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5212B1 - A method of performing camera function in a portable terminal - Google Patents

A method of performing camera function in a portable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5212B1
KR101345212B1 KR1020070055663A KR20070055663A KR101345212B1 KR 101345212 B1 KR101345212 B1 KR 101345212B1 KR 1020070055663 A KR1020070055663 A KR 1020070055663A KR 20070055663 A KR20070055663 A KR 20070055663A KR 101345212 B1 KR101345212 B1 KR 1013452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rate
shooting mode
frame
portable terminal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566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80107652A (en
Inventor
류성학
한정근
채석우
성원경
예해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556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5212B1/en
Publication of KR200801076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765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52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521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기능 수행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카메라 기능 수행 시 입력되는 영상의 변화를 인지하여 촬영 모드를 자동으로 변환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기능 수행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기능 수행 방법은 촬영할 피사체의 영상을 프리뷰하는 프리뷰 과정과, 카메라를 통하여 입력되는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를 결정하는 프레임 레이트 결정 과정과, 상기 결정된 프레임 레이트에 따라 촬영 모드를 자동 변경하는 촬영모드 변경과정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피사체 촬영 시 입력되는 영상의 변화에 따라 촬영모드가 자동으로 변경되므로 피사체를 정확히 촬영할 수 있고, 촬영모드의 변환을 위해 사용자가 수동으로 조작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줄어들 수 있다.

Figure R1020070055663

카메라, 촬영모드, 모드전환, 프레임 레이트, 움직임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performing a camera function of a portabl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of performing a camera function of a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automatically converting a shooting mode by recognizing a change in an input image when performing a camera function. To this end, a method of performing a camera function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review process of previewing an image of a subject to be photographed, a frame rate determination process of determining a frame rate of an image input through a camera, and the determined frame rate. And a shooting mode changing process of automatically changing the shooting mode. Accordingly, since the shooting mode is automatically changed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image input when the subject is photographed, the subject can be accurately photographed, and the user may need to manually operate to change the shooting mode.

Figure R1020070055663

Camera, Shooting Mode, Mode Switching, Frame Rate, Motion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기능 수행 방법{A method of performing camera function in a portable terminal}A method of performing camera function in a portable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내부 블록도. 1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기능 수행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performing a camera function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프레임 레이트를 결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determining a frame r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a 및 4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프레임 레이트를 결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4A and 4B illustrate a process of determining a frame r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기능 수행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카메라 기능 수행 시 입력되는 영상의 변화를 인지하여 촬영 모드를 자동으로 변경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기능 수행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performing a camera function of a portabl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of performing a camera function of a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automatically changing a shooting mode by recognizing a change in an input image when performing a camera function.

현재 휴대용 단말기는 음성통신 기능 이외에 고속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구조로 변환되고 있다. 이는 IMT 2000 규격의 이동 통신망을 구현하면, 상기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음성 통신 이외에 고속의 데이터 통신을 구현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휴대 단말기에서 처리할 수 있는 데이터들은 패킷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들이 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에 카메라나 TV수신기 등을 부가하여 동영상 신호를 표시할 수 있는 기능이 구현되고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카메라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는 피사체의 영상을 촬영하여 동영상(moving picture) 및 정지 영상(still picture)으로 표시할 수 있으며, 또한 촬영된 영상 화면을 전송할 수도 있다.Currently, portable terminals are being converted into a structure capable of transmitting high speed data in addition to voice communication functions. This is because if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of the IMT 2000 standard is implemented, high-speed data communication can be implemented in addition to voice communication using the portable terminal. Data that can be processed by the mobile terminal performing the data communication may be packet data and image data. In addition, a function of displaying a video signal by adding a camera or a TV receiver to the portable terminal is implemented. Therefore, the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camera as described above can take a picture of the subject and display it as a moving picture and a still picture, and can also transmit the captured picture screen.

한편,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는 카메라 기능 수행 시 피사체를 프리뷰(preview)하는 상태에서 사물의 움직임이 크거나 많은 경우, 예를 들어 말이 뛰어 가는 모습을 촬영할 경우 정지영상을 한 번만 촬영하여, 사물의 역동적인 장면을 제대로 촬영하지 못하는 불편함이 있다. On the other hand, a mobile terminal equipped with a camera takes a still image only once when the object is large or many, for example, when a horse is running while previewing a subject while performing a camera function. There is an inconvenience in not being able to shoot dynamic scenes properly.

