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6925B1 - Walking Support Robot for Efficient Electronic Health Record - Google Patents

Walking Support Robot for Efficient Electronic Health Recor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6925B1
KR101336925B1 KR1020120000308A KR20120000308A KR101336925B1 KR 101336925 B1 KR101336925 B1 KR 101336925B1 KR 1020120000308 A KR1020120000308 A KR 1020120000308A KR 20120000308 A KR20120000308 A KR 20120000308A KR 101336925 B1 KR101336925 B1 KR 1013369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information
measuring
mode
wal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030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079054A (en
Inventor
이응혁
이동광
천정봉
엄수홍
고민수
장문석
Original Assignee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003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6925B1/en
Publication of KR201300790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905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69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692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4Wheeled walking aids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4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motor-driven
    • A61G5/048Power-assistance activated by pushing on hand rim or on handleb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4Wheeled walking aids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H2003/043Wheeled walking aids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with a drive mechanis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with further special therapeutic means, e.g. electrotherapy, magneto therapy or radiation therapy, chromo therapy, infrared or ultraviolet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23Interfaces to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23Interfaces to the user
    • A61H2201/5043Displa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30/00Measuring physical parameters of the user
    • A61H2230/08Other bio-electrical signals
    • A61H2230/085Other bio-electrical signals used as a control parameter for the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30/00Measuring physical parameters of the user
    • A61H2230/20Blood composition characteristics
    • A61H2230/207Blood composition characteristics partial O2-value
    • A61H2230/208Blood composition characteristics partial O2-value used as a control parameter for the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30/00Measuring physical parameters of the user
    • A61H2230/25Blood flowrate, e.g. by Doppler effect
    • A61H2230/255Blood flowrate, e.g. by Doppler effect used as a control parameter for the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30/00Measuring physical parameters of the user
    • A61H2230/50Temperature
    • A61H2230/505Temperature used as a control parameter for the apparatu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행보조기 모드와 휠체어 모드에서 고령자 등 신체 활동이 불편한 사용자의 안전하고 편안한 보행 보조가 가능하도록 하도록 한 보행보조로봇을 통하여, 여기에 장착한 각종 생체신호측정 기구들을 이용해 손쉽게 몸의 이상 유무 등 건강상태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하여 일상생활을 지원하고, 이와 같이 측정된 생체 관련 정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며, 간호사의 도움 없이도 고령자의 건강상태를 확인 및 치료할 수 있도록 보조하여 질 높은 의료서비스가 가능하도록 한 보행보조로봇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walk aid robot mode and wheelchair mode through the walking aid robot to enable a safe and comfortable walking aid for users with physical disabilities, such as elderly people, using the various bio-signal measuring instruments attached to it easily or not It can support your daily life by measuring your health status, manage your bio-related information efficiently, and assist you to check and treat the health status of the elderly without the help of nurses. It is about a walking aid robot.

Figure R1020120000308
Figure R1020120000308

Description

효율적인 전자 건강 기록이 가능한 보행 보조 로봇 {Walking Support Robot for Efficient Electronic Health Record}Walking Support Robot for Efficient Electronic Health Record

본 발명은 보행 보조 로봇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보행보조기 모드와 휠체어 모드에서 고령자 등 신체 활동이 불편한 사용자의 안전하고 편안한 보행 보조가 가능하도록 하도록 한 보행보조로봇을 통하여, 여기에 장착한 각종 생체신호측정 기구들을 이용해 손쉽게 몸의 이상 유무 등 건강상태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하여 일상생활을 지원하고, 이와 같이 측정된 생체 관련 정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며, 간호사의 도움 없이도 고령자의 건강상태를 확인 및 치료할 수 있도록 보조하여 질 높은 의료서비스가 가능하도록 한 보행보조로봇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lking aid robot, and in particular, through the walking aid robot to enable a safe and comfortable walking aid for users with physical discomfort, such as elderly people in the walking aid mode and wheelchair mode, various biological signals mounted thereon By using measuring instruments, it is possible to easily measure the state of health, such as the presence of abnormalities in the body, to support daily life, to efficiently manage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living body as described above, and to check and treat the health status of the elderly without the help of nurse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lking aid robot that assists to ensure high quality medical services.

