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8505B1 - Earset - Google Patents

Earse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8505B1
KR101348505B1 KR1020120077911A KR20120077911A KR101348505B1 KR 101348505 B1 KR101348505 B1 KR 101348505B1 KR 1020120077911 A KR1020120077911 A KR 1020120077911A KR 20120077911 A KR20120077911 A KR 20120077911A KR 101348505 B1 KR101348505 B1 KR 1013485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phone
signal
speaker
external devic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791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신두식
Original Assignee
신두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1200779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8505B1/en
Application filed by 신두식 filed Critical 신두식
Priority to JP2015503090A priority patent/JP2015515206A/en
Priority to PCT/KR2012/009489 priority patent/WO2013147384A1/en
Priority to US14/388,007 priority patent/US9654858B2/en
Priority to EP12873429.0A priority patent/EP2833645B1/en
Priority to CN201280072038.9A priority patent/CN104396275B/en
Priority to SG11201406152SA priority patent/SG11201406152S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85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8505B1/en
Priority to HK15103014.9A priority patent/HK1202749A1/en
Priority to US15/066,760 priority patent/US20160196834A1/en
Priority to US15/066,687 priority patent/US9743172B2/en
Priority to JP2017138012A priority patent/JP201721671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83Reduction of ambient noi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41Mechanical or electronic switches, or control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3/02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for preventing acoustic reaction, i.e. acoustic oscillatory feedba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covered by H04R1/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10Details of 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earphones or monophonic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107Monophonic and stereophonic headphones with microphone for two-way hands free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 Soundproofing, Sound Blocking, And Sound Damping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arset which provides a sound of clean quality by blocking an outside noise when providing a voice signal provided through ears for the opposite party or controlling a voice recognition device and enables an efficient call in a noisy environment by increasing the recognition rate of the voice recognition device. The earset includes: a first earphone part which includes a first speaker outputting a sound signal or a voice signal provided from an external device and is able to be inserted into the first external auditory canal of a user; a second earphone part which includes a first microphone receiving the user voice signal provided through the external auditory canal of the user and is able to be inserted into the second external auditory canal of the user; and a main body which is connected respectively to the first earphone part and the second earphone part. In case the main body is wirelessly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the earset more includes: a signal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 which transmits and receives a signal with the external device in the main body; and a control unit which transmits a voice signal inputted from the first microphone to the external device through the signal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 and outputs a voice signal received from the external device through the signal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 to the first speaker. [Reference numerals] (220) Control unit

Description

이어셋{EARSET}Earset {EARSET}

본 발명은 이어셋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귀를 통해 제공되는 음성신호를 상대측으로 제공하거나 음성인식 장치를 제어할 때 외부소음이 차단되어 깨끗한 음질의 음향을 들을 수 있도록 해 주며, 음성인식 장치의 인식률을 높임으로써 소음 환경에서 효과적으로 통화할 수 있도록 한 이어셋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arset, and more particularly, to provide a sound signal provided through the ear to the other side or to control the voice recognition device, external noise is cut off so that the user can hear the sound of clean sound quality, and a voice recognition devic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arset that can effectively communicate in a noisy environment by increasing the recognition rate of the device.

일반적으로 음향의 청취와 음성신호의 통신을 위해 이어셋 등은 음향기기 또는 휴대폰과 같은 외부기기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상태로 사용자의 귀에 착용되어 사용되고 있다. In general, for listening to sound and communication of voice signals, the earset is worn and worn on the user's ear while being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such as an audio device or a mobile phone by wire or wirelessly.

그러나 종래의 이어셋은 모두 마이크가 외부에 노출되어있어 마이크로 외부 잡음이 유입되어 시끄러운 환경에서나 폭풍 환경에서는 상대방과 통화를 할 수 없었고 발진 현상을 막기 위하여 스피커와 마이크를 항상 일정거리를 유지해야 하기 때문에 소형화 등에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all of the conventional earsets ar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microphone, so that the external noise is introduced into the microphone, making it impossible to talk with the other party in noisy or stormy environments, and the speaker and the microphone must be kept at a constant distance to prevent oscillation. There was a problem with the back.

상기 이어셋을 좀 더 살펴보면, 외부기기와 결합되는 커넥터와, 커넥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이어셋의 사용모드를 설정함과 더불어 이어셋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되, 사용자의 귀에 착용되어 음성출력 또는 음성입력처리를 수행하는 폰수단로 구성된다.Looking at the earset in more detail, a connector coupled to an external device, the control un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nector to set the use mode of the earset and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earset,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the user's ear It is composed of a phone means that is worn to perform a voice output or voice input processing.

여기서, 폰수단은, 제1스피커와 마이크가 구비되어 음성출력 또는 음성입력처리를 수행하는 음성출력/입력처리부와, 제2스피커가 구비되어 음성을 출력하는 음성출력부로 구성된다.Here, the phone means includes a voice output / input processing unit provided with a first speaker and a microphone to perform voice output or voice input processing, and a voice output unit provided with a second speaker to output voice.

종래 기술에 의한 기술이 특허출원번호 제10-2000-0018098호(귀 삽입/덮개식 이어셋) 및 특허출원번호 제10-2001-0088886호(음향 입/출력 장치 및 이를 적용한 이어셋 일체형이어폰) 등에 게시되어 있다.The technology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published in Patent Application No. 10-2000-0018098 (Ear Insertion / Cover Earset) and Patent Application No. 10-2001-0088886 (Acoustic I / O Device and Earset Integrated Earphone Applying the Same) It is.

그러나, 종래의 이어셋은 상대방과 통화시 상대방의 음성이 스피커에서 출력되어 다시 마이크로 입력됨으로써 에코현상 또는 하울링현상이 일어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earset has a problem in that an echo phenomenon or a howling phenomenon occurs when the other party's voice is output from the speaker and input again into the microphone when talking with the other party.

이로 인해, 음성 전달이 명료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For this reas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voice transmission is not clear.

