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5355B1 - Refrigerator - Google Patents

Refriger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5355B1
KR101365355B1 KR1020070060211A KR20070060211A KR101365355B1 KR 101365355 B1 KR101365355 B1 KR 101365355B1 KR 1020070060211 A KR1020070060211 A KR 1020070060211A KR 20070060211 A KR20070060211 A KR 20070060211A KR 101365355 B1 KR101365355 B1 KR 1013653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enser
button
tray
doo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021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80111805A (en
Inventor
김현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602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5355B1/en
Priority to US12/142,607 priority patent/US8701436B2/en
Publication of KR200801118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1180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53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535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12Arrangements of compartments additional to cooling compartments; Combinations of refrigerators with other equipment, e.g. stove
    • F25D23/126Water cool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1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combined with t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5Mounting of control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3Door in door constru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18Aesthetic fe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펜서와 트레이가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디스펜서가 인출시 버튼이 인출되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frigerator in which a dispenser and a tray are installed to be withdrawn, and a button is withdrawn when the dispenser is withdrawn.

냉장고, 디스펜서, 트레이 Refrigerator, dispenser, tray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Refrigerator {Refrigerato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를 도시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펜서와 그 구동부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이다.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dispenser and its drive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의 개폐 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FIG. 2.

도 4는 도 1의 트레이와 그 인출부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tray of FIG. 1 and its lead-out portion;

도 5는 도 1의 디스펜서와 트레이를 도시한 단면도이다.5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dispenser and the tray of FIG. 1.

도 6은 도 1의 디스펜서가 눌러진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이다.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dispenser of FIG. 1 is pressed.

도 7은 도 1의 디스펜서와 트레이가 인출된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이다.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dispenser and the tray of FIG. 1 are drawn out.

도 8은 도 1의 디스펜서의 버튼이 눌러진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이다.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button of the dispenser of FIG. 1 is pressed.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펜서와 트레이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이다.9 and 10 are diagrams illustrating a second embodiment of a dispenser and a tr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펜서와 트레이를 도시한 구성도이다.1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dispenser and a tr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20: 도어 21,22: 수용 공간20: door 21,22: accommodation space

110: 디스펜서 113: 버튼110: dispenser 113: button

115: 버튼 회전 공간 116: 배수 감지부115: button rotation space 116: drain detection unit

117,157: 구속부 118,158: 슬롯117,157: restraint 118,158: slot

119,159: 걸림부 120: 구동부119,159: locking portion 120: driving portion

130: 회전 유닛 140,190: 댐핑 유닛130: rotation unit 140, 190: damping unit

150: 트레이 160: 인출부150: tray 160: take-out part

170: 랙기어부 180: 인출 유닛170: rack gear unit 180: drawing unit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부상을 방지하며,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frigera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refrigerator that prevents injury to a user and can be used hygienically.

일반적인 냉장고는 저장실에 냉기를 공급하여 음식물을 저온에서 보관하는 기기이다. 상기 냉장고의 내부에는 물통이 배치되고, 상기 냉장고의 도어에는 물통과 연결되는 디스펜서가 배치된다. 상기 디스펜서는 도어의 내부에 함몰된 형태로 배치되거나 도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된다. 또한, 상기 디스펜서에는 사용자가 눌러 물을 배수시킬 수 있도록 버튼이 배치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도어를 열지 않고도 버튼을 눌러 물통의 물을 외부에서 받아서 먹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펜서의 하부에는 컵에 남은 물을 버릴 수 있도록 트레이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이는 도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된다.A typical refrigerator is a device for storing food at a low temperature by supplying cold air to a storage compartment. A bucket is disposed inside the refrigerator, and a dispenser connected to the bucket is disposed at the door of the refrigerator. The dispenser is disposed in a recessed shape inside the door or protrudes outward from the door. In addition, the dispenser is provided with a button so that the user can press to drain the water. Therefore, the user can receive the water from the water bottle from outside by pressing a button without opening the door. In addition, a tray may be disposed under the dispenser to discard the water remaining in the cup. The tray is arranged to protrude outward from the door.

그런데, 상기 디스펜서와 트레이가 상기 도어의 외부로 돌출되게 배치되는 경우, 사용자가 냉장고 근처를 지나가가 부주의로 상기 디스펜서나 트레이에 부딪 혀 부상을 입을 수 있었다.However, when the dispenser and the tray are disposed to protrude out of the door, the user may pass by near the refrigerator and inadvertently hit the dispenser or the tray and may be injured.

또한, 상기 디스펜서와 트레이는 외부에 노출되므로, 상기 디스펜서의 배수구가 이물질에 의해 오염되었다. 더구나, 상기 트레이에는 사용자가 버린 물이 저장되므로, 상기 트레이에 저장된 물이 부패되면 실내 공간이나 디스펜서의 배수구가 오염되었다.In addition, since the dispenser and the tray are exposed to the outside, the drain hole of the dispenser is contaminated by foreign matter. In addition, since the water discarded by the user is stored in the tray, when the water stored in the tray is decayed, the drainage of the indoor space or the dispenser is contaminated.

또한, 상기 버튼이 외부에 노출되므로, 어린이들이 장난이나 부주의로 버튼이 눌러졌을 때에 물이 쏟아져 바닥면을 청소해야 했었다. 또한, 버튼이 손상되기 용이했었다.In addition, since the button is exposed to the outside, the children had to clean the bottom surface by pouring water when the button was pressed for fun or carelessness. In addition, the buttons were easy to damage.

또한, 상기 디스펜서와 트레이 및 버튼이 외부에 노출되므로, 냉장고의 설계 자유도를 현저히 감소시키고 미관을 저해하는 요인이 되었다.In addition, since the dispenser, the tray, and the buttons are exposed to the outside, the design freedom of the refrigerator is significantly reduced and it is a factor that hinders aesthetics.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부상의 위험성을 해소하고,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냉장고의 설계 자유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efrigerator that can eliminate the risk of injury to the user, can be used sanitarily, and can increase the design freedom of the refrigerator.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어린이들이 장난이나 부주의로 버튼을 누르는 것을 방지하고, 버튼이 외력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frigerator that prevents children from pressing a button playfully or carelessly, and prevents the button from being damaged by an external forc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의하면, 본체의 저장실을 개폐시키는 도어; 상기 도어에 인출 가능하게 배치되는 디스펜서; 및 상기 디스펜서에 장착되며, 상기 디스펜서의 동작을 위해 조작되는 버튼을 포함하며, 상기 버튼은 상기 디스펜서의 인출입시 상기 디스펜서와 함께 인출입 이동되되, 상기 디스펜서의 인출시 상기 도어의 외측으로 노출되고 상기 디스펜서의 인입시 상기 도어의 내측에 위치되는 냉장고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torage compartment of the main body; A dispenser disposed to be pulled out of the door; And a button mounted to the dispenser and operated for operation of the dispenser, wherein the button is moved in and out with the dispenser when the dispenser is withdrawn, and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door when the dispenser is withdrawn. A refrigerator is provided which is located inside the door when the dispenser is retracted.

