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The terminology used in this application is used only to describe a specific embodiment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having", "having", and the like are intended to specify the presence of stated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of element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are to be interpreted as either ideal or overly formal in the sense of the present application Do not.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order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asi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

도 1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케이스에 휴대단말기를 장착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케이스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1c은 도 1a의 A-A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로서, 편의상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1A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portable terminal is mounted in a case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B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ase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C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AA cross section of FIG. 1A, which will be described together for convenience.

본 실시예의 휴대단말기용 케이스는,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단말기(A)의 좌우 측면부와 후면부를 감싸 보호하도록 상기 휴대단말기(A)의 외형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As shown in FIG. 1A, the case for the portable terminal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outer shape of the portable terminal A to surround and protect the left and right side portions and the rear por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A. FIG.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의 휴대단말기용 케이스는,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 본체(10)와 이에 분리가능하도록 조립되는 일체화된 제 1 커버 부재(21)와 제 2 커버 부재(22)로 된 커버 부재(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1B, the case for the portable terminal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case body 10 and an integrated first cover member 21 and a second cover member 22 that are detachably assembled thereto. The cover member 20 is comprised.

즉, 본 발명의 특징은 휴대단말기용 케이스의 구성인 케이스 본체(10)와, 케이스 본체와는 이종(異種) 재료로 된 제 2 커버 부재(22)를 포함하는 커버 부재(20)가 별도로 분리 제작되어 조립에 의해 결합될 수 있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커버 부재(20)를 수시로 교체 사용이 가능한 것에 있다. That is,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case body 10, which is the configuration of the case for the mobile terminal, and the cover member 20 including the second cover member 22 made of a different material from the case body are separately separated. It can be manufactured and combined by assembling the cover member 20 can be replaced at any time as described below.

상기 케이스 본체(10)는, 휴대단말기(A)의 좌우 측면부와 후면부의 일부 영역인 가장자리 둘레면을 감싸 보호하도록 상기 휴대단말기(A)의 외형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 본체(10)에 조립되는 커버 부재(20: 제 1 커버 부재(21)와 제 2 커버 부재(22))는 상기 둘레면을 제외한 상기 휴대단말기의 나머지 후면부 영역을 감싸 보호하도록 되어 있다.The case main body 10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outer shape of the mobile terminal A to surround and protect the edge circumferential surface, which is a partial region of the left and right side parts and the rear part of the mobile terminal A. In addition, the cover member 20 assembled to the case main body 10 may cover and protect the remaining rear portion of the mobile terminal except for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ver member 20 (the first cover member 21 and the second cover member 22). have.

여기서, 본 발명에 있어 상하좌우 및 전후에 대한 용어 및 방향과 관련해서는 휴대단말기(A)를 기준으로 휴대단말기의 정면(전면)부와 후면부를 각각 전후 방향으로 정의되고, 또, 휴대단말기(A)의 좌우 측면부 쪽을 각각 좌우 방향으로, 그리고 상하 측면부 쪽으로 각각 상하 방향으로 정의하며, 이에 따라 휴대단말기용 케이스도 그 방향 및 용어도 정의 되고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ront and rear portions of the portable terminal are defined as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portable terminal A and the portable terminal A The left and right side portions of the case are defined as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the upper and lower side directions are respectively defined as the up and down direction. Accordingly,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case and the direction of the case for the portable terminal are also defined.

또한, 상기 둘레면은 본 실시예와 같이 휴대단말기(A)의 사각 후면부의 가장자리(edge) 둘레면을 나타내고 있으나, 후술하는 바와 같이 다양한 커버 부재의 형태에 따라 커버 부재가 커버하지 않는 휴대단말기(A)의 대략 중앙부가 아닌 둘레에 가까운 쪽의 후면부 영역이 포괄적으로 상기 둘레면의 개념에 포함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In additi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shows an edg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ctangular rear portion of the mobile terminal A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but as described below, the mobile terminal does not cover the cover member according to various cover member shapes (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region of the rear side of the side close to the periphery rather than the center of A) may be comprehensively included in the concept of the periphery.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케이스 본체(10)는 휴대단말기(A)의 후면부의 일부 영역인 가장자리 둘레면를 감싸 보호하도록 대략 큰 사각 개구부(11-1)를 갖는 바닥부(11)와, 휴대단말기(A)의 좌우 측면부를 감싸 보호하도록 된 측면 커버부(12)로 이루어져 있다.In more detail, the case body 10 includes a bottom portion 11 having a substantially large rectangular opening 11-1 to surround and protect an edge circumferential surface of a portion of the rear portion of the mobile terminal A; The side cover portion 12 is formed to surround and protect the left and right side portions of the mobile terminal A.

여기서, 상기한 케이스 본체(10)는 폴리우레탄 또는 실리콘 등과 같은 연질 합성 수지재로 제조됨이 바람직하나, 본 발명에 있어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경우에 따라 경질 합성 수지재로도 형성될 수 있음을 배제하지는 않는다. Here, the case body 10 is preferably made of a soft synthetic resin material such as polyurethane or silicone, but is not limited thereto in the present invention, it may be formed of a hard synthetic resin material in some cases It does not exclude it.

