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9362B1 - Streetlight having function of indicating emergency situation - Google Patents

Streetlight having function of indicating emergency situ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9362B1
KR101379362B1 KR1020120030038A KR20120030038A KR101379362B1 KR 101379362 B1 KR101379362 B1 KR 101379362B1 KR 1020120030038 A KR1020120030038 A KR 1020120030038A KR 20120030038 A KR20120030038 A KR 20120030038A KR 101379362 B1 KR101379362 B1 KR 1013793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oon
unit
emergency
light
pil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003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107888A (en
Inventor
신용호
Original Assignee
신용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용호 filed Critical 신용호
Priority to KR10201200300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9362B1/en
Publication of KR201301078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788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93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936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64Health, life-saving or fire-fighting equipment
    • F21V33/0076Safety or security signalisation, e.g. smoke or burglar alarms, earthquake detectors; Self-defence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13/00Non-electric lighting devices or systems employing a point-like light source; Non-electric lighting devices or systems employing a light source of unspecified shape
    • F21S13/02Devices intended to be fixed, e.g. ceiling lamp, wall lamp
    • F21S13/10Devices intended to be fixed, e.g. ceiling lamp, wall lamp with a standard, e.g. street lam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21V23/0457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sensing the operating status of the lighting device, e.g. to detect failure of a light source or to provide feedback to the devic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0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calamitous events, e.g. tornados or earthquak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1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 F21W2111/02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for roads, paths or the lik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logy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천재 지변이나 기상재해 또는 사건 사고 등에 의해 비상 사태가 발생하는 경우 이를 표시하여 비상 사태 발생 현황이나 발생 위치가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파악되게 할 수 있는 비상 사태 표시 기능을 갖는 가로등이 개시된다. 상기 비상 사태 표시 기능을 갖는 가로등은, 기둥부; 상기 기둥부의 상단에 설치되며, 발광하는 광원을 포함하는 조명부; 비상 사태를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조명부에 연결되며, 상기 센서부에 의해 비상 사태가 감지되면 가스유입에 의해 팽창하여 상승하는 풍선부를 포함하며, 상기 풍선부가 상승하는 힘에 의해 상기 조명부가 상기 기둥부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풍선부와 함께 상승하여 비상 사태 발생을 표시할 수 있다.When an emergency occurs due to natural disasters, weather disasters or accidents, a street light having an emergency indication function capable of quickly and effectively identifying an emergency occurrence status or occurrence location is disclosed. The street light having the emergency display function, the pillar portion; An illumination unit installed on an upper end of the pillar and including a light source emitting light; Sensor unit for detecting an emergency; And a balloon unit connected to the lighting unit and expanding and rising by gas inflow when an emergency is sensed by the sensor unit, and the lighting unit is separated from the pillar unit by a force of the balloon unit to lift the balloon unit. Can be raised with to indicate an emergency occurrence.

Description

비상 사태 표시 기능을 갖는 가로등{STREETLIGHT HAVING FUNCTION OF INDICATING EMERGENCY SITUATION}Street light with emergency indication function {STREETLIGHT HAVING FUNCTION OF INDICATING EMERGENCY SITUATION}

본 발명은 비상 사태 표시 기능을 갖는 가로등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천재 지변이나 기상재해 또는 사건 사고 등에 의해 비상 사태가 발생하는 경우 이를 표시하여 비상 사태 발생 현황이나 발생 위치가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파악되게 할 수 있는 비상 사태 표시 기능을 갖는 가로등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reet light having an emergency display function, and more particularly, when an emergency occurs due to natural disasters, meteorological disasters or accidents, and the like, it is possible to quickly and effectively grasp an emergency occurrence status or a location thereof. It relates to a street light having an emergency indication function that can be made.

최근 자연환경 훼손, 해수면 온도 변화 및 지구 온난화 등과 같은 문제에 의해 지구 곳곳에서 심각한 천재지변, 자연 재해가 발생하고 있다. 특히, 2011년 일본의 도후쿠 지방에서 발생한 강진과 쓰나미는 도후쿠 지방을 완전히 폐허로 만들었으며, 2012년 3월 현재까지도 복구에 거의 진척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Recently, natural disasters and natural disasters are occurring in various parts of the globe due to problems such as damage to the natural environment, changes in sea level, and global warming. In particular, the earthquake and tsunami that occurred in the Tofuku region of Japan in 2011 completely ruined the Tofuku region, and as of March 2012, little progress has been made in the recovery.

이와 같이 천재지변이 심각하게 발생 되는 경우, 대부분 전력 공급이 차단되므로 재난이 발생한 지역은 암흑 상태가 된다. 따라서, 재난 지역의 생존자, 구조요원 또는 복구 작업자는 피난이나 구조 작업, 복구 작업을 위한 위치 파악이 완전히 불가능하게 되는 상태가 되므로, 피난이나 구조 작업이 불가능하여 추가 피해가 발생하고, 재난 복구 작업의 진척이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In the event of a serious natural disaster, most of the power supply is cut off, so the disaster area becomes dark. As a result, survivors, rescue workers, or workers in the disaster area become completely unable to locate the place for evacuation, rescue, or recovery work. Therefore, evacuation or rescue work is impossible, and further damage occurs. Problems arise that make progress difficult.

따라서, 재난에 의해 전력 공급이 차단된 지역에서는, 주간뿐만 아니라 야간에도 위치나 방향을 용이하게 파악되게 할 수 있는 표시 기능을 갖는 유용한 수단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Therefore, there is an urgent need for useful means having a display function capable of easily grasping the position and the direction at night as well as at night when the power supply is cut off due to a disaster.

