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8142B1 - 얼굴인식기술을 이용하여 분류된 개인 또는 그룹 유형별 맞춤형 콘텐츠 제공 방법 및 그러한 시스템 - Google Patents

얼굴인식기술을 이용하여 분류된 개인 또는 그룹 유형별 맞춤형 콘텐츠 제공 방법 및 그러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8142B1
KR101348142B1 KR1020130110753A KR20130110753A KR101348142B1 KR 101348142 B1 KR101348142 B1 KR 101348142B1 KR 1020130110753 A KR1020130110753 A KR 1020130110753A KR 20130110753 A KR20130110753 A KR 20130110753A KR 101348142 B1 KR101348142 B1 KR 1013481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ge
gender
type
group
pers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07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승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어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어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어셀
Priority to KR10201301107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81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81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81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1Acquiring end-user identification, e.g. using personal code sent by the remote control or by inserting a card
    • H04N21/4415Acquiring end-user identification, e.g. using personal code sent by the remote control or by inserting a card using biometric characteristics of the user, e.g. by voice recognition or fingerprint scan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 G06V40/172Classification, e.g. identif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age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얼굴인식기술을 이용하여 분류된 개인 또는 그룹 유형별 맞춤형 콘텐츠 제공 방법 및 그러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설치된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물로부터 검출된 인물(들)의 성별/연령을 도출함과 동시에, 그러한 인물(들)이 한명인가 두명 이상의 복수인가를 분석하여 각각 개인 유형 또는 그룹 유형으로 분류하고, 특히 그룹 유형으로 분류되는 경우 그룹을 이루는 각 개인의 성별/연령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그룹의 타입을 지정하고, 나아가 상기 개인 유형으로 분류된 경우, 해당 성별/연령 정보에 기초하여 그러한 성별/연령에 최적화된 콘텐츠가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송출되게 하고, 상기 그룹 유형으로 분류된 경우, 상기 해당 그룹의 타입(예컨대, 친구, 이성, 가족 등)에 기초하여 그러한 그룹의 타입에 최적화된 콘텐츠가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송출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분류된 개인 또는 그룹별로 최적화된 맞춤형 타겟팅 콘텐츠를 노출 또는 송출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얼굴인식기술을 이용하여 분류된 개인 또는 그룹 유형별 맞춤형 콘텐츠 제공 방법 및 그러한 시스템{The method for providing the customized marketing contens for the customers classified as individuals or groups by using face recognition technology and the system thereof}
본 발명은 얼굴인식기술을 이용하여 분류된 개인 또는 그룹 유형별 맞춤형 콘텐츠 제공 방법 및 그러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설치된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물로부터 검출된 인물(들)의 성별/연령을 도출함과 동시에, 그러한 인물(들)이 한명인가 두명 이상의 복수인가를 분석하여 각각 개인 유형 또는 그룹 유형으로 분류하고, 특히 그룹 유형으로 분류되는 경우 그룹을 이루는 각 개인의 성별/연령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그룹의 타입을 지정하고, 나아가 상기 개인 유형으로 분류된 경우, 해당 성별/연령 정보에 기초하여 그러한 성별/연령에 최적화된 콘텐츠가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송출되게 하고, 상기 그룹 유형으로 분류된 경우, 상기 해당 그룹의 타입(예컨대, 친구, 이성, 가족 등)에 기초하여 그러한 그룹의 타입에 최적화된 콘텐츠가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송출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분류된 개인 또는 그룹별로 최적화된 맞춤형 타겟팅 콘텐츠를 노출 또는 송출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재 디지털 영상 정보 제공 장치(소위, 디지털 사이니지(Digital Signage) 기술)는 지속적인 발전을 거듭하고 있으며, 각종 센서를 통하여 사람이 지나가는지 유무를 식별하거나 응시 인원의 수를 감지하여 콘텐츠를 발송할 수 있는 단계까지 발전하였다. 이러한 발전을 통하여 기존의 단순 1000명당 광고비 책정 방식인 CPM 등의 광고 산술 방식을 초월하여, 응시 인원에 대한 광고비 책정 방법 등 다양한 광고비 책정방식이 도입되고 있으며, 이러한 디지털 사이니지의 발전을 통하여 다양한 콘텐츠의 유통, 즉 공공콘텐츠, 관광콘텐츠, 상업콘텐츠, 정보콘텐츠 등 다양한 종류의 콘텐츠들이 유동인구 및 해당 디지털 사이니지의 시청자에게 송출되고 있으며, 현재에도 널리 사용되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디지털 사이니지의 기술과 콘텐츠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콘텐츠 노출 내지 송출 대상은 불특정 인물에 대한 추상적인 추측에 기초한 무작위적인 콘텐츠 노출 또는 송출 형태에 머무르고 있으며, 해당 디지털 사이니지를 응시하는 사람이 어떠한 사람인지에 대한 정확한 타겟팅에 기초한 정보 제공 또는 광고 노출 등은 현실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특히 개개인이 아닌, 복수의 인물로 이루어진 그룹이 응시할 경우, 해당 인물을 그룹으로 묶어 판단하고, 그러한 그룹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맞춤형으로 제공하는 기술은 전혀 없었던 것이 사실이다.
