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7164B1 -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display method of the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program to implement the display method - Google Patents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display method of the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program to implement the display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7164B1
KR101357164B1 KR1020070075796A KR20070075796A KR101357164B1 KR 101357164 B1 KR101357164 B1 KR 101357164B1 KR 1020070075796 A KR1020070075796 A KR 1020070075796A KR 20070075796 A KR20070075796 A KR 20070075796A KR 101357164 B1 KR101357164 B1 KR 1013571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isplayed
display
luminance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579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90011827A (en
Inventor
오선미
서인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757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7164B1/en
Publication of KR200900118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182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71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716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7Control of contrast or brightn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14Picture signal circuitry for video frequency region
    • H04N5/20Circuitry for controlling amplitude response
    • H04N5/202Gamma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64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Picture Signal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위가 밝은 환경에서도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가 밝게 디스플레이되도록 하여 이미지 시인성이 개선된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 그 디스플레이 방법 및 이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를 위하여, 디스플레이될 이미지의 데이터로부터 디스플레이될 이미지의 디스플레이 휘도를 결정하는 디스플레이 휘도 결정부와, 상기 디스플레이 휘도 결정부에서 결정된 디스플레이 휘도에 따라 감마 곡선을 수정하는 감마 곡선 수정부와, 상기 감마 곡선 수정부에서 수정된 감마 곡선에 따라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 그 디스플레이 방법 및 이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Figure R1020070075796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having improved image visibility by displaying an image displayed on a display unit brightly even in a bright environment, a display method thereof, and a recording medium storing a program for executing the same. A display luminance determiner for determining a display luminance of an image to be displayed from data, a gamma curve correction unit for correcting a gamma curve according to the display luminance determined by the display luminance determiner, and a gamma curve modified at the gamma curve correction uni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 display method thereof, and a recording medium storing a program for executing the same.

Figure R1020070075796

Description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 그 디스플레이 방법 및 이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display method of the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program to implement the display method}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display method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program for executing the same

본 발명은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 그 디스플레이 방법 및 이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주위가 밝은 환경에서도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가 밝게 디스플레이되도록 하여 이미지 시인성이 개선된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 그 디스플레이 방법 및 이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 display method thereof, and a recording medium storing a program for executing the same. More particularly, the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is displayed brightly even in a bright environment, thereby improving image visibilit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 display method thereof, and a recording medium storing a program for executing the same.

일반적으로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갖는다.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가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한 촬상부를 갖는다면, 디스플레이부는 촬상부에서 생성된 전기적 신호로부터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가 촬상부를 갖지 않는다면, 디스플레이부는 저장된 또는 입력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In general, a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has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n image. If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has an imaging unit for photographing a subject, the display unit may display an image from an electrical signal generated by the imaging unit. If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does not have an imaging unit, the display unit may display a stored or input image.

이러한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 레이함으로써 확인하는 환경은 실내가 될 수도 있고 실외가 될 수도 있는 등 다양하다. 그러므로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인할 시 주변 밝기는 일정하지 않고 다양하게 변할 수 있다. 따라서 주변 밝기가 밝은 상태에서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인할 경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의 휘도가 주변 밝기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낮아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를 정확히 확인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밝게 디스플레이되어야 하는 이미지를 주변 밝기가 밝은 상태에서 통상적인 밝기로 디스플레이하게 되면 더욱 확인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The environment for checking an image by displaying the image on the display unit using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may be indoors or outdoors. Therefore, when checking the image by using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the ambient brightness may not be constant and may vary. Therefore, when the image is checked using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device in a bright environment, the brightness of the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is relatively low compared to the surrounding brightness, so that the user cannot accurately identify the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there was. In particular, when the image to be displayed brightly is displayed at a normal brightness in a state where the ambient brightness is bright,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more difficult to check.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포함하여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주위가 밝은 환경에서도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가 밝게 디스플레이되도록 하여 이미지 시인성이 개선된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 그 디스플레이 방법 및 이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various problems, including the above problems, a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having improved image visibility by displaying the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even in a bright environment, the display method and the execution thereof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ecording medium storing a program for the purpose of storing the program.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될 이미지의 데이터로부터 디스플레이될 이미지의 디스플레이 휘도를 결정하는 디스플레이 휘도 결정부와, 상기 디스플레이 휘도 결정부에서 결정된 디스플레이 휘도에 따라 감마 곡선을 수정하는 감마 곡선 수정부와, 상기 감마 곡선 수정부에서 수정된 감마 곡선에 따라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isplay brightness determiner for determining a display brightness of an image to be displayed from data of an image to be displayed, a gamma curve corrector for correcting a gamma curve according to the display brightness determined by the display brightness determiner, and the number of gamma curves. It provides a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comprising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n image according to the gamma curve modified by the government.

본 발명은 또한, 디스플레이될 이미지의 데이터로부터 디스플레이될 이미지의 디스플레이 휘도를 결정하는 디스플레이 휘도 결정부와,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인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 휘도 결정부에서 결정된 디스플레이 휘도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백라이트 밝기를 조정하는 백라이트 밝기 조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display brightness determining unit for determining display brightness of an image to be displayed from data of an image to be displayed, a display unit which is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an image, and a display brightness determined by the display brightness determining unit. It provides a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comprising a backlight brightness adjustment unit for adjusting the backlight brightness of the display unit.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디스플레이될 이미지의 데이터로부터 휘도 데이터를 추출하는 휘도 데이터 추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휘도 결정부는, 상기 휘도 데이터 추출부에서 추출한 휘도 데이터로부터 디스플레이될 이미지의 디스플레이 휘도를 결정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further provided a luminance data extraction unit for extracting the luminance data from the data of the image to be displayed, wherein the display luminance determination unit, the display luminance of the image to be displayed from the luminance data extracted by the luminance data extraction unit Can be determined.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휘도 데이터 추출부는 디스플레이될 이미지의 데이터로부터 Y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휘도 결정부는, 상위 10%의 Y값을 갖는 화소들 또는 부화소들의 개수와 하위 10%의 Y값을 갖는 화소들 또는 부화소들의 개수의 차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될 이미지의 디스플레이 휘도를 결정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invention, the luminance data extractor extracts Y data from the data of the image to be displayed, the display luminance determiner, the number of pixels or subpixels having a Y value of the upper 10% and lower 10 The display luminance of the image to be displayed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difference in the number of pixels or subpixels having a Y value of%.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디스플레이 휘도 결정부는, 상위 10%의 Y값을 갖는 화소들 또는 부화소들의 개수가 하위 10%의 Y값을 갖는 화소들 또는 부화소들의 개수보다 많을수록 디스플레이될 이미지의 디스플레이 휘도가 높은 것으로 결정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luminance determiner may be displayed as the number of pixels or subpixels having a Y value of the upper 10% is greater than the number of pixels or subpixels having a Y value of the lower 10%. It can be decided that the display brightness of an image is high.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휘도 데이터 추출부는 디스플레이될 이미지의 데이터로부터 Y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휘도 결정부는, 평균의 Y값에 따라 디스플레이될 이미지의 디스플레이 휘도를 결정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uminance data extractor may extract Y data from data of an image to be displayed, and the display luminance determiner may determine display luminance of an image to be displayed according to an average Y value. have.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디스플레이 휘도 결정부는, 평균의 Y값이 클수록 디스플레이될 이미지의 디스플레이 휘도가 높은 것으로 결정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luminance determiner may determine that the display luminance of the image to be displayed is higher as the average Y value is larger.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휘도 데이터 추출부는 디스플레이될 이미지의 데이터로부터 Y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휘도 결정부는, 각 Y값에 대해 각 Y값을 갖는 화소들 또는 부화소들의 개수 데이터를 생성하여, 가장 많은 화소들 또는 부화소들이 갖는 Y값에 따라 디스플레이될 이미지의 디스플레이 휘도를 결정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invention, the luminance data extractor extracts Y data from the data of the image to be displayed, the display luminance determiner, the number data of pixels or subpixels having each Y value for each Y value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display luminance of the image to be displayed according to the Y value of the most pixels or sub-pixels by generating the.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디스플레이 휘도 결정부는, 가장 많은 화소들 또는 부화소들이 갖는 Y값이 클수록 디스플레이될 이미지의 디스플레이 휘도가 높은 것으로 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luminance determiner may have a higher display luminance of an image to be displayed as the Y value of the largest number of pixels or subpixels is larger.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디스플레이 휘도 결정부에서 결정된 디스플레이 휘도가 높을수록, 상기 감마 곡선 수정부는 디스플레이부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가 밝게 디스플레이되도록 감마 곡선을 수정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igher the display brightness determined by the display brightness determiner, the gamma curve correction unit may be to modify the gamma curve so that the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is displayed brighter.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디스플레이 휘도 결정부에서 결정된 디스플레이 휘도가 높을수록, 상기 감마 곡선 수정부는 감마값이 작아지도록 감마 곡선을 수정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igher the display brightness determined by the display brightness determining unit, the gamma curve correction unit may be to modify the gamma curve so that the gamma value is smaller.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디스플레이 휘도 결정부에서 결정된 디스플레이 휘도가 높을수록, 상기 백라이트 밝기 조정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가 밝게 디스플레이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백라이트 밝기를 조정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display brightness determined by the display brightness determining unit is higher, the backlight brightness adjusting unit may adjust the backlight brightness of the display unit so that the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is displayed brighter. .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디스플레이될 이미지는 동영상 이미지이며, 상기 디스플레이 휘도 결정부는 디스플레이될 동영상 이미지의 첫 번째 프레임의 데이터로부터 디스플레이될 동영상 이미지의 디스플레이 휘도를 결정하는 것으 로 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mage to be displayed is a moving image, and the display luminance determining unit may determine the display luminance of the moving image to be displayed from the data of the first frame of the moving image to be displayed.

