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0388B1 - Volume variable container - Google Patents

Volume variable contai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0388B1
KR101370388B1 KR1020120128669A KR20120128669A KR101370388B1 KR 101370388 B1 KR101370388 B1 KR 101370388B1 KR 1020120128669 A KR1020120128669 A KR 1020120128669A KR 20120128669 A KR20120128669 A KR 20120128669A KR 101370388 B1 KR101370388 B1 KR 1013703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ular body
storage container
container
along
e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866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성희
윤지은
조혜선
Original Assignee
이성희
조혜선
윤지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희, 조혜선, 윤지은 filed Critical 이성희
Priority to KR10201201286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038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03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038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02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 A47J47/08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for non-granulated foodstuff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8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86Collapsible or telescopic 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ackging For Living Organisms, Food Or Medicinal Products That Are Sensitive To Environmental Conditiond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olume variable container which comprises: a storage container; a pipe installed inside the storage container to be able to move along one direction of the storage container; a first mounting groove formed along the inner edge of the pipe; an elastic body blocking food from moving through a gap between the storage container and the pipe; and a first elastic ring formed along the edge of the elastic body, and mounted on the first mounting groove for extending the elastic body in the one direction when the pipe is moving.

Description

부피 가변형 용기{VOLUME VARIABLE CONTAINER}Volume-variable container {VOLUME VARIABLE CONTAINER}

본 발명은 저장되는 음식물의 양에 따라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부피 가변형 용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riable volume container that can be siz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food stored.

일반적으로 가정에서는 김치나 야채류, 또는 과일 등과 같은 음식물들을 용기에 담아 냉장고에 보관하게 된다.In general, households store foods such as kimchi, vegetables, or fruits in containers and store them in the refrigerator.

종래의 용기는 음식물을 담는 용기의 본체가 일정한 크기로만 이루어져, 음식물의 크기와 양에 대응하여 저장 공간을 적절하게 가변시킬 수 없는 단점이 있다.Conventional containers have a disadvantage that the main body of the container containing the food is made only of a certain size, the storage space can not be appropriately changed corresponding to the size and amount of food.

구체적으로, 종래의 용기는 음식물의 크기가 작거나 양이 많지 않아 음식물이 용기의 내부 공간을 작게 차지하는 경우에도, 용기가 크기가 가변되지 않아 음식물의 크기나 양에 관계없이 냉장고에서 일정 공간을 차지하게 된다. 또한, 음식물의 크기가 크거나 양이 많게 되면, 하나의 용기에 모두 보관할 수 없게 되어 또 다른 용기를 필요로 하게 된다. 이에 따라, 용기가 보관되는 냉장고 또는 수납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없게 되는 단점이 있다.Specifically, the conventional container is small in size or does not have a large amount of food, even if the food occupies a small space inside the container, the container is not variable size occupies a certain space in the refrigerator regardless of the size or quantity of food Done. In addition, if the food is large or large in quantity, it is impossible to store all in one container, and another container is required. Accordingly,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refrigerator or storage space in which the container is stored cannot be efficiently used.

본 발명의 목적은, 음식물의 저장량에 따라 크기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으면서도 음식물이 외부로 새어 나오지 않는, 부피 가변형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ariable volume container in which the size can be easily adjust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food stored therein but the food does not leak out.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부피 가변형 용기는, 수납통; 상기 수납통의 내부에 상기 수납통의 일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관체; 상기 관체의 내면에 둘레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1 안착홈; 상기 수납통과 상기 관체 사이의 틈새로 음식물이 진행하는 것을 차단하도록 형성되는 신축성 몸체; 및 상기 신축성 몸체의 둘레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제1 안착홈에 안착되어서 상기 관체의 이동시 상기 신축성 몸체가 상기 일 방향을 따라 신축되도록 하는 제1 탄성링을 포함할 수 있다.A variable volume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realizing the above object, the storage container; A tubular body installed inside the storage container so as to be movable along one direction of the storage container; A first seating groove formed in an inner surface of the tube along a circumferential direction; Elastic body is formed to block the progress of food in the gap between the housing and the tube; And a first elastic ring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elastic body and seated in the first seating groove so that the elastic body is stretched along the one direction when the tubular body is moved.

여기서, 상기 신축성 몸체는, 상기 관체의 이동시 상기 일 방향을 따라 신축되도록 형성되는 주름관을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stretchable body may include a corrugated pipe that is formed to stretch in one direction when the tubular body moves.

삭제delete

여기서, 상기 신축성 몸체는, 상기 수납통 및 상기 관체의 내부에 배치되는 신축성 백을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elastic body may include an elastic bag disposed inside the housing and the tubular body.

삭제delete

여기서, 상기 수납통은, 상기 수납통의 내면에 둘레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2 안착홈을 포함하고, 상기 신축성 몸체는, 상기 제2 안착홈에 안착되도록 상기 신축성 몸체의 둘레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2 탄성링을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storage container,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includes a second seating groove is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elastic body is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elastic body to be seated in the second seating groove. It may include a second elastic ring.

여기서, 상기 관체는, 상기 관체의 외면에 형성되는 탄성의 고정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수납통은, 상기 수납통의 내면에 상기 고정 돌기가 수용되도록 형성되는 고정홈을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tubular body may include an elastic fixing protrusion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tubular body, and the housing may include a fixing groove formed to accommodate the fixing protrusion on an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여기서, 상기 관체는 상단에 상기 관체의 둘레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1 모서리를 포함하고, 상기 수납통은 상단에 상기 수납통의 둘레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2 모서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모서리가 수용되도록 형성되는 제1 리세스; 및 상기 제2 모서리가 수용되며, 상기 제1 리세스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제2 리세스를 구비하는 덮개가 더 구비될 수 있다.Here, the tubular body includes a first corner formed at the top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tubular body, and the storage container includes a second corner formed at the top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storage tub, wherein the first corner is formed. A first recess formed to receive the first recess; And a cover including a second recess in which the second edge is received and formed to surround the first recess.