따라서, 상기한 이어셋을 구입하고자하는 요구가 떨어지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었다.
Therefore, there was a serious problem that the demand to purchase the above-described earset fall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 및 기술 개발의 필요성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주변 소음이 심한 시끄러운 환경에서도 사용자가 상대방과 좋은 음질로 통화할 수 있는 효율적인 이어셋을 제공하는 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the need for technology development,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ffective earset that allows the user to talk to the other party with good sound quality in a noisy environment with high ambient noise hav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에코감소수단을 사용함으로써 귀를 통해 제공되는 음성신호를 상대측으로 제공할 때 외부소음이 차단되어 에코 및 하울링현상을 차단함과 동시에 깨끗한 음질의 음향을 들을 수 있도록 해 주는 이어셋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에코를 방지하기위하여 스피커 출력 또는 마이크 감도 중 적어도 어느하나를 조절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ound signal provided through the ear to the other side by using the echo reducing means to block the external noise to block the echo and howling phenomenon and at the same time to hear the sound of clean sound quality To provide an ear set. Also, at least one of the speaker output and the microphone sensitivity is adjusted to prevent echo.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귀를 통해 제공되는 음성신호로 음성인식 장치를 제어할 때 외부소음이 차단되어 음성인식 장치의 인식률을 높임으로써 소음환경에서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한 이어셋을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arset that can effectively control in a noisy environment by increasing the recognition rate of the voice recognition device by blocking external noise when controlling the voice recognition device with a voice signal provided through the ear. hav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유선 및 무선 이어폰 모두에 적용이 가능하고, 마이크 스위치의 선택이 자동 및 수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이어셋을 제공하는 데 있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arset that can be applied to both wired and wireless earphones and that the selection of the microphone switch is made automatically and manually so as to increase user satisfaction.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However,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object,

외부기기로부터 제공되는 음향신호 또는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제1 스피커를 포함하고, 사용자의 제1 외이도로 삽입 가능한 제1 이어폰부; 사용자의 외이도를 통해 제공되는 사용자 음성신호를 입력받는 제1 마이크를 포함하고, 사용자의 제2 외이도로 삽입 가능한 제2 이어폰부; 및 상기 제1 이어폰부 및 제2 이어폰부에 각각 연결된 본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이어셋을 제공한다.A first earphone unit including a first speaker for outputting an audio signal or a voice signal provided from an external device, and inserted into a first ear canal of a user; A second earphone unit including a first microphone to receive a user voice signal provided through the ear canal of the user, and inserted into the second ear canal of the user; And a body connected to the first earphone unit and the second earphone unit, respectively.

본 발명의 부가적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본체가 상기 외부기기에 무선으로 연결되는 경우에, 상기 본체에는 외부기기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신호 송수신부; 및 상기 제1 마이크로부터 입력된 음성신호를 상기 신호 송수신부를 통하여 상기 외부기기로 송신하고, 상기 신호 송수신부를 통하여 상기 외부기기로부터 수신된 음성신호를 상기 제1 스피커로 출력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ccording to an additional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main body is wirelessly connected to the external device, the main body includes a signal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ignal with an external device; And a controller for transmitting a voice signal input from the first microphone to the external device through the signal transceiver, and outputting a voice signal received from the external device through the signal transceiver to the first speaker. do.

또한, 상기 본체가 상기 외부기기에 유선으로 연결되는 경우에, 상기 본체에는 상기 제1 마이크로부터 입력된 음성신호를 외부기기로 송신하고, 상기 외부기기로부터 수신된 음성신호를 상기 제1 스피커로 출력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이 유선형 이어셋에 적용되는 경우에는 상기 신호 송수신부가 없이 유선으로 외부기기에 접속되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main body is connected to the external device by wire, the main body transmits a voice signal input from the first microphone to an external device, and outputs the voice signal received from the external device to the first speaker.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control unit for. In other words, when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streamlined earset, the signal is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by wire without the signal transceiver.

이때, 본 발명의 다른 부가적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마이크로부터 입력된 사용자 음성신호를 상기 본체를 통하여 음성인식 장치로 송신하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according to another additional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ler may further include a function of transmitting a user voice signal input from the first microphone to the voice recognition device through the main body.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부가적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본체에는, 사용자의 입으로부터 제공되는 음성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제2 마이크; 및 상기 제1 마이크 또는 제2 마이크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스위치를 더 포함하고,According to another additional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body includes a second microphone for receiving a voice signal provided from a mouth of a user; And a switch for selecting any one of the first microphone and the second microphone,

상기 스위치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 하에 감지된 소음신호의 레벨이 미리 설정된 레벨 이상인 경우 상기 제1 마이크를 선택하고, 상기 감지된 소음신호의 상기 레벨이 상기 미리 설정된 레벨 미만인 경우 상기 제2 마이크를 선택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외부기기 사용자가 소음신호 정도에 따라서도 마이크를 선택할 수도 있다. The switch selects the first microphone when the level of the noise signal detect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level, and selects the second microphone when the level of the sensed noise signal is less than the preset level. It is desirable to perform the operation. In addition, the user can select the microphone according to the noise signal level.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부가적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본체에는 음성인식 센서 또는 동작인식 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스위치는 상기 음성인식 센서 또는 동작인식 센서의 출력신호에 따라 자동으로 동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additional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body is provided with a voice recognition sensor or a motion recognition sensor, the switch is preferably automatically operated according to the output signal of the voice recognition sensor or motion recognition sensor.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부가적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2 이어폰부에는 외부기기로부터 제공되는 음향신호 또는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제2 스피커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스피커의 출력이 상기 제1 마이크의 입력으로 전달되어 일어나는 에코현상을 줄이기 위해, 상기 제2 스피커의 출력을 조절하는 출력조절 회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 to another additional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earphone unit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speaker for outputting an audio signal or a voice signal provided from an external device. In this case, the output of the second speaker is preferably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n output control circuit for adjusting the output of the second speaker in order to reduce the echo phenomenon caused by being transmitted to the input of the first microphone.

또한, 상기 제2 스피커의 출력이 상기 제1 마이크의 입력으로 전달되어 일어나는 에코현상을 줄이기 위해, 상기 제1 마이크의 감도를 조절하거나 상기 제2 스피커의 출력 및 제1 마이크의 감도를 동시에 조절하여 에코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reduce an echo phenomenon caused by the output of the second speaker being transmitted to the input of the first microphone, by adjusting the sensitivity of the first microphone or the output of the second speaker and the sensitivity of the first microphone at the same time Eco phenomenon can be prevented.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부가적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2 이어폰부에는 상기 제1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에코 성분을 감소시키는 에코감소수단을 더 포함하되,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additional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earphone unit further includes an echo reducing means for reducing the echo component included in the signal input from the first microphone,

상기 에코감소수단은, 외부기기로부터 제2 스피커로 제공되는 음향신호 또는 음성신호를 입력받아 필터링하는 필터부와, 상기 필터부로부터 필터링되어 출력되는 음향신호 또는 음성신호의 위상을 반전시키는 위상반전부와, 상기 위상반전부로부터 위상반전되어 출력되는 음향신호 또는 음성신호와 제1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음향신호 또는 음성신호를 합성하는 신호합성부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echo reduction means may include a filter unit for receiving and filtering an acoustic signal or an audio signal provided from an external device to the second speaker, and a phase inversion unit for inverting the phase of the acoustic signal or the audio signal filtered and output from the filter unit. And a signal synthesizing unit for synthesizing the sound signal or the voice signal which is phase-inverted from the phase inverting unit and the sound signal or the voice signal input from the first microphone.