또한, 움직이는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해 사용자가 일반촬영, 연속촬영 및 동영상 촬영 등의 촬영 모드를 휴대용 단말기의 메뉴를 이용하여 변경하는 동안 움직이는 피사체를 지나쳐 촬영하지 못하는 불편함이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capture a moving subject, the user may not be able to photograph the moving subject while overtaking the moving subject while changing a shooting mode such as general shooting, continuous shooting, and video shooting using a menu of the portable terminal.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에 구비되는 카메라 기능을 이용하여 피사체를 촬영 시 입력되는 영상의 변화에 따라 카메라의 촬영모드를 자동으로 변경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기능 수행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of performing a camera function of a portable terminal, which can automatically change a shooting mode of a camera according to a change in an image inputted when a subject is photographed using a camera function provided in the portable terminal.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nly parts necessary for understanding the op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nd the description of other parts will be omitted so as not to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기능 수행 방법에 있어서, 촬영할 피사체의 영상을 프리뷰하는 과정과, 상기 프리뷰 과정에서 입력되는 영상의 변화에 따른 프레임 레이트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결정된 프레임 레이트에 따라 촬영 모드를 자동 변경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performing a camera function of a portable terminal, comprising: previewing an image of a subject to be photographed, determining a frame rate according to a change of an image input during the preview process; And automatically changing the shooting mode according to the determined frame rate.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 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개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 다.Prior to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e specification and claims described below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common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s should consider their own invention in the best way. For the purpose of explanation,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rrespon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properly defined as the concept of term. Therefore, the configuration shown in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disclosed herein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can be replaced at the tim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various equivalents and variations.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카메라 기능을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피사체 촬영 시 입력되는 영상의 변화에 따라 촬영 모드를 자동으로 변경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기능 수행 방법에 관한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mera function performing method of a portable terminal for automatically changing a shooting mode according to a change in an image input when a subject is photographed using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camera function.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이동통신 단말기를 예로 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하기 위한 단말기로서, 바람직하게는 이동통신 단말기, 이동 전화기, 유/무선 전화기, 개인정보 단말기(PDA,Personal Digital Assitant), 스마트 폰 , 디지털 카메라 등과 같이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 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정보통신 기기 및 멀티미디어 기기와 그에 대한 응용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Before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the mobile terminal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of a mobile terminal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terminal for providing convenience to a user, and preferably,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mobile phone, a wired / wireless phone,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nd a smart phone. It will be apparent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n information communication device and a multimedia device having a camera device capable of photographing a subject, such as a phone and a digital camera, and applications thereof.

그리고,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어 중 일반촬영은 한 장의 정지 영상을 촬영, 연속촬영은 복수의 정지 사진을 임의의 시간 동안 연속해서 촬영하는 것을 각각 의미한다.In the word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general shooting means taking a single still image, and continuous shooting means taking a plurality of still pictures continuously for an arbitrary time.

그리고, 프레임 레이트는 동영상 촬영 시 연속으로 입력되는 영상에서 일정 시간동안 캡쳐되는 프레임 개수를 의미하며, 단위로는 fps(flame per second)를 사용한다.In addition, the frame rate refers to the number of frames captured for a predetermined time in a video continuously input when capturing a video, and uses fps (flame per second) as a unit.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에 대해 알아보기로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First, a configuration of a portable terminal for performing a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100)는 키입력부(110), 제어부(120), 메모리(130), 카메라부(140), 영상처리부(150), 표시부(160) 및 오디오처리부(170)을 포함한다.The illustrated portable terminal 100 includes a key input unit 110, a controller 120, a memory 130, a camera unit 140, an image processor 150, a display unit 160, and an audio processor 170.

키입력부(110)는 키 매트릭스 구조(도시하지 않음)를 가지며 문자 키, 숫자 키, 각종 기능 키 및 외부 볼륨 키를 구비할 수 있고, 사용자가 입력하는 키에 대응하는 키 입력 신호를 제어부(120)로 출력한다. The key input unit 110 has a key matrix structure (not shown), and may include a character key, a numeric key, various function keys, and an external volume key, and may control a key input signal corresponding to a key input by a user. )

또한 키입력부(110)는 소정 위치에 카메라를 동작시킬 수 있는 키들 즉, 카메라 모드로 진입할 때 사용하는 카메라 전원키와 줌 단계(즉, 배율)을 조절하기 위해 사용하는 줌 키 및 영상을 촬영할 때 사용하는 셔터(Shutter) 키를 구비한다.In addition, the key input unit 110 may capture keys that can operate the camera at a predetermined position, that is, a camera power key used to enter the camera mode, a zoom key used to adjust a zoom level (ie, magnification), and an image. It has a shutter key for use.

