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9597B1 - 단말 식별자를 이용한 모바일 뱅킹 서비스 제공 방법 및시스템 - Google Patents

단말 식별자를 이용한 모바일 뱅킹 서비스 제공 방법 및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9597B1
KR101339597B1 KR1020070027744A KR20070027744A KR101339597B1 KR 101339597 B1 KR101339597 B1 KR 101339597B1 KR 1020070027744 A KR1020070027744 A KR 1020070027744A KR 20070027744 A KR20070027744 A KR 20070027744A KR 101339597 B1 KR101339597 B1 KR 1013395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information
bank
mobile banking
ca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77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0692A (ko
Inventor
전영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0700277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9597B1/ko
Publication of KR200900006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06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95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95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0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funds transfer [EFT]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ome banking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2Aspects of commerce using mobile devices [M-devices]
    • G06Q20/3223Realising banking transactions through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1Transaction verification
    • G06Q20/4014Identity check for transa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Fina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 식별자 및 은행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발신자 단말기로부터 수신자 단말기의 단말 식별자 및 이체금액 정보를 수신하면, 은행 서버로 상기 발신자 단말기의 제1 은행정보, 상기 수신자 단말기의 제2 은행정보 및 상기 이체금액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상기 수신자 단말기와 연관된 은행계좌로 이체금액을 전달하도록 하는 모바일 뱅킹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뱅킹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발신자 단말기로부터 수신자 단말기의 단말기 식별자 및 이체금액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발신자 단말기의 단말 식별자를 식별하는 단계, 식별된 상기 발신자 단말기의 단말 식별자에 대응하는 제1 은행 정보, 및 수신된 상기 수신자 단말기의 단말 식별자에 대응하는 제2 은행 정보를, 모바일 뱅킹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된 제1 은행 정보, 상기 검색된 제2 은행 정보, 및 상기 수신된 이체금액 정보를 은행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모바일 뱅킹, 단말 식별자, 비밀코드, 은행, 계좌이체

Description

단말 식별자를 이용한 모바일 뱅킹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MOBILE BANKING SERVICE USING TERMINAL IDENT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뱅킹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네트워크 연결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뱅킹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뱅킹 데이터베이스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뱅킹 완료 후 전송되는 메시지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뱅킹 서비스 제공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뱅킹 서비스 제공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뱅킹 서비스 제공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모바일 뱅킹 서비스 제공 시스템
201: 단말기 인터페이스부
202: 서버 인터페이스부
203: 모바일 뱅킹 데이터베이스
204: 인증 처리부
205: ARS 제공부
206: 정보 식별부
본 발명은 단말 식별자 및 은행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발신자 단말기로부터 수신자 단말기의 단말 식별자 및 이체금액 정보를 수신하면, 은행 서버로 상기 발신자 단말기의 제1 은행정보, 상기 수신자 단말기의 제2 은행정보 및 상기 이체금액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상기 수신자 단말기와 연관된 은행계좌로 이체금액을 전달하도록 하는 모바일 뱅킹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휴대 단말기의 보급 확대에 따라 이 분야의 기술이 발전하고 있으며, 소비자들의 다양한 요구와 업체간의 경쟁에 의해 날로 다양한 기능들이 추가되고 있다. 이에 따라, 통신 사업자 및 단말기 사업자는 가입자가 요구하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정보를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가입자에게 제공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휴대 단말기에 별도의 칩을 내장하여 상기 칩을 통해 금융 거래를 수행할 수 있는 모 바일 뱅킹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모바일 뱅킹 서비스는 은행을 직접 방문하지 않아도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금융 거래를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가입자가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모바일 뱅킹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서는, 모바일 뱅킹 서비스를 제공하는 칩을 내장한 휴대 단말기를 구입해야만 했다. 즉, 가입자가 소지하고 있는 휴대 단말기에 칩이 내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모바일 뱅킹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었다. 