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0729B1 - Mobile terminal for controlling programs according to near field communication with tokens, and a recording medium recorded with an application for the same function - Google Patents

Mobile terminal for controlling programs according to near field communication with tokens, and a recording medium recorded with an application for the same fun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0729B1
KR101350729B1 KR1020130005748A KR20130005748A KR101350729B1 KR 101350729 B1 KR101350729 B1 KR 101350729B1 KR 1020130005748 A KR1020130005748 A KR 1020130005748A KR 20130005748 A KR20130005748 A KR 20130005748A KR 101350729 B1 KR101350729 B1 KR 1013507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token
command
unit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574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강윤호
유정열
Original Assignee
크로시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크로시스(주) filed Critical 크로시스(주)
Priority to KR10201300057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072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07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072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2Network 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75Indicating network or usage conditions on the user displ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A mobile terminal capable of performing control operation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The terminal comprises: a communication unit for performing near field communication for a token prepared for near field communication; an application storage unit for storing an application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 result of the near field communication for the token; an input unit for inputting a configuration command for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performed by the application in advance corresponding to each token; and a control unit for the mobile terminal of performing operation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command by the application as the token is recognized to be capable of communication by the communication unit. According to the above, convenience of use is remarkably increased since a preset operation by a user for the mobile terminal is automatically executed according to not a coordinate location but a functional location. [Reference numerals] (20) Mobile terminal; (21) Control unit; (22) Communication unit; (25) Application storage unit; (26) Configuration storage unit; (27) Display unit; (28) Input unit

Description

토큰과의 근거리 통신을 통해 프로그램을 제어하는 모바일 단말기 및 이러한 기능의 어플리케이션을 기록한 기록매체 {Mobile Terminal for controlling Programs according to Near Field Communication with Tokens, and a Recording Medium recorded with an application for the same function}Mobile terminal for controlling programs through near field communication with tokens and recording media recording applications of these functions {Mobile Terminal for controlling Programs according to Near Field Communication with Tokens, and a Recording Medium recorded with an application for the same function}

본 발명은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단말기 및 이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을 기록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NFC(Near Field Communication) 가능한 토큰과의 통신 결과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의 동작 제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cording medium recording a mobile terminal such as a smartphone and an application installed thereon.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operation control of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communication result with the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capable token.

전화기와 컴퓨터의 기능이 복합된 스마트폰이 보편화됨에 따라 모바일 단말기의 기능이 단순한 통신의 기능을 넘어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복합 기기로 발전하고 있다. 모바일 단말기의 사용자는 특정한 상황 또는 특정 지역에서 특정한 기능이 수행되기를 원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경우를 위하여 기존의 서비스들에서는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하여 파악된 위치에 부합되는 정보를 문자메시지 등을 통해 알려주기도 한다.As smart phones, which are a combination of telephone and computer functions, are becoming more common, mobile devices are becoming more complex devices that provide various functions through various programs that users need beyond simple communication. A user of a mobile terminal often wants to perform a specific function in a specific situation or a specific region. For this case, the existing services grasp the location of the user's mobile terminal and inform the user of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ed location through a text message.

예컨대 사용자가 번화가를 지나갈 때에는 해당 번화가에 있는 각종 매장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가 기 설정해 놓은 관심 분야에 따라 문자메시지로 할인쿠폰과 함께 전송하여 주는 서비스가 존재한다. 이러한 서비스를 통해 사용자는 자신의 관심 분야인 예컨대 의류에 대한 신상품 정보를 할인쿠폰과 함께 받아볼 수 있고, 매장 입장에서는 근거리에 위치한 사용자에게 자신의 매장을 홍보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a user passes through a downtown area, there is a service that transmits information on various stores in the downtown area along with a discount coupon in a text message according to a user's field of interest. Through such a service, a user can receive new product information of his / her interest, for example, clothing along with a discount coupon, and can promote his / her store to a user located near the store.

그러나, 이러한 기존의 서비스는 사용자의 요구사항에 부합된다기보다는 광고주의 요구에 주로 부합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상기 서비스는 사용자 위주의 서비스라기보다는 광고주 위주의 서비스이므로, 사용자가 관심 분야나 관심 지역을 설정한다 하더라도 자신의 니즈(needs)에 잘 부합되는 정보를 얻기가 어렵다. 따라서 사용자 입장에서는 원하지 않는 정보에 대한 안내를 자주 받게 되므로 매우 큰 불편함을 느끼게 된다.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se existing services mainly meet the needs of advertisers rather than the requirements of users. That is, since the service is an advertiser-oriented service rather than a user-oriented service, even if a user sets an area of interest or a region of interest, it is difficult to obtain information that satisfies his needs. Therefore, from the user's point of view, often receive guidance about unwanted information, you feel very inconvenient.

또한, 기존의 서비스는 사용자의 세세한 요구사항에 부합되지 못하며, 특히 사용자가 외부에서의 정보 제공을 원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단말기에 대하여 특정 조건하에서 특정 동작이 수행되도록 자동으로 조절하고자 하는 요구를 가질 경우에는, 이에 부합되는 서비스는 전혀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헬스클럽에 입장하였을 때에는 자신의 몸무게와 체지방 정도를 기록한 과거 기록을 보여주는 어플리케이션이 자신의 모바일 단말기에서 자동 실행되도록 하여 운동 결과의 이력을 손쉽게 체크하고 싶을 수 있다. 그러나 기존의 서비스는 이와 같이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 자체를 자동으로 제어하는 방안은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In addition, the existing service does not meet the detailed requirements of the user, especially when the user does not want to provide information from the outside, but has a request to automatically adjust the specific operation to be performed under specific conditions for their terminal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rresponding service is not provided at all. For example, when a user enters a health club, an application showing a past record of his / her weight and body fat may be automatically executed in his mobile terminal, so that the user may easily check the history of the exercise result. However, existing services do not provide a way to automatically control the user's mobile terminal itself.

