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9230B1 - Mobile terminal - Google Patents

Mobile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9230B1
KR101349230B1 KR1020117009555A KR20117009555A KR101349230B1 KR 101349230 B1 KR101349230 B1 KR 101349230B1 KR 1020117009555 A KR1020117009555 A KR 1020117009555A KR 20117009555 A KR20117009555 A KR 20117009555A KR 101349230 B1 KR101349230 B1 KR 1013492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acter
virtual keyboard
touch
display area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955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059798A (en
Inventor
다카시 히가시타니
Original Assignee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597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979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92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923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2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cursor appearance or behaviour, e.g. being affected by the presence of displayed obje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3Split screen, i.e. subdividing the display area or the window area into separate subare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휴대 단말(10)은 LCD 모니터(28)를 포함하고, 그 LCD 모니터(28)의 표시 영역에는, 메일 본문을 나타내는 문자열 등을 표시할 수 있는 문자 표시 영역(44)과, 히라가나 가상 키보드 등을 표시할 수 있는 가상 키보드 표시 영역(46)이 포함된다. LCD 모니터(28)의 상면에는 터치패널(36)이 형성되고, 터치패널(36)은 문자 표시 영역(44) 등에 대한 터치 조작을 검출한다. 그리고, 문자 표시 영역(44) 내에서 손가락을 슬라이드함으로써, 가상 키보드 내의 선택 위치를 이동할 수 있고, 그 선택 위치가 나타내는 문자키, 즉 포커스된 문자키에 대응하는 문자가 문자 표시 영역(44)에 표시된다.The portable terminal 10 includes an LCD monitor 28. In the display area of the LCD monitor 28, a character display area 44 capable of displaying a character string indicating a mail body, a hiragana virtual keyboard, or the like is provided. A virtual keyboard display area 46 that can be displayed is included. The touch panel 36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CD monitor 28, and the touch panel 36 detects a touch operation on the character display area 44 or the like. Then, by sliding a finger in the character display area 44, the selection position in the virtual keyboard can be moved, and the character key indicated by the selection position, that is, the character corresponding to the focused character key, is displayed in the character display area 44. Is displayed.

Description

휴대 단말{MOBILE TERMINAL}Mobile terminal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 단말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예를 들어 터치패널을 이용하여 문자 입력하는 휴대 단말에 관한 것이다.TECHNICAL FIELD This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terminal. Specifically, It is related with the portable terminal which inputs a character using a touchscreen, for example.

종래에, 터치패널을 이용하여 문자 입력하는 휴대 단말이 알려져 있고, 이러한 종류의 장치의 일례가 비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다. 이 배경기술은, 터치패널을 구비하는 iPhone(등록상표)에 있어서, 스크린에 표시된 온 스크린 키보드에 대해, 탭(터치패널을 가볍게 두드림), 드래그(터치패널을 댄 채로 상하, 또는 좌우로 손가락을 이동) 및 플릭(터치패널 상에서 화면을 튕김)함으로써,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온 스크린 키보드에 의한 일본어 입력에는, 풀 키보드 입력 및 텐키 방식의 입력이 존재한다.Background Art Conventionally, a portable terminal for inputting characters using a touch panel is known, and an example of this kind of apparatus is disclosed in Non-Patent Document 1. In this background art, in an iPhone (trademark) equipped with a touch panel, a tap (tap lightly on the touch panel), drag (touch the touch panel up, down, left, or right) with respect to the on-screen keyboard displayed on the screen Move) and flick (flick the screen on the touch panel) to enter text. In addition, full keyboard input and ten-key input exist in Japanese input by the on-screen keyboard.

예를 들어, 메모 기능 등에 의해 문자를 입력할 때에는, 입력한 문자가 표시되는 문자 표시 영역과, 온 스크린 키보드가 표시되는 키보드 표시 영역이, 스크린에 표시된다. 또한, 풀 키보드 입력에서는, QWERTY 배열의 키보드가 키보드 표시 영역에 표시되어, 로마자 입력에 의해 일본어, 즉 히라가나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텐키 방식의 입력은, 종래의 휴대 전화에서 이용되는 문자 입력 방식으로서, あ행부터 わ행까지의 텐키가 키보드 표시 영역에 표시된다. 그리고, 「い」를 입력할 때에는, 「あ」의 키에 대해, 2회의 탭을 행한다.For example, when a character is input by a memo function or the like, a character display area on which the entered character is displayed and a keyboard display area on which the on-screen keyboard is displayed are displayed on the screen. In full keyboard input, the keyboard of the QWERTY array is displayed in the keyboard display area, and Japanese, that is, hiragana, can be input by Roman input. In addition, the ten-key input is a character input method used in a conventional cellular phone, and ten keys from line A to line W are displayed in the keyboard display area. And when inputting "い", two taps are performed with respect to the key of "あ".

또한, 텐키 방식의 입력에서는, 텐키보드를 1초 정도 탭한 채로 있으면, 십자 방향으로 후보의 문자가 나타나므로, 손가락을 슬라이드하고 떼면 슬라이드한 방향의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あ」의 키를 1초 정도 탭한 채로 있으면, 좌방향에 「い」, 상방향에 「う」, 우방향에 「え」 및 하방향에 「お」가 표시된다. 예를 들어, 좌방향으로 슬라이드하면, 「い」가 입력된다.In the ten-key input, when the ten-key board is tapped for about one second, the candidate character appears in the cross direction. If the user slides his or her finger, the character in the slide direction can be input. For example, if the key of "あ" is tapped for about 1 second, "い" is displayed in the left direction, "う" in the upper direction, "え" in the right direction, and "o" in the downward direction. For example, if it slides to the left, "い" is input.

또한, 특허문헌 1에 개시되는 종래 기술에서는, 가상 키보드를 표시하는 표시 화면과 터치패드를 구비하는 휴대 전화이다. 사용자는, 터치패드를 조작함으로써, 가상 키보드 상의 선택 후보키를 움직이고, 터치패드로부터 손가락을 떼면 마지막에 후보가 되어 있던 키를 선택할 수 있다.Moreover, in the prior art disclosed by patent document 1, it is a mobile telephone provided with the display screen and a touchpad which display a virtual keyboard. By operating the touch pad, the user moves the selection candidate key on the virtual keyboard, and when a finger is released from the touch pad, the user can select the last candidate key.

비특허문헌 1에 있어서의 풀 키보드 입력에서는, 스크린에 표시되는 키가 작기 때문에, 문자를 잘못 입력해 버리는 경우가 있다. 또한, 키의 표시를 크게 해 버리면, 입력한 문자를 표시하는 영역이 작아져 버려, 메일 등의 긴 문장을 입력하기 어려워진다. 또한, 텐키의 입력에서는, 표시되는 키가 적기 때문에, 문자를 잘못 입력하는 경우는 줄어들지만, 1문자 입력하기 위해 복수 회의 탭 또는 탭하고 나서 슬라이드해야 하므로, 조작이 번잡해진다. 또한, 하나의 키에 복수의 문자를 할당하는 경우에, 히라가나라면, 관련성이 높은 동일한 행의 문자를 할당하면 되지만, 알파벳이나 기호 등은 다른 문자와의 관련성이 낮기 때문에, 텐키에 의한 알파벳이나 기호의 입력에는, 적합하지 않다.In the full keyboard input in Non-Patent Document 1, since the keys displayed on the screen are small, characters may be input incorrectly. In addition, when the display of the key is enlarged, the area for displaying the input characters becomes small, and it becomes difficult to input a long sentence such as an e-mail. In addition, since there are few keys displayed in the ten-key input, it is less likely to enter a character incorrectly. However, since it is necessary to tap or slide a plurality of times in order to input one character, operation becomes complicated. In addition, in the case of assigning a plurality of characters to one key, hiragana may be assigned a character of the same line having a high relevance, but since alphabets and symbols have low relevance to other characters, the alphabet and symbols by Tenkey It is not suitable for input.

또한, 특허문헌 1에서는, 가상 키보드를 조작하기 위한 터치패드는, 터치패널과 같이 표시부에 겹쳐 형성할 수 없어, 터치패드를 구비함으로써 휴대 전화의 사이즈가 커져 버린다. 또한, 터치패드로부터 손가락을 떼면, 문자가 확정되기 때문에, 한 번의 조작으로 입력하고자 하는 문자를 선택해야 한다. 그 때문에, 가상 키보드에 포함되는 키가 많아질수록, 손가락의 이동량에 대해, 가상 키보드 내의 이동량의 상대 비율이 커져 버려, 각 키를 선택하기 어려워져 버린다.In addition, in patent document 1, the touchpad for operating a virtual keyboard cannot be superimposed on a display part like a touchscreen, and the size of a mobile telephone becomes large by providing a touchpad. Also, when the finger is removed from the touch pad, the character is confirmed, and therefore, the character to be input must be selected in one operation. Therefore, as the number of keys included in the virtual keyboard increases, the relative ratio of the amount of movement in the virtual keyboard increases with respect to the amount of movement of the finger, making it difficult to select each key.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3-196007호 [G06F 3/023, H03M 11/04]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2003-196007 [G06F 3/023, H03M 11/04]

ipod Fan Special iPhone 3G 완전 가이드, 주식회사 마이니치 커뮤니케이션즈 발행 (14-15페이지) ipod Fan Special iPhone 3G Complete Guide, published by Mainichi Communications, Inc. (pages 14-15)

본 발명의 목적은, 신규의, 휴대 단말 및 이와 같은 휴대 단말의 프로세서에 적용되는 문자 표시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novel portable terminal and a character display program applied to a processor of such a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용이하고 정확한 문자 입력을 행할 수 있는, 휴대 단말 및 이와 같은 휴대 단말의 프로세서에 적용되는 문자 표시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haracter display program applied to a portable terminal and a processor of such a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easily and accurately inputting characters.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휴대 단말은, 표시 장치와, 터치 조작 검출 수단과, 문자 선택 수단과, 문자 표시 제어 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표시 장치는, 문자열을 표시할 수 있는 제1 표시 영역 및 가상 키보드를 표시할 수 있는 제2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이다. 터치 조작 검출 수단은, 표시 장치에 형성된 터치 반응 영역에 있어서, 터치 반응 영역 내의 터치 조작을 검출한다. 문자 선택 수단은, 터치 조작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되는 터치 조작에 기초하여, 가상 키보드 내의 문자를 선택한다. 문자 표시 제어 수단은, 문자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문자를 제1 표시 영역에 표시한다.MEANS TO SOLVE THE PROBLEM In order to solve the said subject, the portable terminal which concerns on one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comprised with a display apparatus, a touch operation detection means, a character selection means, and a character display control means. The display device is a display device including a first display area capable of displaying character strings and a second display area capable of displaying a virtual keyboard. The touch operation detection means detects a touch operation in the touch reaction area in the touch reaction area formed in the display device. The character selection means selects a character in the virtual keyboard based on the touch operation detected by the touch operation detection means. The character display control means displays the character selected by the character selection means in the first display area.

상기 서술한 장치에 의하면, 사용자는, 터치 조작으로 용이하게 가상 키보드의 문자를 선택하고, 정확하게 문자 입력을 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apparatus, the user can easily select a character of the virtual keyboard by a touch operation and accurately perform character input.

도 1은 본 발명의 휴대 단말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휴대 단말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LCD 모니터에 가상 키보드가 표시되어 있는 상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내는 터치패널에 대한 조작 순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해도이다.
도 5a는 도 1에 나타내는 터치패널에 대한 조작 순서의 일례를 나타내는 다른 도해도이다.
도 5b는 도 1에 나타내는 터치패널에 대한 조작 순서의 일례를 나타내는 다른 도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나타내는 터치패널에 대한 조작 순서의 일례를 나타내는 그 밖의 도해도이다.
도 7은 도 1에 나타내는 LCD 모니터에 가상 키보드가 표시되어 있는 상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다른 도해도이다.
도 8a는 도 1에 나타내는 LCD 모니터에 가상 키보드가 표시되어 있는 상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그 밖의 도해도이다.
도 8b는 도 1에 나타내는 LCD 모니터에 가상 키보드가 표시되어 있는 상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그 밖의 도해도이다.
도 9a는 도 1에 나타내는 휴대 단말에서 이용되는 가상 키보드의 종류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해도이다.
도 9b는 도 1에 나타내는 휴대 단말에서 이용되는 가상 키보드의 종류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해도이다.
도 10은 도 1에 나타내는 RAM의 메모리 맵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해도이다.
도 11은 도 1에 나타내는 CPU의 가상 키보드 제어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도이다.
도 12는 도 1에 나타내는 CPU의 벡터 검출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도이다.
도 13은 도 1에 나타내는 CPU의 선택 위치 이동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도이다.
도 14는 도 1에 나타내는 LCD 모니터에 가상 키보드가 표시되어 있는 상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또 다른 도해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portab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iagram showing an appearance of the portable terminal shown in FIG. 1.
FIG. 3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state in which a virtual keyboard is displayed on the LCD monitor shown in FIG. 1.
FIG. 4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n operation procedure for the touch panel shown in FIG. 1.
FIG. 5A is another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n operation procedure for the touch panel shown in FIG. 1. FIG.
FIG. 5B is another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n operation procedure for the touch panel shown in FIG. 1. FIG.
FIG. 6 is another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n operation procedure for the touch panel shown in FIG. 1.
FIG. 7 is another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state in which a virtual keyboard is displayed on the LCD monitor illustrated in FIG. 1.
8A is another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state in which a virtual keyboard is displayed on the LCD monitor shown in FIG. 1.
FIG. 8B is another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state in which a virtual keyboard is displayed on the LCD monitor shown in FIG. 1.
FIG. 9A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type of virtual keyboard used in the mobile terminal illustrated in FIG. 1.
FIG. 9B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type of virtual keyboard used in the portable terminal illustrated in FIG. 1.
FIG. 10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memory map of the RAM shown in FIG. 1.
FIG. 11 is a flowchart showing a virtual keyboard control process of the CPU shown in FIG. 1.
1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vector detection processing of the CPU shown in FIG. 1.
FIG. 13 is a flowchart showing a selection position movement process of the CPU shown in FIG. 1.
14 is still another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state in which a virtual keyboard is displayed on the LCD monitor shown in FIG. 1.

<본 발명의 제1 실시예><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여, 휴대 단말(10)은, CPU(프로세서 또는 컴퓨터라고 불리는 경우도 있다)(20), 키 입력 장치(22) 및 터치패널 제어 회로(34)에 의해 제어되는 터치패널(36)을 포함한다. CPU(20)는, 무선 통신 회로(14)를 제어하여 발호 신호를 출력한다. 출력된 발호 신호는, 안테나(12)로부터 송출되어, 기지국을 포함하는 이동 통신망에 송신된다. 통화 상대가 응답 조작을 행하면, 통화 가능 상태가 확립된다.Referring to FIG. 1, the portable terminal 10 is a touch panel 36 controlled by a CPU (sometimes called a processor or computer) 20, a key input device 22, and a touch panel control circuit 34. ). The CPU 20 controls the radio communication circuit 14 to output a call signal. The output call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antenna 12 and transmit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ncluding the base station. When the call partner performs the answering operation, the call enabled state is established.

통화 가능 상태로 이행한 후에 키 입력 장치(22) 또는 터치패널(36)에 의해 통화 종료 조작이 행해지면, CPU(20)는, 무선 통신 회로(14)를 제어하여, 통화 상대에게 통화 종료 신호를 송신한다. 통화 종료 신호의 송신 후, CPU(20)는, 통화 처리를 종료한다. 먼저 통화 상대로부터 통화 종료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도, CPU(20)는, 통화 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통화 상대에 상관없이, 이동 통신망으로부터 통화 종료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도, CPU(20)는 통화 처리를 종료한다.When the call termination operation is performed by the key input device 22 or the touch panel 36 after the transition to the call enabled state, the CPU 20 controls the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 14 to send a call end signal to the call partner. Send. After the transmission of the call termination signal, the CPU 20 ends the call processing. Even when the call end signal is received from the call partner first, the CPU 20 ends the call processing. In addition, regardless of the call partner, even when a call termination signal is receiv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e CPU 20 ends the call processing.