이러한 그룹의 경우, 가족, 연인, 친구 등 그룹의 특성에 따라 대부분 소비의 특성과 취향, 패턴이 달라지므로 실질적으로 콘텐츠 노출 또는 송출 시 중요한 요소인 것인 사실임에도 불구하고, 응시하는 인물의 그룹 특성을 판별해 줄 수 있는 기술이 아직까지 상용화되지 않아, 해당 유동인구에 대한 대략의 특성을 파악한 후, 예컨대 해당 설치 장소는 가족 여행객이 많이 다닌다는 식의 추상적인 판단에 기초하여 그룹 콘텐츠를 노출 또는 송출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므로 이러한 디지털 사이니지 등의 콘텐츠 제공 매체에서 이를 응시하고 있는 인물(들)이 어느 연령대의 어떤 성별을 가진 인물인지에 대한 바이오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이러한 바이오 정보에 기초하여 파악된 인물들이 복수일 경우, 해당 바이오 정보를 바탕으로 특정 그룹으로 규정하고 그에 맞게 타겟팅된 광고가 노출 또는 송출될 수 있다면, 이는 기존의 광고 및 정보 콘텐츠 발송 방법과는 달리 정확한 타겟팅 광고가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발명자는 얼굴인식 기반의 분석 툴을 개발하여 카메라를 통해 검출된 얼굴영역에 대응하는 성별/연령을 도출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함과 동시에, 촬영된 영상물로부터 검출된 인물(들)이 한명인가 두명 이상의 복수인가를 분석하여 각각 개인 유형 또는 그룹 유형으로 분류하고, 특히 그룹 유형으로 분류되는 경우 그룹을 이루는 각 개인의 성별/연령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그룹의 타입을 지정하고, 나아가 상기 개인 유형으로 분류된 경우, 해당 성별/연령 정보에 기초하여 그러한 성별/연령에 적합 내지 최적화된 콘텐츠가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송출되게 하고, 상기 그룹 유형으로 분류된 경우, 상기 해당 그룹의 타입에 기초하여 그러한 그룹의 타입에 적합 내지 최적화된 콘텐츠가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송출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분류된 개인 또는 그룹별로 최적화된 맞춤형 타겟팅 콘텐츠를 노출 또는 송출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을 개발하기에 이르른 것이다.
-공개특허 10-2004-0068743 -공개특허 10-2001-0103058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카메라를 응시하는 인물(들)의 성별/연령 정보를 정확히 도출할 수 있고, 그러한 인물(들)의 성별/연령 정보에 기초하여 개인 유형 또는 그룹 유형으로 분류하고, 특히 그룹 유형으로 분류되는 경우 그룹을 이루는 각 개인의 성별/연령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그룹의 타입, 예컨대 친구, 이성, 가족 등의 그룹으로 지정하고, 나아가 상기 개인 유형으로 분류된 경우, 해당 성별/연령 정보에 기초하여 그러한 성별/연령에 적합 내지 최적화된 콘텐츠가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송출되게 하고, 상기 그룹 유형으로 분류된 경우, 상기 해당 그룹의 타입에 기초하여 그러한 그룹의 타입에 적합 내지 최적화된 콘텐츠가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송출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를 응시하는 개인의 성별/연령 또는 개인의 군집으로 이루어진 그룹의 타입에 각각 최적화된 맞춤형 타겟팅 콘텐츠를 개인별 또는 그룹별로 노출 또는 송출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얼굴인식기술을 이용하여 분류된 개인 또는 그룹 유형별 맞춤형 콘텐츠 제공 방법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장치에 설치된 카메라를 통하여 촬영된 영상물로부터 모든 인물의 얼굴영역을 검출하는 단계; 해당 얼굴영역에서 각각의 인물 고유의 특징점으로 이루어지는 좌표를 선정하여 해당 좌표값을 프로메타데이터로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프로메타데이터와 기존에 누적되어 있는 연령 또는 성별 프로메타데이터 패턴과 대비하여 촬영된 영상물에 포함된 인물의 성별/연령 정보를 도출하는 단계; 상기 촬영된 영상물에서 검출된 인물이 한명인가 두명 이상의 복수인가를 분석하여 개인 유형 또는 그룹 유형으로 각각 분류하는 단계로서, 상기 그룹 유형으로 분류되는 경우, 그룹을 이루는 각 개인의 성별/연령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그룹 타입을 지정하는 단계; 및 상기 개인 유형으로 분류된 경우, 해당 성별/연령 정보에 기초하여 그러한 성별/연령에 대응되는 콘텐츠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송출되게 하고, 상기 그룹 유형으로 분류된 경우, 상기 해당 그룹의 타입에 기초하여 그러한 그룹의 타입에 대응되는 콘텐츠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송출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로메타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는, 촬영된 얼굴영역에서 얼굴의 코 부위를 기준 좌표로 선정하고, 그 기준 좌표를 중심으로 3차원으로 모델링함 동시에, 그 3차원 얼굴모델로부터 얼굴특징점을 3차원 좌표값으로 검출함으로써, 개인 고유의 프로메타데이터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그룹 타입은 아동, 친구, 이성 또는 가족으로 분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인식된 인물의 인원수 또는 성별은 무관하며 인식된 인물의 연령이 아동 나이일 경우 아동 그룹 타입으로 지정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인식된 인물의 인원수는 복수이며 인식된 인물의 성별이 남성이며 연령이 청소년 나이일 경우 친구 A 타입으로 지정하고, 상기 인식된 인물의 인원수는 복수이며 인식된 인물의 성별이 여성이며 연령이 청소년 나이일 경우 친구 B 타입으로 지정하고, 상기 인식된 인물의 인원수는 복수이며 인식된 인물의 성별이 남성이며 최고연령자와 최저연령자의 나이차가 20세 미만일 경우 친구 C 타입으로 지정하고, 상기 인식된 인물의 인원수는 복수이며 인식된 인물의 성별이 여성이며 최고연령자와 최저연령자의 나이차가 20세 미만일 경우 친구 D 타입으로 지정하고, 상기 인식된 인물의 인원수는 복수이며 인식된 인물의 성별이 동성이며 연령이 모두 노년 나이일 경우 친구 E 타입으로 지정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인식된 