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4652B1 - Holder for vehicles - Google Patents

Holder for vehicl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4652B1
KR101384652B1 KR1020120144215A KR20120144215A KR101384652B1 KR 101384652 B1 KR101384652 B1 KR 101384652B1 KR 1020120144215 A KR1020120144215 A KR 1020120144215A KR 20120144215 A KR20120144215 A KR 20120144215A KR 101384652 B1 KR101384652 B1 KR 1013846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pair
cradle
tooth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421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송순영
Original Assignee
송순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순영 filed Critical 송순영
Priority to KR10201201442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465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46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465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4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telepho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7/00Suction cups for attaching purposes; Equivalent means using adhesives
    • F16B47/003Suction cups for attaching purposes; Equivalent means using adhesives using adhesives for attaching purpo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60R2011/0056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using suction cu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64Connection with the article
    • B60R2011/0071Connection with the article using latches, clips, clamps, strap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84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with adjustment by linear movement in their operational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85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with adjustment by rotation in their operational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nds-free holder for vehicles which includes a cradle for fixing any mobile terminal, and a plurality of connecting parts for connecting the cradle and a fixing part fixed to a wanted portion of the vehicle by suction. Since the connecting part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o be enable to rotate, the distance between the fixing part and the cradle can be adjusted, and thus the fixing part can be fixed to various positions in the vehicle. When the connecting parts are folded, the connecting parts are disposed in a low level above the fixing part, and thus the appearance is clean. The space occupation is minimized when the holder is kept. The hands-free holder includes a housing having the fixing part detachably fixed to the vehicle, and the connecting parts coupled to the fixing part at one end portion to be enable to rotate and being foldable to adjust the length, the connecting parts being disposed in a stacked state above the fixing part when the connecting parts are folded, and the cradle connected to the other end portion of the connecting part to hold the mobile terminal, the distance of both contact ends holding the terminal being adjusted depending upon the size of the terminal.

Description

차량용 거치대{holder for vehicles}Holder for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용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각 종 단말기를 고정하는 크래들과 차량 내의 특정 부분에 흡착 결합되는 고정부 사이에 연결되는 연결부를 복수개로 구성하고, 이들 복수개의 연결부들을 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상기 고정부로부터 상기 크래들 사이의 이격 거리가 다양하게 조절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상기 고정부를 상기 차량 내의 다양한 위치에 고정할 수 있으며, 상기 복수개의 연결부가 서로 접혀질 때, 상기 고정부 상측으로 낮게 적층 배치됨으로써, 외관상 깔끔하고, 보관시 공간 차지가 최소화될 수 있는 차량용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cradle, and in particular, by configuring a plurality of connecting portions connected between the cradle for fixing the various terminals and the fixing portion that is suction-coupled to a specific part in the vehicle, by coupling the plurality of connecting portions rotatably with each other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cradle and the cradle may be variously adjusted, and as a result, the fixing part may be fixed at various positions in the vehicle, and when the plurality of connection parts are folded together, the upper side of the fixing part By stacking low as it relates to a vehicle cradle that is clean in appearance and can minimize the space occupied during storage.

최근 차량의 내부에는 텔레비젼 방송이나 비디오, CD 등에 저장된 영상 또는 네비게이션 등을 볼 수 있도록 액정 모니터 또는 DMB 기기 등과 같은 멀티미디어 장치를 설치하는 경우가 많다. 물론, 근래에는 상기 멀티미디어 장치가 차량 내에 매립되는 경우가 많지만, 여전히 차량용 거치대를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장치를 거치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Recently, a multimedia device such as a liquid crystal monitor or a DMB device is often installed inside a vehicle so that an image or navigation stored in a television broadcast, a video, a CD, or the like can be viewed. Of course, in recent years, the multimedia device is often embedded in the vehicle, but still often used to mount the multimedia device using a vehicle holder.

특히, 최근에는 각 종 사이즈를 가지는 스마트폰이 다양하게 출시되고 있고, 이들 다양한 사이즈의 스마트폰을 차량 내에서 거치하고, 사용시에는 거치대에서 이탈시켜 사용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더 나아가, 스마트폰에서 제공하는 네비게이션 기능을 이용하기 위하여, 상기 스마트폰을 안전하게 차량용 거치대를 이용하여 거치 사용하고 있다.In particular, in recent years, various sizes of smartphones have been released in various ways, and these various sizes of smartphones are mounted in a vehicle, and when used, it is frequently used to be detached from the cradle. Furthermore, in order to use the navigation function provided by the smartphone, the smartphone is safely mounted using a vehicle holder.

따라서, 다양한 사이즈의 스마트폰을 포함한 단말기를 거치하기 위한 차량용 거치대가 필요하고, 더 나아가, 차량용 거치대를 차량 내의 다양한 부위에 거치하여 사용하기 위하여, 상기 차량용 거치대의 길이 조절이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될 필요성이 있으며, 길이 조절이 될 뿐 아니라, 구조가 단순하고 사이즈가 최소화되는 차량용 거치대가 필요한 실정에 있지만, 현재 이와 같은 필요 사항을 모두 만족하는 차량용 거치대는 제안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Therefore, a vehicle cradle for mounting a terminal including a smartphone of various sizes is required, and furthermore, in order to mount and use the vehicle cradle to various parts in the vehicle, the vehicle cradle is configured to easily adjust the length adjustment. Although there is a need for a vehicle cradle that is not only adjustable in length but also simple in structure and minimized in size, a vehicle cradle that satisfies all of these requirements has not been proposed at presen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스마트폰, 네비게이션, DMB 등 각 종 단말기를 고정하는 크래들과 차량 내의 특정 부분에 흡착 결합되는 고정부 사이에 연결되는 연결부를 복수개로 구성하고, 이들 복수개의 연결부들을 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상기 고정부로부터 상기 크래들 사이의 이격 거리가 다양하게 조절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상기 고정부를 상기 차량 내의 다양한 위치에 고정할 수 있으며, 상기 복수개의 연결부가 서로 접혀질 때, 상기 고정부 상측으로 낮게 적층 배치됨으로써, 외관상 깔끔하고, 보관시 공간 차지가 최소화될 수 있는 차량용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prior art, a plurality of connection parts connected between the cradle for fixing the various terminals, such as smart phones, navigation, DMB and the fixing portion that is suction-coupled to a specific part in the vehicle And by rotatably coupling these plurality of connecting portions to each other,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cradle and the cradle can be variously adjusted, and as a result, the fixing portion can be fixed at various positions in the vehicle. When the plurality of connection parts are folded together, the stacking unit is arranged to be stack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xing unit to provide a vehicle holder that is clean in appearance and can minimize space storage during storage.

또한, 크래들을 구성하는 두개의 회전판이 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각 타단에 형성된 접촉단의 거리가 조절되도록 함으로써, 네비게이션(7”)에서 Tablet PC(10.1” e I-Pad, 갤러시 Note 10.1 등) 등 다양한 사이즈의 단말기를 거치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two rotating plate constituting the cradle is rotatably coupled to each other to adjust the distance of the contact end formed on each other end, Tablet PC (10.1 ”e I-Pad, Galaxy Note 10.1, etc.) in the navigation (7”)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radle for a vehicle to mount a terminal of various sizes, such as).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본 발명인 차량용 거치대를 이루는 구성수단은, 차량용 거치대에 있어서, 차량 내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되, 접이식으로 길이가 조정되고, 접혀진 경우에 상기 고정부 상측으로 적층 배치되는 연결부로 구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연결부 타단에 연결되어 단말기를 거치하되, 단말기의 사이즈에 따라 단말기가 접촉되는 양측 접촉단의 거리가 조절되는 크래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constituent means forming the vehicle cra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vehicle cradle, the fixing portion detachably fixed in the vehicle, one end is rotatably coupled to the fixing portion, foldable When the length is adjusted and folded, the housing is composed of connecting parts stacked on the fixing part, and the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on part to mount the terminal, and the distance between both contact ends at which the terminal contacts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terminal.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the cradle to be.

여기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연결부의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기 위하여 일측에 수평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한 쌍의 제1 돌출결합부를 구비하고, 중앙 내측으로 수직하게 형성된 축공을 구비하는 베이스와, 상기 축공에 승강 가능하게 끼워지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의 하부에 중앙 부분이 연결되는 흡착판과, 상기 샤프트에 끼워져서 상기 흡착판과 상기 베이스 사이에서 탄성력을 유지하는 스프링과, 상기 축공 상측으로 돌출되는 상기 샤프트의 상측과 고정핀에 의하여 연결되되, 상기 베이스의 상부면에 지지되는 승강 레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fixing part, the base having a pair of first protrusion coupling portion protru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n one side to be rotatably coupled to one end of the connecting portion, the base having a shaft hole formed vertically in the center, and the shaft hole A shaft fitted to be elevated in and out of the shaft, a suction plate having a central portion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haft, a spring fitted to the shaft to maintain an elastic force between the suction plate and the base, and the shaft protruding above the shaft hole. It is connected by the upper side and the fixing pi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lifting lever suppor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여기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한 쌍의 제1 돌출결합부에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삽입결합부가 일단에 형성되는 바 형상의 제1 연결부와, 상기 제1 연결부의 타단에 형성되는 제2 삽입결합부가 삽입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제2 돌출결합부가 일단에 형성되고, 타단에는 회동 결합부가 형성되는 제2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의 회동 결합부에 일측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에는 상기 크래들에 삽입 결합되는 회전볼 결합구가 구비되는 제3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connection portion, the first insertion portion of the bar shape is formed at one end of the first insertion coupling portion that is inserted into the pair of the first protruding coupling portion to be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formed on the other end of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A second connecting portion having a pair of second protruding coupling portions that are rotatably coupled to the insertion coupling portion is formed at one end thereof, and a second connecting portion having a rotating coupling portion formed at the other end thereof, and one side of the rotating coupling portion being rotatable. Is coupled and the other sid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third connecting portion is provided with a rotary ball coupler is coupled to the cradle.