또한, 상기 케이스 본체(10)가 휴대단말기(A)의 좌우 측면부를 감싸 보호하도록 형성된 경우에 대해 설명하지만, 상기 케이스 본체(10)는 휴대단말기(A)의 상하 측면부만을 감싸도록 형성되거나 휴대단말기(A)의 상하좌우 모든 측면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등 휴대단말기(A)에 장착되어 휴대단말기(A)의 적어도 일부를 보호할 수 있는 형태라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In addition, the case body 10 is described in the case formed to surround and protect the left and right side portions of the portable terminal (A), the case body 10 is formed to surround only the upper and lower side portions of the portable terminal (A) or the portable terminal If the upper and lowe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A) is formed to surround the portable terminal (A) to protect at least a part of the portable terminal (A), of course, it can be variously modified.

물론, 상기 케이스 본체(10)의 사각 개구부(11-1)를 갖는 바닥부(11)에 의해 노출되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나머지 후면부 영역은 케이스 본체(10)에 조립되는 커버 부재(20) 즉, 일체형의 제 1 커버 부재(21)와 제 2 커버 부재(22)에 의해 최종적으로 감싸지는 형태가 된다.Of course, the remaining rear region of the mobile terminal exposed by the bottom portion 11 having the rectangular opening 11-1 of the case body 10 is a cover member 20 that is assembled to the case body 10, that is, The first cover member 21 and the second cover member 22 are integrally wrapped.

상기한 커버 부재(20)는 대략 직사각 판상(板像)의 제 1 커버 부재(21)와 제 2 커버 부재(22)가 일체화된 형태로 이루어진다.The cover member 20 has a form in which the first cover member 21 and the second cover member 22 are form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late shape.

즉, 도 1b 및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 판상의 제 1 커버 부재(21)와 역시 직사각 판상의 제 2 커버 부재(22)가 상호 면접착에 의해 결합되어 일체화된다. That is, as shown in Figs. 1B and 1C, the rectangular plate-shaped first cover member 21 and the rectangular plate-shaped second cover member 22 are combined and integrated by mutual adhesion.

여기서, 상기한 직사각형상의 제 1 커버 부재(21)는, 조립시에 상기 휴대단말기 후면부의 둘레면을 따라 그 가장자리가 케이스 본체(10)의 바닥부(11)의 대략 수직으로 하향 단차(段差)진 내측면(11-2)(단면상 'L'자(字) 형상)에 끼워짐에 따라 제 1 커버 부재(21)가 케이스 본체(10)가 조립되는 형태이다. 따라서, 상기 제 1 커버 부재(21)의 크기는 실제로 휴대단말기의 후면부 전체 크기와 동일하다. In this case, the rectangular first cover member 21 has an edge stepped along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ar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at the time of assembling to a substantially vertical downward step of the bottom portion 11 of the case body 10. The first cover member 21 is assembled with the case main body 10 by being fitted to the inner inner surface 11-2 ('L' character in cross section). Therefore, the size of the first cover member 21 is actually the same as the overall size of the rear portion of the mobile terminal.

또한, 상기 제 1 커버 부재(21)의 후면에 상호 면접착 결합되는 상기 제 2 커버 부재(22)는 케이스 본체(10)의 바닥부(11)의 개구부(11-1)를 메워주는 형태임으로 그 크기는 상기 휴대단말기 후면부의 둘레면을 제외한 나머지 후면부 영역, 즉 직사각 개구부(11-1)의 크기와 거의 동일하다.In addition, the second cover member 22, which is adhesively bond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cover member 21, fills the opening 11-1 of the bottom part 11 of the case body 10. The size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size of the rear region, ie, the rectangular opening 11-1, except for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ar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상기한 제 1 커버 부재(21)의 재질은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또는 폴리스틸렌 페이퍼(Polystyrene paper, PSP) 등과 같은 경질의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The first cover member 21 may be formed of a hard synthetic resin material such as polycarbonate (PC), polyethylene (PE), polypropylene (PP), or polystyrene paper (PSP). Is preferred.

한편, 상기 제 1 커버 부재(21)의 후면에 일체화되어 결합되는 제 2 커버 부재(22)는 나무, 자개 또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져 합성 수지재로 된 케이스 본체(10)나 제 1 커버 부재(21)와는 이종의 재질을 사용하여 제작됨으로 실제 사용시 기존의 단말기 케이스와는 다른 이질적인 접촉감을 제공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second cover member 22 which is integrally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cover member 21 is made of wood, mother-of-pearl or metal material, the case body 10 or the first cover member 21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 Is made of different materials, so it provides a heterogeneous contact feeling unlike the existing terminal case in actual use.

또한, 상기 제 2 커버 부재(22)가 나무, 자개 또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감촉뿐만 아니라 외관도 미려하고 손에서 미끄러지지 않으면서 내구성도 보다 우수하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second cover member 22 is made of wood, mother-of-pearl or metal material, it is beautiful in appearance as well as feel and excellent durability without slipping from the hand.

상기 제 2 커버 부재(22)로서는 나무 재질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나무 문양을 그대로 살릴 수 있는 예컨데, 편백 나무 또는 전나무 등을 슬라이스 하여 만든 원목 박판을 그대로 이용하여 제 2 커버 부재(22)를 제조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원목 박판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별도의 변형 수용 시트를 원목 박판으로 된 제 2 커버 부재의 후면에 부착하여 변형을 방지할 수도 있다.When the wood material is used as the second cover member 22, for example, a wooden pattern can be used as it is. For example, the second cover member 22 can be manufactured by using a solid wood sheet made by slicing cypress or fir. Can be. Of course, in order to prevent the deformation of the solid wood sheet, a separate deformation receiving sheet may be attach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second cover member made of the solid wood sheet to prevent deformation.

또 다른 예로서 자개로 된 2 커버 부재(22)인 경우에는 제 2 커버 부재(22)를 자개 시트의 형태로 제작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in the case of the second cover member 22 made of mother-of-pearl, the second cover member 22 can be produced in the form of a mother-of-pearl sheet.

