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4875B1 - Piston assembly of shock absorber - Google Patents

Piston assembly of shock absorb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4875B1
KR101374875B1 KR1020110147538A KR20110147538A KR101374875B1 KR 101374875 B1 KR101374875 B1 KR 101374875B1 KR 1020110147538 A KR1020110147538 A KR 1020110147538A KR 20110147538 A KR20110147538 A KR 20110147538A KR 101374875 B1 KR101374875 B1 KR 1013748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edge
retainer
ring groove
rod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753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078535A (en
Inventor
김태주
박완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1101475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4875B1/en
Priority to DE102012025574A priority patent/DE102012025574A1/en
Priority to CN2012105797232A priority patent/CN103185101A/en
Priority to US13/729,686 priority patent/US9074650B2/en
Publication of KR201300785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853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48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487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4Special valve constructions; Shape or construction of throttling passa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207Constructional features
    • F16F9/3214Constructional features of pist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스톤 몸체와 압축 리테이너 사이 및 피스톤 몸체와 인장 리테이너 사이에 안착 유닛이 형성된 실시예로부터 쇽업소버의 피스톤 어셈블리를 조립함에 있어서, 각 부품 간의 조립 작업이 정확한 위치에 용이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쇽업소버의 피스톤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assembles the piston assembly of the shock absorber from the embodiment in which the seating unit is formed between the piston body and the compression retainer and between the piston body and the tension retainer, so that the assembling work between the components can be easily and quickly made in the correct position. It relates to a piston assembly of a shock absorber.

Description

쇽업소버의 피스톤 어셈블리{PISTON ASSEMBLY OF SHOCK ABSORBER}[0001] PISTON ASSEMBLY OF SHOCK ABSORBER [0002]

본 발명은 쇽업소버의 피스톤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쇽업소버의 피스톤 어셈블리를 조립함에 있어서, 각 부품 간의 조립 작업이 정확한 위치에 용이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쇽업소버의 피스톤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iston assembly of a shock absorber, and more particularly, to assembling the piston assembly of the shock absorber, the assembly of the shock absorber piston assembly so that the work can be easily and quickly in the correct position. will be.

쇽업소버는 통상 차량의 승차감을 향상시키고 적재화물의 보호 및 차량의 각 부품을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작동유체(오일)가 충진된 실린더와, 차체 측에 연결되어 왕복하는 피스톤 로드와, 피스톤 로드의 하단에 결합되어 실린더 내에서 슬라이딩하고 작동유체의 흐름을 제어하는 피스톤 밸브를 구비한다.The shock absorber is generally used to improve the ride comfort of the vehicle, to protect the loaded cargo, and to protect the parts of the vehicle, and includes a cylinder filled with a working fluid (oil), a piston rod connected to and reciprocated on the vehicle body, and a piston rod. It is coupled to the lower end and has a piston valve sliding in the cylinder and controlling the flow of the working fluid.

최근, 피스톤 밸브에서는 튜닝의 자유도를 높여주는 샌드위치형 피스톤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In recent years, the use of the sandwich-type piston to increase the degree of freedom of tuning is increasing in the piston valve.

샌드위치형 구조를 갖기 위해서는 피스톤 내부의 유로가 복잡해지는 경향이 있으며, 이로 인해 원가가 상승하고 생산성이 저하된다.
In order to have a sandwich structure, the flow path inside the piston tends to be complicated, which leads to an increase in cost and a decrease in productivity.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쇽업소버의 피스톤 어셈블리를 조립함에 있어서, 각 부품 간의 조립 작업이 정확한 위치에 용이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쇽업소버의 피스톤 어셈블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invented to improve the above problems, in assembling the piston assembly of the shock absorber, to provide a piston assembly of the shock absorber so that the assembling work between each component can be made easily and quickly in the correct position. It is for.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실린더를 왕복하는 피스톤 로드가 중앙에 관통되고, 하단부는 입구가 되는 압축 유로와 상단부는 입구가 되는 인장 유로가 차례로 관통되는 패턴이 반복되며, 압축 유로 및 인장 유로의 입구는 압축 유로 및 인장 유로의 출구에 비하여 큰 단면적을 형성하고, 압축 유로 및 인장 유로는 항상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는 피스톤 몸체; 피스톤 몸체의 상부에 안착되고 압축 유로에 대응하는 연결홀이 관통되는 압축 리테이너; 피스톤 몸체의 상부에 안착되고 인장 유로에 대응하는 연결홀이 관통되는 인장 리테이너; 및 압축 리테이너와 피스톤 몸체 사이 및 피스톤 몸체와 인장 리테이너 사이에 각각 형성되어 피스톤 몸체에 압축 리테이너 및 인장 리테이너의 결합 위치를 결정하는 안착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쇽업소버의 피스톤 어셈블리를 제공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n the present invention, a piston rod reciprocating a cylinder penetrates in the center, and a pattern in which a compression flow passage through which a lower end is an inlet and a tension flow passage through which an upper end is an inlet passes is repeated, and a compression flow path and An inlet of the tension channel forms a larger cross-sectional area than the outlet of the compression channel and the tension channel, and the compression channel and the tension channel always remain open; A compression retainer seat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piston body and having a connection hole corresponding to the compression passage; A tension retainer seat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piston body and having a connection hole corresponding to the tension passage; And a seating unit formed between the compression retainer and the piston body and between the piston body and the tension retainer, respectively, to determine a coupling position of the compression retainer and the tension retainer on the piston body. Can be.

여기서, 안착 유닛은 피스톤 로드가 관통되게 피스톤 몸체의 중앙에 형성된 제1 로드홀의 가장자리와, 피스톤 로드가 관통되게 압축 리테이너의 중앙에 형성된 제2 로드홀의 가장자리에 각각 형성되어 상호 대면되는 제1 안착 어셈블리와, 제1 로드홀의 가장자리와, 피스톤 로드가 관통되게 인장 리테이너의 중앙에 형성된 제3 로드홀의 가장자리에 각각 형성되어 상호 대면되는 제2 안착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seating unit is formed on the edge of the first rod hol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piston body through the piston rod, and the edge of the second rod hol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compression retainer so that the piston rod penetrate, respectively facing each other And a second seating assembly formed at the edges of the first rod hole and the edges of the third rod hole formed at the center of the tension retainer so that the piston rod penetrates to face each other.

이때, 제1 안착 어셈블리는 제1 로드홀의 가장자리로부터 압축 리테이너측을 향하여 돌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돌편과, 제2 로드홀의 가장자리를 따라 제1 돌편이 수용되게 함몰된 제1 링홈과, 제1 돌편 양단부의 거리에 대응되게 제1 링홈의 형성 방향을 따라 피스톤 몸체측을 향하여 돌출된 복수의 제1 보조돌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is case, the first seating assembly may include at least one first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edge of the first rod hole toward the compression retainer side, a first ring groove recessed to accommodate the first protrusion piece along the edge of the second rod hole, And a plurality of first auxiliary protrusion pieces protruding toward the piston body side along the forming direction of the first ring groove so as to correspond to the distances of both ends of the protrusion pieces.