여기서,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회동 결합부의 일측에서 두 갈래로 나뉘어져서 서로 평행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수용틀로 구성되고, 상기 한 쌍의 수용틀의 끝단이 상기 제2 돌출결합부를 구성하며, 상기 제2 연결부가 상기 제1 연결부에 접혀지는 경우, 상기 제1 연결부가 상기 한 쌍의 수용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is composed of a pair of receiving frames divided into two branches on one side of the rotation coupling portion form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the ends of the pair of receiving frames constitute the second protruding coupling portion, When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is folded in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serted into the pair of receiving frames.

여기서, 상기 한 쌍의 제1 돌출결합부가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원형으로 제1 치형이 연속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제1 돌출결합부에 삽입 결합되는 상기 제1 삽입결합부의 양측면에는 상기 제1 치형에 맞물리는 제2 치형이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제2 돌출결합부가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제4 치형이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제2 돌출결합부에 삽입 결합되는 상기 제2 삽입결합부의 양측면에는 상기 제4 치형에 맞물리는 제3 치형이 형성되며, 상기 제1 돌출결합부와 상기 제1 삽입결합부의 결합은 상기 제1 치형과 제2 치형이 맞물린 상태에서 제1 조임구에 의하여 고정 결합되고, 상기 제2 삽입결합부와 상기 제2 돌출결합부의 결합은 상기 제3 치형과 제4 치형이 맞물린 상태에서 제2 조임구에 의하여 고정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first tooth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on the surface of the pair of first protruding coupling portions facing each other, and the first insertion coupling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pair of first protruding coupling portions on both sides of the first insertion coupling portion. A second tooth is formed to mesh with the tooth, and a second tooth is formed on a surface of the pair of second protruding coupling portions facing each other, and the second insertion coupling is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the pair of second protruding coupling portions. Third teeth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portion to be engaged with the fourth tooth, and the first protrusion coupling portion and the first insertion coupling portion are coupled to each other by the first fastener in the state where the first tooth and the second tooth are engaged. It is fixedly coupled, the coupling of the second insertion coupling portion and the second protruding coupling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xed coupling by the second fastener in the state in which the third tooth and the fourth tooth is engaged.

또한, 상기 제3 연결부는 타측 단부에 절개부가 형성되고, 이 절개부의 내측에 요철부가 형성되며, 일측 단부에는 상기 제2 연결부의 회동 결합부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가 형성되는 한 쌍의 결합케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회전볼 결합구는 상기 한 쌍의 결합 케이스가 제3 조임구에 의하여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절개부 내측에 수용되는 회전볼을 일측에 구비하고, 타측에는 상기 크래들의 측면에 형성된 장착홈에 삽입 장착되는 결합구를 구비하며, 상기 한 쌍의 결합 케이스가 제3 조임구에 의하여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회동 결합부는 상기 수용부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third connecting portion has a cutout portion formed at the other end portion, a concave-convex portion is formed inside the cutout portion, and one end has a pair of coupling cases having a receiving portion formed therein to accommodate the pivotal coupling portion of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It is configured to include, the rotary ball coupler is provided with a rotary ball accommodated on the inside of the incision portion in a state in which the pair of coupling cases are coupled to each other by a third fastener, the other side of the cradle And a coupling tool inserted into and mounted in the formed mounting groove, wherein the rotation coupling part is rotatably received in the accommodation part in a state in which the pair of coupling cases are coupled to each other by the third fastener.

여기서, 상기 크래들은 두개의 회전판으로 구성되되, 상기 두개의 회전판은 서로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각 타단에 형성된 접촉단의 거리가 조절되고, 상기 두개의 회전판 중, 하나의 회전판 배면에는 상기 결합구가 삽입 장착되는 장착홈이 형성되며, 다른 회전판 배면에는 흰지 결합에 의하여 일단이 상기 회전판 배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외부로 펼쳐질 수 있는 거치판이 삽입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Here, the cradle is composed of two rotating plates, the two rotating plates are rotatably coupled to one end of each other to adjust the distance of the contact end formed on each other end, one of the two rotating plates, the coupling on the back of the rotating plate The mounting groove is inserted into the sphere is formed, the other side of the rotating plat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ounting plate is formed by inserting one end is rotatably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rotating plate by the coupling of the white paper to be deployed to the outside.

상기와 같은 과제 및 해결수단을 가지는 본 발명인 차량용 거치대에 의하면, 스마트폰, 네비게이션, DMB 등 각 종 단말기를 고정하는 크래들과 차량 내의 특정 부분에 흡착 결합되는 고정부 사이에 연결되는 연결부를 복수개로 구성하고, 이들 복수개의 연결부들을 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기 때문에, 상기 고정부로부터 상기 크래들 사이의 이격 거리가 다양하게 조절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상기 고정부를 상기 차량 내의 다양한 위치에 고정할 수 있으며, 상기 복수개의 연결부가 서로 접혀질 때, 상기 고정부 상측으로 낮게 적층 배치되기 때문에, 외관상 깔끔하고, 보관시 공간 차지가 최소화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vehicle cradle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solutions, a plurality of connecting portions connected between the cradle for fixing the various terminals such as smart phones, navigation, DMB, and the like fixed to the suction portion coupled to a specific part in the vehicle And, since the plurality of connection parts rotatably coupled to each other,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cradle and the cradle can be variously adjusted, as a result of which the fixing part can be fixed to various positions in the vehicle, When the plurality of connecting parts are folded to each other, since the plurality of connection parts are stacked low on the fixing part, they are neat in appearance and have an advantage of minimizing the space charge during storag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거치대가 차량 내 거치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하우징의 펼쳐진 상태에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하우징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고정부와 제1 연결부의 결합 상세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의 결합 상세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제2 연결부와 제3 연결부의 결합 상세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크래들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하우징의 길이 변화에 따른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vehicle holder mounted on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in an unfolded state of the housing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housing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detailed view of the coupling portion and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etailed view of the coupling of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and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etailed view of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and the third connection portion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cradle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the change in length of the housing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은 과제, 해결수단 및 효과를 가지는 본 발명인 차량용 거치대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radle for the vehicle having the above problems, solving means and effects.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The sizes and shapes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In addition,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the operator.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based on the content of this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거치대의 사시도이고, 특히 차량 내의 대쉬 보드에 장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radl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particular a perspective view of a state mounted on the dashboard in the vehicle.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거치대는 하우징(100)과 하우징의 끝단에 결합되어 다양한 사이즈를 가지는 단말기들을 고정 거치하는 크래들(2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 1, the vehicle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radle 200 fixed to a housing 100 and terminals having various sizes by being coupled to a housing end.

상기 크래들(200)에 대한 설명은 도 1 및 도 7을 참조하여 후술하겠고, 이하에서는 하우징(100)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A description of the cradle 200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7, and the configuration of the housing 1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하우징의 전체 결합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의 분리 사시도이다. 2 is an overall perspective view of the hou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hou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은 차량 내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고정부(10)와 상기 고정부(10)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되, 접이식으로 길이가 조정되고, 접혀진 경우에 상기 고정부(10) 상측으로 적층 배치되는 연결부(도면부호 20, 30, 40이 결합된 상태의 구성요소)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ures 2 and 3, the hou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rotatably coupled to one end to the fixing portion 10 and the fixing portion 10 is detachably fixed in the vehicle, the length is adjusted to foldable And, when folded,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connecting portion (components in the state of reference numerals 20, 30, 40 are coupled) that is stacked stacked above the fixing portion 10.

상기와 같이 하우징(100)을 구성하는 연결부는 접이식 구조로 전체 길이가 조정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크래들(200)은 상기 연결부 타단에 연결되어 단말기를 거치한다.The connecting portion constituting the housing 100 as described above is configured so that the overall length can be adjusted in a foldable structure, the cradle 200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ng portion to mount the terminal.

