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7982B1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document of web page - Google Patents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document of web pag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7982B1
KR101337982B1 KR1020110145918A KR20110145918A KR101337982B1 KR 101337982 B1 KR101337982 B1 KR 101337982B1 KR 1020110145918 A KR1020110145918 A KR 1020110145918A KR 20110145918 A KR20110145918 A KR 20110145918A KR 101337982 B1 KR101337982 B1 KR 1013379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xt
menu
screen
input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591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077289A (en
Inventor
김태우
Original Assignee
(주)네오위즈게임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네오위즈게임즈 filed Critical (주)네오위즈게임즈
Priority to KR10201101459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7982B1/en
Priority to PCT/KR2012/010128 priority patent/WO2013100398A1/en
Publication of KR201300772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728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79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798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7Browsing optimisation, e.g. caching or content distil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소형 네트워크 단말에서 웹페이지 상의 주요 내용을 확인하고, 이를 커스터마이즈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웹페이지의 문서 처리 방법은, 웹페이지의 문서 처리 장치가, 본문을 포함하는 문서가 표시되는 웹페이지를 단말의 표시부에 출력 시, 표시부에 상기 본문에 대응하는 내용을 표시하도록 하는 입력이 가능한 메뉴로서, 본문 선택 메뉴를 출력하는 단계; 본문 선택 메뉴에 대한 단말의 입력수단으로부터의 선택 입력 수신 시,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본문을 웹페이지로부터 추출하는 단계; 본문에 대응하는 내용을 본문 화면에 표시 시, 본문을 표시하는 형식에 대해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단말에 기 저장된 설정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설정 정보를 본문에 적용한 본문 화면을 상기 표시부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provides the technology to check the main contents of the web page in the small network terminal and customize it. In the document processing method of a web p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of the web page outputs a web page on which a document including a body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f the terminal,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body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 menu capable of displaying an input, the method comprising: outputting a body selection menu; Extracting a body from a web page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riterion when receiving a selection input from an input means of a terminal for a body selection menu; Extracting setting information previously stored in a terminal by a user's input on a format of displaying a text when displaying contents corresponding to the text on a text screen; And outputting a main body screen on which the setting information is applied to the main body to the display unit.

Description

웹페이지의 문서 처리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DOCUMENT OF WEB PAGE}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DOCUMENT OF WEB PAGE}

본 발명은, 스마트폰 등 소형 네트워크 단말에서, 일반적인 웹페이지에 개시된 문서 등을 출력 시, 필요한 정보를 효율적으로 추출하여 사용자가 확인하도록 할 수 있는 기록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가 필요한 정보를 추출 시, 사용자가 원하는 화면 및 내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cord capable of efficiently extracting necessary information and outputting a document to a user when outputting a document disclosed in a general web page, etc., in a small network terminal such as a smart phon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ology that enables a user to check a desired screen and content.

최근 스마트폰, 태블릿 컴퓨터 등 소형 네트워크 단말에 대한 이용도가 높아지고 있다. 특히, 스마트폰은 이동통신 업계에서 현재 가장 판매율이 높으며, 사용자의 측면에서도 가장 효율적인 소형 네트워크 단말로 각광받고 있다. 사용자들은 무선 네트워크 망의 확충으로 인해, 시간과 장소를 불문하고 사용자들은 자신이 원하는 컨텐츠를 소형 네트워크 단말로 이용할 수 있다.Recently, the use of small network terminals such as smart phones and tablet computers is increasing. In particular, the smart phone is currently the highest sales rate in the mobile communication industry, and is in the spotlight as the most efficient small network terminal in terms of users. Due to the expansion of wireless network, users can use their desired contents as small network terminals regardless of time and place.

한편, 인터넷 등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서 다양한 컨텐츠들이 공급되고 있으며, 이 중에서는 뉴스, 게시판 등의 서비스의 이용이 가능한 웹페이지의 이용도는 매우 높은 현실이다. 사용자들은 지면을 통해 확인하던 뉴스 등을 웹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다양한 사용자들끼리의 게시글을 통해 소셜 네트워크를 활성화시키고 있다.On the other hand, various contents are supplied through wired and wireless networks such as the Internet, and among them, the availability of web pages that can use services such as news and bulletin boards is very high. Users can check the news, etc., which were checked on the paper through a web page, and activate social networks through postings among various users.

또한, 각 웹페이지에는 다양한 광고 컨텐츠, 메뉴 컨텐츠 등 실질적인 웹페이지의 내용을 보조하기 위한 컨텐츠 등이 출력된다.In addition, content for assisting the actual content of the web page, such as various advertising content, menu content, etc. are output to each web page.

소형 네트워크 단말을 이용 시, 웹페이지는보통 소형 네트워크 단말에 대한 전용 웹페이지가 생성되어 표시된다. 즉, 일반적으로 컴퓨터의 모니터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풀 브라우징웹페이지 대신, 소형 네트워크 단말 전용 웹페이지가 각각 해당 풀 브라우징웹페이지에 대응하여 생성되고, 소형 네트워크 단말을 이용한 접속 시 전용 웹페이지가 출력된다.When the small network terminal is used, a web page is usually generated by displaying a dedicated web page for the small network terminal. In other words, instead of a full browsing web page that can be generally checked through a computer monitor, a web page dedicated to a small network terminal is generated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full browsing web page, and a dedicated web page is output when the small network terminal is accessed. .

그러나, 모든 풀 브라우징웹페이지에 전용 웹페이지가 생성되기는 불가능하며, 이에 따라서 사용자들은 소형 네트워크 단말을 이용 시, 풀 브라우징웹페이지를 불가피하게 이용할 수 밖에 없는 상황에 종종 직면하게 된다.However, it is not possible to create a dedicated web page in every full browsing web page, and thus users often face a situation inevitably using the full browsing web page when using a small network terminal.

이때, 사용자들은 자신이 보길 원하는 본문에 해당하는 내용 이외에, 광고 컨텐츠 및 메뉴 컨텐츠 등을 모두 확인하고 일일이 스크린을 이동하여 본문에 해당하는 내용을 확인해야 하는 불편함을 겪어왔다.At this time, users have been inconvenient to check the contents corresponding to the text by checking all the advertising content and menu content in addition to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text they want to see, and moving the screen one by one.

이에 본 발명은, 사용자들이 웹페이지의 본문 내용을 식별하는 데 있어서 용이함을 제공하고, 이에 추가하여 사용자들이 자신만의 취향을 반영하여, 본문 내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자신이 원하는 본문의 내용을 편집 및 저장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asy way for users to identify the text content of a web page, and to allow users to check the text content by reflecting their own preferences. In addition,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echnique for editing and storing the contents of a desired text.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웹페이지의 문서 처리 방법은, 웹페이지의 문서 처리 장치가, 본문을 포함하는 문서가 표시되는 웹페이지를 단말의 표시부에 출력 시, 상기 표시부에 상기 본문에 대응하는 내용을 표시하도록 하는 입력이 가능한 메뉴로서, 본문 선택 메뉴를 출력하는 단계;상기 본문 선택 메뉴에 대한 상기 단말의 입력수단으로부터의 선택 입력 수신 시,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상기 본문을 상기 웹페이지로부터 추출하는 단계;상기 본문에 대응하는 내용을 본문 화면에 표시 시, 상기 본문을 표시하는 형식에 대해 상기 단말에 기 저장된 설정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상기 설정 정보를 상기 본문에 적용한 상기 본문 화면을 상기 표시부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document processing method of the web p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of the web page, the web page on which the document containing the text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f the terminal, the A menu capable of inputting a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main body on a display unit, the method comprising: outputting a main body selection menu; upon receiving a selection input from an input means of the terminal for the main body selection menu, according to a preset criterion; Extracting the main body from the web page; extracting setting information previously stored in the terminal in a format of displaying the main body when displaying the main body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main body; And outputting the main body screen on which the setting information is applied to the main body to the display unit.

상기 설정 정보는,상기 본문에 대응하는 내용이 상기 본문 화면에 표시될 때, 상기 본문의 글자꼴, 상기 본문의 글자 크기 및 상기 본문이 표시되는 배경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설정 정보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setting information may be setting information on at least one of a font of the text, a text size of the text, and a background image on which the text is displayed when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text is displayed on the text screen.

상기 설정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는,상기 사용자의 상기 설정 정보에 대한 입력 내역이 미존재하는 경우, 상기 장치에 기설정된 디폴트 설정 정보를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extracting of the setting information may include extracting default setting information preset in the device when there is no input history of the setting information of the user.

상기 본문 화면을 표시부에 출력하는 단계는,상기 추출된 본문을 상기 단말에서 편집 및 복사가 가능한 포맷으로 변경하는 단계; 및상기 변경된 본문에 상기 추출된 설정 정보를 적용하여 완성된 상기 본문 화면을 상기 표시부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outputting of the main body screen on the display unit may include: changing the extracted main body into a format that can be edited and copied in the terminal; And outputting the completed body screen to the display unit by applying the extracted setting information to the changed body.

상기 본문을 상기 웹페이지로부터 추출하는 단계는,상기 본문 선택 메뉴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 시, 상기 웹페이지에 표시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각각에 대한 태그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상기 추출된 태그 정보들 중, 단일 태그 정보에 대응하는 텍스트에 포함된 단어 수가 기설정된단어수를 초과하는 태그 정도에 대응하는 텍스트를 본문으로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extracting of the text from the web page may include: extracting tag information for each of at least one content displayed on the web page when receiving a selection input for the body selection menu; And extracting, as a text, text corresponding to a tag degree in which the number of words included in the text corresponding to the single tag information exceeds the preset word number among the extracted tag information.

상기 웹페이지를 상기 표시부에 출력 시, 상기 설정 정보를 설정할 수 있는 메뉴로서 설정 메뉴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입력수단으로부터 상기 설정 메뉴에 대한 선택 입력 수신 시, 상기 설정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설정창을 출력하는 단계; 및상기 설정창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는 설정 정보를 상기 단말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Outputting a setting menu as a menu for setting the setting information when the web pag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utputting a setting window for inputting the setting information upon receiving a selection input for the setting menu from the input means; And storing sett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s input to the setting window in the terminal.

상기 설정창을 출력하는 단계는,상기 본문이 상기 본문 화면에 표시될 때, 상기 본문의 글자꼴, 상기 본문의 글자 크기 및 상기 본문이 표시되는 배경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입력이 가능한 복수의 메뉴가 포함된 상기 설정창을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outputting of the setting window may include a plurality of menus capable of inputting at least one of a font of the body, a font size of the body, and a background image in which the body is displayed when the body is displayed on the body screen. It is preferable to output the set window.

