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7532B1 - Mobile terminal - Google Patents

Mobile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7532B1
KR101337532B1 KR1020070057879A KR20070057879A KR101337532B1 KR 101337532 B1 KR101337532 B1 KR 101337532B1 KR 1020070057879 A KR1020070057879 A KR 1020070057879A KR 20070057879 A KR20070057879 A KR 20070057879A KR 101337532 B1 KR101337532 B1 KR 1013375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set
ear set
mounting portion
speaker
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787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80109491A (en
Inventor
김영중
주원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578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7532B1/en
Priority to DE102007059693.8A priority patent/DE102007059693B4/en
Priority to TW097101977A priority patent/TWI384843B/en
Priority to US12/018,077 priority patent/US8204549B2/en
Publication of KR200801094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949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75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753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H04M1/6058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involving the use of a headset accessory device connected to the portable telephone
    • H04M1/6066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involving the use of a headset accessory device connected to the portable telephone including a wireless conn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16Earpieces of the intra-aural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어셋 장착부가 형성된 단말기 바디, 및 상기 이어셋 장착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이어셋을 포함하고,상기 이어셋은 상기 단말기 바디와 교신하는 이어셋 본체부와, 상기 이어셋 본체부에서 전송되는 사운드를 출력하는 스피커부로 구성되고, 상기 스피커부는 이어셋 장착부에 삽입될 때 상기 이어셋의 두께를 줄일 수 있도록 길이 조절가능하게 형성되어, 이어셋의 휴대에 따른 사용자의 불편을 해소하고, 이어셋 장착에 따른 단말기 내부의 장착 공간을 최소화함으로써 슬림한 두께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erminal body having an ear set mounting portion, and an ear set detachably mounted to the ear set mounting portion, wherein the ear set has an ear set body portion communicating with the terminal body, and outputs a sound transmitted from the ear set body portion. Consists of a speaker unit, the speaker unit is formed to be adjustable in length so as to reduce the thickness of the earset when inserted into the earset mounting portion, to eliminate the inconvenience of the user according to the carrying of the earset, mounting space inside the terminal according to the earset mounting By minimizing the size of the mobile terminal provides a slim thickness.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TERMINAL}[0001] MOBILE TERMINAL [0002]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ront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후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2 and 3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back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셋(300)의 사시도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arset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도 4의 분해 사시도이다.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어셋의 측면 단면도이다.6 and 7 are side cross-sectional views of an ear s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어셋의 가이드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8a and 8b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guide portion of the ear s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측면 단면도이다.9 to 11 are side cross-sectional views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제1 바디 200: 제2 바디100: first body 200: second body

300: 이어셋 310: 이어셋 본체부300: earset 310: earset body portion

320: 스피커부 321: 스피커 바디320: speaker unit 321: speaker body

322: 지지부재 420: 가이드부322: support member 420: guide portion

421: 가이드 슬롯 422: 가이드돌기421: guide slot 422: guide projection

500: 이어셋 장착부 600: 록킹유닛500: Earset mounting part 600: Locking unit

700: 커버700: cover

본 발명은 이어셋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which the ear set is detachably mounted.

최근에 개발되어 출시되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음성 송수신과 인터넷 접속뿐 아니라, 음악파일을 다운받아서 듣거나 동영상을 다운받아서 보는 등의 그 기능이 나날이 확장되고 있다.Recently developed and releas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s well as voice transmission and Internet access, its functions such as downloading and listening to music files or download videos are expanding day by day.

뿐만 아니라 최근에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을 장착하여, 사용자는 이어셋을 통하여 이동통신 단말기를 손에 쥐지 않고, 이어셋을 착용하는 것에 의하여 편리하게 통화할 수 있게 되었다.In addition, recently equipped with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user can conveniently talk by wearing the earset without having to hol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the earset.