이는, 가입자가 소지하고 있는 휴대 단말기에 별도의 칩을 내장하거나, 칩이 내장된 휴대 단말기를 새로 구입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따라서, 가입자가 현재 이용중인 휴대 단말기에 별도의 칩을 내장하거나, 칩이 내장된 휴대 단말기를 구입하지 않고도 현재 이용중인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편리하게 모바일 뱅킹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기술적 사상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편리하게 금융거래를 하기 위하여, 단말 식별자(전화번호) 및 은행 정보(은행 계좌번호)를 미리 저장하고, 발신자 단말기로부터 수신자 단말기의 단말 식별자 및 이체금액 정보를 수신하면, 은행 서버로 상기 발신자 단말기의 제1 은행정보, 상기 수신자 단말기의 제1 은행정보 및 이체금액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상기 수신자 단말기와 연관된 은행계좌로 이체금액을 전달하도록 하는 모바일 뱅킹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뱅킹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은 모바일 뱅킹 서비스를 제공하는 별도의 칩을 내장하지 않고도 시스템 상에 미리 단말 식별자 및 은행 정보를 저장해 놓으면, 계좌이체를 요청하는 발신자 단말기와 계좌이체를 전달받는 수신자 단말기의 단말 식별자를 식별하여 상기 수신자 단말기와 연관된 은행계좌로 이체금액을 전달하도록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뱅킹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은 신용카드와 같이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결제를 수행하기 위하여, 카드 단말기에 단말 식별자를 부여하고 가입자가 자신의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상기 카드 단말기의 단말 식별자에 해당하는 은행계좌로 결제 금액을 이체하도록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뱅킹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은 금융거래에 관한 가짜 메시지를 발송하는 일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하여, 가입자로부터 미리 비밀코드를 등록받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금융거래 완료 후 가입자에 대응하는 비밀코드를 메시지에 포함시켜 가입자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고,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뱅킹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발신자 단말기로부터 수신자 단말기의 단말기 식별자 및 이체금액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발신자 단말기의 단말 식별자를 식별하는 단계, 식별된 상기 발신자 단말기의 단말 식 별자에 대응하는 제1 은행 정보, 및 수신된 상기 수신자 단말기의 단말 식별자에 대응하는 제2 은행 정보를, 모바일 뱅킹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된 제1 은행 정보, 상기 검색된 제2 은행 정보, 및 상기 수신된 이체금액 정보를 은행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뱅킹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은 발신자 단말기로부터 수신자 단말기의 단말기 식별자 및 이체금액 정보를 수신하는 단말기 인터페이스부, 상기 발신자 단말기의 단말 식별자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상기 발신자 단말기의 단말 식별자에 대응하는 제1 은행 정보, 및 수신된 상기 수신자 단말기의 단말 식별자에 대응하는 제2 은행 정보를, 모바일 뱅킹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는 정보 검색부, 및 상기 검색된 제1 은행 정보, 상기 검색된 제2 은행 정보, 및 상기 수신된 이체금액 정보를 은행 서버로 전송하는 서버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는 발신자 단말기 및 수신자 단말기를 유, 무선 단말기로 설명하고 있지만, 식별 가능한 식별번호가 할당되는 모든 장비, 장치, 기기 등을 상기 발신자 단말기 또는 상기 수신자 단말기로 이용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뱅킹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네트워크 연결을 도시한 도면이다.
모바일 뱅킹 서비스 제공 시스템(102)은 단말 식별자에 대응하여 은행 정보, 비밀코드 및 가입자 인증 정보를 모바일 뱅킹 데이터베이스에 유지한다. 상기 단말 식별자는 유, 무선 단말기의 전화번호 또는 단말기 제조번호일 수 있으며, 상기 은행 정보는 은행 계좌번호이고, 상기 가입자 인증 정보는 주민 식별 번호, 비밀번호와 같이 상기 단말 식별자와 연관된 가입자를 인증하기 위한 것이다.
발신자 단말기(101)는 가입자로부터 수신자 단말기(105)의 단말기 식별자 및 이체금액 정보를 입력받아 모바일 뱅킹 서비스 제공 시스템(102)으로 전송한다. 이때, 본 발명에서 상기 가입자는 계좌이체 할 대상인 수신자의 계좌번호를 알지 못해도, 수신자 단말기(105)의 단말 식별자만 알면, 상기 수신자의 은행계좌로 이체금액을 전달할 수 있다. 즉, 상기 가입자는 발신자 단말기(101)를 이용하여 계좌 이체할 대상인 수신자 단말기(105)의 단말기 식별자 및 이체금액 정보를 모바일 뱅킹 서비스 제공 시스템(102)으로 전송함으로써, 자신의 은행계좌로부터 상기 수신자의 은행계좌로 이체금액을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뱅킹 서비스 제공 시스템(102)은 ARS 방식으로 발신자 단말기(101)로부터 수신자 단말기(105)의 단말기 식별자 및 이체금액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컨대, 모바일 뱅킹 서비스 제공 시스템(102)은 발신자 단말기(101)로부터 호 요청을 수신하면, 사전에 정해진 프로세스에 따라 ARS 음성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ARS 음성 정보를 통해 수신자 단말기(105)의 단말기 식별자 및 이체금액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뱅킹 서비스 제공 시스템(102)은 상기 ARS 음성 정보를 통해 발신 단말기(101)로 가입자 인증 정보를 요청하여 발신자 단말기(101)로부터 가입자 인증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가입자 인증 정보와, 상기 모바일 뱅킹 데이터베이스에 발신자 단말기(101)의 단말 식별자에 대응하여 저장된 가입자 인증 정보를 비교함으로써, 발신자 단말기(101)의 인증을 처리한다. 즉, 상기 수신된 가입자 인증 정보와 상기 저장된 가입자 인증 정보가 서로 일치하는 경우에만 발신자 단말기(101)에 대한 인증이 성공적으로 처리된다. 따라서, 모바일 뱅킹 서비스 제공 시스템(102)은 인증이 성공적으로 처리된 후에 발신자 단말기(101)로부터 수신자 단말기(105)의 단말기 식별자 및 이체금액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모바일 뱅킹 서비스 제공 시스템(102)은 상기 모바일 뱅킹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발신자 단말기(101)에 대응하는 제1 은행 정보 및 수신자 단말기(105)의 제2 은행 정보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제1 은행 정보, 제2 은행 정보 및 상기 수신된 이체금액 정보를 은행 서버(103)로 전송한다.
