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1031B1 - Easy adjustable optical stimulation system - Google Patents

Easy adjustable optical stimulation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1031B1
KR101381031B1 KR1020120050698A KR20120050698A KR101381031B1 KR 101381031 B1 KR101381031 B1 KR 101381031B1 KR 1020120050698 A KR1020120050698 A KR 1020120050698A KR 20120050698 A KR20120050698 A KR 20120050698A KR 101381031 B1 KR101381031 B1 KR 1013810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ight source
optical
laser diode
la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069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127074A (en
Inventor
오범환
임해동
Original Assignee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506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1031B1/en
Publication of KR201301270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707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10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103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61N5/0619Acupun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61N5/0622Optical stimulation for exciting neural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7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using laser ligh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26Monitoring, verifying, controlling systems and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35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body area to be irradiated
    • A61N2005/0643Applicators, probes irradiating specific body areas in close proximity
    • A61N2005/0649Applicators, probes irradiating specific body areas in close proximity using suction to fix the applicator to the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Light sources therefor
    • A61N2005/0651Di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64Detai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Biophysics (AREA)
  • Neurosurgery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광 파워밀도 조절이 용이한 다채널 광 자극 시스템이 개시된다. 광 자극 시스템은 광원인 레이저 다이오드로 구성되어 레이저 광을 발생하는 광원부; 및 상기 레이저의 광 파워 밀도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광원부의 작동 모드, 빛의 강도, 주파수, 그리고 자극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Disclosed is a multichannel optical stimulation system that is easy to control optical power density. The light stimulation system is composed of a laser diode as a light source to generate a laser light; And a control unit controlling at least one of an operation mode of the light source unit, an intensity of light, a frequency, and a stimulation time to adjust the optical power density of the laser.

Description

광 파워밀도 조절이 용이한 다채널 광 자극 시스템{EASY ADJUSTABLE OPTICAL STIMULATION SYSTEM}Multi-channel optical stimulation system with easy control of optical power density {EASY ADJUSTABLE OPTICAL STIMULATION SYSTEM}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광 자극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금속 침의 효과를 보이는 레이저 빛을 단일 또는 다중으로 환부(경혈점)에 조사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 to an optical stimulation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ystem for irradiating a single (or multiple) affected area (acupuncture point) with laser light exhibiting the effect of metal needles.

의학 기술의 발전과 여러 가지 복합적인 치료 기능을 가지는 신약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됨에 따라 평균 수명의 연장 및 고령화 현상이 지속되는 가운데 노인성 질환이 증가하고 있다. 또한, 바쁜 직장 생활과 여가 활동의 반복적인 성향은 청장년층의 식 습관 및 생활 습관의 불균형을 초래하여 건강이 손상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지속적인 건강 관리의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다.The development of medical technology and the development of new drugs with various complex therapeutic functions are actively progressing, and the aging disease is increasing while the life expectancy and aging continue. In addition, the repetitive tendency of busy work life and leisure activities leads to imbalances in the eating habits and lifestyles of the young adults, which impairs the health and thus necessity of continuous health management.

최근 들어 대부분의 환자들은 비수술적인 치료를 원하고 있으며 그 결과 전통 한의학 및 한방 치료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고 오랜 전통을 지닌 한방 의학이 새로운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성장하고 있다.In recent years, most patients want non-surgical treatment, and as a result, there is a growing interest in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and herbal treatments, and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is growing into a new high value-added industry.

한방 의학에서 침술에 주로 사용되는 일반적인 침은 금속 재질로, 환부(경혈점)에 직접 삽입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금속 침과 더불어 많이 이용되는 치료 수단 중 하나는 통증이 발생한 부위에 전류를 가하여 전기 자극 효과를 얻는 전기 치료 방법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Common acupuncture needles used in acupuncture in traditional medicine are metal and are designed to be inserted directly into the affected area (acupuncture point). In addition, one of the widely used treatment means in addition to the metal acupuncture has been used a lot of electrotherapy methods to obtain an electrical stimulation effect by applying a current to the pain area.