한편,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 마이크 및 제1 스피커를 포함하는 제1 이어폰부 및 제2 마이크를 포함하는 제2 이어폰부를 포함하는 이어폰부;An earphone unit including a first earphone unit including a first microphone and a first speaker, and a second earphone unit including a second microphone;

상기 이어폰부의 외부에 위치하고 사용자의 입으로부터 제공되는 음성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제3 마이크; 및A third microphone located outside the earphone unit and configured to receive a voice signal provided from a mouth of a user; And

소음 신호를 감지하고, 감지된 소음 신호의 레벨이 미리 설정된 레벨보다 큰 경우 상기 제1 마이크 및 상기 제2 마이크를 선택하고, 상기 감지된 소음 신호의 상기 레벨이 상기 미리 설정된 레벨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3 마이크를 선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셋을 제공한다.Detect the noise signal, select the first microphone and the second microphone when the level of the detected noise signal is greater than a preset level, and when the level of the sensed noise signal is less than the preset level, It provides an earset comprising a control unit for selecting three microphones.

또한, 외부기기 사용자가 소음신호를 느끼는 정도에 따라서도 마이크를 선택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microphone may be selected according to the degree to which the external device user senses the noise signal.

또한, 본 발명의 부가적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2 이어폰부에는 외부기기로부터 제공되는 음향신호 또는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제2 스피커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according to an additional feature of the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econd earphone unit further comprises a second speaker for outputting a sound signal or a voice signal provided from an external devic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부가적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1 스피커의 출력이 상기 제1 마이크의 입력으로 전달되어 일어나는 에코 현상과 상기 제2 스피커의 출력이 상기 제2 마이크의 입력으로 전달되어 일어나는 에코현상을 줄이기 위해, 상기 제1 스피커 및 제2 스피커의 출력을 조절하기위해 출력조절 회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additional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cho phenomenon caused by the output of the first speaker is delivered to the input of the first microphone and the echo phenomenon caused by the output of the second speaker to the input of the second microphone In order to reduce the phenomenon, it is preferable to further comprise an output control circuit for adjusting the output of the first speaker and the second speaker.

또한, 상기 제1스피커 및 제2 스피커의 출력이 각각 상기 제1 마이크 및 제2 마이크의 입력으로 전달되어 일어나는 에코현상을 줄이기 위해, 상기 제1 마이크 및 제2 마이크의 감도를 조절하거나 각각의 스피커 출력 및 마이크 감도를 동시에 조절하여 에코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reduce the echo phenomenon caused by the output of the first speaker and the second speaker to the input of the first microphone and the second microphone, respectively, to adjust the sensitivity of the first microphone and the second microphone or Echo can be prevented by adjusting output and microphone sensitivity simultaneously.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부가적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1 이어폰부에는 상기 제1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에코 성분을 감소시키는 에코감소수단을 더 포함하되,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additional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earphone unit further includes an echo reducing means for reducing the echo component included in the signal input from the first microphone,

상기 에코감소수단은, 외부기기로부터 제1 스피커 및 제2 스피커로 제공되는 음향신호 또는 음성신호를 입력받아 필터링하는 필터부와, 상기 필터부로부터 필터링되어 출력되는 음향신호 또는 음성신호의 위상을 반전시키는 위상반전부와, 상기 위상반전부로부터 위상반전되어 출력되는 음향신호 또는 음성신호와 제1 마이크 및 제2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음향신호 또는 음성신호를 합성하는 신호합성부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에코방지를 위해 제1 이어폰부와 제2 이어폰부 각각에 에코감소수단을 구성할 수도 있다.
The echo reduction means may include a filter unit configured to receive an audio signal or an audio signal provided to the first speaker and the second speaker from an external device and to filter the acoustic signal or the audio signal, and to reverse the phase of the audio signal or the audio signal filtered and output from the filter unit. It is preferable that the phase inversion unit and a signal synthesizing unit for synthesizing the sound signal or audio signal outputted from the phase inversion phase from the phase inverting unit and the sound signal or audio signal input from the first microphone and the second microphone. Of course, it is also possible to configure the echo reduction means in each of the first earphone unit and the second earphone unit to prevent the echo.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어셋에 따르면, 스피커와 마이크의 배치를 일체화 시켜 사용자가 상대방과 통화 시 소음환경 및 폭풍 환경에서도 상대방과 통화할 수 있어 사용의 편리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즉, 주변 소음이 심한 곳에서는 사용자의 외이도에 이어셋이 착용되어 사용자의 주변 소음이 차단된 음성신호를 외부기기로 제공하여 상대방과 깨끗한 통화를 할 수 있으며 음성인식 장치에 적용할 경우 음성 인식률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earse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integrating the arrangement of the speaker and the microphone, the user can talk with the other party in a noise environment and a storm environment when talking with the other party, thereby increasing convenience of use. In other words, in a place with high ambient noise, the earset is worn on the user's ear canal to provide a voice signal that blocks the user's ambient noise to an external device, allowing a clear conversation with the other party, and when applied to a voice recognition device, increases the voice recognition rate. It can be effective.

또한, 주변 소음이 약한 곳에서는 외부에 노출된 마이크에서 사용자의 입으로부터 제공되는 음성신호를 외부기기로 제공함으로써, 귀에 착용하는 이어폰부의 마이크를 이용하여 통화할 때 생길 수 있는 코맹맹이 소리와 낮은 음량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when the ambient noise is low, the external microphone provides a voice signal provided from the user's mouth to an external device, so that the snorkel sound and low volume that can occur when making a call using the microphone of the earphone part worn on the ear. There is an effect that can solve the problem.

또한, 마이크를 양쪽 이어폰부에 배치함으로써 기존의 한쪽 귀로부터 나오는 낮은 음량신호를 집음하던 것을 양쪽 귀에서 동시에 집음하기 때문에 외부에 별도의 증폭기 없이 간단하게 음성신호를 키울 수 있어 상대방과 통화 시 낮은 음량으로 인한 불편함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placing microphones on both earphones, it collects low volume signals from one ear at the same time from both ears, so it is easy to raise the voice signal without a separate amplifier externally. There is an effect that can reduce the inconvenience caused by.

또한, 에코감소수단을 사용함으로써 귀를 통해 제공되는 음성신호를 상대측으로 제공하거나 음성인식 장치를 제어할 때 외부소음이 차단되어 에코 및 하울링현상을 차단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using the echo reducing means, the external noise is blocked when providing the voice signal provided through the ear to the other side or controlling the voice recognition device to block the echo and howling phenomenon.