본 발명은, 천재 지변이나 기상재해 또는 사건 사고 등에 의해 비상 사태가 발생하는 경우 이를 표시하여 비상 사태 발생 현황이나 발생 위치가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파악되게 할 수 있는 비상 사태 표시 기능을 갖는 가로등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reet light having an emergency display function that can be displayed in case of an emergency occurs by natural disasters, meteorological disasters or accident accidents so that the emergency occurrence status or location can be quickly and effectively identified. 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기둥부;Pillar portion;

상기 기둥부의 상단에 설치되며, 발광하는 광원을 포함하는 조명부;An illumination unit installed on an upper end of the pillar and including a light source emitting light;

비상 사태를 감지하는 센서부; 및Sensor unit for detecting an emergency; And

상기 조명부에 연결되며, 상기 센서부에 의해 비상 사태가 감지되면 가스유입에 의해 팽창하여 상승하는 풍선부를 포함하며, Is connected to the lighting unit, when the emergency is detected by the sensor unit includes a balloon to expand and rise by the gas inflow,

상기 풍선부가 상승하는 힘에 의해 상기 조명부가 상기 기둥부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풍선부와 함께 상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사태 표시 기능을 갖는 가로등을 제공한다.
The lighting unit is separated from the pillar by the force of the balloon portion to provide a street lamp having an emergency display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rising with the balloon portion.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조명부는, 상기 기둥부로부터 분리된 이후 상기 광원에 전원을 제공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 상기 전원 공급부는 건전지 또는 태양전지로 구현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ight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power supply for supplying power to the light source after being separated from the pillar portion. In this embodiment, the power supply may be implemented as a battery or a solar cell.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조명부에 포함되는 상기 광원은 엘이디로 구현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ight source included in the lighting unit may be implemented as an LED.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상기 풍선부가 팽창하여 상승하는 경우 상기 풍선부가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풍선부와 상기 기둥부를 연결하는 로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 상기 조명부는 상기 로프부에 의해 상기 풍선부와 연결될 수 있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rope portion connecting the balloon portion and the pillar portion to prevent the balloon portion from being lost when the balloon portion expands and rises. In this embodiment, the lighting unit may be connected to the balloon unit by the rope unit.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상기 가스를 저장하는 가스 실린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 상기 가스 실린더는 상기 센서부에 의해 비상 사태가 감지되면, 상기 풍선부로 가스 공급을 개시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gas cylinder for storing the gas. In this embodiment, the gas cylinder may be operable to start supplying gas to the balloon section when an emergency is detected by the sensor section.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상기 풍선부의 내부 또는 외부에 부착된 엘이디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 상기 풍선부의 외면에는 태양광에 의해 전력을 생산하는 솔라셀 페인트가 도포될 수 있으며, 상기 엘이디 모듈은 솔라셀 페인트에 의해 생성된 전력에 의해 발광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 상기 조명부는, 상기 기둥부로부터 분리된 이후 상기 광원에 전원을 제공하기 위한 충전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충전지는 상기 풍선부의 외면에 도포된 솔라셀 페인트에 의해 생성된 전력에 의해 충전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 상기 엘이디 모듈은 상기 충전지로부터 제공되는 전력에 의해 발광할 수 있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LED module attached to the inside or outside of the balloon portion. In this embodiment, the outer surface of the balloon portion may be coated with solar paint that generates power by sunlight, and the LED module may emit light by the power generated by the solar paint. In this embodiment, the light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rechargeable battery for supplying power to the light source after being separated from the pillar, wherein the rechargeable battery is generated by the solar paint appli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balloon unit. Can be charged by the supplied power. 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the LED module can emit light by electric power provided from the rechargeable battery.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조명부는, 상기 풍선부가 팽창하여 상승된 상태에서 상기 풍선부와 인접한 위치에 추가로 배치된 엘이디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ight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n LED module further disposed in a position adjacent to the balloon in the state in which the balloon is expanded and raised.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센서부는, 진동 감지 센서, 침수 감지 센서 및 기울기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nsor un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vibration sensor, a submersion sensor and a tilt sensor.