또한, 사용자가 원하는 특징 지역이라는 개념이 사용자 입장에서는 좌표적 개념의 위치가 아니라 기능적 개념의 위치인 경우도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자신의 자동차에 탑승할 때마다 자신의 단말기에 기 설치되어 있는 네비게이션 프로그램이 자동으로 실행되도록 하고 싶을 경우, 기존의 서비스는 모바일 단말기의 위치를 GPS 장치나 이동통신망의 셀(cell) 단위 위치 인식을 통해 인식하므로, 현재의 사용자의 위치가 자동차에 탑승한 위치인지 여부는 확인할 수 없다. 따라서, 이러한 기존의 서비스에서는 이와 같은 이동하는 물체와의 위치 관계에 따른 맞춤형 서비스의 제공이 원천적으로 불가능하다.In addition, the concept of a feature area desired by a user may be a location of a functional concept rather than a coordinate concept. For example, if a user wants to automatically run a navigation program pre-installed on his or her terminal every time he / she enters his / her car, the existing service uses the GPS unit or the cell unit of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o locate the mobile terminal. Since the location is recognized through the location recognition, it is not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current user's location is in the car. Therefore, in the existing service, it is not possible to provide a customized service based on the positional relationship with the moving objec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동작이 자동 실행되도록 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증대시킴에 있어서,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 또는 환경에 대한 정보를 좌표적인 개념의 위치에 국한되지 않고 사용자가 특정 기능이 수행되기를 원하는 기능 개념의 위치로 설정할 수 있고, 또한 설정한 위치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이 모바일 단말기에 대해 구체적인 기능으로 특정하여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crease the user convenience by automatically executing the desired operation according to the user's location, the user's desired location or environment It is possible to set the information on the location of the function concept that the user wants to perform a specific function without being limited to the location of the coordinate concept. Also, the desired function can be set as the specific function for the mobile terminal at the set location. It is to provide a way to ensure that.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근거리 통신에 따른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모바일 단말기로서, 근거리 통신을 위해 마련된 소정의 토큰에 대해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상기 토큰에 대한 상기 통신부의 근거리 통신 결과에 따라 모바일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앱저장부;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수행할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동작에 대한 설정명령을 개개의 상기 토큰에 대응하여 사전에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상기 설정명령을 저장하기 위한 설정저장부; 및 상기 통신부에 의해 상기 토큰이 통신 가능하도록 인식됨에 따라,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설정저장부에 기 저장되어 있는 상기 설정명령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도록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제안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obile terminal for performing a control operation according to short-rang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unit for performing short-range communication for a predetermined token provided for short-range communication; An app storage unit for storing an application for controlling an operation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 short range communication result of the communication unit for the token; An input unit for inputting a setting command for an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to be performed by the application in advance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tokens; A setting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setting command inputted through the input unit;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to perform an operation according to the setting command previously stored in the setting storage unit by the application, as the token is recognized to be communicable by the communication unit. It proposes a mobile terminal comprising a.

상기 설정명령은,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턴온시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표시화면상에 표시되는 소정의 항목이 상기 표시화면상에 표시되지 않도록 하는 숨기기 명령을 포함한다.The setting command includes a hiding command such that a predetermined item displayed on a display screen of the mobile terminal is not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when the mobile terminal is turned on.

상기 소정의 항목은,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설치되어 있는 프로그램들을 표시하는 아이콘 중 하나 이상, 상기 모바일 단말기를 통한 전화 및 문자 수발신 내역 중 하나 이상,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주소록 또는 데이터 중 하나 이상,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The predetermined item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n icon indicating programs installed in the mobile terminal, at least one of a call and text transmission / reception history through the mobile terminal, at least one of an address book or data stored at the mobile terminal, At least any one of them.

상기 설정명령은,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설치되어 있는 프로그램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대한 자동실행명령을 포함한다.The setting command includes an automatic execution command for any one or more of the programs installed in the mobile terminal.

상기 설정명령은,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설치 가능한 특정 프로그램에 대한 안내를 하는 앱추천명령을 포함한다.The setting command includes an app recommendation command for guiding a specific program that can be installed in the mobile terminal.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근거리 통신을 위한 통신부, 앱저장부, 설정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 상기 설정명령을 저장하기 위한 설정저장부, 및 제어부를 구비한 모바일 단말기 내의 상기 앱저장부에 설치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서, 소정의 토큰에 대한 상기 통신부의 근거리 통신을 제어하기 위한 통신 모듈;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수행할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동작에 대한 상기 설정명령을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받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입력 모듈;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상기 설정명령을 상기 설정저장부에 저장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설정 모듈; 및 상기 통신부에 의해 상기 토큰이 통신 가능하도록 인식됨에 따라,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설정저장부에 기 저장되어 있는 상기 설정명령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도록 상기 제어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가 제공된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munication unit for short-range communication, the app storage unit, the input unit for inputting the setting command, the setting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setting command, and installed in the app storage unit in the mobile terminal having a control unit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an application program, comprising: a communication module for controlling short-range communication of the communication unit for a predetermined token; An input module configured to receive an input of the setting command for the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to be performed by the application through the input unit; A setting module for storing the setting command inputted through the input unit in the setting storage unit; And a control module for controlling the controller to perform an operation according to the setting command previously stored in the setting storage unit by the application, as the token is recognized to be communicable by the communication unit.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an application program is provided.

