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0985B1 - 3차원 다면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3차원 다면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0985B1
KR101350985B1 KR1020110122393A KR20110122393A KR101350985B1 KR 101350985 B1 KR101350985 B1 KR 101350985B1 KR 1020110122393 A KR1020110122393 A KR 1020110122393A KR 20110122393 A KR20110122393 A KR 20110122393A KR 101350985 B1 KR101350985 B1 KR 1013509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hedron
user interface
blocks
indicator
remote con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23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56669A (ko
Inventor
송병륜
최낙의
Original Assignee
도시바삼성스토리지테크놀러지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시바삼성스토리지테크놀러지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도시바삼성스토리지테크놀러지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223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0985B1/ko
Priority to US13/569,655 priority patent/US9256289B2/en
Priority to CN2012103985932A priority patent/CN103218108A/zh
Publication of KR201300566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66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09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09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46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the device orientation or free movement in a 3D space, e.g. 3D mice, 6-DOF [six degrees of freedom] pointers using gyroscopes, accelerometers or tilt-sens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5Interaction with a metaphor-based environment or interaction object displayed as three-dimensional, e.g. changing the user viewpoint with respect to the environment or objec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23D-info-object: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internal or external surface of a three dimensional manipulable object, e.g. on the faces of a cube that can be rotated by the u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3차원 다면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3차원 다면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복수의 정보들이 매핑된 복수의 블록들로 이루어진 제1 다면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다면체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블록들 중 일부 블록들을 회전시키는 단계; 및 상기 일부의 블록들이 회전된 후 형성된 제2 다면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3차원 다면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3D polyhedron user interface}
본 개시는 3차원 다면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란 사용자가 디지털 기기들을 원활히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장치나 소프트웨어를 의미한다. 최근 블루레이 플레이어나,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셋톱박스 등와 같은 디지털 기기에 인터넷, 게임, 소셜네트워킹서비스와 같은 스마트 기능이나 그밖의 여러 복합 기능이 탑재되면서, 이러한 디지털 기기를 조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다양한 입력이 가능할 것을 요구받고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에게 정보를 빠르고 직관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사용자는 키패드, 키보드, 마우스 또는 터치 스크린 등과 같은 수단을 통해 포인터를 움직이고, 포인터가 가리키는 객체를 선택함으로써, 원하는 동작을 디지털 기기에 명령할 수 있다.
사용자로 하여금 디지털 기기와 용이하게 상호 작용할 수 있는 3차원 다면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자고 한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 따르는 3차원 다면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복수의 정보들이 매핑된 복수의 블록들로 이루어진 제1 다면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다면체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블록들 중 일부 블록들을 회전시키는 단계; 및 상기 일부의 블록들이 회전된 후 형성된 제2 다면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 다면체는 정육면체, 사각기둥, 육각기둥, 정사면체, 또는 정팔면체일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블록들은 상기 제1 및 제2 다면체의 각 면에 n행 n열로 행렬 배열되며 이때 n은 2 이상의 자연수일 수 있다.
상기 다면체 객체의 각 면에 놓인 복수의 블록들의 외면들에 복수의 정보들이 일대일 매핑도리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의 정보들은 매핑된 블록들과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상기 블록들 중 일부 블록들을 회전시키는 단계는 지시자가 가르키는 블록과 상기 지시자가 드래그되는 방향에 놓인 블록들을 포함하는 평면상에 놓은 블록들을 상기 지시자가 드래그되는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제2 다면체를 회전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시자가 상기 제2 다면체의 외곽에 놓인 상태서 드래그될 때 상기 제2 다면체를 상기 지시자의 드래그되는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제2 다면체에서 상기 제1 다면체로 되돌아가는 리셋 단계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리셋 단계는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가 기설정된 회수로 연속적으로 회전하는 동작을 감지하면 발생될 수 있다.
리모트 컨트롤러에 움직임에 대응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지시자가 움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는 3차원 다면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장치는 복수의 정보가 매핑된 블록들로 이루어진 제1 다면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블록들 중 일부 블록들을 회전시켜 제2 다면체를 생성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다면체는 정육면체, 사각기둥, 육각기둥, 정사면체, 또는 정팔면체일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부는 상기 블록들 중 어느 한 블록에 대한 선택 지시 및 회전 방향에 대한 정보가 입력되면, 선택 지시를 입력받은 블록과 상기 선택된 블록의 회전 방향에 놓인 블록들을 포함하는 평면상에 놓인 블록들을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부는 지시자가 가르키는 블록과 상기 지시자가 드래그되는 방향에 놓인 블록들을 포함하는 평면상에 놓은 블록들을 상기 지시자가 드래그되는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부는 지시자가 상기 제1 다면체의 외곽에 놓인 상태서 드래그될 때 상기 제1 다면체를 상기 지시자의 드래그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거나, 상기 지시자가 상기 제2 다면체의 외곽에 놓인 상태서 드래그될 때 상기 제2 다면체를 상기 지시자의 드래그되는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부는,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가 제1 패턴으로 움직이는 동작을 감지하면, 상기 생성된 제2 다면체에서 상기 제1 다면체로 되돌아가는 리셋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지시자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제어명령을 발생하는 리모트 컨트롤러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는 자신의 움직임을 검출하는 모션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부는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의 움직임에 대응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지시자를 움직이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는 3차원 다면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로서, 복수의 정보들이 매핑된 복수의 블록들로 이루어진 제1 다면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다면체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블록들 중 일부 블록들을 회전시키는 단계; 및 상기 일부의 블록들이 회전된 후 형성된 제2 다면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3차원 다면체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다.
