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0361B1 - Laser apparatus capable of regulating photo-mechanical effect and method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Laser apparatus capable of regulating photo-mechanical effect and method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0361B1
KR101340361B1 KR1020130030727A KR20130030727A KR101340361B1 KR 101340361 B1 KR101340361 B1 KR 101340361B1 KR 1020130030727 A KR1020130030727 A KR 1020130030727A KR 20130030727 A KR20130030727 A KR 20130030727A KR 101340361 B1 KR101340361 B1 KR 1013403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ser beam
pulse
diameter
laser
pulsed la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072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순철
전재훈
박종락
최승문
정구인
민병찬
김형식
김성필
Original Assignee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0307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0361B1/en
Priority to PCT/KR2013/007346 priority patent/WO2014148701A1/en
Priority to US14/061,897 priority patent/US9092955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03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0361B1/en
Priority to AU2014100000A priority patent/AU2014100000A4/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02Positioning or observing the workpiece, e.g. with respect to the point of impact; Aligning, aiming or focusing the laser beam
    • B23K26/06Shaping the laser beam, e.g. by masks or multi-focusing
    • B23K26/062Shaping the laser beam, e.g. by masks or multi-focusing by direct control of the laser beam
    • B23K26/0622Shaping the laser beam, e.g. by masks or multi-focusing by direct control of the laser beam by shaping pul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3/00Lasers, i.e.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the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wave range
    • H01S3/10Controlling the intensity, frequency,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the emitted radiation, e.g. switching, gating, modulating or demodulating
    • H01S3/101Lasers provided with means to change the location from which, or the direction in which, laser radiation is emitt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3/00Lasers, i.e.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the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wave range
    • H01S3/10Controlling the intensity, frequency,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the emitted radiation, e.g. switching, gating, modulating or demodul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18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 A61B18/2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using laser
    • A61B18/203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using laser applying laser energy to the outside of the bod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lasma & Fu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ser Surgery Devic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ser apparatus capable of regulating photo-mechanical effects. The laser apparatus generates photo-mechanical effects by outputting pulsed laser beams, and controls the photo-mechanical effects by regulating the energy of the pulsed laser beams in a state where the diameter of the pulsed laser beam is uniformly maintained. [Reference numerals] (110) Laser output unit;(130) Optical filter unit;(150) Lens unit;(170) Control unit;(AA) Laser beam

Description

광-기계적 효과를 조절할 수 있는 레이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LASER APPARATUS CAPABLE OF REGULATING PHOTO-MECHANICAL EFFECT AND METHOD USING THE SAME}LASER APPARATUS CAPABLE OF REGULATING PHOTO-MECHANICAL EFFECT AND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광-기계적 효과를 조절할 수 있는 레이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펄스 레이저 빔을 이용하여 광-기계적 효과(Photo-mechanical effect)를 일으킬 수 있고, 상기 펄스 레이저 빔의 직경(Diameter)을 일정하게 유지한 상태에서 펄스 에너지를 조절하여, 상기 광-기계적 효과를 조절할 수 있는 레이저 장치와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ser device capable of adjusting the photo-mechanical effect and a method us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hoto-mechanical effect using a pulsed laser beam, the pulsed laser beam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ser device capable of adjusting the photo-mechanical effect by adjusting pulse energy while keeping a diameter of a constant.

레이저(Laser) 장치란, 방사의 유도 방출에 의한 광증폭(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을 이용하여 빛을 방출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A laser device refers to a device that emits light using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이러한 레이저 장치는, 자연광(Natural light)과는 차별되는 '방향, 위상, 파장이 고른 인공의 빛'을 방출할 수 있는데, 이러한 특성을 기초로 많은 산업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1) 광학적 특성을 이용한 광통신 영역, 2) 질병 모니터링, 저출력 레이저 광선요법(Low level laser therapy), 광역동 치료(Photodynamic therapy) 등의 의료 영역, 3) 화학적 결합을 분리하는 나노기술 영역, 4) 다이아몬드 가공 등의 정밀 공작 기계 영역 등을 망라하는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Such a laser device may emit 'artificial light having a uniform direction, phase, and wavelength', which is different from natural light, and is used in many industrial fields based on these characteristics. Specifically, 1) optical communication using optical properties, 2) medical monitoring such as disease monitoring, low level laser therapy, photodynamic therapy, and 3) nanotechnology to separate chemical bonds. 4) It is used in various industrial fields covering precision machine tools such as diamond processing.

하지만, 종래의 레이저 장치는, 광학적 효과의 측면에서 활용되거나, 80℃ 이상의 범위에서 발생되는 광-화학적(Photo-chemical) 또는 광-열적(Photo-thermal) 효과의 측면에서만 활용되었다.
However, conventional laser devices have been utilized only in terms of optical effects, or only in terms of photo-chemical or photo-thermal effects occurring in the range of 80 ° C. or higher.

따라서, 광-기계적(Photo-mechanical) 효과를 일으킬 수 있는 레이저 장치에 관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Therefore, there is no research on the laser device that can cause the photo-mechanical effect.

KRKR 2013-00096312013-0009631 AA

본 발명은 레이저 장치를 이용하여 광-기계적 효과를 유발시키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 of causing the photo-mechanical effect using a laser device.

또한, 본 발명은 레이저 장치를 이용하여 인체에 기계적 자극(Mechanical Stimulus)을 제시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ke it possible to present a mechanical stimulus (Mechanical Stimulus) to the human body using a laser device.

또한, 본 발명은 레이저 장치가 유발하는 광-기계적 효과를 조절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makes it possible to control the photo-mechanical effects caused by laser devices.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장치는, 펄스 레이저 빔(Pulsed laser beam)을 출력하여 광-기계적 효과(Photo-mechanical effect)를 일으키되, 상기 펄스 레이저 빔의 직경(Diameter)을 일정하게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펄스 레이저 빔의 에너지를 조절하여 광-기계적 효과(Photo-mechanical effect)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Las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by outputting a pulsed laser beam (Pulsed laser beam) to cause a photo-mechanical effect (Photo-mechanical effect), The photo-mechanical effect is controlled by adjusting the energy of the pulsed laser beam while keeping a diameter constant.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장치는, 상기 펄스 레이저 빔의 펄스 폭(Pulse width)을 ms(millisecond) 이하로 유지시키고, 상기 펄스 레이저 빔의 직경을 일정하게 유지한 상태에서, 단위 펄스당 에너지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las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le maintaining the pulse width (pulse width) of the pulse laser beam (ms) in milliseconds or less, and the diameter of the pulse laser beam is kept constant, unit It is characterized by adjusting the energy per puls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장치는, 광-기계적 힘을 증가시키는 모드 및 광 기계적 힘을 감소시키는 모드로 동작할 수 있고, 상기 광-기계적 힘을 증가시키는 모드에서 상기 단위 펄스당 에너지를 증가시키고, 상기 광-기계적 힘을 감소시키는 모드에서 상기 단위 펄스당 에너지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laser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operate in a mode of increasing the photo-mechanical force and a mode of decreasing the photomechanical force, and per unit pulse in the mode of increasing the photo-mechanical force. The energy per unit pulse is reduced in a mode of increasing energy and decreasing the photo-mechanical forc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장치는, 상기 펄스 레이저 빔의 출력 직경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제1동작; 및 상기 펄스 레이저 빔의 출력 직경을 변화시키는 제2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las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operation for maintaining a constant output diameter of the pulsed laser beam; And a second operation of changing an output diameter of the pulsed laser beam.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장치는, 상기 레이저 빔이 대상물에 도달할 때의 직경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las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maintaining a constant diameter when the laser beam reaches the object.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장치는, 상기 대상물과의 거리가 변화는 경우, 상기 펄스 레이저 빔의 출력 직경을 변화시켜 상기 대상물에 도달할 때의 빔 직경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las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distance to the object changes, by changing the output diameter of the pulsed laser beam to maintain a constant beam diameter when reaching the object It is don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장치는, 상기 펄스 레이저 빔의 출력 직경을 변화시키기 위한 렌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las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lens unit for changing the output diameter of the pulsed laser beam.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장치는, 대상물과의 거리를 인식하기 위한 거리 인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거리 인식부가 인식한 거리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렌즈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las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tance recognition unit for recognizing the distance to the object further comprises,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trolling the lens unit based on the distance information recognized by the distance recognition unit. do.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장치는, 상기 거리 인식부가, 초음파, 적외선 또는 레이저를 이용하여 거리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las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tance recognizing unit measures distance using ultrasonic waves, infrared rays, or lasers.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장치는, 인체에 기계적 자극을 제시하는 용도로 활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las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utilized for the purpose of presenting a mechanical stimulus to the human body.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장치는, 레이저의 출력 광의 세기 또는 펄스 폭을 조절하여, 상기 단위 펄스당 에너지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las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energy per unit pulse is controlled by adjusting the intensity or pulse width of the output light of the laser.

한편,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햅틱 장치는, 펄스 레이저 빔(Pulsed laser beam)을 출력하여 광-기계적 효과(Photo-mechanical effect)를 일으키되, 상기 펄스 레이저 빔의 직경(Diameter)을 일정하게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펄스 레이저 빔의 에너지를 조절하여 광-기계적 효과(Photo-mechanical effect)를 조절하며, 상기 광-기계적 효과를 이용하여 기계적 촉감을 제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On the other hand, the hapt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by outputting a pulsed laser beam (Pulsed laser beam) to cause a photo-mechanical effect (Photo-mechanical effect), the pulse laser The photo-mechanical effect can be controlled by adjusting the energy of the pulsed laser beam while maintaining a constant diameter of the beam, and can present a mechanical touch using the photo-mechanical effect.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햅틱 장치는, 상기 펄스 레이저 빔의 펄스 폭(Pulse width)을 ms(millisecond) 이하로 유지시키고, 상기 펄스 레이저 빔의 직경을 일정하게 유지한 상태에서, 단위 펄스당 에너지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hapt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le maintaining the pulse width (pulse width) of the pulse laser beam (millisecond) or less, and the diameter of the pulse laser beam is kept constant, It is characterized by adjusting the energy per pulse.