여기서, 상기 관체는, 상기 관체의 외면에 형성되는 제1 체결 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납통은, 상기 수납통의 외면에 형성되는 제2 체결 돌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덮개는, 상기 제1 체결 돌기와 체결되도록 형성되는 제1 체결구와, 상기 제2 체결 돌기와 체결되도록 형성되는 제2 체결구를 구비하는 가요성의 체결 날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tubular body further includes a first fastening protrusion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tubular body, and the receiving cylinder further includes a second fastening protrusion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cylinder, and the cover is the first article. The flexible fastening wing may further include a first fastener formed to be engaged with the first fastening protrusion, and a second fastener formed to be fastened to the second fastening protrusion.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관련된 부피 가변형 용기에 의하면, 음식물의 저장량에 따라 크기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으면서도 음식물이 외부로 새어 나오지 않도록 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variable volume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easily adjust the size according to the storage amount of food, but also to prevent food from leaking to the outsid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피 가변형 용기(10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부피 가변형 용기(100)가 팽창된 상태(S1)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부피 가변형 용기(100)가 수축된 상태(S2)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피 가변형 용기(100')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variable volume contain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S 1 in which the variable volume container 100 of FIG. 1 is expanded.
FIG. 3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S 2 in which the variable volume container 100 of FIG. 1 is contracted.
4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 variable volume container 100 ′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부피 가변형 용기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Hereinafter, a variable volume contain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ame or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different embodiments in the same or similar configuration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피 가변형 용기(10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먼저, 도 1 (a)는 부피 가변형 용기(100)를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variable volume contain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 Figure 1 (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ploded view of the variable volume container 100.

본 도면을 참조하면, 부피 가변형 용기(100)는 관체(110), 수납통(130), 신축성 몸체(150), 및 덮개(17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this figure, the variable volume container 100 may include a tubular body 110, a receiving container 130, the elastic body 150, and the cover 170.

관체(110)는 상단 및 하단이 개방된 관형으로 형성된다. 관체(110)는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은 육면체 형태 이외에, 실린더형, 타원체형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The tubular body 110 is formed in a tubular shape with the top and bottom open. The tubular body 110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or ellipsoidal shape, in addition to a hexahedral shape as shown in the drawing.

수납통(130)은 상단이 개방되고 하단이 폐쇄되는 박스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수납통(130)의 개방된 상단에는 상술한 관체(110)가 삽입될 수 있다. 수납통(130)은 관체(110)가 삽입될 수 있도록, 관체(110)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storage container 130 may have a box shape in which an upper end is opened and a lower end is closed. The tube 110 described above may be inserted into an open upper end of the storage container 130. The storage container 130 may b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tubular body 110 so that the tubular body 110 can be inserted therein.

신축성 몸체(150)는 상단 및 하단이 개방되고, 관체(110)가 수납통(130)에 삽입되는 방향을 따라 신장되거나 수축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 신축성 몸체(150)는 수납통(130) 및 관체(110)에 내장될 수 있다. The elastic body 150 has an upper end and a lower end, and is formed to extend or contract alo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tubular body 110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container 130. The elastic body 150 may be embedded in the housing 130 and the tubular body 110.

덮개(170)는 관체(110)의 상단 및 수납통(130)의 상단을 덮어 관체(110) 및 수납통(130)을 밀폐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cover 170 may be formed to cover the upper end of the tube 110 and the upper end of the housing 130 to seal the tube 110 and the housing 130.

도 1 (b)는 도 1 (a)의 부피 가변형 용기(100)의 상술한 요소들이 서로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Figure 1 (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above-described elements of the variable volume container 100 of Figure 1 (a) are coupled to each other.

본 도면을 참조하면, 관체(110)는 하단이 수납통(130)의 내부로 삽입되며, 상단이 덮개(170)에 의해 덮혀진다. 또한, 신축성 몸체(150)는 관체(110) 및 수납통(130)의 내부에 배치된다. 본 도면에 도시된 부피 가변형 용기(100)는, 관체(110)의 하단 중 일부분 만이 수납통(130)에 삽입되는 팽창 상태(S1)를 나타낸다. 부피 가변형 용기(100)는 팽창 상태(S1)에서 최대한의 높이를 가진다.Referring to this drawing, the tubular body 110 has a lower end inserted into the housing 130, and the upper end thereof is covered by the cover 170. In addition, the elastic body 150 is disposed inside the tubular body 110 and the storage container 130. The variable volume container 100 shown in this figure shows an expanded state S 1 in which only a part of the lower end of the tubular body 110 is inserted into the storage container 130. The variable volume container 100 has the maximum height in the expanded state S 1 .

도 1 (c)는 도 1 (b)의 부피 가변형 용기(100)의 수축 상태(S2)를 도시한 사시도이다.1 (c)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tracted state (S 2 ) of the variable volume container 100 of FIG.

본 도면을 참조하면, 관체(110)는 수납통(130) 속으로 하강 이동하여 수납통(130)에 내장된다. 이때, 관체(110) 및 수납통(130)의 내부에 배치된 신축성 몸체(150)는 관체(110)가 하강하는 방향을 따라 수축된다. 관체(110)가 수납통(130)에 내장되면, 덮개(170)는 관체(110) 및 수납통(130)의 상단을 덮어 폐쇄하도록 배치된다. 이하, 부피 가변형 용기(100)의 상술한 요소들에 대해 도 2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Referring to this figure, the tubular body 110 is moved downward into the housing 130 is embedded in the housing 130. At this time, the stretchable body 150 disposed inside the tubular body 110 and the receiving container 130 is contracted alo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tubular body 110 descends. When the tube body 110 is embedded in the housing 130, the cover 170 is disposed to cover and close the upper ends of the tube body 110 and the housing 130. Hereinafter, the above-described elements of the variable volume container 1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2.

도 2는 도 1의 부피 가변형 용기(100)가 팽창된 상태(S1)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FIG. 2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S 1 in which the variable volume container 100 of FIG. 1 is expanded.

본 도면을 참조하면, 부피 가변형 용기(100)는 전술한 것과 같이 관체(110), 수납통(130), 신축성 몸체(150), 및 덮개(17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this drawing, the variable volume container 100 may include a tubular body 110, a storage container 130, an elastic body 150, and a cover 170 as described above.

