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1789B1 - Printing system for histopathologic examination and result management - Google Patents

Printing system for histopathologic examination and result managem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1789B1
KR101361789B1 KR1020130008019A KR20130008019A KR101361789B1 KR 101361789 B1 KR101361789 B1 KR 101361789B1 KR 1020130008019 A KR1020130008019 A KR 1020130008019A KR 20130008019 A KR20130008019 A KR 20130008019A KR 101361789 B1 KR101361789 B1 KR 1013617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sette
slide
unit
supply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801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용필
최광일
Original Assignee
타임시스템(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임시스템(주) filed Critical 타임시스템(주)
Priority to KR10201300080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178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17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178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0002Inspection of images, e.g. flaw detection
    • G06T7/0012Biomedical image insp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25/0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 B42D25/30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e.g. for preventing forgery
    • B42D25/36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e.g. for preventing forgery comprising special materials
    • B42D25/378Special ink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7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refere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pidem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inting system for histopathologic examination and result management which manages en bloc by executing slide and cassette mixture printing for a work which prints an identification code on a slide and cassette for a clinical specimen tissue and manages it by being connected with an external terminal such as PC etc.

Description

병리조직 검사 및 결과 관리를 위한 출력시스템 {PRINTING SYSTEM FOR HISTOPATHOLOGIC EXAMINATION AND RESULT MANAGEMENT}Output system for pathological examination and result management {PRINTING SYSTEM FOR HISTOPATHOLOGIC EXAMINATION AND RESULT MANAGEMENT}

본 발명은 병리조직 검사 및 결과 관리를 위한 출력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자세하게는 PC 등의 외부 단말기와 연동하여 검체조직용 슬라이드 및 카세트에 식별코드를 인쇄하여 관리하는 작업에 있어서 슬라이드 및 카세트 혼합 인쇄가 가능하여 일괄적으로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병리조직 검사 및 결과 관리를 위한 출력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utput system for pathological examination and result management, in detail, the slide and cassette mixed printing in the operation of printing and managing the identification code on the slide and cassette for specimen in conjunction with an external terminal such as a PC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utput system for pathological examination and result management that allows management to be carried out collectively.

의학적 치료법이나 약제개발에서 인체조직(Tissue) 병리 검사용 조직 병리검체(이하, "검체조직"이라 칭함)는 기능이나 효과 및 부작용을 검증하는 매우 중요한 자원으로 인식되고 있다. 따라서 각 연구기관이나 의료기관에서는 특정 질환에 맞는 검체조직을 샘플 케이스로 관리하여 질병 확진과 비교에 유용한 자산으로 활용하고 있으며, 특히 병리학에서 환자병력을 검증하고 최종으로 질병의 확진을 판단하는 중요한 자산이 된다.Tissue pathology test specimens (hereinafter referred to as "specimen tissues") for medical treatment or drug development are recognized as a very important resource for verifying functions, effects and side effects. Therefore, research institutes and medical institutions use specimen tissues suitable for specific diseases as sample cases and utilize them as useful assets for comparison with disease confirmation. In particular, in pathology, an important asset that verifies the patient's history and finally confirms the disease do.

현재 대부분의 국내 각 종합병원에서는 연간 약 15,000건 이상의 환자 검체를 다루고 있는데, 이러한 환자 검체를 다루기 위해서는 인체 조직 병리 검사용 포매용 카세트(이하, "카세트"라 칭함)와 검체조직을 진단하기 위한 슬라이드를 사용하게 된다. 상기 카세트는 내측에 환자의 검체조직이 넣어져 보관되는 플라스틱 재질의 보관 케이스이고, 슬라이드는 상부에 검체조직이 놓여져 검체조직 검사에 이용되는 투명한 유리판으로, 상기 카세트의 전면 일측 및 슬라이드의 일측에는 검체조직 정보를 나타내는 식별코드가 기록된다.Currently, most domestic general hospitals handle over 15,000 patient samples per year. To handle these patient samples, a cassette for embedding human tissue pathology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cassette") and slides for diagnosing sample tissues are included. Will be used. The cassette is a storage case made of a plastic material in which the sample tissue of the patient is stored inside, and the slide is a transparent glass plate used for inspecting the sample tissue by placing the sample tissue on the upper side of the cassette. An identification code representing the organization information is recorded.

도 1은 이러한 기존의 카세트 및 슬라이드를 이용하여 검체조직을 검사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examining a specimen tissue using such a conventional cassette and slide.

먼저, 검사 대상인 검체를 접수하여 정리하고(S11), 검체조직이 보관되는 카세트에 검체조직 정보를 나타내는 번호(식별코드)를 기록하며(S12), 카세트에 검체조직을 넣고(S13), 카세트에 넣어진 검체조직을 방부 및 온열 처리하여(S14), 카세트 블록을 만들게 된다(S15). 블록을 만든 후 카세트에서 검체조직을 떼어내 박절하게 되며(S16), 리본 뜨기를 실시하여 슬라이드에 박절된 검체조직을 부착한 후(S17), 슬라이드에 검체조직을 식별하기 위한 번호(식별코드)를 기록한다(S18). 이 후 번호가 기록된 슬라이드를 건조한 후(S19), 염색처리를 하게 되며(S20), 슬라이드에 부착된 검체정보 식별을 위한 식별코드를 라벨 출력기에 입력하고(S21), 라벨 출력기를 통하여 입력된 식별코드에 따라 라벨을 출력하게 된다(S22). 출력된 라벨을 슬라이드에 붙이고(S23), 슬라이드에 부착된 검체조직을 진단하여(S24), 검사결과를 컴퓨터 시스템에 입력하여 등록하게 된다(S25). 검사가 진행된 슬라이드 및 카세트 블록은 별도의 보관장소에 보관된다(S26, S27).First, a specimen to be inspected is received and arranged (S11), a number (identification code) indicative of specimen tissue information is recorded in a cassette storing the specimen tissue (S12), specimen tissue is inserted into the cassette (S13) The inserted specimen tissue is preserved and thermally treated (S14) to form a cassette block (S15). After the block is formed, the specimen tissue is peeled off from the cassette (S16). Ribbing is performed to attach the specimen tissue that has been separated to the slide (S17), and a number (identification code) (S18). After that, the slide on which the number is recorded is dried (S19), the dyeing process is performed (S20), the identification code for identifying the sample information attached to the slide is input to the label output device (S21) A label is output according to the identification code (S22). The output label is attached to the slide (S23), the specimen tissue attached to the slide is diagnosed (S24), and the inspection result is entered into the computer system and registered (S25). The slides and the cassette blocks which have been inspected are stored in separate storage places (S26, S27).

