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1232B1 - Ligting control device, system based on touchscreen - Google Patents

Ligting control device, system based on touchscree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1232B1
KR101361232B1 KR1020120012400A KR20120012400A KR101361232B1 KR 101361232 B1 KR101361232 B1 KR 101361232B1 KR 1020120012400 A KR1020120012400 A KR 1020120012400A KR 20120012400 A KR20120012400 A KR 20120012400A KR 101361232 B1 KR101361232 B1 KR 1013612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area
illumination
contact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240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091116A (en
Inventor
이동원
이호원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200124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1232B1/en
Publication of KR201300911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111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12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123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force sensing means to determine a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8Several contacts: gestures triggering a specific function, e.g. scrolling, zooming, right-click, when the user establishes several contacts with the surface simultaneously; e.g. using several fingers or a combination of fingers and p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터치스크린 기반 조명 제어 장치, 시스템을 공개한다.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 상에 조명을 제어하고자하는 공간을 표시하고, 도시된 공간 상에 조명의 위치를 나타내어,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제어하고자 하는 스위치를 파악 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므로 스위치 오인으로 인한 불필요한 점등을 막을 수 있으므로 전력 낭비를 줄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드레그에 의한 복수개의 스위치 선택 및 일괄 제어를 제공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조명 사용으로 인해 발생하는 전력량을 터치스크린에 함께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의 불필요한 전력 소비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워 전력 소비를 더욱 줄일 수 있도록 한다.Touch screen based lighting control device, system disclosed. The present invention displays a space to be controlled on the touch screen, and indicates the location of the light on the illustrated space, so that the user can intuitively grasp the switch to be controlled. Therefore, unnecessary lighting caused by switch misuse can be prevented, thereby reducing power waste.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further increase the ease of use by providing a plurality of switch selection and collective control by the drag. In addition, by displaying the amount of power generated by the use of the light on the touch screen, the user can be alerted to unnecessary power consumption to further reduce the power consumption.

Description

터치스크린 기반 조명 제어 장치 및 시스템{Ligting control device, system based on touchscreen}Touch screen-based lighting control device and system {Ligting control device, system based on touchscreen}

본 발명은 조명 제어 장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터치스크린 기반 조명 제어 장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ght control device, a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touch screen-based light control device, a system.

현대 사회에서 조명은 생활에 밀접한 관련을 가지는 필수적인 요소이다. 최근 일부 조명은 각종 센서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특별히 조작하지 않더라도 자동으로 점등되도록 설정되어 있으나, 대부분의 조명은 여전히 스위치를 이용하여 점등하도록 구현되어 있다.In modern society, lighting is an essential element that is closely related to life. Recently, some lights have various sensors and are set to be automatically turned on even without a user's special operation. However, most lights are still implemented to be turned on by using a switch.