그리고, 제2 안착 어셈블리는 제1 로드홀의 가장자리로부터 인장 리테이너측을 향하여 돌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돌편과, 제3 로드홀의 가장자리를 따라 제2 돌편이 수용되게 함몰된 제2 링홈과, 제2 돌편 양단부의 거리에 대응되게 제2 링홈의 형성 방향을 따라 피스톤 몸체측을 향하여 돌출된 복수의 제2 보조돌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econd seating assembly may include at least one second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edge of the first rod hole toward the tension retainer side, a second ring groove recessed to accommodate the second protrusion piece along the edge of the third rod hole, And a plurality of second auxiliary protrusion pieces protruding toward the piston body side along the forming direction of the second ring groove so as to correspond to the distances of both ends of the protrusion pieces.

또한, 제1 안착 어셈블리는 제1 로드홀의 가장자리로부터 압축 리테이너측을 향하여 등간격으로 돌출된 복수의 제1 돌편과, 제2 로드홀의 가장자리를 따라 제1 돌편이 수용되게 함몰된 제1 링홈과, 제1 돌편 양단부의 거리에 대응되게 제1 링홈의 형성 방향을 따라 피스톤 몸체측을 향하여 돌출된 복수의 제1 보조돌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seating assembly may include a plurality of first protrusion pieces projecting at equal intervals from the edge of the first rod hole toward the compression retainer side, and a first ring groove recessed to accommodate the first protrusion pieces along the edge of the second rod hole; And a plurality of first auxiliary protrusion pieces protruding toward the piston body side along the forming direction of the first ring groove so as to correspond to the distances of both ends of the first protrusion pieces.

이때, 제2 안착 어셈블리는 제1 로드홀의 가장자리로부터 인장 리테이너측을 향하여 등간격으로 돌출된 복수의 제2 돌편과, 제3 로드홀의 가장자리를 따라 제2 돌편이 수용되게 함몰된 제2 링홈과, 제2 돌편 양단부의 거리에 대응되게 제2 링홈의 형성 방향을 따라 피스톤 몸체측을 향하여 돌출된 복수의 제2 보조돌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is case, the second seating assembly may include a plurality of second protrusion pieces projecting at equal intervals from the edge of the first rod hole toward the tension retainer side, and a second ring groove recessed to accommodate the second protrusion pieces along the edge of the third rod hole; And a plurality of second auxiliary protrusion pieces protruding toward the piston body side along the forming direction of the second ring groove so as to correspond to the distances of both end portions of the second protrusion pieces.

또한, 제1 안착 어셈블리는 제1 로드홀의 가장자리를 따라 함몰된 제1 링홈과, 제1 링홈의 형성 방향을 따라 압축 리테이너측을 향하여 등간격으로 돌출된 복수의 제1 보조돌편과, 복수의 제1 보조돌편 중 이웃한 제1 보조돌편 사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2 로드홀의 가장자리로부터 피스톤 몸체측을 향하여 돌출되고 제1 링홈에 수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돌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irst seating assembly may include a first ring groove recessed along an edge of the first rod hole, a plurality of first auxiliary protrusion pieces protruding at equal intervals toward the compression retainer side along the forming direction of the first ring groove, and a plurality of first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t least one first protrusion piece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between the adjacent first auxiliary piece among the first auxiliary piece pieces toward the piston body side from the edge of the second rod hole and accommodated in the first ring groove. .

이때, 제2 안착 어셈블리는 제1 로드홀의 가장자리를 따라 함몰된 제2 링홈과, 제2 링홈의 형성 방향을 따라 인장 리테이너측을 향하여 등간격으로 돌출된 복수의 제2 보조돌편과, 복수의 제2 보조돌편 중 이웃한 제2 보조돌편 사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3 로드홀의 가장자리로부터 피스톤 몸체측을 향하여 돌출되고 제2 링홈에 수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돌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is case, the second seating assembly may include a second ring groove recessed along the edge of the first rod hole, a plurality of second auxiliary protrusion pieces projecting at equal intervals toward the tension retainer side along the forming direction of the second ring groov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t least one second protrusion piece which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between the adjacent second auxiliary protrusion pieces of the second auxiliary protrusion pieces toward the piston body side from the edge of the third rod hole and accommodated in the second ring groove. .

또한, 제1 안착 어셈블리는 제1 로드홀의 가장자리를 따라 함몰된 제1 링홈과, 제1 링홈의 형성 방향을 따라 압축 리테이너측을 향하여 등간격으로 돌출된 복수의 제1 보조돌편과, 제1 보조돌편과 이웃한 제1 보조돌편 사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2 로드홀의 가장자리로부터 피스톤 몸체측을 향하여 등간격으로 돌출되고 제1 링홈에 수용되는 복수의 제1 돌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irst seating assembly may include a first ring groove recessed along an edge of the first rod hole, a plurality of first auxiliary protrusions protruding at equal intervals toward the compression retainer sid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ring groove is formed, and the first auxiliary groove; And a plurality of first protrusion piece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protrusion pieces and the adjacent first auxiliary protrusion pieces, protruding at equal intervals from the edge of the second rod hole toward the piston body side and received in the first ring groove. .

이때, 제2 안착 어셈블리는 제1 로드홀의 가장자리를 따라 함몰된 제2 링홈과, 제2 링홈의 형성 방향을 따라 인장 리테이너측을 향하여 등간격으로 돌출된 복수의 제2 보조돌편과, 제2 보조돌편과 이웃한 제2 보조돌편 사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3 로드홀의 가장자리로부터 피스톤 몸체측을 향하여 등간격으로 돌출되고 제2 링홈에 수용되는 복수의 제2 돌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is case, the second seating assembly may include a second ring groove recessed along the edge of the first rod hole, a plurality of second auxiliary protrusion pieces projecting at equal intervals toward the tension retainer side along the forming direction of the second ring groove, and the second auxiliary groove. And a plurality of second protrusion pieces which ar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protrusion pieces and the adjacent second auxiliary protrusion pieces, protrude at equal intervals from the edge of the third rod hole toward the piston body side and are accommodated in the second ring groove. .

상기와 같은 실시예의 본 발명에 따르면, 피스톤 몸체의 상측과 압축 리테이너 사이 및 피스톤 몸체의 하측과 인장 리테이너 사이에 안착 유닛을 구비함으로써 각 부품 간의 조립 작업이 정확한 위치에 용이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f the above embodiment, by providing a seating unit between the upper side of the piston body and the compression retainer and between the lower side and the tension retainer of the piston body, the assembly work between each component can be easily and quickly made in the correct position. .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쇽업소버의 피스톤 어셈블리를 나타낸 단면 개념도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쇽업소버의 피스톤 어셈블리를 나타낸 분해 단면 개념도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쇽업소버의 피스톤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주요부인 안착 유닛의 제1 안착 어셈블리에 대한 단면 개념도
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piston assembly of a shock absor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to 5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conceptual view showing the piston assembly of the shock absorber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6 to 9 are cross-sectional conceptual views of a first mounting assembly of a seating unit, which is a main part of the piston assembly of the shock absorber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쇽업소버의 피스톤 어셈블리를 나타낸 단면 개념도이다.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piston assembly of a shock absor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 몸체(100)와 압축 리테이너(200) 사이 및 피스톤 몸체(100)와 인장 리테이너(300) 사이에 안착 유닛(500)이 형성된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een that the seating unit 500 is formed between the piston body 100 and the compression retainer 200 and between the piston body 100 and the tension retainer 300 as shown.

