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7724B1 - 어플리케이션별 데이터 사용량을 표시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어플리케이션별 데이터 사용량을 표시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7724B1
KR101337724B1 KR1020100135729A KR20100135729A KR101337724B1 KR 101337724 B1 KR101337724 B1 KR 101337724B1 KR 1020100135729 A KR1020100135729 A KR 1020100135729A KR 20100135729 A KR20100135729 A KR 20100135729A KR 101337724 B1 KR101337724 B1 KR 1013377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application
usage
mobile terminal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57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73840A (ko
Inventor
유정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1001357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7724B1/ko
Priority to US13/251,416 priority patent/US9426039B2/en
Priority to EP11187610.8A priority patent/EP2469754B1/en
Priority to JP2011274921A priority patent/JP5244959B2/ja
Publication of KR201200738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38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77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7724B1/ko
Priority to US15/243,594 priority patent/US10250398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4Charging, meter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data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 H04L12/1432Metric asp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50Network service management, e.g. ensuring proper service fulfilment according to agreements
    • H04L41/5003Managing SLA; Interaction between SLA and QoS
    • H04L41/5019Ensuring fulfilment of SLA
    • H04L41/5025Ensuring fulfilment of SLA by proactively reacting to service quality change, e.g. by reconfiguration after service quality degradation or upgrad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5Integrating or interfacing systems involving database management systems
    • G06F16/254Extract, transform and load [ETL] procedures, e.g. ETL data flows in data warehou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4Charging, meter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data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 H04L12/141Indication of costs
    • H04L12/1414Indication of costs in real-time
    • H04L12/1417Advice of charge with threshold, e.g. user indicating maximum co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4Charging, meter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data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 H04L12/1432Metric aspects
    • H04L12/1435Metric aspects volume-bas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14Session management
    • H04L67/146Markers for unambiguous identification of a particular session, e.g. session cookie or URL-en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6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to restrict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5/00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 H04M15/58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based on statistics of usage or network monito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11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 H04W36/0022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for transferring data sessions between adjacent core network technolog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24Accounting or bi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robability & Statistics with Application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Debugging And Monito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플리케이션별 데이터 사용량을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를 제어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통신사측 서버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와, 통신부에 데이터 통신 접속 요청 및 데이터 통신 접속 해제 요청을 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인식하는 인식부와, 통신부를 통하여 통신사측 서버와 송수신되는 데이터의 사용량을 연산하는 연산부와, 인식부에서 인식된 어플리케이션의 데이터 사용량을 연산부를 통하여 연산하고, 어플리케이션별 데이터 사용량에 따라 이동 단말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어플리케이션별 데이터 사용량을 표시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MOBILE TERMINAL DISPLAYING THE AMOUNT OF USING DATA FOR EACH APPLICATION AND CONTROL METHOD THERE OF}
본 발명은 어플리케이션별 데이터 사용량을 이용하여 단말기를 제어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무선 네트워크 기술과 제반 인프라가 급속히 발전함에 따라, 사람들은 스마트폰, 노트북, PDA 등의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언제 어디서라도 원하는 데이터를 얻을 수 있게 되었다. 특히, 스마트폰의 경우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해서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는 3G 또는 와이파이(Wifi)를 이용할 수 있다. 