관체(110)는 부피 가변형 용기(100)가 수축되거나 팽창될 수 있도록 하는 요소이다. 이를 위해, 관체(110)는 수납통(13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수납통(130)에 설치된다. 또한, 관체(110)는 수납통(130)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수납통(130)보다 작은 폭을 가진다. 또한, 관체(110)는 수납통(130)보다 약간 작은 높이를 가질 수 있다. 관체(110)는 음식물(F)에 대한 내구성이 강한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 등의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tubular body 110 is an element that allows the variable volume container 100 to contract or expand. To this end, the tubular body 110 is installed in the housing 130 to move along the height direction of the housing 130. In addition, the tubular body 110 has a smaller width than the housing 130 so that the tube 110 can be inserted into the housing 130. In addition, the tubular body 110 may have a height slightly smaller than the storage container 130. Pipe 110 may be made of a plastic material such as polypropylene (PP), polyethylene (PE) and the like strong to the food (F).

관체(110)는 제1 모서리(111), 고정 돌기(113), 및 제1 안착홈(115)을 포함할 수 있다.The tubular body 110 may include a first edge 111, a fixing protrusion 113, and a first seating groove 115.

제1 모서리(111)는 관체(110)의 상단에 둘레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모서리(111)는 덮개(170)에 의해 폐쇄되며, 이에 의해 부피 가변형 용기(100)의 수용 공간(180)이 밀폐될 수 있다. 제1 모서리(111)는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은 반원형의 단면 이외에, 직선형, 삼각형 등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The first corner 111 may be formed to exten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the upper end of the tubular body 110. The first edge 111 is closed by the cover 170, whereby the receiving space 180 of the variable volume container 100 may be sealed. The first edge 111 may have a cross section, such as a straight line or a triangle, in addition to the semicircular cross section as shown in the drawing.

고정 돌기(113)는 관체(110)가 수납통(130)에 고정되도록 하는 요소이다. 고정 돌기(113)는 관체(110)의 외면(117)에 형성되어, 후술할 수납통(130)의 고정홈(133)에 안착되도록 형성된다. 고정 돌기(113)는 관체(110)의 하단 측에 형성될 수 있고, 관체(110)의 일측 또는 양측 외면(117)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고정 돌기(113)는 고정홈(133)에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관체(110)의 둘레 방향을 따라 장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Fixing protrusion 113 is an element for fixing the tubular body 110 to the storage container 130. Fixing protrusion 113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117 of the tubular body 110, it is formed to be seated in the fixing groove 133 of the housing 130 to be described later. The fixing protrusion 113 may be formed at the lower end side of the tubular body 110, and may be formed at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outer surface 117 of the tubular body 110. In addition, the fixing protrusion 113 may be formed in a long shape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tubular body 110 to be stably fixed to the fixing groove 133.

제1 안착홈(115)은 신축성 몸체(150)의 주름관(151)이 관체(110)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요소이다. 제1 안착홈(115)은 관체(110)의 내면(119)에 둘레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제1 안착홈(115)은, 신축성 몸체(150)가 음식물(F)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 공간(180)이 커질 수 있도록, 관체(110)의 상단 측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안착홈(115)에는 신축성 몸체(150)의 제1 탄성링(153)이 안착되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The first seating groove 115 is an element that allows the corrugated pipe 151 of the elastic body 150 to be fixed to the tubular body 110. The first seating groove 115 may be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the inner surface 119 of the tubular body 110. The first seating groove 115 may be formed at an upper side of the tubular body 110 so that the accommodation space 180 in which the elastic body 150 may accommodate food F may be enlarged. The first elastic ring 153 of the stretchable body 150 is seated in the first seating groove 115,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수납통(130)은 관체(110)를 수용하는 요소이다. 이를 위해, 수납통(130)은 상단이 개방되도록 형성되며, 이를 통해 관체(110)가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다. 수납통(130)의 하단은 음식물(F)이 새어 나오지 않도록 밀폐된다. 이를 위해, 수납통(130)의 베이스(141)는 측벽(143)과 함께 하나의 유닛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수납통(130)은 관체(110)가 삽입될 수 있도록, 관체(110)에 대응하는 형태로 이루어지며, 관체(110)보다 넓은 폭을 가질 수 있다. 수납통(130)도 관체(110)와 같이 음식물(F)에 대해 내구성이 강한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 등의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storage container 130 is an element accommodating the tubular body 110. To this end, the receiving container 130 is formed so that the top is open, through which the tubular body 110 can be raised or lowered. The lower end of the container 130 is sealed so that food (F) does not leak. To this end, the base 141 of the housing 130 may be formed as a unit together with the side wall 143. The storage container 130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tube body 110 so that the tube body 110 can be inserted, and may have a wider width than the tube body 110. The storage container 130 may also be made of a plastic material such as polypropylene (PP), polyethylene (PE), etc., which is durable against food (F) like the tubular body 110.

수납통(130)은 제2 모서리(131), 고정홈(133), 및 제2 안착홈(135)을 포함할 수 있다.The storage container 130 may include a second corner 131, a fixing groove 133, and a second seating groove 135.

제2 모서리(131)는 수납통(130)의 상단에 둘레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수납통(130)은 관체(110)보다 큰 폭을 가지므로, 양측 제2 모서리(131) 사이의 폭도 양측 제1 모서리(111) 사이의 폭보다 크게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제2 모서리(131)는 제1 모서리(111)를 둘러싸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second corner 131 may be formed to exten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the upper end of the storage container 130. Since the storage container 130 has a larger width than the tubular body 110, the width between the second side edges 131 is also larger than the width between the first side edges 111. Accordingly, the second corner 131 may be formed to surround the first corner 111.

