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7420B1 - The system and method of selling products with user created content - Google Patents

The system and method of selling products with user created cont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7420B1
KR101347420B1 KR1020130019517A KR20130019517A KR101347420B1 KR 101347420 B1 KR101347420 B1 KR 101347420B1 KR 1020130019517 A KR1020130019517 A KR 1020130019517A KR 20130019517 A KR20130019517 A KR 20130019517A KR 101347420 B1 KR101347420 B1 KR 1013474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information
content
merchandise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951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원미경
Original Assignee
원미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미경 filed Critical 원미경
Priority to KR10201300195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742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74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742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3Lists, e.g. purchase orders, compilation or proces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a method for selling products using user created content in a product selling system based on a wired/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net and, more specifically, to a method and a system based on user created content in a method for a product seller to configure the content of sale products. For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ystem includes: at least one product purchaser terminal, a product seller terminal; a product seller terminal; a content creator terminal; and a system server, in a method in which the system server uses user created content in a product selling system connected through the wired/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net. The system server performs the steps of: writing and maintaining the user created content with attribute of including at least one among a part of the sale products or the product configuring elements in a database; and supplying the information of the sales product, which is constituted on the basis of the attribute of the user created content, for the product purchaser terminal. [Reference numerals] (10) Content manufacturer terminal; (100) Content recording part; (11) Content manufacturer; (20) Product seller terminal; (200) Database; (21) Product seller; (30) System server; (300) Product information providing part; (40) Product purchaser terminal; (400) Product selling page; (41) Product purchaser; (50) Communication network

Description

사용자 제작 콘텐츠를 활용한 상품 판매 방법 및 시스템 {The system and method of selling products with user created content}The system and method of selling products with user created content}

본 발명은 유무선 네트워크 통신망 기반의 상품 판매 시스템에서 사용자 제작 콘텐츠를 활용한 상품 판매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품 판매자가 판매 상품의 내용을 구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제작 콘텐츠를 기반으로 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duct sales method and system using user-generated content in a product sales system based on a wired / wireless network, and more particularly, based on user-generated content in a method in which a product seller configures contents of a product for sale. To a method and system.

일반적으로 기존의 유무선 네트워크 통신망 기반의 상품 판매 시스템에서 상품 판매자는 상품 판매를 위해 먼저 판매할 상품을 정하고, 상품의 가격과 함께 상품 사진, 상품 설명 등의 판매 상품 정보를 상품 구매자에게 제공한다. 이 과정에서 판매자는 판매할 상품이 구매자에게 매력적으로 보이도록 상품 정보를 작성하기 위해서, 사진 및 동영상을 촬영하고 설명을 작성하는 등의 수고를 해야 한다.In general, in a conventional merchandise sales system based on a wired /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network, a merchandise seller first selects a merchandise to be sold for merchandise sales, and provides merchandise buyers with merchandise information such as merchandise pictures and merchandise descriptions. In this process, the seller needs to take photos and videos, write a description, etc. in order to create product information so that the product to be sold is attractive to the buyer.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방식은 기술의 진보, 생활 및 여가 문화의 변화로 인해 온라인으로 판매할 수 있는 상품 및 서비스의 종류가 보다 다양해지고 고차원적으로 변함에 따라, 판매할 상품을 선정하고, 구매자에게 어필할 수 있도록 상품 정보를 작성하는 것이, 소자본의 초기 창업자에게는 시간적, 금전적인 비용 부담으로 작용하게 된다.
However, this conventional method is to select products to sell and appeal to buyers as the types of products and services that can be sold online are more diversified and advanced due to technological advances, changes in life and leisure culture. Creating commodity information so that it can be a time and money cost burden for the early founders of small capital.

또한, 판매하고자 하는 상품을 홍보하기 위한 마케팅 비용도 소자본의 창업자에게는 큰 부담으로 작용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marketing cost to promote the product to sell is also a great burden for the founder of small capital.

일반적으로 사용자 제작 콘텐츠(User Created Content)는 사용자가 만들어낸 정보로서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등과 같은 다양한 포맷으로 구현된다. 이러한 사용자 제작 콘텐츠는 사용자의 경험, 지식 등에 기반하여 생성되며 다른 사용자의 흥미나 공감을 이끌어낼 수 있는 정보로서의 가치를 지닌다.
In general, user created content is information created by a user and implemented in various formats such as text, images, and videos. Such user-generated content is generated based on the user's experience, knowledge, and the like, and has value as information that can lead to interest or empathy of other users.

기존에 상품 판매자가 사용자 제작 콘텐츠를 상품 판매 방법에 활용하는 방법은, 콘텐츠를 제작하는 사용자의 블로그 등의 플랫폼을 이용하여 상품을 홍보하거나, 상품 정보 내에 사용자 제작 콘텐츠를 삽입해 홍보 수단으로 이용하는 것에 한정되어 왔다. 콘텐츠 제작자는 자신이 작성한 콘텐츠에 상품 정보를 삽입함으로써 구매가 발생했을 때 수익을 배당받거나, 또는 상품 판매와는 별개로, 콘텐츠 유통 플랫폼에 콘텐츠를 판매하는 방식으로 이익을 창출할 수 있다.
Conventionally, a seller of merchandise utilizes user-generated content as a method of selling a product by using a platform such as a blog of a user who produces the content to promote the product or inserting the user-generated content into the product information as a means of promotion. It has been limited. The content producer can generate profits by inserting product information into the contents created by the user and receiving profits when a purchase occurs, or by selling the content on a content distribution platform separately from selling the product.

기존의 상품 판매 시스템에서 상품 판매자가 사용자 제작 콘텐츠를 활용하는 방법은 상품에 대한 홍보 수단으로서의 목적에 한정되어 있다. 사용자 제작 콘텐츠를 활용하는 방법에 대한 관심은 날로 증대되고 있고, 이를 수익 모델로 개발하는 것이 중요한 이슈로 등장했다.The way in which a merchandise seller utilizes user-generated content in the existing merchandise sales system is limited to the purpose as a promotional means for merchandise. Interest in how to use user-generated content is increasing day by day, and developing it as a revenue model has emerged as an important issue.

KRKR 10120004800001012000480000 AA KR1020110139492 A 2011.12.19, 7쪽, 12-19줄, 도면2KR1020110139492 A 2011.12.19, p. 7, line 12-19, drawing 2 KRKR 10201001122741020100112274 AA KRKR 10201000904841020100090484 AA KRKR 10200900015951020090001595 AA

따라서, 본 발명은 유무선 네트워크 통신망 기반의 상품 판매 사이트에서 상품 판매자가 판매 상품의 내용을 구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제작 콘텐츠를 기반으로 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개시하여, 상품 판매자는 판매할 상품을 선정하는 데 있어 이미 사용자에 의해 한 차례 검증된 사용자 제작 콘텐츠에 기술된 상품 또는 상품 구성요소의 일부를 사용함으로써 상품 개발 투자 비용에 대한 감소 효과를 얻게 됨은 물론, 상품 정보를 제공함에 있어 기 작성된 사용자 제작 콘텐츠를 활용함으로써 시간적, 금전적인 비용 절감 효과를 얻고, 부수적으로 마케팅 효과까지 얻을 수 있는 상품 판매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method and system based on user-generated content in a method for commodity sellers to configure the content of a commodity in a commodity sales site based on a wired /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network, wherein the commodity seller selects a product to sell. By using some of the products or component elements described in the user-generated content that has already been verified once by the user, the user can reduce the investment in product development, as well as pre-created user-generated content in providing the product information.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roduct sales method and system that can obtain time- and financial-cost-saving effects, and additionally, marketing effect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상품 구매자 단말기, 상품 판매자 단말기 및 콘텐츠 제작자 단말기, 시스템 서버가 유무선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된 상품 판매 시스템에서 사용자 제작 콘텐츠를 활용하는 방법에 있어서, 판매 상품 또는 상품 구성요소의 일부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속성의 상기 사용자 제작 콘텐츠를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고 유지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사용자 제작 콘텐츠의 상기 속성을 기반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판매 상품의 정보를 상기 상품 구매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상기 시스템 서버를 포함하는 상품 판매 방법인 것에 특징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t least one product buyer terminal, product seller terminal and content producer terminal, a system server using the user-generated content in a product sales system connected via a wired or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network, the product sold Or recording and maintaining the user-generated content of the attribute including at least one of a portion of a commodity component in a database and based on the attribute of the at least one user-generated content recorded in the databas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erchandise selling method comprising the system server for performing the step of providing information of the merchandise to the merchandise buyer terminal.

상기 상품 판매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제작 콘텐츠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고 유지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상품 판매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사용자 제작 콘텐츠를 등록받는 제 1방법, 콘텐츠 제작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사용자 제작 콘텐츠를 등록받는 제 2방법 및 상기 사용자 제작 콘텐츠의 수집 및 파싱 작업을 수행하는 제 3방법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특징이 있다.In the merchandise selling method, the step of recording and maintaining the user-generated content in the database comprises: a first method of registering the user-generated content from the product seller terminal; receiving the user-generated content from a content producer terminal And at least one of a second method and a third method of collecting and parsing the user-generated content.