휴대 단말(10)이 기동하고 있는 상태에서 통화 상대로부터의 발호 신호가 안테나(12)에 의해 포착되면, 무선 통신 회로(14)는, 착신을 CPU(20)에 통지한다. CPU(20)는, 표시 장치인 LCD 모니터(28)에, 착신 통지에 기술된 발신원 정보를 표시시킨다. 또한, CPU(20)는, 도시되지 않은 착신 통지용의 스피커로부터 착신음을 출력시킨다.When the call signal from the call partner is picked up by the antenna 12 in the state where the portable terminal 10 is activated, the radio communication circuit 14 notifies the CPU 20 of the incoming call. The CPU 20 causes the LCD monitor 28, which is a display device, to display the source information described in the incoming notification. In addition, the CPU 20 outputs the ringing tone from the incoming call notification speaker.

통화 가능 상태에서는, 다음과 같은 처리가 실행된다. 통화 상대로부터 보내져 온 변조 음성 신호(고주파 신호)는, 안테나(12)에 의해 수신된다. 수신된 변조 음성 신호는, 무선 통신 회로(14)에 의해 복조 처리 및 복호 처리가 실시된다. 이에 의해 얻어진 수화 음성 신호는, 스피커(18)로부터 출력된다. 마이크(16)에 의해 받아들여진 송화 음성 신호는, 무선 통신 회로(14)에 의해 부호화 처리 및 변조 처리가 실시된다. 이에 의해, 생성된 변조 음성 신호는, 상기 서술과 동일하게, 안테나(12)를 이용하여 통화 상대에게 송신된다.In the call enabled state, the following processing is executed. The modulated audio signal (high frequency signal) sent from the call partner is received by the antenna 12. The received modulated voice signal is subjected to demodulation processing and decoding processing by the radio communication circuit 14. The sign language audio signal thus obtained is output from the speaker 18. The coded audio signal received by the microphone 16 is subjected to an encoding process and a modulation process by the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 14. As a result, the generated modulated voice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call partner using the antenna 12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터치 조작 검출 수단으로서 기능하는 터치패널(36)은, LCD 모니터(28)의 화면 내의 임의의 위치를 사용자가 지시하기 위한 포인팅 디바이스이다. 터치패널(36)은, 그 상면을 손가락으로 누르거나, 슬라이드하거나(만지거나), 대거나 함으로써 조작되면, 그 조작을 검출한다. 그리고, 터치패널(36)이 터치를 검출하면, 터치패널 제어 회로(34)는, 그 조작의 위치를 특정하고, 조작된 조작 위치의 좌표 데이터를 CPU(20)에 출력한다. 즉, 사용자는, 터치패널(36)의 상면을 손가락으로 누르거나, 슬라이드하거나, 대거나 함으로써, 조작의 방향이나 도형 등을 휴대 단말(10)에 입력할 수 있다.The touch panel 36 functioning as a touch operation detection means is a pointing device for instructing a user of any position within the screen of the LCD monitor 28. When the touch panel 36 is operated by pressing, sliding (touching) or touching the upper surface with a finger, the touch panel 36 detects the operation. And when the touch panel 36 detects a touch, the touch panel control circuit 34 specifies the position of the operation, and outputs the coordinate data of the operated operation position to the CPU 20. That is, the user can input the direction, figure, etc. of the operation to the portable terminal 10 by pressing, sliding, or touching the upper surface of the touch panel 36 with a finger.

또한, 터치패널(36)은, 손가락이 터치패널(36)의 표면에 접근하여 발생한 전극간의 정전 용량의 변화를 검출하는 정전 용량 방식이라고 불리는 방식으로, 1개 또는 복수 개의 손가락이 터치패널(36)에 닿은 것을 검출한다. 구체적으로는, 이 터치패널(36)에는, 투명 필름 등에 전극 패턴을 형성함으로써, 손가락이 접근하여 발생한 전극간의 정전 용량의 변화를 검출하는, 투영형의 정전 용량 방식이 채용되고 있다. 또한, 검출 방식에는, 표면형의 정전 용량 방식이 채용되어도 되고, 저항막 방식, 초음파 방식, 적외선 방식 및 전자 유도 방식 등이어도 된다.In addition, the touch panel 36 is called a capacitive method in which a finger detects a change in capacitance between electrodes generated when a finger approaches the surface of the touch panel 36, and one or more fingers are touch panel 36. Detect what touches). Specifically, the touch panel 36 employs a projection type capacitance method that detects a change in capacitance between electrodes generated by approaching a finger by forming an electrode pattern on a transparent film or the like. As the detection method, a surface type capacitance method may be employed, or a resistive film method, an ultrasonic method, an infrared method, an electromagnetic induction method, or the like may be used.

여기서, 사용자가 터치패널(36)의 상면을 손가락으로 대는 조작을 「터치」라고 부르기로 한다. 한편, 터치패널(36)로부터 손가락을 떼는 조작을 「릴리스」라고 부르기로 한다. 또한, 터치패널(36)의 표면을 문지르는 조작을 슬라이드라고 부르기로 한다. 그리고, 터치에 의해 나타난 좌표를 「터치점」, 릴리스에 의해 나타난 조작의 종료 위치의 좌표를 「릴리스점」이라고 부르기로 한다. 또한, 사용자가 터치패널(36)의 상면을 터치하고, 계속해서 릴리스하는 조작을 「터치 앤드 릴리스」라고 부르기로 한다. 그리고, 터치, 릴리스, 슬라이드 및 터치 앤드 릴리스 등의 터치패널(36)에 대해 행하는 조작을, 일반적으로 「터치 조작」이라고 부르기로 한다. 또한, 터치패널(36)에 대한 조작은, 손가락만으로 한정하지 않고 펜 등의 끝이 가는 형상을 한 막대로 행해도 된다. 또한, 조작을 행하기 위해, 전용의 터치 펜 등을 구비하도록 해도 된다. 그리고, 손가락을 사용하여 터치하는 경우의 터치점은, 터치패널(36)에 닿아 있는 손가락의 면적에 있어서의 중심(重心)이 터치점이 된다.Here, the operation in which the user touches the upper surface of the touch panel 36 with a finger is called "touch". On the other hand, the operation of releasing a finger from the touch panel 36 is called "release." In addition, the operation of rubbing the surface of the touch panel 36 is called a slide. The coordinates indicated by the touch are referred to as "touch points", and the coordinates of the end position of the operation indicated by release are referred to as "release points". In addition, the operation which a user touches the upper surface of the touch panel 36, and continues to release is called "touch and release." The operation performed on the touch panel 36 such as touch, release, slide, and touch and release is generally referred to as "touch operation". In addition, the operation with respect to the touch panel 36 may not be limited to a finger only, but may be performed with the bar which the tip of a pen etc. becomes thin. Moreover, in order to perform operation, you may be provided with the exclusive touch pen etc. As for the touch point in the case of touching using a finger,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finger touching the touch panel 36 becomes the touch point.

도 2는 휴대 단말(10)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해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휴대 단말(10)은, 판 형상으로 형성된 케이스(C)를 갖는다. 도 2에서는 도시되지 않은 마이크(16) 및 스피커(18)는, 케이스(C)에 내장된다. 내장된 마이크(16)에 통하는 개구(OP2)는, 케이스(C)의 길이 방향 일방의 주면(主面)에 형성되고, 내장된 스피커(18)에 통하는 개구(OP1)는, 케이스(C)의 길이 방향 타방의 주면에 형성된다. 즉, 사용자는, 개구(OP1)를 통해 스피커(18)로부터 출력되는 소리를 듣고, 개구(OP2)를 통해 마이크(16)에 음성을 입력한다.2 is a diagram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mobile terminal 10. Referring to FIG. 2, the portable terminal 10 has a case C formed in a plate shape. The microphone 16 and the speaker 18 which are not shown in FIG. 2 are built in the case C. As shown in FIG. The opening OP2 through the built-in microphone 16 is formed in the main surface of on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ase C, and the opening OP1 through the built-in speaker 18 is the case C. Is formed on the main surface of the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at is, a user hears the sound output from the speaker 18 through the opening OP1, and inputs a voice into the microphone 16 through the opening OP2.

키 입력 장치(22)는, 통화키(22a), 메뉴키(22b) 및 종화(終話)키(22c)의 3종류의 키를 포함하고, 각각의 키는, 케이스(C)의 주면에 형성된다. LCD 모니터(28)는, 모니터 화면이 케이스(C)의 주면에 노출되도록 장착된다. 또한 LCD 모니터(28)의 상면에는, 터치패널(36)이 형성된다.The key input device 22 includes three types of keys, the call key 22a, the menu key 22b, and the closing key 22c. Each key is provided on the main surface of the case C. Is formed. The LCD monitor 28 is mounted so that the monitor screen is exposed on the main surface of the case C. In addition, the touch panel 36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CD monitor 28.

사용자는, 통화키(22a)를 조작함으로써 응답 조작을 행하고, 종화키(22c)를 조작함으로써 통화 종료 조작을 행한다. 또한, 사용자는, 메뉴키(22b)를 조작함으로써, 메뉴 화면을 LCD 모니터(28)에 표시시킨다. 그리고, 종화키(22c)를 길게 누름으로써 휴대 단말(10)의 전원 온/오프 조작을 행할 수 있다.The user performs a response operation by operating the call key 22a, and performs a call termination operation by operating the seed key 22c. In addition, the user displays the menu screen on the LCD monitor 28 by operating the menu key 22b. And the power supply on / off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10 can be performed by holding down the seed key 22c for a long time.

또한, 이 휴대 단말(10)은, 메일 기능을 구비하고 있고, 이 메일 기능으로는, 메일의 신규 작성, 회신 메일의 작성 등으로,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휴대 전화기(10)는, 다른 기능, 예를 들어, 주소록 편집 기능이나, 메모장 기능 등으로도, 문자의 입력을 행할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키 입력 장치(22)에 형성된 키가 아니라, LCD 모니터(28)에 표시되는 가상 키보드를 이용하여 문자 입력을 행한다.In addition, the portable terminal 10 has a mail function, and in this mail function, a character can be input by creating a new mail, creating a reply mail, or the like. In addition, the cellular phone 10 can also input characters using other functions, for example, an address book editing function, a memo pad function, or the like. Here, in the present embodiment, character input is performed using the virtual keyboard displayed on the LCD monitor 28, not the keys formed on the key input device 22.

도 3은, LCD 모니터(28)에 표시되는, 가상 키보드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해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LCD 모니터(28)는, 상태 표시 영역(40) 및 기능 표시 영역(42)을 포함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LCD 모니터(28)의 전체면은 전술한 바와 같이 터치패널(36)로 덮여 있다. 단,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경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LCD 모니터(28)의 일부의 면이 터치패널(36)로 덮여 있다고 해도 된다.3 is a diagram showing a display example of the virtual keyboard displayed on the LCD monitor 28. Referring to FIG. 3, the LCD monitor 28 includes a status display area 40 and a function display area 42.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entire surface of the LCD monitor 28 is covered with the touch panel 36 as described abov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case, and a part of the surface of the LCD monitor 28 may be covered with the touch panel 36.

상태 표시 영역(40)에는, 안테나(12)에 의한 전파 수신 상태, 충전지의 잔여 전지 용량 및 현재 일시 등이 표시된다. 기능 표시 영역(42)에는, 휴대 단말(10)에서 실행되는 기능의 화상이나 문자열 등이 표시된다. 도 3에서는, 메일 기능에 의한 메일 본문 작성 화면이 표시되어 있다. 그리고, 이 메일 본문 작성 화면이 표시되는 기능 표시 영역(42)은, 또한 2개의 표시 영역으로 구성된다. 먼저, 제1 표시 영역인 문자 표시 영역(44)에는, 메일 본문이 표시된다. 또한, 제2 표시 영역인 가상 키보드 표시 영역(46)에는,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가상 키보드가 표시된다. 여기서, 문자 표시 영역(44) 및 가상 키보드 표시 영역(46)의 원점은 좌상단으로 한다. 즉, 가로 좌표는 좌상단으로부터 우상단으로 진행됨에 따라 커지고, 세로 좌표는 좌상단으로부터 좌하단으로 진행됨에 따라 커진다.In the status display area 40, the radio wave reception state by the antenna 12, the remaining battery capacity of the rechargeable battery, the current date and time, and the like are displayed. In the function display area 42, an image, a character string, or the like of a function executed in the portable terminal 10 is displayed. In Fig. 3, a mail body creation screen by a mail function is displayed. The functional display area 42 on which the mail body creation screen is displayed is further composed of two display areas. First, the mail body is displayed in the character display area 44 which is the first display area. In addition, in the virtual keyboard display area 46 which is the second display area, a virtual keyboard for inputting characters is displayed. Here, the origin of the character display area 44 and the virtual keyboard display area 46 is at the upper left end. That is, the horizontal coordinates become larger as they progress from the upper left to the upper right, and the vertical coordinates increase as they progress from the upper left to the lower left.

또한, 가상 키보드의 초기 상태에서는, 「み」의 문자키가 선택된 상태로 되어 있고, 가상 키보드 중의 「み」의 문자키의 배경색은, 황색으로 착색된다. 그리고, 가상 키보드 중에서 선택되어 있는 문자키에 대응하는 문자가, 문자 표시 영역(44)에 있어서 선택 중 문자로서 표시된다. 또한, 가상 키보드 내에 있어서의 문자키의 선택을 「포커스」라고 부르고, 포커스되는 문자키의 위치를 선택 위치라고 부르기로 한다. 또한, 통상 상태에 있어서의 문자키의 배경색은, 회색으로 착색된다. 그리고, 문자 표시 영역(44)에 표시되는 「み」에는 밑줄(U)이 부가되어, 선택 중 문자임이 나타난다.In the initial state of the virtual keyboard, a letter key of "mi" is selected, and the background color of the letter key of "み" in the virtual keyboard is colored yellow. Characters corresponding to the character keys selected among the virtual keyboards are displayed as characters during selection in the character display area 44. In addition, the selection of the character key in the virtual keyboard is called "focus", and the position of the focused character key is called the selection position. In addition, the background color of the character keys in a normal state is colored gray. Underscores U are added to &quot; み &quot; displayed in the character display area 44, indicating that they are characters during selection.

또한, 도 3에서 나타내는 상태 표시 영역(40), 기능 표시 영역(42), 문자 표시 영역(44), 가상 키보드 표시 영역(46), 커서(CU) 및 밑줄(U)에 대해서는, 다른 도면에서도 동일하기 때문에, 다른 도면에서는 간단하게 하기 위해,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 3에 나타내는 가상 키보드는, 히라가나 가상 키보드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In addition, about the status display area 40, the function display area 42, the character display area 44, the virtual keyboard display area 46, the cursor CU, and the underline U which are shown in FIG. Since it is the same, detailed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in another figure for simplicity. In addition, the virtual keyboard shown in FIG. 3 may be called hiragana or a virtual keyboard.

여기서, 가상 키보드 중의 「み」이외의 문자키를 포커스하기 위해서는, 문자 표시 영역(44)에 대해 슬라이드하면 된다.Here, in order to focus the character keys other than "み" in a virtual keyboard, you may slide with respect to the character display area 44. FIG.

도 4는, 가상 키보드에 있어서 임의의 문자키를 포커스하는 순서를 나타내는 도해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손가락(F1)은, 문자 표시 영역(44)에 대해 터치를 행한다. 터치 범위(T1)는, 손가락(F1)의 터치에 의해 터치패널(36)에 닿아 있는 범위를 나타낸다. 또한, 손가락(F1')은, 손가락(T1)이 좌측에서 우측으로 슬라이드한 후의 상태를 나타낸다. 즉, 도 4는, 문자 표시 영역(44)에 대해 좌측에서 우측으로 슬라이드하는 조작을 나타낸다. 그리고, 우방향의 화살표(Y1)는, 그 슬라이드에 대응하는 벡터를 나타낸다.4 is a diagram showing a procedure of focusing arbitrary letter keys on a virtual keyboard. With reference to FIG. 4, the finger F1 touches the character display area 44. Touch range T1 represents the range which touches the touch panel 36 by the touch of the finger F1. In addition, the finger F1 'shows the state after the finger T1 slides from left to right. That is, FIG. 4 shows an operation of sliding from left to right with respect to the character display area 44. The arrow Y1 in the right direction indicates a vector corresponding to the slide.

