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1294B1 - 차량용 공조 시스템에 적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장치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공조 시스템에 적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장치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1294B1
KR101361294B1 KR1020110055445A KR20110055445A KR101361294B1 KR 101361294 B1 KR101361294 B1 KR 101361294B1 KR 1020110055445 A KR1020110055445 A KR 1020110055445A KR 20110055445 A KR20110055445 A KR 20110055445A KR 101361294 B1 KR101361294 B1 KR 1013612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unit
air conditioning
conditioning system
function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54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36482A (ko
Inventor
이상신
최의현
Original Assignee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554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1294B1/ko
Priority to US13/236,021 priority patent/US20120313958A1/en
Priority to DE102011054059A priority patent/DE102011054059A1/de
Priority to CN201110308363.8A priority patent/CN102818331B/zh
Publication of KR201201364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64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12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12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98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display or indicating devices, e.g. voice sim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60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ir location or relative disposition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1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for dash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20Optical features of instruments
    • B60K2360/33Illumination fe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 시스템에 적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어부에서 휘도가 고저로 변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변하도록 제어하면서 상기 변하는 시간 동안의 상기 휘도 변화를 표시부에서 표시하게 되고, 특히,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시간이 점차적으로 감소하는 웰컴 기능 또는 공조 시스템의 오프 버튼을 누르면 상기 시간이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굿바이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최근 감성 트랜드에 맞는 역동적인 느낌 또는 정적인 느낌을 강조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공조 시스템에 적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장치의 제어방법{A Display Device On Air Conditioning System For Vehicles And Thereof Control Method}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 시스템에 적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제어부에서 휘도가 고저로 변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변하도록 제어하면서 상기 변하는 시간 동안의 상기 휘도 변화를 표시부에서 표시함으로써, 역동적인 느낌 또는 정적인 느낌을 강조하는 차량용 공조 시스템에 적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HVAC: Heating, Ventilating,
Air Conditioning system)는 실내 온도 및 습도 조절, 그리고 내외기 공기의 선택
조작 등을 통하여 실내공기의 상태를 탑승객이 원하는 수준으로 조절하기 위한 장치를 말한다.
이러한 차량용 공기조화장치 즉, 공조 시스템은 운전석 전방의 센터 페시아 패널(Center Facia Panel)에 설치되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10)와, 케이스(110)의 전면에 설치되는 복수의 스위치(130)들과 표시부(150) 및 오프 버튼(170)을 구비한다.
이러한 표시부(150)는, 스위치(130)의 조작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표시하기도 하고, 공조 시스템의 작동 상태와 일련의 작동과정을 표시하기도 한다.
그런데, 이러한 표시부(150)에 대한 종래의 제어 방식은, 단일 칼라 LED 제어 방식을 사용해 단순히 단색 칼라 LED의 Duty를 조절하여 단색 칼라를 구현해내거나 동일 휘도 값에서 한정된 칼라로 변경하는 방식이었다.
진도와 히라사고(T, Jindo & K, Hirasago)의 "Application Studies to Car Interior of Kansei Engineering" (논문,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rgonomics, 19:105-114. 1997) 논문에 따르면 조명 요소는 음성정보의 부정확함을 극복하고 일관적이고 정확한 데이터 표기를 위한 방법으로서 주목받아왔으며 사용성을 넘어 감성적 만족감과 자동차 브랜드 가치를 높여주는 것으로 연구되어 왔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차량용 공조 시스템의 표시부(150)에 이러한 종래의 방식을 자동차 시동을 걸어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원이 인가될 때 또는 공조 시스템의 오프 버튼(170)을 누를 때 특히, 야간에 적용하면, 항상 동일한 조명 칼라 또는 한정된 칼라로 단순히 변경 및 온/오프됨에 따라 차량 탑승자의 차량에 대한 만족감이 떨어지고 상품성 재고시키는데 한계가 있었다.
