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1293B1 - Frame assembly - Google Patents

Frame assembl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1293B1
KR101361293B1 KR1020130101562A KR20130101562A KR101361293B1 KR 101361293 B1 KR101361293 B1 KR 101361293B1 KR 1020130101562 A KR1020130101562 A KR 1020130101562A KR 20130101562 A KR20130101562 A KR 20130101562A KR 101361293 B1 KR101361293 B1 KR 1013612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riable
frame
fixed
guid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156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심준형
Original Assignee
(주)건축사사무소 성우건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건축사사무소 성우건축 filed Critical (주)건축사사무소 성우건축
Priority to KR10201301015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129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12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129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6/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having one or more surfaces adapted to be brought into position for use by extending or pivot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9/00Revolving cabinets or racks; Cabinets or racks with revolving parts

Landscapes

  • Furniture Connections (AREA)

Abstract

A frame assembl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xing frame which has a lower fixing plate placed separately from an upper fixing plate to form a space between the upper and the lower fixing plate; an adjustable frame of which the position is adjustable by external force to change the part exposed from the front side of the space; and a link unit which connects the fixing frame and the adjustable frame to prevent the adjustable frame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fixing frame when the position of the adjustable frame is changed by the external force. One among the adjustable frame and the fixing frame has a rotatable guide unit and the other has a guide coupling unit into which the guide unit is inserted and rotated. When the external force is applied, the guide unit moves following the guide coupling unit and at the same time, the adjustable axis of the link unit which is coupled to the adjustable frame in a rotatable manner moves forward or backward in order along the front side to change the part exposed from the front side.

Description

프레임 어셈블리{Frame assembly}Frame assembly {Frame assembly}

본 발명은 프레임 어셈블리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 상태에 따라 구조의 변화를 용이하도록 하는 프레임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rame assembly, and more particularly to a frame assembly to facilitate the change of the structure according to the state of use.

책장, 장식장, 서랍장과 같은 수납장, 책상 또는 침대 등의 가구는 각각 별개로 제조되어 소정의 공간에 배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It is common for furniture such as a bookcase, a cabinet, a drawer such as a drawer, a desk, or a bed to be separately manufactured and arranged in a predetermined space.

또한, 상기와 같은 가구들은 공간의 실용성과 최적화를 고려하여 대부분 실내의 일측면에 밀착 배치되는 상태로 설치되어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인 설치방법이다.In addition, such furniture is generally installed and used in a state in which the furniture is placed in close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room in consideration of the practicality and optimization of the space.

여기서, 현재의 실내 공간은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가구들을 모두 수용하기에는 부족한 측면이 있으며, 상기 가구들을 모두 수용하더라도 남는 공간이 너무 부족하여 사용자에게 답답함을 제공한다는 문제가 있다.Her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urrent indoor space is insufficient to accommodate all the furniture required by the user, and even if accommodating all the furnitur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user does not have enough space to provide frustration to the user.

이러한 이유에서, 공간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키기 위해 가구 중 일부를 통합하여 하나의 가구로 제조하기도 하였으며, 일예로, 책상을 책장의 일부로 제조하여 부피를 줄일 수 있는 가구가 이미 공지되어 있다.For this reason, in order to maximize the efficiency of the space, some of the furniture is integrated into one piece of furniture, and for example, a furniture that can reduce the volume by manufacturing a desk as part of a bookcase is already known.

즉, 책상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책상을 접어 책장에 밀착시킴으로써 공간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책상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책상을 책장의 일부에 고정하여 필요에 따라 사용토록 하여 공간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게 된다.In other words, when the desk is not used, the desk is folded and closely adhered to the bookcase, and when the desk is used, the desk is fixed to a part of the bookcase so that it can be used as needed to improve the space efficiency. .

그러나, 이 경우에도 결국은 고정형 책장이므로, 실내의 일측면에 배치할 수 밖에 없다는 문제가 있으며, 침대와 같은 부피가 큰 가구의 경우에는 적용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However, even in this case, since there is a fixed bookcase, there is a problem that it can only be arranged on one side of the room, and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apply to a bulky furniture such as a bed.

따라서, 다양한 가구를 통합하여 하나의 가구로 구현하는데 있어서, 설치 장소에도 제약을 받지 않도록 하는 동시에 부피가 상대적으로 큰 가구도 통합 가능하도록 하여 실내의 공간의 효율성을 극대화 할 수 있는 프레임 구조에 대한 연구가 시급한 실정이다.
Therefore, in the case of integrating various furniture into a single furniture, the frame structure can be maximized the efficiency of the indoor space by making it possible to integrate the furniture with a relatively large volume while not restricting the installation location. Is urgent.

본 발명의 목적은 좁은 공간 내에 여러 가구들을 배치함으로써 공간 활용도가 낮아지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부피가 상대적으로 큰 가구도 다른 가구와 통합하여 하나의 가구로 구현가능하도록 하는 프레임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rame assembly in which a plurality of furnitures are arranged in a narrow space to prevent space utilization from being lowered, and at the same time, a relatively bulky furniture can be integrated with other furniture to be implemented as a single furnitur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어셈블리는 고정상판 및 상기 고정상판 사이에 이격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고정상판과 이격되어 배치되는 고정하판을 구비하는 고정프레임; 상기 이격공간에 배치되며, 외력에 의해 상기 이격공간의 전방측에 노출되는 부분이 변하도록 위치가 가변적인 가변프레임; 및 상기 외력에 의해 상기 가변프레임의 위치가 변하는 경우 상기 가변프레임이 상기 고정프레임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고정프레임과 상기 가변프레임을 연결하는 링크부;를 포함하며,Fram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ixed frame having a fixed lower plate and spaced apart from the fixed upper plate to form a space between the fixed upper plate and the fixed upper plate; A variable frame disposed in the separation space and variable in position such that a portion exposed to the front side of the separation space is changed by an external force; And a link unit connecting the fixed frame and the variable frame to prevent the variable frame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fixed frame when the position of the variable frame is changed by the external force.