한편,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기계적 효과 유발 방법은, (a) 레이저 장치가 펄스 레이저 빔의 에너지를 조절하는 단계; (b) 상기 레이저 장치가 생성한 펄스 레이저 빔이 대상물에 도달하는 단계; 및 (c) 상기 대상물에 도달한 펄스 레이저 빔이 광-기계적 효과를 일으키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레이저 장치가, 상기 펄스 레이저 빔의 직경을 일정하게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펄스 레이저 빔의 에너지를 조절하여, 상기 광-기계적 효과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On the other hand, a method for inducing a photo-mechanical eff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a) the laser device to adjust the energy of the pulsed laser beam; (b) the pulse laser beam generated by the laser device reaches an object; And (c) generating a photo-mechanical effect by the pulsed laser beam reaching the object, wherein the laser device maintains the energy of the pulsed laser beam while maintaining a constant diameter of the pulsed laser beam. By adjusting, the photo-mechanical effect can be adjuste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기계적 효과 유발 방법은, 상기 (a) 단계의 레이저 장치가, 상기 펄스 레이저 빔의 펄스 폭(Pulse width)을 ms(millisecond) 이하로 유지시키고, 상기 펄스 레이저 빔의 직경을 일정하게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단위 펄스당 에너지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in the method of inducing a photo-mechanical eff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aser device of step (a) maintains the pulse width of the pulse laser beam to ms (millisecond) or less, and The energy per unit pulse is controlled while the diameter of the pulse laser beam is kept constant.

본 발명은 펄스 레이저 빔(Pulsed laser beam)을 이용하여 광-기계적 효과(Photo-mechanical effect)를 일으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펄스 폭이 ms(millisecond) 이하인 펄스 레이저 빔을 이용하여 광-기계적 효과를 일으킬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duce a photo-mechanical effect using a pulsed laser beam.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duce a photo-mechanical effect using a pulsed laser beam with a pulse width of ms (millisecond) or less.

또한, 본 발명은 구현하는 광-기계적 힘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펄스 레이저 빔의 펄스 폭이 ms 이하이고, 상기 펄스 레이저 빔의 직경(Diameter)이 일정하게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펄스 레이저 빔의 단위 펄스당 에너지를 증가시키거나 감소(= 에너지 밀도를 증가시키거나 감소)시켜서 광-기계적 힘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increase or decrease the photo-mechanical forces to implement.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increases or decreases the energy per unit pulse of the pulsed laser beam while the pulse width of the pulsed laser beam is ms or less and the diameter of the pulsed laser beam is kept constant. Increase or decrease the energy density) to increase or decrease the photo-mechanical force.

또한, 본 발명은 레이저 빔의 출력 직경을 일정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으며, 출력 직경이 일정하게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펄스 레이저 빔의 단위 펄스당 에너지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레이저 장치로부터 고정된 거리에 위치하는 대상물에 조사되는 레이저 빔의 직경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이러한 상태에서 단위 펄스당 에너지를 조절(= 에너지 밀도를 조절)하여 유발되는 광-기계적 힘을 변화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maintain the output diameter of the laser beam in a constant state,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energy per unit pulse of the pulsed laser beam in a state in which the output diameter is kept constant. Therefore, the diameter of the laser beam irradiated to the object located at a fixed distance from the laser device can be kept constant, and in this state, the photo-mechanical force caused by adjusting the energy per unit pulse (= adjusting the energy density) can be maintained. Can change.

또한, 본 발명은 레이저 장치와 대상물 사이의 거리가 변화되는 경우에도, 대상물에 조사되는 펄스 레이저 빔의 직경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레이저 장치와 대상물 사이의 거리 변화에 대응하여, 펄스 레이저 빔의 출력 직경을 변화시키는 형태로도 구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대상물에 조사되는(도달되는) 펄스 레이저 빔의 직경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대상물에 조사되는 펄스 레이저 빔의 직경이 일정하게 유지된 상태에서 단위 펄스당 에너지를 조절(= 에너지 밀도를 조절)하여 유발되는 광-기계적 힘을 변화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keep the diameter of the pulsed laser beam irradiated on the object constant even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laser device and the object is changed.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in a form of changing the output diameter of the pulsed laser beam in response to a change in distance between the laser device and the object, through which the diameter of the pulsed laser beam irradiated (reached) onto the object. Can be kept constant. Therefore,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photo-mechanical force caused by adjusting the energy per unit pulse (= adjusting the energy density) while the diameter of the pulsed laser beam irradiated to the object is kept constant.

또한, 본 발명은 햅틱(Hapic) 장치에도 활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광-기계적인 효과를 기초로 인체의 피부에 체성 감각(Somethesis)을 제시할 수 있으므로, 햅틱스(Haptics) 분야에 응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레이저의 광-화학적(Photo-chemical) 또는 광-열적(Photo-thermal) 자극이 아닌, 광-기계적 자극을 이용하여 체성 감각을 제시할 수 있으므로, 비접촉(Non-contact) 등의 레이저 본연의 특성은 유지하면서 안전한 상태로 체성 감각을 제시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haptic device. Specifically,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sent somethesis to the skin of the human body based on the photo-mechanical effect, it may be applied to the field of haptics.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sent the somatosensory using photo-mechanical stimulation, not photo-chemical or photo-thermal stimulation of the laser, such as non-contact, etc. It is possible to present somatosensory in a safe state while maintaining the laser's natural characteristics.

또한, 본 발명은 햅틱스 분야에 활용되는 경우, 기존의 햅틱 장치들과 달리 기계적 자극을 정량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종래의 햅틱 장치들은 진동 소자, 공기 압력, 핀 배열 등을 이용하여 기계적인 자극을 제시하였기 때문에 기계적 자극을 정량적으로 제어하기가 어려웠으나, 본 발명은 레이저의 단위 펄스당 에너지를 제어하여 기계적 자극을 정량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used in the field of haptics, the present invention can quantitatively control mechanical stimuli unlike conventional haptic devices. Specifically, the conventional haptic devices are difficult to quantitatively control the mechanical stimulus because the mechanical stimulus is presented by using a vibration element, air pressure, pin arrangement, etc.,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ntrol the energy per unit pulse of the laser Mechanical stimulation can be controlled quantitatively.

또한, 본 발명은 햅틱스 분야에 활용되는 경우, 기존의 햅틱 장치들과 달리 기계적 자극의 시간적 신뢰성(목표 시점과 실제 자극 시점의 일치 여부에 관한 신뢰성) 또는 공간적 신뢰성(목표 부위와 실제 자극 부위의 일치 여부에 관한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종래의 햅틱 장치들은 진동 소자, 공기 압력, 핀 배열 등을 이용하여 기계적 자극을 제시하였기 때문에 기계적 자극의 시간적 신뢰성 또는 공간적 신뢰성을 확보하기가 어려웠으나, 본 발명은 빛의 속도로 이동하는 레이저 빔의 특성을 이용하여 시간적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고, 레이저 빔의 미세한 움직임을 통해 공간적인 신뢰성도 확보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when used in the field of haptics, unlike conventional haptic devices, the temporal reliability of the mechanical stimulus (reliability of whether the target time point and the actual stimulation time coincidence) or spatial reliability (the target site and the actual stimulation site of Reliability of coincidence) can be secured. Specifically, the conventional haptic devices have presented a mechanical stimulus using a vibration element, air pressure, pin arrangement, etc., but it is difficult to secure temporal reliability or spatial reliability of the mechanical stimulus. Temporal reliability can be secured us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laser beam, and spatial reliability can also be secured through the fine movement of the laser beam.

도 1은 레이저 장치가 일으킬 수 있는 광 기계적 효과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은 펄스 레이저 빔의 파라미터들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장치가 포함할 수 있는 렌즈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장치가 광-기계적 효과를 일으키는 것을 확인하기 위한 실험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8은 피에조 센서(Piezo sensor)의 출력 신호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펄스 레이저 빔의 직경을 일정하게 유지한 상태에서 단위 펄스당 에너지를 변화(=에너지 밀도의 변화)시키는 조건에서 수행된 실험들의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1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photomechanical effect that a laser device may caus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las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parameters of a pulsed laser beam.
4 and 5 are exemplary views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lens unit which can be included in the lase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laser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experimental system for confirming that the lase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uses a photo-mechanical effect.
8 is a graph showing an output signal of a piezo sensor.
9 to 11 are graphs showing the results of experiments performed under the condition of changing the energy per unit pulse (= change in energy density) while keeping the diameter of the pulse laser beam constant.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설명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된 도면에 표현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쉽게 설명하기 위해 도식화된 도면으로 실제로 구현되는 형태와 상이할 수 있다.Hereinafter, a laser apparatus and a method us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understand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u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n addition, the matters described in the attached drawings may be different from those actually implemented by the schematic drawings to easily describe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이하에서 표현되는 각 기능부는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예일 뿐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구현에서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기능부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각 기능부는 순전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구성만으로 구현될 수도 있지만, 동일 기능을 수행하는 다양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구성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In the meantime, each functional unit expressed below is only an example for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other functional units may be used in o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each functional unit may be implemented solely in hardware or software configuration, but may be implemented in combination of various hardware and software configurations performing the same function.

또한, 어떤 구성요소들을 '포함'한다는 표현은, '개방형'의 표현으로서 해당 구성요소들이 존재하는 것을 단순히 지칭할 뿐이며, 추가적인 구성요소들을 배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In addition, the expression "comprising" certain components merely refers to the presence of the components as an 'open' expression, and should not be understood as excluding additional components.