그러나,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별도로 이어셋을 구매하여야 하며, 이어셋을 따로 휴대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이어셋을 휴대할 때, 이어셋을 분실할 위험도 있다.However, the user has to purchase the ear set separately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has the inconvenience of carrying the ear set separately. There is also a risk of losing the earset when carrying it.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어셋을 이동통신 단말기에 장착하여 이어셋과 이동통신 단말기를 일체형으로 제작하기 위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이어셋을 이동통신 단말기에 장착하기 위해서 이동통신 단말기에는 이 어셋의 크기에 상당하는 공간이 필요하게 된다. 이러한 공간상의 제약 때문에 이동통신 단말기의 크기가 증가하게 되어, 최근 이동통신 단말기의 소형화 추세에 역행하는 문제점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lot of researches have been made to manufacture the earset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y mounting the earset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owever, in order to mount the earset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needs a space corresponding to the size of the asset. Due to such space constraints, the siz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increased, and thus there is a problem against the recent trend of miniaturiz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은 상기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단말기 바디와 무선 교신가능한 이어셋을 단말기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하여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함과 동시에 이어셋이 장착되는 단말기 바디의 장착공간을 축소하여 슬림한 두께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venience to the user by attaching a detachable earset that can communicate with the terminal body to the terminal body, and at the same time the mounting of the terminal body is equipped with the earset It is to provid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a slim thickness by reducing the spac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이어셋 장착부가 형성된 단말기 바디, 및 상기 이어셋 장착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이어셋을 포함하고,상기 이어셋은 상기 단말기 바디와 교신하는 이어셋 본체부와, 상기 이어셋 본체부에서 전송되는 사운드를 출력하는 스피커부로 구성되고, 상기 스피커부는 이어셋 장착부에 삽입될 때 상기 이어셋의 두께를 줄일 수 있도록 길이 조절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erminal body with an ear set mounting portion, and an ear set detachably mounted to the ear set mounting portion, the ear set is an ear set body in communication with the terminal body And a speaker unit for outputting sound transmitted from the earset body unit, wherein the speaker unit is formed to be adjustable in length so as to reduce the thickness of the earset when inserted into the earset mounting unit.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서, 이어셋 장착부는 상기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 형성될 수 있다.As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earset mounting portion may be formed on the rear of the terminal body.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서, 상기 이어셋 장착부는 상기 이어셋 본체부가 삽입되는 제1장착부와, 상기 스피커부가 장착되는 제2장착부로 구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arset mounting part may be configured of a first mounting part into which the earset body part is inserted and a second mounting part to which the speaker part is mounted.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서, 상기 스피커부는 내부에 스피커가 설치되고 이 어셋 본체부의 일측면에서 돌출되게 형성되는 스피커 바디와 상기 스피커 바디의 외주면을 따라 상기 스피커 바디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사용자의 귀에 삽입되어 상기 이어셋이 귀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지지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As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peaker unit is installed inside the speaker body is formed to protrude from one side of the asset body portion and is movable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peaker body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peaker body Is inserted into the ear of the user may be composed of a support member for supporting the earset to maintain the state inserted in the ear.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서, 상기 스피커 바디와 지지부재 사이에는 상기 지지부재를 회전시키면 지지부재가 스피커 바디의 외주면에서 직선 이동되도록 하는 가이드부가 형성될 수 있다.As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upport member is rotated between the speaker body and the support member, a guide portion for linearly moving the support member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peaker body may be formed.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서, 상기 단말기 바디는 상기 이어셋을 상기 이어셋 장착부에서 분리하면 상기 이어셋 장착부를 덮어주는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inal body may further include a cover covering the earset mounting portion when the earset is separated from the earset mounting portion.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서, 상기 단말기 바디는 상기 이어셋이 이어셋 장착부에 장착되면 이어셋을 록킹시키는 록킹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As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inal body may further include a locking unit for locking the ear set when the ear set is mounted to the ear set mounting portion.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서, 상기 록킹부재의 일측에는 상기 이어셋이 분리될 때 상기 이어셋이 튀어 나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록킹부재를 누르면 상기 이어셋에 마찰 접촉되는 마찰부가 형성될 수 있다. As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e side of the locking member may be provided with a friction portion in friction contact with the earset by pressing the locking member to prevent the earset from popping out when the earset is separated.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는 슬라이드 타입(Slide-type)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기초로 하여 설명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바 타입(Bar-type), 폴더 타입(Folder-type), 스위블 타입(Swivel-type) 등의 다양한 형태의 이동통신 단말기에도 적용이 가능하다.An embodiment to be described below will be described based on a slide-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ut is not limited thereto. A bar-type, a folder-type, and a swivel-type It can be applied to various types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제1 바디(100)와 상기 제1 바디(10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2 바디(200)로 구성된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body 100 and a second body 200 slidably mounted to the first body 100.

제1 바디(100)는 사용자가 누름 동작에 의해서 숫자나 문자 등의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보조 키패드(110)와, 키패드(110)의 상측에 설치되어 보조 키패드(110)에 의해 입력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120)와, 디스플레이(120)의 상측에 설치되어 소리를 출력하는 리시버(130)로 구성된다.The first body 100 is installed on the auxiliary keypad 110 and the upper side of the keypad 110, the user can input information such as numbers or letters by the push operation, the information input by the auxiliary keypad 110 It is composed of a display 120 for displaying a, and a receiver 130 is installed above the display 120 to output a sound.

제2 바디(200)는 사용자의 누름 동작에 의해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메인 키패드(210)가 전면에 장착되고, 키패드(210)의 하측에 소리를 입력하기 위한 마이크(220)가 장착되고, 상기 제2 바디(200)의 후면에는 배터리(230)가 장착된다.The second body 200 is mounted on the front of the main keypad 210 for inputting information by the user's pressing operation, the microphone 220 for inputting sound at the lower side of the keypad 210 is mounted, The battery 230 is moun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second body 200.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셋(300)이 장착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후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셋(300)이 분리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후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rear sid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n earset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view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which the earset 300 is separa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ack side.

제2 바디(200)의 후면에는 이어셋 장착부(500)가 형성되고, 상기 이어셋 장착부(500)에는 이어셋(300)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An ear set mounting unit 500 is formed on a rear surface of the second body 200, and the ear set 300 is detachably mounted on the ear set mounting unit 500.

이어셋(300)은 이어셋 본체부(310) 및 이어셋 본체부(310)에서 전송되는 사운드를 출력하는 스피커부(320)로 구성되고, 이어셋 장착부(500)는 이어셋(300)의 이어셋 본체부(310)가 삽입되는 제1 장착부(510)와, 상기 스피커부(320)가 장착되는 제2 장착부(520)로 구성된다.The earset 300 is composed of an earset body 310 and a speaker unit 320 for outputting the sound transmitted from the earset body 310, the earset mounting portion 500 is the earset body 310 of the earset 300 ) Is a first mounting portion 510 is inserted, and the second mounting portion 520 is mounted to the speaker unit 320.