인물의 인원수는 2명이며 인식된 인물의 성별이 남성과 여성이며 연령이 청소년 나이일 경우 이성 A 타입으로 지정하고, 상기 인식된 인물의 인원수는 2명이며 인식된 인물의 성별이 남성과 여성이며 연령차가 20세 미만이며 평균나이가 20~39세인 경우 이성 B 타입으로 지정하고, 상기 인식된 인물의 인원수는 2명이며 인식된 인물의 성별이 남성과 여성이며 연령차가 20세 미만이며 평균나이가 40~59세인 경우 이성 C 타입으로 지정하고, 상기 인식된 인물의 인원수는 2명이며 인식된 인물의 성별이 남성과 여성이며 연령이 모두 노년 나이일 경우 이성 D 타입으로 지정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인식된 인물의 인원수는 3명 이상이며 그 중 2명의 성별은 남성과 여성이며 성인 나이이며, 나머지 인물은 적어도 한명이며 성별은 무관하며 연령은 아동 나이일 경우 가족 A로 지정하고, 상기 인식된 인물의 인원수는 3명 이상이며 그 중 2명의 성별은 남성과 여성이며 연령차가 20세 미만이며, 나머지 인물은 적어도 한명이며 성별은 무관하며 연령은 20세 이상일 경우 가족 B로 지정하고, 상기 인식된 인물의 인원수는 3명 이상이며 그 중 2명의 성별은 남성과 여성이며 연령이 모두 노년 나이며, 나머지 인물은 적어도 한명이며 성별은 무관하며 연령은 아동 또는 청소년 나이일 경우 가족 C로 지정하고, 상기 인식된 인물의 인원수는 2명 이상이며 그중 1명의 성별은 남성이며 연령이 성인 나이이며 나머지 인물은 적어도 한명이며 성별은 무관하며 연령은 해당 성인 남성의 나이와 20세 이상 차이가 나는 경우 가족 D로 지정하고, 상기 인식된 인물의 인원수는 2명 이상이며 그중 1명의 성별은 여성이며 연령이 성인 나이이며 나머지 인물은 적어도 한명이며 성별은 무관하며 연령은 해당 성인 여성의 나이와 20세 이상 차이가 나는 경우 가족 E로 지정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얼굴인식기술을 이용하여 분류된 개인 또는 그룹 유형별 맞춤형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맞춤형 콘테츠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인물의 영상 정보를 촬영하는 카메라가 구비된 디스플레이 장치;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설치된 카메라를 통하여 촬영된 영상물로부터 모든 인물의 얼굴영역을 검출하고, 해당 얼굴영역에서 각각의 인물 고유의 특징점으로 이루어지는 좌표를 선정하여 해당 좌표값을 프로메타데이터로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프로메타데이터와 기존에 누적되어 있는 연령 또는 성별 프로메타데이터 패턴과 대비하여 촬영된 영상물에 포함된 인물의 성별/연령 정보를 각각 도출하고, 상기 촬영된 영상물에서 검출된 인물이 한명인가 두명 이상의 복수인가를 분석하여 개인 유형 또는 그룹 유형으로 각각 분류하고, 상기 그룹 유형으로 분류되는 경우, 그룹을 이루는 각 개인의 성별/연령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그룹 타입을 지정하는 얼굴 인식 및 그룹 유형 분류 모듈; 및 상기 개인 유형으로 분류된 경우, 해당 성별/연령 정보에 기초하여 그러한 성별/연령에 대응되는 콘텐츠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송출되게 하고, 상기 그룹 유형으로 분류된 경우, 상기 해당 그룹의 타입에 기초하여 그러한 그룹의 타입에 대응되는 콘텐츠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송출되게 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카메라를 응시하는 인물(들)의 성별/연령 정보를 정확히 도출할 수 있고, 그러한 인물(들)의 성별/연령 정보에 기초하여 개인 유형 또는 그룹 유형으로 분류하고, 특히 그룹 유형으로 분류되는 경우 그룹을 이루는 각 개인의 성별/연령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그룹의 타입, 예컨대 친구, 이성, 가족 등의 그룹으로 지정하고, 나아가 상기 개인 유형으로 분류된 경우, 해당 성별/연령 정보에 기초하여 그러한 성별/연령에 적합 내지 최적화된 콘텐츠가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송출되게 하고, 상기 그룹 유형으로 분류된 경우, 상기 해당 그룹의 타입에 기초하여 그러한 그룹의 타입에 적합 내지 최적화된 콘텐츠가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송출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를 응시하는 개인의 성별/연령 또는 개인의 군집으로 이루어진 그룹의 타입에 각각 최적화된 맞춤형 콘텐츠를 개인별 또는 그룹별로 노출 또는 송출하여 정확한 타겟팅 광고 또는 정보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고, 그 결과 기존의 방법과 대비하여 광고 효과를 극대화시켜 우수한 집객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사람이 보행하거나 대기하는 모든 장소, 예컨대 교통 정류소, 쇼핑몰, 은행, 할인점, 휴게소, 공항 등과 같이 사람의 이동 동선 또는 대기 장소 어느 곳에 설치되어 해당 개인과 그룹의 정보를 분석하여 해당 유형에 맞는 콘텐츠를 제공함으로써, 콘텐츠 제공자가 사전에 계획하였던 타겟에 대한 정확한 콘텐츠 송출을 할 수 있으며, 응시자 역시 본인 개인이나 소속 그룹의 취향에 맞는 콘텐츠 정보를 효율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고, 그 결과 무차별적인 콘텐츠 노출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콘텐츠 노출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고, 나아가 콘텐츠 제공 매체인 디지털 사이니지 매체에 대한 대중의 호감도를 상승시킬 수 있는 기대효과를 가진다.
또한, 개인의 이미지 등 직접적인 신상정보를 수집하지 아니하고, 바이오정보 및 그룹정보만을 수집함으로써, 개인의 프라이버시 침해 및 인권침해 요소를 원천적으로 차단하면서도 매체 운영자 또는 콘텐츠 제공자가 원하는 타겟 고객에게 효과적으로 콘텐츠를 노출 또는 송출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개인 또는 그룹 유형별 맞춤형 콘텐츠 제공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3차원으로 모델링화된 얼굴모델로부터 얼굴의 28개 특징점을 표시한 사진과 그 28개의 얼굴특징점을 3차원 좌표값으로 검출하여 개인 고유의 프로메타데이터를 추출하는 것을 나타내는 화면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도 3에서 추출된 프로메타데이터와 기존에 누적되어 있는 연령 또는 성별 프로메타데이터 패턴과 대비하여 검출된 인물의 성별/연령 정보를 표시하는 화면예시도이다.