그러나, 종래의 금속 침은 두려움이나 거부감을 주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기 치료는 전류 통전에 따른 불쾌감 및 과다 사용 시 피부 조직에 상처를 줄 수 있으며, 땀 등에 의한 피부의 수분 포함량에 따라 전류의 통전 정도가 달라져서 그 치료 효과의 차이를 보이고 있다.However, conventional metal needles have a problem of giving fear or rejection. In addition, the electric treatment may cause annoyance due to the current conduction and damage to the skin tissue when excessive use, the degree of current supply is changed according to the moisture content of the skin due to sweat, etc., showing a difference in the treatment effect.

최근 한방 의학에서 활발하게 응용되고 있는 치료 요법 가운데 광선 치료 요법은 광 기반의 기계 또는 장비들을 이용하여 경락을 자극하고 기(氣)와 혈(血)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여 질병을 치료하는 요법으로서 자연적 또는 인공적인 광선을 사용하고 있다. 상기 광선 치료 요법에는 주로 자외선, 가시광선, 적외선 및 레이저 등이 이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광선들이 환부에 조사되어 경락을 자극하면 전체적으로 경락이 조정되어 치료가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Phototherapy, which is currently being actively applied in oriental medicine, is used to treat diseases by stimulating meridians and smoothing the flow of blood and blood using light-based machinery or equipment. Natural or artificial rays are used. Ultraviolet rays, visible rays, infrared rays, and lasers are mainly used for the phototherapy, and when these rays are irradiated to the affected area to stimulate the meridians, the meridians are generally adjusted to be treated.

광선 치료 요법 중 저출력 레이저 요법(Low Level Laser Therapy: LLLT)은 한의학의 치료법 범주 중 침요법과 온경락요법을 결합한 치료법에 속하는 것으로, 혈락에 분포된 기와 혈을 자극하여 질병을 예방 및 치료하는 방법에 해당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Low level laser therapy (LLLT) is a combination of acupuncture and warm meridian therapies among the therapeutic categories of oriental medicine. It can be considered to correspond to.

상기한 저출력 레이저 요법의 경우 다양한 병변의 치료가 가능함에도 불구하고 한방 의학에서는 아직도 그 효용성에 대한 기초 연구가 미진한 실정이다. 이에 대한 가장 큰 이유 중 하나는 현재까지 개발된 레이저 장치들은 대부분 레이저 빔을 피부 표면에 직접 조사하는 무통, 무출혈의 비침습형 방식으로, 이러한 치료 방법은 경혈에 조사되어야 하는 레이저 에너지의 대부분이 피부 표면에서 반사 및 산란 등으로 손실되어 표피층 아래에 있는 경락 또는 경혈까지 쉽게 전달되지 못하기 때문에 금속 침을 이용하는 침습형 시술에 비하여 치료 효과가 월등히 떨어지기 때문이다.Although the low-power laser therapy can treat a variety of lesions, there is still a lack of basic research on its efficacy in oriental medicine. One of the biggest reasons for this is that most of the laser devices developed to date are painless, non-invasive, non-invasive methods of directing the laser beam directly to the skin surface. This is because it is lost due to reflection and scattering on the skin surface and is not easily transferred to meridians or acupuncture points under the epidermal layer. Therefore, the treatment effect is much lower than that of an invasive procedure using metal needles.

따라서, 비침습적인 방식으로 금속 침과 같은 치료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다.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technique that can achieve a therapeutic effect, such as metal needles, in a non-invasive manner.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132058호(발명의 명칭: 전자 침, 공개일자 2011년 12월 07일)에는 비 침습 방법으로 침 시술 부위에 자극을 가하는 전자 침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1-0132058 (name of the invention: electronic needle, publication date December 07, 2011) discloses the configuration of an electron needle to apply a stimulation to the acupuncture site by a non-invasive method.