본 발명에 따르면, 좌표적인 위치가 아닌 기능적인 위치에 따라 모바일 단말기에 대해 사용자가 사전에 설정한 동작이 자동 실행되므로 사용자 편의성이 크게 증대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s convenience is greatly increased because a user preset operation is automatically executed for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functional position instead of the coordinate position.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의 개략적인 내부 구성을 블록도로서 도시한 도면.
도 2 는 도 1 의 앱저장부에 설치되는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각 기능별 모듈을 도시한 도면.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chematic internal configuration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 module for each function constituting an application progr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ed in the app storage unit of FIG.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의 개략적인 내부 구성을 블록도로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기(20)와 토큰(30)과의 NFC(Near Field Communication : 근거리 통신)을 통하여 토큰(30)에 대응하여 모바일 단말기(20)에 사전 설정되어 있는 기능이 수행되도록 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이를 위한 모바일 단말기(20)의 구성은, 제어부(21), 통신부(22), 앱저장부(25), 설정저장부(26), 표시부(27), 및 입력부(28)를 구비하며, 그 외에 통상적인 모바일 단말기(20)에 구비되어 있는 구성에 대해서는 발명의 요지 기술에 불필요하므로 도시를 생략하였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chematic internal configuration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performing a function preset in the mobile terminal 20 in response to the token 30 through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Near Field Communication) between the mobile terminal 20 and the token 30. present. The mobile terminal 20 has a control unit 21, a communication unit 22, an app storage unit 25, a setting storage unit 26, a display unit 27, and an input unit 28. In addition, since the configuration provided in the conventional mobile terminal 20 is unnecessary for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illustration is omitted.

통신부(22)는 토큰(30)과의 근거리 통신을 위해 마련된다. 통신부(22)와 토큰(30)과의 근거리 통신 방식은 제약이 없으며, 예컨대 블루투스 통신, 적외선 통신, RFID 통신, 등과 같은 다양한 방식이 채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토큰(30)은 적외선 송수신기, RFID 태그, 블루투스 모듈 등과 같은 다양한 전자기기를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22 is provided for near field communication with the token 30.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the communication unit 22 and the token 30 is not limited, and various methods such as Bluetooth communication, infrared communication, RFID communication, and the like may be employed. To this end, the token 30 may be configured using various electronic devices such as an infrared transceiver, an RFID tag, a Bluetooth module, and the like.

앱저장부(25)는 토큰(30)에 대한 통신부(22)의 근거리 통신 결과에 따라 모바일 단말기(2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기 위해 마련된다. 앱저장부(25)는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외에도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기(20)에 다운로드받아 설치하였거나 또는 모바일 단말기(20)의 제작시 제작사에서 기본으로 제공하여 설치하여 둔 각종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들이 저장된다.App storage unit 25 is provided for storing the appl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20 according to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result of the communication unit 22 to the token 30. In addition to the application progr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pp storage unit 25 stores various application programs that the user has downloaded and installed on the mobile terminal 20 or provided and installed by the manufacturer when the mobile terminal 20 is manufactured. .

입력부(28)는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이 수행할 모바일 단말기(20)의 동작에 대한 설정명령을 개개의 토큰(30)에 대응하여 사용자가 사전에 입력하기 위하여 마련된다. 즉, 사용자는 각 토큰(30)별로 해당 토큰에 대한 특정 동작의 수행을 위한 설정명령을 입력부(28)를 통해 입력할 수 있다. 설정저장부(26)는 입력부(28)를 통해 입력된 이러한 설정명령들을 저장하여 둔다.The input unit 28 is provided for the user to input a setting command for the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20 to be executed by the appl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correspondence with the individual tokens 30 in advance. That is, the user may input a setting command for performing a specific operation for the corresponding token for each token 30 through the input unit 28. The setting storage unit 26 stores these setting commands inputted through the input unit 28.

제어부(21)는 모바일 단말기(20)가 설정저장부(26)에 기 저장되어 있는 설정명령에 따른 동작을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의 구동에 따라 수행하도록 모바일 단말기(2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21)에 의해 제어되는 대상은 모바일 단말기(20)의 각종 부품의 동작일 수도 있고, 모바일 단말기(20)의 앱저장부(25)에 저장되어 있는 각종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일 수도 있다.The controller 21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20 so that the mobile terminal 20 performs an operation according to a setting command previously stored in the setting storage unit 26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appl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object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21 may be an operation of various components of the mobile terminal 20, or may be an operation of various applications stored in the app storage unit 25 of the mobile terminal 20.

표시부(27)는 모바일 단말기(20)에 마련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및/또는 스피커 등과 같은 부분으로서, 모바일 단말기(20)가 수행하는 각종 동작의 결과를 화면 또는 음향으로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기능을 한다.The display unit 27 is a part such as a display and / or a speaker provided in the mobile terminal 20, and functions to display a result of various operations performed by the mobile terminal 20 to the user as a screen or sound.

