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1483B1 -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ntents player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ntents play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1483B1
KR101341483B1 KR1020100034535A KR20100034535A KR101341483B1 KR 101341483 B1 KR101341483 B1 KR 101341483B1 KR 1020100034535 A KR1020100034535 A KR 1020100034535A KR 20100034535 A KR20100034535 A KR 20100034535A KR 101341483 B1 KR101341483 B1 KR 1013414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command
control
grip force
wrist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453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070701A (en
Inventor
임정묵
이동우
손용기
김배선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US12/944,524 priority Critical patent/US8669842B2/en
Publication of KR201100707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070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14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148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4Hand-worn input/output arrangements, e.g. data glov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손목 내부 근육의 힘줄 다발의 형태 변화를 측정하고, 이에 근거한 손의 악력 정보에 근거하여 컨텐츠 재생 장치를 제어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재생 장치의 제어 장치 및 방법은 악력 정보를 생성하는 센서부; 컨텐츠 재생 장치의 제어상태를 관리하는 제어상태 관리부; 및 악력 정보 및 제어 상태에 근거하여 컨텐츠 재생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명령을 생성하여 송출하는 제어명령 생성부를 포함한다. 악력 정보에 대응하여 제어상태를 변화할 수 있거나 제어명령이 생성된다. 또한 센서부는 양 손에 각각 존재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echnique for measuring a change in the shape of a tendon bundle of a muscle inside a wrist and controlling a content reproducing apparatus based on the grip force information of the hand based on the change in the shape of the tendon bundl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content reproduc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a sensor unit for generating grip force information; A control state manager for managing a control state of the content reproducing apparatus; And a control command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and transmitting a control command for controlling the content reproducing apparatus based on the grip force information and the control state. In response to the grip force information, the control state can be changed or a control command is generated. In addition, the sensor unit may be present in both hands.

Description

컨텐츠 재생 장치의 제어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NTENTS PLAYER}Control device and method of content playback device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NTENTS PLAYER}

본 발명은 컨텐츠 재생 장치를 제어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더욱 자세하게는, 손을 쥐는 힘인 악력을 이용하여 컨텐츠 재생 장치를 제어하는 기술로서, 양손의 악력의 변화를 제어기의 모델로 사용하여 컨텐츠 재생 장치의 채널 및 볼륨을 상승 또는 하강하게 하는 제어 기술에 이용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ique for controlling a content playback device. More specifically, a technology for controlling a content playback device using a grip force, which is a hand grip force, is used in a control technology for raising or lowering the channel and volume of the content playback device using a change in grip force of both hands as a model of the controller. It's about technology.

본 발명은 지식경제부의 IT원천기술개발 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 [과제명: u-컴퓨팅 공간 협업을 위한 Wearable Personal Companion 기술개발, 과제번호: 2008-F-048-02]The present invention is derived from research conducted as part of the IT source technology development project of the Ministry of Knowledge Economy. [Project Title: Development of Wearable Personal Companion Technology for u-Computing Space Collaboration, Task No .: 2008-F-048-02]

컨텐츠 재생 장치에 대한 기술이 연구되면서, 컨텐츠 재생 장치를 제어하는 기술에 대한 연구 역시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컨텐츠 재생 장치에 직접 접근하지 않고, 편리하게 사용자의 조작을 도와주는 제어 장치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As the technology for the content reproduction apparatus is researched, the research on the technology for controlling the content reproduction apparatus is also actively conducted. In particular, there is an increasing need for a control device that conveniently supports a user's operation without directly accessing a content playback device.

컨텐츠 플레이어를 제어하는 기술로는 플레이어 또는 부가장치, 예를 들면 이어폰에 위치한 제어 버튼 입력 방식, 또는 무선 리모트 컨트롤러를 이용하는 방식 등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사용자가 직접 제어 버튼 또는 컨트롤러를 보고 손동작을 이용하여 제어 명령을 입력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Techniques for controlling the content player include a method of inputting a control button on a player or an additional device, for example, an earphone, or a method using a wireless remote controller. However, this method is inconvenient for the user to directly see the control button or the controller and input the control command using the hand gesture.

특히 시선을 이동하거나 장치를 쥐는 행동은 일반적인 경우라면 자연스러울 수 있지만, 사용자가 운전 중이거나, 운동 중일 때 등 시선을 이용하거나 부가 장치를 조작하기 힘든 상황에서는 사용자의 안전을 위협하거나 부자연스러운 행동이 될 수 있다.In particular, moving eyes or holding a device may be natural in general, but it may be dangerous to the user's safety or unnatural actions when it is difficult to use eye contact or operate additional devices such as while driving or exercising. Can be.

이에 따라서 컨텐츠 재생 장치의 제어에 있어서 사용자의 편의를 위한 기술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대응하는 기술의 개발 역시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Accordingly, the necessity of a technology for the convenience of the user in the control of the content playback device is increasing, and the development of a corresponding technology is also actively made.

예를 들어, 제스쳐, 뇌파, 또는 음성을 인식하여 제어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제스쳐, 뇌파, 또는 음성은 센서 부착위치, 사용자의 정신 상태, 및 주위의 소음에 따라서 민감하게 반응하게 되어 제어에 있어서 정확도가 떨어지는 특성이 있다. 또한 제스쳐나 뇌파의 경우 제스쳐를 인식하거나 뇌파를 인식하는 별도의 장치를 신체의 일부, 예를 들어 머리나 얼굴 전면 등에 부착하여야 하기 때문에 운전이나 운동 중에는 사용자가 불편함을 느낄 수 있는 문제가 있다.For example, there is a method of recognizing and controlling gestures, brain waves, or voices. However, gestures, brain waves, or voices may react sensitively according to the sensor attachment position, the mental state of the user, and the ambient noise, thereby degrading accuracy in control. In addition, in the case of a gesture or an EEG, a separate device for recognizing a gesture or an EEG must be attached to a part of the body, for example, the front of the head or face, so that the user may feel uncomfortable during driving or exercise.

따라서, 사용자에게 추가 장비 착용에 있어서 불편함을 느끼지 않을 정도의 추가 장비를 이용하여 컨텐츠 재생 장치를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Accordingly, there is an increasing need for a technology capable of accurately controlling a content reproducing apparatus using additional equipment that does not cause inconvenience to users in wearing additional equipment.

본 발명은 주위 환경 또는 사용자의 급격한 신체 상태 변화에 상관 없이 컨텐츠 재생 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제어 버튼 또는 리모트 컨트롤러가 아닌 사용자의 신체의 변화를 입력 수단으로 사용하여, 사용자가 다른 업무를 하고 있더라도 컨텐츠 재생 장치를 편리하고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echnology that can control the content playback device regardless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r a sudden change in the physical state of the user. 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echnology for conveniently and accurately controlling a content reproducing apparatus even when a user is performing other tasks by using a change of a user's body as an input means, not a control button or a remote controller.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재생 장치의 제어 장치는, 손목의 내부 근육의 힘줄 다발 형태의 변화를 측정하여 악력 정보를 생성하는 센서부; 악력 정보에 대응하여 컨텐츠 재생 장치의 제어상태를 관리하는 제어상태 관리부; 및 악력 정보 및 제어 상태에 근거하여 컨텐츠 재생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명령을 생성하여 송출하는 제어명령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control device of the content playback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nsor unit for generating grip information by measuring the change in the tendon bundle of the internal muscles of the wrist; A control state manager configured to manage a control state of the content reproducing apparatus in response to the grip force information; And a control command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and transmitting a control command for controlling the content reproducing apparatus based on the grip force information and the control state.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재생 장치의 제어 장치에서는, 센서부가 양쪽 손목에 각각 설치된 마스터부 손목의 제1 센서부 및 슬레이브부 손목의 제2 센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apparatus for controlling a content reproduc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nsor unit may include a first sensor unit of a master wrist and a second sensor unit of a slave wrist, respectively installed on both wrists.