상기 이어셋 장착부(500)는 배터리(230)가 장착되는 배터리 장착부의 상측에 형성된다. 제1 장착부(510)는 이어셋 본체부(320)의 모양에 대응되게 형성되며, 제2 장착부(520)는 제1 장착부(510)에 스피커부(320)의 모양에 대응되는 홀이 형성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제1 장착부(510)에는 이어셋(300)의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 단자(511)가 배치된다.The earset mounting unit 500 is formed above the battery mounting unit on which the battery 230 is mounted. The first mounting portion 510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earset body portion 320, the second mounting portion 520 is a form in which a hol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speaker portion 320 is formed in the first mounting portion 510. Is formed. The first mounting unit 510 is provided with a power supply terminal 511 for supplying power to the ear set 300.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셋(300)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도 4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에서는 이어셋(300) 내부에 장착되는 부품은 생략하여 도시하였다.4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ar set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FIG. In FIG. 5, the parts mounted inside the earset 300 are omitted.

이어셋(300)의 이어셋 본체부(310)는 하우징(311)과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미도시)과 내장 배터리(미도시), 및 마이크(313)로 구성된다.The earset body 310 of the earset 300 includes a housing 311,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not shown), an internal battery (not shown), and a microphone 313.

상기 하우징(311)의 내부에는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미도시)이 장착된다.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미도시)는 제2 바디(200)의 내부에 장착된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미도시)과 신호를 주고 받는다. 즉, 하우징(311)의 내부에 장착된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미도시)은 제2 바디(200)에 장착된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미도시)이 외부로부터 받아들인 신호를 전송받는다. 또한, 하우징의 내부에 장착된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미도시)은 이어셋 본체부의 외부로부터 받아들인 신호를 상기 제2 바디(200)의 내부에 장착된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미도시)로 전송한다. 상기 제2 바디(200)의 내부에 장착된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미도시)은 제1 바디(100) 및 제2 바디(200)의 내부에 장착되는 전자부품(미도시)들의 배치에 따라 제1 바디(100)의 내부에 장착될 수도 있다.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not shown) is mounted in the housing 311.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not shown) exchanges signals with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not shown) mounted inside the second body 200. That is,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not shown) mounted inside the housing 311 receives a signal received from the outside by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not shown) mounted on the second body 200. In addition,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not shown) mounted inside the housing transmits a signal received from the outside of the earset main body to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not shown) mounted inside the second body 200.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not shown) mounted inside the second body 200 may be formed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of electronic components (not shown) mounted inside the first body 100 and the second body 200. 1 may be mounted inside the body (100).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미도시)의 일예로서, 블루투스(Bluetooth)가 사 용될 수 있다. 여기서, 블루투스는 무선통신 기기간에 근거리에서 저전력으로 무선통신을 하기 위한 표준, 예를 들면 이동 컴퓨터(mobile computer), 휴대폰, 헤드셋, 개인 휴대 단말기(PDA), 개인용 컴퓨터(PC) 등의 기기간에 정보 전송을 목적으로 하는 통신 표준을 말한다.As an example of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not shown), Bluetooth may be used. Here, Bluetooth is a standard for wireless communication at low power in a short distance betwe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for example, information between devices such as a mobile computer, a mobile phone, a headset,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nd a personal computer (PC). A communication standard for the purpose of transmission.

상기 하우징(311)의 내부에는 이어셋(3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내장형 배터리(미도시)가 장착되고, 상기 하우징(311)의 외부에는 배터리 접촉 단자(312)가 형성된다. 내장형 배터리(미도시)는 이어셋(300)이 이어셋 장착부(500)에 장착되는 경우, 배터리 접촉 단자(312)를 통해 제2 바디(200)에 장착된 배터리(230)의 전원에 의하여 충전된다. 따라서, 이어셋(300)의 전원 공급을 위해 별도로 충전하거나, 배터리를 교체할 필요없이 이어셋(300)의 사용이 가능하다.An internal battery (not shown) for supplying power to the ear set 300 is mounted inside the housing 311, and a battery contact terminal 312 is formed outside the housing 311. The built-in battery (not shown) is charged by the power of the battery 230 mounted on the second body 200 through the battery contact terminal 312 when the earset 300 is mounted to the earset mounting unit 500. Therefore, it is possible to use the earset 300 without needing to charge or replace the battery separately for power supply of the earset 300.

상기 하우징(311)의 하부에는 소리를 입력하는 마이크(313)가 장착된다. 여기서 마이크(313)를 통하여 소리가 이어셋 본체부(310)에 입력되면, 이어셋 본체부(310)의 내부에 장착된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미도시)이 제2 바디(200)의 내부에 장착된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미도시)에 상기 입력된 소리를 전송하게 된다.The microphone 313 for inputting sound is mounted under the housing 311. Here, when the sound is input to the earset main body 310 through the microphone 313,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not shown) mounted inside the earset main body 310 is mounted inside the second body 200. The input sound is transmitted to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not shown).

