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1583B1 - An Upper Jaw and Lower Jaw a Shifter - Google Patents

An Upper Jaw and Lower Jaw a Shif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1583B1
KR101361583B1 KR1020120034058A KR20120034058A KR101361583B1 KR 101361583 B1 KR101361583 B1 KR 101361583B1 KR 1020120034058 A KR1020120034058 A KR 1020120034058A KR 20120034058 A KR20120034058 A KR 20120034058A KR 101361583 B1 KR101361583 B1 KR 1013615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ement
jaw
pieces
movable pieces
sno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405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111848A (en
Inventor
김남구
Original Assignee
김남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남구 filed Critical 김남구
Priority to KR10201200340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1583B1/en
Publication of KR201301118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184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15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158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56Devices for preventing snoring
    • A61F5/566Intra-oral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1/00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 A61C11/006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with an occlusal plat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rsing (AREA)
  • Pulmon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이 발명은 상악에 대한 하악 이동장치를 이동량의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하여, 시술자로 하여금 환자 각각의 구강 구조나 증상의 호전 정도에 따라서 맞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 편의성을 제공하고, 또한 어느 환자에도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실용성과 파손됨을 없게 한 내구성을 제공하고, 또 조립체로 인하여 필요에 따라서 전부 혹은 부분 교체 사용을 가능하게 한 효과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adjust the amount of movement of the mandibular movement device for the maxilla, providing the convenience that the operator can be used to adjust according to the improvement of the oral structure and symptoms of each patient, and also attached to any patient It provides the practicality and durability that can be used without damage, and also provides the effect of enabling the whole or partial replacement use as needed due to the assembly.

Description

상악에 대한 하악 이동장치{An Upper Jaw and Lower Jaw a Shifter}An Upper Jaw and Lower Jaw a Shifter

본 발명은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 혹은 악 관절(顎關節)의 장애를 치료하기 위한 상악(上顎)에 대한 하악(下顎)이동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하악이동장치를 환자의 구강에 부착시킨 상태에서도 시술(施術)자로 하여금 환자의 증상의 호전 정도에 따라서 하악의 전.후 이동량을 임의로 조절하면서 치료할 수 있는 편의성을 갖게 한 상악에 대한 하악 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mandibular movement to the maxilla for treating snoring and sleep apnea or disorders of the jaw joint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ndibular movement device for the maxilla which has the convenience of treating the patient by arbitrarily adjusting the amount of movement of the mandible before and after the improvement of the symptoms of the patient.

일반적으로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이나 혹은 악 관절(顎關節)의 장애 요인을 치료함에 스프린트(Splint) 즉, 교정장치를 사용하고 있음은 주지된 사실이다.In general, it is well known that a sprint, or corrective device, is used to treat snoring and sleep apnea or disorders of the jaw joint.

먼저, 코골이는 수면시에 발생 되는데, 코를 고는 소리는 일반적으로 대략 70㏈ 정도다. 이러한 소음은 지하철역 소음과 맞먹는 정도라고 알려져 있다. 또, 코 골이 소음은 천둥소리만큼 시끄러운 경우도 있다고 한다. 이러한 코 골이는 옆 사람들에게 피해를 주는 경우이고, 진짜 문제는 따로 있다. 코를 골면 수명이 짧아진다는 것이다. 코를 골면 고혈압과 당뇨병, 심장·뇌 혈관질환, 성기능 장애 등이 발병하기 쉽다는 것이며, 한편으로는 잠을 제대로 못 자 하루 종일 피곤하게 하고, 혹시 운전을 하게 되면 졸음운전으로 인하여 교통사고를 일으키는 문제를 유발시키는 것으로, 의료 업계의 해당 전문의들은 코 골이 자체도 병으로 판단하고 있는데, 해당 업계의 전문의들이 코를 고는 이유에 대하여 밝힌 바를 보면,First, snoring occurs during sleep. Snoring is usually about 70 대략. This noise is known to be comparable to that of subway stations. Also, snoring noise may be as loud as thunder. This snoring is a case of harm to the people next to you, and there is a real problem. Snoring your nose will shorten your life. Snoring is likely to lead to high blood pressure, diabetes, heart and cerebrovascular disease, sexual dysfunction, etc. On the other hand, if you can't sleep properly, you get tired all day long, and if you drive, you can cause traffic accidents due to drowsy driving. The problem is that the specialists in the health care industry consider snoring itself to be a disease.

“코골이는 기도가 좁아져 나는 소리다. 정확하게는 코부터 목까지 내려오는 상부 기도다. 숨이 드나드는 길이 좁아진 것이다. 기도 굵기가 일정하면 공기도 일정한 속도로 흐른다. 그러나 일정 부분이 좁아지면 통과할 때 속도가 빨라진다. 이때 기도의 내부 압력이 낮아진다. 연 조직인 목젖이 안으로 빨려 들어가면서 떨린다. 코 뒤쪽의 목젖이 떨려 울리는 소리가 코골이다.” “Snoring is the sound of narrowing of prayer. The upper airway is precisely from the nose to the neck. The narrow breathing path has narrowed. If the airway thickness is constant, air flows at a constant speed. However, the narrower the portion, the faster it passes. At this time,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airway is lowered. I'm nervous as I suck into the soft tissues of my throat. The sound of the neck shaking behind the nose is snoring. ”

라고 밝히고 있고, 또한 기도가 좁아지는 이유에 대해서는 “이유는 다양하다. 먼저 해부학적 생김새가 변했을 수 있다. 콧속에 종양이 생겼거나, 코뼈가 비뚤어진 경우다. 목의 편도선이나 혀뿌리가 많이 크거나, 낭종이 있을 수도 있다. 후두를 덮고 있는 연골인 후두개가 힘이 없어도 코를 곤다. 후두개는 숨을 쉴 때는 열려 있다가 밥을 먹으면 닫힌다. 음식이 기도가 아닌 식도로 무사히 넘어가도록 돕는다. 그런데 어떤 사람은 숨을 쉴 때도 공기의 흐름에 밀려 닫힌다. 숨을 제대로 못 쉬는 것이다.”라고 밝히고 있으며, 또 평소에 코를 골지 않는 사람도 과음·과로한 날은 코골이가 되는 이유에 대하여도, “코 뒷부분은 다 근육이다. 평소엔 팽팽하게 긴장해 있다. 그러다 잠들면 기도 주변 근육이 이완돼 늘어진다. 그래도 적당히 긴장을 유지해야 하는데 그렇지 못한 사람이 있다. 나이 들거나, 술 마셨거나, 너무 피곤하거나, 약을 먹으면 근육 긴장도가 떨어진다. 기도가 좁아져 소리가 난다.”라고 밝히고 있으며, 또 코골이를 병으로 아는 사람이 적다는 이유에 대하여는 “잠을 자다가 숨을 안 쉬는 수면 무호흡이 나타나기도 한다. 코 고는 모든 사람에게 수면 무호흡증이 있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연구 결과, 코골이가 오래되면 수면 무호흡 환자에게서 나타나는 합병증이 비슷하게 나타난다는 것을 알게 됐다. 약한 코골이나 심한 코골이나 수년간 쌓이면 건강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이다.”라고 설명하고 있다. And the reasons for the narrowing of prayer are: “The reasons vary. First, the anatomical appearance may have changed. This could be a tumor in your nose or a crooked nose. The tonsils and tongue roots in the neck may be very large, or there may be cysts. The larynx, the cartilage covering the larynx, snores even if there is no strength. The epiglottis is open when you breathe and then closed when you eat. Help food pass safely to the esophagus, not to prayer. However, some people are closed by the flow of air even when they breathe. “I can't breathe properly.” And even people who don't snore on the day are snoring on excessive days and overworked days. Usually I'm tense. Then fall asleep, the muscles around the airways relax and stretch. Still, you have to stay moderately nervous, but there are people who don't. Getting older, drinking, too tired, or taking medicines can reduce muscle tension. Prayer is narrowed and it makes a sound. ”And the reason why few people know snoring as a disease is,“ Sleep apnea may not appear while sleeping. Snoring does not mean that everyone has sleep apnea. However, the study found that snoring is similar, with complications seen in sleep apnea patients. "Weak snoring, severe snoring, or years of accumulation adversely affects your health."