은행 서버(103)는 상기 제1 은행 정보, 상기 제2 은행 정보 및 상기 이체금액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은행 정보와 연관된 은행계좌에서 상기 이체금액 정보에 대응하는 금액만큼 차감한 후, 상기 차감된 금액만큼을 상기 제2 은행 정보와 연관된 은행계좌로 이체한다. 따라서, 은행 서버(103)는 발신자 단말기(101)의 발신자와 연관된 은행계좌로부터 수신자 단말기(105)의 수신자와 연관된 은행계좌로 소정 금액을 이체할 수 있다. 은행 서버(103)는 계좌이체가 성공적으로 완료된 경우, 상기 이체 처리와 관련한 계좌이체 정보를 모바일 뱅킹 서비스 제공 시스템 (102)으로 입력할 수 있다.
모바일 뱅킹 서비스 제공 시스템(102)은 은행 서버(103)로부터 상기 계좌이체 정보를 입력받으면, SMSC(Short Message Service Center, 104)와 연동하여 발신자 단말기(101) 또는 수신자 단말기(105)로 계좌이체 완료와 연관된 메시지를 전송한다. SMSC(104)는 모바일 뱅킹 서비스 제공 시스템(102)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여 해당하는 수신자 단말기(105)로 전송한다. 이때, 모바일 뱅킹 서비스 제공 시스템(102)은 발신자 단말기(101)의 발신자가 미리 모바일 뱅킹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한 비밀코드를 식별하여 상기 식별된 비밀코드 및 상기 입력된 계좌이체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발신자 단말기(101)로 전송하고, 수신자 단말기(105)의 수신자가 미리 모바일 뱅킹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한 비밀코드를 식별하여 상기 식별된 비밀코드 및 상기 입력된 계좌이체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금융거래에 관한 가짜 메시지를 발송하는 일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모바일 뱅킹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한다.
모바일 뱅킹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은 단말 식별자에 대응하여 은행 정보 및 비밀코드를 유지하는 모바일 뱅킹 데이터베이스(203), 발신자 단말기로부터 수신자 단말기의 단말기 식별자 및 이체금액 정보를 수신하는 단말기 인터페이스부(201), 모바일 뱅킹 데이터베이스(203)로부터 상기 발신자 단말기에 대응하는 제1 은행 정보 및 상기 수신된 단말기 식별자에 대응되는 제2 은행 정보를 식별하는 정보 식별부(206), 및 상기 식별된 제1 은행 정보, 제2 은행 정보 및 상기 수신된 이 체금액 정보를 은행 서버로 전송하는 서버 인터페이스부(202)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은행 서버로부터 계좌이체 처리와 관련한 계좌이체 정보를 입력받으면, 정보 식별부(206)는 수신된 상기 수신자 단말기의 단말 식별자에 대응하는 비밀코드를 식별하고, 단말기 인터페이스부(201)는 발신자 단말기(101) 또는 수신자 단말기(105)로 상기 식별된 비밀코드 및 계좌이체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전송한다. 또한, 모바일 뱅킹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은 상기 발신자 단말기로부터 호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사전에 정해진 프로세스에 따라 ARS 음성 정보를 제공하는 ARS 제공부(205) 및 발신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가입자 인증 정보와, 모바일 뱅킹 데이터베이스(203)에 상기 발신자 단말기의 단말 식별자에 대응하여 저장된 가입자 인증 정보를 비교하고, 상기 비교결과에 따라 상기 발신자 단말기의 인증을 처리하는 인증 처리부(204)를 더 포함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바일 뱅킹 데이터베이스(203)는 단말 식별자에 대응하여 은행 정보, 비밀코드, 가입자 인증 정보를 유지한다. 상기 단말 식별자는 유, 무선 단말기의 전화번호 또는 단말기 제조번호일 수 있으며, 모든 장비, 장치, 기기 등에 식별 가능하게 할당된 식별번호의 하나일 수 있다. 