도 2 는 도 1 의 앱저장부(25)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들 중에서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구성을 기능별 모듈로 도시한 것이다.FIG. 2 illustrates the configuration of an application program for performing an op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mong applications installed in the app storage unit 25 of FIG. 1 as a module for each function.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통신 모듈, 입력 모듈, 설정 모듈, 제어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통신 모듈은 토큰(30)에 대한 통신부(22)의 근거리 통신을 제어하고, 입력모듈은 어플리케이션이 수행할 모바일 단말기의 동작에 대한 설정명령을 입력부(28)를 통해 입력받는 기능을 제어하고, 설정 모듈은 입력부(28)를 통해 입력된 설정명령을 설정저장부(26)에 저장하는 기능을 제어하고, 제어 모듈은 통신부(22)에 의해 토큰(30)이 통신 가능하도록 인식됨에 따라 모바일 단말기(20)가 설정저장부(26)에 기 저장되어 있는 설정명령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부(21)를 제어하는 기능을 한다.The application progr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munication module, an input module, a setting module, and a control module. The communication module controls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of the communication unit 22 to the token 30, and the input module controls the function of receiving a setting command for the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to be performed by the application through the input unit 28, and setting The module controls the function of storing the setting command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28 in the setting storage unit 26, the control module is recognized by the communication unit 22 to allow the token 30 to communicate with the mobile terminal ( 20 controls the control unit 21 to perform an operation according to a setting command previously stored in the setting storage unit 26.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 및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동작을 구체적인 적용 예와 함께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and the application progr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with a specific application example.

먼저, 사용자는 토큰(30)을 구매하고 이 토큰(30)과의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상기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모바일 단말기(20)에 다운로드 받아 설치한다. 다운로드 받은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앱저장부(25)에 저장되며, 제어부(21)에 의해 앱저장부(25) 내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실행되어 제어부(21)를 통해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각종 모듈의 기능이 제어된다.First, the user purchases the token 30 and downloads and installs the above application program on the mobile terminal 20 for performing short-range communication with the token 30. The downloaded application program is stored in the app storage unit 25, the application program in the app storage unit 25 is executed by the control unit 21 to control the functions of various modules of the application program through the control unit 21.

먼저, 사용자는 입력부(28)를 조작하여 토큰(30)과 모바일 단말기(20)간의 통신이 가능하도록 프로토콜을 설정한다. 이러한 설정 과정은 토큰(30)이 모바일 단말기(20)에 일정 거리(예컨대 2미터) 내로 인접하면 통신 가능한 상태로 자동 설정되도록 할 수도 있다. 통신부(22)와 토큰(30)이 통신 가능하게 설정되면, 통신부(22)는 토큰(30)과의 통신을 통해 토큰(30)에 기록되어 있는 고유의 식별번호를 토큰(30)으로부터 수신하고, 제어부(21)는 이 식별번호를 설정저장부(26)에 저장한다.First, the user operates the input unit 28 to set a protocol to enable communication between the token 30 and the mobile terminal 20. This setting process may allow the token 30 to be automatically set in a communicable state when the token 30 is adjacent to the mobile terminal 20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or example, 2 meters). When the communication unit 22 and the token 30 are set to be communicable, the communication unit 22 receives a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recorded in the token 30 from the token 30 through communication with the token 30. The control unit 21 stores the identification number in the setting storage unit 26.

사용자는 입력부(28)를 제어하여 식별번호가 저장된 토큰(30)에 대응되는 고유의 기능을 설정한다. 사용자가 설정하는 고유 기능의 예로서, 모바일 단말기(20)의 턴온시 모바일 단말기(20)의 표시화면상에 표시되는 소정의 항목이 표시화면상에 표시되지 않도록 하는 "숨기기 명령"을 들 수 있다.The user controls the input unit 28 to set a unique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token 30 in which the identification number is stored. As an example of the unique function set by the user, a "hide command" for preventing a predetermined item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of the mobile terminal 20 from being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when the mobile terminal 20 is turned on may be used. .

숨기기 명령의 보다 구체적인 일 예로서, 모바일 단말기(20)에 설치되어 있는 프로그램들을 표시하는 아이콘 중 하나 이상에 대하여 표시되지 않도록 하는 명령을 들 수 있다. 즉, 통상적으로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단말기(20)에는 사용자가 설치한 프로그램들이나 단말기 제조사가 일괄 설치한 프로그램들이 내장되어 있으며, 이러한 프로그램은 각각이 하나씩의 아이콘 형태로 웨젯 화면 등에 표시되어 있고, 사용자는 이러한 아이콘을 터치함으로써 동 아이콘의 프로그램을 실행시킨다. 그런데, 사용자에 따라서는 특정 장소에서는 특정 프로그램의 아이콘이 표시되지 않도록 숨김으로써 동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다는 사실을 노출하지 않고 싶을 수 있다.As a more specific example of the hide command, a command may be displayed such that one or more of icons displaying programs installed in the mobile terminal 20 are not displayed. That is, typically, the mobile terminal 20 such as a smart phone includes programs installed by a user or programs installed by a terminal manufacturer, and these programs are displayed on a Wedg screen or the like in the form of one icon each. Touch the icon to execute the program of the icon. However, some users may not want to expose the fact that the program is installed by hiding the icon of the specific program so that the specific program is not displayed.

나아가, 숨기기 명령의 보다 구체적인 다른 예로서, 모바일 단말기(20)를 통한 전화 및 문자메시지의 수발신 내역, 또는 모바일 단말기(20)에 저장되어 있는 주소록이나 각종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에 따라 생성되어 저장된 데이터(예컨대 메모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메모한 내용의 데이터)에 대해서도 특정 장소에서는 타인에게 노출시키지 않고 싶을 수 있다.In addition, as a more specific example of the hide command, the call and text messages received and received through the mobile terminal 20, or the data generated and stored according to the use of the address book or various applications stored in the mobile terminal 20 (for example, The data of the memo using the memo program) may not be exposed to other people in certain places.