제어부(1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20)는 사용자의 카메라 모드 요청이 있으면 휴대용 단말기(100)의 동작 모드를 카메라 모드로 전환하고, 표시부(160)가 피사체의 영상에 대한 프리뷰(preview) 화면을 디스플레이 하는 프리뷰 모드로 진입한다. The controller 12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controller 120 switches the operation mode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to the camera mode when the user requests the camera mode, and the display unit 160 enters the preview mode in which a preview screen for the image of the subject is displayed. do.

제어부(120)은 상기 프리뷰 모드 진입이 완료되면 입력되는 영상에서 제1 프레임(Frame)을 캡쳐(capture)하여 캡쳐된 영상을 메모리(130)에 저장한다. 그리고 일정 시간 이후에 입력되는 영상에서 제2 프레임을 캡쳐하여 메모리(130)에 저장한다. 제어부(120)는 저장된 제1 프레임 및 제2 프레임의 동일한 다수 영역에 대한 값을 비교하여 값이 변경된 영역의 비율을 계산한다. 제어부(120)는 계산된 비율을 이용하여 입력되는 영상에 대한 프레임 레이트(Frame Rate)를 결정한다. 제1 프레임 및 제2 프레임을 캡쳐하고 기설정된 영역에서의 값의 변화된 비율을 계산하여 프레임 레이트를 결정하는 동작은 프리뷰 상태에서 촬영을 위한 셔터 키의 입력이 있기 전까지 계속 진행된다.When the preview mode entry is completed, the controller 120 captures a first frame from the input image and stores the captured image in the memory 130. The second frame is captured from the image input after a predetermined time and stored in the memory 130. The controller 120 compares values for the same plurality of areas of the stored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and calculates a ratio of the area where the value is changed. The controller 120 determines a frame rate for the input image using the calculated ratio. The operation of capturing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and calculating the changed rate of the value in the predetermined area to determine the frame rate continues until the input of the shutter key for shooting in the preview state.

제어부(120)는 촬영을 위한 셔터 키의 입력 시 결정된 프레임 레이트를 이용하여 그에 해당하는 촬영모드로 피사체를 촬영하도록 카메라를 제어한다. 프레임 레이트에 따른 촬영 모드는 일반촬영, 연속촬영 및 동영상촬영 모드가 될 수 있다.The controller 120 controls the camera to capture a subject in a shooting mode corresponding to the frame rate determined when the shutter key for shooting is input. The shooting mode according to the frame rate may be a general shooting, continuous shooting, and moving picture shooting mode.

메모리(130)는 프로그램 메모리, 데이터 메모리들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100)의 동작 제어를 위해 필요한 각종 정보 및 사용자 선택정보에 의거하여 선택된 각종 정보들을 저장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 피사체의 움직임을 판단하기 위해 캡쳐되는 제1 프레임과 제2프레임 및 프레임 레이트에 따른 촬영모드에서 촬영된 정지영상과 동영상을 저장한다.The memory 130 may include a program memory and a data memory, and stores various pieces of information selected based on various pieces of information and user selection information necessary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stores the still image and the moving image photographed in the shooting mode according to the first frame, the second frame, and the frame rate which are captured to determine the movement of the subject.

카메라부(camera module)(140)는 인출 및 인입이 가능한 렌즈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으며, 셔터 키 입력이 있으면 상기 렌즈부를 통해 영상 데이터를 촬영한다.The camera module 140 may include a lens unit (not shown) that can be pulled out and pulled out. When a shutter key is input, the camera module 140 captures image data through the lens unit.

또한, 카메라부(140)는 촬영된 광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카메라 센서(미도시)와, 상기 카메라 센서로부터 촬영되는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신호처리부(미도시)를 구비한다.In addition, the camera unit 140 includes a camera sensor (not shown) for converting the photographed optical signal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a signal processor (not shown) for converting the analog image signal photographed from the camera sensor into digital data. .

여기서 상기 카메라 센서는 CCD(Charge Coupled Device)센서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센서가 될 수 있으며, 상기 신호처리부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 센서 및 신호처리부는 일체형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또한 분리하여 구현할 수 있다.The camera sensor may be a charge coupled device (CCD) sensor or a 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CMOS) sensor, and the signal processor may be implemented by a digital signal processor (DSP). In addition, the camera sensor and the signal processor may be integrally implemented and may be implemented separately.

영상처리부(150)는 카메라부(14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표시하기 위한 화면 데이터를 발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image processor 150 performs a function of generating screen data for displaying an image signal output from the camera unit 140.

영상처리부(160)는 카메라부(14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프레임 단위로 처리하며, 상기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표시부(170)의 특성 및 크기에 맞춰 출력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영상처리부(160)는 제어부(120)의 제어에 의해 프리뷰 모드에서 결정된 프레임 레이트로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The image processor 160 processes the image signal output from the camera unit 140 in units of frames, and outputs the frame image data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and size of the display unit 170. In particul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mage processor 160 may capture a moving image at a frame rate determined in the preview mod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20.