예컨대, 각 매장에 설치된 신용카드 단말기에 소정 식별번호를 부여한 후, 상기 식별번호를 단말 식별자로 하여 상기 신용카드 단말기를 설치한 수신자에게 소정 금액이 송금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은행 정보는 은행 계좌번호이고, 상기 가입자 인증 정보는 주민 식별 번호, 비밀번호와 같이 상기 단말 식별자와 연관된 가입자를 인증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단말 식별자 "010-123-4567"의 발신자가 단말 식별자 "010-789-0123"의 수신자에게 소정 금액을 이체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발신자는 발신자 단말기(101)를 이용하여 수신자 단말기(105)의 단말 식별자로서 "010-789-0123" 및 이체금액 정보를 전송한다. 이 경우, 모바일 뱅킹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은 모바일 뱅킹 데이터베이스(203)로부터 발신자 단말기(101)의 단말 식별자 "010-123-4567"에 대응하는 제1 은행 정보(123-456-7890, 외환은행) 및 수신자 단말기(105)의 단말 식별자 "010-789-0123"에 대응하는 제2 은행 정보(123-789-4560, 국민은행)를 식별한다. 이에 따라, 모바일 뱅킹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은 상기 식별된 제1 은행 정보, 제2 은행 정보 및 상기 수신된 이체금액 정보를 은행 서버(103)로 전송함으로써, 수신자와 연관된 은행계좌로 이체금액을 송금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발신자 단말기(101)는 모바일 뱅킹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으로 통화 호를 요청하여 상기 통화 호가 연결된 경우, ARS 제공부(205)는 사전에 정해진 프로세스에 따라 ARS 음성 정보를 제공한다. 상기 ARS 음성 정보는 발신자 단말기(101)로 인증 처리를 위한 정보를 요청하여 발신자 단말기(101)로부터 가입자 인증 정보를 수신하도록 하거나, 계좌이체를 위한 정보를 요청하여 발신자 단말기(101)로부터 수신자 단말기(105)의 단말기 식별자 및 이체금액 정보를 수신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ARS 음성 정보는 발신자 단말기(101)로부터 수신된 정보가 정확하지 않거나 잘못된 정보를 입력받는 경우, 재입력을 요청하거나 음성 서비스를 종료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기 인터페이스부(201)는 먼저, 계좌이체를 요청한 발신자 단 말기(101)로부터 가입자 인증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가입자 인증 정보를 인증 처리부(204)로 전달하여 발신자 단말기(101)에 대한 인증 처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인증 처리부(204)는 상기 수신된 가입자 인증 정보와, 모바일 뱅킹 데이터베이스(203)에 발신자 단말기(101)와 연관하여 저장된 가입자 인증 정보를 서로 비교함으로써, 발신자 단말기(101)에 대한 인증을 처리한다. 상기 가입자 인증 정보는 주민 식별 번호 또는 비밀번호이다. 인증 처리부(204)는 상기 수신된 가입자 인증 정보와 상기 저장된 가입자 인증 정보가 동일한 경우 발신자 단말기(101)에 대한 인증 "완료"로 처리하고, 상기 수신된 가입자 인증 정보와 상기 저장된 가입자 인증 정보가 동일하지 않은 경우 발신자 단말기(101)에 대한 인증 "실패"로 처리한다.
ARS 제공부(205)는 상기 인증 처리 결과에 따라 다음 ARS 음성 정보를 서로 상이하게 제공한다. 인증이 완료된 경우, ARS 제공부(205)는 계좌이체에 필요한 수신자 단말기(101)의 단말 식별자 및 이체금액 정보를 발신자 단말기(101)에 요청하는 ARS 음성 정보를 제공한다. 이때, 단말기 인터페이스부(201)는 은행 서버(103)와 연동하여 발신자 단말기(101)의 은행 정보에 대응하는 잔금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는, 인증이 실패된 경우, ARS 제공부(205)는 가입자 인증 정보를 재입력하도록 하는 ARS 음성 정보를 제공한다. 이때, 가입자 인증 정보에 대한 재입력 횟수가 일정 횟수 예컨대, 3회 이상인 경우에는 ARS 음성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중단할 수 있다.
인증이 완료되면, 단말기 인터페이스부(201)는 발신자 단말기(101)로부터 수신자 단말기(101)의 단말 식별자 및 이체금액 정보를 수신한다. 단말기 인터페이스부(201)는 상기 수신된 수신자 단말기(101)의 단말 식별자 및 이체금액 정보를 정보 식별부(206)로 전달한다.
정보 식별부(206)는 모바일 뱅킹 데이터베이스(203)로부터 발신자 단말기(101)의 단말 식별자에 대응하는 제1 은행 정보 및 수신자 단말기(105)의 단말 식별자에 대응하는 제2 은행 정보를 식별한다. 이는, 발신자 단말기(101)의 은행계좌에서 이체금액만큼을 인출하여 수신자 단말기(105)의 은행계좌로 송금하기 위한 것이다. 정보 식별부(206)는 상기 식별된 제1 은행 정보 및 제2 은행 정보를 서버 인터페이스부(202)로 전달한다.