와이파이의 경우에는 데이터를 아무리 사용하여도 과금이 되지 않지만, 3G의 경우 사용자가 이용하는 양에 따라서 요금이 부과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에게 3G 데이터 사용으로 인한 데이터 사용량, 과금 정보를 알려주는 어플리케이션 또한 등장하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어플리케이션은 어플리케이션을 직접 실행하면 통신사 서버에 접속해, 3G 사용량 및 과금 정보를 표시하거나, 위젯 형식을 통해서 미리 설정된 업데이트 주기시마다 3G 사용량 및 과금 정보를 표시한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어플리케이션들은 3G 전제 사용량만을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사용자는 구체적으로 어떤 어플리케이션이 얼마만큼의 데이터를 사용했는지를 알 수가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어플리케이션별 데이터 사용량을 연산하고, 연산된 어플리케이션별 데이터 사용량을 기초로 3G 접속 설정, 데이터 사용량 표시 등의 제어를 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시하고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통신사측 서버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에 데이터 통신 접속 요청 및 데이터 통신 접속 해제 요청을 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인식하는 인식부;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통신사측 서버와 송수신되는 데이터의 사용량을 연산하는 연산부; 및 상기 인식부에서 인식된 어플리케이션의 데이터 사용량을 상기 연산부를 통하여 연산하고, 어플리케이션별 데이터 사용량에 따라 이동 단말기를 제어하되, 각 어플리케이션의 데이터 사용량의 동기 데이터, 필수 데이터 및 광고 데이터 중 하나 이상의 사용량을 연산하여서 어플리케이션별 사용 데이터 특성을 분석하고, 상기 분석된 사용 데이터 특성에 따라 상기 이동 단말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때, 데이터 통신은 3G 또는 4G 이동통신규격인 WCDMA, HSDPA, CDMA2000, Wibro, WiMax, LTE, LTE-Advanced 중 하나일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가 어플리케이션별 데이터 사용량에 따라 이동 단말기를 제어하는 것은, 상기 어플리케이션별 데이터 사용량을 표시부를 통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통신사측 서버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에 데이터 통신 접속 요청 및 데이터 통신 접속 해제 요청을 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인식하는 인식부;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통신사측 서버와 송수신되는 데이터의 사용량을 연산하는 연산부; 및 상기 인식부에서 인식된 어플리케이션의 데이터 사용량을 상기 연산부를 통하여 연산하고, 어플리케이션별 데이터 사용량에 따라 이동 단말기를 제어하되, 데이터 사용량이 미리 설정된 어플리케이션별로 허용할 수 있는 데이터 사용 최대값을 넘으면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통신사측 서버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차단시키거나, 이동 단말기를 와이파이로 접속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상기 제어부는 일정한 시간마다 사용하는 패킷 또는 백그라운드(background) 사용 패킷은 동기 데이터로 판단할 수 있으며, 포어그라운드(foreground) 사용 패킷은 필수 데이터로 판단할 수 있으며, 사용 패킷의 URL 정보 또는 파일 형식 정보를 미리 설정된 데이터베이스로 필터링함으로써 광고 데이터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어플리케이션 데이터 사용량 중 광고 데이터 사용량의 비율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인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광고 데이터를 많이 사용하는 광고성 어플리케이션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고성 어플리케이션의 통신사측 서버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차단시키거나, 상기 광고성 어플리케이션에 해당하는 어플리케이션을 광고성 블랙리스트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고성 블랙리스트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 구동 시에 경고 메시지 및 데이터 통신 접속 및 해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팝업창을 표시부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두 개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이 동시에 데이터 통신 접속 요청을 하는 경우, 상기 광고성 블랙리스트에 포함되지 않는 어플리케이션을 우선적으로 데이터 통신에 접속시키고, 상기 광고성 블랙리스트에 포함되는 어플리케이션은 광고 데이터의 사용량이 적은 순으로 데이터 통신에 접속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부의 부하량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높은 경우에 상기 광고성 블랙리스트에 포함되는 어플리케이션의 데이터 통신 접속을 차단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데이터 통신에 대한 비과금 어플리케이션의 데이터 사용량은 상기 연산부를 통하여 연산되는 상기 어플리케이션별 데이터 사용량에서 제외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은, 통신사측 서버로의 데이터 통신 접속 요청을 감지하는 단계; 통신사측 서버로의 데이터 통신 접속을 요청한 어플리케이션을 인식하는 단계; 상기 인식된 어플리케이션별 데이터 사용량을 연산하는 단계; 및 상기 연산된 어플리케이션별 데이터 사용량에 따라 이동 단말기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연산된 어플리케이션별 데이터 사용량에 따라 상기 이동 단말기를 제어하는 단계는, 각 어플리케이션의 데이터 사용량의 동기 데이터, 필수 데이터, 및 광고 데이터 중 하나 이상의 사용량을 연산하여서 어플리케이션별 사용 데이터 특성을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분석된 사용 데이터 특성에 따라 상기 이동 단말기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은 통신사측 서버로의 데이터 통신 접속 해제를 요청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인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식된 어플리케이션별 데이터 사용량을 연산하는 단계는, 상기 인식된 어플리케이션의 데이터 통신 접속 요청시부터 데이터 통신 접속 해제 요청시까지의 데이터 사용량을 연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데이터 통신은 3G 또는 4G 이동통신규격인 WCDMA, HSDPA, CDMA2000, Wibro, WiMax, LTE, LTE-Advanced 중 하나 일 수 있으며, 상기 연산된 어플리케이션별 데이터 사용량에 따라 이동 단말기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어플리케이션별 데이터 사용량을 표시부를 통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은, 통신사측 서버로의 데이터 통신 접속 요청을 감지하는 단계; 통신사측 서버로의 데이터 통신 접속을 요청한 어플리케이션을 인식하는 단계; 상기 인식된 어플리케이션별 데이터 사용량을 연산하는 단계; 및 상기 연산된 어플리케이션별 데이터 사용량에 따라 이동 단말기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연산된 어플리케이션별 데이터 사용량에 따라 단말기를 제어하는 단계는, 데이터 사용량이 미리 설정된 어플리케이션별로 허용할 수 있는 데이터 사용 최대값을 넘으면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통신사측 서버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차단시키거나, 이동 단말기를 와이파이로 접속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삭제
또한, 상기 인식된 어플리케이션별 데이터 사용량을 연산하는 단계는, 데이터 통신에 대한 비과금 어플리케이션의 데이터 사용량은 상기 연산되는 어플리케이션별 데이터 사용량에서 제외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어플리케이션별 데이터 사용량을 사용자에게 표시하고, 그에 따라 각 어플리케이션의 데이터 통신 접속 및 차단을 하도록 함으로써 스마트폰과 같은 이동 단말기의 과금, 배터리 소모를 줄이는 데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별 데이터 사용량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이동 단말기 사용자가 각각의 어플리케이션을 보다 능동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표시부에 표시된 어플리케이션별 데이터 사용량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데이터 사용량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제어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광고성 어플리케이션 제어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첨부도면 및 이하의 설명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의 가능한 일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위 내용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는 통신부(12)와, 인식부(14)와, 연산부(16)와, 제어부(1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통신부(12)는 통신사측 서버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역할을 하며 내장 안테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인식부(14)는 통신부(12)에 데이터 통신 접속 요청 및 데이터 통신 접속 해제 요청을 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인식하는 역할을 한다. 즉, 인식부(14)는 단말기(10)가 통신사측 서버에 3G, 4G 등의 데이터 통신 접속 요청 또는 데이터 통신 접속 요청 해제를 하면, 상기 요청을 한 어플리케이션을 검출한다.