한편, 하우징(311)의 측면에는 정보를 입력하는 키버튼(314)이 장착될 수 있다. 사용자가 이어셋(300)을 장착하고 있는 경우, 스피커부(320)를 통하여 통화 콜 사운드를 들으면, 키버튼(314)을 누름에 의하여 통화 모드를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MP3를 듣고 있다가 통화 모드로 전환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도 상기 키버튼(314)을 사용할 수 있다. 도 4에서는 이어셋 본체부(310)의 하우징(311)에 하나의 키버튼(314)만을 장착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복수의 키버튼(314)이 장착될 수 있다Meanwhile, a key button 314 for inputting information may be mounted on the side of the housing 311. When the user is wearing the earset 300, if you hear the call call sound through the speaker unit 320, by pressing the key button 314 can be activated the call mode. In addition, when the user listens to the MP3 and wants to switch to the call mode, the key button 314 may be used. In FIG. 4, only one key button 314 is mounted on the housing 311 of the earset main body 310, but a plurality of key buttons 314 may be mounted as necessary.

상기 스피커부(320)는 이어셋 본체부(310)와 연결되어, 이어셋 본체부(310)의 하우징(311) 내부에 장착된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미도시)에서 전송되는 사운드를 출력한다. 스피커부(320)는 출력된 사운드가 사용자에게 전달되도록 사용자의 귀에 삽입되는 형태로 형성된다.The speaker 320 is connected to the earset main body 310 and outputs sound transmitted from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not shown) mounted inside the housing 311 of the earset main body 310. The speaker unit 320 is formed to be inserted into the user's ear so that the output sound is delivered to the user.

이어셋(300)의 스피커부(320)는 이어셋 장착부(500)에 삽입될 때 이어셋(300)의 두께를 줄일 수 있도록 길이 조절 가능하게 형성된다. 스피커부(320)는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이어셋 본체부(310)의 일측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스피커 바디(321)와, 스피커 바디(321)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지지부재(322)로 구성된다. The speaker unit 320 of the ear set 300 is formed to be adjustable in length so as to reduce the thickness of the ear set 300 when inserted into the ear set mounting portion 500. The speaker unit 320 includes a speaker body 321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earset main body 310 so that the length can be adjusted, and a support member 322 movably mounted to the speaker body 321. do.

상기 스피커 바디(321)는 그 일단이 이어셋 본체부(310)의 일측면에서 직각으로 연장되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고, 그 내부에는 이어셋 본체부(310)와 연결되어 이어셋 본체부(310)의 내부에 장착된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미도시)에서 송신된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미도시)가 장착된다. The speaker body 321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one end of which extends at a right angle from one side of the earset main body 310, and is connected to the earset main body 310 in the interior of the earset main body 310. A speaker (not shown) for outputting a signal transmitted from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not shown) mounted to the is mounted.

지지부재(322)는 사용자의 귀에 삽입되어 귀에 지지될 수 있는 도넛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스피커 바디(321)의 외주면에 슬라이드 이동되게 장착된다. The support member 322 is formed in a donut shape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user's ear and supported by the ear, and is mounted to slide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peaker body 321.

지지부재(322)는 이어셋(300)이 제2바디(200)의 이어셋 장착부(500)에 장착될 때는 그 일측면이 이어셋 본체부(310)의 측면에 접촉되도록 이동(이하 '인입'이라고 한다.)하여 이어셋(300)의 두께를 줄일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지지부재(322)는 이어셋(300)이 사용자의 귀에 삽입될 때는 이어셋 본체부(310)와 멀어지 는 방향으로 이동(이하 '인출'이라고 한다.)하여, 이어셋 본체부(310)와 지지부재(322)는 일정 간격을 두고 위치함으로써 이어셋(300)이 사용자의 귀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The support member 322 is moved when the ear set 300 is mounted to the ear set mounting portion 500 of the second body 200 so that one side thereof is in contact with the side of the ear set main body 310 (hereinafter referred to as 'retraction'). .) To reduce the thickness of the earset (300). In addition, the support member 322 moves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earset main body 310 when the earset 300 is inserted into the user's ear (hereinafter referred to as 'drawing'), and the earset main body 310 The support member 322 is positioned at regular intervals so that the earset 300 can be fixed to the user's ear.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셋(300)의 스피커부(320)의 지지부재(322)가 스피커 바디(321)를 이동하여 이어셋(300)의 두께를 조절하는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살펴본다.Next, the supporting member 322 of the speaker unit 320 of the ear set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looks at in detail with respect to the configuration to adjust the thickness of the ear set 300 by moving the speaker body 321. .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어셋(300)의 측면 단면도이고, 도 8a 및 도 8b는 이어셋의 가이드부(42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6 and 7 are side cross-sectional views of the ear set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8a and 8b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guide portion 420 of the ear se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어셋(300)의 스피커부(320)를 구성하는 스피커 바디(321)와 지지부재(322) 사이에는 지지부재(322)를 회전시키면 지지부재(322)가 스피커 바디(321)의 외주면에서 직선 이동되도록 하는 가이드부(420)가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이어셋(300)의 지지부재(322)를 회전시키면 지지부재(322)가 인출되고, 지지부재(322)를 상기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지지부재(322)가 인입되게 된다.When the support member 322 is rotated between the speaker body 321 and the support member 322 constituting the speaker unit 320 of the earset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member 322 is a speaker body. A guide part 420 is formed to linearly move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321. Accordingly, when the user rotates the support member 322 of the ear set 300, the support member 322 is drawn out, and when the support member 322 is rot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rotation direction, the support member 322 is retracted. .