상기한 제 1 커버 부재(21)와 제 2 커버 부재(22)는 초음파 융착, 열 융착, 진동융착, 양면테이프를 이용한 접착, 접착제를 이용한 접착 등 다양한 방법으로 상호 부착되도록 할 수 있다. The first cover member 21 and the second cover member 22 may be attached to each other by various methods such as ultrasonic welding, thermal welding, vibration welding, double-sided tape bonding, adhesive bonding.

또한, 상기한 제 1 커버 부재(21)와 제 2 커버 부재(22)는 이중 사출이나 인서트 사출 등에 의해 일체적으로 형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In addition, of course, the said 1st cover member 21 and the 2nd cover member 22 may be integrally formed by double injection | molding, insert injection, etc., of course.

한편, 상기한 제 2 커버 부재가 자개인 경우에는, 금형 내부에 자개시트를 설치한 후 사출 성형하여 간편하게 수지재로 된 제 1 커버 부재와 자개로 된 제 2 커버 부재가 일체로 된 형태로 제조하거나, 제 1 커버 부재의 후면에 박판 상태의 자개시트를 재단하여 접착 고정시키고 표면에 코팅층을 형성하여 제고하거나, 또는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where the above-mentioned second cover member is self-made, the mother-of-pearl sheet is installed inside the mold and then injection-molded to easily manufacture the first cover member made of resin material and the second cover member made of mother-of-pearl. Or by cutting and fixing the mother-of-pearl sheet in a thin state on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cover member, and forming a coating layer on the surface to enhance it, or

제 1 커버 부재의 표면에 도색층을 형성하고 그 위에 자개를 부착한 후 투명한 재료를 코팅하는 과정으로 제조할 수도 있다.
It may be prepared by forming a paint layer on the surface of the first cover member, attaching mother-of-pearl on it, and then coating a transparent material.

한편, 상기 케이스 본체(10)의 바닥부(11)에는 휴대단말기(A)에 구비된 카메라로 촬영을 하기 위한 촬영용 홀(11-3)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촬영용 홀(11-3)가 형성된 경우, 이에 대응하는 대략 직사각 형태의 제 1 커버 부재(21)와 제 2 커버 부재(22)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대응 부분은 절단된 형태가 된다. On the other hand, the bottom 11 of the case body 10 may be formed with a shooting hole (11-3) for shooting with a camera provided in the mobile terminal (A). When the photographing hole 11-3 is formed as described above, the corresponding cover is cut into the first cover member 21 and the second cover member 22 having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s, as shown in FIG. 2. Will become a form.

또한, 상기 케이스 본체(10)의 측면 커버부(12)에는 휴대단말기(A)에 구비된 버튼이 노출될 수 있는 버튼노출용 홀(12-1)이 형성될 수 있으며, 휴대단말기(A)의 형상에 대응하여 다양한 홀, 홈 또는 돌출부 등이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ide cover portion 12 of the case body 10 may be formed with a button exposure hole 12-1 through which a button provided in the mobile terminal A may be exposed, and the mobile terminal A Various holes, grooves or protrusions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grooves.

도 2a 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케이스에 휴대단말기를 장착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케이스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2c은 도 2a의 B-B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로서, 2A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portable terminal is mounted in a case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B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ase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C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BB cross-section of FIG. 2A.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케이스에서는, 휴대단말기(A)의 좌우 측면부와 후면부를 감싸 보호하도록 상기 휴대단말기(A)의 외형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지되, 케이스 본체(110)와 이에 분리가능하도록 조립되는 일체화된 제 1 커버 부재(121)와 제 2 커버 부재(122)로 된 커버 부재(1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점에서는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된 휴대단말기용 케이스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100단위의 부호를 붙여서 도시하기로 한다.As shown in Figure 2a and 2b, in the case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correspond to the appearance of the portable terminal (A) to wrap around and protect the left and right side and rear portions of the mobile terminal (A) It is formed in a shape that is, but in that it comprises a cover member 120 of the case body 110 and the integrated first cover member 121 and the second cover member 122 is detachably assembled therein It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case for the portable terminal shown in Figures 1a to 1c, and the same configuration will be shown with the reference numerals of 100 units.

다만,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케이스에서는, 제 1 커버 부재(121)는 상기 휴대단말기 후면부의 둘레면을 따라 그 가장자리가 케이스 본체(110)의 바닥부(111)의 대략 수직으로 하향 단차(段差)진 내측면(111-2)(단면상 'L'자(字) 형상)내로 끼워지되, 상기 단차진 내측면에는 전면(휴대단말기 기준으로 전면 방향)으로 개방된 결합홈(111-3)이 이격하여 복수개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는 판상의 제 1 커버 부재(121)의 좌우 양변 단부에는 결합돌기(121-1)가 복수개 형성되어 상기 복수개의 결합홈(111-3)과 상기 복수개의 결합돌기(121-1)가 서로 압입되어 끼워져 케이스 본체(110)와 제 1 커버 부재(121)가 상호 결합될 수 있도록 되어있다.However, in the case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ver member 121 has an edge along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ar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approximately the bottom portion 111 of the case body 110. Coupling groove which is inserted into the inner side surface 111-2 ('L' character on the cross section) which is vertically stepped downward, but is opened on the front side (front direction based on the mobile terminal) on the stepped inner surface A plurality of 111-111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 plurality of coupling protrusions 121-1 are formed at both ends of left and right sides of the plate-shaped first cover member 121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coupling grooves 111-3. And the plurality of coupling protrusions 121-1 are pressed into each other so that the case body 110 and the first cover member 121 can be coupled to each other.