또한 수면 무호흡증이 나타나는 이유에 대해서는, “기도가 완전히 막혀 공기가 폐로 흐르지 못하는 상태다. 숨을 안 쉬니까 혈액에 산소가 공급되지 않는다. 이산화탄소가 배출되지 않고 쌓여 돌다가 뇌의 호흡중추를 자극한다. 이산화탄소 농도가 너무 높으니 위험하다고 경고하는 것이다. ‘숨 쉬어’ 명령을 내리면 조용하다가 ‘커컥’ ‘푸우’ 하고 숨을 쉰다. 본인은 자각 못하지만 잠에서 깬다. 밤새도록 잤다 깼다 반복한다. 1시간에 60번 반복하는 사람도 있다. 잠을 오래 잤는데 아침에 개운하지 않다면 코골이와 수면 무호흡증을 의심해야 한다.”라고 밝히고 있으며, 수면 무호흡증이 있으면 위험한 이유에 대하여는, “수면 무호흡증이 있으면 낮에 졸리고 피곤하다. 소련 체르노빌의 원전사고와 일본의 신칸센 탈선사고가 대표적인 예다. 조사 결과 사고의 결정적 원인은 담당 직원의 졸음이었다. 수면 무호흡증으로 인한 피해였다. 또한 뇌에 산소가 충분히 공급되지 않으면 인지능력이 떨어진다. 정신이 맑지 않아 기분도 우울하다.”라고 밝히고 있고, 합병증의 발생 유무에 대해서는 “고혈압인데 코를 곤다면 더 위험하다. 원래는 잘 때 혈압이 떨어져야 한다. 그러나 무호흡증으로 수면을 제대로 취할 수 없으니 밤새도록 혈압이 높은 상태를 유지한다. 고혈압을 오랫동안 앓은 듯한 피해를 남긴다. 이러한 문제가 수년간 쌓이면 심장과 폐에 부담을 줘 여러 질병을 일으킨다. 수면 무호흡이 있는 사람은 고혈압에 걸릴 확률이 정상인보다 2.9배, 뇌졸중이 나타날 확률이 1.6배나 높다. 사망률이 높다는 연구결과도 있다. 생명과 직접적인 관계는 없지만 성기능 장애와 밤에 화장실을 자주 가는 야뇨증, 발육부전, 집중력 저하 등을 일으킨다. 코골이로 찾아온 환자의 40%가 무호흡증을 갖고 있었다.”라고 밝히고 있고, 코골이는 남자가 여자보다 4배쯤 많은 이유에 대하여는, “잠잘 때는 평소 긴장해 있던 기도 주변 근육이 이완돼 늘어진다. 나이가 들거나 술을 마셔도 근육 긴장도가 떨어져 기도를 막는다. 남자가 압도적으로 많지만, 여성이 폐경한 50대 이후엔 비슷해진다. 여성호르몬은 혈관을 넓게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래서 협심증·심근경색증이 남성에 비해 뒤늦게 나타나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여성호르몬이 기도를 넓게 유지하는 데 영향을 미친다고 추측한다. 본인이 코를 고는지, 수면 무호흡 증상이 있는지 모르는 사람이 많다.”라고 밝히고 있다.The reason for the appearance of sleep apnea is, “The airway is blocked completely and the air cannot flow to the lungs. Because you don't breathe, your blood doesn't get oxygen. Carbon dioxide builds up without releasing and stimulates the brain's respiratory center. Th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is too high to warn you that it is dangerous. When you give a command to "breathe," you will be quiet and "breath" and "pooh." I don't realize it, but I wake up. I slept all night and then repeated. Some people repeat 60 times an hour. If you slept for a long time and don't wake up in the morning, you should suspect snoring and sleep apnea. ”For reasons why sleep apnea is dangerous,“ If you have sleep apnea, you're sleepy and tired during the day. The nuclear accident in Chernobyl of the Soviet Union and the derailment of the Shinkansen in Japan are examples. The main cause of the incident was the drowsiness of the staff in charge. The damage was caused by sleep apnea. In addition, if the brain is not supplied with enough oxygen, the cognitive ability is reduced. My mind is not clear and I feel depressed. ”For the presence of complications,“ hypertension is more dangerous if you snore. Your blood pressure should drop when you sleep. However, apnea can not sleep properly, so keep your blood pressure high all night. It leaves you feeling as if you have had high blood pressure for a long time. When these problems accumulate over the years, they put a strain on the heart and lungs and cause many diseases. People with sleep apnea are 2.9 times more likely to develop high blood pressure and 1.6 times more likely to have a stroke. There is also research showing a high mortality rate. Although not directly related to life, it causes sexual dysfunction and nocturnal enuresis, inability to develop toilets at night, and poor concentration. Forty percent of snoring patients had apnea. ”Snoring explains why men are about four times more likely than women,“ The muscles around the airway, which were normally tense at bedtime, relax and stretch. As you age or drink alcohol, you lose muscle tension and block your airways. There are overwhelming numbers of men, but they are similar after the men's fifties. Female hormones play a role in keeping blood vessels wide. Therefore, angina pectoris and myocardial infarction appear later than men. Likewise, it is speculated that female hormones have an effect on keeping prayers wide. Many people don't know if they snore or have sleep apnea. ”

또한 코골이 진단에 대한 방법에 대하여는 “병원에서 하룻밤을 자는 수면 다원검사가 정확하다. 뇌파와 눈동자·심전도·기도근육·수면자세·산소포화도 등을 확인한다. 1시간에 무호흡이 나타나는 횟수가 다섯 번 이하면 정상이다. 6~15번이면 경증 코골이, 16~30번은 중증 코골이, 그 이상이면 심각한 상태다.”라고 밝히고 있으며, 또 코골이 치료법에 대해서는, “상기도의 어디가 막혔는가에 따라 치료법이 다르다. 코부터 목젖·후두까지 잘못된 점이 없는지를 꼼꼼히 살핀다. X선 동영상과 내시경 검사를 한다. 평상시와 잠을 잘 때를 둘 다 찍어 비교한다. 목젖과 주변 연구개를 절개해 짧게 만드는 수술이 가장 흔하다. 그러나 모든 환자에게 적용되는 것은 아니다. 후두개가 막혔다면 뚫는 수술을 한다. 또한 잠잘 때 입을 벌리고 자는 사람이 있다. 턱뼈가 뒤로 밀리면서 혀도 밑으로 처진다. 혀뿌리가 기도를 막는 것이다. 이 경우엔 구강 내 장치를 끼워 턱과 혀를 앞으로 나오게 하면 좋아진다. 코에 쓰는 양압호흡기도 있다. 기계로 공기를 넣어주는 것인데 불편해 오래 쓰는 환자가 적다. 원인과 증상에 따라 맞춤치료를 받길 권한다.”라고 밝히고 있다.In addition, the snoring diagnosis method, "overnight sleep polymorphism test is accurate. Check for EEG and pupils, ECG, airway muscles, sleeping posture and oxygen saturation. If the apnea is less than five times per hour, it is normal. Snoring 6-15 is severe snoring, 16-30 is severe snoring, more than that is a serious condition. "And the treatment for snoring," treatment is different depending on where it is blocked. Look carefully for anything from nose to throat and larynx. X-ray video and endoscopy. Make a comparison of both your normal and sleep times. The most common procedure is to shorten the neck and surrounding soft palate by making an incision. However, not all patients apply. If the epiglottis is blocked, perform a piercing operation. There are also people who sleep with their mouths open when they sleep. As the jaw pushes back, the tongue sags downward. The tongue roots to prevent prayer. In this case, it is better to insert the device inside the mouth to bring the chin and tongue forward. There is also a positive pressure respirator for the nose. It is to put air into the machine, but it is inconvenient, and there are few patients who spend a long time. "We recommend that you get a personalized treatment based on your cause and symptoms."

한편, 악 관절은 아래턱뼈와 머리뼈가 만나서 이루는 귀 앞부위의 관절을 말하는데, 이러한 악 관절은 여러 가지의 수많은 턱 운동을 할 때 지렛대 역활을 하는 매우 중요한 관절이다. 그런데 이러한 악 관절은 다양한 증상으로 인하여 얼굴 근육에 떨림이나 통을 유발하고 있는데, 악 관절이 문제되는 요인으로는 잘못된 습관 혹은 이갈이 등에 의한 행동적 요인, 외상이나 유전적인 요인 등의 신체적 요인, 신경과민이나 스트레스 등에 의한 정서적 요인, 소음이나 만성진동 등에 의한 환경적인 요인 등이 있고, 증상으로는 입을 벌리거나 다무는 행동을 할때 귀에서 소리가 나는 증상, 입이 잘 벌어지지 않거나 벌어진 입이 잘 다물어 지지 않는 증상 등을 들 수가 있다.On the other hand, the jaw joint refers to the joint at the front of the ear where the lower jaw and the head bone meet, and this jaw joint is a very important joint that plays a role of lever when performing various jaw movements. However, these jaw joints cause tremors and pain in the facial muscles due to various symptoms.The factors that cause the jaw joint problems are behavioral factors due to wrong habits or bruising, physical factors such as trauma or genetic factors, and nervousness. Emotional factors caused by stress, stress,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noise or chronic vibration, etc. Symptoms include noise from the ear when opening or closing the mouth, mouth opening, or mouth opening Symptoms that do not come.

위와 같은 코골이 및 무호흡증 혹은 악 관절 장애를 치료하는 방법으로는 증상에 따라 여러 가지가 치료방법이 사용되고 있으나, 그중 하나가 구강 내에 교정장치(Splint)를 사용하는 치료방법이다. 교정장치는 하기 문헌들 표시와 같은 기구들이 다. 그러나 하기 선행기술들의 교정장치는 상악치열(上顎齒列)과 하악치열(下顎齒列)에 결합되는 마우스 피스의 몸체에 직접적으로 형성된 걸림턱들에 의존하여 치료하기 때문에, 환자들의 증상이나 증상의 호전 정도에 따라 다양하게 대처하여 사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As a method of treating snoring and apnea or discomfort in the joint as described above, various treatment methods are used depending on symptoms, but one of them is a treatment method using a correction device in the oral cavity. Calibration devices are instruments such as those indicated in the literature. However, the correction device of the following prior art treats depending on the jaws formed directly on the body of the mouthpiece coupled to the maxillary and mandibular fever, so that the symptoms or symptoms of the patients There is a problem that can not be used to cope with variously depending on the degree of improvement.