상기와 같은 작용을 구현하기 위하여, 가이드부(420)는 스피커 바디(321)의 외주면에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가이드 슬롯(421)과, 지지부재(322)의 외주면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가이드 슬롯(421)에 삽입되어 가이드 슬롯(421)을 따라 이동되는 가이드 돌기(422)로 구성된다.In order to implement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the guide part 420 is formed to protrude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guide slot 421, which is formed spirally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peaker body 321, the support member 322, the guide slot 421 And a guide protrusion 422 inserted into the guide slot 421 and moving along the guide slot 421.

사용자가 지지부재(322)를 인출하기 위하여 지지부재(322)를 회전시키면, 지지부재(322)에 형성된 가이드 돌기(422)가 스피커 바디(321)에 나선형으로 형성된 가이드 슬롯(421)을 따라 이동하게 됨에 따라 지지부재(322)가 인출된다. 그리고 지지부재(322)가 인입되는 경우에도 동일한 작용에 의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When the user rotates the support member 322 to pull out the support member 322, the guide protrusion 422 formed on the support member 322 moves along the guide slot 421 spirally formed in the speaker body 321. As the support member 322 is drawn out. And when the support member 322 is drawn is made by the same action.

도 8a와 도 8b는 가이드 돌기(422)가 가이드 슬롯(421)을 따라 이동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하여 스피커 바디(321)의 측면을 절개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이 경우 가이드 슬롯(421)의 양쪽 끝부분에는 지지부재(322)가 인출 및 인입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하여 가이드 돌기(422)가 걸림되는 고정부(430)가 형성될 수 있다.8A and 8B are views illustrating the side of the speaker body 321 in order to explain a process in which the guide protrusion 422 moves along the guide slot 421. In this case, both ends of the guide slot 421 may be formed with a fixing portion 430 is engaged with the guide protrusion 422 in order to maintain the pulled out and drawn in the support member 322.

본 실시예에서는 도 8a와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슬롯(421)의 끝부분을 지지부재(322)의 인출 또는 인입 방향과 수직하게 형성하여, 인출 또는 인입 방향의 외력에 의하여 지지부재(322)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지지부재(322)가 인입된 상태에서 지지부재(322)에 인출 또는 인입 방향의 힘이 작용하더라도, 도 8a와 같이 고정부(430)에 의해 지지부재(322)가 인입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지지부재(322)가 인출된 상태에서 지지부재(322)에 인출 또는 인입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더라도, 도 8b와 같이 고정부(430)에 의해 지지부재(322)가 인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Figure 8a and 8b, the end of the guide slot 421 is formed perpendicular to the withdrawal or inlet direction of the support member 322, the support member by the external force in the withdrawal or inlet direction 322 can be prevented from moving. Even when the support member 322 is pulled out or the force in the pulling direction is applied in the state in which the support member 322 is inserted, the support member 322 may be maintained by the fixing unit 430 as shown in FIG. 8A. . Similarly, even if a force is applied to the support member 322 in the drawing or drawing direction in the state in which the support member 322 is drawn out, the support member 322 is maintained by the fixing part 430 as shown in FIG. 8B. do.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측면 단면도이다.9 to 11 are side cross-sectional views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2 바디(200)에는 이어셋(300)을 이어셋 장착부(500)에서 분리하는 경우, 이어셋 장착부(500)를 덮어주는 커버(700)가 장착될 수 있다.The second body 20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quipped with a cover 700 covering the earset mounting unit 500 when the earset 300 is separated from the earset mounting unit 500. have.

상기 커버(700)는 이어셋 장착부(500)에 이어셋(300)이 이어셋 장착부(500)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 직선 이동가능하게 배치되고, 커버(700)와 이어셋 장착부(500) 사이에는 커버(700)에 인출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커버 탄성부재(710)가 설치된다. 여기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어셋(300)이 이어셋 장착부(500)에 장착되는 경우 커버(700)는 이어셋(300)에 접촉하도록 구성되고,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어셋(300)이 이어셋 장착부(500)로부터 분리되는 경우에 커버(700)는 커버 탄성부재(710)의 탄성력에 의하여 이어셋(300)이 분리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이어셋 장착부(500)를 덮게 된다. 이어셋(300)이 제2 바디(200)와 분리되더라도, 제2 바디(200)에 홈을 이루도록 형성된 제2 장착부(520)가 커버(700)에 의하여 감추어지게 되어, 미관상 제2 장착부(520)가 가려지게 된다.The cover 700 is disposed to be linearly movabl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ear set 300 is separated from the ear set mounting unit 500 on the ear set mounting unit 500, and the cover 700 between the cover 700 and the ear set mounting unit 500. The cover elastic member 710 is provided in the drawing direction to provide an elastic force. Here, as shown in FIG. 9, when the earset 300 is mounted to the earset mounting unit 500, the cover 700 is configured to contact the earset 300, and as shown in FIG. 11, the earset 300. When the ear set is separated from the mounting portion 500, the cover 700 moves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ear set 300 is separat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cover elastic member 710 to cover the ear set mounting portion 500. Even if the ear set 300 is separated from the second body 200, the second mounting portion 520 formed to form a groove in the second body 200 is concealed by the cover 700, so that the aesthetically second mounting portion 520 is removed. Will be hidden.