본 발명은 또한, 디스플레이될 이미지의 데이터로부터 디스플레이될 이미지의 디스플레이 휘도를 결정하는 단계와, 결정된 디스플레이 휘도에 따라 감마 곡선을 수정하는 단계와, 수정된 감마 곡선에 따라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의 디스플레이 방법을 제공한다.The invention also includes determining a display brightness of an image to be displayed from data of an image to be displayed, correcting a gamma curve according to the determined display brightness, and displaying an image according to the modified gamma curve. A display method of a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is provided.

본 발명은 또한, 디스플레이될 이미지의 데이터로부터 디스플레이될 이미지의 디스플레이 휘도를 결정하는 단계와, 결정된 디스플레이 휘도에 따라 디스플레이부의 백라이트 밝기를 조정하는 단계와,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의 디스플레이 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includes determining display brightness of an image to be displayed from data of an image to be displayed, adjusting a backlight brightness of the display unit according to the determined display brightness, and displaying an image on the display unit. A display method of a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is provided.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디스플레이될 이미지의 데이터로부터 휘도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휘도를 결정하는 단계는, 추출한 휘도 데이터로부터 디스플레이될 이미지의 디스플레이 휘도를 결정하는 단계인 것으로 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extracting luminance data from data of an image to be displayed, and determining the display luminance may include determining display luminance of an image to be displayed from the extracted luminance data. It can be done.

본 발명은 또한 상기와 같은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recording medium storing a program for executing the above method.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 그 디스플레이 방법 및 이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에 따르면, 주위가 밝은 환경에서도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가 밝게 디스플레이되도록 하여 이미지 시인성이 개선된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 그 디스플레이 방법 및 이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를 구현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a display method thereof, and a recording medium storing a program for executing the same, the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is brightly displayed even in a bright environment, thereby improving image visibility.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 display method thereof, and a recording medium storing a program for executing the same can be implemented.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는 디스플레이 휘도 결정부(64), 감마 곡선 수정부(66) 및 디스플레이부(90)를 구비한다. 물론 도 1에는 이 외에도 메모리(70), 저장/판독 제어부(82), 저장매체(80), 디스플레이 제어부(94), CPU(100) 및 조작부(200)를 더 구비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Referring to FIG. 1,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includes a display luminance determiner 64, a gamma curve corrector 66, and a display 90. Of course, FIG. 1 further shows a memory 70, a storage / reading control unit 82, a storage medium 80, a display control unit 94, a CPU 100, and an operation unit 200.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의 전체 동작은 CPU(100)에 의해 통괄된다. 그리고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에는 사용자로부터의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키 등을 포함하는 조작부(200)가 구비된다. 이 조작부(200)로부터의 전기적 신호는 CPU(100)에 전달되어, CPU(100)가 전기적 신호에 따라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The overall operation of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is governed by the CPU 100. [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is provided with an operation unit 200 including a key for generating an electrical signal from the user. An electrical signal from the operation unit 200 is transmitted to the CPU 100 so that the CPU 100 can control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in accordance with an electrical signal.

저장/판독 제어부(82)는 사용자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또는 자동으로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매체(80)에 저장하거나, 저장매체(80)에 저장된 이미지 파일로부터 이미지 데이터를 판독하고 이를 메모리(70)를 통해 디스플레이 제어부(94)에 입력하여 디스플레이부(90)에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도 있다. 물론 도 1에 도시된 것과 달리 메모리(70)를 거치지 않고 상기와 같은 데이터의 전달이 이루어질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여기서 메모리(70)는 ROM 또는 RAM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The storage / reading control unit 82 stores the image data in the storage medium 80 or automatically reads the image data from the image file stored in the storage medium 80 according to a signal from the user, and stores the image data in the memory 70. An image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90 by inputting to the display control unit 94 through the display unit 90. Of course, unlike FIG. 1,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such as the transfer of data as described above without passing through the memory 70. The memory 70 is a concept including a ROM or a RAM.