상기 단말기를 고정 거치하는 크래들은 상기 단말기의 사이즈에 따라 단말기의 상단과 하단이 각각 접촉되는 양측 접촉단(도 1 및 도 7에서 도면부호 211, 221로 표기됨)의 거리가 조절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겠다.The cradle for fixing the terminal is a structure that can be adjusted the distance of the two sides of the contact end (denoted by reference numerals 211 and 221 in Figures 1 and 7) in contact with the top and bottom of the terminal,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terminal Has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상기 하우징을 구성하는 고정부(10)의 기능은 일반적인 차량용 거치대에서 사용되는 고정부와 동일하다. 즉, 상기 고정부(10)는 흡착 방식에 의하여 차량 내 특정 부위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된다. The function of the fixing part 10 constituting the housing is the same as the fixing part used in a general vehicle holder. That is, the fixing part 10 is detachably fixed to a specific part in the vehicle by the adsorption method.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부(10)는 상기 연결부(구체적으로 제1 연결부(20))의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기 위하여 일측에 수평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한 쌍의 제1 돌출결합부(12)를 구비하고, 중앙 내측으로 수직하게 형성된 축공(미도시)을 구비하는 베이스(11)와, 상기 축공에 승강 가능하게 끼워지는 샤프트(13)와, 상기 샤프트(13)의 하부에 중앙 부분이 연결되는 흡착판(14)과, 상기 샤프트(13)에 끼워져서 상기 흡착판(14)과 상기 베이스(11) 사이에서 탄성력을 유지하는 스프링(15)과, 상기 축공 상측으로 돌출되는 상기 샤프트(13)의 상측과 고정핀(16)에 의하여 연결되되, 상기 베이스(11)의 상부면에 지지되는 승강 레버(1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n detail, the fixing part 10 includes a pair of first protrusion coupling parts 12 protrud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on one side in order to rotatably couple one end of the connection part (specifically, the first connection part 20). And a base 11 having a shaft hole (not shown) formed vertically inward to the center, a shaft 13 fitted to the shaft hole so as to be movable up and down, and a central portion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shaft 13. An upper side of the suction plate 14, a spring 15 inserted into the shaft 13 to maintain an elastic force between the suction plate 14 and the base 11, and a protruding upper side of the shaft hole. Is connected by the fixing pin 16, and comprises a lifting lever 17 is suppor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11).

상기 고정핀(16)은 상기 베이스(11)의 상부에 형성된 고정핀 안착부(11a)에 양단이 안착 지지되되, 상기 베이스(11)의 상측으로 돌출되는 상기 샤프트(13)의 상측 부분과 상기 승강 레버(17)에 삽입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15)이 상기 베이스(11)와 상기 흡착판(14) 사이에 배치되어 탄성력을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베이스 상부면에 형성된 경사면에 상기 승강 레버(17)의 밑단이 접촉지지되도록 하면서, 상기 승강 레버를 한쪽 방향으로 내리면, 상기 샤프트(13)가 승하강하면서 상기 흡착판(14)이 차량 내 측정 부위에 접촉하여 흡착될 수 있다.Both ends of the fixing pin 16 are supported by the fixing pin seating portion 11a form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base 11,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shaft 13 protruding upward of the base 11 and the It is inserted into the lifting lever 17 and coupled. In addition, since the spring 15 is disposed between the base 11 and the suction plate 14 to maintain the elastic force, the bottom end of the lifting lever 17 is in contact with the inclined surfac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While the lifting lever is lowered in one direction, while the shaft 13 is lifting and lowering, the suction plate 14 may be in contact with and measured by the measurement part in the vehicle.

상기 베이스(11)의 일측에 수평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상기 한 쌍의 제1 돌출결합부(12)에는 상기 연결부의 일단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상기 한 쌍의 제1 돌출결합부(12)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개의 제1 돌출결합부가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제1 치형(12a)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치형(12a)이 형성되는 원형 부분의 중앙에 제1 결합홀(12b)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겠다.One end of the connection part is rotatably coupled to the pair of first protrusion coupling parts 12 protrud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on one side of the base 11. As shown in FIGS. 3 and 4, the pair of first protrusion coupling parts 12 are formed such that the two first protrusion coupling parts face each other. In addition, a first tooth 12a is formed on a surface facing each other, and a first coupling hole 12b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circular portion where the first tooth 12a is formed.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상기 한 쌍의 제1 돌출결합부(1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부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연결부가 접철 가능한 구조로 연결되어 있다. 이를 통하여 상기 연결부는 다양한 길이로 조절될 수 있다.The connection part rotatably coupled to the pair of first protrusion coupling parts 12 is connected in a foldable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Through this connection portion can be adjusted to various lengths.

상기 연결부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연결부로 구성되어 있고, 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본 발명에서는 세개의 연결부가 서로 연결된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즉, 상기 연결부는 제1 연결부(20), 제2 연결부(30) 및 제3 연결부(40)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 3, the connection part includes a plurality of connection parts and is rotatably coupled to each o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a structure in which three connection part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will be described. That is, the connection part includes a first connection part 20, a second connection part 30, and a third connection part 40.

상기 제1 연결부(20)는 상기 한 쌍의 제1 돌출결합부(12)에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제1 연결부(20)의 일단에는 상기 한 쌍의 제1 돌출결합부(1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삽입 결합부(21)가 형성되어 있고, 전체적으로 바 형상을 가진다.The first connection portion 20 is inserted into the pair of first protrusion coupling portions 12 to be rotatably coupled. Accordingly, one end of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20 is formed with a first insertion coupling portion 21 rotatably coupled to the pair of first protruding coupling portions 12, and has a bar shape as a whole.

상기 제1 연결부의 제1 삽입 결합부(21)는 상기 제1 돌출결합부(12)에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제1 돌출결합부(12)와 상기 제1 연결부가 소정 각도로 연결된 후 고정되도록, 양 측면에 각각 제2 치형(21a)이 형성되고, 상술한 제1 결합홀(12b)에 대응되는 제2 결합홀(21b)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겠다.The first insertion coupling portion 21 of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first protrusion coupling portion 12 so as to be rotatable and at the same time, the first protrusion coupling portion 12 and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at a predetermined angle. The second teeth 21a are formed on both side surfaces thereof so as to be fixed after being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second coupling holes 21b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upling holes 12b are formed.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상기 제1 연결부(20)의 타단에는 상기 제2 연결부(3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제2 삽입 결합부(22)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2 결합부(30)는 상기 제1 연결부(20)의 타단에 형성되는 제2 삽입결합부(22)가 삽입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제2 돌출결합부(31)가 일단에 형성된다. 그리고 타단에는 상기 제3 결합부(40)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회동 결합부(32)가 형성된다.The other end of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20 is formed with a second insertion coupling portion 22 so that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30 can be rotatably coupled. Accordingly, the second coupling portion 30 is a pair of second protrusion coupling portions 31 rotatably coupled to each other by inserting a second insertion coupling portion 22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20. Is formed at one end. And the other end is formed with a rotation coupling portion 32 that can be rotatab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third coupling portion 40.

상기 제2 연결부(30)의 한 쌍의 제2 돌출결합부(31)는 상기 제2 삽입결합부(22)가 삽입될 수 있는 구조이고, 상기 한 쌍의 제2 돌출결합부(31)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상기 제2 치형(22a)에 맞물릴 수 있는 제3 치형(31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3 치형(31a)이 연속적으로 형성된 원형의 중심을 관통하여 제3 삽입홀(31b)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겠다.The pair of second protrusion coupling portions 31 of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30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second insertion coupling portion 22 can be inserted, and the pair of second protrusion coupling portions 31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 third tooth 31a, which can engage the second tooth 22a, is formed on the surfaces facing each other, and the third insertion hole penetrates through the center of the circle in which the third tooth 31a is continuously formed. 31b) is formed.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상기 제2 연결부의 타단에 형성되는 회동 결합부(32)는 상기 제3 연결부(40)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제3 연결부(40)는 상기 제2 연결부(30)의 회동 결합부(32)에 일측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를 가지고, 타측에는 상술한 크래들(200)에 삽입 결합되는 회전볼 결합구(45)가 구비된다.The rotation coupling part 32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second connection part is rotatab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third connection part 40. Therefore, the third connection portion 40 has a structure in which one side is rotatably coupled to the rotation coupling portion 32 of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30, and the other side is a rotary ball inserted and coupled to the cradle 200 described above. Coupling tool 45 is provided.

상기 제2 연결부(30)의 회동 결합부(32)는 전체적으로 원기둥 구조를 가지되, 외면의 가운데 부분이 오목하게 들어간 형상을 가진다. 즉, 원기둥의 밑면 및 윗면 부분을 형성하는 원주의 반지름보다 원기둥 외면 가운데 부분의 원주의 반지름이 작은 형상을 가진다. 예를 들어, 상기 회동 결합부는 악기인 장구 또는 장난감인 요요의 형상과 유사한 형상을 가진다.Rotating coupling portion 32 of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30 has a cylindrical structure as a whole, the center portion of the outer surface has a shape recessed. That is, the radius of the circumference of the center portion of the outer surface of the cylinder is smaller than the radius of the circumference forming the bottom and top portions of the cylinder. For example, the rotation coupling portion has a shape similar to that of the yo-yo, which is an instrument or toy.