예컨데, 기존에 개구제한과 심한 악관절의 통증의 원인이 되는 비정복성 관절 원판변위를 치료하는데 있어서 과도히 접혀 개구제한을 일으키는 디스크를 치료하기위하여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전방재위치 교합장치의 경우, 상기 문헌들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상악의 교합장치의 전치하부에 걸림턱을 제작하고 하악 전치부가 걸리게 하여 하악이 후퇴되는 것을 저항하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For example, in the case of an anterior occlusal occlusal device commonly used to treat discs that are overfolded and cause an opening restriction in the treatment of nonconquerable joint disc displacements that cause pain and severe joint pain, As shown in the field, the jaw is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anterior tooth of the upper occlusal device, and the lower jaw is caught and the lower jaw is prevented from retreating.

이러한 장치의 문제점은 하악 전치가 약할 경우에 제작이 제한되는 점과, 증상이 호전되어 갈 때 상악 전치 하부에 제작해놓은 걸림턱을 많은 시간을 소요하여 하악전치에 맞게 단계적으로 삭제하며 교합장치의 전체를 다시 재건해야 하는 비효율성을 갖고 있다. 따라서 환자의 증상이나 호전 정도에 따라서 다양하게 대처하면서 사용할 수 있는 교정 기구가 더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다. The problem with this device is that the production is limited when the mandibular anterior is weak, and when the symptom improves, it takes a lot of time to remove the jammed jaw that is made in the lower part of the maxillary anterior and gradually eliminates the occlusal device. Has the inefficiency to rebuild. Therefore, there is an urgent need for orthodontic instruments that can be used while coping with the symptoms and degree of improvement of patients.

1.국내 공개번호 10-2005-0027643, 코골이 교정구,Domestic Publication No. 10-2005-0027643, Snoring Correction Zone, 2.국내 공개번호 10-2005-0067632, 코골이 완화용구,2.Korean Publication No. 10-2005-0067632, Snoring relief tool, 3.국내 등록실용신안 20-0382053, 코골이 방지용 마우스 피스,3.Domestic registration utility model 20-0382053, mouthpiece for snoring prevention, 4.국내 등록실용신안 20-0439343, 코골이 방지기구,4.Domestic registration utility model 20-0439343, snoring mechanism, 5.국내 등록특허 10-0856672, 코골이 및 수면 무호흡증의 교정구.5. Domestic Patent No. 10-0856672, Corrector of snoring and sleep apnea. 6.국내 공개특허 공개번호 특2000-0064883, 턱 관절 치료 및 보호장치.6. Domestic Patent Publication No. 2000-0064883, Jaw joint treatment and protection device.

Management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s and Occlusion, 6th Editin by Jeffry P. Okeson 2008 by Elsevier Inc. chapter 15 - 악관절장애와 교합의 치료 제 6판 (정성창외 역) 2009 대한 나래 출판사 (p524-530)Management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s and Occlusion, 6th Editin by Jeffry P. Okeson 2008 by Elsevier Inc. Chapter 15-Treatment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s and Occlusal Occupation 6th Edition (Sung-Chang et al.) 2009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서 밝힌 선행기술들에 비추어 개발한 것으로, 시술자로 하여금 환자의 증상 혹은 증상의 호전 정도에 따라서 신속히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 편의성을 제공하고, 또한 어느 환자의 구강에도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실용성 및 경제성과 그리고 파손이 없는 내구성을 갖게 한 상악에 대한 하악 이동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was developed in view of the above-described prior art, provides a convenience that the operator can quickly adjust according to the symptoms or improvement of the symptoms of the patient, and also attached to the mouth of any patient It is to provide a mandibular mobility device for the maxilla which has the practicality and economical usability and durability without damag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상악에 대한 하악 이동장치는, 치과 시술에 사용되는 다양한 형태의 상.하부 마우스 피스들의 양쪽 외측으로부터 상기 상.하부 마우스 피스들을 향하여 상호 마주보는 상태로 각각 연장설치되어 어느 일측 면의 전체가 상호 맞닿게 위치하여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조절함에 의해, 상악(上顎)에 대한 하악(下顎)의 전.후이동을 실행하는 힘을 부여하는 금속, 강화형 도재 또는 수지 재질중 어느 하나로 형성된 악관절(顎關節)이동수단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andibular movement device for the maxilla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respectively installed in the state facing each other toward the upper and lower mouthpieces from both outer sides of the upper and lower mouthpieces of various types used in the dental procedure. Metal, reinforced type that gives the force to perform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mandible to the upper jaw by adjusting the whole of one side to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moving forward and backward.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jaw joint movement means formed of any one of porcelain or resin material.

또한,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상악에 대한 하악이동장치는, 상기 악관절 이동수단을, 상기 상.하부 마우스 피스의 양쪽 외측면에 각각 고정되게 한 판(plate)형상의 베이스들의 일측 부분에 나사 혹은 직접 결합되는 소정 넓이의 고정편들 및 상기 베이스들의 타측 부분에서 상기 고정편들과 접하거나 이격되는 위치로 이동하면서 상호 미는 힘을 부여하게 한 판 형상의 가동편들과, 상기 가동편들과 고정편들의 각각에 설치되어 상기 가동편들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홈들과 안내홈들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된 안내봉들로 이루어진 안내수단과, 상기 고정편들과 가동편들에 각각 나사 결합되어 상기 안내수단의 이동을 조절하게 된 정역 나선부가 설치되며 회동 손잡이를 갖는 이동 조절 나사봉들로 이루어진 이동량 조절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mandibular movement device for the maxilla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one side portion of the plate-shaped bases for fixing the jaw joint movement means, respectively on both outer surfaces of the upper and lower mouth pieces Fixing pieces of a predetermined width screwed or directly coupled to the plate, and plate-shaped movable pieces which are provided with a pushing force while moving from the other part of the base to a position contacting or spaced apart from the fixing pieces, and the movable piece Guide means installed on each of the guide rods and the fixed pieces, the guide grooves guiding the movement of the movable pieces and guide rods movably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s, and the screws on the fixed pieces and the movable pieces, respectively. Combination of the forward and reverse helix is installed to adjust the movement of the guide means consisting of a movement amount adjusting means consisting of a movement adjusting screw rod having a rotation handle The features.

또,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상악에 대한 하악 이동장치는, 상기 베이스의 상기 상.하부 마우스들과의 대면부위에는, 상기 베이스의 결합력을 높이기 위한 요철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andible movement device for the upper jaw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cave-convex portion for increasing the coupling force of the base on the facing portion of the base and the upper and lower mice.

또,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상악에 대한 하악 이동장치는, 상기 가동편들의 대향면의 상부에는 반원형 걸림홈과 이 걸림홈에 결합되는 반구형 걸림돌기가 설치되며, 반구형 걸림 돌기는 가동편들의 상단면에 까지 위치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lower jaw moving device for the upper jaw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semi-circular locking groove and the hemispherical locking projection coupled to the locking groove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ovable pieces, the hemispherical locking projection is movable piec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to be located on the top surface of the.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상악에 대한 하악 이동장치는, 상기 가동편들의 대향면 하부의 각각에는 분리가능하게 설치한 자성체들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andible movement device for the upper jaw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characterized in that the magnetic body is detachably provided in each of the lower surface of the movable pieces.

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상악에 대한 하악 이동장치는,상기 안내봉들에는 미세 이동을 확인하기 위한 눈금부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andible movement device for the upper jaw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characterized in that the guide rods are provided with a scale for checking the fine movement.

본 발명에 의하면, 시술자가 진료실 내에서도 환자의 구강에 용이하게 부착할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또 환자의 증상 혹은 증상의 호전 정도에 따라서 조절하면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또 어느 환자의 구강이라도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고, 그리고 장기 사용에도 파손이 없게 한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that the operator can easily attach to the oral cavity of the patient even in the examination room, and can be used while adjusting according to the symptoms or improvement of the symptoms of the patient, and also attach to the oral cavity of any patient It is usable and has the effect that there was not damage even for long-term us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상악에 대한 하악 이동장치가 환자의 상.하 치열부위에 착용 된 상태의 예를 일 측에서 보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서 상악에 대한 하악 이동장치만을 분리하여 확대 표시한 분해 사시 도이고,
도 3은 도 2의 결합상태를 일 측에서 보아 표시한 도면이고,
도 4a는 도 2의 I-I선 방향에 따른 결합상태의 확대 단면도(斷面圖)이고,
도 4b는 도 2의 II-II선 방향에 따른 결합상태의 확대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상악에 대한 하악 이동장치가 악관절 치료에 이용하고자 환자의 상.하 치열부위에 착용 된 상태의 예를 일 측에서 보아 나타낸 도면이고,
6a,6b는 상.하악에서 정상적인 악관절(DISC)의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변형된 악 관절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state in which the mandibular movement device for the maxill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worn on the upper and lower teeth of the patient from one side,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only the mandatory movement device for the maxilla separated from the enlarged view in FIG. 1;
3 is a view showing the coupling state of FIG.
4A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engaged state along the II line direction of FIG. 2,
4B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 coupled state along the direction II-II of FIG. 2,
5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state worn on the upper and lower dentition of the patient to use the mandibular movement device for the maxill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treat the maxillary joint,
6a, 6b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normal DISC in the upper and lower jaw,
7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of the deformed jaw joint.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상악에 대한 하악 이동장치의 보다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a mor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mandibular movement device for the maxill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상악에 대한 하악 이동장치가 치열부위에 착용 된 상태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xample of a state in which the mandrel movement device for the maxill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worn on the dental region.