여기서, 커버 탄성부재(710)는 커버 탄성부재(710)가 장착되는 공간을 최소화하여 제2 바디(200)의 두께를 줄이기 위하여 원추형 코일 스프링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cover elastic member 710 is preferably a conical coil spring is used to minimize the space in which the cover elastic member 710 is mounted to reduce the thickness of the second body 200.

한편, 제2 바디(200)에는 이어셋(300)이 이어셋 장착부(500)에 장착되는 경우 이어셋(300)을 록킹시키는 록킹유닛(600)이 장착된다.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body 200 is equipped with a locking unit 600 for locking the ear set 300 when the ear set 300 is mounted to the ear set mounting portion 500.

상기 록킹유닛(600)은 이어셋(300)의 일측에 형성된 록킹홈(610)과, 록킹홈(610)에 걸림되고 단말기 바디(200)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록킹부재(620)와, 록킹부재(620)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록킹 탄성부재(6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록킹부재(620)는 록킹홈(610)에 걸림되는 걸림후크(621)와, 걸림후크(621)의 일측으로 연장되어 누름동작되는 버튼부(622)로 구성될 수 있다.The locking unit 600 is a locking groove 610 formed on one side of the ear set 300, the locking member 620 is locked to the locking groove 610 and arranged to be linearly movable in the terminal body 200, and locking A locking elastic member 630 may be provided to impart elastic force to the member 620. The locking member 620 may include a hook hook 621 that is locked to the locking groove 610, and a button part 622 extended to one side of the hook hook 621 and pressed.

상기 록킹유닛(600)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바디(200)에 장착된 록킹 부재(620)의 걸림후크(621)가 이어셋(300)에 형성된 록킹홈(610)에 걸림으로써, 이어셋(300)이 제2 바디(200)에 록킹된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locking unit 600, as shown in FIG. 9, the locking hook 621 of the locking member 620 mounted to the second body 200 is formed in the earset 300 By locking to 610, the earset 300 is locked to the second body 200.

사용자에 의해 버튼부(622)가 누름동작되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후크(621)가 직선 이동되어 걸림홈(610)으로부터 록킹이 해제되게 된다. 이에 따라 이어셋(300)은 이어셋 장착부(500)로부터 분리되게 된다. 그리고,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록킹부재(620)의 일측에 장착된 록킹 탄성부재(630)의 탄성력에 의하여, 록킹 부재(620)는 원래의 위치로 복원하게 된다.When the button unit 622 is pushed by the user, as shown in FIG. 10, the locking hook 621 is linearly moved to release the locking from the locking groove 610. Accordingly, the ear set 300 is separated from the ear set mounting unit 500. And, as shown in Figure 11 by the elastic force of the locking elastic member 630 mounted on one side of the locking member 620, the locking member 620 is restored to its original position.

한편, 상기 록킹부재(620)의 일측에는 이어셋(300)이 분리될 때 이어셋(300)이 튀어 나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록킹부재(620)를 누르면 이어셋(300)에 마찰 접촉되는 마찰부(640)가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on one side of the locking member 620, when the earset 300 is separated, the friction part 640 is in friction contact with the earset 300 by pressing the locking member 620 to prevent the ear set 300 from popping out. Can be formed.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어셋(300)은 커버(700)와 이어셋 장착부(500) 사이에 배치된 커버 탄성부재(710)에 의하여 이어셋(300)이 분리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받고 있기 때문에, 이어셋(300)이 상기 버튼부(622)의 누름 동작에 의하여 이어셋 장착부(500)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탄성력에 의하여 이어셋 장착부(500) 밖으로 튀어 나갈 수 있다. 상기 마찰부(640)는 상기 록킹부재(620)의 일측에 버튼부(622)를 누르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기 형태로 형성되어, 이러한 튕김 현상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earset 300 is receiving the elastic forc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earset 300 is separated by the cover elastic member 710 disposed between the cover 700 and the earset mounting portion 500, the earset 300 ) Is separated from the ear set mounting unit 500 by the pressing operation of the button unit 622, it can be protruded out of the ear set mounting unit 500 by the elastic force. The friction part 640 is formed in the form of a protrusion extending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button portion 622 is pushed on one side of the locking member 620, thereby preventing such a phenomenon.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부(622)가 누름 동작되면, 록킹부재(620)가 직선이동됨에 따라 록킹부재(620)의 일측에 형성된 마찰부(640)가 이어셋(300)에 마찰 접촉된다. 그리고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록킹부재(620)가 록킹 탄성부재(630)의 탄성력에 의하여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는 과정에서 마찰부(640)와 이어셋 (300)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이 점점 줄어들게 된다. 마찰부(640)와 이어셋(300)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은 이어셋(300)에 작용하는 탄성력과 반대로 작용하므로,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이어셋(300)이 이어셋 장착부(500)에서 튀어 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When the button unit 622 is pushed as shown in FIG. 10, as the locking member 620 is linearly moved, the friction part 640 formed at one side of the locking member 620 is in friction contact with the ear set 300. . And as shown in Figure 11 in the process of restoring the locking member 620 to its original position by the elastic force of the locking elastic member 630 to reduce the friction force acting between the friction portion 640 and the ear set 300 gradually. do. Since the frictional force acting between the friction part 640 and the earset 300 acts opposite to the elastic force acting on the earset 300, the earset 300 prevents the protruding from the earset mounting part 500 through the above configuration. can do.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를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In the above descrip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단말기 바디와 무선교신 가능한 이어셋을 단말기 바디에 장착함으로써, 사용자가 이어셋을 별도로 휴대하여야 하는 불편과 이어셋의 분실의 위험을 해소하여,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structed and operated as described above is equipped with the ear body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terminal body, thereby eliminating the inconvenience of the user having to carry the ear set separately and the risk of losing the ear set. It is effective to provide convenience.