고정홈(133)은 관체(110)가 수납통(130)에 고정되도록 하는 요소이다. 고정홈(133)은 수납통(130)의 내면(137)에 형성되며, 상술한 관체(110)의 고정 돌기(113)가 안착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고정홈(133)은 고정 돌기(113)에 대응하는 형상 및 사이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고정홈(133)은 고정 돌기(113)에 대응하여 수납통(130)의 일측 또는 양측 내면(137)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고정홈(133)은 수납통(130)의 높이 방향을 따라 복수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The fixing groove 133 is an element that allows the tubular body 110 to be fixed to the storage container 130. Fixing groove 133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137 of the receiving container 130, it is formed so that the fixing projection 113 of the above-described tubular body 110 is seated. Therefore, the fixing groove 133 may have a shape and size corresponding to the fixing protrusion 113. In addition, the fixing groove 133 may be formed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inner surface 137 of the housing 130 in response to the fixing protrusion 113. In addition, the fixing groove 133 may be formed in plural along the height direction of the storage container 13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제2 안착홈(135)은 신축성 몸체(150)의 주름관(151)이 수납통(130)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요소이다. 제2 안착홈(135)은 수납통(130)의 내면(137)에 둘레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제2 안착홈(135)은 수납통(130)의 하단 측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안착홈(135)에는 신축성 몸체(150)의 제2 탄성링(155)이 안착되며, 이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설명한다.The second seating groove 135 is an element that allows the corrugated pipe 151 of the elastic body 150 to be fixed to the storage container 130. The second seating groove 135 may be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the inner surface 137 of the storage container 130. The second seating groove 135 may be formed at the lower side of the storage container 130. The second elastic ring 155 of the elastic body 150 is seated in the second seating groove 135,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신축성 몸체(150)는 관체(110)와 수납통(130) 사이의 틈새(190)로 음식물(F)이 진행하는 것을 차단하는 요소이다. 신축성 몸체(150)는 주름관(151), 제1 탄성링(153), 및 제2 탄성링(155)을 포함할 수 있다. The elastic body 150 is an element that blocks the food (F) from proceeding to the gap 190 between the tubular body 110 and the housing 130. The elastic body 150 may include a corrugated pipe 151, a first elastic ring 153, and a second elastic ring 155.

주름관(151)의 내부에는 음식물(F)을 수용할 수 있도록 수용 공간(180)이 형성된다. 또한, 주름관(151)은 관체(110)가 이동하는 방향을 따라 신축되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주름관(151)은 관체(110)가 상승할 때 신장되고, 관체(110)가 하강할 때 수축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를 위해, 주름관(151)은 자바라와 같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An accommodating space 180 is formed inside the corrugated pipe 151 to accommodate food F. In addition, the corrugated pipe 151 is formed to stretch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tube body 110 moves. Specifically, the corrugated pipe 151 is elongated when the tubular body 110 rises, and is formed to be contracted when the tubular body 110 descends. To this end, the corrugated pipe 151 may be formed in a form such as bellows.

제1 탄성링(153)은 주름관(151)을 관체(110)의 내면(119)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요소이다. 제1 탄성링(153)은 주름관(151)의 상단에 주름관(151)의 둘레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제1 탄성링(153)은 제1 안착홈(115)의 둘레 방향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진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제1 탄성링(153)은 제1 안착홈(115)에 억지 끼움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1 탄성링(153)은 주름관(151)을 관체(110)에서 분리하여 별도로 세척할 수 있도록 제1 안착홈(115)에 탈부착이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1 탄성링(153)은 제1 안착홈(115)과 연결되는 부위에서 음식물(F)이 새어 나오지 않도록, 밀폐성이 우수한 폴리비닐알콜계 수지 또는 나일론 등의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first elastic ring 153 is an element for fixing the corrugated pipe 151 to the inner surface 119 of the tube body 110. The first elastic ring 153 may be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orrugated pipe 151 at the upper end of the corrugated pipe 151. The first elastic ring 153 has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circumferential length of the first seating groove 115. By such a configuration, the first elastic ring 153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seating groove 115 in an interference fit manner. In addition, the first elastic ring 153 i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first seating groove 115 so that the corrugated pipe 151 can be separated from the tubular body 110 and washed separately. The first elastic ring 153 may be made of a material such as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or nylon having excellent sealing properties so that food (F) does not leak from a portion connected to the first seating groove 115.

제2 탄성링(155)은 주름관(151)을 수납통(130)의 내면(137)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요소이다. 제2 탄성링(155)은 주름관(151)의 하단에 주름관(151)의 둘레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제2 탄성링(155)은 제2 안착홈(135)의 둘레 방향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진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제2 탄성링(155)은 제2 안착홈(135)에 탈부착이 가능하게 억지 끼움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탄성링(155)도 제2 안착홈(135)과 연결되는 부위에서 음식물(F)이 새어 나오지 않도록, 밀폐성이 우수한 폴리비닐알콜계 수지 또는 나일론 등의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second elastic ring 155 is an element that can fix the corrugated pipe 151 to the inner surface 137 of the housing 130. The second elastic ring 155 may be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orrugated pipe 151 at the lower end of the corrugated pipe 151. The second elastic ring 155 has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circumferential length of the second seating groove 135. By such a configuration, the second elastic ring 155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seating groove 135 by a detachable fitting method. The second elastic ring 155 may also be made of a material such as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or nylon having excellent sealing properties such that food (F) does not leak from a portion connected to the second seating groove 135.

덮개(170)는 수용 공간(180)에 저장된 음식물(F)이 부피 가변형 용기(100)의 상단으로 흘러나오지 않도록 밀폐하는 요소이다. 덮개(170)는 하측면에 가장자리를 따라 제1 리세스(171)와 제2 리세스(173)를 구비할 수 있다.The cover 170 is an element that seals the food F stor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180 so that the food F does not flow to the upper end of the variable volume container 100. The cover 170 may include a first recess 171 and a second recess 173 along an edge at a lower side thereof.

제1 리세스(171)는 관체(110)의 제1 모서리(111)가 수용되는 요소이다. 따라서, 제1 리세스(171)는 덮개(170)의 둘레 방향을 따라 제1 모서리(111)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리세스(171)는 제1 모서리(111)와의 밀폐식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제1 모서리(111)에 대응하는 단면을 가질 수 있다.The first recess 171 is an element in which the first edge 111 of the tubular body 110 is accommodated. Therefore, the first recess 171 may b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edge 111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over 170. In addition, the first recess 171 may have a cross sec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edge 111 so that the first recess 171 may be hermetically coupled to the first edge 111.