그러나 조명이 이용되는 환경이 다양해지고, 조명의 개수가 증가함에 따라 스위치를 이용하여 조명을 제어하는 경우에 제어하고자 하는 조명에 대응하는 스위치를 정확히 파악하지 못하여 불필요하게 다른 스위치를 조작하게 되어 사용에 불편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불필요하게 전력을 낭비하게 된다.
However, as the lighting environment is diversified and the number of lights is increased, when switches are used to control the lights, the switches corresponding to the lights to be controlled are not accurately understood and other switches are operated unnecessarily. Not only does this cause inconvenience, but it also wastes power unnecessarily.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선택하고자 하는 조명에 대응하는 스위치를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조명의 배치에 맵핑되는 구조를 갖는 터치스크린 기반 조명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ouch screen-based lighting control device having a structure that is mapped to the arrangement of the lights so that the user can intuitively grasp the switch corresponding to the lighting to be selected by the user.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터치스크린 기반 조명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ouch screen-based lighting control system.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터치스크린 기반 조명 제어 장치는 제어하고자 하는 복수개의 조명이 배치된 공간에 대응하는 평면도와 상기 공간에 배치된 상기 복수개의 조명의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평면도 상에 위치에 복수개의 스위치 아이콘을 스크린 영역에 디스플레이하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접촉 물체의 접촉을 감지하여 상기 접촉 물체의 접촉 위치를 접촉 위치 신호로서 출력하는 터치스크린부, 상기 평면도와 상기 복수개의 스위치 아이콘이 디스플레이 되도록 영상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접촉 위치 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접촉 위치에 매핑되는 평면도 상의 영역을 판정하여, 판정된 영역이 상기 스위치 아이콘이 디스플레이 된 영역이면, 상기 판정된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스위치 아이콘이 선택된 것으로 인식하여, 상기 복수개의 조명 중 상기 선택된 스위치 아이콘에 대응하는 조명을 제어하기 위한 조명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영상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스크린 영역에 상기 평면도와 상기 복수개의 스위치 아이콘이 디스플레이 되도록 상기 터치스크린을 제어하는 화면 구성부, 및 상기 조명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복수개의 조명을 제어하는 조명 조절부를 구비한다.Touch screen-based lighting control device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plurality of planar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space in which the plurality of lights to be arranged and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plurality of lights arranged in the space A touch screen unit which displays a switch icon on a screen area and detects contact of one or more contact objects and outputs a contact position of the contact object as a contact position signal. The image signal such that the plan view and the plurality of switch icons are displayed. Outputs and receives the contact location signal to determine an area on a plan view mapped to the contact location, and if the determined area is the area where the switch icon is displayed, the switch icon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area is selected. Recognize and out of the plurality of lights A controller configured to output an illumination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illumination corresponding to a pre-selected switch icon, and a screen component to control the touch screen to display the plan view and the plurality of switch icons on the screen area in response to the image signal And an illumination adjuster configured to control the plurality of lights in response to the light control signal.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터치스크린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평면도와 상기 복수개의 스위치 아이콘을 상기 스크린 영역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접촉 물체의 접촉을 감지하여 접촉 신호를 출력하는 터치스크린, 및 상기 접촉 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스크린 영역 상의 상기 접촉 물체의 접촉 위치를 판별하여 상기 접촉 위치 신호를 출력하는 접촉 판별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touch screen unit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touch screen for displaying the plan view and the plurality of switch icons on the screen area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and detects the contact of the contact object and outputs a contact signal, and the contact And a contact discrimination unit configured to receive a signal and determine a contact position of the contact object on the screen area and output the contact position signal.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터치스크린은 상기 접촉 물체의 접촉 압력에 따라 상기 접촉 신호의 크기를 다르게 출력하고, 상기 접촉 판별부는 상기 접촉 신호의 크기에 대응하는 레벨을 갖는 상기 접촉 위치 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touch screen for achieving the object outputs the magnitude of the contact signal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contact pressure of the contact object, and the contact determination unit sends the contact position signal having a level corresponding to the magnitude of the contact signal to the controller. Characterized in that the transmiss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어부는 상기 접촉 위치 신호가 매핑되는 평면도 상의 영역이 상기 스위치 아이콘이 디스플레이 된 영역이면, 상기 접촉 위치 신호의 레벨에 응답하여 상기 판정된 스위치 아이콘에 대응하는 조명의 조도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조명 제어 신호의 레벨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trol unit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to adjust the illuminance of the illumination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switch icon in response to the level of the contact position signal when the area on the plan view to which the contact position signal is mapped is the area where the switch icon is displayed. In order to adjust the level of the illumination control signal.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터치스크린부는 상기 스크린 영역에 상기 복수개의 스위치 아이콘 중 사용자에 의해 미리 지정된 복수개의 스위치 아이콘을 일괄 제어하기 위한 대표 스위치 아이콘을 추가로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대표 스위치 아이콘이 선택된 경우에 상기 미리 지정된 복수개의 스위치 아이콘에 대응하는 상기 복수개의 조명을 제어하기 위한 상기 조명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touch screen unit additionally displays a representative switch icon for collective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switch icons predetermined by a user among the plurality of switch icons on the screen area. The lighting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plurality of light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predetermined switch icons, when selected, is output.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어부는 상기 판정된 영역이 상기 스위치 아이콘에 대응하는 영역이 아니면, 상기 판정된 영역을 기준으로 지정된 거리 이내의 상기 스위치 아이콘이 모두 터치된 것으로 인식하여 상기 지정된 거리 이내의 스위치 아이콘에 대응하는 조명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f the determined area is not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switch icon, the control unit recognizes that all of the switch icons within a distance specified based on the determined area are touched and switches within the specified distance. It is characterized by controlling the lighting corresponding to the ic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어부는 상기 평면도를 지정된 구역별로 구분하고, 상기 지정된 거리 이내의 스위치 아이콘 중 다른 구역에 포함되는 스위치 아이콘은 터치되지 않은 것으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trol unit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characterized by classifying the floor plan into designated zones, and among switch icons within the designated distance, the switch icon included in another zon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not touche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스크린 영역은 상기 평면도와 상기 복수개의 스위치 아이콘이 디스플레이 되는 조명 배치 디스플레이 영역, 및 상기 평면도 상에서 상기 구분된 구역들 각각에 포함된 상기 스위치 아이콘을 일괄 제어하기 위한 복수개의 구역 스위치 아이콘이 디스플레이 되는 구역별 조절 영역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screen area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lighting arrangement display area in which the plan view and the plurality of switch icons are displayed, and a plurality of zone switches for collectively controlling the switch icons included in each of the divided areas on the plan view.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trol area for each zone where the icon is displaye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스크린 영역은 상기 터치스크린 기반 조명 제어 장치에 의해 제어되는 상기 복수개의 조명들의 소비 전력이 디스플레이 되는 소비전력 디스플레이 영역, 및 상기 복수개의 스위치 아이콘 및 상기 복수개의 구역 스위치 아이콘들 중 선택된 스위치 아이콘에 대응하는 상기 조명들의 조도를 조절하기 위한 조도 조절 영역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screen area includes a power consumption display area in which power consumption of the plurality of lights controlled by the touch screen-based lighting control device is displayed, and among the plurality of switch icons and the plurality of area switch icons. And an illumination control area for adjusting illumination of the lights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switch ic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조도 조절 영역은 상기 선택된 스위치 아이콘에 대응하는 상기 조명의 조도 범위를 표시하는 조도 조절 바, 및 상기 선택된 스위치 아이콘에 대응하는 상기 조명의 조도 레벨을 표시하는 조도 슬라이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llumination control area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n illumination control bar for displaying an illumination range of the illuminati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switch icon, and an illumination slider for displaying an illumination level of the illuminati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switch icon. It is characterized by.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터치스크린 기반 조명 제어 시스템은 제어하고자 하는 복수개의 조명이 배치된 공간에 대응하는 평면도와 상기 공간에 배치된 상기 복수개의 조명의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평면도 상에 위치에 복수개의 스위치 아이콘을 스크린 영역에 디스플레이하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접촉 물체의 접촉을 감지하여 상기 접촉 물체의 접촉 위치에 매핑되는 평면도 상의 영역이 상기 스위치 아이콘이 디스플레이된 영역이면, 상기 판정된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스위치 아이콘이 선택된 것으로 인식하여, 상기 복수개의 조명 중 상기 선택된 스위치 아이콘에 대응하는 조명을 제어하기 위한 조명 제어 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터치스크린 기반 조명 제어 장치, 및 상기 무선으로 송신되는 상기 조명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조명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복수개의 조명을 제어하는 조명 조절 장치를 구비한다.Touch screen-based lighting control system for achieving the another object is a plurality of positions in the plan view corresponding to the space in which the plurality of lights to be arranged and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plurality of lights arranged in the space Display two switch icons in the screen area, and if the area on the plan view mapped to the contact position of the contact object by detecting the contact of one or more contact objects is the area in which the switch icon is displayed, Recognizing that the switch icon is selected, a touch screen-based lighting control device for wirelessly transmitting an illumination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illuminati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switch icon of the plurality of lights, and the illumination control transmitted wirelessly Receive the signal, the illumination And a lighting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the plurality of lights in response to a control signal.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터치스크린 기반 조명 제어 장치는 제어하고자 하는 복수개의 조명이 배치된 공간에 대응하는 평면도와 상기 공간에 배치된 상기 복수개의 조명의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평면도 상에 위치에 복수개의 스위치 아이콘을 스크린 영역에 디스플레이하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접촉 물체의 접촉을 감지하여 상기 접촉 물체의 접촉 위치를 접촉 위치 신호로서 출력하는 터치스크린부, 상기 평면도와 상기 복수개의 스위치 아이콘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영상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접촉 위치 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접촉 위치에 매핑되는 평면도 상의 영역을 판정하여, 판정된 영역이 상기 스위치 아이콘이 디스플레이된 영역이면, 상기 판정된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스위치 아이콘이 선택된 것으로 인식하여, 상기 복수개의 조명 중 상기 선택된 스위치 아이콘에 대응하는 조명을 제어하기 위한 조명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영상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스크린 영역에 상기 평면도와 상기 복수개의 스위치 아이콘이 디스플레이 되도록 상기 터치스크린을 제어하는 화면 구성부, 및 상기 조명 제어 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하기 위한 송신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ouch screen-based lighting control device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plurality of planar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space in which the plurality of lights to be arranged and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plurality of lights arranged in the space A touch screen unit which displays a switch icon on a screen area and detects contact of one or more contact objects and outputs a contact position of the contact object as a contact position signal, and the image signal such that the plan view and the plurality of switch icons are displayed Outputs and receives the contact location signal to determine an area on a plan view mapped to the contact location, and if the determined area is the area where the switch icon is displayed, the switch icon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area is selected. Recognize the image of the plurality of lights A controller configured to output an illumination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illumination corresponding to a pre-selected switch icon, and a screen component to control the touch screen to display the plan view and the plurality of switch icons on the screen area in response to the image signal And a transmitter for wirelessly transmitting the illumination control signal.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조명 조절 장치는 상기 조명 제어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부, 및 상기 조명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복수개의 조명을 제어하는 조명 조절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lighting control apparatus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receiver for receiving the illumination control signal, and an illumination adjustment unit for controlling the plurality of lights in response to the illumination control signal.

따라서, 본 발명의 터치스크린 기반 조명 제어 장치, 시스템은 터치스크린 상에 조명을 제어하고자하는 공간을 표시하고, 도시된 공간 상에 조명의 위치를 나타내어,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제어하고자 하는 스위치를 파악 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므로 스위치 오인으로 인한 불필요한 점등을 막을 수 있으므로 전력 낭비를 줄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드레그에 의한 복수개의 스위치 선택 및 일괄 제어를 제공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조명 사용으로 인해 발생하는 전력량을 터치스크린에 함께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의 불필요한 전력 소비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워 전력 소비를 더욱 줄일 수 있도록 한다.
Accordingly, the touch screen-based light control device and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display a space to control the light on the touch screen, and indicate the position of the light on the illustrated space, the user can grasp the switch to intuitively control To help. Therefore, unnecessary lighting caused by switch misuse can be prevented, thereby reducing power waste.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further increase the ease of use by providing a plurality of switch selection and collective control by the drag. In addition, by displaying the amount of power generated by the use of the light on the touch screen, the user can be alerted to unnecessary power consumption to further reduce the power consumption.