서버 인터페이스부(202)는 상기 식별된 제1 은행 정보 및 제2 은행 정보 및 상기 수신된 이체금액 정보를 은행 서버(103)로 전송한다. 은행 서버(103)는 상기 제1 은행 정보, 상기 제2 은행 정보 및 상기 이체금액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은행 정보와 연관된 은행계좌에서 상기 이체금액 정보에 대응하는 금액만큼 차감한 후, 상기 차감된 금액만큼을 상기 제2 은행 정보와 연관된 은행계좌로 이체한다. 이후, 은행 서버(103)는 계좌이체가 성공적으로 완료되었음을 서버 인터페이스부(202)로 통보할 수 있다.
정보 식별부(206)는 은행 서버(103)로부터 계좌이체 처리와 관련한 계좌이체 정보를 입력받으면, 모바일 뱅킹 데이터베이스(203)로부터 발신자 단말기(101)의 단말 식별자에 대응하는 비밀코드를 식별하고, 수신자 단말기(105)의 단말 식별자 에 대응하는 비밀코드를 식별한다. 이는, 금융거래 후 발신자 단말기(101) 또는 수신자 단말기(105)에 전송되는 메시지에 수신자가 미리 설정한 비밀코드를 포함시켜 전송함으로써, 금융거래에 관한 가짜 메시지를 발송하는 일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단말기 인터페이스부(201)는 SMSC(104)와 연동하여 발신자 단말기(101) 또는 수신자 단말기(105)로 상기 식별된 비밀코드 및 계좌이체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전송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말기 인터페이스부(201)는 발신자 단말기(101)의 단말 식별자 "010-123-4567" 및 이체금액 정보(17,000원)을 계좌이체 정보로 하여 수신자 단말기(105)와 연관된 비밀코드(40812)와 함께 메시지에 포함시켜 수신자 단말기(105)로 전송한다. 또는, 단말기 인터페이스부(201)는 발신자 단말기(101)로 발신자 단말기(101)와 연관된 비밀코드(87516)와 이체금액 정보(17,000원)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도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르면, 발신자 단말기로부터 수신자 단말기의 단말 식별자 및 이체금액 정보를 수신하면, 은행 서버로 상기 발신자 단말기의 제1 은행정보, 상기 수신자 단말기의 제1 은행정보 및 이체금액 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수신자 단말기와 연관된 은행계좌로 이체금액을 전달함으로써,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편리하게 금융거래를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뱅킹 서비스 제공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뱅킹 서비스 제공 방법은 도 2에 도시한 것 과 같은 모바일 뱅킹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모바일 뱅킹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은 단말 식별자에 대응하여 은행 정보, 비밀코드 및 가입자 인증 정보를 모바일 뱅킹 데이터베이스(203)에 유지한다(단계 501).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단말 식별자는 유, 무선 단말기의 전화번호 또는 단말기 제조번호일 수 있으며, 상기 은행 정보는 은행 계좌번호이고, 상기 가입자 인증 정보는 주민 식별 번호, 비밀번호와 같이 상기 단말 식별자와 연관된 가입자를 인증하기 위한 것이다.
단말기 인터페이스부(201)는 발신자 단말기(101)로부터 수신자 단말기(105)의 단말기 식별자 및 이체금액 정보를 수신한다(단계 502).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뱅킹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은 ARS 방식으로 발신자 단말기(101)로부터 소정 정보들을 수신하는데, ARS 제공부(205)는 발신자 단말기(101)와 통화 호가 연결되면, 사전에 정해진 프로세스에 따라 ARS 음성 정보를 제공한다. ARS 제공부(205)는 상기 ARS 음성 정보를 통해 발신자 단말기(101)로 인증 처리를 위한 정보를 요청하고, 단말기 인터페이스부(201)는 발신자 단말기(101)로부터 가입자 인증 정보를 수신한다.
인증 처리부(204)는 상기 수신된 가입자 인증 정보와, 모바일 뱅킹 데이터베이스(203)에 발신자 단말기(101)와 연관하여 저장된 가입자 인증 정보를 서로 비교함으로써, 발신자 단말기(101)에 대한 인증을 처리한다. 상기 가입자 인증 정보는 주민 식별 번호 또는 비밀번호이다. 인증 처리부(2040는 상기 수신된 가입자 인증 정보와 상기 저장된 가입자 인증 정보가 동일한 경우 발신자 단말기(101)에 대한 인증 "완료"로 처리하고, 상기 수신된 가입자 인증 정보와 상기 저장된 가입자 인증 정보가 동일하지 않은 경우 발신자 단말기(101)에 대한 인증 "실패"로 처리한다. 인증이 완료된 경우, ARS 제공부(205)는 계좌이체에 필요한 수신자 단말기(101)의 단말 식별자 및 이체금액 정보를 발신자 단말기(101)에 요청하는 ARS 음성 정보를 제공하고, 단말기 인터페이스부(201)는 상기 ARS 음성 정보를 통해 발신자 단말기(101)로부터 수신자 단말기(105)의 단말기 식별자 및 이체금액 정보를 수신한다. 이때, 단말기 인터페이스부(201)는 은행 서버(103)와 연동하여 발신자 단말기(101)의 은행 정보에 대응하는 잔금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정보 식별부(206)는 모바일 뱅킹 데이터베이스(203)로부터 발신자 단말기(101)에 대응하는 제1 은행 정보 및 상기 수신된 단말기 식별자에 대응되는 제2 은행 정보를 식별한다(단계 503).