상기와 같은 형상을 가지는 회동 결합부(32)는 상기 제3 연결부(40)의 일측에 삽입되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제3 연결부(40)의 타측에는 상기 크래들(200)에 장탈착이 가능한 구조로 형성된 회전볼 결합구(45)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겠다.Rotating coupling part 32 having the shape as described above is inserted into one side of the third connecting portion 40 is rotatably coupled. In addition, the other side of the third connection portion 40 is formed with a rotating ball coupler 45 formed in a structure that can be detachable to the cradle 200.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는 제1 연결부(20), 제2 연결부(30) 및 제3 연결부(40)로 구성되되, 상기 제1 연결부(20)의 일단에 형성된 제1 삽입결합부(21)가 상기 베이스(11)의 일측면에 수평방향으로 돌출형성된 제1 돌출결합부(1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 연결부(20)의 타단에 형성된 제2 삽입결합부(22)가 상기 제2 연결부(30)의 일단에 형성된 제2 돌출결합부(31)에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 연결부 및 제2 연결부가 접혀진 경우에, 상기 베이스(11)의 상측에 적층 배치되기 때문에, 다양한 길이로 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연결부(30)의 타단에 형성된 회동결합부(32)가 상기 제3 연결부(40)의 일측에 삽입되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제3 연결부(40)의 타측에 결합되는 크래들의 위치를 다양한 각도로 조정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onnecting portion is composed of a first connecting portion 20,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30 and the third connecting portion 40, the first insertion coupling portion formed on one end of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20) 21 is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protrusion coupling portion 12 protrud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on one side of the base 11, the second insertion coupling portion 22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20 ) Is inserted into the second protruding coupling portion 31 formed at one end of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30 to be rotatably coupled, and when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and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are folded, the upper side of the base 11 Because they are arranged stacked on, they can be adjusted to various lengths. In addition, since the rotation coupling part 32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second connection part 30 is inserted into one side of the third connection part 40 so as to be rotatable and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third connection part 40. The position of the cradle can be adjusted at various angles.

이와 같이, 길이 조절이 가능하고, 크래들의 위치를 다양한 각도로 조정 배치할 수 있는 상기 연결부의 구체적인 연결 상태를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In this way, the specific connection state of the connecting portion which can adjust the length and adjust and position the cradle at various angle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연결부(20)와 제2 연결부(30)가 서로 접혀지는 경우에는 상기 베이스(11)의 상측에 적층 배치된다. 이 때, 상기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의 접철 구조를 단순화시키고, 접혀진 상태의 구조를 단순화시키며, 접혀진 상태의 사이즈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상기 제2 연결부(30)의 구조는 제1 연결부의 구조와 달리 형성한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20 and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30 are folded to each other, they are stacked on the base 11. In this case, in order to simplify the folding structure of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and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simplify the structure of the folded state, and minimize the size of the folded state, the structure of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30 is the structure of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Unlike otherwise.

구체적으로,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연결부(30)는 상기 회동 결합부(32)의 일측에서 두 갈래로 나뉘어져서 서로 평행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수용틀(33)을 몸체로 구성한다. 이와 같이, 상기 제2 연결부(30)의 몸체를 구성하는 상기 한 쌍의 수용틀(33)의 끝단이 상술한 제2 돌출결합부(31)를 구성한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S. 3 and 5, the second connection part 30 is divided into two branches on one side of the rotation coupling part 32 and is formed in a pair of receiving frames 33 form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Consists of a body. As such, the ends of the pair of receiving frames 33 constituting the body of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30 constitute the above-described second protruding portion 31.

따라서, 상기 제1 연결부(20)의 제2 삽입결합부(22)가 상기 제2 돌출결합부(31)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2 연결부(30)가 상기 제1 연결부(20)에 접혀지는 경우, 상기 제1 연결부(20)의 바디(24)가 상기 한 쌍의 수용틀(33)에 삽입된 상태가 된다. 이 때, 상기 한 쌍의 수요틀(33)의 서로 마주보는 내측면은 상기 제1 연결부(20)의 바디(24)의 측면(24a)과 미세한 간격을 두고 마주보는 상태가 된다.Therefore, in a state where the second insertion coupling portion 22 of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20 is coupled to the second protrusion coupling portion 31,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30 is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20. When folded, the body 24 of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20 is inserted into the pair of receiving frames 33. At this time, the inner side surfaces of the pair of demand frames 33 face each other at minute intervals with the side surface 24a of the body 24 of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20.

이와 같은 결합 구조를 가지는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의 결합 상태에 대해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더 상세하게 후술한다.A coupling state of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and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having such a coupling structure will be described later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5.

도 4는 베이스(11)의 일측면에서 수평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한 쌍의 제1 돌출결합부(12)에 제1 연결부(20)가 결합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다.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20 is coupled to a pair of first protrusion coupling portions 12 protruding horizontally from one side of the base 11.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제1 돌출결합부(12)가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원형이 형성되도록 제1 치형(12a)이 연속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제1 돌출결합부(12)에 삽입 결합되는 상기 제1 삽입결합부(21)의 양측면에는 상기 제1 치형(12a)에 맞물리는 제2 치형(21a)이 형성된다.As shown in FIG. 4, the first teeth 12a are continuously formed such that the pair of first protrusion coupling parts 12 face each other such that a circle is formed, and the pair of first protrusion coupling part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insertion coupling portion 21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12), second teeth 21a are formed to engage the first teeth 12a.

상기 제1 삽입결합부(21)가 상기 제1 돌출결합부(12)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1 삽입결합부(21)의 제2 치형(21a)과 상기 제1 돌출결합부(12)의 제1 치형(12a)은 서로 완전 맞물린 상태가 아니고, 미세하게 유격이 존재하기 때문에, 상기 제1 돌출결합부(12)에 형성된 제1 삽입홀(12b)과 상기 제1 삽입결합부(21)에 형성된 제2 삽입홀(21b)을 관통하여 배치되는 제1 조임구(18a, 18b)를 조이지 않는 한, 상기 제1 연결부(20)는 상기 제1 돌출결합부(12)에 연결된 상태에서 회전 가능하다.In a state where the first insertion coupling portion 21 is inserted into the first protrusion coupling portion 12, the second tooth 21a and the first protrusion coupling portion 12 of the first insertion coupling portion 21 are provided. Since the first teeth 12a of () are not completely engaged with each other and there is a fine gap, the first insertion hole 12b and the first insertion coupling portion (1) formed in the first protruding coupling portion 12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20 is connected to the first protruding portion 12 unless the first fastening holes 18a and 18b disposed through the second insertion hole 21b formed in the 21 are not tightened. Rotatable in

그러나, 상기 제1 조임구(18a, 18b)를 조이게 되면, 상기 한 쌍의 제1 돌출결합부(12)는 서로 더 가까워지는 상태가 되고, 결국 상기 제1 치형(12a)과 제2 치형(21a)은 서로 강하게 맞물리게 된다. 그러면, 상기 제1 연결부(20)는 상기 제1 돌출결합부(12)에 연결된 상태에서 회전되지 못하고 강하게 고정 결합된 상태가 된다.However, when the first fasteners 18a and 18b are tightened, the pair of first protrusion coupling portions 12 become closer to each other, and thus the first tooth 12a and the second tooth ( 21a) are strongly engaged with each other. Then,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20 is not rotated in a state connected to the first protrusion coupling portion 12 is in a strongly fixed state.

즉, 상기 제1 돌출결합부(12)와 상기 제1 삽입결합부(21)의 결합은 상기 제1 치형(12a)과 제2 치형(21a)이 맞물린 상태에서 상기 제1 조임구(18a, 18b)에 의하여 고정 결합된다. 상기 제1 조임구는 상기 제1 치형(12a)이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원형의 중심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1 삽입홀(12b)과 상기 제2 치형(21a)이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원형의 중심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2 삽입홀(21b)에 삽입되는 나사(18b)와 상기 나사가 삽입되어 나사 결합되는 너트(18a)로 구성될 수 있다.That is, the coupling between the first protrusion coupling part 12 and the first insertion coupling part 21 is performed in the state where the first tooth 12a and the second tooth 21a are engaged with the first fastener 18a, It is fixedly coupled by 18b). The first fastener penetrates through the center of the first insertion hole (12b) and the second tooth (21a) is formed continuously through the center of the circle formed continuously the first tooth (12a) And a nut 18a inserted into the second insertion hole 21b and a nut 18a to which the screw is inserted and screwed together.

이와 같을 구조를 통하여 결합되는 상기 제1 연결부(20)와 상기 제1 돌출결합부(12)에 의하여, 상기 제1 연결부(20)가 상기 제1 돌출결합부(12)로부터 펼쳐진 경우에는 제1 연결부를 포함하는 연결부의 전체 길이를 증가시키고, 상기 제1 연결부가 상기 제1 돌출결합부(12)에 접혀진 경우에는 제1 연결부를 포함하는 연결부의 전체 길이를 감소시킨다. 이 때, 상기 제1 연결부가 상기 제1 돌출결합부(12)에 완전히 접혀진 경우에는, 상기 제1 연결부(20)는 상기 베이스(12)의 상부면에 접촉된 상태로 존재한다.When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20 is unfolded from the first protrusion coupling portion 12 by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20 and the first protrusion coupling portion 12 coupled through the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The total length of the connecting part including the connecting part is increased, and the total length of the connecting part including the first connecting part is reduced when the first connecting part is folded in the first protrusion coupling part 12. At this time, when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is completely folded to the first protruding portion 12,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20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12.

