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1311B1 - 모바일 보이스 오버 인터넷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음성 변조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모바일 보이스 오버 인터넷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음성 변조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1311B1
KR101361311B1 KR1020120076269A KR20120076269A KR101361311B1 KR 101361311 B1 KR101361311 B1 KR 101361311B1 KR 1020120076269 A KR1020120076269 A KR 1020120076269A KR 20120076269 A KR20120076269 A KR 20120076269A KR 101361311 B1 KR101361311 B1 KR 1013613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voip
voice
mode
voice data
appl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62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9725A (ko
Inventor
김춘택
황현석
류영준
서세종
김정택
강성학
Original Assignee
(주)카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카카오 filed Critical (주)카카오
Priority to KR10201200762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1311B1/ko
Publication of KR201400097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97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13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13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4Network layer protocols, e.g. mobile IP [Internet Protoco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4Network layer protocols, e.g. mobile IP [Internet Protocol]
    • H04W80/045Network layer protocols, e.g. mobile IP [Internet Protocol] involving different protocol versions, e.g. MIPv4 and MIPv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모바일 보이스 오버 인터넷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음성 변조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의 동작 방법이 개시된다. 일 실시예는 mVoIP를 이용하여 전송될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음성 데이터의 음량이 미리 설정된 레벨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며, 수신된 음성 데이터의 음량이 미리 설정된 레벨 이상이라는 판단에 따라 음성 데이터를 변조하고, 변조된 음성 데이터를 mVoIP를 이용하여 전송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모바일 보이스 오버 인터넷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음성 변조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의 동작 방법{METHOD OF OPERATING AN APPLICATION FOR PROVIDING A VOICE MODULATION SERVICE USING MOBILE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아래 실시예들은 모바일 보이스 오버 인터넷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음성 변조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의 동작 방법 및 모바일 보이스 오버 인터넷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음성 변조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 단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다음의 문헌에 개시되어 있다.
1)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06-0033228호 (2006.04.19 공개)
2)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05-0053171호 (2005.06.08 공개)
최근 휴대 인터넷(예를 들면, 와이브로, 모바일 와이맥스, 3GPP LTE, 4G LTE 등)과 IMS(IP Multimedia Subsystem) 망의 연동을 통하여 모바일 보이스 오버 인터넷 프로토콜(Mobile Voice over IP; mVoIP)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휴대 인터넷 가입자에게 부가 서비스로서 mVoIP 기반의 통화 서비스(예를 들면, 음성 통화 서비스, 영상 통화 서비스 등)를 제공하기 위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mVoIP는 휴대 인터넷 망의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여 음성 전화 급의 보이스 오버 인터넷 프로토콜(Voice over IP; VoIP)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이다. VoIP 서비스는 이동성 정도에 따라 고정 VoIP 서비스와 mVoIP 서비스로 분류될 수 있다. 즉, 이동 통신망과 같은 휴대 인터넷에 기반을 둔 VoIP 서비스는 mVoIP 서비스로 분류될 수 있다.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는 인터넷 같은 네트워크를 이용한, 두 명 이상의 즉각적인(실시간) 텍스트 통신을 지원하는 서비스이다. 인스턴트 메신저는 즉각적인 메시지를 중계하는 클라이언트이다.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는 실시간으로 대화가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전자 우편 서비스와 다르다. 대화를 하는 사람들이 서로 한 줄씩 입력할 때마다 전송이 이루어지며, 따라서 이것은 편지를 교환하는 것보다는 전화 대화를 하는 것과 유사하다.