상기 버튼은 디스펜서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button can be rotatably coupled to the dispenser.

상기 디스펜서에는 디스펜서가 인출 및 인입될 때에 상기 버튼이 회전되도록 회전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The dispenser may be formed with a rotation space such that the button is rotated when the dispenser is withdrawn and withdrawn.

상기 디스펜서에는 버튼이 외력에 의해 가압될 때에 상기 버튼에 의해 가압되는 배수 감지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The dispenser may further include a drain detector that is pressed by the button when the button is pressed by an external force.

상기 버튼은 디스펜서가 도어에 인입되었을 때에 상기 디스펜서의 하면과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회전될 수 있다.The button may be rotated to be flush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dispenser when the dispenser is inserted into the door.

상기 디스펜서에 회전력을 부여하는 회전 유닛과, 상기 회전 유닛의 회전력을 완화시키는 댐핑 유닛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의 인입시 상기 도어의 전방으로 노출되는 상기 디스펜서의 전면에는 상기 디스펜서의 인출입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버튼은 상기 디스펜서의 인입시 상기 도어의 일측과 접하여 회전될 수 있다.
The rotary unit may further include a rotation unit for imparting rotational force to the dispenser, and a damping unit for alleviat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rotational unit.
An operation unit may be provided on a front surface of the dispenser exposed to the front of the door when the dispenser is retracted to operate the drawer of the dispenser.
The button may rotate in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door when the dispenser is retracted.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An embodiment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realizing the above object will be describ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를 도시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냉장고에는 본체(10)와 도어(20)가 포함된다. 상기 도어(20)는 본체(10)에 형성된 저장실(미도시)을 개폐한다. 상기 도어(20)는 힌지부(11)에 의해 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본체(10)의 저장실에는 물통(30)이 배치된다.Referring to FIG. 1, the refrigerator includes a main body 10 and a door 20. The door 20 opens and closes a storage chamber (not shown) formed in the main body 10. The door 20 is rotatably installed in the main body 10 by the hinge portion 11. In addition, the reservoir 30 is disposed in the storage chamber of the main body 10.

상기 도어(20)에는 인출 가능하도록 디스펜서(110)가 배치된다. 상기 디스펜서(110)에는 배수부(111)와 버튼(113)이 배치된다. The dispenser 110 is disposed in the door 20 to be withdrawn. The dispenser 110 is provided with a drain 111 and a button 113.

상기 디스펜서(110)의 전면에는 조작부(40)가 배치된다. 상기 조작부(40)로 는 다수의 버튼(41)이 포함된 터치 스크린 또는 터치 버튼이 적용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 또는 터치 버튼을 선택할 때에 상기 디스펜서(110)가 거의 가압되지 않으므로 상기 디스펜서(110)가 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operation unit 40 is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dispenser 110. As the manipulation unit 40, a touch screen or a touch button including a plurality of buttons 41 may be applied. In this case, since the dispenser 110 is hardly pressed when the user selects the touch screen or the touch button, the dispenser 110 may be prevented from being drawn out.

상기 디스펜서(110)의 하측에는 인출 가능하도록 트레이(150)가 배치된다. 상기 트레이(150)의 상면에는 버린 물이 통과할 수 있도록 그릴부(151)가 배치되고, 상기 트레이(150)의 내부에는 버린 물이 저장되도록 저수 공간(152)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그릴부(151)가 트레이(150)에서 분리되었을 때에, 상기 그릴부(151)와 저수 공간(152)이 함께 분리될 수 있다.The tray 150 is disposed below the dispenser 110 to be withdrawable. The grill unit 151 is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ray 150 to allow the discarded water to pass therethrough, and a storage space 152 is formed in the tray 150 to store the discarded water. At this time, when the grill unit 151 is separated from the tray 150, the grill unit 151 and the reservoir space 152 may be separated together.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펜서와 그 구동부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3은 디스펜서의 개폐 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dispenser and its drive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the dispenser.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디스펜서(110)는 도어(20)에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된다. 이때, 상기 도어(20)에는 디스펜서(110)가 수용되도록 수용 공간(21)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디스펜서(110)의 양측면 상부에는 힌지부(112)가 형성되고, 상기 도어(20)에는 상기 힌지부(112)에 대응되도록 힌지홈(112a)이 형성된다. 이러한 디스펜서(110)는 상측의 힌지부(112)를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인출된다.2 and 3, the dispenser 110 is hinged to the door 20 to be rotatable. In this case, an accommodation space 21 is formed in the door 20 to accommodate the dispenser 110. In addition, hinge portions 112 are formed at upper portions of both sides of the dispenser 110, and hinge grooves 112a are formed in the door 20 to correspond to the hinge portions 112. The dispenser 110 is drawn out while rotating about an upper hinge portion 112.

상기 디스펜서(110)에는 디스펜서(110)가 인출될 때에 인출되도록 버튼(113)이 결합된다. 상기 버튼(113)은 디스펜서(110)가 인출 및 인입될 때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또한, 상기 버튼(113)은 디스펜서(110)가 인입되었을 때에 상기 디스펜서의 하면과 거의 동일 평면을 이룬다.A button 113 is coupled to the dispenser 110 to be withdrawn when the dispenser 110 is withdrawn. The button 113 is rotatably disposed when the dispenser 110 is withdrawn and withdrawn. In addition, the button 113 is substantially coplanar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dispenser when the dispenser 110 is retracted.