여기서, 도시된 예에서는 결합홈(111-3)이 바닥부(111)의 상호 대향하는 좌우 내측면(111-2)에 각각 두 개씩 이격되어 형성되고, 또한 이에 대향하는 결합돌기(121-1)도 제 1 커버 부재(121)의 상호 대향하는 좌우 양변 단부에 각각 두 개씩 이격되어 형성되어 상호 결합되는 형태를 이루고 있으나, 본 발명에 있어 상기한 결합홈(111-3) 및 결합돌기(121-1)의 개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Here, in the illustrated example, two coupling grooves 111-3 are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inner surfaces 111-2 opposite to each other of the bottom portion 111, and are respective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 coupling protrusions 121-1 are opposed to each other. ) Is also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forming two spaced apart at each of the left and right opposite ends of the first cover member 121, the coupling groove 111-3 and the coupling protrusion 121 in the present invention It does not limit the number of -1).

물론, 상기한 결합홈(111-3)이 바닥부(111)의 상호 대향하는 상하 내측면에 적어도 하나씩 형성되고, 결합돌기(121-1)도 제 1 커버 부재(121)의 상호 대향하는 상하 양변 단부에 적어도 하나씩 형성되어 상호 결합되는 형태를 이룰 수도 있으며, 그 형성 위치 또한 본 발명에서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Of course, the coupling groove 111-3 is formed at least one on the upper and lower inner surfaces of the bottom portion 111 that face each other, and the coupling protrusion 121-1 also faces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first cover member 121. At least one end of each side may be formed to form a form that is mutually coupled, the formation position is not limited in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케이스 본체(110)의 바닥부(111)의 대략 수직으로 하향 단차(段差)진 내측면(111-2)의 상부에는 큰 사각 개구부(111-1)쪽으로 약간 돌출되어 둘레방향을 따라 대략 직사각 링 형상의 걸림턱(111-4)이 형성되어 결합시에 제 1 커버 부재(121)의 결합돌기(121-1)의 단부가 걸려 완전 압입 결합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In addition, the upper portion of the inner side surface 111-2 which is substantially vertically stepped downward of the bottom portion 111 of the case body 110 slightly protrudes toward the large rectangular opening 111-1, and is substantially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 rectangular ring-shaped locking jaw 111-4 is formed so that the end of the coupling protrusion 121-1 of the first cover member 121 is engaged so as to be fully press-fitted when engaged.

그 외의 구성들은 실질적으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휴대단말기용 케이스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함으로 추가적인 부연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Other configurations ar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configuration of the case for the portable terminal shown in Figures 1 to 3, further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3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케이스에 휴대단말기를 장착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케이스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3c은 도 3a의 C-C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로서, 3A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portable terminal is mounted in a case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B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ase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C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section taken along line CC of FIG. 3A;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케이스에서는, 휴대단말기(A)의 좌우 측면부와 후면부를 감싸 보호하도록 상기 휴대단말기(A)의 외형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지되, 케이스 본체(210)와 이에 분리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일체화된 제 1 커버 부재(221)와 제 2 커버 부재(222)로 된 커버 부재(2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점에서는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된 휴대단말기용 케이스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200단위의 부호를 붙여서 도시하기로 한다.As shown in Figure 3a and 3b, in the case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er side of the portable terminal (A) and the rear por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A) to surround the protection The cover member 220 is formed in a corresponding shape, and includes a case body 210 and a cover member 220 formed of an integrated first cover member 221 and a second cover member 222 detachably coupled thereto. In Figure 1a to 1c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case for the mobile terminal shown in the drawings, and the same configuration will be shown with a reference numeral of 200 units.

여기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케이스에서는, 상기한 제 1 커버 부재(221)는 상기 휴대단말기 후면부의 둘레면을 따라 그 가장자리가 케이스 본체(210)의 바닥부(211)의 대략 수직으로 하향 단차(段差)진 내측면(211-2)내로 압입되어 끼워지되, 상기 단차(段差)진 내측면(211-2)에는 사각 개구부(211-1)쪽으로 개방된 결합홈(211-3)이 이격하여 복수개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는 제 1 커버 부재(221)의 좌우 양변 단부에는 결합돌기(221-1)가 복수개 형성되어 상기 복수개의 결합홈(211-3)과 상기 복수개의 결합돌기(221-1)가 서로 압입되어 끼워져 케이스 본체(210)와 제 1 커버 부재(221)가 상호 결합될 수 있도록 되어있다. Here, in the case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ver member 221 is the edge of the bottom portion 211 of the case body 210 along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ar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A coupling groove that is press-fitted into a substantially vertically stepped inner side surface 211-2, and is opened toward the rectangular opening 211-1 in the stepped inner side surface 211-2. A plurality of (211-3) is form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 plurality of engaging projections (221-1)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irst cover member 221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coupling grooves (211-3) and the The plurality of coupling protrusions 221-1 are press-fitted to each other so that the case body 210 and the first cover member 221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하향 단차(段差)진 내측면(211-2)의 상기 사각 개구부(211-1)쪽의 일측단에는 추가적으로 역시 수직으로 하향 단차(段差)진 상대적으로 작은 가이드 요홈(211-5)이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는 제 1 커버 부재(221)의 후면부 가장자리 둘레면에는 가이드 돌기(221-2)가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요홈(211-5)내에 상기 가이드 돌기(221-2)가 가이드되어 안착될 수 있어 제 1 커버 부재(221)와 제 2 커버 부재(222) 사이의 부착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케이스 본체(210)와 제 1 커버 부재(221)가 더욱더 안정적으로 조립 고정될 수 있게 된다.Further, in the present embodiment, at one end of the square step 211-1 of the downward stepped inner surface 211-2, a relatively small guide groove further vertically downward stepped is also provided. (211-5) is formed, and the guide protrusion (221-2) is formed on the circumferential edge of the rear portion of the first cover member 221 corresponding thereto, and the guide protrusion (221) in the guide groove (211-5) -2) can be guided and seated to facilitate attachment between the first cover member 221 and the second cover member 222, and the case body 210 and the first cover member 221 are more stable. The assembly can be fixed.