실시예들은 변조할 음성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분별하고, 변조할 음성 데이터가 존재한다는 판단 시에만 해당 음성 데이터를 적응적으로 변조함으로써, 이동 단말의 전력 소모 등 불필요한 자원 낭비를 감소시키는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실시예들은 인스턴트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채팅방을 이용함으로써, mVoIP를 이용한 통화 도중 일방 또는 쌍방이 음성 변조 서비스를 활성화시켰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 및 일방 또는 쌍방이 음성 변조 서비스를 활성화시켰다면 어떤 음성 변조 모드를 활성화시켰는지에 대한 정보 등을 공유하는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측에 따른 모바일 보이스 오버 인터넷 프로토콜(mVoIP)를 이용하여 음성 변조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의 동작 방법은 상기 mVoIP를 이용한 통화 중, 상기 음성 변조 서비스의 동작 모드-상기 동작 모드는 적어도 활성화 모드와 비활성화 모드를 포함함-와 관련된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입력에 반응하여 상기 음성 변조 서비스의 동작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mVoIP를 이용하여 전송될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동작 모드가 상기 활성화 모드인 경우 상기 음성 데이터의 음량이 미리 설정된 레벨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음량이 미리 설정된 레벨 이상이라는 판단에 따라 상기 음성 데이터를 변조하는 단계; 및 상기 mVoIP를 이용하여 상기 변조된 음성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활성화 모드는 적어도 하나의 음성 변조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변조하는 단계는 상기 결정된 동작 모드에 대응되는 음성 변조 모드에 따라 상기 음성 데이터를 변조하는 단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동작 방법은 인스턴트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채팅방을 이용하여 상기 음성 변조 서비스와 관련된 인스턴트 메시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동작 방법은 인스턴트 메시지를 송수신하기 위한 채팅방을 이용하여 상기 mVoIP를 이용한 통화를 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시하는 단계는 상기 채팅방에서 제공되는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채팅방에 참여 중인 적어도 하나의 대화 상대 중 어느 하나와 상기 mVoIP를 이용한 통화를 개시하는 단계; 또는 친구 리스트에서 제공되는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친구 리스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친구 중 어느 하나와 상기 mVoIP를 이용한 통화를 개시하고, 상기 어느 하나의 친구가 포함된 채팅방에 입장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동작 방법은 상기 mVoIP를 이용한 통화 중, 인스턴트 메시지를 송수신하기 위한 채팅방을 이용하여 상기 음성 변조 서비스의 동작 모드와 관련된 입력을 수신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음성 변조 모드를 위한 인터페이스와 상기 비활성화 모드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일 측에 따른 모바일 보이스 오버 인터넷 프로토콜(mVoIP)를 이용하여 음성 변조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 단말은 상기 mVoIP를 이용하여 전송될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는 마이크; 상기 음성 데이터의 음량이 미리 설정된 레벨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음량이 미리 설정된 레벨 이상이라는 판단에 따라 상기 음성 데이터를 변조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mVoIP를 이용하여 상기 변조된 음성 데이터를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이동 단말은 상기 음성 변조 서비스의 동작 모드-상기 동작 모드는 적어도 활성화 모드와 비활성화 모드를 포함함-와 관련된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 수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mVoIP를 이용한 통화 중 상기 입력 수신부를 통해 상기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음성 변조 서비스의 동작 모드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동작 모드가 상기 활성화 모드인 경우 상기 음량이 상기 미리 설정된 레벨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활성화 모드는 적어도 하나의 음성 변조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결정된 동작 모드에 대응되는 음성 변조 모드에 따라 상기 음성 데이터를 변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은 상기 음성 변조 서비스와 관련된 인스턴트 메시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상기 음성 변조 서비스와 관련된 인스턴트 메시지를 획득하기 위하여 mVoIP 서버 또는 인스턴트 메시지 서버와 연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은 인스턴트 메시지를 송수신하기 위한 채팅방을 이용하여 상기 mVoIP를 이용한 통화를 개시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수신된 입력에 반응하여 상기 mVoIP를 이용한 통화를 개시하기 위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mVoIP를 이용하여 음성 변조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
도 2은 일 실시예에 따른 mVoIP를 이용한 통화 중 음성 변조 서비스의 동작 모드와 관련된 입력을 수신하는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변조 서비스와 관련된 인스턴트 메시지를 표시하는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채팅방을 이용하여 mVoIP를 이용한 통화를 개시하는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mVoIP를 이용하여 음성 변조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 단말을 나타낸 블록도.
이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보이스 오버 인터넷 프로토콜(mVoIP)를 이용하여 음성 변조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은 mVoIP를 이용하여 전송될 음성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110).
이 때, 어플리케이션은 다양한 방법에 의하여 음성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음성 신호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이동 단말의 마이크를 통해 입력될 수 있다. 이 때,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음성 신호는 아날로그 신호일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은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음성 신호가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된 음성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은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이동 단말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외부기기(예를 들면, 노트북 컴퓨터, 블루투스 헤드셋 등)로부터 음성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은 수신된 음성 데이터의 음량이 미리 설정된 레벨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140).