피스톤 몸체(100)는 실린더(이하 미도시)를 왕복하는 피스톤 로드(400)가 중앙에 관통되고, 하단부는 입구가 되는 압축 유로(110)와 상단부는 입구가 되는 인장 유로(120)가 차례로 관통되는 패턴이 반복되는 것이다.The piston body 100 has a piston rod 400 for reciprocating a cylinder (hereinafter, not shown) through the center, and the compression passage 110 that is the inlet at the lower end and the tension passage 120 that is the inlet at the upper end pass in turn. The pattern is repeated.

여기서, 압축 유로(110) 및 인장 유로(120)의 입구는 압축 유로(110) 및 인장 유로(120)의 출구에 비하여 큰 단면적을 형성하고, 압축 유로(110) 및 인장 유로(120)는 항상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Here, the inlet of the compression passage 110 and the tension passage 120 forms a larger cross-sectional area than the outlet of the compression passage 110 and the tension passage 120, and the compression passage 110 and the tension passage 120 always Will remain open.

압축 리테이너(200)는 피스톤 몸체(100)의 상부에 안착되고 압축 유로(110)에 대응하는 연결홀(210)이 관통되는 것이다.The compression retainer 200 is mount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piston body 100 and penetrates through a connection hole 210 corresponding to the compression flow path 110.

인장 리테이너(300)는 피스톤 몸체(100)의 상부에 안착되고 인장 유로(120)에 대응하는 연결홀(320)이 관통되는 것이다.The tension retainer 300 is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piston body 100 and the connection hole 320 corresponding to the tension passage 120 penetrates.

안착 유닛(500)은 압축 리테이너(200)와 피스톤 몸체(100) 사이 및 피스톤 몸체(100)와 인장 리테이너(300) 사이에 각각 형성되어 피스톤 몸체(100)에 압축 리테이너(200) 및 인장 리테이너(300)의 결합 위치를 결정하는 역할을 하기 위한 것이다.The seating unit 500 is formed between the compression retainer 200 and the piston body 100, and between the piston body 100 and the tension retainer 300, respectively, and the compression retainer 200 and the tension retainer ( It is to serve to determine the binding position of 300).

따라서, 피스톤 몸체(100)의 상, 하부에 각각 압축 리테이너(200)와 인장 리테이너(300)를 결합시킴에 있어서, 압착 유닛(500)에 의하여 정확한 결합 위치가 안내되면서 신속하고 용이하게 조립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Therefore, in coupling the compression retainer 200 and the tension retainer 300 to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piston body 100, the assembly operation is quickly and easily guided by the crimping unit 500 to guide the correct coupling position. Could be don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시예의 적용이 가능하며, 다음과 같은 다양한 실시예의 적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안착 유닛(5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피스톤 몸체(100)와 압축 리테이너(200) 사이 및 피스톤 몸체(100)와 인장 리테이너(300) 사이에 각각 형성된 것으로, 도 2와 같이 전체적으로 제1 안착 어셈블리(510)와 제2 안착 어셈블리(520)를 포함하는 구조임을 알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eating unit 500 is formed between the piston body 100 and the compression retainer 200, and between the piston body 100 and the tension retainer 300, respectively, as shown in FIG. 2. It can be seen that the structure including the 510 and the second seating assembly 520.

제1 안착 어셈블리(510)는 피스톤 로드(400)가 관통되게 피스톤 몸체(100)의 중앙에 형성된 제1 로드홀(101)의 가장자리와, 피스톤 로드(400)가 관통되게 압축 리테이너(200)의 중앙에 형성된 제2 로드홀(201)의 가장자리에 각각 형성되어 상호 대면되고, 압착 리테이너(200)가 정확한 위치에 피스톤 몸체(100) 상에 안착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The first seating assembly 510 has an edge of the first rod hole 101 formed in the center of the piston body 100 so that the piston rod 400 penetrates, and the compression retainer 200 so that the piston rod 400 penetrates. Formed at the edges of the second rod hole 201 formed in the center to face each other, the pressing retainer 200 serves to seat on the piston body 100 in the correct position.

제2 안착 어셈블리(520)는 제1 로드홀(101)의 가장자리와, 피스톤 로드(400)가 관통되게 인장 리테이너(300)의 중앙에 형성된 제3 로드홀(301)의 가장자리에 각각 형성되어 상호 대면되고, 피스톤 몸체(100)가 정확한 위치에 인장 리테이너(300)와 결합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The second seating assembly 520 is formed at the edge of the first rod hole 101 and at the edge of the third rod hole 301 formed at the center of the tension retainer 300 so that the piston rod 400 can pass therethrough. To face the piston body 100 to engage the tension retainer 300 in the correct position.

제1 안착 어셈블리(510)는 구체적으로, 제1 돌편(511)이 제1 링홈(512) 상에 돌출된 제1 보조돌편(513) 사이에 안착되는 구조임을 알 수 있다.Specifically, the first seating assembly 510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first protrusion piece 511 is seated between the first auxiliary protrusion pieces 513 protruding from the first ring groove 512.

제1 돌편(511)은 제1 로드홀(101)의 가장자리로부터 압축 리테이너(200)측을 향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 돌출된 것이다.At least one first protrusion 511 protrudes from the edge of the first rod hole 101 toward the compression retainer 200.

제1 링홈(512)은 제2 로드홀(201)의 가장자리를 따라 제1 돌편(511)이 수용되게 함몰된 것이다.The first ring groove 512 is recessed to accommodate the first protrusion 511 along the edge of the second rod hole 201.

제1 보조돌편(513)은 제1 돌편(511) 양단부의 거리에 대응되게 제1 링홈(512)의 형성 방향을 따라 피스톤 몸체(100)측을 향하여 복수로 돌출된 것이다.The first auxiliary protrusion piece 513 protrudes plurally toward the piston body 100 side along the forming direction of the first ring groove 512 to correspond to the distance between both ends of the first protrusion piece 511.

따라서, 작업자 또는 조립 장치는 피스톤 몸체(100) 상에 압축 리테이너(200)를 거치하면, 압축 리테이너(200)의 자중에 의하여 제1 돌편(511)이 제1 보조돌편(513) 사이를 찾아 들어가게 되면서 안착이 이루어지게 될 것이다.Therefore, when the operator or assembly device mounts the compression retainer 200 on the piston body 100, the first protrusion piece 511 is located between the first auxiliary protrusion pieces 513 by the weight of the compression retainer 200. As soon as it is settled.

또한, 제2 안착 어셈블리(520)는 구체적으로, 제2 돌편(521)이 제2 링홈(522) 상에 돌출된 제2 보조돌편(523) 사이에 결합되는 구조임을 알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seating assembly 520 may be specifically, a structure in which the second protrusion piece 521 is coupled between the second auxiliary protrusion pieces 523 protruding on the second ring groove 522.