이 화살표(Y1)로 나타내는 벡터, 즉 슬라이드의 이동량(슬라이드량)은, 터치점과, 현재의 터치 위치 또는 릴리스점의 좌표를 삼평방의 정리를 이용하여 산출할 수 있고, 선택 위치가 이동하는 방향은, 벡터의 방향으로부터 구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드량으로부터 이동 위치의 이동수(선택 이동수)를 산출하는 경우에는, 수학식 1에 나타내는 식에 의해 구할 수 있다.The vector indicated by this arrow Y1, that is, the amount of slide movement (slide amount), can calculate the coordinates of the touch point and the current touch position or release point using three-square theorem, and the selected position is moved. The direction can be obtained from the direction of the vector. In addition, when calculating the movement number (selection movement number) of a movement position from a slide amount, it can obtain | require by the formula shown in Formula (1).

[수학식 1][Equation 1]

슬라이드량/변환값 = 선택 이동수Slide amount / conversion value = selection shift

예를 들어, 도 4의 손가락(F1) 및 손가락(F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측에서 우측으로 슬라이드되면, 선택 위치가 우측으로 이동한다. 이때, 화살표(Y1)가 나타내는 벡터의 슬라이드량이 250이고, 변환값 50이면, 수학식 1에 나타내는 식으로부터, 선택 이동수가 5가 된다. 또한, 화살표(Y1)가 나타내는 벡터는, 우방향이기 때문에, 선택 위치가 오른쪽으로 5개 이동한다. 즉, 포커스되는 문자키가 「み」에서 「き」가 된다.For example, as shown by the finger F1 and the finger F1 'of FIG. 4, when it slides from left to right, a selection position moves to the right. At this time, if the slide amount of the vector represented by the arrow Y1 is 250 and the converted value is 50, the number of selected movements is 5 from the equation shown in Expression (1). In addition, since the vector indicated by the arrow Y1 is in the right direction, five selection positions move to the right. That is, the character key to be focused becomes "KI" from "み".

또한, 선택 위치가 이동하는 경우에, 포커스된 문자키, 즉 「み」, 「ひ」, 「に」, 「ち」 및 「し」각각의 문자키의 배경색이 엷은 황색으로 착색된다. 또한, 선택 중 문자는, 선택 위치가 이동할 때마다 갱신된다. 즉, 가상 키보드 중에서 포커스된 문자키가 「み」, 「ひ」, 「に」, 「ち」, 「し」 및 「き」의 순서로 갱신되면, 문자 표시 영역(44)에는, 「み」, 「ひ」, 「に」, 「ち」, 「し」 및 「き」의 순서로 표시된다. 여기서, CPU(20)는, 선택 중 문자를 순차적으로 표시하기 위해, 캐릭터 제너레이터(24)와 LCD 드라이버(26)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CPU(20)는, 캐릭터 제너레이터(24)에 선택 중 문자의 문자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지시를 내리고, 계속해서 LCD 드라이버(26)에 선택 중 문자를 표시하는 지시를 내린다. 캐릭터 제너레이터(24)는, CPU(20)로부터 선택 중 문자의 문자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지시가 내려지면, 선택 중 문자에 대응하는 문자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여, LCD 드라이버(26)에 내장되는 VRAM(26a)에 저장한다. 다음으로, LCD 드라이버(26)는, CPU(20)로부터 선택 중 문자를 표시하는 지시가 내려지면, VRAM(26a)에 저장된 문자 화상 데이터를 LCD 모니터(28)에 표시한다. 그 때문에, 선택 중 문자가 순차적으로 표시되는 경우에는, VRAM(26a)에 저장되는 문자 화상 데이터가 갱신된다.In addition, when the selection position is moved, the background color of the focused character keys, i.e., the letter keys of "み", "HI", "に", "ち", and "SHI" is colored pale yellow. In addition, the character during selection is updated every time the selection position moves. That is, when the focused character key in the virtual keyboard is updated in the order of "み", "ひ", "に", "ち", "し", and "き", the character display area 44 shows "み". , "ひ", "に", "ち", "し", and "き" are displayed in order. Here, the CPU 20 controls the character generator 24 and the LCD driver 26 to sequentially display characters during selection. Specifically, the CPU 20 instructs the character generator 24 to generate character image data of the character during selection, and subsequently instructs the LCD driver 26 to display the character during selection. When the character generator 24 is instructed by the CPU 20 to generate character image data of a character during selection, the character generator 24 generates character image data corresponding to the character during selection, and generates a VRAM ( 26a). Next, the LCD driver 26 displays the character image data stored in the VRAM 26a on the LCD monitor 28 when an instruction is displayed from the CPU 20 to display characters during selection. Therefore, when the characters are displayed sequentially during selection, the character image data stored in the VRAM 26a is updated.

이와 같이, 휴대 단말(10)은, 슬라이드의 조작이 되면 선택 중 문자를 순차적으로 표시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선택한 문자 각각을 순차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In this way, since the portable terminal 10 sequentially displays characters during selection when the slide is operated, the user can sequentially check each of the selected characters.

또한, 배경색이 엷은 황색으로 착색된 문자키는, 소정 시간(약 1초)이 경과하면, 회색으로 되돌아온다. 또한, 슬라이드량의 단위에는, 밀리미터(mm), 인치(inch) 또는 도트(dot) 등이 사용되면 된다. 또한, 변환값은, 사용자에 따라 임의로 설정할 수 있게 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세로 방향의 선택 이동수와 가로 방향의 선택 이동수가 다르도록, 세로 방향용의 변환값과 가로 방향용의 변환값을 가지도록 해도 된다. 그리고, 도 4에서 나타내는 손가락(F1, F1'), 터치 범위(T1) 및 터치 범위(T1')에 대해서는, 다른 도면에서도 동일하기 때문에, 다른 도면에서는 간단하게 하기 위해,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addition, the letter key whose background color is light yellow is returned to gray when a predetermined time (about 1 second) elapses. In addition, millimeters (mm), an inch, a dot, etc. may be used for the unit of a slide amount. In addition, the converted value may be set arbitrarily according to a user. Moreover, you may have a conversion value for a vertical direction, and a conversion value for a horizontal direction so that the selection movement number of a vertical direction may differ from the selection movement number of a horizontal direction. In addition, since the finger F1, F1 ', the touch range T1, and the touch range T1' shown in FIG. 4 are also the same in other drawings, detailed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in the other figure for simplicity.

도 5a, 도 5b는, 경사 방향의 슬라이드에 대응하는 벡터의 방향을, 좌우 또는 상하 방향의 벡터로 보정하는 처리에 대해 설명하는 도해도이다. 도 5a를 참조하여, 손가락(F1) 및 손가락(F1')은, 손가락(F1)으로 터치한 후에, 우측 경사 상방향으로 슬라이드된 조작을 나타낸다. 그리고, 우측 경사 상방향의 화살표(Y2)로 나타내는 벡터, 즉 슬라이드의 이동량은, 도 5b와 같이, 우방향의 가로 이동량과 상방향 세로 이동량으로 분해할 수 있다. 그리고, 가로 이동량과 세로 이동량의 절대값을 비교하여, 큰 쪽의 이동량이 나타내는 방향으로 벡터의 방향을 보정하고, 그 큰 쪽의 이동량으로부터 선택 이동수를 산출한다. 예를 들어, 도 5b에서는, 세로 이동량과 가로 이동량에서는, 가로 이동량이 크기 때문에, 화살표(Y2)로 나타내는 벡터는 가로 방향으로 보정되고, 가로 이동량으로부터 선택 이동수가 산출된다.5A and 5B are diagrams for describing a process of correcting a direction of a vector corresponding to a slide in an inclined direction with a vector in a left, right, or up and down direction. Referring to FIG. 5A, the finger F1 and the finger F1 ′ show an operation that is slid upward in the right oblique direction after touching with the finger F1. The movement amount of the vector, i.e., the slide indicated by the arrow Y2 in the right oblique upward direction, can be decomposed into the horizontal movement amount in the right direction and the vertical movement amount in the right direction as shown in FIG. 5B. Then, the absolute value of the horizontal movement amount and the vertical movement amount are compared, the direction of the vector is corrected in the direction indicated by the larger movement amount, and the number of selected movements is calculated from the larger movement amount. For example, in FIG. 5B, since the horizontal movement amount is large in the vertical movement amount and the horizontal movement amount, the vector indicated by the arrow Y2 is correc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selected movement number is calculated from the horizontal movement amount.

또한, 가로 이동량과 세로 이동량의 절대값이 동일한 경우에는, 선택 이동수의 산출은 행하지 않는다. 즉, 벡터의 방향은 보정하지 않고, 이동 위치는 이동되지 않는다. 이것은, 가로 이동량과 세로 이동량의 절대값이 동일할 때에는, 가로축에 대한 벡터의 각도가 45도이기 때문에, CPU(20)는, 슬라이드의 조작이 좌우 방향이 의식된 것인가, 상하 방향이 의식된 것인가를, 명확하게 판단할 수 없기 때문이다.In addition, when the absolute value of the horizontal movement amount and the vertical movement amount are the same, calculation of the number of selection movements is not performed. That is, the direction of the vector is not corrected and the movement position is not moved. This is because when the absolute value of the horizontal movement amount and the vertical movement amount are the same, the angle of the vector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axis is 45 degrees, so that the CPU 20 is conscious of the left / right direction or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slide operation? This is because it cannot be judged clearly.

이와 같이, 이 휴대 단말(10)에서는, 슬라이드의 조작에 있어서, 벡터의 방향이 좌우 방향 또는 상하 방향으로 한정되기 때문에, 가상 키보드 내의 문자키를 선택할 때의 오조작을 방지할 수 있다.In this manner, in the portable terminal 10, since the direction of the vector is limited to the horizontal direction or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operation of the slide, it is possible to prevent an incorrect operation when selecting a character key in the virtual keyboard.

또한, 가로 이동량과 세로 이동량의 비율로부터, 벡터의 방향을 보정하도록 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수학식 2에 나타내는 식에 따라, 세로 이동량과 가로 이동량의 비율을 구하고, 비율이 1보다 크면 벡터를 세로 방향으로 보정한다. 한편, 비율이 소수, 즉 1보다 작으면 벡터를 가로 방향으로 보정한다. 또한, 비율이 1이면, 가로축에 대한 벡터의 각도가 45도이기 때문에, 선택 이동수의 산출은 행하지 않는다.Further, the direction of the vector may be corrected from the ratio of the horizontal movement amount and the vertical movement amount. Specifically, according to the formula shown in Formula (2), the ratio of the vertical movement amount and the horizontal movement amount is calculated, and when the ratio is larger than 1, the vector is correc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other hand, if the ratio is smaller than 1, that is, the vector is correc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f the ratio is 1, since the angle of the vector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axis is 45 degrees, the number of selection movements is not calculated.

[수학식 2]&Quot; (2) &quot;

세로 이동량/가로 이동량 = 비율Vertical Shift / Horizontal Shift = Ratio

도 6은, 선택 중 문자를 확정하는 조작 순서를 나타내는 도해도이다. 도 6을 참조하여, 손가락(F1)으로 터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다시 손가락(F2)으로 터치 범위(T2)가 나타내어지면, 선택 중 문자인 「き」가 확정되고, 밑줄(U)이 사라진다. 또한, 가상 키보드 중의 「き」의 문자키의 배경색이 적색으로 착색되어, 「き」의 문자가 확정된 것을 나타낸다. 그리고, 이 확정된 문자는, RAM(32) 내에, 메일 본문 데이터로서 보존된다. 여기서, 슬라이드하고 나서, 다시 2점째를 터치하여 문자를 확정하는 조작을 「확정 조작」이라고 부르기로 한다.6 is a diagram showing an operation procedure of determining a character during selection. Referring to FIG. 6, when the touch range T2 is displayed again with the finger F2 in the state where the finger F1 is touched, the character “ki” during the selection is determined, and the underline U disappears. In addition, the background color of the letter key of "ki" in the virtual keyboard is colored red, indicating that the letter of "ki" is determined. This determined character is stored in the RAM 32 as mail body data. Here, after sliding, the operation which touches the 2nd point again and confirms a character is called "determination operation."

이와 같이, 슬라이드한 후에, 계속해서 터치함으로써 선택 중 문자를 확정할 수 있기 때문에, 터치패널(36)을 이용하여, 선택 중의 문자를 용이하게 확정할 수 있다. 또한, 선택 중의 문자를 확정함으로써, 복수의 문자를 계속해서 입력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문장을 작성할 수 있다.In this way, since the character during selection can be determined by continuously touching after sliding, the character during selection can be easily determined using the touch panel 36. In addition, since the plurality of characters can be continuously input by determining the character under selection, the user can create a sentence.

또한, 배경색이 적색으로 착색된 문자키는, 배경색이 엷은 황색으로 착색된 문자키와 마찬가지로,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 회색으로 되돌아온다. 또한, 확정 조작에 있어서 손가락(F2)으로 터치하는 위치는, 문자 표시 영역(44)만으로 한정하지 않고, 가상 키보드 표시 영역(46), 상태 표시 영역(40) 중 어느 표시 영역 내여도 된다. 또한, 다른 확정 조작으로는, 임의의 선택 중 문자가 표시된 상태에서, 메뉴키(22b) 등을 조작하여 선택 중 문자를 확정해도 된다. 예를 들어, 2점 동시 터치를 검출할 수 없는 터치패널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확정 조작에 메뉴키(22b)를 이용하면 된다.In addition, the character key whose background color is colored red is returned to gray when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similarly to the character key whose background color is colored pale yellow. In addition, in the determination operation, the position touched by the finger F2 is not limited to the character display area 44 alone, and may be in any of the display areas of the virtual keyboard display area 46 and the status display area 40. In addition, as another determination operation, the character during selection may be determined by operating the menu key 22b or the like while the character during the arbitrary selection is displayed. For example, when using a touch panel which cannot detect two points of simultaneous touches, the menu key 22b may be used for the determination operation.

도 7은, 가상 키보드의 표시 사이즈가 변경된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해도이다. 도 7을 참조하여, 가상 키보드 표시 영역(46)에는, 가상 키보드의 일부가 표시된다. 또한, 가상 키보드 표시 영역(46)에 표시되어 있지 않은 문자키는, 점선으로 나타낸다. 그리고, 가상 키보드의 일부가 표시되어 있지 않은 것을 나타내기 위해, 가로 스크롤(SCa) 및 세로 스크롤(SCb)이 표시되고, 각각의 스크롤 내에는, 표시되어 있는 가상 키보드의 위치를 나타내기 위해, 스크롤 바가 포함된다.7 is a diagram showing a display example in which the display size of the virtual keyboard is changed. With reference to FIG. 7, a part of the virtual keyboard is displayed in the virtual keyboard display area 46. Character keys not displayed in the virtual keyboard display area 46 are indicated by dotted lines. Then, horizontal scrolling SCa and vertical scrolling SCb are displayed to indicate that a part of the virtual keyboard is not displayed, and in each scroll, scrolling is performed to indicate the position of the displayed virtual keyboard. A bar is included.

즉, 사용자는, 점선으로 나타나 있는 문자키를 눈으로 인식할 수는 없다. 그래서, 여기서는 점선으로 나타나는 문자키를 눈으로 인식할 수 있게 하기 위해, 가상 키보드의 표시를 스크롤한다. 이하, 가상 키보드의 표시를 스크롤하는 순서에 대해 설명한다.In other words, the user cannot visually recognize the character key indicated by the dotted line. So, here, the display of the virtual keyboard is scrolled in order to be able to visually recognize the letter keys indicated by the dotted lines. Hereinafter, the procedure of scrolling the display of a virtual keyboard is demonstrated.