여기서, 상기 가이드 돌기(221-2)는 직사각 판상의 제 1 커버 부재(221)의 후면부 가장자리 둘레면을 따라 길게 하나의 사각 링형태로 형성하거나, 또는 이격하여 복수개 형성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 판상의 제 1 커버 부재(221)의 후면부 가장자리 둘레면의 네 코너에 각각 "ㄱ" 자(字) 또는 "ㄴ" 자(字) 형태로 형성하여 균형적으로 케이스 본체(210)와 제 1 커버 부재(221)를 조립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Here, the guide protrusions 221-2 may be formed in a single rectangular ring shape along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cover member 221 in a rectangular plate shape, or may be formed in a plurality of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s illustrated in FIG. 3C, four corners of the rear edge of the first cover member 221 having a rectangular plate shape are formed in the form of a letter or letter, respectively, in a balanced manner. The main body 210 and the first cover member 221 may be assembled and fixed.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케이스를 도시한 사시도들이다.4A and 4B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 case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케이스에서는, 휴대단말기(A)의 일측면부와 정면부를 감싸 보호하도록 플립 커버(300)가 형성된 점을 제외하고는 도 1a 내지 도 3c에 도시된 휴대단말기용 케이스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면 그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As shown in Figure 4a and 4b, in the case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lip cover 300 is formed to surround and protect one side portion and the front portion of the mobile terminal (A). Except for the case of the mobile terminal shown in Figures 1a to 3c is substantially the same will be described with a focus on the difference.

즉, 본 실시예에서, 휴대단말기(A)의 일측면부를 감싸 보호하도록 케이스 본체(310)에 일체로 형성되는 측면 커버부(301)와, 상기 측면 커버부(301)와 일체로 연결되며 휴대단말기(A)의 정면부를 감싸 보호하도록 된 정면 커버부(302)로 이루어지는 플립(flip) 커버(3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That i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ide cover portion 301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case body 310 so as to surround and protect one side portion of the mobile terminal A, and is integrally connected with the side cover portion 301 and is portable. It further comprises a flip cover (300) consisting of a front cover portion 302 to wrap and protect the front portion of the terminal (A).

이와 같이, 플립 커버(300)를 추가 구성하는 것에 의해 휴대단말기(A)를 그 측면부 및 후면부 뿐만 아니라 그 정면부까지 커버하여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게 된다.
In this way, by additionally configuring the flip cover 300, the mobile terminal A can be stably protected by covering not only the side and rear portions thereof, but also the front portions thereof.

도 5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케이스에 휴대단말기를 장착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케이스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5c는 도 5b의 A-A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로서, 편의상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5A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portable terminal is mounted in a case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B illustrates a case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C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ross section taken along line AA of FIG. 5B and will be described together for convenience.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케이스에서는, 휴대단말기(A)의 좌우 측면부와 후면부를 감싸 보호하도록 상기 휴대단말기(A)의 외형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지되, 케이스 본체(410)와 이에 분리가능하도록 조립되는 일체화된 제 1 커버 부재(421)와 제 2 커버 부재(422)로 된 커버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점에서는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된 휴대단말기용 케이스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400단위의 부호를 붙여서 도시하기로 한다.As shown, in the case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outer shape of the portable terminal (A) so as to surround and protect the left and right side and rear portions of the portable terminal (A) 1a to 1c in that it comprises a case body 410 and a cover member composed of an integrated first cover member 421 and a second cover member 422 detachably assembled thereto. It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case for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same configuration will be shown with the reference numeral 400 units.

다만,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케이스에서는, 케이스 본체(410)가 휴대단말기(A)의 후면부의 상측부 전체와 하측부 일부를 감싸 보호하되, 후면으로 노출되는 대략 사각 개구부(411-1)를 갖는 바닥부(411)와, 휴대단말기(A)의 좌우 측면부를 감싸 보호하도록 된 측면 커버부(412)로 이루어져 있다.However, in the case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se body 410 is wrapped around and protects the entir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rear portion of the mobile terminal (A), but the substantially rectangular opening exposed to the rear A bottom portion 411 having a portion 411-1 and a side cover portion 412 formed to surround and protect the left and right side portions of the mobile terminal A are provided.

또한, 상기 측면 커버부(412)는 좌우 하측 양변부의 하측부가 상하 길이 방향으로 절개된 공간을 갖는 절개부(412-2)가 형성되어 상기 사각 개구부(411-1)에 수직으로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져 같은 빈 공간을 이루도록 되어 있다.In addition, the side cover portion 412 has a cutout portion (412-2) having a space in which the lower side portions of the left and right lower sides are cut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form extending perpendicular to the rectangular opening (411-1) It is made to form the same empty space.

