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7552B1 - 캡슐에서 음료를 준비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캡슐에서 음료를 준비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7552B1
KR101367552B1 KR1020087011400A KR20087011400A KR101367552B1 KR 101367552 B1 KR101367552 B1 KR 101367552B1 KR 1020087011400 A KR1020087011400 A KR 1020087011400A KR 20087011400 A KR20087011400 A KR 20087011400A KR 101367552 B1 KR101367552 B1 KR 1013675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sule
beverage
wall
enclosure
over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14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78641A (ko
Inventor
마띠유 오잔느
Original Assignee
네스텍 소시에테아노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네스텍 소시에테아노님 filed Critical 네스텍 소시에테아노님
Publication of KR200800786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86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75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75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47J31/0615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with special arrangements for making tea or the like, e.g. where the infusion liquid is kept a certain time in the filter before flowing ou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2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 A47J31/3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 A47J31/36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 A47J31/360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with a mechanism arranged to move the brewing chamber between loading, infusing and ejecting stations
    • A47J31/3623Cartridges being employ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2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 A47J31/3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 A47J31/36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 A47J31/360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with a mechanism arranged to move the brewing chamber between loading, infusing and ejecting stations
    • A47J31/3623Cartridges being employed
    • A47J31/3628Perforating mean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0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dispensing means for adding a measured quantity of ingredients, e.g. coffee, water, sugar, cocoa, milk, te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804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 B65D85/8043Packages adapted to allow liquid to pass through the contents
    • B65D85/8061Fil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 Tea And Coffee (AREA)

Abstract

음료 기계에 삽입되어 있는 캡슐 (2) 을 통해 음료를 준비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캡슐은 1 종 이상의 음료 원료를 포함하는 인클로저 (20) 를 포함하고, 우려내기 유체가 상기 인클로저에 유입되어 상기 1 종 이상의 음료 원료를 우려내고, 우려낸 액체는 여과 벽 (22) 에 의해 여과되어 상기 캡슐에서부터 전달되며, 상기 여과벽은 실질적으로 인클로저의 하부에서부터 연장되고, 상기 여과 벽은 오버플로우 벽 (3) 과 연관되어 있으며 우려낸 액체가 적어도 1 종 이상의 오버플로우 구멍을 (25) 횡단하게 한다. 상기 방법은 특히, 캡슐을 포함하는 차 (tea) 를 우려내는데 적합하다.

Description

캡슐에서 음료를 준비하는 방법 {METHOD FOR PREPARING A BEVERAGE FROM A CAPSULE}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음료 원료를 포함하는 캡슐로부터 음료를 준비하여 전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방법으로 다른 음료도 성공적으로 우려낼 수 있겠지만 본 발명은 캡슐과 음료 기계에서부터 특히 차 (tea) 를 우려내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적합한 음료 기계에서 우려낼 캡슐을 사용하는 다른 음료 준비 방법은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잎 차 제품을 포함하는 캡슐에서 고품질의 차 음료를 전달할 수 있는 방법은 기존에 없다.
차 음료의 품질은 잎 차 원료 즉, 사용되는 차의 원산 (토양, 건조, 혼합 등) 의 품질과 저장 상태에 크게 의존한다. 예를 들면, 차 원료는 보통 산소와 빛에 민감하다. 바람직한 차 원료은 푸석푸석한 (loose) 잎에서 취득하거나, 작은 크기로 잘라지거나, 빻아진다. 그러나, 사용되는 시작 원료의 질을 완전히 잘 이용하는데는 차를 우려내는 조건도 역시 중요하다.
차 음료가 갖는 다른 문제점은 교차 오염 맛 (섞인맛) 으로 이는 바람직하게 피해져야 한다. 두 개의 캡슐이 기계에서 차례대로 우려지고, 제 1 캡슐 후에 우려지는 제 2 캡슐 맛에 결과적으로 영향을 줄 수도 있는 잔여맛이 기계의 영구부의 제 1 캡슐에 남게 되는 경우에 교차 오염 맛이 난다. 이러한 점은 박하맛 차나 풍미가 꽤 많이 더해진 다양한 차와 같이 높은 아로마성을 전달하는 특정한 종류의 다양한 티에게 있어서 중요한 사안이다. 또한, 차 잔류물은 박테리아가 성장할 배양토가 될 수도 있으며, 이는 위생문제를 일으켜 논의될 필요가 있다.
캡슐에서부터 커피 음료 추출하는 상업적으로 성공한 하나의 방법은, 캡슐의 내부 압력이 폐쇄 막이 찢기거나 뚫려서 유체 추출물이 캡슐에서 방출될 수 있는 수치에 도달할 때까지 캡슐로 고온수를 분사하는 방법으로서, 추출 장치로 공기와 물이 침투될 수 없는 캡술을 포함한다. 그러한 원리가 EP 0512 470 에 기재되어 있다. 이 방법은 고품질의 에스프레소 종류의 커피를 제공한다. 가루 커피는 캡슐 안에 신선하게 채워지고, 향의 상당한 손실 없이 몇 개월 동안 저장되어 질 수 있다. 캡슐에 물이 분사된 시점부터 압력하에서 막의 지연된 개방으로 인해, 커피를 방출하는 것은 조금 지연된다. 결과적으로, 커피는 최상의 압력과 열 상태하에 완전히 추출될 수 있다. 이 방법에 있어서 또한 특징적인 점은 고압력과 압력 방출 가스 구속 조건으로 인해, 안정적이고 두꺼운 크레마나 거품이 생성되는 것이다.
그러나 그러한 방법은 차나 허브차와 같은 음료를 우려내거나 제조하는 것을 수행하는데는 적합하지 않다. 그 이유는 맛에 있어서, 상기 음료는 너무 혼탁한 맛을 갖고, 또한 바람직하지 않은 거품 층이 포함되는 불량한 결과를 가져온다. 그러므로, 그러한 방법으로는 놀랍게도 차 음료의 우수한 질에 이를 수 없다.
캡슐을 포함하는 제조물에 압력을 사용하는 다른 방법은 너무 혼탁한 맛과 불량한 상품 농도 및/또는 차 전문가들에게 만족스럽지 못한 품질의 차 음료만을 전달한다.
구운 커피와 빻은 커피를 포함하는 캡슐은 공지되어 있는데, 온수는 중량 측정력 하에 이 캡슐을 통과하여 흐른다. 이 일반적인 종류의 캡슐은 영국 특허 No. 1397116 에 기재되어 있다. 이 방법으로, 카트리지의 정상부에서부터 물이 분사되어 빻은 커피를 통과하여 여과기를 거쳐 결국 피어싱 구멍이나 바닥측의 구멍을 통과하여 흘러내려 간다. 더 구체적인 시스템은 US 2002/0148356 에서와 같이 절두 원뿔 카트리지나 US 2002/0148357 에서와 같은 직사작형의 카트리지를 이용하는 바와 유사한 접근방법에 근거한다.
EP 0 615 921 은 커피나 잎 차나 초콜렛용으로 튼튼한 카트리지에 관한 것이다. 이 음료 패키지는 상방으로 흐르는 물로 이용된다. 물의 유동을 이 음료 패키지를 통해 촉진하기 위하여 이 패키지의 측벽은 물 불침투 재로로 형성된다. 추가된 밀폐 패키지가 상기 카트리지를 둘러싸도록 사용되지 않으면, 원료의 신선함은 충분히 오랫동안 유지될 수 없다는 점이 문제가 된다. 그러한 해결 방안의 다른 문제점으로는 이 패키지로부터 개봉된 후에 음료가 용기 (컵, 머그, 유리,...) 에 적절하게 전해질 수 없다는 것이다.
EP 1 101 430 은 가압된 (약 1.4 내지 1.7 bar) 물이 카트리지의 상측을 통해 하방으로 제공되고 음료가 이 카트리지의 하측에서 모아지는 음료 여과기 카트리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 문헌은 가압된 고온수가 하측을 통과하여 음료 제품으로 상방으로 유입되는 경우의 해결방안도 고려한 것이다. 그러나, 이 해결 방안에서는 유입구가 바닥에서부터 정상부까지 여과기와 침전 생성물을 가로지르고, 마지막에 물이 유체 매개 원료를 통과하여 바닥 유출구까지 흘러내려 간다. 상기 특허 출원에 따르면, 가압된 온수의 도입은 찌꺼기로 음료 가루를 짜내어 더 효과적으로 그 가루를 투과한다.
EP 1 440 904 A1 은 챔버 내의 하나 이상의 음료 원료과 매개물의 상호작용함으로부터 음료를 제조하기 위해 수성 매개물의 유입과 유출 모두를 수용하도록 카트리지가 수평 방향으로 놓여 있을 때, 사용시 구멍이 뚫릴 수 있는 바닥 뚜껑을 갖추는 카트리지에 관한 것이다. 이 문헌에 따르면, 카트리지를 수평으로 배치하는 것은 이용시, 수성 매개물이 카트리지를 최적으로 통과하여 흐르도록 허용하고, 이에 반해 수직방향의 카트리지로는 물이 중력 때문에 너무 빨리 흘러내려, 음료 원료를 우회할 수도 있다. 그러므로, 이 문헌은 수평방향 카트리지가 특히, 유입구와 유출구 위치 간의 유동의 상방 요소를 위해 배치함으로써 상기 문제를 피하게 하는 것을 청구한다.
그러나, 이러한 점은 놀랍게도 카트리지의 바닥에 더 탁하게 제조된 음료 부분이 (나머지 음료보다 더 큰 밀도 때문에) 머무르는 경향이 있다. 그러므로, 음료 농축도는 캡슐의 바닥에 남겨져 있는 더 농후한 음료 부분 예컨대 결국 컵으로 전달되지 않는 부분을 캡슐 내에 형성하는 경향이 있다. 결국, 컵 안의 차 음료의 결과물은 초기 양호한 질의 원료를 이용함에도 불구하고 불충분한 품질이 되어버리기도 한다.
그러므로,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할 필요가 있다.
본 출원에서는, "캡슐" 또는 "카트리지" 또는 "패키지" 라는 용어는 같은 유의어로 생각한다. 용어 "캡슐" 이 우선적으로 이용될 것이다. "우려내기 (brewing) " 또는 "인퓨젼 (infusion) " 이라는 용어는 유의어로 사용된다. "우려내기 유체" 는 일반적으로 음료 원료를 우려내는데 사용되는 액체를 칭하며, 더 일반적으로는 온수이다.
본 출원에서는, "차" 란 예를 들어 녹차, 블랙티, 화이트티, 차이티, 가향차, 허브티, 과일티와 같은 차와 그의 혼합물인 모든 종류의 잎 차를 포괄한다. 상기 "잎 차" 또는 "잎 원료" 란 예컨대 완전하거나 잘려지거나 조각난 잎과 같이 작은 크기의 잎이나 가루나 분말 형태 등 어떠한 형태이든지에 상관없이 우려질 수 있는 차 또는 다른 원료를 일컫는다.
본 발명은 음료 기계의 음료 캡슐로부터 음료를 우려내는 새로운 방법으로서 이하의 이점을 제공한다.
- 음료의 품질을 향상하는데 특히, 컵 음료의 적절한 농축액, 좋은 맛과 감소된 혼탁도를 제공하는 방법.
- 생산하는 것이 덜 비싸고, 덜 복잡한 캡슐을 포함하는 방법.
- 더 깨끗한 음료를 전달하고, 교차 오염맛 (섞인맛) 과 위생문제를 줄이거나 제거하는 방법.
- 캡슐을 사용하는데 있어서, 즉 사용되는 캡슐의 삽입과 수집시의 편리성을 향상시키는 방법.
상기 뿐만 아니라 다른 가능한 목적을 위하여, 본 발명은 음료 기계에 삽입되어 있는 캡슐을 통해 음료를 준비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캡슐은 하나 이상의 음료 원료를 포함하는 인클로저 (enclosure) 를 포함하고,
우려내기 유체가 상기 인클로저에 유입되어, 바람직하게는 이 인클로저에 주입되어 상기 하나 이상의 음료 원료를 우려낸다.
이 우려낸 액체는 여과 벽에 의해 여과되어, 캡슐로부터 전달된다.