연산부(16)는 통신부(12)를 통하여 통신사측 서버와 송수신되는 데이터의 사용량을 연산하는 역할을 한다.
제어부(18)는 인식부(14)에서 인식된 어플리케이션의 데이터 통신 접속 요청시부터 데이터 통신 접속 해제 요청시까지의 데이터 사용량을 연산부(16)를 통하여 연산하고, 어플리케이션별 데이터 사용량에 따라 이동 단말기(10)를 제어하는 역할은 한다.
이때, 제어부(18)가 어플리케이션별 데이터 사용량에 따라 이동 단말기(10)를 제어하는 것은 여러가지가 있을 수 있는데,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이동 단말기(10)가 사용하는 데이터 통신망은 이동 통신망에 해당하는 3G 및 와이파이(Wifi)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즉, 각 어플리케이션 구동 시 사용하는 기본적인 데이터 통신망은 3G 이고, 와이파이는 3G를 사용할 수 없는 경우 등에 있어서 보조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기초로 한다.
물론,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이동통신망이 현재 사용되고 있는 3G 통신방식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이동통신망은 3G에 해당하는 WCDMA, HSDPA, CDMA2000, Wibro 중 하나일 수도 있지만, 4G 규격의 후보로 경쟁하고 있는 WiMax, LTE(Long Term Evoution), LTE-Advanced 중 하나가 될 수도 있다.
현재, ITU는 4G를 ⅰ) 최대 다운로드 속도가 100Mbps 이상이어야 하며, ⅱ) 완벽히 IP에 기반하여야 하며, ⅲ) 직교 주파수 다중분할(OFDM) 기술을 사용하는 이동통신방식으로 정의하고 있다. 앞으로, WiMax, LTE 등의 기술이 발전되어 4G의 표준 규격으로 채택될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이동통신망은 현재의 3G 통신방식은 물론 앞으로 채택될 4G 통신방식을 모두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는 사용자가 특정 어플리케이션 등을 구동하는 경우에 3G 접속 요청이 있는 경우 이를 감지한다(100). 이때, 제어부(18)는 통신부(12)를 통하여 통신사측 서버로 데이터 통신 접속을 요청한 어플리케이션을 인식한다(200).
이렇게 3G 접속을 요청한 어플리케이션이 인식되면, 제어부(18)는 이동 단말기(10)의 프레임워크(Framework)단에 패킷(packet) 정보가 수신되는 지를 감지하고, 연산부(16)를 통하여 각각의 어플리케이션별 패킷 사용량을 연산한다(300). 이때, 제어부(18)는 3G 접속이 종료될때까지의 어플리케이션별 패킷 사용량을 연산함으로써 어플리케이션별 패킷 사용량을 연산한다. 어플리케이션별 패킷 사용량이 연산되면, 제어부(18)는 연산된 어플리케이션별 3G 사용량을 기초로 이동 단말기(10)를 제어한다.(400)
이때, 이동 단말기(10)를 제어하는 것은 이동 단말기(10)에 구비된 표시부(미도시)에 어플리케이션별 3G 사용량를 표시하는 제어 등등 여러가지가 있을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표시부에 표시된 어플리케이션별 데이터 사용량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는 사용자에게 어플리케이션별 3G 사용량을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가 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거나, 이 어플리케이션의 위젯을 통하여 어플리케이션별 3G 사용량 및 과금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는 경우에는 실행할 때 통신사측 서버와 동기화(synchronizing)되어 그 때까지의 데이터 사용량 및 과금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위젯을 실행시킨 경우에는 미리 설정된 시간 마다 자동으로 통신사측 서버와 동기화되어 그 때까지의 데이터 사용량 및 과금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3에는 트위터, 이메일, 멜론, 인터넷 의 어플리케이션별 데이터 사용량이 막대 그래프 형식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원형의 그래프에 비율 정보로 데이터 사용량을 표시할 수도 있으며, 이와 더불어 각 어플리케이션별 과금 정보 또한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막대 그래프 형식, 원형 그래프 형식 등 그래프 형식을 설정할 수 있으며, 각 그래프에 표시되는 어플리케이션의 개수 및 순서 또한 사용자가 지정할 수 있다.