상기 버튼(113)의 양측에는 힌지축(114)이 형성되고, 상기 디스펜서(110)의 하면에는 상기 버튼(113)의 힌지축(114)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힌지홈(114a)이 형성된다. 이러한 버튼(113)디스펜서(110)가 인출될 때에만 외부로 인출되므로, 부주의 등에 의해 손상되는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어린이들이 장난으로 버튼(113)이 눌러짐에 의해 물이 바닥에 쏟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Hinge shafts 114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utton 113, and hinge grooves 114a ar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dispenser 110 so that the hinge shafts 114 of the button 113 are rotatably coupled to each other. . Since the button 113 is dispensed to the outside only when the dispenser 110 is drawn out, it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by carelessness or the like. In addition, children can be prevented from pouring water to the floor by pressing the button 113 as a joke.

상기 디스펜서(110)에 인출력을 부여하도록 구동부(120)가 배치된다. 상기 구동부(120)에는 디스펜서(110)에 회전력을 부여하는 회전 유닛(130)과, 상기 회전 유닛(130)의 회전력을 완화시키는 댐핑 유닛(140)이 포함될 수 있다. The driver 120 is disposed to give an output to the dispenser 110. The driving unit 120 may include a rotation unit 130 that provides a rotational force to the dispenser 110 and a damping unit 140 that relaxes the rotational force of the rotation unit 130.

상기 회전 유닛(130)에는, 상기 디스펜서(110)의 일측 힌지부(112)에 결합되는 구동축(131)과,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는 구동 기어(132)와, 상기 구동축(131)에 탄성력을 작용하는 탄성부재(133)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구동축(131)은 케이스(134)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케이스(134)의 내부에는 탄성부재(133)가 수용된다. 상기 탄성부재(133)로는 태엽 스프링을 제시한다.The rotating unit 130, the drive shaft 131 coupled to one side hinge portion 112 of the dispenser 110, the drive gear 132 coupled to the rotating shaft and the elastic force acting on the drive shaft 131 An elastic member 133 may be included. The drive shaft 131 is rotatably coupled to the case 134, and the elastic member 133 is accommodated in the case 134. The elastic member 133 presents a spring.

상기 댐핑 유닛(140)에는, 상기 구동 기어(132)에 맞물리는 댐핑 기어(141)와, 상기 댐핑 기어(141)에 축결합되는 종동축(142)과, 상기 종동축(142)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점성 유체(144)가 수용되는 유체 수용부(143)와, 상기 종동축(14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유체 수용부(143)에 배치되는 블레이드(145)가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댐핑 유닛(140)에는 점성 유체(144) 대신에 상기 회전 유닛(130)의 탄성부재(133)와 반대로 탄성력을 작용하는 태엽 스프링이 적용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댐핑 유닛(140)의 태엽 스프링은 상기 회전 유 닛(130)의 탄성부재(133)보다 탄성력이 작아야 할 것이다.The damping unit 140 may include a damping gear 141 engaged with the driving gear 132, a driven shaft 142 axially coupled to the damping gear 141, and the driven shaft 142 may rotate. It may include a fluid receiving portion 143 is coupled to be received and the viscous fluid 144, and a blade 145 rotatably coupled to the driven shaft 142 and disposed on the fluid receiving portion 143. In this case, instead of the viscous fluid 144, the damping unit 140 may be a spring spring that acts an elastic force as opposed to the elastic member 133 of the rotary unit 130. Here, the spring of the damping unit 140 will have a smaller elastic force than the elastic member 133 of the rotary unit 130.

이때, 상기 탄성부재(133)가 구동축(131)과 구동 기어(132)에 회전력을 작용할 경우 상기 점성 유체(144)는 블레이드(145)의 회전력을 완화시키므로, 상기 댐핑 기어(141)는 구동 기어(132)의 회전력을 완화시키게 된다. 결국, 상기 탄성부재(133)와 점성 유체(144)는 디스펜서(110)에 인출력과 반력을 동시에 작용하므로, 상기 디스펜서(110)가 거의 일정한 속도로 인출된다.In this case, when the elastic member 133 applies a rotational force to the drive shaft 131 and the drive gear 132, the viscous fluid 144 relaxes the rotational force of the blade 145, the damping gear 141 is a drive gear The rotational force of 132 is relaxed. As a result, since the elastic member 133 and the viscous fluid 144 simultaneously act on the output power and reaction force to the dispenser 110, the dispenser 110 is drawn out at a substantially constant speed.

또한, 상기 회전 유닛(130)의 케이스(134)와 상기 댐핑 유닛(140)의 유체 수용부(143)는 도어(20)에 형성된 고정부(25,26)에 고정된다. In addition, the case 134 of the rotating unit 130 and the fluid receiving portion 143 of the damping unit 140 are fixed to the fixing portions 25 and 26 formed in the door 20.

도 4는 트레이와 그 인출부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first embodiment of the tray and its lead-out portion.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트레이(150)는 도어(20)에 왕복 가능하도록 수용된다. 상기 도어(20)에는 트레이(150)가 수용되도록 수용 공간(22)이 형성된다. 상기 트레이(150)의 하부 또는 상부에는 트레이(150)를 직선 왕복 운동시키도록 인출부(160)가 배치된다.Referring to FIG. 4, the tray 150 is accommodated in the door 20 so as to be reciprocated. The door 20 is formed with an accommodation space 22 to accommodate the tray 150. A drawer 160 is disposed below or above the tray 150 to linearly reciprocate the tray 150.

상기 인출부(160)는 상기 트레이(150)의 하면에 형성되는 랙기어부(170)와, 상기 랙기어부(170)에 맞물려 상기 랙기어부(170)에 인출력을 가하는 인출 유닛(180)과, 상기 인출 유닛(180)의 인출력을 완화시키는 댐핑 유닛(140)을 포함할 수 있다. The drawer 160 is a rack gear unit 170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the tray 150 and a draw unit 180 that meshes with the rack gear unit 170 to apply output to the rack gear unit 170. ), And a damping unit 140 to alleviate the output of the drawing unit 180.

상기 랙기어부(170)는 트레이(150)의 전후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된 평기어 형태를 갖는다. The rack gear unit 170 has a shape of a spur gear disposed long along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tray 150.

상기 인출 유닛(180)에는, 상기 랙기어부(170)와 맞물리는 구동 기어(181) 와, 상기 구동 기어(181)에 축결합되는 구동축(182)과, 상기 구동축(182)에 탄성력을 작용하는 탄성부재(183)가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구동축(182)은 케이스(184)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케이스(184)의 내부에는 탄성부재(183)가 수용된다. 상기 탄성부재(183)로는 태엽 스프링을 제시한다.An elastic force is applied to the drawing unit 180, a driving gear 181 engaged with the rack gear unit 170, a driving shaft 182 coupled to the driving gear 181, and the driving shaft 182. An elastic member 183 may be included. At this time, the drive shaft 182 is rotatably coupled to the case 184, the elastic member 183 is accommodated in the case 184. The elastic member 183 presents a spring.