보다 구체적으로, 어플리케이션은 수신된 음성 데이터로부터 음량과 관련된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은 추출된 음량과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수신된 음성 데이터의 음량이 미리 설정된 레벨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레벨은 어플리케이션이 수신된 음성 데이터를 변조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문턱 음량일 수 있다.
즉,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은 수신된 음성 데이터의 음량이 미리 설정된 레벨 이상이라는 판단에 따라 수신된 음성 데이터를 변조할 수 있다(150).
예를 들면, 어플리케이션은 mVoIP를 이용한 통화 중 이용자가 말을 하고 있을 때, 수신된 음성 데이터의 음량이 미리 설정된 레벨 이상이라는 판단을 할 수 있다. 이 경우, 어플리케이션은 수신된 음성 데이터를 변조할 수 있다.
반면, 어플리케이션은 mVoIP를 이용한 통화 중 상대방이 말을 하고 있을 때(즉, 이용자가 상대방의 말을 듣고 있을 때), 수신된 음성 데이터의 음량이 미리 설정된 레벨 미만이라는 판단을 할 수 있다. 이 경우, 어플리케이션은 수신된 음성 데이터를 변조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은 변조할 음성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분별하고, 변조할 음성 데이터가 존재한다는 판단 시에만 해당 음성 데이터를 적응적으로 변조하는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어플리케이션은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이동 단말의 불필요한 전력 소모 등 불필요한 자원 낭비를 감소시키는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수신되는 음성 데이터는 시간 영역의 데이터일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은 퓨리에 트랜스폼(Furrier Transform) 연산을 이용하여 수신된 음성 데이터를 주파수 영역의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나아가, 어플리케이션은 주파수 영역의 데이터로 변환된 음성 데이터를 기초로 플로팅 포인트(floating-point)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수신된 음성 데이터를 변조할 수 있다.
이러한 퓨리에 트랜스폼 연산과 플로팅 포인트 연산은 복잡도가 높다. 어플리케이션이 복잡도가 높은 퓨리에 트랜스폼 연산과 플로팅 포인트 연산을 수행하기 위하여,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장치(예를 들면, 이동 단말의 프로세서 등)는 많은 전력을 소모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은 수신되는 모든 음성 데이터에 변조를 위한 연산(즉, 퓨리에 트랜스폼 연산 및 플로팅 포인트 연산 등)을 적용하는 대신, 유의미한 음성 데이터만을 선별하여 변조를 위한 연산(즉, 퓨리에 트랜스폼 연산 및 플로팅 포인트 연산 등)을 적용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어플리케이션은 변조를 위한 연산량을 감소시킬 수 있고, 나아가,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이동 단말의 불필요한 전력 소모 등 불필요한 자원 낭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은 mVoIP를 이용하여 변조된 음성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160).
어플리케이션은 수신된 음성 데이터의 음량이 미리 설정된 레벨 이상이라고 판단된 구간에서 변조된 음성 데이터와 수신된 음성 데이터의 음량이 미리 설정된 레벨 미만이라고 판단된 구간에서 변조되지 아니한 음성 데이터를 모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 표시되지 아니하였으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은 수신된 음성 데이터의 음량이 미리 설정된 레벨 이상이라고 판단된 구간에서 변조된 음성 데이터만을 전송할 수 있다. 즉, 어플리케이션은 수신된 음성 데이터의 음량이 미리 설정된 레벨 미만이라고 판단된 구간에서 변조되지 아니한 음성 데이터는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은 mVoIP를 이용한 통화 중, 음성 변조 서비스의 동작 모드와 관련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120).
여기서, 음성 변조 서비스의 동작 모드는 적어도 활성화 모드와 비활성화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어플리케이션은 mVoIP를 이용한 통화 도중 음성 변조 서비스를 활성화하거나 비활성화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은 mVoIP를 이용하여 전송될 음성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110).
이 때, 어플리케이션은 음성 데이터를 먼저 수신한 뒤, 음성 변조 서비스의 동작 모드와 관련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반대로, 어플리케이션은 음성 변조 서비스의 동작 모드와 관련된 입력을 먼저 수신한 뒤, 음성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어플리케이션은 음성 데이터와 음성 변조 서비스의 동작 모드와 관련된 입력을 동시에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은 수신된 음성 변조 서비스의 동작 모드와 관련된 입력에 반응하여 음성 변조 서비스의 동작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130).