디스플레이 휘도 결정부(64)는 저장/판독 제어부(82)에 의해 판독된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디스플레이될 이미지의 디스플레이 휘도를 결정한다. 이미지 데이터는 각 화소(부화소)별로 휘도 신호(Y), 휘도 신호와 적색 성분의 차(U), 휘도 신호와 청색 성분의 차(V)의 3가지 정보인 YUV 데이터를 갖는 바, 이러한 데이터 중 휘도 신호인 Y 데이터로부터 디스플레이 휘도 결정부(64)는 디스플레이될 이미지의 디스플레이 휘도를 결정한다. 감마 곡선 수정부(66)는 디스플레이 휘도 결정부(64)에서 결정된 디스플레이 휘도에 따라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감마 곡선을 수정한다. 감마 곡선이 수정되면, 디스플레이부(90)는 감마 곡선 수정부(66)에서 수정된 감마 곡선에 따라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한다.The display luminance determining unit 64 determines the display luminance of the image to be displayed from the image data read by the storage / reading control unit 82. The image data has YUV data for each pixel (subpixel), which is three pieces of information: a luminance signal Y, a difference between the luminance signal and the red component U, and a difference between the luminance signal and the blue component V. The display luminance determiner 64 determines the display luminance of the image to be displayed from the Y data which is the luminance signal. The gamma curve correction unit 66 corrects the gamma curve as described later in accordance with the display luminance determined by the display luminance determiner 64. When the gamma curve is corrected, the display unit 90 displays an image according to the gamma curve corrected by the gamma curve corrector 66.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함으로써 확인하는 환경은 실내가 될 수도 있고 실외가 될 수도 있는 등 다양하다. 그러므로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인할 시 주변 밝기는 일정하지 않고 다양하게 변할 수 있다. 따라서 주변 밝기가 밝은 상태에서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확인할 경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의 휘도가 주변 밝기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낮아 사 용자가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를 정확히 확인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밝게 디스플레이되어야 하는 이미지를 주변 밝기가 밝은 상태에서 통상적인 밝기로 디스플레이하게 되면 더욱 확인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As described above, the environment for confirming by displaying an image on a display unit using a conventional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may be indoors or outdoors. Therefore, when checking the image by using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the ambient brightness may not be constant and may vary. Therefore, when checking an image using a digital image processing device in a state where the surrounding brightness is bright, the brightness of the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is relatively low compared to the surrounding brightness, so that the user cannot accurately check the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There was this. In particular, when the image to be displayed brightly is displayed at a normal brightness in a state where the ambient brightness is bright,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more difficult to check.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의 디스플레이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의 경우, 디스플레이 휘도 결정부(64)가 이미지의 데이터로부터 디스플레이될 이미지의 디스플레이 휘도를 결정하고 이에 따라 감마 곡선 수정부(66)가 감마 곡선을 수정하며 이 수정된 감마 곡선에 따라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90)에 디스플레이함으로써, 디스플레이 휘도 결정부(64)에서 적절하게 결정된 디스플레이 휘도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90)에 디스플레이하여 주변 밝기가 밝더라도 해당 이미지의 시인성을 높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휘도 결정부(64)는 통상적인 이미지보다 밝게 디스플레이되어야 할 필요가 있는 이미지의 경우 디스플레이 휘도를 높게 결정하며, 감마 곡선 수정부(66)는 디스플레이 휘도 결정부(64)에서 결정된 디스플레이 휘도가 높을수록, 디스플레이부(9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가 밝게 디스플레이되도록 감마 곡선을 수정한다. 따라서 주변 밝기가 밝더라도 밝게 디스플레이되어야 할 필요가 있는 이미지는 디스플레이부(90)에서 밝게 디스플레이되므로, 사용자의 이미지 시인성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다.However, in the display method of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nd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employing the method, the display luminance determining unit 64 determines the display luminance of the image to be displayed from the data of the image and thus gamma The curve corrector 66 modifies the gamma curve and displays the image on the display unit 90 according to the modified gamma curve, thereby displaying the image at the display luminance appropriately determined by the display luminance determiner 64. ), You can increase the visibility of the image even if the ambient brightness is bright. Specifically, the display luminance determiner 64 determines a display luminance higher for an image that needs to be displayed brighter than a normal image, and the gamma curve correction unit 66 determines the display determined by the display luminance determiner 64. As the luminance is higher, the gamma curve is corrected so that the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90 is displayed brighter. Therefore, the image that needs to be displayed brightly even though the ambient brightness is bright is displayed brightly on the display unit 90, and thus, the image visibility of the user can be dramatically increased.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의 경우 디스플레이될 이미지의 디스플레이 휘도를 결정하고 이에 따라 감마 곡선을 수정하여 수정된 감마 곡 선을 따라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90)에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사용환경이 밝더라도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의 시인성을 높인다. 이때 디스플레이될 이미지가 동영상 이미지가 아니라면 각 디스플레이될 이미지에 대하여 디스플레이 휘도를 결정하고 이에 따라 감마 곡선을 수정하여 수정된 감마 곡선을 따라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9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될 이미지가 동영상 이미지라면, 디스플레이 휘도 결정부(64)는 디스플레이될 동영상 이미지의 첫 번째 프레임의 데이터로부터 디스플레이될 동영상 이미지의 디스플레이 휘도를 결정하고 이에 따라 감마 곡선을 수정하여 수정된 감마 곡선을 따라 (첫 번째 프레임뿐만이 아닌 전체) 동영상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9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휘도 결정부(64)가 동영상 이미지의 각 프레임마다 디스플레이 휘도를 변경하여 디스플레이되는 동영상 이미지의 휘도가 계속해서 변할 경우 사용자가 불편함을 느낄 수도 있기 때문이다. 물론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계속해서 매 프레임마다 디스플레이 휘도를 결정하여 감마 곡선을 수정할 수도 있고, 또는 일정한 시간 간격(예컨대 5초 또는 10초 등) 또는 일정한 프레임 간격으로 디스플레이 휘도를 결정하여 감마 곡선을 수정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determines the display brightness of the image to be displayed, and accordingly modify the gamma curve to display the image on the display unit 90 along the modified gamma curve to brighten the usage environment. Even if it increases the visibility of the displayed image. In this case, if the image to be displayed is not a moving image, the display brightness may be determined for each image to be displayed, and the gamma curve may be corrected accordingly to display the image on the display unit 90 along the modified gamma curve. If the image to be displayed is a moving image, the display luminance determiner 64 determines the display luminance of the moving image to be displayed from the data of the first frame of the moving image to be displayed and modifies the gamma curve accordingly to follow the modified gamma curve. The moving image (not just the first frame)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90. This is because the display luminance determiner 64 may change the display luminance for each frame of the moving image, and thus the user may feel uncomfortable if the luminance of the displayed moving image continues to change. Of cours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gamma curve may be modified by determining the display luminance every frame, or by determining the display luminance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for example, 5 seconds or 10 seconds) or at a constant frame interval. Many variations are possible, including the ability to modify the gamma curve.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가 도 1을 참조하여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와 상이한 점은 휘도 데이터 추출부(62)를 더 구비한다는 것이다. 휘도 데이터 추출부(62)는 디스플레이될 이미지의 데이터로부터 휘 도 데이터를 추출하며, 디스플레이 휘도 결정부(64)는 휘도 데이터 추출부(62)에서 추출한 휘도 데이터로부터 디스플레이될 이미지의 디스플레이 휘도를 결정한다.The difference between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nd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1 is that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further includes a luminance data extracting unit 62. The luminance data extractor 62 extracts luminance data from the data of the image to be displayed, and the display luminance determiner 64 determines the display luminance of the image to be displayed from the luminance data extracted by the luminance data extractor 62. .

이미지 데이터는 각 화소(부화소)별로 휘도 신호(Y), 휘도 신호와 적색 성분의 차(U), 휘도 신호와 청색 성분의 차(V)의 3가지 정보인 YUV 데이터를 가질 수 있는 바, 이미지 데이터가 이와 같은 데이터를 갖는다면 휘도 데이터 추출부(62)는 이러한 데이터 중 휘도 신호인 Y 데이터를 추출하여 이를 디스플레이 휘도 결정부(64)로 출력한다. 만일 이미지 데이터가 YUV 데이터를 갖지 않고 RGB 데이터를 갖는다면, YUV 데이터는 다음 수학식 1 내지 3에 따라 RGB 데이터로부터 얻을 수 있다.The image data may have YUV data for each pixel (subpixel), which is three pieces of information: a luminance signal Y, a difference between the luminance signal and a red component U, and a difference between the luminance signal and a blue component V. If the image data has such data, the luminance data extractor 62 extracts Y data, which is a luminance signal, from the data and outputs the Y data to the display luminance determiner 64. If the image data does not have YUV data and has RGB data, the YUV data can be obtained from the RGB data according to the following equations (1) to (3).