제어상태 관리부는 마스터부 및 슬레이브부의 손목의 악력이 동시에 임계값을 초과하는 지속 시간에 근거하여 제어상태를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제어명령 생성부는 마스터부 및 슬레이브부 중 어느 하나의 손목의 악력이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에 따라 다른 제어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The control state manager may switch the control state based on a duration in which the grip force of the wrists of the master unit and the slave unit simultaneously exceeds the threshold. In addition, the control command generation unit may generate another control command according to a case in which the grip force of one wrist of the master unit and the slave unit exceeds a threshold value.

제어명령 생성부는 마스터부의 악력이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컨텐츠 재생 장치의 채널 및 볼륨 중 어느 하나를 상승하는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슬레이브부의 악력이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컨텐츠 재생 장치의 채널 및 볼륨 중 어느 하나를 하강하는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If the grip force of the master unit exceeds the threshold, the control command generation unit may generate a command for raising one of the channel and the volume of the content playback device. In response to this, when the grip force of the slave unit exceeds the threshold, a command for lowering any one of a channel and a volume of the content reproducing apparatus may be generated.

본 발명에서의 제어상태는, 컨텐츠 재생 장치와 제어 장치의 연결 상태, 제어명령에 근거한 컨텐츠 재생 장치의 제어 가능 여부, 및 채널 및 볼륨 제어 중 하나를 선택하게 되는 제어명령 상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 state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one or more of a connection state between the content reproducing apparatus and the control apparatus, whether the content reproducing apparatus can be controlled based on the control command, and a control command state for selecting one of channel and volume control. Can be.

제어상태 중의 컨텐츠 재생 장치의 제어 가능 여부에 대응하여, 제어명령 생성부는, 컨텐츠 재생 장치의 제어 가능 여부 상태가 가능 상태인 경우에만 제어명령을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제어 가능 여부 상태가 잠김 상태인 경우에는 센서부의 정보에 관계 없이 제어명령의 송출을 차단할 수 있다.In response to the controllability of the content reproducing apparatus in the control state, the control command generation unit may transmit the control command only when the controllability state of the content reproducing apparatus is in the enabled state. In response to this, when the controllable state is in the locked state, transmission of the control command may be blocked regardless of the information of the sensor unit.

또한 센서부는, 손목의 악력이 임계값을 초과한 경우에만 악력 정보를 생성하여 제어 신호 송출에 있어서 정확성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센서부는, 양쪽 손목의 힘줄 다발의 변화를 측정하기 위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센서부의 구성으로는, 광신호를 손목의 피부조직에 입사하는 송신부 및 광신호가 손목의 내부 조직에 의해 반사된 광량을 측정하는 수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nsor unit may generate the grip force information only when the grip force of the wrist exceeds the threshold, thereby increasing the accuracy in transmitting the control signal. The sensor unit may have a configuration for measuring changes in tendon bundles of both wrists. The sensor unit may include a transmitter for injecting an optical signal into the skin tissue of the wrist and a receiver for measuring the amount of light reflected by the internal tissue of the wrist.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재생 장치의 제어 방법은, 센서부가 손목의 내부 근육의 힘줄 다발 형태의 변화를 측정하여 악력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제어상태 관리부가 악력 정보에 대응하여 컨텐츠 재생 장치의 제어상태를 관리하는 단계; 및 제어명령 생성부가 악력 정보 및 제어 상태에 근거하여 컨텐츠 재생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명령을 생성하여 송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controlling a content reproducing apparatus, the method comprising: generating grip information by measuring a change in a tendon bundle of internal muscles of a wrist; Managing, by the control state manager, the control state of the content reproducing apparatus in response to the grip force information; And generating and transmitting a control command for controlling the content reproducing apparatus based on the grip force information and the control state.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재생 장치의 제어 방법은, 악력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가 양쪽 손목에 각각 설치된 마스터부 손목의 제1 센서부 및 슬레이브부 손목의 제2 센서부가 상기 양쪽 손목의 악력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외의 발명의 특징 및 구성은 상기 언급한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재생 장치의 제어 장치에 언급한 바와 같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controlling a content reproducing apparatus, wherein generating of the grip information includes a first sensor unit of a master wrist and a second sensor unit of a slave wrist respectively installed on both wrist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tep of generating the grip information. Other features and configu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the same as those mentioned above for the control device of the content playback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는 직접 제어 버튼 또는 리모트 컨트롤러에 시선을 이동하고 별도의 장치를 조작하는 일 없이, 손목에 힘을 주는 것만으로도 컨텐츠 재생 장치의 기본적인 기능을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손목의 힘줄 다발의 변화를 이용하여 악력을 측정하고, 이를 통해 컨텐츠 재생 장치에 대한 제어 명령을 생성하기 때문에, 주위 환경 또는 신체의 급격한 변화 등에 영향을 받는 일 없이 정확하게 컨텐츠 재생 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control the basic functions of the content reproducing apparatus only by applying a force to the wrist without directly moving the eyes on the control button or the remote controller and manipulating a separate device. In addition, the grip force is measured using a change in the tendon bundle of the wrist, thereby generating a control command for the content playback device, thereby accurately controlling the content playback device without being affected by a sudden change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r the body. It can be effective.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재생 장치의 제어 장치의 장치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을 활용한 사용자의 사용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손목 단면 및 센서부의 동작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센서부가 측정하는 손목의 악력 정보 예를 개락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재생 장치의 제어 장치의 장치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재생 장치의 제어 방법의 플로우차트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재생 장치의 제어 방법 예에 대한 블록도이다.
1 is a device diagram of a control device of a content playback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schematically shows the use of the user utilizing the present invention.
3 illustrates an operation example of the wrist cross section and the sensor unit.
4 schematically shows an example of the grip force information of the wrist measured by the sensor unit.
5 is a device diagram of a control device of a content playback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of a control method of a content reproduc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block diagram of an example of a method of controlling a content reproduc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다른 컨텐츠 재생 장치의 제어 장치 및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content reproduc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재생 장치의 제어 장치의 장치도이다.1 is a device diagram of a control device of a content playback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재생 장치의 제어 장치(100)는 센서부(101), 제어 상태 관리부(102), 및 제어 명령 생성부(10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어 명령 생성부(103)는 컨텐츠 재생 장치(110)와 연결되어 제어 명령을 송신하게 된다.Referring to FIG. 1, the control device 100 of the content reproduc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nsor unit 101, a control state management unit 102, and a control command generation unit 103. It features. The control command generation unit 103 is connected to the content reproducing apparatus 110 to transmit the control command.

센서부(101)는 손목의 내부 근육의 힘줄 다발 형태의 변화를 측정하여 악력 정보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sensor unit 101 generates a grip force information by measuring a change in the tendon bundle form of the internal muscles of the wrist.

손목의 내부 근육은 손을 쥐는 힘의 정도에 따라서 힘줄 다발이 변화한다. 손을 쥐는 힘, 즉 악력의 변화에 따라서 힘줄 다발의 형태는 변화하게 되며, 센서부(101)는 힘줄 다발의 변화를 측정하여 손을 쥐는 힘인 악력을 측정하게 되는 것이다. The internal muscles of the wrist vary in the tendon bundle depending on the strength of the hand. The shape of the tendon bundle changes according to the force of holding the hand, that is, the grip force, and the sensor unit 101 measures the grip force, which is the holding power of the hand by measuring the change of the tendon bundle.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서의 센서부(101)는 손목의 내부 근육의 힘줄 다발 형태의 변화를 측정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손목의 내부 근육의 힘줄 다발 형태의 변화와 악력의 세기 사이의 변화를 연산하여 악력 정보를 생성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101)는 기본적으로 손목의 악력 정보를 선형적으로 산출하게 된다.Therefore, the sensor unit 101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unction of measuring a change in the tendon bundle form of the internal muscles of the wrist. In addition, it may include a function to generate the grip information by calculating a change between the change in the tendon bundle form of the internal muscles of the wrist and the grip strength. The sensor unit 101 basically calculates linearly the grip force information of the wrist.

센서부(101)는 힘줄 다발 형태의 변화를 측정해야 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서 센서부(101)는 힘줄 다발 형태의 변화를 측정하기 위하여 적외선 센서를 포함한 광신호를 측정하는 센서일 수 있다.The sensor unit 101 should measure the change of the tendon bundle form.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nsor unit 101 may be a sensor for measuring an optical signal including an infrared sensor in order to measure the change of the tendon bundle shape.