또한, 야간에 자동차 주행시 통상 전방 상황 주시를 위해 전조등만 켜고, 실내등은 모두 끈 상태로 운전하게 되는바, 어두운 실내 환경에서 종래의 방식으로는 운전자를 제외한 나머지 탑승객들은 오랫동안 탑승시 지루함이 생기고, 사용자의 감성(感性)적 욕구를 충족시키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자동차 실내의 어두운 환경에서 시동을 걸어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원이 인가될 때나 공조 시스템의 오프 버튼을 누를 때, 표시부의 휘도 및 조절 주기를 복합적으로 변화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지루함을 해소시킬 수 있는 최근 감성 트랜드에 맞춘 웰컴 또는 굿바이 기능을 적용시킨 차량용 공조 시스템에 적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 시스템에 적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휘도의 변화를 나타낼 수 있는 표시부; 상기 표시부의 휘도가 일정한 상한과 하한값을 가지며 저-고-저 또는 고-저-고로 연속적으로 변화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부의 휘도가 변화하는 시간을 점차적으로 감소시키면서 반복적으로 표시하여 웰컴(Welcome)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공조 시스템의 오프 버튼이 눌러지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부의 휘도가 변화하는 시간을 점차적으로 증가시키면서 반복적으로 표시하여 굿바이(Good Bye)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 시스템에 적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부의 휘도가 저-고-저 또는 고-저-고로 1회 이상 변화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하나의 주기로 하여, 휘도 변화 주기를 점진적으로 증가 또는 감소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 시스템에 적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특히, 상기 웰컴 기능을 수행한 후에 상기 제어부에서 차량 내부 온도에 따라 미리 기억된 칼라로 상기 표시부의 칼라가 변경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차량 내부 온도는 토출 온도 또는 상기 공조 시스템이 꺼지기 전의 설정 온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 시스템에 적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굿바이 기능을 수행한 후에 상기 제어부에서 차량 외부 온도에 따라 미리 기억된 칼라로 상기 표시부의 칼라가 변경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 시스템에 적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기능을 수행하는 시간은 3초 이내가 되도록 상기 제어부를 통해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 시스템에 적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 시스템에 적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표시부에 전원이 인가되어 표시부가 온(On)되는 단계; 상기 표시부의 휘도를 제어부가 일정한 상한과 하한값을 가지며 저-고-저 또는 고-저-고로 연속적으로 변화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부의 휘도가 변화하는 시간을 점차적으로 감소시키면서 반복적으로 표시하여 웰컴(Welcome)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공조 시스템의 오프 버튼이 눌러지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부의 휘도가 점차적으로 증가시키면서 반복적으로 표시하여 굿바이(Good Bye)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 시스템에 적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웰컴 기능을 수행한 후에 상기 제어부를 통해 토출 온도 또는 상기 공조 시스템이 꺼지기 전의 설정 온도에 따라 미리 기억된 칼라로 상기 표시부의 칼라가 변경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 시스템에 적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굿바이 기능을 수행한 후에 상기 제어부를 통해 차량 외부 온도에 따라 미리 기억된 칼라로 상기 표시부의 칼라가 변경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 시스템에 적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기능을 수행하는 시간은 3초 이내가 되도록 상기 제어부를 통해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 시스템에 적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삭제
삭제
삭제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 시스템에 적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장치의 제어방법에서는 사용자가 차량에 시동을 걸어 공조 시스템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원이 인가되면, 웰컴 기능을 통하여 리드미컬하게 표시되는 것을 변경시킴으로써, 주행 중 시선을 크게 분산시키지 않더라도 공조 시스템의 동작이 시작된다는 메시지를 전달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표시부의 단순 제어가 아닌 휘도값과 시간의 복합 제어하여 디스플레이 장치가 켜지는 역동적인 느낌을 강조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 시스템에 적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장치의 제어방법에서는 공조 시스템의 오프 버튼을 누르면, 굿바이 기능을 통하여 부드럽게 표시되는 것을 변경시킴으로써, 주행 중 시선을 크게 분사시키지 않더라도 공조 시스템의 동작이 끝났다는 메시지를 전달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단순 제어가 아닌 시간과 휘도값의 복합 제어하여 디스플레이 장치가 꺼지는 정적인 느낌을 강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최근 감성 트랜드에 맞는 웰컴 기능 또는 굿바이 기능을 차량용 공조 시스템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시켜 차량 탑승자들이 차량에 대해 더욱 만족할 수 있게 하고, 상품 이미지 재고에도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차량용 공조 시스템에 적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이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웰컴 기능의 하나의 실시 예이다.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웰컴 기능의 다른 하나의 실시 예이다.