아울러, 일체형의 제 1 및 제 2 커버 부재(421, 422)는 휴대단말기(A)의 후면부의 일부 영역인 그 상측부를 제외한 휴대단말기(A)의 후면부 영역 즉, 상기 사각 개구부(411-1)와 절개부(412-2)의 절개된 공간을 감싸 보호하되, 상기 절개부(412-2)의 단부에 형성된 끼움홈(411-4)에 끼워져 케이스 본체와 조립되도록 되어 있다.In addition, the integrated first and second cover members 421 and 422 may have a rear region of the portable terminal A, ie, the rectangular opening 411-1, except for an upper portion of the rear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A. Wrap and protect the cut space of the cutout 412-2, but is fitted in the fitting groove 411-4 formed at the end of the cutout 412-2 to be assembled with the case body.

즉, 상기한 제 1 커버 부재(421)는 상기 사각 개구부(411-1)를 커버하도록 대응되는 사각형상의 제 1 바닥 커버부(421-1)와, 상기 제 1 바닥 커버부의 좌우측에 일체로 상향 절곡 형성되어 상기 절개부(412-2)의 절개된 공간을 커버하되, 상기 절개부(411-2)의 단부에 형성된 끼움홈(411-4)에 그 상단부가 끼워져 조립되어지는 제 1 측면 커버부(421-2)로 이루어진다.That is, the first cover member 421 is integrally upwardly integrat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irst bottom cover portion 421-1 and the rectangular shape corresponding to the rectangular opening portion 411-1. A first side cover that is bent and covers the cut space of the cutout 412-2, the upper end of which is fitted into the fitting groove 411-4 formed at the end of the cutout 411-2. And a portion 421-2.

물론, 상기한 이종 재질의 제 2 커버 부재(422)도 제 1 커버 부재(421)와 동일한 형태로, 상기 제 1 커버 부재(421)의 사각형상의 제 1 바닥 커버부(421-1)와 제 1 측면 커버부(421-2)에 각각 면접착되는 사각형상의 제 2 바닥 커버부(422-1)와 제 2 측면 커버부(422-2)로 이루어진다.  Of course, the second cover member 422 of the dissimilar material may have the same shape as that of the first cover member 421, and the first bottom cover part 421-1 and the rectangular shape of the first cover member 421 may be formed. The first bottom cover part 422-1 and the second side cover part 422-2 are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and are respectively bonded to the first side cover part 421-2.

여기서 도시된 예에서는 상기 케이스 본체(410)가 휴대단말기(A)의 후면부의 상측부를 감싸 보호하도록 사각개구부(411-1)가 형성된 예를 나타내고 있으나, 휴대단말기(A)의 후면부의 상측부, 중앙부, 및 하측부 중 하나 또는 두 개를 감싸 보호하도록 노출되는 사각 개구부를 가질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사각 개구부에 대응되는 상기 측면 커버부의 좌우 양변부의 일부는 그 하측부가 절개된 공간을 갖는 절개부가 형성되어 상기 사각 개구부에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지도록 한다.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case body 410 is an example in which the quadrangular opening 411-1 is formed to surround and protect the upper portion of the rear por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A. However, the upper portion of the rear por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A, It may have a central opening and a rectangular opening exposed to surround and protect one or two of the lower portion, in this case, a portion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ide cover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rectangular opening is a cut portion having a space in which the lower portion is cut It is formed to be formed to extend in the rectangular opening.

또한, 제 1 및 제 2 커버 부재(421)(422)의 면접착은, 상술한 바와 같이,초음파 융착, 열 융착, 진동융착, 양면테이프를 이용한 접착, 접착제를 이용한 접착 등 다양한 방법으로 상호 부착되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urface adhesion of the first and second cover members 421 and 422 may be mutually attached to each other by various methods such as ultrasonic welding, thermal welding, vibration welding, double-sided tape bonding, and adhesive bonding, as described above. You can do that.

한편, 상기 케이스 본체(410)의 바닥부(411)에는 휴대단말기(A)에 구비된 카메라로 촬영을 하기 위한 촬영용 홀(411-3)이 형성되고, 측면 커버부(412)에는 휴대단말기(A)에 구비된 버튼이 노출될 수 있는 버튼노출용 홀(412-1)이 형성될 수 있으며, 휴대단말기(A)의 형상에 대응하여 다양한 홀, 홈 또는 돌출부 등이 형성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bottom portion 411 of the case body 410 is formed with a shooting hole (411-3) for shooting with a camera provided in the mobile terminal (A), the side cover portion 412 is a mobile terminal ( The button exposure hole 412-1 through which the button provided in A) may be exposed may be formed, and various holes, grooves, or protrusions may be formed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mobile terminal A. FIG.

또한, 일체형의 제 1 및 제 2 커버 부재(421, 422)의 형상도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판상일 수도 있으나, 삼각, 오각, 육각 등과 같은 다각형이나 또는 십자(十字) 형태의 판상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shapes of the integrated first and second cover members 421 and 422 may also be rectangular plates, as shown in FIGS. 5A and 5B, but may be polygonal or cross-shaped, such as a triangle, a pentagon, a hexagon, or the like. It may also be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 plate.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하고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돼야 한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reof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many other obv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appended claims to cover many such variations.