또한, 그래프에 표시되는 어플리케이션별 과금 정보의 기초가 되는 일정 데이터 사용량에 대한 과금 기준을 사용자가 설정하도록 할 수도 있으며(예를 들어 데이터 사용량 1KB 당 1원), 미리 데이터베이스화된 각종 요금제를 사용자가 선택함으로써, 각각의 요금제에 맞는 과금 정보를 그래프에 표시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어플리케이션 중에는 통신사측으로부터 과금이 되지 않는 비과금 어플리케이션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비과금 어플리케이션의 경우도 상기 데이터 사용량 및 과금 정보에 포함되게 되면 사용자는 정확한 과금 정보를 제공받지 못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10)는 3G 비과금 어플리케이션의 데이터 사용량은 연산되는 어플리케이션별 데이터 사용량에서 제외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과금 정보에서도 과금이 되는 어플리케이션의 데이터 사용량만이 반영될 수 있다.
물론,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서, 데이터 사용량은 비과금 어플리케이션 및 과금 어플리케이션의 사용량 정보를 모두 포함시키고, 과금 정보에는 과금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요금만 포함시키도록 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데이터 사용량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제어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로써, 도 2의 단말기 제어 단계(400)의 일예를 상세히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10)는 각 어플리케이션별 데이터 사용량을 연산하고 저장할 수 있으므로, 각 어플리케이션별로 허용될 수 있는 최대 데이터 사용값을 설정하고, 이 설정된 최대 데이터 사용값을 넘으면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3G 접속을 차단시키거나, 와이파이(Wifi)로의 접속을 유도할 수 있다.
즉, 도 4에서 볼 수 있듯이, 제어부(18)는 각 어플리케이션의 데이터 사용량이 미리 설정된 데이터 사용 최대값보다 더 큰지를 판단한다(410a). 이때, 데이터 사용량이 미리 설정된 데이터 사용 최대값보다 더 큰 어플리케이션이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3G 접속을 차단시킨다(420a).
이때, 제어부(18)는 현재 이동 단말기(10)가 위치한 지역이 와이파이(Wifi) 수신 가능 지역인지를 판단한다(430a). 만약, 와이파이 수신 가능 지역이면 이동 단말기(10)를 와이파이망에 접속시켜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한다(440a).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는 어플리케이션별 데이터 사용량만으로 위와 같은 제어를 할 수 있음은 물론, 각 어플리케이션이 사용하는 데이터의 특성에 따라서 단말기를 제어할 수도 있다.
즉, 각 어플리케이션이 사용하는 데이터에 통신사측 서버와 동기화를 수행하는 동기 데이터가 많이 포함되어 있는지,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라 송수신되는 필수 데이터가 많이 포함되어 있는지,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광고 데이터가 많이 포함되어 있는지 등의 사용 데이터 특성에 따라 이동 단말기(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이러한 사용 데이터 특성을 판단하기 위한 패킷 샘플은 다음과 같은 여러가지 방법으로 추출될 수 있다. 즉, 실시간으로 사용 패킷을 조사하고, 일정 간격으로 어플리케이션별 수신 패킷을 조사하여 저장해 놓고 3G 접속 요청 시 가장 최근에 조사한 패킷을 기준으로 사용 데이터 특성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인터넷 웹 브라우저 구동시와 같은 경우에는 화면이 전환될 때 마다 패킷을 분석하여 사용 데이터 특성을 판단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여러 가지 방법으로 패킷 샘플이 추출되면, 추출된 패킷 샘플을 기초로 동기 데이터, 필수 데이터, 광고 데이터의 비율을 참고하여 각 어플리케이션의 특성을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즉, 제어부(18)는 일정한 시간마다 사용하는 패킷 또는 백그라운드(background) 사용 패킷은 동기 데이터로 판단할 수 있으며, 포어그라운드(foreground) 사용 패킷은 필수 데이터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백그라운드 사용 패킷'은 사용자가 직접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필수 데이터를 받는 경우가 아닌 경우에 사용되는 데이터이다. 즉, 위젯과 같은 프로그램의 경우 미리 설정된 구간 마다 업데이트를 위하여 동기 데이터를 서버와 송수신하게 되는데 이러한 사실을 이용한 것이다.
반면, '포어그라운드 사용 패킷'은 사용자가 직접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그 어플리케이션의 컨텐츠와 관련된 데이터를 송수신 하는 경우의 데이터이다.
또한, 제어부(18)는 사용 패킷의 URL 정보 또는 파일 형식 정보를 미리 설정된 데이터베이스로 필터링함으로써 광고 데이터를 판단할 수 있다.