이하, 본 발명에 다른 레이저 장치의 특징을 개괄적으로 살펴본다.
Hereinafter, the features of the lase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장치는, 레이저 빔을 통해 광-기계적 효과(Photo-mechanical effect)를 유발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광-화학적 효과(Photo-chemical effect) 또는 광-열적 효과(Photo-thermal effect)를 유발시키는 용도로만 활용되던 레이저 빔의 파라미터를 조절하여, 광-기계적 효과를 유발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장치는 기계적 자극(Mechanical stimulus)이 필요한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으며, 특히 광-화학적 효과 또는 광-열적 효과가 유발할 수 있는 문제점(예컨대, 피부 조직 손상 등)으로 인해 진입 장벽이 있었던, 체성감각(Somesthesis) 제시 분야(예컨대, 촉감 제시 장치, 햅틱 장치 등)에도 기계적 자극의 소스로서 활용될 수 있다.
The lase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cause a photo-mechanical effect through a laser beam. Specifically, by adjusting the parameters of the laser beam that was used only for causing the photo-chemical effect or the photo-thermal effect, the photo-mechanical effect can be induced. Therefore, the lase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tilized in various industrial fields requiring mechanical stimulus, and in particular, as a problem (eg, damage to skin tissue) that a photo-chemical effect or a photo-thermal effect can cause. Somesthesis presentation areas (eg, tactile presentation devices, haptic devices, etc.), which have had barriers to entry, can also be utilized as sources of mechanical stimuli.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장치는, 광-기계적 효과의 발생을 위해, 연속형 레이저(CW laser, Continuous wave laser)가 아닌 펄스 레이저(Pulsed laser)를 이용하여 레이저 빔을 생성하며, 생성된 펄스 레이저 빔의 에너지를 조절한다. The lase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a laser beam using a pulsed laser rather than a continuous laser (CW laser, continuous wave laser) to generate a photo-mechanical effect, and the generated pulse laser Adjust the energy of the beam.

레이저 자극의 연속적으로 제공되는 경우에는 광-화학적 효과 또는 광-열적 효과가 일어날 수 있으므로, 이러한 효과들을 배제한 상태에서 광-기계적 효과를 얻기 위해 펄스 레이저(Pulsed laser)를 이용하는 것이다.
The photo-chemical effect or the photo-thermal effect may occur when continuously provided with the laser stimulus, and thus, pulsed laser is used to obtain the photo-mechanical effect without excluding these effect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장치는, ms(millisecond) 이하의 펄스 폭(Pulse width) 조건에서 단위 펄스당 에너지를 조절하며, 이러한 조절 동작을 기초로 레이저 빔의 광-기계적 효과를 발생시킨다. In addition, the lase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gulates the energy per unit pulse in a pulse width condition of ms (millisecond) or less, and generates the photo-mechanical effect of the laser beam based on this adjustment operation.

펄스 레이저를 이용하는 경우에도, 펄스 폭이 큰 경우에는 레이저 자극의 충분한 노출시간이 확보되어 광-화학적 또는 광-열적 현상이 일어날 수 있다. 따라서, ms(millisecond) 이하의 펄스 폭(Pulse width) 조건에서 단위 펄스당 에너지를 조절하여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Even in the case of using a pulsed laser, when the pulse width is large, sufficient exposure time of the laser stimulus is ensured, and thus photo-chemical or photo-thermal phenomenon may occur. Therefore, it is desirable to prevent this phenomenon by adjusting the energy per unit pulse in a pulse width condition of ms (millisecond) or les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장치는, 대상물에 조사되는 펄스 레이저 빔의 직경(Diameter)을 일정하게 유지한 상태에서 단위 펄스당 에너지를 조절(= 에너지 밀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이러한 동작을 통해 상기 펄스 레이저 빔이 광-기계적 효과를 유발하는 정도(= 광-기계적 힘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ase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adjust the energy per unit pulse (= adjust the energy density) while maintaining a constant diameter (diameter) of the pulsed laser beam irradiated to the object, through this operation The degree to which the pulsed laser beam causes the photo-mechanical effect (= magnitude of photo-mechanical force) can be adjusted.

따라서, 레이저의 광-기계적 효과를 정량적으로 제시하기 위한 제어 동작의 기초를 제공할 수 있다.
Thus, it can provide the basis of a control operation for quantitatively presenting the photo-mechanical effects of the laser.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장치(100)를 살펴본다.
Hereinafter, a laser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장치(100)는 위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광-기계적 효과를 일으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의 상부 측 그림과 같이 인체 이외의 물체에 기계적인 효과를 일으키거나, 도 1의 하부 측 그림과 같이 인체에 기계적인 촉감을 유발시킬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the laser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ause the photo-mechanical effect as described above. Specifically, it may cause a mechanical effect on an object other than the human body as shown in the upper side of FIG. 1, or may cause a mechanical touch to the human body as shown in the lower side of FIG. 1.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장치(100)는, 펄스 레이저 빔을 생성하는 레이저 출력부(110), 상기 펄스 레이저 빔을 구성하는 광신호의 세기(Power, J/s)를 조절하기 위한 광필터부(130), 상기 펄스 레이저 빔의 직경을 조절하기 위한 렌즈부(150), 상기 레이저 출력부, 상기 광필터부, 상기 렌즈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2, the laser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aser output unit 110 for generating a pulse laser beam, the intensity of the optical signal constituting the pulse laser beam (Power, J / The optical filter unit 130 for adjusting the s), the lens unit 150 for adjusting the diameter of the pulse laser beam, the control unit 170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laser output unit, the optical filter unit, the lens unit It may include.

또한, 상기 레이저 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 자신의 동작과 관련된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부, 외부의 장치들과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부 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들 역시 상기 제어부(17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laser apparatus 100 may further include an input unit for receiving information from a user, an output unit for outputting information related to its operation,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with external devices, and the like. These components may also be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170.

상기 레이저 출력부(110)는, 펄스 레이저 빔(Pulsed laser beam)을 출력하는 구성으로서, 레이저 드라이버(Laser driver), 냉각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레이저 드라이버는, 레이저 매질(Laser medium), 광 펌핑부(Optical pumping), 광 공진기(Optical resonator) 등의 구성을 포함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펄스 레이저 빔을 구성하는 광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상기 냉각 장치는, 상기 레이저 드라이버가 광 신호를 생성하는 과정에서 발생 될 수 있는 열을 제거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레이저 드라이버 장치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구성이다. The laser output unit 110 may output a pulsed laser beam and may include a laser driver, a cooling device, and the like. The laser driver is configured to include a laser medium, an optical pumping unit, an optical resonator, and the like, and generates an optical signal constituting the pulsed laser beam. In addition, the cooling device is configured to remove heat that may be generated in the process of generating an optical signal by the laser driver, and serves to protect the laser driver device.

이러한 상기 레이저 출력부(110)는, 펄스 레이저 빔을 생성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레이저 출력부(110)는, 루비 레이저, 네오디뮴:야그 레이저(Nd:YAG Laser), 네오디뮴:글라스 레이저(Nd:Glass Laser), 레이저 다이오드(Ga, Al, As), 엑시머(Excimer) 레이저, 색소 레이저 등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종류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The laser output unit 110 may be formed in various forms capable of generating a pulsed laser beam. For example, the laser output unit 110 may be a ruby laser, neodymium: yag laser (Nd: YAG laser), neodymium: glass laser (Nd: glass laser), laser diode (Ga, Al, As), excimer ( Excimer) can be formed in the form of a laser, a dye laser, and the like, in addition to this kind can be configured in various forms.

또한, 상기 레이저 출력부(110)는, 상기 펄스 레이저 빔의 다양한 파라미터를 조절할 수 있으며, 특히 광-기계적 효과의 발생을 위해 상기 펄스 레이저 빔의 단위 펄스당 에너지를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단위 펄스당 에너지의 조절은, 펄스 레이저 빔을 구성하는 광신호의 세기(Power, J/s)를 조절하는 동작을 통해 달성되거나, 상기 펄스 레이저 빔의 펄스 폭(Pulse width)을 조절하는 동작을 통해 달성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 상기 펄스 폭의 조절은 ms(millisecond) 이하의 범위에서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ms를 초과하는 범위에서 조절되는 경우에는 앞서 언급한 것과 같이 광-화학적 효과 또는 광-열적 효과가 유발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In addition, the laser output unit 110 may adjust various parameters of the pulsed laser beam, and in particular, may adjust energy per unit pulse of the pulsed laser beam to generate a photo-mechanical effect. Herein, the adjustment of the energy per unit pulse is achieved through the operation of adjusting the intensity (Power, J / s) of the optical signal constituting the pulse laser beam, or adjusting the pulse width of the pulse laser beam. Can be achieved through operation. In this case, however, the pulse width may be adjusted in a range of ms (millisecond) or less. In the case of adjusting the pulse width, the photo-chemical effect or the photo-thermal effect may be induced as mentioned above. Because there is a possibility.

참고로,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펄스 레이저 빔의, 광신호 세기(Power, J/s), 펄스 폭(Pulse width), 펄스 반복율(Repetition rate) 등의 파라미터를 확인해볼 수 있다. For reference, referring to FIG. 3, parameters such as optical signal power (Power, J / s), pulse width, pulse repetition rate, and the like of the pulse laser beam may be checked.