도 8a, 도 8b는, 가상 키보드의 표시를 스크롤하는 순서를 나타내는 도해도이다. 또한, 상태 표시 영역(40), 기능 표시 영역(42), 문자 표시 영역(44), 가상 키보드 표시 영역(46), 커서(CU), 밑줄(U), 가로 스크롤(SCa) 및 세로 스크롤(SCb)을 나타내는 화살표 등은 생략한다. 도 8a를 참조하여, 하방향의 화살표(Y3)로 벡터가 나타내어지면, 포커스되는 문자키가 「み」에서 「む」로 이동한다. 이 「む」의 문자키는, 가상 키보드 표시 영역(46)의 일단에서 표시되는 문자키이고, 벡터의 방향이 하방향이기 때문에, 가상 키보드의 표시가 하방향으로 스크롤된다. 즉, 도 8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む」의 문자키 아래에 위치하는 2열의 문자키군이, 가상 키보드 표시 영역(46)에 표시되고, 「む」의 문자키 위에 위치하는 2열의 문자키군이, 가상 키보드 표시 영역(46)에 표시되지 않게 된다. 또한, 세로 스크롤(SCb) 내의 스크롤 바가 하방향으로 이동한다.8A and 8B are diagrams showing a procedure for scrolling the display of the virtual keyboard. In addition, the status display area 40, the function display area 42, the character display area 44, the virtual keyboard display area 46, the cursor (CU), the underline (U), the horizontal scroll (SCa) and the vertical scroll ( Arrows indicating SCb) are omitted. Referring to Fig. 8A, when the vector is represented by the downward arrow Y3, the focused character key moves from "み" to "む". The letter key "mu" is a letter key displayed at one end of the virtual keyboard display area 46. Since the direction of the vector is downward, the display of the virtual keyboard is scrolled downward. That is, as shown in Fig. 8B, the two-row character key group located under the "MU" character key is displayed in the virtual keyboard display area 46, and the two-row character key group positioned on the "MU" character key is The virtual keyboard display area 46 is not displayed. In addition, the scroll bar in the vertical scroll SCb moves downward.

즉, 포커스된 문자키가, 가상 키보드 표시 영역(46)의 일단에서 표시되는 문자키일 때, 벡터의 방향으로부터 스크롤하는 방향을 결정하여, 가상 키보드의 표시를 스크롤한다.That is, when the focused character key is the character key displayed at one end of the virtual keyboard display area 46, the direction of scrolling is determined from the direction of the vector to scroll the display of the virtual keyboard.

또한, 도 8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む」의 문자키가 선택된 상태에서, 벡터의 방향이 상방향이면, 도 8a에 나타내는 가상 키보드와 같이, 「む」의 문자키 위에 위치하는 2열의 문자키군이, 가상 키보드 표시 영역(46)에 표시되고, 「む」의 문자키 아래에 위치하는 2열의 문자키군이, 가상 키보드 표시 영역(46)에 표시되지 않게 된다. 또한, 세로 스크롤(SCb) 내의 스크롤 바가 상방향으로 이동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8B, when the direction of the vector is upward in the state where the character key of &quot; mu &quot; is selected, as in the virtual keyboard shown in FIG. The character key group of two columns which are displayed in this virtual keyboard display area 46 and located under the "mu" character key are not displayed in the virtual keyboard display area 46. In addition, the scroll bar in the vertical scroll SCb moves upward.

또한, 도 8a에 나타내는 상태에서, 「た」, 「ち」또는 「つ」중 어느 문자키가 포커스된 상태에서, 벡터의 방향이 우방향이면, 포커스된 문자키의 오른쪽에 위치하는 3열의 문자키군이 가상 키보드 표시 영역(46)에 표시되고, 가상 키보드 표시 영역(46)의 좌측의 일단으로부터 오른쪽 3열의 문자키군이 표시되지 않게 된다. 또한, 가로 스크롤(SCa) 내의 스크롤 바가 우방향으로 이동한다.In addition, in the state shown in FIG. 8A, when the character key of "た", "ち", or "つ" is focused, and the direction of a vector is a right direction, three columns of characters located to the right of the focused character key The key group is displayed in the virtual keyboard display area 46, and the character key group in the right three columns is not displayed from one end of the left side of the virtual keyboard display area 46. In addition, the scroll bar in the horizontal scroll SCa moves to the right direction.

그리고, 도 8a에 나타내는 상태에서, 「わ」, 「を」 또는 「ん」중 어느 문자키가 포커스된 상태에서, 벡터의 방향이 좌방향이면, 포커스된 문자키의 왼쪽에 위치하는 2열의 문자키군이 가상 키보드 표시 영역(46)에 표시되고, 가상 키보드 표시 영역(46)의 우측의 일단으로부터 왼쪽 3열의 문자키군이 표시되지 않게 된다. 또한, 가로 스크롤(SCa) 내의 스크롤 바가 우방향으로 이동한다.Then, in the state shown in Fig. 8A, if any character key of "わ", "を" or "ん" is focused, and the direction of the vector is left, the two columns of characters located to the left of the focused character key The key group is displayed in the virtual keyboard display area 46, and the character key group in the left three columns is not displayed from one end of the right side of the virtual keyboard display area 46. In addition, the scroll bar in the horizontal scroll SCa moves to the right direction.

이와 같이, 가상 키보드의 표시 사이즈를 크게 하여, 일부를 표시하도록 해도, 표시를 스크롤할 수 있다. 즉, 이 휴대 단말(10)에서는, 사용자가 이용하기 쉽도록, 가상 키보드의 표시 사이즈를 크게 할 수 있다.In this manner, the display can be scrolled even if the display size of the virtual keyboard is enlarged to display a part of the virtual keyboard. That is, in this portable terminal 10, the display size of a virtual keyboard can be enlarged so that a user can use it easily.

여기서, 도 7에 나타내는 가상 키보드의 표시 사이즈의 상태에서, 문자 표시 영역(44)에 대해 터치 앤드 릴리스되면, 도 3에 나타내는 가상 키보드의 표시 사이즈로 변경된다. 즉, 가상 키보드의 표시 사이즈가 작아진다. 또한, 도 3에 나타내는 가상 키보드의 표시 사이즈의 상태에서, 문자 표시 영역(44)에 대해 터치 앤드 릴리스되면, 도 7에 나타내는 가상 키보드의 표시 사이즈로 되돌아온다. 즉, 가상 키보드의 표시 사이즈가 커진다. 또한, 터치 앤드 릴리스하는 위치는, 가상 키보드 표시 영역(46) 내여도 된다.Here, when touch-released with respect to the character display area 44 in the state of the display size of the virtual keyboard shown in FIG. 7, it changes to the display size of the virtual keyboard shown in FIG. In other words, the display size of the virtual keyboard is reduced. In the state of the display size of the virtual keyboard shown in FIG. 3, when touched and released with respect to the character display area 44, the display returns to the display size of the virtual keyboard shown in FIG. 7. That is, the display size of the virtual keyboard increases. In addition, the position to touch and release may be in the virtual keyboard display area 46.

즉, 이 휴대 단말(10)에서는, 문자 표시 영역(44)을 터치 앤드 릴리스할 때마다, 가상 키보드의 표시 사이즈가 전환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자신이 사용하기 쉬운 가상 키보드의 표시 사이즈를 선택할 수 있게 된다.That is, in this portable terminal 10, since the display size of the virtual keyboard is switched every time the touch display area 44 is touched and released, the user can select the display size of the virtual keyboard that is easy to use. Will be.

또한, 선택 이동수는, 표시 사이즈에 따라 변화하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어, 가상 키보드의 표시 사이즈가 커진 경우에는, 슬라이드량에 대한 선택 이동수가 많아지도록 한다. 또한, 가상 키보드의 표시 사이즈가 작아진 경우에는, 슬라이드량에 대한 선택 이동수가 적어지도록 한다.The number of selection movements may be changed depending on the display size. For example, when the display size of the virtual keyboard is increased, the number of selection movements for the slide amount is increased. In addition, when the display size of the virtual keyboard is reduced, the number of selection movements for the slide amount is reduced.

또한, 가상 키보드의 표시 사이즈는, 2개만으로 한정하지 않고, 문자 표시 영역(44)을 터치 앤드 릴리스할 때마다, 단계적으로 표시 사이즈를 크게 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표시 사이즈가 최대인 상태에서 터치 앤드 릴리스되면, 표시 사이즈가 최소인 상태로 되돌아오도록 하면 된다. 또한, 가상 키보드 표시 영역(46)의 우상측 및 좌하측의 2점을 집도록 동시 터치를 하여, 그 2점을 동시에, 가상 키보드 표시 영역(46)의 중앙으로 슬라이드함으로써, 가상 키보드의 표시 사이즈를 플렉시블하게 작게 하도록 해도 된다. 한편, 가상 키보드 표시 영역(46)의 중앙에서 2점을 집도록 터치하고, 각각의 터치를 가상 키보드 표시 영역(46)의 우상측 및 좌하측의 2점으로 슬라이드함으로써, 가상 키보드의 표시 사이즈를 플렉시블하게 크게 하도록 해도 된다.The display size of the virtual keyboard is not limited to two, and the display size may be increased step by step whenever the character display area 44 is touched and released. In this case, when touch-and-release is performed in the state in which the display size is the maximum, what is necessary is just to return it to the state which is the minimum. The display size of the virtual keyboard is also displayed by simultaneously touching two points on the upper right side and the lower left side of the virtual keyboard display area 46 and simultaneously sliding the two points to the center of the virtual keyboard display area 46. May be made flexible. On the other hand, by touching two points at the center of the virtual keyboard display area 46 and sliding each touch to two points on the upper right side and the lower left side of the virtual keyboard display area 46, the display size of the virtual keyboard is reduced. You may make it flexible.

도 9a, 도 9b는, 다른 가상 키보드를 나타내는 도해도이다. 도 9a에 나타내는 알파벳 가상 키보드는, 알파벳을 입력하기 위해 사용되고, 도 9b에 나타내는 숫자/기호 가상 키보드는, 숫자 또는 기호를 입력하기 위해 사용된다. 또한, 각 가상 키보드에 포함되는 「전환」키가 선택되고, 확정하는 조작이 되면, 도 3 등에 나타내는, 히라가나 가상 키보드, 알파벳 가상 키보드 및 숫자/기호 가상 키보드의 순서로 전환할 수 있다.9A and 9B are diagrams illustrating another virtual keyboard. The alphabet virtual keyboard shown in FIG. 9A is used for inputting alphabets, and the numeral / symbol virtual keyboard shown in FIG. 9B is used for inputting numbers or symbols. In addition, when the "switching" key included in each virtual keyboard is selected and the operation to confirm is performed, it can switch in order of the hiragana virtual keyboard, alphabetic virtual keyboard, and number / symbol virtual keyboard shown in FIG.

도 10은, RAM(32)의 메모리 맵을 나타내는 도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여, RAM(32)의 메모리 맵(300)에는, 프로그램 기억 영역(302) 및 데이터 기억 영역(304)이 포함된다. 프로그램 및 데이터의 일부는, 플래시 메모리(30)로부터 한번에 전부 또는 필요에 따라 부분적으로 또한 순차적으로 판독되어, RAM(32)에 기억되고 나서, CPU(20) 등에서 처리된다.10 is a diagram showing a memory map of the RAM 32. Referring to FIG. 10, the memory map 300 of the RAM 32 includes a program storage area 302 and a data storage area 304. Some of the programs and data are read out from the flash memory 30 all at once or partly and sequentially as needed, stored in the RAM 32, and then processed in the CPU 20 or the like.

프로그램 기억 영역(302)은, 휴대 단말(10)을 동작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억한다. 휴대 단말(10)을 동작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은, 가상 키보드 제어 프로그램(310), 벡터 검출 프로그램(312) 및 선택 위치 이동 처리 프로그램(314) 등에 의해 구성된다.The program storage area 302 stores a program for operating the portable terminal 10. The program for operating the portable terminal 10 is comprised by the virtual keyboard control program 310, the vector detection program 312, the selection position movement processing program 314, and the like.

가상 키보드 제어 프로그램(310)은, 가상 키보드에 의한 문자 입력 및 표시 사이즈를 변경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벡터 검출 프로그램(312)은, 가상 키보드 제어 프로그램(310)의 서브루틴으로서, 슬라이드에 의한 벡터의 방향을 보정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선택 위치 이동 처리 프로그램(314)은, 가상 키보드 제어 프로그램(310)의 서브루틴으로서, 슬라이드량으로부터 선택 이동수를 산출 및 가상 키보드의 스크롤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다.The virtual keyboard control program 310 is a program for changing the character input and the display size by the virtual keyboard. The vector detection program 312 is a subroutine of the virtual keyboard control program 310, which is a program for correcting the direction of the vector by the slide. The selection position movement processing program 314 is a subroutine of the virtual keyboard control program 310, which is a program for calculating the number of selection movements from the slide amount and controlling the scrolling of the virtual keyboard.

또한, 도시는 생략하지만, 휴대 단말(10)을 동작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은, 통화 제어 프로그램, 메일 기능 제어 프로그램 등을 포함한다.Although not shown, a program for operating the mobile terminal 10 includes a call control program, a mail function control program, and the like.

데이터 기억 영역(304)에는, 연산 버퍼(320), 터치 위치 버퍼(322), 선택 중 문자 버퍼(324) 및 확정 문자 버퍼(326)가 형성된다. 또한, 데이터 기억 영역(304)에는, 터치 좌표 맵 데이터(328), 가상 키보드 좌표 데이터(330), 표시 범위 좌표 데이터(332), 가상 키보드 데이터(334) 및 문자 데이터(336)가 기억됨과 함께, 제1 터치 플래그(338) 및 제2 터치 플래그(340) 등이 형성된다.In the data storage area 304, the operation buffer 320, the touch position buffer 322, the selection character buffer 324 and the confirmation character buffer 326 are formed. In addition, the touch coordinate map data 328, the virtual keyboard coordinate data 330, the display range coordinate data 332, the virtual keyboard data 334, and the character data 336 are stored in the data storage area 304. The first touch flag 338, the second touch flag 340, and the like are formed.

연산 버퍼(320)는, 프로그램이 실행되고 있는 동안에 처리되는 연산 결과를 일시적으로 기억하기 위한 버퍼이다. 터치 위치 버퍼(322)는, 터치패널(36)에 의해 검출된 터치 등의 입력 결과를 일시 기억하기 위한 버퍼로서, 예를 들어 터치점 및 릴리스점의 좌표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기억한다. 선택 중 문자 버퍼(324)는, 가상 키보드 중에서 포커스된 문자키에 대응하는 문자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기억하기 위한 버퍼이다. 확정 문자 버퍼(326)는, 확정된 선택 중 문자의 문자 데이터를 일시 기억하기 위한 버퍼이다.The operation buffer 320 is a buffer for temporarily storing the operation result processed while the program is being executed. The touch position buffer 322 is a buffer for temporarily storing an input result of a touch or the like detected by the touch panel 36. For example, the touch position buffer 322 temporarily stores coordinate data of a touch point and a release point. The character buffer 324 during selection is a buffer for temporarily storing character data corresponding to the focused character key in the virtual keyboard. The definite character buffer 326 is a buffer for temporarily storing the character data of the character of the definite selection.

터치 좌표 맵 데이터(328)는, 터치패널 제어 회로(34)가 특정하는 터치패널(36)에 대한 터치점 등의 좌표를, LCD 모니터(28)의 표시 위치와 대응시키기 위한 데이터이다. 즉, CPU(20)는, 터치 좌표 맵 데이터(328)에 기초하여, 터치패널(36)에 대해 행해진 터치 조작의 결과를 LCD 모니터(28)의 표시와 대응시킬 수 있다.The touch coordinate map data 328 is data for associating coordinates such as a touch point with respect to the touch panel 36 specified by the touch panel control circuit 34 with the display position of the LCD monitor 28. That is, the CPU 20 can correspond to the display of the LCD monitor 28 on the result of the touch operation performed on the touch panel 36 based on the touch coordinate map data 328.

