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4202B1 - 이종망 간의 핸드오버 수행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 장치 - Google Patents

이종망 간의 핸드오버 수행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4202B1
KR101374202B1 KR1020120054090A KR20120054090A KR101374202B1 KR 101374202 B1 KR101374202 B1 KR 101374202B1 KR 1020120054090 A KR1020120054090 A KR 1020120054090A KR 20120054090 A KR20120054090 A KR 20120054090A KR 101374202 B1 KR101374202 B1 KR 1013742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type base
message
ornl
hand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40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30351A (ko
Inventor
조수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1200540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4202B1/ko
Publication of KR201301303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03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42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42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34Reselection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이종망 간의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단말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 장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된 이종망 간의 핸드오버를 수행하기 위한 단말 장치는 상기 제1 타입 기지국으로부터 환경 설정 메시지(Quick Config Message)를 수신하기 위한 제1 타입 무선 통신 모듈; 상기 제2 타입 기지국과 통신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제2 타입 무선 통신 모듈; 및 상기 환경 설정 메시지로부터 상기 제1 타입 기지국의 ORNL(Other RAT Neighbor List) 메시지의 지원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를 기초로 상기 제2 타입 무선 통신 모듈의 BSR(Better System Reselection) 기능의 활성화 여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종망 간의 핸드오버 수행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 장치{User equipment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handover between inter RATs}
본 발명은 무선통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종망 간의 핸드오버 수행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 장치에 관한 것이다.
핸드오버란 통화 중 상태인 단말이 해당 기지국 서비스 지역(cell boundary)을 벗어나 인접 기지국 서비스 지역으로 이동할 때 단말이 인접 기지국의 새로운 통화 채널에 자동 동조되어 지속적으로 통화 상태가 유지되는 기능을 말한다. 통화 채널이 자동으로 바뀌는 동안의 통화 단절 시간이 약 15ms 이하로서, 이러한 짧은 시간 동안 기지국과 단말 간에는 메시지 교신을 수행하여 통화 중인 가입자는 순간 통화 두절 상태를 거의 감지하기 어렵다. 무선통신 기술의 발달로 단말의 수가 급증하며 서로 다른 무선통신 방식을 사용하는 이종망이 확대되고 있으며 이러한 이종 망 간 또는 미디어의 핸드오버 기술도 개발되고 실정이다.
핸드오버 방법에는 하드 핸드오버(hard handover, HHO)와 소프트 핸드오버(soft handover) 기법이 있고, 소프트 핸드오버 기법에는 매크로 다이버시티 핸드오버(Macro Diversity Handover, MDHO)와 고속 기지국 스위칭(Fast Base Station Switching, FBSS)의 기법이 있다. 그런데 소프트 핸드오버 기법은 오버헤드가 큰 문제점이 있어서, 하드 핸드오버 기법에 대한 기술이 많이 연구중이다.
무선 이동 통신 분야에서는 음성 통화뿐만 아니라 데이터 고속 송수신 측면에서 꾸준한 진화를 거듭하고 있으며 현재 4세대 이동 통신 기술 예를 들어, LTE(Long Term Evolution) 무선 통신 시스템이 주목 받고 있다. 그러나, 4세대 통신 망과 기존에 상용화된 3세대 통신 망이 혼재한 상황에서, 이동 통신 단말기 또는 이동 통신 데이터 카드는 4세대 이동 통신 기술뿐만 아니라, 기존에 상용화되어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3G 이동 통신 기술을 동시에 포함해야 한다. 따라서 다음 세대의 이동통신 기술과 기존 세대의 이동통신 기술을 동시에 지원하기 위하여, 듀얼 모뎀 프로세서를 지닌 이동 단말기나 데이터 카드 타입의 디바이스(이하, 듀얼 모드 단말)가 필요하게 된다.
듀얼 모드 단말은 통신 방식이 다른 2개의 모뎀을 탑재하여 각각을 이용한 무선통신을 지원하며, 이종의 통신망이 혼재된 지역에서 주로 사용된다. 듀얼 모드 단말의 대표적인 예로서, LTE(Long Term Evolution) 방식의 무선 통신과 eHRPD(enhanced High-Rate Packet Data) 방식의 무선 통신이 모두 이용 가능한 디바이스가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듀얼 모드로 동작중인 단말의 효율적인 핸드오버 기법에 대해서는 전혀 연구된 바가 없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단말이 이종망 간의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이종망 간의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단말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상기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된 이종망 간의 핸드오버 수행 방법은 제1 타입 기지국으로부터 환경 설정 메시지(Quick Config Message)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환경 설정 메시지로부터 상기 제2 타입 기지국으로 핸드오버를 수행하기 위한 ORNL(Other RAT Neighbor List) 메시지의 지원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를 기초로 상기 제2 타입 기지국으로 핸드오버를 수행하기 위한 BSR(Better System Reselection) 기능의 활성화 여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된 이종망 간의 핸드오버를 수행하기 위한 단말 장치는 상기 제1 타입 기지국으로부터 환경 설정 메시지(Quick Config Message)를 수신하기 위한 제1 타입 무선 통신 모듈; 상기 제2 타입 기지국과 통신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제2 타입 무선 통신 모듈; 및 상기 환경 설정 메시지로부터 상기 제1 타입 기지국의 ORNL(Other RAT Neighbor List) 메시지의 지원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를 기초로 상기 제2 타입 무선 통신 모듈의 BSR(Better System Reselection) 기능의 활성화 여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종망 간의 핸드오버 수행 방법은 ORNL 메시지 지원 여부에 따라 단말의 BSR 기능이 자동으로 On/Off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ORNL 메시지가 지원되는 경우 BSR 기능을 Off 함으로써, 불필요한 주파수 대역 스캔의 노고를 줄여 단말 장치의 배터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반대로, ORNL 메시지가 지원되지 않는 경우, BSR 기능을 On 시켜, 3G 망에서 상위 망인 4G 망으로 핸드오버 할 수 있는 방안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은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E-UMTS의 네트워크 구조를 개념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E-UTRAN(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의 네트워크 구조를 개념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3GPP 무선 접속망 규격을 기반으로 한 단말과 E-UTRAN 사이의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Radio Interface Protocol)의 제어평면(Control Plane) 및 사용자평면(U-Plane, User-Plane)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이종망간 핸드오버가 진행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의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8은 제2 타입 통신 모듈이 BSR에 따라 동작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9는 도 6에 도시된 제2 타입 기지국에 대한 핸드오버 적합성의 판단 단계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구체적 세부사항을 포함한다. 그러나, 당업자는 본 발명이 이러한 구체적 세부사항 없이도 실시될 수 있음을 인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이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6 시스템,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인 경우를 가정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나, IEEE 802.16 시스템, 3GPP의 특유한 사항을 제외하고는 다른 임의의 이동통신 시스템에도 적용 가능하다.