사용자는 이러한 숨기기 명령을 실행하여 자신이 숨기고자 하는 항목들을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선택하여 설정한다. 이와 같이 숨기기 기능으로 설정된 항목들에 대한 정보는 토큰(30)에 대한 식별정보와 함께 매칭되어 설정저장부(26)에 저장한다. 이러한 각 항목은 하나의 토큰(30)에 대해 여러 개 설정될 수도 있고, 각 토큰(30)별로 하나씩 설정될 수도 있다. 따라서 개개의 토큰(30)에 대한 식별정보와 함께 동 토큰(30)에 대해 부여된 숨기기 항목이 함께 매칭되어 설정저장부(26)에 기록된다.The user executes the hide command and selects one or more items to hide. The information about the items set as the hiding function is matched with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oken 30 and stored in the setting storage unit 26. Each of these items may be set for a single token 30, or may be set one for each token (30). Therefore, the hidden items assigned to the tokens 30 together with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the individual tokens 30 are matched and recorded in the setting storage unit 26.

이러한 설정이 완료되고 나서, 사용자는 각 토큰(30)을 자신이 설정한 기능이 수행되기를 원하는 장소에 설치한다. 토큰(30)의 설치는 설치 장소에 있는 기물에 토큰(30)을 부착하거나 설치 장소에 토큰(30)을 단순히 놓는 방식 등에 의해 완료된다.After this setting is completed, the user installs each token 30 in a place where the function set by the user wants to be performed. Installation of the token 30 is completed by attaching the token 30 to the article at the installation site or simply placing the token 30 at the installation site.

토큰(30)에 대한 고유 기능의 설정이 완료된 후부터,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의 통신 모듈은 통신부(22)를 제어하여 토큰(30)이 통신부(22)와 근거리 통신 가능한 거리 내에 있는지 여부를 검출한다. 토큰(30)과 통신부(22)가 통신 가능하게 된다면, 이는 토큰(30)과 모바일 단말기(20)간의 거리가 일정 거리 이내에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따라서 모바일 단말기(20)는 토큰(30)이 설치되어 있는 위치에 인접한 위치로 사용자가 이동하였다고 인식하게 된다.After the setting of the unique function for the token 30 is completed, the communication module of the appl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s the communication unit 22 to detect whether the token 30 is within a short range communication distance with the communication unit 22. . If the token 30 and the communication unit 22 are able to communicate, this means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token 30 and the mobile terminal 20 is within a certain distance. Therefore, the mobile terminal 20 recognizes that the user has moved to a position adjacent to the position where the token 30 is installed.

모바일 단말기(20)는 토큰(30)이 일정 거리 내에 위치되도록 사용자의 위치가 이동하였다고 인식함에 따라 해당 토큰(30)의 식별정보를 통신부(22)를 통해 토큰(30)으로부터 수신하고, 제어 모듈은 제어부(21)를 제어하여 수신된 토큰(30)의 식별정보에 대응하여 설정저장부(26)에 저장되어 있는 고유의 기능을 독출한다. 그리고 나서, 고유의 기능에 해당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모바일 단말기(20)를 제어한다.The mobile terminal 20 receiv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token 30 from the token 3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22 in accordance with the recognition that the user's position has moved so that the token 30 is located within a certain distance, and the control module The controller 21 controls the controller 21 to read out a unique function stored in the setting storage unit 26 in response to the receiv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oken 30. Then, the mobile terminal 20 is controlled to perform an operation corresponding to a unique function.

예컨대, 전술한 바와 같이 고유 기능이 앱저장부(25)에 저장되어 있는 특정 프로그램의 아이콘을 숨기는 기능이라면, 제어부(21)는 해당 아이콘이 표시부(27)에 의해 표시되지 않도록 표시 상태를 변경한다. 나아가 제어부(21)는 해당 아이콘이 표시되던 위치를 사용자가 터치하거나 또는 해당 아이콘의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명령을 사용자가 입력하더라도, 해당 아이콘의 프로그램이 실행되지 않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모바일 단말기(20)에는 해당 아이콘의 프로그램이 존재하지 않는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상태가 된다. 마찬가지로, 예컨대 고유 기능이 만약 통화 목록이나 주소록상의 특정 전화번호에 대한 정보 표시 또는 전화/문자 수발신 내역에 대한 숨기기 기능이라면, 모바일 단말기(20)는 해당 항목이 표시부(27)에 의해 표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모바일 단말기(20)의 사용자가 해당 내용을 조회할 수 없도록 한다.For example, if the unique function is a function of hiding an icon of a specific program stored in the app storage unit 25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ler 21 changes the display state so that the icon is not displayed by the display unit 27. . Furthermore, the controller 21 controls the program of the icon not to be executed even if the user touches the position where the icon is displayed or the user inputs a command to execute the program of the icon. Therefore, the mobile terminal 20 is in substantially the same state as no program of the corresponding icon exists. Similarly, for example, if the unique function is to display information on a specific phone number in a call list or address book or hide a call / text call history, the mobile terminal 20 may not display the item by the display unit 27. The user of the mobile terminal 20 can not be viewed.