가상 키보드 좌표 데이터(330)는, 가상 키보드 중의 각각의 문자키의 좌표 데이터를 포함한다. 그 때문에, 가상 키보드 좌표 데이터(330)는, 도 7과 같이, 일부만 표시되는 가상 키보드여도, 표시되어 있지 않은 부분의 문자키의 좌표 데이터를 포함한다. 표시 범위 좌표 데이터(332)는, LCD 모니터(28)에 표시되는 가상 키보드의 좌표 데이터이다. 그 때문에,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시되어 있지 않은 부분의 문자키의 좌표 데이터는 포함되지 않는다. 가상 키보드 데이터(334)는, 도 3 등에 나타내는 히라가나 가상 키보드와, 도 9a, 도 9b 등에 나타내는 알파벳 가상 키보드 및 숫자/기호 가상 키보드 등의 데이터로 구성된다.The virtual keyboard coordinate data 330 includes coordinate data of each character key in the virtual keyboard. Therefore, the virtual keyboard coordinate data 330 contains the coordinate data of the character key of the part which is not displayed, even if it is a virtual keyboard which only a part is displayed like FIG. The display range coordinate data 332 is coordinate data of the virtual keyboard displayed on the LCD monitor 28. Therefore, as shown in FIG. 7, the coordinate data of the character key of the part which is not displayed is not included. The virtual keyboard data 334 is composed of data such as a hiragana virtual keyboard shown in FIG. 3 and the like, an alphabetic virtual keyboard and a number / symbol virtual keyboard shown in FIGS. 9A and 9B and the like.

문자 데이터(336)는, 캐릭터 제너레이터(24)가 생성하는 문자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해 이용되는 데이터로서, 선택 중 문자 버퍼(324) 및 확정 문자 버퍼(326)에 일시적으로 기억되는 문자 데이터를 포함한다.The character data 336 is data used for generating the character image data generated by the character generator 24 and includes character data temporarily stored in the character buffer 324 and the definite character buffer 326 during selection. do.

제1 터치 플래그(338)는, 터치패널(36)에 터치하고 있는지(닿아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플래그이다. 예를 들어, 제1 터치 플래그(338)는, 1비트의 레지스터로 구성된다. 제1 터치 플래그(338)가 성립(온)되면, 레지스터에는 데이터값 「1」이 설정되고, 제1 터치 플래그(338)가 불성립(오프)되면, 레지스터에는 데이터값 「0」이 설정된다. 또한, 제2 터치 플래그(340)는, 확정 조작을 위해 터치되었는지(닿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플래그이다. 또한, 제2 터치 플래그(340)의 구성은, 제1 터치 플래그(380)와 동일한 구성이기 때문에, 간단하게 하기 위해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The first touch flag 338 is a flag that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touch panel 36 is touched (touched). For example, the first touch flag 338 is composed of a register of 1 bit. When the first touch flag 338 is established (on), the data value "1" is set in the register. When the first touch flag 338 is not established (off), the data value "0" is set in the register. In addition, the second touch flag 340 is a flag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it has been touched (touched) for the determination operation. In addition, since the structure of the 2nd touch flag 340 is the same structure as the 1st touch flag 380, detailed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for simplicity.

즉, 제1 터치 플래그(338)는, 가상 키보드로부터 포커스할 문자키를 선택하는 슬라이드나, 가상 키보드의 표시 사이즈를 변경하는 터치 앤드 릴리스의 조작이 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사용되고, 제2 터치 플래그(340)는, 선택 중 문자를 확정하기 위한 터치가 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사용된다.That is, the first touch flag 338 is used to determine whether a slide for selecting a character key to be focused from the virtual keyboard or a touch and release operation for changing the display size of the virtual keyboard has been performed. The flag 340 is used to determine whether a touch for deciding a character is made during selection.

또한, 도시는 생략하지만, 데이터 기억 영역(304)에는, 화상 파일 등이 기억됨과 함께, 휴대 단말(10)의 동작에 필요한 다른 카운터나 플래그도 형성된다. 또한, 각 플래그는, 초기 상태에서 「0」이 설정된다.Although not shown, an image file or the like is stored in the data storage area 304, and other counters and flags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10 are also formed. In each flag, "0" is set in the initial state.

CPU(20)는, ITRON, Symbian 또는 Linux 등의 리얼타임 OS의 제어 하에서, 도 11에 나타내는 가상 키보드 제어 처리, 도 12에 나타내는 벡터 검출 처리 및 도 13에 나타내는 선택 위치 이동 처리 등을 포함하는 복수의 태스크를 병렬적으로 실행한다.The CPU 20 includes a plurality of virtual keyboard control processes shown in FIG. 11, a vector detection process shown in FIG. 12, a selection position shift process shown in FIG. 13, and the like under the control of a real-time OS such as ITRON, Symbian, or Linux. Execute tasks in parallel.

예를 들어, 사용자가 휴대 단말(10)의 메일 기능을 실행하여, 메일 본문을 작성하는 조작을 행하면,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CPU(20)는, 가상 키보드 제어 처리를 개시하고, 단계 S1에서는, 가상 키보드를 표시한다. 즉, 도 3에 나타내는 히라가나 가상 키보드를, 「み」의 문자키가 포커스된 상태에서 가상 키보드 표시 영역(46)에 표시한다. 또한, 단계 S1을 실행하는 CPU(20)는, 표시 수단으로서 기능한다.For example, when the user executes the mail func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10 and performs an operation of creating a mail body, as shown in FIG. 11, the CPU 20 starts the virtual keyboard control process and the step S1. Displays the virtual keyboard. That is, the hiragana virtual keyboard shown in FIG. 3 is displayed on the virtual keyboard display area 46 with the letter key of "み" being focused. In addition, the CPU 20 executing step S1 functions as a display means.

계속해서, 단계 S3에서는, 가상 키보드의 표시 사이즈를 적합하게 한다. 즉, 가상 키보드의 표시 사이즈가, 가상 키보드 표시 영역(46)의 범위에 들어가도록 표시 사이즈를 적합하게 한다. 구체적으로는, CPU(20)는, 가상 키보드의 가로 폭이 가상 키보드 표시 영역(46)의 가로 폭과 일치하도록 적합하게 한다. 또한, 단계 S3의 처리에서는, 사용자에 의해 미리 초기 설정된 표시 사이즈로, 가상 키보드의 표시 사이즈를 설정하도록 해도 된다. 즉, 단계 S3을 실행하는 CPU(20)는 적합 수단으로서 기능하며, 가상 키보드의 표시 사이즈에 있어서, 초기 설정을 행할 수 있다.Subsequently, in step S3, the display size of the virtual keyboard is adapted. That is, the display size is made suitable so that the display size of the virtual keyboard falls within the range of the virtual keyboard display area 46. Specifically, the CPU 20 is adapted so that the width of the virtual keyboard matches the width of the virtual keyboard display area 46. In addition, in the process of step S3, you may make it possible to set the display size of a virtual keyboard to the display size initially preset by a user. That is, the CPU 20 executing step S3 functions as a suitable means, and can perform initial setting in the display size of the virtual keyboard.

계속해서, 단계 S5에서는, 선택 중 문자 버퍼(324)에, 초기 표시 문자 데이터를 일시 기억시킨다. 즉,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문자 데이터(336)에 포함되는 「み」의 문자 데이터를 선택 중 문자 버퍼(324)에 일시 기억시킨다. 단계 S7에서는, 선택 중의 문자를 표시한다. 즉, 초기 상태에서 포커스된 「み」의 문자키를 문자 표시 영역(44)에 표시한다. 구체적으로는, CPU(20)는, 선택 중 문자 버퍼(324)에 일시 기억된 문자 데이터를 캐릭터 제너레이터(24)에 주고, LCD 드라이버(26)를 제어함으로써, LCD 모니터(28)에, 선택 중 문자 버퍼(324)에 일시 기억된 문자 데이터와 대응하는 문자를 표시시킨다. 즉, 선택 중 문자 버퍼(324)의 「み」의 문자 데이터가 일시 기억되어 있으면, LCD 모니터(28)에는, 「み」의 선택 중 문자가 표시된다.Subsequently, in step S5, the initial buffer character data is temporarily stored in the character buffer 324 during selection. That is, as shown in FIG. 3, the character data of "み" contained in the character data 336 is temporarily stored in the character buffer 324 during selection. In step S7, the character under selection is displayed. That is, the character key of "み" focused in the initial state is displayed on the character display area 44. Specifically, the CPU 20 gives the character generator 24 the character data temporarily stored in the character buffer 324 during selection, and controls the LCD driver 26 to select the LCD monitor 28. The character buffer 324 displays characters corresponding to the character data temporarily stored. That is, if the character data of "mi" in the character buffer 324 is temporarily stored during selection, the character during selection of "み" is displayed on the LCD monitor 28.

단계 S9에서는, 변수 Tbx, Tby로 초기 터치 위치 좌표를 설정한다. 이 변수 Tbx는 전회의 터치 위치의 가로 좌표를 기억하기 위한 변수이고, 변수 Tby는 전회의 터치 위치의 세로 좌표를 기억하기 위한 변수이다. 이 변수 Tbx, Tby는, 주로 서브루틴인 벡터 검출 처리에서 이용된다. 또한, 이 단계 S9에서는, 문자 표시 영역(44)의 중심을 나타내는 좌표가, 초기 터치 위치 좌표로서 변수 Tbx, Tby로 설정된다. 또한, 최초로 제1 터치 플래그(338)가 온이 되었을 때, 즉 최초로 터치되었을 때의 터치점이 초기 터치 위치 좌표가 되어도 되고, 변수 Tbx, Tby로 초기 터치 위치 좌표를 설정하는 처리도, 최초로 터치되었을 때에 실행하도록 해도 된다.In step S9, initial touch position coordinates are set by variables Tbx and Tby. This variable Tbx is a variable for storing the horizontal coordinate of the previous touch position, and the variable Tby is a variable for storing the vertical coordinate of the previous touch position. These variables Tbx and Tby are used in the vector detection process which is mainly a subroutine. In addition, in this step S9, the coordinates showing the center of the character display area 44 are set to variables Tbx and Tby as initial touch position coordinates. In addition, when the first touch flag 338 is first turned on, that is, when the first touch flag is first touched, the touch point may be the initial touch position coordinates, and the processing of setting the initial touch position coordinates with the variables Tbx and Tby may also be performed for the first time. It may be executed at a time.

단계 S11에서는, 2지점에 터치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즉, 제1 터치 플래그(338) 및 제2 터치 플래그(340)가 온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또한, 단계 S11의 처리를 실행하는 CPU(20)는, 터치 검출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단계 S11에서 "YES"이면, 즉 제1 터치 플래그(338) 및 제2 터치 플래그(340)가 모두 온이 아니면, 단계 S23으로 진행된다. 한편, 단계 S11에서 "NO"이면, 즉 제1 터치 플래그(338) 및 제2 터치 플래그(340)가 모두 오프 또는 제1 터치 플래그(338)만이 온이면, 단계 S13에서 벡터 검출 처리를 실행한다. 이 벡터 검출 처리에 대해서는, 도 12에 나타내는 벡터 검출 처리의 플로우도를 이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 때문에, 여기서는 생략한다.In step S11,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it has touched two points. That is,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first touch flag 338 and the second touch flag 340 are on. In addition, the CPU 20 that executes the process of step S11 functions as a touch detection means. If YES in step S11, that is, the first touch flag 338 and the second touch flag 340 are not both on,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23. On the other hand, if " NO " in step S11, that is, if both the first touch flag 338 and the second touch flag 340 are off or only the first touch flag 338 is on, the vector detection process is executed in step S13. . Since this vector detection process is demonstrated in detail using the flowchart of the vector detection process shown in FIG. 12, it abbreviate | omits here.

단계 S15에서는, 벡터 검출이 성공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즉, 단계 S13의 처리에서, 문자 표시 영역(44)에 대해 슬라이드됨으로써 벡터가 검출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S15에서 "NO"이면, 즉 벡터가 검출되지 않으면, 단계 S19로 진행된다. 한편, 단계 S15에서 "YES"이면, 단계 S17에서 선택 위치 이동 처리를 실행한다. 이 선택 위치 이동 처리에 대해서는, 도 13에 나타내는 선택 위치 이동 처리의 플로우도를 이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 때문에, 여기서는 생략한다.In step S15,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vector detection is successful. That is, in the process of step S13,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vector is detected by sliding the character display area 44. If NO in step S15, i.e., no vector is detected,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19. On the other hand, if " YES " in step S15, the selection position shifting process is executed in step S17. Since this selection position movement process is demonstrated in detail using the flowchart of the selection position movement process shown in FIG. 13, it abbreviate | omits here.

계속해서, 단계 S19에서는, 가상 키보드의 표시 사이즈를 변경하는 조작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문자 표시 영역(44)에 대해, 터치 앤드 릴리스가 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S19에서 "NO"이면, 즉 표시 사이즈를 변경하는 조작이 아니면, 단계 S11로 되돌아온다. 한편, 단계 S19에서 "YES"이면, 즉 표시 사이즈를 변경하는 조작이면, 단계 S21에서 가상 키보드의 표시 사이즈를 변경하고, 단계 S11로 되돌아온다. 즉, 단계 S21에서는, 가상 키보드의 표시 사이즈를 크게 하거나, 작게 한다. 또한, 단계 S21의 처리를 실행하는 CPU(20)는, 변경 수단으로서 기능한다.Subsequently, in step S19,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operation is to change the display size of the virtual keyboard. For example, the character display area 44 determines whether touch and release has been made. If NO in step S19, that is, not an operation for changing the display size, the flow returns to step S11. On the other hand, if " YES " in step S19, i.e., operation to change the display size, the display size of the virtual keyboard is changed in step S21, and the process returns to step S11. That is, in step S21, the display size of the virtual keyboard is made larger or smaller. In addition, the CPU 20 that executes the process of step S21 functions as a change means.

여기서, 문자 확정 조작이 행해져, 단계 S11에서 "YES"라고 판단되면, 단계 S23에서 확정 문자 버퍼(326)에, 선택 중 문자 버퍼(324)에 일시 기억되어 있는 문자 데이터를 일시 기억시킨다. 즉, 선택 중 문자 버퍼(324)에 「き」의 문자 데이터가 일시 기억되어 있으면, 확정 문자 버퍼(326)에 「き」의 문자 데이터가 일시 기억된다. 또한, 단계 S23에서는, 포커스되어 있는 문자키의 배경색을 적색으로 착색한다. 또한, 단계 S23의 처리를 실행하는 CPU(20)는 문자 확정 수단으로서 기능한다.Here, when the character determination operation is performed and it is determined "YES" in step S11, the determination character buffer 326 temporarily stores the character data temporarily stored in the character buffer 324 during selection in step S23. That is, if character data of "Ki" is temporarily stored in the character buffer 324 during selection, the character data of "Ki" is temporarily stored in the definite character buffer 326. In step S23, the background color of the focused character key is colored red. In addition, the CPU 20 which executes the process of step S23 functions as a character determination means.

계속해서, 단계 S25에서는 확정 문자를 표시하고, 가상 키보드 제어 처리를 종료한다. 즉, 단계 S25에서는, 확정 문자 버퍼(326)에 일시 기억되어 있는 문자 데이터를 LCD 모니터(28)에 표시시킨다. 또한, 단계 S25의 처리가 종료되면, 단계 S11로 되돌아오도록 하여, 다시 다른 문자키를 포커스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Subsequently, in step S25, the confirmation character is displayed, and the virtual keyboard control process ends. That is, in step S25, the LCD monitor 28 causes the character data temporarily stored in the definite character buffer 326 to be displayed. When the process of step S25 ends, the process returns to step S11 so that another character key can be focused again.

도 12는, 단계 S13(도 11 참조)에 나타내는 벡터 검출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도이다. CPU(20)는, 단계 S13의 처리가 실행되면, 단계 S31에서 터치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또한, 단계 S31의 처리를 실행하는 CPU(20)는 터치 검출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즉, 제1 터치 플래그(338)가 온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S31에서 "NO"이면, 즉 터치되어 있지 않으면, 벡터 검출 처리를 종료하여, 가상 키보드 제어 처리로 되돌아온다. 한편, 단계 S31에서 "YES"이면, 즉 터치되어 있으면, 단계 S33에서 변수 Tnx, Tny로 터치 위치 좌표를 설정한다. 즉, 현재의 터치 위치 좌표를 변수 Tnx, Tny로 설정한다. 이 변수 Tnx는, 금회의 터치 위치의 가로 좌표를 기억하기 위한 변수이고, 변수 Tny는, 금회의 터치 위치의 세로 좌표를 기억하기 위한 변수이다.FIG. 12 is a flowchart showing the vector detection process shown in step S13 (see FIG. 11). When the process of step S13 is performed, the CPU 20 judges whether or not it is touched in step S31. In addition, the CPU 20 which executes the process of step S31 functions as a touch detection means. That is,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first touch flag 338 is on. If NO in step S31, i.e., it is not touched, the vector detection process is terminated, and the process returns to the virtual keyboard control process. On the other hand, if " YES " in step S31, i.e., touched, the touch position coordinates are set by the variables Tnx and Tny in step S33. That is, the current touch position coordinates are set by the variables Tnx and Tny. This variable Tnx is a variable for storing the horizontal coordinate of this touch position, and a variable Tny is a variable for storing the vertical coordinate of this touch position.