개시된 실시예에 의한 3차원 다면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는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에게 조작의 재미를 줄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는 도 1의 멀티미디어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도 1의 멀티미디어 장치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제1 다면체 객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4는 도 3의 제1 다면체 객체의 면들을 평면에 펼친 것이다.
도 5는 제1 다면체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리모트 컨트롤러를 이용한 조작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6은 제1 다면체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회전 조작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7은 사용자의 회전 조작시 제1 다면체 객체에 매핑된 정보의 움직임을 도시한다.
도 8은 사용자의 회전 조작이 완료된 후의 제2 다면체 객체를 도시한다.
도 9는 제2 다면체 객체 자체의 회전을 도시한다.
도 10은 사용자의 리셋 조작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3차원 다면체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나 두께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하여 과장되어 있을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장치(1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며, 도 2는 도 1의 멀티미디어 장치(100)의 개략적인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멀티미디어 장치(100)는 본체(110)와 이를 제어하는 리모트 컨트롤러(120)를 포함한다.
본체(110)는 디스플레이부(111), 외부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는 데이터 입력부(112), 입력되는 데이터를 처리하는 신호처리부(113), 리모트 컨트롤러(120)와 통신하는 호스트 통신부(114),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부(115)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10)는 운영체제를 내장하여 공중파 방송 내지 케이블 방송뿐만 아니라, 인터넷 접속이나 각종 실행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는 스마트 텔레비전일 수 있다. 스마트 텔레비전은 디지털 텔레비전에 운영시스템 및 인터넷접속 기능을 탑재하여 실시간 방송뿐만 아니라, VOD(Video On Demand)·게임·검색, 융합 또는 지능형 서비스 등 다양한 콘텐츠를 편리한 이용자 환경(UI/UX)에서 이용할 수 있는 텔레비전이다. 또한 본체(110)는 블루레이 플레이어,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셋톱박스, 퍼스널 컴퓨터, 게임콘솔 등과 같은 기기에 디스플레이부(111)가 외장 또는 내장되어 있는 장치일 수도 있다. 나아가,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는 기가라면, 본 실시예의 본체(110)가 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1)는 액정패널, 유기발광패널 등과 같은 화상패널을 포함하며, 3차원 다면체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다면체 객체(130)나 동영상이나 텍스트와 같은 컨텐츠를 표시한다.
데이터 입력부(112)는 디스플레이부(111)에서 표시되는 컨텐츠 등의 데이터를 입력받는 인터페이스로서 범용 직렬 버스(Universal Serial Bus, USB), 파타(Parallel Advanced Technology Attachment, PATA) 또는 사타(Serial Advanced Technology Attachment, SATA), 플래쉬 미디어(Flash Media), 이더넷(Ethernet),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본체(110)는 광디스크드라이브, 하드디스크 등와 같은 정보저장장치(미도시)를 구비하여 이를 통해 데이터를 입력받을 수도 있다.
신호처리부(113)는 데이터 입력부(112)를 통해 입력된 데이터를 디코딩한다.
호스트 통신부(114)는 리모트 컨트롤러(120)로부터 제어명령을 수신한다. 호스트 통신부(114)로는 적외선 통신 모듈, 전파 통신 모듈, 광학식 통신 모듈 등의 공지의 통신 모듈이 사용될 수 있다. 가령, 적외선 통신 표준인 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프로토콜을 만족하는 적외선 통신 모듈이 호스트 통신부(114)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다른 예로, 2.4GHz 주파수를 이용한 통신 모듈이나 블루투스(Bluetooth)를 이용한 통신 모듈이 호스트 통신부(114)로 사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부(115)는 본체(110)의 운영시스템(Operating System; OS)에 기반한 3차원 다면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부(115)에 의해 제공되는 3차원 다면체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리모트 컨트롤러(120)는 입력부(121), 제어신호 생성부(122), 및 컨트롤러측 통신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리모트 컨트롤러(120)의 외형은 본 실시예를 제한하지 않는다.