몇몇 경우, 본 발명의 개념이 모호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공지의 구조 및 장치는 생략되거나, 각 구조 및 장치의 핵심기능을 중심으로 한 블록도 형식으로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 전체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아울러,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단말은 UE(User Equipment), MS(Mobile Station), AMS(Advanced Mobile Station) 등 이동 또는 고정형의 사용자단 기기를 통칭하는 것을 가정한다. 또한, 기지국은 Node B, eNode B, BS(Base Station), AP(Access Point) 등 단말과 통신하는 네트워크 단의 임의의 노드를 통칭하는 것을 가정한다.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하향링크(Downlink)를 통해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단말은 또한 상향링크(Uplink)를 통해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단말이 전송 또는 수신하는 정보로는 데이터 및 다양한 제어 정보가 있으며, 단말이 전송 또는 수신하는 정보의 종류 용도에 따라 다양한 물리 채널이 존재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기술 분야인 E-UMTS(Evolved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및 이와 관련된 기술적 특징들을 살펴본다.
도 1은 E-UMTS의 네트워크 구조를 개념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특히 E-UMTS 시스템은 기존 WCDMA UMTS 시스템에서 진화한 시스템으로 현재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서 기초적인 표준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E-UMTS는 LTE(Long Term Evolution) 시스템이라 불리기도 한다. UMTS 및 E-UMTS의 기술 규격(technical specification)의 상세한 내용은 각각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Technical Specification Group Radio Access Network"의 Release 7과 Release 8을 참조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E-UMTS는 크게 단말(User Equipment, UE)과 셀(eNB), 네트워크(E-UTRAN)의 종단에 위치하여 외부 네트워크와 연결되는 접속 게이트웨이(Access Gateway, 이하 AG)로 구성된다. 통상적으로 eNB는 브로드캐스트 서비스, 멀티캐스트 서비스 및/또는 유니캐스트 서비스를 위해 다중 데이터 스트림을 동시 송신할 수 있다. eNB 간에는 사용자 트래픽 또는 제어 트래픽 전송을 위한 인터페이스가 사용될 수 있다.
AG는 사용자 트래픽 처리를 담당하는 부분과 제어용 트래픽을 처리하는 부분으로 나누어질 수도 있다. 이때, 새로운 사용자 트래픽 처리를 위한 AG와 제어용 트래픽을 처리하는 AG 사이에 새로운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서로 통신할 수 있다. 또한 AG는 TA(Tracking Area) 단위로 단말의 이동성을 관리하며, 상기 TA는 복수의 셀들로 구성된다. 단말은 특정 TA에서 다른 TA로 이동할 경우, AG에게 자신이 위치한 TA가 변경되었음을 알려준다.
CN(Core Network)은 AG와 UE의 사용자 등록 등을 위한 네트워크 노드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E-UTRAN과 CN을 구분하기 위한 인터페이스가 사용될 수 있다.
도 2는 E-UTRAN(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의 네트워크 구조를 개념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E-UTRAN시스템은 기존 UTRAN시스템에서 진화한 시스템이다. E-UTRAN은 셀(eNB)들로 구성되며, 셀들은 X2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된다. 셀은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단말과 연결되며, S1 인터페이스를 통해 EPC(Evolved Packet Core)에 연결된다.
EPC에는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 S-GW(Serving-Gateway) 및 PDN-GW(Packet Data Network-Gateway)로 구성된다. MME는 단말의 접속 정보나 단말의 능력에 관한 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정보는 단말의 이동성 관리에 주로 사용된다. S-GW는 E-UTRAN을 종단점으로 갖는 게이트웨이이며, PDN-GW는 PDN(Packet Data Network)을 종단점으로 갖는 게이트웨이이다.
도 3 및 도 4는 3GPP 무선 접속망 규격을 기반으로 한 단말과 E-UTRAN 사이의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Radio Interface Protocol)의 제어평면(Control Plane) 및 사용자평면(U-Plane, User-Plane)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특히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은 수직적으로 물리계층(Physical Layer), 데이터링크 계층(Data Link Layer) 및 네트워크 계층(Network Layer)으로 이루어지며, 수평적으로는 데이터 정보 전송을 위한 사용자 평면(User Plane)과 제어 신호(Signaling)의 전달을 위한 제어 평면(Control Plane)으로 구분된다.
또한 도 3 및 4의 프로토콜 계층들은 통신 시스템에서 널리 알려진 개방형 시스템간 상호 접속(Open System Interconnection; OSI) 기준 모델에 기반한 것으로, 하위 3개 계층을 L1(제 1 계층), L2(제 2 계층), L3(제 3 계층)로 구분될 수 있다.
제어 평면은 단말과 네트워크가 호를 관리하기 위해서 이용하는 제어 메시지들이 전송되는 통로를 의미한다. 사용자 평면은 애플리케이션 계층에서 생성된 데이터, 예를 들어, 음성 데이터 또는 인터넷 패킷 데이터 등이 전송되는 통로를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무선 프로토콜의 제어 평면과 사용자 평면의 각 계층을 설명한다.
제 1 계층인 물리 계층은 물리 채널(Physical Channel)을 이용하여 상위 계층에게 정보 전송 서비스(Information Transfer Service)를 제공한다. 물리계층은 상위에 있는 매체 접속 제어(Medium Access Control; MAC) 계층과는 전송 채널(Transport Channel)을 통해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전송 채널을 통해 MAC 계층과 물리 계층 사이에 데이터가 이동한다. 송신 측과 수신 측의 물리 계층 사이는 물리 채널을 통해 데이터가 이동한다. 상기 물리 채널은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방식으로 변조되며, 시간과 주파수를 무선 자원으로 활용한다.