본 발명에 따르면, 지진, 홍수, 쓰나미 등과 같은 재난에 의해 폐허가 된 상황에서도 공중으로 상승한 조명부와 풍선부에 의해 가로등이 설치된 위치의 식별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in a situation devastated by a disaster such as an earthquake, flood, tsunami, etc., it is possible to identify the location where the street lamp is installed by the lighting unit and the balloon unit that rise in the air.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가로등은 주로 도로를 따라 설치되므로 공중으로 상승한 조명부와 풍선부는 폐허 이전의 도로 패턴을 나타내게 된다. 이에 따라 폐허가 된 재난 상황에서도 복구 작업자나 피해자 등이 공중에 상승한 상태의 조명부와 풍선부에 의해 용이하게 위치나 방향을 식별할 수 있게 된다.In particul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treet lamp is mainly installed along the road, the lighting unit and the balloon unit rising in the air show the road pattern before the ruins. Accordingly, even in a devastated disaster situation, the recovery worker or the victim can easily identify the position or direction by the lighting unit and the balloon unit in the air.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풍선부의 외면에 도포된 솔라셀 페인트에 의해 주간에 전력을 생성하고 이를 충전지를 통해 저장한 후 야간의 조명에 사용함으로써, 주간뿐만 아니라 야간에도 위치의 식별이 가능하며, 장시간의 조명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generating the power during the day by the solar cell paint appli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balloon portion and stored in the rechargeable battery and used for the night illumination, it is possible to identify the position at night as well as at night, Long time illumination is possibl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비상 사태 표시 기능을 갖는 가로등의 모식도로서, 도 1의 (a)는 비상 사태가 발생하지 않은 평시의 가로등의 모식도이고, 도 1의 (b)는 비상 사태가 발생한 상태의 가로등의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비상 사태 표시 기능을 갖는 가로등에 적용되는 접힌 상태의 풍선부(13')와 가스 실린더(14)가 배치되는 위치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비상 사태 표시 기능을 갖는 가로등에 적용되는 풍선부를 더욱 상세하게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비상 사태 표시 기능을 갖는 가로등에서 조명부의 광원에 사용되는 전원이 변경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비상 사태 표시 기능을 갖는 가로등에서 풍선부에 가스가 유입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비상 사태 표시 기능을 갖는 가로등이 적용된 예시도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street lamp having an emergency display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 (a) is a schematic diagram of a street lamp in a normal situation where an emergency does not occur, Figure 1 (b) is an emergency It is a schematic diagram of the street lamp of the state in which the situation occurred.
FIG. 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position where a balloon 13 'and a gas cylinder 14 in a folded state that are applied to a street lamp having an emergency display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sposed.
Figure 3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in more detail the balloon to be applied to the street light having an emergency display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onfiguration diagram for explaining that the power used for the light source of the lighting unit is changed in the street lamp having the emergency display func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onfiguration diagram for explaining a process in which gas is introduced into a balloon in a street light having an emergency display funct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emplary diagram to which a street light having an emergency display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되는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정의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것으로,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into various other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to more ful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defined terms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y may be changed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technician working in the field, so that the technical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limited It will not be understood as meaning.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비상 사태 표시 기능을 갖는 가로등의 모식도이다. 특히, 도 1의 (a)는 비상 사태가 발생하지 않은 평시의 가로등을 도시하고 있으며, 도 1의 (b)는 비상 사태가 발생한 상태의 가로등을 도시한다. 도 1의 (a)와 같이, 평시의 가로등은 일반적인 가로등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를 유지하게 되나, 비상 사태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도 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풍선부(13)가 팽창하여 상승하면서 풍선부(13)에 연결된 조명부(12)가 기둥부(11)로부터 분리되어 더 높은 위치로 상승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비상 사태 표시 기능을 갖는 가로등의 각 구성요소들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street lamp having an emergency display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particular, Figure 1 (a) shows a street lamp in the normal situation in which no emergency occurs, Figure 1 (b) shows a street lamp in a state where an emergency occurred. As shown in (a) of FIG. 1, the street lamps of the ordinary city maintain substantially the same structure as the general street lamps, but in case of an emergency, the balloon unit 13 is expanded as shown in FIG. As it rises up, the lighting unit 12 connected to the balloon unit 13 is separated from the column part 11 and rises to a higher position. Hereinafter, each component of the street light having an emergency display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비상 사태 표시 기능을 갖는 가로등은 기둥부(11)와 조명부(12) 및 풍선부(1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비상 사태 표시 기능을 갖는 가로등은 센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a streetlight having an emergency display funct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illar portion 11, an illumination portion 12, and a balloon portion 13.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FIG. 1, the street light having an emergency display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ensor unit.

상기 기둥부(11)는 조명부(12)를 원하는 높이 배치하기 위해 소정 길이를 갖는 지지 구조물이다. 상기 기둥부(11)는 일단이 지상에 고정되고 그 타단에 조명부(12)가 설치되는 형태로 구현되거나, 일단이 건물이나 담장 등과 같은 건축 구조물에 고정이되고 그 타단에 조명부(12)가 설치되는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The pillar portion 11 is a support structur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for arranging the lighting portion 12 to a desired height. The pillar portion 11 may be implemented in a form in which one end is fixed to the ground and the other end of the lighting unit 12 is installed, or one end is fixed to a building structure such as a building or a fence and the other end of the lighting unit 12 is installed. It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such as the form.

또한, 상기 기둥부(11)는 그 수평 단면이 삼각형, 사각형, 원형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그 내부에는 비어있는 공간이 형성될 수도 있고 비어있는 공간이 없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pillar portion 11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such as a triangular, square, circular, etc., the inside of the pillar portion 11 may be formed in an empty space or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no empty space.

상기 조명부(12)는 상기 기둥부(11)의 상단에 설치될 수 있으며, 빛을 발광하는 발광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조명부(12)는 기둥부(11) 상단에 영구적으로 고정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일정한 외력에 의해 분리될 수 있는 결합구조로 기둥부(11) 상단에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일정한 외력에 의해 분리 가능한 결합구조는 당 기술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다양한 구조가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조명부(12)는 도 1에 도시한 것과 같이, 기둥부(11) 상단에 설치되어, 외력에 의해 광원 및 광원을 둘러싸는 케이스 구조 전체가 기둥부(11)로부터 분리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조명부(12)는 조명부(12)의 하부까지 연장되어 형성된 기둥부(11) 상단 프레임에 안착된 광원 모듈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 예에서, 비상 사태가 발생하게 되면, 광원 모듈이 기둥부(11) 상단 프레임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The lighting unit 12 may be installed on the upper end of the pillar portion 11 and may include a light emitting unit for emitting light.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ighting unit 12 is not permanently fixed to the top of the column portion 11, but may be installed on the top of the column portion 11 in a coupling structure that can be separated by a certain external force. have. As described above, the coupling structure that can be separated by a constant external force may adopt various structures well known in the art.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 the lighting unit 12 is installed on the top of the pillar part 11 so that the entire light source and the case structure surrounding the light source by the external force are separated from the pillar part 11. It can be implemented as. In another example, the lighting unit 12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light source module seated on the upper frame of the pillar portion 11 formed to exten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lighting unit 12. In this example, when an emergency occurs, the light source module can be separated from the top frame of the pillar portion 11.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 기둥부(11)는 단순한 바 구조로 구현되거나 조명부(12)를 안착하기 위한 프레임을 갖는 구조로 구현된다고 하더라도, 조명부(12)를 설치하기 위해 일단이 고정된 구조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조명부(12)는 어떠한 다양한 형태로 구현되더라도, 비상 사태가 발생하는 경우 고정된 기둥부(11)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구성 요소로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As such, in the present invention, although the pillar portion 11 is implemented as a simple bar structure or a structure having a frame for seating the lighting unit 12, it is understood that the structure is fixed to one end to install the lighting unit 12 Should be. In addition, the lighting unit 12, although implemented in any of a variety of forms, it should be understood as a component that can be separated from the fixed pillar portion 11 in the event of an emergency.