또한, 영상 처리부(150)는 영상 코덱을 구비하며, 표시부(160)에 표시되는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설정된 방식으로 압축하거나, 압축된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원래의 프레임 영상데이터로 복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영상 코덱은 JPEG코덱, MPEG4 코덱, Wavelet 코덱 등이 될수 있다.In addition, the image processor 150 includes an image codec and performs a function of compressing the frame image data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60 in a set manner or restoring the compressed frame image data to the original frame image data. The image codec may be a JPEG codec, an MPEG4 codec, a wavelet codec, or the like.

또한, 영상 처리부(150)는 OSD(On Screen Display) 기능을 구비한다고 가정하며, 제어부(120)의 제어에 의해 표시되는 화면 크기에 따라 온 스크린 표시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assumed that the image processor 150 has an On Screen Display (OSD) function, and may output on-screen display data according to the screen size displayed by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20.

표시부(16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등으로 이루어 질 수 있으며,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발생하는 각종 표시 데이터를 출력한다. 이때, 상기 LCD를 터치스크린(Touch Screen) 방식으로 구현하는 경우, 표시부(160)는 입력부로 동작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60 may be formed of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or the like, and outputs various display data generat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this case, when the LCD is implemented using a touch screen, the display unit 160 may operate as an input unit.

또한 표시부(160)는 영상처리부(150)에서 출력되는 영상 신호를 화면으로 디스플레이하며, 제어부(120)에서 출력되는 사용자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한다.In addition, the display unit 160 displays an image signal output from the image processor 150 on a screen, and displays user data output from the controller 120.

오디오처리부(170)는 마이크(Microphone)로부터 입력된 전기신호를 변조하여 음성 데이터로 변화하고, 무선송수신부(미도시)로부터 입력된 부호화된 음성데이터를 전기신호로 복조하여 스피커(Speaker)로 출력한다.The audio processor 170 modulates the electrical signal input from the microphone to convert the voice signal into voice data, and demodulates the encoded voice data input from the wireless transmitter / receiver (not shown)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outputs the speaker to the speaker. do.

또한 오디오처리부(170)은 무선송수신부(미도시)로 수신되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재생하거나 마이크로부터 발생되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디지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기 위해 코덱(Codec)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코덱은 패킷 데이터 등을 처리하는 데이터 코덱과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 코덱으로 구성되며, 제어부(130)에 포함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audio processor 170 may include a codec for converting and playing a digital audio signal received by a wireless transmitter / receiver (not shown) into an analog signal or converting an analog audio signal generated from a microphone into a digital audio signal. It is preferable. The codec includes a data codec for processing packet data and an audio codec for processing an audio signal such as voice. The codec may be included in the controller 130.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기능 수행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performing a camera function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제어부(120)는 메뉴 키 입력 또는 카메라 모드로 진입할 때 사용하는 카메라 전원키를 통한 사용자의 카메라 기능 수행요청을 감지하면 피사체의 영상을 표시부(160)에 프리뷰하는 프리뷰 모드로 진입한다.(S210)1 and 2, when the controller 120 detects a user's request to perform a camera function through a camera power key used to enter a menu key or enter a camera mode, the controller 120 previews an image of a subject on the display 160. Enter the preview mode (S210).

제어부(120)는 상기 프리뷰 모드 진입이 완료되면 입력되는 영상에서 제1 프레임 과 임의의 시간 후의 제2 프레임을 추출한 후 피사체의 움직임에 따른 프레임 레이트(FR)를 결정한다.(S220)When the preview mode entry is completed, the controller 120 extracts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after a predetermined time from the input image, and then determines the frame rate FR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subject (S220).

제어부(120)에서 프레임 레이트(FR)를 결정하는 과정을 도 3 내지 도4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프레임 레이트를 결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며, 도 4a 및 4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프레임 레이트를 결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The process of determining the frame rate FR by the controller 12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to 4B as follows.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determining a frame r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4A and 4B are diagrams for describing a process of determining a frame r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카메라 기능이 수행되어 프리뷰 모드에 진입하면 제어 부(120)는 영상처리부(150)를 제어하여 카메라부(140)를 통하여 입력되는 촬영의 대상이되는 피사체(420)를 포함하는 영상에서 제1 프레임(410)을 캡쳐하여 메모리(130)에 저장하고, 제1 프레임(410)을 일정한 크기의 셀(Cell)(C1 ~ CN)로 나누어 각 셀들의 값을 계산하여 임시 저장한다(S221). 여기에서 셀 값은 각 셀들이 나타내는 RGB정보가 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when the camera function is performed to enter the preview mode, the controller 120 controls the image processor 150 to include a subject 420 to be photographed through the camera 140. Capture the first frame 410 in the image to store in the memory 130, divide the first frame 410 into cells (C 1 ~ C N ) of a constant size to calculate the value of each cell Temporary storage (S221). The cell value may be RGB information indicated by each cell.