환부(경혈점)에 레이저 빛을 조사하여 비침습적인 방식으로 금속 침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광 자극 시스템을 제공한다.Laser light is irradiated to the affected area (acupuncture point) to provide an optical stimulation system that can achieve the effect of a metal needle in a non-invasive manner.

빛의 모드, 강도, 주파수, 자극 시간을 조절하여 레이저 빛을 집중시킬 수 있는 광 자극 시스템을 제공한다.It provides a light stimulation system that can focus laser light by adjusting the light mode, intensity, frequency, and stimulation time.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광 자극 시스템은 광원인 레이저 다이오드로 구성되어 레이저 광을 발생하는 광원부; 및 상기 레이저의 광 파워 밀도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광원부의 작동 모드, 빛의 강도, 주파수, 그리고 자극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invention, the light stimulation system is composed of a laser diode which is a light source to generate a laser light; And a control unit controlling at least one of an operation mode of the light source unit, an intensity of light, a frequency, and a stimulation time to adjust the optical power density of the laser.

상기 광원부는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에서 방출되는 광의 방사각을 조절하기 위한 GRIN 렌즈(gradient index lens)와, 상기 GRIN 렌즈와의 거리 조절이 가능하고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에서 방출되는 광을 집속시키는 집속 렌즈로 구성된 광학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light source unit includes a GRIN lens (gradient index lens) for adjusting the emission angle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laser diode, and an optical system consisting of a focusing lens capable of adjusting the distance from the GRIN lens and focusing the light emitted from the laser diode It may include.

상기 광원부는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에서 방출되는 광을 집속시키는 광학계를 보호하는 커버와, 인체의 피부에 접착이 가능한 접착부로 구성된 접착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The light source unit may include a cover for protecting an optical system for focusing light emitted from the laser diode, and an adhesive housing including an adhesive part capable of being adhered to the skin of a human body.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광원부는 하나의 레이저 다이오드; 상기 하나의 레이저 다이오드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다수 개의 광으로 분배하는 광 분배기; 및 상기 분배된 각각의 광을 집속시키는 다수 개의 광학계로 구성되어 광 자극을 위한 다채널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invention, the light source unit one laser diode; A light splitter that distributes the light emitted from the one laser diode into a plurality of lights; And a plurality of optical systems that focus each of the divided lights to provide a multichannel for optical stimula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광 자극 시스템은 상기 광원부가 하나의 상기 제어부에 다수 개 연결되어 동일한 광 파워밀도의 다채널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ight stimulation system may be connected to a plurality of the light source unit to one control unit to provide a multi-channel of the same optical power density.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레이저 빛을 집속하여 환부에 조사함으로써 일반적으로 한의원에서 이용되는 금속 침과 같은 효과를 보이면서 동시에 비침습적인 치료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focusing the laser light to irradiate the affected area, it is possible to provide a non-invasive treatment while at the same time having the same effect as a metal needle commonly used in a clinic.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레이저 빛의 작동 모드, 강도, 주파수, 자극 시간 등 레이저 특성을 직접 조절하여 조사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이고 다양한 치료 목적에 맞는 레이저 침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directly controlling the laser characteristics such as the operating mode, intensity, frequency, stimulation time of the laser light, it is possible to provide a laser needle more stable and suitable for various treatment purpose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레이저를 이용한 광 자극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광 자극 시스템의 레이저 다이오드의 작동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광 자극 시스템의 가변 초점 렌즈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광 자극 시스템의 광학계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하나의 레이저 다이오드를 이용한 다채널 광 자극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다수의 레이저 다이오드를 이용한 다채널 광 자극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a light stimulation system using a laser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an operation mode of the laser diode of the optical stimul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principle of the variable focus lens of the optical stimul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the optical system of the optical stimul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llustrates a multi-channel optical stimulation system using one laser diode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llustrates a multi-channel optical stimulation system using a plurality of laser diodes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레이저를 이용한 광 자극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a light stimulation system using a laser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자극 시스템은 광원 및 광학계를 포함하는 광원부(2)와, 광원부(2)를 전기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1)로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he light stimul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light source unit 2 including a light source and an optical system, and a controller 1 electrically controlling the light source unit 2. .