더욱이, 상기 여과 벽에 관련되어 오버플로우 벽이 배치되고, 이 여과벽을 가로지르는 여과된 액체는 상기 오버플로우 벽의 하나 이상의 오버플로우 구멍을 통과하도록 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오버플로우 구멍은 인클로저의 중앙 수평면의 상방에 위치된다. 상기 오버플로우 벽은 여과 수단을 통해 여과되는 우려진 액체의 적어도 일부분이 오버플로우 구멍을 극복하기 위해 여과 수단 이후에 상방으로 가도록 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액체의 상기 부분은 적어도 상기 인클로저에 위치된 더 농후한 부분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방법의 일 태양에 따르면, 어떤 이론적 모델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사이펀" (siphon) 과 유사한 효과를 얻을 수 있어 상기 농후한 액체가 캡슐을 나가서 분배될 수 있도록 작용하고, 이와 동시에 음료 원료는 상기 유체에 의해 잠기게 되고, 이로써 우회 구역을 피하고, 원료가 우려내기 유체와 완전히 상호작용하는 것을 확실하게 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방법은 농후한 액체를 포획할 수 있는 중력 측정 탑 다운 방향 우려내기의 장점과, 모든 제품이 완전히 그리고 천천히 잠겨지는 상향 우려내기의 장점을 결합하게 되고 그러나, 상기 각 우려내기 원리의 단점을 수반하지는 않는다.
일 태양에서, 여과 수단은 벽이다.
바람직하게도, 상기 여과 수단은 오버플로우 구멍 아래에서부터 위치되어 있고, 우려져 여과된 액체의 하부는 상방으로 움직여 오버플로우 구멍으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여과 수단은 오버플로우 벽에 근접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여과벽은 실질적으로 상기 인클로저의 전체 횡단면을 따라 더 바람직하게는 인클로저의 바닥에서 이 인클로저의 정상부까지 연장되어 있다. 따라서, 이 여과벽은 우려진 액체를 위한 충분히 넓은 여과면을 갖게 되며, 이러한 넓은 여과면은 유량이 허용 가능한 범위 내에 있게 하면서 인클로저 내의 낮은 우려내기 압력과 느린 유동 속도에 유리하다.
일 태양에서, 오버플로우 벽은 틈 공간을 사이에 두고 여과 수단의 전방에 형성되어 있다. 이 구성은, 인클로저의 하부에 있는 농후한 액체가 여과벽을 횡단하여 상기 틈 공간에서 상방으로 움직일 수 있게 해주는 "사이펀" 효과를 촉진시키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농후한 액체는 상기 인클로저의 하부에 더 이상 구속되지 않고, 그러나 그렇게 형성된 상기 틈 공간을 통해 밖으로 나올 수 있다. 상기 틈 공간의 치수는 0.1 내지 8 ㎜ 이고 바람직하게는 약 0.5 내지 3 ㎜ 일 수 있다.
일 태양에 있어서, 상기 오버플로우 구멍은 인클로저의 3/4 높이 위에 위치되어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이 구멍이 실질적으로 인클로저의 상단과 수평방향으로 정렬되어진다. 그 결과, 음료 원료의 전체가 적절하게 잠기고, 결론적으로 음료 원료에 의한 인클로저의 충전 높이에 관계없이 적절하게 우려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있어서, 유체 분사 압력이 최저로 유지될 때, 음료의 현저한 품질 향상을 달성한다. 특히, 상기 음료는 덜 혼탁하고 맛은 더 좋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우려내기 유체가 0.2 bar 이하, 바람직하게는 0.1 bar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대기압에서부터 0.1 bar 까지의 상대 압력으로 인클로저에 들어간다.
본 발명의 내용에서, "상대 압력" 이라는 말은 캡슐의 유입구의 외부 (실질적인 배압 밸브 하방으로) 에서 측정된 압력을 의미하며, 이는 주변 대기압 이상의 압력값을 말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서, 여과 수단은 미리 만들어진 여과기이며, 오버플로우 벽은 우려내기 전에 개방되는 캡슐의 벽을 밀봉한다. 이 구조는 캡슐과 기계 사이의 상호작용이 더 적다는 이점을 제공하여, 위생이나 오염의 문제점이 덜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 미리 만들어진 여과 수단은 바람직하지 않은 불용성 입자를 우려진 액체에서 제거하는 기능을 갖는 여과 매체이다. 이 여과 매체는 플라스틱, 호일, 부직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종이 재료 및 이들의 조합물을 포함하지만 여기에 한정하지는 않는 다양한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이 여과 매체는 우려낸 용액의 자유로운 통과를 허용하는 하나 이상의 여과 오리피스를 포함하고, 동시에 바람직하지 않은 상당한 양의 불용성 원료 입자의 통과를 막는다. 특히, 차 음료에 있어서 여과 매체가 미세하게 잘려지지거나 조각나거나 부서진 잎의 입자로부터 얻은 대부분의 견고한 차의 입자를 인클로저 내부에 유지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상기 여과기는 인클로저 내의 수압하에 많이 변형되지 않을 정도로 튼튼한 것이 바람직한데, 그렇지 않으면 틈 공간을 막고 상방으로의 음료 유동을 차단한다. 그러므로, 종이 여과기에 있어서는, 여과기 G.S.M (평방미터당 그램수) 가 10 g/㎡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15 g/㎡ 이상이어야 한다. 또한, 인클로저 내부는 저압을 유지하여야 하고, 이로써 여과기의 유체 침투성은 음료가 여과기를 큰 저항없이 천천히 가로지르는데 충분해야 한다. 이를 위해, 여과기의 침투성은 1200 ℓ/㎡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1650 ℓ/㎡ 이상이어야 하는 여과기의 공기 침투성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오버플로우 벽과 여과 수단은 일체적으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여과 수단은 오버플로우 벽에서 돌출된 복수 개의 작은 바늘로도 형성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바늘 사이에 틈 공간이 형성되는 것이다.
제조 공정의 초기에 압력이 많이 상승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오버플로우 실링벽은 상기 인클로저에 상당한 양의 유체가 들어오기 전에 바람직하게 개방되어지기도 한다. 오버플로우 구멍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오버플로우 벽이 만들어낸 배압이 이에 따라 상당히 감압될 수 있으며, 제조 사이클을 시작할 때 압력 상승을 상당히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오버플로우 벽의 구멍은 예컨대 결정된 오버플로우 위치에서 실링벽에 구멍을 낸다든지, 미리 설정된 구멍을 덮는 제거 가능 막을 벗겨내는 것과 같은 다양하고 상이한 방법으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그러나, 본질적으로 편의성을 이유로, 개방은 상기 실링벽을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구멍을 뚫음으로써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링벽에 구멍을 뚫는 것도 역시 다양하고 상이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한 가지 바람직한 실시예로는 캡슐의 일부인 기계식 천공기를 사용하는 것으로서, 이 경우 음료와 기계부의 상호 작용이 적고 이로써 교차 오염이나 세척을 덜 발생시게 된다. 이 기계식 천공기는 기계식/유압식의 기계 중재없이도 사용자에 의해 수동적으로 또는 기계 기동 시스템 (예를 들어, 솔레노이드 피동 푸셔) 을 이용하여 기동될 수 있다.
가능한 대체방안으로는, 기계의 일부인 기계식 또는 유압식 천공기에 의해 하나 이상의 오버플로우 구멍이 만들어진다. 기계식 천공기는 하나 이상의 바늘 또는 블레이드 일수도 있다. 유압식 천공기는 시간에 맞추어 오버플로우 벽에 구멍을 뚫을 수 있는 충분한 속도를 갖는 하나 이상의 유동 제트일 수 있다.
다른 가능한 실시 형태로는, 오버플로우 벽이 미리 제조된 적어도 하나의 오버플로우 구멍을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오버플로우 구멍은 그 캡슐 자체의 구조에 의해 미리 만들어질 수도 있다. 상기 오버 플로우 벽은 캡슐에 내부에 있어 외부 폐쇄막에 의해 보호될 수 있다. 이 폐쇄막은 인클로저에 포함되어 있는 원료의 신선도를 계속 유지하는 것을 향상시키는 기밀 방식으로 캡슐을 폐쇄할 수 있다. 상기 폐쇄막은 상기 캡슐의 일부이거나 캡슐의 외부에 있는 (즉, 캡슐을 수용하는 기계의 일부) 천공기에 의해 구멍이 뚫릴 수도 있다. 상기 폐쇄막은 캡슐에서부터 제조된 음료를 전달하는 출구를 형성하기 위하여 구멍이 뚫릴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인클로저에 아주 큰 양압이 없는 곳에서 이 막에 구멍이 뚫린다.
상기 오버플로우 벽의 구멍의 갯수는 중요하지는 않다. 하나의 예를 들면, 밀봉 또는 오버플로우 벽은 상기 벽을 관통하는 단일 구멍을 형성하기 위해 개방되어 인클로저로부터 여과기를 통해 음료가 방출된다. 상기 오버플로우 구멍은 음료가 충분한 유량으로 나가고 지나치게 높은 배압이 형성되지 않도록 충분한 개구 영역을 남겨두어야만 하고, 이로써 인클로저의 내부 압력은 상대적으로 낮게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우려진 액체는 하방으로 오버플로우 개구에서 음료관 통해 음료 유출구로 안내된다.
그러므로, 간단한 캡슐 구조를 유지하고, 기계에서 캡슐을 쉽게 다룰 수 있게 하는 동시에 상기 제조액을 용기 (컵, 머그 등등) 로 적절하게 그리고 위생적으로 분배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방법은 캡슐을 실질적으로 수직방향으로 배치시키고 음료를 오버플로우 개구 위치에서 하방으로 음료의 유출구까지 전달하는 것을 고려한다. 결과적으로, 유체가 인클로저와 틈 공간에서 충분히 상방 수평방향으로 이동할지라도, 캡슐은 기계에서 수직방향으로 위치되어 동안에는 음료는 하방으로 분배된다. 이 접근은 기계 내의 캡슐을 수평 배치 하는 경향이 있는 기존의 시스템에 대해 상당한 이점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캡슐을 통해 더 양호한 품질로 우려내기 위해,유동이 더 천천히 제어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체 캡슐 시스템은 상당히 간소화되고 캡슐을 더 용이하게 다룰 수 있다.
실로, 캡슐이 수직 방향으로 위치될 수 있으므로 캡슐 삽입과 캡슐 제거는 용이해지는데 그 이유는 캡슐이 기계의 상부에서부터 수직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어, 기계가 개방되는 동안 사용자의 중재 또는 복잡한 배출 장치 필요없이 간단히 중력과 동일한 축선 또는 방향을 따라 제거될 수 있기 때문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음료관과 음료 분배 출구는 캡슐의 일부이며, 기계의 일부와의 직접 접촉 없이 캡슐에서부터 음료가 흐른다. 이와 더불어 이러한 점은 기계 부분을 더 이상 세척하거나 헹구지 않아도 되고, 교차 오염도 없앨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여과 수단은 캡슐의 실링벽이며, 우려내기 중에 제자리에 머무르는 다수의 개별 천공 부재에 의해 구멍이 뚫리고, 오버플로우 벽은 구멍 뚫린 캡슐의 실링벽과 대면하는 외벽이다. 바꿔 말하면, 여과기는 구멍 뚫린 실링벽과 기계의 천공 부재의 결합에 의해 얻어진다. 상기 천공 부재가 실링벽과 천공 형성으로 결합되어 있을 때, 매우 작은 틈이 남겨져 우려진 액체가 그곳을 지나가고 이때, 고형물 입자는 주로 인클로저 내부에 머물러 있게 된다. 이 구조는 캡슐과 기계 사이에서 생산 상호 작용이 더 일어남에도 불구하고, 캡슐이 더 간소해지며 비용이 더 줄어드는 이점을 갖게된다.
필요시, 추가 여과 매체가 이용될 수도 있다.
대안으로서, 개별 천공 부재는 우려내기를 위해 제거될 수도 있고, 여과 매체는 인클로저 내부에 이용될 수 있다.
상기 개별 천공 부재는 바늘, 블레이드, 피라미드, 또는 실링벽의 작고, 개별적인 분산된 구멍을 형성하는 다른 동등한 천공 수단일 수도 있다.