즉, 광고 데이터를 주고 받는 경우에는 URL 정보에 'ad'가 포함되어 있거나, 특정 태그 정보를 주로 이용하는 경우가 있고, 플래시 배너 파일과 같은 이미지 형식이 많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이러한 것들을 미리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여 놓고 필터링함으로써 광고 데이터를 판단할 수 있다.
이렇게 사용 데이터 특성이 판단되면, 사용 데이터 특성에 따라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특성이 결정되게 된다. 예를 들어 제어부(18)는 어플리케이션 데이터 사용량 중 광고 데이터 사용량의 비율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인 경우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광고 데이터를 많이 사용하는 광고성 어플리케이션으로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도 5를 참조하여 광고성 어플리케이션의 제어방법의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를 참조하면, 제어부(18)는 어플리케이션별 데이터 특성을 분석하고(410b),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광고성 어플리케이션인지를 판단한다(420b).
광고성 어플리케이션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3G 접속을 차단시키고,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광고성 블랙리스트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시킬 수 있다(430b).
도 5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이 외에도 제어부(18)는 광고성 블랙리스트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 구동 시에 경고 메시지 및 데이터 접속 및 해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팝업창을 표시부에 표시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8)는 두 개 이상의 어플이케이션이 동시에 데이터 통신 접속 요청을 하는 경우, 광고성 블랙리스트에 포함되지 않는 어플리케이션을 우선적으로 데이터 통신에 접속시키고, 광고성 블랙리스트에 포함되는 어플리케이션을 광고 데이터 사용량이 적은 순으로 데이터 통신에 접속시키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는 제어부(18)의 부하량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높은 경우에는 광고성 블랙리스트에 포함되는 어플리케이션의 데이터 통신 접속을 차단시킬 수 있다. 이는 CPU와 같은 제어부의 부하가 많이 걸린 경우 부하량을 감소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외에도 광고성 블랙리스트에 있는 어플리케이션이 백그라운드에서 3G에 접속하려고 할 때에 이를 차단하게 할 수도 있으며, 광고성 블랙리스트 중 광고 데이터 사용량이 많은 일정 개수의 어플리케이션은 숨기거나(hidden), 삭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뿐만 아니라 시간대별, 특정 URL별, 어플리케이션의 포어그라운드/백그라운드 상태에 따라 3G 차단을 설정할 수도 있으며, 어플리케이션 구동 시, 구동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의 데이터 사용량 및 과금 정보를 표시부에 동시에 표시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외에 어플리케이션별 데이터 사용량을 기초로 데이터 통신 접속, 특정 유저 인터페이스의 제공과 관련된 다양한 제어가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 및 그 제어방법은 이와 같이 어플리케이션별 데이터 사용량을 연산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과금 정보, 배터리 소모 정보, CPU 부하 정보에 대하여 보다 능동적으로 대체할 수 있도록 한다.
10 : 이동 단말기 12 : 통신부
14 : 인식부 16 : 연산부
18 : 제어부

Claims (24)

  1. 통신사측 서버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에 데이터 통신 접속 요청 및 데이터 통신 접속 해제 요청을 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인식하는 인식부;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통신사측 서버와 송수신되는 데이터의 사용량을 연산하는 연산부; 및
    상기 인식부에서 인식된 어플리케이션의 데이터 사용량을 상기 연산부를 통하여 연산하고, 어플리케이션별 데이터 사용량에 따라 이동 단말기를 제어하되, 각 어플리케이션의 데이터 사용량의 동기 데이터, 필수 데이터 및 광고 데이터 중 하나 이상의 사용량을 연산하여서 어플리케이션별 사용 데이터 특성을 분석하고, 상기 분석된 사용 데이터 특성에 따라 상기 이동 단말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통신은 WCDMA, HSDPA, CDMA2000, Wibro, WiMax, LTE, LTE-Advanced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어플리케이션별 데이터 사용량에 따라 상기 이동 단말기를 제어하는 것은,
    상기 어플리케이션별 데이터 사용량을 표시부를 통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인 이동 단말기.