한편, 상기 레이저 출력부(110)가 상기 펄스 레이저 빔의 단위 펄스당 에너지를 조절함에 따라, 대상물에 조사되는 펄스 레이저 빔의 에너지 밀도 역시 조절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1) 대상물에 조사되는 펄스 레이저 빔의 직경이 일정하게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레이저 출력부(110)가 단위 펄스당 에너지를 증가시킴에 따라, 대상물에 조사되는 펄스 레이저 빔의 에너지 밀도가 증가 될 수 있고, 2) 대상물에 조사되는 펄스 레이저 빔의 직경이 일정하게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레이저 출력부(110)가 단위 펄스당 에너지를 감소시킴에 따라, 대상물에 조사되는 펄스 레이저 빔의 에너지 밀도가 감소 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동작을 통해 상기 레이저 장치(100)가 유발하는 광-기계적 힘의 세기를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킬 수 있다. (뒤에서 살펴보겠지만, 펄스 레이저 빔의 직경이 일정하게 유지된 상태에서, 대상물에 조사되는 펄스 레이저 빔의 에너지 밀도를 증가시키거나 감소시켜서, 유발되는 광-기계적 힘의 세기를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킬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s the laser output unit 110 adjusts the energy per unit pulse of the pulsed laser beam, the energy density of the pulsed laser beam irradiated to the object may also be adjusted. Specifically, 1) as the laser output unit 110 increases the energy per unit pulse while the diameter of the pulse laser beam irradiated to the object is kept constant, the energy density of the pulse laser beam irradiated to the object is increased. 2) the energy of the pulsed laser beam irradiated to the object as the laser output unit 110 decreases the energy per unit pulse while the diameter of the pulsed laser beam irradiated to the object is kept constant. Density can be reduced. Therefore, this operation can increase or decrease the intensity of the photo-mechanical force caused by the laser device 100. As will be seen later, while the diameter of the pulsed laser beam remains constant, it increases or decreases the energy density of the pulsed laser beam irradiated to the object, thereby increasing or decreasing the intensity of the induced photo-mechanical force. Can be.)

상기 광필터부(130)는, 상기 펄스 레이저 빔을 구성하는 광신호의 세기(Power, J/s)를 조절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이러한 세기 조절을 통해 상기 레이저 출력부(110)가 출력하는 레이저 빔의 단위 펄스당 에너지를 2차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구성이다. The optical filter unit 130 is a configuration for adjusting the intensity (Power, J / s) of the optical signal constituting the pulse laser beam, the laser output unit 110 outputs through this intensity control The energy can be adjusted secondly per unit pulse of the beam.

이러한 상기 광필터부(130)는, 광신호의 세기를 감쇄시키는 감쇄 장치(Attenuator)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러한 장치를 이용하여 광신호의 세기(Power, J/s)를 감쇄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광필터부(130)는, 펄스 폭이 동일한 상태에서 광신호의 세기를 감쇄시켜 단위 펄스당 에너지를 감소시키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The optical filter unit 130 may include an attenuator for attenuating the intensity of the optical signal, and may reduce the intensity (Power, J / s) of the optical signal using the apparatus. Therefore, the optical filter unit 130 may perform an operation of reducing energy per unit pulse by attenuating the intensity of the optical signal in the same pulse width.

한편, 상기 광필터부(130)는, 상기 레이저출력부(110) 자체가 단위 펄스당 에너지를 조절하는 능력을 갖추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레이저 장치(100)에 선택적으로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단위 펄스당 에너지를 세밀하게 조절하기 위한 보조적인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상기 레이저출력부(110) 자체가 단위 펄스당 에너지를 조절하는 능력을 갖추고 있지 못하는 경우에는 상기 레이저 장치(100)에 필수적으로 장착되어서, 상기 단위 펄스당 에너지를 조절하는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the optical filter unit 130, if the laser output unit 110 itself has the ability to adjust the energy per unit pulse may be selectively mounted on the laser device 100, the unit pulse It can play a secondary role in fine-tuning sugar energy. However, when the laser output unit 110 itself does not have the ability to adjust the energy per unit pulse, it is essentially mounted on the laser device 100, and plays a leading role in controlling the energy per unit pulse. Done.

상기 렌즈부(150)는, 상기 펄스 레이저 빔의 직경(Diameter)을 조절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러한 상기 렌즈부(150)는, 상기 펄스 레이저 빔을 집속하기 위한 광집속부(예컨대, 볼록렌즈부 등) 및 상기 펄스 레이저 빔을 확산시키기 위한 광확산부(예컨대, 오목 렌즈부 등)를 포함할 수 있다.The lens unit 150 is a configuration for adjusting the diameter (diameter) of the pulse laser beam. The lens unit 150 includes a light focusing unit (for example, a convex lens unit) for focusing the pulsed laser beam and a light diffusing unit (eg, concave lens unit, etc.) for diffusing the pulsed laser beam. can do.

한편, 상기 렌즈부(150)는 1) 펄스 레이저 빔의 출력 직경을 일정하게 유지(제1동작)시키거나, 2) 펄스 레이저 빔의 출력 직경을 변화(제2동작)시킬 수 있다. 형성될 수 있다. (참고로 여기서 펄스 레이저 빔의 출력 직경이란, 펄스 레이저 빔이 상기 레이저 장치를 떠나는 순간의 직경을 의미한다.)Meanwhile, the lens unit 150 may 1) maintain a constant output diameter of the pulse laser beam (first operation), or 2) change the output diameter of the pulse laser beam (second operation). . (For reference, the output diameter of the pulse laser beam herein means the diameter at the moment when the pulse laser beam leaves the laser device.)

상기 제1동작은 상기 렌즈부(150)의 구성 및 배치를 고정시킴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1동작은, 위치(거리)가 고정된 대상물에 일정한 직경의 펄스 레이저 빔을 가하고자 하는 경우에 활용될 수 있다. 펄스 레이저 빔의 출력 직경이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상기 레이저 장치로부터 고정된 거리만큼 떨어진 대상물에 조사(도달)되는 펄스 레이저 빔의 직경도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1동작의 실시예를 확인할 수 있다. 도 4의 실시예에서 상기 렌즈부(150)는 구성 및 배치가 고정된 상태로 형성되며, 펄스 레이저 빔의 출력 직경을 일정하게 유지시킨다. 따라서, 거리 1만큼 떨어진 대상물에 조사되는 펄스 레이저 빔의 직경을 D1으로 일정하게 유지시키고, 거리 2만큼 떨어진 대상물에 조사되는 펄스 레이저 빔의 직경을 D2로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The first operation may be achieved by fixing the configuration and arrangement of the lens unit 150. The first operation may be utilized when a pulse laser beam having a constant diameter is applied to an object having a fixed position (distance). Since the output diameter of the pulsed laser beam is kept constant, the diameter of the pulsed laser beam irradiated (reached) to the object distant by a fixed distance from the laser device can be kept constant. Referring to FIG. 4, an embodiment of the first operation may be confirmed. In the embodiment of FIG. 4, the lens unit 150 is formed in a fixed configuration and arrangement, and maintains a constant output diameter of the pulsed laser beam. Therefore, the diameter of the pulse laser beam irradiated to the object separated by the distance 1 can be kept constant at D1, and the diameter of the pulse laser beam irradiated to the object separated by the distance 2 can be kept constant at D2.

상기 제2동작은 상기 렌즈부(150)의 구성 및 배치를 동적으로 변화시킴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렌즈부(150)는, 상기 광집속부와 상기 광확산부를 선택적으로 배치하는 동작, 상기 광집속부의 배치 위치를 변화시키는 동작, 상기 광확산부의 배치 위치를 변화시키는 동작 등을 통해 상기 펄스 레이저 빔의 출력 직경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킬 수 있다. 참고로,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광확산부의 배치 위치를 변화시키는 동작을 통해, 상기 펄스 레이저 빔의 출력 직경을 변화시키는 실시예를 확인할 수 있다.The second operation may be achieved by dynamically changing the configuration and arrangement of the lens unit 150. Specifically, the lens unit 150 may be configured by selectively arranging the light converging unit and the light diffusing unit, changing an arrangement position of the light converging unit, and changing an arrangement position of the light diffusing unit. It is possible to increase or decrease the output diameter of the pulsed laser beam. For reference, referring to FIG. 5, an embodiment of changing an output diameter of the pulsed laser beam may be confirmed by changing an arrangement position of the light diffusion unit.

이러한 상기 제2동작은, 위치가 변화할 수 있는(운동 가능한) 대상물에 일정한 직경의 펄스 레이저 빔을 가하고자 하는 경우에 활용될 수 있다. 상기 대상물의 위치가 상기 레이저 장치로부터 멀어지는 경우에는 상기 펄스 레이저 빔의 출력 직경을 증가시키고, 상기 대상물의 위치가 상기 레이저 장치를 향해 가까워지는 경우에는 상기 펄스 레이저 빔의 출력 직경을 감소시켜서, 위치가 변화하는(운동하는) 대상물에 조사(도달)되는 펄스 레이저 빔의 직경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2동작의 실시예를 확인할 수 있다. 도 5의 실시예에서 상기 렌즈부(150)는 대상물의 위치 변화에 따라 상기 펄스 레이저 빔의 출력 직경을 변화시키며, 이러한 동작을 통해 대상물에 조사되는 빔의 직경을 일정하게 유지시킨다. 예를 들어 상기 대상물이 위치 1에서 위치 2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멀어진 거리에 비례하여 펄스 레이저 빔의 출력 직경을 증가시키며, 이를 통해 대상물에 조사(도달)되는 빔의 직경을 동일하게 유지시킨다. 또한, 상기 대상물이 위치 2에서 위치 1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가까워진 거리에 비례하여 펄스 레이저 빔의 출력 직경을 감소시키며, 이를 통해 대상물에 조사(도달)되는 빔의 직경을 동일하게 유지시킨다. This second operation can be utilized when a pulse laser beam of constant diameter is to be applied to an object whose position can be changed (movable). When the position of the object moves away from the laser device, the output diameter of the pulsed laser beam is increased, and when the position of the object approaches toward the laser device, the output diameter of the pulsed laser beam is reduced, whereby This is because the diameter of the pulsed laser beam irradiated (arrived) on the changing (moving) object can be kept constant. Referring to FIG. 5, an embodiment of the second operation may be confirmed. In the embodiment of Figure 5, the lens unit 150 changes the output diameter of the pulsed laser beam in accordance with the position change of the object, and through this operation to maintain a constant diameter of the beam irradiated to the object. For example, when the object moves from position 1 to position 2, the output diameter of the pulsed laser beam is increased in proportion to the distance away, thereby maintaining the same diameter of the beam irradiated to the object. In addition, when the object moves from position 2 to position 1, the output diameter of the pulsed laser beam is reduced in proportion to the approaching distance, thereby maintaining the same diameter of the beam irradiated to the object.