Y = 0.3R + 0.59G + 0.11BY = 0.3R + 0.59G + 0.11B

U = (B-Y) × 0.493U = (B-Y) × 0.493

V = (R-Y)× 0.877V = (R-Y) × 0.877

만일 이미지 데이터가 YUV 데이터가 아닌 RGB 데이터를 갖는다면 휘도 데이터 추출부(62)는 상기 수학식 1에 따라 휘도에 관한 데이터인 Y 데이터를 추출하여 이를 디스플레이 휘도 결정부(64)로 출력한다. 물론 휘도 데이터 추출부(62)와 디스플레이 휘도 결정부(64)는 일체화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If the image data has RGB data instead of YUV data, the luminance data extracting unit 62 extracts Y data which is data relating to luminance according to Equation 1, and outputs the Y data to the display luminance determining unit 64. Of course, the luminance data extractor 62 and the display luminance determiner 64 may be integrated.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될 이미지의 디스플레이 휘도를 결정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들이다.3 and 4 are graphs for explaining determining display brightness of an image to be display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디스플레이될 이미지가 동영상 이미지가 아니라면, 도 3 및 도 4의 그래프는 x축을 Y값, y축을 각 Y값을 갖는 화소들 또는 부화소들의 개수로 하는 그래프이며, 디스플레이될 이미지가 동영상 이미지라면, 도 3 및 도 4의 그래프의 y축은 일 프레임에 있어서 각 Y값을 갖는 화소들 또는 부화소들의 개수로 하는 그래프이다. 즉, 도 3 및 도 4와 같은 그래프에서 큰 Y값을 갖는 화소들의 개수가 많을수록 해당 이미지는 더 밝게 디스플레이될 필요가 있는 이미지임을 의미한다.If the image to be displayed is not a moving image, the graphs of FIGS. 3 and 4 are graphs in which the number of pixels or sub-pixels having the y-axis and the y-axis the Y-axis is Y, and if the image to be displayed is a moving image, The y-axis of the graphs of FIGS. 3 and 4 is a graph of the number of pixels or subpixels having respective Y values in one frame. That is, as the number of pixels having a large Y value in the graphs of FIGS. 3 and 4 increases, this means that the image needs to be displayed brighter.

도 3과 같은 그래프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휘도 결정부(64)는, 상위 10%의 Y값을 갖는 화소들 또는 부화소들의 개수와 하위 10%의 Y값을 갖는 화소들 또는 부화소들의 개수의 차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될 이미지의 디스플레이 휘도를 결정할 수 있다. 상위 10%의 Y값을 갖는 화소들 또는 부화소들의 개수는 도 3의 그래프에서 Au로 표시된 부분의 넓이이고, 하위 10%의 Y값을 갖는 화소들 또는 부화소들의 개수는 도 3의 그래프에서 Al로 표시된 부분의 넓이이다. 즉 상위 10%의 Y값을 갖는 화소들 또는 부화소들의 개수는 도 3의 그래프에서 상위 10%의 Y값의 영역에서의 적분값이고, 하위 10%의 Y값을 갖는 화소들 또는 부화소들의 개수는 도 3의 그래프에서 하위 10%의 Y값의 영역에서의 적분값이다.In the graph as shown in FIG. 3, the display luminance determiner 64 determines a difference between the number of pixels or subpixels having a Y value of the upper 10% and the number of pixels or subpixels having a Y value of the lower 10%. Accordingly, the display brightness of the image to be displayed can be determined. The number of pixels or subpixels having the Y value of the upper 10% is the width of the portion indicated by A u in the graph of FIG. 3, and the number of the pixels or subpixels having the Y value of the lower 10% is the graph of FIG. 3. The area of the area denoted by A l in. That is, the number of pixels or subpixels having the Y value of the upper 10% is an integral value in the region of the Y value of the upper 10% in the graph of FIG. 3, and the pixels or subpixels having the Y value of the lower 10% The number is the integral value in the region of the lower 10% Y value in the graph of FIG. 3.

전술한 바와 같이 도 3과 같은 그래프에서 큰 Y값을 갖는 화소들의 개수가 많을수록 해당 이미지는 더 밝게 디스플레이될 필요가 있는 이미지임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위 10%의 Y값을 갖는 화소들 또는 부화소들의 개수가 하위 10%의 Y값을 갖는 화소들 또는 부화소들의 개수보다 많으면 많을수록, 해당 이미지는 더 밝게 디스플레이될 필요가 있는 이미지이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휘도 결정부(64)는 상위 10%의 Y값을 갖는 화소들 또는 부화소들의 개수가 하위 10%의 Y값을 갖는 화소들 또는 부화소들의 개수보다 많을수록 디스플레이될 이미지의 디스플레이 휘도가 높은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s the number of pixels having a large Y value in the graph as shown in FIG. 3 increases, this means that the image needs to be displayed brighter. Therefore, the larger the number of pixels or subpixels having the Y value of the upper 10% than the number of the pixels or subpixels having the Y value of the lower 10%, the more the image needs to be displayed brighter. Therefore, the display luminance determiner 64 has a higher display luminance of an image to be displayed as the number of pixels or subpixels having a Y value of the upper 10% is greater than the number of pixels or subpixels having a Y value of the lower 10%. Can be determined.

한편, 상위 10%의 Y값 및 하위 10%의 Y값이 아닌 다른 Y값을 기준으로 디스플레이될 이미지의 디스플레이 휘도를 결정할 수도 있다. 예컨대 디스플레이 휘도 결정부(64)는 평균의 Y값(도 3 및 도 4에서 Ym으로 표시된 값)에 따라 디스플레이될 이미지의 디스플레이 휘도를 결정할 수도 있다. 즉, 디스플레이 휘도 결정부(64)는 평균의 Y값(Ym)이 클수록 디스플레이될 이미지의 디스플레이 휘도가 높은 것으로 결정할 수도 있다. 여기서 평균의 Y값은 이미지의 데이터로부터 추출된 가장 작은 Y값과 가장 큰 Y값의 평균값(중간값)이 될 수도 있고, Y값에 있어서 각 Y값을 갖는 화소들 또는 부화소들의 개수를 고려한 평균값이 될 수도 있다. Y값에 있어서 각 Y값을 갖는 화소들 또는 부화소들의 개수를 고려한 평균값의 경우, 도 4의 그래프에 표시된 것과 같이 좌측의 AL로 표시된 부분의 넓이와 우측의 AR로 표시된 부분의 넓이가 같은 경계지점의 Y값이 될 수 있다. 좌측의 AL로 표시된 부분의 넓이는 가장 작은 Y값부터 평균값(Ym)까지의 영역에서의 적분값이고, 우측의 AR로 표시된 부분의 넓이는 평균값(Ym)부터 가장 큰 Y까지의 영역에서의 적분값이 될 수 있다.Meanwhile, the display luminance of the image to be displayed may be determined based on a Y value other than the upper 10% Y value and the lower 10% Y value. For example, the display luminance determiner 64 may determine the display luminance of the image to be displayed according to the Y value of the average (the value indicated by Y m in FIGS. 3 and 4). That is, the display luminance determiner 64 may determine that the display luminance of the image to be displayed is higher as the Y value Y m of the average is larger. Here, the Y value of the average may be an average value (middle value) of the smallest Y value and the largest Y value extracted from the image data, taking into account the number of pixels or subpixels having each Y value in the Y value. It can also be an average value. In the case of the average value considering the number of pixels or subpixels having each Y value in the Y value, as shown in the graph of FIG. 4, the width of the portion indicated by A L on the left side and the portion indicated by A R on the right side are It can be the Y value of the same boundary point. The area of the area indicated by A L on the left is the integral value in the region from the smallest Y value to the mean value (Y m ), and the area of the area indicated by A R on the right is the average value (Y m ) to the largest Y It can be an integral value in the area.