상기 가변프레임 및 상기 고정프레임 중 어느 하나는 회전 가능한 가이드부가 형성되며, 나머지 하나는 상기 가이드부가 삽입되어 회전되도록 하는 가이드대응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변프레임은 상기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가이드부가 상기 가이드대응부를 따라 이동되는 동시에 상기 가변프레임에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상기 링크부의 가변축이 상기 전방측을 따라 순차적으로 전진 및 후진하여 상기 전방측에 노출되는 부분이 변하게 될 수 있다.One of the variable frame and the fixed frame is formed with a rotatable guide portion, the other is formed with a guide corresponding portion for rotating the guide portion is inserted, the variable frame is the guide portion when the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guide A variable shaft of the link part, which is moved along the corresponding part and is rotatably fastened to the variable frame, may be sequentially moved forward and backward along the front side, thereby changing a portion exposed to the front sid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어셈블리의 상기 링크부는 상기 고정상판 및 상기 고정상판과 대향하는 상기 가변프레임의 가변상판을 연결하는 상측링크부와 상기 고정하판 및 상기 고정하판과 대향하는 상기 가변프레임의 가변하판을 연결하는 하측링크부를 포함하며, The link portion of the fram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link portion for connecting the fixed upper plate and the variable upper plate of the variable frame facing the fixed upper plate and the fixed lower plate and the variable lower plate facing the fixed lower plate It includes a lower link portion for connecting the variable lower plate of,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가변상판 및 상기 가변하판에 각각 형성되는 상측가이드부 및 하측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대응부는 상기 고정상판 및 상기 고정하판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상측가이드부 및 상기 하측가이드부가 각각 삽입되어 회전되도록 하는 상측가이드대응부 및 하측가이드대응부를 포함하며,The guide portion includes an upper guide portion and a lower guide portion respectively formed on the variable upper plate and the variable lower plate, and the guide corresponding portion is formed on the fixed upper plate and the fixed lower plate, respectively, so that the upper guide portion and the lower guide portion are respectively inserted. It includes an upper guide counterpart and a lower guide counterpart to rotate,

상기 가변프레임은 상기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상측가이드부 및 하측가이드부가 각각 상기 상측가이드대응부 및 하측가이드대응부를 따라 이동되는 동시에 상기 가변상판 및 상기 가변하판에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상기 상측링크부의 상측가변축 및 상기 하측링크부의 하측가변축이 상기 전방측을 따라 순차적으로 전진 및 후진하여 상기 전방측에 노출되는 부분이 변하게 될 수 있다.When the external frame is applied to the variable frame, the upper guide part and the lower guide part move along the upper guide counterpart and the lower guide counterpart, respectively, and the upper link part is rotatably fastened to the variable upper plate and the variable lower plate. The upper variable shaft and the lower variable shaft of the lower link portion may be moved forward and backward sequentially along the front side to change a portion exposed to the front sid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어셈블리의 상기 상측가변축 및 상기 하측가변축은 각각 상기 가변상판 및 상기 가변하판의 중앙에 형성되며, 상기 상측링크부 및 상기 하측링크부의 배치 구조는 외력에 의해 상기 가변프레임의 위치가 변하는 경우 종속적으로 변하게 될 수 있다.The upper side variable axis and the lower side variable axis of the fram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variable upper plate and the variable lower plate, respectively, the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upper link portion and the lower link portion by the external force When the position of the variable frame changes, it can be changed dependentl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어셈블리의 상기 상측가이드대응부 및 상기 하측가이드대응부는 각각 상기 고정상판 및 상기 고정하판에 라운드지게 연속적으로 함입되어 형성되고, 상기 상측가이드대응부 및 상기 하측가이드대응부의 양측 단부의 곡률반경은 상기 상측가변축 및 상기 하측가변축이 상기 전방측을 따라 전진하는 과정에서 상기 가변프레임이 후방측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최대로 형성될 수 있다.The upper guide counterpart and the lower guide counterpart of the frame assembl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formed by continuously successively rounded into the fixed upper plate and the fixed lower plate, respectively, the upper guide counterpart and the lower guide counterpart The radius of curvature of both ends of the negative portion may be formed to be maximum to prevent the variable frame from being pushed to the rear side in the process of advancing the upper and lower variable shafts along the front sid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어셈블리의 상기 상측가이드대응부 및 상기 하측가이드대응부의 양측 단부는 곡률반경이 무한대로 형성되고 중앙부를 향할수록 곡률반경이 감소할 수 있다.Both ends of the upper guide counterpart and the lower guide counterpart of the fram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n infinite curvature radius and may decrease toward a central por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어셈블리의 상기 링크부의 가변축에는 회전 가능한 회전부가 장착되며, 상기 고정프레임에는 외력에 의해 상기 가변축이 상기 전방측을 따라 순차적으로 전진 및 후진하는 경우 상기 회전부가 삽입되어 상기 가변축의 전진 및 후진을 가이드하도록 하는 슬롯부를 구비할 수 있다.The variable axis of the link unit of the fram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quipped with a rotatable rotating part, and the fixed part is rotated by the external force when the variable shaft is sequentially moved forward and backward along the front side. It may be provided with a slot portion inserted to guide the forward and backward of the variable shaf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어셈블리의 상기 고정하판과 대향하는 상기 가변프레임의 가변하판의 일측단에는 회전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접촉볼이 장착되며, 상기 고정프레임으로부터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가변프레임의 위치 변화 시 상기 가변프레임을 지지하며, 외력에 의한 상기 가변프레임의 위치 변화에 따라 위치가 변하는 접촉볼과의 접촉에 의해 상기 고정프레임으로부터의 이동 여부가 결정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t least one rotatable contact ball is mounted at one end of the variable lower plate of the variable frame opposite to the fixed lower plate of the fram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mounted to be movable from the fixed frame. Supporting the variable frame when the position of the change, the support unit is determined whether the movement from the fixed frame by the contact with the contact ball is changed in position according to the position change of the variable frame by an external force; .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 어셈블리에 의하면, 하나의 프레임 어셈블리에 의해 여러 가구를 통합하여 구현할 수 있으며, 침대와 같이 부피가 큰 가구들도 공간 활용도를 극대화한 채 다른 가구와 일체화되어 설치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fram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ntegrate and implement several furniture by one frame assembly, bulky furniture such as a bed can be installed integrally with other furniture while maximizing space utilization.

또한, 가구의 목적을 구현하는 가변프레임과 상기 가변프레임을 지지하는 고정프레임 사이의 간격을 최소화하여 프레임 자체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size of the frame itself by minimizing the gap between the variable frame for realizing the purpose of the furniture and the fixed frame for supporting the variable frame.