여기에서, 제 3방법은, 판매 상품의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쿼리 정보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단계 이후에, 생성된 상기 쿼리 정보 파일을 입력받아 쿼리로 사용할 키워드에 해당하는 샘플링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단계 이후에, 생성된 상기 샘플링 파일을 입력받아 웹상에서 사용자 제작 콘텐츠 문서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단계 이후에, 수집된 상기 문서를 링크 정보와 텍스트 정보로 추출하는 단계, 상기 단계 이후에, 추출된 상기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고 유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상품 판매 방법인 것에 특징이 있다.
The third method may include generating a query information file corresponding to a category of a sale product, and after the step, receiving the generated query information file and generating a sampling file corresponding to a keyword to be used as a query. And after the step, receiving the generated sampling file and collecting the user-generated content document on the web, after the step, extracting the collected document into link information and text information, after the step,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recording and maintaining the extracted information in a database.

상기 상품 판매 방법에 있어서, 상기 판매 상품의 정보를 상기 상품 구매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판매 상품이 하나의 구성요소로 이루어진 경우, 상기 판매 상품 정보는 오직 하나의 사용자 제작 콘텐츠를 기반으로 구성되는 제 1규칙, 상기 판매 상품이 복수개의 구성요소로 이루어진 경우, 상기 판매 상품 정보는 하나의 사용자 제작 콘텐츠, 또는 서로 중복되지 않는 구성요소를 갖는 복수개의 서로 다른 사용자 제작 콘텐츠를 기반으로 구성되는 제 2규칙 및 서로 중복되는 구성요소를 갖는 복수개의 서로 다른 사용자 제작 콘텐츠의 개수에 따라 동일한 상품명을 가지는 상품의 개수가 정해지는 제 3규칙을 포함하는, 상기 상품 판매자 단말기로부터 판매 상품 정보 승인 처리 정보를 받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시스템 서버에 기 설정된 보상 방식을 이용하여 콘텐츠 제작자에게 보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상품 판매 방법인 것에 특징이 있다.
In the merchandise selling method, the step of providing the merchandise information of the merchandise to the merchandise purchaser terminal includes, when the merchandise is made up of one component, the merchandise merchandise information is based on only one user-generated content. In the first rule, when the sale product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components, the sale product information is configured based on one user-produced content or a plurality of different user-produced contents having components that do not overlap each other. And a third rule in which the number of products having the same brand name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econd rule and the number of different user-generated contents having components overlapping each other. Receiving, and pre-set to the system server Steps to reward content creators using the compensation method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ethod further comprises product sales.

상기 상품 판매 시스템은, 판매 상품 또는 상품 구성요소의 일부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속성의 사용자 제작 콘텐츠를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고 유지하는 콘텐츠 기록부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사용자 제작 콘텐츠의 상기 속성을 기반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판매 상품의 정보를 상품 구매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상품 정보 제공부를 포함하는 시스템 서버를 포함하되, 시스템 서버는 상기의 상품 판매 방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erchandise sales system includes a content recorder that records and maintains user-generated content of an attribute including at least one of a merchandise or part of a merchandise component in a database and the attribute of the at least one user-generated content recorded in the database. And a system server including a product information providing unit configured to provide information on the selling product to a product purchaser terminal, wherein the system server performs the product selling method.

본 발명에 따르면, 상품 판매자는 판매할 상품을 선정하는 데 있어 이미 사용자에 의해 한 차례 검증된 사용자 제작 콘텐츠에 기술된 상품 또는 상품 구성요소의 일부를 사용함으로써 상품 개발 투자 비용에 대한 감소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erchandise seller obtains a reduction in the product development investment cost by using a part of the merchandise or merchandise components described in the user-generated content that has already been verified once by the user in selecting the merchandise for sale. It may provide a method and system that can be.

본 발명에 따르면, 상품 판매자는 상품 정보를 제공함에 있어 기 작성된 사용자 제작 콘텐츠를 활용함으로써 상품 구비, 상품 사진 및 동영상 촬영, 상품의 상세한 설명 작성 등에 소요되는 시간적, 금전적 비용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erchandise seller can utilize the user-created content in providing the product information to obtain the time and money cost savings required to prepare the product, photograph the product and video, and create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oduct And a system.

본 발명에 따르면, 시스템 서버가 콘텐츠 제작자 단말기로부터 상품 정보에 관한 사용자 제작 콘텐츠를 등록받거나 상품 정보 제공을 위한 사용자 제작 콘텐츠의 수집 및 파싱 작업을 수행하여 데이터베이스에 기록 및 유지할 수 있으므로, 상품 판매자는 간단한 운영 절차만으로 상품 정보를 완성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ystem server can register the user-generated content about the product information from the content producer terminal or collect and parse the user-generated content for providing the product information, it can record and maintain it in the database. Only operational procedures can provide a method and system that can achieve the effect of completing product information.

본 발명에 따르면, 판매 상품이 복수개의 구성요소로 이루어진 경우, 판매 상품 정보는 서로 중복되지 않는 구성요소를 갖는 복수개의 서로 다른 사용자 제작 콘텐츠를 기반으로 구성되는 규칙에 의해, 상품 판매자에게 다양한 상품을 개발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sale product is made up of a plurality of components, the sale product information is based on a plurality of different user-generated contents having elements that do not overlap each other, and thus, various items are sold to the product seller. It can provide a method and system that can be developed.

본 발명에 따르면, 서로 중복되는 구성요소를 갖는 복수개의 서로 다른 사용자 제작 콘텐츠의 개수에 따라 동일한 상품명을 가지는 상품의 개수가 정해지는 규칙에 의해, 상품 구매자에게 다양한 선택권을 행사할 수 있게 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and system for enabling a product buyer to exercise various choices by a rule in which the number of products having the same brand name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different user-generated contents having overlapping components. Can be provided.

본 발명에 따르면, 시스템 서버에 기 설정된 보상 방식을 이용하여 콘텐츠 제작자에게 보상함으로써 콘텐츠 제작자에게는 새로운 수익 모델을 창출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and a system capable of generating a new revenue model can be provided to a content producer by compensating the content creator using a compensation scheme set in the system server.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콘텐츠의 새로운 활용과 수익 창출로 인한 콘텐츠 제작자의 동기 부여로 말미암아, 검증된 사용자인 콘텐츠 제작자의 홍보 활동을 기대할 수 있으므로, 상품 판매자에게는 부수적인 마케팅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ecause of the motivation of the content creators due to the new utilization and revenue generation of the content, it is possible to expect the promotional activities of the content creator, a verified user, a method that can obtain ancillary marketing effect for the product seller and A system can be provid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상품 판매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사용자 제작 콘텐츠를 활용한 기존의 상품 판매 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사용자 제작 콘텐츠를 활용한 상품 판매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상품 판매 시스템에서 시스템 서버가 수행하는 사용자 제작 콘텐츠를 활용한 상품 판매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상품 판매 시스템에서 시스템 서버의 개략적인 프로세스를 도시한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상품 판매 시스템에서 사용자 제작 콘텐츠를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고 유지하는 단계 중 상품 판매자 단말기 또는 콘텐츠 제작자 단말기로부터 사용자 제작 콘텐츠를 등록받는 제 1방법 및 제 2방법의 백 오피스 운영툴 화면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상품 판매 시스템에서 사용자 제작 콘텐츠를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고 유지하는 단계 중 시스템 서버가 사용자 제작 콘텐츠의 수집 및 파싱 작업을 수행하는 제 3방법을 도시한 블록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판매 상품의 정보를 상품 구매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에서 상품 판매자 단말기로부터 판매 상품 정보 승인 처리 정보를 전송하는 백 오피스 운영툴 화면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상품 판매 방법 및 시스템을 이용한 상품 판매 과정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system for realizing a merchandise sell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flow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conventional merchandise sales method utilizing user-generated content.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duct selling method utilizing user-generated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flow of a merchandise selling method using user-generated content performed by a system server in a merchandise sell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chematic process of a system server in a product sales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back office of a first method and a second method of registering user-produced content from a product seller terminal or a content producer terminal during recording and maintaining a user-generated content in a database in a product sales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xample of operation tool screen.
FIG. 7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third method of collecting and parsing user generated content by a system server during recording and maintaining user generated content in a database in a merchandise sell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n exemplary back office operation tool screen for transmitting sales product information approval processing information from a merchandise seller terminal in the step of providing the merchandise buyer terminal information of the merchandi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product selling process using the product selling method and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by the embodiments, and lik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denote like elements.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nnecessarily obscured,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 설명에서 콘텐츠 제작자는 신뢰도 또는 인지도가 높은 블로그, 인터넷 커뮤니티, 인터넷 사이트 등의 운영자를 포함하고,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등과 같은 다양한 포맷으로 구현되는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는 모든 사용자를 더 포함한다.
Prior to the detailed descrip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content creator includes all users who can create content that is implemented in various formats such as text, images, videos, and the like, including operators of blogs, Internet communities, Internet sites, etc., which have high reliability or recognition. Include.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상품 판매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system for realizing a product sell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상품 판매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해서 상품 판매 시스템(1)이 구비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a product selling system 1 may be provided to realize a product sell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상품 판매 시스템(1)은 유무선 네트워크 통신망(50) 기반에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제작자 단말기(10), 상품 판매자 단말기(20) 및 상품 구매자 단말기(40), 사용자 제작 콘텐츠를 활용하는 상품 판매 시스템 서버(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merchandise sales system 1 is a merchandise sales system server utilizing at least one content producer terminal 10, a merchandise seller terminal 20 and a merchandise buyer terminal 40, and user-generated content based on a wired or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network 50.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30).