상기 조명부(12)에 포함되는 광원은 빛을 발광하는 다양한 램프 또는 발광 소자 등이 채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비상 사태 발생 시 조명부(12)는 기둥부(11)로 분리되어 별도로 마련된 저전력의 전원공급부(예를 들어, 건전지 또는 소형 태양 전지 등)에 의해 발광이 가능하여야 하므로, 상기 광원은 소형이며 소비전력이 적게 소모되는 엘이디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the light source included in the lighting unit 12, various lamps or light emitting devices emitting light may be employe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lighting unit 12 is separated by the pillar 11 in case of an emergency, light should be enabled by a low-power power supply unit (for example, a battery or a small solar cell) provided separately. Preferably, the light source is implemented as an LED which is small and consumes little power.

전술한 것과 같이, 상기 조명부(12)는 비상 사태 발생 시 기둥부(11)로부터 분리되어 외부 전력을 공급받기 어려운 상태가 될 수 있으므로, 광원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별도의 전원공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공급부는 건전지 또는 태양전지로 구현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lighting unit 12 may be in a state in which it is difficult to receive external power by being separated from the pillar 11 when an emergency occurs, it may include a separate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power to the light source. have. The power supply unit may be implemented as a battery or a solar cell.

한편, 상기 조명부(12)는 전술한 광원 이외에 비상 사태 발생 시 팽창된 풍선부(13)에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엘이디 모듈(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엘이디 모듈은, 비상 사태가 발생하여 풍선부(13)와 같이 조명부(12)가 상승하는 경우, 풍선부(13) 방향으로 빛을 조사하여 풍선부(13)를 조명하게 함으로써 풍선부(13)가 더욱 쉽게 식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lighting unit 12 may further include an LED module (not shown) installed in a position opposite to the inflated balloon unit 13 in the event of an emergency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light source. The LED module, when an emergency occurs and the lighting unit 12 rises like the balloon unit 13, by irradiating light toward the balloon unit 13 to illuminate the balloon unit 13. ) Can make it easier to identify.

상기 센서부는 비상 사태가 발생하는 것을 감지하는데 적용될 수 있다. 센서부에 의해 감지되는 비상 사태의 예로는, 지진에 의한 진동 또는 쓰나미나 홍수에 의한 침수 또는 충격에 의한 기둥부(11)의 휘어짐 또는 파손 등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센서부는 소정 이상의 진도를 갖는 지진에 의한 진동을 감지할 수 있는 진동 감지 센서나, 일정한 높이 이상 침수가 되는 경우 이를 감지할 수 있는 침수 감지 센서, 또는 충격에 의해 기둥부(11)가 휘어지거나 고정된 상태가 파손되어 이루어지는 기울어짐을 감지할 수 있는 기울기 센서 등이 채용될 수 있다. 상기 센서부는 전술한 진동 감지 센서, 침수 감지 센서 및 기울기 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다양한 비상 사태를 검출하기 위해, 둘 이상의 복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nsor unit may be applied to detect that an emergency occurs. An example of an emergency detected by the sensor unit may include bending or damage of the pillar part 11 due to inundation or impact caused by an earthquake or tsunami or flood. Therefore, the sensor unit may be bent by a vibration sensor or a vibration sensor that can detect vibration caused by an earthquake having a predetermined magnitude or more, or a flood detection sensor that can detect it when it is flooded by a predetermined height or by an impact. An inclination sensor or the like capable of detecting an inclination caused by a broken or fixed state may be employed. The sensor unit may include at least one or more of the above-described vibration sensor, submersion sensor, and tilt sensor, but may include two or more sensors to detect various emergency situations.

또한, 상기 센서부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가로등을 형성하는 구조물인 기둥부(11) 또는 조명부(12)에 설치될 수도 있고, 기둥부(11) 또는 조명부(12)와는 공간적으로 분리된 위치에 설치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sensor unit may be installed in the pillar portion 11 or the lighting unit 12, which is a structure for forming a street lamp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sition spatially separated from the pillar portion 11 or the lighting unit 12 It can also be installed in.

상기 풍선부(13)는 조명부(12)에 연결되며, 센서부에 의해 비상 사태가 감지되면 가스가 유입되어 팽창함으로써 상부로 상승하게 된다. 상기 풍선부(13)는 비상 사태가 발생하지 않은 평시에는 그 내부에 가스가 제거되어 접힌 상태로 조명부(12)의 인근에 수납될 수 있으며, 비상 사태가 발생하는 경우 풍선부(13) 내부로 유입되어 팽창함으로써 상부로 상승하게 된다. The balloon unit 13 is connected to the lighting unit 12, and when an emergency is detected by the sensor unit, gas is introduced to expand and rise upward. The balloon 13 may be stored in the vicinity of the lighting unit 12 in a state in which the gas is removed and folded in a normal state when an emergency does not occur, and when an emergency occurs, into the balloon unit 13. As it enters and expands, it rises to the top.