예를 들면, 어플리케이션은 mVoIP를 이용한 통화가 개시되면 기본적으로 음성 변조 서비스의 동작 모드를 비활성화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통화를 하는 도중 이용자로부터 음성 변조 서비스를 활성화시키는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어플리케이션은 음성 변조 서비스의 동작 모드를 활성화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은 음성 변조 서비스를 활성화시키는 입력 후 수신되는 음성 데이터에 기초하여 단계(140)~단계(160)을 수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어플리케이션은 음성 변조 서비스의 동작 모드가 활성화 모드로 결정되는 경우, 이후 수신되는 음성 데이터의 음량이 미리 설정된 레벨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140).
나아가, 어플리케이션은 음성 변조 서비스의 동작 모드가 활성화 모드로 결정된 이후 수신된 음성 데이터의 음량이 미리 설정된 레벨 이상이라고 판단되는 경우, 수신된 음성 데이터를 변조할 수 있다(150).
이 때, 활성화 모드는 적어도 하나의 음성 변조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활성화 모드는 수신된 음성 데이터를 외계인 목소리로 음성 변조하는 제1 활성화 모드와 수신된 음성 데이터를 악마 목소리로 음성 변조하는 제2 활성화 모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어플리케이션은 음성 변조 서비스의 동작 모드로 결정된 음성 변조 모드에 따라 수신된 음성 데이터를 변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음성 변조 서비스의 동작 모드가 제1 활성화 모드로 결정되는 경우, 어플리케이션은 수신된 음성 데이터를 외계인 목소리로 변조할 수 있다. 또한, 음성 변조 서비스의 동작 모드가 제2 활성화 모드로 결정되는 경우, 어플리케이션은 수신된 음성 데이터를 악마 목소리로 변조할 수 있다.
한편, 통화를 하는 도중 이용자로부터 음성 변조 서비스를 비활성화시키는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어플리케이션은 음성 변조 서비스의 동작 모드를 비활성화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이 경우, 어플리케이션은 수신된 음성 데이터를 변조하지 않고, mVoIP를 이용하여 수신된 음성 데이터를 그대로 전송할 수 있다(130, 160).
도 2은 일 실시예에 따른 mVoIP를 이용한 통화 중 음성 변조 서비스의 동작 모드와 관련된 입력을 수신하는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은 인스턴트 메시지를 송수신하기 위한 채팅방을 이용하여 음성 변조 서비스의 동작 모드와 관련된 입력을 수신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어플리케이션은 mVoIP를 이용한 통화가 개시되면 mVoIP를 이용한 통화의 상대방이 포함된 채팅방 인터페이스(210)를 제공할 수 있다.
채팅방 인터페이스(210)는 mVoIP를 이용한 통화와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는 인터페이스(211)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인터페이스(211)은 반투명의 배경 위에 mVoIP를 이용한 통화를 종료하는 버튼(21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211)는 음성 변조 서비스와 관련된 입력 인터페이스가 숨겨져 있음을 표시하는 아이콘(213)을 포함할 수 있다.
버튼(212)와 아이콘(213)은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이동 단말의 터치 스크린과 연동될 수 있다. 즉, 이용자가 터치 스크린을 이용하여 버튼(212)을 클릭하면 어플리케이션은 mVoIP를 이용한 통화를 종료할 수 있다.
또한, 이용자가 터치 스크린을 이용하여 아이콘(213)을 클릭하면 어플리케이션은 음성 변조 서비스와 관련된 입력 인터페이스가 포함된 채팅방 인터페이스(220)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은 이용자가 터치 스크린을 이용하여 인터페이스(211)을 클릭하는 경우, 아이콘(213)이 클릭되는 것과 동일하게 동작할 수 있다.