결국, 이상에 살핀 상기 렌즈부(150)는, 상기 제1동작 또는 상기 제2동작을 통해 고정 또는 운동하는 물체에 조사(도달)되는 펄스 레이저 빔의 직경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As a result, the above-described salping lens unit 150 may maintain the diameter of the pulse laser beam irradiated (reached) to an object which is fixed or moved through the first operation or the second operation.

상기 입력부는, 상기 레이저 장치(100)의 동작에 필요한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구성이다. 이러한 상기 입력부는 상기 펄스 레이저 빔의 다양한 파라미터를 조절하기 위한 기초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으며, 입력받은 정보를 상기 제어부(170)에 전달할 수 있다. The input unit is a component for receiving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laser apparatus 100. The input unit may receive basic information for adjusting various parameters of the pulsed laser beam, and may transfer the received information to the controller 170.

또한, 상기 입력부는 숫자 또는 문자를 입력받고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다수의 입력키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레이저 장치(100)의 동작에 필요한 다양한 기능키들도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input un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input keys for receiving a number or a character and setting various functions, and may also include various function keys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laser apparatus 100.

한편, 상기 입력부는, 패드, 터치스크린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입력 장치로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입력 장치 이외에도 다양한 장치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The input unit may be formed as various types of input devices such as a pad and a touch screen, and may be formed in various devices in addition to the input device.

상기 출력부는, 상기 레이저 장치(100)의 동작 상태 및 동작 결과를 표시하거나 소정의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러한 상기 출력부는 각종 메뉴를 비롯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 및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으며,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ed Diode), 음성 출력 장치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출력장치들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The output unit is configured to display an operation state and an operation result of the laser apparatus 100 or provide predetermined information to a user. The output unit may display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and information provided to the user, including various menus, and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liquid crystal displays,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and audio output devices. It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output devices.

상기 통신부는, 상기 레이저 장치(100)가 외부의 전자 장치들과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게 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상기 통신부는, IEEE 표준을 만족시키는 다양한 유선 통신 장치 또는 무선 통신 장치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IEEE 표준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통신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unit is configured to allow the laser device 100 to transmit and receive information with external electronic devices. The communication unit may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various wired communication devices or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that satisfy the IEEE standard,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types of communication devices in addition to the IEEE standard.

따라서, 이러한 통신부를 통해 상기 레이저 장치(100)는 외부의 전자 장치에 의해 제어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장치, 모바일 단말기 등의 다양한 전자 장치와 연동하여 동작하는 형태로도 구성될 수 있다.
Therefore, the laser device 100 may be configured to be controlled by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and may also be configured to operate in conjunction with various electronic devices such as a display device and a mobile terminal. .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레이저 출력부(110), 상기 광필터부(130), 상기 렌즈부(150), 상기 입력부, 상기 출력부, 상기 통신부를 포함하는 상기 레이저 장치(100)의 다양한 구성들을 제어하기 위한 구성이다. The controller 170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the laser apparatus 100 including the laser output unit 110, the optical filter unit 130, the lens unit 150, the input unit, the output unit, and the communication unit. This is a configuration for controlling the configurations.

이러한 상기 제어부(170)는, 적어도 하나의 연산 수단과 저장 수단을 포함할 수 있는데, 여기서 상기 연산 수단은 범용적인 중앙연산장치(CPU)일 수 있으나, 특정 목적에 적합하게 구현된 프로그래머블 디바이스 소자(CPLD, FPGA)나 주문형 반도체 연산장치(ASIC) 또는 마이크로 컨트롤러 칩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 수단은 휘발성 메모리 소자이거나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전자기적 저장 소자이거나 연산 수단 내부의 메모리일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70 may include at least one computing means and a storing means, which may be a general purpose central processing unit (CPU), but may be a programmable device element CPLD, FPGA) or an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or microcontroller chip. Also, the storage means may be a volatile memory element, a non-volatile memory or a non-volatile electromagnetic storage element, or a memory within the computing means.

한편,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레이저 출력부(110) 및 상기 광필터부(130)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펄스 레이저 빔의 단위 펄스당 에너지를 총괄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레이저 출력부(110) 및 상기 광필터부(130)의 동작을 제어하여, 펄스 폭(Pulse width) 및 광신호의 세기(Power, J/s)를 조절할 수 있으며, 이러한 파라미터들의 조절동작을 통해 단위 펄스당 에너지를 조절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170 may collectively control the energy per unit pulse of the pulsed laser beam by controlling the operations of the laser output unit 110 and the optical filter unit 130. Specifically, b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laser output unit 110 and the optical filter unit 130,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pulse width (Pulse width) and the intensity (Power, J / s) of the optical signal, The adjustment operation can control the energy per unit pulse.

또한,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렌즈부(150)의 동작을 제어하여 대상물에 조사(도달)되는 펄스 레이저 빔의 직경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170)는, 대상물의 위치가 고정된 경우에는 상기 렌즈부를 위에서 살펴본 제1동작 상태로 동작시키고, 대상물의 위치가 변화하는 경우에는 상기 렌즈부를 위에서 살펴본 제2동작 상태로 동작시켜서, 대상물에 조사(도달)되는 펄스 레이저 빔의 직경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ler 170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lens unit 150 to maintain a constant diameter of the pulse laser beam irradiated (reached) to the object. Specifically, when the position of the object is fixed, the controller 170 operates the lens unit in the first operating state as viewed from above, and when the position of the object changes, operates the lens unit in the second operating state as described above. The diameter of the pulsed laser beam irradiated (arrived) to the object can be kept constant.

또한, 상기 제어부(170)는, 광-기계적 힘을 증가시키기 위한 제어모드로 동작하거나, 광-기계적 힘을 감소시키기 위한 제어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1) 먼저, 상기 제어부(170)는 광-기계적 힘을 증가시키기 위한 제어모드에서 동작하는 경우, 대상물에 조사되는 펄스 레이저 빔의 직경을 일정하게 유지한 상태에서, 단위 펄스당 에너지를 증가(=에너지 밀도를 증가)시키는 제어동작을 수행하며, 이러한 동작을 통해 펄스 레이저 빔이 유발하는 광-기계적 힘을 증가시킬 수 있다. 2) 또한, 상기 제어부(170)는, 광-기계적 힘을 감소시키기 위한 제어모드에서 동작하는 경우, 대상물에 조사되는 펄스 레이저 빔의 직경을 일정하게 유지한 상태에서, 단위 펄스당 에너지를 감소(=에너지 밀도를 감소)시키는 제어동작을 수행하며, 이러한 동작을 통해 펄스 레이저 빔이 유발하는 광-기계적 힘을 감소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ler 170 may operate in a control mode for increasing the photo-mechanical force or in a control mode for reducing the photo-mechanical force. 1) First, when the control unit 170 operates in a control mode for increasing the photo-mechanical force, the controller 170 increases the energy per unit pulse while maintaining a constant diameter of the pulse laser beam irradiated to the object (= To increase the energy density, which can increase the photo-mechanical forces induced by the pulsed laser beam. 2) In addition, when operating in a control mode for reducing the photo-mechanical force, the controller 170 reduces the energy per unit pulse while maintaining a constant diameter of the pulsed laser beam irradiated to the object ( = Control the energy density), which can reduce the photo-mechanical forces induced by the pulsed laser beam.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장치를 살펴본다.
Hereinafter, a laser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장치는, 앞서 살펴본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레이저 출력부(110), 광필터부(130), 렌즈부(150), 입력부, 출력부, 통신부 제어부(170)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레이저 장치와 대상물 사이의 거리를 인식하기 위한 거리 인식부(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 the laser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like the embodiment described above, has a laser output unit 110, an optical filter unit 130, a lens unit 150, an input unit, an output unit, The communication unit controller 170 may be included. The distance recognition unit 190 may be further included to recognize the distance between the laser device and the object.

상기 거리 인식부(190)는, 상기 레이저 장치(100)와 대상물(펄스 레이저 빔을 조사받는 대상물) 사이의 거리를 인식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상기 거리 인식부(190)는, 상기 레이저 장치(100)와 상기 대상물 사이의 거리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거리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렇게 생성한 정보를 상기 제어부(170)로 전달할 수 있다. The distance recognition unit 190 is configured to recognize a distance between the laser device 100 and an object (object to which the pulse laser beam is irradiated). The distance recognition unit 190 may generate distance information by measuring the distance between the laser device 100 and the object in real time, and may transmit the generated information to the controller 170.

따라서,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거리 인식부(190)로부터 전달받는 거리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렌즈부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1)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는, 상기 거리 인식부(190)가 전달하는 거리 정보가 일정한 수치로 고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렌즈부(150)를 위에서 살펴본 제1동작 상태로 제어할 수 있다. 2) 또한,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거리 인식부(190)가 전달하는 거리 정보가 실시간으로 변경되는 경우에는, 상기 렌즈부(150)를 위에서 살펴본 제2동작 상태로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170)는, 실시간으로 변화되는 거리 정보를 바탕으로, 펄스 레이저 빔의 출력 직경을 실시간으로 변화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제어 동작을 통해 운동하는 물체에 조사(도달)되는 펄스 레이저 빔의 직경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Therefore, the controller 170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lens unit based on the distanc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distance recognition unit 190. 1) For example, when the distance information transmitted by the distance recognition unit 190 is fixed at a fixed value, 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lens unit 150 to the first operation state as described above. . 2) In addition, when the distance information transmitted by the distance recognizer 190 is changed in real time, the controller 170 may control the lens unit 150 to the second operation state as described above. In this case, the controller 170 may change the output diameter of the pulse laser beam in real time based on the distance information that is changed in real time, and pulse laser irradiated (reached) to the moving object through this control operation. The diameter of the beam can be kept constant.