제2 돌편(521)은 제1 로드홀(101)의 가장자리로부터 인장 리테이너(300)측을 향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 돌출된 것이다.At least one second protrusion 521 protrudes from the edge of the first rod hole 101 toward the tension retainer 300.

제2 링홈(522)은 제3 로드홀(301)의 가장자리를 따라 제2 돌편(521)이 수용되게 함몰된 것이다.The second ring groove 522 is recessed to accommodate the second protrusion 521 along the edge of the third rod hole 301.

제2 보조돌편(523)은 제2 돌편(521) 양단부의 거리에 대응되게 제2 링홈(522)의 형성 방향을 따라 피스톤 몸체(100)측을 향하여 복수로 돌출된 것이다.The second auxiliary protrusion piece 523 protrudes plurally toward the piston body 100 side along the forming direction of the second ring groove 522 so as to correspond to the distance between both ends of the second protrusion piece 521.

따라서, 작업자 또는 조립 장치는 인장 리테이너(300)를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하고, 피스톤 몸체(100)를 인장 리테이너(300) 상에 탑재하면, 피스톤 몸체(100)의 자중에 의하여 제2 돌편(521)이 제2 보조돌편(523) 사이를 찾아 들어가게 되면서 결합이 이루어지게 될 것이다.Therefore, when the operator or the assembly apparatus mounts the tension retainer 300 as shown and mounts the piston body 100 on the tension retainer 300, the second protrusion 521 may be caused by the weight of the piston body 100. ) Will find a combination between the second auxiliary stone piece 523 will be made.

피스톤 로드에 인장 리테이너(300)와 피스톤 몸체(100) 및 압축 리테이너(200)의 순 또는 역순으로 끼우면 각 부품 사이의 정확한 위치가 결정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If the piston rod is inserted in the order of the tension retainer 300 and the piston body 100 and the compression retainer 200 in the reverse order or of course, the exact position between the components may be determined.

한편, 제1 안착 어셈블리(530)는 도 3과 같이 제1 로드홀(101)의 가장자리로부터 압축 리테이너(200)측을 향하여 등간격으로 돌출된 복수의 제1 돌편(531)이 제2 로드홀(201)의 가장자리를 따라 함몰된 제1 링홈(532)에 결합되어지되, 제1 돌편(531) 각각은 제1 돌편(531) 양단부의 거리에 대응되게 제1 링홈(532)의 형성 방향을 따라 피스톤 몸체(100)측을 향하여 돌출된 복수의 제1 보조돌편(533) 사이에 배치되도록 할 수도 있다.Meanwhile, as shown in FIG. 3, the first seating assembly 530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protrusion pieces 531 protruding at equal intervals from the edge of the first rod hole 101 toward the compression retainer 200 side. The first ring groove 532 is coupled to the first ring groove 532 recessed along the edge of the 201, each of the first projection piece 531 is formed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ring groove 532 corresponding to the distance between both ends of the first projection piece (531) Accordingly, it may be arranged between the plurality of first auxiliary protrusion pieces 533 protruding toward the piston body 100 side.

여기서, 제2 안착 어셈블리(540)는 제1 로드홀(101)의 가장자리로부터 인장 리테이너(300)측을 향하여 등간격으로 돌출된 복수의 제2 돌편(541)이 제3 로드홀(301)의 가장자리를 따라 제2 돌편(541)이 수용되게 함몰된 제2 링홈(542)에 결합되어지되, 제2 돌편(541) 각각은 제2 돌편(541) 양단부의 거리에 대응되게 제2 링홈(542)의 형성 방향을 따라 피스톤 몸체(100)측을 향하여 돌출된 복수의 제2 보조돌편(543) 사이에 배치되도록 할 수도 있다.Here, the second seating assembly 540 includes a plurality of second protrusions 541 protruding at equal intervals from the edge of the first rod hole 101 toward the tension retainer 300 side of the third rod hole 301. The second ring groove 542 is coupled to the second ring groove 542 recessed to accommodate the second stone piece 541 along the edge, each of the second ring piece 541 correspon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both ends of the second stone piece 541. ) May be arranged between the plurality of second auxiliary protrusion pieces 543 protruding toward the piston body 100 side along the forming direction.

한편, 제1 안착 어셈블리(550)는 도 4와 같이 제1 로드홀(101)의 가장자리를 따라 함몰된 제1 링홈(551)의 형성 방향을 따라 압축 리테이너(200)측을 향하여 등간격으로 돌출된 복수의 제1 보조돌편(552) 중 이웃한 제1 보조돌편(552) 사이에 제1 돌편(553)이 결합되는 실시예의 적용도 가능하다.Meanwhile, the first seating assembly 550 protrudes at an equal interval toward the compression retainer 200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ring groove 551 is recessed along the edge of the first rod hole 101 as shown in FIG. 4. Application of the embodiment in which the first protrusion 553 is coupled between the adjacent first auxiliary protrusion 552 among the plurality of first auxiliary protrusions 552 is possible.

제1 돌편(553)은 복수의 제1 보조돌편(552) 중 이웃한 제1 보조돌편(552) 사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2 로드홀(201)의 가장자리로부터 피스톤 몸체(100)측을 향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 돌출되고, 제1 링홈(551)에 수용되는 것이다.The first protrusion 553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adjacent first auxiliary protrusion 552 of the plurality of first auxiliary protrusions 552 to the piston body 100 from the edge of the second rod hole 201 At least one projecting toward the one, and is accommodated in the first ring groove 551.

여기서, 제2 안착 어셈블리(560)는 제1 로드홀(101)의 가장자리를 따라 함몰된 제2 링홈(561)의 형성 방향을 따라 인장 리테이너(300)측을 향하여 등간격으로 돌출된 복수의 제2 보조돌편(562) 중 이웃한 제2 보조돌편(562) 사이에 제2 돌편(563)이 결합되는 실시예의 적용 또한 가능하다.Here, the second seating assembly 560 may include a plurality of agents protruding at equal intervals toward the tension retainer 300 along the forming direction of the second ring groove 561 recessed along the edge of the first rod hole 101. Application of the embodiment in which the second protrusion 563 is coupled between the adjacent second auxiliary protrusion 562 of the second auxiliary protrusion 562 is also possible.

제2 돌편(563)은 복수의 제2 보조돌편(562) 중 이웃한 제2 보조돌편(562) 사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3 로드홀(301)의 가장자리로부터 피스톤 몸체(100)측을 향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 돌출되고, 제2 링홈(561)에 수용되는 것이다.The second protrusion piece 563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between the adjacent second auxiliary protrusion pieces 562 among the plurality of second auxiliary protrusion pieces 562, so that the piston body 100 is located from the edge of the third rod hole 301. At least one protrudes toward the one, and is accommodated in the second ring groove 561.

