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9926B1 - Portable Magnifying Apparatus which have Auto Focusing - Google Patents

Portable Magnifying Apparatus which have Auto Focus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9926B1
KR101359926B1 KR1020120007790A KR20120007790A KR101359926B1 KR 101359926 B1 KR101359926 B1 KR 101359926B1 KR 1020120007790 A KR1020120007790 A KR 1020120007790A KR 20120007790 A KR20120007790 A KR 20120007790A KR 101359926 B1 KR101359926 B1 KR 1013599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image
subject
distance
image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779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086803A (en
Inventor
윤양택
최경선
이상준
이욱열
김일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힘스인터내셔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힘스인터내셔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힘스인터내셔널
Priority to KR10201200077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9926B1/en
Publication of KR201300868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680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99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992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12Fluid-filled or evacuated lenses
    • G02B3/14Fluid-filled or evacuated lenses of variable focal length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32Means for focusing
    • G03B13/34Power focusing
    • G03B13/36Autofocus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28Alteration of picture size, shape, position or orientation, e.g. zooming, rotation, rolling, perspective, transl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가 용이한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피사체와의 거리에 따라 자동으로 초점 조절이 가능하며, 접사 유무에 따라 조명의 조절이 가능한 자동 초점 기능을 갖는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능동형 자동 초점이 되는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는, 기존의 고정 초점 방식의 휴대용 독서 확대기와 싱글 자동 초점 방식의 휴대용 독서 확대기보다 선명한 화질을 제공하며, 고정 초점 방식 대비 빠른 응답 속도를 갖는 장점이 있고, 사용자가 별도의 유저 인터페이스(UI) 조작을 하지 않아도 항상 안정된 초점을 제공하며, 거리에 따라 접사 모드 유무를 판단하여 자동으로 엘이디(LED) 조명을 제어하므로 사용자에게 보다 조작이 쉬운 편리성을 제공한다. 조명 제어가 자동으로 되고, 자동 초점을 위해 액체 렌즈를 사용함으로써 전원에 대한 소모량을 최소화함으로써 제품 사용 시간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임의로 고정 초점 모드의 선택이 가능하여 필기가 가능함으로 읽기/쓰기를 모두 가능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image magnification device that is easy to carry, and more particularly, can be automatically adjusted according to a distance from a subject, and a portable image magnification having an auto focus function capable of adjusting illumination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re is a macro. Relates to a device.
An active auto focus portable image magnifica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learer picture quality than the conventional fixed focus portable reading magnifier and the single auto focus portable reading magnifier, and has the advantage of having a faster response speed compared to the fixed focus method. Also, even if the user does not need to operate the user interface (UI), it provides stable focus all the time and determines the presence of macro mode according to the distance and automatically controls the LED (LED) light, making it more convenient for the user. to provide. Lighting control is automatic, and the use of liquid lenses for autofocus has the effect of increasing product life by minimizing power consumption.
In addition, since the fixed focus mode can be arbitrarily selected, writing can be performed, thereby enabling both reading and writing.

Description

자동 초점 기능을 갖는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Portable Magnifying Apparatus which have Auto Focusing}Portable Magnifying Apparatus which have Auto Focusing

본 발명은 휴대가 용이한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피사체와의 거리에 따라 자동으로 초점 조절이 가능하며, 접사 유무에 따라 조명의 조절이 가능한 자동 초점 기능을 갖는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image magnification device that is easy to carry, and more particularly, can be automatically adjusted according to a distance from a subject, and a portable image magnification having an auto focus function capable of adjusting illumination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re is a macro. Relates to a device.

통상 시각장애자라 함은 갖가지 안질환으로 인하여 시력을 잃고 광각까지도 상실하여 명암을 구별하는 일조차 할 수 없게 된 상태를 가리키나, 명암의 구별을 아는 정도 및 눈앞에 있는 손의 움직임을 아는 정도의 심한 약시를 가진 사람도 시각장애인에 포함될 수 있으며, 시각 장애인 중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저시력자들은 수정체, 홍채, 망막, 시신경계의 약화의 원인으로 일반적인 안경이나 렌즈로는 문자 또는 그림 등의 피사체를 식별할 수 없는 상태이다.Normally, the visually impaired refers to a condition in which eyesight is lost due to various eye diseases and even wide angles cannot be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People with severe amblyopia may also be included in the visually impaired, and low vision people, who make up the highest proportion of the visually impaired, cause weakness of the lens, iris, retina, and optic nerve system. The state cannot be identified.

영상 확대 장치는 이러한 저시력자나 노약자들의 시력을 보완해 주기 위해 작은 글씨의 책이나 약병, 수표나 화폐 등과 같이 보기 어려운 피사체의 영상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장치이다.The image magnifying device is a device for magnifying and displaying images of difficult subjects such as books, vials, check or money in order to complement the eyesight of such low vision or aged people.

특히 최근에는 크기가 작고 가벼워 휴대가 용이하고 조작이 간편한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가 선호되고 있으며, 이러한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는 크게 고정 초점(Fixed Focus) 방식과 자동 포커스 방식(Auto Focus) 방식으로 구분된다.In particular, recently, a portable image magnification device having a small size and light weight, which is easy to carry and easy to operate is preferred, and such a portable image magnification device is largely classified into a fixed focus method and an auto focus method.

고정 초점 방식은 렌즈의 심도 범위 내의 제한된 거리에서만 피사체를 인식하기 때문에 원거리의 피사체는 인식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자동 초점 방식을 적용한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가 공지된 바 있으나, 이미지 센서를 통해 얻은 영상의 대비를 분석하여 초점을 조절하는 형태이며, 사용자가 제품을 들고 피사체를 볼 때 손 떨림으로 인해 초점이 흐려지는 경우가 발생한다. 또한, 원거리 피사체를 보기 위해서는 수동 포커싱(Manual Focus)을 시도해야 하는 싱글 자동 초점(Single AF) 방식, 즉 반자동 포커스(Semi Auto Focus) 방식을 적용하였기 때문에 사용자가 근거리 피사체와 원거리 피사체를 번갈아 인식하려 할 때 많은 불편함이 따른다.Since the fixed focus method recognizes a subject only at a limited distance within a depth range of a lens, a remote subject cannot be recognized.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is, a portable image magnification device using an auto focus method has been known, but it is a form of adjusting the focus by analyzing the contrast of an image obtained through an image sensor, and when a user looks at a subject while holding a product, Defocus occurs. In addition, to see a far-away subject, a single auto focusing method (Semi Auto Focus), which requires manual focusing, is applied. There is a lot of inconvenience when doing this.