제 2 계층의 MAC 계층은 논리 채널(Logical Channel)을 통해 상위 계층인 무선 링크 제어(Radio Link Control; RLC) 계층에 서비스를 제공한다. 제 2 계층의 RLC 계층은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을 지원한다. RLC 계층의 기능이 MAC 내부의 기능 블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 RLC 계층은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제 2 계층의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계층은 IPv4나 IPv6와 같은 IP 패킷 전송 시에 대역폭이 좁은 무선 인터페이스에서 효율적으로 전송하기 위해 불필요한 제어 정보를 줄여주는 헤더 압축(Header Compression) 기능을 수행한다.
제 3 계층의 최하부에 위치한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계층은 제어 평면에서만 정의되며, 무선 베어러(Radio Bearer; RB)들의 구성(Configuration), 재구성 (Re-configuration) 및 해제(Release)와 관련되어 논리 채널, 전송 채널 및 물리 채널들의 제어를 담당한다. 무선 베어러는 단말과 E-UTRAN 간의 데이터 전달을 위해 제 2 계층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이를 위해, RRC 계층은 단말과 네트워크 간에 RRC 메시지를 서로 교환한다.
도 3에서 RRC 계층의 상위에 있는 NAS(Non-Access Stratum) 계층은 세션 관리(Session Management)와 이동성 관리(Mobility Management)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NAS 계층은 단말 및 네트워크의 이동성 관리 엔터티(Mobility Management Entity; MME)에 존재한다.
MME는 LTE 접속 네트워크에서 핵심적인 제어-노드이다. MME는 유휴 상태에 있는 단말에 대해 트랙킹 및 페이징 과정 등을 담당한다. 또한, MME는 무선 베어러 활성화/비활성화 프로세스에 관여하고, 'Initial Attach' 시에 또는 핵심망 리로케이션(relocation)을 포함한 인트라-LTE 핸드오버시에 단말에 대한 서빙 게이트웨이(Serving Gateway; SGW) 선택을 담당한다. MME는 홈 가입자 서버(Home Subscriber Server; HSS)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단말 인증을 담당한다. NAS 시그널링은 MME에서 종결되고, MME는 임시 식별자를 생성하여 단말에게 할당하는 것을 담당한다. MME는 단말이 서비스 제공자의 PLMN (Public Land Mobile Network)에 캠프-온(camp-on)할 수 있는 권한이 있는지 확인한다. MME는 네트워크에서 NAS 시그널링을 위한 암호화/무결성 보호를 위한 종결점이고 보안키 관리를 담당한다. MME는 LTE와 2G/3G 접속 네트워크 간의 이동성을 위한 제어 평면 기능을 제공한다.
NAS 계층에서는 단말의 이동성 관리를 위하여 EMM(EPS Mobility Management) 등록 상태(EMM-REGISTERED) 및 EMM 미등록 상태(EMM-UNREGISTERED) 두 가지 상태가 정의되어 있으며, 이 두 상태는 단말과 MME에 적용된다. 초기 단말은 EMM 미등록 상태이며, 이 단말이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해서 초기 접촉(Initial Attach) 절차를 통해서 해당 네트워크에 등록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접촉 절차가 성공적으로 수행되면 단말 및 MME는 EMM 등록 상태가 된다.
또한 NAS 계층에서는 단말과 EPC 간 시그널링 연결(signaling connection)을 관리하기 위하여 ECM(EPS Connection Management) 유휴 상태(ECM_IDLE) 및 ECM 연결 상태(ECM_CONNECTED) 두 가지가 정의되어 있으며, 이 두 상태는 단말 및 MME에게 적용된다. ECM 유휴 상태의 단말이 E-UTRAN과 RRC 연결을 맺으면 해당 단말은 ECM 연결 상태가 된다. ECM 유휴 상태에 있는 MME는 E-UTRAN과 S1 연결을 맺으면 ECM 연결 상태가 된다. 단말이 ECM 유휴 상태에 있을 때에는 E-UTRAN은 단말의 컨텍스트(context)를 가지고 있지 않다. 따라서 ECM 유휴 상태의 단말은 네트워크의 명령을 받을 필요 없이 셀 선택 또는 셀 재선택 절차와 같은 단말 기반의 이동성 관련 절차를 수행한다. 반면 단말이 ECM 연결 상태에 있을 때에는 단말의 이동성은 네트워크의 명령에 의해서 관리된다. ECM 유휴 상태에서 단말의 위치가 네트워크가 알고 있는 위치와 달라질 경우 단말은 TA 갱신(Tracking Area Update) 절차를 통해 네트워크에 단말의 해당 위치를 알린다.
이하에서 이동통신 시스템의 일 예인 IEEE 802.16 시스템에서의 핸드오버 과정을 간략히 설명한다. 서빙 기지국(serving base station, SBS)은 단말이 현재 서비스를 받고 있는 기지국이고, 타겟 기지국(target base station, TBS)은 단말이 핸드오버 하려는 기지국이다. 하드 핸드오버는 핸드오버시 통신 두절 시간을 줄이기 위해 미리 타겟 기지국과 동기를 맞춰 신속한 핸드오버를 한다. 이를 위해, 단말은 핸드오버를 하기 위해 단말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를 서빙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고, 그러면, 서빙 기지국은 타겟 기지국으로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여 타겟 기지국으로부터 핸드오버 응답 메시지를 받으면 단말에게 단말의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단말 핸드오버 응답 메시지를 보낸다. 단말은 단말 핸드오버 응답 메시지를 통해 타겟 기지국과 관련된 정보를 알아내어 핸드오버를 하기 위한 사전 과정을 준비하고, 단말 핸드오버 지시 메시지를 서빙 기지국에게 전송한다. 그리고, 타겟 기지국에 맞게 통신 설정을 바꾸고, 타겟 기지국으로부터 고속 레인징 정보 메시지(Fast_Ranging_IE)를 받기 위해 액션 타임(Action Time)까지 기다린다. 고속 레인징 정보 메시지는 단말이 타겟 기지국과 레인징 과정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이고, Action Time은 핸드오버할 후보 타겟 기지국들이 단말에게 고속 레인징 정보 메시지의 전송을 약속한 시간이다. 단말은 타겟 기지국으로부터 고속 레인징 정보 메시지를 수신한 후, 레인징과정을 통해 단말의 인증을 마치고 통신을 재개한다. 통신 두절 중에 발생하는 데이터가 손실되지 않기 위해 단말과 서빙 기지국, 타겟 기지국은 데이터를 버퍼링(buffering)하고, 핸드오버가 성공적으로 수행된 이후 버퍼링된 정보들을 송수신한 후, 정상적인 통신을 계속한다. 단말은 단말 핸드오버 지시 메시지를 전송한 시점부터 버퍼링을 시작하고, 서빙 기지국은 단말 핸드오버 지시 메시지를 받은 시점부터 버퍼링을 시작한다.