더욱 자세하게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서의 센서부(101)는, 광신호를 손목의 피부조직에 입사하는 송신부 및 광신호가 손목의 내부 조직에 의해 반사된 광량을 측정하는 수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ore specifically, the sensor unit 10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ransmitter for injecting an optical signal into the skin tissue of the wrist and a receiver for measuring the amount of light reflected by the internal tissue of the wrist. It is characterized by.

손을 쥘 때 손목 아래 부분의 물리적 형태(특히 손목 힘줄 다발의 형태)가 변화되고, 송신부에 의해 입사된 광신호는 모양 변화에 따라서 선형적으로 변화하기 때문에 손을 쥐는 힘, 즉 악력의 변화를 측정할 수 있는 것이다.The physical shape of the lower part of the wrist (particularly the form of a bundle of wrist tendons) changes when the hand is released, and the optical signal incident by the transmitter changes linearly in response to the change in shape, thus changing the grip power, that is, the grip force. It can be measured.

송신부에서 입사시킨 광신호는 피부 표면, 손목 내부의 뼈, 근육, 힘줄 또는 혈액을 포함한 주변 조직에 의해 반사 또는 흡수되는데, 수신부는 송신부 주변에 위치하여 상기 언급한 주변 조직에 의해 반사된 광량을 측정할 수 있다. 수신부는, 정확한 계측을 위하여 광신호를 증폭시킨 후 광도 변화를 수치화하여 나타낸다.The light signal incident from the transmitter is reflected or absorbed by the surrounding surface including the skin surface, bones, muscles, tendons or blood inside the wrist, and the receiver is positioned around the transmitter to measure the amount of light reflected by the above-mentioned peripheral tissue. can do. The receiver amplifies the optical signal for accurate measurement, and then digitizes the brightness change.

센서부(101)는 광도 변화가 수치화되면, 광도 변화에 따라서 악력의 변화를 연산하게 된다. 센서부(101)는 저장된 식을 이용하여 악력 정보를 생성하게 된다.The sensor unit 101 calculates a change in grip force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 in brightness when the change in brightness is digitized. The sensor unit 101 generates the grip force information using the stored equa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서의 센서부(101)는 힘줄 다발에서 반사되는 광신호의 변화를 측정하는 센서 이외에도, 손의 쥐는 힘을 직접 측정할 수 있는 힘 측정 센서일 수 있다. 또한 손목 내부 근육의 힘줄 다발 형태의 변화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라면 어느 것이나 센서부(101)에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nsor unit 101 may be a force measuring sensor capable of directly measuring a holding force of the hand, in addition to a sensor measuring a change in the optical signal reflected from the tendon bundle. In addition, any sensor capable of measuring changes in the tendon bundle form of the muscles inside the wrist may be used in the sensor unit 101.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센서부(101)는 손목의 악력이 임계값을 초과한 경우에만 악력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서 악력 정보는, 악력을 수치화한 선형적인 그래프에 포함된 모든 악력의 수치값을 의미한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nsor unit 101 may generate the grip force information only when the grip force of the wrist exceeds a threshold.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rip force information means numerical values of all grip forces included in the linear graph that quantifies the grip force.

하지만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센서부(101)는 악력이 일정한 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만 제어상태 관리부(102)에 신호를 송출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센서부(101)는 측정한 악력이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만 제어상태 관리부(102)에 신호를 송출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악력 정보는 상기 언급한 송출된 신호를 의미할 수 있는 것이다.However,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nsor unit 101 may include a function of transmitting a signal to the control state manager 102 only when the grip force exceeds a predetermined value. Therefore, in this case, the sensor unit 101 may transmit a signal to the control state management unit 102 only when the measured grip force exceeds a threshold value, and in this case, the grip force information means the transmitted signal mentioned above. You can do it.

제어상태 관리부(102)는 악력 정보에 대응하여 컨텐츠 재생 장치(110)의 제어상태를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The control state manager 102 performs a function of managing the control state of the content reproducing apparatus 110 in response to the grip force information.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서 제어상태는 컨텐츠 재생 장치(110)와 제어 장치(100)의 연결 상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컨텐츠 재생 장치(110)의 제어 장치(100)는, 전원이 인가되면 제어 장치(100)의 모든 기능이 작동된다.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state includes information on the connection state between the content reproducing apparatus 110 and the control apparatus 100. In the control apparatus 100 of the content reproducing apparatus 110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functions of the control apparatus 100 are operated when power is applied.

반면 컨텐츠 재생 장치(110) 역시 전원이 인가되면 작동이 가능한 상태로 된다. 그러나 사용자의 의도를 정확하게 반영하기 위하여, 제어 장치(100)와 컨텐츠 재생 장치(110)를 연결하는 것은 악력 정보에 근거하여 이루어지게 할 수 있을 것이다. 이 경우에 대응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서 제어 상태에는 컨텐츠 재생 장치(110)와 제어 장치(100)의 연결 상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게 함으로써, 제어상태 관리부(102)에서 연결 상태에 대해 제어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content reproducing apparatus 110 is also operable when power is applied. However, in order to accurately reflect the intention of the user, connecting the control device 100 and the content playback device 110 may be made based on the grip information. In this case,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state includes the information about the connection state between the content reproducing apparatus 110 and the control apparatus 100, so that the control state managing unit 102 may not b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state. You will be able to control it.

제어상태에는 제어명령에 근거한 컨텐츠 재생 장치(110)의 제어 가능 여부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가능 여부 상태는, 일반적인 컨텐츠 재생 장치 또는 이동통신 장치에 사용되는 잠금 장치와 동일한 의미일 수 있다. 즉, 제어 가능 상태인 경우에는 악력 정보에 근거하여 제어명령 생성부(103)에서 생성된 제어 명령이 컨텐츠 재생 장치(110)로 전달된다. 반면, 제어 잠금 상태인 경우에는 제어 명령 생성부(103)에서 생성된 제어 명령이 컨텐츠 재생 장치(110)로 전달되지 않는다.The control state may include a controllability state of the content reproducing apparatus 110 based on the control command. The controllable state may mean the same as a lock device used in a general content reproducing apparatus or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That is, in the controllable state, the control command generated by the control command generation unit 103 is transmitted to the content reproducing apparatus 110 based on the grip force information. On the other hand, in the control lock state, the control command generated by the control command generation unit 103 is not transmitted to the content reproducing apparatus 110.

제어 상태에는 또한 채널 및 볼륨 제어 중 하나를 선택하는 제어명령 상태가 포함될 수 있다. 제어명령 상태는, 센서부(101)에서 측정된 악력 정보에 근거하여 명령을 생성할 때 사용된다. 악력을 이용하여 컨텐츠 재생 장치(110)를 세밀하게 제어하는 것은 명령의 종류 면에서 한계가 있기 때문에, 악력을 이용하여 명령의 종류를 다양하게 하는 방법을 택한 것이다.The control state may also include a control command state for selecting one of the channel and volume control. The control command state is used when generating a command based on the grip force information measured by the sensor unit 101. Since the control of the content reproducing apparatus 110 using the grip force is limited in terms of the type of command, the method of varying the type of command using the grip force is selected.

예를 들어, 초기 제어명령 상태를 볼륨 상태로 설정하게 되면, 악력 정보에 근거하여 볼륨의 상승 또는 하강에 대한 제어명령을 생성하여 컨텐츠 재생 장치(110)에 전달한다. 반면, 초기 제어명령 상태에서 일정한 악력 정보가 입력되면 제어명령 상태는 채널 상태로 전환된다. 이후, 악력 정보에 근거하여 채널(또는 선곡)의 상승 또는 하강에 대한 제어명령을 생성하여 컨텐츠 재생 장치(110)에 전달하게 되는 것이다.For example, when the initial control command state is set to the volume state, a control command for raising or lowering the volume is generated based on the grip force information and transmitted to the content reproducing apparatus 110. On the other hand, when certain grip force information is input in the initial control command state, the control command state is switched to the channel state. Subsequently, a control command for raising or lowering a channel (or tune) is generated based on the grip information and transmitted to the content reproducing apparatus 110.