계속해서, 단계 S35에서는, 변수 Tnx, Tny 각각이, 변수 Tbx, Tby 각각과 다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즉, 금회의 터치 위치와 전회의 터치 위치가 다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S35에서 "NO"이면, 즉, 금회의 터치 위치와 전회의 터치 위치가 동일하면, 벡터 검출 처리를 종료하여, 가상 키보드 제어 처리로 되돌아온다. 한편, 단계 S35에서 "YES"이면, 즉 금회의 터치 위치와 전회의 터치 위치가 다르면, 단계 S37에서 변수 Tnx, Tny 및 변수 Tbx, Tby로부터 가로 이동량과 세로 이동량을 산출한다. 즉, 수학식 3에 나타내는 식으로부터 가로 이동량을 산출하고, 수학식 4에 나타내는 식으로부터 세로 이동량을 산출한다.Subsequently, in step S35, it is determined whether each of the variables Tnx and Tny is different from each of the variables Tbx and Tby. In other words,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current touch position is different from the previous touch position. If " NO " in step S35, that is, if the current touch position and the previous touch position are the same, the vector detection process is terminated and the process returns to the virtual keyboard control process. On the other hand, if " YES " in step S35, i.e., the current touch position and the previous touch position are different, the horizontal movement amount and the vertical movement amount are calculated from the variables Tnx, Tny and the variables Tbx, Tby in step S37. That is, the horizontal shift amount is calculated from the equation shown in equation (3), and the vertical shift amount is calculated from the equation shown in equation (4).

[수학식 3]&Quot; (3) &quot;

Tnx - Tbx = 가로 이동량Tnx-Tbx = horizontal shift

[수학식 4]&Quot; (4) &quot;

Tny - Tby = 세로 이동량Tny-Tby = vertical shift

계속해서, 단계 S39에서는, 세로 이동량이 가로 이동량보다 큰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즉, 산출한 가로 이동량과 세로 이동량의 절대값을 비교하여, 가로 이동량보다 세로 이동량 쪽이 큰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S39에서 "NO"이면, 즉 가로 이동량보다 세로 이동량 쪽이 크지 않으면, 단계 S43으로 진행된다. 한편, 단계 S39에서 "YES"이면, 즉 가로 이동량보다 세로 이동량 쪽이 크면, 단계 S41에서 벡터를 세로 이동량으로 한다. 즉, 벡터의 방향을 세로 방향의 벡터로 보정한다. 또한, 세로 이동량의 부호가 정(正)이면 벡터의 방향이 하방향이 되고, 세로 이동량의 부호가 부(負)이면 벡터의 방향이 상방향이 된다.Subsequently, in step S39,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vertical movement amount is greater than the horizontal movement amount. That is, the absolute value of the calculated horizontal movement amount and the vertical movement amount is compared, and it is judged whether the longitudinal movement amount is larger than the horizontal movement amount. If NO in step S39, that is, if the longitudinal movement amount is not larger than the horizontal movement amount, the flow proceeds to step S43. On the other hand, if " YES " in step S39, that is, if the vertical movement amount is larger than the horizontal movement amount, the vector is made into the vertical movement amount in step S41. That is, the direction of the vector is corrected to the vector in the vertical direction. If the sign of the vertical movement amount is positive, the direction of the vector becomes downward, and if the sign of the vertical movement amount is negative, the direction of the vector becomes upward.

단계 S43에서는, 세로 이동량이 가로 이동량과 다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즉, 산출한 가로 이동량과 세로 이동량의 절대값이 다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S43에서 "NO"이면, 즉 가로 이동량과 세로 이동량이 일치하면, 가로 좌표에 대한 벡터의 각도가 45도이기 때문에, 벡터의 방향을 보정하지 않고 단계 S47로 진행된다. 한편, 단계 S43에서 "YES"이면, 즉 가로 이동량과 세로 이동량이 다르면, 단계 S45에서 벡터를 가로 이동량으로 한다. 즉, 세로 이동량보다 가로 이동량 쪽이 크면, 벡터의 방향을 가로 방향의 벡터로 보정한다. 또한, 가로 이동량의 부호가 정이면 벡터의 방향이 우방향이 되고, 가로 이동량의 부호가 부이면 벡터의 방향이 좌방향이 된다. 또한, 단계 S39-S45의 처리를 실행하는 CPU(20)는 보정 수단으로서 기능한다.In step S43,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vertical movement amount is different from the horizontal movement amount. In other words,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absolute value of the calculated horizontal movement amount and the vertical movement amount are different. If it is "NO" in step S43, that is, if the horizontal movement amount and the vertical movement amount coincide, the angle of the vector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coordinate is 45 degrees, and the flow proceeds to step S47 without correcting the direction of the vector. On the other hand, if " YES " in step S43, that is, if the horizontal movement amount and the vertical movement amount are different, the vector is made the horizontal movement amount in step S45. That is, if the horizontal movement amount is larger than the vertical movement amount, the direction of the vector is corrected to the horizontal vector. If the sign of the horizontal movement amount is positive, the direction of the vector becomes the right direction, and if the sign of the horizontal movement amount is negative, the direction of the vector becomes the left direction. In addition, the CPU 20 that executes the processes of steps S39-S45 functions as a correction means.

단계 S47에서는, 변수 Tbx, Tby로 터치 위치 좌표를 설정하고, 벡터 검출 처리를 종료하며, 가상 키보드 제어 처리로 되돌아온다. 즉, 다음 회의 벡터 검출 처리를 위해, 현재의 터치 위치를 전회의 터치 위치로서 기억한다.In step S47, the touch position coordinates are set by the variables Tbx and Tby, the vector detection process is terminated, and the process returns to the virtual keyboard control process. That is, the current touch position is stored as the previous touch position for the next time vector detection process.

도 13은, 단계 S17(도 11 참조)에 나타내는 선택 위치 이동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도이다. CPU(20)는, 단계 S17의 처리가 실행되면, 단계 S71에서 벡터로부터 선택 이동수를 취득한다. 즉, 수학식 1에 나타내는 식에 기초하여, 단계 S41 또는 단계 S45에서 보정된 벡터로부터, 선택 이동수를 취득한다. 계속해서, 단계 S63에서는, 선택 이동수가 0보다 큰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즉, 단계 S65 이하의 처리에 의해, 이미 선택 이동수가 0이 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S63에서 "NO"이면, 즉 선택 이동수가 0이면, 선택 위치 이동 처리를 종료하고, 가상 키보드 제어 처리로 되돌아온다.FIG. 13 is a flowchart showing a selection position movement process shown in step S17 (see FIG. 11). When the process of step S17 is performed, the CPU 20 acquires the number of selection movements from the vector in step S71. That is, based on the formula shown in Formula (1), the selection shift number is obtained from the vector corrected in step S41 or step S45. Subsequently, in step S63,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number of selected movements is greater than zero. In other words,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number of selected movements is already zero by the process of step S65 or below. If NO in step S63, that is, if the number of selection movements is 0, the selection position movement processing is terminated, and the process returns to the virtual keyboard control process.

한편, 단계 S63에서 "YES"이면, 즉 선택 이동수가 1 이상이면, 단계 S65에서 선택 위치가 가상 키보드의 일단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즉, 포커스되어 있는 문자키가 가상 키보드의 일단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는, 가상 키보드 좌표 데이터(330)로부터, 포커스되어 있는 문자키의 위치가, 가상 키보드의 일단에 위치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S65에서 "YES"이면, 즉 선택 위치가 가상 키보드의 일단에 위치하면, 그 이상, 선택 위치를 이동시킬 수 없으므로, 선택 위치 이동 처리를 종료하고, 가상 키보드 제어 처리로 되돌아온다. 한편, 단계 S65에서 "NO"이면, 즉 선택 위치가 가상 키보드의 일단이 아니면, 단계 S67에서 이동처가 화면 내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즉, 다음에 포커스되는 문자키가 표시 범위 좌표 데이터(332)에 포함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On the other hand, if " YES " in step S63, that is, if the number of selection movements is 1 or more, it is determined in step S65 whether the selection position is one end of the virtual keyboard. That is,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focused character key is one end of the virtual keyboard. Specifically, from the virtual keyboard coordinate data 330,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position of the focused character key is located at one end of the virtual keyboard. If " YES " in step S65, i.e., if the selection position is located at one end of the virtual keyboard, the selection position cannot be moved further, and the selection position shifting process is terminated, and the process returns to the virtual keyboard control process. On the other hand, if "NO" in step S65, that is, if the selection position is not one end of the virtual keyboard, it is determined in step S67 whether the moving destination is on the screen. That is,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character key to be focused next is included in the display range coordinate data 332.

단계 S67에서 "YES"이면, 즉 이동처가 화면 내이면, 단계 S73으로 진행된다. 한편, 단계 S67에서 "NO"이면, 즉 이동처가 화면 내가 아니면, 단계 S69에서 벡터의 방향으로부터 스크롤 방향을 결정한다. 즉, 좌방향, 우방향, 상방향 및 하방향 중, 어느 방향으로 스크롤할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벡터의 방향이 하방향이면, 스크롤 방향도 하방향이 된다. 또한, 벡터의 방향이 우방향이면, 스크롤 방향도 우방향이 된다. 계속해서, 단계 S71에서는, 가상 키보드의 표시를 스크롤한다. 즉, 도 8a, 도 8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포커스되어 있는 문자키가 표시되어 있는 가상 키보드의 일단이고, 벡터의 방향이 하방향이면, 가상 키보드의 표시가 하방향으로 스크롤된다. 또한, 단계 S71의 처리를 실행하는 CPU(20)는 스크롤 수단으로서 기능한다.If YES in step S67, that is, if the moving destination is on the screen, the flow advances to step S73. On the other hand, if "NO" in step S67, that is, if the moving destination is not on the screen, the scroll direction is determined from the direction of the vector in step S69. That is, it determines whether to scroll in which direction among left, right, up and down directions. For example, if the direction of the vector is downward, the scroll direction is also downward. In addition, if the direction of the vector is the right direction, the scroll direction is also the right direction. Subsequently, in step S71, the display of the virtual keyboard is scrolled. In other words, as shown in Figs. 8A and 8B, when the focused character key is one end of the virtual keyboard displayed and the direction of the vector is downward, the display of the virtual keyboard is scrolled downward. In addition, the CPU 20 that executes the processing of step S71 functions as a scrolling means.

계속해서, 단계 S73에서는, 선택 위치를 이동한다. 즉, 포커스되는 문자키를 보정된 벡터의 방향에 따라, 하나만큼 이동시킨다. 예를 들어, 도 4를 참조하여, 포커스된 문자키가 「み」이고, 벡터의 방향이 우방향이 되도록 슬라이드되면, 우선은 선택 위치가 오른쪽으로 하나만큼 이동하기 때문에, 「ひ」의 문자키가 포커스된다. 또한, 단계 S73에서는, 포커스되어 있던 문자키의 배경색을 엷은 황색으로 착색한다. 계속해서, 단계 S75에서는, 선택 중 문자 버퍼(324)에 선택 문자 데이터를 일시 기억시킨다. 즉, 「ひ」의 문자키가 선택되어 있으면, 선택 중 문자 버퍼(324)에는, 「ひ」의 문자 데이터가 일시 기억된다. 또한, 단계 S75에서는, 포커스되는 문자키의 배경색을 황색으로 착색한다. 또한, 단계 S75의 처리를 실행하는 CPU(20)는, 문자 선택 수단으로서 기능한다.Subsequently, in step S73, the selection position is moved. That is, the focused character key is moved by one in the direction of the corrected vector. For example, referring to FIG. 4, when the focused character key is "み" and the vector is slid so that the direction of the vector is right, first, the selected position moves to the right by one, so the letter key of "HI" Is focused. In step S73, the background color of the focused character key is colored pale yellow. Subsequently, in step S75, the selected character data is temporarily stored in the character buffer 324 during selection. That is, if the character key "H" is selected, the character data "H" is temporarily stored in the character buffer 324 during selection. In step S75, the background color of the focused character key is colored yellow. In addition, the CPU 20 that executes the process of step S75 functions as a character selection means.

계속해서, 단계 S77에서는, 선택 중의 문자를 표시한다. 즉, 단계 S7과 동일하게 하여, 포커스된 문자키에 대응하는 문자를, 문자 표시 영역(44)에 선택 중 문자로서 표시한다. 또한, 단계 S77의 처리를 실행하는 CPU(20)는 문자 표시 제어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계속해서, 단계 S79에서는, 선택 이동수를 하나 줄이고, 단계 S63으로 되돌아온다. 즉, 단계 S63에서는, 단계 S73에서 선택 위치를 하나만큼 이동시켰으므로, 선택 이동수를 하나 줄인다.Subsequently, in step S77, the character under selection is displayed. That is, similarly to step S7, the character corresponding to the focused character key is displayed in the character display area 44 as the character being selected. In addition, the CPU 20 which executes the process of step S77 functions as a character display control means. Subsequently, in step S79, the number of selection moves is reduced by one, and the flow returns to step S63. That is, in step S63, since the selection position is moved by one in step S73, the number of selection movements is reduced by one.

즉,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문자 표시 영역(44)에 대해 슬라이드되면, 선택 이동수가 0이 될 때까지 단계 S63부터 단계 S79의 처리를 반복 실행한다. 이에 의해, 선택 중 문자 버퍼(324)에 일시 기억되는 문자 데이터를 갱신하고, 갱신되는 문자 데이터에 대응하는 문자 화상이 순차적으로 표시된다.That is, as shown in FIG. 4, when it slides with respect to the character display area 44, the process of step S63 to step S79 is repeatedly performed until the selection movement number becomes zero. Thereby, the character data temporarily stored in the character buffer 324 during selection is updated, and the character image corresponding to the updated character data is sequentially displayed.

<본 발명의 제2 실시예>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2 실시예에서는, 슬라이드의 조작을 접수하는 범위를 한정한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제2 실시예에서는,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도 1의 휴대 단말(10)의 구성, 도 2의 휴대 단말(10)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해도, 도 4, 도 5a, 도 5b에 나타내는 조작의 순서, 도 7에 나타내는 가상 키보드의 표시 사이즈, 도 9a, 도 9b에 나타내는 가상 키보드의 종류 및 도 10에 나타내는 메모리 맵에 대해서는, 동일하기 때문에,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In the second embodiment, the case where the range for accepting the operation of the slide is limited will be described. In addition, in 2nd Example, even if it shows the structure of the portable terminal 10 of FIG. 1 demonstrated in 1st Example, and the external appearance of the portable terminal 10 of FIG. 2, it is shown to FIG. 4, FIG. 5A, FIG. 5B. Since the procedure of operation, the display size of the virtual keyboard shown in FIG. 7, the kind of virtual keyboard shown in FIG. 9A, 9B, and the memory map shown in FIG. 10 are the same, overlapping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제2 실시예에서는,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터치 영역(TA) 내에서 슬라이드를 접수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14를 참조하여, 문자 표시 영역(44)에 포함되는 터치 영역(TA)은, 가상 키보드 표시 영역(46)과 거의 동일한 면적이다. 이 터치 영역(TA)의 표시 좌표와 가상 키보드 표시 영역(46)의 표시 좌표를 각각 대응시킴으로써, 터치 영역(TA)을 터치하는 위치에 따라, 포커스할 문자키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그대로 슬라이드하면, 슬라이드의 궤적을 나타내는 좌표에 대응하는 문자키가 포커스된다. 예를 들어, 터치 영역(TA)의 우상측을 터치하면 「あ」의 문자키가 포커스되고, 우하단까지 하방향으로 슬라이드하면, 「い」, 「う」, 「え」, 「お」의 문자키가 순차적으로 포커스된다.In the second embodiment, as shown in FIG. 14, the slide is accepted in the touch area TA. Specifically, with reference to FIG. 14, the touch area TA included in the character display area 44 is almost the same area as the virtual keyboard display area 46. By correlating the display coordinates of the touch area TA with the display coordinates of the virtual keyboard display area 46, the character key to be focused can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position where the touch area TA is touched. In addition, when it slides as it is, the character key corresponding to the coordinate which shows the trajectory of a slide is focused. For example, when the upper right side of the touch area TA is touched, the letter key of "あ" is focused, and if the user slides downward to the lower right, the "い", "う", "え", and "お" Character keys are focused sequentially.