실시 형태에서, 유체는 여과벽을 마주보는 인클로저의 입구 벽을 통과하여 캡슐안으로 들어온다. 다시, 종래 기술의 지침과 대조적으로, 유체는 캡슐의 어떠한 가능한 측에서도 들어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모든 이점 다시 말해, 고품질로 우려내기 위한 저속 유동, 음료를 컵으로 안내시키는 것을 제어하고, 교차 오염을 줄이며, 기계의 캡슐을 용이하게 다룰 수 있는 모든 이점을 유지하면서, 유체가 반대측에서 들어오게 된다. 상기 "반대측" 접근은 우선 물이 원료를 통과하여 완전히 가로지를 수 있고 일측에서 주입 유체 시스템을 위한 더 넉넉한 공간을 남겨둘 수도 있어 캡슐 시스템 (캡슐 및 기계 둘다) 의 컴팩트화에 기여하므로 선호된다.
본 발명은 또한,
하나 이상의 음료 원료를 포함하는 인클로저를 포함하는 음료 캡슐과,
결정된 우려내기 위치의 캡슐을 유지하는 캡슐 조작 부재를 포함하는 우려내기 장치와,
상기 인클로저에서 나가는 우려낸 액체를 여과하기 위해 제공되어 있는 여과벽을 포함하는 음료를 준비하는 음료 캡슐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 오버플로우 벽이 여과벽에 연관되어 위치에 있으며, 이 여과벽을 가로질러 여과된 액체는 오버플로우 벽의 적어도 하나의 오버플로우 구멍을 통과하도록 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오버플로우 구멍은 인클로저의 중앙 수평면의 상방에 위치되어 있다. 상기 오버플로우 벽은 오버플로우 구멍을 극복하기 위하여 이 여과벽을 통과한 후에 여과벽을 통과하는 여과된 우려진 액체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방으로 이동되도록 구성 되어 있다. 이 유체의 일부분은 인클로저에 위치되어 있는 농후한 부분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제 1 실시형태에 따라 본 발명의 방법을 수행하는 우려내기 캡슐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2 는 캡슐의 우려내기 동안, 도 1 의 제조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3 은 제 2 실시형태에 따라 본 발명의 방법을 수행하는 우려내기 캡슐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4 는 캡슐의 우려내기 동안, 도 3 의 우려내기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캡슐의 사시도이다.
도 6 은 도 5 의 캡슐을 중앙 수직 평면 A 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7 은 도 5 의 캡슐의 덮개나 뚜껑의 외부 사시도이다.
도 8 은 도 5 의 캡슐의 덮개나 뚜껑의 내부 사시도이다.
도 9 는 도 5 의 덮개나 뚜껑의 내부 평면도이다.
도 10 은 도 5 의 캡슐의 컵 형상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11 은 우려내기 장치에서 도 5 내지 도 10 의 캡슐의 삽입 단계를 나타낸다.
도 12 는 캡슐에 관한 우려내기 장치의 폐쇄 단계를 나타낸다.
도 13 은 우려내기 장치에서 우려지기 전에 캡슐의 오버플로우 구멍을 만드는 양상을 나타낸다.
도 14 는 우려내기 장치에서부터 캡슐의 제거 단계를 나타낸다.
도 15 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따라 절두 원뿔 캡슐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6 은 도 15 의 캡슐의 중앙 평면 B 의 I-I 방향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7 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따라 직사각형 캡슐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8 은 도 17 캡슐의 중앙 평면 B 의 Ⅱ - Ⅱ 방향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9 는 제 6 실시형태에 따라 캡슐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20 은 도 19 의 캡슐의 중앙 평면 B 의 Ⅲ - Ⅲ 방향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21 은 제 7 실시형태에 따라 주 캡슐의 개략적인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2 는 도 21 의 캡슐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23 은 도 22 의 다양한 캡슐의 단면도이다.
이제, 본 발명의 방법의 일반적인 원리를 가능한 제 1 모드에 있어서, 도 1 및 도 2 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가능한 제 2 모드에 있어서, 도 3 및 도 4 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 1 모드에 있어서, 캡슐 시스템 (1) 은 캡슐 (2) 및 음료 제조 장치 (10) 를 포함하여 제공되어 있다. 단순성을 위해, 음료 제조 장치는 개략적으로만 표시하였으며, 실제로는 당업자의 통상의 지식범위 내에서 추가적인 기술적 특징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캡슐은 잎차 등과 같은 음료 원료를 담는 인클로저 (20) 를 포함한다. 이 인클로저는 컵 형상의 하우징 (21) 및 이 하우징 (21) 의 내주단 (23) 에 고정 부착되어 있는 여과벽 (22) 에 의해 경계가 정해진다. 하우징은 원형, 타원형, 정사각형, 직사각형 또는 다각형 단면과 같이, 실제로 여과벽 (22) 의 일반적인 윤곽을 결정하는 다양한 단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인클로저는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10 그램, 바람직하게는 2 내지 5 그램 사이의 잎 음료 원료의 양을 수용하는 크기이다. 상기 잎 원료의 양은 제조되는 음료의 최종 분량에 의존할 수도 있다. 차 한 잔에 있어서, 통상적인 잎 원료의 양은 약 2 그램이 될 수 있는 반면, 차주전자에 있어서, 통상적인 잎 원료의 양은 약 8 내지 10 그램이 될 수 있다. 도 1 에 명확히 도시된 바와 같이, 여과벽 (22) 이 실질적으로 인클로저의 바닥으로부터 실질적으로 수직방향으로 있도록 상기 캡슐은 우려내기 장치 (10) 에 대해 위치되어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캡슐은 상기 우려내기 제조 장치 (10) 내에서 “수직”배열로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 기 컵 형상의 하우징 (21) 은 그의 넓은 개구와 바닥이 수직이 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캡슐은 인클로저 (20) 를 밀봉적으로 폐쇄하는 실링벽 (3) 에 의해 폐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링벽은 예를 들면 상기 컵 형상 하우징의 주위 외부 테두리 (24) 에 부착된다.
실링벽과 하우징은 모두 산소 차단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고, 인클로저는 음료 원료의 신선도가 장시간동안 보존될 수 있도록 실질적으로 산소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실링벽은 가요성 막 또는 반 강성 플라스틱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층막 또는 다층막, 통상적으로는 PET/알루미늄/PP 적층물, PE/EVOH/PP 적층물, PET/금속화/PP 적층물, 알루미늄/PP 적층물과 같이 천공 가능 실링 막이 바람직하다.
인클로저는 산소를 포함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며, N2, N2O, CO2 와 같은 플러쉬된 (flushed) 비활성 가스를 포함할 수 있다.
캡슐은 또한 상기 하우징 (21) 의 테두리 (24) 에 부착되고 실링벽 (3) 과 겹쳐지는 덮개 (4)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덮개는 유출구 (41) 에 의해 그 측단부에서 끝나는 내부 채널 (40) 을 형성한다.
상기 캡슐의 형상은 많이 중요하지는 않다. 형상은 상이한 이유로 절두 원뿔형, 타원형, 반구형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형상은 구멍이 뚫리는 경우 실링벽을 통과하는 음료 배출을 위한 더 넓은 표면과 내압의 감소를 허용한다. 상기 하우징은 또한 플라스틱 열성형 또는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 플라스틱 딥드로잉에 의해 저비용으로 산업적 제조가 가능해질 수도 있다. 또한 매끄러운 코너를 갖는 이러한 형상은 조작 부재의 제거 및 캡슐의 배출에 유리하다.
음료 제조 장치 (10) 는 캡슐을 정의한 바와 같이 “수직” 배열로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캡슐 조작 부재 (30, 31) 를 포함한다. 이러한 조작 부재 (30, 31) 는 캡슐 주위에서 개폐될 수 있고 그 캡슐을 제 위치에 확고히 유지할 수 있는 기계 죠오 (machine jaw) 또는 어떤 적절한 기계식 엔클로징 수단일 수도 있다. 캡슐 내의 관련 유체 압력이 비교적 낮고 가능한 대기압에 가깝게 유지되기 때문에 높은 폐쇄력을 제공할 필요는 없다. 또한, 캡슐은 낮은 제조 압력을 견딜 수 있기 때문에, 캡슐은 전체적으로 닫혀있을 필요는 없으며 음료 제조 시에 물이 새지 않도록 위치에 단순히 유지되면 된다. 이로 인해 상기 장치를 단순화하게 할 수 있으며 기계 비용이 감소된다.
상기 음료 제조 장치는 물탱크와 같은 물 공급부 (32), 물 펌프 (33), 히터 (34) 및 조작 부재 (30) 를 통해 관리되는 온수 주입 라인 (35) 을 포함한다. 상기 음료 제조 장치는 또한 공지된 바와 같이 음료 조제 사이클을 관리하는 제어부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보드 (도시 생략) 를 포함할 수도 있다. 입구측 또는 캡슐 내의 주입 부재 (38) (예컨대 바늘 또는 블레이드 및 물 유입구) 에서의 압력을 낮추기 위해 배압 밸브 (36) 가 구비될 수 있다. 물론, 배압 밸브는 생략 가능하며, 낮은 압력에서 유체를 전달하는 저압 펌프가 사용될 수도 있다. 하지만, 강건 및 신뢰성 때문에 중압 내지 고압 펌프가 바람직하며, 배압 밸브와 함 께 사용될 수도 있다.
음료 제조 장치는 인클로저의 오버플로우 위치에서 실링벽에 구멍을 뚫는 수단 (37) 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도 1 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천공 수단 (37) 은 캡슐 주위에 조작 부재 (30, 31) 가 폐쇄된 후 작동될 수 있다. 천공 수단은 덮개 (4) 와 실링벽 (3) 을 관통하여 오버플로우 구멍 (25) 을 형성시키고, 그 다음에 상기 구멍 (25) 이 완전히 열리게 되도록 이 구멍 (25) 으로부터 후퇴되어진다.
중요한 것은, 도 2 에 도시되어 있는 음료 제조 작동에 있어서, 상기 캡슐은 최종적으로 적어도 인클로저의 중앙 수평면 (P) 의 상부에 오버플로어 구멍 (25) 이 있는 오버플로우 벽 (3) 을 포함한다. 도 2 에 명확히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여과벽 (22) 및 오버플로어 벽 (3) 은 틈 공간 "s" 을 만들기에 충분히 짧은 거리로 떨어져 있으며, 이론에 제한 받는 것은 아니지만, 이 공간은 인클로저 바닥에 주로 국한되어 있는 더 농후한 음료 부분의 상향 운동을 촉진할 수 있는 일종의 "사이펀" 으로서 작용한다.
도 2 와 관련해서, 본 발명의 방법은 이하와 같이 작용한다. 실링벽이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배열되도록 캡슐이 우려내기 장치 내에 삽입되고 캡슐 조작 부재는 캡슐 주위에서 폐쇄된다. 실링벽 (3) 에 구멍을 뚫고 뒤로 빠져나와 구멍을 개방시키는 천공 수단 (37) 에 의해 오버플로우 구멍 (25) 이 만들어진다. 캡슐의 반대편에서는, 유체 주입 부재가 캡슐의 인클로저 내에 삽입된다. 이로 인해 온수는 비교적 낮은 압력, 바람직하게는 0.2 bar 이하의 압력에서 캡슐 내 로 주입된다. 고온수는 서서히 캡슐을 채우고 인클로저 내의 음료 원료를 잠기게 한다. 제조된 음료는 여과벽 (22) 을 통하여 여과된다. 더 농후한 음료 부분 (5) 은 인클로저의 바닥에 침전하려는 경향이 있으며, 여과벽이 이 부분 근방에 적절히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여과벽을 통해 또한 여과된다. 더 농후한 음료는 틈 공간 "s" 을 통해 빠져나가며, 이 틈 공간은 그의 하부와 상부 사이의 압력 변화에 의해 발생되어 "사이펀" 과 유사하게 작용하게 된다. 나머지 음료 또한 상이한 수직 높이에서 여과벽을 통과해 인클로저 내에 있는 유체의 상부 높이까지 감으로써도 여과되며 오버플로우 구멍 (25) 으로 빠져나간다.
오버플로우 구멍은 상기 인클로저의 전체 높이의 3/4 이상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인클로저의 전체 높이의 4/5 이상에 위치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며, 이로 인해 음료 원료가 보다 완전하고 확실하게 침수가 되며, 인클로저로부터 음료가 더 천천히 배출되어 더 양호한 우려내기 과정에 유리하다.