전통적으로, 핸드오버 서비스는 서빙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 세기가 점차 작아지는 경우, 단말(100)을 타겟 데이터와 통신하도록 설정하면서, 데이터 단절이 방지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단말(100)이 서빙 기지국의 커버리지를 벗어날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 단말(100)과 인접한 타겟 기지국으로 통신 타겟을 변경하면서, 단말(100)에서 사용하고 있는 서비스가 끊김없이 연속적으로 제공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종망간 핸드오버 역시, 단말(100)이 이종망으로 이동하더라도 사용자에게 현재 제공 중인 서비스가 끊김없이 연속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것에 하나의 목적이 있다. 다만, 종래의 핸드오버와 달리, 단말(100)이 서빙 기지국의 커버리지를 벗어나는 경우에 이종망간 핸드오버가 발생하는 것은 아니다. 일예로, 제1 무선 통신방식을 이용하는 제1 타입 무선 기지국 및 제2 무선 통신방식을 이용하는 제2 타입 무선 기지국 모두로부터 충분한 세기의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라 하더라도, 제1 타입 무선 기지국에서 제2 타입 무선 기지국으로(또는 이와 반대로) 핸드오버가 진행될 수 있다.
도 5는 이종망간 핸드오버가 진행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eHRPD 방식의 제1 타입 기지국(200)을 이용하는 도중, LTE 방식의 제2 타입 기지국(200)이 스캔된다면, 단말(100)은 상위 통신망인 LTE 방식을 이용하기 위해, 제1 타입 기지국(200)의 커버리지를 벗어날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가 아니더라도 제2 타입 기지국(200)으로의 핸드오버가 진행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제1 타입 기지국(200)의 커버리지를 벗어나지 않는 경우라 하더라도, 상위 통신망의 접속을 위해 제2 타입 기지국(200)으로 핸드오버가 진행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이종망간 핸드오버는 후술될 도면들을 통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후술될 실시예에 있어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무선 통신방식은 eHRPD, 제1 타입 무선 기지국은 eHRPD 기지국인 것으로 가정하고, 제2 무선 통신 방식은 LTE, 제2 타입 무선 기지국은 LTE 기지국인것으로 가정한다. 다만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정의에 불과하고, 제1 무선 통신방식과 제2 무선 통신방식이 각각 eHRPD 및 LTE 방식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무선 통신방식과 제2 무선 통신방식은 서로 다른 통신방식인 것으로 족하다. 예를 들어, 제 1 무선 통신방식은 CDMA 1x, CDMA 1x EVDO, WCDMA, eHRPD(evolved High Rate Packet Data), LTE방식 중 어느 하나이고, 제2 무선 통신방식은 열거된 항목 중 제1 무선 통신방식과 다른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단말(100)은 제1 타입 기지국(200)으로부터 제2 타입 기지국(200)으로 핸드오버를 진행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의 블록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단말(100)은 eHRPD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제1 타입 통신 모듈(120), LTE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제2 타입 통신 모듈(130) 및 프로세서(1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타입 통신 모듈(120)은 eHRPD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 신호 송신 과정에서 원래 신호(기저대역(baseband) 신호)를 높은 주파수 대역의 신호로 변조하고, 신호 수신 과정에서는 수신한 고주파 대역의 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복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제1 타입 통신 모듈(120)은 제1 타입 기지국(200)이 지원하는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제1 타입 기지국(200)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타입 통신 모듈(120)은 제1 타입 기지국(200)으로부터 주기적으로 오버헤드 메시지(Overhead Message)를 수신할 수 있다. 제1 타입 기지국(200)이 ORNL(Other RAT Neighbor List) 메시지를 지원하는 경우, 제1 타입 통신 모듈(120)은 제1 타입 기지국(200)으로부터 주기적(또는 비주기적)으로 ORNL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제2 타입 통신 모듈(130)은 LTE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 신호 송신 과정에서 원래 신호를 높은 주파수 대역의 신호로 변조하고, 신호 수신 과정에서는 수신한 고주파 대역의 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복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술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단말(100)은 제1 타입 통신 모듈(120) 및 제2 타입 통신 모듈(130)을 구비하는 듀얼 모드를 지원하는 단말(100)일 수 있다. 이때, 제1 타입 통신 모듈(120)이 제1 타입 기지국(200)과 신호를 송수신하는 활성화 상태(active state)로 동작한다면, 제2 타입 통신 모듈(130)은 제2 타입 기지국(200)과 신호를 송수신하지 않는 유휴 상태(idle state)로 동작할 수 있다. 여기서, 유휴 상태는 핸드오버뿐만 아니라 모든 정상 동작(normal operation)을 정지하고 기지국과 트래픽 송수신을 수행하지 않는 모드이다. 다만, 유휴 모드에서 단말(100)은 서빙 셀(기지국) 뿐만 아니라 인접 셀들에 대한 파일럿 신호 세기 측정(measurement)을 수행할 수 있고, 일정 구간에서만 방송되는 시스템 정보 및 브로드캐스트 메시지인 페이징 메시지(paging message)를 수신할 수 있다. 페이징 메시지는 단말(100)에게 페이징 동작(paging action)을 지시하는 메시지이다. 예를 들어, 페이징 동작에는 레인징 수행, 네트워크 재진입(network reentry) 등이 있다. 한편, 활성 상태에서는 단말(100)은 기지국과 트래픽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제1 타입 통신 모듈(120)로부터 수신한 오버헤드 메시지로부터 제1 타입 기지국(200)의 ORNL 메시지 지원 여부에 따라, BSR(Better System Reselection) 기능의 온오프 여부를 제어한다. 