제2 리세스(173)는 수납통(130)의 제2 모서리(131)가 수용되는 요소이다. 따라서, 제2 리세스(173)는 덮개(170)의 둘레 방향을 따라 제2 모서리(131)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수납통(130)은 관체(110)보다 큰 폭을 가지므로 양측 제2 모서리(131) 사이의 폭도 양측 제1 모서리(111) 사이의 폭보다 크게 이루어진다. 따라서, 제2 모서리(131)에 대응하는 제2 리세스(173)는 제1 모서리(111)를 감싸도록 형성된다. The second recess 173 is an element in which the second edge 131 of the storage container 130 is accommodated. Therefore, the second recess 173 may b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edge 131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over 170. Here, since the storage container 130 has a larger width than the tubular body 110, the width between both side second corners 131 is also larger than the width between both side first corners 111. Therefore, the second recess 173 corresponding to the second edge 131 is formed to surround the first edge 111.

이하, 상술한 부피 가변형 용기(100)의 요소들의 작동 방식을 살펴본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elements of the variable volume container 100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부피 가변형 용기(100)는 본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수용 공간(180)이 최대의 부피를 갖는 팽창 상태(S1)에 있을 수 있다. 팽창 상태(S1)에서는 관체(110)가 최대로 상승하며, 고정 돌기(113)가 수납통(130)의 고정홈(133) 중 가장 위쪽에 형성된 고정홈(133)에 끼워져 고정된다. 또한, 고정 돌기(113)가 관체(110)의 하단 측에 형성되어, 수용 공간(180)의 부피가 더욱 커지게 된다. The variable volume container 100 may be in an expanded state S 1 in which the receiving space 180 has the maximum volume, as shown in this figure. In the expanded state S 1 , the tubular body 110 rises to the maximum, and the fixing protrusion 113 is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fixing groove 133 formed at the top of the fixing groove 133 of the storage container 130. In addition, the fixing protrusion 113 is formed on the lower end side of the tubular body 110, so that the volume of the receiving space 180 becomes larger.

팽창 상태(S1)에서 주름관(151)은 최대로 신장된 상태를 이룬다. 또한, 주름관(151)은 제1 탄성링(153)과 제2 탄성링(155)에 의해 각각 제1 안착홈(115)과 제2 안착홈(135)에 밀폐식으로 연결된다. 이에 따라, 수용 공간(180)에 저장된 음식물(F)이 관체(110)와 수납통(130) 사이의 틈새(190)로 흘러나오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팽창 상태(S1)에서는 제1 리세스(171) 만이 관체(110)의 제1 모서리(111)와 결합되고, 제2 리세스(173)는 제2 모서리(131)와 결합되지 않는다.In the expanded state (S 1 ), the corrugated pipe 151 has a state in which it is stretched to the maximum. In addition, the corrugated pipe 151 is hermet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seating groove 115 and the second seating groove 135 by the first elastic ring 153 and the second elastic ring 155, respectively. Accordingly, the food F stor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180 may be prevented from flowing out into the gap 190 between the tubular body 110 and the storage container 130. In the expanded state S 1 , only the first recess 171 is coupled to the first edge 111 of the tubular body 110, and the second recess 173 is not coupled to the second edge 131.

음식물(F)의 양이 줄어들어 수용 공간(180)에 빈 공간이 생기는 경우, 부피 가변형 용기(100)의 크기를 수축시킬 필요가 있다. 이 경우, 관체(110)에 적절한 외력을 가하면 고정 돌기(113)가 가장 위쪽 고정홈(133)에서 이탈되고 아래쪽 고정홈(133)으로 이동하여 다시 안착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수용 공간(180)에 저장된 음식물(F)의 양에 따라 부피 가변형 용기(100)의 높이를 단계적으로 줄일 수 있어 냉장고의 내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관체(110)는 하강 이동하여 수납통(130) 속에 내장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If the amount of food (F) is reduced to create an empty space in the accommodation space 180, it is necessary to shrink the size of the variable volume container 100. In this case, when an appropriate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tubular body 110, the fixing protrusion 113 is separated from the upper fixing groove 133 and moved to the lower fixing groove 133 to be seated again.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height of the variable volume container 100 can be reduced step by step according to the amount of food (F) stor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180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use the internal space of the refrigerator. The tubular body 110 may move downward and be embedded in the housing 130,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 3.

도 3은 도 1의 부피 가변형 용기(100)가 수축된 상태(S2)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FIG. 3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S 2 in which the variable volume container 100 of FIG. 1 is contracted.

본 도면을 참조하면, 부피 가변형 용기(100)는 수용 공간(180)에 저장된 음식물(F)의 양이 줄어들어 수용 공간(180)이 최소의 부피를 갖도록 형성되는 수축 상태(S2)에 있을 수 있다. 수축 상태(S2)에서는 관체(110)가 최대로 하강하며, 고정 돌기(113)가 수납통(130)의 고정홈(133) 중 가장 아래쪽에 형성된 고정홈(133)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제2 안착홈(135)은 수납통(130)의 하단 측에 형성되므로, 관체(110)의 하단 모서리는 주름관(151)에 걸리지 않게 된다. 또한, 주름관(151)은 상단이 관체(110)와 함께 하강하여 최소한의 높이를 갖도록 수축된다. Referring to this drawing, the variable volume container 100 may be in a contracted state S 2 in which the amount of food F stor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180 is reduced so that the accommodation space 180 is formed to have a minimum volume. have. In the contracted state S 2 , the tubular body 110 descends to the maximum, and the fixing protrusion 113 may be fitted into and fixed to the fixing groove 133 formed at the lowermost of the fixing grooves 133 of the storage container 130. . At this time, since the second seating groove 135 is formed at the lower side of the storage container 130, the lower edge of the tubular body 110 is not caught by the corrugated pipe 151. In addition, the corrugated pipe 151 is contracted to have a minimum height by lowering the top with the tubular body 110.