도1 은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 기반 조명 제어 장치의 일예를 나타낸다.
도2 는 도1 의 조명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3 은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 기반 조명 제어 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낸다.
도4 는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 기반 조명 제어 시스템을 나타낸다.
1 illustrates an example of a touch screen based light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shows the configuration of the lighting control device of FIG.
3 shows another example of a touch screen based light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llustrates a touch screen based lighting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operational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objects achieved by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ence should be mad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되며,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임을 나타낸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that are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denote the same members.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블록”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 including " an element, it does not exclude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The terms "part", "unit", "module", "block", and the like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mean units for processing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And a combination of software.

도1 은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 기반 조명 제어 장치의 일예를 나타낸다.1 illustrates an example of a touch screen based light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1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터치스크린 기반 조명 제어 장치(이하, 조명 제어 장치)(10)는 스크린 영역(100)을 구비한다. 스크린 영역(100)은 조명을 제어하고자 하는 공간의 평면도가 디스플레이 되며, 디스플레이된 공간의 평면도 상에서 실제 조명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개의 스위치 아이콘(101 ~ 104)이 디스플레이 된다. 즉 평면도 상에 디스플레이 된 스위치 아이콘(101 ~ 104)은 실제 공간에서 조명이 배치된 위치에 대응하여 배치되어, 사용자가 제어하고자 하는 조명에 대한 스위치를 직관적으로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Referring to FIG. 1, a touch screen based light control devi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light control devic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creen area 100. In the screen area 100, a plan view of a space to control lighting is displayed, and a plurality of switch icons 101 to 104 are display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n actual lighting position on the plan view of the displayed space. That is, the switch icons 101 to 104 displayed on the floor plan are disposed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s where the lights are arranged in the real space, so that the user can intuitively determine the switch for the lights to be controlled.

스크린 영역(100)에 디스플레이 되는 복수개의 스위치 아이콘(101 ~ 104) 각각은 물리적인 스위치가 아닌 디스플레이 된 아이콘(Icon)이다. 사용자의 스위치 아이콘(101 ~ 104) 조작 여부는 조명 제어 장치(10)가 터치스크린을 기반으로 하므로, 스크린 영역(100) 전체 범위 영역별로 개별적인 스위치로 인식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된 복수개의 스위치 아이콘(101 ~ 104) 각각의 위치, 크기, 색상 및 형태는 가변될 수 있다.Each of the plurality of switch icons 101 to 104 displayed on the screen area 100 is a displayed icon Icon, not a physical switch. Since the lighting control device 10 is based on the touch screen, whether the user manipulates the switch icons 101 to 104 may be recognized as individual switches for the entire range of the screen area 100. Accordingly, the position, size, color, and shape of each of the displayed switch icons 101 to 104 may vary.

기존에 가정에서 사용되는 대표적인 조명으로는 형광등(Fluorescent lamp)이나 백열등(incandescent lamp)을 들 수 있다. 백열등의 경우에는 통상적으로 단일 형태로 공급되고 있으나, 형광등의 경우에는 다양한 크기와 다양한 형태의 제품이 출시되어 있다. 또한 최근에는 생활수준의 향상에 따라 가정이나 사무실 또는 가게에서 LED(Light Emitting Diode)를 이용한 램프나 할로겐등(halogen lamp)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등이 각각의 용도에 따라 적절히 조합되어 사용되고 있다.Typical lightings used in homes include fluorescent lamps or incandescent lamps. In the case of incandescent lamps are usually supplied in a single form, in the case of fluorescent lamps are available in a variety of sizes and products. In recent years, various kinds of lamps such as lamps or halogen lamps using LEDs (Light Emitting Diodes) are used in homes, offices, and shops according to the improvement of living standards.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장치(10)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스위치 아이콘(101 ~ 104) 각각의 위치, 크기, 색상 및 형태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으므로, 복수개의 스위치 아이콘(101 ~ 104) 각각은 대응하는 조명의 종류 및 형태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 및 형태를 부여할 수 있다.In the lighting devic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position, size, color, and shap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switch icons 101 to 104 may be variously set as described above, the plurality of switch icons 101 to 104. Each may be given a different color and shape depending on the type and shape of the corresponding illumination.

예를 들어 도1에서 붉은 색으로 표시된 스위치 아이콘(101)은 대응하는 조명이 할로겐 등임을 나타내며, 녹색으로 표시된 스위치 아이콘(102, 103)은 대응하는 조명이 형광등인 것을 나타낸다. 즉 스위치 아이콘(101 ~ 103)의 색상에 따라 제어되는 조명의 종류를 표현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조명이 온/오프 되어 있는지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으로 표현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switch icon 101 shown in red in FIG. 1 indicates that the corresponding illumination is halogen light, and the switch icons 102 and 103 shown in green indicate that the corresponding illumination is fluorescent light. That is, the type of lighting controlled according to the color of the switch icons 101 to 103 may be expressed. In addition, it can be expressed in different colors depending on whether lighting is on or off.

또한 스위치 아이콘(101, 102)이 정사각형 형태의 아이콘인데 반하여, 스위치 아이콘(103)의 경우에는 직사각형 형태로 디스플레이 되어있다. 이는 대응하는 조명이 바 타입(bar type) 형광등임을 직관적으로 나타내는 것이다. 도1 에서 스위치 아이콘(101, 102)은 정사각형 형태로 디스플레이 되었으나, 조명의 외형에 대응하여 원형이나 다른 형태로 표시되어도 무방하다.In addition, the switch icons 101 and 102 are square icons, whereas the switch icons 103 are displayed in a rectangular shape. This intuitively indicates that the corresponding illumination is a bar type fluorescent lamp. Although the switch icons 101 and 102 are displayed in a square shape in FIG. 1, the switch icons 101 and 102 may be displayed in a circular or other shape corresponding to the external shape of the lighting.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된 스위치 아이콘(101 ~ 103)의 색상에 따라 제어되는 조명의 종류를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으며, 스위치 아이콘(101 ~ 103)의 형태에 따라 제어되는 조명의 형태를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The user can easily determine the type of lighting to be controlled according to the colors of the displayed switch icons 101 to 103 and intuitively grasp the shape of the controlled lighting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switch icons 101 to 103. .

그리고 같이 서로 다른 종류 및 형태가 밀집되어 조합된 조명에 대해서는 대표 스위치 아이콘(104)을 추가할 수 있다. 도1 에서 거실에는 형광등 4개와 할로겐등 2개로 6개의 조명이 밀집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4개의 형광등 중 2개의 형광등은 바 타입 형광등이다. 이렇게 밀집 배치된 복수개의 조명을 제어하는 경우에 6개의 스위치 아이콘을 개별적으로 선택하여 온/오프 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밀집된 6개의 조명을 한 번에 제어하기 위한 대표 스위치 아이콘(104)을 추가하였다. 그리고 추가된 스위치 아이콘(104)은 개별 조명을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 아이콘(101 ~ 103)과 구분될 수 있도록 다른 색상 및 형태로 디스플레이 된다.In addition, a representative switch icon 104 may be added to lightings in which different types and shapes are densely combined. In FIG. 1, six lights are densely arranged in the living room, including four fluorescent lamps and two halogen lamps. Two of the four fluorescent tubes are bar type fluorescent tubes. In the case of controlling a plurality of densely arranged lights, it is also possible to select six switch icons individually to turn on / off, but a representative switch icon 104 for controlling the six dense lights at once is added. The added switch icon 104 is displayed in a different color and shape so as to be distinguished from the switch icons 101 to 103 for controlling individual lighting.