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웰컴 기능을 적용시킨 디스플레이 장치의 표시부를 하나의 실시 예로서 나타낸 것이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굿바이 기능의 하나의 실시 예이다.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굿바이 기능의 다른 하나의 실시 예이다.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굿바이 기능을 적용시킨 디스플레이 장치의 표시부를 하나의 실시 예로서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웰컴 기능 및 굿바이 기능이 연속적으로 수행되는 것을 하나의 실시 예로서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웰컴 기능 및 굿바이 기능이 연속적으로 수행되는 것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 시스템에 적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표시부의 휘도값을 고저로 반복해서 변경하고, 변경되는 시간 즉, 가변 주기를 적용하는 웰컴(Welcome) 기능 또는 굿바이(Good-Bye)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기능 수행 이후에 차량 내부 또는 외부 온도에 따라 상기 표시부의 칼라를 변경시키는 것에 주된 특징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차량용 공조 시스템에 적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이는 운전석 전방의 센터 페시아 패널(Center Facia Panel)에 설치되며, 케이스(110)와, 케이스(110)의 전면에 설치되는 복수의 스위치(130)들과 표시부(150) 및 오프 버튼(170)을 구비한다.
종래 차량용 공조 시스템에 적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표시부(150)는 켜거나 끄는 때에 특별한 변화가 없고, 켜진 상태에서는 단순히 단색 칼라로 표시되거나, 등록 제20-0415590호에서 개시하고 있는 것과 같은 차량의 선택된 실내 온도에 따라 펄스 폭 변조(Pulse Width Modulation) 방식으로 백 라이트용 3색 LED를 제어하여 표시부(150) 및 버튼이 각각 발광되는 방식이 적용되고 있을 뿐이었다.
본 발명의 차량용 공조 시스템에 적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와 같은 방식 적용 이전에 웰컴 기능 또는 적용 이후에 굿바이 기능을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와 이를 표시하는 표시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어부는 휘도가 고저로 변하게 하면서, 동시에 휘도가 고저로 변하는데 걸리는 시간도 가변적이 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는 휘도가 저휘도에서 시작되어 고휘도로 변경되고, 다시 고휘도가 저휘도로 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는 반대로 휘도가 고휘도에서 시작되어 저휘도로 변경되고, 다시 저휘도가 고휘도로 변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휘도가 고저로 1회 변하는데 걸리는 시간 동안 휘도 변화가 1회가 아닌 복수 회 있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즉, 제어부는 최초에 프로그래밍하는 것에 따라서 다양한 형태로 휘도 변화를 제어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제어부는 휘도가 고저로 변하는데 걸리는 상기 시간이 가변적이 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는 차량용 공조 시스템에 적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원이 인가되면, 휘도가 고저로 변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점차적으로 감소하는 웰컴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차량 탑승자가 공조 시스템의 오프 버튼을 누르면, 휘도가 고저로 변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굿바이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는 전체 휘도 변화가 수행되는 시간은 바람직하게는 3초 이내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상기 웰컴 기능 또는 굿바이 기능 수행을 하면서 동시에 후술할 디스플레이 장치의 표시부(150)에 연속적으로 변화될 수 있는 칼라, 문자, 기호 또는 도형 등이 함께 표시될 수 있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도 2a와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웰컴 기능의 실시 예들이다.
제어부는 차량용 공조 시스템에 적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원이 인가되면, 도 2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휘도가 저휘도에서 시작되어 고휘도로 변경되고, 다시 고휘도가 저휘도로 변경되도록 제어한다. 이와는 반대로 도 2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휘도가 고휘도에서 시작되어 저휘도로 변경되고, 다시 저휘도가 고휘도로 변경되도록 제어하고, 휘도의 고저 변화가 2회 이루어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2a와 도 2b에 도시된 T1, T2, T3, T4 각각은 휘도가 고저로 1회 또는 2 회 변화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의미한다. 제어부는 웰컴 기능에서 상기 휘도 변화 제어와 동시에 T1, T2, T3, T4에서 시간의 길이가 T1에서 T4로 갈수록 점점 감소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T1, T2, T3, T4값을 전부 합친 전체 시간은 바람직하게는 3초 이내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도 3a와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굿바이 기능의 실시 예들이다.