서버 인터페이스부(202)는 상기 식별된 제1 은행 정보, 제2 은행 정보 및 상기 수신된 이체금액 정보를 은행 서버(103)로 전송한다(단계 504). 은행 서버(103)로부터 계좌이체 처리와 관련한 계좌이체 정보를 입력받으면, 정보 식별부(206)는 모바일 뱅킹 데이터베이스(203)로부터 발신자 단말기(101)의 단말 식별자에 대응하는 비밀코드를 식별하고, 수신자 단말기(105)의 단말 식별자에 대응하는 비밀코드를 식별한다.
단말 인터페이스부(201)는 상기 식별된 비밀코드 및 계좌이체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발신자 단말기(101) 또는 수신자 단말기(105)로 전송한다(단계 505).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뱅킹 서비스 제공 방법을 도시 한 흐름도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1. 발신자 단말기(101)는 서비스 시스템(모바일 뱅킹 서비스 제공 시스템)으로 출금을 요청하고, 2. 서비스 시스템은 상기 출금을 요청한 발신자 단말기(101)에 대한 인증 절차를 수행한다. 이때, 서비스 시스템은 발신자 단말기(101)로부터 상기 인증에 필요한 주민 식별 번호 및 비밀번호를 수신하고, 상기 출금에 필요한 수신자 단말기(105)의 단말 식별자 및 이체금액을 수신할 수 있다. 서비스 시스템은 출금이 완료된 경우, 3. 수신자 단말기(105)로 송금완료 메시지(SMS)를 송부하고, 4. 발신자 단말기(101)로 송금 완료되었음을 안내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뱅킹 서비스 제공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1. 송금자 및 수금자 각각은 서비스 시스템에 휴대폰 번호(단말 식별자)와 통장번호(은행 정보)를 등록한다. 이는, 휴대폰 번호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송금자가 수금자에게 소정 금액을 이체시키기 위한 것이다. 2. 서비스 시스템은 계좌이체를 요청하는 송금자로부터 인증을 위한 주민번호(주민 식별 번호) 및 비번(비밀번호) 등을 수신하고, 3. 송금자에 대한 인증처리, 금융기관 DE를 조회하여 송금자의 은행계좌에 대한 잔액을 확인한다. 4. 서비스 시스템은 상기 송금자에게 상기 확인된 잔액을 통보하고, 송금자로부터 수신자 번호(휴대폰 번호), 송금금액을 입력받아 수금자의 은행계좌로 소정 금액을 송금한 후, 5. 수금자에게 계좌이체가 완료되었음을 통보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뱅킹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 져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뱅킹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서는 단말 식별자(전화번호) 및 은행 정보(계좌번호)를 미리 저장하고, 발신자 단말기로부터 수신자 단말기의 단말 식별자 및 이체금액 정보를 수신하면, 은행 서버로 상기 발신자 단말기의 제1 은행정보, 상기 수신자 단말기의 제1 은행정보 및 이체금액 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수신자 단말기와 연관된 은행계좌로 이체금액을 전달함으로써,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편리하게 금융거래를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뱅킹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서는 시스템 상에 미리 단말 식별자 및 은행 정보를 저장해 놓으면, 계좌이체를 요청하는 발신자 단말기와 계좌이체를 전달받는 수신자 단말기의 단말 식별자를 식별하여 상기 수신자 단말기와 연관된 은행계좌로 이체금액을 전달함으로써, 모바일 뱅킹 서비스를 제공하는 별도의 칩을 내장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뱅킹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서는 카드 단말기에 단말 식별자를 부여하고 가입자가 자신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상기 카드 단말기의 단말 식별자에 해당하는 은행계좌로 결제 금액을 이체하도록 함으로써, 신용카드와 같이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결제를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뱅킹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서는 계좌이체를 수행하는 단말기로 계좌이체 건당 일정액의 이용금액을 징수하거나 월정액 형태로 서비스 사용료에 대한 이용금액을 징수함으로써, 단말기에서 모바일 뱅킹 서비스를 이용하는데 따른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뱅킹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서는 상대방 전화번호만 알면 계좌이체를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계좌이체를 위해 계좌번호를 외우거나 저장하지 않아도 되고 신용카드, 현금과 같이 휴대 단말기가 새로운 결제 수단으로 이용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뱅킹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서는 가입자로부터 미리 비밀코드를 등록받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금융거래 완료 후 가입자에 대응하는 비밀코드를 메시지에 포함시켜 가입자의 단말기로 전송함으로써, 금융거래에 관한 가짜 메시지를 발송하는 일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9)

  1. 모바일 뱅킹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발신자 단말기로부터 수신자 단말기의 단말기 식별자 및 이체금액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발신자 단말기의 단말 식별자를 식별하는 단계;
    식별된 상기 발신자 단말기의 단말 식별자에 대응하는 제1 은행 정보, 및 수신된 상기 수신자 단말기의 단말 식별자에 대응하는 제2 은행 정보를, 모바일 뱅킹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는 단계;