또한, 디스플레이 휘도 결정부(64)는, 각 Y값에 대해 각 Y값을 갖는 화소들 또는 부화소들의 개수 데이터를 생성하여, 가장 많은 화소들 또는 부화소들이 갖는 Y값에 따라 디스플레이될 이미지의 디스플레이 휘도를 결정하는 것으로 할 수도 있다. 가장 많은 화소들 또는 부화소들이 갖는 Y값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은 그래프들에 있어서 가장 큰 피크에 해당하는 Y값(도 4에서 Yp로 표시된 값)이다. 즉, 디스플레이 휘도 결정부(64)는 가장 큰 피크에 해당하는 Y값(Yp)이 클수록 디스플레이될 이미지의 디스플레이 휘도가 높은 것으로 결정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display luminance determiner 64 generates number data of pixels or subpixels having a respective Y value for each Y value, so as to display the number of pixels or subpixels of the image to be displayed according to the Y value of the largest number of pixels or subpixels. It is also possible to determine the display brightness. The Y value of the largest number of pixels or subpixels is the Y value (the value indicated by Y p in FIG. 4) corresponding to the largest peak in the graphs as shown in FIGS. 3 and 4. That is, the display luminance determiner 64 may determine that the display luminance of the image to be displayed is higher as the Y value Y p corresponding to the largest peak is larger.

이와 같이 수치화된 기준 Y값에 따라 감마값을 수정하여 감마 곡선을 수정할 경우, 예컨대 기준 Y값을 6LV 미만, 6LV 이상 10LV 미만, 10LV 이상 12LV 미만, 12LV 이상으로 구분하여, 기준 Y값이 휘도가 낮게 디스플레이될 필요가 있는 경우인 6LV인 경우에는 감마값을 3.4로, 기준 Y값이 6LV 이상 10LV 미만인 경우에는 감마값을 3.0으로, 기준 Y값이 10LV 이상 12LV 미만인 경우에는 감마값을 2.2로, 기준 Y값이 12LV 이상으로 높은 휘도로 디스플레이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감마값을 2.0으로 하여 감마 곡선을 수정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이미지의 휘도를 변화시켜 사용자의 이미지 시인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When the gamma curve is corrected by modifying the gamma value according to the numerical reference Y value, for example, the reference Y value is divided into less than 6LV, more than 6LV, less than 10LV, more than 10LV, less than 12LV, and more than 12LV, so that the reference Y value has low luminance. For 6LV, which needs to be displayed, the gamma value is 3.4, if the reference Y value is 6LV or more and less than 10LV, the gamma value is 3.0; if the reference Y value is more than 10LV and less than 12LV, the gamma value is 2.2 and the reference Y value is When it is necessary to display at a luminance higher than 12LV, by modifying the gamma curve by setting the gamma value to 2.0,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luminance of the image as needed to significantly improve the user's image visibility.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마 곡선 수정의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먼저 감마 곡선에 대해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5 is a graph schematically showing an example of a gamma curve corr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 the gamma curve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디스플레이부에서의 입력값에 대한 출력값은 통상적으로 선형(linear), 즉 비례관계인 1차 함수가 아니라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비선형(nonlinear), 즉 곡선인 고차 함수로 나타난다. 도 5에서 x축은 디스플레이부에 입력되는 이미지 신호의 계조 데이터이며, y축은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에 표현되는 휘도이다. 디스플레이부에서의 입력값에 대한 출력값이 선형이라면 이 그래프는 직선으로 나타나야 하지만, 통상적인 디스플레이부는 입력값에 대한 출력값이 선형이 아니므로 그렇지 않다. 그러나 촬상부에서 얻어지는 이미지 데이터는 빛을 감지하여 이에 비례하는 전기적 신호에 관한 것이므로, 촬상부에서 얻어지는 이미지 데이터를 그대로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게 되면 실제 계조와 상이한 계조를 갖는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기에 앞서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은 디스플레이부의 비선형 감마 곡선을 고려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반대로 왜곡시킨 후 이를 디스플레이부에 입력하면, 디스플레이부의 재왜곡에 의해 실제 계조와 동일한 계조를 갖는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된다. 이를 감마 보정이라 한다.The output value for the input value in the display unit is typically a linear, i.e., a linear, nonlinear, nonlinear (linear) function as shown in FIG. In FIG. 5, the x-axis is grayscale data of the image signal input to the display unit, and the y-axis is the luminance represented by the display unit. If the output value for the input value on the display is linear, this graph should appear as a straight line, but this is not the case because the output value for the input value is not linear. However, since the image data obtained by the imaging unit is related to an electrical signal that senses light and is proportional thereto, when the image data obtained by the imaging unit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s it is, an image having a different gradation from the actual gradatio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Therefore, prior to displaying on the display unit, if the image data is inversely distorted in consideration of the nonlinear gamma curve of the display unit as shown in FIG. The imag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This is called gamma correction.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는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휘도 결정부(64)에서 결정된 디스플레이 휘도에 따라 감마 곡선 수정부(66)가 감마 곡선을 수정한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휘도 결정부(64)에서 결정된 디스플레이 휘도가 높을수록, 감마 곡선 수정부(66)는 감마(γ)값이 작아지도록 감마 곡선을 수정한다. 도 5에는 감마값이 각각 2.0, 2.2, 3.0 및 3.4인 경우의 감마 곡선이 도시되어 있는 바, α에서 β까지의 동일한 구간의 계조 데이터가 입력되더라도 각 감마 곡선에 따라 출력되는 휘도의 범위가 A1, A2, A3 및 A4로 상이함을 알 수 있다. 특히 이 경우 동일한 구간의 계조 데이터가 입력될 경우, 감마값이 커짐에 따라 출력되는 휘도가 낮아짐을 알 수 있다. 이는 반대로, 동일한 구간의 계조 데이터가 입력될 경우, 감마값이 작아짐에 따라 출력되는 휘도가 커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휘도 결정부(64)에서 결정된 디스플레이 휘도가 높을수록 감마 곡선 수정부가 감마값이 작아지도록 감마 곡선을 수정한다면, 휘도가 크게 디스플레이할 필요가 있는 이미지의 경우 휘도가 높게 디스플레이되어 밝은 환경 하에서 사용자의 이미지 시인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반대로 휘도가 낮게 디스플레이할 필요가 있는 이미지의 경우(휘도가 낮게 디스플레이되어도 무방한 이미지의 경우) 휘도가 낮게 디스플레이되어 사용자의 적절한 시인성을 유지하면서도 소비전류를 절감할 수 있다.In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the gamma curve correction unit 66 corrects the gamma curve according to the display luminance determined by the display luminance determiner 64 as described above. Specifically, as the display brightness determined by the display brightness determining unit 64 is higher, the gamma curve correction unit 66 modifies the gamma curve so that the gamma (γ) value is smaller. FIG. 5 shows gamma curves when gamma values are 2.0, 2.2, 3.0, and 3.4, respectively. Even though grayscale data of the same interval from α to β is input, the range of luminance output according to each gamma curve is A1, It can be seen that they are different from A2, A3 and A4. In particular, in this case, when grayscale data of the same section is input, it can be seen that as the gamma value increases, the output luminance decreases. On the contrary, when grayscale data of the same section is input, the output luminance increases as the gamma value decreases. Therefore, if the gamma curve correction unit modifies the gamma curve so that the gamma curve correction unit is smaller as the display luminance determined by the display luminance determiner 64 is higher, the luminance is displayed higher in the case of an image that needs to display a larger luminance, so that the user may be able to see a bright environment. Image visibility can be improved. On the contrary, in the case of an image that needs to be displayed with low luminance (in the case of an image that may be displayed with low luminance), the luminance is displayed low so that the current consumption can be reduced while maintaining proper visibility of the user.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가 도 1을 참조하여 전술한 이미지에 따른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와 상이한 것은, 디스플레이부(90)가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이고, 감마 곡선 수정부가 아닌 백라이트 밝기 조정부(92)를 구비한다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의 경우, 디스플레이 휘도 결정부(64)에서 결정된 디스플레이 휘도에 따라 백라이트 밝기 조정부(92)가 디스플레이부(90)의 백라이트 밝기를 조정한다. 즉, 디스플레이 휘도 결정부(64)에서 결정된 디스플레이 휘도가 높으면 백라이트 밝기 조정부(92)는 디스플레이부(90)의 백라이트 밝기를 밝게 하고, 디스플레이 휘도 결정부(64)에서 결정된 디스플레이 휘도가 낮으면 백라이트 밝기 조정부(92)는 디스플레이부(90)의 백라이트 밝기를 어둡게 한다. 이를 통하여, 휘도가 크게 디스플레이할 필요가 있는 이미지의 경우 휘도가 높게 디스플레이되어 밝은 환경 하에서 사용자의 이미지 시인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반대로 휘도가 낮게 디스플레이할 필요가 있는 이미지의 경우 휘도가 낮게 디스플레이되어 사용자의 적절한 시인성을 유지하면서도 소비전류를 절감할 수 있다. 이러한 백라이트 밝기 조정부(92)는 디스플레이 제어부(94)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6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differs from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image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1 in that the display unit 90 is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the backlight brightness adjusting unit 92 is not a gamma curve correcting unit. It is provided with. In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the backlight brightness adjusting unit 92 adjusts the backlight brightness of the display unit 90 according to the display brightness determined by the display brightness determining unit 64. That is, when the display brightness determined by the display brightness determiner 64 is high, the backlight brightness adjuster 92 brightens the backlight brightness of the display 90, and when the display brightness determined by the display brightness determiner 64 is low, the backlight brightness is low. The adjuster 92 dims the backlight brightness of the display 90. Through this, in the case of an image that needs to display a large brightness, the brightness is displayed high,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user's image visibility in a bright environment. On the contrary, in the case of an image that needs to be displayed with low brightness, the brightness is displayed low, thereby reducing current consumption while maintaining proper visibility of the user. The backlight brightness adjusting unit 92 may be variously modified, such as being integrally formed with the display control unit 94.