한편, 상기 거리 인식부(190)는 다양한 방식으로 거리를 인식(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거리 인식부(190)는 레이저 또는 초음파가 발사되어 돌아오기까지의 시간이나, 레이저 또는 초음파의 주기 또는 진폭의 변화를 분석하여 레이저 장치(100)와 대상물 사이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리 인식부(190)는, 대상물에 적외광을 조사하고 그 반사광의 수광 감도를 검출하여 거리를 측정하거나, GPS 등을 이용하여 거리를 측정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거리 인식부(190)는, 이러한 초음파 방식, 적외선 방식, 레이저 방식, GPS 방식 중 2가지 이상의 방식을 동시에 적용하여 거리를 측정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산출된 값들의 평균을 계산하여 최종 거리 값을 결정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거리 인식부(190)가 레이저를 이용하여 거리를 측정하는 경우에는, 상기 레이저 출력부(110)와 연동한 상태로도 동작할 수 있다. 즉, 별도의 거리 측정용 레이저 장치를 장착하지 않고, 상기 레이저 출력부(110)가 출력하는 펄스 레이저 빔을 이용하여 거리를 측정할 수도 있다.
The distance recognizer 190 may recognize (measure) the distance in various ways. For example, the distance recognition unit 190 may measure the distance between the laser device 100 and the object by analyzing the time until the laser or the ultrasonic wave is emitted and the change in the period or amplitude of the laser or the ultrasonic wave. Can be. In addition, the distance recognition unit 190 may irradiate an infrared light to an object and detect a light receiving sensitivity of the reflected light to measure the distance, or may measure the distance using a GPS or the like. In addition, the distance recognition unit 190 may measure the distance by simultaneously applying two or more of the ultrasonic method, the infrared method, the laser method, and the GPS method. In this case, the average of the calculated values may be calculated. The distance value can be determined. For reference, when the distance recognizer 190 measures a distance using a laser, the distance recognizer 190 may operate in a state in which the distance recognizer 190 is interlocked with the laser output unit 110. That is, the distance may be measured using a pulsed laser beam output by the laser output unit 110 without mounting a separate distance measuring laser device.

이상에 살핀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장치(100)는 펄스 레이저 빔을 이용하여 광-기계적 효과를 일으킬 수 있고, 상기 광-기계적 효과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기계적 자극이 필요한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laser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generate a photo-mechanical effect by using a pulsed laser beam, and may control the photo-mechanical effect, and thus may be utilized in various industrial fields requiring mechanical stimulation. .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장치(100)는, 인체의 피부 조직에도 광-기계적 효과를 일으킬 수 있으며, 기계적-촉감이 필요한 다양한 햅틱(Haptic)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In particular, the laser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cause a photo-mechanical effect on skin tissue of the human body, and may be applied to various haptic devices requiring mechanical touch.

이하, 도 7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장치(100)가 광-기계적 효과를 일으키는 것을 실험적으로 살펴본다.
Hereinafter, the laser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experimentally with reference to FIGS. 7 through 8.

도 7은 상기 레이저 장치(100)의 광-기계적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실험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7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experimental system for confirming the photo-mechanical effect of the laser device 100.

이러한 상기 실험 시스템에는, 레이저 장치(100), 콜라겐 필름, 피에조 센서, 3축 위치 미세 조정 장치, 컴퓨터 등의 구성이 포함될 수 있다.
Such an experimental system may include a configuration of a laser device 100, a collagen film, a piezo sensor, a three-axis position fine adjustment device, a computer, and the like.

상기 레이저 장치(100)는, 위에서 살펴본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장치(100)이다. The laser device 100 is a laser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본 실험에서는 이러한 상기 레이저 장치(100)의 일 실시예로서, 532 nm의 파장(Wavelength), 5ns의 펄스 폭(Pulse width), 10 Hz의 펄스 반복률(Repetition rate), 0.48mm의 빔 직경(대상물에 조사되는 빔 직경)을 가지는 레이저 장치가 사용되었다.
In this experiment, as an embodiment of the laser device 100, a wavelength of 532 nm, a pulse width of 5 ns, a pulse repetition rate of 10 Hz, and a beam diameter of 0.48 mm (object Laser device having a beam diameter irradiated to it).

상기 콜라겐 필름은, 임상 치료용 대체피부(Ficilitates epidermal healing & substitue) 용도로 사용되는 타입 I 콜라겐 필름(Neskin®-F, Medira, 300㎛ 내지 500㎛의 두께)으로서, 인체의 피부 조직을 모델링한 구성이다. 생체 조직의 90% 이상이 타입 I 콜라겐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이러한 콜라겐 필름을 이용하여 생체 피부 조직에서 발생 될 효과를 간접적으로 실험할 수 있다. The collagen film is a type I collagen film (Neskin®-F, Medira, thickness of 300 μm to 500 μm) used for clinical treatment epidermal healing & substitue, modeling human skin tissue. Configuration. Since more than 90% of the living tissue is composed of type I collagen, the collagen film can be used to indirectly experiment with the effects that will occur in living skin tissue.

다만, 인체의 피부 두께(표피)는 개인별, 성별, 인종별에 따라 차이가 있으므로, 본 실험에서는 1차적으로 5장의 콜라겐 필름을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하고, 2차적으로 10장의 콜라겐 필름을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개인별, 성별, 인종별에 따라 인체의 피부 두께(표피)가 콜라겐 필름 5장 내지 10장의 범위에서 변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표 1을 참조하면, 5장의 콜라겐 필름과 10장의 콜라겐 필름의 무게와 두께를 확인할 수 있다. However, since the skin thickness (epidermis) of the human body differs according to individual, sex, and race, in this experiment, five collagen films were first conducted, and secondly, collagen films were used.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This is because the skin thickness (epidermis) of the human body may vary in the range of 5 to 10 collagen films according to individual, gender, and race. Referring to Table 1, the weight and thickness of five collagen films and ten collagen films can be confirmed.

콜라겐 필름의 개수Number of collagen films 무게[g]Weight [g] 두께[mm]Thickness [mm] 5장Chapter 5 0.120.12 0.150.15 10장Chapter ten 0.230.23 0.310.31

한편, 상기 콜라겐 필름은 상기 피에조 센서에 부착된 형태로 사용되었다.
On the other hand, the collagen film was used in the form attached to the piezo sensor.

상기 피에조 센서(Piezo sensor)는, 외부에서 가해지는 기계적인 자극을 전기적인 출력신호로 표현하는 소자이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이러한 피에조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콜라겐 필름에서 유발되는 기계적인 변화를 관측하였다. The piezo sensor is an element expressing a mechanical stimulus applied from the outside as an electrical output signal. Therefore, in this experiment, the piezoelectric sensor was used to observe the mechanical change caused in the collagen film.

한편, 본 실험에서는 표면이 코딩된 피에조 센서(LFT1-028K, Measurement specialties)를 사용하였는데, 이는 상기 콜라겐 필름의 부착 시 센서 표면이 받을 수 있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Meanwhile, in this experiment, a piezoelectric sensor (LFT1-028K, Measurement specialties) whose surface is coded was used, in order to minimize the influence that the sensor surface may have when the collagen film is attached.

상기 3축 위치 미세 조정 장치는, 상기 피에조 센서의 위치를 미세하게 컨트롤하기 위한 장치이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상기 피에조 센서가 출력하는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신호를 분석하며, 분석한 결과를 디스플레이하는 장치이다.
The three-axis position fine adjustment device is a device for finely controlling the position of the piezo sensor. The computer is a device for receiving a signal output from the piezo sensor, analyzing the received signal, and displaying the analyzed result.

이상에서 살핀 실험 시스템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실험을 진행하였다.In the above, the following experiment was conducted using a salping test system.

1) 단위 펄스당 에너지가 0.05 mJ인 펄스 레이저 빔을 5장으로 구성된 콜라겐 필름에 조사하는 실험을 진행하였다.1) An experiment was performed in which a collagen film composed of five sheets was irradiated with a pulse laser beam having an energy of 0.05 mJ per unit pulse.

2) 펄스 레이저 빔은 10 Hz의 빈도로 조사되었으며, 구체적으로 0.05[s] 직전, 0.15[s] 직전, 0.25[s] 직전, 0.35[s] 직전 등의 순간에 조사되었다. 2) The pulsed laser beam was irradiated at a frequency of 10 Hz. Specifically, the pulsed laser beam was irradiated immediately before 0.05 [s], immediately before 0.15 [s], immediately before 0.25 [s], and immediately before 0.35 [s].

3) 이러한 실험 과정에서 출력되는 피에조 센서의 신호를 분석하였다.
3) The signal of the piezo sensor output during the experiment was analyzed.

도 8은 이러한 실험의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조사된 레이저 빔의 펄스 반복율과 대응되는 10 Hz의 빈도로 피에조 센서의 출력신호가 생성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피에조 센서에서 출력신호가 생성되는 시점도 상기 펄스 레이저 빔이 조사된 시점(0.05[s] 직전, 0.15[s] 직전, 0.25[s] 직전, 0.35[s] 등)과 일치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8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this experiment. Referring to FIG. 5, it can be seen that the output signal of the piezo sensor is generated at a frequency of 10 Hz corresponding to the pulse repetition rate of the irradiated laser beam. In addition, it is confirmed that the time when the output signal is generated by the piezo sensor coincides with the time when the pulse laser beam is irradiated (just before 0.05 [s], just before 0.15 [s], just before 0.25 [s], 0.35 [s], etc.). Can be.

따라서, 이러한 실험 결과를 통해, 상기 레이저 빔이 광-기계적 효과를 유발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피에조 센서의 출력신호의 크기를 분석함으로써, 유발된 광-기계적 힘의 크기도 산출할 수도 있다.
Therefore, through these experimental results, it can be seen that the laser beam caused the photo-mechanical effect. In addition, by analyzing the magnitude of the output signal of the piezo sensor, it is also possible to calculate the magnitude of the induced photo-mechanical force.