    상기 검색된 제1 은행 정보, 상기 검색된 제2 은행 정보, 및 상기 수신된 이체금액 정보를 은행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전송된 상기 제1 은행 정보, 상기 제2 은행 정보, 및 상기 이체금액 정보를 이용하여 이체 처리를 수행한 상기 은행 서버로부터, 상기 이체 처리와 관련한 계좌이체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모바일 뱅킹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단말 식별자에 대응하는 비밀코드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된 비밀코드 및 상기 입력된 계좌이체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상기 발신자 단말기 또는 수신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모바일 뱅킹 서비스 제공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밀코드는,
    금융거래에 따른 보안을 위해 상기 발신자 단말기 또는 상기 수신자 단말기로부터 사전에 등록받는
    모바일 뱅킹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를 상기 발신자 단말기 또는 수신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비밀코드 및 상기 계좌이체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SMSC를 통해 상기 발신자 단말기 또는 상기 수신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모바일 뱅킹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자 단말기의 단말 식별자를 식별하는 단계는,
    Caller-ID(발신 표시 서비스)를 이용하여 상기 발신자 단말기의 단말 식별자를 식별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모바일 뱅킹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식별자 및 이체금액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발신자 단말기로부터 호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사전에 정해진 프로세스에 따라 ARS 음성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제공된 ARS 음성 정보를 통해 상기 발신자 단말기로부터 수신자 단말기의 단말기 식별자 및 이체금액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모바일 뱅킹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ARS 음성 정보를 제공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발신자 단말기로 가입자 인증 정보를 요청하여 상기 발신자 단말기로부터 가입자 인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가입자 인증 정보와, 상기 모바일 뱅킹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발신자 단말기의 단말 식별자에 대응하여 저장된 가입자 인증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발신자 단말기의 인증을 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모바일 뱅킹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뱅킹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단말 식별자에 대응하여 가입자 인증 정보를 더 유지하고,
    상기 단말기 식별자 및 이체금액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가입자 인증 정보를 이용한 인증 처리를 통해, 인증이 확인되는 발신자 단말기로부터 수신자 단말기의 단말 식별자 및 이체금액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모바일 뱅킹 서비스 제공 방법.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입자 인증 정보는,
    주민 식별 번호 또는 비밀번호를 포함하는
    모바일 뱅킹 서비스 제공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은행 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발신자 단말기에게 상기 제1 은행 정보에 관한 잔금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모바일 뱅킹 서비스 제공 방법.
  11. 제1항, 제3항 내지 제8항,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12. 모바일 뱅킹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발신자 단말기로부터 수신자 단말기의 단말기 식별자 및 이체금액 정보를 수신하는 단말기 인터페이스부;
    상기 발신자 단말기의 단말 식별자를 식별하고, 식별된 상기 발신자 단말기의 단말 식별자에 대응하는 제1 은행 정보, 및 수신된 상기 수신자 단말기의 단말 식별자에 대응하는 제2 은행 정보를, 모바일 뱅킹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는 정보 검색부; 및
    상기 검색된 제1 은행 정보, 상기 검색된 제2 은행 정보, 및 상기 수신된 이체금액 정보를 은행 서버로 전송하는 서버 인터페이스부
    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 인터페이스부는,
    전송된 상기 제1 은행 정보, 상기 제2 은행 정보, 및 상기 이체금액 정보를 이용하여 이체 처리를 수행한 상기 은행 서버로부터, 상기 이체 처리와 관련한 계좌이체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정보 식별부는,
    상기 모바일 뱅킹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단말 식별자에 대응하는 비밀코드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비밀코드 및 상기 입력된 계좌이체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상기 발신자 단말기 또는 수신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메시지 전송부
    를 포함하는 모바일 뱅킹 서비스 제공 시스템.