도 4는 도 2 및 도 3을 통해 검출된 한명의 인물에 대한 성별/연령 정보에 기초하여 개인별 유형을 구분하는 분류기준을 정의하는 분류체계이다.
도 5는 도 2 및 도 3을 통해 검출된 적어도 2명의 인물에 대한 성별/연령 정보에 기초하여 그룹별 타입을 구분하는 분류기준을 정의하는 분류체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개인 또는 그룹 유형별 맞춤형 콘텐츠 제공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얼굴인식기술을 이용하여 분류된 개인 또는 그룹 유형별 맞춤형 콘텐츠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방법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설치된 카메라를 통하여 촬영된 영상물로부터 모든 인물의 얼굴영역을 검출하는 단계(S10), 해당 얼굴영역에서 각각의 인물 고유의 특징점으로 이루어지는 좌표를 선정하여 해당 좌표값을 프로메타데이터로 추출하는 단계(S20), 상기 추출된 프로메타데이터와 기존에 누적되어 있는 연령 또는 성별 프로메타데이터 패턴과 대비하여 촬영된 영상물에 포함된 인물의 성별/연령 정보를 도출하는 단계(S30), 상기 촬영된 영상물에서 검출된 인물이 한명인가 두명 이상의 복수인가를 분석하여 개인 유형 또는 그룹 유형으로 각각 분류하는 단계(S40), 그룹 유형으로 분류되는 경우, 그룹을 이루는 각 개인의 성별/연령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그룹 타입을 지정하는 단계(S50), 상기 개인 유형으로 분류된 경우, 해당 성별/연령 정보에 기초하여 그러한 성별/연령에 대응되는 콘텐츠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송출되게 하는 단계(S60), 및 그룹 유형으로 분류된 경우, 상기 해당 그룹의 타입에 기초하여 그러한 그룹의 타입에 대응되는 콘텐츠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송출되게 하는 단계(S70)로 이루어진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에 설치된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물로부터 영상물속의 모든 인물의 얼굴영역을 검출한다. 이와 같은 얼굴영역 검출 방법은 얼굴영역 인식의 최소범위를 픽셀 사이즈로 특정한 상태에서, 촬영된 영상물에서 영상의 사이즈에 맞추어 픽셀 단위로 횡으로 이동하면서 얼굴영역을 인식하기 위한 활동을 전개하는 단계 A, 상기 A 단계를 지속적으로 반복하면서 상기 특정 픽셀 사이즈에 얼굴영역이 검출이 안될 경우, 픽셀 사이즈를 점진적으로 증가시키면서 얼굴영역 추적 동작을 반복하게 하는 단계 B, 및 상기 단계 B에서 얼굴영역으로 인식된 해당 얼굴영역의 픽셀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C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얼굴영역 인식의 최소 범위를 30×30 픽셀 사이즈로 특정하고, 상기 B 단계에서 30×30 픽셀 사이즈에서 얼굴영역이 검출되지 않을 경우, 31×31 픽셀 사이즈, 32×32 픽셀 사이즈로 증가시켜가면서 얼굴 검출 동작을 반복 진행한다.
그 다음, 해당 얼굴영역에서 각각의 인물(들) 고유의 특징점으로 이루어지는 좌표를 선정하여 해당 좌표값을 프로메타데이터로 추출하는 단계(S20)를 거치게 되는데, 이 단계(S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영된 얼굴영역에서 얼굴의 코 부위를 기준 좌표로 선정하고, 그 기준 좌표를 중심으로 3차원으로 모델링함 동시에, 그 3차원 얼굴모델로부터 얼굴특징점을 3차원 좌표값으로 검출함으로써, 개인 고유의 프로메타데이터를 추출하도록 구성된다.
그 다음, 상기 추출된 프로메타데이터와 기존에 누적되어 있는 연령 또는 성별 프로메타데이터 패턴과 대비하여 촬영된 영상물에 포함된 인물의 성별/연령 정보를 도출하게 되는데(S30), 도 2에 도시된 프로메타데이터 추출 단계를 거쳐서 DB에 이미 누적 저장된 연령 또는 성별 프레메타데이터 패턴과 대비함으로써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고객의 성별/연령을 도출하게 되는 것이다.
그 다음, 상기 촬영된 영상물에서 검출된 인물이 한명인가 두명 이상의 복수인가를 분석함으로써, 한명일 경우 개인 유형으로, 두명 이상의 복수일 경우 그룹 유형으로 각각 분류하게 된다(S40). 여기서, 검출된 인물이 한명일 경우 도 4에 도시된 개인별 유형을 구분하는 분류체계에 기초하여 개인 유형을 정의하게 된다. 예컨대, 성별이 남성이며 30대인 경우, 30대 남성 유형으로 정의되고, 성별이 여성이며 50대인 경우, 50대 여성 유형으로 정의되게 된다.