또한, 접사 모드 유무를 인식하지 못하기 때문에 접사 시에만 요구되는 조명이 항상 켜져 있어 제품에 대한 사용 시간이 단축되는 단점이 있다.
In addition, since it does not recognize the presence of the macro mode, the lighting required only for macro photography is always on, which shortens the use time for the product.

따라서 위와 같은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초점 및 조명이 자동으로 조절되는 자동 초점 기능을 갖는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Therefore,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e above problems, the development of a portable image magnification device having an autofocus function in which focus and lighting are automatically adjusted is requir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 초점을 위한 거리 인식 센서를 통해 능동형 자동 초점 기능을 적용하여 사용자에게 안정된 화질을 제공하며, 조명을 능동적으로 제어하여 제품의 사용 시간을 늘리고, 상기한 기능의 조작을 위한 인터페이스가 필요치 않아 조작이 용이한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able image quality to the user by applying an active autofocus function through a distance recognition sensor for autofocus, and to actively control the lighting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ortable image magnification device that is easy to operate because it increases the use time of a product and does not require an interface for operating the above functions.

또한, 획득된 영상에 대해 색상 및 배율 조절이 가능하며, 화면 정지가 가능하고, 획득 영상에 대해 노이즈 및 미세 떨림의 제거가 가능한 이진화 영상으로 출력이 가능한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portable image magnification apparatus capable of adjusting color and magnification of an acquired image, freezing a screen, and outputting a binarized image capable of removing noise and fine tremor from the acquired image.

본 발명의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일면에 설치되며, 근거리 또는 원거리의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해 초점이 조절되는 렌즈부; 상기 몸체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렌즈부를 통해 획득된 영상을 영상데이터로 전환하는 COMS센서부; 상기 몸체의 일면 및 상기 렌즈부 주변에 설치되며, 피사체와 렌즈부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센서부; 상기 몸체의 타면에 설치되며, 상기 영상데이터를 전송받아 출력하는 출력부; 및 상기 거리센서부에서 측정된 거리를 통해 상기 렌즈부의 초점 조절을 제어하는 연산 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portable image magnify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body; A lens unit installed on one surface of the body and configured to adjust focus to photograph a near or far object; A COMS sensor unit provided inside the body and converting an image acquired through the lens unit into image data; A distance sensor unit installed at one surface of the body and around the lens unit to measure a distance between the subject and the lens unit; An output unit install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body and receiving and outputting the image data; And a calculation module for controlling focus adjustment of the lens unit through the distance measured by the distance sensor unit. And a control unit.

이때, 상기 렌즈부는, 자동 초점 렌즈와, 상기 연산 모듈의 제어에 의해 자동 초점 렌즈를 구동하는 자동 초점 구동 드라이버로 구성되며, 상기 자동 초점 렌즈는 액체 렌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is case, the lens unit is composed of an autofocus lens and an autofocus driving driver for driving the autofocus lens under control of the calculation module, wherein the autofocus lens is a liquid lens.

또한, 상기 거리센서부는, 피사체에 적외선을 조사하는 발광부와, 피사체에서 반사된 적외선을 수광하는 수광부로 구성되며, 상기 연산 모듈은 수광부에서 수광된 적외선의 세기를 통해 피사체의 거리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istance sensor unit may include a light emitting unit for irradiating infrared rays to a subject and a light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infrared rays reflected from the subject, and the calculation module measures the distance of the subject through the intensity of the infrared rays received from the light receiving unit. It features.

또한, 상기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는, 상기 몸체의 일면에 설치되며, 피사체의 조명을 위한 LED조명부; 를 더 포함하며, LED 조명부는 상기 연산 모듈의 제어에 의해 접사 시에만 켜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ortable image magnification device, is installed on one surface of the body, LED lighting for illumination of the subject; It further comprises, LED lighting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turned on only when the macro under the control of the calculation module.

또한, 상기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는, 상기 몸체의 측면에 구비되며, 사용자의 입력을 받는 UI부; 를 포함하며, 상기 UI부는, 색상조절을 위한 제1 버튼, 줌 조절을 위한 제2 버튼, 자동초점 및 수동초점 모드 전환을 위한 제3 버튼, 화면 정지를 위한 제4 버튼, 전원 온/오프를 위한 제5 버튼 중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ortable image magnification apparatus, the UI unit is provided on the side of the body, receiving a user input; The UI unit includes a first button for color adjustment, a second button for zoom control, a third button for switching between auto focus and manual focus mode, a fourth button for freezing the screen, power on / off At least one or more selected from among the fifth button for.

또한, 상기 출력부는, 상기 CMOS센서부로부터 전송된 영상데이터를 메모리에 적재시키는 영상획득모듈; 상기 영상데이터의 휘도신호를 통해 최대 픽셀(pixel) 휘도 값 및 최소 픽셀 휘도 값을 추출하고, 상기 최대 픽셀 휘도 값 및 상기 최소 픽셀 휘도 값을 통해 임계치를 산출하는 임계치산출부; 상기 임계치에 의거하여 상기 영상데이터에 대한 이진화 영상을 생성하는 이진화부; 상기 이진화 영상을 출력하는 화면출력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output unit may include: an image acquisition module configured to load image data transmitted from the CMOS sensor unit into a memory; A threshold calculator configured to extract a maximum pixel luminance value and a minimum pixel luminance value through the luminance signal of the image data, and calculate a threshold value based on the maximum pixel luminance value and the minimum pixel luminance value; A binarizer configured to generate a binarized image of the image data based on the threshold value; A screen output unit which outputs the binarized image; And a control unit.