도면 표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악에 대한 하악 이동장치(Splint)(100)의 구성을 대별(大別)하면, 상악 치열(上顎齒列)(T1)과 하악 치열(下顎齒列)(T2)에 각각 분리가능하게 결합할수 있게 한 상.하부 마우스 피스들(110a,110b)와, 상.하부 마우스 피스들(110a,110b)의 좌.우 양측 모두에 결합되어 상호 걸림 작용을 함에 의해 상악(顎)(1)에 대하여 하악(2)을 전 혹은 후 방향으로 미는 힘을 부여하는 상.하부악이동수단들(120a,120b)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상.하부 마우스 피스들 (110a,110b) 및 상.하부악 이동수단들(120a,120b)의 상세한 구성과 작용에 대해서는 하기 도2 내지 도 4a를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As shown in the drawing, when the configuration of the mandrel device (Splint) 100 for the maxill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roughly divided into, the maxillary dentition (T1) and the mandibular dentition ( T2) is coupled to both the upper and lower mouth pieces (110a and 110b) and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upper and lower mouth pieces (110a and 110b) to be detachably coupled to T2). It consists of upper and lower jaw movement means (120a, 120b) for imparting a force to push the mandible (2) in the forward or backward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upper jaw (顎) (1). Detailed configurations and operations of the upper and lower mouth pieces 110a and 110b and the upper and lower jaw moving means 120a and 120b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to 4A.

도 2는 도 1에서 상악에 대한 하악 이동장치만을 분리하여 확대 표시한 분해 사시 도이고, 도 3은 도 2의 결합상태를 일 측에서 보아 표시한 도면이고, 도 4a는 도 3을 I-I선 방향에 따라 절단한 것을 전면(前面)에서 보아 표시한 확대 절 단면도(切斷面圖)이고, 도 4b 또한 도 4a와 같이 도 3의 II-II선 방향에 따라 절단한 것을 전면에서 보아 표시한 확대 절 단면도이다.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only the mandatory movement device for the maxilla separated from FIG. 1 in an enlarged view, FIG. 3 is a view showing the coupling state of FIG. 2 from one side, and FIG. Is a magnifi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ut along the front face, and FIG. 4B shows the cut along the II-II line in FIG. 3 from the front as shown in FIG. 4A. Section section.

도면 표시와 같이, 상.하부 마우스 피스들(110a,110b)는 상악 치열(T1)과 하악 치열(T2)(도1참조)에 끼울수 있도록 하고자, 상악 치열(T1)과 하악 치열(T2)의 형상에 대응하는 대략 U자형을 이루게 하면서 내측으로는 상.하부치열들(T1,T2)을 안전하게 수용하는 치아 수용홈들(112a,112b)이 형성되어 있다. 상.하부 마우스 피스들(110a,110b)는 사람들의 구강 내부에 직접적으로 사용되는 것이기 때문에, 기존의 치과 시술에 사용되어온 다양하고 인체에 무해한 플라스틱(예컨데, 메타크릴레이트 등)과 같은 수지로 제작된다. 상.하부 마우스 피스들(110a,110b)의 크기나 모양은 환자들의 구강 혹은 치열 구조에 따라 얼마든지 변형 실시 가능하다. As shown in the drawing, the upper and lower mouth pieces 110a and 110b are fitted to the maxillary dentition T1 and the mandibular dentition T2 (see FIG. 1), and the maxillary dentition T1 and the mandibular dentition T2. While forming a substantially U-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tooth receiving grooves (112a, 112b) are formed to securely accommodate the upper and lower teeth (T1, T2). Since the upper and lower mouthpieces 110a and 110b are used directly inside the oral cavity of people, they are made of a resin such as various plastics (for example, methacrylate, etc.) that have been used in conventional dental procedures. do. The size and shape of the upper and lower mouthpieces 110a and 110b can be modified as much as the oral cavity or the dental structure of the patients.

상기 상.하부 마우스피스들(110a,110b)의 좌.우 양쪽 외측면의 소정 위치에는 상.하부악 이동수단들(120a,120b)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상.하부악 이동수단들(120a,120b)는 상기 상.하부 마우스 피스들(110a,110b)의 좌.우 양쪽 외측으로부터 상.하부 마우스 피스들(110a,110b)을 향하여 상호 마주보는 상태로 각각 연장설치되어 어느 일면 전체가 상호 맞닿는 걸림 상태로 위치하여 이동되게 조절함으로서, 상악(上顎)(1)에 대한 하악(下顎)(2)의 전.후 이동을 실행하는 힘을 부여한다. 그런데 상.하부 마우스 피스들(110a,110b)의 좌.우로 각각 설치되는 상.하부악 이동수단들(120a,120b)는 설치 위치만이 달리할 뿐 구성은 좌.우측 모두 동일하여 이하에서는 도2에서 보아 좌측에 위치한 것만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Upper and lower jaw movement means 120a and 120b are detachably coupled to predetermined positions on both left and right outer surfaces of the upper and lower mouthpieces 110a and 110b. The upper and lower jaw movement means 120a and 120b face each other from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upper and lower mouth pieces 110a and 110b toward the upper and lower mouth pieces 110a and 110b. Each of them extends and is adjusted to be positioned and moved in a state where the entire surface is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reby giving a force for carrying out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s of the lower jaw 2 with respect to the upper jaw 1. However, the upper and lower jaw movement means 120a and 120b respectively installed at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upper and lower mouthpieces 110a and 110b have only different installation positions, and the configuration is the same in both the left and right sides. As shown in 2, only the one on the left side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먼저,상부 마우스 피스(110a)에 설치되는 상부악 이동수단(120a)의 구성을 설명한다. 상기 상부악 이동수단(120a)은 상기 상부 마우스 피스(110a)의 좌.우양쪽 외측면에 각각 고정되게 한 판(plate)형상의 베이스(121a)를 구비하고 있다. 이 베이스(121a)에 의하여 상부악 이동수단(120a)은 상부 마우스 피스(110a)에 견고하게 접합할 수 있다. 베이스(121a)의 접합은 치과 재료로 사용하는 레진(resin)인데, 묽은 상태의 레진을 베이스(121a)와 상부 마우스 피스(110a)의 해당면에 골고루 바른후 경화시키는 방법에 의하여 베이스(121a)가 상부 마우스 피스(110a)에 접합 되도록 하고 있다. 또한 베이스(121a)의 이면에는 요철부(122a)를 형성하여 상부 마우스 피스(110a)와 접합력을 높이고 있으며, 또한 베이스(121a)는 후술하는 고정 나사들(124a)의 체결을 위하여 설치한 나사공(123a)의 내부로도 묽은 레진이 유입되어 경화됨에 의해 상부 마우스피스(110a)와의 접합력이 증대하도록 하였다.First, the configuration of the upper jaw moving means 120a installed in the upper mouthpiece 110a will be described. The upper jaw movement means 120a is provided with a plate-shaped base 121a fixed to the left and right outer sides of the upper mouthpiece 110a, respectively. By this base 121a, the upper jaw movement means 120a can be firmly bonded to the upper mouthpiece 110a. Bonding of the base 121a is a resin used as a dental material. The base 121a may be hardened by evenly applying a thin resin to the corresponding surfaces of the base 121a and the upper mouthpiece 110a. Is bonded to the upper mouthpiece 110a. In addition, the back surface of the base 121a is formed with an uneven portion 122a to increase the bonding force with the upper mouthpiece 110a, and the base 121a is a screw hole installed for fastening the fixing screws 124a to be described later. Thin resin is also introduced into the inside of 123a to harden, thereby increasing the bonding strength with the upper mouthpiece 110a.

또, 필요에 따라서는 베이스(121a)의 일부분, 즉 도2 및 도3에서 보아 베이스(121a)의 좌측부분을 레진이 덮여지는 상태로 발라서 접합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베이스(121a)의 좌측 부분만이 레진으로 고정되게 한 이유는 우측부분은 후술하는 가동편의 이동면으로 제공되기 때문에, 면이 매끄럽게 유지되어야만 한다. In addition, if necessary, a portion of the base 121a, that is, the left side of the base 121a as shown in FIGS. 2 and 3 can be applied in a state where the resin is covered to increase the bonding force. The reason why only the left side portion of the base 121a is fixed with the resin is because the right side portion is provided to the moving surface of the movable piece described later, so that the surface must be kept smooth.