상기 설정창을 출력하는 단계는,상기 사용자에 의해 기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본문 화면에 대한 리스트를 함께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outputting of the setting window may include outputting a list of at least one body screen previously stored by the user.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웹페이지의 문서 처리 방법은, 웹페이지의 문서 처리 장치가, 본문을 포함하는 문서가 표시되는 웹페이지를 단말의 표시부에 출력 시, 상기 표시부에 상기 본문에 대응하는 내용을 표시하도록 하는 입력이 가능한 메뉴로서, 본문 선택 메뉴를 출력하는 단계;상기 본문 선택 메뉴에 대한 상기 단말의 입력수단으로부터의 선택 입력 수신 시,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추출된 본문을 포함하는 본문 화면을 상기 표시부에 출력하는 단계;상기 본문 화면에, 상기 본문 화면에 포함된 상기 본문의 내용을 편집할 수 있는 메뉴로서, 편집 메뉴를 출력하는 단계;상기 본문 화면에, 상기 본문 화면에 포함된 상기 본문의 내용을 복사하여 저장할 수 있는 메뉴로서, 저장 메뉴를 출력하는 단계;상기 편집 메뉴에 대한 상기 입력수단으로부터의 선택 입력 수신 시, 상기 본문의 내용을 상기 입력수단을 이용하여 편집할 수 있는 창으로서 편집창을 상기 표시부에 출력하는 단계; 및상기 저장 메뉴에 대한 상기 입력수단으로부터의 선택 입력 수신 시, 상기 본문의 화면을 복사하여 상기 단말의 저장 공간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ocument processing method of a web page, when the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of the web page outputs a web page on which a document including a text is displayed on a display unit of the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text on the display unit. A menu capable of displaying contents, the method comprising: outputting a body selection menu; a body screen including a body extract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riterion when receiving a selection input from an input means of the terminal for the body selection menu; Outputting an editing menu to the main body screen; a menu capable of editing contents of the main body included in the main body screen; and outputting an editing menu to the main body screen; A menu for copying and storing contents of a text, the method comprising: outputting a storage menu; the input unit for the editing menu; Upon reception of a selection input, and outputting an edit window and a content of the body as a window that can be edited using the input means on the display unit; And When receiving a selection input from the input means for the storage menu, copying the screen of the body and storing in the storage space of th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상기 저장하는 단계는,상기 편집창에 대한 상기 입력수단으로부터의 입력에 의해 편집된 상기 본문의 내용을 반영하여 생성된 상기 본문의 화면을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storing, preferably, the screen of the text generated by reflecting the contents of the text edited by the input from the input means to the edit window is stored.

상기 본문의 화면은, 상기 단말에 기 저장된 설정 정보에 따라서 표시 형식이 다른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screen of the main body has a different display format according to the setting information previously stored in the terminal.

상기 설정 정보는,상기 본문에 대응하는 내용이 상기 본문 화면에 표시될 때, 상기 본문의 글자꼴, 상기 본문의 글자 크기 및 상기 본문이 표시되는 배경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설정 정보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setting information may be setting information on at least one of a font of the text, a text size of the text, and a background image on which the text is displayed when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text is displayed on the text screen.

상기 본문 화면을 상기 표시부에 출력하는 단계는,상기 추출된 본문을 상기 단말에서 편집 및 복사가 가능한 포맷으로 변경하는 단계; 및상기 변경된 본문에 상기 추출된 설정 정보를 적용하여 완성된 상기 본문 화면을 상기 표시부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outputting of the main body screen on the display unit may include: changing the extracted main body into a format that can be edited and copied in the terminal; And outputting the completed body screen to the display unit by applying the extracted setting information to the changed body.

상기 편집창을 상기 표시부에 출력하는 단계는,상기 분문 화면에 표시된 본문에, 상기 편집창에 의해 편집된 문자를 지시하는 지시 수단을 출력하는 단계;상기 본문에 대한 편집 입력이 가능한 창으로서, 문자 입력 창을 상기 편집창으로 선택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outputting of the edit window to the display unit may include: outputting, to a text displayed on the text screen, indicating means for indicating a text edited by the edit window; a text capable of editing input to the text; And selecting and outputting an input window to the edit window.

상기 편집창을 상기 표시부에 출력하는 단계는,상기 편집 메뉴에 대한 상기 선택 입력 수신 시, 상기 본문의 내용을 편집 가능한 텍스트 포맷으로 변환하는 단계;상기 변환된 본문의 내용에 대한 편집 입력을 위한 문자 입력창을 선택하는 단계; 및상기 변환된 본문의 내용과 상기 문자 입력 창을 결합하여 생성된 상기 편집창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outputting of the edit window to the display unit may include: converting the contents of the body into an editable text format upon receiving the selection input for the editing menu; a character for editing input of the contents of the converted body; Selecting an input window; And outputting the edit window generated by combining the content of the converted text and the text input window.

상기 편집창이 상기 표시부에 출력되는 것을 감지 시, 상기 편집 메뉴를 복귀 메뉴로 토글하는 단계;상기 복귀 메뉴 선택 시, 상기 본문 화면으로 전환하는 단계; 및상기 복위 화면으로 전환 시, 상기 복귀 메뉴를 상기 편집 메뉴로 토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witching the edit menu to a return menu when detecting that the edit window is output to the display unit; switching to the main screen when selecting the return menu; And toggling the return menu to the edit menu when the screen is switched to the coordination scree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웹페이지의 문서 처리 장치는, 본문을 포함하는 문서가 표시되는 웹페이지를 단말의 표시부에 출력 시, 상기 표시부에 상기 본문에 대응하는 내용을 표시하도록 하는 입력이 가능한 메뉴로서, 본문 선택 메뉴를 출력하고, 상기 본문 선택 메뉴에 대한 단말의 입력수단으로부터의 선택 입력을 수신하는 본문 선택 수신부;상기 본문 선택 메뉴에 대한 단말의 입력수단으로부터의 선택 입력을 수신 시,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상기 본문을 상기 웹페이지로부터 추출하는 본문 추출부;상기 웹페이지를 상기 표시부에 출력 시, 상기 본문을 표시하는 형식에 대한 설정 정보를 설정할 수 있는 메뉴로서 설정 메뉴를 출력하고, 상기 입력수단으로부터 상기 설정 메뉴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하는 설정 입력 수신부;상기 설정창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는 설정 정보를 저장하는 설정 정보 저장부; 및 상기 본문에 대응하는 내용을 본문 화면에 표시 시, 상기 설정 정보 저장부에 기 저장된 상기 설정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본문에 적용한 본문 화면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본문 화면을 상기 표시부에 출력하는 본문 화면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of a web p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outputting a web page on which a document including a text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f the terminal, it is possible to input to display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text on the display unit A text selection receiver for outputting a text selection menu as a menu and receiving a selection input from an input means of the terminal for the text selection menu; upon receiving the selection input from the input means of the terminal for the text selection menu, A body extracting unit extracting the body from the web page according to a set standard; outputting a setting menu as a menu for setting setting information on a format for displaying the body when the web pag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 setting input receiver for receiving a selection input for the setting menu from the input means; for the setting window A setting information storage unit which stores sett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 input; And displaying the contents corresponding to the main body on the main body screen, extracting the setting information previously stored in the setting information storage unit, generating a main body screen applied to the main body, and outputting the generated main body screen to the display unit. Screen providing un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상기 설정 정보는,상기 본문에 대응하는 내용이 상기 본문 화면에 표시될 때, 상기 본문의 글자꼴, 상기 본문의 글자 크기 및 상기 본문이 표시되는 배경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설정 정보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setting information may be setting information on at least one of a font of the text, a text size of the text, and a background image on which the text is displayed when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text is displayed on the text screen.

상기 본문 화면 제공부는,상기 추출된 본문을 상기 단말에서 편집 및 복사가 가능한 포맷으로 변경하고, 상기 변경된 본문에 상기 추출된 설정 정보를 적용하여 완성된 상기 본문 화면을 상기 표시부에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body screen providing unit may change the extracted body into a format that can be edited and copied in the terminal, and output the body screen completed by applying the extracted setting information to the changed body. .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웹페이지의 문서 처리 장치는, 본문을 포함하는 문서가 표시되는 웹페이지를 단말의 표시부에 출력 시, 상기 표시부에 상기 본문에 대응하는 내용을 표시하도록 하는 입력이 가능한 메뉴로서, 본문 선택 메뉴를 출력하고, 상기 본문 선택 메뉴에 대한 단말의 입력수단으로부터의 선택 입력을 수신하는 본문 선택 수신부;상기 본문 선택 메뉴에 대한 단말의 입력수단으로부터의 선택 입력을 수신 시,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상기 본문을 상기 웹페이지로부터 추출하는 본문 추출부;상기 본문에 대응하는 내용을 본문 화면에 표시 시, 상기 본문을 표시하는 형식에 대해 설정 입력 수신부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설정 정보 저장부에 기 저장된, 설정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본문에 적용한 본문 화면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본문 화면을 상기 표시부에 출력하는 본문 화면 제공부;상기 본문 화면에, 상기 본문 화면에 포함된 상기 본문의 내용을 편집할 수 있는 메뉴로서, 편집 메뉴를 출력하고,상기 편집 메뉴에 대한 상기 입력수단으로부터의 선택 입력을 수신하는 편집 명령 수신부;상기 본문 화면에, 상기 본문 화면에 포함된 상기 본문의 내용을 복사하여 저장할 수 있는 메뉴로서, 저장 메뉴를 출력하고, 상기 저장 메뉴에 대한 상기 입력수단으로부터의 선택입력을 수신하는 저장 명령 수신부;상기 편집 메뉴에 대한 상기 입력수단으로부터의 선택 입력 수신 시, 상기 본문의 내용을 상기 입력수단을 이용하여 편집할 수 있는 창으로서 편집창을 상기 표시부에 출력하고, 상기 편집창에 대한 상기 입력수단으로부터의 편집 입력을 수신하는 편집 제어부; 및상기 저장 메뉴에 대한 상기 입력수단으로부터의 선택 입력 수신 시, 상기 본문의 화면을 복사하여 상기 단말의 저장 공간에 저장하는 스크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of a web pag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outputting a web page on which a document including a text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f the terminal, it is possible to input to display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text on the display unit A text selection receiver for outputting a text selection menu as a menu and receiving a selection input from an input means of the terminal for the text selection menu; upon receiving the selection input from the input means of the terminal for the text selection menu, A body extracting unit configured to extract the body from the web page according to a set criterion; setting a format for displaying the body when a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body is displayed on a body screen, by a user input to a setting input receiver; Extract the setting information previously stored in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to generate a body screen applied to the body, and generate A body screen providing unit for outputting a body screen to the display unit; a menu for editing the content of the body included in the body screen on the body screen, outputting an editing menu, and the input means for the editing menu An editing command receiving unit configured to receive a selection input from the apparatus; a menu for copying and storing contents of the body included in the body screen on the body screen, and outputting a storage menu from the input means for the storage menu; A storage command receiving unit configured to receive a selection input of the window; upon receiving a selection input from the input means for the editing menu, outputting an edit window to the display unit as a window for editing the contents of the text using the input means; An editing control section for receiving an editing input from the input means for the editing window; And a scrap unit for copying the screen of the main body and storing the screen of the main body in a storage space of the terminal when receiving a selection input from the input means for the storage menu.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는 웹페이지 중 본문의 내용만을 자신이 설정한 크기 및 글꼴로 확인할 수 있어, 사용자의 취향에 맞는 본문 확인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으며, 특히 자신이 본문의 내용을 편집할 수 있음으로써, 자신에게 필요한 내용만을 스크랩하여 단말에 저장할 수 있으므로, 서비스에 대한 이용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check only the contents of the text of the web page with the size and font set by the user, and can use the text checking service that is suitable for the user's taste, and in particular, the user can edit the contents of the text. Since only the contents necessary for the user can be scraped and stored in the terminal, there is an effect of increasing the utilization of the servi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웹페이지의 문서 처리 방법의 플로우차트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을 위해 본문 내용을 추출하는 흐름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따라 설정 정보를 설정하는 흐름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본문 화면을 출력하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웹페이지의 문서 처리 방법의 플로우차트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본문 화면을 편집하는 흐름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편집창을 이용하는 흐름을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따라 본문 화면을 편집하는 흐름의 다른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웹페이지의 문서 처리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0 내지 15는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화면의 예들을 도시한 것이다.
1 is a flowchart of a document processing method of a web p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llustrates a flow of extracting text contents for the implementation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shows a flow of setting setting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llustrates an example of outputting a body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of a document processing method of a web pag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llustrates an example of a flow of editing a text scree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llustrates a flow using an edit window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llustrates another example of a flow of editing a body scree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block diagram of a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of a web page according to eac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to 15 illustrate examples of screens displayed on a display unit of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웹페이지의 문서 처리 방법 및 장치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document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for a web page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명확히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특징에 대한 공지의 기술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상세한 설명이며,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님은 당연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균등한 발명 역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할 것이다.In order to clarify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ption of well-known technology for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detailed description to help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equivalent inventions performing the same functions as the present invention are also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의 설명에서 동일한 식별 기호는 동일한 구성을 의미하며, 불필요한 중복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same identification symbol means the same configuration, and unnecessary redundant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본 발명에서 컨텐츠는, 일반 컴퓨터 및 스마트 폰, 스마트 탭 등의 휴대용 전자기기 등을 통해 재생될 수 있는 음악, 영상, 전자 책 등 모든 재생 대상 데이터를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플레이리스트 관리 방법은, 하나의 프로그램, 웹사이트 또는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 등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ent means all data to be reproduced, such as music, video, and e-book, which can be reproduced through a general computer, a smart phone, and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such as a smart tab. In addition, the playlist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erformed through one program, a website, or an application of a smartphone.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통신”, “통신망” 및 “네트워크”는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세 용어들은, 파일을 사용자 단말, 다른 사용자들의 단말 및 다운로드 서버 사이에서 송수신할 수 있는 유무선의 근거리 및 광역 데이터 송수신망을 의미한다.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 communication ", " communication network ", and " network " The three terms refer to wired and wireless local area and wide area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networks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file between a user terminal, a terminal of another user, and a download server.