또한, 상기 출력부는, 상기 영상데이터의 노이즈를 제거하고, 상기 영상데이터의 움직임을 검출하여 미세 떨림을 제거하는 노이즈필터부(220); 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output unit may include: a noise filter 220 to remove noise of the image data and to detect fine movement by removing movement of the image data; Is further provided.

또한, 상기 임계치는, 해당 프레임의 디지털 영상데이터에 대한 최대 픽셀 휘도 값 및 최소 픽셀 휘도 값의 평균값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threshold may be an average of a maximum pixel luminance value and a minimum pixel luminance value of the digital image data of the frame.

아울러, 상기 이진화부는, 해당 픽셀의 휘도 값이 상기 임계치보다 이하인 경우 상기 해당 픽셀의 색상을 배경색으로 하고, 상기 해당 픽셀의 휘도 값이 상기 임계치보다 이상인 경우 상기 해당 픽셀의 색상을 글자색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binarization unit sets the color of the pixel as a background color when the luminance value of the pixel is less than the threshold value, and sets the color of the pixel as a text color when the luminance value of the pixel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threshold value. It features.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능동형 자동 초점이 되는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는, 기존의 고정 초점 방식의 휴대용 독서 확대기와 싱글 자동 초점 방식의 휴대용 독서 확대기보다 선명한 화질을 제공하며, 고정 초점 방식 대비 빠른 응답 속도를 갖는 장점이 있고, 사용자가 별도의 유저 인터페이스(UI) 조작을 하지 않아도 항상 안정된 초점을 제공하며, 거리에 따라 접사 모드 유무를 판단하여 자동으로 엘이디(LED) 조명을 제어하므로 사용자에게 보다 조작이 쉬운 편리성을 제공한다. 조명 제어가 자동으로 되고, 자동 초점을 위해 액체 렌즈를 사용함으로써 전원에 대한 소모량을 최소화함으로써 제품 사용 시간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The portable image magnifica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ctive autofocus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provides clearer picture quality than the conventional fixed focus portable reading magnifier and the single auto focus portable reading magnifier, and is faster than the fixed focus method. It has the advantage of having a response speed, and provides a stable focus at all times even if the user does not have a separate user interface (UI) operation, and determines the presence or absence of macro mode according to the distance to automatically control the LED (LED) light to the user It is easy to operate and offers convenience. Lighting control is automatic, and the use of liquid lenses for autofocus has the effect of increasing product life by minimizing power consumption.

또한, 임의로 고정 초점 모드의 선택이 가능하여 필기가 가능함으로 읽기/쓰기를 모두 가능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fixed focus mode can be arbitrarily selected, writing can be performed, thereby enabling both reading and writing.

도 1은 본 발명의 영상 확대 장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영상 확대 장치 저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영상 확대 장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영상 확대 장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영상 확대 장치 블록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mage enlarge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bottom view of the image magnifica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lan view of an image enlarge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ide view of the image magnifica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block diagram of an image enlarge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영상 확대 장치(100)는 몸체(100a), 렌즈부(110), CMOS센서부(115), 거리센서부(120), 출력부(130), LED조명부(140), UI부(User interface part, 150), 받침대(160), 연산모듈(17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1 to 5, the image magnification apparatus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100a, a lens unit 110, a CMOS sensor unit 115, a distance sensor unit 120, an output unit 130, LED lighting unit 140, the UI unit (User interface part, 150), the pedestal 160, and comprises a calculation module 170.

몸체(100a)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함체 상으로 이루어진다. 몸체(100a)의 일면에는 렌즈부(110), 거리센서부(120), LED조명부(140), 받침대(160)와 같이 피사체의 촬영을 담당하는 입력부가 형성된다. 몸체(100a)의 타면에는 촬영되는 피사체를 디스플레이 하는 출력부(130)가 형성된다. 몸체(100a)의 측면에는 사용자의 조작 편의를 위한 UI부(150)가 형성된다. 몸체(100a)의 내부에는 상기 구성들을 연결하며, COMS센서부(115), 연산모듈(170)과 같은 제어 회로가 내장될 수 있다. 몸체(100a)는 한손으로 휴대가 가능한 정도의 사이즈가 바람직하다.
The body 100a is formed on an enclosure having a space formed therein. On one surface of the body 100a, an input unit for photographing a subject is formed, such as a lens unit 110, a distance sensor unit 120, an LED lighting unit 140, and a pedestal 160. On the other side of the body (100a) is formed an output unit 130 for displaying a subject to be photographed. The UI unit 150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body 100a for the user's convenience of operation. The above components are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body 100a, and a control circuit such as the COMS sensor unit 115 and the operation module 170 may be embedded. Body 100a is preferably a size that can be carried with one hand.

렌즈부(110)는 직하면 또는 원거리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100a)의 하면에 설치될 수 있다. 렌즈부(110)는 자동 초점 렌즈(111)와 자동 초점 구동 드라이버(112)로 구성된다. 렌즈부(110)는 근접 또는 원거리 촬영을 위해 초점이 조절되는 액체 렌즈로 될 수 있다. 액체 렌즈는 기존의 자동 초점 렌즈 보다 가벼우며, 전류 소모량이 적은 장점이 있다. 자동 초점 구동 드라이버(112)는 몸체(100a)의 내부에 구성되며, 연산모듈(170)의 제어에 의해 자동 초점 렌즈(111)의 초점을 조절하게 된다. 자동 초점 구동 드라이버(112)는 통상의 액체 렌즈의 초점 조절을 위한 구성이 적용되는 바 이에 대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영상 확대 장치는 근거리 피사체와 원거리 피사체의 영상 획득이 가능하다.
The lens unit 110 may be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100a so as to photograph the direct surface or the distant subject. The lens unit 110 includes an auto focus lens 111 and an auto focus driving driver 112. The lens unit 110 may be a liquid lens in which focus is adjusted for close or long distance photography. Liquid lenses are lighter than conventional autofocus lenses and have the advantage of lower current consumption. The auto focus driving driver 112 is configured inside the body 100a and adjusts the focus of the auto focus lens 111 by the control of the calculation module 170. Auto focus driving driver 112 is applied to the configuration for adjusting the focus of the conventional liquid len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With the above configuration, the image magnifica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cquire an image of a near subject and a far subject.