또한, 에코 방지를 위해 스피커 출력 또는 마이크 감도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조절하여 외부소음이 차단되어 에코 및 하울링현상을 차단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by controlling at least one of the speaker output or the microphone sensitivity to prevent echoes, external noise is blocked, thereby preventing echoes and howling.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이어셋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써, 외부기기에 무선으로 연결되는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이어셋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써, 외부기기에 유선으로 연결되는 경우를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어셋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어셋의 제4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어셋의 제5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어셋의 제6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어셋의 제7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에코감소수단을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이어셋의 제8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FIG. 1A illustrates a first embodiment of an ear s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illustrates a case in which a wireless device is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Figure 1b shows a second embodiment of the ear s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the case that is connected to the external device by wire.
2 shows a third embodiment of an ears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shows a fourth embodiment of an ears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shows a fifth embodiment of an ears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shows a sixth embodiment of an ears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shows a seventh embodiment of an ears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shows the echo reduction means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8 shows an eighth embodiment of an ears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However,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t is intended that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be limited only by the terms of the appended claims.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이외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Also, terms used herein are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ng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includes plural forms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specification. &Quot; comprises "and / or" comprising "used in the specification do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components other than the components mentioned.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be used in a sense that can be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첨부도면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이어셋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써, 외부기기에 무선으로 연결되는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Figure 1a shows a first embodiment of an ears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shows a case of wirelessly connecting to an external device.

상기 도 1a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어셋은 이어폰부(100)와 본체(20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A, the ear s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arphone unit 100 and a main body 200.

이때, 상기 이어폰부(100)는 사용자의 제1 외이도로 삽입 가능한 제1 이어폰부(110)와, 사용자의 제2 외이도로 삽입 가능한 제2 이어폰부(120)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 이어폰부(110) 및 제2 이어폰부(120)는 각각 본체(200)에 유선으로 연결된다.In this case, the earphone unit 100 is composed of a first earphone unit 110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first ear canal of the user, and a second earphone unit 120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second ear canal of the user, the first earphone unit 110 and the second earphone unit 120 is connected to the main body 200 by wire.

상기 제1 이어폰부(110)에는 휴대폰이나 MP3플레이어 등과 같은 외부기기(미도시)로부터 제공되는 음향신호 또는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제1 스피커(310)가 구비되고, 상기 제2 이어폰부(120)에는 사용자의 외이도를 통해 제공되는 사용자 음성신호를 입력받는 제1 마이크(410)가 구비된다.The first earphone unit 110 is provided with a first speaker 310 for outputting a sound signal or a voice signal provided from an external device (not shown) such as a mobile phone or an MP3 player, the second earphone unit 120 The first microphone 410 receives a user voice signal provided through the ear canal of the user.

상기 제1 마이크(410)는 사용자가 말을 할 때 귀로부터 발생되는 신호를 입력신호로서 제공받는 것으로, 지향성 특성을 갖는 마이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microphone 410 is provided with a signal generated from the ear when the user speaks as an input signal, it is preferably configured as a microphone having a directional characteristic.

상기 본체(200)는 외부기기(미도시)에 무선으로 연결되며, 외부기기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신호 송수신부(210); 및 상기 제1 마이크(410)로부터 입력된 음성신호를 상기 신호 송수신부(210)를 통하여 상기 외부기기로 송신하고, 상기 신호 송수신부(210)를 통하여 상기 외부기기로부터 수신된 음성신호를 상기 제1 스피커(310)로 출력하기 위한 제어부(220)가 포함된다.The main body 200 is wirelessly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not shown), the signal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 210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ignal with the external device; And transmits a voice signal input from the first microphone 410 to the external device through the signal transceiver 210, and transmits a voice signal received from the external device through the signal transceiver 210. The control unit 220 for outputting to one speaker 310 is included.

상기와 같은 이어셋에는 음량을 조절하는 볼륨 조절부(미도시)와, 통화여부를 결정하는 통화 버튼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ear set may further include a volume control unit (not shown) for adjusting the volume and a call button unit (not shown) for determining whether to talk.

또한, 상기 제어부(220)는 상기 제1 마이크(410)로부터 입력된 사용자 음성신호를 상기 신호 송수신부(210)를 통하여 음성인식 장치(미도시)로 송신하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220 may further include a function of transmitting a user voice signal input from the first microphone 410 to a voice recognition device (not shown) through the signal transceiver 210.

첨부도면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이어셋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써, 외부기기에 유선으로 연결되는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1B illustrates a second embodiment of an ear s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illustrates a case in which a wire is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상기 도 1b를 참조하면, 상기 본체(200)가 외부기기(미도시)에 커넥터(500)를 통해 유선으로 연결되게 되면, 상기 제1 실시예의 구성에서 신호 송수신부(210)가 제거된다.Referring to FIG. 1B, when the main body 200 is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through a connector 500 by wire, the signal transceiver 210 is removed from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이때, 상기 제어부(220)는 상기 제1 마이크(410)로부터 입력된 사용자 음성신호를 음성인식 장치(미도시)로 직접 송신하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ontroller 220 may further include a function of directly transmitting a user voice signal input from the first microphone 410 to a voice recognition device (not shown).

첨부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어셋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Figure 2 shows a third embodiment of an ears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제1 실시예의 구성에 사용자의 입으로부터 제공되는 음성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제2 마이크(420); 및 상기 제1 마이크(410) 또는 제2 마이크(420)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마이크 스위치(23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2, a second microphone 420 for receiving a voice signal provided from the mouth of the user in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And a microphone switch 230 for selecting any one of the first microphone 410 or the second microphone 420.

상기 마이크 스위치(230)는 상기 제어부(220)의 제어 하에 감지된 소음신호의 레벨이 미리 설정된 레벨 이상인 경우 상기 제1 마이크(410)를 선택하고, 상기 감지된 소음신호의 상기 레벨이 상기 미리 설정된 레벨 미만인 경우 상기 제2 마이크(420)를 선택하는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외부기기 사용자가 소음신호를 느끼는 정도에 따라서도 마이크를 선택할 수도 있다. The microphone switch 230 selects the first microphone 410 when the level of the noise signal detect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220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level, and the level of the detected noise signal is set in advance. If the level is less than the second microphone 420 is selected. In addition, the microphone may be selected according to the degree to which the external device user senses the noise signal.

예를 들어, 제어부(220)는 이어셋의 설계자나 사용자에 의해 기 설정된 소음신호의 레벨이 상기 기 설정된 값(예를 들어, 70dB) 이상인 경우 상기 제1 마이크(410)를 선택하고, 상기 기 설정된 값 미만인 경우 상기 제2 마이크(420)를 선택하도록 상기 마이크 스위치(2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어떠한 환경에서도 상대방과 편안한 통화를 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troller 220 selects the first microphone 410 when the level of the noise signal preset by the designer or the user of the earset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preset value (for example, 70 dB), and selects the preset microphone 410. If the value is less than the value, the microphone switch 230 may be controlled to select the second microphone 420. This allows you to make comfortable calls with the other party in any environment.

이때, 이어셋의 설계자나 사용자는 소음신호의 레벨을 자신의 선택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designer or the user of the ear set can set the level of the noise signal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their selection.