오늘날 의약의 발달과 삶의 질 향상으로 인해 노인 인구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고 이에 따른 실버산업 및 노인들을 위한 갖가지 기구들이 개발되고 있다. Today, due to the development of medicine and the improvement of quality of life, the elderly population is rapidly increasing, and accordingly, the silver industry and various institutions for the elderly are being developed.

고령자들의 일상생활을 하기 위해서는 가장 기본적으로 보행에 불편함이 없어야 한다. 하지 근력이 저하된 대부분의 고령자들은 일상생활에서 4점 지팡이 또는 유모차 형태의 보행기(walker)의 도움을 받아 생활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 보행기들은 고령자들이 외출 시 충분한 편의성을 제공하지 못하며, 그 기기가 제공하는 기능도 현재 고령자의 욕구 사항을 충분히 만족시키지 못하고 있다. 편의성 및 기능향상에 관련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공학적 기술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고령자의 일상생활을 지원하기 위해서 개발되는 보행보조로봇은 기본적으로 고령자 보행을 보조하고, 앉기 동작 및 서기 동작을 도와주며, 고령자를 안전하고 편안하게 이동하는 기능이 최선 되어야 한다. 일본 히타치에서 개발된 Power Assisted Walking Support System, 미국 Camegie Mellon 대학에서 개발한 Robotic Walker등 보행보조로봇 관련 기술이 있지만, 편리하고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도록 개선이 필요한 실정이다. In order to live the daily life of the elderly should be basically no inconvenience to walking. Most elderly people who have lowered muscle strength live with the help of walker in the form of a four-point cane or stroller in their daily lives. However, these walkers do not provide enough convenience for the elderly to go out, and the functions provided by the device do not satisfy the needs of the elderly at present.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related to convenience and function improvement, the necessity of engineering technology is increasing. The walking aid robot developed to support the daily life of the elderly should basically support the elderly walking, assist the sitting and standing motion, and the ability to move the elderly safely and comfortably should be the best. Although there are pedestrian-assisted robot-related technologies, such as the Power Assisted Walking Support System developed by Hitachi, Japan, and the Robotic Walker developed by Camegie Mellon University in the United States, there is a need for improvements to be used conveniently and safely.

또한, 지금까지의 의료행위나 건강관리를 위해서 ECG, EEG EMG, 혈압, PPG, 체온 등과 같은 생체신호 정보들을 측정해왔다. 이러한 생체 신호 정보들을 측정 하기 위해서는 피측정자의 구속은 불가피했다. 하지만, 과학기술의 발전에 따라 환자나 사용자가 언제 어디서나 의료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유비쿼터스 헬스케어 서비스가 이루어지게 되었다. 그러나 고령자가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서 고령자의 간병을 도와줄 간호사의 수는 점점 줄어들고 있고, 병을 가지고 있는 고령자들은 언제나 몸의 이상 유무를 체크하여 건강상태를 확인해야 한다. 또한 이러한 생체측정 장비들은 사용하기 어렵고, 부피가 커서 외출 시에는 들고 다니기에는 많은 불편함을 가지고 있어 고령자들의 건강상태를 체크하기에는 어려움이 발생한다.In addition, biosignal information such as ECG, EEG EMG, blood pressure, PPG, and body temperature has been measured for medical activities and health care. In order to measure the biosignal information, the subject's restraint was inevitable. However, with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a ubiquitous healthcare service is provided in which patients or users can receive medical services anytime and anywhere. However, as the number of elderly people continues to increase, the number of nurses to help care for the elderly is decreasing. Elderly people with illnesses should always check their health by checking for abnormalities. In addition, these biometric devices are difficult to use, and because of their large volume, they have a lot of inconveniences to carry when they go out, which makes it difficult to check the health status of the elderly.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보행보조기 모드와 휠체어 모드에서 고령자 등 신체 활동이 불편한 사용자의 안전하고 편안한 보행 보조가 가능하도록 하도록 한 보행보조로봇을 통하여, 여기에 장착한 각종 생체신호측정 기구들을 이용해 손쉽게 몸의 이상 유무 등 건강상태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하여 일상생활을 지원하고, 이와 같이 측정된 생체 관련 정보는 신속하게 보행보조로봇에 장착된 정보 수집 단말을 통해 유무선으로 모니터링 컴퓨터 또는 인터넷 상의 웹 서버로 통보되어 관리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 대한 전자 건강 기록(EHR)의 효율성을 높이고 간호사의 도움 없이도 고령자의 건강상태를 확인 및 치료할 수 있도록 보조하여 질 높은 의료서비스가 가능하도록 한 보행보조로봇을 제공하는 데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e walking aid robot to enable a safe and comfortable walking aid for users with physical discomfort, such as the elderly in the walking aid mode and wheelchair mode In addition, it supports the daily life by easily measuring the state of health such as the presence of abnormality of the body by using various bio-signal measuring instruments attached to it, and the measured bio-related information is quickly collected on the walking aid robot. Through the terminal, it is notified to the monitoring computer or the web server on the Internet through wired and wireless, so that the user can improve the efficiency of electronic health record (EHR) for the user and to check and treat the health status of the elderly without the help of a nurse. Providing a walking aid robot to enable medical services There used.