A: 휴대단말기
10, 110, 210, 310: 케이스 본체 11, 111, 211: 바닥부
11-1, 111-1, 211-1: 사각 개구부 11-2, 111-2, 211-2: 단차진 내측면
11-3: 촬영용 홀 12, 112, 212, 301: 측면 커버부
12-1: 버튼노출용 홀 20, 120. 220: 커버 부재
21, 121, 221: 제 1 커버 부재 22, 122, 222: 제 2 커버 부재
111-3, 211-3: 결합홈
111-4: 걸림턱 121-1, 221-1: 결합돌기
211-5: 가이드 요홈 221-2: 가이드 돌기
300: 플립(flip) 커버 301: 측면 커버부
302: 정면 커버부
A:
10, 110, 210, 310: Case body 11, 111, 211: Bottom part
11-1, 111-1, 211-1: Square opening 11-2, 111-2, 211-2: Stepped inner surface
11-3: Shooting holes 12, 112, 212, 301: Side cover part
12-1: Button exposure hole 20, 120. 220: Cover member
21, 121, 221: first cover member 22, 122, 222: second cover member
111-3, 211-3: Coupling groove
111-4: Hanging jaw 121-1, 221-1: Coupling protrusion
211-5: Guide groove 221-2: Guide protrusion
300: flip cover 301: side cover part
302: front cover

Claims (16)

휴대단말기의 측면부의 전부 또는 일부와 후면부의 일부 영역을 감싸 보호하도록 상기 휴대단말기의 외형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케이스 본체와,
상기 후면부의 일부 영역을 제외한 휴대단말기의 후면부 영역을 감싸 보호하되, 상기 케이스 본체와 조립되는 커버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커버 부재는 판상의 제 1 커버 부재와, 상기 제 1 커버 부재와는 이종(異種)의 재료로 된 판상의 제 2 커버 부재가 상호 면접착에 의해 부착되어 일체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A case body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outer shape of the portable terminal so as to surround and protect all or a portion of the side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a partial region of the rear surface;
To cover and protect the rear por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except for the partial region of the rear portion, including a cover member assembled with the case body,
The cover member includes a plate-shaped first cover member and a plate-shaped second cover member made of a different material from the first cover member and are integrally attached to each other by surface adhesion. cas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커버 부재와 제 2 커버 부재는 초음파 융착, 열 융착, 진동융착, 양면테이프를 이용한 접착, 접착제를 이용한 접착, 이중 사출, 및 인서트 사출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상호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first cover member and the second cover member are attached to each other by any one of ultrasonic welding, thermal welding, vibration welding, double-sided tape bonding, adhesive bonding, double injection, and insert injection. Case for termin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커버 부재는 나무, 자개 또는 금속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cover member is a case for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wood, mother-of-pearl or metal materi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본체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후면부의 일부 영역을 감싸 보호하도록 사각 개구부를 갖는 바닥부와, 휴대단말기의 측면부의 전부 또는 일부를 감싸 보호하도록 된 측면 커버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ase main body is a case for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bottom portion having a rectangular opening to surround and protect a portion of the rear portion of the mobile terminal, and the side cover portion to surround and protect the whole or part of the side surface of the mobile terminal.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의 후면부의 일부 영역은 후면부의 둘레면이며, 상기 커버 부재는 상기 둘레면에서 상기 케이스 본체와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6. The method of claim 5,
The partial region of the rear por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is a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ar portion, and the cover member is assembled with the case body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커버 부재는, 그 조립시에 상기 휴대단말기 후면부의 둘레면을 따라 그 가장자리가 상기 케이스 본체의 바닥부의 하향 단차(段差)진 내측면내로 압입되어 끼워짐에 따라 상기 케이스 본체와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first cover member is assembled with the case main body as its edge is pushed into and fitted into a downward stepped inner surface of the bottom of the case main body along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ar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during assembly. Case for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 단차(段差)진 내측면에는 전면으로 개방된 결합홈이 이격하여 복수개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는 상기 사각 판상의 제 1 커버 부재의 적어도 하나의 대향하는 양변 단부에는 결합돌기가 복수개 형성되어 상기 복수개의 결합홈과 상기 복수개의 결합돌기가 서로 압입되어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downward stepped inner surface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oupling grooves open to the front spaced apart, a plurality of coupling protrusions are formed on at least one opposing side end of the first cover member of the square plate corresponding thereto And a plurality of coupling grooves and the plurality of coupling protrusions are pressed into each other.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 단차(段差)진 내측면의 상부에는 상기 사각 개구부쪽으로 돌출되어 둘레방향을 따라 걸림턱이 형성되어 조립시에 상기 제 1 커버 부재의 결합돌기의 단부가 걸려 완전 압입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The method of claim 8,
The upper part of the downward stepped inner side surface protrudes toward the rectangular opening to form a locking jaw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so that the end of the engaging projection of the first cover member is caught and fully press-fitted when assembled. Case for mobile terminal.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 단차(段差)진 내측면에는 상기 사각 개구부쪽으로 개방된 결합홈이 이격하여 복수개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는 제 1 커버 부재의 적어도 하나의 대향하는 양변 단부에는 결합돌기가 복수개 형성되어 상기 복수개의 결합홈과 상기 복수개의 결합돌기가 서로 압입되어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downward stepped inner surface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oupling grooves that are opened toward the rectangular opening, and a plurality of coupling protrusions are formed on at least one opposing side end of the first cover member corresponding thereto. Case for a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coupling groove and the plurality of coupling projections are pressed into each other.
제 7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 단차(段差)진 내측면의 일측단에는 추가적으로 하향 단차(段差)진 가이드 요홈이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는 제 1 커버 부재의 후면부 둘레면에는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요홈내에 상기 가이드 돌기가 가이드되어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11.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7 to 10,
One side end of the downwardly stepped inner side surface is further formed with a downwardly guided groove formed therein, and a guide protrusion is formed on a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ar portion of the first cover member corresponding thereto, so that the guide is formed in the guide groove. Case for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jection is seated guided.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의 후면부의 일부 영역은 후면부의 상측부, 중앙부, 및 하측부 중 어느 하나 또는 두 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6. The method of claim 5,
The partial region of the rear por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is any one or two of the upper portion, the center portion,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rear portion.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본체는 상기 후면부의 상측부, 중앙부, 및 하측부 중 하나 또는 두 개를 감싸 보호하도록 상기 사각 개구부를 가지며, 상기 사각 개구부에 대응되는 상기 측면 커버부의 좌우 양변부의 일부는 그 하측부가 절개된 공간을 갖는 절개부가 형성되어 상기 사각 개구부에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case body has the rectangular opening to surround and protect one or two of the upper part, the central part, and the lower part of the rear part, and a part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ide cover part corresponding to the rectangular opening has its lower part cut out. The case for a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the form having a space extending to the rectangular opening.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면접착되는 제 1 및 제 2 커버 부재는 상기 사각 개구부와 상기 절개부의 절개된 공간을 감싸 보호하되, 상기 절개부의 단부에 형성된 끼움홈에 상기 제 1 커버 부재의 상단부가 끼워져 케이스 본체와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first and second cover members to be bonded to the surface surround and protect the cut-out space of the rectangular opening and the cutout, and the upper end of the first cover member is fitted into the fitting groove formed at the end of the cutout, thereby being assembled with the case body. Case for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제 1 항에 있어서,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 커버 부재는 사각판상 또는 십자(十字) 형태의 판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addition, the first and the second cover member is a case for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plate-shaped square or cross-shaped (cross-character).
휴대단말기의 측면부의 전부 또는 일부와 후면부의 일부 영역을 감싸 보호하도록 상기 휴대단말기의 외형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케이스 본체와,
상기 후면부의 일부 영역을 제외한 휴대단말기의 후면부 영역을 감싸 보호하되, 상기 케이스 본체와 조립되는 커버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휴대단말기의 일측면부를 감싸 보호하도록 상기 케이스 본체에 일체로 형성되는 측면 커버부와, 상기 측면 커버부와 일체로 연결되며 휴대단말기의 정면부를 감싸 보호하도록 된 정면 커버부로 이루어지는 플립(flip) 커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A case body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outer shape of the portable terminal so as to surround and protect all or a portion of the side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a partial region of the rear surface;
To cover and protect the rear por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except for the partial region of the rear portion, including a cover member assembled with the case body,
A flip cover comprising a side cover part which is integrally formed on the case body to wrap and protect one side of the mobile terminal, and a front cover part which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side cover part and wraps and protects the front part of the mobile terminal. Case for a mobile terminal further comprises a.
KR1020130091748A 2013-08-01 2013-08-01 Case for portable terminal KR10138531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1748A KR101385313B1 (en) 2013-08-01 2013-08-01 Case for portab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1748A KR101385313B1 (en) 2013-08-01 2013-08-01 Case for portable termina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5313B1 true KR101385313B1 (en) 2014-04-17