제어부(1)는 광원부(2)에 대하여 광원인 레이저 다이오드(3)의 작동 모드, 빛의 강도, 주파수(펄스 파형), 자극 시간 등을 제어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그리고, 제어부(1)와 연결된 광원부(2)는 단일 파장 또는 서로 상이한 다수 파장을 조사하는 레이저 다이오드(3)와, 레이저 다이오드(3)에서 발생되는 광을 전달하는 광섬유(4), 그리고 광섬유(4)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집중시키기 위한 광학계(5)로 구성된다.The control unit 1 plays a role of controlling the operation mode, the intensity of light, the frequency (pulse waveform), the stimulation time, and the like of the laser diode 3 as a light source with respect to the light source unit 2. In addition, the light source unit 2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1 includes a laser diode 3 for irradiating a single wavelength or multiple wavelengths different from each other, an optical fiber 4 for transmitting light generated from the laser diode 3, and an optical fiber ( It consists of an optical system 5 for concentrating the light emitted from 4).

레이저 다이오드(3)는 제어부(1)의 제어에 따라 조절된 광 파워 밀도의 레이저를 광섬유(4)를 통해 광학계(5)로 조사한다. 일반적으로, 레이저 다이오드(3)의 작동 모드로는 연속 모드 또는 펄스 모드가 사용된다. 도 2는 레이저 다이오드(3)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펄스 파형을 나타낸 것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속 모드의 경우 일정한 강도의 빛을 사용하는 반면, 펄스 모드에서는 주파수와 펄스 파형을 다양하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The laser diode 3 irradiates the laser of the optical power density adjust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 to the optical system 5 through the optical fiber 4. In general, the continuous mode or the pulse mode is used as the operating mode of the laser diode 3. 2 shows various pulse waveforms used in the laser diode 3. As shown in FIG. 2, in the continuous mode, light of a constant intensity is used, whereas in the pulse mode, various frequencies and pulse waveforms may be selected and used.

그리고, 광학계(5)는 가변초점 렌즈 시스템의 원리를 적용한 것으로, 레이저 다이오드(3)에서 발생된 레이저 빛을 원하는 거리에 초점이 맺히도록 하는 기능을 가진다. 도 3을 참조하면, 광학계(5)는 하나의 집속 렌즈(9)를 이용하여 구성하는 경우 총 길이(a+b)가 길어지기 때문에 다양한 광학 설계를 이용하여 최종 길이(a+b)를 수 센티미터(cm) 이내가 되도록 해야 한다.The optical system 5 applies the principle of the variable focus lens system, and has a function of focusing the laser light generated by the laser diode 3 at a desired distance. Referring to FIG. 3, when the optical system 5 is configured using one focusing lens 9, the total length a + b is long, so that the final length a + b can be obtained using various optical designs. It should be within centimeters (cm).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 자극 시스템의 광학계(5)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GRIN 렌즈(gradient index lens)(10)를 이용한 광학계(5) 시스템과 접착 하우징(6)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광학계(5)를 소형 시스템으로 제작하기 위하여 소형의 집속 렌즈(9)와 GRIN 렌즈(10)를 사용하여 광학계(5)를 구성한다. 다시 말해, 본 발명에서의 광학계(5)는 레이저 다이오드(3)에서 방출되는 광의 방사각을 조절하기 위한 GRIN 렌즈(10)와, 상기 GRIN 렌즈(10)와의 거리 조절이 가능하고 레이저 다이오드(3)에서 방출되는 광을 집속시키는 집속 렌즈(9)로 구성될 수 있다.4 is for explaining the optical system 5 of the optical stimul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tical system 5 using the GRIN lens (gradient index lens) 10 and the configuration of the adhesive housing 6 It is shown. As shown in FIG. 4,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tical system 5 is configured by using the small focusing lens 9 and the GRIN lens 10 to produce the optical system 5 in a compact system. In other words, the optical system 5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adjus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GRIN lens 10 and the GRIN lens 10 for adjusting the radiation angle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laser diode 3 and the laser diode 3. It can be composed of a focusing lens (9) for focusing the light emitted from the ().