또한, 가구의 목적을 구현하는 가변프레임의 위치 변경 시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a safety accident that may occur when the position of the variable frame to implement the purpose of the furniture in advan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어셈블리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어셈블리를 도시한 개략 분해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어셈블리의 작동 순서를 도시한 저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어셈블리에 제공되는 가변프레임의 위치 변화를 도시한 개략도.
도 6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어셈블리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어셈블리의 작동 순서를 도시한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어셈블리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fram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fram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and 4 are bottom views showing the operation sequence of the fram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position change of the variable frame provided in the fram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frame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lan view showing an operation sequence of the frame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frame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ve concept. Other embodiment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ve concept may readily be suggested, but are also considered to b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designate the same components i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of the embodiment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어셈블리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어셈블리를 도시한 개략 분해사시도이다.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fram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fram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어셈블리(100)는 실내의 공간 내에 고정되는 고정프레임(110), 상기 고정프레임(110)을 기준으로 위치가 가변적인 가변프레임(120) 및 상기 고정프레임(110)과 상기 가변프레임(120)을 서로 연결하는 링크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1 and 2, the frame assembly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fixed frame 110 is fixed in the space of the room, a variable frame whose position is variable relative to the fixed frame 110 And a link unit 130 connecting the fixed frame 110 and the variable frame 120 to each other.

여기서, 상기 고정프레임(110)은 실내의 일측면 또는 공간 내에 배치되는 일종의 고정구조물일 수 있으며, 상기 가변프레임(120)은 가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각종 책장, 장식장, 서랍장과 같은 수납장, 책상 또는 침대 등일 수 있다.Here, the fixed frame 110 may be a kind of fixed structure that is disposed in one side or space of the room, the variable frame 120 is a variety of bookcases, cabinets, cabinets, such as drawers, desks for achieving the purpose of furniture Or a bed or the like.

다만, 이하에서는 상기 가변프레임(120)의 일측방은 수납장(A)으로, 타측방은 책상(B)으로 가정하여 설명하되, 침대 등의 부피가 큰 가구들로 치환가능함을 밝혀둔다.
However, hereinafter, one side of the variable frame 120 will be described as a storage cabinet (A), the other side is assumed to be a desk (B), it turns out that it can be replaced by bulky furniture, such as a bed.

고정프레임(110)은 고정상판(112) 및 상기 고정상판(112) 사이에 이격공간(S)을 형성하도록 상기 고정상판(112)과 이격되어 배치되는 고정하판(114)을 구비할 수 있다.The fixed frame 110 may include a fixed lower plate 114 spaced apart from the fixed upper plate 112 so as to form a space S between the fixed upper plate 112 and the fixed upper plate 112.

여기서, 상기 고정프레임(110)은 고정상판(112) 및 고정하판(114) 이외에 좌측판(116) 및/또는 우측판(118) 및/또는 후방판(119)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이는 상기 고정프레임(110)이 설치되는 장소에 따라 포함여부가 달라질 수 있다.Here, the fixing frame 110 may include a left side plate 116 and / or a right side plate 118 and / or a rear plate 119 in addition to the fixed upper plate 112 and the fixed lower plate 114, which is the above Inclusion may vary depending on where the fixed frame 110 is installed.

예를 들어, 고정프레임(110)이 실내 공간의 일측면에 설치되는 경우 상기 고정상판(112) 및 상기 고정하판(114)이 상기 일측면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고정상판(112) 및 상기 고정하판(114) 만으로도 상기 고정프레임(110)을 구현할 수 있으며, 상기 고정프레임(110)을 실내 공간 내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좌측판(116) 또는/및 우측판(118) 또는/및 후방판(119)을 이용하여 상기 고정상판(112) 및 상기 고정하판(114)을 소정의 위치에 고정시킬 수도 있다.For example, when the fixing frame 110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indoor space, the fixing upper plate 112 and the fixing lower plate 114 are fixed to the one side, so that the fixing upper plate 112 and the fixing lower plate ( The fixing frame 110 may be implemented using only the 114, and when the fixing frame 110 is installed in an indoor space, the left plate 116 or / and the right plate 118 or / and the rear plate 119 are provided. By using the fixed upper plate 112 and the fixed lower plate 114 may be fix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결국, 상기 고정프레임(110)은 필수적으로 상기 고정상판(112) 및 상기 고정하판(114)을 포함할 수 있으며, 설치되는 상황에 따라 다른 구성요소가 더 포함될 수도 있는 것이다.As a result, the fixing frame 110 may essentially include the fixing top plate 112 and the fixing lower plate 114, and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situation.

다만,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좌측판(116), 우측판(118) 및 후방판(119)도 도시하였음을 밝혀둔다.
However, in the drawings for the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left plate 116, the right plate 118 and the rear plate 119 is also shown.

가변프레임(120)은 가구의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프레임으로, 일측방(X) 및 타측방(Y)은 각각 수납장(A) 및 책상(B)일 수 있다.Variable frame 120 is a frame for realizing the purpose of the furniture, one side (X) and the other side (Y) may be a cabinet (A) and a desk (B), respectively.

상기 가변프레임(120)은 고정프레임(110)에 형성되는 이격공간(S)에 배치될 수 있으며, 외력에 의해 상기 이격공간(S)의 전방측(X)에 노출되는 부분이 변하도록 위치가 가변적일 수 있다.The variable frame 120 may be disposed in the spaced space (S) formed in the fixed frame 110, the position is changed so that the portion exposed to the front side (X) of the spaced space (S) by the external force changes It can be variable.

여기서, 방향에 대한 용어를 정의하면, 전방측(X)은 도 1(a)에서 볼 때, 이격공간(S)으로부터 수납장(A)이 노출되는 방향일 수 있으며, 후방측(Y)은 상기 전방측(X)의 반대 방향일 수 있다.Here, when defining terms for the direction, the front side (X) may be the direction in which the cabinet A is exposed from the separation space (S), as shown in Figure 1 (a), the rear side (Y) is It may be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front side X.

한편, 상기 가변프레임(120)은 외력에 의해 회전되어 전방측(X)에 노출되는 부분이 수납장(A)이었다가 책상(B)으로 변경될 수 있으며, 이는 링크부(130), 가이드부(140) 및 가이드대응부(15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variable frame 120 is rotated by an external force and the portion exposed to the front side (X) was the storage cabinet (A) can be changed to the desk (B), which is a link unit 130, guide portion ( 140 and the guide counterpart 150 may be implemented.

링크부(130)는 외력에 의해 상기 가변프레임(120)의 위치가 변하는 경우 상기 가변프레임(120)이 상기 고정프레임(11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고정프레임(110)과 상기 가변프레임(120)을 서로 연결할 수 있으며, 상기 가변프레임(120)의 이동 경로를 제한할 수 있다.The link unit 130 may be configured to prevent the variable frame 12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fixed frame 110 when the position of the variable frame 120 is changed by an external force. 120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movement path of the variable frame 120 may be limited.