  13. 삭제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전송부는,
    상기 비밀코드 및 상기 계좌이체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SMSC를 통해 상기 발신자 단말기 또는 상기 수신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모바일 뱅킹 서비스 제공 시스템.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식별부는,
    Caller-ID(발신 표시 서비스)를 이용하여 상기 발신자 단말기의 단말 식별자를 식별하는
    모바일 뱅킹 서비스 제공 시스템.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뱅킹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기 발신자 단말기로부터 호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사전에 정해진 프로세스에 따라 ARS 음성 정보를 제공하는 ARS 제공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제공된 ARS 음성 정보를 통해 상기 발신자 단말기로부터 수신자 단말기의 단말기 식별자 및 이체금액 정보를 수신하는
    모바일 뱅킹 서비스 제공 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발신자 단말기로 가입자 인증 정보를 요청하여 상기 발신자 단말기로부터 가입자 인증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가입자 인증 정보와, 상기 모바일 뱅킹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발신자 단말기의 단말 식별자에 대응하여 저장된 가입자 인증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발신자 단말기의 인증을 처리하는 인증 처리부
    를 더 포함하는 모바일 뱅킹 서비스 제공 시스템.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뱅킹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단말 식별자에 대응하여 가입자 인증 정보를 더 유지하고,
    상기 단말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가입자 인증 정보를 이용한 인증 처리를 통해, 인증이 확인되는 발신자 단말기로부터 수신자 단말기의 단말 식별자 및 이체금액 정보를 수신하는
    모바일 뱅킹 서비스 제공 시스템.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은행 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발신자 단말기에게 상기 제1 은행 정보에 관한 잔금 정보를 제공하는
    모바일 뱅킹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0070027744A 2007-03-21 2007-03-21 단말 식별자를 이용한 모바일 뱅킹 서비스 제공 방법 및시스템 KR1013395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7744A KR101339597B1 (ko) 2007-03-21 2007-03-21 단말 식별자를 이용한 모바일 뱅킹 서비스 제공 방법 및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7744A KR101339597B1 (ko) 2007-03-21 2007-03-21 단말 식별자를 이용한 모바일 뱅킹 서비스 제공 방법 및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0692A KR20090000692A (ko) 2009-01-08
KR101339597B1 true KR101339597B1 (ko) 2013-12-10

Family

ID=404838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7744A KR101339597B1 (ko) 2007-03-21 2007-03-21 단말 식별자를 이용한 모바일 뱅킹 서비스 제공 방법 및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959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323762A1 (en) * 2011-06-14 2012-12-20 Shashi Kapur System and Method of Multi-Factor Balance Inquiry and Electronic Funds Transf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7973A (ko) * 2000-07-18 2002-01-29 최창국 이동전화 단말기를 이용한 이체 방법
KR20040051228A (ko) * 2002-12-12 2004-06-18 사단법인 금융결제원 유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실시간 금융결제 서비스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7973A (ko) * 2000-07-18 2002-01-29 최창국 이동전화 단말기를 이용한 이체 방법
KR20040051228A (ko) * 2002-12-12 2004-06-18 사단법인 금융결제원 유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실시간 금융결제 서비스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0692A (ko) 2009-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31791B2 (en) System and method for approving transactions
US10922675B2 (en) Remote transaction system, method and point of sale terminal
JP6239399B2 (ja) エイリアスを使用したモバイル・ペイメントのシステム及び方法
US20140358777A1 (en) Method for secure atm transactions using a portable device
US20140046850A1 (en) Transaction payment method and system
US20100138345A1 (en) Financial transaction system having location based fraud protection
KR101751640B1 (ko) 결제카드의 결제시스템 및 결제시스템을 이용한 결제방법과 부가정보서비스의 제공방법
US20100049655A1 (en) Method and system for securely executing a charge transaction
AU2011307617B2 (en) Method and system for mobile identification, commerce and agreement transactions
CN106557920B (zh) 支付系统、收款和付款方法、匿名付客户端和服务器
KR101339597B1 (ko) 단말 식별자를 이용한 모바일 뱅킹 서비스 제공 방법 및시스템
KR101060047B1 (ko) 본인인증용 정보 수집 대행 시스템과 그 방법, 신용카드 승인 처리 시스템
US20150026059A1 (en) Money Lending Via A Mobile Device
US10482459B2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ed account creation via a mobile wireless device in a payment system
KR101604656B1 (ko) 자동이체 및 결제 동의시스템
JP3902602B2 (ja) サーバ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る非同期電子決済のサービス方法
US20050246277A1 (en) Transaction processing system
KR101586643B1 (ko) 해외체류자를 위한 전자금융 인증 방법 및 서버
KR20040095934A (ko)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과금 시스템 및 과금 방법
KR20010091827A (ko) 통신 단말 번호를 이용한 송금 시스템 및 송금 방법
WO2014118525A1 (en) Mobile to mobile payment process
KR101267489B1 (ko) 전화 승인을 이용한 사기 예방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889277B1 (ko) 무선단말 간 금융거래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기록매체
EP1554701B1 (en) Transaction processing system
WO2006126056A2 (en) Opening a financial account using a telepho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