이하,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펄스 레이저 빔의 직경 및 에너지 밀도의 제어와 관련된 실험예를 살펴본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9 to 11, the experimental example related to the control of the diameter and energy density of the pulse laser beam.

광-기계적 효과의 조절을 위한, 파라미터의 제어 방법을 연구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실험을 진행하였다.
The following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study how to control the parameters for controlling the photo-mechanical effects.

1)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장치(100)를 이용하여 펄스 레이저 빔을 피험자들의 손가락에 조사하고, 피험자들의 반응을 조사하였다.
1) The pulse laser beam was irradiated to the fingers of the subjects using the laser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response of the subjects was examined.

2) 피험자들의 반응은 "느낌 없음", "기계적 촉감(접촉감, 압감)이 느껴짐", "아픔(통증)"으로 구분하여 조사하였다.
2) The responses of the subjects were classified into "no feeling", "feeling of mechanical touch (feeling of touch) and" pain ".

3) 펄스 레이저 빔의 직경(손가락에 조사되는 빔의 직경)을 일정하게 유지한 상태에서 단위 펄스당 에너지를 변화(=에너지 밀도를 변화)시키면서 실험을 진행하였다.
3)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while changing the energy per unit pulse (= energy density change) while maintaining the constant diameter of the pulsed laser beam (diameter of the beam irradiated to the finger).

아래의 표 2는 실험에 사용된 빔 직경, 에너지 밀도, 피험자의 수를 보여준다. 6 종류의 빔 직경에서 26가지 조합의 에너지 밀도를 사용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Table 2 below shows the beam diameter, energy density, and number of subjects used in the experiment. Experiments were performed using 26 combinations of energy densities at six beam diameters.

빔 직경 [Beam diameter [ mmmm ]] 에너지 밀도 [J/Energy density [J / cmcm 22 ]] 피험자 수 [n]Number of subjects [n] 0.430.43 0.206690.20669 1010 0.413380.41338 0.620060.62006 0.826750.82675 1.033441.03344 0.870.87 0.050490.05049 1010 0.100980.10098 0.151470.15147 0.201960.20196 0.252450.25245 44 0.0398089170.039808917 1010 0.0636942680.063694268 0.0955414010.095541401 0.1273885350.127388535 0.1592356690.159235669 55 0.0254777070.025477707 1010 0.0560509550.056050955 0.0968152870.096815287 0.1273885350.127388535 0.1579617830.157961783 77 0.051995320.05199532 1010 0.0753932150.075393215 0.0987911090.098791109 88 0.0398089170.039808917 1010 0.0696656050.069665605 0.0995222930.099522293

도 9 내지 도 11은, 상기 표 2의 조건에서 수행된 실험의 결과를 정리한 그래프이다.
9 to 11 are graphs showing the results of experiments performed under the conditions of Table 2.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손가락에 조사되는 펄스 레이저 빔의 직경이 일정하게 유지(0.43mm, 0.87mm, 4mm, 5mm, 7mm 또는 8mmn)된 상태에서 단위 펄스당 에너지(=에너지 밀도)가 증가하는 경우에, 기계적 촉감 또는 아픔(강한 강도의 기계적 촉감)을 인지한 피험자의 비율도 함께 상승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반대로, 손가락에 조사되는 펄스 레이저 빔의 직경이 일정하게 유지된 상태에서 단위 펄스당 에너지(=에너지 밀도)가 감소하는 경우에는, 기계적 촉감 또는 아픔을 인지한 피험자의 비율도 함께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9 to 11, the energy per unit pulse (= energy density) is maintained while the diameter of the pulsed laser beam irradiated to the finger is kept constant (0.43mm, 0.87mm, 4mm, 5mm, 7mm or 8mmn). When increasing, it can be seen that the proportion of the subjects who perceived mechanical touch or pain (mechanical touch of strong intensity) also increased. On the contrary, if the energy per unit pulse (= energy density) decreases while the diameter of the pulse laser beam irradiated to the finger is kept constant, the proportion of the subjects who perceived mechanical touch or pain also decreases. You can check it.

이는, 펄스 레이저 빔의 직경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상태에서 단위 펄스당 에너지(=에너지 밀도)가 증가함에 따라, 유발되는 광-기계적 힘이 상기 에너지 밀도에 비례하여 증가하고, 기계적 자극에 둔감한 피험자들도 광-기계적 힘의 증가에 따라 자극을 인식하였기 때문이다. 또한, 반대의 경우에는, 펄스 레이저 빔의 직경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상태에서 단위 펄스당 에너지(=에너지 밀도)가 감소함에 따라, 유발되는 광-기계적 힘이 상기 에너지 밀도에 비례하여 감소하고, 기계적 자극에 민감한 피험자들도 광-기계적 힘의 감소에 따라 자극을 인식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This is because, as the energy per unit pulse (= energy density) increases while the diameter of the pulse laser beam remains constant, the induced photo-mechanical force increases in proportion to the energy density and is insensitive to mechanical stimuli. This is because they also recognized the stimulus as the photo-mechanical force increased. In addition, in the opposite case, as the energy per unit pulse (= energy density) decreases while the diameter of the pulse laser beam remains constant, the induced photo-mechanical force decreases in proportion to the energy density, and mechanical Subjects sensitive to the stimulus were not able to recognize the stimulus as the photo-mechanical force decreased.

결국, 이러한 실험을 통해, 펄스 레이저 빔의 직경(Diameter)이 일정하게 유지된 상태에서 단위 펄스당 에너지를 조절(=에너지 밀도를 조절)하여, 펄스 레이저 빔이 유발하는 광-기계적 힘을 조절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In conclusion, these experiments can control the photo-mechanical forces induced by a pulsed laser beam by adjusting the energy per unit pulse (= energy density) while the diameter of the pulsed laser beam remains constant. It can be confirmed.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기계적 효과 유발 방법을 살펴본다. Hereinafter, a method of inducing a photo-mechanical eff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기계적 효과 유발 방법은, 레이저 장치가 펄스 레이저 빔의 에너지를 조절하는 단계(a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The method for inducing a photo-mechanical eff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the step (a) of the laser device adjusting the energy of the pulsed laser beam.

여기서 상기 레이저 장치는, 광-기계적 작용을 일으키기 위해 상기 펄스 레이저 빔의 단위 펄스당 에너지를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the laser device preferably adjusts the energy per unit pulse of the pulsed laser beam to cause photo-mechanical action.

또한, 상기 레이저 장치는, 펄스 레이저 빔의 직경(Diameter)을 일정하게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펄스 레이저 빔의 단위 펄스당 에너지를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조절 동작을 통해, 상기 펄스 레이저 빔이 유발하는 광-기계적 힘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이다.
In addition, the laser device preferably adjusts the energy per unit pulse of the pulsed laser beam in a state in which the diameter of the pulsed laser beam is kept constant. This is because through the adjustment operation, the magnitude of the photo-mechanical force generated by the pulsed laser beam can be adjusted.

또한, 상기 a 단계 이후에는, 상기 레이저 장치(100)가 생성한 펄스 레이저 빔이 대상물에 도달하는 단계(b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after step a, the pulse laser beam generated by the laser device 100 may include a step (step b) of reaching the object.

또한, 상기 b 단계 이후에는, 상기 대상물에 도달한 펄스 레이저 빔이 광-기계적 효과를 일으키는 단계(c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after step b, the pulsed laser beam reaching the object may include a step of generating a photo-mechanical effect (step c).

이상에서 살핀 본 발명에 따른 광-기계적 효과 유발 방법은, 카테고리는 상이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장치(1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중복서술을 방지하기 위하여 자세히 기재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레이저 장치(100)와 관련하여 상술한 특징들은 상기 광-기계적 효과 유발 방법 발명에도 당연히 유추되어서 적용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method for inducing the photo-mechanical eff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substantially the same features as the laser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though the categories are different. Thus, although not described in detail in order to prevent duplication, the features described above with respect to the laser device 100 may be naturally inferred and applied to the method for inducing a photo-mechanical effect.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며, 이들에 의하여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 대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을 가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수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disclosed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100 : 레이저 장치 110 : 레이저 출력부
130 : 광필터부 150 : 렌즈부
170 : 제어부 190 : 거리 인식부
100 laser device 110: laser output unit
130: optical filter unit 150: lens unit
170: control unit 190: distance recognition unit

Claims (15)