본 발명에서의 상기 유무선 네트워크 통신망(50)은 이동통신망, 인터넷과 같은 유무선 공중망이나 케이블망, 전용망 등과 같이 다양한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인터넷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모든 통신망을 포괄한다.The wired /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network 50 in the present invention encompasses all communication networks capable of internet data communication using various protocols such a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s, wired / wireless public networks such as the Internet, cable networks, dedicated networks, and the like.

이때, 상기 콘텐츠 제작자 단말기(10)는 콘텐츠의 제작 및 등록을 수행하기 위한 콘텐츠 제작자(11)가 상품 판매 시스템 서버(30)에 접속하기 위한 통신 접속 수단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상품 판매자 단말기(20)는 통신망(50)을 통하여 상품을 판매하고자 하는 상품 판매자(21)가 시스템 서버(30)에 접속하기 위한 통신 접속 수단을 의미한다. 상기 상품 판매자 단말기(20)는 상기 콘텐츠 제작자 단말기(10) 또는 상기 상품 판매자 단말기(20)에 의해 등록된, 혹은 상기 시스템 서버(30)에 의해 데이터베이스(200)에 기록 및 유지된 사용자 제작 콘텐츠를 기반으로 판매 상품의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상품 구매자 단말기(40)에 제공한다. 상기 상품 구매자 단말기(40)는 통신망(50)을 통하여 상품을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 구매자(41)가 상기 시스템 서버(30)에 접속하기 위한 통신 접속 수단을 의미한다. 상기 상품 구매자 단말기(40)는 상기 시스템 서버(30)에 연동된, 혹은 포함된, 상품 판매 페이지(400)에 접속하여 사용자 제작 콘텐츠를 포함하는 판매 상품 정보를 조회하고, 판매 상품 정보를 이용하여 상품을 구매할 수 있다. 여기서 언급된 통신 접속 수단은 컴퓨터 단말기, 이동통신 단말기, 스마트 단말기 등이 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ontent producer terminal 10 refers to a communication connection means for the content producer 11 to perform the production and registration of the content to the product sales system server 30. In addition, the merchandise seller terminal 20 means communication connection means for connecting the merchandise seller 21 who wants to sell merchandise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50 to the system server 30. The merchandise seller terminal 20 stores user-generated content registered by the content producer terminal 10 or the merchandise seller terminal 20 or recorded and maintained in the database 200 by the system server 30. Generates information on the merchandise on the basis of the merchandise, and provides the merchandise to the merchandise buyer terminal 40. The product purchaser terminal 40 means communication connection means for connecting a product purchaser 41, who wants to purchase a product via the communication network 50, to the system server 30. The merchandise purchaser terminal 40 accesses the merchandise sales page 400 linked to or included in the system server 30 to query the merchandise information including the user-generated content, and uses the merchandise sales information. You can buy goods.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means mentioned herein may be a computer terminal,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smart terminal and the like.

상기 시스템 서버(30)는 시스템 서버(30)에 접속한 상기 콘텐츠 제작자 단말기(10)와 상기 상품 판매자 단말기(20), 시스템 서버(30)를 통해 상기 상품 판매 페이지(400)에 접속한 상기 상품 구매자 단말기(40)를 대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상품 판매 서비스를 제공한다. 상기 시스템 서버(30) 및 상품 판매 페이지(400)는 필요에 따라서 콘텐츠 제작자(11), 상품 판매자(21), 상품 구매자(41)에게 회원 가입을 전제로 상기 상품 판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회원 가입 절차 없이도 상기 상품 판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The system server 30 is the product producer terminal 10 connected to the system server 30, the product seller terminal 20, the product connected to the product sales page 400 through the system server 30 The product sales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to the purchaser terminal 40. The system server 30 and the product selling page 400 may provide the product selling service on the premise that the content producer 11, the product seller 21, and the product buyer 41 subscribe to the membership. The product selling service can be provided without a membership registration process.

상기 시스템 서버(30)는 콘텐츠 기록부(100)와 상품 정보 제공부(300)를 포함한다. The system server 30 includes a content recording unit 100 and a product information providing unit 300.

상기 콘텐츠 기록부(100)는 상기 콘텐츠 제작자 단말기(10) 또는 상기 상품 판매자 단말기(20)로부터 사용자 제작 콘텐츠를 등록받거나 웹상의 사용자 제작 콘텐츠를 수집하고 파싱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방법으로 사용자 제작 콘텐츠를 상기 데이터베이스(200)에 기록하고 유지한다. 여기에서, 상기 사용자 제작 콘텐츠는 판매 상품 또는 상품 구성요소의 일부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속성을 가진 것이어야 한다.The content recording unit 100 registers user-generated content from the content producer terminal 10 or the merchandise seller terminal 20 or collects and parses user-generated content on the web. Record and maintain in database 200. In this case, the user-generated content should have an attribute including at least one of a sale product or a part of a product component.

상기 상품 정보 제공부(300)는 상기 데이터베이스(200)에 기록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제작 콘텐츠의 상기 속성을 기반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매 상품의 정보를 상기 상품 구매자 단말기(40)에 제공한다.
The merchandise information providing unit 300 provides the merchandise purchaser terminal 40 with the merchandise of the merchandise, which is configured based on the attribute of at least one user-generated content recorded in the database 200.

도 2는 사용자 제작 콘텐츠를 활용한 기존의 상품 판매 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n existing product selling method using user-generated content.

기존의 상품 판매 방법에서는 상품 판매자가 판매할 상품을 선정하고, 판매할 상품을 구성하여 상품 정보 작성을 위한 사진 촬영, 동영상 촬영 등의 사전 준비 작업을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상품 판매자(21)가 상품 판매자 단말기(20)에서 판매 상품 정보를 생성하면(단계 : S20), 상기 상품 판매자(21)는 상기의 상품 판매자 단말기(20)를 이용하여 판매할 상품에 대한 리뷰 작성을 요청하는 정보를 콘텐츠 제작자 단말기(10)로 전송한다(단계 : S22). 콘텐츠 제작자(11)는 상기의 콘텐츠 제작자 단말기(10)를 이용하여 상품에 대한 리뷰 정보를 생성하고(단계 : S10), 리뷰 정보를 상기의 상품 판매자 단말기(20)로 전송한다(단계 : S12). 상기 상품 판매자(21)는 상기의 상품 판매자 단말기(20)를 통해 전송받은 리뷰 정보를 바탕으로 판매 상품 정보를 부가적으로 생성하고(단계 : S24), 시스템 서버(30)에 판매 상품 정보를 전송한다(단계 : S26). 시스템 서버(30)는 상품 구매자 단말기(40)에 판매 상품 정보를 제공한다(단계 : S325).In the existing merchandise sales method, the merchandise seller selects the merchandise to be sold, configures the merchandise to be sold, and performs preliminary preparations such as photographing and video photographing to prepare merchandise information. Referring to FIG. 2, when the merchandise seller 21 generates the merchandise information on the merchandise seller terminal 20 through the above process (step: S20), the merchandise seller 21 receives the merchandise seller terminal ( 20) and transmits the information requesting the creation of a review for the product to be sold to the content producer terminal 10 (step: S22). The content producer 11 generates review information about the product using the content producer terminal 10 (step S10), and transmits the review information to the product seller terminal 20 (step: S12). . The merchandise seller 21 additionally generates sales merchandise information based on the review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merchandise seller terminal 20 (step: S24), and transmits merchandise information to the system server 30. (Step S26). The system server 30 provides the sale product information to the product purchaser terminal 40 (step: S325).