입력부(121)는 방향 입력부(1211)와, 확인 버튼(1212)을 포함한다.
방향 입력부(1211)는 2축 또는 3축 관성 센서와 같은 리모트 컨트롤러(120)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모션 센서일 수 있다. 모션 센서는 리모트 컨트롤러(120)의 내부에 내장되어 있을 수 있다. 방향 입력부(1211)는 사용자의 방향 조작을 입력받아 본체(110)의 디스플레이부(110)에 표시된 객체들 중 어느 한 객체를 가르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확인 버튼(1212)은 기계식 키 버튼 혹은 터치 센서일 수 있다. 확인 버튼(1212)은 사용자의 누름과 같은 조작을 입력받아 본체(110)의 디스플레이부(111)에서 선택된 객체를 활성화하거나 실행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입력부(121)는 사용자의 사용빈도가 높은 키들을 추가적으로 더 구비할 수 있다. 가령, 본체(110)의 전원을 온-오프하는 전원키나, 메인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으로 되돌아가도록 하는 홈(home) 버튼이나, 바로 직전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으로 돌아가게 하는 백(back) 버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입력부(121)는 되돌아가기(reward) 버튼, 플레이 버튼, 앞으로가기(forward) 버튼과 같은 플레이어 전용키(1216)를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도 있을 것이다.
제어신호 생성부(122)는 입력부(121)에서 발생되는 신호들에 대응되는 제어명령을 생성한다.
컨트롤러측 통신부(123)는 제어명령 생성부(122)에서 생성된 제어명령을 본체(110)로 전송한다. 컨트롤러측 통신부(123)는 호스트 통신부(114)와 상응하는 것으로서, 적외선 통신 모듈, 전파 통신 모듈, 광학식 통신 모듈 등의 공지의 통신 모듈이 사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부(115)에서 제공되는 3차원 다면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명한다.
도 3은 본체(110)의 디스플레이부(111)에 표시되는 3차원 다면체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제1 다면체 객체(130)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며, 도 4는 제1 다면체 객체(130)의 제1 내지 제6 면들(130a, 130b, 130c, 130d, 130e, 130f)을 평면에 펼친 것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1 다면체 객체(130)는 복수의 블록들(131)로 이루어진 정육면체의 형상을 지닌다. 블록들(131) 각각은 역시 작은 정육면체의 형상을 지닌다. 제1 다면체 객체(130)의 제1 내지 제6 면들(130a, 130b, 130c, 130d, 130e, 130f) 각각에서 보았을 때 복수의 블록들(131)은 3행 3열(즉, 3×3 행렬)로 배열된다.
한편, 다면체 객체(130)의 제1 내지 제6 면들(130a, 130b, 130c, 130d, 130e, 130f) 각각에 놓인 복수의 블록들(131)의 외면들에 복수의 정보들이 일대일 매핑 된다. 이때, 블록들(131)의 외면이라 함은 복수의 블록들(131)의 면들 중에서 외부로 노출되어 제1 다면체 객체(130)의 제1 내지 제6 면들(130a, 130b, 130c, 130d, 130e, 130f)을 이루는 면을 의미한다. 매핑된 정보들(A01, A02, …, A09; B01, B02, …, B09; …, F01, F02, … F09)은 사용자가 제어가능한 메뉴 항목이나 사진, 동영상, 또는 문서와 같은 콘텐츠에 대한 것일 수 있다. 물론 매핑된 매핑된 정보들(A01, A02 … A09; B01, B02 …B09; …, F01, F02, …, F09)의 일부는 널(null) 정보일 수도 있다.
한편, 제1 다면체 객체(130)의 경우, 정보들(A01, A02, …, A09; B01, B02, …, B09; …, F01, F02, …, F09)은 카테고리별로 묶여져 동일 카테고리의 정보들은 동일 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다면체 객체(130)의 제1 면(130a)에는 환경설정 정보들(A01, A02, …, A09)이 모여 있을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1 다면체 객체(130)의 제2 면(130b)에는 음악, 사진, 동영상과 같은 패키지 미디어 정보(B01, B02, …, B09)들이 모여 있고, 제1 다면체 객체(130)의 제3 면(130c)에는 소셜 네트워크 실행 프로그램 정보들(C01, C02, …, C09)이 모여 있고, 제1 다면체 객체(130)의 제4 면(130d)에는 인터넷 콘텐츠 정보들(D01, D02, …, D09)이 모여 있고, 제1 다면체 객체(130)의 제5 면(130e)에는 지상파 방송의 채널 정보들(E01, E02, …, E09)이 모여 있고, 제1 다면체 객체(130)의 제6 면(130d)에는 각종 게임 실행 프로그램 정보들(F01, F02, …, F09)이 모여 있을 수 있다.