일예로, 프로세서(110)는 제1 타입 기지국(200)이 ORNL 메시지를 지원하는 경우, BSR 기능이 자동으로 비활성화 되도록 제어하고, 제1 타입 기지국(200)이 ORNL 메시지를 지원하지 않는 경우에는 BSR 기능이 자동으로 활성화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본 발명에 따른 단말(100)은 BSR 기능의 활성화 여부와 관련된 설정값을 저장하는 메모리가 포함되는 것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프로세서(110)는 메모리에 저장된 설정값을 변경하여 BSR 기능의 활성화 여부를 제어할 수 있고, 메모리에 저장된 BSR 기능의 설정값에 따라, 제2 무선 통신 모듈의 웨이크업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100)의 구성을 후술될 동작 흐름도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의 동작 흐름도를 설명하기에 앞서, 단말(100)의 BSR 기능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BSR 기능은 제1 무선 통신망(예를 들어, eHRPD 통신망)을 통해 접속 중인 단말(100)을 상위 통신망인 제2 무선 통신망(예를 들어, LTE 통신망)으로 변경하기 위해, 유휴 상태인 제2 타입 통신 모듈(130)을 강제로 웨이크업(wakeup) 시키는 것이다. 일예로, eHRPD를 위한 제1 타입 통신 모듈(120)이 활성화 상태인 경우, 프로세서(110)는 제1 타입 통신 모듈(120)을 통해 제1 타입 기지국(200)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타입 통신 모듈(120)이 활성화 상태인 경우, 프로세서(110)는 LTE 통신을 위한 제2 타입 통신 모듈(130)을 유휴 상태로 설정하여, 제2 타입 통신 모듈(130)로 인한 전력 소모가 최소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10)는 단말(100)이 eHRPD 통신 방식보다 상위 통신 방식인 LTE 통신망으로 접속되도록 하기 위해, 제2 타입 통신 모듈(130)이 강제로 유휴 상태에서 깨어나도록(wakeup) 제어할 수 있다.
유휴 상태에서 깨어난 제2 타입 통신 모듈(130)은 제2 무선 통신망을 구축하기 위해, 제2 무선 통신방식(예를 들어 LTE)의 가용 주파수 대역을 모두 스캔할 수 있다. 제2 무선 통신 방식의 가용 주파수 대역을 모두 스캔하는 것은 제1 타입 기지국(200)으로부터 제2 타입 기지국(200)에 관한 정보를 수신한 바 없기 때문이다. 즉, 단말(100) 주변의 제2 타입 기지국(200)의 주파수 대역이나 사용 주파수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바 없기 때문에, 제2 무선 통신방식이 지원하는 모든 주파수 대역을 스캔함으로써, 단말(100) 주변의 제2 타입 기지국(200)을 검출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7의 초기 상태에서 단말(100)의 BSR 기능은 활성화 상태일 수도 있고, 비활성화 상태일 수도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먼저 단말(100)은 활성화 상태(active state)에 놓은 제1 타입 통신 모듈(120)을 통해 제1 타입 기지국(200)으로부터 환경 설정 메시지(Quick Config Message)를 수신할 수 있다(S701). 여기서, 환경 설정 메시지는 무선 구간의 연결을 제어하는Connection Layer에 포함되는 프로토콜을 의미하며, 기지국의 ORNL 메시지 지원여부, ORNL 메시지의 전송 주기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타입 통신 모듈(120)은 소정 주기로(또는 일정한 슬롯 구간을 주기로) 제1 타입 기지국(200)으로부터 환경 설정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환경 설정 메시지를 수신하면, 프로세서(110)는 환경 설정 메시지 내, ORNL 메시지의 가용성(availability) 필드를 확인하여, 제1 타입 기지국(200)의 ORNL 메시지 지원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702).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10)는 환경 설정 메시지 내 ORNL 메시지의 가용성을 가리키는 필드(이하, 'OtherRATAvail_incl'로 예시)의 필드값을 기초로 제1 타입 기지국(200)의 ORNL 메시지 지원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예로, 'OtherRATAvail_incl'의 필드값이 1인 경우, 제1 타입 기지국(200)이 ORNL 메시지를 지원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OtherRATAvail_incl'의 필드값이 0인 경우 제1 타입 기지국(200)은 ORNL 메시지를 지원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1 타입 기지국(200)이 ORNL 메시지를 지원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프로세서(110)는 BSR 기능이 활성화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S703). BSR 기능을 활성화시킴으로써, 제1 타입 기지국(200)으로부터 ORNL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라 하더라도, 단말(100) 스스로 제1 무선 통신망의 상위 통신망인 제2 무선 통신망으로의 접속을 시도할 수 있다. BSR 기능이 활성화되면, 프로세서(110)는 유휴 상태(idle state)에 놓인 제2 타입 통신 모듈(130)을 주기적으로 깨워(wakeup), 제2 타입 통신 모듈(130)이 제2 무선 통신방식의 가용 주파수 대역의 전대역(fully band)을 스캔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704). 일예로, 도 8은 제2 타입 통신 모듈(130)이 BSR에 따라 동작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제1 타입 통신 모듈(120)이 활성화 상태에 놓인 경우, 도 8의 초기상태와 같이, 제2 타입 통신 모듈(130)은 유휴 상태에 놓일 수 있다. BSR 기능이 활성화 상태인 경우, 프로세서(110)는 유휴 상태에 놓인 제2 타입 통신 모듈(130)을 주기적으로 깨워, 제2 타입 통신 모듈(130)이 제2 무선 통신방식의 전대역을 스캔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BSR 기능을 활성화함으로써, 제1 타입 기지국(200)으로부터 인접 제2 타입 기지국(200)의 정보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라 하더라도, 단말(100) 스스로 제1 무선 통신망보다 상위 통신 방식을 이용하는 제2 무선 통신망으로 접속점을 변경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제1 타입 기지국(200)으로부터 제2 타입 기지국(200)으로의 핸드오버가 완료된 이후, 프로세서(110)는 BSR 기능이 자동으로 비활성화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2 타입 기지국(200)으로 핸드오버가 완료된 이후, 단말(100)은 제1 무선 통신망보다 상위망인 제2 무선 통신망에 접속 중에 있으므로, 굳이 제1 무선 통신망으로의 핸드오버를 진행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반대로, 제1 타입 기지국(200)이 ORNL 메시지를 지원하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프로세서(110)는 BSR 기능이 비활성화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S705). ORNL 메시지가 지원되는 경우에는 ORNL 메시지를 통해 제2 타입 기지국(200)에 대한 정보가 수신될 때에만 제2 타입 통신 모듈(130)을 이용할 수 있다. ORNL 메시지가 지원될 때에도 BSR 기능을 활성화 시키는 것은, 불필요한 제2 타입 통신 모듈(130)의 활성화를 유발하고, 제2 무선 통신방식의 전대역 스캔을 유발하여, 단말(100)의 배터리 효율을 감소시키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타입 기지국(200)으로부터 ORNL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는 경우에는 BSR 기능을 비활성화 하여, ORNL 메시지로부터 제2 타입 기지국(200)의 정보를 수신한 경우에 한하여, 제2 타입 통신 모듈(130)이 유휴 상태에서 깨어나도록 제어할 수 있다.