리뷰 정보를 바탕으로 생성된 부가적인 판매 상품 정보는 판매 상품에 대한 홍보 역할을 하게 된다. 리뷰 정보는 상품을 부가적으로 설명해줄 수 있고, 상품 구매자(41)의 상품 구매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리뷰 정보는 상품 판매 페이지(400) 내에 존재할 수 있고, 블로그나 인터넷 커뮤니티, 웹 사이트 등의 상품 판매 시스템(1) 외부에 존재할 수도 있다. 외부에 존재하는 경우 리뷰 정보 내에 상품 구매 정보를 포함하여 상품 구매자(41)의 상품 구매를 즉시 유도할 수도 있다.The additional selling product information generated based on the review information serves as a promotion of the selling product. The review information may additionally describe the product and may help the product buyer 41 purchase the product. The review information may exist within the product sales page 400 or may be external to the product sales system 1 such as a blog, an internet community, or a web site. When present outside, the product purchase information may be immediately induced by the product buyer 41 by including the product purchase information in the review information.

상기 상품 구매자(41)는 상품 구매자 단말기(40)를 이용하여 상품 구매 요청 정보를 상기 시스템 서버(30)에 전송하고(단계 : S400), 상기 시스템 서버(30)는 전송 받은 정보를 상기 상품 판매자 단말기(20)에 전송한다(단계 : S400). 상기 상품 판매자(21)는 전송 받은 상품 구매 요청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상품 판매자 단말기(20)에서 시스템 서버(30)를 통해 상기 상품 구매자 단말기(40)에 배송 정보를 전송한다(단계 : S225). 상기 상품 구매자 단말기(40)는 배송 받은 상품에 대해 상기 시스템 서버(30)에 상품 구매 확정 정보를 전송하고(단계 : S405), 상기 시스템 서버(30)는 기 설정된 보상 정보에 의해 판매 수익의 일부를 상기 콘텐츠 제작자 단말기(10)에 전송한다(단계 : S330).
The product buyer 41 transmits the product purchase request information to the system server 30 using the product purchaser terminal 40 (step: S400), and the system server 30 sends the received information to the product seller. Transfer to the terminal 20 (step: S400). The merchandise seller 21 transmits delivery information from the merchandise seller terminal 20 to the merchandise purchaser terminal 40 through the system server 30 based on the received merchandise purchase request information (step: S225). The product purchaser terminal 40 transmits the product purchase confirmation information to the system server 30 with respect to the received product (step S405), and the system server 30 sends a part of the sales revenue by the preset compensation information. To transmit to the content producer terminal 10 (step: S330).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사용자 제작 콘텐츠를 활용한 상품 판매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duct selling method using user-generated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품 판매자(21)는 판매할 상품에 대한 대분류의 카테고리만 정해놓은 상태에서 콘텐츠 제작자(11)로부터 판매 상품 또는 상품 구성요소의 일부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속성의 사용자 제작 콘텐츠를 전송 받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여행 상품’이라는 대분류의 카테고리에서 사용자 제작 콘텐츠는 개인의 여행 경험이 될 수 있다. 콘텐츠 내에는 숙박 시설 정보, 교통편 정보, 근처 식당 정보, 근처 관광지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상품 판매자(21)는 사용자 제작 콘텐츠를 바탕으로 여행 상품을 구성하여 판매 상품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 하나의 예를 들면, ‘반조리 식품’이라는 대분류의 카테고리에서 사용자 제작 콘텐츠는 요리 레시피가 될 수 있다. 콘텐츠 내에는 특정 요리에 대한 재료 정보, 요리 방법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상품 판매자(21)는 사용자 제작 콘텐츠를 바탕으로 요리에 필요한 재료를 구성하여 판매 상품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The merchandise seller 21 may receive user-generated content having an attribute including at least one of a merchandise or a part of a merchandise component from the content creator 11 in a state where only a large category of merchandise is set for the merchandise to be sold. For example, in a large category of "travel goods", user-generated content can be a personal travel experience. The content may include accommodation information, transportation information, nearby restaurant information, nearby tourist destination information, and the like, and the product seller 21 may generate travel product information by constructing a travel product based on user-generated content. In another example, user-generated content in a broad category of “cooked foods” can be cooking recipes. The content may include material information on a particular dish, a cooking method, and the like, and the product seller 21 may generate sales product information by configuring ingredients necessary for cooking based on user-generated content.

상기 상품 판매자(21)는 상품 판매자 단말기(20)를 이용하여 콘텐츠 제작자 단말기(10)로부터 사용자 제작 콘텐츠를 전송 받는다(S105). 상품 판매자(21)는 상품 판매자 단말기(20)를 통해 전송 받은 사용자 제작 콘텐츠를 미리 준비된 운영툴에 등록한다(단계 : S205). 등록하는 단계가 일어나게 되면, 사용자 제작 콘텐츠 등록 정보가 시스템 서버(30)에 전송되고(단계 : S210), 데이터베이스(200)에 기록 및 유지된다(단계 : S305). 또한, 콘텐츠 제작자 단말기(10)로부터 직접 사용자 제작 콘텐츠를 등록받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단계 : S110). 상품 판매 시스템(1)의 규모가 커짐에 따라 상기와 같은 방법이 좀 더 일반적이 될 것이다. 시스템 서버(30)는 콘텐츠 제작자 단말기(10)로부터 사용자 제작 콘텐츠 등록 정보를 전송받아(단계 : S115), 데이터베이스(200)에 기록 및 유지한다(단계 : S305). 여기에, 시스템 서버(30)가 직접 사용자 제작 콘텐츠를 수집 및 파싱(단계 : S300)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200)에 기록 및 유지할 수 있다(단계 : S305). 이 방법에 대해서는 도 7에서 더 자세히 설명할 것이다. 기록된 사용자 제작 콘텐츠에 대해서는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상품 판매자 단말기(20)와 콘텐츠 제작자 단말기(10)로부터의 확인과 승인 절차가 필요할 것이다. 이 시점에서, 시스템 서버(30)는 기 설정된 보상 정보를 바탕으로 콘텐츠 제작자 단말기(10)에 보상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단계 : S310).The merchandise seller 21 receives user-generated content from the content producer terminal 10 using the merchandise seller terminal 20 (S105). The merchandise seller 21 registers the user-generated content received through the merchandise seller terminal 20 in a prepared operation tool (step S205). When the step of registering occurs, user-generated content registra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system server 30 (step: S210), and recorded and maintained in the database 200 (step: S305). In addition, there may be a method of registering user-generated content directly from the content producer terminal 10 (step: S110). As the merchandise sales system 1 grows in size, the above method will become more general. The system server 30 receives the user-generated content registration information from the content producer terminal 10 (step S115), records and maintains it in the database 200 (step: S305). Here, the system server 30 may directly collect and parse user-generated content (step: S300) to record and maintain the data in the database 200 (step: S305). This method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in FIG. 7. For the recorded user-generated content, verification and approval procedures from the merchandise seller terminal 20 and the content producer terminal 10 will be required to increase accuracy. At this point, the system server 30 may transmit the reward information to the content producer terminal 10 based on the preset reward information (step: S310).

다음으로, 상기 시스템 서버(30)는 상기 데이터베이스(200)에 기록된 사용자 제작 콘텐츠의 정보를 상기 상품 판매자 단말기(20)에 전송하고(단계 : S315), 상품 판매자 단말기(20)는 판매 상품 정보에 대한 승인 처리를 하게 된다(단계 : S215). 상기 상품 판매자 단말기(20)로부터 상기 시스템 서버(30)로 판매 상품 정보 승인 처리 정보가 전송되면(단계 : S220), 비로소, 상기 시스템 서버(30)는 상품 구매자 단말기(40)에 판매 상품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단계 : S325). 이 시점에서, 상기 시스템 서버(30)는 기 설정된 보상 정보를 바탕으로 콘텐츠 제작자 단말기(10)에 보상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단계 : S320).Next, the system server 30 transmits the information of the user-generated content recorded in the database 200 to the merchandise seller terminal 20 (step: S315), the merchandise seller terminal 20 is the sale product information The approval process is performed (step S215). When the sales product information approval processing information is transmitted from the merchandise seller terminal 20 to the system server 30 (step: S220), the system server 30 finally sends the merchandise information to the merchandise purchaser terminal 40. Can be provided (step: S325). At this point, the system server 30 may transmit the reward information to the content producer terminal 10 based on the preset reward information (step S320).