본 발명에서 웹페이지는, 문서, 게시글 등을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는, 모든 네트워크를 통해 이용 가능한 컨텐츠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웹페이지는웹페이지의 주 내용인 본문과, 본문의 내용 이외에, 웹페이지에 존재하나, 광고 컨텐츠, 선택 메뉴 등을 포함하여 본문과 다른 내용을 표시하는 노이즈를 포함한다. 본문과 다른 내용을 구분하기 위해, 이하에서는 본문을 제외한 부분은 노이즈로 지칭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eb page means content that can be used through all the networks in which the user can check documents, posts, and the lik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eb page includes a main body of the web page, and noise other than the main body of the web page, which is present in the web page but displays different contents from the main body, including advertisement contents, a selection menu, and the like. In order to distinguish the main body from other contents, hereinafter, parts except the main body are referred to as nois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웹페이지의 문서 처리 방법의 플로우차트이다.1 is a flowchart of a document processing method of a web p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웹페이지의 문서 처리 방법은, 먼저 서버가 웹페이지가 표시되는 사용자 단말의 표시부에, 본문 선택 메뉴를 전송하는 단계(S10)가 수행된다.Referring to FIG. 1, in the document processing method of a web p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tep (S10) of first transmitting a text selection menu to a display unit of a user terminal on which a web page is displayed is performed.

본 발명에서 사용자 단말은, 상기 언급한 소형 네트워크 단말을 의미한다. 즉, 풀 브라우징웹페이지의 내용을 한 번에 확인하기 어려우며, 본문만을 따로 확인할 필요가 있는 스크린 크기를 갖는 단말을 의미한다. 그러나 필요에 따라서 풀 브라우징웹페이지를 충분히 출력할 수 있는 크기의 스크린을 포함하는 단말이라도, 본 발명의 각 구성을 포함하여 이에 대응하는 기능의 구현이 가능할 것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terminal means the above-mentioned small network terminal. That is, it is difficult to check the contents of the full browsing web page at one time, and means a terminal having a screen size for which only the text needs to be checked separately. However, even a terminal including a screen having a size capable of sufficiently outputting a full browsing web page may be implemented, including each compon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10 단계에서 본문 선택 메뉴는 일반적으로 표시부의 하단 또는 상단에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본문 선택 메뉴를 확인하고 입력수단을 통해 본문 선택 메뉴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In operation S10, the text selection menu may be generally displayed at the bottom or top of the display unit. The user may check the text selection menu and perform an input for selecting the text selection menu through the input means.

S10 단계 후, 본문 선택 메뉴에 대한 단말의 입력수단으로부터의 입력을 수신하게 되면,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서 본문 내용을 해당 웹페이지로부터 추출하는 단계(S20)가 수행된다. 기설정된 기준은 이하 도 2에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하나, 도 2의 실시예 이외에도 본문을 추출할 수 있는 방법이라면 본 발명에서 어느 방식이나 사용될 수 있다.After the step S10, when receiving an input from the input means of the terminal for the text selection menu, the step (S20) to extract the body content from the web page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riterion is performed. The preset criteria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2, but any method can b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s long as the method can extract the body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 of FIG. 2.

본문이 추출되는 방식은, 이하의 본 발명의 기능을 위해, 본문에 해당하는 텍스트 정보만을 추출하는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이외에도, 본문에 해당하는 영역의 이미지를 복사하여 추출하는 방식도 사용될 수 있다. 또는 본문에 해당하는 텍스트 정보를 포함하는 영역의 태그 정보만을 추출하여, 추후 본문 화면을 표시 시 링크 기능을 이용하여 본문 화면을 표시할 수도 있다.As the method of extracting the text, a method of extracting only tex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text may be used for the following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a method of copying and extracting an image of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body may be used. Alternatively, only the tag information of the area including the tex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body may be extracted, and the body screen may be displayed by using a link function when the body screen is displayed later.

본문이 추출되면, 이후 본문을 본문 화면에 표시 시, 본문을 표시하는 형식에 대해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단말에 기 저장된 설정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S30)가 수행된다.If the body is extracted, thereafter, when the body is displayed on the body screen, the step S30 of extracting setting information previously stored in the terminal by a user's input for the format of displaying the body is performed.

설정 정보는, 본 발명에서 본문 화면을 꾸미는 형식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본문의 내용인 텍스트 정보가 본문 화면에 표시될 때, 텍스트의 글꼴, 크기 및 본문 화면의 배경 이미지 등에 대한 정보가 설정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The setting information refers to a form of decorating a text screen in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when text information, which is the content of the text, is displayed on the text screen, information about a font, a size of the text, and a background image of the text screen may be included in the setting information.

설정 정보가 추출되면, 서버는 단말의 표시부에, 본문의 내용에 설정 정보를 적용한 형식으로 본문 화면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단계(S40)가 수행된다. When the setting information is extracted, the server controls the display unit of the terminal to output the main body screen in a format in which the setting information is applied to the contents of the main body (S40).

본문 화면은, 팝업화면 또는 표시부 전체에 새로운 창을 생성하여 표시되는 화면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본문 화면은, 본문의 내용에, 사용자가 설정한 설정 정보를 적용하여, 자신이 원하는 글꼴 및 크기를 갖는 텍스트 정보가, 사용자가 설정한 배경 상에 표시되는 화면이다. The body screen may be either a pop-up screen or a screen displayed by creating a new window on the entire display unit. The main body screen is a screen in which text information having a desired font and size is displayed on a background set by the user by applying setting information set by the user to the content of the main body.

이를 통해, 사용자는 본문을 확인 시에도, 커스터마이즈된 화면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서, 어떠한 웹페이지라도 사용자에 의해 통일된 형식의 본문 화면을 확인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에게 웹페이지 이용에 있어서 새로운 재미와,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Through this, the user can check the customized screen even when checking the text. Accordingly, any web page can check the body screen in a unified format by the user, thereby providing the user with new fun and convenience in using the web page.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을 위해 본문 내용을 추출하는 흐름을 도시한 것이다.2 illustrates a flow of extracting text contents for the implementation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본문 선택 메뉴에 대한 선택 입력을 사용자 단말의 입력수단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S21)가 수행된다.Referring to FIG. 2, first, a step (S21) of receiving a selection input for a body selection menu from an input means of a user terminal is performed.

이때 서버는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서 본문 내용을 추출하게 되는데, 이를 위해 먼저 웹페이지에 존재하는 모든 컨텐츠들의 태그 정보를 추출하게 된다(S22).At this time, the server extracts the body content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riterion. To this end, the server first extracts tag information of all contents existing in the web page (S22).

일반적으로, 웹페이지에서 본문에 해당하는 내용은 그 단어 수가 다른 컨텐츠들에 비해 많다. 따라서, 본문을 판별하기 위해서는 각 컨텐츠에 포함된 텍스트에서, 단어의 수가 가장 많은 텍스트를 선택할 수 있다.In general, the content of the text in the web page is more words than other content. Therefore, in order to determine the main text, the text having the largest number of words can be selected from the text included in each content.