제어부는 차량용 공조 시스템의 오프 버튼(170)이 차량의 탑승자에 의해 눌려지면, 도 3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휘도가 저휘도에서 시작되어 고휘도로 변경되고, 다시 고휘도가 저휘도로 변경되도록 제어한다. 이와는 반대로 도 3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휘도가 고휘도에서 시작되어 저휘도로 변경되고, 다시 저휘도가 고휘도로 변경되도록 제어하고, 휘도의 고저 변화가 2회 이루어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3a와 도 3b에 도시된 T1, T2, T3, T4 각각은 휘도가 고저로 1회 또는 2 회 변화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의미한다. 제어부는 굿바이 기능에서 상기 휘도 변화 제어와 동시에 T1, T2, T3, T4에서 시간의 길이가 T1에서 T4로 갈수록 점점 증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T1, T2, T3, T4값을 전부 합친 전체 시간은 바람직하게는 3초 이내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특히, 공조 시스템에 적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해 차량 운전자의 경우 운전 시작 전과 끝낸 후에 보거나 사용하는 빈도가 높고 주행 중에는 인지 정확도는 매우 떨어질 수 있다. 다만, 보조 운전자의 경우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주행 중에 주로 보게 된다. 이에 따라 하기 설명될 표시부(150)는 상기 휘도 변화 및 시간의 변화를 주행 중에도 차량 탑승자가 볼 수 있도록 표시하게 되는데, 전체 굿바이 기능 수행 시간이 지나치게 길어지면 주행 중 운전자가 시선을 크게 분산시키지 않더라도 공조 시스템의 동작이 끝났다는 메시지를 전달하는 본 발명에 따른 효과보다는 안전상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는 상기 기능 수행 시간 특히, 전체 굿바이 기능 수행 시간을 제어함에 있어서, 상기 본 발명에 따른 효과가 최대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표시부(150)는 가변적인 상기 시간 동안의 상기 휘도 변화 각각을 표시한다. 상기 제어부가 동시에 제어한 휘도와 시간 변화는 표시부(150)가 실시간으로 또는 거의 시간 차이 없이 표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는 최초에 프로그래밍하는 것에 따라서 다양한 형태로 휘도 변화를 제어할 수 있는바, 표시부(150)는 이들을 표시한다. 또한, 표시부(150)는 상기 웰컴 기능 또는 굿바이 기능 수행하는 것을 표시하면서 동시에 제어부에서 제어된 연속적으로 변화될 수 있는 칼라, 문자, 기호 또는 도형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차량용 공조 시스템에 적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이러한 다양한 형태의 웰컴 기능 또는 굿바이 기능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복수의 스위치(130) 중 모드(Mode) 스위치는 이러한 다양한 형태로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웰컴 기능 또는 굿바이 기능 중 각각 한 가지씩을 선택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로 저장부는 도 2a와 도 2b의 웰컴 기능을 저장하고 있게 되고, 차량 사용자가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자 하는 경우 복수의 스위치(130) 중 모드(Mode) 스위치는 사용된다. 그 선택된 시점 이후에 차량용 공조 시스템에 적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원이 인가되면, 제어부는 새롭게 설정된 웰컴 기능이 수행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저장부는 도 3a와 도 3b의 굿바이 기능을 저장하고 있게 되고, 차량 사용자가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자 하는 경우 복수의 스위치(130) 중 모드(Mode) 스위치는 사용된다. 그 선택된 시점 이후에 운전자가 공조 시스템의 오프 버튼(170)을 누르면, 제어부는 새롭게 설정된 굿바이 기능이 수행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는 상기 기능이 수행된 후에 차량용 공조 시스템에 적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표시부(150)가 온도에 따라 미리 기억된 칼라를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가 상기 웰컴 기능이 수행된 후에 차량 내부 온도에 따라 표시부(150)에 미리 기억된 칼라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경우에는, 여기서 차량 내부 온도는 토출 온도 또는 공조 시스템이 꺼지기 전의 설정 온도가 될 수 있다.
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웰컴 기능을 적용시킨 디스플레이 장치의 표시부를 하나의 실시 예로서 나타낸 것이다. 제어부는 웰컴 기능이 바람직하게는 3초 이내로 수행되도록 제어한 후에, 토출 온도(42℃) 또는 공조 장치가 꺼지기 전의 설정 온도(24℃)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표시부(150)에 미리 기억된 칼라인 노란색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진한 색일수록 바람의 세기가 강하게 설정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하고 옅은 색일수록 바람의 세기가 약하게 설정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단순 제어가 아닌 시간과 휘도가 동시에 변하는 복합 제어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원이 공급될 때 차량 탑승자들은 역동적인 느낌을 받을 수 있다.