  4. 통신사측 서버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에 데이터 통신 접속 요청 및 데이터 통신 접속 해제 요청을 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인식하는 인식부;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통신사측 서버와 송수신되는 데이터의 사용량을 연산하는 연산부; 및
    상기 인식부에서 인식된 어플리케이션의 데이터 사용량을 상기 연산부를 통하여 연산하고, 어플리케이션별 데이터 사용량에 따라 이동 단말기를 제어하되, 데이터 사용량이 미리 설정된 어플리케이션별로 허용할 수 있는 데이터 사용 최대값을 넘으면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통신사측 서버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차단시키거나, 상기 이동 단말기를 와이파이(Wifi)로 접속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일정한 시간마다 사용하는 패킷 또는 백그라운드(background) 사용 패킷은 동기 데이터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포어그라운드(foreground) 사용 패킷은 필수 데이터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 패킷의 URL 정보 또는 파일 형식 정보를 미리 설정된 데이터베이스로 필터링함으로써 광고 데이터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어플리케이션 데이터 사용량 중 광고 데이터 사용량의 비율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인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광고 데이터을 많이 사용하는 광고성 어플리케이션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고성 어플리케이션의 통신사측 서버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차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고성 어플리케이션에 해당하는 어플리케이션을 광고성 블랙리스트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고성 블랙리스트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 구동 시에 경고 메시지 및 상기 데이터 통신 접속 및 해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팝업창을 표시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이동 단말기.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두 개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이 동시에 상기 데이터 통신 접속 요청을 하는 경우,
    상기 광고성 블랙리스트에 포함되지 않는 어플리케이션을 우선적으로 상기 데이터 통신에 접속시키고, 상기 광고성 블랙리스트에 포함되는 어플리케이션은 광고 데이터 사용량이 적은 순으로 상기 데이터 통신에 접속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부의 부하량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높은 경우에 상기 광고성 블랙리스트에 포함되는 어플리케이션의 통신사측 서버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차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 통신에 대한 비과금 어플리케이션의 데이터 사용량은 상기 연산부를 통하여 연산되는 상기 어플리케이션별 데이터 사용량에서 제외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7. 통신사측 서버로의 데이터 통신 접속 요청을 감지하는 단계;
    통신사측 서버로의 데이터 통신 접속을 요청한 어플리케이션을 인식하는 단계;
    상기 인식된 어플리케이션별 데이터 사용량을 연산하는 단계; 및
    상기 연산된 어플리케이션별 데이터 사용량에 따라 이동 단말기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연산된 어플리케이션별 데이터 사용량에 따라 상기 이동 단말기를 제어하는 단계는,
    각 어플리케이션의 데이터 사용량의 동기 데이터, 필수 데이터, 및 광고 데이터 중 하나 이상의 사용량을 연산하여서 어플리케이션별 사용 데이터 특성을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분석된 사용 데이터 특성에 따라 상기 이동 단말기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통신사측 서버로의 데이터 통신 접속 해제를 요청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인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식된 어플리케이션별 데이터 사용량을 연산하는 단계는,
    상기 인식된 어플리케이션의 데이터 통신 접속 요청시부터 데이터 통신 접속 해제 요청시까지의 데이터 사용량을 연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통신은 WCDMA, HSDPA, CDMA2000, Wibro, WiMax, LTE, LTE-Advanced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된 어플리케이션별 데이터 사용량에 따라 상기 이동 단말기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어플리케이션별 데이터 사용량을 표시부를 통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
  21. 통신사측 서버로의 데이터 통신 접속 요청을 감지하는 단계;
    통신사측 서버로의 데이터 통신 접속을 요청한 어플리케이션을 인식하는 단계;
    상기 인식된 어플리케이션별 데이터 사용량을 연산하는 단계; 및
    상기 연산된 어플리케이션별 데이터 사용량에 따라 이동 단말기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연산된 어플리케이션별 데이터 사용량에 따라 상기 이동 단말기를 제어하는 단계는,
    데이터 사용량이 미리 설정된 어플리케이션별로 허용할 수 있는 데이터 사용 최대값을 넘으면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통신사측 서버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차단시키거나, 상기 이동 단말기를 와이파이로 접속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
  22. 삭제
  23. 삭제
  24.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된 어플리케이션별 데이터 사용량을 연산하는 단계는,
    상기 데이터 통신에 대한 비과금 어플리케이션의 데이터 사용량은 상기 연산되는 어플리케이션별 데이터 사용량에서 제외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
KR1020100135729A 2010-12-27 2010-12-27 어플리케이션별 데이터 사용량을 표시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3377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5729A KR101337724B1 (ko) 2010-12-27 2010-12-27 어플리케이션별 데이터 사용량을 표시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13/251,416 US9426039B2 (en) 2010-12-27 2011-10-03 Terminal and method for measuring data usage
EP11187610.8A EP2469754B1 (en) 2010-12-27 2011-11-03 Terminal and method for measuring data usage
JP2011274921A JP5244959B2 (ja) 2010-12-27 2011-12-15 データ使用量を測定する端末機及びその制御方法
US15/243,594 US10250398B2 (en) 2010-12-27 2016-08-22 Terminal and method for measuring data usa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5729A KR101337724B1 (ko) 2010-12-27 2010-12-27 어플리케이션별 데이터 사용량을 표시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3840A KR20120073840A (ko) 2012-07-05
KR101337724B1 true KR101337724B1 (ko) 2013-12-06

Family

ID=449926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5729A KR101337724B1 (ko) 2010-12-27 2010-12-27 어플리케이션별 데이터 사용량을 표시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9426039B2 (ko)