전술한 것과 같이, 관체(110)는 수납통(130)보다 약간 작은 높이를 가지므로, 수축 상태(S2)에서 제1 모서리(111)는 제2 모서리(131)와 서로 동일한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리세스(171)는 제1 모서리(111)와 결합되고, 이와 함께 제2 리세스(173)도 제2 모서리(131)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2 모서리(131)는 제1 모서리(111)를 둘러싸는 형태로 이루어지므로, 수용 공간(180)은 덮개(170)에 의해 이중으로 밀폐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tubular body 110 has a height slightly smaller than that of the storage container 130, so that the first edge 111 may be disposed at the same height as the second edge 131 in the contracted state S 2 . Can be. Accordingly, the first recess 171 may be coupled to the first edge 111, and the second recess 173 may also be coupled to the second edge 131. In addition, since the second edge 131 is formed to surround the first edge 111, the accommodation space 180 may be double sealed by the cover 170.

수축 상태(S2)에서는 부피 가변형 용기(100)의 높이가 최소화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음식물(F)의 양이 줄어들었을 때 이를 별도의 작은 용기에 옮겨 담을 필요 없이 부피 가변형 용기(100)의 높이를 수축시켜 음식물을 편리하게 보관할 수 있다.In the contracted state S 2 , the height of the variable volume container 100 is minimized. Therefor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when the amount of food (F) is reduced, it is possible to conveniently store food by shrinking the height of the variable volume container 100 without having to transfer it to a separate small container.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피 가변형 용기(100')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4 (a)는 부피 가변형 용기(100')의 팽창 상태(S1)를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 4 (b)는 도 4 (a)의 부피 가변형 용기(100')의 수축 상태(S2)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4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 variable volume container 100 ′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ally, Figure 4 (a)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panded state (S 1 ) of the variable volume container 100 ', Figure 4 (b) is a view of the variable volume container 100' of Figure 4 (a). a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 contracted state (S 2).

도 4 (a) 및 도 4 (b)를 참조하면, 부피 가변형 용기(100')는 전술한 실시예와 유사한 구성을 가지는 관체(110'), 수납통(130'), 신축성 몸체(150'), 및 덮개(17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부피 가변형 용기(100')에 대하여 전술한 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4 (a) and 4 (b), the variable volume container 100 'is a tubular body 110', a container 130 ', a flexible body 150' having a configuration similar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 And a cover 170 '. Hereinafter, the variable volume container 100 'will be mainly described with a difference from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관체(110')의 외면(117)에는 제1 체결 돌기(121)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체결 돌기(121)는 후술할 체결 날개(175)의 제1 체결구(177)에 체결되도록 형성된다. 제1 체결 돌기(121)는 관체(110')의 상단 측에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fastening protrusion 121 may b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117 of the tubular body 110 ′. The first fastening protrusion 121 is formed to be fastened to the first fastener 177 of the fastening blade 175 to be described later. The first fastening protrusion 121 may be formed at an upper end side of the tubular body 110 ′.

수납통(130')의 외면(139)에는 제2 체결 돌기(145)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체결 돌기(145)는 후술할 체결 날개(175)의 제2 체결구(179)에 체결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와 달리, 수납통(130')에는 제2 안착홈(135)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설명한다.The second fastening protrusion 145 may b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139 of the storage container 130 ′. The second fastening protrusion 145 is formed to be fastened to the second fastener 179 of the fastening blade 175 to be described later. In addition, unlik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second mounting groove 135 may not be formed in the storage container 130 ′,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신축성 몸체(150')는 하단이 막힌 신축성 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신축성 몸체(150')는 하단을 밀폐하기 위한 별도의 요소가 요구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신축성 몸체(150')는 제2 탄성링(155)이 구비되지 않을 수 있으며, 수납통(130')에도 제2 안착홈(135)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The elastic body 150 ′ may be formed of an elastic bag with a closed bottom. Thus, the flexible body 150 'does not require a separate element to seal the bottom. Accordingly, the elastic body 150 ′ may not be provided with the second elastic ring 155, and the second mounting groove 135 may not be formed in the accommodation container 130 ′.

덮개(170')는 양측에 체결 날개(175)를 가질 수 있다. 체결 날개(175)는 가요성을 가지므로 아래쪽으로 휘어질 수 있다. The cover 170 ′ may have fastening wings 175 on both sides. The fastening wing 175 may be bent downward because it has flexibility.

체결 날개(175)에는 제1 체결구(177)와 제2 체결구(179)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체결구(177)는 관체(110')의 제1 체결 돌기(121)와 결합되고, 제2 체결구(179)는 수납통(130')의 제2 체결 돌기(145)와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체결구(177)와 제2 체결구(179)는 각각 제1 체결 돌기(121)와 제2 체결 돌기(145)에 대응하는 사이즈로 형성된다. The fastener 175 may have a first fastener 177 and a second fastener 179. The first fastener 177 is coupled to the first fastening protrusion 121 of the tubular body 110 ', and the second fastener 179 is coupled to the second fastening protrusion 145 of the storage container 130'. Can be. Accordingly, the first fastener 177 and the second fastener 179 are formed to have sizes corresponding to the first fastening protrusion 121 and the second fastening protrusion 145, respectively.

덮개(170')는 전술한 실시예와 달리 제2 리세스(173, 이하 도 2 참조)가 형성되지 않을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설명한다.Unlik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cover 170 ′ may not have a second recess 173 (see FIG. 2),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이하, 상술한 부피 가변형 용기(100')의 요소들의 작동 방식을 살펴본다.The operation of the elements of the variable volume container 100 ′ described above will now be described.