상기 댐핑 유닛(190)에는, 상기 구동 기어(181)에 맞물리는 댐핑 기어(191)와, 상기 댐핑 기어(191)에 축결합되는 종동축(192)과, 상기 종동축(192)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점성 유체(194)가 수용되는 유체 수용부(193)와, 상기 종동축(19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유체 수용부(193)에 배치되는 블레이드(195)가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댐핑 유닛(190)에는 점성 유체(194) 대신에 상기 인출 유닛(100)의 탄성부재(183)와 반대로 탄성력을 작용하는 태엽 스프링이 적용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댐핑 유닛(190)의 태엽 스프링은 상기 인출 유닛(180)의 탄성부재(183)보다 탄성력이 작아야 할 것이다.The damping unit 190 may include a damping gear 191 engaged with the driving gear 181, a driven shaft 192 axially coupled to the damping gear 191, and the driven shaft 192 may rotate. And a blade 195 rotatably coupled to the driven shaft 192 and disposed on the fluid receiving unit 193, and a fluid receiving unit 193 for receiving the viscous fluid 194. In this case, instead of the viscous fluid 194, the damping unit 190 may be a spring that acts an elastic force as opposed to the elastic member 183 of the drawing unit 100. Here, the spring of the damping unit 190 will have a smaller elastic force than the elastic member 183 of the drawing unit 180.

이때, 상기 인출 유닛(180)의 탄성부재(183)가 구동축(182)과 구동 기어(181)에 회전력을 작용할 경우 상기 점성 유체는 블레이드(195)의 회전력을 완화시키므로, 상기 댐핑 기어(191)는 구동 기어(181)의 회전력을 완화시키게 된다. 결국, 상기 탄성부재(183)와 점성 유체(194)는 트레이(150)에 인출력과 반력을 동시에 작용하므로, 상기 트레이(150)가 거의 일정한 속도로 인출된다.In this case, when the elastic member 183 of the drawing unit 180 applies rotational force to the drive shaft 182 and the drive gear 181, the viscous fluid relieves the rotational force of the blade 195, the damping gear 191 Will relax the rotational force of the drive gear 181. As a result, the elastic member 183 and the viscous fluid 194 simultaneously act on the output and reaction force to the tray 150, the tray 150 is drawn out at a substantially constant speed.

또한, 상기 인출 유닛(180)의 케이스(184)와 상기 댐핑 유닛(190)의 유체 수용부(193)는 도어(20)에 형성된 고정부(25,26)에 고정된다. In addition, the case 184 of the drawing unit 180 and the fluid receiving portion 193 of the damping unit 190 are fixed to the fixing portions 25 and 26 formed on the door 20.

도 5는 냉장고의 디스펜서와 트레이를 도시한 단면도이다.5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dispenser and a tray of a refrigerator.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디스펜서(110)의 하면에는 버튼(113)이 회전할 수 있는 회전 공간(115)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회전 공간(115)의 전방측에는 배수 감지부(116)가 배치된다. 상기 배수 감지부(116)는 버튼(113)에 의해 가압되었을 때에 제어부(미도시)에 배수에 관한 신호를 전달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물통(30)의 물이 디스펜서(110)의 배수부(111)에 배수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Referring to FIG. 5, a rotation space 115 through which the button 113 may rotate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dispenser 110. At this time, the water discharge detecting unit 116 is disposed on the front side of the rotation space 115. The drain detector 116 transmits a signal regarding drainage to a controller (not shown) when pressed by the button 113. In this case, the controller controls the water in the bucket 30 to be drained to the drain 111 of the dispenser 110.

상기 디스펜서(110)의 하면에는 상기 디스펜서(110)의 인출 거리를 제한하는 구속부(117)가 형성된다. 상기 도어(20)에는 디스펜서(110)의 구속부(117)가 일정한 구간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슬롯(118)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슬롯(118)에는 상기 디스펜서(110)가 인입되었을 때에 상기 디스펜서(110)의 구속부(117)를 구속하도록 걸림부(119)가 배치된다. 상기 걸림부(119)는 구속부(117)를 구속하여 상기 디스펜서(110)에 탄성부재(133)의 탄성력이 작용하더라도 상기 디스펜서(110)가 회전되지 않도록 구속한다.The bottom surface of the dispenser 110 is formed with a restraining portion 117 to limit the withdrawal distance of the dispenser 110. The door 20 is provided with a slot 118 so that the restrainer 117 of the dispenser 110 can move in a predetermined section. In addition, the locking portion 119 is disposed in the slot 118 so as to restrain the restraint 117 of the dispenser 110 when the dispenser 110 is retracted. The locking part 119 restrains the dispenser 110 from being rotated even when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133 acts on the dispenser 110 by restraining the restraining part 117.