이에 따라, 서버는 태그 정보를 추출하면, 각 태그마다, 단일 태그에 대응하는 텍스트들 중, 텍스트에 포함된 단어 수가 기설정된단어수(예를 들어 50개)를 초과하는 태그 정보를 판별하게 되며, 판별된 태그 정보에 대응하는 텍스트를 본문의 내용으로 추출하는 단계(S23)를 수행하게 된다.Accordingly, when the server extracts the tag information, among the tags corresponding to the single tag, the server determines tag information in which the number of words included in the text exceeds a preset number of words (for example, 50). In operation S23, the text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tag information is extracted as the content of the body.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S23 단계 이외에도, 태그 정보에 대응하는 표시 영역들 중, 표시 영역의 크기가 가장 큰 태그 정보에 대응하는 영역 내의 텍스트 정보를 본문 내용으로 추출하는 등의 방식이, 본문의 내용을 추출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As mentioned above, in addition to the step S23, among the display areas corresponding to the tag information, a method of extracting the text information in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tag information having the largest display area as the body content may be used. Can be used to extract.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따라 설정 정보를 설정하는 흐름을 도시한 것이다.3 shows a flow of setting setting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본문 화면을 구성 시, 본문에 대응하는 텍스트와 본문 화면의 배경을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설정된 설정 정보를 적용한 형태로 표시하게 된다.As mentioned in FIG. 1, when the main body screen is constructed, the text corresponding to the main body and the background of the main body screen are displayed in a form in which setting information set by a user's input is applied.

이를 위해, 서버는 사용자 단말의 표시부에, 설정 정보를 설정할 수 있는 메뉴로서 설정 메뉴를 전송하는 단계를 수행하게 된다. 설정 메뉴는, 단말의 표시부 중, 상기 언급한 본문 선택 메뉴에 인접하여 표시될 수 있거나, 단말의 기본적인 제어 메뉴에 표시될 수 있다.To this end, the server transmits the setting menu as a menu for setting the setting information to the display unit of the user terminal. The setting menu may be displayed adjacent to the aforementioned text selection menu in the display unit of the terminal, or may be displayed in the basic control menu of the terminal.

서버는 사용자 단말의 입력수단으로부터, 설정 메뉴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하게 된다(S31). 선택 입력이 수신되면, 서버는 설정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설정창을 사용자 단말의 표시부에 출력하게 된다(S32). 이후 설정창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는 설정 정보를 단말에 저장하여(S34), 이후 본문 화면 구성 시 적용하도록 하게 된다. The server receives a selection input for the setting menu from the input means of the user terminal (S31). When the selection input is received, the server outputs a setting window for inputting setting information to the display unit of the user terminal (S32). After that, the sett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s input to the setting window is stored in the terminal (S34), and then applied when configuring the body screen.

이때, 서버는 설정창에, 사용자가 이미 저장한 본문 화면의 리스트를 표시하는 단계(S33)를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설정 창에서 사용자는 자신이 이미 스크랩하여 저장한 본문 화면들의 리스트를 확인할 수 있고, 이에 따라서 설정 정보를 자신의 취향에 맞도록 수정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erver may additionally perform the step (S33) of displaying a list of the body screen that the user has already stored in the setting window. In the setting window, the user can check a list of the text screens that he has already scraped and stored, and can modify the setting information according to his or her taste accordingly.

설정창에는,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본문의 텍스트 정보의 글자꼴, 글자 크기 및 본문이 표시되는 본문 화면의 배경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설정 입력이 가능한 복수의 메뉴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etting window may include a plurality of menus capable of setting input of at least one of a font, a text size, and a background image of a text screen on which the text is displayed.

만약 설정창에 대한 입력을 통해 설정 정보가 입력된 히스토리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즉 사용자가 별도로 설정 정보를 입력하지 않은 경우, 서버에서는 기설정된 디폴트 설정 정보를 구비하고 있으며, 추후 본문 화면 구성 시 디폴트 설정 정보를 추출하여 적용하게 된다. 디폴트 설정 정보는, 상기의 복수의 메뉴에 대해 가질 수 있는 기본적인 설정 정보를 의미한다.If there is no history of setting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setting window, that is, if the user does not input the setting information separately, the server has preset default setting information. The information is extracted and applied. The default setting information means basic setting information that can be provided for the plurality of menus described above.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본문 화면을 출력하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4 illustrates an example of outputting a body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본문 화면 출력 시, 본 발명의 중요한 기능은 본문 화면을 편집 및 스크랩하여 저장할 수 있는 기능이다. 따라서, 서버에서는 상기의 기능의 구현을 위해, 본문 화면을 출력할 때, 설정 정보를 적용함과 동시에, 추출된 본문 내용, 즉 텍스트 정보를 편집 및 스크랩, 즉 복사가 가능한 포맷으로 변경하게 된다(S41). Referring to FIG. 4, when outputting a body screen, an important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function of editing, scraping and storing a body screen. Therefore, in order to implement the above functions, the server changes the extracted body contents, that is, the text information, into a format that can be edited and scraped, that is, copied while applying the setting information when outputting the body screen. S41).

텍스트 정보를 편집 가능한 포맷으로 변경한다는 것은, 사용자의 단말의 입력 수단을 통해 수정 가능한 포맷으로 변경함을 의미한다.Changing the text information into an editable format means changing to a format that can be modified through an input means of the user's terminal.

이후, 설정 정보를 적용하여(S42), 완성된 본문 화면이 출력되도록 제어하게 된다(S43).Thereafter, by applying the setting information (S42), it is controlled to output the completed body screen (S43).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웹페이지의 문서 처리 방법의 플로우차트이다.5 is a flowchart of a document processing method of a web pag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웹페이지의 문서 처리 방법은, 분문 선택 메뉴를 출력하는 단계(S50)가 수행되며, 본문 선택 메뉴에 대한 단말의 입력수단으로부터의 선택 입력 수신 시,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서 추출된 본문을 포함하는 본문 화면을 단말의 표시부에 출력하는 단계(S60)가 수행된다. S60 단계의 수행에서는, 도 2 내지 도 4의 방식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in the document processing method of the web page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step S50 of outputting a text selection menu is performed, and receiving a selection input from an input means of a terminal for a text selection menu. In operation S60, a body screen including the body text extract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riterion is output to the display unit of the terminal. In performing the step S60, the scheme of Figures 2 to 4 can be applied as it is.

이후, 서버에서는 본문 화면에, 편집 메뉴 및 저장 메뉴가 표시되도록, 사용자 단말에 편집 메뉴 및 저장 메뉴를 전송하는 단계(S70)를 수행한다. 편집 메뉴 및 저장 메뉴는 단말 및 단말의 웹페이지 브라우저의 설정에 따라서 적어도 하나가 표시될 수 있다.Thereafter, the server performs an operation (S70) of transmitting the edit menu and the save menu to the user terminal so that the edit menu and the save menu are displayed on the body screen. At least one edit menu and a save menu may be displayed according to the setting of the terminal and the web page browser of the terminal.

S70 단계에 의해 표시된 편집 메뉴에 대한 입력수단으로부터의 선택 입력을 수신하게 되면, 서버는 본문의 내용을 편집할 수 있는 편집창을 단말의 표시부에 출력하는 단계(S80)를 수행하게 된다. 편집 메뉴는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본문의 내용을 단말의 입력수단을 통해 편집할 수 있도록 하는 입력이 가능한 메뉴이므로, 서버에서는 편집 메뉴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하게 되면, 소정의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편집창을 출력하게 된다.When receiving the selection input from the input means for the editing menu displayed in step S70, the server performs the step (S80) of outputting an edit window for editing the contents of the main body on the display unit of the terminal. The edit menu is a menu capable of inputting the contents of the main body to be edited through the input means of the terminal as described above. When the server receives a selection input for the edit menu, the edit window includes a predetermined interface. Will print

한편 저장 메뉴는 본문의 내용을 복사하여 저장할 수 있는 입력이 가능한 메뉴이다. 저장 메뉴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하면, 본문 화면을 캡쳐하여 저장하게 된다(S90). 또는 본문 화면에 대한 링크를 복사하여 저장할 수 있고, 또는 본문 화면에 포함된 텍스트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ave menu is a menu that allows input to copy and save the contents of the text. Upon receiving the selection input for the save menu, the body screen is captured and stored (S90). Alternatively, a link to the main screen may be copied and stored, or text information included in the main screen may be stored.

S90 단계의 수행 시, 편집창에 대한 입력수단으로부터의 편집 입력이 수신되어, 본문의 내용이 편집된 경우라면, 본문의 내용에 대한 편집 입력이 반영되어 생성된 본문의 화면을 저장하게 될 것이다.In the case of performing step S90, when an edit input from the input means for the edit window is received and the content of the text is edited, the screen of the text generated by reflecting the edit input for the content of the text is reflected.

이를 통해, 사용자는 자신이 소형 네트워크 단말을 이용하여 웹을 탐색 시, 자신이 원하는 본문을 확인하고 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본문의 내용 중 자신이 원하는 내용만을 잘라서 저장하거나, 자신이 수정하고자 하는 내용을 편집하여 저장할 수 있어, 컨텐츠 이용에 있어서의 이용성을 넓힐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this way, when the user browses the web using the small network terminal, the user may check the desired text and store it.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cut and store only the contents desired by the contents of the main body or to edit and store the contents desired to be modified, thereby increasing the usability in using the contents.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본문 화면을 편집하는 흐름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6 illustrates an example of a flow of editing a text scree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서버는 상기 언급한 편집 메뉴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S81)를 수행하게 된다.Referring to FIG. 6, first, the server performs a step S81 of receiving a selection input for the above-described edit menu.

S81 단계에 의해 편집 메뉴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하게 되면, 서버는 본문 내용을 편집 가능한 텍스트 포맷으로 변경하는 단계(S82)를 수행하게 된다. When receiving the selection input for the edit menu in step S81, the server performs a step (S82) for changing the body content into an editable text format.

도 6의 실시예는, 본문 화면이 즉시 편집 가능한 포맷으로 변경된 채로 구성되지 않은 상태에서의 흐름을 의미한다. 따라서, 도 6에서는 S82 단계를 수행하여, 본문 화면에 포함된 본문의 내용인 텍스트 정보를, 단말에서 편집 가능한 포맷으로 변환하게 된다.The embodiment of FIG. 6 means a flow in a state in which the main body screen is not configured to be changed into a format which can be edited immediately. Therefore, in FIG. 6, step S82 is performed to convert text information, which is the content of the body included in the body screen, into a format editable by the terminal.

이후, 편집을 위한 문자 입력창을 선택하는 단계(S83)를 수행하게 된다. 문자 입력창은, 소형 네트워크 단말에 따라서 문자 입력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의미한다. 문자 입력창은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단말의 경우 표시부에 표시되는 문자 입력 영역과, 본문의 내용을 표시하는 영역 및 본문의 내용 중 편집될 위치를 표시하는 지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Thereafter, the step S83 of selecting a text input window for editing is performed. The text input window refers to an interface capable of performing a text input function according to a small network terminal. In the case of a terminal including a touch screen, the text input window may include a text input area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n area displaying the content of the main body, and indicating means for displaying a position to be edited among the contents of the main body.

터치 스크린이 아닌 키패드를 포함하는 단말의 경우, 문자 입력 영역이 생략될 수 있다.In the case of a terminal including a keypad other than a touch screen, a text input area may be omitted.