Family

ID=50657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1748A KR101385313B1 (en) 2013-08-01 2013-08-01 Case for portable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5313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5383B1 (en) 2015-07-16 2016-01-13 남동훈 Protecting case for mobile device
KR200488216Y1 (en) * 2018-11-13 2018-12-27 주식회사 건영크리너 Eyeglass case with non-stick inner shee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99983A (en) * 2011-03-02 2012-09-12 박정현 Protection case detachable to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KR20130033601A (en) * 2011-09-27 2013-04-04 주식회사 이노웍스 Seperated cover of bar type portable terminal unit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99983A (en) * 2011-03-02 2012-09-12 박정현 Protection case detachable to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KR20130033601A (en) * 2011-09-27 2013-04-04 주식회사 이노웍스 Seperated cover of bar type portable terminal unit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5383B1 (en) 2015-07-16 2016-01-13 남동훈 Protecting case for mobile device
KR200488216Y1 (en) * 2018-11-13 2018-12-27 주식회사 건영크리너 Eyeglass case with non-stick inner shee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84502B2 (en) Electronic device case with a friction surface
KR100988204B1 (en) Case for bar type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20130292281A1 (en) Shell device
US9116665B2 (en) Modular protective cover with accessory slot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JP2016537902A (en) Composite protective case for telephones, othe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and other devices
KR101084548B1 (en) Shield case for wireless portable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0451999Y1 (en) a protection case for mobile phone
KR101385313B1 (en) Case for portable terminal
KR101585383B1 (en) Protecting case for mobile device
KR101348712B1 (en) Protective case for mobile devices
KR101275371B1 (en) Cover for portable termina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the mold for manufacturing thereof
KR200473279Y1 (en) Mobile phone protective cover reinforcement in the structure
KR101249027B1 (en) Protecting case for a portable device
US20200288833A1 (en) Mobile device cases and case systems with embedded sidewall shock absorber
JP2013045850A (en) Protection cover and electronic apparatus equipped with the same
KR101560790B1 (en) Waterproofing case for mobile phone
KR101059568B1 (en) Waterproof case assembly for electronic equipment
KR200455103Y1 (en) Combi case for cell phone
KR20130071929A (en) A protective case of a portable telephone
KR200473933Y1 (en) A Case for a portable electronics
TWM601937U (en) Protective shell for cellular phone
KR101299676B1 (en) A case for portable terminal
KR20110109668A (en) A case structure for handphone
KR101604070B1 (en) Diary case for portable terminal
KR101201923B1 (en) A Protect cover for electronic devicd with touch input fun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