상기의 과정 중 카세트 및 슬라이드에 식별코드를 기록하는 과정 또는 라벨을 출력하여 부착하는 과정은 수작업으로 이루어지게 되며, 간혹 검사량이 많은 경우에는 전용 프린터를 사용하기도 한다. 하지만, 많은 양의 검체조직을 다루는 현실에서는 이러한 검체조직 정보를 나타내기 위해 식별코드를 프린터 또는 수작업을 통하여 기록하는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으며, 작업시 검체와 환자를 매치하는 과정이 반복적으로 필요하여 많은 시간이 소비됨에 따른 병목현상이 발생하는 등 업무가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있었다.During the above process, the process of recording the identification code on the cassette and the slide or the process of printing and attaching the label is performed by hand, and in some cases, a dedicated printer is used in case of a large amount of inspection. However, in the case of dealing with a large amount of sample tissues, an error may occur in the process of recording an identification code through a printer or a manual to represent such tissue information, and it is necessary to repeatedly match the sample and the patient during the operation. As a result, bottlenecks occur due to the large amount of time spent, resulting in inefficient work.

특히, 병리과가 있는 대부분의 종합병원에서 사용되는 카세트가 연평균 5만 개 이상이고 슬라이드 또한 7만 개 이상 사용되고 있는 상황을 고려하면 이러한 수작업을 통하여 카세트 및 슬라이드를 관리하는 것은 많은 시간을 소비하게 하고 신뢰성 및 효율성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특히 카세트에 식별번호를 인쇄하는 카세트 프린터와 슬라이드용으로 사용되는 라벨 프린터가 별도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동일 조직검체에 대한 식별코드 부여작업이 이원화됨에 따른 불편함이 있었다.In particular, considering that the cassettes used in most general hospitals with a pathology department have an annual average of 50,000 or more, and more than 70,000 slides are used, managing cassettes and slides through such manual operations is time consuming and reliable. And the label printer used for the slide and the cassette printer which prints the identification number on the cassette, and the label printer used for the slide are separately configured. There was thi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PC 등의 검체조직정보가 저장된 단말기를 통해 카세트와 슬라이드에 함께 식별번호를 인쇄하도록 하여 식별번호 부여작업을 일원화함으로 검사작업 및 관리를 용이하도록 하는 병리조직 검사 및 결과 관리를 위한 출력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heck the identification number assignment operation by unifying the identification number to print the identification number together on the cassette and the slide through the terminal in which the specimen tissue information, such as PC It is to provide an output system for pathological examination and result management that facilitates work and management.

상기와 같은 목적을 위해 본 발명은 검체조직검사용 카세트 또는 슬라이드에 구비된 기재부에 식별코드를 인쇄하는 출력시스템에 있어서, 내측에 다수의 슬라이드가 적층되며, 하부에 가장 아래쪽 슬라이드를 배출하도록 형성된 제1공급구를 구비한 제1공급트레이; 내측에 다수의 카세트가 적층되며, 하부에 가장 아래쪽 카세트를 배출하도록 형성된 제2공급구를 구비한 제2공급트레이; 상기 제1공급트레이의 가장 아래쪽 슬라이드를 밀어 제1공급구로 배출시키거나, 상기 제2공급트레이의 가장 아래쪽 카세트를 밀어 상기 제2공급구로 배출시키는 공급수단; 상기 제1공급트레이 및 제2공급트레이를 이동시켜 선택되는 공급트레이를 상기 공급수단이 밀어내는 방향에 배치하는 배열부; 상기 공급수단을 통해 배출된 슬라이드 또는 카세트를 이송하는 이송부; 잉크를 공급받아 상기 이송부를 통해 이동하는 슬라이스 또는 카세트의 기재부에 식별코드를 인쇄하며 상기 슬라이드 및 카세트의 높이에 대응하는 높이조절수단을 구비한 출력부; 상기 이송부의 끝단에 설치되어 식별번호가 인쇄된 슬라이드 또는 카세트를 상기 이송부로부터 밀어내는 배출수단; 상기 배출수단을 통해 밀려난 슬라이드 또는 카세트가 적치되는 배출트레이부; 상기 공급수단과 이송부와 출력부와 배출수단을 제어하되, 외부로부터 식별코드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출력부를 통해 식별코드로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제어부; 사용자로부터 슬라이드 인쇄를 위한 슬라이드모드 또는 카세트 인쇄를 위한 카세트모드를 선택받아 해당 모드에 대응되는 설정값을 상기 제어부에 전송하여 상기 이송부 및 출력부를 제어하는 변환부;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output system for printing an identification code on a substrate provided in a specimen or cassette for specimen histological examination, wherein a plurality of slides are stacked inside and formed to discharge the bottom slide at the bottom. A first supply tray having a first supply port; A second supply tray having a plurality of cassettes stacked therein and having a second supply hole formed to discharge the lowermost cassette at a lower portion thereof; Supply means for pushing the bottom slide of the first supply tray to be discharged to the first supply port or for pushing the bottom cassette of the second supply tray to the second supply port; An arrangement unit for disposing a supply tray selected by moving the first supply tray and the second supply tray in a direction in which the supply means pushes; A transfer unit for transferring the slide or the cassette discharged through the supply means; An output unit having an height control means corresponding to the height of the slide and the cassette, the identification code being printed on the substrate of the slice or the cassette which receives ink and moves through the transfer unit; Discharge means for pushing the slide or cassette, which is installed at the end of the transfer part and printed with an identification number, from the transfer part; A discharge tray unit in which the slide or cassette pushed through the discharge means is loaded; A control unit configured to control the supply unit, the transfer unit, the output unit, and the discharge unit, and receive an identification code signal from the outside and output the identification code through the output unit; A converter for selecting a slide mode for slide printing or a cassette mode for cassette printing from a user and transmitting a setting value corresponding to the mode to the controller to control the transfer unit and the output unit;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s of.

이때 상기 출력부는 자외선 경화잉크를 수용하여 공급하는 잉크공급부와, 상기 슬라이드 또는 카세트의 기재부를 예열하는 히터와, 상기 잉크공급부를 통해 공급된 잉크를 상기 슬라이드 또는 카세트의 기재부에 분사하여 상기 제어부를 통해 입력된 식별코드를 인쇄하는 헤드부와, 상기 슬라이드 또는 카세트의 기재부에 분사된 자외선 경화잉크를 경화시키는 자외선램프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this case, the output unit includes an ink supply unit for accommodating and supplying an ultraviolet curing ink, a heater for preheating the base unit of the slide or cassette, and spraying the ink supplied through the ink supply unit to the base unit of the slide or cassette to control the control unit. The head unit for printing the identification code input through the, and the ultraviolet lamp for curing the ultraviolet curing ink sprayed on the base portion of the slide or cassette.