상기 풍선부(13)의 내부로 유입되는 가스는 풍선부(13) 팽창시 상승이 가능하도록 일반 대기보다 비중이 낮은 가스가 사용될 수 있으며, 그 예로서 헬륨 가스가 풍선부(13)의 내부로 유입되는 가스로 채용될 수 있다.The gas flowing into the balloon part 13 may be a gas having a specific gravity lower than that of the general atmosphere so that the gas may rise when the balloon part 13 is inflated. For example, helium gas may be introduced into the balloon part 13. It may be employed as the incoming gas.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풍선부(13)로 유입되기 위한 가스를 보관하기 위한 가스 실린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스 실린더는, 평시에 밸브가 차단된 상태로 풍선부(13)에 유입되기 위한 가스를 보관하며, 센서부에 의해 비상 사태가 발생하는 것으로 감지된 경우 밸브를 개방하여 풍선부(13)로 보관 중인 가스를 공급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gas cylinder for storing the gas to be introduced into the balloon portion (13). The gas cylinder stores gas for inflow into the balloon portion 13 in a state in which the valve is normally blocked, and opens the valve to the balloon portion 13 when it is detected that an emergency occurs by the sensor portion. Supply the gas in storage.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비상 사태 표시 기능을 갖는 가로등 적용되는 접힌 상태의 풍선부(13')와 가스 실린더(16)가 배치되는 위치를 도시한 모식도이다.FIG. 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position where a balloon 13 'and a gas cylinder 16 in a folded state to which a street light having an emergency display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re arranged.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풍선부(13')와 가스 실린더(16)는 효과적인 가스 유입을 위해 상호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으며, 도 2의 (a)와 같이 기둥부(11) 내에 마련된 공간에 배치되거나, 도 2의 (b)와 같이 기둥부(11)의 외부에 마련된 별도의 안착 수단(미도시)에 배치되거나, 도 2의 (c)와 같이, 조명부(12)의 상부면에 배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접힌 상태의 풍선부(13') 및 가스 실린더(16)는 설치의 편의성 및 다른 구성요소들 간의 배치 구조 등을 고려하여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러한 풍선부(13') 및 가스 실린더(16)의 설치구조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As shown in FIG. 2, the balloon 13 ′ and the gas cylinder 16 may b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for effective gas inflow, and a space provided in the pillar 11 as shown in FIG. Disposed on a separate mounting means (not shown) provided outside of the pillar portion 11 as shown in FIG. 2 (b), or as shown in (c) of FIG. 2, on an upper surface of the lighting unit 12. It may be arranged.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lloon portion 13 'and the gas cylinder 16 in the folded state may be installed at various positions in consideration of the convenience of installation and the arrangement structure between the other components, and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stalled in such a manner. It is not limited by the installation structure of the balloon part 13 'and the gas cylinder 16. FIG.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비상 사태 표시 기능을 갖는 가로등에 적용되는 풍선부(13)를 더욱 상세하게 도시한 모식도이다.3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in more detail the balloon portion 13 applied to a street lamp having an emergency display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풍선부(13)는 외부 또는 내부에 부착된 엘이디 모듈(13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엘이디 모듈(131)이 발광함으로써 풍선부(13) 자체에 조명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풍선부(13)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시인성 향상의 효과는 특히 야간에 더욱 유용하다.Referring to FIG. 3, the balloon part 13 may further include an LED module 131 attached to the outside or the inside. The LED module 131 emits light to illuminate the balloon unit 13 itself, thereby improving visibility of the balloon unit 13, and the effect of improving the visibility is particularly useful at night.

또한, 풍선부(13)의 외면에는 태양광에 의해 전력을 생산할 수 있는 솔라셀 페인트(132)가 도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솔라셀 페인트(132)는 입사되는 태양광의 양을 더욱 증가시키기 위해 풍선부(13)의 상부 외면에 도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포된 솔라셀 페인트는 입사되는 태양광에 의한 에너지를 전기적인 에너지로 변환하며, 변환된 전기 에너지는 전술한 풍선부(13)에 부착된 엘이디 모듈(131)의 발광에 사용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olar cell paint 132 may be appli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balloon 13 to generate electric power by sunlight.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olar cell paint 132 may be applied to the upper outer surface of the balloon portion 13 to further increase the amount of incident sunlight. The solar paint applied as described above converts the energy of the incident sunlight into electrical energy, and the converted electrical energy may be used to emit light of the LED module 131 attached to the balloon unit 13 described above.

특히, 솔라셀 페인트(132)에 의해 생성되는 전기적인 에너지는 주간에 주로 생성되는 것으로 이전기 에너지를 충전지 등을 통해 저장하는 경우 야간 조명에 더욱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전술한 조명부(12) 내에 구비되는 전원 공급부를 충전지로 구현하고, 상기 솔라셀 페인트(132)가 도포된 영역으로부터 풍선부(13)의 외면 또는 내면 및 로프부(14)를 따라 충전지까지 도선(미도시)을 형성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충전지로부터 로프부(14) 및 풍선부(13)의 외면 또는 내면을 따라 엘이디 모듈(131)까지 도선(미도시)을 형성함으로써, 솔라셀 페인트(132)에서 생성된 전기적 에너지를 충전지로 저장하고 충전지에 저장된 전력을 이용하여 엘이디 모듈(131)의 발광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더하여, 충전지에 저장된 전력은 조명부(12)에 포함되는 광원 및 풍선부(13)에 대향하는 조명부(12) 영역에 추가로 배치되는 엘이디 모듈의 전원으로 적용할 수도 있다.
In particular, the electrical energy generated by the solar cell paint 132 is mainly generated during the day, and when the former energy is stored through a rechargeable battery or the like, it may be more useful for night illumination. To this end, the power supply unit provided in the above-described lighting unit 12 is implemented as a rechargeable battery, and the rechargeable battery is formed along the outer surface or the inner surface of the balloon unit 13 and the rope unit 14 from the region where the solar paint 132 is applied. Lead wires (not shown) can be formed. Similarly, by forming a conductive wire (not shown) from the rechargeable battery to the LED module 131 along the outer surface or the inner surface of the rope portion 14 and the balloon portion 13, the electrical energy generated in the solar cell paint 132 is converted into the rechargeable battery. The LED module 131 may emit light by using the stored power stored in the rechargeable battery. In addition, the power stored in the rechargeable battery may be applied to a light source included in the lighting unit 12 and a power source of the LED module additionally disposed in the region of the lighting unit 12 opposite to the balloon unit 13.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비상 사태 표시 기능을 갖는 가로등은 로프부(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프부(14)는 풍선부(13)가 팽창하여 상승하는 경우 풍선부(13)가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풍선부(13)와 기둥부(11)를 연결한다. 상기 로프부(14)의 길이는 기둥부로부터 풍선부(13)가 용이하게 인식될 수 있는 높이까지 상승할 수 있도록 적절하게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프부(14)에는 조명부(12)가 함께 연결됨으로써 조명부(12)와 풍선부(13)의 연결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더하여, 상기 로프부(14)는 그 외면이나 내부에 전류가 도통할 수 있는 도선이 설치될 수 있으며, 이 도선을 통해 조명부(12) 내의 전원 공급부와 풍선부(13)의 솔라셀 페인트(132) 간의 전기적 연결 또는 조명부(12) 내의 전원 공급부와 풍선부(13)의 엘이디 모듈(131)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형성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street light having an emergency display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rope portion (14). The rope part 14 connects the balloon part 13 and the pillar part 11 to prevent the balloon part 13 from being lost when the balloon part 13 expands and rises. The length of the rope portion 14 may be appropriately determined to allow the balloon portion 13 to rise to a height at which the balloon portion 13 can be easily recognized. In addition, the lighting unit 12 is connected to the rope part 14 to form a connection between the lighting unit 12 and the balloon unit 13. In addition, the rope part 14 may be provided with a conductive wire for conducting current on its outer surface or inside, through which the solar paint 132 of the power supply unit and the balloon unit 13 in the lighting unit 12 is conducted. ) May form an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power supply in the lighting unit 12 and the LED module 131 of the balloon unit 13.