COMS센서부(115)는 몸체(100a)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COMS센서부(115)는 렌즈부(110)에서 획득된 물리적인 신호를 전기적인 신호로 전환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COMS센서부(115)에 의해 획득된 영상은 영상데이터화 된다. 일예로 상기 영상은 COMS센서부(115)를 통해 SVGA(800*600), YUV422, 30f/s, Progressive 등과 같은 포맷으로 영상데이터와 될 수 있다.
The COMS sensor unit 115 may be installed inside the body 100a. The COMS sensor unit 115 serves to convert the physical signal obtained from the lens unit 110 into an electrical signal. Therefore, the image acquired by the COMS sensor unit 115 is converted into image data. For example, the image may be the image data in a format such as SVGA (800 * 600), YUV422, 30f / s, Progressive, etc. via the COMS sensor 115.

거리센서부(120)는 몸체(100a)의 일면에 구비된다. 거리센서부(120)는 렌즈부(110)에 인접 설치될 수 있다. 거리센서부(120)는 피사체와의 거리를 측정하여 연산모듈(170)을 통해 렌즈부(110)의 초점을 조절하기 위한 구성이다. 또한 거리센서부(120)를 통해 접사 모드를 인식하여 LED조명부(140)의 동작도 제어하게 된다. 거리센서부(120)는 피사체에 적외선을 조사하는 발광부(121)와, 피사체로부터 반사되는 적외선을 감지하는 수광부(122)로 구성된다. 발광부(121)는 통상의 적외선LED가 적용될 수 있다. 수광부(122)에서 감지된 적외선의 세기는 연산 모듈(170)에 전달되며 연산 모듈(170)을 통해 피사체의 거리가 측정되어 렌즈부(110)의 초점을 제어한다. 이때, 연산 모듈(170)에는 피사체와 각 거리에 대한 자동 초점 설정 값을 테이블로 구성하여 저장한다. 상기 저장된 값은 각 거리에 대한 자동 초점을 설정하고, 가장 화면이 선명한 상태일 때의 값이므로, 이는 초점거리(Focus Length) 전 구간에 대해 렌즈부(110)를 조정하면서 샤프니스(sharpness) 및 에지(edge)의 최대 값을 찾은 수동 방식의 자동 초점보다 처리 속도가 매우 빠른 장점이 있다.
The distance sensor unit 120 is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body 100a. The distance sensor unit 120 may be installed adjacent to the lens unit 110. The distance sensor unit 120 is a component for adjusting the focus of the lens unit 110 through the calculation module 170 by measuring the distance to the subject. In addition, the distance sensor unit 120 recognizes the macro mode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LED lighting unit 140. The distance sensor unit 120 includes a light emitting unit 121 for irradiating infrared rays to a subject and a light receiving unit 122 for detecting infrared rays reflected from the subject. The light emitting unit 121 may be a conventional infrared LED is applied. The intensity of the infrared rays detected by the light receiver 122 is transmitted to the calculation module 170, and the distance of the subject is measured through the calculation module 170 to control the focus of the lens unit 110. In this case, the calculation module 170 configures and stores the autofocus setting values for the subject and each distance as a table. The stored value sets the auto focus for each distance and is the value when the screen is clearest. Therefore, this value is used to adjust sharpness and edge while adjusting the lens unit 110 over the entire focal length. The processing speed is much faster than the manual focus that finds the maximum value of the edge.

또한, 연산 모듈(170)을 통해 피사체의 접사 모드가 인식되면, LED조명부(140)를 동작시킨다.
In addition, when the macro mode of the subject is recognized through the operation module 170, the LED lighting unit 140 is operated.

LED조명부(140)는 몸체(100a)의 일면에 구비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렌즈부(110)의 주변에 설치될 수 있다. 이는 렌즈부(110)가 피사체의 영상 획득이 용이하도록 피사체를 밝게 비추기 위함이다. LED조명부(140)는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발광다이오드소자가 적용될 수 있다. 이때 LED조명부(140)는 피사체의 접사 시에만 동작하기 위해 연산 모듈(170)의 제어에 의해 동작한다. 따라서 전력 소모를 줄이고, 휴대용 장치의 단점인 한정된 사용시간을 늘릴 수 있다.
LED lighting unit 140 may be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body (100a). In more detail, it may be installed around the lens unit 110. This is for the lens unit 110 to brighten the subject so that the image of the subject is easily acquired. LED lighting unit 140 may be a light emitting diode device that is commonly used. At this time, the LED lighting unit 140 operates under the control of the calculation module 170 to operate only when the subject is in close-up. Therefor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power consumption and increase the limited use time which is a disadvantage of the portable device.

UI부(150)는 몸체(100a)의 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UI부(150)는 사용자의 입력 값을 버튼의 클릭을 통해 받아들여 연산 모듈(170) 또는 출력부(130)에 전달하게 된다.The UI unit 150 may be provided on the side of the body 100a. The UI unit 150 receives a user's input value through a click of a button and delivers the input value to the operation module 170 or the output unit 130.

상기 UI부(150)는 제1 버튼(151), 제2 버튼(152), 제3 버튼(153), 제4 버튼(154) 및 제5 버튼(155)으로 구성된다.The UI unit 150 includes a first button 151, a second button 152, a third button 153, a fourth button 154, and a fifth button 155.

제1 버튼(151)은 출력부(130)를 통해 출력되는 영상의 색상을 변경 시키도록 클릭을 통해 출력부(130)에 입력 값을 전달하게 된다.The first button 151 transmits an input value to the output unit 130 by clicking to change the color of the image output through the output unit 130.