물론 백라이트 밝기 조정부와 감마 곡선 수정부를 모두 구비하여, 감마 곡선의 수정과 더불어 백라이트 밝기를 주변 밝기에 따라 동시에 조정함으로써, 사용자의 이미지 시인성을 더욱 획기적으로 개선하면서도 소비전력을 낮출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Of course, the backlight brightness adjusting unit and the gamma curve correction unit are both provided, and the gamma curve correction and the backlight brightness are simultaneously adjusted according to the surrounding brightness, thereby further improving the user's image visibility and lowering power consumption.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가 도 6을 참조하여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와 상이한 점은 휘도 데이터 추출부(62)를 더 구비한다는 것이다. 휘도 데이터 추출부(62)는 디스플레이될 이미지의 데이터로부터 휘도 데이터를 추출하며, 디스플레이 휘도 결정부(64)는 휘도 데이터 추출부(62)에서 추출한 휘도 데이터로부터 디스플레이될 이미지의 디스플레이 휘도를 결정한다.7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nd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6 is that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further includes a luminance data extracting unit 62. The luminance data extractor 62 extracts luminance data from the data of the image to be displayed, and the display luminance determiner 64 determines the display luminance of the image to be displayed from the luminance data extracted by the luminance data extractor 62.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의 디스플레이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순서도이다.8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display method of a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될 이미지의 데이터로부터 디스플레이될 이미지 의 디스플레이 휘도를 결정하고(S100), 결정된 디스플레이 휘도에 따라 감마 곡선을 수정한다(S200). 그리고 수정된 감마 곡선에 따라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한다(S400). 여기서 디스플레이 휘도를 결정하는 방법은 도 3 및 도 4 등을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으며, 감마 곡선을 수정하는 것은 도 5 등을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다.Referring to FIG. 8, the display brightness of the image to be displayed is determined from the data of the image to be displayed (S100), and the gamma curve is corrected according to the determined display brightness (S200). The image is displayed according to the modified gamma curve (S400). Here, the method of determining the display brightness is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and the correction of the gamma curve is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5.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의 디스플레이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순서도이다.9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display method of a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될 이미지의 데이터로부터 디스플레이될 이미지의 디스플레이 휘도를 결정하고(S100), 결정된 디스플레이 휘도에 따라 디스플레이부의 백라이트 밝기를 조정한다(S300). 그리고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한다(S400). 물론 S400으로 표시된 단계와 S300으로 표시된 단계는 순서가 바뀔 수도 있고 동시에 이루어질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휘도를 결정하는 방법은 도 3 및 도 4 등을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으며, 감마 곡선을 수정하는 것은 도 5 등을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다.Referring to FIG. 9, the display brightness of the image to be displayed is determined from the data of the image to be displayed (S100), and the backlight brightness of the display unit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determined display brightness (S300). The imag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S400). Of course, the steps denoted by S400 and the steps denoted by S300 may be variously modified, such that the order may be changed or may be simultaneously performed. Here, the method of determining the display brightness is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and the correction of the gamma curve is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5.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 이러한 디스플레이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은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기록매체라 함은 예컨대 저장매체일 수도 있고, 메모리일 수도 있다. 여기서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컨대, 롬(ROM),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등) 및 광학적 판독 매체(예컨대, 시디롬(CD-ROM), 디브이디(DVD: Digital Versatile Disc))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물론 예컨대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의 중앙처리장치(CPU)일 수도 있고 그 일부일 수도 있다.A program for executing this display metho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8 and 9 may be stored in a recording medium. The recording medium may be, for example, a storage medium or a memory. The storage medium may be a storage medium such as a magnetic storage medium (e.g., ROM, floppy disk, hard disk, etc.) and an optical reading medium (e.g., CD-ROM, DVD (Digital Versatile Disc) . Of course, for example, it may be, or part of,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of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전술한 실시예들에 따른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들의 경우 예컨대 PDA, PMP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부를 갖는 이미지 처리장치일 수 있다. 물론 전술한 실시예들에 따른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들의 경우 디스플레이부 등만을 구비하는 것으로 설명되어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촬상부 등을 더 구비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등의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es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may be image processing apparatuses having display units such as PDAs, PMPs, and the like. Of course,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es according to the above embodiments are described as having only a display unit,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it can be applied to the case of a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or the like further including an imaging unit.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될 이미지의 디스플레이 휘도를 결정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3 is a graph for explaining determining display brightness of an image to be display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될 이미지의 디스플레이 휘도를 결정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4 is a graph for explaining determining display luminance of an image to be display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마 곡선 수정의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그래프이다.5 is a graph schematically showing an example of a gamma curve corr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6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7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의 디스플레이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순서도이다.8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display method of a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의 디스플레이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순서도이다.9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display method of a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62: 휘도 데이터 추출부 64: 디스플레이 휘도 결정부62: luminance data extraction unit 64: display luminance determination unit