그리고, 접착 하우징(6)은 광학계(5)를 보호하는 커버와 인체의 피부에 접착을 돕는 접착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접착 하우징(6)은 쉽게 교체가 가능하며, 광학계(5)를 피부에 붙이기 위하여 접착력이 있는 SU-8이나 폴리디메틸실록세인(PDMS, polydimethylsiloxane) 등의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dhesive housing 6 may be formed of a cover protecting the optical system 5 and an adhesive part to help adhere to the skin of the human body. Here, the adhesive housing 6 is easily replaceable, and may be made of a material such as SU-8 or polydimethylsiloxane (PDMS) having adhesive strength to attach the optical system 5 to the skin.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광원의 파워가 충분한 경우 하나의 레이저 다이오드(3)를 이용하여 다수의 레이저 조사가 가능한 다채널 광 자극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 도 5는 하나의 레이저 다이오드(3)를 이용한 광원부(2)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 자극 시스템의 광원부(2)에는 하나의 레이저 다이오드(3)에 대하여 다수의 광학계(5a~5e)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광 분배기(7)는 하나의 빛 줄기를 나누는 기능을 담당한다. 즉, 광 분배기(7)를 이용하여 분배된 레이저 빛이 광섬유(4a~4e)를 거쳐 각각의 광학계(5a~5e)로 전달될 수 있다. 이때, 광학계(5a~5e) 각각에는 피부에 부착이 가능하도록 접착 하우징(6a~6e)이 각각 포함된다. 일반적으로, 광 자극에 유효한 광 파워 밀도는 5~10 W/cm2이다. 하나의 레이저 다이오드(3)를 이용한 다채널 광 자극 시스템의 경우에 빔 크기를 매주 작게 조사하여야 유효한 광 파워 밀도를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유요한 광 파워 밀도를 얻기 위하여 빔의 크기를 조절하는 광학계(5a~5e) 시스템이 필수적이다.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power of the light source is sufficient, it is possible to construct a multi-channel optical stimulation system capable of multiple laser irradiation using one laser diode 3. FIG. 5 shows the configuration of the light source unit 2 using one laser diode 3. As shown in FIG. 5, the light source unit 2 of the optical stimulation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optical systems 5a to 5e for one laser diode 3. Here, the light splitter 7 is responsible for dividing one light stem. That is, the laser light distributed using the light splitter 7 may be transmitted to the respective optical systems 5a to 5e via the optical fibers 4a to 4e. In this case, each of the optical systems 5a to 5e includes adhesive housings 6a to 6e to be attached to the skin. Generally, the optical power density effective for optical stimulation is 5-10 W / cm 2 . In the case of a multi-channel optical stimulation system using one laser diode 3, the beam size should be irradiated every week to ensure effective optical power density. Therefore, an optical system 5a to 5e system for adjusting the size of the beam is essential in order to obtain a useful optical power density.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하나의 제어부(1)에 다수의 광원부(2)를 연결하여 다채널 광 자극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 도 6은 하나의 제어부(1)와, 다수의 광원부(2a~2c)로 구성된 다채널 광 자극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이때, 광원부(2a~2c)은 각각 개별적으로 레이저 다이오드(3a~3c), 광섬유(4a~4c), 광학계(5a~5c), 그리고 접착 하우징(6a~6c)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다수의 레이저 다이오드(3a~3c)를 이용한 다채널 광 자극 시스템의 경우 제어부(1)는 각각의 광원부(2a~2c)에 동일한 광 파워를 조절하며, 각각의 광원부(2a~2c)에서는 광학계(5a~5c)를 이용하여 유효한 광 파워 밀도를 조절할 수 있다.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ulti-channel optical stimulation system may be configured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light source units 2 to one control unit 1. FIG. 6 shows a multichannel optical stimulation system composed of one control unit 1 and a plurality of light source units 2a to 2c. In this case, the light source parts 2a to 2c may be respectively composed of laser diodes 3a to 3c, optical fibers 4a to 4c, optical systems 5a to 5c, and adhesive housings 6a to 6c. In the case of the multi-channel optical stimulation system using the plurality of laser diodes 3a to 3c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unit 1 adjusts the same optical power to each of the light source units 2a to 2c, and each of the light source units 2a to 2c. In the optical system 5a to 5c, the effective optical power density can be adjusted.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레이저 빛을 집속하여 환부에 조사함으로써 일반적으로 한의원에서 이용되는 금속 침과 같은 효과를 보이면서 동시에 비침습적인 치료를 제공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레이저 빛의 작동 모드, 강도, 주파수, 자극 시간 등 레이저 특성을 직접 조절하여 조사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이고 다양한 치료 목적에 맞는 레이저 침을 제공할 수 있다.Th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focusing the laser light to irradiate the affected area can provide a non-invasive treatment while at the same time having the same effect as the metal needles commonly used in oriental medicine. Furthermo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directly adjusting the irradiation laser characteristics such as operating mode, intensity, frequency, stimulation time of the laser light can be provided a laser needle more stable and suitable for various treatment purposes.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While the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certain preferred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This is possible.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equivalents of the claims, as well as the claims.