한편, 제어부가 상기 굿바이 기능이 수행된 후에 차량 외부 온도에 따라 표시부(150)에 미리 기억된 칼라가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굿바이 기능을 적용시킨 디스플레이 장치의 표시부를 하나의 실시 예로서 나타낸 것이다. 제어부는 굿바이 기능이 바람직하게는 3초 이내로 수행되도록 제어한 후에, 공조 시스템의 오프 버튼(170)을 누른 당시의 차량 외부 온도인 25℃에 따라 미리 기억된 칼라인 노란색이 표시부(150)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날씨가 더워짐에 따라 차량 외부 온도가 35℃까지 오르면, 제어부는 이에 해당되는 칼라로 점차적으로 변하는 것이 표시부(150)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순 제어가 아닌 시간과 휘도값이 동시에 변하는 복합 제어를 통해, 공조 시스템의 오프 버튼(170)을 누를 때 차량 탑승자들은 정적인 느낌을 받을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웰컴 기능 및 굿바이 기능이 연속적으로 수행되는 것을 하나의 실시 예로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차량 탑승자의 조작에 따라 공조 시스템에 적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표시부(150)에 표시되는 동작을 예시한 것이다. 먼저 상태는 차량 운전자가 시동을 걸어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원이 인가되면 휘도가 고저로 변화하면서, 변화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점차적으로 감소하는 웰컴 기능 동작 상태이다. 이어 상태는 상기 웰컴 기능 동작 이후에 토출 온도인 42℃ 또는 공조 시스템이 꺼지기 전의 설정 온도인 24℃에 해당되는 노란색이 표시되는 상태이다. 이어 상태는 차량 운전자가 주행 중에 공조 시스템의 오프 버튼(170)을 눌러서 휘도가 고저로 변화하면서, 변화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굿바이 기능 동작 상태이다. 마지막 상태는 상기 굿바이 기능 동작 이후에 표시 상태로서, 오프 버튼(170)을 누를 당시의 외부 온도인 25℃에 해당되는 노란색으로 표시되었다가, 날씨가 더워짐에 따라 외부 온도 35℃ 정도까지 점점 상승하고, 이에 해당되는 칼라로 변해가는 동작을 표시하는 상태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웰컴 기능 및 굿바이 기능이 연속적으로 수행되는 것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최초에 차량 운전자가 시동을 걸면(Key ON)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원이 인가되면서 웰컴 기능이 시작된다(510).
웰컴 기능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에서 휘도가 고저로 변화하면서, 변화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점차적으로 감소하는 형태로 진행된다(520).
웰컴 기능이 수행된 후에 토출 온도 또는 상기 공조 시스템이 꺼지기 전의 설정 온도에 따라 칼라 제어가 제어부에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제어부는 공조 시스템의 동작 여부를 감시하면서 공조 시스템이 켜진 상태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차량 탑승자가 설정 온도 조절을 하거나 공조 시스템에 의해 토출 온도가 변화되면, 그 온도에 따라 미리 기억된 칼라로 상기 표시부의 칼라를 변경하는 동작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진다(530).
이때, 공조 시스템이 꺼지게 되면 즉, 차량 탑승자가 공조 시스템의 오프 버튼(170)을 누르면(540), 굿바이 기능이 수행된다(550).
굿바이 기능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에서 휘도가 고저로 변화하면서, 변화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형태로 진행된다.