인클로저의 "전체 높이" 는, 상기 캡슐이 우려내기 작업을 위해 준비된 음료 제조 기계 내에 위치되어 있는 경우, 인클로저의 최하부 지점과 최상부 지점 사이의 총 거리를 의미한다. 일 태양에서, 여과벽은 인클로저의 전체 높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제조된 액체가 직접, 용기 (6) (예를 들어, 컵, 머그 등) 에 분배되는 곳에서 "직접 유동" 이 얻어진다. "직접 유동" 이란, 제조된 액체가 유출구를 빠져나올때 어떠한 영구적인 장치도 만나지 않도록 유출구가 음료 제조 장치에 대해 배치된다는 것이다. 다시말해, 상기 유출구는 충분히 낮게 또한 캡슐 조작 부재 에서부터 옆으로 떨어져 배치되어, 배출시 이러한 부재와 액체의 어떠한 많은 접촉을 피하게 된다.
도 1 과 도 2 를 따르는 제조 방법의 주요 원리는 다양한 변형 및 등가물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오버플로우 벽 (3) 은 구멍이 뚫려지지 않을 수도 있으나, 미리 잘린 오버 플로우 구멍에 의해 미리 개방될 수는 있다. 이 미리 잘린 오버 플로우 구멍이란 캡슐의 제조 단계에서 이미 형성되어 있는 구멍을 의미한다. 음료 원료의 신선도는 밀봉된 유출구 (이는 제조 직전에 밀봉 해제) 를 갖는 기밀 폐쇄 덮개 또는 캡슐을 둘러싸는 기밀 오버 랩 패키지의 사용과 같은 다른 방법으로 유지될 수도 있다.
또한, 캡슐은 덮개 (4) 와 채널링 기능이 없을 수도 있다. 이 경우, 전방 조작 부재 (31) 는 제조된 액체가 오버플로우 벽 (3) 을 지나 용기로 내려갈 때, 이 제조된 액체를 수집하도록 설계되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상당히 상이한 변형예를 도 3 과 도 4 에 관하여 기술한다. 단순성을 위해, 여기서 도 1 과 도 2 의 실시형태와 동일한 기술적 수단이나 특징은 동일한 참조 번호를 사용한다. 상이한 점은 캡슐이 음료 제조 기계의 일부인 오버플로우 벽과 음료 채널 및 유출구를 더 이상 유지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따라서 휠씬 더 간단하고, 저렴한 캡슐과 더 복합적인 제조 장치가 얻어지지만, 일반적인 음료 제조 원리에 있어서, 이는 등가적인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따라서, 캡슐은 컵 형상의 하우징 (21) 및 예를 들어 주변의 실링 가장자리 (24) 를 따라 하우징 (21) 에 밀봉되어 부착된 실링벽 (26) 으로 경계가 정해진다. 실링벽 (26) 은 하우징을 불침투적으로 폐쇄시키는 가요성 천공 가능 부재이다. 상기 인클로저는 산소가 포함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며, N2, N2O, CO2 와 같은 플러쉬된 상태의 비활성 가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오버플로우 벽은 음료 제조 장치의 일부이며, 참조 번호 "3B" 로 도시되어 있다. 이 벽의 표면상에는, 캡슐의 실링벽과 대향하는 복수의 천공 부재 (39) 가 제공되어 있다. 이러한 천공 부재는 실질적으로 실링벽 표면의 3/4 이상 및 바람직하게는 실링벽 표면의 대략 80 % 내지 100 % 를 덮는 표면에 걸쳐 분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중요하게는, 상기 천공 부재는 엔클로져 바닥에 침전되어 있는 더 농후한 제조된 액체의 일부를 빼낼 수 있도록 인클로저의 바닥 근방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있어야한다.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법은 우선 상기 장치 내에 캡슐 삽입이 용이하게 되도록 천공 부재 (39) 를 실링 표면에서부터 충분히 멀리 떨어져 있게 한 상태에서 음료 제조 장치의 두 개의 캡슐 조작 부재 (30, 31) 사이에 캡슐을 배치하는 것으로 개시될 수 있다. 이 캡슐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캡슐의 주변 가장자리 (24) 와 결합하는 적합한 홀딩 시스템 (310) 에 의하여 장치를 폐쇄하기 전에 제자리에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캡슐을 음료 제조하는 동안, 음료 제조 장치는 캡슐 주위에서 폐쇄되어 천공 부재 (39) 가 캡슐의 실링벽 (26) 에 구멍을 뚫는다. 천공 배열에서 천공 요소 (39) 와 실링벽의 조합은 인클로저를 나가는 제조된 액체를 여과하는데 충분한 여과 수단을 형성할 수 있다.
방출되는 제조된 액체의 혼탁도를 제거하기에 충분히 효과적인 여과가 이루어지도록 천공 요소의 개수, 형태 및 크기가 선택될 수 있다. 이러한 천공 요소의 특징은 또한 인클로저내에 압력을 상승시키고 음료의 품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수 있는 배압이 너무 크게 생성되지 않도록 선택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천공 요소의 개수는 10 내지 100 개, 바람직하게는 20 ~ 40 개이다. 천공 요소의 천공 단면은 0.01 mm ~ 2 mm, 바람직하게는 0.1 mm ~ 1mm 로 다양할 수 있다. 형상은 원뿔형, 원통형, 정사각형, 별모양, 피라미드형 등이 될수 있다.
그러므로, 제조된 유체는 천공 부재에 의해 형성된 오리피스와 상기 부재의 표면 사이에서 여과되어져서, 구멍이 뚫린 실링벽 (26) 과 이 실링벽 (26) 과 대향하는 음료 제조 장치의 오버플로우 벽 (3B) 사이에 제공되어 있는 틈 공간 "s" 에 방출된다. 천공 부재 (39) 의 제한된 길이에 걸쳐 실링벽 (26) 에 구멍을 뚫고, 캡슐 조작 부재 및/또는 이들 사이에 배치되는 접합수단의 단계적 배열로 상기 틈 공간이 생성될 수 있다. 이로써, 제조된 액체는 제조된 층의 특정 밀도에 따라 인클로저의 상이한 수직방향 높이에서 실링벽을 통과하여 상기 공간에 모아질 수 있고, 이 공간을 통과하여 전방 캡슐 조작 부재 (31) 에 속해있는 오버플로우 구멍 (250) 으로 배출된다. 그리고 나서, 이 제조된 유체는 음료 유동 채널 (400) 에서 음료 유출구 (410) 를 향해 하방으로 안내되어, 음료의 직접 유동으로서 컵에 원만하게 분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는 도 5 내지 도 10 에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방법을 수행하는 다양한 음료 캡슐 (2) 을 도시한다.
상기 음료 캡슐 (2) 은 하나 이상의 음료 원료를 포함하는 인클로저 (20) 를 포함한다. 이 인클로저 (20) 는 컵형상 쉘 (21) 과 여과벽 (22) 의 조립으로 형성되어 있다. 실링 출구 벽 (3B) 은 상기 쉘 (21) 을 밀봉적으로 폐쇄하고, 이하 설명하는 바와 같이 오버플로우 벽의 목적에 알맞다. 더욱이, 상기 캡슐은 하우징 (21) 의 주변 테두리 (42) 에 부착되는 주변 태두리가 있는 덮개나 뚜껑 (4) 을 더 포함한다. 이 뚜껑과 하우징 사이의 연결은 접착, 용접, 스냅 끼워맞춤 및 이들의 조합에 의해 이루어진다.
출구 실링벽 (31) 은 강성 또는 반강성 또는 비강성 재료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다. 적당한 재료는 플라스틱, PET, 알루미늄 호일, 폴리머 필름 및 종이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바람직한 모드에서, 상기 벽은 가스 배리어를 갖고 있고 단층 또는 적층으로 이루어진 가요성 막이며, 제조시 비활성 기체의 플러슁 또는 유사한 기술에 의해 인클로저에서 산소가 상당히 제거되며, 이로써 사용 전에 음료 원료의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뚜껑은 하나 이상의 천공 수단 또는 천공 표시 수단 (8) 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사실, 상기 캡슐은 실링벽에 하나 이상의 오버플로우 구멍을 생성할 수 있도록 이 실링벽 (3B) 에 상대적으로 위치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천공 수단 (8) 을 포함한다. 여기에 나타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캡슐이 두 개의 천공 수단 (8A, 8B) 을 포함한다. 캡슐에 있는 두 개의 천공 수단의 필요성은 이하 설명으로 명백해지겠지만, 간단히 말해서 제조 기계에서 다른 방향에 있는 캡슐을 이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캡슐을 조작하는 사용자에게 더 나은 편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캡슐이 작동시 음료 제조 장치 (10) 에 작동 위치될 때, 상기 천공 수단은 인클로저 (20) 의 중심을 지나는 수평면을 나타내는 중앙 평면 (B) 에 대해 편심 배열로 위치된다.
이 바람직한 모드에서, 캡슐은 하나의 천공 수단 (8A, 8B) 과 하나의 음료 유출구 (41A, 41B) 로 이루어진 두 시리즈 (각각 "A" 와 "B" 로 표시) 를 포함하는데, 각 시리즈는 실링 출구 벽의 중앙 중심 평면 (B) 에 대해 편심되어 위치되며 서로에 대해 마주보게 되어 있다. 특히, 상기 천공 수단과 상기 유출구의 두 시리즈 (8A, 41A; 8B,41B) 는 실링 출구 벽의 중심 평면을 가로지르는 중앙 평면에 대해 대칭적으로 위치되어 있다.
그러한 구성의 주요 이점은 캡슐이 두 가능한 방향 (서로 약 180 ˚를 이룸) 으로 배향될 수도 있으며, 따라서 기계 내 캡슐의 삽입 및 배치가 용이하게 된다는 것이다. 물론, 시리즈의 갯수는 2 개를 초과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짝수개로, 예컨대 4 개의 시리즈이며, 이 경우 4 개의 시리즈는 90˚ 의 각도로 둘로 그룹화되며, 이로 인해 기계내에 4 개의 다른 가능한 방향을 제공한다.
또 상기 캡슐은 여과벽 (22) 을 포함하고, 이 여과벽은 실링벽에 대해 짧은 거리를 두고 있어 이들 사이에 틈 공간 "s" 이 존재하게 된다. 상기 여과벽은 예를 들어, 용접, 접착, 스냅 끼워맞춤 또는 어떤 동등한 수단과 같이 적합한 연결 수단으로 하우징의 주변 단차부 (23) 에 부착될 수 있다. 필터 매체는 플라스틱, 호일, 부직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종이 재료 및 이의 조합물을 포함하는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 다양한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음료 유동 전달 수단 (40) 은 실링 출구 벽에 대해 외부이면서 근접한 곳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과적으로, 캡슐이 수직으로 배향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상기 음료 유동 전달 수단과 음료 유출구를 경유하여 컵으로 하방으로 곧바로 안내되어 질 수 있도록 상기 캡슐의 유출구 벽이 수직으로 배향된다. 부가적인 이점은, 기계를 나가는 음료가 이 기계의 일부와 접촉하지 않고 컵으로 직접 내려가게 되므로 상기 캡슐이 "직접 유동" 이 될 수 있다는 점이다. 이는 교차 오염을 줄이고 세정을 줄일수 있다는 이점을 준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천공 수단 (8A, 8B) 과 음료 유출구 (41A, 41B) 가 실링 유출구 벽 또는 엔클로져의 중심 또는 평면 (B) 에 대해 편심된 두 상호 반대편 지점에 각각 위치되어 있다. 음료가 대략 가장 높은 지점에서 엔클로져를 나가, 캡슐의 대략 가장 낮은 반대편 지점에서 유출구를 나간다는 사실로부터, 향상된 음료 제조 작업을 위해 캡슐을 수직방향으로 유지시킬수 있으며 컵안으로 음료의 "직접 유동" 을 발생시킬 수 있다는 조합된 이점이 얻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음료 유출구 (8A, 8B) 중 하나는 음료 제조 장치에서 캡슐의 방향에 따라 음료가 오버플로우 위치에서 방출되는 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음료를 방출할 수 있게 하방으로 배향된다. 이러한 구조는 음료가 직하방으로 컵안으로 방출되도록 기계에 캡슐을 배향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며, 따라서 이는 기계와의 접촉이 없는 "직접 유동" 에 유리하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유동 전달 수단 (40) 은 한번에 두 시리즈 (A,B) 에 의해 공유된다. 결과적으로 캡슐의 구조는 합리적이며 생산하는데 비용이 덜 든다.