한편, 제1 안착 어셈블리(570)는 도 5와 같이 제1 로드홀(101)의 가장자리를 따라 함몰된 제1 링홈(571)과, 제1 링홈(571)의 형성 방향을 따라 압축 리테이너(200)측을 향하여 등간격으로 돌출된 복수의 제1 보조돌편(572)을 포함한다.Meanwhile, as shown in FIG. 5, the first seating assembly 570 includes a first ring groove 571 recessed along an edge of the first rod hole 101 and a compression retainer 200 along the forming direction of the first ring groove 571. It comprises a plurality of first auxiliary piece 572 protruding at equal intervals toward the side.

제1 안착 어셈블리(570)는 제1 보조돌편(572)과 이웃한 제1 보조돌편(572) 사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2 로드홀(201)의 가장자리로부터 피스톤 몸체(100)측을 향하여 등간격으로 돌출되고, 제1 링홈(571)에 수용되는 복수의 제1 돌편(573) 또한 포함한다.The first seating assembly 570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between the first auxiliary protrusion piece 572 and the neighboring first auxiliary protrusion piece 572, so that the piston body 100 side is removed from the edge of the second rod hole 201. It also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projections 573 protruding at equal intervals toward and received in the first ring groove 571.

여기서, 제2 안착 어셈블리(580)는 제1 로드홀(101)의 가장자리를 따라 함몰된 제2 링홈(581)과, 제2 링홈(581)의 형성 방향을 따라 인장 리테이너(300)측을 향하여 등간격으로 돌출된 복수의 제2 보조돌편(582)을 포함한다.Here, the second mounting assembly 580 is directed toward the tension retainer 300 along the forming direction of the second ring groove 581 and the second ring groove 581 recessed along the edge of the first rod hole 101. And a plurality of second auxiliary piece pieces 582 protruding at equal intervals.

제2 안착 어셈블리(580)는 제2 보조돌편(582)과 이웃한 제2 보조돌편(582) 사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3 로드홀(301)의 가장자리로부터 피스톤 몸체(100)측을 향하여 등간격으로 돌출되고, 제2 링홈(581)에 수용되는 복수의 제2 돌편(583) 또한 포함한다.The second seating assembly 580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between the second auxiliary protrusion piece 582 and the neighboring second auxiliary protrusion piece 582 so that the piston body 100 side from the edge of the third rod hole 301 can be removed. It also includes a plurality of second projections 583 which project at equal intervals toward and accommodated in the second ring groove 581.

한편,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외에도 도 6 내지 도 9와 같이 다양한 구조의 안착 유닛(500)을 적용할 수 있으며, 제1 안착 어셈블리(590)를 위주로 살펴보고자 한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the seating unit 500 of a variety of structures as shown in Figures 6 to 9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first seating assembly (590).

참고로, 제2 안착 어셈블리는 제1 안착 어셈블리(590)와 상하 대칭 구조인 바, 편의상 도면 표시와 설명은 생략키로 한다.For reference, the second seating assembly has a vertically symmetrical structure with respect to the first seating assembly 590, and for the sake of convenience, the drawing an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그리고, 도 6 내지 도 9에서 이점 쇄선으로 표시된 타원 부분(도 1의 A 부분을 확대한 것)의 하측에 다양한 형상의 실선으로 나타낸 부분은 제1 안착 어셈블리(590)의 형성 패턴을 평면상에 펼쳐서 도시한 것이다.6 to 9, the portion of the ellipse portion (shown in FIG. 1 as enlarged in FIG. 1) represented by the solid line of various shapes shows the pattern of forming the first seating assembly 590 on a plane. It is shown unfolded.

우선, 제1 안착 어셈블리는(590)는 도 6과 같이 제2 로드홀(201)의 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등간격으로 둥글게 돌출된 복수의 제1 돌편(591) 사이에 둥글게 함몰된 복수의 제1 홈(591')이 반복된 패턴을 형성하되, 제1 돌편(591) 각각은 제1 로드홀(101)의 상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등간격으로 둥글게 돌출된 복수의 제2 돌편(592) 사이에 둥글게 함몰된 복수의 제2 홈(592')에 맞물리는 실시예를 적용할 수 있다.First, the first seating assembly 590 may include a plurality of first recessed recesses between a plurality of first protrusions 591 protruding at equal intervals along the end edge of the second rod hole 201 as shown in FIG. 6. The grooves 591 ′ form a repeated pattern, wherein each of the first protrusions 591 is rounded between the plurality of second protrusions 592 protruding at equal intervals along the upper edge of the first rod hole 101. Embodiments that engage a plurality of recessed second grooves 592 ′ may be applied.

그리고, 제1 안착 어셈블리(590)는 도 7과 같이 제2 로드홀(201)의 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일방향으로 치우치게 돌출된 삼각 형상인 복수의 제1 돌편(593)에 대응되게 제1 로드홀(101)의 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복수의 제2 돌편(594)이 상호 톱니와 같이 맞물리는 실시예를 적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mounting assembly 590 corresponds to the first rod hole 593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first protrusion pieces 593 in a triangular shape protruding in one direction along the end edge of the second rod hole 201 as shown in FIG. 7. Embodiments in which a plurality of second protruding pieces 594 formed along the end edge of 101 are engaged with each other like teeth are applicable.

그리고, 제1 안착 어셈블리(590)는 도 8과 같이 제2 로드홀(201)의 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이등변 삼각 형상으로 돌출된 복수의 제1 돌편(595)에 대응되게 제1 로드홀(101)의 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복수의 제2 돌편(596)이 상호 톱니와 같이 맞물리는 실시예를 적용할 수도 있다.The first mounting assembly 590 may correspond to the plurality of first protrusions 595 protruding in an isosceles triangular shape along the end edge of the second rod hole 201 as shown in FIG. 8. Embodiments in which a plurality of second protrusions 596 formed along the end edges of the interlocking teeth like to each other may be applied.

또한, 제1 안착 어셈블리(590)는 도 9와 같이 제2 로드홀(201)의 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두 꼭지점 부분이 라운드진 사각 형상으로 돌출된 복수의 제1 돌편(597)에 대응되게 제1 로드홀(101)의 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복수의 제2 돌편(598)이 상호 톱니와 같이 맞물리는 실시예를 적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9, the first seating assembly 590 corresponds to a plurality of first protrusions 597 in which two vertex portions protrude in a rounded square shape along an end edge of the second rod hole 201. It is a matter of course that an embodiment in which the plurality of second protrusions 598 formed along the end edge of the rod hole 101 are engaged with each other like teeth is of course applied.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쇽업소버의 피스톤 어셈블리를 조립함에 있어서, 각 부품 간의 조립 작업이 정확한 위치에 용이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쇽업소버의 피스톤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in assembling the piston assembly of the shock absorber, it is understood that the basic technical idea is to provide the piston assembly of the shock absorber so that the assembling work between the components can be easily and quickly performed at the correct position. Can be.