복수개의 스위치 아이콘(101 ~ 104) 각각의 위치 및 형태가 가변될 수 있으므로, 스크린 영역(100)은 조명을 제어하고자 하는 공간에 대응하는 평면도를 사용자가 자유롭게 확대, 축소 및 이동할 수 있도록 제어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스크린 영역이 반드시 평면도 전체를 디스플레이 하지 않아도 된다. 조명 제어 장치(10)는 구동 초기에 평면도 전체를 디스플레이 하도록 하고, 이후 사용자가 평면도의 일부 영역을 선택하여 확대 또는 축소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평면도의 확대로 인하여 디스플레이 되지 않는 영역이 디스플레이 될 수 있도록 확대된 평면도 전체가 이동되도록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스크린 상에서 대상이미지의 확대, 축소 및 이동에 대한 기법은 다양한 방식의 공지된 기술이 있으므로 여기서는 상세하게 설명하지 않는다.Since positions and shapes of each of the plurality of switch icons 101 to 104 may vary, the screen area 100 may be controlled so that a user may freely enlarge, reduce, and move a floor plan corresponding to a space to control lighting. have. In other words, the screen area does not necessarily display the entire top view. The lighting control device 10 may display the entire plan view at the beginning of driving, and then allow a user to select a portion of the plan view to enlarge or reduce the plan view. In addition, the entire enlarged plan view may be displayed so that an area not displayed due to the enlargement of the plan view is displayed. Techniques for enlarging, reducing, and moving the target image on the touch screen are well-known in various ways, and thu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herein.

그리고 복수개의 스위치 아이콘(101 ~ 104)이 확대, 축소 및 이동되는 경우에도 조명 제어 장치(10)에 구비되는 제어부(미도시)는 평면도 상에 디스플레이 되는 복수개의 스위치 아이콘(101 ~ 104)의 영역을 맵핑(mapping) 작업을 통해 정확히 판단할 수 있다.In addition, even when the plurality of switch icons 101 to 104 are enlarged, reduced and moved, the control unit (not shown) included in the lighting control device 10 may display an area of the plurality of switch icons 101 to 104 displayed on the floor plan. Can be accurately determined by mapping.

상기한 바와 같이 평면도가 확대, 축소 및 이동되어 디스플레이가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전체 평면도로 디스플레이 될 때의 아이콘의 크기가 작은 경우에, 제어하고자 하는 조명에 대응하는 스위치 아이콘(101 ~ 104) 주변 영역을 확대함에 의해 용이하게 선택 및 제어할 수 있다.Since the top view is enlarged, reduced and moved as described above, the display is possible, and thus, when the size of the icon is small when the user is displayed in the entire top view, the user may move around the switch icons 101 to 104 corresponding to the lighting to be controlled. By enlarging the area, it can be easily selected and controlled.

추가적으로 조명 제어 장치(10)의 터치스크린이 터치 압력을 감지할 수 있는 경우에, 사용자의 터치 압력에 따라 선택된 조명의 밝기를 제어하는 디밍 기능(dimming)을 추가할 수 있다. 디밍 기능은 일예로 압력에 응답하여 가변 저항의 저항값이 조절되도록 하여 조명에 인가되는 전류량을 제어함으로 구현할 수 있다. 그러나 이것은 일예일 뿐으로 다른 디밍 기법을 적용할 수도 있다.Additionally, when the touch screen of the lighting control device 10 can sense the touch pressure, a dimming function for controlling the brightness of the selected light according to the touch pressure of the user may be added. For example, the dimming function may be implemented by controlling the amount of current applied to the lighting by adjusting the resistance of the variable resistor in response to pressure. However, this is merely an example and other dimming techniques may be applied.

또한 상기에서는 스위치 아이콘(101 ~ 104)에 대한 터치만으로 대응하는 조명을 제어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디스플레이 된 평면도 상에서 스위치 아이콘(101 ~ 104)이 표시되어 있지 않은 영역을 터치하여 조명을 제어할 수 있는 방법을 추가로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도1 의 평면도 상에서 조명이 디스플레이 되어 있지 않은 주방의 싱크대를 터치하면 근접한 주방의 스위치 아이콘(103)이 제어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거실의 테이블을 터치하는 경우에는 거실 가운데에 집중된 6개의 조명과 거실 벽면쪽에 배치된 3개의 조명이 동시에 제어되도록 설정 할 수도 있다. 이러한 근접 터치에 의한 조명 제어를 적용하는 경우에는 단순하게 거리적으로 최단거리를 적용하는 것보다, 거실, 주방, 방 등으로 영역을 구분하고 구분된 영역 내에서 터치 위치로부터 지정된 소정 거리 내의 조명을 제어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사용자가 평면도상에서 거실의 특정 위치를 터치하였음에도 최단거리 조명이 방에 위치하는 경우,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게 방의 조명의 제어되는 것과 같은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In addition,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corresponding lighting is controlled by only touching the switch icons 101 to 104. However, a method of controlling the lighting may be additionally applied by touching an area in which the switch icons 101 to 104 are not displayed on the displayed floor plan. For example, when a user touches a sink of a kitchen in which no lighting is displayed on the plan view of FIG. 1, the switch icon 103 of the adjacent kitchen may be controlled. In addition, when touching a table in the living room, it is also possible to set the six lights concentrated in the center of the living room and the three lights arranged on the wall of the living room at the same time. In the case of applying the light control by the proximity touch, rather than simply applying the shortest distance in distance, the area is divided into living rooms, kitchens, rooms, etc. It is preferable to set to control. This is to prevent a malfunction, such as uncontrolled lighting of a room, when the user is unintentionally controlled when the shortest distance lighting is located in the room even though the user touches a specific position of the living room on the floor plan.

도2 는 도1 의 조명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다.FIG. 2 shows the configuration of the lighting control device of FIG.

도2 의 조명 제어 장치는 터치스크린(110), 접촉 판별부(120), 화면 구성부(130), 제어부(140) 및 조명 조절부(150)를 구비한다. 터치스크린(110)은 도1 에서와 같이, 조명이 제어될 공간의 평면도와 스위치 아이콘(101 ~ 104)을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하여 접촉 신호를 접촉 판별부(120)로 전달한다. 여기서 접촉 신호는 하나의 신호일 수 있으나, 복수개의 신호일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의 드래그(drag)와 같은 동작으로 터치 위치가 이동되는 경우에는 접촉 위치 신호가 가변될 수 있다. 접촉 판별부(120)는 터치스크린(110)으로부터 접촉 신호를 인가받아 분석하여 사용자의 터치 위치를 판별하여 접촉 위치 신호를 제어부(140)로 전송한다.The lighting control device of FIG. 2 includes a touch screen 110, a touch determination unit 120, a screen configuration unit 130, a control unit 140, and an illumination control unit 150. As shown in FIG. 1, the touch screen 110 displays a plan view of a space to be controlled for lighting and switch icons 101 to 104, detects a user's touch, and transmits a touch signal to the contact determination unit 120. The contact signal may be one signal or may be a plurality of signals. In addition, when the touch position is moved by an operation such as a drag of the user, the contact position signal may vary. The touch determining unit 120 receives a contact signal from the touch screen 110 and analyzes the touch signal to determine the touch position of the user and transmits the touch position signal to the control unit 140.

제어부(140)는 접촉 판별부(120)로부터 접촉 위치 신호를 인가받아 사용자의 접촉 위치에 매핑되는 평면도상의 영역을 판정한다. 접촉 위치 신호가 가변되는 경우에는 접촉 위치 신호의 이동 방향에 대응하여 스크린 영역(100)에 디스플레이 된 평면도가 이동되도록 화면 구성부(130)를 제어하기 위한 영상 신호를 출력하고, 복수개의 접촉 위치 신호가 가변되는 경우에는 복수개의 접촉 위치 신호의 이동 방향에 따라 디스플레이 된 평면도가 확대, 축소 또는 회전되도록 화면 구성부(130)를 제어하기 위한 영상 신호를 출력한다.The controller 140 receives a contact location signal from the contact determination unit 120 and determines an area on the plan view mapped to the user's contact location. When the contact position signal is variable, an image signal for controlling the screen configuration unit 130 is output to move the plan view displayed on the screen area 100 corresponding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contact position signal, and the plurality of contact position signals are output. When is changed, an image signal for controlling the screen configuration unit 130 is output so that the displayed plan view is enlarged, reduced or rotated according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plurality of contact position signals.