그 다음, 상기 촬영된 영상물에서 검출된 인물이 두명 이상의 복수일 경우, 그룹 유형으로 분류되고, 해당 그룹을 이루는 각 개인의 성별/연령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그룹 타입을 지정하게 된다(S50). 여기서, 그룹 타입은 크게 아동, 친구, 이성 또는 가족으로 분류될 수 있지만, 다양한 그룹 분류 체계를 적용시킬 수 있음은 명백하다. 도 5는 그룹별 타입을 구분하는 분류기준을 정의하는 분류체계의 일례를 도시하는데, 상기 분류체계에 의하면, 검출되는 인물의 인원수, 연령, 성별 정보에 기초하여 아동, 친구 A, 친구 B, 친구 C, 친구 D, 친구 E, 이성 A, 이성 B, 이성 C, 이성 D, 가족 A, 가족 B, 가족 C, 가족 D, 가족 E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인식된 인물의 인원수 또는 성별은 무관하며 인식된 인물의 연령이 아동 나이일 경우 아동 그룹 타입으로 지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식된 인물의 인원수는 복수이며 인식된 인물의 성별이 남성이며 연령이 청소년 나이일 경우 친구 A 타입으로 지정하고, 상기 인식된 인물의 인원수는 복수이며 인식된 인물의 성별이 여성이며 연령이 청소년 나이일 경우 친구 B 타입으로 지정하고, 상기 인식된 인물의 인원수는 복수이며 인식된 인물의 성별이 남성이며 최고연령자와 최저연령자의 나이차가 20세 미만일 경우 친구 C 타입으로 지정하고, 상기 인식된 인물의 인원수는 복수이며 인식된 인물의 성별이 여성이며 최고연령자와 최저연령자의 나이차가 20세 미만일 경우 친구 D 타입으로 지정하고, 상기 인식된 인물의 인원수는 복수이며 인식된 인물의 성별이 동성이며 연령이 모두 노년 나이일 경우 친구 E 타입으로 지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식된 인물의 인원수는 2명이며 인식된 인물의 성별이 남성과 여성이며 연령이 청소년 나이일 경우 이성 A 타입으로 지정하고, 상기 인식된 인물의 인원수는 2명이며 인식된 인물의 성별이 남성과 여성이며 연령차가 20세 미만이며 평균나이가 20~39세인 경우 이성 B 타입으로 지정하고, 상기 인식된 인물의 인원수는 2명이며 인식된 인물의 성별이 남성과 여성이며 연령차가 20세 미만이며 평균나이가 40~59세인 경우 이성 C 타입으로 지정하고, 상기 인식된 인물의 인원수는 2명이며 인식된 인물의 성별이 남성과 여성이며 연령이 모두 노년 나이일 경우 이성 D 타입으로 지정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인식된 인물의 인원수는 3명 이상이며 그 중 2명의 성별은 남성과 여성이며 성인 나이이며, 나머지 인물은 적어도 한명이며 성별은 무관하며 연령은 아동 나이일 경우 가족 A로 지정하고, 상기 인식된 인물의 인원수는 3명 이상이며 그 중 2명의 성별은 남성과 여성이며 연령차가 20세 미만이며, 나머지 인물은 적어도 한명이며 성별은 무관하며 연령은 20세 이상일 경우 가족 B로 지정하고, 상기 인식된 인물의 인원수는 3명 이상이며 그 중 2명의 성별은 남성과 여성이며 연령이 모두 노년 나이며, 나머지 인물은 적어도 한명이며 성별은 무관하며 연령은 아동 또는 청소년 나이일 경우 가족 C로 지정하고, 상기 인식된 인물의 인원수는 2명 이상이며 그중 1명의 성별은 남성이며 연령이 성인 나이이며 나머지 인물은 적어도 한명이며 성별은 무관하며 연령은 해당 성인 남성의 나이와 20세 이상 차이가 나는 경우 가족 D로 지정하고, 상기 인식된 인물의 인원수는 2명 이상이며 그중 1명의 성별은 여성이며 연령이 성인 나이이며 나머지 인물은 적어도 한명이며 성별은 무관하며 연령은 해당 성인 여성의 나이와 20세 이상 차이가 나는 경우 가족 E로 지정될 수 있다. 앞서 강조한 바와 같이, 이러한 그룹 타입의 분류체계는 하나의 예시일 뿐인 바, 디스플레이 장치의 용도 및 설치 장소 등을 감안하여 다양한 분류체계로 그룹 타입을 지정할 수 있다.
그 다음, 상기 개인 유형으로 분류된 경우, 해당 성별/연령 정보에 기초하여 그러한 성별/연령에 대응되는 콘텐츠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송출되게 한다(S60). 예컨대, 검출된 인물이 청소년 남성일 경우에는 그러한 성별/연령에 최적화되어 그 노출 효과가 우수한 학원 정보 또는 신규 게임 정보 등이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실시간으로 노출 또는 송출되게 한다. 물론, 사전에 청소년 남성에게 노출 또는 송출될 콘텐츠는 그에 대응되게 지정되어 있어야만 할 것이다.
그 다음, 그룹 유형으로 분류된 경우, 상기 해당 그룹의 타입에 기초하여 그러한 그룹의 타입에 대응되는 콘텐츠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송출되게 한다(S70). 예컨대, 그룹 타입 이성 B로 분류된 인물로 인지할 경우에는 이성 B에 대응하는 그룹 성격, 즉 성인 20~30대 이성/연인/부부 구성을 가진 그룹으로 파악하고, 그러한 그룹 성격에 적합 내지 최적화된 콘텐츠를 맞춤형으로 노출 또는 송출하게 한다. 또한, 20대 남성 1명과 40대 여성 1명, 50대 남성 1명이 검출되었을 경우, 이는 성인 자녀를 둔 일반 가족 구성인 가족 B로 해석되어, 사전에 해당 그룹에 맞춰 타겟팅되도록 지정된 콘텐츠가 해당 그룹에게 노출 또는 송출되게 된다.
이러한 일련의 얼굴인식을 통한 프로메타데이타의 추출과 이를 기반으로 한 개인의 바이오정보 획득, 개인이 복수일 경우, 그룹분석을 하고 최종적으로 해당 그룹에 타겟 맞춤으로 지정된 콘텐츠를 대상에게 송출한 경우, 본 특허의 프로세스는 1 사이클이 완료되며, 이와 같은 사이클을 반복적으로 실행되게 된다.