이하, 전술한 것과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비상 사태 표시 기능을 갖는 가로등의 작용 효과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and effect of the street lamp having an emergency display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비상 사태 표시 기능을 갖는 가로등에서 조명부의 광원에 사용되는 전원이 변경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비상 사태 표시 기능을 갖는 가로등에서 풍선부에 가스가 유입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4 is a configuration diagram for explaining that the power used for the light source of the lighting unit is changed in the street lamp having the emergency display func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onfiguration diagram for explaining a process in which gas flows into a balloon in a street light having an emergency display funct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비상 사태가 발생하지 않은 평시에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비상 사태 표시 기능을 갖는 가로등은 도 1의 (a)와 같이 통상적인 가로등으로 동작할 수 있다. 이 때, 가로등 조명부(12)의 광원을 발광하기 위해 사용되는 전력은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상용 전력이 제공될 수 있다. 즉, 도 4에 도시한 것과 같이, 평시에는 전력 회사 등으로부터 제공되는 상용 교류전원을 이용하여 광원(121)이 발광할 수 있다. 1 to 5, a street light having an emergency display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operated as a normal street light as shown in FIG. At this time, the power used to emit the light source of the street lamp lighting unit 12 may be provided with commercial power provided from the outside. That is, as illustrated in FIG. 4, the light source 121 may emit light using a commercial AC power supplied from a power company or the like during normal times.

상기 광원(121)이 엘이디와 같이 직류 구동하는 광원인 경우, 상용 교류전원을 직류로 변환하는 교류/직류 변환회로(21)를 사용하여 교류전원을 직류로 변환하여 광원(121)으로 제공할 수 있다. 교류/직류 변환회로(21)는 가로등마다 설치되어 각 가로등의 광원에 직류 전원을 제공하거나, 다수의 가로등을 하나의 그룹으로 설정하고 각 그룹마다 하나의 교류/직류 변환회로(21)를 적용하여 그룹에 속한 복수의 가로등에 직류 전원을 제공하는 방식이 채용될 수 있다.When the light source 121 is a light source that drives DC like an LED, the AC power source may be converted into direct current by using an AC / DC conversion circuit 21 for converting commercial AC power into DC and provided to the light source 121. have. The AC / DC conversion circuit 21 is installed for each street light to provide DC power to the light source of each street light, or set a plurality of street lights in one group and apply one AC / DC conversion circuit 21 to each group. A method of providing a DC power source to a plurality of street lights belonging to the group may be adopted.

조명부(12)는 광원(121)과 비상 사태 발생 시 사용되는 전원공급부(건전지, 태양전지, 충전지 등)(122) 및 스위치(123)를 포함하며, 스위치(123)는 광원(121)과 전원 공급부(122)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형성하거나 차단할 수 있다. 스위치(123)은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로부터 스위치(123)로 전원이 제공되는 경우 스위치(123)는 개방 상태를 유지하여 광원(121)과 전원 공급부(122)의 연결을 차단할 수 있다. 외부로부터 스위치(123)로 전원이 제공되지 않는 경우 스위치(123)는 단락 상태가 되어 광원(121)과 전원 공급부(122)의 연결을 형성한다. 평시에는 외부로부터 전원이 계속 공급되는 상태이므로, 스위치(123)는 개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The lighting unit 12 includes a light source 121 and a power supply unit (battery, solar cell, rechargeable battery, etc.) 122 and a switch 123 used in an emergency, and the switch 123 includes a light source 121 and a power source. Electrical connections between the supplies 122 can be made or interrupted. The switch 123 may be controlled by a power source provided from the outside. For example, when power is supplied to the switch 123 from the outside, the switch 123 may maintain the open state to block the connection between the light source 121 and the power supply 122. When no power is supplied to the switch 123 from the outside, the switch 123 is short-circuited to form a connection between the light source 121 and the power supply 122. Since the power is continuously supplied from the outside in normal times, the switch 123 may maintain an open state.

이러한 평시 상태에서, 비상 사태가 발생하는 경우, 도 5에 도시한 것과 같이, 센서부(15)가 비상 사태를 감지하고 이를 알리는 감지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센서부(15)는 지진 등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이 사전 설정된 강도 이상의 진동인 경우 감지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센서부(15)는 홍수나 쓰나미 등에 의해 센서부가 설치된 높이 이상 침수가 발생한 경우 감지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센서부(15)는 외부 충격에 의해 기둥부가 기울어지거나 쓰러지는 경우 기울기 변화를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In an emergency state, when an emergency occurs, as shown in FIG. 5, the sensor unit 15 may detect an emergency and output a detection signal for informing it. For example, the sensor unit 15 may output a detection signal when the vibration generated by the earthquake or the like is a vibration of a predetermined intensity or more. As another example, the sensor unit 15 may output a detection signal when flooding or tsunami inundation occurs at a height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sensor unit. As another example, the sensor unit 15 may output a detection signal by detecting a change in inclination when the pillar part is inclined or collapsed due to an external impact.