상기 마이크 스위치(230)는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조작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은 기준에 의해 자동으로 동작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200)에 음성인식 센서 또는 동작인식 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마이크 스위치(230)는 상기 음성인식 센서 또는 동작인식 센서의 출력신호에 따라 자동으로 동작할 수 있다.The microphone switch 230 may be manually operated by a user, and a voice recognition sensor or a motion recognition sensor is provided in the main body 200 to automatically operate according to the above criteria. The microphone switch 230 ) May automatically operate according to the output signal of the voice recognition sensor or the motion recognition sensor.

상기 제2 마이크(420)는 본체(200) 외부로 노출되도록 배치되어 사용자의 입으로부터 제공되는 음성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것으로, 무지향성 특성을 갖는 마이크로 구성될 수 있다.The second microphone 420 is dispos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200 to receive a voice signal provided from a user's mouth, and may be configured as a microphone having non-directional characteristics.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이어셋이 핸드폰, 로봇, 네비게이션, 산업용 기기 등과 같은 음성인식 장치에 적용할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220)에, 상기 제1 마이크(410)로부터 입력된 사용자 음성신호를 상기 신호 송수신부(210)를 통하여 음성인식 장치(미도시)로 송신하는 기능이 더 포함되면 된다. 결국, 귀로부터 나온 사용자의 음성을 활용하여 음성인식 장치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ear s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voice recognition device such as a mobile phone, a robot, a navigation device, an industrial device, or the like, the user's voice signal input from the first microphone 410 is input to the controller 220. The signal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 210 may further include a function for transmitting to a voice recognition device (not shown). As a result, the voice recognition device can be controlled by using the user's voice from the ear.

첨부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어셋의 제4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Figure 3 shows a fourth embodiment of an ears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제1 실시예의 구성에 상기 제2 이어폰부(120)에 외부기기로부터 제공되는 음향신호 또는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제2 스피커(32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Referring to FIG. 3, the second speaker 320 further outputs a sound signal or a voice signal provided from an external device to the second earphone unit 120 in the first embodiment.

이때, 상대방과 통화 시에는 상기 제2 스피커(320)의 출력이 상기 제1 마이크(410)의 입력으로 전달되어 에코현상이 일어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발생되는 에코현상을 줄이기 위해, 상기 제2 스피커(320)의 출력을 조절하는 출력조절 회로(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마이크(410)의 감도를 조절하여 외부소음 유입을 줄이고 에코현상을 막을 수 있다. 물론 에코현상을 줄이기 위해 제2 스피커(320)의 출력과 상기 제1 마이크(410)의 감도를 동시에 조절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when talking with the other party, the output of the second speaker 320 may be transmitted to the input of the first microphone 410, and an echo phenomenon may occur. In order to reduce the echo phenomenon generated as described above, it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n output control circuit (not shown) for adjusting the output of the second speaker (320). In addition, the sensitivity of the first microphone 410 may be adjusted to reduce external noise inflow and to prevent echo phenomenon. Of course, in order to reduce echo, the output of the second speaker 320 and the sensitivity of the first microphone 410 may be simultaneously adjusted.

한편, 상기 제2 이어폰부(120)에는 상기 제1 마이크(41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에코 성분을 감소시키는 에코감소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On the other hand, the second earphone unit 120 may further include an echo reduction means for reducing the echo component included in the signal input from the first microphone 410,

상기 에코감소수단은, 외부기기로부터 제2 스피커(320)로 제공되는 음향신호 또는 음성신호를 입력받아 필터링하는 필터부와, 상기 필터부로부터 필터링되어 출력되는 음향신호 또는 음성신호의 위상을 반전시키는 위상반전부와, 상기 위상반전부로부터 위상반전되어 출력되는 음향신호 또는 음성신호와 제1 마이크(410)로부터 입력되는 음향신호 또는 음성신호를 합성하는 신호합성부로 구성될 수 있다.The echo reduction means includes: a filter unit for receiving and filtering an acoustic signal or an audio signal provided from the external device to the second speaker 320, and inverting a phase of the acoustic signal or the audio signal filtered out from the filter unit; The phase inverting unit may include a signal synthesizing unit for synthesizing the sound signal or the audio signal output from the phase inverting unit from the phase inverting unit and the sound signal or the voice signal input from the first microphone 410.

첨부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어셋의 제5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4 shows a fifth embodiment of an ears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이어폰부(110)에 제1 마이크(410) 및 제1 스피커(310)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이어폰부(120)에는 제2 마이크(42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200)에는 사용자의 입으로부터 제공되는 음성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제3 마이크(430)가 포함된다.Referring to FIG. 4, the first earphone unit 110 includes a first microphone 410 and a first speaker 310, and the second earphone unit 120 includes a second microphone 420. do. The main body 200 includes a third microphone 430 for receiving a voice signal provided from the user's mouth.

이와 같은 구성에서, 상기 제어부(220)는 소음 신호를 감지하고, 감지된 소음 신호의 레벨이 미리 설정된 레벨보다 큰 경우 상기 제1 마이크(410) 및 제2 마이크(420)를 선택하고, 상기 감지된 소음 신호의 상기 레벨이 상기 미리 설정된 레벨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3 마이크(430)를 선택하게 된다. 또한, 외부기기 사용자가 소음신호를 느끼는 정도에 따라서도 마이크를 선택할 수도 있다. In such a configuration, the controller 220 detects a noise signal, selects the first microphone 410 and the second microphone 420 when the level of the detected noise signal is greater than a preset level, and detects the noise signal. The third microphone 430 is selected when the level of the noise signal is smaller than the preset level. In addition, the microphone may be selected according to the degree to which the external device user senses the noise signal.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마이크(410,420)를 양쪽 이어폰부(110,120)에 배치함으로써 기존의 한쪽 귀로부터 나오는 낮은 음량신호를 집음하던 것을 양쪽 귀에서 동시에 집음하기 때문에 외부에 별도의 증폭기 없이 간단하게 음성신호를 키울 수 있어 상대방과 통화 시 낮은 음량으로 인한 불편함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microphones 410 and 420 are disposed at both earphone units 110 and 120, the low volume signals from one ear are collected at the same time in both ears. It is expected to reduce the inconvenience caused by low volume when talking with the other party.

또한, 외부 회로를 통해 상기 제1 스피커(310)의 출력을 제어함으로써 에코현상을 방지하고, 소음 환경에서 통화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 마이크(410) 및 제2 마이크(420)의 감도를 조절하여 외부 소음의 유입을 줄이고 에코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by controlling the output of the first speaker 310 through an external circuit to prevent the echo phenomenon, it is possible to talk in a noise environment. In addition, by adjusting the sensitivity of the first microphone 410 and the second microphone 420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inflow of external noise and to prevent the echo phenomenon.