1: 제어부
2, 2a~2c: 광원부
3, 3a~3c: 레이저 다이오드
4, 4a~4e: 광섬유
5, 5a~5e: 광학계
6, 6a~6e: 접착 하우징
7: 광 분배기
9: 집속 렌즈
10: GRIN 렌즈
1:
2, 2a to 2c: light source unit
3, 3a ~ 3c: laser diode
4, 4a ~ 4e: optical fiber
5, 5a ~ 5e: optical system
6, 6a-6e: adhesive housing
7: optical splitter
9: focusing lens
10: GRIN lens

Claims (5)

광원인 레이저 다이오드로 구성되어 레이저 광을 발생하는 광원부; 및
상기 레이저의 광 파워 밀도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광원부의 작동 모드, 빛의 강도, 주파수, 그리고 자극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광원부는,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에서 방출되는 광을 집속시키는 광학계를 보호하는 커버와, 인체의 피부에 접착이 가능한 접착부로 구성된 접착 하우징
을 포함하는 광 자극 시스템.
A light source unit configured of a laser diode as a light source to generate laser light; And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t least one of the operation mode of the light source unit, the intensity of light, the frequency, and the stimulation time to adjust the optical power density of the laser
Lt; / RTI >
The light source unit includes:
Bonding housing consisting of a cover for protecting the optical system for focusing the light emitted from the laser diode, and an adhesive portion that can be bonded to the skin of the human body
Light stimulation system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는,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에서 방출되는 광의 방사각을 조절하기 위한 GRIN 렌즈(gradient index lens)와, 상기 GRIN 렌즈와의 거리 조절이 가능하고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에서 방출되는 광을 집속시키는 집속 렌즈로 구성된 광학계
를 포함하는 광 자극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light source unit includes:
Optical system consisting of a GRIN lens (gradient index lens) for adjusting the radiation angle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laser diode, and a focusing lens capable of adjusting the distance to the GRIN lens and focusing the light emitted from the laser diode
Light stimulation system comprising a.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는,
하나의 레이저 다이오드;
상기 하나의 레이저 다이오드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다수 개의 광으로 분배하는 광 분배기; 및
상기 분배된 각각의 광을 집속시키는 다수 개의 광학계로 구성되어 광 자극을 위한 다채널을 제공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광 자극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light source unit includes:
One laser diode;
A light splitter that distributes the light emitted from the one laser diode into a plurality of lights; And
Comprising a plurality of optical systems for focusing each of the divided light to provide a multi-channel for light stimulation
Light stimul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 자극 시스템은,
상기 광원부가 하나의 상기 제어부에 다수 개 연결되어 동일한 광 파워밀도의 다채널을 제공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광 자극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optical stimulation system,
A plurality of light source unit is connected to one control unit to provide a multi-channel of the same optical power density
Light stimul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KR1020120050698A 2012-05-14 2012-05-14 Easy adjustable optical stimulation system KR10138103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0698A KR101381031B1 (en) 2012-05-14 2012-05-14 Easy adjustable optical stimul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0698A KR101381031B1 (en) 2012-05-14 2012-05-14 Easy adjustable optical stimulation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7074A KR20130127074A (en) 2013-11-22
KR101381031B1 true KR101381031B1 (en) 2014-04-04