상기 센서부(15)에 의해 출력되는 감지 신호는 가스 실린더(16)로 전달되고, 가스 실린더(16)는 감지 신호를 입력받은 경우 차단된 밸브를 개방하여 가스를 풍선부(13)로 제공한다. 풍선부(13)로 유입되는 가스에 의해 접힌 상태의 풍선부는 팽창하게 되고, 팽창된 풍선부(13)는 접힌 상태에서 배치되었던 부분으로부터 외부로 토출되어 상부로 상승하게 된다. 풍선부(13)가 상승하는 힘에 의해 풍선부(13)에 연결된 조명부(12)는 기둥부(11)로부터 분리되어 풍선부(13)와 함께 상승하게 된다.The sensing signal output by the sensor unit 15 is transmitted to the gas cylinder 16, and when the sensing cylinder receives the sensing signal, the gas cylinder 16 opens a blocked valve to provide gas to the balloon unit 13. . The balloon part in the folded state is expanded by the gas flowing into the balloon part 13, and the expanded balloon part 13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from the part which was arranged in the folded state and is raised upward. The lighting unit 12 connected to the balloon unit 13 by the force of the balloon unit 13 is separated from the pillar unit 11 to rise together with the balloon unit 13.

한편, 비상 사태가 발생하는 경우 대부분 외부로부터 광원으로 제공되는 상용 전원이 차단된다. 외부로부터 상용전원이 차단되는 경우, 도 4에 도시한 스위치(123)에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이 차단되어 스위치(123)는 단락 상태가 되며, 이에 의해 광원(121)과 전원 공급부(122)의 전기적인 연결이 형성됨으로써 광원(121)이 전원 공급부(122)에 의해 제공되는 전력에 의해 발광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an emergency occurs, most of the commercial power provided to the light source from the outside is cut off. When the commercial power is cut off from the outside, the power provided from the outside is cut off to the switch 123 shown in FIG. 4 and the switch 123 is short-circuited, whereby the light source 121 and the power supply 122 As the electrical connection is made, the light source 121 emits light by the power provided by the power supply 122.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비상 사태 표시 기능을 갖는 가로등이 적용된 예시도이다. 도 6에 도시한 것과 같이,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비상 사태 표시 기능을 갖는 가로등의 작용에 의해 조명부(12)와 풍선부(13)는 로프부(14)에 의해 설정된 높이까지 상승하여 평시에 가로등이 설치된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를 식별 가능하도록 표시할 수 있게 된다. 가로등은 주로 도로를 따라 설치되므로, 도 6과 같이 폐허가 된 재난 상황에서 상승한 상태의 조명부(12)와 풍선부(13)는 폐허 이전의 도로 패턴을 나타내게 된다. 이에 따라 폐허가 된 재난 상황에서도 복구 작업자나 피해자 등이 상승한 상태의 조명부(12)와 풍선부(13)에 의해 용이하게 위치나 방향을 식별할 수 있게 된다.6 is an exemplary diagram to which a street light having an emergency display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s shown in FIG. 6, the lighting unit 12 and the balloon unit 13 are controlled to the height set by the rope unit 14 by the action of the streetlight having the emergency display func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scending, it is possible to display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where the street light is normally installed to be identified. Since the street lamp is mainly installed along the road, the lighting unit 12 and the balloon unit 13 in the elevated state in the devastated disaster situation as shown in FIG. 6 show the road pattern before the ruin. Accordingly, even in the devastated disaster situation, the position or direction can be easily identified by the lighting unit 12 and the balloon unit 13 in a state where the recovery worker, the victim, and the like are raised.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풍선부(13)의 외면에 도포된 솔라셀 페인트에 의해 주간에 전력을 생성하고 이를 충전지를 통해 저장한 후 야간의 조명에 사용함으로써 주간뿐만 아니라 야간에도 식별이 가능하며, 장시간의 조명이 가능하게 된다.
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by generating the power during the day by the solar paint appli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balloon portion 13 and stored through the rechargeable battery and used for lighting at night can be identified at night as well as day. Long time illumination is possible.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의 범위 및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u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11: 기둥부 12: 조명부
121: 광원(엘이디) 122: 전원공급부
123: 스위치부 13, 13': 풍선부
131: 엘이디 모듈 132: 솔라셀 페인트
14: 로프부 15: 센서부
16: 가스 실린더
11: pillar 12: lighting
121: light source (LED) 122: power supply
123: switch portion 13, 13 ': balloon portion
131: LED module 132: cell paint
14: rope part 15: sensor part
16: gas cylinder

Claims (13)