EP (1) EP2469754B1 (ko)
JP (1) JP5244959B2 (ko)
KR (1) KR10133772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35163B2 (ja) * 2008-04-08 2010-09-01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システム、通信端末、情報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US8503978B2 (en) * 2011-12-09 2013-08-06 Cellco Partnership Real time data usage metering on a mobile station and reconciliation with billable usage measured by a mobile network
US9887894B2 (en) 2012-01-27 2018-02-0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Recommendations for reducing data consumption based on data usage profiles
US8971870B2 (en) * 2012-08-10 2015-03-03 Kyocera Corporation Mobile terminal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mobile terminal device
JP6093581B2 (ja) * 2013-01-29 2017-03-08 京セラ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6074190B2 (ja) * 2012-08-10 2017-02-01 京セラ株式会社 端末装置および端末装置の制御方法
EP2952037B1 (en) * 2013-01-31 2018-01-3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cheduling data in background services on mobile devices
JP6055105B2 (ja) * 2013-09-11 2016-12-27 フリービット株式会社 アプリケーション状態変化通知プログラム及びその方法
JP6055104B2 (ja) * 2013-09-11 2016-12-27 フリービット株式会社 ネットワーク接続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WO2015116533A1 (en) * 2014-01-28 2015-08-06 Aol Advertising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d-supported mobile data plans or in-app purchases
US10565623B2 (en) 2014-01-28 2020-02-18 Oath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d-supported mobile data plans or in-app purchases
CN110324793B (zh) 2014-04-18 2022-09-0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信息提醒的方法、装置及电子终端
WO2016009723A1 (ja) * 2014-07-15 2016-01-21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状態制御装置、情報処理方法、状態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WO2016065619A1 (zh) 2014-10-31 2016-05-06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数据流量管理方法及装置
US9445452B2 (en) * 2014-12-05 2016-09-13 T-Mobile U.S.A. Inc. Directed application control of user device radio
KR20170014458A (ko) * 2015-07-30 2017-0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워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CN105553772B (zh) * 2015-12-18 2020-03-17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流量监控方法及装置
US20170195250A1 (en) * 2016-01-06 2017-07-06 Google Inc. Automatic data restrictions based on signals
US10805167B2 (en) * 2016-05-02 2020-10-13 Lenovo (Singapore) Pte. Ltd. Accessibility of applications based on network connection type
US10469671B2 (en) 2016-12-27 2019-11-05 At&T Mobility Ii Llc Network-based per-application data usage limitations
JP2020135352A (ja) * 2019-02-19 2020-08-31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52964A (ko) * 2003-12-01 2005-06-07 주식회사 팬택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패킷 데이터 서비스 사용제한 방법
KR20070010489A (ko) * 2005-07-19 2007-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패킷 서비스 전송상태와 전송량 표시방법
JP2007081950A (ja) * 2005-09-15 2007-03-2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携帯端末
JP2010104066A (ja) 2010-02-12 2010-05-06 Kddi Corp 通信制御装置、通信制御管理情報サーバ、通信端末および通信制御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25031B2 (en) * 2000-07-21 2004-04-20 Telemac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data rating for wireless devices
BR0112708A (pt) * 2000-07-21 2006-09-12 Telemac Corp sistema para a determinação de uma tarifa em conexão com uma sessão de comunicação de dados, dispositivo sem fio para a determinação de uma tarifa em conexão com uma sessão de comunicação de dados, cartão inteligente configurado para cooperar com um dispositivo sem fio capaz de se comunicar com uma rede de serviços de comunicação para a determinação de uma tarifa em conexão com uma sessão de comunicação de dados e método para a determinação de uma tarifa em conexão com uma sessão de comunicação de dados
US20020116500A1 (en) * 2001-02-22 2002-08-22 Arora Akhil K. Protocol for wireless devices
JP4409788B2 (ja) * 2001-05-10 2010-02-03 富士通株式会社 無線データ通信網切替装置と無線データ通信網切替処理用プログラム
US20030078037A1 (en) * 2001-08-17 2003-04-24 Auckland David T. Methodology for portable wireless devices allowing autonomous roaming across multiple cellular air interface standards and frequencies
JP2003143332A (ja) 2001-11-06 2003-05-16 Sony Corp 通信装置および回線制御方法
JP4227333B2 (ja) * 2002-01-17 2009-02-18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通信端末、情報送信システム及び情報受信方法
CN100477846C (zh) 2002-08-30 2009-04-08 富士通株式会社 通信方法和通信装置以及通信系统
US7593868B2 (en) * 2003-01-29 2009-09-22 Innovation Interactive Llc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contextual advertising information via a communication network
FI20030827A0 (fi) * 2003-06-03 2003-06-03 Nokia Corp Hintatiedon välittäminen tietoliikennejärjestelmässä
US7392316B2 (en) * 2003-06-30 2008-06-24 Microsoft Corporation Client to server streaming of multimedia content using HTTP