66: 감마 곡선 수정부 70: 메모리66: gamma curve correction unit 70: memory

82: 저장/판독 제어부 80: 저장매체82: storage / reading control unit 80: storage medium

92: 백라이트 밝기 조정부 94: 디스플레이 제어부92: backlight brightness controller 94: display controller

90: 디스플레이부 100: CPU90: display unit 100: CPU

Claims (17)

디스플레이될 이미지의 데이터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될 이미지의 디스플레이 휘도를 결정하는 디스플레이 휘도 결정부;A display luminance determiner for determining a display luminance of the image to be displayed, from data of the image to be displayed; 상기 디스플레이 휘도 결정부에서 결정된 디스플레이 휘도에 따라 감마 곡선을 수정하는 감마 곡선 수정부; 및A gamma curve corrector for correcting a gamma curve according to the display brightness determined by the display brightness determiner; And 상기 감마 곡선 수정부에서 수정된 감마 곡선에 따라,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고,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n image according to the gamma curve corrected by the gamma curve corrector. 상기 디스플레이 휘도 결정부는,The display brightness determiner, 상기 디스플레이될 이미지가 정지 이미지인지 동영상 이미지인지 판단하고,Determine whether the image to be displayed is a still image or a video image; 상기 디스플레이될 이미지가 정지 이미지인 경우, 각각의 디스플레이될 정지 이미지에 대하여 디스플레이 휘도를 각각 결정하고,If the image to be displayed is a still image, the display brightness is respectively determined for each still image to be displayed, 상기 디스플레이될 이미지가 동영상 이미지인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될 동영상 이미지의 첫 번째 프레임의 데이터로부터 디스플레이될 동영상 이미지의 디스플레이 휘도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이미지 처리 장치.And when the image to be displayed is a moving image, determining the display luminance of the moving image to be displayed from data of the first frame of the moving image to be displayed. 디스플레이될 이미지의 데이터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될 이미지의 디스플레이 휘도를 결정하는 디스플레이 휘도 결정부;A display luminance determiner for determining a display luminance of the image to be displayed, from data of the image to be displayed;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인 디스플레이부; 및A display unit which is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an image; And 상기 디스플레이 휘도 결정부에서 결정된 디스플레이 휘도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백라이트 밝기를 조정하는 백라이트 밝기 조정부;를 구비하고,And a backlight brightness controller configured to adjust backlight brightness of the display unit according to the display brightness determined by the display brightness determiner. 상기 디스플레이 휘도 결정부는,The display brightness determiner, 상기 디스플레이될 이미지가 정지 이미지인지 동영상 이미지인지 판단하고,Determine whether the image to be displayed is a still image or a video image; 상기 디스플레이될 이미지가 정지 이미지인 경우, 각각의 디스플레이될 정지 이미지에 대하여 디스플레이 휘도를 각각 결정하고,If the image to be displayed is a still image, the display brightness is respectively determined for each still image to be displayed, 상기 디스플레이될 이미지가 동영상 이미지인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될 동영상 이미지의 첫 번째 프레임의 데이터로부터 디스플레이될 동영상 이미지의 디스플레이 휘도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이미지 처리 장치.And when the image to be displayed is a moving image, determining the display luminance of the moving image to be displayed from data of the first frame of the moving image to be displayed.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디스플레이될 이미지의 데이터로부터 휘도 데이터를 추출하는 휘도 데이터 추출부를 더 구비하고, And a luminance data extraction unit for extracting luminance data from data of the image to be displayed, 상기 디스플레이 휘도 결정부는, 상기 휘도 데이터 추출부에서 추출한 휘도 데이터로부터 디스플레이될 이미지의 디스플레이 휘도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And the display luminance determiner determines a display luminance of an image to be displayed from the luminance data extracted by the luminance data extractor.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휘도 데이터 추출부는 디스플레이될 이미지의 데이터로부터 Y 데이터를 추출하고,The luminance data extractor extracts Y data from data of an image to be displayed, 상기 디스플레이 휘도 결정부는, 상위 10%의 Y값을 갖는 화소들 또는 부화소들의 개수와 하위 10%의 Y값을 갖는 화소들 또는 부화소들의 개수의 차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될 이미지의 디스플레이 휘도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The display luminance determiner determines a display luminance of an image to be displayed according to a difference between the number of pixels or subpixels having an upper Y value of 10% and the number of pixels or subpixels having a lower Y value of 10%.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제4항에 있어서,5. The method of claim 4, 상기 디스플레이 휘도 결정부는, 상위 10%의 Y값을 갖는 화소들 또는 부화소들의 개수가 하위 10%의 Y값을 갖는 화소들 또는 부화소들의 개수보다 많을수록 디스플레이될 이미지의 디스플레이 휘도가 높은 것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The display luminance determiner determines that the display luminance of the image to be displayed is higher as the number of pixels or subpixels having a Y value of the upper 10% is greater than the number of pixels or subpixels having a Y value of the lower 10%.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휘도 데이터 추출부는 디스플레이될 이미지의 데이터로부터 Y 데이터를 추출하고,The luminance data extractor extracts Y data from data of an image to be displayed, 상기 디스플레이 휘도 결정부는, 평균의 Y값의 크기에 따라 디스플레이될 이 미지의 디스플레이 휘도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And the display luminance determiner determines a display luminance of an image to be displayed according to the magnitude of an average Y value. 제6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상기 디스플레이 휘도 결정부는, 평균의 Y값이 클수록 디스플레이될 이미지의 디스플레이 휘도가 높은 것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And the display luminance determiner determines that the display luminance of the image to be displayed is higher as the Y value of the average increases.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휘도 데이터 추출부는 디스플레이될 이미지의 데이터로부터 Y 데이터를 추출하고,The luminance data extractor extracts Y data from data of an image to be displayed, 상기 디스플레이 휘도 결정부는, 각 Y값에 대해 각 Y값을 갖는 화소들 또는 부화소들의 개수 데이터를 생성하여, 가장 많은 화소들 또는 부화소들이 갖는 Y값에 따라 디스플레이될 이미지의 디스플레이 휘도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The display luminance determiner generates number data of pixels or subpixels having respective Y values for each Y value, and determines display luminance of an image to be displayed according to the Y value of the largest number of pixels or subpixels.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제8항에 있어서,9. The method of claim 8, 상기 디스플레이 휘도 결정부는, 가장 많은 화소들 또는 부화소들이 갖는 Y값이 클수록 디스플레이될 이미지의 디스플레이 휘도가 높은 것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And the display luminance determiner determines that the display luminance of the image to be displayed is higher as the Y value of the largest pixels or subpixels is increased.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디스플레이 휘도 결정부에서 결정된 디스플레이 휘도가 높을수록, 상기 감마 곡선 수정부는 디스플레이부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가 밝게 디스플레이되도록 감마 곡선을 수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And the higher the display luminance determined by the display luminance determiner, the gamma curve corrector modifies the gamma curve so that an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is displayed brighter.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디스플레이 휘도 결정부에서 결정된 디스플레이 휘도가 높을수록, 상기 감마 곡선 수정부는 감마값이 작아지도록 감마 곡선을 수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And as the display luminance determined by the display luminance determiner is higher, the gamma curve correction unit modifies the gamma curve so that the gamma value is smaller. 제2항에 있어서,3.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디스플레이 휘도 결정부에서 결정된 디스플레이 휘도가 높을수록, 상기 백라이트 밝기 조정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가 밝게 디스플레이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백라이트 밝기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And as the display brightness determined by the display brightness determining unit is higher, the backlight brightness adjusting unit adjusts the backlight brightness of the display unit so that an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is displayed brightly. 삭제delete 디스플레이될 이미지의 데이터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될 이미지의 디스플레이 휘도를 결정하는 단계;Determining, from data of the image to be displayed, display brightness of the image to be displayed; 상기 결정된 디스플레이 휘도에 따라 감마 곡선을 수정하는 단계; 및Modifying a gamma curve according to the determined display brightness; And 수정된 감마 곡선에 따라,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Displaying the image according to the modified gamma curve; 상기 디스플레이 휘도 결정 단계는,The display brightness determination step, 상기 디스플레이될 이미지가 정지 이미지인지 동영상 이미지인지 판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될 이미지가 정지 이미지인 경우, 각각의 디스플레이될 정지 이미지에 대하여 디스플레이 휘도를 각각 결정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될 이미지가 동영상 이미지인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될 동영상 이미지의 첫 번째 프레임의 데이터로부터 디스플레이될 동영상 이미지의 디스플레이 휘도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의 디스플레이 방법.It is determined whether the image to be displayed is a still image or a moving image, and when the image to be displayed is a still image, the display luminance is determined for each still image to be displayed, and when the image to be displayed is a moving image, And determining the display luminance of the moving image image to be displayed from the data of the first frame of the moving image image to be displayed. 디스플레이될 이미지의 데이터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될 이미지의 디스플레이 휘도를 결정하는 단계;Determining, from data of the image to be displayed, display brightness of the image to be displayed; 결정된 디스플레이 휘도에 따라 디스플레이부의 백라이트 밝기를 조정하는 단계; 및Adjusting backlight brightness of the display unit according to the determined display brightness; And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Displaying an image on a display unit; 상기 휘도 결정 단계는,The brightness determination step, 상기 디스플레이될 이미지가 정지 이미지인지 동영상 이미지인지 판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될 이미지가 정지 이미지인 경우, 각각의 디스플레이될 정지 이미지에 대하여 디스플레이 휘도를 각각 결정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될 이미지가 동영상 이미지인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될 동영상 이미지의 첫 번째 프레임의 데이터로부터 디스플레이될 동영상 이미지의 디스플레이 휘도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의 디스플레이 방법.It is determined whether the image to be displayed is a still image or a moving image, and when the image to be displayed is a still image, the display luminance is determined for each still image to be displayed, and when the image to be displayed is a moving image, And determining the display luminance of the moving image image to be displayed from the data of the first frame of the moving image image to be displayed.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4 or 15, 상기 디스플레이될 이미지의 데이터로부터 휘도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휘도를 결정하는 단계는, 추출한 휘도 데이터로부터 디스플레이될 이미지의 디스플레이 휘도를 결정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의 디스플레이 방법.And extracting luminance data from the data of the image to be displayed, wherein determining the display luminance comprises determining display luminance of the image to be displayed from the extracted luminance data. Display method. 제14항 또는 제15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A recording medium storing a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of claim 14 or 15.
KR1020070075796A 2007-07-27 2007-07-27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display method of the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program to implement the display method KR10135716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5796A KR101357164B1 (en) 2007-07-27 2007-07-27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display method of the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program to implement the display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5796A KR101357164B1 (en) 2007-07-27 2007-07-27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display method of the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program to implement the display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1827A KR20090011827A (en) 2009-02-02
KR101357164B1 true KR101357164B1 (en) 2014-02-04