또한, 상기 트레이(150)의 하면에는 상기 트레이(150)의 인출 거리를 제한하는 구속부(157)가 형성된다. 상기 도어(20)에는 트레이(150)의 구속부(157)가 일정한 구간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슬롯(158)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슬롯(158)에는 상기 트레이(150)가 인입되었을 때에 상기 트레이(150)의 구속부(157)를 구속하도록 걸림부(159)가 배치된다. 상기 걸림부(159)는 구속부(157)를 구속하여 상기 트레이(150)에 상기 인출부(180)의 탄성부재(183)의 탄성력이 작용하더라도 상기 트레이(150)가 인출되지 않도록 구속한다.In addition, the lower surface of the tray 150 is formed with a restraining portion 157 for limiting the withdrawal distance of the tray 150. The door 20 is provided with a slot 158 to move the restrainer 157 of the tray 150 in a predetermined section. In addition, a latching portion 159 is disposed in the slot 158 to restrain the restraining portion 157 of the tray 150 when the tray 150 is retracted. The locking part 159 restrains the tray 150 from being drawn out even when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183 of the lead part 180 is applied to the tray 150 by restraining the restraining part 157.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냉장고의 작용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The operation of the refrige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도 6은 디스펜서가 눌러진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7은 디스펜서와 트레이가 인출된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이며, 도 8은 디스펜서의 버튼이 눌러진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이다.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dispenser is pressed, 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dispenser and the tray are drawn out, and FIG.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dispenser button is pressed.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디스펜서(110)를 누르면, 상기 디스펜서(110)가 후측으로 약간 후퇴됨에 의해 상기 디스펜서(110)의 구속부(117)는 상기 슬롯(118)에 배치된 걸림부(119)를 하부로 가압한다. 이때, 상기 구속부(117)는 걸림부(119)로부터 구속이 해제된다.Referring to FIG. 6, when the user presses the dispenser 110, the dispenser 110 is slightly retracted to the rear side so that the restraining portion 117 of the dispenser 110 may be disposed in the slot 118. 119) to the bottom. At this time, the restraint part 117 is restrained from the locking part 119.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디스펜서(110)는 상기 회전 유닛(130)의 탄성부재(133)의 작용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때, 상기 댐핑 유닛(140)의 블레이드(145)는 점성 유체(144)의 저항에 의해 회전 속도가 감소된다. 따라서, 상기 댐핑 유닛(140)의 댐핑 기어(141)는 상기 회전 유닛(130)의 구동 기어(132)의 회전 속도를 감소시키므로, 상기 디스펜서(110)는 일정한 속도로 인출된다.Referring to FIG. 7, the dispenser 110 is rotated clockwise by the action of the elastic member 133 of the rotating unit 130. At this time, the blade 145 of the damping unit 140 is reduced in rotation speed by the resistance of the viscous fluid 144. Therefore, the damping gear 141 of the damping unit 140 reduces the rotational speed of the drive gear 132 of the rotary unit 130, the dispenser 110 is drawn out at a constant speed.

이때, 상기 디스펜서(110)의 구속부(117)는 슬롯(118)을 따라 전방측으로 이동된다. 상기 디스펜서(110)의 구속부(117)가 슬롯(118)의 전방측 끝단에 걸리게 되면, 상기 디스펜서(110)의 회전은 정지된다. 이때, 상기 디스펜서(110)의 전면을 이루는 조작부(40)는 상기 도어(20)의 전면과 경사지게 된다.At this time, the restrainer 117 of the dispenser 110 is moved forward along the slot 118. When the restrainer 117 of the dispenser 110 is caught by the front end of the slot 118, the rotation of the dispenser 110 is stopped. At this time, the operation unit 40 forming the front of the dispenser 110 is inclined with the front of the door (20).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디스펜서(110)가 완전히 인출되면, 상기 디스펜서(110)의 하부에 배치된 버튼(113)은 힌지축(114)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이때, 사용자가 컵으로 버튼(113)을 가압하면, 상기 버튼(113)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배수 감지부(116)를 가압한다. 이때, 상기 배수 감지부(116)는 제어부에 배수에 관한 신호를 전달하고, 상기 배수부(111)는 물통(30)에서 물이 배수되도록 한다. 상기 배수된 물은 디스펜서(110)의 배수부(111)를 통해 컵으로 배수된다. 사용자는 컵에 담긴 물을 마실 수 있게 된다.Referring to FIG. 8, when the dispenser 110 is completely withdrawn, the button 113 disposed below the dispenser 110 is rotated about the hinge axis 114. At this time, when the user presses the button 113 with a cup, the button 113 is rotated counterclockwise to press the drain detection unit 116. In this case, the drain detector 116 transmits a signal related to drainage to the controller, and the drain 111 allows water to be drained from the bucket 30. The drained water is drained into the cup through the drain 111 of the dispenser 110. The user can drink the water in the cup.

사용자는 물을 충분히 섭취한 후 상기 디스펜서(110)를 눌러 상기 도어(20)의 수용 공간(21)에 디스펜서(110)를 밀어 넣는다. 이때, 상기 디스펜서(110)의 구속부(117)는 수용 공간(21)의 걸림부(119)에 걸려 구속되므로, 상기 디스펜서(110)는 회전 유닛(130)의 탄성부재(133)에 의해 회전력이 가해지더라도 회전되지 않는다.After the user ingests the water sufficiently, the user pushes the dispenser 110 and pushes the dispenser 110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21 of the door 20. At this time, since the restraining part 117 of the dispenser 110 is caught and restrained by the locking part 119 of the accommodation space 21, the dispenser 110 is rotated by the elastic member 133 of the rotating unit 130. It is not rotated even if it is applied.

한편, 사용자가 컵의 물을 마신 후 남은 물을 버려야 할 경우, 사용자는 트레이(150)를 누른다. 상기 트레이(150)가 후방으로 약간 후퇴되면, 상기 트레이(150)의 구속부(157)는 걸림부(159)를 하부로 가압한다. 이때, 상기 구속부(157)는 걸림부(159)로부터 구속이 해제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needs to discard the water remaining after drinking the cup of water, the user presses the tray 150. When the tray 150 is slightly retracted backward, the restraining portion 157 of the tray 150 presses the catching portion 159 downward. At this time, the restraint part 157 is restrained from the locking part 159.

이때, 상기 트레이(150)의 구속부(157)는 슬롯(158)을 따라 전방측으로 이동된다. 상기 트레이(150)의 구속부(157)가 슬롯(158)의 전방측 끝단에 걸리게 되면, 상기 트레이(150)의 인출은 정지된다.At this time, the restraining portion 157 of the tray 150 is moved forward along the slot 158. When the restraint portion 157 of the tray 150 is caught by the front end of the slot 158, the withdrawal of the tray 150 is stopped.

상기 트레이(150)가 완전히 인출되면, 상기 트레이(150)의 그릴부(151)는 외부에 노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컵에 남아있는 물을 그릴부(151)를 통해 저수 공간(152)에 버릴 수 있다.When the tray 150 is completely drawn out, the grill part 151 of the tray 150 is exposed to the outside. Therefore, the user may discard the water remaining in the cup in the reservoir space 152 through the grill part 151.

상기 트레이(150)의 저수 공간(152)에 물을 버린 후, 사용자는 트레이(150)를 다시 밀어 넣는다. 상기 트레이(150)의 구속부(157)는 걸림부(159)에 의해 구속 된다. 따라서, 상기 트레이(150)의 저수된 물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으므로, 상기 트레이(150)의 물이 부패되더라도 실내 공간의 공기가 부패된 물에 의해 오염되지 않는다.After draining the water into the reservoir space 152 of the tray 150, the user pushes the tray 150 again. The restraining part 157 of the tray 150 is restrained by the locking part 159. Therefore, since the stored water of the tray 150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even if the water of the tray 150 is decayed, the air in the indoor space is not contaminated by the decayed water.