도 7 또는 도 9 에서 특히 더 잘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음료 제조 장치로 삽입하는 특정 방향을 장려하고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게 캡슐이 성형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캡슐은 축 방향 길이 (L) 와 이보다는 더 짧은 횡방향 길이 (W) 를 갖는 기다란 형태로 제공될 수 있는데,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천공 수단 (8A, 8B) 과 적어도 하나의 유출구 (41A, 41B) 는 실질적으로 축 방향 길이를 따라 위치되어 있다.
천공 수단 (8A, 8B) 은 도 8 및 도 9 에서 더 잘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스프링 편향식 기계식 천공 부재를 포함한다. 각 부재는 뚜껑의 나머지 부분과 일체로 이루어진 하나의 가요성 플라스틱 텅 (810) 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텅은 이 텅의 만곡단부 (811) 에서 실링벽에 충분한 단면의 오버플로우 구멍을 만들수 있도록 충분히 큰 내부 스파이크 (812) 를 지지한다. 이 텅의 부착 단부 (813) 에서, 이 텅은 뚜껑의 횡표면의 표면에 일체로 연결된다. 상기 두 개의 천공 수단과 유출구는 따라서 이 뚜껑의 장축을 따라 배열된다.
상기 뚜껑의 내부 오목부 (81) 에서는, 벽의 내부 (820, 821) 가 서로에 대해 평행하게 그리고 천공 수단의 각 측에 제공되어 있다. 상기 벽 부분 (820) 은 오목부 (81) 에 대해 수직하게 내부로 연장하고, 실링벽 (3B) 근처에 도달한다. 상기 벽의 내부는 오버플로우 구멍으로부터 뚜껑에서 반대편에 위치되어 있는 각 출구까지 제조된 액체의 유동을 안내할 수 있는 내부 채널 (40) 을 형성하기 위해 두 개의 유출구 (41A, 41B) 에 근접한 지점에서부터 형성되어 있다.
도 10 은 캡슐 하우징 또는 쉘 (21) 을 도시한다. 특히, 하우징은 산소 베리어나 어떠한 적합한 음식물 등급 중합체를 포함하며 열성형, 블로우성형 또는 사출 성형된 PP 또는 PP 적층물과 같은 플라스틱 또는 딥 드로잉된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중합체 적층물로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은 실질적으로 평평한 실링부를 구성하기 위해 플랜지로서 연장되어 있는 주변 테두리 (24) 를 갖는데, 상기 실링부에는 실링벽이 밀봉되고 덮개 (4) 가 스냅 끼워맞춤 및/또는 밀봉될 수 있다. 테두리의 반경 방향 안쪽에는 작은 스텝 (23) 이 형성되어 있고, 여과벽이 이 스텝에 수용되어 스텝의 편평한 반경부에 밀봉되거나 다르게 연결된다. 이 스텝의 깊이는 여과벽의 두께와 사이펀 효과를 제공하는 틈 공간의 제어에 의존한다. 예를 들어, 여과벽은 0.1 mm ~ 1.5 mm 범위일 수 있고, 이때 스텝의 깊이는 0.2 mm ~ 5 mm 범위인 반면 틈 공간은 0.1 mm ~ 3.5 mm 이다.
하우징의 후방에서, 하우징 벽은 캡슐 내에 유체의 유입을 위한 주입 영역을 구성하는 레이징 영역 (26) 을 포함할 수 있다. 그래서 이 레이징 영역은 주입 장치 (38) 의 압축력에 저항하여 중심부에서 더 용이하게 구멍을 뚫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천공 수단은 단순한 천공 표시 수단으로 교체될 수 있는데, 예컨대 도 1 의 실시형태와 유사한 방법으로 음료 제조 장치의 외부 천공기를 안내하도록 전략적으 로 위치되며 뚜껑을 관통하여 제공되는 하나 이상의 구멍이 있다.
도 11 내지 도 14 는 음료 제조 과정과 도 5 내지 도 10 의 캡슐 중 상기 음료 제조 과정과 관련된 기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삽입부터 제거까지 캡슐을 조작시의 편의와 관련한 음료 제조 장치에서 캡슐의 "수직' 배열의 이점은 상기 도면에서 더 명백해진다.
음료 제조 모듈의 실시예를 캡슐의 삽입 모드 및 배출 모드를 각각 나타내는 도 11 과 도 14 와 관련하여 더 자세히 설명한다. 음료 제조 모듈 (3B) 은 두 개의 주 캡슐 조작 부재 (30, 31) 를 포함하는데, 이들은 결합하여 도 5 의 캡슐 (2) 주변에서 폐쇄하도록 협력한다. 전방 조작 부재 (31) 는 음료 제조 장치 (완전히 도시되어 있지는 않음) 에 대하여 고정될 수 있는 반면, 후방 조작 부재 (30) 는 부재 (31) 에 대해 움직일 수 있다. 이는 반대일 수도 있는데, 즉 전방 부재가 움직이고 후방 부재는 고정되거나, 또는 전방과 후방 부재 모두 움직일 수 있다. 상기 전방 조작 부재는 음료 제조 장치에 캡슐을 삽입할 수 있는 안내 삽입 수단 (320) 을 갖는다. 이 삽입 수단 (320) 은 캡슐의 각 측에 위치되어 캡슐의 테두리 (24) 와 결합하는 두 개의 측면 슬롯 (320) 을 포함하는 측면 부재일 수 있다. 상기 슬롯은 캡슐이 장치 내에서 중력에 의해 점차 내려감에 따라 캡슐을 전방 조작 부재 가까이에 점차적으로 보내도록 전방 조작 부재를 향해 약간 경사질 수 있다. 캡슐이 일단 삽입되면 캡슐이 제자리에 유지되도록 하는 유지 수단 (310) 이 조작 부재의 하부에 제공되어 있다. 이로써, 캡슐의 테두리 (24) 의 하부는 유지 수단 (310) 의 접합부와 결합한다.
상기 전방 조작 부재에는 조작 부재의 베어링 부 (371) 를 통하여 미끄러지도록 장착되어 있는 기계식 푸셔 (370) 가 제공되어 있다. 이 기계식 푸셔는 전자 기계식 솔레노이드나 캠 또는, 기계식 푸셔를 상기 베어링 부를 관통하여 전후로 움직일 수 있게 하는 어떠한 동등한 수단 (미도시) 과 같은 작동 수단과 관련될 수 있다. 이로써, 기계식 푸셔는 캡슐이 장치 내에 있을 때 푸셔의 자유단 (372) 이 캡슐에서부터 떨어져 있는 도 11 의 제 1 후퇴 위치와, 푸셔가 상부 천공 수단 (8) 과 실제로 결합되는 도 13 의 제 2 연장 위치의 두 위치로 움직일 수 있다.
상기 후방 조작 부재 (30) 는 캡슐의 쉘 (21) 과 실질적으로 상보적인 형태를 갖는 하우징 (300) 을 포함한다. 이 하우징은 하단부에서 유체 주입 부재 (38) 를 포함하고, 이 부재는 예를 들어 유관 (381) 이 형성되어 있는 날카로운 니들 (380) 일 수 있다. 상기 후방 조작 부재의 후방에는 글랜드가 위치되어 있고 이 글랜드는 음료 장치의 유체 시스템에 연결되어 있는 유체 배관 (미 도시) 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 (300) 은 그 개방 단부에서 작은 주변 홈 (301) 을 갖고, 환상 시일 조인트 (302) 가 이 홈에 삽입되어 있어 폐쇄시 캡슐의 단차형 테두리 (24) 의 후미에 대한 유밀성을 제공한다.
후방 조작 부재 (30) 는 토글 레버 시스템 (9) 에 의해 실질적으로 수평인 경로를 따라 움직일 수 있는데, 당업자라면 전방 조작 부재와 함께 캡슐 주위를 폐쇄 하기 위해 조작 부재를 움직이기 위해 다양하고 상이한 기계 또는 유압 보조 폐쇄 수단을 생각할 수 있으므로 여기서 토글 레버 시스템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 략한다.
도 12 에서 보는 바와 같이, 후방 조작 부재 (30) 는 우려내기 장치의 폐쇄 장치를 향해 신장되어 있는 토글 레버 시스템 (9) 에 의해 변위되고, 캡슐의 후면은 주입 부재 (38) 에 의해 구멍이 뚫린다.
도 13 에서, 조작 부재 (30, 31) 가 캡슐 주위에서 폐쇄되고, 이 캡슐이 그의 단차형 테두리 (24) 를 따라 단단히 고정되면, 전개 위치에서 기계식 푸셔 (370) 가 작동하여 상부 천공 수단 (8) 을 캡슐의 실링벽 (3) 에 밀게 된다. 이로써 실링벽에 국부적으로 오버플로우 구멍이 뚫린다. 그리고 나서 기계식 푸셔는 후퇴 위치로 이동하고, 구멍은 완전히 비결합 상태로 된다. 그 다음, 음료 제조 공정이 시작되고, 전술한 바대로 유체가 원료를 제조하기 위해 캡슐에 주입될 수 있다.
도 14 에서는 조작 부재가 개방되고 즉, 후방 작동 부재가 후퇴되어 캡슐이 뒤로 약간 당기게 되고 따라서 중력에 의해 하강하여 버려질 수 있다.
도 15 와 도 16 은 음료 제조 기계에서 "수평방향" 으로 위치되어 있을 때 제조되도록 구상된 본 발명의 다른 형태의 캡슐을 도시한다. 일반적인 제조 원리는 이전의 실시예와 같다. 캡슐은 제조될 하나 이상의 원료를 포함하는 인클로저 (20) 를 포함한다. 이 인클로저는 절두 원뿔형 쉘 (21) 과 하부벽 (27) 및 내부 여과벽 (22) 으로 경계가 정해진다. 여과벽은 쉘의 내부 체적을 가로질러 인클로저와 제 2 음료 수집 체적 (26) 의 두 부분으로 나눈다. 이 여과벽은 상기 인클로저의 꼭대기/바닥 단부로부터 형성되도록 위치되어 바닥에 머무르는 경향이 있는 농후한 액체가 여과기를 통해 제거될 수 있다. 하부벽 (27) 은 쉘 (21) 의 테두리 (24) 에 크림핑 (crimping), 용접, 접착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부착되는 원형부일 수 있다. 이는 여과기의 전방에서 쉘 내부에서 위로 상승하고 쉘 (21) 의 상부 바닥/벽에 근접한 영역에 오버플로어 구멍 (255) 을 남기는 오버플로우 벽 (3C) 을 포함한다. 이 오버플로우 벽은 여과벽 (22) 에서부터 짧은 간격 "s" 로 이격되어 있다. 음료 유출구 (41) 가 하부벽 (27) 을 통과하여 수집 챔버 (26) 에 형성되어 있다. 도 15 와 도 16 의 음료 캡슐은 "수평방향" 으로 제조되며, 즉 하부벽과 유출구 (41) 는 하방을 향한다. 물은 바람직하게는 하부벽에서부터 인클로저에 저압으로 주입된다. 제조된 액체는 여과벽 (22) 을 통해 흐르고, 오버플로우 구멍 (3C) 을 통과하여 수집 챔버 (26) 로 가서 밑으로 유출구 (41) 로 가게 된다.
도 17 및 도 18 은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제조되도록 설계된 다른 변형 캡슐을 도시한다. 이 캡슐은 직사각형상이라는 점만 제외하고는 도 15 와 16 의 캡슐과 동일한 특징을 갖는다. 또 이 캡슐은 제조 장치의 물 노즐의 도입을 위한 예비 새김눈 부분 또는 약화된 부분일 수 있는 주입부 (29) 를 포함한다. 이 약화된 영역은 도입된 노즐에 의해 파괴될 수 있는 플라스틱 부분일 수 있다.