먼저, 본 발명의 특징을 요약하면,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보행 보조기 모드와 휠체어 모드에서 사용자의 조이스틱 조작에 따라 진행방향을 결정하고 사용자의 악력을 감지하는 힘센서에서 발생하는 센서 신호에 따라 해당 속도로 진행하여 사용자의 보행을 보조하는 보행 보조 로봇은, 보행보조기모드에서 사용자의 생체신호를 측정하기 위해 보행보조기모드 조이스틱 주변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보행보조기모드 측정기구와 휠체어모드에서 사용자의 생체신호를 측정하기 위해 수납용 공간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휠체어모드 측정기구를 포함하는 복수의 생체신호측정 기구; 상기 보행보조기모드 측정기구와 케이블로 연결되어 상기 보행보조기모드 측정기구의 측정 시작을 제어해 상기 보행보조기모드 측정기구로부터 출력되는 생체 신호를 수집하며, 상기 휠체어모드 측정기구와 무선 통신으로 연결되어 상기 휠체어모드 측정기구로부터 출력되는 생체 신호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 단말; 및 상기 정보 수집 단말이 수집하여 전송하는 상기 생체 신호를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방식으로 수신하여, 상기 생체 신호의 처리를 통해 디스플레이 수단으로 비주얼하게 표시하기 위한 사용자의 생체 관련 정보를 생성하고 저장하여 관리하는 정보 처리 장치를 포함한다.First, to summarize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ccordance with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walking aid mode and wheelchair mode to determine the direction of travel according to the user's joystick operation and the user's grip force According to the sensor signal generated by the sensing force sensor, the walking aid robot that proceeds at a corresponding speed and assists walking of the user may include one or more walking aids installed around the walking aid mode joystick to measure the user's biological signal in the walking aid mode. A plurality of biosignal measuring instruments including a mode measuring mechanism and at least one wheelchair mode measuring mechanism installed in a storage space for measuring a user's biosignal in a wheelchair mode; It is connected to the pedestrian mode measuring device by a cable to control the start of measurement of the pedestrian mode measuring device to collect the biological signal outputted from the pedestrian mode measuring device, and is connected to the wheelchair mode measuring device by wireless communication An information collection terminal for collecting bio signals output from the wheelchair mode measuring device; And receiving, by wire or wireless communication, the bio-signal collected and transmitted by the information collection terminal, generating, storing and managing bio-related information of the user for visual display on a display means through processing of the bio-signal. A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s included.

상기 보행보조기모드 측정기구는, 사용자의 손가락을 통해 SPO2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 사용자의 손 또는 손가락을 통해 심전도 측정을 위한 센서, 사용자의 손 또는 손가락을 통해 체온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 또는, 사용자의 손 또는 손가락을 통해 맥박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를 포함한다.The walk assist mode measuring apparatus may include a sensor for measuring SPO2 through a user's finger, a sensor for measuring ECG through a user's hand or finger, a sensor for measuring body temperature through a user's hand or finger, or a user. It includes a sensor for measuring the pulse through the hand or finger.