부피 가변형 용기(100')는 도 4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팽창 상태(S1)에 있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 탄성링(155)과 제2 안착홈(135, 이상 도 2 참조)이 구비되지 않아, 관체(110')의 상승에 의해 신축성 몸체(150')가 신장되지 않는다. 그 대신, 신축성 몸체(150')가 신축성 백으로 형성되어, 수용 공간(180)에 음식물(F)이 수용되면, 신축성 몸체(150')는 음식물(F)의 자중으로 인해 자연적으로 신장된다. 따라서, 신축성 몸체(150')의 하단이 고정되지 않더라도, 수용 공간(180)은 팽창 상태(S1)일 때 최대의 공간을 가질 수 있다. The variable volume container 100 ′ may be in an expanded state S 1 as shown in FIG. 4 (a). In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second elastic ring 155 and the second seating groove 135 (see FIG. 2 above) are not provided, the elastic body 150 'is not extended by the rise of the tubular body 110'. Instead, the elastic body 150 ′ is formed of an elastic bag, and when the food F is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180, the elastic body 150 ′ is naturally stretched due to the weight of the food F. Therefore, even if the lower end of the elastic body 150 ′ is not fixed, the accommodation space 180 may have a maximum space when in the expanded state S 1 .

또한, 신축성 몸체(150')는 신축성 백으로 형성되어 밀폐성이 우수하다. 따라서, 제2 리세스(173)를 통해 제2 모서리(131)를 밀폐하지 않더라도, 음식물(F)이 관체(110')와 수납통(130') 사이의 틈새(190)로 새어 나올 염려가 적다. In addition, the elastic body 150 ′ is formed of an elastic bag and has excellent sealing property. Therefore, even if the second edge 131 is not sealed through the second recess 173, the food F may leak into the gap 190 between the tubular body 110 ′ and the storage container 130 ′. little.

팽창 상태(S1)에서 체결 날개(175)가 아래쪽으로 휘어지면, 제1 체결 돌기(121)가 제1 체결구(177)에 체결된다. 이에 의해, 관체(110')의 제1 모서리(111)는 덮개(170')의 제1 리세스(171)에 더욱 밀착될 수 있다.When the fastening wing 175 is bent downward in the expanded state S 1 , the first fastening protrusion 121 is fastened to the first fastener 177. As a result, the first edge 111 of the tubular body 110 ′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recess 171 of the cover 170 ′.

부피 가변형 용기(100')는 도 4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수축 상태(S2)에 있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체결 돌기(121)가 관체(110')의 상단 측에 형성된다. 따라서, 제1 체결 돌기(121)는 관체(110')가 하강하여 수축 상태(S2)에 이를 때까지 제2 모서리(131)에 걸리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부피 가변형 용기(100')는 수축 상태(S2)일 때 최소한의 높이를 가질 수 있다.The variable volume container 100 ′ may be in a retracted state S 2 as shown in FIG. 4 (b).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fastening protrusion 121 is formed on the upper end side of the tubular body 110 '. Therefore, the first fastening protrusion 121 is not caught by the second corner 131 until the tubular body 110 'is lowered to reach the contracted state S 2 . Accordingly, the variable volume container 100 ′ may have a minimum height when in the contracted state S 2 .

신축성 몸체(150')는 팽창 상태(S1)에서 수축 상태(S2)로 줄어들 때, 하단이 수납통(130')의 베이스(141)에 지지되면서 수축된다. 따라서, 신축성 몸체(150')의 하단을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요소가 요구되지 않는다. When the elastic body 150 ′ is reduced from the expanded state S 1 to the contracted state S 2 , the elastic body 150 ′ is contracted while being supported by the base 141 of the storage container 130 ′. Thus, no separate element is required to secure the bottom of the stretchable body 150 '.

수축 상태(S2)에서는 체결 날개(175)가 아래로 휘어질 때, 제1 체결구(177)와 제2 체결구(179)가 각각 제1 체결 돌기(121)와 제2 체결 돌기(145)에 체결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수납통(130')과 덮개(170')에 강한 장력이 가해지더라도 수납통(130')과 덮개(170')가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음식물을 보다 안정적으로 운반 또는 휴대할 수 있다.In the contracted state S 2 , when the fastening blade 175 is bent downward, the first fastener 177 and the second fastener 179 are respectively the first fastening protrusion 121 and the second fastening protrusion 145. Can be fastened to According to such a configuration, even when a strong tension is applied to the housing 130 'and the lid 170', the housing 130 'and the lid 17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refore, food can be transported or carried more stably.

상기와 같은 부피 가변형 용기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Such a variable volume container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manner of operation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The embodiments may be configured so that all or some of the embodiments may be selectively combined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100,100': 부피 가변형 용기 110,110': 관체
111: 제1 모서리 113: 고정 돌기
115: 제1 안착홈 130,130': 수납통
131: 제2 모서리 133: 고정홈
135: 제2 안착홈 145: 제2 체결 돌기
150,150': 신축성 몸체 151: 주름관
153: 제1 탄성링 155: 제2 탄성링
170,170': 덮개 171: 제1 리세스
173: 제2 리세스 175: 체결 날개
177: 제1 체결구 179: 제2 체결구
180: 수용 공간 190: 틈새
100,100 ': variable volume container 110,110': tubular
111: first corner 113: fixing projection
115: first seating groove 130,130 ': storage container
131: second corner 133: fixing groove
135: second seating groove 145: second fastening protrusion
150,150 ': Elastic body 151: Corrugated pipe
153: first elastic ring 155: second elastic ring
170,170 ': cover 171: first recess
173: second recess 175: fastening wing
177: first fastener 179: second fastener
180: accommodation space 190: gap

Claims (9)