채팅방 인터페이스(220)는 mVoIP를 이용한 통화와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는 인터페이스(221)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인터페이스(221)은 반투명의 배경 위에 음성 변조 서비스와 관련된 입력 인터페이스(222, 223)를 포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음성 변조 서비스와 관련된 입력 인터페이스(222, 223)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이동 단말의 터치 스크린과 연동될 수 있다. 즉, 이용자가 터치 스크린을 이용하여 제1 활성화 모드에 대응되는 버튼(222)을 클릭하면, 어플리케이션은 음성 변조 서비스의 동작 모드를 제1 활성화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이 경우, 이용자가 터치 스크린을 이용하여 제2 활성화 모드에 대응되는 버튼(223)을 클릭하면, 어플리케이션은 음성 변조 서비스의 동작 모드를 제2 활성화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만약 음성 변조 서비스의 동작 모드가 제1 활성화 모드로 전환된 상태에서, 이용자가 다시 제1 활성화 모드에 대응되는 버튼(222)을 클릭하면, 어플리케이션은 음성 변조 서비스의 동작 모드를 비활성화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변조 서비스와 관련된 인스턴트 메시지를 표시하는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은 인스턴트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채팅방을 이용하여 음성 변조 서비스와 관련된 인스턴트 메시지(320)를 표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2을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어플리케이션은 mVoIP를 이용한 통화가 개시되면 mVoIP를 이용한 통화의 상대방이 포함된 채팅방 인터페이스(300)를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이용자가 터치 스크린을 이용하여 도 2의 제1 활성화 모드에 대응되는 버튼(222)을 클릭하면, 어플리케이션은 음성 변조 서비스의 동작 모드를 제1 활성화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이 경우, 채팅방 인터페이스(300)는 음성 변조 서비스의 동작 모드가 제1 활성화 모드로 설정되었음을 지시하는 인터페이스(310)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310)은 도 2의 제1 활성화 모드에 대응되는 버튼(222)의 음영이 변경된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은 음성 변조 서비스의 동작 모드가 제1 활성화 모드로 전환됨에 따라 음성 변조 서비스와 관련된 인스턴트 메시지(320)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어플리케이션은 도 2의 제1 활성화 모드에 대응되는 버튼(222)이 클릭되면, 제1 활성화 모드에 대응되는 인스턴트 메시지(320)를 채팅방 인터페이스(300)에 표시할 수 있다.
즉, 어플리케이션은 채팅방 인터페이스(300)를 이용하여 음성 변조 서비스의 동작 모드가 변경됨을 지시(indication)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은 채팅방 인터페이스(300)에 현재 결정된 음성 변조 서비스의 동작 모드를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은 mVoIP를 이용한 통화의 상대방에게 음성 변조 서비스와 관련된 인스턴트 메시지(320)를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음성 변조 서비스를 활성화 시키는 입력을 수신한 어플리케이션(이하, "제1 어플리케이션"이라고 함)과 mVoIP를 이용한 통화의 상대방에 해당하는 어플리케이션(이하, "제2 어플리케이션"이라고 함) 각각이 음성 변조 서비스와 관련된 인스턴트 메시지(320)를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제1 어플리케이션은 자신이 음성 변조 서비스와 관련된 인스턴트 메시지(320)를 직접 입력한 것과 같이 인스턴트 메시지(320)를 표시할 수 있다. 제2 어플리케이션은 음성 변조 서비스와 관련된 인스턴트 메시지(320)를 제1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수신된 형태로 인스턴트 메시지(320)를 표시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은 mVoIP를 이용한 통화 도중 일방 또는 쌍방이 음성 변조 서비스를 활성화시켰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 및 일방 또는 쌍방이 음성 변조 서비스를 활성화시켰다면 어떤 음성 변조 모드를 활성화시켰는지에 대한 정보 등을 공유하는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은 음성 변조 서비스와 관련된 인스턴트 메시지(320)를 표시하기 위하여 mVoIP 서버 또는 인스턴트 메시지 서버와 연동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어플리케이션은 mVoIP를 이용한 호의 발신 시, 인스턴트 메시지 서버와 연동하여 mVoIP를 이용한 통화의 상대방이 포함된 채팅방에 입장할 수 있다.