기둥부;
상기 기둥부의 상단에 설치되며, 발광하는 광원을 포함하는 조명부;
비상 사태를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조명부에 연결되며, 상기 센서부에 의해 비상 사태가 감지되면 가스유입에 의해 팽창하여 상승하는 풍선부를 포함하며,
상기 풍선부가 상승하는 힘에 의해 상기 조명부가 상기 기둥부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풍선부와 함께 상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사태 표시 기능을 갖는 가로등.
Pillar portion;
An illumination unit installed on an upper end of the pillar and including a light source emitting light;
Sensor unit for detecting an emergency; And
Is connected to the lighting unit, when the emergency is detected by the sensor unit includes a balloon to expand and rise by the gas inflow,
And the illumination unit is separated from the pillar by an upward force of the balloon and rises together with the ballo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는, 상기 기둥부로부터 분리된 이후 상기 광원에 전원을 제공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사태 표시 기능을 갖는 가로등.
The method of claim 1,
The lighting unit further comprises a power supply for supplying power to the light source after being separated from the pillar portion street light having an emergency display func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부는 건전지 또는 태양전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사태 표시 기능을 갖는 가로등.
3. The method of claim 2,
The power supply unit is a street light having an emergency display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battery or solar cell.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엘이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사태 표시 기능을 갖는 가로등.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light source is a street light having an emergency display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L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풍선부가 팽창하여 상승하는 경우 상기 풍선부가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풍선부와 상기 기둥부를 연결하는 로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사태 표시 기능을 갖는 가로등.
The method of claim 1,
And a rope portion connecting the balloon portion and the pillar portion to prevent the balloon portion from being lost when the balloon portion expands and rises.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는 상기 로프부에 의해 상기 풍선부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사태 표시 기능을 갖는 가로등.
6. The method of claim 5,
The lighting unit is a street light having an emergency display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connected to the balloon by the rop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를 저장하는 가스 실린더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스 실린더는 상기 센서부에 의해 비상 사태가 감지되면, 상기 풍선부로 가스 공급을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사태 표시 기능을 갖는 가로등.
The method of claim 1,
And a gas cylinder for storing the gas, wherein the gas cylinder starts supplying gas to the balloon unit when an emergency is detected by the sensor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풍선부의 내부 또는 외부에 부착된 엘이디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사태 표시 기능을 갖는 가로등.
The method of claim 1,
Street light having an emergency display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LED module attached to the inside or outside of the balloon portion.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풍선부의 외면에는 태양광에 의해 전력을 생산하는 솔라셀 페인트가 도포되며, 상기 엘이디 모듈은 솔라셀 페인트에 의해 생성된 전력에 의해 발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사태 표시 기능을 갖는 가로등.
9. The method of claim 8,
The outer surface of the balloon portion is coated with solar paint that generates power by sunlight, the LED module is a street light having an emergency display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light emitted by the power generated by the solar paint.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는, 상기 기둥부로부터 분리된 이후 상기 광원에 전원을 제공하기 위한 충전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충전지는 상기 솔라셀 페인트에 의해 생성된 전력에 의해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사태 표시 기능을 갖는 가로등.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light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rechargeable battery for supplying power to the light source after being separated from the pillar, wherein the rechargeable battery is charged by electric power generated by the solar cell paint. Street light with function.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엘이디 모듈은 상기 충전지로부터 제공되는 전력에 의해 발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사태 표시 기능을 갖는 가로등.
11. The method of claim 10,
And the LED module emits light by electric power provided from the rechargeable batter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는, 상기 풍선부가 팽창하여 상승된 상태에서 상기 풍선부와 인접한 위치에 배치된 엘이디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사태 표시 기능을 갖는 가로등.
The method of claim 1,
The lighting unit, the street lamp having an emergency display function further comprises an LED module disposed in a position adjacent to the balloon in a state where the balloon is inflated and rais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진동 감지 센서, 침수 감지 센서 및 기울기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사태 표시 기능을 갖는 가로등.
The method of claim 1,
The sensor un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vibration sensor, a flood sensor, and a tilt sensor.
KR1020120030038A 2012-03-23 2012-03-23 Streetlight having function of indicating emergency situation KR10137936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0038A KR101379362B1 (en) 2012-03-23 2012-03-23 Streetlight having function of indicating emergency situ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0038A KR101379362B1 (en) 2012-03-23 2012-03-23 Streetlight having function of indicating emergency situ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7888A KR20130107888A (en) 2013-10-02
KR101379362B1 true KR101379362B1 (en) 2014-04-07

Family

ID=496310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0038A KR101379362B1 (en) 2012-03-23 2012-03-23 Streetlight having function of indicating emergency situ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9362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3934B1 (en) 2017-08-24 2018-07-04 주식회사 동남기술단 LED disaster light syste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01307A (en) * 2005-01-18 2006-08-03 Digitama:Kk Floating illumination fixture
JP2007227105A (en) * 2006-02-22 2007-09-0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Earthquake detection illumination device
KR20090002085U (en) * 2007-08-29 2009-03-04 왕재학 Lighting unit for a rubber balloon
KR101090564B1 (en) * 2010-06-09 2011-12-08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Led lighting apparatus with air levitation syste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01307A (en) * 2005-01-18 2006-08-03 Digitama:Kk Floating illumination fixture
JP2007227105A (en) * 2006-02-22 2007-09-0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Earthquake detection illumination device
KR20090002085U (en) * 2007-08-29 2009-03-04 왕재학 Lighting unit for a rubber balloon
KR101090564B1 (en) * 2010-06-09 2011-12-08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Led lighting apparatus with air levitation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3934B1 (en) 2017-08-24 2018-07-04 주식회사 동남기술단 LED disaster light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7888A (en) 2013-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1911B1 (en) A route indication
KR101559569B1 (en) Lighting apparatus for evacuation guidance
JP5490202B2 (en) Evacuation guidance device and alarm device
WO2005093678A1 (en) Emergency guidance system
KR101379362B1 (en) Streetlight having function of indicating emergency situation
KR20070101740A (en) Hwenseuyong safety cap that light is emited light
JP3120788U (en) Evacuation guide mark
KR20150004337U (en) Using solar fence light-emitting head cap
CN205476833U (en) Portable portable safety warning rail of adjustable length
CN201909628U (en) Streetlamp post inclining alarm device
KR20180109111A (en) Apparatus for display traffic signal installed on the road surface
KR101433718B1 (en) Advertising equipment using street lamp pole
KR101233125B1 (en) placards stand control method
JP2011012391A (en) Freeze-danger warning display for road or bridge
JP2009098421A (en) Guiding display board and guiding display lamp
KR101133278B1 (en) Lighting wind sock and weathercock using it
KR101332419B1 (en) Traffic safety sign board using solar cell
CN112554234A (en) Cable well and cable well construction method
JP2009093575A (en) Evacuation guide illuminating lamp device
JP4341429B2 (en) Power generator with lighting equipment
KR20200082108A (en) Smart Safety Guidance Display Apparatus
ITMI990807A1 (en) STREET LIGHTING DEVICE
CN216408800U (en) Street lamp device with height indication function
CN207673957U (en) A kind of highway bridge tube support arrangement
JP2013148986A (en) Evacuation guidance response type illuminating lamp and evacuation guidance light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