또한, 상기 출력부를 통해 식별코드가 인쇄된 슬라이드 또는 카세트의 기재부에 자외선 경화형 마감코팅제를 분사하는 분사부와, 상기 슬라이드 또는 카세트의 기재부에 분사된 자외선 경화형 마감코팅제를 경화시키는 자외선램프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어부를 통해 제어되는 코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n injection unit for spraying the UV curable finish coating agent to the base material of the slide or cassette printed with the identification code through the output unit, and an ultraviolet lamp for curing the UV curable finish coating agent sprayed to the base material of the slide or cassette And may further include a coating part controlled through the controller.

상기 배출트레이부는 상기 슬라이드를 적치하는 제1배출트레이와, 상기 카세트를 적치하는 제2배출트레이와, 상기 제1배출트레이 및 제2배출트레이를 이동시켜 선택되는 배출트레이를 상기 배출수단의 밀어내는 방향에 배치하는 배치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discharge tray unit pushes the discharge tray selected by moving the first discharge tray for loading the slide, the second discharge tray for loading the cassette, the first discharge tray and the second discharge tray. It can be made up of an arrangement disposed in the direction.

상기 이송부는 상기 슬라이드 또는 카세트를 이송하는 컨베이어밸트부와, 상기 컨베이어밸트부를 작동시키며 상기 제어부를 통해 제어되는 이송모터부와, 상기 컨베이어밸트부 상측에 컨베이어밸트부의 진행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변환부의 모드 선택에 따라 상기 슬라이드 또는 카세트의 규격에 대응하여 상기 슬라이드 또는 카세트의 이탈을 방지하는 가이드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transfer unit is a conveyor belt unit for transferring the slide or cassette, a transfer motor unit which operates the conveyor belt unit and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and the conveyor belt unit is formed in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conveyor belt unit above the mode of the conversion unit. Optionally, the guide part may be configured to prevent separation of the slide or the cassette in accordance with the standard of the slide or the cassette.

본 발명을 통해 PC 등의 단말기에 입력된 동일 검체조직정보 대한 식별코드를 카세트와 슬라이드에 일괄적으로 인쇄함으로, 수기에 의한 방식에서 나타났던 시간의 지연 및 오류발생을 방지하고 검체자원관리를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Through the present invention, by printing the identification code for the same sample tissue information input to a terminal such as a PC on a cassette and a slide in a batch, it prevents the delay and error occurrence of time appeared in the manual method and manages the specimen resource management. It can be done efficiently.

나아가 의학적 확진 기간 및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되며, 특히 기재부에 특수 잉크를 통한 인쇄 또는 코팅층 형성으로 시간의 경과 및 각종 시험을 수행하더라도 인쇄부의 손상이 방지됨으로 의학연구의 재료로서의 인체자원에 대한 이력 및 병력파악 작업이 보다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Furthermore, medical confirmation period and cost can be reduced, and in particular, printing or coating layer formation through a special ink on the substrate prevents damage to the printing portion even if time passes and various tests are performed. History and troop grading can be done more easily and reliably.

도 1은 기존의 카세트 및 슬라이드를 이용하여 검체조직을 검사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내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송부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출트레이부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examining a specimen tissue using a conventional cassette and a slide;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uter shap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transfer uni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discharge tray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appearan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 병리조직 검사 및 결과 관리를 위한 출력시스템의 구성을 자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configuration of the output system for the pathological examination and result manage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내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로서, 본 발명은 검체조직검사용 카세트 또는 슬라이드에 구비된 기재부에 관리목적으로 부여되는 식별코드를 인쇄하기 위한 시스템을 제공한다.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substrate portion provided in the cassette or slide for testing specimens Provides a system for printing an identification code assigned for management purposes.

즉 사용자가 기재부(B)에 식별코드가 부여되기 전 상태에 있는 카세트(300)와 슬라이드(200)를 각각 제1공급트레이(111) 및 제2공급트레이(113)에 적치하게 되면, 상기 카세트(300) 및 슬라이드(200)에 포함된 검체조직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고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PC 등의 단말기를 통해 생성되는 식별코드를 적치된 상기 카세트(300) 또는 슬라이드(200)의 기재부(B)에 출력하게 된다. That is, when the user places the cassette 300 and the slide 200 in the state before the identification code is applied to the base portion B, respectively, in the first supply tray 111 and the second supply tray 113, Description of the cassette 300 or the slide 200 in which the identification code generated through a terminal such as a PC for receiving information on the sample tissue included in the cassette 300 and the slide 200 and constructing a database is stored. Will output to (B).

상기 제1공급트레이(111)는 내측에 다수의 슬라이드가 적층되어 쌓이는 구조체로서, 상기 제1공급트레이(111)의 하부에는 적층된 슬라이드 중 가장 아래쪽에 위치한 슬라이드가 수평으로 배출되는 구조의 제1공급구(112)가 형성된다.The first supply tray 111 is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slides are stacked and stacked inside, and the first supply tray 111 has a structure in which a slide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stacked slides is horizontally discharged below the first supply tray 111. Supply port 112 is formed.

상기 슬라이드(200)는 검체조직의 현미경 검사를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직사각형의 유리판으로서 길이방향의 한쪽 끝 부분에는 기재부(B)가 형성되어 부착된 검체조직에 대한 간략한 정보를 나타내는 식별코드(식별번호) 등을 기재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기재부(B)가 상측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제1공급트레이(111)에 포개어진 상태로 삽입된다.The slide 200 is a rectangular glass plate that is used for the purpose of microscopic examination of the specimen tissue, one side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se portion (B) is formed with an identification code indicating the brief information about the specimen tissue attached (identification Number) and the like, and is inserted into the first supply tray 111 so that the base portion B faces the same direction upward.

상기 제2공급트레이(113)는 상기 제1공급트레이(111)와 유사한 역할을 하는 부분으로 내측에 다수의 카세트가 적층되어 쌓이도록 구성되며, 하부에는 적층된 카세트 중 가장 아래쪽 카세트가 수평으로 배출되는 구조의 제2공급구(114)가 형성된다.The second supply tray 113 is a part that plays a role similar to that of the first supply tray 111, and is configured to stack a plurality of cassettes stacked inside, and the lowermost cassette of the stacked cassettes is discharged horizontally. The second supply port 114 of the structure is formed.

상기 카세트(300)는 검체조직의 보관을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직사각형의 케이스로서 통상 전면의 상측 모서리부분에는 기재부(B)가 형성되어 수용된 검체조직에 대한 간략한 정보를 나타내는 식별코드(식별번호) 등을 기재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카세트(300)의 기재부(B)가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제2공급트레이(113)에 포개어진 상태로 삽입된다.The cassette 300 is a rectangular case which is used for the purpose of storing the specimen tissue, and an identification code (identification number) indicating brief information on the specimen tissue that is formed by having a base portion (B) formed on the upper corner of the front surface. It is configured to be described, etc., the base portion (B) of the cassette 300 is inserted in the state superimposed on the second supply tray 113 so as to face the same direction.