혹은, 어플리케이션은 음성 변조 서비스를 활성화시키는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mVoIP 서버로 관련 인스턴트 메시지를 전송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 이 경우, mVoIP 서버는 인스턴트 메시지 서버와 연동하여 mVoIP를 이용한 통화의 상대방이 포함된 채팅방을 검색할 수 있다. 인스턴트 메시지 서버는 mVoIP를 이용한 통화의 상대방이 포함된 채팅방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mVoIP를 이용한 통화의 상대방이 포함된 새로운 채팅방을 생성할 수 있다. 나아가, 인스턴트 메시지 서버는 mVoIP를 이용한 통화의 상대방이 포함된 채팅방을 이용하여 관련 인스턴트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인스턴트 메시지 서버와 mVoIP 서버는 해당 채팅방의 ID에 기초하여 전술한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채팅방을 이용하여 mVoIP를 이용한 통화를 개시하는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은 인스턴트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채팅방을 이용하여 mVoIP를 이용한 통화를 개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어플리케이션은 채팅방에서 제공되는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채팅방에 참여 중인 적어도 하나의 대화 상대 중 어느 하나와 mVoIP를 이용한 통화를 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어플리케이션은 채팅방에 참여 중인 적어도 하나의 대화 상대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입력이 수신되면, 인터페이스(410)을 제공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410)은 mVoIP를 이용한 통화를 개시하기 위한 인터페이스(415)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415)가 선택되는 입력이 수신되면, 어플리케이션은 해당 대화 상대와 mVoIP를 이용한 통화를 개시하기 위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어플리케이션은 도 3의 버튼(330)과 같이 텍스트 메시지 이외의 콘텐트(content)를 전송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3의 버튼(330)이 클릭되면 어플리케이션은 사진, 동영상, 음성 메시지 및 연락처 등을 전송하기 위한 인터페이스(420)를 제공할 수 있다.
만약 채팅방에 참여 중인 대화 상대가 한 명일 경우, 인터페이스(420)은 해당 대화 상대와 mVoIP를 이용한 통화를 개시하기 위한 인터페이스(425)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425)가 선택되는 입력이 수신되면, 어플리케이션은 해당 대화 상대와 mVoIP를 이용한 통화를 개시하기 위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은 친구 리스트에서 제공되는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친구 리스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친구 중 어느 하나와 mVoIP를 이용한 통화를 개시하고, 어느 하나의 친구가 포함된 채팅방에 입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어플리케이션은 친구 리스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친구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입력이 수신되면, 인터페이스(410)을 제공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410)은 mVoIP를 이용한 통화를 개시하기 위한 인터페이스(415)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415)가 선택되는 입력이 수신되면, 어플리케이션은 해당 친구와 mVoIP를 이용한 통화를 개시하기 위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나아가, 어플리케이션은 해당 친구가 포함된 채팅방에 입장하기 위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어플리케이션은 mVoIP를 이용한 통화가 개시되면 도 2과 도 3을 통하여 기술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어플리케이션은 이동 단말(예를 들면, 스마트폰 등)에 설치되는 소프트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어플리케이션은 공장에서 출시되는 이동 단말에 기본적으로 설치되는 소프트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어플리케이션은 공장 출시 이후 소비자에게 판매된 이동 단말에 별도로 설치되는 소프트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mVoIP를 이용하여 음성 변조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 단말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500)은 마이크(510), 프로세서(520), 및 전송부(530)을 포함한다.