다음은, 도 3 및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제1 연결부(20)와 제2 연결부(30)의 결합 구조를 상세하게 설명한다.Next,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20 and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3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5.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제2 돌출결합부(31)가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제4 치형(31a)이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제2 돌출결합부(31)에 삽입 결합되는 상기 제2 삽입결합부(22)의 양측면에는 상기 제4 치형(31a)에 맞물리는 제3 치형(22a)이 형성된다.As shown in FIG. 5, a fourth tooth 31a is formed on a surface of the pair of second protruding coupling portions 31 facing each other and inserted into the pair of second protruding coupling portions 31. Third teeth 22a are formed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second insertion coupling portion 22 to be engaged with the fourth teeth 31a.

상기 제2 삽입결합부(22)가 상기 제2 돌출결합부(31)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2 삽입결합부(22)의 제3 치형(22a)과 상기 제2 돌출결합부(31)의 제2 치형(31a)은 서로 완전 맞물린 상태가 아니고, 미세하게 유격이 존재하기 때문에, 상기 제2 돌출결합부(31)에 형성된 제4 삽입홀(31b)과 상기 제2 삽입결합부(22)에 형성된 제3 삽입홀(22b)을 관통하여 배치되는 제2 조임구(23a, 23b)를 조이지 않는 한, 상기 제2 연결부(30)는 상기 제1 연결부(20)의 제2 삽입결합부(22)에 연결된 상태에서 회전 가능하다.In the state where the second insertion coupling portion 22 is inserted into the second protrusion coupling portion 31, the third tooth 22a and the second protrusion coupling portion 31 of the second insertion coupling portion 22 are formed. Since the second teeth 31a of the) are not completely engaged with each other and there is a fine gap, the fourth insertion hole 31b and the second insertion coupling portion (2) formed in the second protruding coupling portion 31 As long as the second fasteners 23a and 23b disposed through the third insertion hole 22b formed at 22 are not tightened, the second connection part 30 is connected to the second insertion part of the first connection part 20. It is rotatable in a state connected to the unit 22.

그러나, 상기 제2 조임구(23a, 23b)를 조이게 되면, 상기 한 쌍의 제2 돌출결합부(31)는 서로 더 가까워지는 상태가 되고, 결국 상기 제3 치형(22a)과 제4 치형(31a)은 서로 강하게 맞물리게 된다. 그러면, 상기 제2 연결부(30)는 상기 제2 삽입결합부(22)에 연결된 상태에서 회전되지 못하고 강하게 고정 결합된 상태가 된다.However, when the second fasteners 23a and 23b are tightened, the pair of second protruding coupling portions 31 become closer to each other, and thus, the third tooth 22a and the fourth tooth ( 31a) are strongly engaged with each other. Then,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30 is not rotated in a state connected to the second insertion coupling portion 22 is in a strongly fixed state.

즉, 상기 제2 돌출결합부(31)와 상기 제2 삽입결합부(22)의 결합은 상기 제4 치형(31a)과 제3 치형(22a)이 맞물린 상태에서 상기 제2 조임구(23a, 23b)에 의하여 고정 결합된다. 상기 제2 조임구는 상기 제4 치형(31a)이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원형의 중심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4 삽입홀(31b)과 상기 제3 치형(22a)이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원형의 중심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3 삽입홀(22b)에 삽입되는 나사(23b)와 상기 나사가 삽입되어 나사 결합되는 너트(23a)로 구성될 수 있다.That is, the coupling between the second protrusion coupling portion 31 and the second insertion coupling portion 22 is performed by the second fastener 23a, in which the fourth tooth 31a and the third tooth 22a are engaged with each other. It is fixedly coupled by 23b). The second fastener penetrates through the center of the circular hole in which the fourth insertion hole 31b and the third tooth 22a are continuously formed, penetrating the center of the circle where the fourth tooth 31a is continuously formed. And a screw 23b inserted into the third insertion hole 22b formed therein and a nut 23a inserted into the screw and screwed thereto.

이와 같을 구조를 통하여 결합되는 상기 제1 연결부(20)와 상기 제2 연결부(30)에 의하여, 상기 제1 연결부(20)가 상기 제2 연결부(30)로부터 펼쳐진 경우에는 제1 연결부 및 제2 연결부를 포함하는 연결부의 전체 길이를 증가시키고, 상기 제1 연결부가 상기 제2 연결부(30)에 접혀진 경우에는 제1 연결부 및 제2 연결부를 포함하는 연결부의 전체 길이를 감소시킨다. 이 때, 상기 제1 연결부가 상기 제2 연결부(30)에 완전히 접혀진 경우에는, 상기 제2 연결부(30)는 상기 제1 연결부(20)의 바디(24) 측면(24a)을 감싸도록 끼워진 상태로 존재한다.When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20 is unfolded from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30 by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20 and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30 coupled through the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and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30 are formed. The total length of the connecting part including the connecting part is increased, and when the first connecting part is folded in the second connecting part 30, the total length of the connecting part including the first connecting part and the second connecting part is reduced. In this case, when the first connection part is completely folded to the second connection part 30, the second connection part 30 is fitted to surround the side surface 24a of the body 24 of the first connection part 20. Exists as.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2 연결부(30)의 몸체는 서로 마주보도록 평행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수용틀(33)로 구성되고, 상기 한 쌍의 수용틀(33)의 끝단이 상기 제2 돌출결합부(31)를 구성한다. 따라서, 상기 한 쌍의 수용틀(33)의 끝단으로 구성되는 상기 제2 돌출결합부(31)에 상기 제2 삽입결합부(22)가 삽입된 상태로, 상기 제2 연결부가 상기 제1 연결부에 접혀지는 경우에는, 상기 한 쌍의 수용틀(33)이 상기 제1 연결부 몸체(24)의 측면(24a)을 감싸고, 상기 한 쌍의 수용틀(33)의 내측면은 상기 제1 연결부 몸체(24)의 측면(24a)과 마주보는 상태로 존재한다.That is, as described above, the body of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30 is composed of a pair of receiving frame 33 arranged in parallel to face each other, the end of the pair of receiving frame 33 is the first 2 constitutes a protrusion coupling portion (31). Accordingly,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22 is inserted into the second protruding coupling portion 31 configured as the end of the pair of receiving frames 33, and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is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When folded in the pair of receiving frame 33 surrounds the side surface (24a) of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body 24, the inner surface of the pair of receiving frame 33 is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body It exists in the state facing the side surface 24a of (24).

상기 제2 연결부의 타단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회동 결합부(32)가 형성되고, 이 회동 결합부(32)는 상기 제3 연결부(40)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삽입 결합된다. 상기 회동결합부(32)는 악기인 장구 또는 장난감인 요요의 형상과 유사한 형상, 즉 허리 부분이 가늘게 형성되는 원기둥 형상을 가진다.As described above, the other end of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the rotation coupling portion 32 is formed, the rotation coupling portion 32 is rotatably inserted coupled to one side of the third connection portion (40). The pivot coupling portion 32 has a shape similar to that of a yo-yo, which is a musical instrument or a toy, that is, a cylindrical shape in which a waist portion is thinly formed.

따라서, 상기 제3 결합부(40)는 일측에는 상기 회동결합부(32)가 회동 결합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면서, 타측에는 상술한 크래들(200)에 장탈착될 수 있는 구조를 가져야 한다.Therefore, the third coupling portion 40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rotation coupling portion 32 can be pivotally coupled to one side, and has a structure that can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cradle 200 described above.

도 6은 상기 제3 연결부(40)의 구조와, 상기 제3 연결부(40)와 제2 연결부(30)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다.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structure of the third connecting portion 40 and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third connecting portion 40 and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30.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 연결부(40)는 일측이 상기 회동결합부(32)를 수용하여 결합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타측에는 상기 크래들에 장탈착되어 상기 크래들이 다양한 방향으로 위치할 수 있도록 회전볼 결합구(45)를 구비한다.As shown in Figure 3 and 6, the third connection portion 40 has a structure in which one side can be coupled to receive the rotation coupling portion 32, the other side is mounted on the cradle and the cradle It is provided with a rotary ball coupler 45 to be located in various directions.