또한 제어부(140)는 판정된 영역 상에 스위치 아이콘(101 ~ 104)이 매핑되어 있다면 스위치 아이콘(101 ~ 104)에 대응하는 조명을 제어하기 위하여 조명 제어 신호를 조명 조절부(150)로 출력한다. 그리고 제어부(150)는 평면도 상에서 거실, 방, 주방 등과 같이 영역을 구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판정된 영역 상에 스위치 아이콘(101 ~ 104)이 매핑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구분된 영역 내에서 지정된 거리 이내의 스위치 아이콘(101 ~ 104)이 터치된 것으로 판별하여 대응하는 조명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if the switch icons 101 to 104 are mapped on the determined area, the controller 140 outputs an illumination control signal to the lighting controller 150 to control the lighting corresponding to the switch icons 101 to 104. . In addition, the controller 150 may classify areas such as a living room, a room, and a kitchen on a plan view. Therefore, as described above, when the switch icons 101 to 104 are not mapped on the determined area, the corresponding lighting is determined by determining that the switch icons 101 to 104 within a specified distance are touched within the divided area. To control.

화면 구성부(130)는 제어부(140)로부터 영상 신호를 인가받고, 영상 신호에 따라 터치스크린(110)을 제어하여 스크린 영역(100)에 평면도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한다.The screen configuration unit 130 receives an image signal from the controller 140 and controls the touch screen 110 according to the image signal so that the top view is displayed on the screen area 100.

조명 조절부(150)는 제어부(140)에서 인가되는 조명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복수개의 조명을 점등한다. 즉 조명 조절부(150)는 실질적으로 조명을 제어하기 위해 조명에 전기를 공급하는 물리적인 스위치이다.The lighting controller 150 lights the plurality of lights in response to the lighting control signal applied from the controller 140. That is, the lighting controller 150 is a physical switch that supplies electricity to the lights in order to control the lights.

터치스크린(110)이 접촉 물체의 압력에 따라 서로 다른 크기의 접촉 신호를 생성하여 접촉 판별부(120)로 인가하는 경우에, 접촉 판별부(120)는 접촉 신호의 크기에 응답하여 터치스크린(110)에 인가된 압력에 대응하는 레벨을 갖는 접촉 위치 신호를 제어부(14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접촉 위치 신호로부터 접촉 위치에 대응하는 조명을 선택하고, 접촉 위치 신호 레벨로부터 선택된 조명을 인가된 압력에 대응하는 조도로 조절하도록 조명 제어 신호를 조명 조절부(150)로 출력할 수 있다. 조명 조절부는 조명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해당 조명을 점등할 뿐만 아니라 조도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조명을 접촉 압력에 대응하는 밝기로 조절하는 디밍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When the touch screen 110 generates contact signals of different sizes according to the pressure of the contact object and applies them to the contact determination unit 120, the touch determination unit 120 responds to the size of the touch signal. The contact position signal having a level corresponding to the pressure applied to 110 may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140. The controller 140 selects an illumination corresponding to the contact position from the contact position signal, and outputs an illumination control signal to the illumination controller 150 to adjust the illumination selected from the contact position signal level to the illuminance corresponding to the applied pressure. can do. The lighting controller not only turns on the lighting but also adjusts the illumination in response to the lighting control signal. That is, the dimming function may be performed to adjust the illumination to the brightness corresponding to the contact pressure.

상기에서는 터치스크린(110)과 접촉 판별부(120)를 구분하였으나, 접촉 판별부(120)는 터치스크린(110)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화면 구성부(130) 및 조명 조절부(150)는 제어부(140)에 포함될 수 있다.
In the above, the touch screen 110 and the touch discriminating unit 120 are divided, but the touch discriminating unit 120 may be included in the touch screen 110. In addition, the screen configuration unit 130 and the lighting control unit 150 may be included in the controller 140.

도3 은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 기반 조명 제어 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낸다.3 shows another example of a touch screen based light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1 에서 스크린 영역(100)은 단순히 스크린 영역(100) 전체에 제어하고자 하는 조명이 배치된 공간에 대응하는 평면도를 디스플레이 하였으나, 도3 의 스크린 영역(200)은 각각의 기능에 따라 스크린 영역(200)이 조명 배치 디스플레이 영역(210), 구역별 조절 영역(230), 소비 전력 디스플레이 영역(250) 및 조도 조절 영역(270)으로 구분된다.In FIG. 1, the screen area 100 simply displays a plan view corresponding to a space in which the lighting to be controlled is controlled in the entire screen area 100. However, the screen area 200 of FIG. 200 is divided into an illumination arrangement display area 210, a zone-specific adjustment area 230, a power consumption display area 250, and an illuminance adjustment area 270.

구분된 영역 각각의 기능을 살펴보면, 조명 배치 디스플레이 영역(210)은 조명이 배치된 공간에 대응하는 평면도를 디스플레이 한다. 즉 도1 에서는 스크린 영역(100) 전체에 평면도가 디스플레이 되었으나, 도3 에서는 조명 배치 디스플레이 영역(210)에만 평면도가 디스플레이 된다. 그리고 도1 과 마찬가지로 디스플레이된 공간의 평면도 상에서 실제 조명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개의 스위치 아이콘(101 ~ 104)이 디스플레이 된다. 평면도 및 복수개의 스위치 아이콘(101 ~ 104)은 사용자의 터치 동작에 따라 확대, 축소 및 이동이 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된 복수개의 스위치 아이콘(101 ~ 104) 각각의 위치, 크기, 색상 및 형태는 사용자에 의해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Looking at the function of each of the divided areas, the lighting arrangement display area 210 displays a plan view corresponding to the space in which the lighting is arranged. That is, in FIG. 1, the plan view is displayed in the entire screen area 100, but in FIG. 3, the plan view is displayed only in the lighting arrangement display area 210. As shown in FIG. 1, a plurality of switch icons 101 to 104 are display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actual lighting positions on the floor plan of the displayed space. The plan view and the plurality of switch icons 101 to 104 may be enlarged, reduced, and moved according to a user's touch operation. In addition, the position, size, color, and shape of each of the displayed switch icons 101 to 104 may be variously set by the user.

구역별 조절 영역(230)에는 조명이 배치된 공간 전체를 미리 정해진 구역별로 나누고, 나누어진 구역에 포함된 조명 전체를 일괄로 제어하기 위한 구역 스위치 아이콘(231 ~ 235)이 디스플레이 된다. 도3 에서는 전체 구역 스위치 아이콘(231), 거실 구역 스위치 아이콘(232), 주방 구역 스위치 아이콘(233) 및 복수개의 방 구역 스위치 아이콘(234, 235)만을 도시하였으나, 구역별 조절 영역(230)에 한번에 디스플레이 될 수 있는 구역 스위치 아이콘의 개수보다 더 많은 구역 스위치 아이콘이 스크롤(scoll)을 통해 선택될 수 있다.In the zone-specific adjustment area 230, zone switches icons 231 to 235 for dividing the entire space in which the illumination is arranged by predetermined zones and collectively controlling all the lights included in the divided zones are displayed. In FIG. 3, only the entire zone switch icon 231, the living room zone switch icon 232, the kitchen zone switch icon 233, and the plurality of room zone switch icons 234 and 235 are illustrated. More zone switch icons can be selected by scrolling than the number of zone switch icons that can be displayed at one time.