또한, 상기 가변프레임(120) 및 상기 고정프레임(110) 중 어느 하나는 회전 가능한 가이드부(140)가 형성될 수 있으며, 나머지 하나는 상기 가이드부(140)가 삽입되어 회전되도록 하는 가이드대응부(150)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ny one of the variable frame 120 and the fixed frame 110 may be formed with a rotatable guide portion 140, the other guide guide portion for allowing the guide portion 140 is inserted and rotated 150 may be formed.

결국, 상기 가변프레임(120)은 상기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가이드부(140)가 상기 가이드대응부(150)를 따라 이동되는 동시에 상기 가변프레임(120)에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상기 링크부(130)의 가변축(R1, R2)이 상기 전방측(X)을 따라 순차적으로 전진 및 후진하여 상기 전방측(X)에 노출되는 부분이 변하게 될 수 있는 것이다.As a result, when the external force is applied, the variable frame 120 moves the guide part 140 along the guide counterpart 150 and is rotatably coupled to the variable frame 120 at the same time. The portions exposed to the front side X may be changed by the variable shafts R1 and R2 of the 130 being sequentially moved forward and backward along the front side X.

구체적으로, 상기 링크부(130)는 상기 고정상판(112) 및 상기 고정상판(112)과 대향하는 상기 가변프레임(120)의 가변상판(122)을 연결하는 상측링크부(134)와 상기 고정하판(114) 및 상기 고정하판(114)과 대향하는 상기 가변프레임(120)의 가변하판(124)을 연결하는 하측링크부(136)를 포함할 수 있다.In detail, the link unit 130 is fixed to the upper link unit 134 and the fixed upper plate 112 and the variable upper plate 122 connecting the variable upper plate 122 of the variable frame 120 facing the fixed upper plate 112. It may include a lower link portion 136 connecting the lower plate 114 and the variable lower plate 124 of the variable frame 120 facing the fixed lower plate 114.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140)는 상기 가변상판(122) 및 상기 가변하판(124)에 각각 형성되는 상측가이드부(142) 및 하측가이드부(144)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대응부(150)는 상기 고정상판(112) 및 상기 고정하판(114)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상측가이드부(142) 및 상기 하측가이드부(144)가 각각 삽입되어 회전되도록 하는 상측가이드대응부(152) 및 하측가이드대응부(154)를 포함할 수 있다.The guide part 140 may include an upper guide part 142 and a lower guide part 144 formed on the variable upper plate 122 and the variable lower plate 124, respectively, and the guide corresponding part ( 150 is formed on the fixed upper plate 112 and the fixed lower plate 114, respectively, the upper guide counterpart 152 for allowing the upper guide part 142 and the lower guide part 144 to be inserted and rotated, respectively. It may include a lower guide counterpart (154).

결국, 상기 가변프레임(120)은 상기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상측가이드부(142) 및 하측가이드부(144)가 각각 상기 상측가이드대응부(152) 및 하측가이드대응부(154)를 따라 이동되는 동시에 상기 가변상판(122) 및 상기 가변하판(124)에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상기 상측링크부(134)의 상측가변축(R1) 및 상기 하측링크부(136)의 하측가변축(R2)이 상기 전방측(X)을 따라 순차적으로 전진 및 후진하여 상기 전방측(X)에 노출되는 부분이 변하게 될 수 있다.As a result, when the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variable frame 120, the upper guide part 142 and the lower guide part 144 move along the upper guide counterpart 152 and the lower guide counterpart 154, respectively. At the same time, the upper variable shaft (R1) of the upper link portion 134 and the lower variable shaft (R2) of the lower link portion 136 is fastened rotatably to the variable upper plate 122 and the variable lower plate 124. The portion exposed to the front side X may be changed by sequentially moving forward and backward along the front side X.

이로 인하여, 전방측(X)에 노출되는 부분은 수납장(A)이었다가 책상(B)으로 변할 수 있는 것이다.For this reason, the part exposed to the front side X is a storage cabinet A, and can be changed into the desk B. FIG.

한편, 링크부(130)의 가변축(R1, R2) 중 적어도 하나에는 회전 가능한 회전부(160)가 장착될 수 있으며, 고정프레임(110)에는 외력에 의해 상기 가변축(R1, R2)이 상기 전방측(X)을 따라 순차적으로 전진 및 후진하는 경우 상기 회전부(160)가 삽입되어 상기 가변축(R1, R2) 중 적어도 하나의 전진 및 후진을 가이드하도록 하는 슬롯부(170)를 구비할 수 있다.Meanwhile, at least one of the variable shafts R1 and R2 of the link unit 130 may be equipped with a rotatable rotating unit 160, and the variable frames R1 and R2 may be fixed to the fixed frame 110 by external force. In the case of sequentially moving forward and backward along the front side X, the rotating unit 160 may be inserted to include a slot 170 for guiding forward and backward of at least one of the variable shafts R1 and R2. have.

여기서, 상기 슬롯부(170)는 회전부(160)가 삽입되어 가변축(R1, R2) 중 적어도 하나가 직선 운동만을 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가변프레임(120)의 위치 변화 시 상기 가변프레임(120)을 지지하여 상기 가변프레임(120)의 쓰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Here, the slot unit 170 may be inserted into the rotating unit 160 so that at least one of the variable shaft (R1, R2) only linear movement, when the position of the variable frame 120 changes the variable frame 120 ) To prevent the variable frame 120 from falling down.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어셈블리(100)는 상기 회전부(160), 상기 슬롯부(170) 및 링크부(130)에 의해 가구의 목적을 구현하는 가변프레임(120)의 위치 변경 시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Therefore, the frame assembly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hanges the position of the variable frame 120 to realize the purpose of the furniture by the rotating unit 160, the slot unit 170 and the link unit 130. Safety accidents can be prevented in advance.

외력에 의한 가변프레임(120)의 위치 변화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osition change of the variable frame 120 by the external force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S. 3 to 5.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어셈블리의 작동 순서를 도시한 저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어셈블리에 제공되는 가변프레임의 위치 변화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3 and 4 are bottom views showing the operation sequence of the fram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view showing a position change of the variable frame provided in the fram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chematic diagram.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어셈블리(100)는 초기상태에는 전방측(X)으로 수납장(A)이 노출되었다가 외력에 의해 가변프레임(120)이 위치가 변하게 되어 수납장(A)은 후방측(Y)에 위치하게 되고 책상(B)이 상기 전방측(X)에 노출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in the frame assembly 100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binet A is exposed to the front side X in an initial state, and then the position of the variable frame 120 is changed by external force. The cabinet A may be located at the rear side Y, and the desk B may be exposed at the front side X.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외력을 인가하여 가변프레임(120)을 잡아당기게 되면, 하측링크부(136)의 하측가변축(R2)은 고정하판(114)에 형성된 슬롯부(170)를 따라 전진될 수 있으며, 이는 하측가변축(R2)에 장착되는 회전부(160)가 상기 슬롯부(170)에 삽입되어 회전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Specifically, when the user pulls the variable frame 120 by applying an external force, the lower variable shaft R2 of the lower link unit 136 may be advanced along the slot 170 formed in the fixed lower plate 114. The rotation unit 160 mounted on the lower variable shaft R2 may be implemented by being inserted into the slot unit 170 and rotating.