상기 휠체어모드 측정기구는, 사용자의 혈당 측정용 혈당계, 또는, 상기 보행 보조 로봇에 장착된 혈압 측정용 공기압 발생 수단으로부터 공기압을 제공받아 사용자의 혈압을 측정하기 위한 혈압계를 포함한다. 상기 수납용 공간에는 사용자의 저주파 안마 자극을 위한 저주파 안마 자극기를 구비할 수 있다.The wheelchair mode measuring device includes a blood glucose meter for measuring a user's blood sugar, or a blood pressure monitor for receiving the air pressure from the air pressure generating mean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mounted on the walking assistance robot. The storage space may include a low frequency massage stimulator for low frequency massage stimulation of the user.

상기 정보 처리 장치는, 사용자의 상기 생체 관련 정보를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방식으로 인터넷 상의 모니터링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모니터링 서버는 수신한 사용자의 생체 관련 정보를 각 사용자별로 구분하여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Th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may transmit the biometric information of the user to a monitoring server on the Internet by wire or wireless communication, and the monitoring server may store and manage the biometric information of the received user for each user. .

운영자, 관리자, 또는 의사를 포함하는 지시자는 상기 모니터링 서버의 디스플레이 수단을 통해 사용자의 생체 관련 정보를 조회하며, 지시자의 의견, 또는 처방전 정보를 입력하여 상기 정보 처리 장치로 전송되도록 하여, 상기 정보 처리 장치가 관련 하나 이상의 해당 생체 관련 정보에 대응시켜 저장하고 디스플레이 수단을 통해 사용자가 해당 정보를 조회하여 볼 수 있도록 가능하다.An indicator including an operator, a manager, or a doctor inquires the user's biometric information through a display means of the monitoring server, inputs an opinion of an indicator or prescription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information to th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thereby processing the information. The device may be stored in correspondence with one or more pieces of relevant bio-related information and may be viewed and viewed by the user through the display means.

본 발명에 따른 보행보조로봇에 따르면, 보행보조기 모드와 휠체어 모드에서 고령자 등 신체 활동이 불편한 사용자의 안전하고 편안한 보행 보조가 가능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보행보조로봇에 장착한 각종 생체신호측정 기구들을 이용해 손쉽게 몸의 이상 유무 등 건강상태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일상생활을 지원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walking aid rob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enabling the safe and comfortable walking assistance of users with physical discomfort, such as elderly people in the walking aid mode and wheelchair mode, by using a variety of bio-signal measurement instruments mounted on the walking aid robot Easily measure the state of health, such as the presence of abnormalities in the body can support the user's daily life.

또한, 이와 같이 측정된 생체 관련 정보는 신속하게 보행보조로봇에 장착된 정보 수집 단말을 통해 유무선으로 모니터링 컴퓨터 또는 인터넷 상의 웹 서버로 통보되어 관리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 대한 전자 건강 기록(EHR)의 효율성을 높이고 간호사의 도움 없이도 고령자의 건강상태를 확인 및 치료할 수 있도록 보조하여 질 높은 의료서비스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io-related information measured as described above can be promptly communicated to a monitoring computer or a web server on the Internet through a data collection terminal mounted on a walking aid robot, thereby managing the efficiency of an electronic health record (EHR) for a user.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quality of health care services by assisting them to check and treat the health of the elderly without the help of nurse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행 보조 로봇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행 보조 로봇의 보행 보조기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행 보조 로봇의 보행 보조기 모드에서의 손잡이 부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행 보조 로봇의 보행 보조기 모드에서의 SPO2 센서의 측정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행 보조 로봇의 휠체어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행 보조 로봇의 인터넷 서버와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view for explaining a walking assistance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for explaining a walking aid mode of the walking aid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for explaining a handle portion in the walking aid mode of the walking aid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asuring method of the SPO2 sensor in the walking aid mode of the walking aid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for explaining a wheelchair mode of the walking assistance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alking aid robot and the Internet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Reference will now be made in detail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examples of which are illustra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like elements throughout.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행 보조 로봇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view for explaining a walking assistance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행 보조 로봇은, 측정과 생체신호 수집을 위한 정보 수집 단말(110), 컴퓨터(예, 노트북, 데스크탑, 태블릿 PC 등)와 같은 정보 처리 장치(120), 및 조이스틱 주변과 수납용 공간(140)에 설치 또는 구비된 복수의 생체신호측정 기구(도 1의 111, 112, 113, 도 5의 141, 142, 143)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 a walking assistance robo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such as an information collection terminal 110 and a computer (eg, a laptop, a desktop, a tablet PC, etc.) for measurement and biosignal collection. And a plurality of biosignal measuring instruments (111, 112, 113 of FIG. 1, 141, 142, and 143 of FIG. 5) installed or provided around the joystick and the storage space 140.