상기 베이스(121a)에서 좌측부분에는 고정편(125a)이 나사공(126a)을 통하여 고정 나사(124a)로 탈착되게 고정 설치한 것을 일 예로 표시하고 있으나, 상기 베이스(121a)와 고정편(125a)은 처음부터 하나의 일체화된 형태로 만들수 있다. 상기 고정편(152a)의 우측 부분에는 고정편(125a)에 지지된 상태로 상기 베이스(121a)를 이동면으로 삼아서 도면에서 보아 좌.우로 이동하게 한 가동편(127a)이 설치되어 있다. 이 가동편(127a)는 도 1 및 도3의 표시와 같이, 상호 걸림 작용을 하면서 상호 미는 힘을 부여함에 의해, 도 1의 표시와 같이 상악에 대하여 하악이 전.후로 이동되게 한다. 가동편(127a)은 안정적이면서도 균형있는 힘을 부여토록 하고자 상.하부 마우스 피스들(110a,110b)의 결합된 전체 높이에 대응하는 크기를 갖는 판 형태를 이루게 하고 있다. In the left part of the base 121a, the fixing piece 125a is fixedly installed to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fixing screw 124a through the screw hole 126a, but the base 121a and the fixing piece 125a are shown. ) Can be made into one unified form from scratch. On the right side of the fixing piece 152a, a movable piece 127a is provided which moves the base 121a as a moving surface in the state supported by the fixing piece 125a so as to move left and right in the drawing. As shown in Figs. 1 and 3, the movable piece 127a is provided with a pushing force while mutually engaging, thereby causing the mandible to move forward and backward with respect to the maxilla as shown in Fig. 1. The movable piece 127a has a plate shape having a size corresponding to the combined height of the upper and lower mouthpieces 110a and 110b in order to provide a stable and balanced force.

또한 가동편(127a)은, 고정편(126a)과 가동편(127a)에 각각 설치된 안내봉(128a)과 그리고 안내봉(128a)이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상기 가동편(127a)과 고정편(126a)에 각각 설치된 안내홈(1228a)으로 이루어진 안내수단에 의해 상기 고정편(126a)에 대하여 이동되게 지지되어 전.후 이동을 자유롭게 한다. 상기 가동편(127a)의 전.후 이동량은 상기 안내봉(128a)의 길이에 대응하여 이동하는 량이고, 또한 가동편(127a)의 전.후 이동량 조절은, 상기 고정편(126a)과 가동편(127a)의 나사 조절공(1227a)에 각각 나사 결합된 이동 조절 나사봉(129a)에 의하여 실행된다. 상기 이동조절 나사봉(129a)는 중간에 조절용 손잡이(1229a)가 설치되어 있고, 손잡이(1229a)를 중심으로하여 좌.우측으로는 서로 반대방향의 정.역 나선부들(S1,S2)이 설치되어, 가동편의 이동량 조절수단을 이루게 된다. In addition, the movable piece 127a includes the guide rod 128a provided in the stationary piece 126a and the movable piece 127a, and the movable piece 127a and the fixed piece (1) into which the guide rod 128a is movable. It is supported to be moved relative to the fixing piece (126a) by the guide means consisting of guide grooves 1228a respectively installed in the 126a to freely move forward and backward. The amount of movement of the movable piece 127a before and after is the amount of movement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guide rod 128a, and the adjustment of the amount of movement of the movable piece 127a before and after is movable with the stationary piece 126a. It is performed by the movement adjustment screw rod 129a respectively screwed to the screw adjustment hole 1227a of the piece 127a. The movement adjusting screw rod 129a is provided with a adjusting knob 1229a in the middle, and the reverse and reverse spiral parts S1 and S2 are installed in the opposite directions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handle 1229a. Thus, the moving amount adjusting means of the movable piece is achieved.

따라서 이동 조절 나사봉(129a)를 도면에서 보아 정(正) 혹은 역(逆)방향으로의 회전 여부에 따라서 상기 가동편(127a) 또한 이동 조절 나사봉(129a)의 정역 나선부들(S1,S2)에 의하여 도면에서 보아 고정편(126a)으로부터 이격되거나 혹은 서로 맞닿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하여, 상악에 대한 하악의 전후 이동을 조절가능하게 하고, 이러한 하악 이동량의 미세 조절은 안내봉(128a)에 설치되는 눈금(도면부호 미부여)을 보면서 실행할 수 있다. Therefore, the movable piece 127a and the forward / reverse spiral portions S1 and S2 of the movement adjusting screw rod 129a may be changed depending on whether the movement adjusting screw rod 129a is rotated in the positive or reverse direction as shown in the drawing. By moving the spaced apart from the fixing piece (126a) or in contact with each other as seen in the drawings,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mandible to the maxilla, and fine adjustment of the amount of mandible movement is installed in the guide rod (128a) This can be done by watching the scale (unsigned).

상기에서는 이해를 돕기 위하여 상부악 이동수단(120a)의 구성요소들을 하나씩 분리하여 설명하였으나, 실제로는 도 3의 표시와 같이 모두 결합된 상태의 상부악 이동수단(120a)의 베이스부분을, 상부 마우스 피스(110a)에 접합하는 것이며,이러한 접합 작업은 환자들의 증상에 따라서 시술자들이 직접한다.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components of the upper jaw moving unit 120a are separated and explained one by one in order to facilitate understanding, but the upper portion of the upper portion of the upper jaw moving unit 120a is actually connected as shown in FIG. Bonding to the piece (110a), the operation is performed by the operator according to the symptoms of the patients.

상기 상부악 이동수단(120a)에 대응하여 하부 마우스 피스(110b)에 설치되는 하부악 이동수단(120b)은, 상부악 이동수단(120a)과 부착되는 위치만이 달리할 뿐, 모든 구성은 상기 상부악 이동수단(120a)과 동일하다. 따라서 도면 표시의 부호는 동일숫자의 부호를 표시하였으며, 이에 대한 별도의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The lower jaw moving means 120b installed in the lower mouthpiece 110b corresponding to the upper jaw moving means 120a differs only in a position where it is attached to the upper jaw moving means 120a. It is the same as the upper jaw moving means (120a). Therefore, the reference numerals denote the same numerals, an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한편, 상부악 이동수단(120a)과 하부악 이동수단(120b)의 대향 면인 상기 가동편들(127a,127b)의 대면 부위에는, 도 3의 표시와 같이 가동편들(127a,127b)이 상호 맞닿은 상태에서, 환자들이 입을 벌릴시 쉽게 분리되는 일이 없도록 방지 하기 위하여, 도4a,4b의 표시와 같이, 반원형 걸림홈(132a)과 이 걸림홈(132a)에 결합되는 반구형 걸림돌기(132b)를 설치하고 있다. 그런데 반구형 걸림돌기(132b)는 도2, 도3의 표시와 같이 가동편(127b)의 상부 모서리 부분까지 둥글게 설치되게 함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도1,3의 상태에서 환자들이 입을 벌리게 되어 반구형 걸림돌기(132b)가 반원형 걸림홈(132a)으로부터 이탈되는 경우에도, 반구형 걸림돌기(132b)가 반대쪽 가동편(127a)의 면을 따라 점 접촉되는 이동 상태를 이루게 하여, 환자들이 무심코 입을 벌린 상태에서도 반구형 걸림돌기(132b)의 돌출된 거리 만큼 하악이 상악에 대하여 전방으로 이동된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토록 하여 치료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도3참조). On the other hand, the movable pieces 127a and 127b are mutually connected to the facing portions of the movable pieces 127a and 127b which are opposite surfaces of the upper and lower jaw moving means 120a and 120b. In the abutted state, in order to prevent the patients from being easily separated when opening their mouths, as shown in FIGS. 4A and 4B, the semicircular locking grooves 132a and the hemispherical locking protrusions 132b coupled to the locking grooves 132a. Is installing. By the way, it is preferable that the hemispherical locking protrusion 132b is roundly installed to the upper edge portion of the movable piece 127b as shown in FIGS. 2 and 3. The reason for this is that even when the patients open their mouths in the state of FIGS. 1 and 3 and the hemispherical locking protrusion 132b is separated from the semicircular locking groove 132a, the hemispherical locking protrusion 132b faces the surface of the opposite movable piece 127a. According to the point of contact movement, so that even if the patients unintentionally open mouth to maintain the state in which the mandible is moved forward to the maxilla by the protruding distance of the hemispherical locking projection (132b) to effectively treat To do this (see Figure 3).

또한 환자가 입을 과하게 벌려서 도 3의 상태에서 상.하부악 이동수단들(120a,120b)가 서로 분리되는 일이 발생되어, 상.하부악 이동수단들(120a,120b)을 다시 결합하는 경우, 상기 하부악 이동수단(120b)의 반구형 걸림돌기(132b)가 상부악 이동수단(120a)의 하단을 통하여 부드럽게 결합 되게 하는 작용도 한다.In addition, when the patient opens the mouth excessively, the upper and lower jaw movement means 120a and 120b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so that the upper and lower jaw movement means 120a and 120b are recombined. The hemispherical locking projection 132b of the lower jaw moving means 120b also serves to be smoothly coupled through the lower end of the upper jaw moving means 120a.

이 때문에 상부악 이동수단(120a)의 하단 모서리에 하부악 이동수단(120b)의 걸림돌기(132b)가 닿을시 걸리는 일이 없이 부드럽게 이동하도록 하고자, 상부악 이동수단(120a)의 하단 모서리를 반원형으로 둥글게 처리하였다.(도3 참조) For this reason, the lower edge of the upper jaw moving means (120a) to move smoothly without being caught when the engaging projection (132b) of the lower jaw moving means (120b), semi-circular bottom edge of the upper jaw moving means (120a) It was rounded with (see Fig. 3).