제어명령 생성부(103)는 악력 정보 및 제어상태에 근거하여 컨텐츠 재생 장치(110)를 제어하는 제어명령을 생성하여 송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control command generation unit 103 generates and sends a control command for controlling the content reproducing apparatus 110 based on the grip force information and the control state.

악력 정보는 제어상태 관리부(102)에 전달되는 동시에 제어명령 생성부(103)에 전달된다. 제어명령 생성부(103)는 악력 정보에 근거하여 컨텐츠 재생 장치의 채널 또는 볼륨에 대한 상승 또는 하강을 명령하는 제어명령을 생성한다.The grip force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state manager 102 and to the control command generator 103. The control command generation unit 103 generates a control command for raising or lowering the channel or the volume of the content reproducing apparatus based on the grip force information.

제어명령 생성부(103)에서 생성되는 명령은 채널에 대한 것인지 볼륨에 대한 것인지 선택해야 하며, 또한 생성된 제어명령이 컨텐츠 재생 장치(110)에 전달되어야 하는 것인지 판단해야 하기 때문에, 제어명령 생성부(103)는 제어상태 관리부(102)에서 현재의 컨텐츠 재생 장치(110)에 대한 제어상태를 수신하는 기능을 포함한다.Since the command generated by the control command generation unit 103 should be selected for the channel or the volume, and the control command generation unit should determine whether the generated control command should be transmitted to the content reproducing apparatus 110. 103 includes a function of receiving a control state of the current content reproducing apparatus 110 from the control state managing unit 102.

따라서 제어명령 생성부(103)는 제어상태에 근거하여 악력 정보를 해석하고, 해석된 악력 정보에 근거하여 실질적인 제어명령을 생성하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the control command generation unit 103 interprets the grip force information based on the control state, and generates a substantial control command based on the analyzed grip force information.

제어상태에는 컨텐츠 재생 장치(110)의 제어 가능 여부 상태가 포함된다. 따라서, 제어명령 생성부(103)는 컨텐츠 재생 장치의 제어 가능 여부 상태가 가능 상태인 경우에만 제어명령을 송출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제어명령이 생성되었다 하더라도 생성된 제어 명령을 컨텐츠 재생 장치(110)에 송출하는 기능은 제어상태에 따라서 관리되는 것이다.The control state includes a controllability state of the content reproducing apparatus 110. Therefore, the control command generation unit 103 may include a function of transmitting a control command only when the controllability state of the content reproducing apparatus is in a possible state. That is, even if a control command is generated, the function of sending the generated control command to the content reproducing apparatus 110 is managed according to the control state.

도 2는 본 발명을 활용한 사용자의 사용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Figure 2 schematically shows the use of the user utilizing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이어폰(220)과 같은 컨텐츠 청취 장치를 소지하고 있으며, 컨텐츠 재생 장치(210)는 신체의 일부분에 설치되게 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컨텐츠 재생 장치(210)는 목걸이 상태로 되어있어, 사용자가 운전 중 또는 운동 중일 때에도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2, a user may have a content listening device such as an earphone 220, and the content playback device 210 may be installed on a part of a body. In FIG. 2, the content reproducing apparatus 210 is in a necklace state and is designed to be easily carried while the user is driving or exercising.

컨텐츠 재생 장치(210)는 제어 장치(200)와 유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되어 있다. 예를 들어, 블루투스(BlueTooth), RF 모듈, 및 적외선 근거리 통신 등을 통하여 제어 장치(200)의 제어 신호가 컨텐츠 재생 장치(210)로 전달될 수 있다. 제어 장치(200)는 복수개 존재할 수 있어, 양쪽 손목에 모두 착용할 수 있다.The content playback device 210 is connected to the control device 200 through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For example, a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device 200 may be transmitted to the content playback device 210 through Bluetooth, an RF module, and infrared near field communication. The control apparatus 200 may exist in plural, and may be worn on both wrists.

제어 장치(200)는 사용자의 손목에 위치한다. 제어 장치(200)가 사용자의 움직임에 대한 영향을 감소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손목에 밴드(Band) 형식으로 감아서 착용될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제어 장치(200)를 손목에 휴대하고, 손을 쥐는 시도를 하여 악력을 가함으로써 제어 장치(200) 내부에 있는 센서부에 악력 정보를 전달하게 된다. 제어 장치(200)는 악력 정보를 해석하여 컨텐츠 재생 장치(210)를 제어하게 된다.The control device 200 is located on the wrist of the user. In order to reduce the influence on the movement of the user, the control device 200 may be designed to be worn by being wound in a band form on the wrist of the user. The user carries the control device 200 to the wrist and attempts to grab the hand to apply the grip force to transmit grip force information to the sensor unit inside the control apparatus 200. The control device 200 interprets the grip force information to control the content reproducing apparatus 210.

도 3은 손목 단면 및 센서부의 동작 예를 도시한 것이다.3 illustrates an operation example of the wrist cross section and the sensor unit.

도 3을 참조하면 센서부(301)는 손(310)과 팔의 연결점인 손목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손목의 힘줄(303) 다발이 몰려있는 손바닥 쪽의 손목 부분에 센서부(301)가 위치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sensor unit 301 may be located at a wrist portion that is a connection point between the hand 310 and the arm. More preferably, the sensor unit 301 may be located at the wrist portion of the palm side where the bundle of tendons 303 of the wrist is concentrated.

손목 단면(300)를 살펴보면, 일반적으로 인간의 손목은 피부(302), 힘줄(303), 손목관(수근관, 304), 및 뼈(305)로 구성되어 있다.Looking at the wrist cross section 300, a human wrist generally consists of skin 302, tendon 303, wrist canal (carpal canal 304), and bone 305.

센서부(301)는 힘줄(303) 및 손목관(304)이 모여있는 손바닥 쪽의 손목에 위치한다. 센서부(301)는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광신호를 손목의 내부 조직에 입사하여 반사되는 광신호를 수신하게 된다. 수신하는 광량에 근거하여 힘줄(303) 다발의 형태 변화를 계측하게 되며, 이를 연산하여 사용자의 악력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게 되는 것이다.The sensor unit 301 is located on the wrist of the palm side where the tendon 303 and the wrist tube 304 are gathered.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1, the sensor unit 301 receives an optical signal that is incident and reflected by the internal tissue of the wrist. The change in the shape of the bundle of tendons 303 is measured based on the amount of light received, and the information about the grip force of the user is generated by calculating the shape change of the bundle.

도 4는 센서부가 측정하는 손목의 악력 정보 예를 개락적으로 도시한 것이다.4 schematically shows an example of the grip force information of the wrist measured by the sensor unit.

도 3에 도시된 센서부가 손목의 힘줄 다발의 형태 변화를 측정하면, 센서부에서는 연산 기능을 활용하여 손목의 힘줄 다발의 형태 변화 정보를 악력 정보로 연산하게 된다.When the sensor unit illustrated in FIG. 3 measures the shape change of the tendon bundle of the wrist, the sensor unit calculates the shape change information of the tendon bundle of the wrist as grip information by using a calculation function.

도 4의 그래프는 시계열로 표시되어 있으며, 시간에 따라서 사용자가 손을 쥐는 행동을 취했다가 펴는 행동을 취하는 흐름이다. 즉, 악력이 증가했다가 감소하는 것을 그래프로 측정한 것이다.The graph of Figure 4 is shown in time series, the flow of the user takes the action of holding the hand and spread over time. In other words, the grip force increases and decreases in a graph.

도 4를 참조하면, x축은 시간을 나타내며, y축은 악력의 크기를 나타낸다.Referring to Figure 4, the x-axis represents time, the y-axis represents the magnitude of the grip force.

그래프의 처음과 끝 부분의 안정된 구간(403a, 403b)은 센서부에서 악력을 검출하지 못할 때, 즉 손목의 힘줄 다발의 변화가 없을 때의 초기 구간을 의미한다.The stable sections 403a and 403b at the beginning and the end of the graph mean initial sections when no grip force is detected by the sensor unit, that is, when there is no change in the tendon bundle of the wrist.