이 때, 인물에 대한 신상 정보, 예컨대 촬영된 이미지 및 개인 정보는 전혀 저장되지 않고, 성별과 연령과 같은 바이오 정보값과 이를 통하여 추출된 개인 및 그룹의 정보값만을 저장하여 개인 신상 정보 촬영과 저장에 따른 개인 정보의 무단 수집을 하지 않도록 한다. 예를 들어 홍길동이란 사람이 분석되었을 경우, 해당 인물의 얼굴 이미지 등은 기록되지 않고, 30대 남성 및 친구 A 그룹 등 개인의 직접적인 신상과 무관한 정보만을 기록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얼굴인식기술을 이용하여 분류된 개인 또는 그룹 유형별 맞춤형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맞춤형 콘테츠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인물의 영상 정보를 촬영하는 카메라가 구비된 디스플레이 장치,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설치된 카메라를 통하여 촬영된 영상물로부터 모든 인물의 얼굴영역을 검출하고, 해당 얼굴영역에서 각각의 인물 고유의 특징점으로 이루어지는 좌표를 선정하여 해당 좌표값을 프로메타데이터로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프로메타데이터와 기존에 누적되어 있는 연령 또는 성별 프로메타데이터 패턴과 대비하여 촬영된 영상물에 포함된 인물의 성별/연령 정보를 각각 도출하고, 상기 촬영된 영상물에서 검출된 인물이 한명인가 두명 이상의 복수인가를 분석하여 개인 유형 또는 그룹 유형으로 각각 분류하고, 상기 그룹 유형으로 분류되는 경우, 그룹을 이루는 각 개인의 성별/연령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그룹 타입을 지정하는 얼굴 인식 및 그룹 유형 분류 모듈, 및 상기 개인 유형으로 분류된 경우, 해당 성별/연령 정보에 기초하여 그러한 성별/연령에 대응되는 콘텐츠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송출되게 하고, 상기 그룹 유형으로 분류된 경우, 상기 해당 그룹의 타입에 기초하여 그러한 그룹의 타입에 대응되는 콘텐츠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송출되게 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시스템은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구체적으로 구현한 구성이기에, 여기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실시 예에 관련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은 특정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당 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고서도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당업자들이 본 발명을 통해서 쉽게 구현할 수 있는 단순한 설계적 변경 내지 수정 또는 프로그램상의 작동 순서 변경 등은 모두 명백하게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속하게 됨을 미리 밝혀 두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 및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장소에 설치될 수 있다. 물론, 하기 장소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장소에 설치될 수 있음은 명백하다.
-공항내 부스 A
공항내 관광 안내를 위해 설치될 수 있고, 특히 연인/가족 단위의 여행자로 이루어지는 그룹 타입에 타겟을 맞추어 가족/연인을 위한 이벤트 콘텐츠, 공항내 주요 관광지 등을 맞춤형으로 제공할 수 있다.
-공항내 부스 B
공항내 면세점 등에 설치될 수 있고, 특히 면세점에서 구매력이 높은 20대 또는 30대의 여성에 타겟을 맞추어 면세점 각 연령/성별 베스트 상품 콘텐츠 등을 맞춤형으로 제공할 수 있따.
-광고(매체사) 운용
특정 장소에 제한되지 않고, 광고 매체사가 광고주 등의 의뢰에 의해 노출하고자 하는 지점 어디에도 설치될 수 있고, 특히 광고주가 진행하는 이벤트를 특정 연령/성별에 맞게 타겟팅하여 노출 또는 송출시킬 수 있다.
-지자체/기관 운용
지자체 또는 기관 등에 의해 관광지/명소 홍보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는데, 가족/연인 단위의 방문자로 이루어지는 그룹 타입에 타겟을 맞추어 관광명소/숙소/맛집 등에 콘텐츠 정보를 노출 또는 송출시킬 수 있다.

Claims (8)

  1. 얼굴인식기술을 이용하여 분류된 개인 또는 그룹 유형별 맞춤형 콘텐츠 제공 방법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장치에 설치된 카메라를 통하여 촬영된 영상물로부터 모든 인물의 얼굴영역을 검출하는 단계;
    해당 얼굴영역에서 각각의 인물 고유의 특징점으로 이루어지는 좌표를 선정하여 해당 좌표값을 프로메타데이터로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프로메타데이터와 기존에 누적되어 있는 연령 또는 성별 프로메타데이터 패턴과 대비하여 촬영된 영상물에 포함된 인물의 성별/연령 정보를 도출하는 단계;
    상기 촬영된 영상물에서 검출된 인물이 한명인가 두명 이상의 복수인가를 분석하여 개인 유형 또는 그룹 유형으로 각각 분류하는 단계로서, 상기 그룹 유형으로 분류되는 경우, 그룹을 이루는 각 개인의 성별/연령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그룹 타입을 지정하는 단계; 및
    상기 개인 유형으로 분류된 경우, 해당 성별/연령 정보에 기초하여 그러한 성별/연령에 대응되는 콘텐츠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송출되게 하고, 상기 그룹 유형으로 분류된 경우, 상기 해당 그룹의 타입에 기초하여 그러한 그룹의 타입에 대응되는 콘텐츠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송출되게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메타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는,