소비 전력 디스플레이 영역(250)은 현재 제어되고 있는 조명들의 소비 전력을 계산하여 디스플레이 한다. 복수개의 조명 각각의 소비 전력은 조명의 종류나 형태에 따라 미리 결정된다. 따라서 조명 제어 장치(20)는 현재 켜져 있는 조명 각각이 소모하는 전력을 파악할 수 있으며, 각각의 조명이 소모하는 전력의 합으로 전체 소비 전력을 확인할 수 있다. 소비 전력 디스플레이 영역(250)은 기본적으로 복수개의 조명 전체에 대한 소비 전력을 표시하도록 하고, 특정 스위치 아이콘(211 ~ 214)이 선택된 경우에는 해당 조명이 소모하는 소비 전력을 지정된 시간 또는 다른 스위치 아이콘(211 ~ 214, 231 ~ 235)이 선택될 때까지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또한 구역별 조절 영역(230)의 구역 스위치 아이콘(231 ~ 235)이 선택되면, 해당 구역 전체의 조명이 소비하는 소비 전력이 지정된 시간 또는 다른 스위치 아이콘(211 ~ 214, 231 ~ 235)이 선택될 때까지 디스플레이 되도록 할 수 있다.The power consumption display area 250 calculates and displays power consumption of lights currently being controlled. The power consumption of each of the plurality of lights is predetermined according to the type or shape of the light. Therefore, the lighting control device 20 can determine the power consumed by each of the lights that are currently turned on, and can determine the total power consumption by the sum of the power consumed by each light. The power consumption display area 250 basically displays power consumption for all of the plurality of lights. When specific switch icons 211 to 214 are selected, the power consumption display area 250 displays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light for a specified time or another switch icon ( 211 to 214, 231 to 235 can be displayed until selected. In addition, when the zone switch icons 231 to 235 of the zone-specific adjustment area 230 are selected, a time when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lighting of the entire zone is specified or another switch icon 211 to 214 and 231 to 235 may be selected. Until it is displayed.

조도 조절 영역(270)은 복수개의 스위치 아이콘(211 ~ 214, 231 ~ 235)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스위치 아이콘이 선택된 이후, 선택된 스위치 아이콘에 대응하는 조명의 조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조도 조절 바(271)와 조도 조절 바(271)를 따라 이동하면서 현재 조명의 조도 정도를 표시하기 위한 조도 슬라이더(273)를 디스플레이 한다. 사용자는 우선 복수개의 스위치 아이콘(211 ~ 214, 231 ~ 235)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스위치 아이콘을 선택하고, 선택된 스위치 아이콘들에 대응하는 조명의 조도를 조도 슬라이더(273)의 위치를 이동하여 조절할 수 있다. 도1 의 조명 제어 장치(10)는 스위치 아이콘(101 ~ 104)에 대한 터치 압력에 따라 대응하는 조명의 조도를 조절하였으나, 도3 에서는 스크린 영역(200)에 별도의 조도 조절 영역(270)이 구비되므로, 압력을 감지하지 않더라도 조명의 조도를 조절할 수 있다. 그러나 도3 의 조명 제어 장치(20) 또한 도1 의 조명 제어 장치(10)와 마찬가지로 압력을 감지하여 압력을 감지하여 조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두 가지 조도 제어 방법을 모두 사용할 수도 있다.The dimming control area 270 is an illuminance adjustment bar 271 to adjust the illuminance of the light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switch icon after one or more switch icons of the plurality of switch icons 211 to 214 and 231 to 235 are selected. And move along the illuminance adjustment bar 271 to display an illuminance slider 273 for displaying the degree of illuminance of the current light. The user may first select one or more switch icons among the plurality of switch icons 211 to 214 and 231 to 235, and adjust the illuminance of the light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switch icons by moving the position of the illuminance slider 273. have. Although the illumination control device 10 of FIG. 1 adjusts the illuminance of the corresponding illumination according to the touch pressure on the switch icons 101 to 104, in FIG. 3, a separate illuminance control area 270 is provided in the screen area 200. Since it is provided,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illuminance of the light even without detecting the pressure. However, the lighting control device 20 of FIG. 3 may also be configured to adjust the illuminance by sensing the pressure and detecting the pressure similarly to the lighting control device 10 of FIG. 1, and may use both illumination control methods. .

상기에서는 스크린 영역(200)이 조명 배치 디스플레이 영역(210), 구역별 조절 영역(230), 소비 전력 디스플레이 영역(250) 및 조도 조절 영역(270)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스크린 영역(200)의 구성은 사용자가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다.In the above, the screen area 200 has been described as being composed of an illumination arrangement display area 210, a zone-specific adjustment area 230, a power consumption display area 250, and an illumination intensity control area 270. The configuration of the user can be adjusted in various ways.

도4 는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 기반 조명 제어 시스템을 나타낸다.4 illustrates a touch screen based lighting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2에서 조명 제어 장치(10)는 직접 조명을 제어하는 것을 가정하여 설명하였다. 조명 제어 장치(10)가 조명을 직접 제어하는 경우에는 조명 제어 장치(10)가 직접 복수개의 조명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어야 하므로, 대부분 벽면 등에 부착된 형태로 구현된다. 그러나 도4 의 따른 조명 제어 장치(30)는 이러한 제약 사항을 극복하고자 조명 제어 장치(30)에서 조명 조절부(420)를 조명 조절 장치(40)로 별도로 분리하고, 조명 제어 장치(30)와 조명 조절 장치(40)가 무선으로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조명을 조절할 수 있도록 시스템으로 구성하였다. 도4 의 조명 제어 장치(30)에서 터치스크린(310), 접촉 판별부(320), 화면 구성부(330), 제어부(340)는 도1 의 조명 제어 장치(10)의 터치스크린(110), 접촉 판별부(120), 화면 구성부(130), 제어부(140)와 동일하게 동작하므로 별도로 설명하지 않는다. 그러나 도4 의 조명 제어 장치(30)는 조명 제어부를 구비하지 않고 송신부(350)를 구비한다. 송신부(350)는 제어부(340)로부터 조명 제어 신호를 인가받아 조명 조절 장치(40)의 수신부(410)로 무선으로 조명 제어 신호를 전송한다.In FIG. 2, the lighting control apparatus 10 has been describ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lighting is directly controlled. When the lighting control device 10 directly controls the lighting, since the lighting control device 10 is to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lights directly, most of the lighting control device 10 is implemented in the form attached to the wall. However, the lighting control device 30 of FIG. 4 separates the lighting control unit 420 from the lighting control device 30 to the lighting control device 40 separately from the lighting control device 30, and overcomes the limitations. Lighting control device 40 is configured to enable the communication by wireless so that the user can adjust the lighting while moving freely. In the lighting control device 30 of FIG. 4, the touch screen 310, the contact determination unit 320, the screen configuration unit 330, and the controller 340 are the touch screen 110 of the lighting control device 10 of FIG. 1. Since it operates in the same manner as the contact determination unit 120, the screen configuration unit 130, and the control unit 140, it will not be described separately. However, the lighting control device 30 of FIG. 4 does not include the lighting control unit but includes the transmitter 350. The transmitter 350 receives the illumination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ler 340 and wirelessly transmits the illumination control signal to the receiver 410 of the illumination control device 40.

조명 조절 장치(40)는 수신부(410) 및 조명 조절부(420)를 구비하고, 수신부(410)는 조명 제어 장치(30)에서 인가된 조명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조명 조절부(420)로 조절한다. 조명 조절부(420)는 도1 의 조명 조절부(150)와 마찬가지로 조명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복수개의 조명을 점등하거나 조도를 조절한다.The light control device 40 includes a receiver 410 and a light control unit 420, and the receiver 410 receives a light control signal applied from the light control device 30 and adjusts the light control unit 420. do. The lighting controller 420 turns on a plurality of lights or adjusts illuminance in response to the lighting control signal similarly to the lighting controller 150 of FIG. 1.