구체적으로, 상기 제3 연결부(40)는 타측 단부에 절개부(43)가 형성되고, 이 절개부(43)의 내측에 요철부(43a)가 형성되며, 일측 단부에는 상기 제2 연결부(30)의 회동 결합부(32)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42)가 형성되는 한 쌍의 결합케이스(4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한 쌍의 결합케이스(41)가 서로 결합되면, 상기 회동 결합부(32)는 상기 수용부(42)에 수용된 상태로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되고, 상기 회전볼 결합구(45)를 구성하는 회전볼(46) 역시 상기 절개부(43)의 내측면인 요철부(43a)에서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제3 조임구(34a, 34b)를 조이면, 상기 한 쌍의 결합케이스(41)는 서로 강하게 결합함으로써, 상기 회동결합부(32)와 상기 회전볼(46)은 상기 한 쌍의 결합케이스(41) 내에서 고정된다.Specifically, the third connection portion 40 is formed with a cutout 43 at the other end portion, an uneven portion 43a is formed inside the cutout 43, and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30 is formed at one end.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pair of coupling case 41 is formed with a receiving portion 42 that can accommodate the rotation coupling portion (32) of. Therefore, when the pair of coupling cases 41 are coupled to each other, the rotation coupling portion 32 is rotatable in a state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portion 42, and constitutes the rotary ball coupling 45 The rotating ball 46 is also rotatable in the uneven portion 43a which is the inner surface of the cutout 43. In this state, when the third fasteners 34a and 34b are tightened, the pair of coupling cases 41 are strongly coupled to each other, such that the rotation coupling portion 32 and the rotary ball 46 are connected to the pair. It is fixed in the coupling case 41.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회전볼 결합구(45)는 상기 한 쌍의 결합 케이스(41)가 제3 조임구(34a, 34b)에 의하여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절개부(43) 내측에 수용되는 회전볼(46)을 일측에 구비하고, 타측에는 상기 크래들(200)의 측면에 형성된 장착홈(도 7에서 212로 표기됨)에 삽입 장착되는 결합구(47)를 구비하며, 상기 한 쌍의 결합 케이스(41)가 상기 제3 조임구(34a, 34b)에 의하여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회동 결합부(32)는 상기 수용부(42)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된다. In more detail, the rotary ball coupler 45 is accommodated inside the cutout 43 in a state in which the pair of coupling cases 41 are coupled to each other by the third fasteners 34a and 34b. The rotating ball 46 is provid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is provided with a coupling hole 47 is inserted into the mounting groove (denoted 212 in Figure 7) formed on the side of the cradle 200, the pair With the coupling case 41 coupled to each other by the third fasteners 34a and 34b, the rotation coupling portion 32 is rotatably received in the accommodation portion 42.

상기 한 쌍의 결합 케이스(41)가 상기 제3 조임구(34a, 34b)에 의하여 서로 결합된 상태는 상기 한 쌍의 결합케이스(41)에서 상기 회동결합부(32)와 상기 회전볼(46)이 이탈되지 못한 상태이고, 또한 미세한 유격이 존재하여, 상기 한 쌍의 결합케이스(41) 내에서 상기 회동결합부(32)와 상기 회전볼(46)이 회전가능한 상태이다.The pair of coupling cases 41 are coupled to each other by the third fasteners 34a and 34b, so that the pivot coupling part 32 and the rotary ball 46 are connected to the pair of coupling cases 41. ) Is not separated and there is also a fine play, the rotating coupling portion 32 and the rotating ball 46 is rotatable in the pair of coupling case 41.

따라서, 상기 한 쌍의 결합케이스(41) 내에서 상기 회동결합부(32)를 고정하고, 상기 회전볼(46)을 고정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3 조임구(34a, 34b)를 이용하여 상기 한 쌍의 결합케이스(41)가 서로 강하게 밀착 결합될 수 있도록 조인다. 상기 제3 조임구는 상술한 제1 조임구 및 제2 조임구와 같이, 나사(34b)와 너트(34a)로 구성할 수 있고, 상기 나사(34b)는 상기 한 쌍의 결합케이스(41)에 각각 형성된 제5 삽입홀(44)에 삽입된 후, 상기 너트(34a)에 나사 결합된다.Therefore, in order to fix the pivot coupling part 32 in the pair of coupling case 41, and to fix the rotary ball 46, the third fasteners (34a, 34b) using the Han The pair of coupling cases 41 are tightened to be tightly coupled to each other. The third fastener may be composed of a screw 34b and a nut 34a, like the first fastener and the second fastener described above, and the screw 34b is respectively provided in the pair of coupling cases 41. After being inserted into the formed fifth insertion hole 44, it is screwed to the nut 34a.

상기 회전볼 결합구(45)를 구성하는 결합구(47)는 상기 크래들(200)에 형성된 장착홈(도 7에 도면부호 212로 표기됨)에 삽입되어 장착될 수 있는 구조이면 다양한 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장착홈(212)은 크래들을 구성하는 회전판의 배면에 홈을 파서 형성할 수 있고, 상기 결합구(47)는 걸쇠 형상을 가지면서 상기 장착홈(212)에 삽입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장착홈(212) 및 결합구(47)의 구조는 일반 거치대의 결합 구조와 유사하게 형성할 수 있다.Coupling member 47 constituting the rotary ball coupling member 45 is formed in a variety of structures as long as it can be inserted into the mounting groove formed in the cradle 200 (indicated by reference numeral 212 in Figure 7) can do. For example, the mounting groove 212 may be formed by digging a groove on the back of the rotating plate constituting the cradle, the coupling hole 47 may be inserted into the mounting groove 212 having a clasp shape. It can be formed into a structure. As such, the structure of the mounting groove 212 and the coupler 47 can be formed similar to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general cradle.

이상에서 설명한 연결부의 결합구조를 포함하는 하우징은 차량 내의 다양한 부분에 장탈착될 수 있고, 연결부가 접이식으로 구성됨으로써, 연결부의 전체 길이를 다양한 길이로 조절할 수 있다. The housing including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connection unit described above may be detachably mounted to various parts in the vehicle, and the connection unit is configured to be foldable, thereby adjusting the overall length of the connection unit to various lengths.

또한, 연결부를 구성하는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가 모두 베이스 상측으로 적층되어 접혀지는 경우(연결부가 최단 길이로 접혀지는 경우)에는, 상기 제1 연결부는 상기 베이스(11)의 상부면에 접촉된 상태로 위치하고,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제1 연결부가 끼워질 수 있는 상태로 상기 제1 연결부 바디의 측면을 감싸도록 겹쳐진다. 따라서, 상기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가 접혀진 상태로 상기 베이스 상에 적층된 경우, 하우징의 전체 높이가 낮고, 구조가 단순화되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when all of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and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constituting the connecting portion are stacked and folded on the upper side of the base (when the connecting portion is folded to the shortest length),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contacts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11. The second connector is overlapped to surround the side of the first connector body in a state that the first connector can be fitted. Therefore, when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and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are stacked on the base in a folded state, the overall height of the housing is low,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structure is simplified.

이와 같이, 상기 연결부의 전체 길이가 다양하게 조절되고, 이는 곧 상기 크래들에 거치되는 단말기의 위치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고, 상기 하우징의 장착 위치를 차량 내의 다양한 위치로 선택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overall length of the connection portion is variously adjusted, which may soon change the position of the terminal mounted on the cradle, and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housing may be selected as various positions in the vehicle.

상기 연결부, 구체적으로 제3 연결부의 결합구(47)에 걸쳐져서 결합되는 상기 크래들은 상술한 바와 같이, 거치되는 단말기의 사이즈에 따라 단말기의 상단과 하단이 접촉되는 양측 접촉단의 거리가 조절되는 구조를 가진다.As described above, the cradle coupled over the coupling portion 47 of the connecting portion, in particular, the third connecting portion, the distanc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terminal contacting the terminal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terminal is mounted It has a structure.

도 7은 상기 크래들의 구조와, 상기 크래들에 단말기가 장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7의 오른쪽 도면은 특정 사이즈를 가지는 단말기(1)의 상단과 하단을 두개의 회전판에 형성된 접촉단(211, 221)에 접촉 지지하여 거치한 상태를 보여주고, 도 7의 왼쪽 도면은 하우징에서 분리된 크래들을 이용하여 각 종 단말기를 거치하여 사용하는 일예를 보여주고 있다.7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of the cradle and a state in which a terminal is mounted on the cradle. Specifically, the right view of FIG. 7 shows a state where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terminal 1 having a specific size are mounted by contacting and supporting the contact ends 211 and 221 formed on the two rotating plates, and the left view of FIG. Shows an example of mounting and using various terminals using the cradle separated from the housing.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크래들은 두개의 회전판(210, 220)으로 구성되되, 상기 두개의 회전판(210, 220)은 서로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각 타단에 형성된 접촉단(211, 221)의 거리가 조절되고, 상기 두개의 회전판 중, 하나의 회전판 배면에는 상기 결합구(47)가 삽입 장착되는 장착홈(212)이 형성되며, 다른 회전판 배면에는 흰지 결합에 의하여 일단이 상기 회전판 배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외부로 펼쳐질 수 있는 거치판(240)이 삽입 형성된다.As shown in FIG. 7, the cradle includes two rotating plates 210 and 220, and the two rotating plates 210 and 220 have one end connected to each other so as to be rotatable, and the contact ends 211 formed at each other end. The distance of 221 is adjusted, one of the two rotating plate, one of the rotating plate is formed on the back of the coupling groove 47 is inserted into the mounting groove 212, the other side of the rotating plate by the white paper coupling one end of the rotating plate The mounting plate 24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rear surface to be spread outwardly.