이후, 포맷이 변경된 본문과 문자 입력창을 결합하여 편집창을 생성한 뒤, 이를 단말의 표시부에 출력하는 단계(S84)를 수행하게 된다.Thereafter, an edit window is generated by combining the text input window with the changed text format and outputting the edit window to the display unit of the terminal (S84).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편집창을 이용하는 흐름을 도시한 것이다.7 illustrates a flow using an edit window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문 화면에서 편집창은, 본문 화면에 출력되는 편집 메뉴를 선택하여 표시될 수 있으며, 본문 화면을 오버레이하는팝업창이 되거나, 본문 화면을 대체하는 새로운 인터페이스가 될 수 있다. In the main screen, the edit window may be displayed by selecting an edit menu displayed on the main screen, and may be a pop-up window for overlaying the main screen or a new interface for replacing the main screen.

따라서, 사용자는 편집 후, 본문 화면을 다시 확인하기를 원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단말은 먼저 편집창이 출력(또는 전송)되는 것을 감지하는 단계(S91)를 수행하게 된다.Thus, the user may want to check the body screen again after editing. Accordingly, the terminal first performs a step (S91) of detecting that the edit window is output (or transmitted).

S91단계에 의해 편집창이 단말의 표시부에 출력되는 것이 감지되면, 편집 메뉴가 표시되는 영역을 복귀 메뉴로 토글하는 단계(S92)를 수행하게 된다. 복귀 메뉴는 편집창을 닫고 다시 본문 화면을 표시하는 입력이 가능한 메뉴이다.When it is detected in step S91 that the edit window is output to the display unit of the terminal, the step S92 of toggling the area where the edit menu is displayed to the return menu is performed. The return menu is an input menu that closes the edit window and displays the main screen again.

복귀 메뉴에 대한 선택 입력이 감지되면, 단말은 본문 화면을 다시 출력하여, 사용자가 본문 화면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S93)를 수행하게 된다.When the selection input for the return menu is detected, the terminal outputs the main screen again, so that the user can check the main screen (S93).

S93 단계가 수행되면, 복귀 메뉴는 당연히 다시 편집 메뉴로 토글된다(S94).When step S93 is performed, the return menu is naturally toggled back to the edit menu (S94).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따라 본문 화면을 편집하는 흐름의 다른 예를 도시한 것이다.8 illustrates another example of a flow of editing a body scree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도 6의 실시예와 달리, 이미 본문 화면 구성 시 추출된 본문의 내용에 대응하는 텍스트 정보의 포맷이, 편집 및 저장이 가능한 포맷으로 변환된 상태에서의 편집의 흐름을 의미한다.Unlike the embodiment of FIG. 6, FIG. 8 refers to a flow of editing in a state in which a format of tex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of a body extracted when the body screen is configured is converted into a format that can be edited and stored.

즉 먼저, 추출된 본문 내용을 편집 및 복사가 가능한 포맷으로 변경한 뒤(S61), 선택적으로 설정 정보를 적용하여 완성된 본문 화면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단계(S62)가 수행된다.That is, first, the extracted body content is changed into a format that can be edited and copied (S61), and then the control is performed to selectively output the completed body screen by applying setting information (S62).

이후, 단말은 편집 메뉴 선택 시, 편집을 위한 문자 입력창을편집창으로 선택하여 전송하는 단계(S85)를 수행하게 된다.Thereafter, when the editing menu is selected, the terminal selects and transmits a character input window for editing to the editing window (S85).

즉, 편집창에 의해 편집되는 문자를 지시하는 지시 수단을 출력하며, 문자 입력창을 포함하는 편집창을 출력하게 된다. In other words, an instruction means for indicating a character to be edited by the edit window is output, and an edit window including a text input window is output.

도 9는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웹페이지의 문서 처리 장치의 블록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 1 내지 8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9 is a block diagram of a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of a web page according to eac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description of the parts overlapping with those of FIGS. 1 to 8 will be omitted.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웹페이지의 문서 처리 장치(10)는, 본문 선택 수신부(11), 설정 입력 수신부(12), 편집 명령 수신부(13), 저장 명령 수신부(14), 본문 추출부(15), 설정 정보 저장부(16), 편집 제어부(17), 스크랩부(18) 및 본문 화면 제공부(19)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9, the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10 of the web pag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ext selection receiver 11, a setting input receiver 12, an editing command receiver 13, and a storage command receiver 14. ), A body extracting unit 15, a setting information storage unit 16, an editing control unit 17, a scraping unit 18, and a body screen providing unit 19.

웹페이지의 문서 처리 장치(10)는, 그 기능에 따라서, 본문 선택 수신부(11), 설정 입력 수신부(12), 본문 추출부(15), 설정 정보 저장부(16) 및 본문 화면 제공부(19)가 별도의 장치로 구성되거나, 본문 선택 수신부(11), 편집 명령 수신부(13), 저장 명령 수신부(14), 본문 추출부(15), 편집 제어부(17), 스크랩부(18) 및 본문 화면 제공부(19)가 별도의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The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10 of the web page is, according to its function, a text selection receiving section 11, a setting input receiving section 12, a text extracting section 15, a setting information storing section 16, and a text screen providing section ( 19 is constituted by a separate device, the text selection receiving section 11, the editing command receiving section 13, the storage command receiving section 14, the text extracting section 15, the editing control section 17, the scrap section 18 and The main screen providing unit 19 may be configured as a separate device.

또한 웹페이지의 문서 처리 장치(10)는 사용자의 소형 네트워크 단말(20)에 포함되는 프로세서에 포함된 장치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10 of the web page may be an apparatus included in a processor included in the user's small network terminal 20.

본문 선택 수신부(11)는 상기 언급한 본문 선택 메뉴를 단말(20)의 표시부에 출력하고, 이에 대한 단말의 입력수단으로부터의 선택 입력을 수신하게 된다.The body selection receiving unit 11 outputs the above-mentioned body selection menu to the display unit of the terminal 20 and receives a selection input from the input means of the terminal.

본문 추출부(15)는 도 2의 실시예에서 언급한 바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방식을 통해 웹페이지로부터 본문의 내용을 추출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The body extracting unit 15 performs a function of extracting the content of the body from the web page through at least one method as mentioned in the embodiment of FIG. 2.

설정 입력 수신부(12)는, 설정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설정창을, 도 3에서 언급한 각 단계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하여 전송하고, 설정창에 대한 설정 입력을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setting input receiving unit 12 transmits a setting window for inputting setting information by performing a function corresponding to each step mentioned in FIG. 3 and receiving a setting input for the setting window.

설정 정보 저장부(16)는, 설정창에 대한 설정 입력을 수신하여, 설정 정보를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설정 입력은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설정 정보에 대한 설정 입력을 의미하며, 글자꼴, 크기 및 본문 화면의 배경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입력을 의미한다.The setting information storage unit 16 receives a setting input for a setting window and stores a setting information. As described above, the setting input refers to a setting input for setting information, and means an input for at least one of a font, a size, and a background image of a body screen.

편집 명령 수신부(13)는, 본문 화면에 편집 메뉴를 출력하고, 이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편집 제어부(17)는 편집 메뉴에 대한 선택입력 수신 시, 도 6내지 도 8의 기능을 수행하여 편집창을 생성한 뒤, 단말(20)에 전송하고, 입력수단으로부터 이에 대응하는 편집 입력을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editing command receiving unit 13 outputs an editing menu on the main screen, and receives a selection input thereto. When the editing control unit 17 receives a selection input for the editing menu, the editing control unit 17 performs the functions of FIGS. 6 to 8 to generate an editing window, transmits the edit window to the terminal 20, and receives the corresponding editing input from the input unit. It performs the function.

저장 명령 수신부(14)는, 저장 메뉴를 본문 화면에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저장 메뉴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한다. 스크랩부(18)는 저장 메뉴에 대한 선택 입력 수신 시 현재의 본문 화면, 즉 원래 본문 화면 또는 편집 정보가 적용된 본문 화면을 단말의 저장 공간에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storage command receiving unit 14 controls to output the storage menu to the main screen, and receives a selection input for the storage menu. The scrap unit 18 stores the current body screen, that is, the body screen to which the original body screen or the edit information is applied, in the storage space of the terminal when the selection input for the storage menu is received.

도 10 내지 15는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화면의 예들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 1 내지 9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은 이를 생략하기로 한다.10 to 15 illustrate examples of screens displayed on a display unit of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portions overlapping with those in the description of Figs. 1 to 9 will be omitted.

도 10은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는 웹페이지에 대한 브라우징 화면(100)이다. 먼저 검색 주소를 입력할 수 있는 주소 입력창(101)이 표시될 수 있으며, 다양한 노이즈 화면(102)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웹페이지에는 해당 페이지의 주요 내용이 표시되는 본문(103)이 표시될 수 있다.10 is a browsing screen 100 for a web page displayed on a user terminal. First, an address input window 101 for inputting a search address may be displayed, and various noise screens 102 may be displayed. In addition, the web page may display a body 103 displaying main contents of the page.

사용자는 단말의 터치 입력 또는 키패드 등의 입력 수단의 조작을 통해, 본문 선택 메뉴(104), 설정 메뉴(105)를 선택할 수 있다, 더보기 메뉴(106)는 다른 창을 띄우는 등의 추가 기능에 대한 메뉴들을 표시하도록 하는 메뉴를 의미한다.The user may select the text selection menu 104 and the setting menu 105 through a touch input of a terminal or an operation of an input means such as a keypad. The more menu 106 may be used for additional functions such as displaying another window. Means a menu to display menus.

도 11은, 브라우징 화면(100)에 팝업되는설정창(110)에 대한 예이다. 설정창(110)에는, 글꼴을 설정할 수 있는 폰트메뉴, 글자의 크기를 설정할 수 있는 메뉴 및 배경 색상을 설정할 수 있는 메뉴(111)가 출력될 수 있다. 도 11의 예에서는 배경의 색상만을 설정할 수 있으나, 배경 이미지 자체를 설정할 수도 있으며, 글꼴 및 크기뿐 아니라 글자의 색상 역시 설정할 수 있다.11 is an example of a setting window 110 that pops up on the browsing screen 100. The setting window 110 may output a font menu for setting a font, a menu for setting a size of a font, and a menu 111 for setting a background color. In the example of FIG. 11, only the background color may be set, but the background image itself may also be set, and the font and size as well as the color of the text may be set.

저장된리스트 보기 메뉴(112)는, 사용자가 기 저장한 본문 화면의 리스트를 확인할 수 있는 메뉴이다. 이 메뉴 대신 리스트가 바로 설정창(110)에 표시될 수 있다.The stored list view menu 112 is a menu that allows a user to check a list of previously stored text screens. Instead of this menu, the list may be immediately displayed on the setting window 110.