결과적으로 사용자는 무선 송신 기능을 구비한 조명 제어 장치(30)을 이용하여 공간에 구애받지 않고 자유롭게 조명을 조절할 수 있다.
As a result, the user can freely adjust the lighting regardless of space by using the lighting control device 30 having the wireless transmission function.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The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can be embodied as computer readable code on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kinds of recording apparatuses in which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Examples of the recording medium include a ROM, a RAM, a CD-ROM, a magnetic tape, a floppy disk, an optical data storage device, and the like, and a carrier wave (for example, transmission via the Internet). The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can also be distributed over network coupled computer systems so that the computer readable code is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fashion.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evident that many alternative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Claims (13)

제어하고자 하는 복수개의 조명이 배치된 공간에 대응하는 평면도와 상기 공간에 배치된 상기 복수개의 조명의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평면도 상에 위치에 복수개의 스위치 아이콘을 스크린 영역에 디스플레이하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접촉 물체의 접촉을 감지하여 상기 접촉 물체의 접촉 위치를 접촉 위치 신호로서 출력하는 터치스크린부;
상기 평면도와 상기 복수개의 스위치 아이콘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영상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접촉 위치 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접촉 위치에 매핑되는 평면도 상의 영역을 판정하여, 판정된 영역이 상기 스위치 아이콘이 디스플레이된 영역이면, 상기 판정된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스위치 아이콘이 선택된 것으로 인식하여, 상기 복수개의 조명 중 상기 선택된 스위치 아이콘에 대응하는 조명을 제어하기 위한 조명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영상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스크린 영역에 상기 평면도와 상기 복수개의 스위치 아이콘이 디스플레이 되도록 상기 터치스크린을 제어하는 화면 구성부; 및
상기 조명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복수개의 조명을 제어하는 조명 조절부를 구비하며,
상기 터치스크린부는 상기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된 접촉 물체에 대한 사용자 접촉 압력을 센싱하여 상기 접촉 위치 신호의 신호 레벨을 조절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접촉 위치 신호의 신호 레벨에 따라 상기 조명 제어 신호의 레벨을 조절하여, 상기 선택된 스위치 아이콘에 대응하는 조명의 조도가 사용자 접촉 압력에 비례하여 제어되도록 하는 터치스크린 기반 조명 제어 장치.
Display a plurality of switch icons in a screen area on a plan view corresponding to a space where a plurality of lights to be controlled are arranged and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 position of the plurality of lights arranged in the space, and displaying one or more switch icons A touch screen unit which detects a contact of a contact object and outputs a contact position of the contact object as a contact position signal;
Outputting an image signal such that the top view and the plurality of switch icons are displayed, and determining an area on the top view that is mapped to the contact position by receiving the contact position signal, and if the determined region is an area where the switch icon is displayed, A controller which recognizes that the switch icon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area is selected and outputs an illumination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an illuminati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switch icon among the plurality of illuminations;
A screen configuration unit configured to control the touch screen to display the plan view and the plurality of switch icons on the screen area in response to the video signal; And
An illumination control unit controlling the plurality of lights in response to the light control signal,
The touch screen unit adjusts a signal level of the contact position signal by sensing a user contact pressure on a contact object displayed on the screen,
The control unit adjusts the level of the illumination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signal level of the contact position signal, so that the illuminance of the illuminati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switch icon is controlled in proportion to the user contact pressur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평면도와 상기 복수개의 스위치 아이콘을 상기 스크린 영역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접촉 물체의 접촉을 감지하여 접촉 신호를 출력하는 터치스크린; 및
상기 접촉 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스크린 영역 상의 상기 접촉 물체의 접촉 위치를 판별하여 상기 접촉 위치 신호를 출력하는 접촉 판별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기반 조명 제어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touch screen unit
A touch screen configured to display the plan view and the plurality of switch icons on the screen area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and detect a contact of the contact object and output a contact signal; And
And a touch determination unit configured to receive the touch signal and determine a contact position of the touch object on the screen area and output the contact position signal.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부는
상기 스크린 영역에 상기 복수개의 스위치 아이콘 중 사용자에 의해 미리 지정된 복수개의 스위치 아이콘을 일괄 제어하기 위한 대표 스위치 아이콘을 추가로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대표 스위치 아이콘이 선택된 경우에 상기 미리 지정된 복수개의 스위치 아이콘에 대응하는 상기 복수개의 조명을 제어하기 위한 상기 조명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기반 조명 제어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touch screen unit
And additionally displaying a representative switch icon for collective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switch icons predetermined by a user among the plurality of switch icons in the screen area,
The control unit
And when the representative switch icon is selected, outputting the illumination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plurality of light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predetermined switch icons.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정된 영역이 상기 스위치 아이콘에 대응하는 영역이 아니면, 상기 판정된 영역을 기준으로 지정된 거리 이내의 상기 스위치 아이콘이 모두 터치된 것으로 인식하여 상기 지정된 거리 이내의 스위치 아이콘에 대응하는 조명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기반 조명 제어 장치.
3. The apparatus of claim 2, wherein the control unit
If the determined area is not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switch icon, the switch icon within the distance specified based on the determined area is recognized as being all touched to control the lighting corresponding to the switch icon within the specified distance. Touch screen-based lighting contro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평면도를 지정된 구역별로 구분하고, 상기 지정된 거리 이내의 스위치 아이콘 중 다른 구역에 포함되는 스위치 아이콘은 터치되지 않은 것으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기반 조명 제어 장치.
7. The apparatus of claim 6, wherein the control unit
And dividing the floor plan into designated zones and recognizing that switch icons included in other zones among the switch icons within the designated distance are not touched.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영역은
상기 평면도와 상기 복수개의 스위치 아이콘이 디스플레이 되는 조명 배치 디스플레이 영역; 및
상기 평면도 상에서 상기 구분된 구역들 각각에 포함된 상기 스위치 아이콘을 일괄 제어하기 위한 복수개의 구역 스위치 아이콘이 디스플레이 되는 구역별 조절 영역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기반 조명 제어 장치.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screen area is
An illumination arrangement display area on which the top view and the plurality of switch icons are displayed; And
And a zone-specific adjustment area in which a plurality of zone switch icons are displayed to collectively control the switch icons included in each of the divided zones on the plan view.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영역은
상기 터치스크린 기반 조명 제어 장치에 의해 제어되는 상기 복수개의 조명들의 소비 전력이 디스플레이 되는 소비전력 디스플레이 영역; 및
상기 복수개의 스위치 아이콘 및 상기 복수개의 구역 스위치 아이콘들 중 선택된 스위치 아이콘에 대응하는 상기 조명들의 조도를 조절하기 위한 조도 조절 영역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기반 조명 제어 장치.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screen area is
A power consumption display area on which power consumption of the plurality of lights controlled by the touch screen based lighting control device is displayed; And
And an illumination control area for adjusting illumination of the lights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switch icon among the plurality of switch icons and the plurality of zone switch icons.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조도 조절 영역은
상기 선택된 스위치 아이콘에 대응하는 상기 조명의 조도 범위를 표시하는 조도 조절 바; 및
상기 선택된 스위치 아이콘에 대응하는 상기 조명의 조도 레벨을 표시하는 조도 슬라이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기반 조명 제어 장치.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illuminance control region is
An illumination control bar displaying an illumination range of the illuminati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switch icon; And
And an illuminance slider for displaying an illuminance level of the illuminati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switch icon.
제어하고자 하는 복수개의 조명이 배치된 공간에 대응하는 평면도와 상기 공간에 배치된 상기 복수개의 조명의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평면도 상에 위치에 복수개의 스위치 아이콘을 스크린 영역에 디스플레이하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접촉 물체의 접촉을 감지하여 상기 접촉 물체의 접촉 위치에 매핑되는 평면도 상의 영역이 상기 스위치 아이콘이 디스플레이된 영역이면, 상기 접촉 물체의 접촉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스위치 아이콘이 선택된 것으로 인식하여, 상기 복수개의 조명 중 상기 선택된 스위치 아이콘에 대응하는 조명을 턴온 또는 턴 오프시키기 위한 조명 제어 신호를 생성하되, 상기 접촉 위치에서의 접촉 압력에 따라 조명 제어 신호의 신호 레벨을 가변하는 터치스크린 기반 조명 제어 장치; 및
무선으로 송신되는 상기 조명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조명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복수개의 조명 각각의 턴온 또는 턴 오프 여부와 조도를 동시 제어하는 조명 조절 장치를 구비하는 터치스크린 기반 조명 제어 시스템.
Display a plurality of switch icons in a screen area on a plan view corresponding to a space where a plurality of lights to be controlled are arranged and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 position of the plurality of lights arranged in the space, and displaying one or more switch icons If the area on the top view that detects the contact of the contact object and maps to the contact location of the contact object is the area where the switch icon is displayed, the switch icon corresponding to the contact location of the contact object is recognized and selected, A touch screen-based lighting control device for generating an illumination control signal for turning on or off an illuminati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switch icon during illumination, and varying a signal level of the illumination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contact pressure at the contact position; And
And a lighting control device configured to receive the lighting control signal transmitted wirelessly and simultaneously control whether illumination is turned on or off of each of the plurality of lights in response to the lighting control signal.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 기반 조명 제어 장치는
제어하고자 하는 복수개의 조명이 배치된 공간에 대응하는 평면도와 상기 공간에 배치된 상기 복수개의 조명의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평면도 상에 위치에 복수개의 스위치 아이콘을 스크린 영역에 디스플레이하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접촉 물체의 접촉을 감지하여 상기 접촉 물체의 접촉 위치를 접촉 위치 신호로서 출력하는 터치스크린부;
상기 평면도와 상기 복수개의 스위치 아이콘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영상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접촉 위치 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접촉 위치에 매핑되는 평면도 상의 영역을 판정하여, 판정된 영역이 상기 스위치 아이콘이 디스플레이된 영역이면, 상기 판정된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스위치 아이콘이 선택된 것으로 인식하여, 상기 복수개의 조명 중 상기 선택된 스위치 아이콘에 대응하는 조명을 제어하기 위한 조명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영상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스크린 영역에 상기 평면도와 상기 복수개의 스위치 아이콘이 디스플레이 되도록 상기 터치스크린을 제어하는 화면 구성부; 및
상기 조명 제어 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하기 위한 송신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기반 조명 제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touch screen-based lighting control device
Display a plurality of switch icons in a screen area on a plan view corresponding to a space where a plurality of lights to be controlled are arranged and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 position of the plurality of lights arranged in the space, and displaying one or more switch icons A touch screen unit which detects a contact of a contact object and outputs a contact position of the contact object as a contact position signal;
Outputting an image signal such that the top view and the plurality of switch icons are displayed, and determining an area on the top view that is mapped to the contact position by receiving the contact position signal, and if the determined region is an area where the switch icon is displayed, A controller which recognizes that the switch icon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area is selected and outputs an illumination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an illuminati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switch icon among the plurality of illuminations;
A screen configuration unit configured to control the touch screen to display the plan view and the plurality of switch icons on the screen area in response to the video signal; And
And a transmitter for wirelessly transmitting the illumination control signal.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조절 장치는
상기 조명 제어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부; 및
상기 조명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복수개의 조명을 제어하는 조명 조절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기반 조명 제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light control device
A receiver for receiving the illumination control signal; And
And a light control unit controlling the plurality of lights in response to the light control signal.
KR1020120012400A 2012-02-07 2012-02-07 Ligting control device, system based on touchscreen KR10136123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2400A KR101361232B1 (en) 2012-02-07 2012-02-07 Ligting control device, system based on touchscre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2400A KR101361232B1 (en) 2012-02-07 2012-02-07 Ligting control device, system based on touchscre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1116A KR20130091116A (en) 2013-08-16
KR101361232B1 true KR101361232B1 (en) 2014-02-12