구체적으로, 상기 크래들은 제1 회전판(210)과 제2 회전판(220)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 회전판(210)과 제2 회전판(220)의 각각의 일단은 힌지결합부(230)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제1 회전판(210)과 제2 회전판(220)의 각각의 타단에는 거치되는 단말기의 단부를 각각 접촉 지지하는 접촉단(211, 221)이 형성된다.Specifically, the cradle is composed of a first rotating plate 210 and the second rotating plate 220, one end of each of the first rotating plate 210 and the second rotating plate 220 by a hinge coupling portion 230 Rotatably coupled. In addition, contact ends 211 and 221 are formed at the other ends of the first rotating plate 210 and the second rotating plate 220 to contact and support the ends of the terminal to be mounted.

상기 힌지 결합부(230)를 중심으로 제1 회전판(210)과 제2 회전판(220) 사이의 각도 또는 상기 제1 회전판(210)의 타단에 형성되는 제1 접촉단(211)과 제2 회전판(220)의 타단에 형성되는 제2 접촉단(221) 사이의 거리는 상기 크래들에 거치되는 단말기의 사이즈에 따라 변경된다.The first contact end 211 and the second rotating plate formed at an angle between the first rotating plate 210 and the second rotating plate 220 or the other end of the first rotating plate 210 with respect to the hinge coupler 230. The distance between the second contact end 221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220 is chang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terminal mounted on the cradle.

즉, 상기 크래들에 거치되는 단말기의 양단이 상기 제1 회전판(210)의 타단에 형성되는 제1 접촉단(211)과 제2 회전판(220)의 타단에 형성되는 제2 접촉단(221)에 접촉 지지되어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제1 회전판과 제2 회전판을 상기 힌지 결합부(230)를 중심으로 벌리거나 좁히는 과정을 수행한다.That is, both ends of the terminal mounted on the cradle are connected to the first contact end 211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first rotating plate 210 and the second contact end 221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second rotating plate 220. The first rotating plate and the second rotating plate are opened or narrowed about the hinge coupler 230 so as not to be contacted and supported to be separated.

상기 과정을 통하여, 상기 단말기의 양단이 상기 제1 회전판(210)의 타단에 형성되는 제1 접촉단(211)과 제2 회전판(220)의 타단에 형성되는 제2 접촉단(221)에 접촉되면, 상기 힌지결합부(230)가 회동되지 않도록 고정한다. 상기 힌지결합부(230)의 고정은 상술한 제1 조입구 내지 제3 조입구와 유사한 구성을 채택할 수 있다. 즉 힌지 결합부 일측단을 통해 나사를 삽입하고, 상기 힌지 결합부의 타측단에 너트를 배치하여 상기 나사와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면, 상기 제1 회전판과 제2 회전판의 결합면이 견고하게 밀착되면서, 상기 제1 회전판과 제2 회전판은 더 이상 회전되지 않은 상태가 된다.Through the above process, both ends of the terminal contact the first contact end 211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first rotating plate 210 and the second contact end 221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second rotating plate 220. When the hinge coupling portion 230 is rotated, it is fixed. Fixing of the hinge coupler 230 may adopt a configuration similar to the first to third inlet described above. That is, the screw is inserted through one end of the hinge coupler, and a nut is disposed at the other end of the hinge coupler so that the screw can be screwed with the screw. As a result, the first and second rotary plates are no longer rotated while the coupling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rotary plates are tightly adhered to each other.

한편, 상기 크래들은 하우징에서 분리하여 데스크탑용의 거치대로 사용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하여, 두개의 회전판 중, 어느 하나의 회전판의 배면에 거치판(240)을 배치한다. 구체적으로, 어느 하나의 회전판 배면에 절개홈(222)을 형성하고, 상기 거치판(240)이 상기 절개홈(222)에 삽입되되, 상기 거치판(240)의 일단이 상기 절개홈(222)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도 7의 왼쪽 도면에서 보여준 바와 같이, 상기 거치판(240)을 상기 절개홈(222)으로부터 이탈시켜 각종 단말기(10)를 거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Meanwhile, the cradle may be separated from the housing and used as a cradle for a desktop. To this end, the mounting plate 240 is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any one of the two rotating plate. Specifically, the cutting groove 222 is formed on the back of any one of the rotating plate, the mounting plate 240 is inserted into the cutting groove 222, one end of the mounting plate 240 is the cutting groove 222 By hinge coupling to one side of, as shown in the left figure of FIG. 7, the mounting plate 240 may be detached from the cutting groove 222 to mount various terminals 10.

상기 거치판(240)을 사용하지 않은 경우에, 상기 거치판(240)은 상기 절개홈(222)에 삽입된 상태로 원위치하고, 이때, 상기 거치판(240)은 상기 회전판의 배면에 돌출되지 않는 두께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case where the mounting plate 240 is not used, the mounting plate 240 is inserted into the incision groove 222 to its original position, and the mounting plate 240 does not protrude on the rear surface of the rotating plate. It is preferable to form to a thickness that does not.

이와 같은 구조적 특징을 가지는 크래들에는 다양한 사이즈의 단말기가 거치될 수 있고, 상기 단말기를 거치한 크래들은 고정부(10)로부터 거리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Cradles having such a structural feature may be equipped with terminals of various sizes, and the cradle mounted with the terminals may have various distances from the fixing unit 10.

구체적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연결부(20), 제2 연결부(30) 및 제3 연결부(40)로 구성되는 연결부의 길이는 최단 길이, 중간 길이 및 최장 길이로 조절될 수 있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ure 8, the length of the connecting portion consisting of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20,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30 and the third connecting portion 40 can be adjusted to the shortest length, the middle length and the longest length. have.

도 8에서 최상단 도면은 상기 연결부의 길이가 최단 길이 상태에서의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즉, 고정부(10) 상측에 제1 연결부(20) 및 제2 연결부(30)가 모두 접혀진 상태이다.8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housing in which the length of the connecting portion is at the shortest length. That is, both the first connection part 20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30 are folded on the fixing part 10.

도 8에서 가운데 도면은 상기 연결부의 길이가 중간 길이 상태에서의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즉, 고정부(10) 상측에 제1 연결부(20)만이 접혀진 상태로 접촉 적층되고, 제2 연결부(30)는 상기 제1 연결부(20)로부터 펼쳐진 상태에 있다.8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housing in the intermediate length of the connecting portion. That is, only the first connection part 20 is folded and stacked on the fixing part 10,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30 is in an unfolded state from the first connection part 20.

도 8에서 최하단 도면은 상기 연결부의 길이가 최장 길이 상태에서의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즉, 상기 제1 연결부(20)가 상기 고정부(10) 상에 배치되지 않고, 제1 돌출결합부로부터 펼쳐진 상태에 있고, 또한 제2 연결부 역시 상기 제1 연결부(20)로부터 펼쳐진 상태에 있다.
8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housing in which the length of the connecting portion is the longest length. That is,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20 is not disposed on the fixing portion 10, but is in an unfolded state from the first protruding portion, and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is also in an unfolded state from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20. .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While the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certain preferred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following claims.

1 : 단말기 10 : 고정부
11 : 베이스 11a : 고정핀 안착부
12 : 제1 돌출결합부 12a : 제1 치형
12b : 제1 삽입홀 13 : 샤프트
14 : 흡착판 15 : 스프링
16 : 고정핀 17 : 승강 레버
18a, 18b : 제1 조임구 20 : 제1 연결부
21 : 제1 삽입결합부 21a : 제2 치형
21b : 제2 삽입홀 22 : 제2 삽입결합부
22a : 제3 치형 22b : 제3 삽입홀
23a, 23b : 제2 조임구 24 : 제1 연결부 바디
24a : 제1 연결부 바디의 측면 30 : 제2 연결부
31 : 제2 돌출결합부 31a : 제4 치형
31b : 제4 삽입홀 32 : 회동 결합부
33 : 수용틀 34a, 34b : 제3 조임구
40 : 제3 연결부 41 : 결합케이스
42 : 수용부 43 : 절개부
44 : 제5 삽입홀 45 : 회전볼 결합구
46 : 회전볼 47 : 결합구
100 : 하우징 200 : 크래들
210 : 제1 회전판 211 : 제1 접촉단
212 : 장착홈 220 : 제2 회전판
221 : 제2 접촉단 222 : 절개홈
230 : 힌지결합부 240 : 거치판
1 terminal 10 fixed part
11: Base 11a: fixing pin seating part
12: first protrusion coupling portion 12a: first tooth
12b: first insertion hole 13: shaft
14: adsorption plate 15: spring
16: fixed pin 17: lifting lever
18a, 18b: first fastener 20: first connection portion
21: first insertion coupling portion 21a: second tooth
21b: second insertion hole 22: second insertion coupling portion
22a: third tooth 22b: third insertion hole
23a, 23b: the second fastener 24: the first connection body
24a: side surface of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body 30: second connecting portion
31: second protrusion coupling portion 31a: fourth tooth
31b: fourth insertion hole 32: rotational coupling portion
33: housing frame 34a, 34b: third tightening port
40: third connection portion 41: coupling case
42: receiving portion 43: incision
44: the fifth insertion hole 45: rotating ball coupler
46: rotating ball 47: coupling sphere
100 housing 200 cradle
210: first rotating plate 211: first contact end
212: mounting groove 220: second rotating plate
221: second contact end 222: incision groove
230: hinge coupling portion 240: mounting plate

Claims (7)