BSR 기능을 오프한 이후, 프로세서(110)는 환경 설정 메시지에서 정하는 ORNL 메시지의 송신 주기를 확인하고, 송신 주기에 따라, 주기적으로 제1 타입 기지국(200)으로부터 ORNL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S706).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10)는 환경설정 메시지에서 정하는 제1 타입 기지국(200)의 ORNL 메시지의 송신 주기(OtherRATTxCycle)를 기초로, 제1 타입 기지국(200)으로부터 주기적으로 ORNL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제1 타입 기지국(200)으로부터 수신하는 ORNL 메시지는 제1 무선 통신방식과 다른 통신방식을 이용하는 제2 무선 통신 방식의 제2 타입 기지국(200)에 대한 대역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ORNL 메시지는 단말(100)과 인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타입 기지국(200) 각각의 주파수 대역, 기지국의 식별자 정보 및 각 기지국의 주파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ORNL 메시지를 수신하면, 프로세서(110)는 ORNL 메시지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타입 기지국(200)으로부터의 통신 신호를 검출하도록 제2 타입 통신 모듈(130)을 제어할 수 있다(S707).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10)는 ORNL 메시지가 가리키는 제2 타입 기지국(200)의 주파수 대역을 스캔하여 제2 타입 기지국(200)으로부터 통신 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 BSR 기능을 이용하는 경우, 제2 타입 통신 모듈(130)은 제2 무선 통신방식의 전대역을 스캔하여 제2 타입 기지국(200)으로부터의 신호를 검출하지만, ORNL 메시지를 이용하는 경우, 제2 타입 통신 모듈(130)은 제2 타입 기지국(200)이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에 한하여 신호 스캔을 진행할 수 있다.
제2 무선 통신방식의 제2 타입 기지국(200)으로부터 통신 신호가 수신되면, 프로세서(110)는 제2 타입 기지국(200)의 핸드오버 적합성을 판단할 수 있다(S708). 본 단계를 수행함에 있어서, 프로세서(110)는 제2 타입 기지국(200)으로부터 수신한 통신 신호의 세기를 기초로 제2 타입 기지국(200)으로의 핸드오버 적합성을 판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가 제2 타입 기지국(200)의 핸드오버 적합성을 판단하는 과정은 후술할 도 8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는 도 6에 도시된 제2 타입 기지국(200)에 대한 핸드오버 적합성의 판단 단계를 도시한 것이다. 먼저, 프로세서(110)는 ORNL에 부가되는 기준 신호 수신 전력(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RSRP)과 제2 타입 기지국(200)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제1 신호)의 세기(RxLevel)의 차가 ORNL에 부가되는 임계치(Threshold Value)보다 큰 경우인지를 판단한다(S901). 기준 신호 수신 전력 및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의 차가 임계치 보다 큰 경우, 프로세서(110)는 재선택 타이머(reselection timer)를 시작시킬 수 있다(S902).
재선택 타이머가 시작되면, 프로세서(110)는 재선택 타이머의 만료 전(즉, 재선택 타이머에서 정하는 시간이 경과되기 전) 다시 한번 기준 신호 수신 전력과 제2 타입 기지국(200)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 차가 임계치보다 큰 경우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S903).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10)는 재선택 타이머를 스타트한 이후, 제2 타입 기지국(200)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제2 신호)의 세기와 기준 신호 수신 전력 사이의 차이값이 임계치 보다 큰 경우라면, 제2 타입 기지국(200)이 핸드오버가 적합한 기지국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10)는 재선택 타이머의 스타트 전후에 제2 타입 기지국(200)으로부터 수신하는 신호(각각, 제1 신호 및 제2 신호)의 세기와 기준 신호 수신 전력의 차이값을 기초로 제2 타입 기지국(200)으로의 핸드오버 적합성을 판단할 수 있다. 제2 타입 기지국(200)으로의 핸드오버가 적합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 프로세서(110)는 재선택 타이머 만료 후 제2 타입 기지국(200)으로의 핸드오버를 진행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S901 단계 및 S903 단계에서, 기준 신호 수신 전력과 제2 타입 기지국(200)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 차가 임계치보다 크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프로세서(110)는 제2 타입 기지국(200)으로의 핸드오버가 부적합한 것으로 판단하고 다음 절차를 진행할 수 있다.
다시 도 7을 참조하면, 제2 타입 기지국(200)으로의 핸드오버가 적합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프로세서(110)는 제2 타입 기지국(200)으로의 핸드오버가 진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S709). 핸드오버를 수행함에 있어서 통신 두절 중에 발생하는 데이터가 손실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단말(100)과 제1 타입 기지국(200), 제2 타입 기지국(200)은 데이터를 버퍼링(buffering)하고, 핸드오버가 성공적으로 수행된 이후, 버퍼링된 정보들을 송수신하여야 할 것이다.