상기 제1공급트레이(111) 및 제2공급트레이(113)는 각각 하나씩 단독으로 구비될 수도 있으나, 다수의 카세트 및 슬라이드에 대한 식별코드 인쇄작업시 원활한 진행을 위해 복수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첨부된 도 2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제1공급트레이(111) 및 제2공급트레이(113)가 각각 6개가 구비된 모습을 나타내고 있으나,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적절한 개수로 변형도 가능하다.Each of the first supply tray 111 and the second supply tray 113 may be provided separately one by one. Preferably, a plurality of first supply trays 111 and two second supply trays 113 may be provided for smooth progression when printing identification codes for a plurality of cassettes and slides. In FIG. 2, six first supply trays 111 and six second supply trays 113 are provided as preferred embodiments. However, the first supply tray 111 and the second supply tray 113 may be modified in an appropriate number according to a user's needs.

본 발명에서 식별코드의 인쇄는 단일의 슬라이드 또는 카세트에 대해 수행되므로 슬라이드 또는 카세트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하나씩 공급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1공급트레이(111) 및 제2공급트레이(113)를 이동시켜 제1공급트레이(111) 또는 제2공급트레이(113) 중 선택되는 공급트레이를 후술 되는 공급수단(120)이 밀어낼 수 있는 방향에 배치하는 배열부(110)가 구비된다.Since the printing of the identification code in the present invention is performed for a single slide or cassette, it is necessary to supply the slides or cassettes one by one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To this end, by moving the first supply tray 111 and the second supply tray 113, the supply means 12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e supply tray selected from the first supply tray 111 or the second supply tray 113 is Arrangement 110 is disposed to be pushed in a direction.

첨부된 도 2에서 상기 배열부(110)는 원형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측으로 각각 제1공급구(112) 및 제2공급구(114)가 바깥 측을 향하도록 제1공급트레이(111)와 제2공급트레이(113)가 설치되어, 상기 배열부(110)를 회전시킴에 따라 제1공급트레이(111) 또는 제2공급트레이(113) 중 선택되어 상기 공급수단(120)이 슬라이드 또는 카세트를 밀어낼 수 있도록 한다. In FIG. 2, the arrangement 110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and the first supply tray 111 and the first supply port 112 and the second supply port 114 respectively face upward. A second supply tray 113 is installed to rotate the arrangement 110 so that the supply means 120 is selected from the first supply tray 111 or the second supply tray 113 to slide or cassette. To push it away.

상기 제1공급트레이(111) 또는 제2공급트레이(113) 중 상기 배열부(110)의 회전에 따라 가장 일측에 배치된 공급트레이의 타측에는 상기 제1공급트레이(111)의 가장 아래쪽 슬라이드를 밀어 제1공급구(112)로 배출시키거나, 상기 제2공급트레이(113)의 가장 아래쪽 카세트를 밀어 상기 제2공급구(114)로 배출시키는 공급수단(120)이 구비된다.On the other side of the supply tray disposed on one side of the first supply tray 111 or the second supply tray 113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arrangement 110, the bottom slide of the first supply tray 111 It is provided with a supply means 120 to push the discharge to the first supply port 112, or to push the bottom cassette of the second supply tray 113 to the second supply port (114).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배열부(110)가 원형으로 이루어질 경우에는 상기 공급수단(120)은 상기 배열부(110)의 중앙 측에 위치하게 될 것이며, 상기 공급수단(120)은 전동모터와 전동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는 크랭크축을 통해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왕복운동을 수행함으로 슬라이드 또는 카세트를 이송부(130) 측으로 밀어낸다.When the arrangement 110 is made in a circular shape as shown in Figure 2 the supply means 120 will be located at the center side of the arrangement 110, the supply means 120 is an electric motor and electric The slide or cassette is pushed toward the transfer part 130 by performing a reciprocating motion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input through a crank shaft connected to the rotation shaft of the motor.

상기 공급수단(120)을 통해 제1공급구(112)로부터 배출된 슬라이드 또는 제2공급구(114)로부터 배출된 카세트는 컨베이어밸트부 형태의 이송부(130)를 통해 식별코드의 인쇄를 위해 이송된다.The slide discharged from the first supply port 112 or the cassette discharged from the second supply port 114 through the supply means 120 is transported for printing the identification code through the transfer unit 130 in the form of a conveyor belt. do.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송부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로서, 상기 이송부(130)는 상기 슬라이드 또는 카세트를 이송하는 컨베이어밸트부(131)와, 상기 컨베이어밸트부(131)를 작동시키며 후술 되는 제어부(180)를 통해 작동하는 이송모터부(132)로 이루어지게 된다.4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transfer uni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transfer unit 130 operates the conveyor belt unit 131 and the conveyor belt unit 131 for transferring the slide or cassette and will be described later. It is made of a transfer motor unit 132 that operates through the control unit 180.

이때 상기 컨베이어밸트부(131) 상부 일측으로 컨베이어밸트부(131)의 진행방향으로 형성되어 후술 되는 변환부(190)의 모드 선택에 따라 상기 슬라이드 또는 카세트의 규격에 대응하여 상기 컨베이어밸트부(131) 상측의 공간을 조절함으로 이송중 상기 슬라이드 또는 카세트의 이탈을 방지하는 가이드부(133)가 형성된다.At this time, the conveyor belt 131 is formed in the direction of the conveyor belt 131 toward one side of the conveyor belt 131, and the conveyor belt 131 corresponds to the size of the slide or the cassette according to the mode selection of the converter 190 to be described later. The guide portion 133 is formed to prevent the slide or cassette from being separated during the transfer by adjusting the upper space.

즉 원활한 이송을 위해 상기 컨베이어밸트부(131)의 전체 폭은 슬라이드에 비해 큰 사이즈를 갖는 카세트보다도 약간 큰 사이즈로 이루어지게 된다. 카세트에 대해 식별코드를 인쇄하는 경우 상기 가이드부(133)는 상기 공급수단(120)이 상기 제2공급트레이(113)로부터 카세트를 상기 컨베이어밸트부(131)로 밀어냈을 때 공급된 카세트가 컨베이어밸트부(131)의 중앙에 정위치하도록 밀리는 범위를 제한하여, 정확한 위치에 식별코드가 인쇄될 수 있도록 한다.That is, the entire width of the conveyor belt 131 is made to be slightly larger than the cassette having a larger size than the slide for smooth transfer. In the case of printing the identification code for the cassette, the guide part 133 is a cassette supplied when the supply means 120 pushes the cassette from the second supply tray 113 to the conveyor belt part 131. By limiting the pushing range to be precisely positioned in the center of the belt portion 131, the identification code can be printed in the correct position.