JP4292965B2 (ja) 2003-11-28 2009-07-08 ソニー株式会社 受信装置と受信方法
US20050215238A1 (en) * 2004-03-24 2005-09-29 Macaluso Anthony G Advertising on mobile devices
US7817983B2 (en) * 2005-03-14 2010-10-1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usage patterns of a wireless device
US9288078B2 (en) 2005-03-25 2016-03-15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s for managing content exchange on a wireless device
FR2886801B1 (fr) * 2005-06-07 2007-08-03 Alcatel Sa Equipement de reseau pour la fourniture a des terminaux mobiles multimodes de donnees necessaires a la selection automatique d'interfaces de reseau d'acces radio pendant des sessions de service
US8856311B2 (en) * 2005-06-30 2014-10-07 Nokia Corporation System coordinated WLAN scanning
US7801518B1 (en) * 2006-06-08 2010-09-21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Communication device usage event profiling
US8306534B2 (en) * 2007-03-02 2012-11-06 Research In Motion Limited Service status display on a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
US11064236B2 (en) * 2007-05-11 2021-07-13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Systems and methods for using value-added services records to provide targeted marketing services
JP2009005162A (ja) 2007-06-22 2009-01-08 Oki Electric Ind Co Ltd 通信端末装置
WO2009049684A1 (en) * 2007-10-19 2009-04-2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s and apparatuses for notifying an application function of resource restrictions relating to a communication session
US8583781B2 (en) * 2009-01-28 2013-11-12 Headwater Partners I Llc Simplified service network architecture
US8219062B2 (en) * 2008-07-23 2012-07-1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mbient information for usage of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WO2010128391A2 (en) 2009-05-04 2010-11-11 Bridgewater Systems Corp. System and methods for mobile device-based data communications cost monitoring and control
US8577329B2 (en) * 2009-05-04 2013-11-05 Bridgewater Systems Corp. System and methods for carrier-centric mobile device data communications cost monitoring and control
US8285218B2 (en) * 2009-08-31 2012-10-09 The Nielsen Company (Us), Llc Methods and apparatus to identify wireless carrier performance effects
WO2011048500A2 (en) * 2009-10-20 2011-04-28 Rfsoc Consulting Sarl Urban mobile network system
US8345616B2 (en) * 2010-06-24 2013-01-01 Microsoft Corporation Scheduling communications in a mobile device
US8626906B1 (en) * 2010-08-10 2014-01-07 Google Inc. Scheduling data pushes to a mobile device based on usage and applications thereof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52964A (ko) * 2003-12-01 2005-06-07 주식회사 팬택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패킷 데이터 서비스 사용제한 방법
KR20070010489A (ko) * 2005-07-19 2007-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패킷 서비스 전송상태와 전송량 표시방법
JP2007081950A (ja) * 2005-09-15 2007-03-2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携帯端末
JP2010104066A (ja) 2010-02-12 2010-05-06 Kddi Corp 通信制御装置、通信制御管理情報サーバ、通信端末および通信制御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426039B2 (en) 2016-08-23
JP2012138904A (ja) 2012-07-19
US20120163232A1 (en) 2012-06-28
EP2469754A3 (en) 2014-11-26
EP2469754A2 (en) 2012-06-27
US20160360392A1 (en) 2016-12-08
US10250398B2 (en) 2019-04-02
KR20120073840A (ko) 2012-07-05
EP2469754B1 (en) 2016-01-27
JP5244959B2 (ja) 2013-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7724B1 (ko) 어플리케이션별 데이터 사용량을 표시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EP3068114B1 (en) Method for measuring and displaying internet traffic of mobile phone and mobile phone
US984354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ownloading and displaying pictures
EP1950983A1 (en) A system and method for data pushing
CN109844706B (zh) 一种消息的处理方法及装置
WO2015176448A1 (zh) 一种终端智能分屏方法及装置
CN102801817B (zh) 基于用户上下文的推送方法及装置
CN108156508B (zh) 弹幕信息处理的方法、装置、移动终端、服务器及系统
CN102484771A (zh) 信息提供装置和信息提供方法、无线通信装置和无线通信方法、计算机程序、及无线通信系统
EP3242447A1 (en) Information recommendation management method, device and system
CN106648512A (zh) 车载虚拟形象显示方法和装置、车载主机
CN108958679A (zh) 移动终端显示方法、装置、移动终端及存储介质
CN102982106A (zh) 预打开网页的方法和装置
CN103688281A (zh) 基于区分准则对广告进行的区分显示
CN104780555A (zh) 基于信号强度的位置信息提示方法及装置
CN110069207B (zh) 触控操作响应方法、装置、移动终端及可读存储介质
CN108121435A (zh) 移动终端省电运行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20130046861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배터리 소모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N110418004A (zh) 截图处理方法、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20140089283A1 (en) Method and system of suggesting establishments
CN107908527B (zh) 一种应用图标显示方法及装置
CN106503956B (zh) 一种出行信息提示方法及其移动终端
CN111988407B (zh) 一种内容推送方法和相关装置
US20170078868A1 (en) Program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KR101544030B1 (ko) 영역 기반 정보 제공 시스템, 동작 정보 제공 장치, 통신 단말장치 및 그 운용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