상기 디스펜서(110)와 트레이(15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도어(20)에서 개별적으로 인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디스펜서(110)와 트레이(150)는 평상시에 도어(20)에 인입된 상태이므로, 사용자가 냉장고 근처를 지나가다가 디스펜서(110)나 트레이(150)에 걸려 부상을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dispenser 110 and the tray 150 may be individually withdrawn from the door 20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Therefore, since the dispenser 110 and the tray 150 are normally inserted into the door 20, the user may prevent the user from being injured by passing through the refrigerator and being caught by the dispenser 110 or the tray 150. have.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제2실시예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Next, a second embodiment of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펜서와 트레이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이다.9 and 10 are diagrams illustrating a second embodiment of a dispenser and a tr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디스펜서(210)의 전면에는 조작부(50: 도 11 참조)가 배치된다. 또한, 상기 조작부(50)에는 디스펜서(110) 및 트레이(150)의 동시 인출 및 동시 인입 버튼(51,52: 도 11 참조)이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조작부(50)에는 디스펜서(210)의 인출 및 인입 버튼, 트레이(150)의 인출 및 인입 버튼이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조작부(50)로는 터치 스크린 또는 터치 버튼이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조작부(50)에 동시 인출 및 인입 버튼(51,52)이 배치된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Referring to FIG. 9, an operation unit 50 (see FIG. 11) is disposed on a front surface of the dispenser 210. In addition, the operation unit 50 may be disposed at the same time with the dispenser 110 and the tray 150, the simultaneous withdrawal button (51, 52 (see Fig. 11)). In addition, the withdrawal and withdrawal buttons of the dispenser 210 and the withdrawal and withdrawal buttons of the tray 150 may be disposed on the operation unit 50, respectively. The manipulation unit 50 may be a touch screen or a touch button. Hereinafter, a description will be given based on the case where the simultaneous withdrawal and withdrawal buttons 51 and 52 are disposed on the operation unit 50.

상기 디스펜서(210)는 도어(20)에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된다. 이때, 상기 도어(20)에는 디스펜서(210)가 수용되도록 수용 공간(21)이 형성된다. 또한, 상 기 디스펜서(210)의 양측면 상부에는 힌지부(212)가 형성되고, 상기 도어(20)에는 상기 힌지부(212)에 대응되도록 힌지홈(212a)이 형성된다. 이러한 디스펜서(210)는 상측의 힌지부(212)를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인출된다.The dispenser 210 is hinged to the door 20 to be rotatable. In this case, an accommodation space 21 is formed in the door 20 to accommodate the dispenser 210. In addition, hinge portions 212 are formed on upper sides of the dispenser 210, and hinge grooves 212a are formed in the door 20 to correspond to the hinge portions 212. The dispenser 210 is drawn out while being rotated about an upper hinge portion 212.

상기 디스펜서(210)에는 디스펜서(210)가 인출될 때에 인출되도록 버튼(213)이 결합된다. 상기 버튼(213)은 디스펜서(210)가 인출 및 인입될 때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또한, 상기 버튼(213)은 디스펜서(210)가 인입되었을 때에 상기 디스펜서의 하면과 거의 동일 평면을 이룬다.A button 213 is coupled to the dispenser 210 to be withdrawn when the dispenser 210 is withdrawn. The button 213 is rotatably disposed when the dispenser 210 is withdrawn and withdrawn. In addition, the button 213 is substantially flush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dispenser when the dispenser 210 is retracted.

상기 버튼(213)의 양측에는 힌지축(214)이 형성되고, 상기 디스펜서(210)의 하면에는 상기 버튼(213)의 힌지축(214)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힌지홈(214a)이 형성된다. 이러한 버튼(213)은 디스펜서(210)가 인출될 때에만 외부로 인출되므로, 부주의 등에 의해 손상되는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어린이들이 장난으로 버튼(213)이 눌러짐에 의해 물이 바닥에 쏟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Hinge shafts 214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utton 213, and hinge grooves 214a ar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dispenser 210 so that the hinge shafts 214 of the button 213 are rotatably coupled to each other. . Since the button 213 is drawn out only when the dispenser 210 is drawn out, the button 213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by carelessness. In addition, children can be prevented from pouring water to the floor by pressing the button 213 to play.

상기 디스펜서(210)에 인출력을 부여하도록 구동부(220)가 배치된다. 상기 구동부(220)로는 디스펜서(210)를 자동으로 회전시키면서 인출 및 인입시키는 모터가 적용된다. 이때, 상기 구동부(220)로는 회전 속도가 조절 가능한 모터가 적용되므로, 상기 구동부(220)의 회전 속도를 완화시키기 위한 별도의 댐핑 유닛이 설치될 필요가 없다. The driver 220 is disposed to give an output to the dispenser 210. As the driving unit 220, a motor for drawing out and drawing in while automatically rotating the dispenser 210 is applied. In this case, the motor 220 is adjustable as the drive unit 220, it is not necessary to install a separate damping unit for reducing the rotational speed of the drive unit 220.

또한, 상기 구동부(220)는 도어(20)에 형성된 고정부(25)에 고정된다. In addition, the driving unit 220 is fixed to the fixing unit 25 formed in the door 20.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디스펜서(210)의 하측에는 트레이(250)가 배치된다. 상기 트레이(250)의 상면에는 버린 물이 통과할 수 있도록 그릴부(251)가 배치되 고, 상기 트레이(250)의 내부에는 버린 물이 저장되도록 저수 공간(252)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그릴부(251)가 트레이(250)에서 분리되었을 때에, 상기 그릴부(251)와 저수 공간(252)이 함께 분리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0, a tray 250 is disposed below the dispenser 210. The grill part 251 is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ray 250 to allow the discarded water to pass therethrough, and a storage space 252 is formed in the tray 250 to store the discarded water. In this case, when the grill part 251 is separated from the tray 250, the grill part 251 and the reservoir space 252 may be separated together.