사용자는 적용 버튼(113)을 선택하여, 설정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The user may select the apply button 113 and store the setting information.

도 12는 본문 화면(120)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본문 화면(120)에는, 본문이 표시되는 화면(121)과, 편집 메뉴(122) 및 저장 메뉴(123)가 표시될 수 있다.12 shows an example of the text screen 120. In the body screen 120, a screen 121 in which a body is displayed, an edit menu 122, and a storage menu 123 may be displayed.

도 13에는 편집 메뉴(122)를 선택한 경우, 본문 화면(120)에 팝업되는편집창(130)이 도시되어 있다. 편집창(130)에는 편집되는 본문의 텍스트 정보(132), 편집될 위치를 지시하는 지시 수단(131) 및 문자 입력창(133)이 표시될 수 있다. FIG. 13 illustrates an edit window 130 that pops up on the main screen 120 when the edit menu 122 is selected. The edit window 130 may display text information 132 of a text to be edited, an indication means 131 for indicating a position to be edited, and a text input window 133.

도 14에는 본문 화면(120)에서 바로 편집창이 출력되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때 본문 화면(120)에는 바로 본문이 표시되는 영역(121)과, 문자 입력창(124)이 출력될 수 있다.14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an edit window is directly output from the main screen 120. In this case, an area 121 in which a main body is displayed and a text input window 124 may be output directly to the main body screen 120.

도 15에는 본문 화면(120)에서 저장 메뉴(123)를 선택 시, 본문 화면이 저장되었다는 정보를 알리는 화면(140)이 도시된다. 사용자는 이를 확인하여, 자신이 선택한 본문 화면이 단말에 저장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15 illustrates a screen 140 for notifying that the body screen is stored when the storage menu 123 is selected in the body screen 120. The user may check this to confirm that the body screen selected by the user is stored in the terminal.

이상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웹페이지의 문서 처리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는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이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음)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해 단말기에 직접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웹페이지의 문서 처리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기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The document processing method of the web page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xecuted by an application basically installed in the terminal (which may include a program included in a platform or an operating system basically mounted in the terminal). The application may be executed by an application (ie, a program) directly installed on a terminal by an application providing server such as an application store server, an application, or a web server related to the corresponding service. In this sense, the document processing method of the web pag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implemented as an application (that is, a program) which is basically installed in a terminal or directly installed by a user, and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such as a terminal. Can be recorded.

이러한 프로그램은 컴퓨터에 의해 읽힐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되고 컴퓨터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전술한 기능들이 실행될 수 있다. Such a program may be recorded on a recording medium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and executed by a computer so that the above-described functions can be executed.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웹페이지의 문서 처리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전술한 프로그램은 컴퓨터의 프로세서(CPU)가 읽힐 수 있는 C, C++, JAVA, 기계어 등의 컴퓨터 언어로 코드화된 코드(Code)를 포함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execute the document processing method of the web page according to eac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bove-described program is coded in a computer language such as C, C ++, JAVA, machine language, etc. which can be read by a computer processor (CPU). It may include a code (Code).

이러한 코드는 전술한 기능들을 정의한 함수 등과 관련된 기능적인 코드(Function Code)를 포함할 수 있고, 전술한 기능들을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소정의 절차대로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실행 절차 관련 제어 코드를 포함할 수도 있다. The code may include a function code related to a function or the like that defines the functions described above and may include an execution procedure related control code necessary for the processor of the computer to execute the function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rocedure.

또한, 이러한 코드는 전술한 기능들을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추가 정보나 미디어가 컴퓨터의 내부 또는 외부 메모리의 어느 위치(주소 번지)에서 참조 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메모리 참조 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such code may further include memory reference related code as to what additional information or media needed to cause the processor of the computer to execute the aforementioned functions should be referenced at any location (address) of the internal or external memory of the computer .

또한,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전술한 기능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원격(Remote)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통신이 필요한 경우, 코드는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컴퓨터의 통신 모듈(예: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원격(Remote)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어떻게 통신해야만 하는지, 통신 시 어떠한 정보나 미디어를 송수신해야 하는지 등에 대한 통신 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when a processor of a computer needs to communicate with any other computer or server, etc., to perform the above-described functions, the code may be stored in a computer's communication module (e.g., a wired and / ) May be used to further include communication related codes such as how to communicate with any other computer or server in the remote, and what information or media should be transmitted or received during communication.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과 이와 관련된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 등은, 기록매체를 읽어서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컴퓨터의 시스템 환경 등을 고려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되거나 변경될 수도 있다.The functional program for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related code and code segment may be implemented by programmers of the technical field of the present invention in consideration of the system environment of the computer that reads the recording medium and executes the program, Or may be easily modified or modified by the user.

이상에서 전술한 바와 같은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힐 수 있는 기록매체는, 일 예로,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미디어 저장장치 등이 있다. Examples of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on which the above-described program is recorded include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optical media storage, and the like.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힐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커넥션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 경우, 다수의 분산된 컴퓨터 중 어느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는 상기에 제시된 기능들 중 일부를 실행하고, 그 결과를 다른 분산된 컴퓨터들 중 적어도 하나에 그 실행 결과를 전송할 수 있으며, 그 결과를 전송받은 컴퓨터 역시 상기에 제시된 기능들 중 일부를 실행하여, 그 결과를 역시 다른 분산된 컴퓨터들에 제공할 수 있다.Also,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on which the above-described program is recorded may be distributed to a computer system connected via a network so that computer-readable codes can be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In this case, any of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distributed computers may execute some of the functions presented above and transmit the result of the execution to at least one of the other distributed computers, and transmit the result The receiving computer may also perform some of the functions described above and provide the results to other distributed computers as well.

특히,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웹페이지의 문서 처리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인 애플리케이션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Application Store Server),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Application Provider Server)에 포함된 저장매체(예: 하드디스크 등)이거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 그 자체일 수도 있다.In particular,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recording an application, which is a program for executing a document processing method of a web p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pplication store server, an application, or a web associated with a corresponding service. It may be a storage medium (eg, a hard disk, etc.) included in an application provider server such as a server, or the application providing server itself.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웹페이지의 문서 처리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인 애플리케이션을 기록한 기록매체를 읽을 수 있는 컴퓨터는, 일반적인 데스크 탑이나 노트북 등의 일반 PC 뿐만 아니라, 스마트 폰, 태블릿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및 이동통신 단말기 등의 모바일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뿐만 아니라, 컴퓨팅(Computing) 가능한 모든 기기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The computer which can read the recording medium which recorded the application which is the program for executing the document processing method of the web page which concerns on each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not only general PCs, such as a desktop or a notebook, but also a smart phone, a tablet PC, It may include mobile terminals such as PDAs (Personal Digital Assistants)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s well as to be interpreted as all computing devices.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웹페이지의 문서 처리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인 애플리케이션을 기록한 기록매체를 읽을 수 있는 컴퓨터가 스마트 폰, 태블릿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및 이동통신 단말기 등의 모바일 단말기인 경우, 애플리케이션은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에서 일반 PC로 다운로드 되어 동기화 프로그램을 통해 모바일 단말기에 설치될 수도 있다.In addition, a computer capable of reading a recording medium recording an application, which is a program for executing a document processing method of a web p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smart phone, a tablet PC,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r the like. In the case of a mobile terminal, the application may be downloaded from the application providing server to a general PC and installed on the mobile terminal through a synchronization program.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적어도 하나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저장매체로서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the most practical and preferred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That i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of the components may be selectively coupled to at least one. In addition, although all of the components may be implemented as one independent hardware, some or all of the components may be selectively combined to perform a part or all of the functions in one or a plurality of hardware. As shown in FIG. Codes and code segments constituting the computer program may be easily inferr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Such a computer program can be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readable and executed by a computer, thereby realiz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storage medium of the computer program, a magnetic recording medium, an optical recording medium, or the like can be included.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he terms such as " comprises, "" comprising," or "having ", as used herein, mean that a component can be implanted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But should be construed as including other elements.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Commonly used terms, such as predefined terms, should be interpreted to be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s of the related art, and are not to be construed as ideal or overly formal, unless expressly defined to the contrary.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foregoing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illustrate rather than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22)