또한, 상기 카세트에 대해 비교적 작은 크기를 갖는 슬라이드에 식별코드를 인쇄하는 경우, 상기 가이드부(133)는 상기 공급수단(120)이 상기 제2공급트레이(113)로 부터 슬라이드를 상기 컨베이어밸트부(131)로 밀어냈을 때, 공급된 슬라이드의 밀리는 범위를 제한하도록 타측으로 이동되어 이송부(130)를 통해 이동하는 슬라이드가 컨베이어밸트부(131)의 중앙에 정위치하여, 기재부의 정확한 위치에 식별코드가 인쇄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printing the identification code on the slide having a relatively small size for the cassette, the guide unit 133 is the supply means 120 the slide from the second supply tray 113 the conveyor belt portion When pushed to 131, the slide which is moved to the other side and moves through the transfer part 130 is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conveyor belt 131 so as to limit the pushing range of the supplied slide, and is identified at the correct position of the base part. Allow the code to be printed.

이와 같은 가이드부(133)는 상기 컨베이어밸트부(131)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패널과 상기 패널을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모터와 기어로 이루어진 이동수단으로 이루어지게 된다.The guide portion 133 is made of a panel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veyor belt 131 and a moving means consisting of a drive motor and a gear for moving the panel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상기 이송부(130)의 길이방향 중앙 측에는 이송되는 슬라이드(200) 또는 카세트(300)의 기재부(B)에 식별코드를 인쇄하는 출력부(140)가 구비된다. 상기 출력부(140)는 잉크젯 프린터와 유사한 구성으로 잉크를 공급받아 상기 이송부(130)를 통해 이동하는 슬라이스 또는 카세트의 기재부에 잉크를 분사함으로 식별코드를 인쇄한다.The output unit 140 for printing the identification code on the base portion (B) of the slide 200 or the cassette 300 is transferred to the longitudinal center side of the transfer unit 130. The output unit 140 receives ink in a configuration similar to an inkjet printer, and prints an identification code by spraying ink onto a base of a slice or a cassette moving through the transfer unit 130.

또한, 상기 출력부(140)에는 상기 슬라이드 및 카세트의 높이에 대응하여 출력부(140)의 전체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수단(144)이 구비된다. 즉 슬라이드(200)의 기재부(B)에 식별코드를 인쇄할 경우 상기 높이조절수단(144)이 슬라이드(200)의 높이에 대응하도록 낮아지고, 카세트(300)의 기재부(B)에 식별코드를 인쇄할 경우 상기 높이조절수단(144)이 카세트(300)의 높이에 대응하도록 높아져 원활한 식별코드 인쇄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높이조절수단은 구동모터와 렉크-피니언기어 등을 통해 어렵지 않게 구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output unit 140 is provided with height adjusting means 144 for adjusting the overall height of the output unit 140 in response to the height of the slide and the cassette. That is, when the identification code is printed on the base portion B of the slide 200, the height adjusting means 144 is lowered to correspond to the height of the slide 200, and is identified on the base portion B of the cassette 300. When the code is printed, the height adjusting means 144 is raised to correspond to the height of the cassette 300 so that the smooth identification code can be printed. Such height adjustment means can be easily implemented through the drive motor and the rack-pinion gear.

이때 상기 슬라이드(200)의 경우 부착된 검체조직의 종류에 따라 매우 다양한 방식으로 염색이 이루어지게 되며, 이때 염색용 시약이 슬라이드(200)에 직접 접촉된다. 이와 같은 염색용 시약은 세균이나 검체조직에 대해 비정상적인 부분을 특정한 색으로 염색하여 현미경에 의한 판독시 시각적 차이를 증대시키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주로 자일렌, 알코올, 포르마린 등의 재료로 이루어진다.In this case, the slide 200 is stained in a variety of ways depending on the type of sample tissue attached, the dyeing reagent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slide 200. Such a dyeing reagent is a function of increasing the visual difference when reading by a microscope by staining the abnormal part with a specific color for bacteria or sample tissue, mainly made of materials such as xylene, alcohol, formarin.

이때 상기 기재부(B)에 일반잉크를 사용하여 식별코드를 인쇄할 경우 상술한 염색용 시료에 의해 인쇄된 식별코드가 손상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일반잉크보다는 염색용 시료에 대한 내성을 지닌 잉크를 사용하거나, 특수한 코팅 처리를 할 필요가 있다. At this time, when the identification code is printed using the general ink on the base portion (B),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the identification code printed by the sample for dyeing is damaged. In order to prevent this, it is necessary to use an ink having resistance to a dye sample rather than a general ink, or to apply a special coating treatment.

이를 위해 상기 출력부(140)는 자외선 경화잉크를 수용하여 공급하는 잉크공급부(141)와, 상기 슬라이드(200) 또는 카세트(300)의 기재부(B)를 예열하는 히터(142)와, 상기 잉크공급부(141)를 통해 공급된 잉크를 상기 슬라이드(200) 또는 카세트(300)의 기재부(B)에 분사하여 상기 제어부(180)를 통해 입력된 식별코드를 인쇄하는 헤드부(143)와, 상기 슬라이드(200) 또는 카세트(300)의 기재부(B)에 분사된 자외선 경화잉크를 경화시키는 자외선램프(U)로 이루어지게 된다.To this end, the output unit 140 includes an ink supply unit 141 for accommodating and supplying ultraviolet curing ink, a heater 142 for preheating the base unit B of the slide 200 or the cassette 300, and The head unit 143 for printing the identification code input through the control unit 180 by spraying the ink supplied through the ink supply unit 141 to the base portion (B) of the slide 200 or the cassette 300; In addition, the slide 200 or the cassette 300 is made of an ultraviolet lamp (U) for curing the ultraviolet curing ink sprayed on the base portion (B).

자외선 경화잉크는 자외선과 접촉하여 액체 단위체가 고체 중합체로 변환되는 잉크로 수성계열이나 솔벤트 잉크와는 달리 용매제가 증발이나 건조되지 않는 특성이 있어 기재부의 온도가 낮을 경우 잉크의 점착율이 떨어지게 되므로, 인쇄 전 상기 기재부 표면의 온도를 40도 이상으로 유지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헤드부(143)에서 잉크를 분사하기 전 상기 히터(142)를 통해 기재부(B)를 40도 이상으로 예열하게 된다.Ultraviolet curing ink is an ink in which the liquid unit is converted into a solid polymer by contact with ultraviolet rays. Unlike aqueous series or solvent ink, the solvent does not evaporate or dry. It is necessary to maintain the temperature of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portion at 40 degrees or more before printing. To this end, the substrate portion B is preheated to 40 degrees or more through the heater 142 before the ink is ejected from the head portion 143.