상기 트레이(250)는 도어(20)에 왕복 가능하도록 수용된다. 상기 도어(20)에는 트레이(250)가 수용되도록 수용 공간(22)이 형성된다. 상기 트레이(250)의 하부 또는 상부에는 트레이(250)를 직선 왕복 운동시키도록 인출부(260)가 배치된다.The tray 250 is accommodated in the door 20 to be reciprocated. The door 20 is formed with an accommodation space 22 to accommodate the tray 250. A lead portion 260 is disposed below or above the tray 250 to linearly reciprocate the tray 250.

상기 인출부(260)에는, 상기 트레이(250)의 하면에 형성되는 랙기어부(270)와, 상기 랙기어부(270)에 맞물려 상기 랙기어부(270)에 인출력을 가하는 모터(280)가 포함된다. 이때, 상기 모터(280)로는 스테핑 모터가 적용될 수 있다. In the lead-out unit 260, a rack gear unit 270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tray 250 and a motor 280 meshing with the rack gear unit 270 to apply the output force to the rack gear unit 270. ) Is included. In this case, a stepping motor may be applied to the motor 280.

또한, 상기 모터(280)는 도어(20)에 형성된 고정부(26)에 고정된다. In addition, the motor 280 is fixed to the fixing part 26 formed in the door 20.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펜서와 트레이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1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dispenser and a tr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디스펜서(210)의 하면에는 버튼(213)이 회전할 수 있는 회전 공간(215)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회전 공간(215)의 전방측에는 배수 감지부(216)가 배치된다. 상기 배수 감지부(216)는 버튼(213)이 가압되었을 때에 제어부(미도시)에 배수에 관한 신호를 전달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물통(30)의 물이 디스펜서(210)의 배수부(211)에 배수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Referring to FIG. 11, a rotation space 215 through which the button 213 may rotate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dispenser 210. At this time, the front side of the rotation space 215 is disposed drain detector 216. The drain detector 216 transmits a signal regarding drainage to a controller (not shown) when the button 213 is pressed. In this case, the controller controls the water in the bucket 30 to be drained to the drain 211 of the dispenser 210.

상기 디스펜서(210)의 하면과 트레이(250)의 하면에는 상기 디스펜서(210)와 트레이(250)의 인출 거리를 제한하기 위한 별도의 구속부, 슬롯 및 걸림부가 배치될 필요가 없다. 이는 모터에 의해 자동으로 디스펜서(210)와 트레이(250)를 인입 및 인출시키기 때문이다.The bottom surface of the dispenser 210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tray 250 do not need to be provided with separate restraints, slots, and locking portions for limiting the withdrawal distance of the dispenser 210 and the tray 250. This is because the dispenser 210 and the tray 250 are automatically drawn in and taken out by the motor.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의 작용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The operation of the secon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사용자가 조작부(50)에서 동시 인출 버튼(51)을 누르면, 상기 모터들(230,280)이 구동됨에 따라 상기 디스펜서(210)와 트레이(250)가 동시에 인출된다. 상기 디스펜서(210)와 트레이(250)가 완전히 인출되면, 상기 모터(230,280)의 구동이 정지된다. 이때, 상기 디스펜서(210)가 완전히 인출되면, 상기 버튼(213)이 힌지축(214)을 중심으로 회전됨에 의해 디스펜서(210) 하부로 돌출된다. 사용자가 컵을 버튼(213)에 대고 누르면, 상기 배수 감지부(216)에서는 배수 신호를 제어부에 전달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물통(30)에 담긴 물이 디스펜서(210)의 배수부(211)를 통해 배수되도록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컵에 담긴 물을 마실 수 있게 된다. When the user presses the simultaneous withdrawal button 51 on the operation unit 50, the dispenser 210 and the tray 250 are simultaneously withdrawn as the motors 230 and 280 are driven. When the dispenser 210 and the tray 250 are completely pulled out, driving of the motors 230 and 280 is stopped. At this time, when the dispenser 210 is completely pulled out, the button 213 is rotated about the hinge axis 214 to protrude below the dispenser 210. When the user presses the cup against the button 213, the drain detector 216 transmits a drain signal to the controller.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allows the water contained in the bucket 30 to be drained through the drainage unit 211 of the dispenser 210. Thus, the user can drink the water contained in the cup.

다음으로, 사용자가 디스펜서(210)와 트레이(250)의 동시 인입 버튼(213)을 누르면, 상기 모터들이 반대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디스펜서(210)와 트레이(250)가 수용 공간(21,22) 내에 동시에 인입된다. Next, when the user presses the simultaneous inlet button 213 of the dispenser 210 and the tray 250, the dispenser 210 and the tray 250 are moved into the accommodation spaces 21 and 22 as the motors are rotated in reverse. It is pulled in at the same time.

한편, 제어부에서는 디스펜서(210)와 트레이(250)의 동시 인출 버튼(51)이 눌러진 후 소정 시간이 경과되어도 동시 인입 버튼(52)이 눌러지지 않을 경우, 상기 디스펜서(210)와 트레이(250)가 자동으로 인입되게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디스펜서(210)와 트레이(250)를 인입시키는 것을 잊을 수 있기 때문이다.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unit, if the simultaneous draw button 52 is not pressed even after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after the simultaneous draw button 51 of the dispenser 210 and the tray 250 is pressed, the dispenser 210 and the tray 250 ) Can be automatically entered. As such, the user may forget to retract the dispenser 210 and the tray 250.

상기 디스펜서(210)와 트레이(250)는 평상시에 도어(20)에 인입된 상태이므로, 사용자가 냉장고 근처를 지나가다가 디스펜서(210)나 트레이(250)에 걸려 부상 을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Since the dispenser 210 and the tray 250 are normally inserted into the door 20, the user may be prevented from being injured by passing through the refrigerator and being caught by the dispenser 210 or the tray 250.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냉장고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refrige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effects.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디스펜서와 트레이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도어의 내부에 인입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냉장고 근처를 지나가가 부주의로 상기 디스펜서나 트레이에 부딪혀 부상을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user does not use the dispenser and the tray is drawn inside the door, there is an effect that can prevent the user from passing by near the refrigerator and inadvertently hit the dispenser or tray and get injured.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디스펜서와 트레이는 대부분의 시간 동안 외부와 격리된 상태이므로, 상기 디스펜서의 배수부가 이물질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트레이에 버려진 물이 부패되더라도 실내 공간이나 디스펜서의 배수구가 오염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dispenser and the tray are insulated from the outside for most of the time,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the drainage of the dispenser from being contaminated by foreign matter. In addition, even if the water discarded in the tray is corrupted, there is an effect that can minimize the contamination of the drainage of the indoor space or dispenser.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버튼이 디스펜서와 함께 인출되므로, 어린이들이 장난이나 부주의로 버튼을 누를 수 없으며 외력에 의해 버튼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button is drawn out with the dispenser, children can not press the button playfully or carelessly, and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the button from being damaged by an external force.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디스펜서와 트레이가 도어의 내부에 위치되므로, 냉장고의 설계 자유도를 현저히 증가시키고 미관을 아름답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dispenser and the tray are located inside the door, there is an effect that the design freedom of the refrigerator can be increased significantly and the aesthetics can be beautiful.