웹페이지의 문서 처리 장치가, 본문을 포함하는 문서가 표시되는 웹페이지를 단말의 표시부에 출력 시, 상기 표시부에상기 본문에 대응하는 내용을 표시하도록 하는 입력이 가능한 메뉴로서, 본문 선택 메뉴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본문 선택 메뉴에 대한 상기 단말의 입력수단으로부터의 선택 입력 수신 시,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상기 본문을 상기 웹페이지로부터 추출하는 단계;
상기 본문에 대응하는 내용을 본문 화면에 표시 시, 상기 본문을 표시하는 형식에 대해 상기 단말에 기 저장된 설정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 정보를 상기 본문에 적용한 상기 본문 화면을 상기 표시부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웹페이지를 상기 표시부에 출력 시, 상기 설정 정보를 설정할 수 있는 메뉴로서 설정 메뉴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입력수단으로부터 상기 설정 메뉴에 대한 선택 입력 수신 시, 상기 본문이 상기 본문 화면에 표시될 때의 상기 본문의 글자꼴, 상기 본문의 글자 크기 및 상기 본문이 표시되는 배경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설정 정보에 대한 입력이 가능한 복수의 메뉴가 포함되어 있으며, 상기 단말의 입력에 의해 기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본문 화면에 대한 리스트를 포함하는 설정창을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창에 대한 상기 단말로부터의 입력에 대응하는 설정 정보를 상기 단말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페이지의 문서 처리 방법.
When the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of a web page outputs a web page on which a document including a text is displayed on a display unit of a terminal, an input menu is provided to display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text on the display unit, and outputs a text selection menu. Making;
Extracting the body from the web page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riterion upon receiving a selection input from the input means of the terminal for the body selection menu;
Extracting setting information previously stored in the terminal in a format of displaying the text when the contents corresponding to the text are displayed on the text screen; And
Outputting the main body screen applying the setting information to the main body to the display unit;
Outputting a setting menu as a menu for setting the setting information when the web pag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When receiving a selection input for the setting menu from the input means, at least one of the font of the text when the text is displayed on the text screen, the font size of the text and the background image on which the text is displayed. Outputting a setting window including a plurality of menus capable of inputting the setting information, the setting window including a list of at least one body screen previously stored by an input of the terminal; And
And storing the sett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nput from the terminal to the setting window in the terminal.
청구항 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2 has been abandoned due to the setting registration fe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정보는,
상기 본문에 대응하는 내용이 상기 본문 화면에 표시될 때, 상기 본문의 글자꼴, 상기 본문의 글자 크기 및 상기 본문이 표시되는 배경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설정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페이지의 문서 처리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setting information includes:
When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main text is displayed on the main screen, the document processing of the web page, characterized in that the setting information for at least one of the font of the main text, the text size of the main text, and the background image is displayed. Way.
청구항 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3 has been abandoned due to the setting registration fe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기 저장된 설정 정보에 대한 입력 내역이 미존재하는 경우, 상기 장치에 기설정된 디폴트 설정 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페이지의 문서 처리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Extracting the setting information,
And if the input history of the previously stored setting information does not exist, extracting the default setting information preset in the device.
청구항 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4 has been abandoned due to the setting registration fe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문 화면을 표시부에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추출된 본문을 상기 단말에서 편집 및 복사가 가능한 포맷으로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변경된 본문에 상기 추출된 설정 정보를 적용하여 완성된 상기 본문 화면을 상기 표시부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페이지의 문서 처리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outputting of the main screen on the display unit may include:
Changing the extracted body into a format that can be edited and copied in the terminal; And
And outputting the body screen completed by applying the extracted setting information to the changed text to the display unit.
청구항 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5 was abandoned upon payment of a set-up fe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문을 상기 웹페이지로부터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본문 선택 메뉴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 시, 상기 웹페이지에 표시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각각에 대한 태그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태그 정보들 중, 단일 태그 정보에 대응하는 텍스트에 포함된 단어 수가 기설정된 단어수를 초과하는 태그 정보에 대응하는 텍스트를 본문으로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페이지의 문서 처리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Extracting the text from the web page,
Extracting tag information for each of at least one content displayed on the web page when receiving a selection input for the body selection menu; And
Extracting the text corresponding to the tag information whose number of words included in the text corresponding to the single tag information exceeds the preset number of words from the extracted tag information into a body; How documents are processed.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웹페이지의 문서 처리 장치가, 본문을 포함하는 문서가 표시되는 웹페이지를 단말의 표시부에 출력 시, 상기 표시부에 상기 본문에 대응하는 내용을 표시하도록 하는 입력이 가능한 메뉴로서, 본문 선택 메뉴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본문 선택 메뉴에 대한 상기 단말의 입력수단으로부터의 선택 입력 수신 시,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추출된 본문을 포함하는 본문 화면을 상기 표시부에 출력하는 단계;
상기 본문 화면에, 상기 본문 화면에 포함된 상기 본문의 내용을 편집할 수 있는 메뉴로서, 편집 메뉴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본문 화면에, 상기 본문 화면에 포함된 상기 본문의 내용을 복사하여 저장할 수 있는 메뉴로서, 저장 메뉴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편집 메뉴에 대한 상기 입력수단으로부터의 선택 입력 수신 시, 상기 본문의 내용을 상기 입력수단을 이용하여 편집할 수 있는 창으로서 편집창을 상기 표시부에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저장 메뉴에 대한 상기 입력수단으로부터의 선택입력 수신 시, 상기 본문의 화면을 복사하여 상기 단말의 저장 공간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페이지의 문서 처리 방법.
When the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of a web page outputs a web page on which a document including a text is displayed on a display unit of a terminal, an input menu is provided to display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text on the display unit, and outputs a text selection menu. Making;
Outputting, on the display unit, a body screen including a body extract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riterion when receiving a selection input from the input means of the terminal for the body selection menu;
Outputting an edit menu on the body screen, the menu capable of editing contents of the body included in the body screen;
A menu for copying and storing contents of the body included in the body screen on the body screen, outputting a storage menu;
Outputting an edit window to the display unit as a window through which the contents of the text can be edited using the input means upon receiving a selection input from the input means for the edit menu; And
And receiving a selection input from the input means for the storage menu, copying the screen of the main body and storing the screen of the text in a storage space of the terminal.
청구항 1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10 has been abandoned due to the setting registration fe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편집창에 대한 상기 입력수단으로부터의 입력에 의해 편집된 상기 본문의 내용을 반영하여 생성된 상기 본문의 화면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페이지의 문서 처리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storing step comprises:
And storing the screen of the text generated by reflecting the content of the text edited by the input from the input means for the editing window.
청구항 1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11 was abandoned when the registration fee was paid.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본문의 화면은,
상기 단말에 기 저장된 설정 정보에 따라서 표시 형식이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페이지의 문서 처리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screen of the text,
And the display format is different according to the setting information previously stored in the terminal.
청구항 1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12 is abandoned in setting registration fe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정보는,
상기 본문에 대응하는 내용이 상기 본문 화면에 표시될 때, 상기 본문의 글자꼴, 상기 본문의 글자 크기 및 상기 본문이 표시되는 배경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설정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페이지의 문서 처리 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setting information includes:
When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main text is displayed on the main screen, the document processing of the web page, characterized in that the setting information for at least one of the font of the main text, the text size of the main text, and the background image is displayed. Way.
청구항 1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13 has been abandoned due to the set registration fe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본문 화면을 상기 표시부에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추출된 본문을 상기 단말에서 편집 및 복사가 가능한 포맷으로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변경된 본문에 상기 추출된 설정 정보를 적용하여 완성된 상기 본문 화면을 상기 표시부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페이지의 문서 처리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outputting of the main screen on the display unit may include:
Changing the extracted body into a format that can be edited and copied in the terminal; And
And outputting the body screen completed by applying the extracted setting information to the changed text to the display unit.
청구항 1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14 has been abandoned due to the setting registration fee.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창을 상기 표시부에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본문 화면에 표시된 본문에, 상기 편집창에 의해 편집된 문자를 지시하는 지시 수단을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본문에 대한 편집 입력이 가능한 창으로서, 문자 입력 창을 상기 편집창으로 선택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페이지의문서 처리 방법.
The method of claim 13,
The outputting of the edit window to the display unit may include:
Outputting instructing means for indicating a character edited by said edit window in a text displayed on said text screen; And
And a window capable of editing input of the text, and selecting and outputting a text input window as the editing window.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창을 상기 표시부에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편집 메뉴에 대한 상기 선택 입력 수신 시, 상기 본문의 내용을 편집 가능한 텍스트 포맷으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변환된 본문의 내용에 대한 편집 입력을 위한 문자 입력창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변환된 본문의 내용과 상기 문자 입력 창을 결합하여 생성된 상기 편집창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페이지의 문서 처리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outputting of the edit window to the display unit may include:
Converting the contents of the body into an editable text format upon receiving the selection input for the editing menu;
Selecting a text input window for editing input on the content of the converted text; And
And outputting the edit window generated by combining the converted body content and the text input window.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창이 상기 표시부에 출력되는 것을 감지 시, 상기 편집 메뉴를 복귀 메뉴로 토글하는 단계;
상기 복귀 메뉴 선택 시, 상기 본문 화면으로 전환하는 단계; 및
상기 본문 화면으로 전환 시, 상기 복귀 메뉴를 상기 편집 메뉴로 토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페이지의 문서 처리 방법.
16. The method of claim 15,
Toggling the edit menu to a return menu when detecting that the edit window is output to the display unit;
Switching to the main screen when the return menu is selected; And
Toggling the return menu to the editing menu when switching to the main screen, the document processing method of the web page further comprising.
본문을 포함하는 문서가 표시되는 웹페이지를 단말의 표시부에 출력 시, 상기 표시부에 상기 본문에 대응하는 내용을 표시하도록 하는 입력이 가능한 메뉴로서, 본문 선택 메뉴를 출력하고, 상기 본문 선택 메뉴에 대한 단말의 입력수단으로부터의 선택 입력을 수신하는 본문 선택 수신부;
상기 본문 선택 메뉴에 대한 단말의 입력수단으로부터의 선택 입력을 수신 시,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상기 본문을 상기 웹페이지로부터 추출하는 본문 추출부;
상기 웹페이지를 상기 표시부에 출력 시, 상기 본문을 표시하는 형식에 대한 설정 정보를 설정할 수 있는 메뉴로서 설정 메뉴를 출력하고, 상기 입력수단으로부터 상기 설정 메뉴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 시, 상기 본문의 글자 크기 및 상기 본문이 표시되는 배경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설정 정보에 대한 입력이 가능한 복수의 메뉴가 포함되어 있으며, 상기 단말의 입력에 의해 기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본문 화면에 대한 리스트를 포함하는 설정창을 출력하고, 상기 설정창을 통한 상기 단말로부터의 입력을 수신하는 설정 입력 수신부;
상기 설정창에 대한 상기 단말로부터의 입력에 대응하는 설정 정보를 저장하는 설정 정보 저장부; 및
상기 본문에 대응하는 내용을 본문 화면에 표시 시, 상기 설정 정보 저장부에 기 저장된 상기 설정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본문에 적용한 본문 화면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본문 화면을 상기 표시부에 출력하는 본문 화면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페이지의 문서 처리 장치.
When a web page displaying a document including a text is displayed on a display of a terminal, an input menu for displaying a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text on the display is provided, and a text selection menu is output. A text selection receiver which receives a selection input from an input means of a terminal;
A body extracting unit configured to extract the body from the web page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riterion when receiving a selection input from an input means of the terminal for the body selection menu;
Outputting a setting menu as a menu for setting setting information on a format for displaying the text when outputting the web page to the display, and receiving a selection input for the setting menu from the input means; A list of at least one body screen pre-stored by the input of the terminal includes a plurality of menus for inputting the setting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font size and background image on which the body is displayed. A setting input receiving unit outputting a setting window including a setting unit and receiving an input from the terminal through the setting window;
A setting information storage unit which stores sett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n input from the terminal to the setting window; And
When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main body is displayed on the main body screen, the main body screen extracts the setting information previously stored in the setting information storage unit, generates a main body screen applied to the main body, and outputs the generated main body screen to the display unit. Providing unit; Web page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comprising a.
청구항 1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18 has been abandoned due to the setting registration fee.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정보는,
상기 본문에 대응하는 내용이 상기 본문 화면에 표시될 때, 상기 본문의 글자꼴, 상기 본문의 글자 크기 및 상기 본문이 표시되는 배경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설정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페이지의 문서 처리 장치.
18. The method of claim 17,
The setting information includes:
When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main text is displayed on the main screen, the document processing of the web page, characterized in that the setting information for at least one of the font of the main text, the text size of the main text, and the background image is displayed. Device.
청구항 1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19 is abandoned in setting registration fee.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본문 화면 제공부는,
상기 추출된 본문을 상기 단말에서 편집 및 복사가 가능한 포맷으로 변경하고, 상기 변경된 본문에 상기 추출된 설정 정보를 적용하여 완성된 상기 본문 화면을 상기 표시부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페이지의 문서 처리 장치.
18. The method of claim 17,
The body screen providing unit,
Changing the extracted body into a format that can be edited and copied in the terminal, and outputs the body screen completed by applying the extracted setting information to the changed body to the display unit, the document processing of the web page Device.
본문을 포함하는 문서가 표시되는 웹페이지를 단말의 표시부에 출력 시, 상기 표시부에 상기 본문에 대응하는 내용을 표시하도록 하는 입력이 가능한 메뉴로서, 본문 선택 메뉴를 출력하고, 상기 본문 선택 메뉴에 대한 단말의 입력수단으로부터의 선택 입력을 수신하는 본문 선택 수신부;
상기 본문 선택 메뉴에 대한 단말의 입력수단으로부터의 선택 입력을 수신 시,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상기 본문을 상기 웹페이지로부터 추출하는 본문 추출부;
상기 본문에 대응하는 내용을 본문 화면에 표시 시, 상기 본문을 표시하는 형식에 대해 설정 입력 수신부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설정 정보 저장부에 기 저장된, 설정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본문에 적용한 본문 화면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본문 화면을 상기 표시부에 출력하는 본문 화면 제공부;
상기 본문 화면에, 상기 본문 화면에 포함된 상기 본문의 내용을 편집할 수 있는 메뉴로서, 편집 메뉴를 출력하고,상기 편집 메뉴에 대한 상기 입력수단으로부터의 선택 입력을 수신하는 편집 명령 수신부;
상기 본문 화면에, 상기 본문 화면에 포함된 상기 본문의 내용을 복사하여 저장할 수 있는 메뉴로서, 저장 메뉴를 출력하고, 상기 저장 메뉴에 대한 상기 입력수단으로부터의 선택입력을 수신하는 저장 명령 수신부;
상기 편집 메뉴에 대한 상기 입력수단으로부터의 선택 입력 수신 시, 상기 본문의 내용을 상기 입력수단을 이용하여 편집할 수 있는 창으로서 편집창을 상기 표시부에 출력하고, 상기 편집창에 대한 상기 입력수단으로부터의 편집 입력을 수신하는 편집 제어부; 및
상기 저장 메뉴에 대한 상기 입력수단으로부터의 선택 입력 수신 시, 상기 본문의 화면을 복사하여 상기 단말의 저장 공간에 저장하는 스크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페이지의 문서 처리 장치.
When a web page displaying a document including a text is displayed on a display of a terminal, an input menu for displaying a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text on the display is provided, and a text selection menu is output. A text selection receiver which receives a selection input from an input means of a terminal;
A body extracting unit configured to extract the body from the web page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riterion when receiving a selection input from an input means of the terminal for the body selection menu;
When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main body is displayed on the main body screen, the main body screen which is extracted from the setting information stored in the setting information storage unit and applied to the main body by the user's input to the setting input receiving unit for the format of displaying the main body. A text screen providing unit for generating a text and outputting the generated text screen to the display unit;
An edit command receiving unit configured to edit a content of the main text included in the main text screen on the main screen, outputting an edit menu, and receiving a selection input from the input means for the edit menu;
A menu for copying and storing contents of the body included in the body screen on the body screen, the storage command receiving unit outputting a storage menu and receiving a selection input from the input means for the storage menu;
Upon receiving a selection input from the input means for the editing menu, outputting an edit window to the display unit as a window in which the contents of the text can be edited using the input means, and from the input means for the edit window. An editing control unit for receiving an editing input of the; And
And a scrap unit for copying the screen of the main body and storing the screen of the main body in a storage space of the terminal when receiving a selection input from the input means for the storage menu.
청구항 2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21 has been abandoned due to the setting registration fee. 웹페이지의 문서 처리 장치가, 본문을 포함하는 문서가 표시되는 웹페이지를 단말의 표시부에 출력 시, 상기 표시부에상기 본문에 대응하는 내용을 표시하도록 하는 입력이 가능한 메뉴로서, 본문 선택 메뉴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본문 선택 메뉴에 대한 상기 단말의 입력수단으로부터의 선택 입력 수신 시,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상기 본문을 상기 웹페이지로부터 추출하는 단계;
상기 본문에 대응하는 내용을 본문 화면에 표시 시, 상기 본문을 표시하는 형식에 대해 상기 단말에 기 저장된 설정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 정보를 상기 본문에 적용한 상기 본문 화면을 상기 표시부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웹페이지를 상기 표시부에 출력 시, 상기 설정 정보를 설정할 수 있는 메뉴로서 설정 메뉴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입력수단으로부터 상기 설정 메뉴에 대한 선택 입력 수신 시, 상기 본문이 상기 본문 화면에 표시될 때의 상기 본문의 글자꼴, 상기 본문의 글자 크기 및 상기 본문이 표시되는 배경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설정 정보에 대한 입력이 가능한 복수의 메뉴가 포함되어 있으며, 상기 단말의 입력에 의해 기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본문 화면에 대한 리스트를 포함하는 설정창을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창에 대한 상기 단말로부터의 입력에 대응하는 설정 정보를 상기 단말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페이지의 문서 처리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When the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of a web page outputs a web page on which a document including a text is displayed on a display unit of the terminal, an input menu for displaying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text on the display unit, and outputs a text selection menu. Making;
Extracting the body from the web page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riterion upon receiving a selection input from the input means of the terminal for the body selection menu;
Extracting setting information previously stored in the terminal in a format of displaying the text when the contents corresponding to the text are displayed on the text screen; And
Outputting the main body screen applying the setting information to the main body to the display unit;
Outputting a setting menu as a menu for setting the setting information when the web pag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When receiving a selection input for the setting menu from the input means, at least one of the font of the text when the text is displayed on the text screen, the font size of the text and the background image on which the text is displayed. Outputting a setting window including a plurality of menus capable of inputting the setting information and including a list of at least one body screen previously stored by an input of the terminal; And
And storing the sett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nput from the terminal to the setting window in the terminal.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in which the program for implementing the document processing method of the web page is recorded. media.
웹페이지의 문서 처리 장치가, 본문을 포함하는 문서가 표시되는 웹페이지를 단말의 표시부에 출력 시, 상기 표시부에 상기 본문에 대응하는 내용을 표시하도록 하는 입력이 가능한 메뉴로서, 본문 선택 메뉴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본문 선택 메뉴에 대한 상기 단말의 입력수단으로부터의 선택 입력 수신 시,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추출된 본문을 포함하는 본문 화면을 상기 표시부에 출력하는 단계;
상기 본문 화면에, 상기 본문 화면에 포함된 상기 본문의 내용을 편집할 수 있는 메뉴로서, 편집 메뉴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본문 화면에, 상기 본문 화면에 포함된 상기 본문의 내용을 복사하여 저장할 수 있는 메뉴로서, 저장 메뉴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편집 메뉴에 대한 상기 입력수단으로부터의 선택 입력 수신 시, 상기 본문의 내용을 상기 입력수단을 이용하여 편집할 수 있는 창으로서 편집창을 상기 표시부에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저장 메뉴에 대한 상기 입력수단으로부터의 선택 입력 수신 시, 상기 본문의 화면을 복사하여 상기 단말의 저장 공간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페이지의 문서 처리 방법을 구현하기 위함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When the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of a web page outputs a web page on which a document including a text is displayed on a display unit of a terminal, an input menu is provided to display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text on the display unit, and outputs a text selection menu. Making;
Outputting, on the display unit, a body screen including a body extract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riterion when receiving a selection input from the input means of the terminal for the body selection menu;
Outputting an edit menu on the body screen, the menu capable of editing contents of the body included in the body screen;
A menu for copying and storing contents of the body included in the body screen on the body screen, outputting a storage menu;
Outputting an edit window to the display unit as a window through which the contents of the text can be edited using the input means upon receiving a selection input from the input means for the edit menu; And
Receiving a selection input from the input means for the storage menu, copying the screen of the body and storing in the storage space of the terminal; Program for implementing a document processing method of a web page comprising a This recorde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KR1020110145918A 2011-12-29 2011-12-29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document of web page KR101337982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5918A KR101337982B1 (en) 2011-12-29 2011-12-29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document of web page
PCT/KR2012/010128 WO2013100398A1 (en) 2011-12-29 2012-11-28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document in a webpa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5918A KR101337982B1 (en) 2011-12-29 2011-12-29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document of web pag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7289A KR20130077289A (en) 2013-07-09
KR101337982B1 true KR101337982B1 (en) 2013-12-06