상기 상품 구매자 단말기(40)는 제공된 판매 상품 정보를 바탕으로 상품을 구매 요청하는 정보를 상기 시스템 서버(30)를 통해 상품 판매자 단말기(20)에 전송한다(단계 : S400). 상기 상품 판매자 단말기(20)는 상기 상품 구매자 단말기(40)에 배송 정보를 전송하고(단계 : S225), 상기 상품 구매자 단말기(40)는 배송 받은 상품에 대한 상품 구매 확정 정보를 상기 시스템 서버(30)에 전송한다(단계 : S405). 이 시점에서, 상기 시스템 서버(30)는 기 설정된 보상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콘텐츠 제작자 단말기(10)에 보상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단계 : S330).
The merchandise purchaser terminal 40 transmits information requesting the purchase of the merchandise to the merchandise seller terminal 20 through the system server 30 based on the provided merchandise information (step: S400). The merchandise seller terminal 20 transmits the delivery information to the merchandise purchaser terminal 40 (step S225), and the merchandise purchaser terminal 40 sends the merchandise purchase confirmation information on the received merchandise to the system server 30 (Step: S405). At this point, the system server 30 may transmit the reward information to the content producer terminal 10 based on preset reward information (step: S330).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상품 판매 시스템에서 시스템 서버가 수행하는 사용자 제작 콘텐츠를 활용한 상품 판매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flow of a merchandise selling method using user-generated content performed by a system server in a merchandise sell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 제작 콘텐츠를 데이터베이스(200)에 기록하고 유지(단계 : S305)하는 방법에는 세 가지가 있다. 상품 판매자 단말기(20)로부터 사용자 제작 콘텐츠를 등록 받는 방법(단계 : S200), 콘텐츠 제작자 단말기(10)로부터 사용자 제작 콘텐츠를 등록 받는 방법(단계 : S100), 시스템 서버(30)가 사용자 제작 콘텐츠의 수집 및 파싱 작업을 수행하는 방법(단계 : S300)이다. 이 시점에서, 상기 시스템 서버(30)에 기 설정된 보상 정보에 따라 콘텐츠 제작자에게 보상하는 단계가 있을 수 있다(단계 : S310). 다음으로, 상기 시스템 서버(30)는 상기 데이터베이스(200)에 기록된 사용자 제작 콘텐츠의 정보에 대하여, 상기 상품 판매자 단말기(20)로부터 승인 처리 정보를 받게 된다(단계 : S220). 이 시점에서, 상기 시스템 서버(30)에 기 설정된 보상 정보에 따라 상기 콘텐츠 제작자(11)에게 보상하는 단계가 있을 수 있다(단계 : S320). 이후, 상기 시스템 서버(30)는 판매 상품의 정보를 상품 구매자 단말기(40)에 제공한다(단계 : S325). 시스템 서버(30)는 상품 구매자 단말기(40)로부터 상품 구매 확정 정보를 받고(단계 : S405), 이 시점에서, 시스템 서버(30)에 기 설정된 보상 정보에 따라 콘텐츠 제작자(11)에게 보상하는 단계가 있을 수 있다(단계 : S330).
Referring to FIG. 4, as described above, there are three methods for recording and maintaining user-generated content in the database 200 (S305). How to register the user-generated content from the product seller terminal 20 (step: S200), How to register the user-generated content from the content producer terminal 10 (step: S100), the system server 30 of the user-generated content How to perform the collection and parsing operation (step: S300). At this point, there may be a step of rewarding the content producer according to the reward information preset in the system server 30 (step: S310). Next, the system server 30 receives the approval processing information from the merchandise seller terminal 20 with respect to the information of the user-generated content recorded in the database 200 (step: S220). At this point, there may be a step of compensating for the content producer 11 according to the reward information preset in the system server 30 (step S320). Thereafter, the system server 30 provides the product purchaser terminal 40 with the information of the sale product (step: S325). The system server 30 receives the product purchase confirmation information from the product purchaser terminal 40 (step S405), and at this point, compensates the content producer 11 according to the compensation information preset in the system server 30. There may be (step: S330).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상품 판매 시스템에서 시스템 서버의 개략적인 프로세스를 도시한 흐름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chematic process of a system server in a product sales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시스템 서버(30)는 크게 콘텐츠 기록부(100)와 상품 정보 제공부(300)의 두 부분으로 나뉜다. 먼저, 콘텐츠 기록부(100)에서는 사용자 제작 콘텐츠를 데이터베이스(200)에 기록하고 유지하는 일을 수행하는데, 상품 판매자 단말기(20)로부터 사용자 제작 콘텐츠를 등록받는 제 1방법(단계 : S200), 콘텐츠 제작자 단말기(10)로부터 사용자 제작 콘텐츠를 등록받는 제 2방법(단계 : S100), 상기 시스템 서버(30)가 사용자 제작 콘텐츠를 수집하고 파싱하는 제 3방법(단계 : S300)의 세 가지에 의해 작업이 진행된다. 이후, 상품 정보 제공부(300)에서는 상기 데이터베이스(200)에 기록된 사용자 제작 콘텐츠로 구성된 판매 상품의 정보를 상품 구매자 단말기(40)에 제공하는 일을 수행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200)에 기록된 사용자 제작 콘텐츠로 구성된 판매 상품의 정보를 상기 상품 판매자 단말기(20)가 승인 처리 하게 되는데, 여기에는 세 가지의 규칙이 따른다(단계 : S220).Referring to FIG. 5, the system server 30 is largely divided into two parts, the content recording unit 100 and the product information providing unit 300. First, the content recorder 100 records and maintains user-generated content in the database 200. The first method (step: S200) of registering a user-generated content from the merchandise seller terminal 20 (content: S200) The work is performed by three methods of registering user-generated content from the terminal 10 (step: S100) and third method (step: S300) of collecting and parsing the user-generated content by the system server 30. Proceed. Subsequently, the product information providing unit 300 performs the task of providing the product purchaser terminal 40 with the information of the sale product composed of the user-generated content recorded in the database 200. The merchandise seller terminal 20 accepts and processes information on the merchandise, which is composed of user-generated content recorded in the database 200, which follows three rules (step: S220).

판매 상품이 하나의 구성요소로 이루어진 경우, 판매 상품 정보는 오직 하나의 사용자 제작 콘텐츠를 바탕으로 구성되는 것이 제 1규칙이다. 예를 들면, 판매 상품이 ‘레스토랑 식사권’이라면 사용자 제작 콘텐츠는 해당 레스토랑에 대한 식사 경험이 내용이 될 것인데, 동일한 레스토랑에 대한 식사 경험에 대한 콘텐츠는 동일 상품 안에 하나만 포함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상품 판매자(21)는 가장 잘 작성된 사용자 제작 콘텐츠를 선별하여 상품 정보를 작성할 수 있다.In the case where the merchandise is made up of one component, it is the first rule that the merchandise is sold based on only one user-generated content. For example, if the product being sold is 'restaurant meal ticket', the user-generated content will be the dining experience of the restaurant, and only one content of the dining experience of the same restaurant will be included in the same product. In this process, the merchandise seller 21 may select the most well-written user-generated content and prepare the merchandise information.

판매 상품이 복수개의 구성요소로 이루어진 경우, 판매 상품 정보는 하나의 사용자 제작 콘텐츠, 또는 서로 중복되지 않는 구성요소를 갖는 복수개의 서로 다른 사용자 제작 콘텐츠를 기반으로 구성되는 것이 제 2규칙이다. 예를 들면, 판매 상품이 ‘여행 상품’이고 상품 구성이 숙박, 교통편, 식사권, 관광지 티켓의 복수개의 구성요소로 되어 있다면, 하나의 사용자 제작 콘텐츠에 숙박 시설 정보, 교통편 정보, 근처 식당 정보, 근처 관광지 정보 등을 완전하게 모두 포함한 경우에는 하나의 사용자 제작 콘텐츠만을 기반으로 상품 정보가 구성된다. 반면, 하나의 사용자 제작 콘텐츠에 숙박 정보만 포함되어 있고, 다른 하나의 사용자 제작 콘텐츠에 교통편 정보만 포함되어 있다면, 이 두 개의 사용자 제작 콘텐츠를 혼합하여 상품 정보를 구성할 수 있다는 것이 제 2규칙이다.When the sale product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components, the second rule is that the sale product information is configured based on one user-generated content or a plurality of different user-generated contents having components that do not overlap each other. For example, if your item is a 'Travel Item' and your package consists of multiple components of Accommodation, Transportation, Meal Tickets, and Touristic Tickets, then one User-Generated Content may include Accommodation Information, Transportation Information, Nearby Restaurant Information, Nearby In the case where the tourist information is completely included, the product information is composed based on only one user-generated content. On the other hand, if one user-generated content includes only accommodation information and the other user-generated content includes only transportation information, the second rule is that the two user-generated contents can be mixed to form product information. .

서로 중복되는 구성요소를 갖는 복수개의 서로 다른 사용자 제작 콘텐츠의 개수에 따라 동일한 상품명을 가지는 상품의 개수가 정해지는 것이 제 3규칙이다. 예를 들면, 앞서 설명한 제 1규칙에서, 판매 상품이 ‘레스토랑 식사권’인 경우 상품은 해당 레스토랑에 대한 식사 경험이 내용인 오직 하나의 사용자 제작 콘텐츠만으로 구성되지만, 해당 레스토랑에 대한 식사 경험을 다룬 사용자 제작 콘텐츠가 여러 개인 경우, 사용자 제작 콘텐츠의 개수만큼 ‘레스토랑 식사권’이 판매 상품인 상품이 여러 개가 될 수 있다. 상품 구매자(41)는 동일한 상품명을 가지는 상품 중에서 사용자 제작 콘텐츠의 내용을 기반으로 구매할 상품을 선택할 수 있다.The third rule is that the number of products having the same brand name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plural different user-generated contents having components overlapping each other. For example, in the first rule described above, if the product being sold is a 'restaurant meal ticket', the product is composed of only one user-generated content whose dining experience is the restaurant, but the user who handles the dining experience for the restaurant. In the case of multiple production contents, the number of products for which the restaurant meal ticket is sold may be as many as the number of user-generated contents. The product purchaser 41 may select a product to purchase based on the content of the user-generated content among the products having the same brand name.