도 5는 리모트 컨트롤러(120)를 이용한 제어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리모트 컨트롤러(120)를 공간상에 움직이면 리모트 컨트롤러(120)의 방향 입력부(도 2의 1211)는 리모트 컨트롤러(120)의 움직임(141)을 검출하고, 제어명령 생성부(122)는 검출된 리모트 컨트롤러(120)의 움직임(141)에 상응하는 지시자(139)의 움직임(142)을 지시하는 제어명령을 생성한다. 리모트 컨트롤러(120)에서 생성된 제어명령은 본체(110)로 전달되어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부(115)로 입력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부(115)는 입력받은 제어명령에 기초하여 지시자(139)의 움직임(142)을 제어한다. 즉, 사용자는 리모트 컨트롤러(120)를 공간상에 직접적으로 움직이는 행위(141)와 디스플레이부(도 1의 111)에 표시된 지시자(139)의 움직임(142)을 보는 시각적인 행위를 결합하여 직관적인 조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6은 제1 다면체 객체(130)에 대한 사용자 회전 조작의 일 예를 도시하며, 도 7은 사용자의 회전 조작시 제1 다면체 객체(130)에 매핑된 정보의 움직임을 도시한다. 도 8은 사용자의 회전 조작이 완료된 후의 제2 다면체 객체를 도시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복수의 블록들(131) 중 어느 한 블록(1311)을 지시자(139)로 선택하고, 선택된 블록(1311)을 드래그(drag)한다. 드래그라 함은 선택된 블록(1311)을 끌어 움직이는 조작을 의미한다. 일 예로, 선택된 블록(1311)에 대해 리모트 컨트롤러(121)의 확인버튼(도 2의 1212)을 클릭한 상태로 끄는 방식으로 드래그 조작을 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선택된 블록(1311)에 대해 확인버튼(1212)을 짧게 클릭함으로써 활성화시키고 활성화된 상태로 선택된 블록(1311)를 끌어 움직이는 방식으로 드래그 조작을 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선택된 블록(1311)을 드래그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부(115)는 선택된 블록(1311)의 회전 지시가 요청된 것으로 받아들여, 함께 회전할 블록들을 결정한다. 제1 면(130a)에는 9개의 블록들(1311, 1312, …, 1319)이 놓여 있는데, 한 쪽 귀퉁이에 있는 블록(1311)은 제1 면(130a), 제4 면(130d), 및 제5 면(130e)에 걸쳐 있다. 따라서, 블록(1311)의 회전은 제1 면(130a), 제4 면(130d), 및 제5 면(130e) 중 어느 한 면에 놓인 블록들의 회전과 함께 발생된다. 사용자가 선택된 블록(1311)을 궤적(143)을 따라 드래그하게 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부(115)는 선택된 블록(1311)의 최초 위치와 드래그되는 궤적(143)을 토대로 회전하는 블록들을 결정하게 된다. 드래그되는 궤적(143)이 회전축(A)을 중심으로 하는 호(arc)를 그리게 되면, 선택된 블록(1311)을 포함하며 회전축(A)에 직교하는 평면인 제1 면(130a)이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선택된 블록(1311)을 궤적(143)을 따라 드래그하게 되면, 제1 면(130a)에 놓은 블록들(1311, 1312, …, 1319)이 동시에 회전하게 된다. 만일 선택된 블록(1311)을 다른 궤적으로 드래그하게 되면, 선택된 블록(1311)을 포함하는 다른 평면(예를 들어, 제4 면(130d)이나 제5 면(130e))이 결정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동시에 회전하는 블록들은 달라지게 될 것이다.
상기와 같은 블록들(131)의 회전의 조작은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도 1의 111)에 표시된 지시자(139)의 움직임(142)과 드래그되어 움직이는 블록들(131)의 움직임(143)을 시각적으로 보면서 리모트 컨트롤러(120)를 공간상에 직접적으로 움직이는 행위(141)를 통해 이루어지므로 매우 직관적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블록들(131)의 회전의 조작은 마치 루빅스 큐브를 조작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주므로, 사용자로 하여금 재미를 느끼게 할 수 있다.
한편, 도 7에 도시되듯이, 블록들(131)의 회전시, 매핑된 정보들(A01, A02, …, A09; B01, B02, …, B09; …, F01, F02, …, F09)은 회전되는 블록들(131)과 같이 회전된다. 그 결과,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블록들(131)의 회전 조작에 의해 새로운 제2 다면체 객체(130')가 생성되게 된다.