    촬영된 얼굴영역에서 얼굴의 코 부위를 기준 좌표로 선정하고, 그 기준 좌표를 중심으로 3차원으로 모델링함 동시에, 그 3차원 얼굴모델로부터 얼굴특징점을 3차원 좌표값으로 검출함으로써, 개인 고유의 프로메타데이터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 타입은 아동, 친구, 이성 또는 가족으로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된 인물의 인원수 또는 성별은 무관하며 인식된 인물의 연령이 아동 나이일 경우 아동 그룹 타입으로 지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된 인물의 인원수는 복수이며 인식된 인물의 성별이 남성이며 연령이 청소년 나이일 경우 친구 A 타입으로 지정하고, 상기 인식된 인물의 인원수는 복수이며 인식된 인물의 성별이 여성이며 연령이 청소년 나이일 경우 친구 B 타입으로 지정하고, 상기 인식된 인물의 인원수는 복수이며 인식된 인물의 성별이 남성이며 최고연령자와 최저연령자의 나이차가 20세 미만일 경우 친구 C 타입으로 지정하고, 상기 인식된 인물의 인원수는 복수이며 인식된 인물의 성별이 여성이며 최고연령자와 최저연령자의 나이차가 20세 미만일 경우 친구 D 타입으로 지정하고, 상기 인식된 인물의 인원수는 복수이며 인식된 인물의 성별이 동성이며 연령이 모두 노년 나이일 경우 친구 E 타입으로 지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된 인물의 인원수는 2명이며 인식된 인물의 성별이 남성과 여성이며 연령이 청소년 나이일 경우 이성 A 타입으로 지정하고, 상기 인식된 인물의 인원수는 2명이며 인식된 인물의 성별이 남성과 여성이며 연령차가 20세 미만이며 평균나이가 20~39세인 경우 이성 B 타입으로 지정하고, 상기 인식된 인물의 인원수는 2명이며 인식된 인물의 성별이 남성과 여성이며 연령차가 20세 미만이며 평균나이가 40~59세인 경우 이성 C 타입으로 지정하고, 상기 인식된 인물의 인원수는 2명이며 인식된 인물의 성별이 남성과 여성이며 연령이 모두 노년 나이일 경우 이성 D 타입으로 지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된 인물의 인원수는 3명 이상이며 그 중 2명의 성별은 남성과 여성이며 성인 나이이며, 나머지 인물은 적어도 한명이며 성별은 무관하며 연령은 아동 나이일 경우 가족 A로 지정하고, 상기 인식된 인물의 인원수는 3명 이상이며 그 중 2명의 성별은 남성과 여성이며 연령차가 20세 미만이며, 나머지 인물은 적어도 한명이며 성별은 무관하며 연령은 20세 이상일 경우 가족 B로 지정하고, 상기 인식된 인물의 인원수는 3명 이상이며 그 중 2명의 성별은 남성과 여성이며 연령이 모두 노년 나이며, 나머지 인물은 적어도 한명이며 성별은 무관하며 연령은 아동 또는 청소년 나이일 경우 가족 C로 지정하고, 상기 인식된 인물의 인원수는 2명 이상이며 그중 1명의 성별은 남성이며 연령이 성인 나이이며 나머지 인물은 적어도 한명이며 성별은 무관하며 연령은 해당 성인 남성의 나이와 20세 이상 차이가 나는 경우 가족 D로 지정하고, 상기 인식된 인물의 인원수는 2명 이상이며 그중 1명의 성별은 여성이며 연령이 성인 나이이며 나머지 인물은 적어도 한명이며 성별은 무관하며 연령은 해당 성인 여성의 나이와 20세 이상 차이가 나는 경우 가족 E로 지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얼굴인식기술을 이용하여 분류된 개인 또는 그룹 유형별 맞춤형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맞춤형 콘테츠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인물의 영상 정보를 촬영하는 카메라가 구비된 디스플레이 장치;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설치된 카메라를 통하여 촬영된 영상물로부터 모든 인물의 얼굴영역을 검출하고, 해당 얼굴영역에서 각각의 인물 고유의 특징점으로 이루어지는 좌표를 선정하여 해당 좌표값을 프로메타데이터로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프로메타데이터와 기존에 누적되어 있는 연령 또는 성별 프로메타데이터 패턴과 대비하여 촬영된 영상물에 포함된 인물의 성별/연령 정보를 각각 도출하고, 상기 촬영된 영상물에서 검출된 인물이 한명인가 두명 이상의 복수인가를 분석하여 개인 유형 또는 그룹 유형으로 각각 분류하고, 상기 그룹 유형으로 분류되는 경우, 그룹을 이루는 각 개인의 성별/연령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그룹 타입을 지정하는 얼굴 인식 및 그룹 유형 분류 모듈; 및
    상기 개인 유형으로 분류된 경우, 해당 성별/연령 정보에 기초하여 그러한 성별/연령에 대응되는 콘텐츠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송출되게 하고, 상기 그룹 유형으로 분류된 경우, 상기 해당 그룹의 타입에 기초하여 그러한 그룹의 타입에 대응되는 콘텐츠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송출되게 하는 제어 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KR1020130110753A 2013-09-14 2013-09-14 얼굴인식기술을 이용하여 분류된 개인 또는 그룹 유형별 맞춤형 콘텐츠 제공 방법 및 그러한 시스템 KR1013481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0753A KR101348142B1 (ko) 2013-09-14 2013-09-14 얼굴인식기술을 이용하여 분류된 개인 또는 그룹 유형별 맞춤형 콘텐츠 제공 방법 및 그러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0753A KR101348142B1 (ko) 2013-09-14 2013-09-14 얼굴인식기술을 이용하여 분류된 개인 또는 그룹 유형별 맞춤형 콘텐츠 제공 방법 및 그러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48142B1 true KR101348142B1 (ko) 2014-01-07

Family

ID=501446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0753A KR101348142B1 (ko) 2013-09-14 2013-09-14 얼굴인식기술을 이용하여 분류된 개인 또는 그룹 유형별 맞춤형 콘텐츠 제공 방법 및 그러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8142B1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9794B1 (ko) * 2014-01-06 2014-07-15 주식회사 코어셀 학교 방문자의 얼굴인식을 통한 학교 출입자 관리 방법
KR101501378B1 (ko) * 2012-10-12 2015-03-12 소니 주식회사 비디오 스트리밍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60036747A (ko) 2014-09-25 2016-04-05 디노플러스 (주) 지역적 특성이 반영된 맞춤형 광고를 위한 빅데이터 구축시스템
WO2016126060A1 (ko) * 2015-02-02 2016-08-11 주식회사 에스에프엠케이솔루션 스마트 윈도우를 이용한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
KR101708130B1 (ko) * 2015-11-04 2017-02-17 케이티하이텔 주식회사 셋톱박스를 이용하여 tv를 시청하고 있는 실제 시청자에 대한 추천상품을 제공하는 상품추천방법
KR101791775B1 (ko) * 2016-01-18 2017-11-20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전시회 홍보 키오스크의 전시회 홍보 서비스 제공방법
KR20190105314A (ko) 2018-03-05 2019-09-17 주식회사 세중아이에스 소비자 객체 분석 시스템
KR20200121458A (ko) * 2019-04-16 2020-10-26 주식회사 이큐미디어 융복합형 다중인식 사이니지 시스템
KR20210028378A (ko) 2019-09-04 2021-03-12 황왕호 무의식적 기제 및 의식적 행동 유형 프로파일 방법 및 장치