그리고,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해 업계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 및 응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many other modifications and applic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basic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100...피스톤 몸체 200...압축 리테이너
300...인장 리테이너 400...피스톤 로드
500...안착 유닛
100 ... piston body 200 ... compression retainer
300 ... tension retainer 400 ... piston rod
500 ... sitting unit

Claims (10)

실린더를 왕복하는 피스톤 로드(400)가 중앙에 관통되고, 하단부는 입구가 되는 압축 유로(110)와 상단부는 입구가 되는 인장 유로(120)가 차례로 관통되는 패턴이 반복되며, 상기 압축 유로(110) 및 상기 인장 유로(120)의 입구는 상기 압축 유로(110) 및 상기 인장 유로(120)의 출구에 비하여 큰 단면적을 형성하고, 상기 압축 유로(110) 및 상기 인장 유로(120)는 항상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는 피스톤 몸체(100);
상기 피스톤 몸체(100)의 상부에 안착되고 상기 압축 유로(110)에 대응하는 연결홀(210)이 관통되는 압축 리테이너(200);
상기 피스톤 몸체(100)의 하부에 안착되고 상기 인장 유로(120)에 대응하는 연결홀(210)이 관통되는 인장 리테이너(300); 및
상기 압축 리테이너(200)와 상기 피스톤 몸체(100) 사이 및 상기 피스톤 몸체(100)와 상기 인장 리테이너(300) 사이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피스톤 몸체(100)에 상기 압축 리테이너(200) 및 상기 인장 리테이너(300)의 결합 위치를 결정하는 안착 유닛(500);을 포함하며,
상기 안착 유닛(500)은,
상기 피스톤 로드(400)가 관통되게 상기 피스톤 몸체(100)의 중앙에 형성된 제1 로드홀(101)의 가장자리를 따라 함몰된 제1 링홈(512)과,
상기 제1 링홈(512)의 형성 방향을 따라 상기 압축 리테이너(200)측을 향하여 등간격으로 돌출된 복수의 제1 보조돌편(51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쇽업소버의 피스톤 어셈블리.
The piston rod 400 reciprocating through the cylinder penetrates in the center, the lower end of the compression passage 110 is an inlet and the upper end is a pattern that passes through the tension passage 120 is an inlet is repeated, the compression passage 110 ) And the inlet of the tension channel 120 form a larger cross-sectional area than the compression channel 110 and the outlet of the tension channel 120, and the compression channel 110 and the tension channel 120 are always open. Piston body 100 to maintain the state;
A compression retainer 200 mount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piston body 100 and passing through a connection hole 210 corresponding to the compression flow path 110;
A tension retainer 300 seat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piston body 100 and having a connection hole 210 corresponding to the tension passage 120 therethrough; And
It is formed between the compression retainer 200 and the piston body 100 and between the piston body 100 and the tension retainer 300, respectively, the compression retainer 200 and the tension retainer on the piston body 100. Includes; seating unit 500 for determining the coupling position of the 300;
The seating unit 500,
A first ring groove 512 recessed along an edge of the first rod hole 101 formed at the center of the piston body 100 to allow the piston rod 400 to pass therethrough;
And a plurality of first auxiliary protrusions (513) protruding at equal intervals toward the compression retainer (200) side along the formation direction of the first ring groove (5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착 유닛(500)은,
상기 피스톤 로드(400)가 관통되게 상기 피스톤 몸체(100)의 중앙에 형성된 제1 로드홀(101)의 가장자리와, 상기 피스톤 로드(400)가 관통되게 상기 압축 리테이너(200)의 중앙에 형성된 제2 로드홀(201)의 가장자리에 각각 형성되어 상호 대면되는 제1 안착 어셈블리(510)와,
상기 제1 로드홀(101)의 가장자리와, 상기 피스톤 로드(400)가 관통되게 상기 인장 리테이너(300)의 중앙에 형성된 제3 로드홀(301)의 가장자리에 각각 형성되어 상호 대면되는 제2 안착 어셈블리(52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쇽업소버의 피스톤 어셈블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ating unit 500,
An edge of the first rod hole 101 formed in the center of the piston body 100 so that the piston rod 400 penetrates, and an agent formed in the center of the compression retainer 200 so that the piston rod 400 penetrates. A first seating assembly 510 formed at an edge of the second rod hole 201 and facing each other;
Second seatings formed on the edges of the first rod hole 101 and the edges of the third rod hole 301 formed at the center of the tension retainer 300 so that the piston rod 400 penetrates and face each other. The piston assembly of the shock absorber,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assembly (52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안착 어셈블리(510)는,
상기 제1 로드홀(101)의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압축 리테이너(200)측을 향하여 돌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돌편(511)과,
상기 피스톤 로드(400)가 관통되게 상기 압축 리테이너(200)의 중앙에 형성된 제2 로드홀(201)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제1 돌편(511)이 수용되게 함몰된 제1 링홈(512)과,
상기 제1 돌편(511) 양단부의 거리에 대응되게 상기 제1 링홈(512)의 형성 방향을 따라 상기 피스톤 몸체(100)측을 향하여 돌출된 복수의 제1 보조돌편(51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쇽업소버의 피스톤 어셈블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seating assembly 510 is,
At least one first protrusion 511 protruding from an edge of the first rod hole 101 toward the compression retainer 200 side;
A first ring groove 512 recessed to accommodate the first protrusion 511 along an edge of the second rod hole 201 formed in the center of the compression retainer 200 so that the piston rod 400 penetrates;
And a plurality of first auxiliary pieces 513 protruding toward the piston body 100 in a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ring grooves 512 ar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distances of both ends of the first pieces 511. The piston assembly of the shock absorber.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 안착 어셈블리(520)는,
상기 제1 로드홀(101)의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인장 리테이너(300)측을 향하여 돌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돌편(521)과,
상기 제3 로드홀(301)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제2 돌편(521)이 수용되게 함몰된 제2 링홈(522)과,
상기 제2 돌편(521) 양단부의 거리에 대응되게 상기 제2 링홈(522)의 형성 방향을 따라 상기 피스톤 몸체(100)측을 향하여 돌출된 복수의 제2 보조돌편(52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쇽업소버의 피스톤 어셈블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second seating assembly 520 is,
At least one second protrusion 521 protruding from the edge of the first rod hole 101 toward the tension retainer 300 side;
A second ring groove 522 recessed to accommodate the second protrusion 521 along an edge of the third rod hole 301,
And a plurality of second auxiliary protrusion pieces 523 protruding toward the piston body 100 sid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ring groove 522 is formed to correspond to distances of both ends of the second protrusion pieces 521. The piston assembly of the shock absorb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안착 어셈블리(510)는,
상기 제1 로드홀(101)의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압축 리테이너(200)측을 향하여 등간격으로 돌출된 복수의 제1 돌편(511)과,
상기 피스톤 로드(400)가 관통되게 상기 압축 리테이너(200)의 중앙에 형성된 제2 로드홀(201)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제1 돌편(511)이 수용되게 함몰된 제1 링홈(512)과,
상기 제1 돌편(511) 양단부의 거리에 대응되게 상기 제1 링홈(512)의 형성 방향을 따라 상기 피스톤 몸체(100)측을 향하여 돌출된 복수의 제1 보조돌편(51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쇽업소버의 피스톤 어셈블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seating assembly 510 is,