이와 같은 제어부(21)의 고유 기능 수행 상태는 통신부(22)와 토큰(30) 사이에 통신이 가능한 상태가 지속되는 동안, 즉 모바일 단말기(20)와 토큰(30) 사이의 거리가 일정 이내를 유지하고 있는 동안 계속 지속된다.The unique function execution state of the controller 21 is such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communication unit 22 and the token 30 is maintained, that is, the distance between the mobile terminal 20 and the token 30 is within a certain time. Lasts while maintaining.

만약 사용자가 다시 토큰(30)으로부터 멀리 떨어지도록 이동하여 모바일 단말기(20)의 통신부(22)와 토큰(30) 사이의 통신이 불가능한 지역에 이르게 되면, 제어부(21)는 모바일 단말기(20)에 대한 고유 기능 수행 상태를 해제한다. 따라서 모바일 단말기(20)에 대해 설정되어 있던 숨기기 기능이 해제되어 숨겨져 있던 아이콘 또는 주소록상의 특정 전화번호나 전화/문자 수발신 내역이 다시 표시된다. 또한 숨겨져 있던 아이콘에 대한 터치에 의한 실행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If the user moves away from the token 30 again and reaches an area where communication between the communication unit 22 and the token 30 of the mobile terminal 20 is impossible, the control unit 21 is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20. Clears the unique function execution state for Therefore, the hide function set for the mobile terminal 20 is released, and the hidden icon or the specific phone number on the address book or the call / text call receipt history is displayed again. In addition, execution by touch on the hidden icon becomes possible.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는 특정 토큰(30)에 대해 특정의 고유 기능을 부여하여 해당 토큰(30)에 모바일 단말기(20)를 인접시키면 고유 기능이 수행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토큰(30)을 놓아둠으로써 해당 위치에서 자동으로 특정 기능을 수행시킬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을 증대시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모바일 단말기(20)의 위치 판별은 종래 기술에서의 GPS 방식이나 이동통신망의 셀 단위의 위치 추적과 달리 사용자가 원하는 토큰(30)의 위치이고 또한 해당 위치에서 실행되는 기능도 사용자가 설정한 기능에 국한되므로, 외부적 요인이 아닌 사용자가 원하는 요인에 의해서만 원하는 기능이 수행된다. 나아가, 사용자가 설정하는 기능은 모바일 단말기(20) 자체에 대한 기능이므로, 종래기술에서와 같이 외부의 광고주로부터 원하지 않는 정보를 수신하는 등의 불편함이 수반되지 않는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 user grants a specific unique function to a specific token 30 so that the mobile terminal 20 is adjacent to the corresponding token 30 to perform a unique function. Therefore, by placing the token 30 in the desired location, the user can automatically perform a specific function at the location, thereby increasing user convenience. In addition, the position determination of the mobile terminal 20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 position of the token 30 desired by the user, unlike the GPS method or the position tracking of the cell uni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n the prior art, and also functions to be executed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 Since it is limited to a function set by a user, a desired function is performed only by a factor desired by the user, not by an external factor. Furthermore, the function set by the user is a function for the mobile terminal 20 itself, and thus does not involve inconvenience such as receiving unwanted information from an external advertiser as in the related art.

본 발명에서는 토큰(30)의 위치가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선택 가능하므로, 토큰(30)의 위치 인식이 좌표적인 개념이 아닌 기능적인 개념으로 설정가능하며, 이러한 본 발명에서는 다른 다양한 적용 예를 통해 기존의 서비스로는 제공하지 못하는 다양한 기능의 제공이 가능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position of the token 30 can be selected as a desired position by the user, the position recognition of the token 30 can be set to a functional concept rather than a coordinated concept. It is possible to provide various functions that cannot be provided by existing services.

즉 예컨대 토큰(30)을 사용자의 자동차 안에 놓아 두고 해당 토큰(30)에 대해 모바일 단말기(20) 내에 설치되어 있는 네비게이션 프로그램의 자동 구동 기능을 설정하여 둔다면, 사용자가 자동차에 탑승하게 되면 자동으로 모바일 단말기(20)가 네비게이션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해 네비게이션 역할을 하게 된다. 이때의 토큰(30)은 자동차가 위치 이동하여도 항상 자동차 안에 놓여져 있으므로, 자동차의 위치에 무관하게 사용자가 자동차에 탑승하는 경우 네비게이션 기능이 수행된다.That is, for example, if the token 30 is placed in the user's car and the automatic drive function of the navigation program installed in the mobile terminal 20 is set for the corresponding token 30, the user automatically gets into the vehicle. The terminal 20 serves as a navigation by driving the navigation program. At this time, since the token 30 is always placed in the car even when the car moves, the navigation function is performed when the user boards the car regardless of the position of the car.