KR20210054227A (ko) * 2019-11-05 2021-05-13 신주헌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KR102295807B1 (ko) * 2020-02-24 2021-08-31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컨시어지 로봇 및 이를 이용한 고객 맞춤형 서비스 제공 방법
US11175789B2 (en) 2018-11-13 2021-11-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electronic apparatus thereof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69395A (ko) * 2008-12-16 2010-06-24 주식회사 케이티 얼굴 인식 기술을 이용하여 사용자에 따라 특화된 아이피티브이 콘텐츠를 추천하는 시스템 및 방법
JP2011133988A (ja) 2009-12-22 2011-07-07 Sony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69395A (ko) * 2008-12-16 2010-06-24 주식회사 케이티 얼굴 인식 기술을 이용하여 사용자에 따라 특화된 아이피티브이 콘텐츠를 추천하는 시스템 및 방법
JP2011133988A (ja) 2009-12-22 2011-07-07 Sony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1378B1 (ko) * 2012-10-12 2015-03-12 소니 주식회사 비디오 스트리밍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419794B1 (ko) * 2014-01-06 2014-07-15 주식회사 코어셀 학교 방문자의 얼굴인식을 통한 학교 출입자 관리 방법
KR20160036747A (ko) 2014-09-25 2016-04-05 디노플러스 (주) 지역적 특성이 반영된 맞춤형 광고를 위한 빅데이터 구축시스템
WO2016126060A1 (ko) * 2015-02-02 2016-08-11 주식회사 에스에프엠케이솔루션 스마트 윈도우를 이용한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
KR101708130B1 (ko) * 2015-11-04 2017-02-17 케이티하이텔 주식회사 셋톱박스를 이용하여 tv를 시청하고 있는 실제 시청자에 대한 추천상품을 제공하는 상품추천방법
KR101791775B1 (ko) * 2016-01-18 2017-11-20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전시회 홍보 키오스크의 전시회 홍보 서비스 제공방법
KR20190105314A (ko) 2018-03-05 2019-09-17 주식회사 세중아이에스 소비자 객체 분석 시스템
US11175789B2 (en) 2018-11-13 2021-11-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electronic apparatus thereof
KR20200121458A (ko) * 2019-04-16 2020-10-26 주식회사 이큐미디어 융복합형 다중인식 사이니지 시스템
KR102194605B1 (ko) * 2019-04-16 2020-12-23 주식회사 이큐미디어 융복합형 다중인식 사이니지 시스템
KR20210028378A (ko) 2019-09-04 2021-03-12 황왕호 무의식적 기제 및 의식적 행동 유형 프로파일 방법 및 장치
KR20210054227A (ko) * 2019-11-05 2021-05-13 신주헌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KR102290855B1 (ko) * 2019-11-05 2021-08-18 신주헌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KR102295807B1 (ko) * 2020-02-24 2021-08-31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컨시어지 로봇 및 이를 이용한 고객 맞춤형 서비스 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8142B1 (ko) 얼굴인식기술을 이용하여 분류된 개인 또는 그룹 유형별 맞춤형 콘텐츠 제공 방법 및 그러한 시스템
US1039526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nsor data analysis through machine learning
CN109271832B (zh) 人流分析方法、人流分析装置以及人流分析系统
JP6267861B2 (ja) 対話型広告のための使用測定技法およびシステム
WO2019149005A1 (zh) 一种线下互动式广告系统
KR101643915B1 (ko) 지역적 특성이 반영된 맞춤형 광고를 위한 빅데이터 구축시스템
US20150088637A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CN102930454A (zh) 基于多感知技术的智能3d广告推荐方法
JP4676160B2 (ja) 情報通知方法、および、情報通知システム
JP2006285409A (ja) 店舗等における人数及び人流カウント方法並びにこれらを利用したインストアマーチャンダイジングの提言方法。
US20120109715A1 (en) Visualizing visitation patterns at sites of a commercial facility
JP6498900B2 (ja) 広告評価システム、広告評価方法
JP2012252613A (ja) 顧客行動追跡型映像配信システム
CN114168644A (zh) 展览场景的交互方法、设备及系统
JP2019066700A (ja) 制御方法、情報処理装置及び制御プログラム
Yu et al. AI-based targeted advertising system
EP2136329A2 (en) Comprehensive computer implemented system and method for adapting the content of digital signage displays
US20230111437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ent recognition and data categorization
KR101187773B1 (ko) 동작인식 맞춤형 광고시스템
KR102478149B1 (ko) 인공지능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
KR20200004014A (ko) 의류피팅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및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을 이용한 상품 디스플레이 방법
CN114746882A (zh) 交互感知和内容呈现的系统和方法
Alt et al. Orbuculum-Predicting When Users Intend to Leave Large Public Displays
KR20210001437A (ko) 사용자 맞춤형 광고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210070005A (ko) 빅 데이터와 인공 지능 알고리즘을 통한 고객 개인 맞춤형 패션 디자인 판매용 디지털 사이니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