또한, 도 11에 나타내는 가상 키보드 제어 처리에서는, 단계 S13의 벡터 검출 처리에서는, 벡터 검출 대신에 터치 위치를 검출하고, 단계 S17의 선택 위치 이동 처리에서는, 검출한 터치 위치에 대응하는 문자키에 선택 위치를 이동시킨다. 그 때문에, 도 12에 나타내는 벡터 검출 처리 및 도 13에 나타내는 선택 위치 이동 처리는, 제2 실시예에서는 처리되지 않는다.In addition, in the virtual keyboard control process shown in FIG. 11, the touch position is detected instead of the vector detection in the vector detection process of step S13, and the selection is performed on the character key corresponding to the detected touch position in the selection position shifting process of step S17. Move position Therefore, the vector detection process shown in FIG. 12 and the selection position shift process shown in FIG. 13 are not processed in the second embodiment.

<본 발명의 제3 실시예>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3 실시예에서는, 제2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슬라이드의 조작을 접수하는 범위를 한정한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제3 실시예에서는,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도 1의 휴대 단말(10)의 구성, 도 2의 휴대 단말(10)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해도, 도 4, 도 5a, 도 5b에 나타내는 조작의 순서, 도 7에 나타내는 가상 키보드의 표시 사이즈, 도 9a, 도 9b에 나타내는 가상 키보드의 종류, 도 10에 나타내는 메모리 맵, 도 11에 나타내는 가상 키보드 제어 처리, 도 12에 나타내는 벡터 검출 처리 및 도 13에 나타내는 선택 위치 이동 처리, 또한 제2 실시예에서 설명한 도 14의 터치 영역(TA)의 범위를 나타내는 도해도에 대해서는, 동일하기 때문에,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In the third embodiment, the case of limiting the range in which the operation of the slide is accepted similarly to the secon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addition, in 3rd Example, even if it shows the structure of the portable terminal 10 of FIG. 1 demonstrated in 1st Example, and the external appearance of the portable terminal 10 of FIG. 2, it is shown to FIG. 4, FIG. 5A, FIG. 5B. Procedure of operation, display size of the virtual keyboard shown in FIG. 7, types of virtual keyboard shown in FIGS. 9A and 9B, memory map shown in FIG. 10, virtual keyboard control process shown in FIG. 11, vector detection process shown in FIG. 12, and Since the selection position shift processing shown in FIG. 13 and the diagrams showing the range of the touch area TA in FIG. 14 described in the second embodiment are the same, duplicated description is omitted.

제3 실시예에서는, 제2 실시예와는 달리, 터치 영역(TA)의 표시 좌표와 가상 키보드 표시 영역(46)의 표시 좌표를 각각 대응시키지 않고, 선택 위치를 이동시키기 위한 슬라이드의 조작 등을 터치 영역(TA)에서만 접수하도록 한다. 그리고, 터치 영역(TA)의 배경색을 문자 표시 영역(44)과는 다른 색으로 함으로써, 슬라이드 조작을 접수하는 영역을 사용자에게 인식시킨다. 이에 의해, 터치 영역(TA) 이외의 문자 표시 영역(44)에 대한 터치 조작으로, 커서(CU)의 표시 위치를 변경하거나, 확정한 문자를 선택할 수 있게 할 수 있다.In the third embodiment, unlike the second embodiment, operation of the slide for moving the selection position or the like is performed without making the display coordinates of the touch area TA correspond to the display coordinates of the virtual keyboard display area 46, respectively. Accept only in the touch area TA. Then, by setting the background color of the touch area TA to a color different from that of the character display area 44, the user is allowed to recognize the area that receives the slide operation. This makes it possible to change the display position of the cursor CU or to select a determined character by a touch operation on the character display area 44 other than the touch area TA.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휴대 단말(10)은 LCD 모니터(28)를 포함하고, 그 LCD 모니터(28)에는, 메일 본문을 나타내는 문자열 등을 표시할 수 있는 문자 표시 영역(44)과, 히라가나 가상 키보드 등을 표시할 수 있는 가상 키보드 표시 영역(46)이 포함된다. LCD 모니터(28)의 상면에는 터치패널(36)이 형성되고, 터치패널(36)은 문자 표시 영역(44) 등에 대한 터치 조작을 검출한다. 그리고, 문자 표시 영역(44) 내에서 손가락을 슬라이드함으로써, 가상 키보드 내의 선택 위치를 이동할 수 있고, 선택 위치가 나타내는 문자키, 즉 포커스된 문자키에 대응하는 문자가 문자 표시 영역(44)에 표시된다.As can be seen from the above description, the portable terminal 10 includes an LCD monitor 28, and the LCD monitor 28 includes a character display area 44 capable of displaying a character string or the like indicating a mail body; And a virtual keyboard display area 46 capable of displaying a hiragana or virtual keyboard. The touch panel 36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CD monitor 28, and the touch panel 36 detects a touch operation on the character display area 44 or the like. Then, by sliding a finger in the character display area 44, the selection position in the virtual keyboard can be moved, and the character key indicated by the selection position, that is, the character corresponding to the focused character key is displayed in the character display area 44. do.

이에 의해, 사용자는, 문자 표시 영역(44)에 대해 손가락으로 슬라이드함으로써 용이하게 가상 키보드 내의 문자키를 포커스(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문자 표시 영역(44)만을 터치 조작되는 영역으로 한 경우에는, 자신의 손가락으로 가상 키보드의 표시를 가리는 일이 없기 때문에, 정확하게 문자 입력을 행할 수 있다.Thereby, the user can easily focus (select) the character keys in the virtual keyboard by sliding the finger with respect to the character display area 44. When the user sets only the character display area 44 to be a touch operation area, the user does not obstruct the display of the virtual keyboard with his or her finger, so that the user can perform character input accurately.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터치패널(36) 상의 문자 표시 영역(44)에 대응하는 영역을 터치 조작되는 영역으로 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경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터치패널(36) 상의 문자 표시 영역(44)에 더하여, 가상 키보드 표시 영역(46)에 대응하는 영역이나, 기타 터치패널(36) 상의 임의의 영역을 포함하여, 가상 키보드 상의 문자를 선택하기 위한 터치 영역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 사용자는, 넓은 범위를 사용하여 가상 키보드 상의 문자를 선택할 수 있으므로, 용이하고 또한 정확하게 문자 입력을 행할 수 있다.In the above embodiment,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character display area 44 on the touch panel 36 is a touch operation area.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case, and the character on the touch panel 36 is not limited thereto. In addition to the display area 44,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virtual keyboard display area 46 or any other area on the touch panel 36 may be included as the touch area for selecting characters on the virtual keyboard. In this case, the user can select a character on the virtual keyboard using a wide range, so that the character can be input easily and accurately.

또한, 문자키의 포커스를 나타내기 위해, 전용의 커서를 이용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가상 키보드는, 메일 기능만으로 한정하지 않고, 메모장 기능, 메일 어드레스 입력 기능 및 URL 입력 기능 등으로 이용되어도 된다. 또한, 가상 키보드의 초기 상태에서는, 「み」이외의 문자키가 선택되도록 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가상 키보드 내의 각 키의 배경색은, 회색, 황색, 엷은 황색 및 적색만으로 한정하지 않고, 다른 색이 사용되어도 된다. 그리고, 선택 중 문자를 나타내는 밑줄(U)은, 파선이나 이중선 등의 다른 선이어도 되고, 선택 중 문자를 이탤릭체 문자, 굵은 문자 등으로 하도록 해도 된다.In addition, a dedicated cursor may be used to indicate the focus of the character key. The virtual keyboard may be used not only for the mail function but also for a memo pad function, a mail address input function, a URL input function, and the like. In the initial state of the virtual keyboard, a letter key other than "み" may be selected. In addition, the background color of each key in the virtual keyboard is not limited to only gray, yellow, pale yellow, and red, and other colors may be used. The underline U indicating the character during selection may be another line such as a dashed line or a double line, or the character during selection may be italic characters, bold characters, or the like.

또한, 휴대 단말(10)의 통신 방식에는, CDMA 방식에 한정하지 않고, W-CDMA 방식, TDMA 방식, PHS 방식 및 GSM 방식 등을 채용해도 된다. 휴대 단말(10)만으로 한정하지 않고, PDA(Personal Degital Assistant) 등의 휴대 정보 단말 등이어도 된다.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method of the portable terminal 10 may employ not only the CDMA method but also the W-CDMA method, the TDMA method, the PHS method, and the GSM method. Not only the portable terminal 10 but also a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such as a PDA (Personal Degital Assistant) or the like may be used.

또한, 도 1 내지 도 8b, 및 도 14에 있어서, 키보드의 문자키를 일본어로 표시하였으나 반드시 일본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중국이라면 키보드의 문자키를 중국어, 한국이라면 키보드의 문자키를 한국어 등과 같이, 각국에서 적합한 언어로 키보드의 문자키를 표시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즉, 각국의 언어에 따라, 키보드의 문자키의 표시를 변경해도 된다.In addition, although the character keys of the keyboard were displayed in Japanese in FIGS. 1-8B and 14, they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o Japanese. For example, the Chinese may display the character keys of the keyboard in a language appropriate for each country, such as Chinese, Chinese, Korean, Korean, or the like. That is, you may change the display of the character key of a keyboard according to the language of each country.

또한, 본 발명은, 다음의 실시형태를 제공한다. 또한, 괄호 내의 참조 부호 및 보충 설명 등은 이해를 돕기 위해 기술하는 것으로서, 괄호 내의 참조 부호 및 보충 설명 등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Moreover, this invention provides the following embodiment. In addition, the reference signs and supplementary descriptions in parentheses are described for ease of understanding, and are not limited to the reference signs and supplementary explanations in parentheses.

제1 발명에 의하면, 터치 반응 영역이 제1 표시 영역 및 제2 표시 영역을 표시하는 표시 장치에 형성되고, 이 터치 반응 영역에 대한 터치 조작에 의해 가상 키보드 내의 문자가 선택되기 때문에, 문자 선택이 용이해져, 사용자는, 용이하고 정확한 문자 입력을 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first invention, since the touch response region is formed in the display device displaying the first display region and the second display region, and the characters in the virtual keyboard are selected by the touch operation on the touch response region, the character selection is performed. It becomes easy, and a user can perform easy and accurate character input.

제2 발명은, 제1 발명에 종속하고, 터치 반응 영역이 제1 표시 영역에 대응하는 영역에만 형성되어 있는 휴대 단말이다.2nd invention depends on 1st invention, and is a portable terminal in which a touch response area | region is formed only in the area | region corresponding to a 1st display area.

제2 발명에서는, 터치 반응 영역은, 제1 표시 영역에 대응하는 영역에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터치 조작을 제1 표시 영역에만 행하게 된다.In the second aspect of the invention, since the touch response region is formed only in the reg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display region, the user performs the touch operation only in the first display region.

제2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는, 자신의 터치 조작으로, 가상 키보드의 표시를 가리는 일이 없기 때문에, 정확하게 문자 입력을 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user does not obstruct the display of the virtual keyboard by his touch operation, the user can accurately input characters.

제3 발명은, 제1 발명 또는 제2 발명에 종속하고, 문자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문자를 확정하는 문자 확정 수단을 더 구비한다.The third invention further includes character determination means for determining the character selected by the character selection means, depending on the first invention or the second invention.

제3 발명에서는, 문자 확정 수단(20, S23)은, 예를 들어, 선택된 문자를 확정하기 위한 확정 조작이 행해졌을 때에, 문자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문자를 확정한다.In the third invention, the character determination means 20, S23 determines the character selected by the character selection means, for example, when a determination operation for confirming the selected character is performed.

제3 발명에 의하면, 표시된 문자를 확정함으로써, 계속해서 복수의 문자를 입력할 수 있게 된다. 즉, 사용자는, 휴대 단말에서 문장의 작성을 행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third invention, a plurality of characters can be input continuously by determining the displayed characters. That is, the user can create a sentence in the portable terminal.

제4 발명은, 제3 발명에 종속하고, 문자 확정 수단은, 터치 조작 검출 수단에 의해 다른 점에 대한 터치가 검출되었을 때, 문자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문자를 확정한다.4th invention depends on 3rd invention, and a character determination means confirms the character selected by the character selection means, when a touch with respect to a different point is detected by the touch operation detection means.

제4 발명에서는, 확정 조작은, 문자를 선택하는 터치 조작과는 다른 위치에 터치하는 것이다. 그리고, 문자 확정 수단은, 문자를 선택하는 터치 조작과는 다른 위치에 터치되면, 선택된 문자를 확정한다.In 4th invention, a definite operation touches in the position different from the touch operation of selecting a character. When the character determination means is touched at a position different from the touch operation for selecting the character, the character determination means determines the selected character.

제4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는, 선택한 문자를 터치패널을 이용하여 확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fourth invention, the user can determine the selected character by using the touch panel.

제5 발명은, 제1 발명 내지 제4 발명 중 어느 하나에 종속하고, 터치 조작은, 슬라이드 조작이고, 슬라이드 조작이 경사 방향의 슬라이드 조작일 때, 좌우 또는 상하 방향의 슬라이드 조작으로서 보정하는 보정 수단을 더 구비한다.5th invention depends on any one of 1st invention-4th invention, Comprising means which corrects as a slide operation of a left-right or up-down direction, when a touch operation is a slide operation and a slide operation is a slide operation of an inclination direction. It is further provided.

제5 발명에서는, 가상 키보드의 문자는 슬라이드 조작에 의해 선택된다. 그리고, 보정 수단(20, S39-S45)은, 슬라이드 조작이 경사 방향으로 되면, 좌우 또는 상하 방향의 슬라이드 조작으로서 보정한다.In the fifth invention, the characters of the virtual keyboard are selected by the slide operation. And the correction means 20, S39-S45 correct | amends as slide operation of a left-right or up-down direction, when a slide operation becomes a diagonal direction.

제5 발명에 의하면, 슬라이드 조작의 방향이 좌우 또는 상하 방향에 한정되기 때문에, 문자를 선택할 때의 오조작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fif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direction of the slide operation is limited to the left and right or up and down directions, it is possible to prevent an incorrect operation when selecting a character.

제6 발명은, 제1 발명 내지 제5 발명 중 어느 하나에 종속하고, 가상 키보드의 표시 사이즈를 제2 표시 영역에 적합하게 하는 적합 수단을 더 구비한다.The sixth invention is dependent on any one of the first to fifth inventions, and further includes suitable means for making the display size of the virtual keyboard suitable for the second display area.

제6 발명에서는, 적합 수단(20, S3)은, 예를 들어 가상 키보드의 가로 폭이 제2 표시 영역의 가로 폭에 맞도록, 표시 사이즈를 적합하게 하거나, 미리 설정된 표시 사이즈에 적합하게 한다.In the sixth invention, the fitting means 20, S3 makes the display size suitable or suits the preset display size so that, for example, the horizontal width of the virtual keyboard matches the horizontal width of the second display area.

제6 발명에 의하면, 가상 키보드의 표시 사이즈에 있어서, 초기 설정을 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sixth invention, the initial setting can be made in the display size of the virtual keyboard.

제7 발명은, 제1 발명 내지 제5 발명 중 어느 하나에 종속하고, 제2 표시 영역에는, 가상 키보드의 일부가 표시되고, 문자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문자의 표시가 제2 표시 영역의 일단일 때에, 가상 키보드의 표시를 스크롤하는 스크롤 수단을 더 구비한다.7th invention depends on any one of 1st invention-5th invention, a part of a virtual keyboard is displayed in a 2nd display area, and display of the character selected by the character selection means is one end of a 2nd display area. And scroll means for scrolling the display of the virtual keyboard.