상기 제1 스피커(310)의 출력은 가변 또는 고정 저항을 사용하여 제어할 수도 있다.The output of the first speaker 310 may be controlled using a variable or fixed resistor.

물론, 상기 제1 스피커(310)의 출력 또는 제1 스피커(310)의 출력, 상기 제1 마이크(410) 및 상기 제2 마이크(4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자동 또는 수동으로 조절하여 에코현상을 방지할 수도 있다.Of course, at least one of the output of the first speaker 310 or the output of the first speaker 310, the first microphone 410 and the second microphone 420 to automatically or manually adjust the echo phenomenon It can also be prevented.

첨부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어셋의 제6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5 shows a sixth embodiment of an ears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제5 실시예의 구성에 상기 제2 이어폰부(120)에 외부기기로부터 제공되는 음향신호 또는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제2 스피커(32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5, the second speaker 320 further includes a second speaker 320 for outputting a sound signal or a voice signal provided from an external device to the second earphone unit 120.

첨부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어셋의 제7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에코감소수단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Figure 6 shows a seventh embodiment of an ear s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echo reduction means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6을 참조하면, 제5 실시예의 구성에 상기 제1 이어폰부(110)에 상기 제1 마이크(410)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에코 성분을 감소시키는 에코감소수단(24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6, in the configuration of the fifth embodiment, an echo reduction means 240 for reducing an echo component included in a voice signal input from the first microphone 410 to the first earphone unit 110 is provided. It is configured to include more.

상기 에코감소수단(24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기기로부터 제1 스피커(310) 및 제2 스피커(320)로 제공되는 음향신호 또는 음성신호를 입력받아 필터링하는 필터부(242)와, 상기 필터부(242)로부터 필터링되어 출력되는 음향신호 또는 음성신호의 위상을 반전시키는 위상반전부(244)와, 상기 위상반전부(244)로부터 위상반전되어 출력되는 음향신호 또는 음성신호와 제1 마이크(410) 및 제2 마이크(420)로부터 입력되는 음향신호 또는 음성신호를 합성하는 신호합성부(246)로 구성된다. 물론 에코감소수단은 각각의 이어폰부에 별도로 구성될 수도 있다.As illustrated in FIG. 7, the echo reduction means 240 may include a filter unit 242 for receiving and filtering an acoustic signal or an audio signal provided from the external device to the first speaker 310 and the second speaker 320. And a phase inverting unit 244 for inverting the phase of the sound signal or the audio signal filtered and output from the filter unit 242, and an audio signal or the audio signal being phase inverted and output from the phase inverting unit 244; The first microphone 410 and the second microphone 420 is composed of a signal synthesizing unit 246 for synthesizing the sound signal or the voice signal. Of course, the echo reduction means may be configured separately for each earphone unit.

또한, 에코를 방지하기위하여 제1 스피커(310) 및 제2 스피커(320) 출력을 조절할 수도 있고 제1 마이크(410) 및 제2 마이크(420)의 감도를 조절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output of the first speaker 310 and the second speaker 320 may be adjusted to prevent echoes, and the sensitivity of the first microphone 410 and the second microphone 420 may be adjusted.

첨부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이어셋의 제8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8 shows an eighth embodiment of an ears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제1 실시예 내지 제7 실시예에서는 상기 이어폰부(100)가 제1 이어폰부(110)와 제2 이어폰부(120)로 구분되어 양쪽 귀에 착용하는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이어폰부(100)에 제1 스피커(310)와 제1 마이크(410)를 구비하여 한쪽 귀에만 착용할 수 도 있다.In the first to seventh embodiments, the earphone unit 100 is divided into the first earphone unit 110 and the second earphone unit 120, and thus worn on both ears, but is illustrated in FIG. 8.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earphone 310 and the first microphone 410 may be provided in one earphone unit 100 to be worn only on one ear.

이 경우, 상기 이어폰부(100)는 외부기기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is case, the earphone unit 100 is preferably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by wire or wirelessly.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상기에서 설명한 제3 실시예 내지 제7 실시예의 기술적 사상이 더 추가될 수 있음은 자명한 사실이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Since the technical idea of the third to seventh embodiments described above may be further added to the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제8 실시예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이어셋은, 이어폰부(100)는 제1 스피커(310)와 제1 마이크(410)를 포함하는데, 이어폰부(100)는 제1 스피커(310)와 제1 마이크(410)가 일체화되어 이어셋을 사용하는 사용자 귀의 외이도에 삽입되어, 사용자는 귀에 삽입된 이어폰부(100)를 통해서 말하고 듣는 구조이다. 즉, 제1 스피커(310)와 제1 마이크(410)가 귀속에 위치하여 외부 소음이 제1 마이크(410)로 유입되지 않아 시끄러운 환경이나 폭풍환경에서도 상대방과 통화할 수 있고 양손이 자유로워 업무 능률을 증대 시킬 수도 있다. 물론 에코 현상을 방지하기위하여 제4 실시예 및 제7 실시예에서 적용한 방법 등을 활용할 수도 있다. 또한 제8 실시예에서도 제2마이크(미도시)를 외부에 배치하여 소음신호 정도에 따라 마이크를 선택할 수도 있다.In the earse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same configuration as that of the eighth embodiment, the earphone unit 100 includes a first speaker 310 and a first microphone 410, and the earphone unit 100 includes a first speaker 310. And the first microphone 410 are integrated into the ear canal of the user's ear using the earset, and the user speaks and hears through the earphone unit 100 inserted into the ear. That is, since the first speaker 310 and the first microphone 410 are located in the ear, no external noise flows into the first microphone 410, so that the user can talk with the other party in a noisy environment or a storm environment, and both hands are free. You can also increase your efficiency. Of course, to prevent the echo phenomenon, the method applied in the fourth and seventh embodiments may be used. In addition, in the eighth embodiment, the second microphone (not shown) may be disposed outside to select the microphone according to the noise signal level.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다양한 변형 또는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appreciated that one embodiment is possible.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claims.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이어셋은 외부기기와 커넥터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ears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through a connector.