새로 생성된 제2 다면체 객체(130')의 제1 내지 제6 면(130'a, 130'b, 130'c, 130'd, 130'e, 130'f)에 모여지는 정보들은 최초의 정보들(A01, A02, …, A09; B01, B02, …, B09; …, F01, F02, …, F09)과 상이한 배열을 가진다. 가령, 제1 면(130'a))에 있는 정보들(B01, A08, D03, B06, A05, A06, A07, F06, AA09)은 서로 다른 카테고리에서 모인 것으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선택적으로 취합될 수 있다.
루빅스 큐브에 능숙한 사용자라면, 블록들(131)을 적절히 회전 조작함으로써, 특정 정보들(예를 들어, B01, A08, D03, B06, A05, A06, A07, F06, A09)를 제1 면(130'a)에 모을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3차원 다면체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선호되는 정보들(실행 프로그램, 콘텐츠 등)을 한 곳에 모아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오락적 요소가 가미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3차원 다면체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조작에 재미를 줄 수도 있다.
도 9는 제2 다면체 객체(130') 자체의 회전을 도시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사용자 조작에 의해 생성된 제2 다면체 객체(130')는 그 자체가 회전될 수 있다. 제2 다면체 객체(130')는 회전함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11)에 보여지는 면이 바뀌게 될 것이다. 이와 같은 제2 다면체 객체(130') 자체의 회전 지시는, 일 예로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지시자(139)를 제2 다면체 객체(130')의 외곽에 놓고서 지시자(139)를 클릭한 상태로 드래그하면서 이루어질 수 있다. 지시자(139)가 드래그되는 궤적(144)이 회전을 모사하게 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부(115)는 지시자(1239)의 움직임을 제2 다면체 객체(130') 자체의 지시 명령으로 간주하고 제2 다면체 객체(130')를 회전시킨다. 다른 예로, 제2 다면체 객체(130') 자체의 회전 지시는 디스플레이부(111)에 별도로 회전 지시 아이콘이 표시되어 이를 클릭하게 되면, 제2 다면체 객체(130')가 회전하는 방식을 취할 수도 있다.
도 10은 사용자의 리셋 조작의 일 예를 도시한다.
블록의 회전 조작은 루빅스 큐브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것처럼 블록들이 뒤엉켜 사용자가 원하지 않은 정보들이 조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2 다면체 객체(130')의 정보들의 조합은 특정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이루어진 것이므로, 다른 사용자는 제2 다면체 객체(130')의 정보들의 조합을 불편하게 느낄 수가 있다. 이러한 필요성을 반영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부(115)는 제2 다면체 객체(130 )를 블록 회전 조작 전의 상태인 제1 다면체 객체(130)로 리셋하게 할 수 있다.
사용자의 리셋 조작은 리모트 컨트롤러(120)의 특정 패턴의 움직임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리모트 컨트롤러(120)를 복수회 회전시키는 동작(swag)(144)과 같이 통상적으로 수행하지 않는 동작을 하게 되면, 제어신호 생성부(122)는 리셋 명령을 생성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부(115)는 리셋 명령에 따라, 제2 다면체 객체(130')를 제1 다면체 객체(130)로 되돌릴 수 있다. 다른 예로, 리모트 컨트롤러(120)에 별도의 리셋 버튼이 마련되어, 리셋 버튼을 누름으로써 리셋 조작(S150)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 본체(110)의 디스플레이부(111)에 별도의 리셋 아이콘이 표시되어, 사용자가 리셋 아이콘을 클릭함으로써 리셋 조작(S150)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3차원 다면체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5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먼저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부(115)는 제1 다면체 객체(130)와 지시자(139)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부(111)에 표시한다(S110). 사용자는 리무트 컨트롤러(120)를 움직여 디스플레이부(111)에 표시된 지시자(139)가 제1 다면체 객체(130)의 어느 한 블록(예를 들어, 1311)을 선택한다(S120). 다음으로 사용자는 선택된 블록(1311)을 드래그하여 선택된 블록(1311)이 포함된 일 군의 블록들을 회전시킨다(S130). 함께 회전하는 일 군의 블록들은, 선택된 블록이 회전하는 방향이 놓인 블록들이 놓이 평면에 있는 모든 블록들이 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블록 회전 조작을 통해, 제2 다면체 객체(130')을 생성한다(S140). 제2 다면체 객체(130')의 1 내지 제6 면(130'a), 130'b, 130'c, 130'd, 130'e, 130'f)에 모인 정보들의 조합은 제1 다면체 객체(130)의 1 내지 제6 면(130a, 130b, 130c, 130d, 130e, 130f)에 모인 정보들의 조합과 다르다.