선형적으로 악력의 세기가 증가하는 구간(400)이 존재한다. 상기 구간에서는 사용자가 손을 쥐는 행동을 통하여 악력이 선형적으로 증가하는 구간을 의미한다. There is a section 400 in which the grip strength increases linearly. In the above section, it means a section in which the grip force linearly increases through the user's hand holding action.

반면, 그래프에 존재하는 악력 임계값은 제어상태의 변화 및 제어명령을 생성하는 데 필요한 기준값이다. 제어상태 관리부에서는, 악력이 임계값을 초과하는 지속 시간이 정해진 복수의 시간들을 초과할 때마다 제어상태를 변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어상태를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악력이 임계값을 넘는 시간을 측정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the grip force threshold present in the graph is a reference value necessary for generating the control command and the change of the control state. In the control state management unit, the control state may be changed whenever the grip force exceeds a plurality of predetermined times. Therefore, in order to change the control stat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rip force measures the time over the threshold value.

또한 제어명령 생성부에서는, 악력이 임계값을 초과할 때마다 채널 또는 볼륨을 상승 또는 하강하는 제어명령을 생성하게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서는 선형적으로 악력이 세기가 증가하는 구간(400)에서 채널 또는 볼륨을 선형적으로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제어 역시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악력에 대한 임계값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선형적으로 악력의 세기가 증가하는 구간(400)에 존재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 command generation unit generates a control command for raising or lowering the channel or volume whenever the grip force exceeds the threshold.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ntrol for linearly raising or lowering the channel or volume in a section 400 in which the grip force increases linearly may also be possible. The threshold for the grip force may be present in the section 400 in which the strength of the grip force increases linearly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악력의 세기가 일정한 값에 수렴하는 구간(401)이 존재할 수 있다. 센서부에 포함된 센서의 측정 범위, 제어 장치의 제어 필요량에 근거하여 일정한 값은 임의의 값이 선택될 수 있다. There may be a section 401 in which the grip strength converges to a constant value. Any value may be selected as a constant value based on the measurement range of the sensor included in the sensor unit and the required amount of control of the control device.

악력의 세기가 일정한 값에 수렴하는 구간(401) 내에는 손을 쥐는 행위 또는 펴는 행위의 구분점(402)이 존재할 수 있다. 구분점(402)은 악력의 세기가 일정한 값에 수렴하는 구간(401)의 임의의 부분에 존재할 수 있다. In the section 401 where the strength of the grip force converges to a constant value, there may be a division point 402 of a hand-holding or straightening action. The break point 402 may be in any portion of the interval 401 where the strength of the grip force converges to a constant value.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재생 장치의 제어 장치의 장치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5 is a device diagram of a control device of a content playback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description of parts that overlap with the description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S. 1 to 4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와 비교한 제2 실시 예의 가장 큰 특징은 센서부가 두 개 존재한다는 점이다.The biggest feature of the second embodiment compared with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re are two sensor units.

도 5를 참조하면, 제어상태 관리부(502)와 제어명령 생성부(503)가 존재하며 컨텐츠 재생 장치(520)에 제어명령을 전달하는 마스터부(500)가 존재한다. 마스터부(500)에 설치된 센서를 제1 센서부(501)라 한다. 반면, 다른쪽 손목에 설치 가능한 슬레이브부(510)가 존재하며, 슬레이브부(510)에 설치된 센서를 제2 센서부(511)라 한다.Referring to FIG. 5, a control state manager 502 and a control command generation unit 503 exist, and a master unit 500 that transmits a control command to the content playback device 520 exists. The sensor installed in the master unit 500 is called a first sensor unit 501. On the other hand, there is a slave unit 510 that can be installed on the other wrist, and the sensor installed in the slave unit 510 is called a second sensor unit 511.

제1 센서부(501)와 제2 센서부(511)는 사용자의 손목 양측에 각각 존재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사용자의 손목 양측의 악력을 측정할 수 있는 구성을 가지고 있다.The first sensor unit 501 and the second sensor unit 511 may be present at both sides of the wrist of the user. Accordingly, it has a configuration that can measure the grip force on both sides of the user's wrist.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서는 제어상태 관리부(502) 및 제어명령 생성부(503)는 제1 센서부(501)와 제2 센서부(511)의 명령을 동시에 수신한다. 마스터부(500)와 슬레이브부(510)에 대응하는 손목의 악력을 동시에 측정하고, 양 손목의 악력 정보를 조합하여 제어상태 및 제어명령 생성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실시 예에 비하여 제어명령 생성을 단순화 할 수 있으며, 양측 손목의 악력 정보를 조합함으로써 제어명령의 종류가 다양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state management unit 502 and the control command generation unit 503 simultaneously receive commands from the first sensor unit 501 and the second sensor unit 511. The grip force of the wrist corresponding to the master unit 500 and the slave unit 510 may be simultaneously measured, and control state and control command generation may be performed by combining grip force information of both wrists. As a result, the generation of the control command can be simplified compared to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combination of the grip force information of both wrists can provide various types of control commands.

슬레이브부(510)에는 제2 센서부(511)에서 측정한 슬레이브부(510)측 손목의 악력 정보를 마스터부(500)의 제어상태 관리부(502)에 전달하기 위해 통신 장치(512)가 존재할 수 있다. 통신 장치(512)는, 슬레이브부(510)의 악력 정보를 전달하는 수단으로서, 적외선 통신 장치를 포함하여 근거리 통신 장치라면 어느 것이나 가능할 것이다.In the slave unit 510, a communication device 512 exists to transmit the grip force information of the wrist of the slave unit 510 measured by the second sensor unit 511 to the control state manager 502 of the master unit 500. Can be. The communication device 512 may be any short-range communication device including an infrared communication device as a means for transmitting the grip force information of the slave unit 510.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서 제어상태 관리부(502) 및 제어명령 생성부(503)는 양쪽 손목의 악력 정보를 활용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state management unit 502 and the control command generation unit 503 may perform the following functions in order to utilize the grip force information of both wrists.

먼저, 제어상태 관리부(502)는, 마스터부(500) 및 슬레이브부(510)의 손목의 악력이 동시에 임계값을 초과하는 지속 시간에 근거하여 제어상태를 전환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상태를 전환하는 것은 컨텐츠 재생 장치(520)의 제어에 있어서 핵심적인 기능이기 때문에, 제어상태를 전환하기 위하여 양쪽 손목의 악력 정보가 동시에 임계값을 초과하는 지속 시간을 측정하고, 측정된 지속 시간에 근거하여 제어상태 전환 명령을 생성하게 되는 것이다.First, the control state manager 502 may include a function of switching the control state based on a duration in which the grip force of the wrists of the master unit 500 and the slave unit 510 simultaneously exceeds the threshold. Since switching the control state is a key function in the control of the content reproducing apparatus 520, in order to switch the control state, the duration of the grip force information of both wrists simultaneously exceeds the threshold, and the measured duration is measured. Based on this, the control state switching command is generated.

또한, 제어명령 생성부(503)는 마스터부(500) 및 슬레이브부(510) 중 어느 하나의 손목의 악력이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에 따라서 다른 제어명령을 생성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command generation unit 503 may include a function of generating another control command according to the case in which the grip force of one of the master unit 500 and the slave unit 510 exceeds a threshold value.

제어명령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채널 또는 볼륨의 상승 또는 하강을 의미한다. 따라서, 컨텐츠 재생 장치(520)의 채널 또는 볼륨을 상승하는 명령과 하강하는 명령은 다른 방식으로 생성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서 제어명령은 마스터부(500) 또는 슬레이브부(510) 중 어느 하나의 악력 정보에만 근거하여 생성되도록 한 것이다.The control command refers to the rising or falling of the channel or the volum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command for increasing the channel or volume of the content reproducing apparatus 520 and the command for lowering the content should be generated in a different manner. Therefore,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command is generated based only on the grip force information of either the master unit 500 or the slave unit 510.