제2 버튼(152)은 휠 버튼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제2 버튼(152)은 출력부(130)를 통해 출력되는 영상의 배율(Zoom)을 조절하도록 연산 모듈(170)에 입력 값을 전달하게 된다. 이때 제2 버튼(152)은 휠 버튼의 형태로 버튼의 롤링을 통해 입력 값을 전달하게 되는 데, 이는 배율(Zoom)을 더욱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 second button 152 is in the form of a wheel button. The second button 152 transmits an input value to the calculation module 170 to adjust the zoom of the image output through the output unit 130. In this case, the second button 152 transmits an input value through the rolling of the button in the form of a wheel button, which has an advantage of more finely adjusting the zoom.

제3 버튼(153)은 렌즈부(110)의 구동을 자동 초점 모드 또는 수동 초점 모드로 전환 가능하도록 연산 모듈(170)에 입력 값을 전달하게 된다.The third button 153 transmits an input value to the calculation module 170 to switch the driving of the lens unit 110 to the auto focus mode or the manual focus mode.

제4 버튼(154)은 출력부(130)를 통해 출력되는 영상을 캡처하도록 클릭을 통해 출력부(130)에 입력 값을 전달한다.The fourth button 154 transfers an input value to the output unit 130 by clicking to capture an image output through the output unit 130.

제5 버튼(155)은 영상 확대 장치의 전원을 ON/OFF 하도록 클릭을 통해 연산 모듈(170)에 입력 값을 전달한다.
The fifth button 155 transfers an input value to the operation module 170 by clicking to turn on / off the power of the image magnification device.

받침대(160)는 몸체(100a)의 일면 양측에 각각 형성된다. 또한, 몸체(100a)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받침대(160)는 피사체를 접사할 경우 피사체와 렌즈부(110)가 일정거리 이격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받침대(160)는 몸체(100a)의 일면에서 외측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Pedestal 160 is formed on each side of one side of the body (100a). In addition, it may b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100a). The pedestal 16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subject and the lens unit 11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when the subject is close to the subject. Pedestal 160 may be formed to extend outward from one surface of the body (100a).

거리 센서(120)는 동일한 모델이더라도 측정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측정 오차가 발생하면 측정 오차로 인하여 영상의 화질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측정 오차를 보정이 필요하다. 측정 오차를 보정하기 위한 방법은 받침대(160)를 기준으로 보정을 하게 된다. 받침대(160)는 동일한 높이를 가짐으로 받침대를 바닥 면에 놓고, 거리를 측정하여 연산 모듈(170)에 계산되어 있는 거리 센서 테이블 값을 보정한다. 보정된 값을 기준으로 측정된 거리에 대해 보상함으로써 자동 초점에 대해 선명한 영상을 제공한다.
Although the distance sensor 120 is the same model, measurement errors may occur. If a measurement error occurs, the image quality may be degraded due to the measurement error. Therefore, correction of measurement error is necessary. The method for correcting the measurement error is to be corrected based on the pedestal (160). The pedestal 160 has the same height so that the pedestal is placed on the bottom surface and the distance is measured to correct the distance sensor table value calculated in the calculation module 170. By compensating for the measured distance based on the corrected value, a clear image is provided for auto focus.

연산모듈(170)은 몸체(100a)의 내부에 회로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연산모듈(170)은 이미지 센서 모듈, 거리센서부, 자동 초점 구동 드라이버, 영상 처리 모듈, 화면출력부를 제어하는 중앙 처리 모듈이다. 일예로 거리조절부(120)의 적외선 신호를 입력받아 피사체와의 거리를 측정하며, 측정 거리를 기반으로 자동 초점 구동 드라이버(112)를 구동시켜 자동 초점 렌즈(111)의 초점을 조절한다.
The calculation module 170 may be installed in the form of a circuit inside the body 100a. The operation module 170 is a central processing module that controls the image sensor module, the distance sensor unit, the auto focus driver, the image processing module, and the screen output unit. For example, the infrared signal of the distance adjusting unit 120 is input to measure a distance to the subject, and the auto focus driving driver 112 is driven based on the measured distance to adjust the focus of the auto focus lens 111.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출력부(130)는 영상획득모듈(131), 노이즈필터부(미도시), 확대필터부(미도시), 색상필터부(미도시), 임계치산출부(132), 이진화부(133) 및 화면출력부(13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Referring to FIG. 4, the output unit 130 includes an image acquisition module 131, a noise filter unit (not shown), an enlargement filter unit (not shown), a color filter unit (not shown), and a threshold calculation unit 132. , The binarization unit 133 and the screen output unit 134.

영상획득모듈(131)은 CMOS센서부(115)를 통해 전송된 영상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하며, 이진화 영상에 필요한 문턱 값(Threshold) 결정을 위한 히스토그램(Histogram)을 추출하여 문턱 값을 결정한다.The image acquisition module 131 stores image data transmitted through the CMOS sensor unit 115 in a memory, and extracts a histogram for determining a threshold required for the binarized image to determine a threshold value.

노이즈필터부는 상기 영상데이터에 대해 일반적인 영상노이즈인 가우시안 노이즈 및 salt & pepper 노이즈를 제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노이즈필터부는 상기 영상데이터의 미세 떨림 현상을 제거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The noise filter unit removes Gaussian noise and salt & pepper noise, which are general image noise, on the image data. In addition, the noise filter unit performs the following process in order to remove the fine tremble phenomenon of the image data.

노이즈필터부는 제 N-1프레임의 영상데이터에 대한 블록이미지 및 제 N프레임의 영상데이터에 대한 블록이미지 간의 차영상(difference image)을 산출한다. 상기 산출된 상기 차영상을 이용하여 소정의 프레임 간 지연시간에 따른 움직임 정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노이즈필터부는 제 N-1프레임의 영상데이터에 대한 블록이미지 및 제 N프레임의 영상데이터에 대한 블록이미지를 이치화시켜 XNOR연산 등에 의해 모션벡터를 추정함으로써 상기 소정의 프레임 간 지연시간에 따른 움직임 정도를 측정하게 된다.The noise filter section calculates a difference image between a block image of the image data of the (N-1) th frame and a block image of the image data of the Nth frame. And the degree of motion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inter-frame delay time can be measured using the calculated difference image. Accordingly, the noise filter unit binarizes the block image of the image data of the (N-1) -th frame and the image data of the N-th frame, estimates the motion vector by an XNOR operation or the like, .