나아가, 필요에 따라 사용자는 리셋 조작(S150)을 통해 제2 다면체 객체(130')를 제1 다면체 객체(130)로 되돌릴 수 있다(S160). 리셋 조작(S150)은 전술한 바와 같이 리모트 컨트롤러(120)의 특정 패턴의 움직임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다면체 객체(130, 130')가 정육면체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다면체 객체(130)는 사각기둥, 육각기둥, 사면체, 팔면체 등 다양한 다면체 형상을 지닐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들은 블록들(131)이 3행 3열로 배열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블록들(131)은 제1 및 제2 다면체 객체(130, 130')의 각 면에 n행 n열로 행렬 배열되며, 이때 n은 2 이상의 자연수일 수 있다. 가령, 블록들(131)은 제1 및 제2 다면체 객체(130, 130')의 각 면에 2행 2열로 배열되거나, 혹은 4행 4열, 5행 5열 등으로 배열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멀티미디어 장치(100)가 리모트 컨트롤러(110)를 구비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멀티미디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11) 자체가 직접적인 입력가능한 터치스크린으로 되어 잇을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리모트 컨트롤러(110)는 생략가능하다.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디지털 기기에 있어서 사용자 환경(UI/UX) 문제는 중요한 이슈이다. 예를 들어, 스마트 텔레비전이 종래의 텔레비전을 대체하여 일반 가정의 거실에서 사용될 때 중요한 이슈 중 하나는 스마트 텔레지번이 제공하는 다양한 기능들을 사용자가 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가이다. 스마트 텔레비전은 방송 콘텐츠 뿐만 아니라, 인터넷 웹서핑, 전자우편, 게임, 사진 및 음악, 동영상 미디어 등 종래에 개인용 컴퓨터에서 이용 가능하던 다양한 인터넷 기반의 콘텐츠들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다양한 콘텐츠들의 제공이 사용자로 하여금 불편함을 느끼게 하면 결과적으로 스마트 텔레비전의 효용성은 떨어지게 될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본 실시예들에 의한 3차원 다면체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를 스마트 텔레비전과 같은 멀티미디어 장치에 적용함으로써,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선호되는 정보들(실행 프로그램, 콘텐츠 등)을 한 곳에 모아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오락적 요소가 가미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3차원 다면체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조작에 재미를 줄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와 같은 디지털 기기에 구비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매체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플래쉬 메모리,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등이 있으며,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장치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3차원 다면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인 3차원 다면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는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멀티미디어 장치 110 : 본체
111 : 디스플레이부 112 : 데이터 입력부
113 : 호스트 신호처리부 114 : 호스트 통신부
115 :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부 120 : 리모트 컨트롤러
121 : 입력부 1211 : 방향 입력부
1212 : 확인 버튼 122 : 제어명령 생성부
123 : 컨트롤러측 통신부 130, 130': 다면체 객체
131 : 블록 139 : 지시자

Claims (20)

  1. 디스플레이 상에 3차원 다면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부에서 복수의 정보들이 매핑된 복수의 블록들로 이루어진 제1 다면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다면체를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는 단계;
    입력부를 통하여 입력되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부에서 상기 복수의 블록들 중 일부 블록들을 회전시키는 단계;
    상기 일부의 블록들이 회전된 후 형성된 제2 다면체를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는 단계;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부에서 상기 제2 다면체에서 상기 제1 다면체로 되돌리고 되돌아간 상기 제1 다면체를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는 리셋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리셋 단계는 리모트 컨트롤러가 제1 패턴의 동작으로 움직이는 동작이 감지되면 발생하며,
    상기 제1 패턴의 동작은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가 기설정된 회수로 연속적으로 회전하는 동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다면체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다면체는 정육면체, 사각기둥, 육각기둥, 정사면체, 또는 정팔면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다면체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블록들은 상기 제1 및 제2 다면체의 각 면에 n행 n열로 행렬 배열되며 이때 n은 2 이상의 자연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다면체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다면체 객체의 각 면에 놓인 복수의 블록들의 외면들에 복수의 정보들이 일대일 매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다면체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정보들은 매핑된 블록들과 함께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다면체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들 중 일부 블록들을 회전시키는 단계는
    지시자가 가르키는 블록과 상기 지시자가 드래그되는 방향에 놓인 블록들을 포함하는 평면상에 놓은 블록들을 상기 지시자가 드래그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다면체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다면체를 회전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다면체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8. 제7 항에 있어서,
    지시자가 상기 제2 다면체의 외곽에 놓인 상태서 드래그될 때 상기 제2 다면체를 상기 지시자의 드래그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다면체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9. 삭제
  10. 삭제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에 움직임에 대응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지시자가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다면체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12.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정보가 매핑된 블록들로 이루어진 제1 다면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블록들 중 일부 블록들을 회전시켜 제2 다면체를 생성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부; 및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부를 원격에서 제어하는 리모트 컨트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부는,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가 제1 패턴으로 움직이는 동작을 감지하면, 상기 제2 다면체에서 상기 제1 다면체로 되돌아가는 리셋 동작을 수행하며,