또, 상기 가동편들(127a,127b)의 대향면 하단의 각각에는 자성체들 (134a,134b)를 필요에 따라서 분리가능하게 설치하여, 상기 상.하부악 이동수단들(120a, 120b)의 부착시 일시적으로 결합되게 하는 기능을 갖게 하였다. 자성체들 (134a,134b)는 가동편들(127a,127b)에 각각 설치한 나사홈들(135a,135b)로부터 분리되게 결합할 수 있게 하여, 환자들의 코골이나 악관절의 증상 정도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였다. 예컨데, 증상이 경미한 환자의 경우에는 자성체들(134a,134b)에 의한 결합력 강화로 입을 벌리거나 함에 있어 불편을 느낄수 있다. 이때는 자성체들(134a,134b)을 제거할 수 있다. 자성체들(134a,134b)의 제거로 노출되는 나사홈들(135a,135b)은 치과용 재료 등을 사용하여 메꿀수 있다. 또는 자성체들(134a,134b)의 일측만 자성력을 갖게 하여 필요 없을 시에는 자성이 없는 반대쪽이 외부로 위치되게 끼워지도록 함으로서 자성력이 제거되는 것과 같은 동일 효과를 얻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나사홈들(135a,135b)을 별도의 재료를 사용하여 막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반원형 걸림홈(132a), 반구형 걸림돌기(132b), 음.양극의 자성체들(134a,134b)은 도면 표시와는 달리 서로 바꾸어서 설치하여도 무방하다.  In addition, magnetic bodies 134a and 134b are detachably installed at lower ends of the opposing surfaces of the movable pieces 127a and 127b as necessary to attach the upper and lower jaw moving means 120a and 120b. It has the function of temporarily coupling the time. The magnetic bodies 134a and 134b can be separated from the screw grooves 135a and 135b respectively installed in the movable pieces 127a and 127b, so that the magnetic bodies 134a and 134b can be selectively used according to the symptoms of the snoring or the jaw joints of the patients. Made it possible.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mild symptom, the patient may feel discomfort in opening his or her mouth by strengthening the binding force by the magnetic bodies 134a and 134b. In this case, the magnetic bodies 134a and 134b may be removed. The screw grooves 135a and 135b exposed by the removal of the magnetic bodies 134a and 134b may be filled using a dental material or the like. Alternatively, only one side of the magnetic bodies 134a and 134b may have a magnetic force so that when the magnetic body is not necessary, the opposite side of the magnetic bodies 134a and 134b may be inserted to be positioned to the outside to obtain the same effect as the magnetic force is removed. In this case, there is an effect that the screw grooves (135a, 135b) do not need to be blocked using a separate material. In addition, the semicircular locking groove 132a, the hemispherical locking protrusion 132b, and the negative and positive magnetic materials 134a and 134b may be installed interchangeably unlike the drawing.

상기에서 설명한 상.하부악 이동수단들(120a ,120b)은 인체에 무해하고 강도를 갖으면서도 부식성이 적은 금속재질 예컨데, 스테인 레스 스틸(STS) 혹은 지르코늄 등과 같은 재질, 혹은 강화형 도재 또는 수지 재질을 사용하여 제작한다. 그 밖의 인체에 무해하고 강도를 갖는 재질이면 상기 이외의 재질이라도 무방하다.The upper and lower jaw movement means described above (120a, 120b) is harmless to the human body and has a low corrosion resistance metal material, such as stainless steel (STS) or zirconium, or reinforced ceramic or resin material Produce using Other materials may be used as long as they are harmless to the human body and have strength.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상.하악 이동장치(splint)(100)는 코골이 증상 및 수면 무호흡 증상이 있는 환자 혹은 악 관절에 이상이 있는 환자에게 부착하여 악화된 증상을 개선하거나 혹은 치료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Upper and lower maneuver (splin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to improve or treat the symptoms worsened by attaching to patients with snoring symptoms and sleep apnea symptoms or patients with abnormalities in the jaw joints Can be used for purposes.

먼저, 도1을 참조하여, 코골이 증상 및 수면 무호흡 증상이 있는 환자에게 적용된 경우를 보면, 상부 마우스 피스(110a)는 상악 치열(上顎 齒列)(T1)에 그리고 하부 마우스피스(110b)는 하악 치열(下顎齒列)(T2)에 자연스럽게 끼우면 되고, 상.하부 마우스피스들(110a,110b)에 접합된 상.하부악 이동수단들(120a,120b)은 도 1의 표시와 같이, 상호 걸리는 상태로 결합하여 상악 치열(T1)과 하악 치열(T2)이 상호 부정합 상태를 이루게 한다. 즉, 상부악 이동수단(120a)이 하부악 이동수단(120b)의 후측에 위치되는 상태로 결합되게 하면, 상부악 이동수단(120a)에 대하여 하부악 이동수단(120b)이 이동하는 상태를 유지되게 하여, 환자들의 하부악(2)을 상부악(1)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힘을 부여하여, 하부악(2)을 전방혹은 후방으로 이동되게 할 수 있다. 상부악(1)에 대하여 하부악(2)을 인위적으로 이동되게 하는 이유는, 모두(冒頭)(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에서 밝힌바와 같이, 기도가 좁아지거나 막히므로 인하여 발생되는 코골이 혹은 수면무호흡증을 적극적으로 개선 내지는 치료하기 위함이다. First, referring to FIG. 1, when snoring is applied to a patient having symptom and sleep apnea symptom, the upper mouthpiece 110a is placed on the maxillary dentition T1 and the lower mouthpiece 110b is placed. The lower and lower teeth (T2) can be naturally inserted, and the upper and lower jaw movement means 120a and 120b bonded to the upper and lower mouthpieces 110a and 110b are mutually connected, as shown in FIG. Combining in the state of jamming the maxillary teeth (T1) and the mandibular teeth (T2) to form a state of mutual mismatch. That is, when the upper jaw moving means (120a) is coupled to the state located on the rear side of the lower jaw moving means (120b), the lower jaw moving means (120b) with respect to the upper jaw moving means (120a) is maintained In this way, the lower jaw 2 of the patients can be given a force to move forward and backward with respect to the upper jaw 1, so that the lower jaw 2 can be moved forward or backward. The reason for artificially moving the lower jaw 2 with respect to the upper jaw 1 is that snoring caused by narrowing or obstruction of the airway, as revealed in all ("Technology behind the Invention"). This is to actively improve or treat sleep apnea.

다시 말하면, 상부악 이동편(120a)과 하부악 이동편(120b)의 부정합 결합은, 상부악(1)에 대하여 하부악(2)을 전.후방으로 이동하게 하고, 그 결과 도1의 표시와 같이, 상부악(1)과 하부악(2)이 소정 거리(d)를 두고 이격(離隔)되는 상태 즉, 하부악(2)을 상부악(1)에 비하여 전방으로 돌출 시킴으로서 혀의 배면이 뒤쪽의 인두 벽면으로부터 이격 되도록 앞쪽으로 이동하여, 좁아져 있거나 막혀있던 기도를 자연적으로 벌어지는 상태를 유지하게 한다.기도가 벌어지게 되면 기도를 통한 공기의 흐름을 자연스럽게 하여,수면시 코골이는 물론 수면시 무호흡 상태를 없게 한다. In other words, a mismatch between the upper jaw moving piece 120a and the lower jaw moving piece 120b causes the lower jaw 2 to move forward and backward with respect to the upper jaw 1, and as a result, the display of FIG. As described above, the upper jaw 1 and the lower jaw 2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distance d, that is, the lower jaw 2 protrudes forward from the upper jaw 1 by the back of the tongue. It moves forwar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posterior pharyngeal wall, keeping the narrowed or blocked airway naturally open. When the airway opens, the air flows naturally through the airway, snoring during sleep. Avoid sleep apnea.

상기에서 상부악(1)에 대한 하부악(2)의 전.후 이동 조절 즉, 하부악(2)을 전방 혹은 후방으로 돌출시키는 정도는, 시술자로 하여금 환자들의 수면시 코골이 증상이나 무호흡 증상에 따라서 결정되는데, 본 발명은 환자들이 폐 구강 상태에서도 이동조절 나사봉(129a,129b)의 좌우 이동 조절을 통하여 하악의 전.후 이동을 조절하면서 쉽게 실행할 수 있다. 예컨데, 환자의 코골이나 수면 무호흡 증상이 심한 경우에는, 기도의 개구를 많이 개방시킬 필요가 있는데, 이러한 경우는 하부악의 이동을 많게 할 필요가 있으므로, 이때에는 하부악에 위치하는 이동조절 나사봉(129b)을 좌측으로 조절하여 가동편(127b)이 도 3에서 보아 화살표 a방향으로 전방으로 이동하면 그만큼 상부악(1)으로부터 하부악(2)의 전방으로의 돌출량(이동량)을 많아지게 하여 기도의 개방을 많게 한다. 여기서 더 많게 하려고 하면 상부 가동편(127a)을 이동조절 나사봉(129a)을 조절하여 도 3에서 화살표 a방향으로 이동된 상기 하부 가동편(127b)를 후방으로 미는 쪽으로 이동시키면 된다.In the above, the control of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lower jaw (2) relative to the upper jaw (1), that is, the degree of protruding the lower jaw (2) forward or backward, allows the operator to experience snoring or apnea symptoms during sleep. It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atient can be easily carried out while controlling the movement of the mandible before and after the maneuver through the left and right movement control of the movement adjusting screw rods (129a, 129b) even in the lung oral state. For example, if the patient's snoring or sleep apnea symptoms are severe, it is necessary to open the opening of the airway a lot, in this case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movement of the lower jaw, this time the movement adjusting screw rod ( 129b) to the left to move the movable piece 127b forwar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a as shown in Fig. 3, thereby increasing the amount of protrusion (moving amount) from the upper jaw 1 to the lower jaw 2 forward. Increase the opening of prayer. In this case, the upper movable piece 127a is moved by adjusting the movement adjusting screw rod 129a to push the lower movable piece 127b moved in the direction of arrow a in FIG.