Family

ID=406829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5796A KR101357164B1 (en) 2007-07-27 2007-07-27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display method of the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program to implement the display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7164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40953B2 (en) 2015-10-22 2018-11-27 Dolby Laboratories Licensing Corporation Ambient-light-corrected display management for high dynamic range image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3178B1 (en) 2013-09-12 2020-05-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Display apparatus and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KR102239805B1 (en) 2019-08-07 2021-04-13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for the Preparation of High Performance Pervaporation Membranes Using Functional Crosslinkers for Butanol Recovery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1704A (en) * 2005-02-15 2006-08-21 삼성전자주식회사 Image display device and pixel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KR20070076131A (en) * 2006-01-18 2007-07-24 엘지전자 주식회사 Mothod for improving image quality in digital camera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1704A (en) * 2005-02-15 2006-08-21 삼성전자주식회사 Image display device and pixel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KR20070076131A (en) * 2006-01-18 2007-07-24 엘지전자 주식회사 Mothod for improving image quality in digital camera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40953B2 (en) 2015-10-22 2018-11-27 Dolby Laboratories Licensing Corporation Ambient-light-corrected display management for high dynamic range imag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1827A (en) 2009-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358895A1 (en) Burn-in statistics and burn-in compensation
KR100710965B1 (en) Image processing device, image display device, image processing method, and record media for recording image processing program
KR100827239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mproving visibility for images
US9972078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KR10077290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image signal
US9773459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that has a light emitting unit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US7369699B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restoring color and enhancing electronic images
US11735147B1 (en) Foveated display burn-in statistics and burn-in compensation systems and methods
CN114981873A (en) Gamma correction method and device, electronic device and readable storage medium
JP2006217277A (en) Imaging device
KR101357164B1 (en)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display method of the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program to implement the display method
JP6265710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computer program, and image processing method
KR10185443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and compensating back light frame
EP2811481B1 (en) Video display control device
KR102575261B1 (en) Display Driving Device and Driving Method for Adjusting Brightness of Image based on Ambient Illumination
JP5293923B2 (en) Image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image display apparatus and program
KR102423052B1 (en) Display apparatus for dog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CN112368763A (en) Control device,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JP5896834B2 (en) Image adjustment unit, image display device, computer program, recording medium, and image adjustment method
KR20090011471A (en)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display method of the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program to implement the display method
KR100615183B1 (en) Image processing method for display panel
US11955054B1 (en) Foveated display burn-in statistics and burn-in compensation systems and methods
JP4470587B2 (en) Image display device
JP6108798B2 (en)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24064105A1 (en) Foveated display burn-in statistics and burn-in compensation systems and metho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