여기서, 상기 가변프레임(120)의 회전 정도가 대략 30도 정도까지는 상기 가변프레임(120)은 후방측으로 거의 밀리지 않을 수 있으며, 이는 하측가이드대응부(154)의 양끝단의 곡률반경이 무한대로 형성됨으로써 가능할 수 있다.Here, until the degree of rotation of the variable frame 120 is approximately 30 degrees, the variable frame 120 may hardly be pushed to the rear side, which is formed to have infinite curvature radii at both ends of the lower guide counterpart 154. This may be possible.

다시 말하면, 하측가이드대응부(154)는 상기 고정하판(114)에 라운드지게 연속적으로 함입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하측가이드대응부(154)의 양측 단부의 곡률반경은 상기 하측가변축(R2)이 상기 전방측(X)을 따라 전진하는 과정에서 상기 가변프레임(120)이 후방측(Y)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최대인 무한대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In other words, the lower guide counterpart 154 may be formed to be continuously rounded to the fixed lower plate 114, the radius of curvature of both ends of the lower guide counterpart 154 is the lower variable axis (R2) In the process of advancing along the front side X, the variable frame 120 may be formed at infinity to the maximum to prevent the variable frame 120 from being pushed to the rear side Y.

또한, 상기 하측가이드대응부(154)는 중앙부를 향할수록 곡률반경이 감소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상기 가변프레임(120)이 회전하는 동안 후방측으로 밀리는 정도가 상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lower guide counterpart 154 may decrease as it faces the center, and thus, the degree of sliding to the rear side of the variable frame 120 may be different.

한편, 상기 하측가변축(R2)은 상기 가변하판(124)의 중앙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하측링크부(136)의 배치 구조는 외력에 의해 상기 가변프레임(120)의 위치가 변하는 경우 종속적으로 변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lower variable axis (R2) may b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variable lower plate 124, the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lower link unit 136 is dependent when the position of the variable frame 120 is changed by an external force Can be changed to

다시 말하면, 초기상태의 상기 하측링크부(136)의 배치구조는 180도 회전된 이후의 배치구조가 반대로 될 수 있는 것이다.In other words, the arrangement of the lower link unit 136 in the initial state may be reversed after the rotation of 180 degrees.

여기서, 상기 하측링크부(136)는 상기 고정하판(114)에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제1 하측링크부(136a) 및 일단과 타단이 각각 상기 제1 하측링크부(136a)와 가변하판(124)에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제2 하측링크부(136b)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lower link portion 136 is a first lower link portion 136a and one end and the other end is fastened to the fixed lower plate 114 so as to be rotatable, respectively, the first lower link portion 136a and the variable lower plate 124. It may include a second lower link portion 136b is rotatably coupled to).

즉, 상기 제2 하측링크부(136b)의 타단은 하측가변축(R2)을 의미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하측링크부(136b)의 타단에 회전부(160)가 장착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the other end of the second lower link unit 136b may mean a lower variable shaft R2, and the rotating unit 160 may be mounted on the other end of the second lower link unit 136b.

한편, 상기 회전부(160) 및 상기 하측가이드부(144)는 일종의 회전 가능한 바퀴 또는 볼 형상일 수 있으며, 이외에 회전 가능한 다양한 구조물로 치환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rotating unit 160 and the lower guide portion 144 may be a kind of rotatable wheel or ball shape, in addition to the various rotatable structures may be substituted.

그리고, 상기에서는 가변프레임(120)의 위치 변화를 설명함에 있어서 하측링크부(136), 하측가이드부(144) 및 하측가이드대응부(154) 만을 설명하였으나, 상측링크부(134), 상측가이드부(142) 및 상측가이드대응부(152)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In the above description, only the lower link unit 136, the lower guide unit 144, and the lower guide correspondence unit 154 are described in describing the positional change of the variable frame 120. However, the upper link unit 134 and the upper guide are described. The same applies to the unit 142 and the upper guide counterpart 152.

또한, 슬롯부(170) 및 회전부(160)도 각각 고정상판(112) 및 가변상판(122)에 형성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In addition, it is noted that the slot 170 and the rotation 160 may also be formed on the stationary top plate 112 and the variable top plate 122, respectively.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어셈블리(100)는 가변프레임(120)의 위치 변화 시 회전운동(C) 직선운동(D)을 동시에 구현토록 하여 초기상태의 고정프레임(110)과 가변프레임(120) 사이의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5, the frame assembly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implement the rotational motion (C) linear motion (D) at the same time when the position of the variable frame 120 changes at the same time fixed frame ( The space between the 110 and the variable frame 120 may be minimized.

다시 말하면, 외력에 의해 가변프레임(120)을 잡아당기면 가변프레임(120)이 회전(C)함과 동시에 상측가변축(R1) 및 하측가변축(R2)은 전방측(X)으로 전진하게 되어 상기 가변프레임(120)과 후방판(119)이 접촉될 가능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므로, 회전에 따른 고정프레임(110)과 가변프레임(120) 사이의 불필요한 공간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In other words, when the variable frame 120 is pulled by an external force, the variable frame 120 rotates (C) and the upper variable shaft R1 and the lower variable shaft R2 are advanced to the front side X. Since the possibility that the variable frame 120 and the rear plate 119 are in contact can be prevented in advance, unnecessary waste of space between the fixed frame 110 and the variable frame 120 due to rotation can be minimized.

따라서, 가구의 목적을 구현하는 가변프레임(120)과 상기 가변프레임(120)을 지지하는 고정프레임(110) 사이의 간격을 최소화하여 동일한 목적을 구현하는 타경우에 비해 프레임 어셈블리(100) 자체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Therefore, the frame assembly 100 itself is compared with other cases that implement the same purpose by minimizing the gap between the variable frame 120 for realizing the purpose of the furniture and the fixed frame 110 for supporting the variable frame 120. Can be reduced in size.