도 19 및 도 20 은 본 발명의 일반적인 원리에 따라 제조되도록 설계된 캡슐의 다른 가능한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오버플로우 벽은 캡슐의 내부에서 유출구 (41) 를 연장하는 깔대기 (3D) 이다. 이 깔대기는 이 깔대기의 단부와 캡슐의 상면 사이에 오버플로우 구멍을 형성하는 상부 갭 (256) 이 생기도록 충분히 짧다. 상기 캡슐의 지지 구조는 이 실시예에서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은 많은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캡슐은 캡슐의 하부를 형성하는 하부벽 (211) 을 갖는 역 U 자형태의 쉘 (210) 을 포함하고 덮개 (260) 에 의해 폐쇄된다. 이 쉘은 수직방향으로 배향된 평면 여과벽 (22) 에 의해 두 체적으로 분할된다. 원료를 포함하는 인클로저 (20) 에 물의 주입은, 바람직하게는 천공 가능 막인 덮개 (260) 를 통해 이루어지거나, 또는 쉘 (210) (다시 말해, 측면이나 하부에서) 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1 및 도 22 는 캡슐이 점진적으로 줄어드는 (즉, 제 1 부분에서 제 3 부분으로 가면서) 직경을 갖는 동심 관형 요소로 구성되어 있는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다. 이 캡슐의 하우징 또는 외부 몸체는 제 1 관형 몸체 (22) 로 구성되어 있다. 오버플로어 벽은 더 작은 직경과 더 작은 높이를 갖는 제 2 관형 부분 (3E) 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과 부재 (22) 는 더 작은 직경과 외부 몸체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를 갖는 제 3 관형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제 3 관형 부분은 예를 들어, 스펀지, 페이퍼, 직물, 부직물 또는 소결된 플라스틱 관 또는 이들의 조합이 될 수 있다. 음료 원료는 인클로저 (20) 를 구성하는 제 3 관형 부분의 내부를 채운다. 외부 몸체는 상측과 하측에서 상부 뚜껑 (261) 및 하부 뚜껑 (262) 에 의해 밀봉될 수 있다. 제 2 관형 몸체가 더 낮은 높이를 갖기 때문에, 제조된 액체가 여과 관형 부분 (22) 을 통하여 여과된 후에 지나게 되는 오버플로우 구멍 (257) 이 형성된다. 물론, 하부 뚜껑 (262) 은 사출 플라스틱에서와 같이 오버플로어 벽과 일체로 될 수 있다. 하부 뚜껑과 오버플로 우 벽과 제 1 부분 역시 일체로 성형된 플라스틱일 수도 있다. 제 1 부분은 관형이 아닐 수도 있다. O1, O2 지점은 캡슐내에 가능한 물 도입 위치를 나타낸다. 나타내는 바와 같이, 물은 캡슐의 상부와 하부의 중앙부에서 엔클로져에 상부 뚜껑 또는 하부 뚜껑을 통해 곧바로 유입될 수 있다. P1 과 P2 지점은 제조된 음료를 위한 가능한 출구 위치를 표시한다. 음료는 캡슐로부터 하부 뚜껑 (262) 을 통해 제 1 관형 부분과 제 2 관형 부분 사이의 어떤 적합한 위치를 따라 분배될 수 있다.
도 23 은 점차적으로 (즉, 제 1 부분에서 제 3 부분으로 가면서) 줄어드는 직경을 갖는 관형 부분의 동심 배열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데, 이는 인클로저 (20) 가 제 1 외부 (220) 와 제 2 여과 관형 부분 (22) 사이의 최외측 환형 체적에 제공되어 있다는 점에 있어서 이전의 변형예와는 약간 다르다. 이 실시형태에는, 더 작은 직경과 더 낮은 높이의 제 3 관형 부분 (3F) 이 중앙에 위치되어 제조된 음료의 오버플로어가 일어나게 한다. O1, O2, O3, O4 는 가능한 유체 유입구 위치를 표시한다. P1 은 가능한 음료 유출구 위치를 표시한다.

Claims (23)

  1. 음료 기계에 삽입되어 있는 캡슐을 통해 음료를 준비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캡슐은 1 종 이상의 음료 원료를 포함하는 인클로저를 포함하고,
    우려내기 유체가 상기 인클로저에 유입되어 상기 하나 이상의 음료 원료를 우려내고,
    우려낸 액체는 여과 수단에 의해 여과되어 상기 캡슐에서부터 전달되는, 상기 음료를 준비하는 방법에 있어서,
    오버플로우 벽이 상기 여과 수단에 연관되어 배치되어 있고, 여과벽을 가로질러 여과된 액체는 상기 오버플로어 벽의 적어도 하나의 오버플로우 구멍을 통과하도록 되어있으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오버플로우 구멍은 상기 인클로저의 중앙 수평면의 상방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를 준비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플로우 벽은 상기 우려낸 액체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여과 수단을 통해 여과된 후 상기 오버플로우 구멍으로 상방 이동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를 준비하는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 수단은 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를 준비하는 방법.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 수단은 상기 인클로저에서 상기 오버플로우 구멍들 아래에 위치되어 있는 높이 (level) 에서부터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를 준비하는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벽은 실질적으로 상기 인클로저의 바닥에서부터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를 준비하는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벽은 실질적으로 상기 인클로저의 바닥에서 상기 인클로저의 정상부까지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를 준비하는 방법.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플로우 벽은 틈 공간을 사이에 두면서 상기 여과 수단의 전방에 위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를 준비하는 방법.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플로우 구멍은 수직방향으로 상기 인클로저 높이의 3/4 보다 위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를 준비하는 방법.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우려내기 유체는 0.2 bar 이하의 상대 압력으로 상기 인클로저에 들어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를 준비하는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우려내기 유체는 0.1 bar 이하의 상대 압력으로 상기 인클로저에 들어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를 준비하는 방법.
  11.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 수단은 미리 만들어진 여과기이며, 상기 오버플로우 벽은 우려내기 전에 개방되는 상기 캡슐의 실링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를 준비하는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플로우 구멍은 상기 실링벽을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구멍을 뚫음으로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를 준비하는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의 일부인 기계식 천공기에 의해서 상기 오버플로우 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를 준비하는 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 기계의 일부인 기계식 또는 유압식 천공기에 의해 상기 오버플로우 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를 준비하는 방법.
  1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플로우 구멍은 구조상 미리 형성되고 외부 폐쇄막에 의해 보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를 준비하는 방법.
  1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우려낸 액체는 상기 오버플로우 구멍에서부터 음료관을 통해 음료 유출구까지 하방으로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를 준비하는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관과 분배 유출구는 상기 캡슐의 일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를 준비하는 방법.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관과 분배 유출구는 상기 음료 기계의 일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를 준비하는 방법.
  1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 수단은 상기 캡슐의 실링벽이며, 이 실링벽은 우려내기 중에 제자리에 머무르는 다수의 개별 천공 부재에 의해 구멍이 뚫리고, 상기 오버플로우 벽은 상기 캡슐의 구멍이 뚫린 상기 실링벽에 대면하는 외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를 준비하는 방법.
  2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우려내기 유체는 폐쇄벽의 반대편에 있는 상기 인클로저의 입구벽을 통해 상기 캡슐에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를 준비하는 방법.
  21.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우려내기 유체는 음료가 상기 인클로저에서 배출되는 위치보다 더 낮은 위치에서 상기 인클로저에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를 준비하는 방법.
  22.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적어도 1 종의 원료가 잎 차 또는 허브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를 준비하는 방법.
  23. 1 종 이상의 음료 원료를 포함하는 인클로저를 포함하는 음료 캡슐과,
    결정된 우려내기 위치에서 상기 캡슐을 유지시키는 캡슐 조작 부재를 포함하는 우려내기 장치와,
    상기 인클로저에서 나가는 우려낸 액체를 여과하기 위해 제공되어 있는 여과벽을 포함하는, 음료를 준비하는 음료 캡슐 시스템으로서,
    오버플로우 벽이 상기 여과벽에 연관되어 배치되어 있고, 상기 여과벽을 가로질러 여과된 액체는 상기 오버플로우 벽의 적어도 하나의 오버플로우 구멍을 통과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를 준비하는 음료 캡슐 시스템.
KR1020087011400A 2005-10-14 2006-10-02 캡슐에서 음료를 준비하는 방법 KR1013675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5109564A EP1774878B1 (en) 2005-10-14 2005-10-14 Method for preparing a beverage from a capsule
EP05109564.4 2005-10-14
PCT/EP2006/066946 WO2007042415A1 (en) 2005-10-14 2006-10-02 Method for preparing a beverage from a capsu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8641A KR20080078641A (ko) 2008-08-27
KR101367552B1 true KR101367552B1 (ko) 2014-02-25

Family

ID=35871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1400A KR101367552B1 (ko) 2005-10-14 2006-10-02 캡슐에서 음료를 준비하는 방법

Country Status (22)

Country Link
US (2) US8039034B2 (ko)
EP (2) EP1774878B1 (ko)
JP (1) JP5033132B2 (ko)
KR (1) KR101367552B1 (ko)
CN (1) CN101309621B (ko)
AR (1) AR058090A1 (ko)
AT (1) ATE384463T1 (ko)
AU (1) AU2006301371B2 (ko)
BR (1) BRPI0617395A2 (ko)
CA (1) CA2625215C (ko)
DE (1) DE602005004554T2 (ko)
DK (1) DK1774878T3 (ko)
ES (1) ES2298947T3 (ko)
NZ (1) NZ567546A (ko)
PL (1) PL1774878T3 (ko)
PT (1) PT1774878E (ko)
RU (1) RU2414841C2 (ko)
SG (1) SG10201401448QA (ko)
SI (1) SI1774878T1 (ko)
TW (1) TWI388303B (ko)
WO (1) WO2007042415A1 (ko)
ZA (1) ZA20080409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40843B2 (en) 2003-01-24 2010-01-05 Kraft Foods R & D, Inc. Cartridge and method for the preparation of beverages
EP1495702A1 (fr) 2003-07-10 2005-01-12 Nestec S.A. Dispositif pour l'extraction d'une capsule
PL2155021T3 (pl) 2007-06-05 2011-09-30 Nestec Sa System kapsułki, urządzenie i sposób przygotowywania płynu spożywczego zawartego w zbiorniku poprzez odwirowanie
CN103271653B (zh) 2007-06-05 2016-08-10 雀巢产品技术援助有限公司 使用煮泡离心力的用于制备饮料或液态食品的方法和系统
RU2474525C2 (ru) 2007-06-05 2013-02-10 Нестек С.А. Капсула и способ приготовления пищевой жидкости с помощью центрифугирования
EP2152607B1 (en) 2007-06-05 2012-01-11 Nestec S.A. Single-use capsule for preparing a food liquid by centrifugation
US8431175B2 (en) 2007-06-05 2013-04-30 Nestec S.A. Method for preparing a beverage or food liquid and system using brewing centrifugal force
ES2350265T5 (es) * 2007-06-05 2019-12-16 Caffitaly System Spa Método para preparar una bebida y aparato y cápsula para la aplicación de este método
US20100186068A1 (en) * 2007-06-12 2010-07-22 Yoshiki Okuyama Communication apparatus,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nd program
US10258186B2 (en) * 2013-02-01 2019-04-16 Adrian Rivera Brewing cartridge
CL2008002963A1 (es) 2007-10-04 2010-01-22 Nestec Sa Dispositivo calentador para una maquina para la preparacion de alimento liquido o bebida, que comprende una unidad termica con una masa metalica, a traves de la cual circula el liquido, y acumula calor y lo suministra al liquido, y tiene uno o mas componentes electricos asegurados en forma rigida a la unidad termica; y maquina.
PL2205133T3 (pl) 2007-10-04 2011-10-31 Nestec Sa Jednostka do zaparzania napojów
AU2012101844B4 (en) * 2007-10-04 2013-03-14 Nestec S.A. Combination beverage brewing unit and capsule
CN102133047B (zh) 2007-10-04 2014-04-30 雀巢产品技术援助有限公司 用于饮料制备设备的集成的加热器
DK2080454T3 (da) * 2008-01-18 2010-11-22 Nestec Sa Drikkevaremaskine og gennemboringselement til en åbningsanordning af en drikkevaremaskine
MX2010008028A (es) * 2008-01-24 2010-09-07 Nestec Sa Capsula que contiene ingredientes nutritivos y metodo de suministro de un liquido nutritivo desde la capsula.