일정 시간이 지난 후 제어부(120)는 영상처리부(150)를 제어하여 피사체(440)를 포함하는 영상에서 제2 프레임(430)을 캡처하여 메모리(130)에 저장하고, 제1 프레임(410)에 적용한 것과 동일하게 제2 프레임(430)을 일정한 크기의 셀(C1 ~ CN)로 나누어 각 셀들의 값을 계산하여 임시 저장한다(S222). After a certain time, the controller 120 controls the image processor 150 to capture the second frame 430 from the image including the subject 440, store the second frame 430 in the memory 130, and then store the first frame 410. In the same manner as applied to the second frame 430 by dividing the cells of a predetermined size (C 1 ~ C N ) by calculating the value of each cell and temporarily stored (S222).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 사이의 시간 간격은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상기에서 셀의 크기 및 값이 계산되는 셀의 개수는 변경될 수 있다. 캡쳐된 프레임을 구성하는 각 픽셀(Pixel)을 각 셀로 구성할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다수 개의 픽셀로 각 셀을 구성할 수 있다. 다수 개의 픽셀로 셀이 구성되는 경우 셀을 구성하는 픽셀들의 평균값이 그 셀의 값이 될 수 있다. 그리고 값이 계산되는 셀은 프레임을 구성하는 모든 셀에 대해서 값을 계산할 수 있고, 제어부(120)의 연산량을 줄이기 위해 일부의 셀에 대해서만 값을 계산할 수 있다.The time interval between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may be appropriately adjusted. The cell size and the number of cells for which the value is calculated may be changed. Each pixel constituting the captured frame may be configured with each cell, and in some cases, each cell may be configured with a plurality of pixels. When a cell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pixels, the average value of the pixels constituting the cell may be the value of the cell. In addition, the cell in which the value is calculated may calculate a value for all cells constituting the frame, and in order to reduce the amount of computation of the controller 120, the cell may calculate a value for only some cells.

제어부(120)는 상기 S221과정 및 S222과정에서 계산된 각 셀들의 값을 이용하여 값이 변경된 셀의 비율을 계산한다(S223). 예를 들어 제1 프레임의 C1의 셀값이 '0'이고, 제2 프레임의 C1의 셀값이 '1'이면 제어부(120)는 C1의 셀값이 변경 된 것으로 판정한다.The controller 120 calculates a ratio of cells whose values have been changed using the values of the cells calculated in steps S221 and S222 (S223). For example, a first frame of the first cell value C is zero, the cell value is a C 1 of the second frame is set to '1', the control part 120 is judged that the cell values of the C 1 to change.

제어부(120)는 상기 S223과정에서 구해진 변경된 셀의 비율에 따른 프레임 레이트(FR)를 결정한다(S224). 피사체의 움직임이 많은 경우 값이 변경되는 셀의 비율이 높으므로 프레임 레이트(FR)를 높게 하고, 피사체의 움직임이 없거나 적은 경우 값이 변경되는 셀의 비율이 낮으므로 프레임 레이트(FR)를 상대적으로 낮게 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120 determines the frame rate FR according to the ratio of the changed cells obtained in step S223 (S224). If there is a lot of movement of the subject, the ratio of cells that change the value is high. Therefore, the frame rate is high. If there is no movement of the subject, the rate of the cells changes is low. Can be lowered.

값이 변경되는 셀의 비율에 따라 카메라부(140)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을 제어부(120)의 제어에 의해 영상처리부(130)를 통해 프레임 단위로 처리하여 표시부(160)에 표시할 때 영상 내의 피사체 움직임이 끊김없이 표현 될 수 프레임 레이트(FR)가 선정되어야 한다.When an image input through the camera unit 140 is processed in a frame unit through the image processor 13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20 and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60 according to the ratio of the cell whose value is changed, it is displayed in the image. The frame rate (FR) should be selected so that the subject movement can be expressed seamlessly.

예를 들어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을 구성하는 동일한 셀들 중에서 값이 변한 셀의 비율에 따른 프레임 레이트(FR)는 <표 1>과 같이 구성될 수 있으며, 값이 변한 셀의 비율에 따른 프레임 레이트(FR)의 변경은 가능하다.For example, the frame rate FR according to the ratio of cells whose values change among the same cells constituting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may be configured as shown in Table 1, and the frames according to the percentage of cells whose values change.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rate FR.