도 6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어셈블리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어셈블리의 작동 순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6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frame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plan view showing an operation sequence of the frame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어셈블리(200)는 접촉볼(298) 및 지지부(290)를 제외하고는 도 1 내지 도 5를 참조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어셈블리(100)와 구성 및 효과가 동일하므로, 상기 접촉볼(298) 및 상기 지지부(290) 이외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6 and 7, the frame assembly 200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5 except for the contact ball 298 and the support 290. Since the structure and effects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frame assembly 100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descriptions other than the contact ball 298 and the support 290 will be omitted.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어셈블리(2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어셈블리(100)에 포함되는 슬롯부(170) 및 회전부(160)가 선택적으로 포함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In addition, the frame assembly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selectively included in the slot unit 170 and the rotating unit 160 included in the frame assembly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veal it.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어셈블리(200)는 접촉볼(298) 및 가변프레임(220)의 위치 변화 시 상기 가변프레임(220)을 지지하는 지지부(290)를 포함할 수 있다.Frame assembly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upport 290 for supporting the variable frame 220 when the position of the contact ball 298 and the variable frame 220 changes.

여기서, 상기 접촉볼(298)은 일종의 회전 가능한 바퀴 또는 볼일 수 있으며, 고정프레임(210)의 고정하판(214)과 대향하는 가변프레임(220)의 가변하판(224)의 일측단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장착될 수 있다.Here, the contact ball 298 may be a kind of rotatable wheel or ball, at least one or more at one end of the variable lower plate 224 of the variable frame 220 facing the fixed lower plate 214 of the fixed frame 210. Can be mounted.

그리고, 지지부(290)는 상기 고정프레임(210)으로부터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외력에 의한 상기 가변프레임(220)의 위치 변화에 따라 위치가 변하는 접촉볼(298)과의 접촉에 의해 상기 고정프레임(210)으로부터의 이동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pport part 290 is mounted so as to be movable from the fixed frame 210 and the fixed frame (by contact with the contact ball 298 whose position changes according to the position change of the variable frame 220 by an external force)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to move from 210.

다시 말하면, 상기 지지부(290)는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고정하판(214)과의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다가 외력이 작용하게 되면 상기 고정하판(214)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으며, 또 다시 상기 외력이 제거되면 원위치로 자동적으로 복귀될 수 있다.In other words, when the external force is not applied, the support 290 may protrude out of the fixed lower plate 214 when the external force is applied while maintaining the contact state with the fixed lower plate 214. When the external force is removed, it can automatically return to its original position.

여기서, 상기 지지부(290)는 고정하판(214)의 외측으로 돌출가능하고 용수철 등의 탄성부재에 의한 복원력에 의해 상기 고정하판(214)의 내측으로 삽입가능한 레일부(292) 및 상기 레일부(292)의 끝단에 장착되어 접촉볼(298)과 접촉하는 접촉부(294)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support portion 290 is protruding out of the fixed lower plate 214 and the rail portion 292 and the rail portion (2) which can be inserted into the fixed lower plate 214 by a restoring force by an elastic member such as a spring. It may include a contact portion 294 mounted to the end of the 292 in contact with the contact ball (298).

즉, 상기 지지부(290)는 가변프레임(220)이 외력에 의해 위치가 변하는 과정에서 자연적으로 발생되는 접촉볼(298)의 이동 시 상기 접촉볼(298)과 접촉되어 고정하판(214)으로부터 돌출되었다가 다시 원위치로 복귀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the support part 290 protrudes from the fixed lower plate 214 in contact with the contact ball 298 during the movement of the contact ball 298 which is naturally generated in the process of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variable frame 220 by external force. Can be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따라서, 가변프레임(220)의 위치 변화 시 상기 접촉볼(298)과 상기 지지부(290)의 접촉에 의해 상기 지지부(290)가 상기 가변프레임(220)을 지지할 수 있으므로, 안전하게 상기 가변프레임(220)의 위치 변화, 즉, 전방측(X)에 노출되는 부분을 수납장(A)에서 책상(B)으로 변하게 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position of the variable frame 220 changes, the support part 290 may support the variable frame 220 by the contact of the contact ball 298 and the support part 290. The position change of the 220, that is, the portion exposed to the front side X may be changed from the storage cabinet A to the desk B.

이하에서는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어셈블리(200)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n operation state of the frame assembly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7.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어셈블리(200)는 초기상태에는 전방측(X)으로 수납장(A)이 노출되었다가 외력에 의해 가변프레임(220)이 위치가 변하게 되어 수납장(A)은 후방측(Y)에 위치하게 되고 책상(B)이 상기 전방측(X)에 노출될 수 있다.In the frame assembly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binet A is exposed to the front side X in the initial state, and the variable frame 220 is changed in position by external force, so that the cabinet A is Located on the rear side (Y) and the desk (B) can be exposed to the front side (X).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외력을 인가하여 가변프레임(220)을 잡아당기게 되면, 상기 가변프레임(220)의 가변하판(224)에 장착되는 접촉볼(298)이 고정프레임(210)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되며, 이와 동시에 지지부(290)도 상기 접촉볼(298)과의 접촉에 의해 고정하판(214)으로부터 돌출되게 된다.Specifically, when the user pulls the variable frame 220 by applying an external force, the contact ball 298 mounted on the variable lower plate 224 of the variable frame 220 protrudes to the outside of the fixed frame 210. At the same time, the support 290 also protrudes from the fixed lower plate 214 by contact with the contact ball 298.

한편, 상기 지지부(290)의 돌출정도는 가변프레임(220)이 90도로 회전되었을 때 최대가 될 수 있으며, 90도 이후부터는 점점 감소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projecting degree of the support 290 may be the maximum when the variable frame 220 is rotated 90 degrees, and gradually decreases after 90 degrees.

결국, 상기 지지부(290)는 초기상태와 180도로 회전된 경우 동일한 상태일 수 있으며, 가변프레임(220)의 회전에 의한 위치 변화 시 상기 가변프레임(220)을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가변프레임(220)의 부드러운 위치 이동을 구현하도록 할 수 있다.
As a result, the support part 290 may be in the same state when it is rotated 180 degrees with the initial state, and supports the variable frame 220 when the position is changed by the rotation of the variable frame 220 and at the same time the variable frame 220.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smooth position shift of.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어셈블리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다.
8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frame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어셈블리(300)는 접촉볼(미도시) 및 받침부(395)를 제외하고는 도 1 내지 도 5를 참조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어셈블리(100)와 구성 및 효과가 동일하므로, 상기 접촉볼(미도시) 및 상기 받침부(395) 이외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Referring to FIG. 8, the frame assembly 300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5 except for a contact ball (not shown) and a support part 395. Since the structure and effects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frame assembly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descriptions other than the contact ball and the support 395 will be omitted.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어셈블리(3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어셈블리(100)에 포함되는 슬롯부(170) 및 회전부(160)가 선택적으로 포함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In addition, the frame assembly 3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optionally include a slot 170 and the rotating unit 160 included in the frame assembly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reveal.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어셈블리(300)에 포함되는 접촉볼(미도시)은 도 6 및 도 7를 참조로 설명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어셈블리(200)에 포함되는 접촉볼(298)과 동일한 구성요소일 수 있으나, 장착되는 위치면에서는 제한이 없다.Contact balls (not shown) included in the frame assembly 3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frame assembly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 and 7. It may be the same component as the contact ball 298, but is not limited in the mounting position.