CN101959445B (zh) * 2008-02-29 2014-02-26 雀巢产品技术援助有限公司 通过离心法制备饮料的设备和方法
CN103505057A (zh) 2008-04-22 2014-01-15 雀巢产品技术援助有限公司 饮料制备机的模块化组件
PL2112093T3 (pl) 2008-04-24 2013-04-30 Tconcept Company Kapsułka, urządzenie i sposób przygotowywania zaparzanych napojów
EP2159167A1 (en) * 2008-08-27 2010-03-03 Cense d'Almez S.A. Capsule, device, and method for preparing infused beverages.
RU2517804C2 (ru) 2008-08-08 2014-05-27 Нестек С.А. Машина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напитков с ручкой для переноски, имеющая адаптируемый внешний вид и содержащая сменные боковые панели
PE20110784A1 (es) * 2008-08-29 2011-10-27 Pepsico Inc Sistema de bebida de post-mezclado
US9272827B2 (en) 2008-08-29 2016-03-01 Pepsico, Inc. Post-mix beverage system
CA2734935C (en) 2008-09-02 2015-02-10 Nestec S.A. Controlled beverage production device using centrifugal forces
PT2330953E (pt) 2008-09-02 2015-09-09 Nestec Sa Método para preparar um líquido alimentar contido numa cápsula por centrifugação e sistema adaptado para esse método
KR20110093926A (ko) * 2008-12-03 2011-08-18 네스텍 소시에테아노님 원심력에 의해 음료를 제조하는 캡슐
KR101648233B1 (ko) 2008-12-09 2016-08-12 네스텍 소시에테아노님 음료 준비 장치에서 원심분리에 의해 음료를 준비하기 위한 캡슐 및 상기 캡슐을 이용한 장치
MX2011006185A (es) * 2008-12-09 2011-06-27 Nestec Sa Sistema de preparacion de alimento liquido para preparar un alimento liquido por centrifugacion.
IT1392573B1 (it) * 2008-12-30 2012-03-09 Lavazza Luigi Spa Gruppo di infusione per una macchina per la preparazione di bevande
EP2384133B2 (en) 2008-12-30 2020-07-01 Société des Produits Nestlé S.A. Process of brewing tea leaves contained in a capsule
BRPI1014553B1 (pt) * 2009-05-05 2018-10-09 Nestec Sa cápsula para a preparação de um produto nutricional e dispositivo de filtro
SG175793A1 (en) * 2009-05-05 2011-12-29 Nestec Sa Capsule for preparing a nutritional product including a filter
SA110310345B1 (ar) * 2009-05-05 2013-12-30 Nestec Sa كبسولة لتحضير منتج التغذية يشمل مرشح مياه
DK2443046T3 (en) 2009-06-17 2016-01-04 Koninkl Douwe Egberts Bv A capsule for containing beverage ingredients
DK2263501T3 (en) * 2009-06-17 2016-01-11 Nestec Sa Means for opening a capsule-based device for preparing a beverage
US9414709B2 (en) 2009-07-24 2016-08-16 Ethical Coffee Company Sa Device for preparing a beverage extracted from a capsule
ES2535755T3 (es) 2009-08-19 2015-05-14 Nestec S.A. Cápsula para la preparación de un extracto de café provista de una estructura que facilita la perforación por inyección de agua
US8658232B2 (en) 2009-08-28 2014-02-25 Nestec S.A. Capsule system for the preparation of beverages by centrifugation
ES2434321T3 (es) 2009-08-28 2013-12-16 Nestec S.A. Sistema de cápsula para la preparación de bebidas por centrifugación
CN102574637B (zh) 2009-08-29 2014-12-31 Psr(有利的战略性再部署)责任有限公司 用于制备饮料的袋
US9108794B2 (en) 2009-09-29 2015-08-18 Lbp Manufacturing, Inc. Disposable single use beverage package
US9527661B2 (en) 2009-09-29 2016-12-27 Lbp Manufacturing Llc Disposable single use beverage package
CN102639035B (zh) 2009-10-05 2016-03-02 雀巢产品技术援助有限公司 人体工程学胶囊提取装置
CA2776298C (en) 2009-10-05 2017-08-22 Nestec S.A. Cartridge extraction device
PT2485627E (pt) * 2009-10-08 2013-10-10 Nestec Sa Sistema de doseamento para preparação de um produto nutricional
EP2488074B1 (en) 2009-10-14 2014-04-02 Koninklijke Philips N.V. Brewing unit for coffee brewing
MY156548A (en) 2009-11-12 2016-02-26 Generation I D E A Llc Apparatus and method for preparing a liquid mixture
RU2550486C2 (ru) 2009-12-01 2015-05-10 Нестек С.А.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экстракции напитка из картриджа
EP2353469A1 (en) 2010-02-03 2011-08-10 Nestec S.A. Beverage preparation machine for large size beverages
RU2560337C2 (ru) * 2010-05-19 2015-08-20 Нестек С.А. Система приготовления напитков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капсул
WO2011144044A1 (zh) 2010-05-20 2011-11-24 上海天泰茶业科技有限公司 饮品原料杯、过滤装置、饮品制备机、饮品制备系统及饮品制备方法
JP5993369B2 (ja) * 2010-05-28 2016-09-14 カー‐フェー・システム・ゲゼルシャフト・ミット・ベシュ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飲料を生成するための分量カプセル
DE102010044945A1 (de) 2010-05-28 2011-12-01 Eugster/Frismag Ag Brühvorrichtung zum Extrahieren einer Portionskapsel, Verfahren zum Betrieb einer Brühvorrichtun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Brühvorrichtung und Verwendung einer Brühvorrichtung
GB2481068B (en) 2010-06-11 2012-06-20 Kraft Foods R & D Inc Cartridge for the preparation of beverages
EP3521210B1 (de) 2010-07-22 2020-01-08 K-fee System GmbH Portionskapsel mit barcode
US8986770B2 (en) 2010-07-30 2015-03-24 Conopco, Inc. Process for fabricating leaf tea products
AP3207A (en) * 2010-07-30 2015-03-31 Unilever Plc Process for fabricating leaf tea products
MX2013001655A (es) * 2010-08-13 2013-03-21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Dispositivo de infusion para preparacion de producto alimenticio.
CN103260483B (zh) * 2010-08-13 2017-02-15 皇家戴维艾格伯茨有限公司 用包囊制备适于消费的饮料的装置、系统和方法
US8361527B2 (en) * 2010-09-02 2013-01-29 Keurig, Incorporated Beverage cartridge
RU2589673C2 (ru) * 2010-09-15 2016-07-10 Нестек С.А. Способ приготовления напитка из капсулы, капсула и система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напитка
DE102011012881A1 (de) 2010-09-22 2012-03-22 Krüger Gmbh & Co. Kg Portionskapsel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Getränks mit einer Portionskapsel
ES2563809T3 (es) 2010-11-09 2016-03-16 La Vit Technology Llc Sistema basado en cápsulas para preparar y dispensar una bebida
US8573115B2 (en) * 2010-11-15 2013-11-05 Conair Corporation Brewed beverage appliance and method
US20120244362A1 (en) 2011-03-22 2012-09-27 Pramanik Pranabes K Multi-layer sheet structure
EP2520202B1 (fr) * 2011-05-02 2014-07-23 Mocoffee AG Dispositif et capsule pour la préparation d'une boisson
USD675091S1 (en) 2011-05-25 2013-01-29 Lbp Manufacturing, Inc. Disposable cup with wave rib
USD675090S1 (en) 2011-05-25 2013-01-29 Lbp Manufacturing, Inc. Disposable cup with straight rib
USD675089S1 (en) 2011-05-25 2013-01-29 Lbp Manufacturing, Inc. Disposable cup with curved rib
GB201110848D0 (en) * 2011-06-24 2011-08-10 Mars Inc Beverage preparation apparatus and method and beverage capsules for use therein
US9452879B2 (en) 2011-07-26 2016-09-27 Lbp Manufacturing Llc Sealed beverage basket and method of making
CN103764000A (zh) 2011-08-25 2014-04-30 雀巢产品技术援助有限公司 耐用的料盒穿刺件
CA2842535A1 (en) 2011-08-25 2013-02-28 Nestec S.A. Cartridge removal system
AU2012298547B2 (en) 2011-08-25 2016-12-22 Société des Produits Nestlé S.A. Cartridge chamber of extraction system
WO2013026856A1 (en) 2011-08-25 2013-02-28 Nestec S.A. Cartridge positioning system
US20140328136A1 (en) 2011-09-16 2014-11-06 Alfred Yoakim Multi-system beverage machine safe connector
CA2846790A1 (en) 2011-09-16 2013-03-21 Nestec S.A. Clean multi-system beverage machine
CA2845142A1 (en) 2011-09-16 2013-03-21 Nestec S.A. Multi-system beverage machine multiple connections
US10080459B2 (en) 2011-11-09 2018-09-25 La Vit Technology Llc Capsule-based system for preparing and dispensing a beverage
US10034570B2 (en) 2011-11-09 2018-07-31 LaVit Technology LLC Capsule based system for preparing and dispensing a beverage
CN103946870B (zh) 2011-11-15 2020-06-12 雀巢产品有限公司 用于通过离心分离制备饮料的支持器和胶囊,用于通过离心分离制备饮料的系统和方法
ES2573304T5 (es) * 2011-12-21 2022-03-02 Delica Ag Cápsula, cuerpo de la cápsula, método y sistema para preparar una bebida
JP6087955B2 (ja) 2011-12-30 2017-03-01 ネステク ソシエテ アノニム マルチシステム飲料マシン
EP2638833A1 (en) * 2012-03-16 2013-09-18 Nestec S.A. A beverage preparation machine with cleanable brewing head
GB201204999D0 (en) * 2012-03-21 2012-05-02 Bacardi & Company Ltd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drinks, drinks container and drinks device
ITVR20120093A1 (it) * 2012-05-15 2013-11-16 Coffee Star S A Sistema per la produzione di bevanade
DE102012105282A1 (de) 2012-06-18 2013-12-19 K-Fee System Gmbh Portionskapsel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Getränks mit einer Portionskapsel
WO2013192625A1 (en) 2012-06-22 2013-12-27 Touch Coffee and Beverages, LLC. Beverage brewing system
EP2987432B1 (en) * 2012-07-06 2019-03-13 Unilever PLC, a company registered in England and Wales under company no. 41424 of Capsule recognition system
AU2015274023B2 (en) * 2012-07-06 2016-11-17 Unilever Plc Method, device and capsule for brewing a beverage
RU2631626C2 (ru) * 2012-08-21 2017-09-25 Бревилл Пти Лимитед Портафильтр для капсулы
RU2628716C2 (ru) * 2012-10-09 2017-08-21 Нестек С.А. Машина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напитков
BR112015007498A2 (pt) 2012-10-09 2017-07-04 Nestec Sa unidade de extração com um receptor de cartuchos móvel de tamanhos múltiplos
US9955815B2 (en) 2012-10-09 2018-05-01 Nestec S.A. Extraction unit with multi-size cartridge cavity
JP2016502414A (ja) * 2012-10-12 2016-01-28 ネステク ソシエテ アノニム 食品又は飲料原材料を収容するためのカード
US9227778B2 (en) * 2012-12-11 2016-01-05 Victor M. Aviles Beverage cartridge
DE102012223291A1 (de) 2012-12-14 2014-06-18 K-Fee System Gmbh Portionskapsel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Getränks mit einer Portionskapsel
ES2786131T3 (es) 2012-12-19 2020-10-08 Nestle Sa Unidad de extracción de cartuchos multidimensional autobloqueante
US11013364B2 (en) 2013-02-01 2021-05-25 Adrian Rivera Brewing cartridge adapter
ES2550092T3 (es) 2013-03-21 2015-11-04 Unilever N.V. Procedimiento, dispositivo y cápsula para la infusión de una bebida
USD732386S1 (en) 2013-03-21 2015-06-23 Conopco, Inc. Capsule
USD732387S1 (en) 2013-03-21 2015-06-23 Conopco, Inc. Capsule
CA2905217C (en) 2013-04-03 2016-11-08 2266170 Ontario Inc. Capsule machine and components
BE1021585B1 (fr) * 2013-06-25 2015-12-16 Tconcept Company S.P.R.L. Dispositif pour preparer des boissons infusees comprenant une tubulure d'injection dans la chambre d'infusion.