이후 상기 헤드부(143)에서 상기 기재부(B)에 자외선 경화잉크를 분사하여 식별코드를 인쇄한 이후 상기 자외선램프(U)를 통해 식별코드가 인쇄된 기재부에 자외선을 비춰줌으로 잉크를 경화시켜 식별코드가 견고히 고착된다. 자외선 경화잉크가 고착되어 형성된 식별코드는 물리적인 강한 힘을 가하지 않는 이상 다양한 염색용 시약이 접촉하더라도 쉽게 벗겨지거나 떨어지지 않게 된다.After printing the identification code by spraying the UV curing ink on the base portion (B) in the head portion 143, the ink by irradiating ultraviolet rays to the base portion printed with the identification code through the ultraviolet lamp (U) Hardened and the identification code is firmly fixed. The identification code formed by fixing the UV curing ink does not peel off or fall off easily even when various dyeing reagents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unless a strong force is applied.

상기 잉크공급부(141) 및 헤드부(143)는 통상의 잉크젯 프린터와 동일한 기술로 구현이 가능하다.The ink supply unit 141 and the head unit 143 may be implemented by the same technology as a conventional inkjet printer.

이때 상기 이송부(130)는 상기 슬라이드가 상기 출력부(140)에 머물며, 상기 히터(142)를 통해 기재부(B)가 예열 되고, 상기 헤드부(143)를 통해 식별코드의 인쇄가 이루어지는 동안 잠시 정지하도록 구성된다.At this time, the transfer unit 130, while the slide stays in the output unit 140, the substrate unit B is preheated through the heater 142, while the identification code is printed through the head unit 143 Configured to pause for a while.

상기 이송부(130)의 끝단에는 상기 출력부(140)를 통해 식별번호가 인쇄된 슬라이드 또는 카세트를 상기 이송부(130) 측면에 위치한 배출트레이부(170)로 밀어내는 배출수단(160)이 구비된다. 상기 배출수단(160)은 상기 공급수단(120)과 동일한 작동원리를 통해 신호입력에 따라 왕복운동을 하여 슬라이드 또는 카세트를 밀어낸다.At the end of the transfer unit 130 is provided with a discharge means 160 for pushing the slide or cassette with the identification number printed through the output unit 140 to the discharge tray unit 170 located on the side of the transfer unit 130. . The discharge means 160 pushes the slide or cassette by reciprocating motion according to the signal input through the same operating principle as the supply means 120.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출트레이부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로서, 상기 배출트레이부(170)는 상기 배출수단(160)을 통해 밀려난 슬라이드 또는 카세트가 순차적으로 적치되는 구성으로 상기 슬라이드(200)를 적치하는 제1배출트레이(171)와, 상기 카세트(300)를 적치하는 제2배출트레이(172)와, 상기 제1배출트레이(171) 및 제2배출트레이(172)를 이동시켜 선택되는 배출트레이를 상기 배출수단(160)의 밀어내는 방향에 배치하는 배치부(173)로 이루어진다.5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the discharge tray uni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charge tray unit 170 is a slide or cassette pushed through the discharge means 160 in a configuration that is sequentially stacked the slide ( Move the first discharge tray 171 for storing 200, the second discharge tray 172 for loading the cassette 300, the first discharge tray 171 and the second discharge tray 172; It is composed of a disposition unit 173 for disposing the discharge tray selected in the direction of the discharge means 160.

첨부된 도 5에서는 각각 4개의 제1배출트레이(171) 및 제2배출트레이(172)가 층층이 쌓여 형성된 모습을 나타내고 있으며, 상기 배치부는 구동모터를 통해 상기 제1배출트레이(171) 및 제2배출트레이(172)의 높이를 조절함으로 슬라이드에 식별코드 인쇄시 제1배출트레이(171)가 상기 배출수단(160) 측면에 위치하도록 하고, 카세트에 식별코드를 인쇄시 제1배출트레이(171)가 상기 배출수단(160) 측면에 위치하도록 조절하게 된다.In FIG. 5, four first discharge trays 171 and second discharge trays 172 are formed by stacking layers, respectively, and the arrangement unit includes a first discharge tray 171 and a second discharge motor through a driving motor. B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discharge tray 172, the first discharge tray 171 is located on the side of the discharge means 160 when printing the identification code on the slide, the first discharge tray 171 when printing the identification code on the cassette Is adjusted to be positioned on the side of the discharge means (160).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CPU에 해당하는 제어부(180)와, 사용자로부터 슬라이드 인쇄를 위한 슬라이드모드 또는 카세트 인쇄를 위한 카세트모드를 선택받는 변환부(190)가 구비된다.Finally, a controller 180 corresponding to the CPU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converter 190 for selecting a slide mode for slide printing or a cassette mode for cassette printing from a user are provided.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공급수단(120)과 이송부(130)와 출력부(140)와 배출수단(160)의 세부동작을 제어하되, 특히 슬라이드 또는 카세트의 공급, 이송, 식별코드 인쇄, 적치과정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제어하게 되며, PC 등 외부의 관리용 단말기로부터 식별코드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출력부(140)를 통해 식별코드로 출력하도록 된다.The control unit 180 controls the detailed operation of the supply means 120, the transfer unit 130, the output unit 140 and the discharge means 160, in particular the supply, transfer, identification code printing, loading of the slide or cassette The process is controlled to be performed sequentially, and receives the identification code signal from an external management terminal such as a PC and outputs the identification code through the output unit 140.

상기 변환부(190)는 일종의 전환스위치로서 슬라이드에 식별코드를 인쇄하는 경우 및 카세트에 식별코드를 인쇄하는 경우에 대한 설정값을 변경시키게 된다. 즉 사용자는 상기 변환부(190)를 통해 슬라이드 인쇄를 위한 슬라이드모드 또는 카세트 인쇄를 위한 카세트모드를 선택하게 되며, 선택된 모드에 대응되는 설정값을 상기 제어부(180)에 전송하여 상기 공급수단 및 배출수단의 동작타이밍, 상기 이송부(130)의 이송속도 및 정지위치와, 출력부(140)의 높이조절수단(144)을 적절히 제어하게 된다. The conversion unit 190 is a kind of changeover switch to change setting values for the case of printing the identification code on the slide and the case of printing the identification code on the cassette. That is, the user selects the slide mode for the slide printing or the cassette mode for the cassette printing through the conversion unit 190, and transmits the setting means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mode to the controller 180 to supply the supply means and the discharge. The operation timing of the means, the feed speed and stop position of the transfer unit 130, and the height adjusting means 144 of the output unit 140 is appropriately controlled.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로서, 상기 출력부(140)가 자외선 경화잉크가 아닌 일반잉크를 사용할 경우 인쇄된 식별코드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코팅 처리를 하는 코팅부가 추가된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put unit 140 is a general ink rather than ultraviolet curing ink When used, the coating part is coated to prevent damage to the printed identification code.

이하 첨부된 도 6 내지 7을 통해 설명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설명에서는 도 2 내지 5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설명된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게 되며,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ures 6 to 7 will be use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for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configuration described in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Figures 2 to 5, Duplicate explanations will be omitted.