또한, 이어셋의 두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단말기 바디에 이어셋을 장착할 때 이어셋의 두께를 줄임으로써, 이어셋이 장착되는 단말기 바디의 장착공간을 축소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슬림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by reducing the thickness of the earset when the earset is mounted on the terminal body by adjusting the thickness of the earset,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mounting space of the terminal body on which the earset is mounted, thereby providing a slim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t works.

또한, 이어셋에 단말기의 배터리 전원에 의해 충전되는 내부 배터리를 장착함으로써, 이어셋의 배터리를 별도로 충전하거나 교체할 필요가 없어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mounting an internal battery charged by the battery power of the terminal to the earset, there is no need to separately charge or replace the battery of the earset has the effect of providing convenience to the user.

또한, 이어셋 장착부에 커버를 장착하여, 이어셋이 단말기 바디로부터 분리되더라도 이어셋 장착부를 감춤으로써, 이어셋 장착부가 이동통신 단말기의 미관에 주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In addition, by attaching a cover to the earset mounting portion, even if the earset is separated from the terminal body by hiding the earset mounting portion,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effect of the earset mounting portion on the aesthetic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또한, 단말기 바디에 록킹 유닛을 설치하여, 사용자가 이어셋을 단말기 바디에 보다 편리하게 착탈할 수 있고, 단말기 바디의 록킹유닛에 마찰부를 설치함으로써 이어셋 분리시 이어셋이 단말기 바디로부터 튀어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by installing a locking unit on the terminal body, the user can more easily attach and detach the ear set to the terminal body, and by installing a friction portion in the locking unit of the terminal body to prevent the ear set from popping out of the terminal body when the ear set is removed. There is an advantage to that.

Claims (17)

이어셋 장착부가 형성되는 단말기 바디; 및A terminal body in which an ear set mounting portion is formed; And 상기 이어셋 장착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이어셋을 포함하고,Includes an ear set detachably mounted to the ear set mounting portion, 상기 이어셋은,The ear- 상기 단말기 바디와 대면하는 일면에 록킹홈이 형성되는 이어셋 본체부; 및An earset body part having a locking groov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facing the terminal body; And 상기 일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돌출 길이를 조절 가능하게 형성되는 스피커부를 포함하며,Protruding from the one surface and comprises a speaker portion formed to adjust the protruding length, 상기 이어셋 장착부는,The earset mounting portion, 상기 단말기 바디의 두께 방향으로 리세스 되는 장착홈;A mounting groove recessed in a thickness direction of the terminal body; 상기 장착홈의 일면에 장착되고 상기 스피커부에 접하여 상기 두께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는 탄성부재; 및An elastic member mounted on one surface of the mounting groove and elastically deform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in contact with the speaker; And 상기 이어셋을 이어셋 장착부에 고정시키거나 이어셋 장착부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는 록킹부재를 포함하며,And a locking member configured to fix the ear set to the ear set mounting portion or to separate the ear set from the ear set mounting portion. 상기 록킹부재는,The locking member, 상기 록킹홈에 삽입되어 록킹홈의 돌기에 걸리는 걸림후크;A locking hook inserted into the locking groove and caught by a protrusion of the locking groove; 상기 걸림후크와 연결되어 상기 걸림후크를 상기 삽입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버튼부; 및A button part connected to the locking hook to move the locking hook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insertion direction; And 상기 버튼부로부터 상기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이어셋 분리 시 상기 스피커부의 일측면에 마찰력을 가하는 마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And a friction unit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from the button unit to apply a friction force to one side of the speaker unit when the ear set is separated.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이어셋 장착부는 상기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The earset mounting portion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n the back of the terminal body.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이어셋 장착부는 상기 이어셋 본체부가 삽입되는 제1장착부와, 상기 스피커부가 장착되는 제2장착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The earset mounting unit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the first mounting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earset body portion, the second mounting portion is mounted to the speaker unit.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스피커부는,The speaker unit includes: 내부에 스피커가 설치되고 이어셋 본체부의 일측면에서 돌출되게 형성되는 스피커 바디; 및A speaker body installed inside the speaker body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earset body part; And 상기 스피커 바디의 외주면을 따라 상기 스피커 바디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사용자의 귀에 삽입되어 상기 이어셋이 귀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지지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And a support member movably mount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peaker body alo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peaker body and inserted into a user's ear to support the earset to maintain a state of being inserted into the ear. 제4항에 있어서,5. The method of claim 4, 상기 스피커 바디와 지지부재 사이에는 상기 지지부재를 회전시키면 지지부재가 스피커 바디의 외주면에서 직선 이동되도록 하는 가이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And a guide part formed between the speaker body and the support member to rotate the support member so that the support member moves linearly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peaker body. 제5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5, 상기 가이드부는,The guide portion 상기 스피커 바디의 외주면에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가이드 슬롯과;A guide slot spirally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peaker body; 상기 지지부재의 외주면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슬롯에 삽입되어 가이드 슬롯을 따라 이동되는 가이드 돌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And a guide protrusion formed to protrude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member and inserted into the guide slot and moved along the guide slot. 제6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상기 가이드 슬롯의 양쪽 끝부분에는 지지부재가 인출 및 인입된 상태를 유지시키도록 상기 가이드 돌기가 걸림되는 고정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Both ends of the guide slot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fixing portion is engaged with the guide projection is formed to maintain the pulled out and drawn stat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이어셋 본체부는 소리를 입력하는 마이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The earset body unit further comprises a microphone for inputting a sound.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이어셋 본체부는 정보를 입력하는 키버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The earset body unit further comprises a key button for inputting information.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이어셋 본체부에는 내장형 배터리가 장착되고, 상기 내장형 배터리는 단말기 바디의 배터리 전원에 의해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The earset main body is equipped with a built-in battery, the built-in battery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charge by the battery power of the terminal body.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단말기 바디는 상기 이어셋을 상기 이어셋 장착부에서 분리하면 상기 이어셋 장착부를 덮어주는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The terminal body further comprises a cover that covers the earset mounting portion when the earset is separated from the earset mounting portion. 제11항에 있어서,12. 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커버는 이어셋 장착부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커버와 이어셋 장착부의 내면 사이에 커버 탄성부재가 설치되어 상기 커버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The cover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ear set is arranged to be movable linearly, a cover elastic member is provided between the cover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ear set mounting portion to provide an elastic force to the cover. 제1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커버 탄성부재는 원추형 코일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The cover elastic member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ical coil spring.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070057879A 2007-06-13 2007-06-13 Mobile terminal KR101337532B1 (en)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7879A KR101337532B1 (en) 2007-06-13 2007-06-13 Mobile terminal
DE102007059693.8A DE102007059693B4 (en) 2007-06-13 2007-12-12 Portable terminal
TW097101977A TWI384843B (en) 2007-06-13 2008-01-18 Portable terminal
US12/018,077 US8204549B2 (en) 2007-06-13 2008-01-22 Portab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7879A KR101337532B1 (en) 2007-06-13 2007-06-13 Mobile termin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9491A KR20080109491A (en) 2008-12-17
KR101337532B1 true KR101337532B1 (en) 2013-12-06