    상기 제1 패턴의 동작은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가 기설정된 회수로 연속적으로 회전하는 동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다면체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다면체는 정육면체, 사각기둥, 육각기둥, 정사면체, 또는 정팔면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다면체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14.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부는 상기 블록들 중 어느 한 블록에 대한 선택 지시 및 회전 방향에 대한 정보가 입력되면, 선택 지시를 입력받은 블록과 상기 선택된 블록의 회전 방향에 놓인 블록들을 포함하는 평면상에 놓인 블록들을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다면체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15.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부는 지시자가 가르키는 블록과 상기 지시자가 드래그되는 방향에 놓인 블록들을 포함하는 평면상에 놓은 블록들을 상기 지시자가 드래그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다면체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16.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부는 지시자가 상기 제1 다면체의 외곽에 놓인 상태서 드래그될 때 상기 제1 다면체를 상기 지시자의 드래그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거나, 상기 지시자가 상기 제2 다면체의 외곽에 놓인 상태서 드래그될 때 상기 제2 다면체를 상기 지시자의 드래그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다면체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17. 삭제
  18.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지시자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제어명령을 발생하는 리모트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다면체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는 자신의 움직임을 검출하는 모션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부는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의 움직임에 대응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지시자를 움직이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다면체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20. 3차원 다면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에 있어서,
    제1 항 내지 제8 항, 및 제11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3차원 다면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10122393A 2011-11-22 2011-11-22 3차원 다면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3509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2393A KR101350985B1 (ko) 2011-11-22 2011-11-22 3차원 다면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US13/569,655 US9256289B2 (en) 2011-11-22 2012-08-08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a polyhedral user interface
CN2012103985932A CN103218108A (zh) 2011-11-22 2012-10-19 用于显示多面体用户界面的方法和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2393A KR101350985B1 (ko) 2011-11-22 2011-11-22 3차원 다면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6669A KR20130056669A (ko) 2013-05-30
KR101350985B1 true KR101350985B1 (ko) 2014-01-15

Family

ID=484282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2393A KR101350985B1 (ko) 2011-11-22 2011-11-22 3차원 다면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256289B2 (ko)
KR (1) KR101350985B1 (ko)
CN (1) CN10321810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69455B2 (en) * 2012-06-22 2015-06-30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3D user interface for application entities
TW201508606A (zh) * 2013-08-27 2015-03-01 Hon Hai Prec Ind Co Ltd 工具組合系統及方法
CN104536649A (zh) * 2015-01-12 2015-04-22 天脉聚源(北京)传媒科技有限公司 一种页面的显示方法及装置
CN104571877A (zh) * 2015-01-16 2015-04-29 天脉聚源(北京)传媒科技有限公司 一种页面的显示处理方法及装置
US20180032153A1 (en) * 2016-07-28 2018-02-01 Michael Joshua Samuels Hand-held actuator for control over audio and video communication
USD819077S1 (en) * 2017-06-04 2018-05-29 Apple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icon
USD835156S1 (en) 2017-07-24 2018-12-04 Apple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animated icon
CN107670268B (zh) * 2017-11-06 2020-03-03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魔方、魔方控制方法以及终端
CN108093283A (zh) * 2017-12-29 2018-05-29 王小艳 一种机顶盒3d翻滚图形界面的实现方法
USD877771S1 (en) * 2018-01-30 2020-03-10 Magic Leap, Inc. Display panel or portion thereof with a transitional mixed reality graphical user interface
CN110620805B (zh) * 2018-12-29 2022-02-08 北京时光荏苒科技有限公司 用于生成信息的方法和装置
USD910055S1 (en) 2019-06-03 2021-02-09 Apple Inc. Electronic device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940752S1 (en) * 2020-06-19 2022-01-11 Apple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icon
CN112148177A (zh) * 2020-09-30 2020-12-29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后台任务的显示方法、装置、电子设备和可读存储介质