Family

ID=49216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2400A KR101361232B1 (en) 2012-02-07 2012-02-07 Ligting control device, system based on touchscree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1232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8159B1 (en) * 2014-11-28 2016-12-20 엘지전자 주식회사 Light-emitting system and registering method of light-emitting device
KR102478436B1 (en) * 2016-03-07 2022-12-15 난징 이스트하우스 일렉트리컬 컴퍼니 리미티드 Method and system of switching device with programmable function marking
KR102012283B1 (en) * 2016-12-19 2019-08-21 (주)댐코씨에스아이 Electronic Device for Field Study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80082660A (en) * 2017-01-09 2018-07-19 주식회사 티케이랩스 Smart power switch
CN109819104A (en) * 2018-12-26 2019-05-28 努比亚技术有限公司 A kind of terminal interaction control method, terminal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KR20220127035A (en) * 2021-03-10 2022-09-19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controlling external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2742A (en) * 2003-11-04 2005-05-10 가와무라 일렉트릭 가부시키가이샤 A system for controlling lighting
KR20090068072A (en) * 2007-12-22 2009-06-25 세일전기 주식회사 Integrated electric light control device and the method thereof
KR20110039458A (en) * 2008-07-11 2011-04-18 코닌클리즈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Method and computer implemente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lighting infrastructure
KR20110135564A (en) * 2010-06-11 2011-12-19 삼성엘이디 주식회사 Wireless lighting control system using power control priority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2742A (en) * 2003-11-04 2005-05-10 가와무라 일렉트릭 가부시키가이샤 A system for controlling lighting
KR20090068072A (en) * 2007-12-22 2009-06-25 세일전기 주식회사 Integrated electric light control device and the method thereof
KR20110039458A (en) * 2008-07-11 2011-04-18 코닌클리즈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Method and computer implemente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lighting infrastructure
KR20110135564A (en) * 2010-06-11 2011-12-19 삼성엘이디 주식회사 Wireless lighting control system using power control priorit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1116A (en) 2013-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62657B2 (en) Touch-less switching
KR101361232B1 (en) Ligting control device, system based on touchscreen
EP2454522B1 (en) Luminaire with touch pattern control interface
US9237632B2 (en) Illumination light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illumination
US8872442B2 (en) Illumination system
JP5322085B2 (en) Lighting device with user interface for lighting control
JP5160411B2 (en) Improved lighting system
EP2325670B1 (en) Lighting system with user interface with position awareness
JP634570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lighting
US2008031577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ighting Control
CN105979668B (en) Lighting system
JP2008537307A (en) Lighting device control method and control system
CN101341462A (en) Button arrangement for colored lighting controller
JP2012527078A (en) Sharp transition in a circular light-guided ring for user interface with functionality with clear start and end
KR10166555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LED lights
JP6571887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a lighting device
KR20110022665A (en) User interface device for controlling a consumer load and light system using such user interface device
JP649529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illumination
EP2852260A1 (en) Lighting control system
WO2016206991A1 (en) Gesture based lighting control
JP6827460B2 (en) Lighting device controller
CN106958799B (en) Illumination control device, illumination system, and illumination control method
CN102339077A (en) Light emitting device with changeable colors and brightness and control method for light emitting device
US20210289608A1 (en) Illumination control
KR20110076802A (en) Sensibility lighting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