상기 코팅부(150)는 일반 잉크를 사용하여 슬라이드(200) 또는 카세트(300)의 기재부(B)에 인쇄된 식별코드에 자외선 경화형 마감코팅제를 통해 코팅을 하는 부분으로, 구체적으로 상기 출력부(140)를 통해 식별코드가 인쇄된 슬라이드(200) 또는 카세트(300)의 기재부(B)에 자외선 경화형 마감코팅제를 분사하는 분사부(151)와, 상기 슬라이드(200) 또는 카세트(300)의 기재부(B)에 분사된 자외선 경화형 마감코팅제를 경화시키는 자외선램프(U)로 이루어지게 된다.The coating part 150 is a part of coating the identification code printed on the base portion (B) of the slide 200 or the cassette 300 by using a general ink through a UV curable finish coating agent, specifically, the output unit An injection unit 151 for injecting a UV curable finish coating agent to the base portion (B) of the slide 200 or cassette 300, the identification code is printed through the 140, and the slide 200 or cassette 300 It is made of an ultraviolet lamp (U) for curing the ultraviolet curable finish coating agent sprayed on the base portion (B).

상기 분사부(151)는 상기 제어부(180)를 통해 제어가 이루어지며, 분사부(151)의 위치에 놓인 대상에 따라 높이가 조절된다. 즉 슬라이드(200)의 기재부(B)에 코팅을 하는 경우 상기 분사부(151)의 높이는 낮아질 것이며, 카세트(300)의 기재부(B)에 코팅을 하는 경우 상기 분사부(151)의 높이는 대응하여 높아질 것이다.The injection unit 151 is controlled through the control unit 180, and the height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object placed in the position of the injection unit 151. That is, when the coating on the base portion (B) of the slide 200, the height of the injection portion 151 will be lowered, and when the coating on the base portion (B) of the cassette 300, the height of the injection portion 151 is Will rise in response.

상기 자외선램프(U) 또한 상기 제어부(180)를 통해 제어가 이루어지며, 앞서 설명한 출력부(140)에 포함되는 자외선램프와 동일한 구성이다.The ultraviolet lamp U is also controlled through the controller 180 and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ultraviolet lamp included in the output unit 140 described above.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 but is capable of many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It is self-evident.

110: 배열부 111: 제1공급트레이
112: 제1공급구 113: 제2공급트레이
114: 제2공급구 120: 공급수단
130: 이송부 131: 컨베이어밸트부
132: 이송모터부 133: 가이드부
140: 출력부 141: 잉크공급부
142: 히터 143: 헤드부
144: 높이조절수단 150: 코팅부
151: 분사부 160: 배출수단
170: 배출트레이부 171: 제1배출트레이
172: 제2배출트레이 173: 배치부
180: 제어부 190: 변환부
200: 슬라이드 300: 카세트
B: 기재부 U: 자외선램프
110: arrangement section 111: first supply tray
112: first supply port 113: second supply tray
114: second supply port 120: supply means
130: transfer unit 131: conveyor belt unit
132: transfer motor portion 133: guide portion
140: output unit 141: ink supply unit
142: heater 143: head portion
144: height adjustment means 150: coating
151: injection unit 160: discharge means
170: discharge tray unit 171: first discharge tray
172: second discharge tray 173: disposition unit
180: control unit 190: conversion unit
200: slide 300: cassette
B: base material U: ultraviolet lamp

Claims (5)