이와 반대로, 제2 타입 기지국(200)으로의 핸드오버가 적합하지 않다고 판단되는 경우, 프로세서(110)는 소정 시간 내 제2 타입 기지국(200)으로부터 통신 신호를 재수신할 수 있다. 이때, ORNL 메시지가 백오프 타이머에 관한 정의를 포함하는지 여부에 따라, 통신 신호의 재수신 시간은 변경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ORNL 메시지가 백오프 타이머에 관한 정의를 포함하는 경우(S710), 프로세서(110)는 백오프 타이머를 시작시키고(S711), 백오프 타이머가 만료되기 전(즉, 백오프 타이머가 정하는 시간이 경과하기 전) 임의의(Random) 시점에서 제2 타입 기지국(200)으로부터 통신 신호를 재 수신할 수 있다(S712). 이후, 프로세서(110)는 재수신된 통신 신호의 세기를 기초로, 제2 타입 기지국(200)의 핸드오버 가능 여부를 재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백오프 타이머의 만료 시간은 2n이고(n은 실수), n은 ORNL 메시지에 부가되는 정보일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ORNL 메시지로부터 n 값을 독출하여, 백오프 타이머의 만료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ORNL 메시지가 백오프 타이머에 관한 정의를 포함하고 있지 않은 경우(S710), 프로세서(110)는 기 설정된 소정의 시간 내 임의의 시점에서 제2 타입 기지국(200)으로의 핸드오버 가능 여부를 타진할 수 있다(S713). 여기서, 기 설정된 소정의 시간은 25.6초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들과 특징들이 소정 형태로 결합된 것들이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별도의 명시적 언급이 없는 한 선택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다른 구성요소나 특징과 결합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일부 구성요소들 및/또는 특징들을 결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설명되는 동작들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어느 실시예의 일부 구성이나 특징은 다른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고, 또는 다른 실시예의 대응하는 구성 또는 특징과 교체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시킬 수 있음은 자명하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 단말
110 : 프로세서
120 : 제1 타입 통신 모듈
120 : 제2 타입 통신 모듈
200 : 제1 타입 기지국
300 : 제2 타입 기지국

Claims (37)

  1. 제1 무선 통신방식을 이용하는 제1 타입 기지국으로부터 제2 무선 통신방식을 이용하는 제2 타입 기지국으로 핸드오버를 수행하기 위한 이종망 간의 핸드오버 방법에 있어서,
    단말 장치가 상기 제1 타입 기지국으로부터 환경 설정 메시지(Quick Config Message)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환경 설정 메시지로부터 상기 제2 타입 기지국으로 핸드오버를 수행하기 위한 ORNL(Other RAT Neighbor List) 메시지의 지원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판단 결과를 기초로 상기 제2 타입 기지국으로 핸드오버를 수행하기 위한 BSR(Better System Reselection) 기능의 활성화 여부를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종망 간의 핸드오버 수행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SR의 활성화 여부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타입 기지국에서 상기 ORNL 메시지를 지원하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BSR 기능을 비활성화하고,
    상기 제1 타입 기지국에서 상기 ORNL 메시지를 지원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BSR 기능을 활성화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망 간의 핸드오버 수행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ORNL 메시지의 지원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환경 설정 메시지의 ORNL 메시지의 가용성 필드의 필드값에 기초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망 간의 핸드오버 수행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타입 기지국에서 상기 ORNL 메시지를 지원하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제1 타입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ORNL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종망 간의 핸드오버 수행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는 상기 제1 타입 기지국으로부터 주기적으로 상기 ORNL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망 간의 핸드오버 수행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ORNL 메시지의 수신 주기는 상기 환경 설정 메시지에서 정하는 상기 ORNL 메시지의 송신 주기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망 간의 핸드오버 수행 방법.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타입 기지국으로부터의 통신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종망 간의 핸드오버 수행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ORNL 메시지에 부가되는 상기 제2 타입 기지국의 주파수 대역을 스캔하여, 상기 통신 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망 간의 핸드오버 수행 방법.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타입 기지국으로의 핸드오버 적합성을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종망 간의 핸드오버 수행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는 상기 ORNL 메시지에 부가되는 기준 신호 수신 전력(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RSRP)과 상기 제2 타입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통신 신호의 세기를 비교하여 핸드오버 적합성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망 간의 핸드오버 수행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적합성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2 타입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제1 통신 신호의 세기와 상기 기준 신호 수신 전력 사이의 제1 차이값과 상기 ORNL 메시지에 부가되는 임계치를 비교하는 단계;
    상기 제1 차이값이 상기 임계치보다 큰 경우, 재선택 타이머(reselection timer)를 스타트하는 단계; 및
    상기 재선택 타이머 만료 전 상기 제2 타입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제2 통신 신호의 세기와 상기 기준 신호 수신 전력 사이의 제2 차이값과 상기 ORNL 메시지에 부가되는 임계치를 비교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망 간의 핸드오버 수행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신호는 상기 재선택 타이머의 스타트 이전에 상기 제2 타입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통신 신호이고, 상기 제2 통신 신호는 상기 재선택 타이머의 스타트 이후 상기 제2 타입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통신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망 간의 핸드오버 수행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타입 기지국으로의 핸드오버가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재선택 타이머 만료 후 상기 제2 타입 기지국으로 핸드오버를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망 간의 핸드오버 수행 방법.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타입 기지국으로의 핸드오버가 부적합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백오프 타이머를 스타트 시키는 단계;
    상기 백오프 타이머가 만료되기 전 상기 제2 타입 기지국으로부터 통신 신호를 재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재수신된 통신 신호를 기초로 상기 제2 타입 기지국으로의 핸드오버 적합성을 재판단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이종망 간의 핸드오버 수행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백오프 타이머는 2n초가 경과하면 만료하고,
    상기 n은 상기 ORNL 메시지를 통해 상기 단말 장치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망 간의 핸드오버 수행 방법.
  1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BSR 기능이 활성화 되는 경우, 상기 단말 장치는 상기 제2 무선 통신방식의 가용 주파수 전대역을 스캔하여, 상기 제2 타입 기지국으로부터 통신 신호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망 간의 핸드오버 수행 방법.
  1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 통신방식은 eHRPD, CDMA 및 WCDMA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제2 무선 통신방식은 LTE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망 간의 핸드오버 수행 방법.