값이 변한
셀의 비율
Changed in value
Percentage of cells
프레임 레이트
(FR)
Frame rate
(FR)
값이 변한
셀의 비율
Changed in value
Percentage of cells
프레임 레이트
(FR)
Frame rate
(FR)

1% 미만

Less than 1%

1

One
.
.
.
.
.
.
.
.
.
.
.
.
2~3%2 to 3% 22 21~22%21-22% 1111 4~5%4-5% 33 23~24%23-24% 1212 6~7%6-7% 44 25~26%25-26% 1313 8~9%8 to 9% 55 27~28%27-28% 1414
10~11%

10-11%

6

6
.
.
.
.
.
.
.
.
.
.
.
.

상기 S224과정에서 최종적으로 프레임 레이트(FR)가 결정되면, 제어부(120)는 도2의 S220과정으로 복귀한다.When the frame rate FR is finally determined in step S224, the control unit 120 returns to step S220 of FIG. 2.

S220과정에서 입력되는 영상에 대한 프레임 레이트(FR)가 결정된 후, 제어부(120)는 사용자에 의해 촬영 키가 입력되는 확인한다(S230). 촬영 키가 입력됨을 감지하지 못하면 제어부(120)는 입력되는 영상에서 피사체의 움직임에 따른 프레임 레이트(FR)를 지속적으로 결정한다(S220).After the frame rate FR is determined for the image input in step S220, the controller 120 confirms that the photographing key is input by the user (S230). If it is not detected that the photographing key is input, the controller 120 continuously determines the frame rate FR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subject in the input image (S220).

S230과정에서 촬영 키가 입력됨을 감지하면 제어부(120)는 프레임 레이트(FR)에 따른 촬영모드 자동변환 기능이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한다(S240). S240과정에서 촬영모드 자동변환 기능이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제어부(120)는 현재 설정되어 있는 촬영 모드에 따라서 피사체 촬영을 수행한다(S245).If it is detected in step S230 that the photographing key is input, the controller 120 checks whether the photographing mode automatic convers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frame rate FR is set (S240). If the shooting mode automatic conversion function is not set in step S240, the control unit 120 performs subject shooting according to the shooting mode currently set (S245).

S240과정에서 촬영모드 자동 변환 기능이 설정되어 있으며 제어부(120)는 S220과정에서 결정된 프레임 레이트(FR)를 사전에 설정된 프레임 레이트의 하한치(FR1) 및 상한치(FR2)와 비교하여 그에 따른 촬영 모드를 수행한다.In operation S240, the automatic switching mode of the shooting mode is set, and the controller 120 compares the frame rate FR determined in step S220 with a lower limit value FR1 and an upper limit value FR2 of the preset frame rate. To perform.

프레임 레이트에 따른 촬영모드는 다음의 <표 2>와 같이 설정될 수 있다.The shooting mode according to the frame rate may be set as shown in Table 2 below.

프레임 레이트(FR)Frame rate (FR) 촬영모드Shooting mode FR < 3     FR <3 일반촬영General shooting 3 ≤ FR ≤ 73 ≤ FR ≤ 7 연속촬영Continuous shooting FR > 7    FR> 7 동영상촬영Movie shooting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프레임 레이트의 하한치는 3, 상한치는 7로 설정될 수 있다.As shown in Table 2, the lower limit of the frame rate may be set to 3 and the upper limit of 7.

S220과정에서 결정된 프레임 레이트(FR)가 프레임 레이트의 하한치(FR1)보다 작으면(S250), 제어부(120)는 휴대용 단말기를 제어하여 일반 촬영 모드을 수행하도록 하여 1장의 정지 화상을 촬영하여 메모리(130)에 저장한다(S270).If the frame rate FR determined in step S220 is less than the lower limit FR1 of the frame rate (S250), the controller 120 controls the portable terminal to perform a normal shooting mode so as to capture one still image and store the memory 130 In operation S270, it is stored.

S250과정에서 프레임 레이트(FR)가 프레임 레이트의 하한치(FR1)보다 작지 않으면, 제어부(120)는 프레임 레이트(FR)가 프레임 레이트의 하한치(FR1)와 프레임 레이트 상한치(FR2) 사이에 위치하는 값인지 판단한다(S260). 프레임 레이트(FR)가 프레임 레이트의 하한치(FR1)와 상한치(FR2)사이에 위치하는 값이면, 제어부(120)는 휴대용 단말기를 제어하여 연속촬영 모드을 수행하여 다수의 정지화상을 일정 시간 내에 촬영한 후 이를 메모리(130)에 저장한다.If the frame rate FR is not smaller than the lower limit FR1 of the frame rate in step S250, the controller 120 determines that the frame rate FR is located between the lower limit FR1 and the upper frame rate FR2 of the frame rate.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S260). If the frame rate FR is a value positioned between the lower limit value FR1 and the upper limit value FR2 of the frame rate, the controller 120 controls the portable terminal to perform a continuous shooting mode to capture a plurality of still images within a predetermined time. This is then stored in the memory 130.