따라서 노이즈필터부는 상기 움직임 정도가 선정된(predetermined) 값보다 이하인 경우 상기 제 N-1프레임의 영상데이터를 유지하고, 상기 움직임 정도가 상기 선정된 값보다 이상인 경우 상기 제 N프레임의 영상데이터를 출력하도록 한다.Therefore, the noise filter unit maintains the image data of the (N-1) -th frame when the degree of motion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value, and outputs the image data of the N-th frame when the degree of motion is greater than the predetermined value .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노이즈필터부는 상기 움직임 정도가 선정된(predetermined) 값보다 이하인 경우 상기 제 N-1프레임의 영상데이터를 유지함으로써 후술되는 영상 이진화에 의한 미세한 떨림 현상을 제거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noise filter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move minute tremors caused by image binarization,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by maintaining the image data of the (N-1) -th frame when the degree of motion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value .

즉, 본 발명의 노이즈필터부는 소정의 프레임 간 지연시간에 따른 움직임이 미세하여 움직임 정도가 기 설정된 기준치보다 작을 경우 움직임이 없는 것으로 간주하도록 구현하는 것이다.That is, the noise filter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when the motion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inter-frame delay time is fine and the degree of motion is smaller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the noise filter unit is regarded as no motion.

확대필터부는 영상데이터를 화면출력부(134)의 LCD 해상도에 맞게 확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확대필터부는 상기 영상데이터를 이중선형 보간법(bilinear interpolation)을 통해 확대하게 된다.The enlargement filter unit enlarges the image data according to the LCD resolution of the screen output unit 134. The enlargement filter unit enlarges the image data through bilinear interpolation.

색상필터부는 영상데이터에 대해 UI부(150)에서 전달되는 사용자 입력 값을 전달받아 밝기 및 고대비를 적용시키게 된다.
The color filter unit receives the user input value transmitted from the UI unit 150 to the image data to apply brightness and high contrast.

임계치산출부(132)는 상기 영상데이터의 휘도신호를 통해 최대 픽셀(pixel) 휘도 값 및 최소 픽셀 휘도 값을 추출하고, 상기 최대 픽셀 휘도 값 및 상기 최소 픽셀 휘도 값을 통해 임계치를 산출한다. 상기 임계치는 해당 프레임의 영상데이터에 대한 최대 픽셀 휘도 값 및 최소 픽셀 휘도 값의 평균값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threshold calculator 132 extracts a maximum pixel luminance value and a minimum pixel luminance value through the luminance signal of the image data, and calculates a threshold value based on the maximum pixel luminance value and the minimum pixel luminance value. The threshold value may be implemented as an average value of a maximum pixel luminance value and a minimum pixel luminance value for image data of a corresponding frame.

또한, 임계치산출부(132)는 산출된 임계치에 사용자로부터 선택 입력받은 가중치를 적용한 값을 영상 이진화를 위한 임계치로 이용할 수 도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가중치를 통해 상기 이진화 영상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상기 가중치에 따라 달리하는 상기 이진화 영상의 배경색 영역을 통해 상기 이진화 영상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threshold calculator 132 may use a value obtained by applying a weight selected by the user to the calculated threshold as a threshold for image binarization. In this case, the brightness of the binarized image may be adjusted through the weight. That is, the brightness of the binarized image may be adjusted through a background color region of the binarized image that varies according to the weight.

이진화부(133)는 상기 임계치에 의거하여 상기 영상데이터에 대한 이진화 영상을 생성한다. 즉, 이진화부(133)는 해당 픽셀의 휘도 값이 상기 임계치보다 이하인 경우 상기 해당 픽셀의 색상을 배경색으로 구현하고, 상기 해당 픽셀의 휘도 값이 상기 임계치보다 이상인 경우 상기 해당 픽셀의 색상을 글자색으로 구현할 수 있다.The binarization unit 133 generates a binarized image of the image data based on the threshold. That is, the binarization unit 133 implements the color of the pixel as a background color when the luminance value of the pixel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threshold value. If the luminance value of the pixel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threshold value, the color of the pixel is a text color. Can be implemented.

이진화부(133)는 UI부(150)를 통해 사용자가 선택한 입력 값에 따라 설정된 배경색 및 글자색을 영상 이진화를 위한 색상으로 이용한다.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의 선택 입력에 따라 설정된 상기 배경색 및 상기 글자색이 각각 검정색 및 녹색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이진화부(133)는 상기 임계치에 의거하여 상기 영상데이터를 상기 배경색 및 상기 글자색이 각각 검정색 및 녹색인 이진화 영상으로 변환할 수 있다.
The binarization unit 133 uses the background color and the text color set according to the input value selected by the user through the UI unit 150 as colors for image binarization. For example, the background color and the text color set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input may be black and green, respectively. In this case, the binarization unit 133 may convert the image data into a binarized image in which the background color and the text color are black and green, respectively, based on the threshold value.

화면출력부(134)는 이진화부(133)를 통해 최종 결정된 영상데이터를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화면출력부(134)가 몸체(100a)의 타면에 노출되도록 구성되며, 화면출력부(134)는 통상의 LCD패널이 적용될 수 있다.
The screen output unit 134 outputs the finally determined image data through the binarization unit 133. Therefore, the screen output unit 134 is configured to be exposed to the other surface of the body 100a, the screen output unit 134 may be applied to a conventional LCD panel.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은 출력부(130)를 통해 깨끗하고 선명한 이진화 영상을 제공하여 황반변성, 안구진탕 등으로 인해 휘어져 보이거나, 퍼져 보이는 현상 및 영상 이진화에 의한 미세 떨림 현상을 제거하여 상기 사용자의 피사체 또는 시각매체에 대한 집중력 및 인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by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provides a clear and clear binarization image through the output unit 130 to remove the phenomenon caused by the appearance of the macular degeneration, eye shaking, etc.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concentration and perception of the user's subject or visual medium.