다시 말하면, 상기 접촉볼(미도시)은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가변하판(324)의 저면 중 어디에라도 장착시킬 수 있으나, 안정성을 고려하여 일측단에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ther words, the contact ball (not shown) may be mounted anywhere on the bottom of the variable lower plate 324 according to the intention of the user, but is preferably mounted on one side in consideration of stability.

받침부(395)는 고정하판(314)에 경첩 등의 구성요소에 의해 회동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으며, 가변프레임(320)에 외력을 인가하기 이전에 회동시켜 고정하판(314)과 수평으로 배치시킬 수 있다.The supporting part 395 may be mounted to the fixed lower plate 314 so as to be rotatable by a component such as a hinge, and rotated before applying an external force to the variable frame 320 to be disposed horizontally with the fixed lower plate 314. You can.

즉, 전방측(X)에 노출되는 부분을 수납장(A)에서 책상(B)으로 변화시키기 위한 외력을 가변프레임(320)에 인가하기 이전에 상기 받침부(395)를 회동시켜 상기 고정하판(314)과 수평으로 배치시킨 후 상기 가변프레임(320)을 회전시키게 되면 접촉볼(미도시)이 상기 받침부(395)의 상면을 따라 회전하게 될 수 있다.That is, before applying the external force for changing the portion exposed to the front side (X) from the cabinet (A) to the desk (B) to the variable frame 320 by rotating the support portion 395 to the fixed lower plate ( When the variable frame 320 is rotated after the horizontal arrangement with the 314, the contact ball (not shown) may rotate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395.

따라서, 접촉볼(미도시)이 받침부(395)의 상면에서 회전됨에 따라 가변프레임(320)의 회전에 의한 위치 변화 시 상기 가변프레임(320)을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가변프레임(320)의 부드러운 위치 이동을 구현할 수 있다.
Therefore, when the contact ball (not shown) is rot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ortion 395, the variable frame 320 is supported at the same time when the position is changed by the rotation of the variable frame 320, and the softness of the variable frame 320 is achieved. Position movement can be implemented.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changes or modifications may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0: 프레임 어셈블리
110: 고정프레임
120: 가변프레임
130: 링크부
140: 가이드부
150: 가이드대응부
160: 회전부
170: 슬롯부
100: frame assembly
110: stationary frame
120: variable frame
130: link section
140: guide part
150: guide support
160: rotating part
170: slot portion

Claims (7)