S260과정에서 프레임 레이트(FR)가 프레임 레이트의 하한치(FR1)와 상한치(FR2) 사이에 위치하지 않으면(즉, 프레임 레이트(FR)가 상한치보다 크면) 제어부(120)는 휴대용 단말기(100)를 제어하여 동영상 촬영모드를 수행하고, 촬영된 동영상을 메모리(130)에 저장한다(S290). 이때, 동영상 촬영 시 S220과정에서 결정된 프레임 레이트(FR)로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If the frame rate FR is not positioned between the lower limit FR1 and the upper limit FR2 of the frame rate (ie, the frame rate FR is greater than the upper limit) in step S260, the controller 120 controls the portable terminal 100. The controller performs the video recording mode by controlling and stores the captured video in the memory 130 (S290). In this case, the video may be captured at the frame rate FR determined in step S220.

각 촬영모드에서 촬영된 정지화상 및 동영상을 메모리(130)에 저장한 후 제어부(120)는 사용자에 의해 촬영 종료 키의 입력이 있는지 판단한다(S300). S300과정에서 촬영 종료 키의 입력을 감지하지 못하면 제어부(120)는 휴대용 단말기(100)를 제어하여 프리뷰 모드를 수행하도록 카메라부(140)를 통하여 입력되는 피사체의 영상을 표시부(160)에 프리뷰하도록 한다(S210). S300과정에서 촬영 종료 키의 입력을 감지하면 제어부(120)는 촬영 기능을 종료하도록 휴대용 단말기(100)를 제어한다.After storing the still image and the moving image photographed in each shooting mode in the memory 130, the controller 120 determines whether the user inputs a photographing end key (S300). If it is detected in step S300 that the input of the shooting end key is not detected, the controller 120 controls the portable terminal 100 to preview the image of the subject input through the camera unit 140 to perform the preview mode on the display unit 160. (S210). In step S300, when the input of the photographing end key is detected, the controller 120 controls the portable terminal 100 to end the photographing function.

이상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한다.In the forego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u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nd the equivalent scope thereof.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기능 수행 방법 및 장치에 의하면, 피사체 촬영 시 입력되는 영상의 변화에 따른 프레임 레이트에 따라 촬영모드가 자동으로 변경되므로 피사체를 정확히 촬영할 수 있고, 촬영모드의 변경을 위해 사용자가 수동으로 휴대용 단말기를 조작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줄어들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a camera func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hooting mode is automatically changed according to the frame rate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input image when the subject is photographed, so that the subject can be accurately photographed. The hassle of having to manually operate the portable terminal for the change can be reduced.