검체조직검사용 카세트(300) 또는 슬라이드(200)에 구비된 기재부(B)에 식별코드를 인쇄하는 출력시스템에 있어서,
내측에 다수의 슬라이드가 적층되며, 하부에 가장 아래쪽 슬라이드를 배출하도록 형성된 제1공급구(112)를 구비한 제1공급트레이(111);
내측에 다수의 카세트가 적층되며, 하부에 가장 아래쪽 카세트를 배출하도록 형성된 제2공급구(114)를 구비한 제2공급트레이(113);
상기 제1공급트레이(111)의 가장 아래쪽 슬라이드를 밀어 제1공급구(112)로 배출시키거나, 상기 제2공급트레이(113)의 가장 아래쪽 카세트를 밀어 상기 제2공급구(114)로 배출시키는 공급수단(120);
상기 제1공급트레이(111) 및 제2공급트레이(113)를 이동시켜 선택되는 공급트레이를 상기 공급수단(120)이 밀어내는 방향에 배치하는 배열부(110);
상기 공급수단(120)을 통해 배출된 슬라이드 또는 카세트를 이송하는 이송부(130);
잉크를 공급받아 상기 이송부(130)를 통해 이동하는 슬라이스 또는 카세트의 기재부에 식별코드를 인쇄하며 상기 슬라이드 및 카세트의 높이에 대응하는 높이조절수단(144)을 구비한 출력부(140);
상기 이송부(130)의 끝단에 설치되어 식별번호가 인쇄된 슬라이드 또는 카세트를 상기 이송부(130)로부터 밀어내는 배출수단(160);
상기 배출수단(160)을 통해 밀려난 슬라이드 또는 카세트가 적치되는 배출트레이부(170);
상기 공급수단(120)과 이송부(130)와 출력부(140)와 배출수단(160)을 제어하되, 외부로부터 식별코드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출력부(140)를 통해 식별코드로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제어부(180);
사용자로부터 슬라이드 인쇄를 위한 슬라이드모드 또는 카세트 인쇄를 위한 카세트모드를 선택받아 해당 모드에 대응되는 설정값을 상기 제어부(180)에 전송하여 상기 이송부(130) 및 출력부(140)를 제어하는 변환부(190);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리조직 검사 및 결과 관리를 위한 출력시스템.
In the output system for printing the identification code on the substrate (B) provided in the specimen 300 for the specimen histological examination or the slide 200,
A first supply tray 111 having a plurality of slides stacked therein and having a first supply hole 112 formed at a lower portion thereof to discharge the bottom slide;
A second supply tray 113 having a plurality of cassettes stacked therein and having a second supply hole 114 formed to discharge the lowermost cassette at a lower portion thereof;
Push the bottom slide of the first supply tray 111 to be discharged to the first supply port 112, or push the bottom cassette of the second supply tray 113 to discharge to the second supply port 114. Supply means 120 to make;
An arrangement unit 110 for disposing a supply tray selected by moving the first supply tray 111 and the second supply tray 113 in a direction in which the supply means 120 pushes;
Transfer unit 130 for transferring the slide or cassette discharged through the supply means 120;
An output unit 140 which prints an identification code on a base of a slice or a cassette which receives ink and moves through the transfer unit 130 and has height adjusting means 144 corresponding to the height of the slide and the cassette;
Discharge means (160) installed at the end of the transfer unit (130) for pushing the slide or cassette having an identification number printed from the transfer unit (130);
A discharge tray unit 170 in which the slide or cassette pushed through the discharge means 160 is stored;
Control the supply means 120, the transfer unit 130, the output unit 140 and the discharge means 160, and is configured to receive the identification code signal from the outside to output the identification code through the output unit 140 The controller 180;
A converter that selects a slide mode for slide printing or a cassette mode for cassette printing from a user and transmits a setting value corresponding to the mode to the controller 180 to control the transfer unit 130 and the output unit 140. 190; Output system for pathological examination and result management,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140)는 자외선 경화잉크를 수용하여 공급하는 잉크공급부(141)와,
상기 슬라이드 또는 카세트의 기재부를 예열하는 히터(142)와,
상기 잉크공급부(141)를 통해 공급된 잉크를 상기 슬라이드 또는 카세트의 기재부에 분사하여 상기 제어부(180)를 통해 입력된 식별코드를 인쇄하는 헤드부(143)와,
상기 슬라이드 또는 카세트의 기재부에 분사된 자외선 경화잉크를 경화시키는 자외선램프(U)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리조직 검사 및 결과 관리를 위한 출력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output unit 140 includes an ink supply unit 141 that receives and supplies ultraviolet curable ink,
A heater 142 for preheating the base of the slide or cassette;
A head unit 143 for printing the identification code input through the control unit 180 by injecting the ink supplied through the ink supply unit 141 to the substrate of the slide or the cassette;
Output system for pathological examination and result management,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n ultraviolet lamp (U) for curing the ultraviolet curing ink injected into the base portion of the slide or casset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140)를 통해 식별코드가 인쇄된 슬라이드 또는 카세트의 기재부에 자외선 경화형 마감코팅제를 분사하는 분사부(151)와, 상기 슬라이드 또는 카세트의 기재부에 분사된 자외선 경화형 마감코팅제를 경화시키는 자외선램프(U)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어부(180)를 통해 제어되는 코팅부(1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리조직 검사 및 결과 관리를 위한 출력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injection unit 151 for spraying the UV curable finish coating agent on the base of the slide or cassette printed with the identification code through the output unit 140, and the UV curable finish coating agent sprayed on the base of the slide or cassette The output system for pathological examination and result management,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comprises a coating unit 150 made of an ultraviolet lamp (U) to be controlled through the control unit 18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트레이부(170)는 상기 슬라이드를 적치하는 제1배출트레이(171)와, 상기 카세트를 적치하는 제2배출트레이(172)와, 상기 제1배출트레이(171) 및 제2배출트레이(172)를 이동시켜 선택되는 배출트레이를 상기 배출수단(160)의 밀어내는 방향에 배치하는 배치부(173)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리조직 검사 및 결과 관리를 위한 출력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discharge tray unit 170 may include a first discharge tray 171 for loading the slide, a second discharge tray 172 for loading the cassette, the first discharge tray 171 and a second discharge tray ( Output system for pathological examination and result managemen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disposition unit (173) for disposing the discharge tray selected by moving the 172 in the pushing direction of the discharge means (16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130)는 상기 슬라이드 또는 카세트를 이송하는 컨베이어밸트부(131)와, 상기 컨베이어밸트부(131)를 작동시키며 상기 제어부(180)를 통해 제어되는 이송모터부(132)와, 상기 컨베이어밸트부(131) 상측에 컨베이어밸트부(131)의 진행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변환부(190)의 모드 선택에 따라 상기 슬라이드 또는 카세트의 규격에 대응하여 상기 슬라이드 또는 카세트의 이탈을 방지하는 가이드부(133)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리조직 검사 및 결과 관리를 위한 출력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transfer unit 130 is a conveyor belt unit 131 for transferring the slide or cassette, a transfer motor unit 132 that operates the conveyor belt unit 131 and is controlled through the control unit 180, and the conveyor The guide part is formed above the belt part 131 in the advancing direction of the conveyor belt part 131 to prevent the slide or cassette from being separated in accordance with the standard of the slide or the cassette according to the mode selection of the converter 190. Output system for pathological examination and result management,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133).
KR1020130008019A 2013-01-24 2013-01-24 Printing system for histopathologic examination and result management KR10136178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8019A KR101361789B1 (en) 2013-01-24 2013-01-24 Printing system for histopathologic examination and result manage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8019A KR101361789B1 (en) 2013-01-24 2013-01-24 Printing system for histopathologic examination and result manageme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1789B1 true KR101361789B1 (en) 2014-02-24

Family

ID=502706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8019A KR101361789B1 (en) 2013-01-24 2013-01-24 Printing system for histopathologic examination and result managem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1789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4116B1 (en) 2015-03-06 2015-09-17 이윤정 Cassette block and biopsy slide pathology number matching system
CN108340678A (en) * 2018-04-11 2018-07-31 吉林大学 Medical pathological embedding box laser ink-jet marking equipm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92685A (en) * 1993-09-21 1995-04-07 Fuji Photo Film Co Ltd Automatic plate supplying and discharging device
KR20020006700A (en) * 1999-04-08 2002-01-24 헤베노, 챨스 엠 Wide format printing apparatus and method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92685A (en) * 1993-09-21 1995-04-07 Fuji Photo Film Co Ltd Automatic plate supplying and discharging device
KR20020006700A (en) * 1999-04-08 2002-01-24 헤베노, 챨스 엠 Wide format printing apparatus and method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4116B1 (en) 2015-03-06 2015-09-17 이윤정 Cassette block and biopsy slide pathology number matching system
CN108340678A (en) * 2018-04-11 2018-07-31 吉林大学 Medical pathological embedding box laser ink-jet marking equipment
CN108340678B (en) * 2018-04-11 2023-12-15 吉林大学 Medical pathology embedding box laser inkjet marking equipme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976998C (en) Apparatus and method for biological sample processing
JP5658226B2 (en) Automatic slide processing system
US11067536B2 (en) Capillary electrophoresis system
CN104271765B (en)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and detecting nucleic acids
US9550970B2 (en) Culture systems, apparatus, and related methods and articles
US11366127B2 (en) Testing system and method of starting testing system
US20100229702A1 (en) Automatic Prepared Slide Fabricating Apparatus and Automatic Prepared Slide Fabricating Method
CN106662513B (en) Automated sample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KR101361789B1 (en) Printing system for histopathologic examination and result management
KR101759449B1 (en) System for histopathologic examination and management
US11680943B2 (en) Electric field stirring apparatus, electric field stirring method, and pathological sample manufacturing apparatus
KR101417586B1 (en) Indentification code printing system for slides using histopathologic examination and result management
JP2013079923A (en) Automatic dispenser with urine sample cup rotating mechanism
JPS62276439A (en) Chemical analyzer
AU201126546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biological sample processing
JPS62276440A (en) Chemical analyzer
WO2017117616A1 (en) Pulse-field multiplex capillary electrophoresis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