먼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행 보조 로봇의 보행 보조 동작을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행 보조 로봇은, 보행 보조기 모드와 휠체어 모드에서 사용자의 조이스틱(또는 손잡이)(150, 160, 190) 조작에 따라 진행방향을 결정하고 사용자의 악력을 감지하는 힘센서(조이스틱 하부에 설치됨)에서 발생하는 센서 신호에 따라 해당 속도로 진행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 구동 제어 장치(도시 되지 않음)의 제어를 통해 전반적인 전후좌우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First, the walking assistance operation of the walking assistance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alking assistance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s joystick (or handle) in the walking aid mode and wheelchair mode 150 (160, 190) drive control device including a processor for controlling to proceed at a corresponding speed according to the sensor signal generated from the force sensor (installed under the joystick) to determine the direction of movement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user's grip (not shown)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movements can be made through the control of the control panel.

도 2와 같이 신체 활동이 불편한 사용자가 보행 보조 로봇을 보행 보조기 모드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주로 사용자가 서서 조이스틱(또는 손잡이)(150, 160)를 잡고 수동으로 앞으로 밀고 다닐 수도 있고, 사용자의 악력을 감지하는 힘센서(조이스틱 하부에 설치됨)에 사용자가 손으로 힘을 가하여 진행속도가 일정 속도로 유지되게 하고, 조이스틱(또는 손잡이)(150, 160)을 조작해 전후좌우 진행방향을 조절하여 해당 방향으로 서서히 움직이도록 함으로써 보행이 보조되도록 할 수 있다. When the user who is inconvenient to physical activity as shown in FIG. 2 uses the walking assistance robot in walking aid mode, the user may stand and hold the joystick (or handle) 150 and 160 and push forward manually, or the user's grip The user applies a force to the force sensor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joystick) to sense the movement speed to maintain a constant speed, and manipulates the joystick (or the handle) 150, 160 to adjust the forward, backward, left and right directions. Walking can be assisted by moving slowly in the direction.

도 5와 같이, 신체 활동이 불편한 사용자가 보행 보조 로봇을 휠체어 모드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앉을 수 있도록 의자(130)를 편 후 의자(130)에 앉아 사용자의 악력을 감지하는 힘센서(조이스틱(190) 하부에 설치됨)에 사용자가 손으로 힘을 가하여 진행속도가 일정 속도로 유지되게 하고, 팔걸이 쪽의 조이스틱(또는 손잡이)(190)을 조작해 전후좌우 진행방향을 조절하여 해당 방향으로 서서히 움직이도록 함으로써 보행이 보조되도록 할 수 있다. 힘센서로서는 FSR(Force Sensitive Resistor) 복수개를 이용해 구성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5, when a user who is uncomfortable with physical activity uses the walking assistance robot in a wheelchair mode, a force sensor for detecting a user's grip force sitting on the chair 130 after the chair 130 is opened to allow the user to sit down ( The joystick 190 is installed under the user) to apply the force by hand to maintain the traveling speed at a constant speed, and to operate the joystick (or handle) 190 on the armrest side to adjust the forward and backward, left and right direction in the corresponding direction By moving slowly, walking can be assisted. The force sensor may be configured using a plurality of Force Sensitive Resistor (FSR).