Family

ID=48697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5918A KR101337982B1 (en) 2011-12-29 2011-12-29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document of web pag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337982B1 (en)
WO (1) WO2013100398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7125B1 (en) * 2018-02-02 2020-04-06 네이버 주식회사 Method for clipping web page and terminal device using the sam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35919A (en) * 2008-09-29 2010-04-07 (주) 엘지텔레콤 Potable device and web page display method thereof
JP2010191739A (en) * 2009-02-19 2010-09-02 Fujitsu Ltd Document display device, document display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8224A (en) * 2003-11-19 2005-05-24 주식회사 삼보컴퓨터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ustomized web page
KR20080047695A (en) * 2006-11-27 2008-05-30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displaying a web page and mobile communication device of using the same
KR100869885B1 (en) * 2007-11-13 2008-11-24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Wireless internet service system for browsing web page of mobile terminal and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35919A (en) * 2008-09-29 2010-04-07 (주) 엘지텔레콤 Potable device and web page display method thereof
JP2010191739A (en) * 2009-02-19 2010-09-02 Fujitsu Ltd Document display device, document display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7289A (en) 2013-07-09
WO2013100398A1 (en) 2013-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56725B2 (en) Method, device,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roviding context-aware help content
US20110252302A1 (en) Fitting network content onto a reduced-size screen
US8230334B2 (en) Webpage presentation method for mobile phone
CN102693280A (en) Webpage browsing method, WebApp framework, method and device for executing JavaScript, and mobile terminal
JP2021512415A (en) Backdrop rendering of digital components
CN105359131B (en) Tie selection handle
JP2006216045A (en) Method for processing user interfac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1301501B1 (en) Electronic book system, method, and recording medium for providing electronic book user interface
CN112328140B (en) Image input method, device, equipment and medium thereof
CN108052212A (en) A kind of method, terminal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inputting word
KR10133798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document of web page
KR10078426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ssage sending using clip-board
CN114253536A (en) Calling method of interface design component, terminal device and readable storage medium
CN104471533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e-book in terminal
US20160147741A1 (en) Techniques for providing a user interface incorporating sign language
CN110795050A (en) Webpage printing method and device
CN112230913A (en)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of rich text content,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equipment
US11379099B2 (en) Method and device for selecting text in electronic terminal
KR101469882B1 (en) Mobile Reading Service System and Method Using Virtual Printer
KR20120018564A (en) E-book device and method for printing contents thereof
KR20150132712A (en) Remind contents providing method using unused advertising inventory, apparatus and system therefor
KR101054263B1 (en) How to provide mobile site
KR102389958B1 (en) Method for Posting Selected Area
KR20190100086A (en) Dynamic logo displayy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KR20190043853A (en) System for managing webpage and ELEMENT XML memo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