또한, 이동 시에도 책이나 신문, 사진 등을 확대해 볼 수 있고, 사용자가 자신의 기호에 맞게 상기 이진화 영상의 색상을 변경할 수 있어, 시각장애인의 학습, 재활 및 정보 접근의 도구로서 이용될 수 있다. 아울러 근접한 피사체 이외에도 원거리 피사체를 자동 초점 조절 기능을 통해 별도의 조작 없이 선명하게 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enlarge a book, a newspaper, a photograph, and the like even when moving, and the user can change the color of the binarized image according to his or her own preference, so that it can be used as a tool for learning, rehabilitation, have. In addition to the proximity of the subject, the remote subject can be clearly seen through the auto-focus function without additional operation.

본 발명의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하여 기술적 사상을 해석해서는 안 된다.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업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된다.
The technical idea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ccordingly, such modifications and changes are within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s long as it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100 : 영상 확대 장치
100a : 몸체
110 : 렌즈부 111 : 자동 초점 렌즈
112 : 자동 초점 구동 드라이버 115 : CMOS센서부
120 : 거리조절부 121 : 발광부
122 : 수광부
130 : 출력부 131 : 영상획득 모듈
132 : 임계치 산출부 133 : 이진화부
134 : 화면 출력부
140 : LED조명부
150 : UI부
160 : 받침대
170 : 연산 모듈
100: video magnification device
100a: body
110: lens unit 111: auto focus lens
112: auto focus drive driver 115: CMOS sensor unit
120: distance adjusting unit 121: light emitting unit
122: light receiver
130: output unit 131: image acquisition module
132: threshold calculation unit 133: binarization unit
134: screen output unit
140: LED lighting
150: UI unit
160: pedestal
170: arithmetic module

Claims (10)

몸체;
상기 몸체의 일면에 설치되며, 근거리 또는 원거리의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해 초점이 조절되는 렌즈부;
상기 몸체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렌즈부를 통해 획득된 영상을 영상데이터로 전환하는 CMOS센서부;
상기 몸체의 일면 및 상기 렌즈부 주변에 설치되며, 피사체와 렌즈부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센서부;
상기 몸체의 타면에 설치되며, 상기 영상데이터를 전송받아 출력하는 출력부;
상기 거리센서부에서 측정된 거리를 통해 상기 렌즈부의 초점 조절을 제어하는 연산 모듈; 및
상기 몸체의 일면 양측에 형성되는 받침대; 를 포함하며,
상기 거리센서부는, 상기 근거리 피사체와 상기 렌즈부의 거리 측정 시 상기 받침대의 높이를 기준으로 상기 근거리 피사체와 상기 렌즈부의 거리를 보상하는, 자동 초점 기능을 갖는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
Body;
A lens unit installed on one surface of the body and configured to adjust focus to photograph a near or far object;
A CMOS sensor unit provided inside the body and converting an image acquired through the lens unit into image data;
A distance sensor unit installed at one surface of the body and around the lens unit to measure a distance between the subject and the lens unit;
An output unit install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body and receiving and outputting the image data;
A calculation module for controlling focus adjustment of the lens unit through the distance measured by the distance sensor unit; And
Pedestals formed on both sides of one surface of the body; Including;
And the distance sensor unit compensates for the distance between the near subject and the lens unit based on the height of the pedestal when measuring the distance between the near subject and the lens uni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는,
자동 초점 렌즈와, 상기 연산 모듈의 제어에 의해 자동 초점 렌즈를 구동하는 자동 초점 구동 드라이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초점 기능을 갖는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lens unit includes:
And an autofocus driving driver for driving the autofocus lens under the control of the calculation module.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초점 렌즈는, 액체 렌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초점 기능을 갖는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And the auto focus lens is a liquid len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센서부는,
피사체에 적외선을 조사하는 발광부와, 피사체에서 반사된 적외선을 수광하는 수광부로 구성되며, 상기 연산 모듈은 수광부에서 수광된 적외선의 세기를 통해 피사체의 거리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초점 기능을 갖는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distance sensor unit,
The light emitting unit for irradiating the infrared light to the subject, and the light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the infrared light reflected from the subject, the calculation module is characterized by measuring the distance of the subject through the intensity of the infrared light received from the light receiving unit. Having a portable video magnification devi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는,
상기 몸체의 일면에 설치되며, 피사체의 조명을 위한 LED조명부;
를 더 포함하며,
LED 조명부는 상기 연산 모듈의 제어에 의해 접사 시에만 켜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초점 기능을 갖는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portable image enlarging device includes:
Is installed on one surface of the body, LED lighting unit for illumination of the subject;
Further comprising:
The LED lighting unit is a portable image magnification device having an autofocus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light is turned on only when the macro under the control of the calculation modul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는,
상기 몸체의 측면에 구비되며, 사용자의 입력을 받는 UI부;
를 포함하며,
상기 UI부는, 색상조절을 위한 제1 버튼, 줌 조절을 위한 제2 버튼, 자동초점 및 수동초점 모드 전환을 위한 제3 버튼, 화면 정지를 위한 제4 버튼, 전원 온/오프를 위한 제5 버튼 중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초점 기능을 갖는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portable image enlarging device includes:
A UI unit provided at a side of the body and receiving a user input;
Including;
The UI unit, a first button for color adjustment, a second button for zoom control, a third button for switching the autofocus and manual focus mode, a fourth button for freezing the screen, a fifth button for power on / off Portable image magnification device having an autofocus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selected from.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CMOS센서부로부터 전송된 영상데이터를 메모리에 적재시키는 영상획득모듈;
상기 영상데이터의 휘도신호를 통해 최대 픽셀(pixel) 휘도 값 및 최소 픽셀 휘도 값을 추출하고, 상기 최대 픽셀 휘도 값 및 상기 최소 픽셀 휘도 값을 통해 임계치를 산출하는 임계치산출부;
상기 임계치에 의거하여 상기 영상데이터에 대한 이진화 영상을 생성하는 이진화부;
상기 이진화 영상을 출력하는 화면출력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초점 기능을 갖는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output unit includes:
An image acquisition module for loading image data transmitted from the CMOS sensor unit into a memory;
A threshold calculator configured to extract a maximum pixel luminance value and a minimum pixel luminance value through the luminance signal of the image data, and calculate a threshold value based on the maximum pixel luminance value and the minimum pixel luminance value;
A binarizer configured to generate a binarized image of the image data based on the threshold value;
A screen output unit which outputs the binarized image;
Portable image magnification device having an autofocus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es a.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영상데이터의 노이즈를 제거하고, 상기 영상데이터의 움직임을 검출하여 미세 떨림을 제거하는 노이즈필터부(220); 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초점 기능을 갖는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The output unit includes:
A noise filter unit 220 for removing noise of the image data and detecting fine movement by detecting movement of the image data; Portable image magnification device having an autofocus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is further provided.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임계치는,
해당 프레임의 디지털 영상데이터에 대한 최대 픽셀 휘도 값 및 최소 픽셀 휘도 값의 평균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초점 기능을 갖는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The threshold is
And an average value of a maximum pixel luminance value and a minimum pixel luminance value of the digital image data of the frame.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이진화부는,
해당 픽셀의 휘도 값이 상기 임계치보다 이하인 경우 상기 해당 픽셀의 색상을 배경색으로 하고, 상기 해당 픽셀의 휘도 값이 상기 임계치보다 초과인 경우 상기 해당 픽셀의 색상을 글자색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초점 기능을 갖는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binarization unit comprises:
When the luminance value of the pixel is less than the threshold value, the color of the pixel is set as the background color, and if the luminance value of the pixel is greater than the threshold value, the color of the pixel is set to the text color. Portable video magnification device having a function.
KR1020120007790A 2012-01-26 2012-01-26 Portable Magnifying Apparatus which have Auto Focusing KR10135992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7790A KR101359926B1 (en) 2012-01-26 2012-01-26 Portable Magnifying Apparatus which have Auto Focus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7790A KR101359926B1 (en) 2012-01-26 2012-01-26 Portable Magnifying Apparatus which have Auto Focus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6803A KR20130086803A (en) 2013-08-05
KR101359926B1 true KR101359926B1 (en) 2014-02-25