Family

ID=498547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0698A KR101381031B1 (en) 2012-05-14 2012-05-14 Easy adjustable optical stimulation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1031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99117A (en) * 1993-12-20 1995-08-04 Agfa Gevaert Nv Device that converges plurality of light rays to common optical point
JPH07308300A (en) * 1994-05-18 1995-11-28 Morita Mfg Co Ltd Laser neurostimulating device of neuroinduction analizing device
KR100892143B1 (en) * 2008-09-05 2009-04-15 퀀텀메딕스(주) The optical apparatus for skin treatment and the illumination pattern forming method for skin treatment
KR20100009154A (en) * 2008-07-18 2010-01-27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Multi-channel laser needle syste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99117A (en) * 1993-12-20 1995-08-04 Agfa Gevaert Nv Device that converges plurality of light rays to common optical point
JPH07308300A (en) * 1994-05-18 1995-11-28 Morita Mfg Co Ltd Laser neurostimulating device of neuroinduction analizing device
KR20100009154A (en) * 2008-07-18 2010-01-27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Multi-channel laser needle system
KR100892143B1 (en) * 2008-09-05 2009-04-15 퀀텀메딕스(주) The optical apparatus for skin treatment and the illumination pattern forming method for skin treat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7074A (en) 2013-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14606B2 (en) Method, system and device for non-invasive neural stimulation of the brain
US6443978B1 (en) Photomatrix device
CA2887843C (en) Self-administrable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non-invasive neurostimulation therapy of the brain
EP1896122B1 (en) Tissue treatment device
US20060206173A1 (en) Devices, Methods and Kits for Radiation Treatment via a Target Body Surface
US7311722B2 (en) Photodynamic stimulation device and methods
US2007000511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point treatment of a patient by acupuncture and light
KR100971358B1 (en) Invasive Dual-wavelength Laser Acupuncture
EP1853347B1 (en) Light therapy device for treatment of bone disorders and biostimulation of bone and soft tissue
US20030167080A1 (en) Joint / tissue inflammation therapy and monitoring device(s) JITMon device
KR101329862B1 (en) A nasal cavity treatment irradiation apparatus
KR101452917B1 (en) Compound Stimulus Module for hair loss prevention with Magnetic field and Laser and Device for hair loss prevention using the module
KR20180008094A (en) Device for moxibustion and acupuncture in oriental medicine using laser and radio frequency
KR101194961B1 (en) Open type ear treatment module
WO2010013259A1 (en) Device for suction-kneading massage
KR20190016310A (en) Structure capable of interferential current therapy and laser therapy and complex treatment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1381031B1 (en) Easy adjustable optical stimulation system
KR200405265Y1 (en) A light irradiation device for medical treatment using LED
Weber et al. “Needles of light”: a new therapeutic approach
KR20100092077A (en) Multi laser system for medical treatment
US10933252B2 (en) Medical light diffusion implant
KR200321359Y1 (en) A Beam and Thermotheraphy stimulation medical treatment device
KR20210133860A (en) Helmet for preventing hair loss by using the laser for medical treatment
KR101769392B1 (en) Wavelength Type LED Illuminating Apparatus
KR20090003968U (en) Luminous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