A plurality of first protrusions 511 protruding at equal intervals from the edge of the first rod hole 101 toward the compression retainer 200 side;
A first ring groove 512 recessed to accommodate the first protrusion 511 along an edge of the second rod hole 201 formed in the center of the compression retainer 200 so that the piston rod 400 penetrates;
And a plurality of first auxiliary pieces 513 protruding toward the piston body 100 in a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ring grooves 512 ar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distances of both ends of the first pieces 511. The piston assembly of the shock absorber.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 안착 어셈블리(520)는,
상기 제1 로드홀(101)의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인장 리테이너(300)측을 향하여 등간격으로 돌출된 복수의 제2 돌편(521)과,
상기 제3 로드홀(301)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제2 돌편(521)이 수용되게 함몰된 제2 링홈(522)과,
상기 제2 돌편(521) 양단부의 거리에 대응되게 상기 제2 링홈(522)의 형성 방향을 따라 상기 피스톤 몸체(100)측을 향하여 돌출된 복수의 제2 보조돌편(52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쇽업소버의 피스톤 어셈블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second seating assembly 520 is,
A plurality of second protrusion pieces 521 protruding at equal intervals from the edge of the first rod hole 101 toward the tension retainer 300 side;
A second ring groove 522 recessed to accommodate the second protrusion 521 along an edge of the third rod hole 301,
And a plurality of second auxiliary protrusion pieces 523 protruding toward the piston body 100 sid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ring groove 522 is formed to correspond to distances of both ends of the second protrusion pieces 521. The piston assembly of the shock absorb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착 유닛(500)은,
상기 복수의 제1 보조돌편(513) 중 이웃한 제1 보조돌편(513) 사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피스톤 로드(400)가 관통되게 상기 압축 리테이너(200)의 중앙에 형성된 제2 로드홀(201)의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피스톤 몸체(100)측을 향하여 돌출되고 상기 제1 링홈(512)에 수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돌편(511)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쇽업소버의 피스톤 어셈블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ating unit 500,
The second rod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between the adjacent first auxiliary piece 513 of the plurality of first auxiliary piece 513 and formed in the center of the compression retainer 200 to penetrate the piston rod 400 The piston assembly of the shock absorber further comprises at least one first protrusion 511 protruding from the edge of the hole 201 toward the piston body 100 and received in the first ring groove 512.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 안착 어셈블리(520)는,
상기 제1 로드홀(101)의 가장자리를 따라 함몰된 제2 링홈(522)과,
상기 제2 링홈(522)의 형성 방향을 따라 상기 인장 리테이너(300)측을 향하여 등간격으로 돌출된 복수의 제2 보조돌편(523)과,
상기 복수의 제2 보조돌편(523) 중 이웃한 제2 보조돌편(523) 사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3 로드홀(301)의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피스톤 몸체(100)측을 향하여 돌출되고 상기 제2 링홈(522)에 수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돌편(52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쇽업소버의 피스톤 어셈블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second seating assembly 520 is,
A second ring groove 522 recessed along an edge of the first rod hole 101,
A plurality of second auxiliary protrusion pieces 523 protruding at equal intervals toward the tension retainer 300 side along the forming direction of the second ring groove 522,
It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between the adjacent second auxiliary piece 523 of the plurality of second auxiliary piece 523 is projected toward the piston body 100 side from the edge of the third rod hole 301 And at least one second projection (521) received in the second ring groove (52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착 유닛(500)은,
상기 제1 보조돌편(513)과 이웃한 제1 보조돌편(513) 사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피스톤 로드(400)가 관통되게 상기 압축 리테이너(200)의 중앙에 형성된 제2 로드홀(201)의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피스톤 몸체(100)측을 향하여 등간격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1 링홈(512)에 수용되는 복수의 제1 돌편(511)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쇽업소버의 피스톤 어셈블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ating unit 500,
A second rod hol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pace between the first auxiliary stone piece 513 and the adjacent first auxiliary stone piece 513 and formed at the center of the compression retainer 200 to allow the piston rod 400 to pass therethrough; The piston assembly of the shock absorber further comprises a plurality of first protrusions 511 projecting at equal intervals from the edge of the piston 201 toward the piston body 100 side and received in the first ring groove 512.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 안착 어셈블리(520)는,
상기 제1 로드홀(101)의 가장자리를 따라 함몰된 제2 링홈(522)과,
상기 제2 링홈(522)의 형성 방향을 따라 상기 인장 리테이너(300)측을 향하여 등간격으로 돌출된 복수의 제2 보조돌편(523)과,
상기 제2 보조돌편(523)과 이웃한 제2 보조돌편(523) 사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3 로드홀(301)의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피스톤 몸체(100)측을 향하여 등간격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2 링홈(522)에 수용되는 복수의 제2 돌편(52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쇽업소버의 피스톤 어셈블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second seating assembly 520 is,
A second ring groove 522 recessed along an edge of the first rod hole 101,
A plurality of second auxiliary protrusion pieces 523 protruding at equal intervals toward the tension retainer 300 side along the forming direction of the second ring groove 522,
It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auxiliary stone piece 523 and the adjacent second auxiliary stone piece 523 protrudes at an equal interval toward the piston body 100 side from the edge of the third rod hole 301. And a plurality of second protrusions (521) received in the second ring groove (522).
KR1020110147538A 2011-12-30 2011-12-30 Piston assembly of shock absorber KR101374875B1 (en)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7538A KR101374875B1 (en) 2011-12-30 2011-12-30 Piston assembly of shock absorber
DE102012025574A DE102012025574A1 (en) 2011-12-30 2012-12-21 PISTON ARRANGEMENT OF A SHOCK ABSORBER
CN2012105797232A CN103185101A (en) 2011-12-30 2012-12-27 Piston assembly of shock absorber
US13/729,686 US9074650B2 (en) 2011-12-30 2012-12-28 Piston assembly of shock absorb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7538A KR101374875B1 (en) 2011-12-30 2011-12-30 Piston assembly of shock absorb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8535A KR20130078535A (en) 2013-07-10
KR101374875B1 true KR101374875B1 (en) 2014-03-18