또한, 시스템 서버(30)는 보상 처리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승인 처리된 판매 상품 정보가 상품 구매자 단말기(40)에 제공되고, 상품 구매자 단말기(40)로부터 구매 확정 정보를 전송(단계 : S405) 받는 경우, 시스템 서버(30)에 기 설정된 보상 정보에 따라 콘텐츠 제작자(11)에게 보상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단계 : S330). 또한, 사용자 제작 콘텐츠를 상기 데이터베이스(200)에 기록 및 유지하는 경우이거나 사용자 제작 콘텐츠를 기반으로 상품 판매 정보를 상기 상품 구매자 단말기(40)에 제공하게 된 경우 중 적어도 하나의 경우에 콘텐츠 제작자(11)에게 보상 정보를 전송한다(각 단계 : S310, 단계 : S320).
In addition, the system server 30 may include a compensation processor 500. When the approved sale product information is provided to the product purchaser terminal 40 and the purchase confirma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from the product purchaser terminal 40 (step S405), the content according to the compensation information preset in the system server 30 is received. Compensation to the producer 11 may be performed (step: S330). In addition, in the case of recording and maintaining user-generated content in the database 200 or providing product sales information to the product buyer terminal 40 based on user-generated content, the content producer 11 ) To the reward information (each step: S310, step: S320).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상품 판매 시스템(1)에서 사용자 제작 콘텐츠를 데이터베이스(200)에 기록하고 유지하는 단계 중, 상품 판매자 단말기(20) 또는 콘텐츠 제작자 단말기(10)로부터 사용자 제작 콘텐츠를 등록받는, 제 1방법 및 제 2방법의 백 오피스 운영툴 화면 예시도이다.FIG. 6 shows the user-generated content from the merchandise seller terminal 20 or the content producer terminal 10 during recording and maintaining the user-generated content in the database 200 in the merchandise sales system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xample of the back office management tool screen of the first method and the second method that is registered.

도 3에서 설명했듯이, 상품 판매자(21)는 판매할 상품에 대한 대분류의 카테고리만 정해놓은 상태에서 콘텐츠 제작자(11)로부터 판매 상품 또는 상품 구성요소의 일부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속성의 사용자 제작 콘텐츠를 전송 받을 수 있는데, 상품 판매 시스템(1)이 종합몰의 형태라면 대분류의 카테고리 조차 미리 정해놓지 않은 형태가 될 수 있다. 콘텐츠 제작자(11)는 상품으로 구성될 수 있는 어떤 사용자 제작 콘텐츠이든 상품 판매 시스템(1)에 등록할 수 있다. 상품 판매 시스템(1)이 보다 소규모라면, 판매할 상품에 대한 대분류의 카테고리는 미리 정해져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어떤 경우이건, 상품명에 대한 카테고리 선택(610)은 있을 수 있고, 대, 중, 소, 이하 몇 가지의 경우이든 카테고리를 선택하는 것이 가능한 시스템으로 가정한다. 상기 콘텐츠 제작자(11), 혹은 상기 상품 판매자(21)는 상품명에 대한 카테고리를 선택하고, 상품명을 직접 작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콘텐츠 제목이 ‘까르보나라 맛있게 만드는 법’이라면 상품명은 ‘까르보나라’가 될 수 있다. 콘텐츠 제목, 제작자, 내용, 태그 정보, 콘텐츠 URL 등은 기 작성된 사용자 제작 콘텐츠에서 내용을 복사한 뒤 시스템 서버(30)에 연동된 백 오피스 운영툴에 붙여넣기 할 수 있다. 상기 콘텐츠 제작자(11)는 제작자 입력란에 자신의 인터넷상 필명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620). 대표사진은 상품을 가장 잘 나타낼 수 있다고 판단되는 이미지를 첨부하여 넣을 수 있다(630). 도출 가격은 상기 콘텐츠 제작자(11)가 해당 사용자 제작 콘텐츠의 내용을 경험하기 위해 소요되는 비용을 대략적으로 산출하여 입력할 수 있다(640). 계좌 정보, 휴대폰 정보, 이메일 정보는 상기 콘텐츠 제작자(11)에게 보상하는 단계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사항으로 적어도 한 가지의 정보는 필수적으로 입력하도록 한다. 상기 상품 판매자(21)가 직접 사용자 제작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는 경우에는 사전에 콘텐츠 제작자(11)와의 협의 절차가 있었다고 가정한다. 상기 상품 판매자(21)가 인터넷 검색을 통해 웹 상의 사용자 제작 콘텐츠를 확인한 후, 사용자 제작 콘텐츠가 업로드되어 있는 콘텐츠 플랫폼에 댓글 작성, 이메일 전송 등의 방법을 통해 콘텐츠 제작자(11)에게 연락을 취하여 콘텐츠 사용과 보상 정보에 대해 미리 협의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콘텐츠 제작자(11)는 콘텐츠를 상품 판매자(21)에게 이메일 전송 등의 방법을 통해 전달하고, 상품 판매자(21)가 직접 사용자 제작 콘텐츠를 운영툴에 등록할 수 있다.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the product seller 21 sets user-generated content of an attribute including at least one of a product or a part of a product component sold from the content creator 11 in a state where only a large category of products is to be sold. If the product sales system 1 is in the form of a comprehensive mall, even a large category may be in a form not determined in advance. The content producer 11 may register any user-generated content that may be composed of goods in the product sales system 1. If the merchandise sales system 1 is smaller, a large category of merchandise to sell may be predetermined. In any case, however, there may be a category selection 610 for a trade name, and it is assumed that the system is capable of selecting a category in any of the following cases. The content producer 11 or the merchandise seller 21 may select a category for a product name and directly create a product name. For example, if the title of the content is 'How to make carbonara delicious', the brand name may be 'Carbonara'. Content title, author, content, tag information, content URL, etc. can be copied to the back office operation tool linked to the system server 30 after copying the content from the user-created content previously created. The content producer 11 may use his / her pen name on the Internet in the producer input box (620). The representative picture may be attached with an image that is determined to best represent the product (630). The derived price may be calculated by inputting the cost required for the content producer 11 to experience the contents of the corresponding user generated content (640). Account information, mobile phone information, and e-mail information are necessary to perform the step of compensating the content producer 11, and at least one type of information is required. When the product seller 21 directly inputs information on user-generated content, it is assumed that there has been a consultation procedure with the content producer 11 in advance. After checking the user-generated content on the web through the Internet search, the product seller 21 contacts the content producer 11 by writing a comment or sending an email to the content platform to which the user-generated content is uploaded. Use and compensation information can be negotiated in advance. In this case, the content producer 11 may deliver the content to the merchandise seller 21 through a method such as an e-mail transmission, and the merchandise seller 21 may directly register the user-generated content in the operation tool.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상품 판매 시스템(1)에서 사용자 제작 콘텐츠를 데이터베이스(200)에 기록하고 유지하는 단계 중 시스템 서버(30)가 사용자 제작 콘텐츠의 수집 및 파싱 작업을 수행하는 제 3방법을 도시한 블록도이다.FIG. 7 illustrates a method in which the system server 30 collects and parses user-generated content during the recording and maintaining of the user-generated content in the database 200 in the merchandise sales system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lock diagram showing the three methods.