차량용 거치대에 있어서,
차량 내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되, 접이식으로 길이가 조정되고, 접혀진 경우에 상기 고정부 상측으로 적층 배치되는 연결부로 구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연결부 타단에 연결되어 단말기를 거치하되, 단말기의 사이즈에 따라 단말기가 접촉되는 양측 접촉단의 거리가 조절되는 크래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고정부는, 상기 연결부의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기 위하여 일측에 수평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한 쌍의 제1 돌출결합부를 구비하고, 중앙 내측으로 수직하게 형성된 축공을 구비하는 베이스와, 상기 축공에 승강 가능하게 끼워지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의 하부에 중앙 부분이 연결되는 흡착판과, 상기 샤프트에 끼워져서 상기 흡착판과 상기 베이스 사이에서 탄성력을 유지하는 스프링과, 상기 축공 상측으로 돌출되는 상기 샤프트의 상측과 고정핀에 의하여 연결되되, 상기 베이스의 상부면에 지지되는 승강 레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한 쌍의 제1 돌출결합부에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삽입결합부가 일단에 형성되는 바 형상의 제1 연결부와, 상기 제1 연결부의 타단에 형성되는 제2 삽입결합부가 삽입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제2 돌출결합부가 일단에 형성되고, 타단에는 회동 결합부가 형성되는 제2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의 회동 결합부에 일측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에는 상기 크래들에 삽입 결합되는 회전볼 결합구가 구비되는 제3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크래들은 두개의 회전판으로 구성되되, 상기 두개의 회전판은 서로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각 타단에 형성된 접촉단의 거리가 조절되고, 상기 두개의 회전판 중, 하나의 회전판 배면에는 결합구가 삽입 장착되는 장착홈이 형성되며, 다른 회전판 배면에는 흰지 결합에 의하여 일단이 상기 다른 회전판 배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외부로 펼쳐질 수 있는 거치판이 삽입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거치대.
In the car holder,
A housing comprising a fixing part detachably fixed to the vehicle and a connecting part of which one end is rotatably coupled to the fixing part, the length of which is foldably adjusted, and the folding part is stacked on the fixing part when folded;
It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on portion but mounted to the terminal, including the cradle that is adjusted the distance of the both ends of the terminal contact the terminal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terminal,
The fixing part has a pair of first protrusion coupling parts protrud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on one side so that one end of the connection part is rotatably coupled, and a base having a shaft hole formed vertically in the center thereof, and elevating the shaft hole. A shaft that can be fitted, a suction plate having a central portion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haft, a spring fitted to the shaft to maintain an elastic force between the suction plate and the base, and an upper side of the shaft projecting above the shaft hole; Is connected by a fixing pin, including a lifting lever suppor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The connection part may include a first connection part having a bar shape formed at one end thereof and a second insertion part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first connection part inserted into the pair of first protrusion coupling parts to be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insertion part. A pair of second protruding coupling parts to be rotatably coupled by insertion of the coupling part is formed at one end, and a second connection part having a rotation coupling part is formed at the other end thereof, and one side of the second connection part being rotatably coupled to the rotation coupling part. The other side is configured to include a third connecting portion is provided with a rotary ball coupler is coupled to the cradle,
The cradle is composed of two rotating plates, the two rotating plates are rotatably coupled to one end of each other to adjust the distance of the contact end formed on each other end, one of the two rotating plates, the coupling hole is inserted into the back of one of the rotating plates Mounting groove is mounted is formed, the other side of the rotating plate by the combination of white paper, one end is coupled to the other rotating plate is rotatably coupled to the mounting plate that is formed to be spread outward.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회동 결합부의 일측에서 두 갈래로 나뉘어져서 서로 평행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수용틀로 구성되고, 상기 한 쌍의 수용틀의 끝단이 상기 제2 돌출결합부를 구성하며, 상기 제2 연결부가 상기 제1 연결부에 접혀지는 경우, 상기 제1 연결부가 상기 한 쌍의 수용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거치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is composed of a pair of receiving frames divided into two branches on one side of the rotation coupling portion form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the ends of the pair of receiving frames constitute the second protruding coupling portion, 2 When the connecting portion is folded to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the vehicle cradl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pair of receiving frames.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1 돌출결합부가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원형으로 제1 치형이 연속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제1 돌출결합부에 삽입 결합되는 상기 제1 삽입결합부의 양측면에는 상기 제1 치형에 맞물리는 제2 치형이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제2 돌출결합부가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제4 치형이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제2 돌출결합부에 삽입 결합되는 상기 제2 삽입결합부의 양측면에는 상기 제4 치형에 맞물리는 제3 치형이 형성되며, 상기 제1 돌출결합부와 상기 제1 삽입결합부의 결합은 상기 제1 치형과 제2 치형이 맞물린 상태에서 제1 조임구에 의하여 고정 결합되고, 상기 제2 삽입결합부와 상기 제2 돌출결합부의 결합은 상기 제3 치형과 제4 치형이 맞물린 상태에서 제2 조임구에 의하여 고정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거치대.
The method of claim 4,
The first tooth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on the surface of the pair of first protruding coupling portions facing each other, and the first tooth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insertion coupling portion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the pair of first protruding coupling portions. Engaging second teeth are formed, and a pair of second protruding coupling portions facing each other forms a fourth tooth, and both sides of the second inserting coupling portions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the pair of second protruding coupling portions A third tooth is formed in the fourth tooth to be engaged, and the first protrusion coupling portion and the first insertion coupling portion are coupled to each other by the first fastener in the state where the first tooth and the second tooth are engaged. And the second insertion coupler and the second protrusion coupler are fixedly coupled by a second fastener in a state where the third tooth and the fourth tooth engage with each other.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20144215A 2012-12-12 2012-12-12 Holder for vehicles KR10138465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4215A KR101384652B1 (en) 2012-12-12 2012-12-12 Holder for vehicl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4215A KR101384652B1 (en) 2012-12-12 2012-12-12 Holder for vehicl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4652B1 true KR101384652B1 (en) 2014-04-14

Family

ID=506574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4215A KR101384652B1 (en) 2012-12-12 2012-12-12 Holder for vehicl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4652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72537A (en) * 2017-09-22 2018-02-09 新乡北方车辆仪表有限公司 Electronic pitching type elevation mast
CN113071424A (en) * 2021-05-11 2021-07-06 海南善沙网络科技有限公司 Multifunctional intelligent vehicle-mounted equipment and use method thereof
KR20220032668A (en) 2020-09-08 2022-03-15 송순영 Supporter for vehicle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99845A (en) 2004-01-15 2005-07-28 Yac Co Ltd Mounting device for on-vehicle display device
KR200411603Y1 (en) 2005-12-16 2006-03-16 이경호 The fixing device of portable instrument
KR101081412B1 (en) 2011-04-19 2011-11-08 이우철 Leaving stand structure for mobile phon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99845A (en) 2004-01-15 2005-07-28 Yac Co Ltd Mounting device for on-vehicle display device
KR200411603Y1 (en) 2005-12-16 2006-03-16 이경호 The fixing device of portable instrument
KR101081412B1 (en) 2011-04-19 2011-11-08 이우철 Leaving stand structure for mobile phon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72537A (en) * 2017-09-22 2018-02-09 新乡北方车辆仪表有限公司 Electronic pitching type elevation mast
CN107672537B (en) * 2017-09-22 2023-07-25 新乡北方车辆仪表有限公司 Electric pitching type lifting mast
KR20220032668A (en) 2020-09-08 2022-03-15 송순영 Supporter for vehicles
CN113071424A (en) * 2021-05-11 2021-07-06 海南善沙网络科技有限公司 Multifunctional intelligent vehicle-mounted equipment and use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11007B2 (en) Docking station for electronic device
US9891666B2 (en) Apparatus with twistable electronics dock and rotatable connecting port having a plurality of heads
TWI507842B (en) A base and an electronic apparatus using the same
JP5206406B2 (en) Desktop charger holder
US8752802B1 (en) Clamping device adapted to electronic product of different dimensions
US8720837B2 (en) Support frame for electronic device
CA2905114C (en) Pivotable vehicle mounting system for mobile computing devices
US9027747B2 (en) Protection cover support seat structure for tablet display apparatus
US20130180934A1 (en) Multidirectional support structure for tablet display apparatus
US7639483B2 (en) Flat panel display having pivot structure
CN101739082A (en) Electronic equipment with display screen
US8602375B2 (en) Portable and foldable support bracket
KR101384652B1 (en) Holder for vehicles
CN104565696A (en) Portable bracket
JP2012227794A (en) Finger hook for portable terminal and portable terminal
US8925878B2 (en) Support structure for tablet display apparatus
TWI517776B (en) Electronic device and rotating member thereof
KR101992297B1 (en) Charging Cable For Mobile Device
CN203618046U (en) Mobile phone projector and mobile phone
KR20180076532A (en) Smart phone holder for seat backrest handle
CN201496391U (en) Bidirectional pivot device
WO2019233080A1 (en) Charging stand
KR20110008333U (en) Mobile phone supporting device
KR20110038008A (en) Multi-function stand for portable device
JP2015105754A (en) Support fr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