위와 반대로 기도의 개방을 적게하는 경우에는 나사봉(129b)을 상기와는 반대로 조절하여 가동편(127a)을 도3의 화살표 b방향으로 이동되게 하면, 상부악(1)에 대한 하부악(2)의 전방 돌출량(이동량)을 작게 하여 기도의 개방 또한 작게 한다. 여기서 기도의 개방을 더 적게할 필요가 있으면, 상부악(1)에 결합된 이동조절 나사봉(129a)을 조절하여 상부 가동편(127a)이 하부가동편(127b)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되게 하면 된다. On the contrary, when the opening of the airway is reduced, the screw rod 129b is adjusted in the opposite manner to the above, and the movable piece 127a is mov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b in FIG. 3. The amount of anterior protrusion (movement amount) of) is also reduced, so that the airway opening is also reduced. If it is necessary to reduce the opening of the airway, the upper movable piece 127a is mov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lower movable piece 127b by adjusting the movement adjusting screw rod 129a coupled to the upper jaw 1. Just do it.

다음은, 도 5 내지 도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상악에 대한 하악 이동장치가 악관절의 치료에 사용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Next, with reference to Figures 5 to 7 will be described a case in which the mandibular movement device for the maxill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for the treatment of the jaw joint.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상악에 대한 하악 이동장치가 악관절을 치료에 이용하고자 환자의 상.하 치열부위에 착용 된 상태의 예를 일 측에서 보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a,6b는 상.하악에서 정상적인 악관절(DISC)의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변형된 악 관절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Figure 5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state worn on the upper and lower dentition of the patient to use the mandible joint for the treatment of the maxillary ja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a, 6b is the upper and lower jaw In FIG. 7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operation state of a normal jaw joint (DISC), and FIG. 7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of a deformed jaw joint.

먼저, 도6a,6b와 도 7을 참고하여 상.하악에서의 정상적인 악관절(DISC)의 작동 상태와 그리고 변형된 악 관절의 작동 상태를 설명한다.First, with reference to Figures 6a, 6b and 7 will be described the operating state of the normal DISC in the upper and lower jaw and the operating state of the deformed jaw joint.

도 6a 및 도6b의 표시와 같이,관절원판(Disc)(11)은 하악뼈(12)와 상악뼈(13)가 만나서 이루는 귀 앞부위의 관절내에 위치한다. 이러한 관절 원판(11)은 여러 가지의 하악 운동을 하는 동안 머리뼈와 하악과두의 중간의 매개체로서 무리없는 운동을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 형태를 보면 대략 8을 옆으로 눕혀놓은 것으로, 후방이 가장 두껍고 가운데 부분이 가장 얇은 형태를 이루고 있다. As shown in FIGS. 6A and 6B, the disc 11 is located in the joint at the front of the ear where the mandible 12 and the maxillary 13 meet. The articulation disc 11 is to allow a moderate movement as a medium between the head bone and the mandibular condyle during various mandibular movements. Its shape is roughly 8 on its side, with the thickest rear and the thinnest in the middle.

그러나 도 6a 및 도 6b 표시의 악 관절내의 관절원판(11)이 선천적 혹은 후천적인 장애 요인이 있게 되면, 도 7의 표시와 같이 하측 중간 부분에 뾰족하게 돌출된 돌출턱(15a)이 형성되는 관절원판(15)의 형태로 변형되어 개구시 하악과두가 높이 돌출된 디스크의 턱을 넘지 못하여 전방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해 받아 개구(開口)제한이 발생되며, 그 결과 관절원판(11)을 과도하게 전방으로 밀어내는 힘이 작용되어 통증을 유발하게 된다. 이러한 악 관절의 장애가 있는 환자들 또한 본 발명의 상악에 대한 하악 이동장치(100)를 부착하여 치료할 수 있다.However, when the joint disc 11 in the jaw joint shown in Figs. 6A and 6B has a congenital or acquired obstacle, a joint having a protruding jaw 15a protruding sharply in the lower middle portion as shown in Fig. 7 is formed. When the opening is deformed in the form of disc 15, the opening of the lower condyle is prevented from moving forward because the lower mandible does not go over the jaw of the protruding disc, resulting in excessive opening of the joint disc 11. The pushing force is applied to cause pain. Patients with such impaired joints may also be treated by attaching the mandibular mobility device 100 to the maxilla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상악에 대한 하악 이동장치(100)의 부착은 도 5의 표시와 같이, 상기 코골이 증상의 환자에게 부착하는 경우와 동일하게 상호 엇갈리는 상태로 결합하여 상악에 대하여 하악이 전방으로 이동된 상태를 유지하게 한다. Attachment of the lower jaw moving device 100 to the maxilla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5, when the snoring is combined with each other in the same staggered state as if attached to the symptom of the mandible is moved forward to the maxilla Keep state

그 이유는 돌출부를 하악과두를 통해 눌러 높이를 낮추어가는 치료를 시행하여 이동에 장애를 주는 돌출턱(15a)를 편평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함인데, 도 7의 표시와 같이, 변형된 관절원판(15)의 높은 돌출부(15a)를 낮추기 위한 방법은, 먼저 시술자가 직접 환자의 하악을 잡고 수 조작의 방법으로 하악과두와 관절원판의 위치관계를 도 5와 같은 상태가 될수 있는 위치로 맞추어 준 후, 이 상태에서 본 발명의 장치를 장착하여 증상에 호전되는 상황에 맞추어 이동수단들(120a,120b)의 가동편들(127a,127b)을 상기 실시예와 같이 조절하여 하악과두를 미적당량 씩 후퇴시키면, 변형된 관절원판(15) 또한 상악골과 하악과두의 사이에서 강제로 밀려 이동하면서 뾰족한 돌출턱(15a)부분이 상악뼈(13)와 하악뼈(12)의 사이에 눌리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를 이동수단들(120a,120b)의 가동편들(127a,127b)을 조절하여 점진적으로 후퇴시키면서 지속하게 하면, 입을 벌리거나 다물시 장애 요인이 되게 하던 변형된 관절원판(15)의 뾰족한 돌출턱(15a)은 상악뼈(13)와 하악뼈(12)에 의하여 눌려지면서 점차적으로 편평한 상태를 이루게 하여 상악뼈(13)와 하악뼈(12)에 걸리는 일이 없게 하고, 그 결과 하악운동에 전연 무리가 없게 한다.The reason is to press the protrusion through the mandibular condyle to lower the height to maintain the protrusion jaw (15a) in the flat state to hinder the movement, as shown in Figure 7, deformed joint disc ( The method for lowering the high protrusion 15a of 15) is to first adjust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mandibular condyle and the joint disc to a position as shown in FIG. Then, in this state by mounting th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djust the movable pieces (127a, 127b) of the moving means (120a, 120b) in accordance with the situation to improve the symptom, the mandible constipation is not appropriate When retreating, the deformed articulation disc 15 is also forcibly pushed between the maxilla and the mandibular condyle while the pointed protruding jaw 15a is pressed between the maxillary bone 13 and the mandible bone 12. Will be maintained. If this state is maintained while gradually retreating by adjusting the movable pieces 127a and 127b of the moving means 120a and 120b, the sharp edges of the deformed articulation disc 15, which is an obstacle when opening or closing the mouth, are pointed out. The protruding jaw 15a is pressed by the maxillary bone 13 and the mandibular bone 12 to gradually form a flat state so that the maxillary bone 13 and the mandibular bone 12 are not caught, and as a result, the mandibular movement Do not overdo it.

만약 도 5 표시의 관절원판(15)의 위치를 본 발명의 이동 장치를 통하여 유지 하지 않게 되면, 폐구(閉口)시 도7의 표시와 같이 하악과두가 뒤로 후퇴되어 돌출부(15a)에 하악과두가 걸리게 되어 증상을 해결할 수 없게 된다.If the position of the articulation disc 15 of FIG. 5 is not maintained through the mov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ndibular condyle is retracted backward as shown in FIG. You will have a head problem that will not resolve your symptoms.

상악과 하악의 이동에 대한 조절은 상기 코골이 환자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상.하악 이동수단들(120a,120b)에 설치된 이동조절 나사봉(129a,129b)의 좌.우측 방향으로의 나사이동을 통하여 상악에 대한 하악의 이동을 조절할 수 있다. Adjustment of movement of the maxilla and mandible is performed through the screw movement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movement adjusting screw rods 129a and 129b installed in the upper and lower movement means 120a and 120b as in the case of the snoring patient. Can control the movement of the mandible to the maxilla.