Family

ID=40368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7879A KR101337532B1 (en) 2007-06-13 2007-06-13 Mobile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7532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26122A1 (en) * 2014-02-21 2015-08-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ed in a cov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2588B1 (en) * 2007-11-27 2014-08-21 엘지전자 주식회사 Portable terminal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25581A1 (en) * 2005-07-01 2007-02-01 Bradford Eric R Headset with a retractable speaker portion
US20070037551A1 (en) 2005-04-26 2007-02-15 Roman Piekarz Hands-free installation for mobile telephones and control unit therefor
US20070042821A1 (en) * 2005-08-22 2007-02-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Wrist watch-type headset assembly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37551A1 (en) 2005-04-26 2007-02-15 Roman Piekarz Hands-free installation for mobile telephones and control unit therefor
US20070025581A1 (en) * 2005-07-01 2007-02-01 Bradford Eric R Headset with a retractable speaker portion
US20070042821A1 (en) * 2005-08-22 2007-02-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Wrist watch-type headset assembly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26122A1 (en) * 2014-02-21 2015-08-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ed in a cover
US9661771B2 (en) 2014-02-21 2017-05-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ed in a cov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9491A (en) 2008-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279264A1 (en) Electronic device
KR100663535B1 (en) Spaker/replaceable cradle/charging combination apparatus for portable phone
US20060126882A1 (en) Earphone
US20130237290A1 (en) Protective Communications Device Housing for Retractable Audio Devices Having Optional Gripping Mechanism
TWI384843B (en) Portable terminal
KR20040077486A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hands free operation for a phone
KR20060113603A (en) Headset
KR101337532B1 (en) Mobile terminal
EP2544430A2 (en) Wireless headset with touch pen
JP5149729B2 (en) Portable terminal
US7640042B2 (en) Buckle phone
KR100809548B1 (en) Wireless headset
KR100760341B1 (en) Sound instrument
KR100700597B1 (en) Mobile terminal
CN210183373U (en) Ear hanging type mobile telephone
KR20090000629U (en) Bluetooth speaker
KR100698321B1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KR100335755B1 (en) A keyboard-phone system
KR101432588B1 (en) Portable terminal
KR100725627B1 (en) Sound and communication device with earphone
KR20070040950A (en) Earring type wireless transmitter-receiver for mobile phone
KR200210404Y1 (en) Handsfree for an automobile
KR200404367Y1 (en) A sound device comprising detachable speaker system and roll assembly
KR101109021B1 (en) Hands-free apparatus
WO2002098167A2 (en) Device and apparatus for use with a portable communications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