Family

ID=49213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7790A KR101359926B1 (en) 2012-01-26 2012-01-26 Portable Magnifying Apparatus which have Auto Focus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9926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68345B2 (en) 2016-09-13 2020-09-08 Lg Innotek Co., Ltd. Dual camera module, optical device, camera module, and method for operating camera module
US10298851B2 (en) 2016-10-26 2019-05-21 C & P Co., Ltd. Portable device for magnifying electronic image
KR102561533B1 (en) * 2018-09-28 2023-07-3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Camera device
KR102252088B1 (en) * 2020-08-03 2021-05-14 에이치에스앤티 주식회사 Ultra-high speed retinal camera based on phase detection auto focusing
CN113589465B (en) * 2021-08-09 2023-09-05 山东信通电子股份有限公司 Non-contact focusing method and system of fixed focus len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45006B1 (en) * 1995-07-27 2000-03-02 유무성 Auto-focus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according to multi-measuring of distance measuring data
JP2010258522A (en) * 2009-04-21 2010-11-11 Canon Inc Imag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of imaging device
JP2010286740A (en) * 2009-06-12 2010-12-24 Optoelectronics Co Ltd Optical information reading apparatus
KR20110135467A (en) * 2010-06-11 2011-12-19 주식회사 힘스인터내셔널 Video magnifying apparatus which have mouse type input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45006B1 (en) * 1995-07-27 2000-03-02 유무성 Auto-focus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according to multi-measuring of distance measuring data
JP2010258522A (en) * 2009-04-21 2010-11-11 Canon Inc Imag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of imaging device
JP2010286740A (en) * 2009-06-12 2010-12-24 Optoelectronics Co Ltd Optical information reading apparatus
KR20110135467A (en) * 2010-06-11 2011-12-19 주식회사 힘스인터내셔널 Video magnifying apparatus which have mouse type input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6803A (en) 2013-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0317B1 (en) Portable Magnifying Apparatus which have Multi Handle
US9269330B2 (en) Head mounted display apparatus and backlight adjustment method thereof
US997115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video data
JP5877277B2 (en) Imaging apparatus and image display method
KR101359926B1 (en) Portable Magnifying Apparatus which have Auto Focusing
CN103747183A (en) Mobile phone shooting focusing method
KR20170011362A (en) Imaging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same
JP2013148599A (en) Display device
CN111630847B (en) Image projection apparatus, image projection method, image display light output control method
JP2010166122A (en) Imaging device and image processing method
KR100846355B1 (en) method for the vision assistance in head mount display unit and head mount display unit therefor
JP2021005761A (en) Image processing device, imaging device, control method of image processing device, and program
JP2011145358A (en) Multi-focus electronic spectacles
JP2011028011A (en) Video display device
CA2436859A1 (en) Sight enhancement device
JP6746398B2 (en) Imaging device, control method thereof, and program
KR101113596B1 (en) Video Magnifying Apparatus which have Mouse Type Input device
JP2019121815A (en) Imaging apparatus, control method of imaging apparatus and program
JP2004215062A (en) Imaging device
JP2004186721A (en) Camera
JP5265424B2 (en) Imaging device,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589707B1 (en) Potable Magnifying Apparatus having the pen-type camera
KR20140036777A (en) Portable magnifying apparatus which have mirror device
US20230254470A1 (en) Stereoscopic image pickup apparatus, control method, storage medium, and control apparatus
US11665438B2 (en)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acquiring line-of-sight inform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