예를 들어, 마스터부(500)의 손목의 악력이 임계값을 초과할 때마다 컨텐츠 재생 장치(520)의 채널 또는 볼륨을 상승하는 명령이 생성될 수 있다. 이 때, 이에 대응하여 슬레이브부(510)의 손목의 악력이 임계값을 초과할 때에는 컨텐츠 재생 장치(520)의 채널 또는 볼륨을 하강하는 명령을 생성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통해 정확하고 다양한 제어명령의 생성이 가능해질 것이다.For example, whenever the grip force of the wrist of the master unit 500 exceeds the threshold, a command to increase the channel or volume of the content playback device 520 may be generated. In this case, when the grip force of the wrist of the slave unit 510 exceeds the threshold, a command to lower the channel or volume of the content playback device 520 may be generated. This will enable the generation of accurate and various control commands.

제2 실시 예의 다른 동작들은 상기 도 1 내지 도 4에서 언급한 제1 실시 예에 대한 설명과 동일할 것이다.Other operations of the second embodiment will be the same as the description of the first embodiment mention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1 to 4.

도 6은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재생 장치의 제어 방법의 플로우차트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 1 내지 6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6 is a flowchart of a control method of a content reproduc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portions overlapping with the description of FIGS. 1 to 6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재생 장치의 제어 방법은, 먼저 센서부가 손목의 내부 근육의 힘줄 다발 형태의 변화를 측정하여 악력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 method of controlling a content reproducing apparatus includes first generating a grip force information by measuring a change in a tendon bundle form of an internal muscle of a wrist.

악력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센서부가 손목의 내부 근육의 힘줄 다발 형태의 변화를 측정하여 악력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1)에 추가하여, 손목의 악력이 임계값을 넘는지, 및 손목의 악력이 임계값을 초과하는 지속시간이 소정값을 초과하는지 중 하나 이상을 판단하는 손목의 악력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S2)를 포함할 수 있다. Generating the grip information, in addition to the step (S1) for generating the grip information by measuring the change in the tendon bundle form of the internal muscles of the wrist, whether the grip force of the wrist exceeds the threshold value, and the grip force of the wrist And analyzing the grip force information of the wrist for determining one or more of whether the duration exceeding the threshold exceeds a predetermined value (S2).

이후 제어상태 관리부가 악력 정보에 대응하여 컨텐츠 재생 장치의 제어상태를 관리하는 단계가 수행된다.Thereafter, the control state manager manages the control state of the content reproducing apparatus in response to the grip force information.

제어상태를 관리하는 단계는, 제어상태 관리부가 악력 정보에 근거하여 제어상태가 변화되어야 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S3)를 포함한다. 악력 정보에 따라서 제어상태가 변화되는 것이 실질적인 제어명령을 생성하는 것 보다 우선하여야 할 것이다. 제어상태에 따라서 악력 정보가 생성하는 제어명령이 다를 수 있기 때문이다.The step of managing the control state includes a step S3 of determining, by the control state manager, whether the control state should be changed based on the grip force information. Changing the control state according to the grip force information should be prioritized over generating the actual control command. This is because the control command generated by the grip force information may vary according to the control state.

만약 제어상태가 변화되어야 하는 악력 정보가 입력될 시에는, 제어상태를 변경하는 단계(S5)가 수행되며, 다시 손목의 악력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S2)가 수행된다. 또는 다시 손목의 악력을 측정하는 단계(S1)로 돌아갈 수 있을 것이다.If grip force information for which the control state is to be changed is input, step S5 of changing the control state is performed, and step S2 of analyzing grip force information of the wrist is performed again. Or it may be returned to step (S1) to measure the grip force of the wrist again.

제어상태의 변화가 없다면, 즉 악력 정보를 분석한 결과 제어상태를 변화하는 악력 정보가 입력되지 않았다면, 제어명령 생성부가 악력 정보 및 제어상태에 근거하여 컨텐츠 재생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명령을 생성하여 송출하는 단계(S4)가 수행된다. 컨텐츠 재생 장치는, 제어명령 생성부에서 생성된 제어 명령에 따라서 채널 또는 볼륨을 상승 또는 하강하는 제어를 수행하게 된다.If there is no change in the control state, that is, when the grip force information for changing the control state is not inpu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grip force information, the control command generator generates and sends a control command for controlling the content reproducing apparatus based on the grip force information and the control state. Step S4 is performed. The content reproducing apparatus performs the control of raising or lowering the channel or the volume according to the control command generated by the control command generation unit.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재생 장치의 제어 방법 예에 대한 블록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 1 내지 6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7 is a block diagram of an example of a method of controlling a content reproducing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portions that overlap with the description of FIGS. 1 to 6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서는 센서부가 두 개 존재하며, 각각 제1 센서부, 제어상태 관리부 및 제어명령 생성부를 포함하는 마스터부와 제2 센서부와 통신 장치를 포함하는 슬레이브부로 구성된다.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wo sensor units exist, and each includes a master unit including a first sensor unit, a control state manager, and a control command generation unit, and a slave unit including a second sensor unit and a communication device.

도 7을 참조하면, 컨텐츠 재생 장치의 제어에 관련된 구동 상태를 구분하고, 구동 상태의 전환 및 구동 상태에 따른 제어 명령의 생성은 마스터부 및 슬레이브부의 손목의 악력 정보에 따라서 결정된다. 도 7에 대한 설명에서 구동 상태는, 도 1 내지 도 6에 대한 설명에서의 제어상태에 근거하여 컨텐츠 재생 장치의 제어 장치가 작동하는 각 상태를 나타낸 것을 의미한다.Referring to FIG. 7, driving states related to control of the content reproducing apparatus are distinguished, and switching of the driving states and generation of control commands according to the driving states are determined according to grip force information of the wrists of the master unit and the slave unit. In the description of FIG. 7, the driving state refers to each state in which the control device of the content playback device operates based on the control state in the description of FIGS. 1 to 6.

먼저 컨텐츠 재생 장치 및 제어 장치에 전원이 인가되면, S701 상태로 전환된다. S701 상태에서는 슬레이브부에 역시 전원이 인가되어 마스터부와 통신 연결이 된 상태가 된다. 대신, 컨텐츠 재생 장치와 제어 장치의 연결은 해제된 상태가 된다.First, when power is applied to the content reproducing apparatus and the control apparatus, the state is switched to the S701 state. In the S701 state, power is also applied to the slave unit to be in a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the master unit. Instead, the connection between the content playback device and the control device is released.

이후 마스터부의 손목의 악력이 임계값을 초과하고, 임계값을 초과하는 지속 시간이 제1 시간(예를 들어 1초)가 경과하게 되면, S702 상태로 전환된다.Thereafter, when the grip force of the wrist of the master portion exceeds the threshold, and the duration exceeding the threshold reaches the first time (for example, 1 second), the state transitions to the S702 state.

S702 상태에서는, 슬레이브부와 마스터부의 통신이 연결되어 있고, 컨텐츠 재생 장치와 제어 장치의 연결이 된 상태이다. 또한, 기본적으로 컨텐츠 재생 장치의 제어 가능 상태는 가능으로 설정되어 있으며 제어명령 상태는 볼륨으로 설정되어 있다.In the S702 state, communication between the slave unit and the master unit is connected, and the content reproduction device and the control device are connected. In addition, the controllable state of the content reproducing apparatus is basically set to enabled, and the control command state is set to volume.

S702 상태에서 제어명령 생성부는 마스터부의 손목의 악력이 임계값을 초과할 때마다 볼륨을 상승하는 명령을 생성하여 컨텐츠 재생 장치에 송출하게 된다. 이에 대응하여, 슬레이브부의 손목의 악력이 임계값을 초과할 때 제어명령 생성부는 볼륨을 하강하는 명령을 생성하여 송출하게 된다.In operation S702, the control command generation unit generates a command to increase the volume whenever the grip force of the wrist of the master unit exceeds a threshold value and transmits the command to the content reproducing apparatus. Correspondingly, when the grip force of the wrist of the slave unit exceeds the threshold, the control command generation unit generates and sends a command for lowering the volume.