굿바이 기능이 수행된 후에 차량 외부 기온에 따라 칼라 제어가 제어부에서 이루어진다(560).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웰컴 기능 또는 굿바이 기능을 적용시킨 차량용 공조 장치 및 차량용 공조 장치의 제어 방법에 의해 차량 탑승자들에게 감성적으로 다가가면서 만족감을 높이고, 상품 이미지 재고에도 효과가 생긴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는바,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13)

  1. 차량용 공조 시스템에 적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휘도의 변화를 나타낼 수 있는 표시부;
    상기 표시부의 휘도가 일정한 상한과 하한값을 가지며 저-고-저 또는 고-저-고로 연속적으로 변화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부의 휘도가 변화하는 시간을 점차적으로 감소시키면서 반복적으로 표시하여 웰컴(Welcome)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공조 시스템의 오프 버튼이 눌러지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부의 휘도가 변화하는 시간을 점차적으로 증가시키면서 반복적으로 표시하여 굿바이(Good Bye)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 시스템에 적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부의 휘도가 저-고-저 또는 고-저-고로 1회 이상 변화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하나의 주기로 하여, 휘도 변화 주기를 점진적으로 증가 또는 감소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 시스템에 적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웰컴 기능을 수행한 후에 상기 제어부에서 차량 내부 온도에 따라 미리 기억된 칼라로 상기 표시부의 칼라가 변경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 시스템에 적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차량 내부 온도는 토출 온도 또는 상기 공조 시스템이 꺼지기 전의 설정 온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 시스템에 적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굿바이 기능을 수행한 후에 상기 제어부에서 차량 외부 온도에 따라 미리 기억된 칼라로 상기 표시부의 칼라가 변경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 시스템에 적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청구항 3, 청구항 4, 청구항 6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을 수행하는 시간은 3초 이내가 되도록 상기 제어부를 통해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 시스템에 적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차량용 공조 시스템에 적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표시부에 전원이 인가되어 표시부가 온(On)되는 단계;
    상기 표시부의 휘도를 제어부가 일정한 상한과 하한값을 가지며 저-고-저 또는 고-저-고로 연속적으로 변화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부의 휘도가 변화하는 시간을 점차적으로 감소시키면서 반복적으로 표시하여 웰컴(Welcome)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공조 시스템의 오프 버튼이 눌러지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부의 휘도가 점차적으로 증가시키면서 반복적으로 표시하여 굿바이(Good Bye)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 시스템에 적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
  9. 삭제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웰컴 기능을 수행한 후에 상기 제어부를 통해 토출 온도 또는 상기 공조 시스템이 꺼지기 전의 설정 온도에 따라 미리 기억된 칼라로 상기 표시부의 칼라가 변경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 시스템에 적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
  11. 삭제
  12.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굿바이 기능을 수행한 후에 상기 제어부를 통해 차량 외부 온도에 따라 미리 기억된 칼라로 상기 표시부의 칼라가 변경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 시스템에 적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
  13. 청구항 10 또는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기능을 수행하는 시간은 3초 이내가 되도록 상기 제어부를 통해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 시스템에 적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
KR1020110055445A 2011-06-09 2011-06-09 차량용 공조 시스템에 적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장치의 제어방법 KR1013612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5445A KR101361294B1 (ko) 2011-06-09 2011-06-09 차량용 공조 시스템에 적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장치의 제어방법
US13/236,021 US20120313958A1 (en) 2011-06-09 2011-09-19 Display device for an air conditioning system of a vehicl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DE102011054059A DE102011054059A1 (de) 2011-06-09 2011-09-29 Bildschirmvorrichtung für ein klimaanlagensystem eines fahrzeugs und verfahren zum steuern derselben
CN201110308363.8A CN102818331B (zh) 2011-06-09 2011-10-09 用于车辆的空调系统的显示设备及控制该设备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5445A KR101361294B1 (ko) 2011-06-09 2011-06-09 차량용 공조 시스템에 적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장치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6482A KR20120136482A (ko) 2012-12-20
KR101361294B1 true KR101361294B1 (ko) 2014-02-11

Family

ID=472202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5445A KR101361294B1 (ko) 2011-06-09 2011-06-09 차량용 공조 시스템에 적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장치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20313958A1 (ko)
KR (1) KR101361294B1 (ko)
CN (1) CN102818331B (ko)
DE (1) DE10201105405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28840B2 (ja) * 2009-12-23 2014-02-26 日本精機株式会社 計器の駆動装置
JP6064301B2 (ja) * 2013-01-31 2017-01-25 マツダ株式会社 車両用メータ装置