이 때, 마이크(510)는 mVoIP를 이용하여 전송될 음성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520)는 음성 데이터의 음량이 미리 설정된 레벨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음성 데이터의 음량이 미리 설정된 레벨 이상이라는 판단에 따라 음성 데이터를 변조할 수 있다. 전송부(530)는 mVoIP를 이용하여 변조된 음성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500)은 입력 수신부(5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입력 수신부(540)는 음성 변조 서비스의 동작 모드와 관련된 입력을 수신하는 장치로, 예를 들어 터치 스크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520)는 mVoIP를 이용한 통화 중 입력 수신부(540)를 통해 수신되는 입력에 기초하여 음성 변조 서비스의 동작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나아가, 프로세서(520)는 결정된 동작 모드가 활성화 모드인 경우 음성 데이터의 음량이 미리 설정된 레벨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음성 변조 서비스의 동작 모드는 적어도 활성화 모드와 비활성화 모드를 포함하고, 활성화 모드는 적어도 하나의 음성 변조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520)는 결정된 동작 모드에 대응되는 음성 변조 모드에 따라 음성 데이터를 변조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500)은 디스플레이부(5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디스플레이부(550)는 음성 변조 서비스와 관련된 인스턴트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520)는 디스플레이부(550)를 통해 음성 변조 서비스와 관련된 인스턴트 메시지를 획득하기 위하여 mVoIP 서버 또는 인스턴트 메시지 서버와 연동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500)은 인터페이스부(5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인터페이스부(560)는 인스턴트 메시지를 송수신하기 위한 채팅방을 이용하여 mVoIP를 이용한 통화를 개시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장치로,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550)와 결합된 터치 스크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520)는 인터페이스부(560)를 통해 수신된 입력에 반응하여 mVoIP를 이용한 통화를 개시하기 위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모듈들 각각에는 도 1 내지 도 4를 통하여 기술된 사항들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으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컨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A(field programmabl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2)

  1. 모바일 보이스 오버 인터넷 프로토콜(mVoIP)를 이용하여 음성 변조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mVoIP를 이용한 통화 중, 상기 음성 변조 서비스의 동작 모드-상기 동작 모드는 적어도 활성화 모드와 비활성화 모드를 포함함-와 관련된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입력에 반응하여 상기 음성 변조 서비스의 동작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mVoIP를 이용하여 전송될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동작 모드가 상기 활성화 모드인 경우 상기 음성 데이터의 음량이 미리 설정된 레벨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음량이 미리 설정된 레벨 이상이라는 판단에 따라 상기 음성 데이터를 변조하는 단계; 및
    상기 mVoIP를 이용하여 상기 변조된 음성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인스턴트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채팅방을 이용하여 상기 음성 변조 서비스와 관련된 인스턴트 메시지를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의 동작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화 모드는 적어도 하나의 음성 변조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변조하는 단계는 상기 결정된 동작 모드에 대응되는 음성 변조 모드에 따라 상기 음성 데이터를 변조하는 단계인 어플리케이션의 동작 방법.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인스턴트 메시지를 송수신하기 위한 채팅방을 이용하여 상기 mVoIP를 이용한 통화를 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의 동작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개시하는 단계는
    상기 채팅방에서 제공되는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채팅방에 참여 중인 적어도 하나의 대화 상대 중 어느 하나와 상기 mVoIP를 이용한 통화를 개시하는 단계; 또는
    친구 리스트에서 제공되는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친구 리스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친구 중 어느 하나와 상기 mVoIP를 이용한 통화를 개시하고, 상기 어느 하나의 친구가 포함된 채팅방에 입장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의 동작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mVoIP를 이용한 통화 중, 인스턴트 메시지를 송수신하기 위한 채팅방을 이용하여 상기 음성 변조 서비스의 동작 모드와 관련된 입력을 수신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음성 변조 모드를 위한 인터페이스와 상기 비활성화 모드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의 동작 방법.
  7. 제1항, 제2항, 및 제4항 내지 제6항 중에서 어느 하나의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8. 모바일 보이스 오버 인터넷 프로토콜(mVoIP)를 이용하여 음성 변조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 단말에 있어서,
    상기 mVoIP를 이용하여 전송될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는 마이크;
    상기 음성 데이터의 음량이 미리 설정된 레벨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음량이 미리 설정된 레벨 이상이라는 판단에 따라 상기 음성 데이터를 변조하는 프로세서;
    상기 mVoIP를 이용하여 상기 변조된 음성 데이터를 전송하는 전송부; 및
    상기 음성 변조 서비스와 관련된 인스턴트 메시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변조 서비스의 동작 모드-상기 동작 모드는 적어도 활성화 모드와 비활성화 모드를 포함함-와 관련된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 수신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mVoIP를 이용한 통화 중 상기 입력 수신부를 통해 상기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음성 변조 서비스의 동작 모드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동작 모드가 상기 활성화 모드인 경우 상기 음량이 상기 미리 설정된 레벨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이동 단말.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화 모드는 적어도 하나의 음성 변조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결정된 동작 모드에 대응되는 음성 변조 모드에 따라 상기 음성 데이터를 변조하는 이동 단말.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상기 음성 변조 서비스와 관련된 인스턴트 메시지를 표시하기 위하여 mVoIP 서버 또는 인스턴트 메시지 서버와 연동하는, 이동 단말.
  12. 제8항에 있어서,
    인스턴트 메시지를 송수신하기 위한 채팅방을 이용하여 상기 mVoIP를 이용한 통화를 개시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수신된 입력에 반응하여 상기 mVoIP를 이용한 통화를 개시하기 위한 작업을 수행하는 이동 단말.