S702 상태에서 마스터부와 슬레이브부의 양 손목의 악력이 동시에 임계값을 초과하는 지속 시간이 제1 시간을 초과하게 되면, S703 상태로 전환된다. S703 상태에서 동일한 경우가 발생하면, S702 상태로 다시 전환된다.When the duration of the grip force of both the master unit and the slave unit simultaneously exceeding the threshold in the S702 state exceeds the first time, the state transitions to the S703 state. If the same case occurs in the S703 state, the state is switched back to the S702 state.

S703 상태는 S702상태와 다른 것은 동일하나 제어명령 상태가 채널(또는 선곡)로 전환된다. 따라서, S703 상태에서 제어명령 생성부는 마스터부의 손목의 악력이 임계값을 초과할 때마다 채널을 상승하는 명령을 생성하여 컨텐츠 재생 장치에 송출하게 된다. 이에 대응하여, 슬레이브부의 손목의 악력이 임계값을 초과할 때 제어명령 생성부는 채널을 하강하는 명령을 생성하여 송출하게 된다.The state S703 is the same as the state S702, but the control command state is switched to the channel (or tune). Therefore, in the state of S703, the control command generation unit generates a command for raising the channel whenever the grip force of the wrist of the master unit exceeds the threshold value and transmits the command to the content reproducing apparatus. Correspondingly, when the grip force of the wrist of the slave unit exceeds the threshold, the control command generation unit generates and sends a command for descending the channel.

S702 상태 및 S703 상태에서, 마스터부와 슬레이브부의 양 손목의 악력이 동시에 임계값을 초과하는 지속 시간이 제2 시간(예를 들어 3초)을 초과하게 되면, 구동 상태는 S704 상태로 전환된다. S704 상태에서 동일한 방식으로 S702 상태 또는 S703 상태로 변환된다. 따라서, S704 상태에서는 이전의 상태가 S702인지 S703인지 메모리에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In the S702 state and the S703 state, when the grip force of both wrists of the master unit and the slave unit simultaneously exceeds the threshold value, the driving state is switched to the S704 state. In the same manner in the S704 state, the state is switched to the S702 state or the S703 state. Therefore, in the S704 state, it may be stored in the memory whether the previous state is S702 or S703.

S704 상태는 “잠금 상태”라고도 할 수 있다. 슬레이브부와 마스터부 사이의 통신은 연결된 상태이며, 컨텐츠 재생 장치와 제어 장치 역시 통신 연결이 된 상태이다. 제어명령은 볼륨으로 설정된 상태이다. 그러나, 컨텐츠 재생 장치의 제어 가능 상태가 잠김으로 설정되어, 제어명령 생성부에 의해 제어명령이 생성된다 하더라도 제어명령이 컨텐츠 재생 장치로 송출되지 않는다. 즉, S704 상태에서는 마스터부 또는 슬레이브부의 손목의 악력이 임계값을 초과한다 하더라도 컨텐츠 재생 장치의 제어는 불가능하다.The S704 state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locked state".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slave unit and the master unit is in a connected state, and the content playback device and the control device are also in a communication state. The control command is set to the volume. However, even if the controllable state of the content reproducing apparatus is set to locked and a control command is generated by the control command generating unit, the control command is not sent to the content reproducing apparatus. That is, in the S704 state, even if the grip force of the wrist of the master unit or the slave unit exceeds the threshold value, the control of the content reproducing apparatus is impossible.

S702, S703 및 S704 상태에서 마스터부와 슬레이브부의 양 손목의 악력이 동시에 임계값을 초과하는 지속 시간이 제3 시간(예를 들어 5초)을 초과하게 되면, 다시 S701 상태로 전환되어 재생 장치와 제어 장치의 연결이 해제된다. S701상태에서는, 소정 시간(예를 들어 30초)간 마스터부의 손목의 악력이 임계값을 초과한다는 정보가 입력되지 않으면 전원이 자동으로 차단되는 제어를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If the durations at which the grip force of both the master and slave wrists exceed the threshold at the same time exceed the third time (for example, 5 seconds) in the states S702, S703, and S704, the state is switched back to the state S701, and the playback device and The control unit is disconnected. In the S701 state, if the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grip force of the wrist of the master unit exceeds a threshold value for a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30 seconds) is not input, the power may be automatically cut off.

도 7에 도시된 상태 전환 및 제어명령 생성의 예 이외에도, 손목의 악력 변화를 이용하여 컨텐츠 재생 장치의 제어를 수행하는 방법이라면 어느 방법 또는 상태라도 사용될 수 있을 것임은 당연할 것이다.In addition to the example of state switching and control command generation shown in FIG. 7, any method or state may be used as long as the method of controlling the content reproducing apparatus using the grip force change of the wrist may be used.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재생 장치의 제어 장치 및 방법에 대한 설명은 오로지 설명적인 용도로만 사용되어야 할 것이며, 특허청구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 이외에도, 본 발명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균등한 발명 역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될 것이다.Description of the control device and method of the content playback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sed only for descriptive purposes, and do not limit the claims.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quivalent invention that performs the same function as the present invention will also b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200: 컨텐츠 재생 장치의 제어 장치 101, 301: 센서부
102, 502: 제어상태 관리부 103, 503: 제어명령 생성부
110, 210, 520: 컨텐츠 재생 장치 120, 310: 손
220: 이어폰 300: 손목 단면
302: 피부 303: 힘줄
304: 손목관(수근관) 305: 뼈
400: 선형 구간 401: 수렴 구간
402: 구분점 403a, 403b: 초기 구간
500: 마스터부 501: 제1 센서부
510: 슬레이브부 511: 제2 센서부
512: 통신 장치
100, 200: control device 101, 301 of the content playback device sensor unit
102, 502: control state management unit 103, 503: control command generation unit
110, 210, 520: Content playback device 120, 310: Hand
220: earphone 300: wrist cross-section
302: skin 303: tendon
304: wrist (carpal tunnel) 305: bone
400: linear interval 401: convergence interval
402: break point 403a, 403b: initial section
500: master unit 501: first sensor unit
510: slave unit 511: second sensor unit
512: communication device

Claims (20)