Claims (6)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기능 수행 방법에 있어서,In the camera func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촬영할 피사체의 영상을 프리뷰(preview)하는 프리뷰 과정;A preview process of previewing an image of a subject to be photographed; 카메라를 통하여 입력되는 영상에서 제1프레임(frame)을 캡쳐(capture)하고, 상기 제1프레임을 캡쳐한 후 미리 지정된 시간 경과 후에 제2프레임을 캡쳐하는 과정;Capturing a first frame from an image input through a camera, and capturing the second frame after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after capturing the first frame; 상기 캡쳐된 제1프레임 및 제2프레임을 픽셀(pixel)의 집합으로 구분하는 과정;Dividing the captured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into a set of pixels; 상기 구분된 픽셀의 집합에 대한 정보의 평균값을 계산하는 과정;Calculating an average value of information on the set of divided pixels; 상기 계산된 평균값에 기반하여 상기 제1프레임 및 제2프레임의 프레임 레이트(FR: Frame Rate)를 결정하는 프레임 레이트 결정 과정; 및A frame rate determining process of determining a frame rate (FR) of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based on the calculated average value; And 상기 결정된 프레임 레이트에 따라 촬영 모드를 자동 변경하는 촬영모드 변경과정을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기능 수행 방법. And a shooting mode changing step of automatically changing a shooting mode according to the determined frame rat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정보의 평균값을 계산하는 과정은The process of calculating the average value of the information 상기 픽셀의 집합 중 소정의 일부 픽셀에 대한 평균값만을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기능 수행 방법.And calculating only an average value of a predetermined partial pixel of the set of pixels.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촬영 모드는 The shooting mode is 일반촬영모드, 연속촬영모드 및 동영상촬영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기능 수행 방법.Method of performing a camera function of a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t least one of the normal shooting mode, continuous shooting mode and video recording mode. 제 3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3, 상기 촬영 모드가 동영상 촬영 모드이면 If the shooting mode is a video recording mode 상기 프레임 레이트 결정과정에서 결정된 프레임 레이트로 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기능 수행 방법.Method of performing a camera function of a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for shooting at the frame rate determined in the frame rate determination process.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촬영 모드 변경 과정은 The shooting mode change process 상기 프레임 레이트 결정 과정에서 결정된 프레임 레이트와 The frame rate determined in the frame rate determination process and 프레임 레이트의 하한치 및 상한치와 비교하여 상기 촬영 모드를 변경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기능 수행 방법.And a method of changing a shooting mode in comparison with a lower limit and an upper limit of a frame rate. 제 5항에 있어서, 6. 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촬영 모드 변경과정은, The shooting mode change process, 상기 프레임 레이트가 상기 프레임 레이트의 하한치보다 작으면 상기 촬영 모드를 일반 촬영 모드로 변경하고, If the frame rate is less than the lower limit of the frame rate, change the shooting mode to a normal shooting mode, 상기 프레임 레이트가 상기 프레임 레이트의 하한치와 상한치 사이에 위치하면 상기 촬영 모드를 연속촬영 모드로 변경하며, If the frame rate is located between the lower limit and the upper limit of the frame rate, the shooting mode is changed to continuous shooting mode, 상기 프레임 레이트가 상기 프레임 레이트의 상한치보다 크면 상기 촬영 모드를 동영상 촬영 모드로 변경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기능 수행 방법. And if the frame rate is greater than the upper limit of the frame rate, changing the shooting mode to a moving picture shooting mode.
KR1020070055663A 2007-06-07 2007-06-07 A method of performing camera function in a portable terminal KR10134521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5663A KR101345212B1 (en) 2007-06-07 2007-06-07 A method of performing camera function in a portab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5663A KR101345212B1 (en) 2007-06-07 2007-06-07 A method of performing camera function in a portable termin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7652A KR20080107652A (en) 2008-12-11
KR101345212B1 true KR101345212B1 (en) 2013-12-26

Family

ID=403678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5663A KR101345212B1 (en) 2007-06-07 2007-06-07 A method of performing camera function in a portable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5212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34574A (en) * 2012-09-12 2014-03-20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camera preview screen in a portable terminal
KR101601500B1 (en) 2014-10-08 2016-03-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assisting vehicle driving for using smartphone
KR102650189B1 (en) * 2016-12-26 2024-03-22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20198A (en) * 2001-04-23 2002-10-31 Casio Comput Co Ltd Dynamic image recorder
JP2006067452A (en) * 2004-08-30 2006-03-09 Nikon Corp Video recording apparatus, and electronic camera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20198A (en) * 2001-04-23 2002-10-31 Casio Comput Co Ltd Dynamic image recorder
JP2006067452A (en) * 2004-08-30 2006-03-09 Nikon Corp Video recording apparatus, and electronic camer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7652A (en) 2008-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2640B1 (en) Portable terminal for automatically selecting a photographing mode and method thereof
US2005026465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ynthesizing captured images in a mobile terminal with a camera
KR100689384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camera function and method thereof
KR10072518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hotography during video call in mobile phone
KR100617702B1 (en)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editing image and image edition method using that
US8411133B2 (en) Mobile terminal and panoramic photographing method for the same
KR101345212B1 (en) A method of performing camera function in a portable terminal
US770589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hotographing an image in a wireless terminal
US20210344839A1 (en) Image processing device, image capturing device, image processing method, and image processing program
GB2527524A (en) A method and technical equipment for image capturing and viewing
KR100678208B1 (en) Method for saving and displaying image in wireless terminal
KR100617736B1 (en) Method for zooming of picture in wireless terminal
KR100663429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controlling zoom function and method thereof
KR100606067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camera function and method thereof
JP7174123B2 (en) Image processing device, photographing device, image processing method and image processing program
JP2013190791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apturing image in mobile terminal
KR101046111B1 (en) Image capture method
KR100678059B1 (en) Portable composite commmunication terminal having mirror mode and implementation method therof
KR100876734B1 (en) Mobile terminal with camera function and its method
KR100562143B1 (en) Wireless tele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processing high capacity image data
KR100709892B1 (en) Resizing method of digital image and digital image processing device executing the same
KR20010063189A (en) Captured image transmitting method in camera phone
KR20050041589A (en) Method for taking moving picture in wireless phone
KR20060053690A (en) Multi-view frame with small photos displaying apparatus and method for mobile terminal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