위와 같이, 사용자가 보행보조로봇을 구동하여 차량을 진행시킬 때, 팔 걸이 주위에 설치한 조이스틱(150, 160, 190)을 조작하여 전후좌우 진행하도록하거나 힘센서 부분을 눌러 원하는 속도로 진행하도록 할 수 있다. 힘센서는 조이스틱 하부에 부착하는 것이 좋은데, 그 이유는 사용자가 보행보조로봇에 몸을 의지하여도 힘센서에 힘이 전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만약 사용자가 앞으로 나가지 않고 몸을 보행보조로봇에 지지하고자 하면 힘 센서에 힘이 전달되지 않는다. 따라서 사용자가 보행보조로봇을 전진시키고자 한다면 사용자가 손잡이 밑 부분의 힘센서를 가볍게 눌러 악력을 사용하게 되면 힘의 크기에 따라 모터의 전원을 공급하여 바퀴를 구동하게 된다. 또한 접혀 있는 의자를 펴게 되면 자동으로 인식하여 휠체어 모드로 사용이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user drives the walking aid robot to proceed with the vehicle, the joysticks 150, 160, and 190 installed around the armrests are operated to move forward, backward, left and right or press the force sensor to proceed at a desired speed. Can be. The force sensor is preferably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joystick, so that the force is not transmitted to the force sensor even when the user relies on the walking aid robot. If the user tries to support the walking aid robot without moving forward, no force is transmitted to the force sensor. Therefore, if the user wants to advance the walking aid robot, when the user uses the grip force by lightly pressing the force sensor under the handle, the wheel is driven by supplying power to the motor according to the magnitude of the force. In addition, when the folding chair is opened, it can be recognized automatically and can be used in wheelchair mode.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행보조로봇에는 속도 변화를 감지하기 위한 복수의 가속도 센서를 구비하여 이들의 신호를 이용해 제어장치가 오르막 또는 내리막을 감지하여 바퀴 속도를 감소 또는 증가시키도록 모터를 제어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보행보조로봇 주위에 장애물 감지를 위한 복수의 초음파 센서를 구비하여 이들의 신호를 이용해 제어장치가 주위의 장애물을 감지하여 바퀴 속도를 감소시키거나 정지하도록 모터를 제어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walking assistance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acceleration sensors for detecting a speed change, and the control device detects an uphill or downhill using these signals to reduce or increase the wheel speed. In addition, a plurality of ultrasonic sensors for detecting obstacles around the walking aid robot can be used to control the motor to reduce or stop the wheel speed by detecting obstacles around them using these signals. have.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행 보조 로봇은, 보행보조기 모드와 휠체어 모드에서 고령자 등 신체 활동이 불편한 사용자가 안전하고 편안하게 보행을 보조하도록 작동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보행보조로봇에 장착한 각종 생체신호측정 기구들(도 1의 111, 112, 113, 도 5의 141, 142, 143)을 이용해 손쉽게 몸의 이상 유무 등 건강상태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일상생활을 지원하도록 하였다. 또한, 이와 같이 측정된 생체 관련 정보는 하기하는 바와 같이 신속하게 본 발명의 보행보조로봇에 장착된 정보 수집 단말(110)을 통해 유무선으로 모니터링을 위한 정보 처리 장치(120) 또는 인터넷 상의 모니터링 서버(도 6 참조)로 통보되어 관리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 대한 전자 건강 기록(EHR)의 효율성을 높이고 간호사의 도움 없이도 고령자의 건강상태를 확인 및 치료할 수 있도록 보조하여 질 높은 의료서비스가 가능하도록 하였다.As described above, the walking assistance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operate to assist walking in safety and comfort for users who are inconvenient to physical activity, such as the elderly in the walking aid mode and the wheelchair mode, and in addition to the walking assistance robot. Various bio-signal measuring instruments (111, 112, 113 of Figure 1, 141, 142, 143 of Figure 5) to easily measure the state of health, such as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body to support the daily life of the user. In addition, the bio-related information measured as described above can be quickly and wirelessly through the information collection terminal 110 mounted on the walking aid robo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120 or monitoring server on the Internet ( By being informed and managed (see FIG. 6), the quality of electronic health records (EHR) for the user is improved and the quality of medical services are supported by assisting the identification and treatment of the health status of the elderly without the help of nurses.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행 보조 로봇의 보행보조기모드에서는 사용자의 생체신호를 측정하기 위해 보행보조기모드 조이스틱(또는 손잡이)(150/160) 주변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보행보조기모드 측정기구(111, 112, 113)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필요한 생체 신호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행 보조 로봇의 휠체어모드에서는 사용자의 생체신호를 측정하기 위해 수납용 공간(140)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휠체어모드 측정기구(도 5의 141, 142, 143)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필요한 생체 신호를 측정할 수 있다. In the walking aid mode of the walking aid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or more walking aid mode measuring mechanism 111 installed around the walking aid mode joystick (or handle) (150/160) to measure the user's biological signal 112 and 113 may be used to measure the biosignal required by the user. In addition, in the wheelchair mode of the walking assistance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or more wheelchair mode measuring devices (141, 142, and 143 of FIG. 5) install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140 to measure a user's biosignal. The user can measure the required biosignal.