손목의 내부 근육의 힘줄 다발 형태의 변화를 측정하여 악력 정보를 생성하는 센서부;
상기 악력 정보에 대응하여 컨텐츠 재생 장치의 제어상태를 관리하는 제어상태 관리부; 및
상기 악력 정보 및 상기 제어 상태에 근거하여 상기 컨텐츠 재생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명령을 생성하여 송출하는 제어명령 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상태는 컨텐츠 재생 장치와 제어 장치의 연결 상태, 상기 제어명령에 근거한 상기 컨텐츠 재생 장치의 제어 가능 여부 상태, 및 채널 및 볼륨 제어 중 하나를 선택하는 제어명령 상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명령 생성부는, 상기 컨텐츠 재생 장치의 제어 가능 여부 상태가 가능 상태인 경우에만 상기 제어명령을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의 제어 장치.
A sensor unit configured to generate grip force information by measuring a change in the tendon bundle form of the internal muscles of the wrist;
A control state manager configured to manage a control state of a content reproducing apparatus in response to the grip force information; And
A control command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and transmitting a control command for controlling the content reproducing apparatus based on the grip force information and the control state;
The control state includes at least one of a connection state between a content reproduction device and a control device, a controllability state of the content reproduction device based on the control command, and a control command state for selecting one of channel and volume control.
The control command generation unit transmits the control command only when the controllable state of the content reproducing apparatus is enable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양쪽 손목에 각각 설치된 마스터부 손목의 제1 센서부 및 슬레이브부 손목의 제2 센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의 제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nsor unit includes:
And a first sensor unit of a master wrist and a second sensor unit of a slave wrist respectively installed on both wrists.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상태 관리부는,
상기 마스터부 및 슬레이브부의 손목의 악력이 동시에 임계값을 초과하는 지속 시간에 근거하여 상기 제어상태를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의 제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control state management unit,
And controlling the control state based on a duration in which the grip force of the wrists of the master unit and the slave unit simultaneously exceeds a threshold.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명령 생성부는,
상기 마스터부 및 슬레이브부 중 어느 하나의 손목의 악력이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에 따라서 다른 제어명령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의 제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control command generation unit,
And a different control command according to a case in which a grip force of one of the master unit and the slave unit exceeds a threshold value.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어명령 생성부는,
상기 마스터부의 손목의 악력이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컨텐츠 재생 장치의 채널 및 볼륨 중 어느 하나를 상승하는 상기 제어명령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의 제어 장치.
The method of claim 4,
The control command generation unit,
And generating a control command for raising one of a channel and a volume of the content player when the grip force of the wrist of the master unit exceeds a threshold.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어명령 생성부는,
상기 슬레이브부의 손목의 악력이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컨텐츠 재생 장치의 채널 및 볼륨 중 어느 하나를 하강하는 상기 제어명령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의 제어 장치.
The method of claim 4,
The control command generation unit,
And generating the control command for lowering any one of a channel and a volume of the content player when the grip force of the wrist of the slave unit exceeds a threshold.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광신호를 상기 손목의 피부조직에 입사하는 송신부; 및
상기 광신호가 상기 손목의 내부 조직에 의해 반사된 광량을 측정하는 수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의 제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nsor unit includes:
A transmitter for injecting an optical signal into skin tissue of the wrist; And
And a receiver configured to measure an amount of light reflected by the optical signal by the internal tissue of the wris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손목의 악력이 임계값을 초과한 경우에만 악력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의 제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nsor unit includes:
And the grip force information is generated only when the grip force of the wrist exceeds a threshold.
센서부가 손목의 내부 근육의 힘줄 다발 형태의 변화를 측정하여 악력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제어상태 관리부가 상기 악력 정보에 대응하여 컨텐츠 재생 장치의 제어상태를 관리하는 단계; 및
제어명령 생성부가 상기 악력 정보 및 상기 제어 상태에 근거하여 상기 컨텐츠 재생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명령을 생성하여 송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상태는 상기 컨텐츠 재생 장치와 제어 장치의 연결 상태, 상기 제어명령에 근거한 상기 컨텐츠 재생 장치의 제어 가능 여부 상태, 및 채널 및 볼륨 제어 중 하나를 선택하는 제어명령 상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명령을 생성하여 송출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 재생 장치의 제어 가능 여부 상태가 가능 상태인 경우에만 상기 제어명령을 송출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의 제어 방법.
Generating a grip force information by measuring a change in the tendon bundle form of the internal muscles of the wrist;
A control state manager managing a control state of a content reproducing apparatus in response to the grip force information; And
Generating and transmitting a control command for controlling the content reproducing apparatus based on the grip force information and the control state;
The control state includes at least one of a connection state between the content reproduction device and a control device, a controllability state of the content reproduction device based on the control command, and a control command state for selecting one of channel and volume control.
The generating and transmitting of the control command may include transmitting the control command only when the controllable state of the content reproducing apparatus is enabled.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악력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양쪽 손목에 각각 설치된 마스터부 손목의 제1 센서부 및 슬레이브부 손목의 제2 센서부가 상기 양쪽 손목의 악력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의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Generating the grip information,
And a first sensor unit of a master wrist and a second sensor unit of a slave wrist respectively installed on both wrists to generate grip information of both wrists.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어상태를 관리하는 단계는,
상기 마스터부 및 슬레이브부의 손목의 악력이 동시에 임계값을 초과하는 지속 시간에 근거하여 상기 제어상태를 전환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의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2,
Managing the control state,
And controlling the control state based on a duration at which the grip force of the wrists of the master unit and the slave unit simultaneously exceeds a threshold value.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어명령을 생성하여 송출하는 단계는,
상기 마스터부 및 슬레이브부 중 어느 하나의 손목의 악력이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에 따라서 다른 제어명령을 생성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의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2,
Generating and sending the control command,
And generating another control command according to a case in which the grip force of the wrist of the master unit or the slave unit exceeds a threshold value.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제어명령을 생성하여 송출하는 단계는,
상기 마스터부의 손목의 악력이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컨텐츠 재생 장치의 채널 및 볼륨 중 어느 하나를 상승하는 상기 제어명령을 생성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의 제어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4,
Generating and sending the control command,
And generating the control command to raise any one of a channel and a volume of the content player when the grip force of the wrist of the master unit exceeds a threshold value.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제어명령을 생성하여 송출하는 단계는,
상기 슬레이브부의 손목의 악력이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컨텐츠 재생 장치의 채널 및 볼륨 중 어느 하나를 하강하는 상기 제어명령을 생성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의 제어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4,
Generating and sending the control command,
And generating the control command for lowering any one of a channel and a volume of the content player when the grip force of the wrist of the slave unit exceeds a threshold.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악력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송신부가 광신호를 상기 손목의 피부조직에 입사하는 단계; 및
수신부가 상기 광신호가 상기 손목의 내부 조직에 의해 반사된 광량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의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Generating the grip information,
A transmitter transmitting an optical signal to skin tissue of the wrist; And
And a receiving unit measuring the amount of light reflected by the internal tissue of the wrist.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악력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손목의 악력이 임계값을 초과한 경우에만 악력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의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Generating the grip information,
And generating grip force information only when the grip force of the wrist exceeds a threshold value.
KR1020100034535A 2009-12-18 2010-04-15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ntents player KR10134148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944,524 US8669842B2 (en) 2009-12-18 2010-11-11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ntents play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6706 2009-12-18
KR20090126706 2009-12-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0701A KR20110070701A (en) 2011-06-24
KR101341483B1 true KR101341483B1 (en) 2013-12-13

Family

ID=44402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4535A KR101341483B1 (en) 2009-12-18 2010-04-15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ntents play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1483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7137B1 (en) * 2013-03-15 2020-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0585484B2 (en) 2013-12-30 2020-03-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transferring data from a terminal to an electromyography (EMG) devi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51186A (en) * 2001-02-23 2002-09-06 Yamaha Corp Music control system
JP2004020748A (en) * 2002-06-13 2004-01-22 Yamaha Corp Performance operation amount detector
KR20050049345A (en) * 2003-11-20 2005-05-25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layback mode control device and playback mode control method
JP2005270546A (en) * 2004-03-26 2005-10-06 Seiko Instruments Inc Biological information measur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51186A (en) * 2001-02-23 2002-09-06 Yamaha Corp Music control system
JP2004020748A (en) * 2002-06-13 2004-01-22 Yamaha Corp Performance operation amount detector
KR20050049345A (en) * 2003-11-20 2005-05-25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layback mode control device and playback mode control method
JP2005270546A (en) * 2004-03-26 2005-10-06 Seiko Instruments Inc Biological information measur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0701A (en) 2011-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6984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ntents player
US11871197B2 (en) Multifunctional earphone system for sports activities
US10292606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performance capacity
JP4988016B2 (en) Finger motion detection apparatus and method
US20170336870A1 (en) Foot gesture-based control device
CN105392526B (en) Skin-nursing device with adaptive motion feedback
US2017012010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reating a neural network to provide personalized recommendations using activity monitoring devices with biometric sensors
CN102655551A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nsory feedback
WO2002088918A3 (en) Multi-functional ergonomic interface
US1190368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stimating bio-information
KR20170094406A (en) Optical communication with optical sensors
WO2016042420A1 (en) Ultrasound-based facial and modal touch sensing with head worn device
CN108509048A (en) A kind of control device and its control method of smart machine
KR101341483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ntents player
KR20180042702A (en) Electronic 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using Wearable Apparatus for Prescribing of Psychology associated with Emotion and Behavior of User through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CN106662898A (en) Modal body touch using ultrasound
CN204971260U (en) Head -mounted electronic equipment
KR20110022520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motion of finger
JP2016197305A (en) Wearable terminal device and control program
KR20190007910A (en) Wearable hmd controller based on bio-signal for controlling virtual reality contents and hmd device and method thereof
JP7244539B2 (en) biosensor
KR10159694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gnizing and managing stress based on wearable device
CN207541265U (en) A kind of multichannel ultrasonic guide arm device
KR20120007558A (en) A coronaryintervention automatic realization and the most measurement location revision system for a heart beat
CN208459971U (en) A kind of control device of smart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