상기에서 상.하악 이동수단들(120a,120b)의 조절은 시술자(의사)가 환자(코골이 혹은 관절원판의 환자)의 증상이나 치료과정에서의 증상의 호전 정도에 따라서 좌우로 조절하여 하악을 후퇴시키거나 혹은 전방으로 돌출되게 이동하면서 치료할 수 있다.In the above, the control of the upper and lower maneuvers 120a and 120b is performed by the operator (doctor) according to the symptoms of the patient (a snoring or a patient of the joint disc) or the improvement of the symptoms in the treatment process. Treatment may be by retreating or by moving forward.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only with respect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uch modifications and modification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2 : 상.하부악
100: 상하부악 이동장치(Splint)
110a, 110b : 상.하부 마우스 피스
120a,120b : 상.하부악 이동수단
T1,T2 : 상.하악 치열
1,2: upper and lower jaw
100: upper and lower jaw moving device (Splint)
110a, 110b: upper and lower mouthpiece
120a, 120b: Upper and lower jaw movement means
T1, T2: upper and lower dentition

Claims (6)

치과 시술에 사용되는 다양한 형태의 상.하부 마우스 피스들의 양쪽 외측으로부터 상기 상.하부 마우스 피스들을 향하여 상호 마주보는 상태로 각각 연장설치되어 어느 일측 면의 전체가 상호 맞닿게 위치하여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조절함에 의해, 상악(上顎)에 대한 하악(下顎)의 전.후이동을 실행하는 힘을 부여하는 금속, 강화형 도재 또는 수지 재질중 어느 하나로 형성된, 상기 상.하부 마우스 피스의 양쪽 외측면에 각각 고정되게 한 판(plate)형상의 베이스들의 일측 부분에 나사결합되는 소정 넓이의 고정편들 및 상기 베이스들의 타측부분에서 상기 고정편들과 접하거나 이격되는 위치로 이동하면서 상호 미는 힘을 부여하게 한 판 형상의 가동편들과, 상기 가동편들과 고정편들의 각각에 설치되어 상기 가동편들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홈들과 안내홈들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된 안내봉들로 이루어진 안내수단과, 상기 고정편들과 가동편들에 각각 나사 결합되어 상기 안내수단의 이동을 조절하게 된 정역 나선부가 설치되며 회동 손잡이를 갖는 이동 조절 나사봉들로 이루어진 이동량 조절수단으로 이루어진 악관절(顎關節)이동수단;
상기 가동편들의 대향면의 상부에 각각 설치된 반원형 걸림홈과 이 걸림홈에 결합되게 상기 가동편들의 상단면에 까지 위치되게 형성된 반구형 걸림돌기; 및
상기 가동편들의 대향면 하부의 각각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된 자성체들을 포함여 된 상악에 대한 하악 이동장치.
Each of the various types of upper and lower mouthpieces used in dental procedures are installed in the state facing each other toward the upper and lower mouthpieces from both outer sides of the upper and lower mouthpieces respectively, so that the whole of one side is in contact with each other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Both upper and lower mouthpieces are formed of any one of metal, reinforced ceramics or resin materials that, by adjusting to be movable, impart force to perform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lower jaw to the upper jaw. Fixed pieces of predetermined width screwed to one side portion of the plate-shaped bases fixed to the outer surface, respectively, and a force pushing each other while moving to a position contacting or spaced apart from the fixing pieces at the other side of the bases Plate-shaped movable pieces, and guides provided to each of the movable pieces and the fixed pieces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movable pieces. A guide means consisting of guide rods movably inserted into the grooves and the guide grooves, and a forward / back spiral portion which is screwed to the fixing pieces and the movable pieces to adjust the movement of the guide means. Jaw joint movement means consisting of a movement amount adjusting means made of a movement adjusting screw rod having;
A semi-circular locking groove respectively install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opposing surfaces of the movable pieces and a hemispherical locking protrusion formed to be located up to the upper end surfaces of the movable pieces so as to be coupled to the locking groove; And
And a mandibular movement device for the maxilla which includes magnetic bodies detachably installed at each of the lower surfaces of the movable pieces.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상기 상.하부 마우스들과의 대면부위에는, 상기 베이스의 결합력을 높이기 위한 요철부가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악에 대한 하악 이동장치.The mandibular movement device for the maxilla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convex and concave portions are further formed on the base facing portions of the base and the upper and lower mice to increase the coupling force of the bas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봉들에는 미세 이동을 확인하기 위한 눈금부가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악에 대한 하악 이동장치.According to claim 3, The guide rods lower jaw movement device for the maxillary,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provided with a scale for confirming the fine movement.
KR1020120034058A 2012-04-02 2012-04-02 An Upper Jaw and Lower Jaw a Shifter KR10136158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4058A KR101361583B1 (en) 2012-04-02 2012-04-02 An Upper Jaw and Lower Jaw a Shif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4058A KR101361583B1 (en) 2012-04-02 2012-04-02 An Upper Jaw and Lower Jaw a Shift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1848A KR20130111848A (en) 2013-10-11
KR101361583B1 true KR101361583B1 (en) 2014-02-13

Family

ID=49633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4058A KR101361583B1 (en) 2012-04-02 2012-04-02 An Upper Jaw and Lower Jaw a Shift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1583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4416B1 (en) 2016-12-15 2017-11-06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Apparatus for preventing of snoring and sleep apnea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07207B2 (en) 2013-12-30 2021-12-28 Prosomnus Sleep Technologies Inc. Mandibular advancement device
EP3089712A4 (en) * 2013-12-30 2017-12-27 Microdental Laboratories Mandibular advancement device
US9820882B2 (en) 2013-12-30 2017-11-21 Prosomnus Sleep Technologies Mandibular advancement device
WO2017093864A1 (en) * 2015-11-30 2017-06-08 Align Technology, Inc. Dental appliances with repositioning jaw elements
US10537406B2 (en) 2014-02-21 2020-01-21 Align Technology, Inc. Dental appliance with repositioning jaw elements
US9844424B2 (en) 2014-02-21 2017-12-19 Align Technology, Inc. Dental appliance with repositioning jaw elements
EP3804667A1 (en) * 2016-03-08 2021-04-14 Mitsui Chemicals, Inc. Mouthpiece, sheet for production of mouthpiece unit, and production method of mouthpiece
WO2019089782A1 (en) 2017-11-01 2019-05-09 Align Technology,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orrecting malocclusions of teeth
USD932626S1 (en) 2020-05-13 2021-10-05 ProSomnus Sleep Technologies, Inc. Mandibular advancement device with comfort bumps
CN114271980B (en) * 2022-01-29 2024-04-30 中山大学孙逸仙纪念医院 Posterior tooth fixing measurer for invisible correction of mandibular anterior cavity scanning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83244A (en) 1995-07-10 1997-11-04 Truax; Lloyd H. Dental appliance to correct malocclusion
US6604527B1 (en) * 1998-07-06 2003-08-12 Richard George Palmisano Mandibular advancement device
JP2010508131A (en) 2006-11-07 2010-03-18 クリストファー・ケリー Mandibular advancement device
KR20110006263U (en) * 2009-12-15 2011-06-22 정수창 Intra-oral device for preventing snore and sleep apnea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83244A (en) 1995-07-10 1997-11-04 Truax; Lloyd H. Dental appliance to correct malocclusion
US6604527B1 (en) * 1998-07-06 2003-08-12 Richard George Palmisano Mandibular advancement device
JP2010508131A (en) 2006-11-07 2010-03-18 クリストファー・ケリー Mandibular advancement device
KR20110006263U (en) * 2009-12-15 2011-06-22 정수창 Intra-oral device for preventing snore and sleep apnea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4416B1 (en) 2016-12-15 2017-11-06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Apparatus for preventing of snoring and sleep apne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1848A (en) 2013-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1583B1 (en) An Upper Jaw and Lower Jaw a Shifter
US10543119B2 (en) Incremental and/or successive adjustable mandibular advancement device for preventing and treatment of snoring and obstructive sleep apnea
RU2703505C2 (en) Mandibular advancement device, and method and kit for producing said device
JP6387087B2 (en) Gradually adjustable mandibular advancement device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epilepsy and obstructive sleep apnea
JP6899380B2 (en) Oral appliances
JP5758396B2 (en) Adjustable intraoral mandibular advancement device to prevent epilepsy and sleep apnea
US8646455B2 (en) Mandibular advancement device with positive positioning hinge
US20130112210A1 (en) Oral Sleep Apnea Device
KR101283760B1 (en) Method and device for mandibular advancement
US20070224567A1 (en) Dental orthotic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JP4445565B1 (en) Tongue position control device
US20150272773A1 (en) Intraoral apparatus for managing snoring and obstructive sleep apnea
MXPA05005463A (en) Sleep appliance
US20170151086A1 (en) Custom made oral appliance for airway management of those with obstructive sleep apnea (osa)
KR200461738Y1 (en) Intra-oral device for preventing snore and sleep apnear
KR100596129B1 (en) Snore and sleep apnear preventing device
KR101996181B1 (en) Snoring Prevention Mouthpiece
KR100931473B1 (en) Snoring and Bruxism Prevention Mechanisms
KR20060089860A (en) Prevention device for snore and bruxism
KR101273449B1 (en) Nasal breathing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525907B1 (en) Linear variable snoring prevention mouthpiece
KR20220089955A (en) Anti-snoring apparatus
US20180338856A1 (en) Systems, methods and oral appliance devices
KR20220089956A (en) Anti-snoring apparatus with pront extruding par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