100: 이어폰부
110: 제1 이어폰부 120 : 제2 이어폰부
200 : 본체
210 : 신호 송수신부 220 : 제어부
230 : 마이크 스위치 240 : 에코감소수단
310 : 제1 스피커 320 : 제2 스피커
410: 제1 마이크 420 : 제2 스피커
500 : 커넥터
100: earphone unit
110: first earphone unit 120: second earphone unit
200:
210: signal transceiver 220: controller
230: microphone switch 240: echo reduction means
310: first speaker 320: second speaker
410: first microphone 420: second speaker
500: connector

Claims (14)

외부기기로부터 제공되는 음향신호 또는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제1 스피커를 포함하고, 사용자의 제1 외이도로 삽입 가능한 제1 이어폰부; 사용자의 외이도를 통해 제공되는 사용자 음성신호를 입력받는 제1 마이크를 포함하고, 사용자의 제2 외이도로 삽입 가능한 제2 이어폰부; 및 상기 제1 이어폰부 및 제2 이어폰부에 각각 연결된 본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이어셋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사용자의 입으로부터 제공되는 음성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제2 마이크; 및 상기 제1 마이크 또는 제2 마이크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는 소음신호의 레벨 정도에 따라 상기 제1 마이크 또는 상기 제2 마이크를 수동 또는 자동으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셋.
A first earphone unit including a first speaker for outputting an audio signal or a voice signal provided from an external device, and inserted into a first ear canal of a user; A second earphone unit including a first microphone to receive a user voice signal provided through the ear canal of the user, and inserted into the second ear canal of the user; And a main body connected to the first earphone unit and the second earphone unit, respectively.
The main body includes a second microphone for receiving a voice signal provided from the mouth of the user; And a switch for selecting any one of the first microphone and the second microphone,
The switch is earset, characterized in that for manually or automatically selecting the first microphone or the second microphone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noise signal leve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가 상기 외부기기에 본체가 무선으로 연결되는 경우에,
상기 본체에는,
외부기기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신호 송수신부; 및
상기 제1 마이크로부터 입력된 음성신호를 상기 신호 송수신부를 통하여 상기 외부기기로 송신하고, 상기 신호 송수신부를 통하여 상기 외부기기로부터 수신된 음성신호를 상기 제1 스피커로 출력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셋.
The method of claim 1,
When the main body is wirelessly connected to the external device,
In the main body,
Signal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ignal with an external device; And
And a controller for transmitting a voice signal input from the first microphone to the external device through the signal transceiver, and outputting a voice signal received from the external device through the signal transceiver. Earset, characterized in tha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가 상기 외부기기에 유선으로 연결되는 경우에,
상기 본체에는,
상기 제1 마이크로부터 입력된 음성신호를 외부기기로 송신하고, 상기 외부기기로부터 수신된 음성신호를 상기 제1 스피커로 출력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셋.
The method of claim 1,
When the main body is wired to the external device,
In the main body,
And a controller for transmitting a voice signal input from the first microphone to an external device and outputting the voice signal received from the external device to the first speak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이어폰부에는 외부기기로부터 제공되는 음향신호 또는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제2 스피커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셋.
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second earphone unit further comprises a second speaker for outputting a sound signal or a voice signal provided from an external device.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피커의 출력이 상기 제1 마이크의 입력으로 전달되어 일어나는 에코현상을 줄이기 위해, 상기 제2 스피커의 출력 또는 제1마이크의 감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셋.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Earphones, characterized in that for adjusting at least one of the output of the second speaker or the sensitivity of the first microphone in order to reduce the echo caused by the output of the second speaker to the input of the first microphone.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이어폰부에는 상기 제1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에코 성분을 감소시키는 에코감소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에코감소수단은, 외부기기로부터 제2 스피커로 제공되는 음향신호 또는 음성신호를 입력받아 필터링하는 필터부와, 상기 필터부로부터 필터링되어 출력되는 음향신호 또는 음성신호의 위상을 반전시키는 위상반전부와, 상기 위상반전부로부터 위상반전되어 출력되는 음향신호 또는 음성신호와 제1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음향신호 또는 음성신호를 합성하는 신호합성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셋.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second earphone unit further includes echo reduction means for reducing an echo component included in a signal input from the first microphone,
The echo reduction means may include a filter unit for receiving and filtering an acoustic signal or an audio signal provided from an external device to the second speaker, and a phase inversion unit for inverting the phase of the acoustic signal or the audio signal filtered and output from the filter unit. And a signal synthesizing unit for synthesizing the sound signal or the audio signal outputted by the phase inversion from the phase inversion unit and the sound signal or the voice signal input from the first microphone.
제1 마이크 및 제1 스피커를 포함하는 제1 이어폰부 및 제2 마이크를 포함하는 제2 이어폰부를 포함하는 이어폰부; 및 상기 이어폰부의 외부에 위치하고 사용자의 입으로부터 제공되는 음성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제3 마이크;를 구비하여, 소음신호를 감지하고, 감지된 소음신호의 레벨 정도에 따라 상기 제1 마이크 및 제2 마이크를 선택하거나 제3 마이크를 선택하는 이어셋에 있어서,
상기 제1 이어폰부 및 제2 이어폰부에는 상기 제1 마이크 및 제2 마이크로 입력되는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에코 성분을 감소시키는 에코감소수단을 개별 또는 함께 포함하되,
상기 에코감소수단은, 외부기기로부터 제1 스피커 및 제2 스피커로 제공되는 음향신호 또는 음성신호를 입력받아 필터링하는 필터부와, 상기 필터부로부터 필터링되어 출력되는 음향신호 또는 음성신호의 위상을 반전시키는 위상반전부와, 상기 위상반전부로부터 위상반전되어 출력되는 음향신호 또는 음성신호와 제1 마이크 및 제2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음향신호 또는 음성신호를 합성하는 신호합성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셋.
An earphone unit including a first earphone unit including a first microphone and a first speaker, and a second earphone unit including a second microphone; And a third microphone positioned outside the earphone unit for receiving a voice signal provided from a user's mouth, detecting a noise signal, and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detected noise signal, the first microphone and the second microphone. For an earset that selects or selects a third microphone,
The first earphone unit and the second earphone unit includes an echo reduction means for reducing the echo component included in the signal input to the first microphone and the second microphone, individually or together,
The echo reduction means may include a filter unit configured to receive an audio signal or an audio signal provided to the first speaker and the second speaker from an external device and to filter the acoustic signal or the audio signal; And a phase synthesizing unit for synthesizing the sound signal or the audio signal outputted by the phase inverting unit from the phase inverting unit and the sound signal or the audio signal input from the first microphone and the second microphone. .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이어폰부에는 외부기기로부터 제공되는 음향신호 또는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제2 스피커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셋.
The method of claim 10,
And the second earphone unit further comprises a second speaker for outputting a sound signal or a voice signal provided from an external device.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피커 및 제2 스피커의 출력이 상기 제1 마이크 및 제2 마이크의 입력으로 전달되어 일어나는 에코현상을 줄이기 위해, 상기 제1 스피커 및 제2 스피커의 출력을 조절하는 출력조절 회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셋.
12. The method of claim 11,
In order to reduce the echo phenomenon caused by the output of the first speaker and the second speaker to the input of the first microphone and the second microphone, further comprising an output control circuit for adjusting the output of the first speaker and the second speaker Earset,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by.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피커 및 제2 스피커의 출력이 상기 제1 마이크 및 제2 마이크의 입력으로 전달되어 일어나는 에코현상을 줄이기 위해, 상기 제1 마이크 및 제2 마이크의 감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셋.
The method of claim 11,
Earset, characterized in that for adjusting the sensitivity of the first microphone and the second microphone, to reduce the echo phenomenon caused by the output of the first and second speakers to the input of the first microphone and the second microphone.
삭제delete
KR1020120077911A 2012-03-29 2012-07-17 Earset KR10134850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7911A KR101348505B1 (en) 2012-07-17 2012-07-17 Earset
PCT/KR2012/009489 WO2013147384A1 (en) 2012-03-29 2012-11-09 Wired and wireless earset using ear-insertion-type microphone
US14/388,007 US9654858B2 (en) 2012-03-29 2012-11-09 Wired and wireless earset using ear-insertion-type microphone
EP12873429.0A EP2833645B1 (en) 2012-03-29 2012-11-09 Wired and wireless earset using ear-insertion-type microphone
JP2015503090A JP2015515206A (en) 2012-03-29 2012-11-09 Wired earset with in-ear microphone
CN201280072038.9A CN104396275B (en) 2012-03-29 2012-11-09 Use the wire and wireless earphone of insert type microphone in ear
SG11201406152SA SG11201406152SA (en) 2012-03-29 2012-11-09 Wired and wireless earset using ear-insertion-type microphone
HK15103014.9A HK1202749A1 (en) 2012-03-29 2015-03-24 Wired and wireless earset using ear-insertion-type microphone
US15/066,760 US20160196834A1 (en) 2012-03-29 2016-03-10 Wired and wireless earset using ear-insertion-type microphone
US15/066,687 US9743172B2 (en) 2012-03-29 2016-03-10 Earset using ear-insertion-type microphone
JP2017138012A JP2017216712A (en) 2012-03-29 2017-07-14 Wired and wireless ear set using ear-insertion-type microph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7911A KR101348505B1 (en) 2012-07-17 2012-07-17 Earse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48505B1 true KR101348505B1 (en) 2014-01-07