먼저, 용어에 대한 개념을 명확히 하기 위해 관련 기술에 대해 언급하자면, 정보 검색 시스템은 정보 수집, 정보 가공, 정보 제공의 세 가지의 기능을 포함한다. 이들 각각의 기능을 검색 엔진에 비교하면 정보 수집은 웹 크롤러(Web Crawler), 정보 가공은 문서 색인기, 그리고 정보 제공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정보 검색 시스템의 구축을 위해 웹상에 분산된 문서들을 수집하는 정보 수집의 단계가 있어야 하며, 그 일을 하는 모듈을 웹 크롤러라고 한다. 웹 크롤러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월드 와이드 웹(WWW, World Wide Web)의 웹 서버들을 순회하며 각 홈페이지에 있는 문서들을 조직적이고 자동화된 방법으로 분석하고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등의 정보를 수집하며, 문서 안에 포함된 모든 링크들을 찾아가서 정보를 추출한다. 웹이 거미줄, 그물을 의미한다는 점에서 웹 크롤러를 웹 스파이더(Web Spider), 또는 웹 로봇(Web Robot) 등의 다양한 이름으로 부르기도 한다. 인터넷에서 웹 문서를 수집하는 방식은, 클라이언트로부터의 GET (웹 서버로부터 원하는 웹 문서 요청), HEAD(웹 문서의 본문을 제외한 정보를 요청), POST(클라이언트가 웹 서버에 데이터를 전달하는 방법) 등의 요구에 따라 웹 서버는 해당되는 정보를 클라이언트에게 전달하는 원리를 가진다.First, in order to clarify the concept of the term, the related technology is referred to. The information retrieval system includes three functions of information collection, information processing, and information provision. Comparing each of these features to a search engine, information gathering can be represented by a Web Crawler, information processing by a document indexer, and information provision by a user interface. In order to construct such an information retrieval system, there should be a stage of information collection that collects documents distributed on the web. The module that does the work is called a web crawler. A web crawler is a computer program that traverses the Web servers of the World Wide Web, analyzes the documents on each home page in an organized and automated way, collects information such as text, images, and videos. Go through all the links in it and extract the information. Web crawlers are also referred to by various names, such as web spiders or web robots, in that the web means webs and nets. The method of collecting web documents from the Internet includes GET from the client (requesting the desired web document from the web server), HEAD (requesting information except the body of the web document), and POST (how the client passes data to the web server). According to the request of the web server, the web server has a principle of delivering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to the client.

도 7을 참조하여 시스템 서버(30)의 사용자 제작 콘텐츠의 수집 및 파싱 작업을 설명하면, 판매할 상품의 카테고리 정보를 기반으로 구성되거나,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키워드로 구성된 쿼리 정보 파일(Query Information File)을 생성한다(710).Referring to FIG. 7, the collection and parsing of user-generated content of the system server 30 will be described. A query information file is configured based on category information of a product to be sold or a keyword corresponding to a category. Generate 710.

쿼리 샘플러(Query Sampler)는 상기의 쿼리 정보 파일을 입력받아 기 설정된 알고리즘으로 쿼리로 사용할 키워드를 샘플링(Sampling)하는 작업을 수행하고(720), 샘플링 파일(Sampling File)을 생성한다(730). 여기에서 상기의 샘플링 알고리즘은 키워드의 수를 제한하거나, 키워드의 길이를 제한하는 것이 될 수 있다.The query sampler receives the query information file as described above, performs sampling (Sampling) on a keyword to be used as a query using a preset algorithm (720), and generates a sampling file (730). In this case, the sampling algorithm may limit the number of keywords or limit the length of the keywords.

크롤러(Crawler)는 생성된 상기의 샘플링 파일을 입력받아 ‘하이퍼텍스트 트랜스포트 프로토콜 프로세스(HTTP Process)’를 통해 웹상에서 사용자 제작 콘텐츠인 HTML 문서를 수집한다(740).The crawler receives the generated sampling file and collects the HTML document, which is user-generated content, on the web through the “hypertext transport protocol process (HTTP Process)” (740).

파서(Parser)는 수집된 상기의 문서를 링크(Link) 정보(760)와 텍스트 도큐먼트(Text Document) 정보(770)로 추출하여(750), 추출된 상기 정보를 데이터베이스(200)에 기록하고 유지한다(780). 수집된 상기의 HTML 문서는 XML 문서의 형태로 변환되어 저장될 수 있고, 콘텐츠 제작자(11), 콘텐츠 내용, 태그 정보, 작성 날짜, 이미지, 동영상 등의 세부 정보로 파싱(Parsing)하여 데이터베이스(200)에 기록 및 유지될 수 있다.
The parser extracts the collected document into link information 760 and text document information 770 (750), and records and maintains the extracted information in the database 200. (780). The collected HTML document may be converted into an XML document and stored, and parsed into detailed information such as content creator 11, content content, tag information, creation date, image, video, and the like, and the database 200 Can be recorded and maintained.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판매 상품의 정보를 상품 구매자 단말기(40)에 제공하는 단계에서 상품 판매자 단말기(20)로부터 판매 상품 정보 승인 처리 정보를 전송하는 백 오피스 운영툴 화면 예시도이다.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back office operation tool screen for transmitting sales product information approval processing information from the merchandise seller terminal 20 in the step of providing the merchandise purchaser terminal 40 with the merchandise information of the merchandi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 8을 참조하면, 해당 백 오피스 운영툴은 앞서 설명한 데이터베이스(200)에 연동되어 있어, 상기 데이터베이스(200)에 기록 및 유지된 정보가 상기 운영툴에 출력되게 된다. 상품 판매 페이지(400)의 화면에 노출되는 정보는 콘텐츠 제작자(11)의 개인 정보인 계좌번호, 휴대폰 번호, 이메일과 콘텐츠 제작자(11)가 도출한 가격 정보를 제외한 것들이다(810). 판매 상품이 복수개의 구성요소로 이루어진 경우, 판매 상품 정보는 서로 중복되지 않는 구성요소를 갖는 복수개의 서로 다른 사용자 제작 콘텐츠를 기반으로 구성될 수 있는 제 2규칙에 의해, 콘텐츠 제목 또는 제작자 항목을 기준으로 사용자 제작 콘텐츠를 추가할 수 있다(820). 사용자 제작 콘텐츠가 추가되게 되면, 상기 데이터베이스(200)에서 불러오는 내용에 해당하는 항목은 추가된 콘텐츠 개수만큼 늘어난다. 상품 판매자(21)는 도출 가격을 토대로 가격을 산정하여 작성하고(830), 사용자 제작 콘텐츠를 기반으로 상품 구성 정보를 작성하며(840), 배송 및 기타 정보를 직접 작성할 수 있다(850). 배송 및 기타에 해당되는 내용은 택배 회사 정보, 반품 정보, 포장 정보 등 상품과 상품 판매 시스템에 따라 다양할 수 있고, 이 정보는 미리 상기 데이터베이스(200)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Referring to FIG. 8, the back office operation tool is linked to the database 200 described above, and the information recorded and maintained in the database 200 is output to the operation tool. The information exposed on the screen of the product sale page 400 is the ones 810 except for the account number, the mobile phone number, the e-mail, and the price information derived by the content producer 11, which are personal information of the content producer 11. In the case where the merchandise is made up of a plurality of components, the merchandise information on the basis of the content title or the creator item is according to a second rule that may be constructed based on a plurality of different user-generated contents having components that do not overlap each other. User-generated content may be added in step 820. When user-generated content is added, an item corresponding to content loaded from the database 200 increases by the number of added content. The product seller 21 may calculate and write a price based on the derived price (830), create product composi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user-generated content (840), and directly prepare shipping and other information (850). The contents corresponding to the delivery and the like may vary according to the product and the product sales system such as the courier company information, the return information, the packaging information, and the information may be stored in the database 200 in advance.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상품 판매 방법 및 시스템을 이용한 상품 판매 과정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9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product selling process using a product selling method and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도 1 및 도 3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가 나타내는 동일한 부재를 상품 판매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으로 나타낸 것으로 도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과 같이, 상품 판매자(21)는 사용자 제작 콘텐츠에 기술된 상품 또는 상품 구성 요소의 일부를 참조함으로써 판매할 상품을 정하고, 상품 정보를 제공함에 있어 사용자 제작 콘텐츠를 활용함으로써 상품 정보 작성에 소요되는 비용과 상품 개발에 드는 투자 비용에 대한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콘텐츠 제작자(11)는 제작한 콘텐츠를 본 발명에서 활용하는 것으로, 새로운 수익을 창출할 수 있고, 또한 상품 판매자(21)는 검증된 사용자인 콘텐츠 제작자(11)의 자발적인 홍보 활동을 기대할 수 있으므로, 부수적인 마케팅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9 is a schematic flow diagram of a merchandise sales method of the same members indica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shown in FIGS. 1 and 3, and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As described above, the merchandise seller 21 determines the merchandise to be sold by referring to a part of the merchandise or merchandise components described in the user-produced content, and utilizes the user-produced content in providing the merchandise information. The savings in costs and investment costs for product development can be achieved. Since the content creator 11 utilizes the produced content in the present invention, new revenue can be generated, and the product seller 21 can expect voluntary public relations activities of the content creator 11, which is a verified user.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an additional marketing effect can be obtained.