JP6490955B2 (ja) * 2014-12-09 2019-03-27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 アメリカ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空調機を遠隔操作する端末装置の制御方法
JP6522365B2 (ja) * 2015-02-25 2019-05-29 三菱重工サーマ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制御システム、それを備えた空気調和システム、制御方法並びに制御プログラム
JP6384451B2 (ja) * 2015-10-26 2018-09-0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表示装置
CN106080102B (zh) * 2016-06-27 2018-07-17 北京新能源汽车股份有限公司 电动汽车的空气调节系统的控制方法
CN109992612B (zh) * 2019-04-19 2022-03-04 吉林大学 一种汽车仪表板造型形态元素特征库的开发方法
US11654748B2 (en) 2021-05-05 2023-05-23 Honda Motor Co., Ltd.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indicator for temperature and fan adjustments and methods thereof
CN113183871A (zh) * 2021-05-12 2021-07-30 中国第一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迎宾灯的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4234379B (zh) * 2021-12-24 2023-02-24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空调的显示亮度调节控制方法及空调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35498A (ja) 2003-01-31 2004-08-19 Anden 発光ダイオードの制御装置
KR20070059710A (ko) * 2005-12-07 2007-06-12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온도 표시 장치 및 방법
JP2007248387A (ja) 2006-03-17 2007-09-27 Yazaki Corp 照明演出機能を備えた車両用計器
JP2010534162A (ja) 2007-07-23 2010-11-04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発光ユニット構成及び制御システム並びに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263029Y (zh) * 1996-06-14 1997-09-24 重庆风华电子技术发展有限责任公司 一种汽车行驶状态显示装置
EP1121274A1 (de) * 1998-10-15 2001-08-08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betrieb einer multifunktionalen anzeige- und bedieneinrichtung in einem kraftfahrzeug sowie multifunktionale anzeige- und bedieneinrichtung
JP4013562B2 (ja) * 2002-01-25 2007-11-28 豊田合成株式会社 照明装置
US7119500B2 (en) * 2003-12-05 2006-10-10 Dialight Corporation Dynamic color mixing LED device
CN101301857A (zh) * 2004-04-21 2008-11-12 夏普株式会社 显示装置、仪表板、自动车辆及控制仪表板的方法
JP4419872B2 (ja) * 2005-03-08 2010-02-2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表示装置、および表示モジュール
JP4466580B2 (ja) * 2005-10-13 2010-05-26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表示装置
KR200415590Y1 (ko) 2006-02-21 2006-05-03 씨멘스브이디오한라 주식회사 차량의 디스플레이 색 제어 장치
US8339068B2 (en) * 2008-12-12 2012-12-25 Microchip Technology Incorporated LED brightness control by variable frequency modulation
US8339058B2 (en) * 2008-12-12 2012-12-25 Microchip Technology Incorporated Three-color RGB LED color mixing and control by variable frequency modulatio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35498A (ja) 2003-01-31 2004-08-19 Anden 発光ダイオードの制御装置
KR20070059710A (ko) * 2005-12-07 2007-06-12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온도 표시 장치 및 방법
JP2007248387A (ja) 2006-03-17 2007-09-27 Yazaki Corp 照明演出機能を備えた車両用計器
JP2010534162A (ja) 2007-07-23 2010-11-04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発光ユニット構成及び制御システム並びに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1054059A1 (de) 2012-12-13
CN102818331A (zh) 2012-12-12
CN102818331B (zh) 2017-03-29
US20120313958A1 (en) 2012-12-13
KR20120136482A (ko) 2012-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1294B1 (ko) 차량용 공조 시스템에 적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장치의 제어방법
WO2014033042A1 (de) Bereitstellen einer eingabe für ein bedienelement
US11585553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a user interface and an air-conditioning unit
KR102422320B1 (ko) 차량 내부 액션 조명 시스템
JP5000421B2 (ja) 輝度調整機能付車載装置
US10443725B2 (en) Shift-by-wire module illumination strategy for vehicle
KR101548150B1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콘트롤러
JP6154408B2 (ja) 車室内照明装置
KR101251265B1 (ko) 차량용 공조 시스템에 적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장치의 제어방법
KR101744779B1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콘트롤러
CN217778725U (zh) 车辆的方向盘以及车辆
US10259388B2 (en) Vehicle and method for illuminating a passenger compartment of a vehicle with distributed ambient lights
US20170368915A1 (en)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an hvac system of a vehicle
JP6526426B2 (ja) 車室内照明装置
DE102004032105B4 (de) Verfahren zur Lichtregulierung in künstlich beleuchteten Räumen
CN113586703B (zh) 车辆及其控制方法、装置和设备
DE102008012239A1 (de) Kontrolleinrichtung
CN114242002B (zh) 一种汽车中央面板背光亮度调节系统及方法
KR102018274B1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콘트롤러
CN116461422A (zh) 智能灯光控制方法、智能灯光控制系统及汽车
CN106740574B (zh) 一种遥控器、汽车及采用遥控器控制汽车的方法
CN118107507A (zh) 车辆座舱采光控制方法、装置及系统
KR20150084114A (ko) 차량용 공조장치
CN115334720A (zh) 一种汽车双色呼吸式氛围灯的控制系统及控制方法
CN112874618A (zh) 转向盘显示系统的控制方法、装置及转向盘显示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