CN112540706A (zh) * 2020-12-03 2021-03-23 歌尔科技有限公司 穿戴设备及其界面切换方法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D991271S1 (en) * 2021-04-30 2023-07-04 Dapper Labs, Inc. Display screen with an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US11983382B2 (en) * 2022-06-13 2024-05-14 Illuscio, Inc.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three-dimensional menus and toolbars to control computer operatio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22461A (ko) * 2009-05-12 2010-11-22 오의진 다면체를 이용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이를 구현하는 사용자 단말기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72467A (en) * 1996-05-03 2000-06-06 Mitsubishi Electric Information Technology Center America, Inc. (Ita) Continuously variable control of animated on-screen characters
US6327623B2 (en) * 1997-05-30 2001-12-04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Computer system with environmental detection
US7216305B1 (en) * 2001-02-15 2007-05-08 Denny Jaeger Storage/display/action object for onscreen use
US7007242B2 (en) * 2002-02-20 2006-02-28 Nokia Corporation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a mobile device
KR100587414B1 (ko) 2004-04-07 2006-06-08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육면체형으로 이루어진 3차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KR100608589B1 (ko) * 2004-07-24 2006-08-03 삼성전자주식회사 3차원 모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이를 제공하는방법 및 장치
KR100631763B1 (ko) * 2004-07-26 2006-10-09 삼성전자주식회사 3차원 모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이를 제공하는방법 및 장치
JP4318047B2 (ja) 2005-06-06 2009-08-19 ソニー株式会社 3次元オブジェクト表示装置、3次元オブジェクト切替表示方法及び3次元オブジェクト表示プログラム
KR101445645B1 (ko) * 2007-08-03 2014-10-01 삼성전자주식회사 아이템 매칭기능을 구비한 방송수신장치 및사용자입력장치, 그리고 아이템 매칭방법
KR100988377B1 (ko) * 2008-05-06 2010-10-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의 메뉴관리 장치 및 방법
JP2010157930A (ja) * 2008-12-27 2010-07-15 Funai Electric Co Ltd 映像装置
US8132120B2 (en) * 2008-12-29 2012-03-06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Interface cube for mobile device
KR101561911B1 (ko) * 2009-03-23 2015-10-20 엘지전자 주식회사 키 입력 방법 및 그 장치
US8896527B2 (en) * 2009-04-07 2014-11-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ulti-resolution pointing system
US8271898B1 (en) * 2009-06-04 2012-09-18 Mellmo Inc. Predictive scrolling
KR20110000354A (ko) 2009-06-26 2011-01-03 주식회사 스페이스일루젼 디스플레이 장치의 3d 큐브젯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 및 조작 방법
KR101558207B1 (ko) * 2009-09-14 2015-10-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아이템 설정 방법
TW201140420A (en) * 2010-06-15 2011-11-16 Wistron Neweb Corp User interface and electronic device
US9516391B2 (en) * 2010-08-27 2016-12-06 Intel Corporation Techniques for object based operations
US9619104B2 (en) * 2010-10-01 2017-04-11 Smart Technologies Ulc Interactive input system having a 3D input spa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22461A (ko) * 2009-05-12 2010-11-22 오의진 다면체를 이용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이를 구현하는 사용자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256289B2 (en) 2016-02-09
US20130132909A1 (en) 2013-05-23
CN103218108A (zh) 2013-07-24
KR20130056669A (ko) 2013-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0985B1 (ko) 3차원 다면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US10754517B2 (en) System and methods for interacting with a control environment
KR101391689B1 (ko) 이동가능한 메뉴세트를 이용한 메뉴 제공방법 및 이를적용한 멀티미디어 기기
JP6843072B2 (ja) 情報処理方法、端末、およびコンピュータ記憶媒体
US8896765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mote control of a television
CN110115043A (zh) 具有用于视频预览的扩展单元格的电子节目指南
JP5681193B2 (ja) グリッドナビゲーションのための機器および方法
US10028007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KR20080061711A (ko) 조작세트로 변경가능한 메뉴세트를 이용한 메뉴 제공방법및 이를 적용한 멀티미디어 기기
US20140337749A1 (en) Display apparatus and graphic user interface screen providing method thereof
CN110559651A (zh) 云游戏的控制方法及装置、计算机存储介质、电子设备
US20140337892A1 (en) Display apparatus and user interface screen providing method thereof
CN103324393A (zh) 用于应用实体的3d用户接口
KR102222380B1 (ko) 피제어 장치로부터의 입력 모드 데이터를 이용하는 입력 장치
CN103984494A (zh) 用于多种设备间的直觉式用户互动系统及方法
US20130127731A1 (en) Remote controller, and system and method using the same
US11823332B2 (en) Overlay placement for virtual reality and augmented reality
US11297366B2 (en) Methods, systems, and media for object grouping and manipulation in immersive environments
US2013012772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using remote controller
KR20110094693A (ko)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1371417B1 (ko) 터치 스크린의 터치에 의해 컨텐츠 리스트가 제공되는 메뉴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멀티미디어 기기
KR20170125004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ui 화면 제공 방법
KR101326696B1 (ko) 표시상태가 변경가능한 메뉴세트를 이용한 메뉴 제공방법및 이를 적용한 멀티미디어 기기
KR20080061712A (ko) 구성된 메뉴를 변경가능한 메뉴세트를 이용한 메뉴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멀티미디어 기기
KR101371420B1 (ko) 최상위 메뉴 간 직접 이동가능한 메뉴세트를 이용한 메뉴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멀티미디어 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