KR1020120076269A 2012-07-12 2012-07-12 모바일 보이스 오버 인터넷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음성 변조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의 동작 방법 KR1013613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6269A KR101361311B1 (ko) 2012-07-12 2012-07-12 모바일 보이스 오버 인터넷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음성 변조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의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6269A KR101361311B1 (ko) 2012-07-12 2012-07-12 모바일 보이스 오버 인터넷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음성 변조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의 동작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9656A Division KR20140009942A (ko) 2013-09-12 2013-09-12 모바일 보이스 오버 인터넷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음성 변조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9725A KR20140009725A (ko) 2014-01-23
KR101361311B1 true KR101361311B1 (ko) 2014-02-12

Family

ID=50142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6269A KR101361311B1 (ko) 2012-07-12 2012-07-12 모바일 보이스 오버 인터넷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음성 변조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131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0012Y1 (ko) * 2000-02-08 2000-07-15 손영권 음성 변조 장치를 구비하는 음성 송신 장치
KR20020041220A (ko) * 2000-11-27 2002-06-01 조정남 음성 변조 기능을 갖는 전화기 및 그 방법
KR20030093870A (ko) * 2002-06-05 2003-12-1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음성 변조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070022176A (ko) * 2005-08-18 2007-02-2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모바일 음성변조 시스템 및 음성변조가 가능한 단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0012Y1 (ko) * 2000-02-08 2000-07-15 손영권 음성 변조 장치를 구비하는 음성 송신 장치
KR20020041220A (ko) * 2000-11-27 2002-06-01 조정남 음성 변조 기능을 갖는 전화기 및 그 방법
KR20030093870A (ko) * 2002-06-05 2003-12-1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음성 변조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070022176A (ko) * 2005-08-18 2007-02-2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모바일 음성변조 시스템 및 음성변조가 가능한 단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9725A (ko) 2014-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27571B1 (ko) 영상 통화 데이터의 디스플레이
CN109921976B (zh) 一种基于群组的通信控制方法、装置及存储介质
KR102145089B1 (ko) 사전 에스컬레이션 참여 확인을 이용한 심리스 통화 전환
US20190306277A1 (en) Interaction between devices displaying application status information
US9936070B2 (en) User device detection and integration for an IVR system
KR20160044506A (ko) 에스컬레이션 인식 통지를 이용한 심리스 통화 전환
JP2015513815A (ja) デバイス制御方法および装置
CN113329201B (zh) 一种增强的视频通话方法和系统、电子设备
CN105515937B (zh) 一种即时通讯方法、终端、服务器以及系统
CN103701994A (zh) 一种自动应答的方法及装置
US10003618B2 (en)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mobile Internet call service
KR101361311B1 (ko) 모바일 보이스 오버 인터넷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음성 변조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의 동작 방법
KR20150108470A (ko) 메신저 서비스 시스템, 그 시스템에서의 상대방의 위치 및 시간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메신저 서비스 방법 및 장치
KR20140009942A (ko) 모바일 보이스 오버 인터넷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음성 변조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의 동작 방법
KR20150106565A (ko) 메신저 서비스 시스템, 그 시스템에서 프레즌스 정보를 이용한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 방법 및 장치
CN110602328B (zh) 处理方法及处理装置
KR20160085447A (ko) Ptt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정보를 공유하며 ptt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및 이동 단말
KR20150105025A (ko) 메신저 서비스 시스템, 그 시스템에서의 프레즌스 정보를 반영한 채팅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메신저 서비스 방법 및 장치
US20200296219A1 (en) Messaging for voip application and external apparatus
KR20160018899A (ko) 매개체를 통한 채팅 방법 및 채팅 시스템
KR20150106615A (ko) 메신저 서비스 시스템, 그 시스템에서의 음성 통화 대기 중 정보 표시 방법 및 장치
CN111698354A (zh) 终端及操作方法
KR20150105559A (ko) 메신저 서비스 시스템, 그 시스템에서의 음성 통화를 위한 메신저 서비스 방법 및 장치
CN104333647A (zh) 消息回复方法和设备
CN105357101A (zh) 即时通信方法、装置及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