Family

ID=486079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7538A KR101374875B1 (en) 2011-12-30 2011-12-30 Piston assembly of shock absorber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074650B2 (en)
KR (1) KR101374875B1 (en)
CN (1) CN103185101A (en)
DE (1) DE102012025574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57580B2 (en) 2009-01-07 2014-10-14 Fox Factory, Inc. Remotely operated bypass for a suspension damper
US20100170760A1 (en) 2009-01-07 2010-07-08 John Marking Remotely Operated Bypass for a Suspension Damper
US9033122B2 (en) 2009-01-07 2015-05-19 Fox Factor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n adjustable damper
US11306798B2 (en) 2008-05-09 2022-04-19 Fox Factory, Inc. Position sensitive suspension damping with an active valve
US9452654B2 (en) 2009-01-07 2016-09-27 Fox Factor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n adjustable damper
US8627932B2 (en) 2009-01-07 2014-01-14 Fox Factory, Inc. Bypass for a suspension damper
US10047817B2 (en) 2009-01-07 2018-08-14 Fox Factor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n adjustable damper
US10060499B2 (en) 2009-01-07 2018-08-28 Fox Factor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n adjustable damper
US8393446B2 (en) 2008-08-25 2013-03-12 David M Haugen Methods and apparatus for suspension lock out and signal generation
US9422018B2 (en) 2008-11-25 2016-08-23 Fox Factory, Inc. Seat post
US9140325B2 (en) 2009-03-19 2015-09-22 Fox Factory,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selective spring pre-load adjustment
US10036443B2 (en) 2009-03-19 2018-07-31 Fox Factory,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suspension adjustment
US10821795B2 (en) 2009-01-07 2020-11-03 Fox Factor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n adjustable damper
US9038791B2 (en) 2009-01-07 2015-05-26 Fox Factory, Inc. Compression isolator for a suspension damper
US11299233B2 (en) 2009-01-07 2022-04-12 Fox Factor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n adjustable damper
US8936139B2 (en) 2009-03-19 2015-01-20 Fox Factory,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suspension adjustment
US8672106B2 (en) 2009-10-13 2014-03-18 Fox Factory, Inc. Self-regulating suspension
EP2312180B1 (en) 2009-10-13 2019-09-18 Fox Factory, Inc. Apparatus for controlling a fluid damper
US10697514B2 (en) 2010-01-20 2020-06-30 Fox Factory, Inc. Remotely operated bypass for a suspension damper
EP2402239B1 (en) 2010-07-02 2020-09-02 Fox Factory, Inc. Adjustable seat post
EP3636953B1 (en) 2011-05-31 2023-09-27 Fox Factory, Inc. Apparatus for position sensitive and/or adjustable suspension damping
EP2567839B1 (en) 2011-09-12 2019-03-13 Fox Factory,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suspension set up
US11279199B2 (en) 2012-01-25 2022-03-22 Fox Factory, Inc. Suspension damper with by-pass valves
JP5785510B2 (en) * 2012-03-14 2015-09-30 カヤバ工業株式会社 Buffer valve structure
US10330171B2 (en) 2012-05-10 2019-06-25 Fox Factor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n adjustable damper
WO2016121593A1 (en) * 2015-01-30 2016-08-04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Fluidic damper
US10737546B2 (en) 2016-04-08 2020-08-11 Fox Factory, Inc. Electronic compression and rebound control
US11788621B2 (en) 2021-11-10 2023-10-17 American Axle & Manufacturing, Inc. Piston assembly formed of interlocking piston member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61268A (en) * 1995-03-24 1996-10-08 Tokico Ltd Hydraulic shock absorber
KR20070073213A (en) * 2006-01-04 2007-07-10 주식회사 만도 Piston valve in shock absorber
KR20110001283A (en) * 2009-06-30 2011-01-06 주식회사 만도 Piston valve assembly of shock absorber
JP2011038626A (en) 2009-08-18 2011-02-24 Kyb Co Ltd Piston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110023A1 (en) * 1991-03-27 1992-10-01 Ringsdorff Werke Gmbh SHOCK ABSORBER PISTON FROM UNEQUAL, JOINTED PARTS
ES2051655T3 (en) * 1992-02-26 1995-01-01 Ringsdorff Sinter Gmbh MULTIPLE PIECE IMPACT SHOCK ABSORBER PISTON WITH ASSEMBLED ELEMENTS.
DE19847343A1 (en) * 1998-10-14 2000-04-20 Gkn Sinter Metals Holding Gmbh Piston for shock absorber comprises sealing element over circumferential protrusions, and radial opening connecting circumferential piston groove with at least one axial channel in piston body
DE19847341A1 (en) * 1998-10-14 2000-04-20 Gkn Sinter Metals Holding Gmbh Shock absorber piston has circumferential annular projections which carry a thermoplastic sealing collar
DE10013638C1 (en) * 2000-03-18 2001-09-20 Krupp Bilstein Gmbh Shock absorber piston, consisting of two piston halves
US6460664B1 (en) * 2000-05-22 2002-10-08 Tenneco Automotive Inc. Independently tunable variable bleed orifice
JP4352390B2 (en) * 2003-12-25 2009-10-2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Piston structure
DE102005046276B3 (en) * 2005-09-27 2007-06-14 Thyssenkrupp Bilstein Suspension Gmbh Damping valve device with progressive Dämpfkraftverlauf
JP2007198515A (en) * 2006-01-27 2007-08-09 Kayaba Ind Co Ltd Piston
JP2009014012A (en) * 2007-06-29 2009-01-22 Hitachi Ltd Shock absorber
US8083039B2 (en) * 2007-08-29 2011-12-27 Tenneco Automotive Operating Company, Inc. Disc spring intake
JP2009209960A (en) * 2008-02-29 2009-09-17 Hitachi Ltd Shock absorber
JP5290701B2 (en) * 2008-03-26 2013-09-18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Fluid pressure buffer
JP5115814B2 (en) * 2008-05-30 2013-01-09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Shock absorber
JP5518561B2 (en) * 2010-04-28 2014-06-11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Shock absorber
KR101288613B1 (en) * 2011-08-11 2013-07-22 주식회사 만도 Piston assembly of shock absorb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61268A (en) * 1995-03-24 1996-10-08 Tokico Ltd Hydraulic shock absorber
KR20070073213A (en) * 2006-01-04 2007-07-10 주식회사 만도 Piston valve in shock absorber
KR20110001283A (en) * 2009-06-30 2011-01-06 주식회사 만도 Piston valve assembly of shock absorber
JP2011038626A (en) 2009-08-18 2011-02-24 Kyb Co Ltd Pist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2025574A1 (en) 2013-07-04
CN103185101A (en) 2013-07-03
US9074650B2 (en) 2015-07-07
KR20130078535A (en) 2013-07-10
US20130168195A1 (en) 2013-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4875B1 (en) Piston assembly of shock absorber
JP5917540B2 (en) Refrigeration compressor intake valve and its mounting process
KR101288613B1 (en) Piston assembly of shock absorber
EP3330565B1 (en) Diaphragm damper device, holding member therefor, and production method for diaphragm damper device
CN209146204U (en) Damper with hydraulic cushion retainer
CN108779828B (en) Shock absorber with cushion valve
CN102112705A (en) Alignment device for use with a tappet
KR101895671B1 (en) Tensioner
KR20160123230A (en) Chain tensioner
CN101196202A (en) Damper fixing mechanism
US20150143705A1 (en) Power Tool, Saw Blade and Power Tool System
JP2019105270A (en) Two-piece type oil jet assembl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140113000A (en) Piston assembly of shock absorber
KR101670047B1 (en) A gas cylinder
KR102323479B1 (en) Electronically controlled internal damper
KR101744302B1 (en) Shock absorber
JP6353277B2 (en) Horizontal shock absorber
KR101798560B1 (en) Damper
KR101218836B1 (en) Valve structure of a shock absorber
KR102388444B1 (en) Hydraulic Damper for Micro Vibration Absorption
KR101699062B1 (en) Body valve assembly for shock absorber
KR101716694B1 (en) Piston for Shock-Absorber
KR101716831B1 (en) Piston valve assembly of shock absorber
KR101419731B1 (en) Double seal module of shock absorber
KR20150128455A (en) Damping force controlling shock absorb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