제7 발명에서는, 가상 키보드는, 그 일부가 제2 표시 영역에 표시된다. 그리고, 스크롤 수단(20, S71)은, 표시되는 가상 키보드의 일단의 문자가 선택되면, 표시되어 있지 않은 부분의 가상 키보드가 표시되도록, 제2 표시 영역에 있어서의 가상 키보드의 표시를 스크롤한다. 즉, 전체가 표시되지 않는 가상 키보드여도, 표시를 스크롤함으로써, 표시되어 있지 않은 부분의 가상 키보드를 인식할 수 있게 된다.In the seventh invention, a part of the virtual keyboard is displayed in the second display area. When the characters of one end of the displayed virtual keyboard are selected, the scroll means 20, S71 scrolls the display of the virtual keyboard in the second display area so that the virtual keyboard of the part not displayed is displayed. In other words, even if the entire virtual keyboard is not displayed, the virtual keyboard of the non-displayed portion can be recognized by scrolling the display.

제7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이용하기 쉽도록, 가상 키보드의 표시 사이즈를 크게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seventh invention, the display size of the virtual keyboard can be made large so that the user can use it easily.

제8 발명은, 제7 발명에 종속하고, 가상 키보드의 표시 사이즈를 변경하는 표시 사이즈 변경 수단을 더 구비한다.The eighth invention is dependent on the seventh invention and further includes display size changing means for changing the display size of the virtual keyboard.

제8 발명에서는, 표시 사이즈 변경 수단(20, S21)은, 가상 키보드의 표시 사이즈를 변경하는 조작에 따라, 가상 키보드 표시 사이즈를 변경한다.In the eighth invention, the display size changing means 20, S21 changes the virtual keyboard display size in accordance with an operation for changing the display size of the virtual keyboard.

제8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는, 자신이 사용하기 쉬운 가상 키보드의 표시 사이즈를 선택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ighth invention, the user can select the display size of the virtual keyboard which he or she is easy to use.

제9 발명은, 제1 발명 내지 제8 발명 중 어느 하나에 종속하고, 문자 선택 수단은, 터치 조작에 따라 선택하는 문자를 갱신하고, 문자 표시 제어 수단은, 갱신된 문자 각각을 순차적으로 표시한다(S63-S79).The ninth invention is dependent on any one of the first to eighth inventions, wherein the character selecting means updates a character to be selected according to a touch operation, and the character display control means sequentially displays each updated character. (S63-S79).

제9 발명에서는, 슬라이드 조작에 의해 복수의 문자가 연속해서 선택되면, 문자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되는 문자가 갱신된다. 그리고, 제2 표시 영역에는, 슬라이드 조작에 의해 갱신되는 문자 각각이 순차적으로 표시된다.In the ninth invention, when a plurality of characters are continuously selected by the slide operation, the characters selected by the character selecting means are updated. Then, in the second display area, each character updated by the slide operation is sequentially displayed.

제9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는, 선택한 문자 각각을 순차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ninth aspect, the user can sequentially check each selected character.

또한, 일본국 특허출원 제2008-277616호(2008년 10월 29일 출원)의 전체 내용이, 참조에 의해, 본원 명세서에 도입되어 있다.In addition, the whole content of Unexamined-Japanese-Patent Application 2008-277616 (October 29, 2008 application) is integrated in this specification by reference.

산업상 이용가능성Industrial availability

본 발명은, 휴대 단말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예를 들어 터치패널을 이용하여 문자 입력하는 휴대 단말에 이용할 수 있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terminal, and in particular, it can be used for, for example, a portable terminal for inputting text using a touch panel.

10 … 휴대 단말
20 … CPU
22 … 키 입력 장치
24 … 캐릭터 제너레이터
28 … LCD 모니터
32 … RAM
34 … 터치패널 제어 회로
36 … 터치패널
10 ... Handheld terminal
20 ... CPU
22 ... Keystroke device
24 ... Character generator
28. LCD monitor
32 ... RAM
34 ... Touch panel control circuit
36 ... Touch panel

Claims (10)

문자열을 표시할 수 있는 제1 표시 영역 및 가상 키보드를 표시할 수 있는 제2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상기 표시 장치에 형성된 터치 반응 영역에 있어서, 상기 터치 반응 영역 내의 터치 조작을 검출하는 터치 조작 검출 수단,
상기 터치 조작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되는 터치 조작에 기초하여, 상기 가상 키보드 내의 문자를 선택하는 문자 선택 수단, 및
상기 문자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문자를 상기 제1 표시 영역에 표시하는 문자 표시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문자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문자를 확정하는 문자 확정 수단을 더 구비하며,
상기 문자 확정 수단은, 상기 터치 조작 검출 수단에 의해, 상기 문자를 선택하는 터치 조작이 있는 상태에서, 상기 문자를 선택하는 터치 조작에 의한 위치와는 다른 위치에 대한 터치가 검출되었을 때, 상기 문자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문자를 확정하는 휴대 단말.
A display device including a first display area capable of displaying a character string and a second display area capable of displaying a virtual keyboard,
A touch manipulation detection means for detecting a touch manipulation in the touch response region in a touch response region formed in the display device;
Character selection means for selecting a character in the virtual keyboard based on the touch operation detected by the touch operation detecting means, and
Character display control means for displaying a character selected by said character selecting means in said first display area,
Further comprising character determination means for confirming the character selected by said character selection means,
The character determination means is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touch operation detection means detects a touch with respect to a position different from the position by the touch operation for selecting the character, while the touch operation for selecting the character is present, the character is determined. A portable terminal for confirming a character selected by the selection mean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반응 영역이 상기 제1 표시 영역에 대응하는 영역에만 형성되어 있는 휴대 단말.
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touch response area is formed only in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first display area.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조작은, 슬라이드 조작이고,
상기 슬라이드 조작이 경사 방향의 슬라이드 조작일 때, 좌우 또는 상하 방향의 슬라이드 조작으로서 보정하는 보정 수단을 더 구비하는 휴대 단말.
The method of claim 1,
The touch operation is a slide operation,
And a correction means for correcting as a slide operation in a left-right or up-down direction when the slide operation is a slide operation in an inclined dir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키보드의 표시 사이즈를 상기 제2 표시 영역에 적합하게 하는 적합 수단을 더 구비하는 휴대 단말.
The method of claim 1,
And a suitable means for fitting the display size of the virtual keyboard to the second display are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표시 영역에는, 상기 가상 키보드의 일부가 표시되고,
상기 문자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문자의 표시가 상기 제2 표시 영역의 일단일 때에, 상기 가상 키보드의 표시를 스크롤하는 스크롤 수단을 더 구비하는 휴대 단말.
The method of claim 1,
A portion of the virtual keyboard is displayed on the second display area,
And a scroll means for scrolling the display of the virtual keyboard when the display of the character selected by the character selection means is one end of the second display area.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키보드의 표시 사이즈를 변경하는 표시 사이즈 변경 수단을 더 구비하는 휴대 단말.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And a display size changing means for changing the display size of the virtual keyboar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선택 수단은, 상기 터치 조작에 따라 선택하는 문자를 갱신하고,
상기 문자 표시 제어 수단은, 갱신된 문자 각각을 순차적으로 표시하는 휴대 단말.
The method of claim 1,
The character selecting means updates a character to be selected in accordance with the touch operation;
And the character display control means sequentially displays each updated character.
문자열을 표시할 수 있는 제1 표시 영역 및 가상 키보드를 표시할 수 있는 제2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상기 표시 장치에 형성된 터치 반응 영역에 있어서, 상기 터치 반응 영역 내의 터치 조작을 검출하는 터치 조작 검출 수단,
상기 터치 조작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되는 터치 조작에 기초하여, 상기 가상 키보드 내의 문자를 선택하는 문자 선택 수단, 및
상기 문자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문자를 상기 제1 표시 영역에 표시하는 문자 표시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터치 반응 영역이 상기 제1 표시 영역에 대응하는 영역에만 형성되어 있는 휴대 단말.
A display device including a first display area capable of displaying a character string and a second display area capable of displaying a virtual keyboard,
A touch manipulation detection means for detecting a touch manipulation in the touch response region in a touch response region formed in the display device;
Character selection means for selecting a character in the virtual keyboard based on the touch operation detected by the touch operation detecting means, and
Character display control means for displaying a character selected by said character selecting means in said first display area,
And the touch response area is formed only in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first display area.
KR1020117009555A 2008-10-29 2009-10-26 Mobile terminal KR101349230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277616A JP5371371B2 (en) 2008-10-29 2008-10-29 Mobile terminal and character display program
JPJP-P-2008-277616 2008-10-29
PCT/JP2009/068344 WO2010050438A1 (en) 2008-10-29 2009-10-26 Mobile termin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9798A KR20110059798A (en) 2011-06-03
KR101349230B1 true KR101349230B1 (en) 2014-01-08

Family

ID=42128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9555A KR101349230B1 (en) 2008-10-29 2009-10-26 Mobile terminal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10248945A1 (en)
JP (1) JP5371371B2 (en)
KR (1) KR101349230B1 (en)
WO (1) WO2010050438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51433B2 (en) * 2010-02-02 2014-03-26 キヤノン株式会社 Display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od of display control device
US8756522B2 (en) * 2010-03-19 2014-06-17 Blackberry Limited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HK1147905A2 (en) 2010-06-30 2011-08-19 Chi Ching Lee System and method for virtual touch sensing
US20120200503A1 (en) * 2011-02-07 2012-08-09 Georges Berenger Sizeable virtual keyboard for portable computing devices
KR101704549B1 (en) * 2011-06-10 2017-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nterface for inpputing character
JP5801656B2 (en) * 2011-09-01 2015-10-28 株式会社ソニー・コンピュータエンタテインメント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US8490008B2 (en) 2011-11-10 2013-07-16 Research In Motion Limited Touchscreen keyboard predictive display and generation of a set of characters
US9122672B2 (en) 2011-11-10 2015-09-01 Blackberry Limited In-letter word prediction for virtual keyboard
US9310889B2 (en) 2011-11-10 2016-04-12 Blackberry Limited Touchscreen keyboard predictive display and generation of a set of characters
US9715489B2 (en) 2011-11-10 2017-07-25 Blackberry Limited Displaying a prediction candidate after a typing mistake
US9652448B2 (en) 2011-11-10 2017-05-16 Blackberry Limited Methods and systems for removing or replacing on-keyboard prediction candidates
US9557913B2 (en) 2012-01-19 2017-01-31 Blackberry Limited Virtual keyboard display having a ticker proximate to the virtual keyboard
EP2618248B1 (en) 2012-01-19 2017-08-16 BlackBerry Limited Virtual keyboard providing an indication of received input
CA2865272C (en) 2012-02-24 2019-11-05 Blackberry Limited Virtual keyboard with dynamically reconfigurable layout
GB2503968B (en) 2012-02-24 2021-02-17 Blackberry Ltd Touchscreen keyboard providing word predictions in partitions of the touchscreen keyboard in proximate association with candidate letters
JP2013179402A (en) * 2012-02-28 2013-09-09 Sony Corp Terminal device, information processor, display method, and display control method
KR101169374B1 (en) * 2012-04-04 2012-07-30 서주홍 Method for displaying keypad for smart devices
US9201510B2 (en) 2012-04-16 2015-12-01 Blackberry Limited Method and device having touchscreen keyboard with visual cues
US10025487B2 (en) 2012-04-30 2018-07-17 Blackberry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text selection
US9292192B2 (en) 2012-04-30 2016-03-22 Blackberry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text selection
US9354805B2 (en) 2012-04-30 2016-05-31 Blackberry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text selection
US9207860B2 (en) 2012-05-25 2015-12-08 Blackberry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a gesture
US9116552B2 (en) 2012-06-27 2015-08-25 Blackberry Limited Touchscreen keyboard providing selection of word predictions in partitions of the touchscreen keyboard
US9524290B2 (en) 2012-08-31 2016-12-20 Blackberry Limited Scoring predictions based on prediction length and typing speed
US9063653B2 (en) 2012-08-31 2015-06-23 Blackberry Limited Ranking predictions based on typing speed and typing confidence
JP6094394B2 (en) * 2013-06-13 2017-03-15 富士通株式会社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character input support program
GB2516029A (en) 2013-07-08 2015-01-14 Ibm Touchscreen keyboard
JP5794709B2 (en) * 2013-12-27 2015-10-14 キヤノン株式会社 Display control apparatus, display control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program
JP2015135648A (en) * 2014-01-20 2015-07-27 シャープ株式会社 Input operation device and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CN104978142B (en) 2015-06-17 2018-07-31 华为技术有限公司 A kind of control method of intelligent wearable device and intelligent wearable device
JP6277352B2 (en) * 2016-04-27 2018-02-14 株式会社ユピテル Automotive electronics
WO2018027137A1 (en) * 2016-08-04 2018-02-08 Learning Touch, LLC Methods and systems for improving data entry into user interface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05933A (en) * 1998-04-20 1999-11-05 Seiko Epson Corp Input device and input method
JP2003015808A (en) * 2001-04-27 2003-01-17 Shunji Kato Touch-type key input apparatus
JP2007026349A (en) * 2005-07-21 2007-02-01 Casio Comput Co Ltd Character input device and character input program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14008B2 (en) * 2004-07-30 2009-11-03 Apple Inc. Operation of a computer with touch screen interface
JP2001282427A (en) * 2000-03-29 2001-10-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Portable terminal
JP2003316502A (en) * 2002-04-25 2003-11-07 Sony Corp Terminal equipment and character input method
JP2003316490A (en) * 2002-04-26 2003-11-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Remote control system and method thereof
US7199786B2 (en) * 2002-11-29 2007-04-03 Daniel Suraqui Reduced keyboards system using unistroke input and having automatic disambiguating and a recognition method using said system
JP2005050366A (en) * 2004-09-10 2005-02-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Portable terminal device
KR100913962B1 (en) * 2007-05-14 2009-08-26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of inputting character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8059101B2 (en) * 2007-06-22 2011-11-15 Apple Inc. Swipe gestures for touch screen keyboards
JP2010086064A (en) * 2008-09-29 2010-04-15 Toshiba Corp Information processor, character input method, and progra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05933A (en) * 1998-04-20 1999-11-05 Seiko Epson Corp Input device and input method
JP2003015808A (en) * 2001-04-27 2003-01-17 Shunji Kato Touch-type key input apparatus
KR20040008164A (en) * 2001-04-27 2004-01-28 미사와 홈스 컴파니 리미티드 Touch-type key input apparatus
JP2007026349A (en) * 2005-07-21 2007-02-01 Casio Comput Co Ltd Character input device and character input progra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9798A (en) 2011-06-03
WO2010050438A1 (en) 2010-05-06
US20110248945A1 (en) 2011-10-13
JP2010108118A (en) 2010-05-13
JP5371371B2 (en) 2013-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9230B1 (en) Mobile terminal
US8279182B2 (en) User input device and method using fingerprint recognition sensor
US7556204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symbol input
CN101174190B (en) Software keyboard entry method for implementing composite key on screen of electronic equipments
JP6071107B2 (en) Mobile device
JP4863211B2 (en) Character data input device
EP1873620A1 (en) Character recognizing method and character input method for touch panel
US20030064736A1 (en) Text entry method and device therefor
JP2000278391A (en) Portable telephone set having back handwriting input function
JP5755219B2 (en) Mobile terminal with touch panel function and input method thereof
JP2005301322A (en) Input device, cellular phone, and portable information device
JP2011192179A (en) Device, method and program for inputting character
WO2007086371A1 (en) Character input device
US20140289664A1 (en) Portable terminal device,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and method for suppressing implementation
KR101671797B1 (en) Handheld device and input method thereof
KR20110003130A (en) Method for inputting letter in a mobile phone
JP2009099057A (en) Mobile terminal and character input method
KR20130042675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braille in portable terminal
JP5627372B2 (en) Character input device, character input method, and character input program
JP2010134719A (en) Input device, control method of input device and program
JP2014140236A (en) Character data input device
JP2013033553A (en) Character data input device
KR101465699B1 (en) The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 in portable terminal using touch screen
JP2014089503A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electronic apparatus
KR20120024034A (en) Mobile terminal capable of inputting alphab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