Claims (8)

본체의 저장실을 개폐시키는 도어;A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torage compartment of the main body; 상기 도어에 인출 가능하게 배치되는 디스펜서; 및A dispenser disposed to be pulled out of the door; And 상기 디스펜서에 장착되며, 상기 디스펜서의 동작을 위해 조작되는 버튼을 포함하며,A button mounted to the dispenser and operated for operation of the dispenser, 상기 버튼은 상기 디스펜서의 인출입시 상기 디스펜서와 함께 인출입 이동되되, 상기 디스펜서의 인출시 상기 도어의 외측으로 노출되고 상기 디스펜서의 인입시 상기 도어의 내측에 위치되는 냉장고.The button is moved in and out with the dispenser when the dispenser withdraws, the refrigerator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door when the dispenser is withdrawn and located inside the door when the dispenser is withdrawn.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버튼은 디스펜서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냉장고.The button is rotatably coupled to the dispenser.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디스펜서에는 디스펜서가 인출 및 인입될 때에 상기 버튼이 회전되도록 회전 공간이 형성되는 냉장고.And a rotation space is formed in the dispenser such that the button is rotated when the dispenser is withdrawn and withdrawn.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디스펜서에는 버튼이 외력에 의해 가압될 때에 상기 버튼에 의해 가압되는 배수 감지부가 더 포함되는 냉장고.The dispenser further comprises a drain detector for pressing by the button when the button is pressed by an external forc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버튼은 디스펜서가 도어에 인입되었을 때에 상기 디스펜서의 하면과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회전되는 냉장고.And the button is rotated to be flush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dispenser when the dispenser is inserted into the door.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디스펜서에 회전력을 부여하는 회전 유닛과, 상기 회전 유닛의 회전력을 완화시키는 댐핑 유닛이 더 포함되는 냉장고.And a damping unit for alleviat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rotational unit, and a rotational unit for applying rotational force to the dispenser.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디스펜서의 인입시 상기 도어의 전방으로 노출되는 상기 디스펜서의 전면에는 상기 디스펜서의 인출입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가 구비되는 냉장고.The front of the dispenser exposed to the front of the door when the dispenser is drawn in, the refrigerator provided with an operation unit for operating the drawer in and out of the dispenser.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버튼은 상기 디스펜서의 인입시 상기 도어의 일측과 접하여 회전되는 냉장고.The button is rotated in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door when the dispenser is drawn in.
KR1020070060211A 2007-06-20 2007-06-20 Refrigerator KR101365355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0211A KR101365355B1 (en) 2007-06-20 2007-06-20 Refrigerator
US12/142,607 US8701436B2 (en) 2007-06-20 2008-06-19 Pivotable water dispenser for a refrigerator do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0211A KR101365355B1 (en) 2007-06-20 2007-06-20 Refrigera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11805A KR20080111805A (en) 2008-12-24
KR101365355B1 true KR101365355B1 (en) 2014-02-19

Family

ID=40369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0211A KR101365355B1 (en) 2007-06-20 2007-06-20 Refrigera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5355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4297A (en) * 2016-08-29 2018-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Refrigerato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2965A (en) * 2002-11-14 2004-05-22 엘지전자 주식회사 The dispenser for refrigerator
KR100504917B1 (en) 2003-04-01 2005-08-01 엘지전자 주식회사 Dispenser in refrigerator
KR100510698B1 (en) * 2003-09-17 2005-08-31 엘지전자 주식회사 Dispenser for ice-making apparatus in the refrigerator
US20050268638A1 (en) 2004-06-04 2005-12-08 Voglewede Ronald L Water dispenser for refrigerator freezer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2965A (en) * 2002-11-14 2004-05-22 엘지전자 주식회사 The dispenser for refrigerator
KR100504917B1 (en) 2003-04-01 2005-08-01 엘지전자 주식회사 Dispenser in refrigerator
KR100510698B1 (en) * 2003-09-17 2005-08-31 엘지전자 주식회사 Dispenser for ice-making apparatus in the refrigerator
US20050268638A1 (en) 2004-06-04 2005-12-08 Voglewede Ronald L Water dispenser for refrigerator freezer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4297A (en) * 2016-08-29 2018-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Refrigerator
KR102640866B1 (en) * 2016-08-29 2024-02-27 삼성전자주식회사 Refriger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11805A (en) 2008-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01436B2 (en) Pivotable water dispenser for a refrigerator door
KR101441133B1 (en) Controlling method for driving drawer of refrigerator
JP4903836B2 (en) Dispenser for ice making equipment for refrigerator
US20100072870A1 (en) Refrigerator with home bar
US8161767B2 (en) Ice making apparatus of refrigerator
EP3764046B1 (en) Refrigerator
EP2431693A1 (en) Refrigerator
MXPA04003411A (en) Device for making ice in refrigerated cabinets.
WO2009119922A1 (en) Refrigerator
KR102640866B1 (en) Refrigerator
EP3764044B1 (en) Refrigerator
KR101379629B1 (en) Refrigerator
AU2022279548A1 (en) Refrigerator
KR101365355B1 (en) Refrigerator
KR20230133823A (en) Refrigerator
KR20090020024A (en) Refrigerator
EP1975892A2 (en) A refrigerated module for dispensing ice-creams, deep-frozen products and the like
KR20140072849A (en) Controlling method for driving drawer of refrigerator
RU2580482C2 (en) Machine for selling beverages
KR102533644B1 (en) Refrigerator
KR20060110139A (en) A food garbage treating apparatus
KR102375257B1 (en) Refrigerator
KR102124037B1 (en) Refrigerator
JP7022641B2 (en) Vanity unit
KR200388705Y1 (en) A food Garbage Treat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