레이저 빔을 생성하는 레이저 출력부; 및
상기 레이저 출력부를 제어하며, 상기 레이저 출력부가 펄스 레이저 빔(Pulsed laser beam)을 생성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기계적 촉감을 조절하는 제어 과정에서, 펄스 레이저 빔의 직경(Diameter)을 일정하게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펄스 레이저 빔의 단위 펄스당 에너지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촉감 제시용 레이저 장치.
A laser output unit generating a laser beam;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laser output unit and controlling the laser output unit to generate a pulsed laser beam;
Lt; / RTI >
The control unit, in the control process of adjusting the mechanical tactile, the touch device laser device for adjusting the energy per unit pulse of the pulsed laser beam while maintaining a constant diameter (diameter) of the pulsed laser bea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펄스 레이저 빔의 펄스 폭(Pulse width)을 ms(millisecond) 이하로 유지시키고,
상기 펄스 레이저 빔의 직경을 일정하게 유지한 상태에서, 단위 펄스당 에너지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촉감 제시용 레이저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pulse width of the pulsed laser beam is maintained below ms (millisecond),
The laser device for tactile presentation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nergy per unit pulse is adjusted while the diameter of the pulse laser beam is kept constant.
제 2 항에 있어서,
광-기계적 힘을 증가시키는 모드 및 광-기계적 힘을 감소시키는 모드로 동작할 수 있고,
상기 광-기계적 힘을 증가시키는 모드에서 상기 단위 펄스당 에너지를 증가시키고, 상기 광-기계적 힘을 감소시키는 모드에서 상기 단위 펄스당 에너지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촉감 제시용 레이저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Can operate in a mode that increases the photo-mechanical force and a mode that reduces the photo-mechanical force,
And increase the energy per unit pulse in the mode of increasing the photo-mechanical force, and reduce the energy per unit pulse in the mode of decreasing the photo-mechanical forc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펄스 레이저 빔의 출력 직경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제1동작; 및
상기 펄스 레이저 빔의 출력 직경을 변화시키는 제2동작;
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촉감 제시용 레이저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A first operation of keeping the output diameter of the pulsed laser beam constant; And
A second operation of changing an output diameter of the pulsed laser beam;
A laser device for tactile presentation, which can be performed.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펄스 레이저 빔이 대상물에 도달할 때의 직경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촉감 제시용 레이저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And a constant diameter when the pulsed laser beam reaches an object.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물과의 거리가 변화는 경우, 상기 펄스 레이저 빔의 출력 직경을 변화시켜 상기 대상물에 도달할 때의 빔 직경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촉감 제시용 레이저 장치.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When the distance from the object changes, the output diameter of the pulsed laser beam is changed to keep the beam diameter when reaching the object constant laser device for tactile presentation, characterized in that.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펄스 레이저 빔의 출력 직경을 변화시키기 위한 렌즈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촉감 제시용 레이저 장치.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A lens unit for changing an output diameter of the pulsed laser beam;
Laser device for tactile presentation further comprising a.
제 7 항에 있어서,
대상물과의 거리를 인식하기 위한 거리 인식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거리 인식부가 인식한 거리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렌즈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촉감 제시용 레이저 장치.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A distance recognizing unit for recognizing a distance to an object;
Further comprising:
And a lens unit for controlling the lens unit based on the distance information recognized by the distance recognition unit.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 인식부는, 초음파, 적외선 또는 레이저를 이용하여 거리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촉감 제시용 레이저 장치.
The method of claim 8,
The distance recognizing unit is a laser device for tactile presentation, characterized in that for measuring the distance by using ultrasonic waves, infrared rays or laser.
삭제delete 제 2 에 있어서,
레이저의 출력 광의 세기 또는 펄스 폭을 조절하여, 상기 단위 펄스당 에너지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촉감 제시용 레이저 장치.
In the second,
Adjusting the intensity or pulse width of the output light of the laser, the touch-sensitive laser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trolling the energy per unit pulse.
촉감을 제시하기 위한 햅틱(Haptic) 장치에 있어서,
레이저 빔을 생성하는 레이저 출력부; 및
상기 레이저 출력부를 제어하며, 상기 레이저 출력부가 펄스 레이저 빔(Pulsed laser beam)을 생성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기계적 촉감을 조절하는 제어 과정에서, 펄스 레이저 빔의 직경(Diameter)을 일정하게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펄스 레이저 빔의 단위 펄스당 에너지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햅틱 장치.
In a haptic device for presenting the tactile feeling,
A laser output unit generating a laser beam;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laser output unit and controlling the laser output unit to generate a pulsed laser beam;
Lt; / RTI >
The control unit, the haptic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trolling the mechanical touch, the energy per unit pulse of the pulsed laser beam in the state of maintaining a constant diameter (diameter) of the pulsed laser beam.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펄스 레이저 빔의 펄스 폭(Pulse width)을 ms(millisecond) 이하로 유지시키고,
상기 펄스 레이저 빔의 직경을 일정하게 유지한 상태에서, 단위 펄스당 에너지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햅틱 장치.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pulse width of the pulsed laser beam is maintained below ms (millisecond),
The haptic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adjusting the energy per unit pulse while maintaining a constant diameter of the pulsed laser beam.
(a) 레이저 장치가 펄스 레이저 빔(Pulsed laser beam)을 생성하는 단계; 및
(b) 상기 레이저 장치가 기계적 촉감을 구현할 대상물에 펄스 레이저 빔을 조사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레이저 장치는, 기계적 촉감(Mechanical tactile sense)을 조절하는 제어 과정에서, 상기 펄스 레이저 빔의 직경(Diameter)을 일정하게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펄스 레이저 빔의 단위 펄스당 에너지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를 이용한 촉감 제시 방법.
(a) the laser device generating a pulsed laser beam; And
(b) irradiating a pulsed laser beam to an object on which the laser device implements a mechanical feel;
Lt; / RTI >
The laser device may control energy per unit pulse of the pulsed laser beam in a state in which a diameter of the pulsed laser beam is kept constant in a control process of adjusting a mechanical tactile sense. A tactile presentation method using a laser.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레이저 장치는, 상기 펄스 레이저 빔의 펄스 폭(Pulse width)을 ms(millisecond) 이하로 유지시키고, 상기 펄스 레이저 빔의 직경을 일정하게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단위 펄스당 에너지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를 이용한 촉감 제시 방법.
15. The method of claim 14,
In the step (a), the laser device, while maintaining the pulse width (pulse width) of the pulse laser beam to ms (millisecond) or less, and the diameter of the pulse laser beam is kept constant, per unit pulse A touch presentation method using a laser, characterized in that to control the energy.
KR1020130030727A 2013-03-22 2013-03-22 Laser apparatus capable of regulating photo-mechanical effect and method using the same KR101340361B1 (en)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0727A KR101340361B1 (en) 2013-03-22 2013-03-22 Laser apparatus capable of regulating photo-mechanical effect and method using the same
PCT/KR2013/007346 WO2014148701A1 (en) 2013-03-22 2013-08-14 Laser apparatus capable of regulating photo-mechanical effects and method using same
US14/061,897 US9092955B2 (en) 2013-03-22 2013-10-24 Laser apparatus capable of controlling a photo-mechanical effect and method using the same
AU2014100000A AU2014100000A4 (en) 2013-03-22 2014-01-02 Laser apparatus capable of controlling a photo-mechanical effect and method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0727A KR101340361B1 (en) 2013-03-22 2013-03-22 Laser apparatus capable of regulating photo-mechanical effect and method us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40361B1 true KR101340361B1 (en) 2013-12-11

Family

ID=499880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0727A KR101340361B1 (en) 2013-03-22 2013-03-22 Laser apparatus capable of regulating photo-mechanical effect and method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340361B1 (en)
WO (1) WO2014148701A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1763B1 (en) * 2015-06-22 2016-02-23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System for inducing tactile sense using pulse laser and medium with high absorption coefficient
KR101684482B1 (en) * 2015-11-13 2017-01-11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Apparatus for inducing tactile using dual-wave las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18913A (en) * 1995-11-27 2000-09-12 Ciba Vision Corporation Apparatus for haptic attachment for intraocular lenses using diode laser
US20050197655A1 (en) * 1995-10-27 2005-09-08 Telfair William B.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ing corneal tissue with infrared laser radiation and short pulse mid-infrared parametric generator for surgery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97655A1 (en) * 1995-10-27 2005-09-08 Telfair William B.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ing corneal tissue with infrared laser radiation and short pulse mid-infrared parametric generator for surgery
US6118913A (en) * 1995-11-27 2000-09-12 Ciba Vision Corporation Apparatus for haptic attachment for intraocular lenses using diode laser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 A. Karpenko et al., Photo-mechanical effect in luminescent polymeric materials, Luminescence 2010, 25, 452-455. *
Sergey S. Sarkisov et al., Photomechanical effect in films of polyvinylidene fluoride, Appl. Phys. Lett., vol. 85, no. 14, p.2747. *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1763B1 (en) * 2015-06-22 2016-02-23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System for inducing tactile sense using pulse laser and medium with high absorption coefficient
US10058712B2 (en) 2015-06-22 2018-08-28 Konkuk University Glocal Industry-Academic Collaboration Foundation Somatic sensation induction system using pulse laser and medium of high absorption coefficient
KR101684482B1 (en) * 2015-11-13 2017-01-11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Apparatus for inducing tactile using dual-wave las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148701A1 (en) 2014-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0358B1 (en) Laser apparatus for photo-mechanical effect and method using the same
US969680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eliciting cutaneous sensatio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US10058712B2 (en) Somatic sensation induction system using pulse laser and medium of high absorption coefficient
US857428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eliciting cutaneous sensatio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WO2016164829A1 (en) System and method for increased control of ultrasound treatment
KR20160117712A (en) Integrated target structure for generating charged particle and driving method of medical appliance using the same
KR101707654B1 (en) Laser Procedure System
KR20140140395A (en) Laser irradiator for skin treatment and medical treatment method thereof
KR101340359B1 (en) Laser apparatus capable of changing pulsed laser beam diameter for regulation of tactile sense and method using the same
KR101340361B1 (en) Laser apparatus capable of regulating photo-mechanical effect and method using the same
US11376070B2 (en) Medical laser device
KR20150044054A (en) Endoscope capable of tactile sense
US9092955B2 (en) Laser apparatus capable of controlling a photo-mechanical effect and method using the same
KR101648854B1 (en) Apparatus for inducing tactile sense using pulse laser
KR101483428B1 (en) Surgical robot capable of providing tactile sense using laser beam
WO2015023055A1 (en) Guide device and method for showing vehicle state information
KR20160122581A (en) Laser irradiator for skin treatment and medical treatment method thereof
KR20200061539A (en) Safety apparatus for medical laser device
KR101825674B1 (en) Navigating apparatus and system by inducing tactile sense
KR101554003B1 (en) X-ray photographing device using laser beam
KR101833834B1 (en) System and method for inducing tactile using air plasma
KR101931986B1 (en) System for inducing tactile sense by indirect stimulus
KR101483429B1 (en) Stethoscope capable of providing tactile sense using laser beam
KR20140140393A (en) Laser irradiator for skin treatment
KR101867077B1 (en) Tactile watch utilizing pulse las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