고정상판 및 상기 고정상판 사이에 이격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고정상판과 이격되어 배치되는 고정하판을 구비하는 고정프레임;
상기 이격공간에 배치되며, 외력에 의해 상기 이격공간의 전방측에 노출되는 부분이 변하도록 위치가 가변적인 가변프레임; 및
상기 외력에 의해 상기 가변프레임의 위치가 변하는 경우 상기 가변프레임이 상기 고정프레임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고정프레임과 상기 가변프레임을 연결하는 링크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변프레임 및 상기 고정프레임 중 어느 하나는 회전 가능한 가이드부가 형성되며, 나머지 하나는 상기 가이드부가 삽입되어 회전되도록 하는 가이드대응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변프레임은 상기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가이드부가 상기 가이드대응부를 따라 이동되는 동시에 상기 가변프레임에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상기 링크부의 가변축이 상기 전방측을 따라 순차적으로 전진 및 후진하여 상기 전방측에 노출되는 부분이 변하게 되는 프레임 어셈블리.
A fixed frame having a fixed lower plat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xed upper plate to form a space between the fixed upper plate and the fixed upper plate;
A variable frame disposed in the separation space and variable in position such that a portion exposed to the front side of the separation space is changed by an external force; And
And a link unit connecting the fixed frame and the variable frame to prevent the variable frame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fixed frame when the position of the variable frame is changed by the external force.
One of the variable frame and the fixed frame is formed with a rotatable guide portion, the other is formed with a guide corresponding portion to rotate the guide portion is inserted,
In the variable frame, when the external force is applied, the variable axis of the link part coupled to the guide part to be moved along the guide counterpart so as to be rotatable to the variable frame is sequentially moved forward and backward along the front side, and thus the front side. The frame assembly that changes the part exposed to.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는 상기 고정상판 및 상기 고정상판과 대향하는 상기 가변프레임의 가변상판을 연결하는 상측링크부와 상기 고정하판 및 상기 고정하판과 대향하는 상기 가변프레임의 가변하판을 연결하는 하측링크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가변상판 및 상기 가변하판에 각각 형성되는 상측가이드부 및 하측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대응부는 상기 고정상판 및 상기 고정하판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상측가이드부 및 상기 하측가이드부가 각각 삽입되어 회전되도록 하는 상측가이드대응부 및 하측가이드대응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변프레임은 상기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상측가이드부 및 하측가이드부가 각각 상기 상측가이드대응부 및 하측가이드대응부를 따라 이동되는 동시에 상기 가변상판 및 상기 가변하판에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상기 상측링크부의 상측가변축 및 상기 하측링크부의 하측가변축이 상기 전방측을 따라 순차적으로 전진 및 후진하여 상기 전방측에 노출되는 부분이 변하게 되는 프레임 어셈블리.
The method of claim 1,
The link unit includes an upper link unit connecting the fixed upper plate and the variable upper plate of the variable frame facing the fixed upper plate and a lower link unit connecting the variable lower plate of the variable frame opposite the fixed lower plate and the fixed lower plate. ,
The guide portion includes an upper guide portion and a lower guide portion respectively formed on the variable upper plate and the variable lower plate, and the guide corresponding portion is formed on the fixed upper plate and the fixed lower plate, respectively, so that the upper guide portion and the lower guide portion are respectively inserted. It includes an upper guide counterpart and a lower guide counterpart to rotate,
When the external frame is applied to the variable frame, the upper guide part and the lower guide part move along the upper guide counterpart and the lower guide counterpart, respectively, and the upper link part is rotatably fastened to the variable upper plate and the variable lower plate. And an upper variable shaft and a lower variable shaft of the lower link unit move forward and backward sequentially along the front side to change a portion exposed to the front sid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가변축 및 상기 하측가변축은 각각 상기 가변상판 및 상기 가변하판의 중앙에 형성되며,
상기 상측링크부 및 상기 하측링크부의 배치 구조는 외력에 의해 상기 가변프레임의 위치가 변하는 경우 종속적으로 변하게 되는 프레임 어셈블리.
3. The method of claim 2,
The upper and lower variable shafts ar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variable upper plate and the variable lower plate, respectively,
The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upper link portion and the lower link portion is a frame assembly that is changed dependently when the position of the variable frame is changed by an external for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가이드대응부 및 상기 하측가이드대응부는 각각 상기 고정상판 및 상기 고정하판에 라운드지게 연속적으로 함입되어 형성되고,
상기 상측가이드대응부 및 상기 하측가이드대응부의 양측 단부의 곡률반경은 상기 상측가변축 및 상기 하측가변축이 상기 전방측을 따라 전진하는 과정에서 상기 가변프레임이 후방측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최대로 형성되는 프레임 어셈블리.
3. The method of claim 2,
The upper guide counterpart and the lower guide counterpart are formed to be continuously recessed roundly to the fixed upper plate and the fixed lower plate, respectively,
The radius of curvature of both ends of the upper guide counterpart and the lower guide counterpart is formed to the maximum so as to prevent the variable frame from being pushed to the rear side in the process of advancing the upper and lower variable shafts along the front side. Frame assembly.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가이드대응부 및 상기 하측가이드대응부의 양측 단부는 곡률반경이 무한대로 형성되고 중앙부를 향할수록 곡률반경이 감소하는 프레임 어셈블리.
5. The method of claim 4,
Both end portions of the upper guide counterpart and the lower guide counterpart are formed with an infinite curvature radius and the radius of curvature decreases toward the center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의 가변축에는 회전 가능한 회전부가 장착되며,
상기 고정프레임에는 외력에 의해 상기 가변축이 상기 전방측을 따라 순차적으로 전진 및 후진하는 경우 상기 회전부가 삽입되어 상기 가변축의 전진 및 후진을 가이드하도록 하는 슬롯부를 구비하는 프레임 어셈블리.
The method of claim 1,
The rotating shaft is mounted on the variable shaft of the link unit,
The fixed frame has a frame assembly having a slot for guiding the forward and backward of the variable shaft when the variable shaft is moved forward and backward sequentially along the front side by an external for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하판과 대향하는 상기 가변프레임의 가변하판의 일측단에는 회전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접촉볼이 장착되며,
상기 고정프레임으로부터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가변프레임의 위치 변화 시 상기 가변프레임을 지지하며, 외력에 의한 상기 가변프레임의 위치 변화에 따라 위치가 변하는 접촉볼과의 접촉에 의해 상기 고정프레임으로부터의 이동 여부가 결정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프레임 어셈블리.
The method of claim 1,
At least one rotatable contact ball is mounted at one end of the variable lower plate of the variable frame facing the fixed lower plate,
It is mounted so as to be movable from the fixed frame and supports the variable frame when the position of the variable frame changes, and moves from the fixed frame by contact with a contact ball whose position changes according to the position change of the variable frame by external force. The frame assembly further comprises;
KR1020130101562A 2013-08-27 2013-08-27 Frame assembly KR10136129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1562A KR101361293B1 (en) 2013-08-27 2013-08-27 Frame assembl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1562A KR101361293B1 (en) 2013-08-27 2013-08-27 Frame assembl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1293B1 true KR101361293B1 (en) 2014-02-17

Family

ID=50270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1562A KR101361293B1 (en) 2013-08-27 2013-08-27 Frame assembl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1293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0249B1 (en) * 2019-10-01 2021-02-25 김권호 Multifunctional furniture
CN113384095A (en) * 2021-06-18 2021-09-14 浙江理工大学 Space-variable bed-book cabinet integrated furnitur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3822Y1 (en) 2004-04-07 2004-06-22 천영준 Furniture for acceptant bed
KR200399440Y1 (en) 2005-08-08 2005-10-24 김정기 Bed having a keeping space
KR100727021B1 (en) 2006-04-28 2007-06-12 (주)대진아트와이어 Sliding case
KR20080097612A (en) * 2007-05-02 2008-11-06 이용신 Variable cabine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3822Y1 (en) 2004-04-07 2004-06-22 천영준 Furniture for acceptant bed
KR200399440Y1 (en) 2005-08-08 2005-10-24 김정기 Bed having a keeping space
KR100727021B1 (en) 2006-04-28 2007-06-12 (주)대진아트와이어 Sliding case
KR20080097612A (en) * 2007-05-02 2008-11-06 이용신 Variable cabine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0249B1 (en) * 2019-10-01 2021-02-25 김권호 Multifunctional furniture
CN113384095A (en) * 2021-06-18 2021-09-14 浙江理工大学 Space-variable bed-book cabinet integrated furnitur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58344B2 (en) Sliding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KR101361293B1 (en) Frame assembly
KR200463584Y1 (en) Reading stand for attaching desk
CN102131424A (en) Turning apparatus for multipurpose space utilization furniture
CN108095387B (en) Rotary storage locking structure for furniture
CN105747613A (en) Drawer sliding rail connecting and adjusting device
CN105124953A (en) Furniture inclination adjustment mechanism
KR200491235Y1 (en) Furniture with Variable Auxiliary Table
KR101794234B1 (en) Complex sliding desk system
KR100865274B1 (en) Desk
CN209833105U (en) Control and remove automatic re-setting's electrified education board
CN104257130A (en) Furniture drawer hidden adjusting device
US7198326B2 (en) Desk and chair interchangeable device
KR200493615Y1 (en) a projector and screen stand
EP2856909A1 (en) Table with leg pivotably mounted to table top
CN112306150A (en) Human-machine interface device and switcher system
CN114190701B (en) Dining table
KR200380783Y1 (en) Desk with auxiliary table
CN220770569U (en) Multimedia device
KR101375876B1 (en) Desk with reading supporter
CN220157940U (en) Sofa with hidden charging equipment
CN214698761U (en) Sofa hinge
CN111380315B (en) Rack assembly and refrigerator with same
CN216534382U (en) Folding functional cabinet
CN217959335U (en) Combined office tab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3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