또 다른 예로서, 사용자가 가지고 다니는 가방에 토큰(30)을 설치하여 두고 해당 토큰(30)에 대해 모바일 단말기(20)를 통한 모바일 신용카드 결제 기능의 제한/허용 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 즉, 모바일 단말기(20) 내에 내장되어 있는 모바일 신용카드가 해당 토큰(30)과 인접된 상태에서만 결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해당 토큰(30)이 멀리 떨어져 있을 때에는 모바일 신용카드 결제 기능이 수행될 수 없도록 한다. 이 경우, 사용자가 만약 모바일 단말기(20)를 분실하여도 가방을 사용자가 가지고 있다면 모바일 단말기(20)를 누군가가 습득하여 불법적으로 모바일 신용카드로 결제를 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모바일 단말기(20)가 가방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음에 따라 신용카드 결제가 제한되어 불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타인의 모바일 신용카드 무단 사용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은 예컨대 휴대폰 분실 방지를 위하여 가방에 있는 토큰(30)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상 멀어지는 경우 모바일 단말기(20) 내의 자동 분실 신고 어플리케이션이 작동하고 모바일 단말기(20) 자신의 위치를 분실센터에 고지하도록 동작하는 등의 다양한 변형예에도 적용 가능하다.As another example, a token 30 may be installed in a bag carried by a user, and the token 30 may be provided with a restriction / allowing function of the mobile credit card payment function through the mobile terminal 20. That is, the mobile credit card embedded in the mobile terminal 20 can perform the payment function only in a state adjacent to the corresponding token 30, and when the token 30 is far apart, the mobile credit card payment function is performed. Do not be able to. In this case, if the user has a bag even if the user loses the mobile terminal 20, even if someone acquires the mobile terminal 20 and wants to illegally pay with the mobile credit card, the mobile terminal 20 Far from the bag, credit card payments are limited and impossible. This prevents unauthorized use of mobile credit cards by others. This function, for example, to prevent the loss of the mobile phone when a certain distance away from the token 30 in the bag to operate the automatic loss report application within the mobile terminal 20 and to notify the lost center of the mobile terminal 20 itself location It is applicable to various modifications, such as these.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용 예로서, 특정 토큰(30)에 대해 모바일 단말기(20)로 앱을 추천하여 앱의 다운로드를 안내하는 기능을 부여할 수도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헬스클럽에 입장하는 경우 헬스클럽 내에 설치되어 있는 토큰(30)에 대해 앱 추천 기능을 부여하는 경우, 사용자가 헬스클럽 내에 입장하면 건강 관리나 운동 요법, 또는 식이 요법 등과 관련한 최신 앱들을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20)에 표시하여 안내하는 기능을 부여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새로운 앱들에 대한 소개 정보를 통해 자신에게 필요한 앱들을 선택하여 다운로드받을 수 있다.As another applicatio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a specific token 30 may be recommended to the mobile terminal 20 to give a function of guiding download of the app. For example, when the user enters the gym, if the user grants an app recommendation function to the token 30 installed in the gym, the user enters the gym and the latest app related to health care, exercise therapy, or diet, etc. It may be given a function to display and guide them to the user's mobile terminal 20. The user may select and download the necessary apps through the introduction information about the new apps.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좌표적인 위치가 아닌 기능적인 위치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동작이 자동 실행되고, 이때 실행되는 기능은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기 자체에 대해 수행하도록 특정한 기능이므로, 사용자 편의성이 크게 증대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operation desired by a user is automatically executed according to a functional position instead of a coordinate position, and the function executed at this time is a specific function for the user to perform on the mobile terminal itself. Greatly increased.

Claims (10)