수납통;
상기 수납통의 내부에 상기 수납통의 일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관체;
상기 관체의 내면에 둘레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1 안착홈;
상기 수납통과 상기 관체 사이의 틈새로 음식물이 진행하는 것을 차단하도록 형성되는 신축성 몸체; 및
상기 신축성 몸체의 둘레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제1 안착홈에 안착되어서 상기 관체의 이동시 상기 신축성 몸체가 상기 일 방향을 따라 신축되도록 하는 제1 탄성링을 포함하는, 부피 가변형 용기.
Storage container;
A tubular body installed inside the storage container so as to be movable along one direction of the storage container;
A first seating groove formed in an inner surface of the tube along a circumferential direction;
Elastic body is formed to block the progress of food in the gap between the housing and the tube; And
And a first elastic ring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elastic body and seated in the first seating groove to allow the elastic body to expand and contract along the one direction when the tubular body mov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성 몸체는, 상기 관체의 이동시 상기 일 방향을 따라 신축되도록 형성되는 주름관을 포함하는, 부피 가변형 용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stretchable body, the variable volume container including a corrugated tube is formed to be stretched along the one direction when the movement of the tubular body.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성 몸체는, 상기 수납통 및 상기 관체의 내부에 배치되는 신축성 백을 포함하는, 부피 가변형 용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flexible body, the variable volume container comprising a flexible bag disposed inside the housing and the tubular body.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통은, 상기 수납통의 내면에 둘레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2 안착홈을 포함하고,
상기 신축성 몸체는, 상기 제2 안착홈에 안착되도록 상기 신축성 몸체의 둘레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2 탄성링을 포함하는, 부피 가변형 용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storage container includes a second seating groove formed in an inner surface of the storage container along a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stretchable body includes a second elastic ring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stretchable body to be seated in the second seating groov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체는, 상기 관체의 외면에 형성되는 탄성의 고정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수납통은, 상기 수납통의 내면에 상기 고정 돌기가 수용되도록 형성되는 고정홈을 포함하는, 부피 가변형 용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tubular body includes an elastic fixing protrusion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tubular body,
The storage container, the variable volume container comprising a fixing groove formed to receive the fixing projections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torage contain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체는 상단에 상기 관체의 둘레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1 모서리를 포함하고,
상기 수납통은 상단에 상기 수납통의 둘레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2 모서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모서리가 수용되도록 형성되는 제1 리세스; 및
상기 제2 모서리가 수용되며, 상기 제1 리세스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제2 리세스를 구비하는 덮개를 더 포함하는, 부피 가변형 용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tubular body includes a first edge formed at the top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tubular body,
The storage container includes a second corner formed at the top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storage container,
A first recess formed to receive the first edge; And
And a lid having a second recess in which the second edge is received and having a second recess formed to enclose the first recess.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관체는, 상기 관체의 외면에 형성되는 제1 체결 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납통은, 상기 수납통의 외면에 형성되는 제2 체결 돌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덮개는, 상기 제1 체결 돌기와 체결되도록 형성되는 제1 체결구와, 상기 제2 체결 돌기와 체결되도록 형성되는 제2 체결구를 구비하는 가요성의 체결 날개를 더 포함하는, 부피 가변형 용기.
9. The method of claim 8,
The tubular body further includes a first fastening protrusion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tubular body,
The storage container further includes a second fastening protrusion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storage container,
The cover further includes a flexible fastening wing having a first fastener formed to be engaged with the first fastening protrusion, and a second fastener formed to be fastened to the second fastening protrusion.
KR1020120128669A 2012-11-14 2012-11-14 Volume variable container KR10137038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8669A KR101370388B1 (en) 2012-11-14 2012-11-14 Volume variable contai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8669A KR101370388B1 (en) 2012-11-14 2012-11-14 Volume variable contain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0388B1 true KR101370388B1 (en) 2014-03-10

Family

ID=506475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8669A KR101370388B1 (en) 2012-11-14 2012-11-14 Volume variable contai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0388B1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1060B1 (en) * 2018-06-11 2018-08-22 김윤수 Liftable laundry basket
KR101891799B1 (en) * 2017-11-24 2018-08-24 주식회사 반석테크 Mobile silo with adjustable tank
KR101923375B1 (en) * 2017-03-17 2018-11-29 손영남 food packaging unit
KR101970693B1 (en) 2018-10-12 2019-04-19 주식회사 제이에스스퀘어 Variable volume type container
WO2019245089A1 (en) * 2018-06-22 2019-12-26 손영남 Variable food packaging containe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41779A (en) 2000-05-31 2001-12-11 Yoshino Kogyosho Co Ltd Tablet storing container
KR20080081526A (en) * 2007-03-05 2008-09-10 서선자 Multipurpose cooking lid
KR20090002376U (en) * 2007-09-04 2009-03-09 장기홍 Variable heating contain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41779A (en) 2000-05-31 2001-12-11 Yoshino Kogyosho Co Ltd Tablet storing container
KR20080081526A (en) * 2007-03-05 2008-09-10 서선자 Multipurpose cooking lid
KR20090002376U (en) * 2007-09-04 2009-03-09 장기홍 Variable heating container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3375B1 (en) * 2017-03-17 2018-11-29 손영남 food packaging unit
KR101891799B1 (en) * 2017-11-24 2018-08-24 주식회사 반석테크 Mobile silo with adjustable tank
KR101891060B1 (en) * 2018-06-11 2018-08-22 김윤수 Liftable laundry basket
WO2019245089A1 (en) * 2018-06-22 2019-12-26 손영남 Variable food packaging container
KR101970693B1 (en) 2018-10-12 2019-04-19 주식회사 제이에스스퀘어 Variable volume type contain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0388B1 (en) Volume variable container
EP1910174B1 (en) Folding container
US9463915B2 (en) Compressible packaging assembly
US9199761B2 (en) Compressible packaging assembly
US20170369212A1 (en) Vapor-tight container
KR20210154075A (en) Cooler bag and foldable cooler bag
KR200473480Y1 (en) Lunch package with meal plate
CN109561755A (en) For packing the packaging of product, especially cosmetic composition
KR101092853B1 (en) Disposable vessel
KR102272617B1 (en) Cooler Bag
KR100673992B1 (en) A airtight box two-stage locking device
KR200491150Y1 (en) Folding type food container
KR101679025B1 (en) Container attached with a magnet
KR101682293B1 (en) A airtight container
KR102352535B1 (en) Cover and airtight container comprising the same
KR100732247B1 (en) Water tight structure for domestic containers
KR101312607B1 (en) Silicone vessel
KR20160115336A (en) Lunch box
KR100673997B1 (en) A airtight box two-stage locking device
KR200469248Y1 (en) Lunch package with meal plate
KR102374700B1 (en) Bottle Cap Having Straw Hole
US10633157B2 (en) Airtight container having deformable cover unit or deformable container unit
KR20220006576A (en) Containers for storing personal care products
KR20120110854A (en) Airtight container
KR200478760Y1 (en) isolation type airtight contai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