이상 본 발명에 대하여 그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고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시켜 실시할 수 있음은 명백한 사실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청구 범위뿐 아니라 이 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y way of example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it is obvious that any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ma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in various way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all claims having equivalent or equivalent modifications to this range as well as the following claims will belo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 상품 판매 시스템
10 : 콘텐츠 제작자 단말기 11 : 콘텐츠 제작자
20 : 상품 판매자 단말기 21 : 상품 판매자
30 : 시스템 서버
40 : 상품 구매자 단말기 41 : 상품 구매자
50 : 통신망 100 : 콘텐츠 기록부
200 : 데이터베이스 300 : 상품 정보 제공부
400 : 상품 판매 페이지 500 : 보상 처리부
1: merchandise sales system
10: content creator terminal 11: content creator
20: product seller terminal 21: product seller
30: system server
40: goods buyer terminal 41: goods buyer
50: communication network 100: content record
200: database 300: product information provider
400: product sales page 500: compensation processing unit

Claims (4)

상품 구매자 단말기와, 상품 판매자 단말기와, 콘텐츠 제작자 단말기와, 시스템 서버가 유무선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된 상품 판매 시스템에서 사용자 제작 콘텐츠를 활용한 상품 판매방법에 있어서,
시스템 서버가 ‘판매상품’ 또는 ‘상품 구성요소의 일부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속성의 사용자 제작 콘텐츠를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 제1단계;
상기 시스템 서버가 상기 상품 판매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사용자 제작 콘텐츠의 상기 속성을 기반으로 구성된 판매 상품의 정보에 대해서 판매 상품 정보로서 승인 받는 제 2 단계;
상기 시스템 서버가 상기 승인된 판매 상품 정보를 상기 상품 구매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제 3 단계; 및
판매 상품 정보에 기반하여 구매가 성립되면, 상기 시스템 서버가 기 설정된 보상방식을 이용하여 해당 판매 상품 정보의 콘텐츠 제작자에게 보상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제작 콘텐츠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 제1단계는,
상기 사용자 제작 콘텐츠의 수집 및 파싱 작업을 수행하는 방법을 포함하고;
상기의 방법은,
판매 상품의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쿼리 정보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생성된 상기 쿼리 정보 파일을 입력받아 쿼리로 사용할 키워드에 해당하는 샘플링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웹 크롤러가 생성된 상기 샘플링 파일을 입력받아 HTTP를 통해 웹상에서 사용자 제작 콘텐츠인 HTML 문서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의 단계;
파서가 수집된 상기의 HTML 문서를 파싱하여 링크 정보와 텍스트 문서 정보로 추출하는 단계; 및
추출된 상기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고 유지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판매 방법.
In the merchandise sales method using the user-produced content in the merchandise sales system, the merchandise buyer terminal, the merchandise seller terminal, the content producer terminal, and the system server connected via a wired or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network,
A first step of the system server registering user-generated content having an attribute including 'sold product' or 'part of a product component' in a database;
A second step in which the system server receives, as sale product information, information on the sale product configured based on the attribute of the at least one user-generated content registered in the database from the product seller terminal;
A third step of providing, by the system server, the approved selling goods information to the goods buyer terminal; And
If the purchase is established based on the sale product information, the system server comprises a fourth step of rewarding the content creator of the sale product information using a preset compensation method,
The first step of registering the user-generated content in the database,
A method of collecting and parsing the user generated content;
The above method,
Generating a query information file corresponding to a category of a sale product;
Receiving the generated query information file and generating a sampling file corresponding to a keyword to be used as a query;
A step of collecting information in which a web crawler receives the generated sampling file and collects an HTML document which is user-generated content on the web through HTTP;
Parsing the HTML document collected by the parser and extracting the HTML document into link information and text document information; And
And recording and maintaining the extracted information in a databas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적어도 하나의 상품 구매자 단말기와, 상품 판매자 단말기와, 콘텐츠 제작자 단말기와, 시스템 서버가 유무선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된 상품 판매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서버는
판매 상품 또는 상품 구성요소의 일부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속성의 사용자 제작 콘텐츠를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고 유지하는 콘텐츠 기록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사용자 제작 콘텐츠의 상기 속성을 기반으로 구성된 상기 판매 상품의 정보를 상기 상품 구매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상품 정보 제공부; 및
상기 시스템 서버에 기 설정된 보상 방식을 이용하여 콘텐츠 제작자에게 보상하는 보상 처리부;를 포함하여
상기 시스템 서버가 제 1항의 방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판매 시스템.
In the merchandise sales system wherein at least one merchandise buyer terminal, merchandise seller terminal, content producer terminal, and system server are connected through a wired or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network,
The system server
A content recording unit for recording and maintaining a user-generated content of an attribute including at least one of a sale product or a part of a product component in a database;
A merchandise information providing unit for providing the merchandise purchaser terminal with information on the merchandise sold based on the attributes of the at least one user-generated content recorded in the database; And
A compensation processor configured to compensate a content producer by using a compensation scheme preset in the system server;
A product selling system, wherein the system server performs the method of claim 1.
KR1020130019517A 2013-02-22 2013-02-22 The system and method of selling products with user created content KR10134742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9517A KR101347420B1 (en) 2013-02-22 2013-02-22 The system and method of selling products with user created cont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9517A KR101347420B1 (en) 2013-02-22 2013-02-22 The system and method of selling products with user created conte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47420B1 true KR101347420B1 (en) 2014-01-07

Family

ID=501444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9517A KR101347420B1 (en) 2013-02-22 2013-02-22 The system and method of selling products with user created cont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7420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08539A (en) * 2020-12-04 2021-02-02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Communication service opening method and server
KR102283318B1 (en) * 2020-03-31 2021-07-30 쿠팡 주식회사 Computer-implemented systems and methods for electronically determining a real-time product registratio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9582A (en) * 2001-02-26 2002-09-05 이준기 Auction method through internet broadcasting by pre-produced video
JP2004295279A (en) 2003-03-26 2004-10-21 Fujitsu Ltd Method of providing commodity information, and program
KR100828709B1 (en) 2006-01-31 2008-05-09 주식회사 씨제이홈쇼핑 Internet shopping system and method using web-broadcasting
KR20110047069A (en) * 2009-10-29 2011-05-06 주식회사 케이티 INTERACTIVE BROARDCASTING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PRODUCT-SELLING SERVICE USING VoIP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9582A (en) * 2001-02-26 2002-09-05 이준기 Auction method through internet broadcasting by pre-produced video
JP2004295279A (en) 2003-03-26 2004-10-21 Fujitsu Ltd Method of providing commodity information, and program
KR100828709B1 (en) 2006-01-31 2008-05-09 주식회사 씨제이홈쇼핑 Internet shopping system and method using web-broadcasting
KR20110047069A (en) * 2009-10-29 2011-05-06 주식회사 케이티 INTERACTIVE BROARDCASTING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PRODUCT-SELLING SERVICE USING VoIP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3318B1 (en) * 2020-03-31 2021-07-30 쿠팡 주식회사 Computer-implemented systems and methods for electronically determining a real-time product registration
WO2021198762A1 (en) * 2020-03-31 2021-10-07 Coupang Corp. Computer-implemented systems and methods for electronically determining a real-time product registration
KR20210122208A (en) * 2020-03-31 2021-10-08 쿠팡 주식회사 Computer-implemented systems and methods for electronically determining a real-time product registration
KR102447333B1 (en) * 2020-03-31 2022-09-26 쿠팡 주식회사 Computer-implemented systems and methods for electronically determining a real-time product registration
CN112308539A (en) * 2020-12-04 2021-02-02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Communication service opening method and server
CN112308539B (en) * 2020-12-04 2024-04-05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Communication service opening method and serv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45976B2 (en) Automated presentation of information using infographics
US11132410B2 (en) Customized search
US9606970B2 (en) Web browser device for structured data extraction and sharing via a social network
KR100944633B1 (en) System and method of collecting wish-list service of on-line shoping malls
TWI549079B (en) System and method for directing content to users of a social networking engine
US20050160014A1 (en) Techniques for identifying and comparing local retail prices
US20080222010A1 (en) System and Method for Enabling Online Research, Publication, Promotion And Management Of User Goods
CN105719156A (en)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ying and promoting goods with labels already added thereto
KR20110030421A (en) Ratings using machine-readable representation
CN107025539A (en) System and method for forming social networking on-line communities
CN104471571A (en) System and method for indexing, ranking, and analyzing web activity within event driven architecture
US20060253773A1 (en) Web-based client/server interaction method and system
US7949571B2 (en) Electronic commerce system, electronic commerce supporting device, and electronic commerce supporting method
JP4743766B2 (en) Impression determination system, advertisement article generation system, impression determination method, advertisement article generation method, impression determination program, and advertisement article generation program
JP2013008208A (en)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information providing program, information display program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storing information providing program
KR101347420B1 (en) The system and method of selling products with user created content
US20130191304A1 (en) Tools and Methods for Creating Dynamic Feedback Forms
JP7250359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method and program
US10275736B1 (en) Updating information in a product database
KR20140094059A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lodging business
JP6527257B1 (en) Provision apparatus, provision method and provision program
KR100915467B1 (en) System of providing interactive shopping file and method thereof
KR20010106953A (en) Method and apparatus of providing a 1:1 customized commerce with a functional banner
JP4806882B2 (en) Character trading support method, server,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Pegorin Data-driven Insights for Grocery Retailers: Developing a Serverless Tool for Business Analysi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