근거리 통신에 따른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모바일 단말기로서,
근거리 통신을 위해 마련되고 각각이 고유의 식별번호를 구비하며 사용자에 의해 원하는 위치에 놓여지는 소정의 토큰에 대해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상기 토큰에 대한 상기 통신부의 근거리 통신 결과에 따라 모바일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앱저장부;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수행할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동작에 대한 설정명령을 개개의 상기 토큰에 대응하여 사전에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상기 설정명령을 저장하기 위한 설정저장부; 및
상기 통신부에 의해 상기 토큰이 통신 가능하도록 인식됨에 따라,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설정저장부에 기 저장되어 있는 상기 설정명령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도록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며,
상기 설정명령은,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각종 부품의 동작 또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각종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에 대한 명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
A mobile terminal performing a control operation according to near field communication,
A communication unit provided for short-range communication, each of which has a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and performs short-range communication for a predetermined token placed in a desired position by a user;
An app storage unit for storing an application for controlling an operation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 short range communication result of the communication unit for the token;
An input unit for inputting a setting command for an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to be performed by the application in advance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tokens;
A setting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setting command inputted through the input unit;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control an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to perform an operation according to the setting command previously stored in the setting storage unit by the application as the token is recognized to be communicable by the communication unit;
Including;
The setting command is a command for the operation of various parts of the mobile terminal or the operation of various applications stored in the mobile termin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명령은,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턴온시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표시화면상에 표시되는 소정의 항목이 상기 표시화면상에 표시되지 않도록 하는 숨기기 명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setting command may include a hiding command to prevent a predetermined item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of the mobile terminal from being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when the mobile terminal is turned on.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항목은,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설치되어 있는 프로그램들을 표시하는 아이콘 중 하나 이상, 상기 모바일 단말기를 통한 전화 및 문자 수발신 내역 중 하나 이상,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주소록 또는 데이터 중 하나 이상,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
3. The method of claim 2,
The predetermined item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n icon indicating programs installed in the mobile terminal, at least one of a call and text transmission / reception history through the mobile terminal, at least one of an address book or data stored at the mobile terminal,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t least any on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명령은,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설치되어 있는 프로그램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대한 자동실행명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setting command, the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automatic execution command for any one or more of the programs installed in the mobile termin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명령은,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설치 가능한 특정 프로그램에 대한 안내를 하는 앱추천명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setting command, the mobile terminal comprising an app recommendation command for guiding a specific program that can be installed in the mobile terminal.
근거리 통신을 위한 통신부, 앱저장부, 설정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 상기 설정명령을 저장하기 위한 설정저장부, 및 제어부를 구비한 모바일 단말기 내의 상기 앱저장부에 설치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서,
근거리 통신을 위해 마련되고 각각이 고유의 식별번호를 구비하며 사용자에 의해 원하는 위치에 놓여지는 소정의 토큰에 대한 상기 통신부의 근거리 통신을 제어하기 위한 통신 모듈;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수행할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동작에 대한 상기 설정명령을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받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입력 모듈;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상기 설정명령을 상기 설정저장부에 저장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설정 모듈; 및
상기 통신부에 의해 상기 토큰이 통신 가능하도록 인식됨에 따라,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설정저장부에 기 저장되어 있는 상기 설정명령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도록 상기 제어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모듈;
을 포함하며,
상기 설정명령은,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각종 부품의 동작 또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각종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에 대한 명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A computer that records an application program to be installed in the app storage unit in a mobile terminal including a communication unit for short-range communication, an app storage unit, an input unit for inputting a setting command, a setting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setting command, and a control unit. Recordable media that can be read by
A communication module for controlling short-range communication of the communication unit for a predetermined token provided for short-range communication, each having a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and placed at a desired position by a user;
An input module configured to receive an input of the setting command for the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to be performed by the application through the input unit;
A setting module for storing the setting command inputted through the input unit in the setting storage unit; And
A control module for controlling the control unit to perform an operation according to the setting command previously stored in the setting storage unit by the application as the token is recognized to be communicable by the communication unit;
/ RTI >
The setting command is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an application program, characterized in that the command for the operation of the various components of the mobile terminal or the operation of the various applications stored in the mobile terminal.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명령은,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턴온시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표시화면상에 표시되는 소정의 항목이 상기 표시화면상에 표시되지 않도록 하는 숨기기 명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setting command may include a hiding command for preventing a predetermined item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of the mobile terminal from being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when the mobile terminal is turned on. Recordable media.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항목은,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설치되어 있는 프로그램들을 표시하는 아이콘 중 하나 이상, 상기 모바일 단말기를 통한 전화 및 문자 수발신 내역 중 하나 이상,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주소록 또는 데이터 중 하나 이상,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predetermined item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n icon indicating programs installed in the mobile terminal, at least one of a call and text transmission / reception history through the mobile terminal, at least one of an address book or data stored at the mobile terminal,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recording an application program,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t least one of th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명령은,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설치되어 있는 프로그램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대한 자동실행명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setting command,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recording the application program,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automatic execution command for any one or more of the programs installed in the mobile terminal.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명령은,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설치 가능한 특정 프로그램에 대한 안내를 하는 앱추천명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setting command is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recording an application program,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app recommendation command for guiding a specific program that can be installed in the mobile terminal.
KR1020130005748A 2013-01-18 2013-01-18 Mobile terminal for controlling programs according to near field communication with tokens, and a recording medium recorded with an application for the same function KR10135072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5748A KR101350729B1 (en) 2013-01-18 2013-01-18 Mobile terminal for controlling programs according to near field communication with tokens, and a recording medium recorded with an application for the same fun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5748A KR101350729B1 (en) 2013-01-18 2013-01-18 Mobile terminal for controlling programs according to near field communication with tokens, and a recording medium recorded with an application for the same func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50729B1 true KR101350729B1 (en) 2014-01-16

Family

ID=501453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5748A KR101350729B1 (en) 2013-01-18 2013-01-18 Mobile terminal for controlling programs according to near field communication with tokens, and a recording medium recorded with an application for the same fun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0729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206338A1 (en) * 2016-06-02 2017-12-07 深圳朝伟达科技有限公司 Nfc read/write devi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1744A (en) * 2002-12-23 2003-02-11 케이티링커스 주식회사 System for furnishing a local area information using of a multi-function public phone and method of the same
KR20100126567A (en) * 2008-03-27 2010-12-01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 near field communication application selection in an electronic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1744A (en) * 2002-12-23 2003-02-11 케이티링커스 주식회사 System for furnishing a local area information using of a multi-function public phone and method of the same
KR20100126567A (en) * 2008-03-27 2010-12-01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 near field communication application selection in an electronic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206338A1 (en) * 2016-06-02 2017-12-07 深圳朝伟达科技有限公司 Nfc read/write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244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payment interface in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1892280B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of
US9936476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ocial network service and for setting relationship between users
KR102242983B1 (en) Method for operating of integrated message application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US10433169B2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information transmission, and smart terminal
KR101487517B1 (en) NFC-enabled mobile device and its operation method
CN10405055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lectronic Payment In Electronic Device
JP2016504690A (en) Payment device control method for payment method selection
KR102390973B1 (en) Operating method for payment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KR20090036542A (en) Data communication in an electronic device
JP2014109964A (en) Advertisement distribution server, advertisement distribution method, program and advertisement distribution system
KR20170004400A (en) Method for payment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US11394671B2 (en) Method for providing transaction history-based service and electronic device therefor
CN106339870A (en) Resource transfer method and device
KR10154641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an electronic coupon
CN107241495A (en) The split screen treating method and apparatus of terminal device
TW201523473A (en) Portable device, method for controlling portable device, storage medium, and program
JP6278149B1 (en) Authentication system and server
KR20180091257A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ayment using the same
KR101765140B1 (en) Electronic device and payment method using the same
KR101350729B1 (en) Mobile terminal for controlling programs according to near field communication with tokens, and a recording medium recorded with an application for the same function
KR20140016505A (en) Gift card by using nfc
CN107071008A (en) Localization method, device and the equipment of terminal device
JP2014106844A (en) Mobile information terminal, application software control method,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KR20180031105A (en) The system of the advertisement serving in the portabl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