US9902556B2 (en) * 2013-07-10 2018-02-27 Nestec S.A. Capsule for beverage preparation
US9320382B2 (en) 2013-07-15 2016-04-26 La Vit Technology Llc Capsule based system for preparing and dispensing a beverage
WO2015007747A1 (en) * 2013-07-17 2015-01-22 Nestec S.A. A food or beverage preparation machine with antiscaling pipe system
CH708663A1 (de) * 2013-10-04 2015-04-15 Delica Ag Kapsel und System zur Zubereitung eines flüssigen Lebensmittels, sowie Kapselkörper.
WO2015059022A1 (en) * 2013-10-22 2015-04-30 Nestec S.A. Capsule for preparing a beverage such as coffee and the like
EP2865301A1 (en) * 2013-10-28 2015-04-29 Nestec S.A. Beverage dispensing system, method for providing a multi-layered beverage, and ingredients container for use thereof
AU2014372764B2 (en) 2013-12-23 2019-01-17 Société des Produits Nestlé S.A. Simple ergonomic user-interface for a beverage machine
WO2015155145A1 (en) 2014-04-08 2015-10-15 Nestec S.A. Multisize capsule handling with serial actuation
DE102014109760B4 (de) 2014-07-11 2018-06-28 Melitta Single Portions Gmbh & Co. K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Zubereitung eines Brühgetränks
DE102014109761B4 (de) 2014-07-11 2020-07-09 Melitta Single Portions Gmbh & Co. K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Zubereitung eines Brühgetränks
EP3000778A1 (en) * 2014-09-26 2016-03-30 Anheuser-Busch InBev S.A. Beverage dispenser with jet mixing means
PL3261957T5 (pl) 2015-02-27 2023-03-13 K-Fee System Gmbh Porcjowana kapsuła z wkładem filtrującym, połączonym przez zgrzewanie
CN104799697B (zh) * 2015-04-22 2018-01-12 深圳前海小智萌品科技有限公司 即热式自动配奶机
KR102114206B1 (ko) 2015-06-10 2020-05-25 카-페 시스템 게엠베하 3-플라이 부직 직물을 가지는 1인분용 캡슐
RU2018105139A (ru) 2015-07-13 2019-08-13 К-Фее Зюстем Гмбх Фильтрующий элемент с вырезом
DE202015008067U1 (de) * 2015-09-01 2016-12-02 LigaLife GmbH & Co. KG Kapsel für eine Erzeugung eines flüssigen Lebensmittels
DE202015008065U1 (de) * 2015-09-01 2016-12-02 LigaLife GmbH & Co. KG Kapsel für eine Erzeugung eines flüssigen Lebensmittels, Verwendung einer Kapsel für eine Erzeugung eines flüssigen Lebensmittels, System aus Kapsel und Vorrichtung sowie Vorrichtung zur Erzeugung eines flüssigen Lebensmittels
CA2998669C (en) 2015-09-18 2020-01-07 K-Fee System Gmbh Adapter for a single serve capsule
USD826053S1 (en) 2016-01-07 2018-08-21 LigaLife GmbH & Co. KG Capsule
WO2017123903A1 (en) * 2016-01-14 2017-07-20 Sharkninja Operating Llc Brew basket for automated beverage brewing apparatus
US10464797B2 (en) 2016-01-15 2019-11-05 Pepsico, Inc. Post-mix beverage system
CN107400583B (zh) 2016-05-18 2021-07-13 Lg电子株式会社 啤酒酿造包及具有其的啤酒酿造装置
CN107400588B (zh) 2016-05-18 2021-08-03 Lg电子株式会社 啤酒酿造装置
CN107400585B (zh) * 2016-05-18 2021-07-30 Lg电子株式会社 啤酒酿造装置
CN107400586B (zh) 2016-05-18 2021-05-28 Lg电子株式会社 啤酒酿造装置
US11208621B2 (en) * 2016-05-18 2021-12-28 Lg Electronics Inc. Beverage-making apparatus
US11224306B2 (en) 2016-05-18 2022-01-18 Lg Electronics Inc. Beverage-making apparatus
US10610045B2 (en) 2016-06-14 2020-04-07 Pepsico, Inc. Beverage system including a removable piercer
CA3041722A1 (en) 2016-11-09 2018-05-17 Pepsico, Inc. Carbonated beverage makers, methods, and systems
US11643269B2 (en) 2016-12-01 2023-05-09 Bedford Systems, LLC Container and opening arrangement for beverage production
NL2019253B1 (en) * 2017-07-14 2019-01-28 Douwe Egberts Bv Assembly of a capsule and a brew chamber, brew chamber, beverage preparation machine, capsule and use of a capsule.
GB2570366B (en) * 2018-01-26 2020-03-18 Ne Innovations Ltd Pod and dispensing method
EP3764855A1 (en) * 2018-03-14 2021-01-20 Société des Produits Nestlé S.A. Beverage machine with a partly closed dispensing face
EP3768127B1 (en) * 2018-03-22 2023-12-06 Bedford Systems LLC Puncture mechanism for beverage machine
CN109077617A (zh) * 2018-04-06 2018-12-25 彩盛咖啡茶(北京)有限公司 封闭容器和利用封闭容器萃取饮品的方法
CN110613342B (zh) * 2018-06-19 2022-02-11 广东美的生活电器制造有限公司 淋泡组件及液体加热容器
KR20220038424A (ko) * 2019-07-26 2022-03-28 프리지오 아게 카트리지 시스템, 및 카트리지 시스템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WO2021224151A1 (de) 2020-05-02 2021-11-11 Dubenkropp Sabine Getränkekapselsystem
WO2022053672A1 (en) * 2020-09-14 2022-03-17 Société des Produits Nestlé S.A. A capsule for use in a beverage preparation machine
CN113712434B (zh) * 2021-08-23 2023-09-15 深圳安吉尔饮水产业集团有限公司 一种饮料胶囊机构及饮料制备系统
EP4147612A1 (de) * 2021-09-10 2023-03-15 Delica AG Brüheinheit, getränkezubereitungsmaschine, sowie system zur getränkezubereitung
WO2023170082A1 (en) * 2022-03-07 2023-09-14 Société des Produits Nestlé S.A. Beverage preparation machin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27179A (en) * 1997-09-02 1999-07-27 Lipton, Division Of Conopco, Inc. Apparatus for quick brewing of tea
US20040103792A1 (en) 2002-06-25 2004-06-03 Unilever Bestfood, North America Apparatus for preventing passing off of a brewed beverage
JP2010501305A (ja) 2006-08-30 2010-01-21 ネステク ソシエテ アノニム 飲料の調製のためのカプセル
JP2010523255A (ja) 2007-04-13 2010-07-15 カフィタ システム ソチエタ ペル アチオニ 飲料抽出用カプセル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129070B2 (de) 1971-06-11 1974-08-29 Joh. Jacobs & Co Gmbh, 2800 Bremen Vorrichtung zur maschinellen Zubereitung eines Kaffeegetränks aus über eine Fördereinrichtung einer Brühstation zugeführten Kaffeeportionen
NL8300451A (nl) * 1983-02-07 1984-09-03 Philips Nv Filtreerinrichting.
NL8902272A (nl) * 1989-09-12 1991-04-02 Philips Nv Filtreerinrichting voor het bereiden van thee.
GB9007149D0 (en) * 1990-03-30 1990-05-30 Gen Foods Kraft Ltd Comestibles containing packages
TW199884B (ko) 1991-05-08 1993-02-11 Sociere Des Produits Nestle S A
GB9305461D0 (en) 1993-03-17 1993-05-05 Gen Foods Ltd Beverage packages
EP0887036B1 (de) * 1997-06-27 2000-11-15 Eldom Rothrist Ag Mit Filterkapsel arbeitende Espressomaschine
ES2178353T3 (es) * 1998-12-24 2002-12-16 Unilever Nv Maquina para la preparacion de te.
US6279460B1 (en) * 1999-10-21 2001-08-28 Bunn-O-Matic Corporation Tea brewing funnel
CA2325978A1 (en) 1999-11-16 2001-05-16 Robert Hale Beverage filter cartridge system
WO2002019875A1 (en) * 2000-09-06 2002-03-14 Mars U.K. Limi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brewing beverages
ATE366072T1 (de) * 2001-03-16 2007-07-15 Procter & Gamble Aufbrühgeräte zur herstellung von sahnigen getränken
US6644173B2 (en) * 2001-04-11 2003-11-11 Keuring, Incorporated Beverage filter cartridge holder
US6655260B2 (en) 2001-04-11 2003-12-02 Keurig, Incorporated Beverage filter cartridge holder
WO2003017811A1 (de) * 2001-08-24 2003-03-06 Lacrex S.A. Vorrichtung zum bereiten heisser getränke in microwellengeräten
DE10211327B4 (de) * 2002-03-14 2015-09-24 Caffitaly System S.P.A. Portionenkapsel mit einer partikelförmigen mittels Wasser extrahierbaren Substanz zur Herstellung eines Getränks
US6805042B2 (en) * 2002-05-10 2004-10-19 Unilever Bestfoods, North America, Division Of Conopco, Inc. Apparatus for brewing a beverage
GB2409965B (en) * 2003-01-24 2005-09-21 Kraft Foods R & D Inc A system and method for the preparation of beverages
GB2397494B (en) 2003-01-24 2005-03-02 Kraft Foods R & D Inc Cartridge for the preparation of beverage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cartridge
US7279188B2 (en) * 2003-12-01 2007-10-09 Nestec S.A. Capsule with foam conditioning feature
MY138658A (en) * 2004-02-20 2009-07-31 Nestec Sa System for dispensing short and long coffee beverage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27179A (en) * 1997-09-02 1999-07-27 Lipton, Division Of Conopco, Inc. Apparatus for quick brewing of tea
US20040103792A1 (en) 2002-06-25 2004-06-03 Unilever Bestfood, North America Apparatus for preventing passing off of a brewed beverage
JP2010501305A (ja) 2006-08-30 2010-01-21 ネステク ソシエテ アノニム 飲料の調製のためのカプセル
JP2010523255A (ja) 2007-04-13 2010-07-15 カフィタ システム ソチエタ ペル アチオニ 飲料抽出用カプセ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K1774878T3 (da) 2008-05-26
PL1774878T3 (pl) 2008-06-30
AR058090A1 (es) 2008-01-23
NZ567546A (en) 2010-01-29
ES2298947T3 (es) 2008-05-16
ATE384463T1 (de) 2008-02-15
ZA200804096B (en) 2009-10-28
EP1937115B1 (en) 2018-06-27
CN101309621A (zh) 2008-11-19
AU2006301371B2 (en) 2012-09-06
PT1774878E (pt) 2008-02-19
SI1774878T1 (sl) 2008-04-30
SG10201401448QA (en) 2014-06-27
TW200727837A (en) 2007-08-01
RU2008118885A (ru) 2009-12-27
EP1937115A1 (en) 2008-07-02
EP1774878B1 (en) 2008-01-23
WO2007042415A1 (en) 2007-04-19
CA2625215C (en) 2014-12-02
CN101309621B (zh) 2011-05-18
DE602005004554D1 (de) 2008-03-13
US8039034B2 (en) 2011-10-18
AU2006301371A1 (en) 2007-04-19
RU2414841C2 (ru) 2011-03-27
US8445047B2 (en) 2013-05-21
DE602005004554T2 (de) 2009-02-19
JP5033132B2 (ja) 2012-09-26
EP1774878A1 (en) 2007-04-18
US20120060697A1 (en) 2012-03-15
BRPI0617395A2 (pt) 2011-07-26
US20090155422A1 (en) 2009-06-18
TWI388303B (zh) 2013-03-11
CA2625215A1 (en) 2007-04-19
KR20080078641A (ko) 2008-08-27
JP2009511143A (ja) 2009-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7552B1 (ko) 캡슐에서 음료를 준비하는 방법
KR101380071B1 (ko) 음료 제조용 캡슐
CN102802475B (zh) 用于基于胶囊的饮料制备设备的开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