  18. 삭제
  19. 제1 무선 통신방식을 이용하는 제1 타입 기지국으로부터 제2 무선 통신방식을 이용하는 제2 타입 기지국으로 핸드오버를 진행하고자 하는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타입 기지국으로부터 환경 설정 메시지(Quick Config Message)를 수신하기 위한 제1 타입 무선 통신 모듈;
    상기 제2 타입 기지국과 통신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제2 타입 무선 통신 모듈; 및
    상기 환경 설정 메시지로부터 상기 제1 타입 기지국의 ORNL(Other RAT Neighbor List) 메시지의 지원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를 기초로 상기 제2 타입 무선 통신 모듈의 BSR(Better System Reselection) 기능의 활성화 여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는 단말 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타입 기지국에서 상기 ORNL 메시지를 지원하는 경우, 상기 BSR 기능이 비활성화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타입 기지국에서 상기 ORNL 메시지를 지원하지 않는 경우, 상기 BSR 기능이 활성화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환경 설정 메시지의 ORNL 메시지의 가용성 필드의 필드값을 기초로 상기 ORNL 메시지의 지원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22.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타입 기지국이 상기 ORNL 메시지를 지원하는 경우, 상기 제1 타입 무선 통신 모듈은 상기 제1 타입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ORNL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타입 무선 통신 모듈은 주기적으로 상기 ORNL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24.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타입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ORNL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상기 제2 타입 기지국으로부터 통신 신호를 수신하도록 상기 제2 타입 무선 통신 모듈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타입 무선 통신 모듈이 상기 ORNL 메시지에 부가되는 상기 제2 타입 기지국의 주파수 대역을 스캔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26.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타입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통신 신호의 세기를 기초로 상기 제2 타입 기지국으로의 핸드오버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타입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통신 신호의 세기와 상기 ORNL 메시지에 부가되는 기준 신호 수신 전력(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RSRP)을 비교하여 상기 제2 타입 기지국으로의 핸드오버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타입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제1 통신 신호의 세기와 상기 기준 신호 수신 전력 사이의 제1 차이값이 상기 ORNL 메시지에 부가되는 임계치보다 큰 경우,
    재선택 타이머(reselection timer)를 스타트하고,
    상기 재선택 타이머 만료 전 상기 제2 타입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제2 통신 신호의 세기와 상기 기준 신호 수신 전력 사이의 제2 차이값과 상기 임계치를 비교하여 상기 제2 타입 기지국으로의 핸드오버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신호는 상기 재선택 타이머의 스타트 이전에 상기 제2 타입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통신 신호이고, 상기 제2 통신 신호는 상기 재선택 타이머의 스타트 이후 상기 제2 타입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통신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30.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차이값이 상기 임계치보다 큰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재선택 타이머가 만료된 이후 상기 제2 타입 기지국으로 핸드오버가 진행되도록 상기 제2 타입 무선 통신 모듈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31.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차이값 또는 상기 제2 차이값이 상기 임계치보다 크지 않은 경우, 백오프 타이머를 스타트하고,
    상기 제2 타입 무선 통신 모듈은 상기 백오프 타이머가 만료되기 전 상기 제2 타입 기지국으로부터 통신 신호를 재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32.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타입 기지국으로부터 재수신되는 통신 신호를 기초로 상기 제2 타입 기지국으로의 핸드오버 여부를 재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33.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ORNL 메시지에 부가된 n 값을 독출하고,
    상기 백오프 타이머가 2n초 경과 후 만료되도록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34.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타입 기지국이 상기 ORNL 메시지를 지원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유휴 상태의 제2 타입 무선 통신 모듈을 주기적으로 깨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35. 제 34 항에 있어서,
    유휴 상태에서 깨어난 상기 제2 타입 무선 통신 모듈은 상기 제2 무선 통신방식의 가용 주파수 전대역을 스캔하여 상기 제2 타입 기지국으로부터 통신 신호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36.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 통신방식은 eHRPD, CDMA 및 WCDMA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제2 무선 통신방식은 LTE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37. 삭제
KR1020120054090A 2012-05-22 2012-05-22 이종망 간의 핸드오버 수행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 장치 KR1013742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4090A KR101374202B1 (ko) 2012-05-22 2012-05-22 이종망 간의 핸드오버 수행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4090A KR101374202B1 (ko) 2012-05-22 2012-05-22 이종망 간의 핸드오버 수행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0351A KR20130130351A (ko) 2013-12-02
KR101374202B1 true KR101374202B1 (ko) 2014-03-12

Family

ID=49980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4090A KR101374202B1 (ko) 2012-05-22 2012-05-22 이종망 간의 핸드오버 수행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420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574680B1 (en) * 2017-04-10 2022-09-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user equipment (ue) for cell reselection in connected mode thereof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2 C.S0087-0 v2.0 (2010.01.)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0351A (ko) 2013-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40015620A1 (en) Signaling optimization method and device
EP3324674B1 (en) Configuration of suitable rrm parameters for communications in a high-speed mobility scenario
KR101642517B1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중에 상향 링크 동기 타이머를 조작하는 방법
US10064078B2 (en) Wireless communications method, user equipment, and network node
JP6561131B2 (ja) Scptmサービスを提供するセルのリストを送受信する方法及び装置
KR101781853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복수의 셀의 구성 정보 송수신 방법 및 장치
EP3065492A1 (en) Method for d2d operation performed by termi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terminal using the method
CN105075343B (zh) 用于在异构通信环境中选择网络和分发业务的方法和装置
JP6431206B2 (ja) ページングシグナリングを減少させ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US11184813B2 (en) Method for performing cell reselection and device supporting the same
CN108605272B (zh) 提供系统信息块请求和响应
KR20130038371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로그된 측정 보고 방법 및 장치
EP3397014B1 (en) Method for operating terminal in accordance with semi-persistent schedul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terminal device using method
US1042587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cell reselection procedures for load distribution
KR20140001226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연결 실패를 회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8682329B2 (en) Method of performing handover between heterogeneous networks and user equipment apparatus for the same
WO2013004164A1 (zh) 通信方法和设备及系统
JP7039613B2 (ja) セル再選択制御方法、基地局、及び無線端末
KR101832760B1 (ko)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효율적인 이종망간 핸드오버 수행방법
CN106304060B (zh) 支持封闭成员组的双连接系统中的切换方法及系统
EP3300409B1 (en) Method and device for terminal calculating redistribution rang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374202B1 (ko) 이종망 간의 핸드오버 수행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 장치
KR101824994B1 (ko) 이종망 간의 핸드오버 수행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 장치
KR101962143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셀 주파수를 검색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70074570A (ko) 소프트 핸드 오버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