Family

ID=501447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7911A KR101348505B1 (en) 2012-03-29 2012-07-17 Earse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8505B1 (en)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2422B1 (en) * 2014-09-17 2016-02-05 해보라 주식회사 Earset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WO2016028026A1 (en) * 2014-08-18 2016-02-25 해보라 주식회사 Wired and wireless earset
KR101598400B1 (en) * 2014-09-17 2016-02-29 해보라 주식회사 Earset and the control method for the same
KR20160026020A (en) 2014-08-29 2016-03-09 주식회사 이룸아이티 earset and audio signal operating system including the earset
KR101619133B1 (en) * 2014-12-22 2016-05-10 해보라 주식회사 Earset for interpretation
KR101634133B1 (en) 2015-01-26 2016-06-28 해보라 주식회사 Earset and control method for the earset
KR20160091620A (en) * 2015-01-26 2016-08-03 해보라 주식회사 Earset
KR101745531B1 (en) * 2016-06-27 2017-06-09 이인철 Bluetooth earphone system that is available to detect the noise of surroundings
WO2023158268A1 (en) * 2022-02-21 2023-08-24 삼성전자 주식회사 External noise-based microphone and sensor control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6390Y1 (en) 2006-06-15 2006-09-18 허명선 Earphone having microphone
KR20070105555A (en) * 2006-04-26 2007-10-31 허명선 Earphone having microphone
JP2008283326A (en) 2007-05-09 2008-11-20 Nappu Enterprise Kk Earphone microphone
KR101092958B1 (en) * 2011-05-25 2011-12-12 신두식 Earse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05555A (en) * 2006-04-26 2007-10-31 허명선 Earphone having microphone
KR200426390Y1 (en) 2006-06-15 2006-09-18 허명선 Earphone having microphone
JP2008283326A (en) 2007-05-09 2008-11-20 Nappu Enterprise Kk Earphone microphone
KR101092958B1 (en) * 2011-05-25 2011-12-12 신두식 Earset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28026A1 (en) * 2014-08-18 2016-02-25 해보라 주식회사 Wired and wireless earset
KR20160026020A (en) 2014-08-29 2016-03-09 주식회사 이룸아이티 earset and audio signal operating system including the earset
WO2016043522A1 (en) * 2014-09-17 2016-03-24 해보라(주) Ear-set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101598400B1 (en) * 2014-09-17 2016-02-29 해보라 주식회사 Earset and the control method for the same
US20160078881A1 (en) * 2014-09-17 2016-03-17 Haebora Co., Ltd. Earset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CN105430546A (en) * 2014-09-17 2016-03-23 哈博拉有限公司 Earset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KR101592422B1 (en) * 2014-09-17 2016-02-05 해보라 주식회사 Earset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US9691409B2 (en) * 2014-09-17 2017-06-27 Haebora Co., Ltd. Earset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KR101619133B1 (en) * 2014-12-22 2016-05-10 해보라 주식회사 Earset for interpretation
KR101634133B1 (en) 2015-01-26 2016-06-28 해보라 주식회사 Earset and control method for the earset
KR20160091620A (en) * 2015-01-26 2016-08-03 해보라 주식회사 Earset
KR101700822B1 (en) * 2015-01-26 2017-02-01 해보라 주식회사 Earset
KR101745531B1 (en) * 2016-06-27 2017-06-09 이인철 Bluetooth earphone system that is available to detect the noise of surroundings
WO2023158268A1 (en) * 2022-02-21 2023-08-24 삼성전자 주식회사 External noise-based microphone and sensor control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8505B1 (en) Earset
US9491542B2 (en) Automatic sound pass-through method and system for earphones
EP3039882B1 (en) Assisting conversation
KR101381289B1 (en) Wire and wireless earset using in ear-type microphone
JP5580464B2 (en) Hearing aid for providing a telephone signal
EP1994728B1 (en) Headset with ambient sound
JP2017163531A (en) Head-wearable hearing device
JP2017216712A (en) Wired and wireless ear set using ear-insertion-type microphone
US20050135644A1 (en) Digital cell phone with hearing aid functionality
US9542957B2 (en) Procedure and mechanism for controlling and using voice communication
US11343605B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right-left ear detection for headphones
JP2006074671A (en) Headset
EP4105925A1 (en) Headset with automatic noise reduction mode switching
KR101092957B1 (en) Microphone
EP2362677B1 (en) Earphone microphone
KR101045965B1 (en) Uses the grade signal of the speaker echo actual condition removal technique of the microphone phone
KR100809549B1 (en) Wireless headset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for both hearing aid and sound instrument
KR20080072324A (en) Earmicphone
KR101595270B1 (en) Wire and wireless earset
US10200795B2 (en) Method of operating a hearing system for conducting telephone calls and a corresponding hearing system
JP3667701B2 (en) Handset
KR101109748B1 (en) Microphone
KR101860523B1 (en) A Hearing Device Having a Structure of a Separated Algorism Processing Module
KR101022312B1 (en) Earmicrophone
KR20170018554A (en) Sound filter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