먼저, 도 2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행 보조 로봇의 보행보조기모드에서, 사용자는 사용자의 손가락을 통해 SPO2(산소포화도, Oxygen Saturation by Pulse Oximetry)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111), 사용자의 손 또는 손가락을 통해 심전도(ECG) 측정을 위한 센서(112), 사용자의 손 또는 손가락을 통해 체온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113), 또는, 사용자의 손 또는 손가락을 통해 맥박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도시 되지 않음) 등을 통해 필요한 생체 신호를 측정할 수 있다. First, in the walking aid mode of the walking assistance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2, a user 111 measures an SPO2 (Oxygen Saturation by Pulse Oximetry) through a user's finger. A sensor 112 for measuring ECG through a user's hand or finger, a sensor 113 for measuring body temperature through a user's hand or finger, or a pulse for measuring pulse through a user's hand or finger A sensor (not shown) may be used to measure the required biosignal.

이와 같은 측정 기구들은 도 3과 같이 조이스틱(또는 손잡이)(150/160) 주변에 설치됨으로써, 사용자가 보행 보조 로봇을 사용 중에 편리하게 측정될 수 있도록 하였다. 사용자는 조이스틱(또는 손잡이)(150/160) 몸체에 설치된 체온 센서(113)를 통해 조이스틱(또는 손잡이)(150/160)을 잡기만 하면 체온을 측정할 수 있게 되며, 조이스틱(또는 손잡이)(150/160) 하부 팔걸이 바닥이나 조이스틱(또는 손잡이)(150/160) 몸체에 설치된 심전도 센서(112)(또는 맥박 감지 센서)를 통해 조이스틱(또는 손잡이)(150/160)을 잡기만 하면 심전도도 측정할 수 있게 된다. Such measuring instruments are installed around the joystick (or handle) 150/160 as shown in FIG. 3, so that the user can conveniently measure the walking assistance robot during use. The user can measure the body temperature simply by holding the joystick (or handle) 150/160 through the body temperature sensor 113 installed in the joystick (or handle) 150/160, and the joystick (or handle) ( 150/160 Electrocardiogram by simply grasping the joystick (or handle) 150/160 through the ECG sensor 112 (or pulse detection sensor)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lower armrest or on the body of the joystick (or handle) (150/160). You can measure it.

또한, 사용자는 조이스틱(또는 손잡이)(150/160) 몸체 위쪽 끝에 설치된 SPO2 센서(111)를 통해 조이스틱(또는 손잡이)(150/160)을 잡고 손가락을 해당 기구의 벌어진 상단부와 하단부 사이에 끼우기만 하면 SPO2를 측정할 수 있게 된다. SPO2 센서(111)는 도 4와 같이, 상단부에 설치된 파장대가 다른 두 개의 광원(예, 적색광, 적외선광)을 사용하여 나오는 빛을 손가락을 투과시켜 하단부에 설치된 수광부(예, 포토다이오드)에서 투과된 빛에 대한 각각의 전기적 신호, 즉, 용적맥파(PTG) 신호를 검출한다. 이러한 광학적 방법에 의한 PTG 신호 검출이 가능한 것은 혈액내의 산소(02)가 빛을 흡수하기 때문이다. 혈액내에 존재하는 적혈구의 산소헤모글로빈(Hb02)과 순수헤모글로빈 (Hb)은 각각 빛을 흡수하는 흡수계수의 차이가 있다.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산소포화도를 측정하게 되고 측정시 나타나는 PTG 신호는 심장박동의 주기를 갖고 있으며,이러한 신호를 처리하여 혈압 측정할 때에 나타나는 신호와 유사한 형태의 파형을 획득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only grabs the joystick (or handle) 150/160 via the SPO2 sensor 111 installed at the top end of the joystick (or handle) 150/160 and only inserts a finger between the open top and bottom of the instrument. SPO2 can be measured. As shown in FIG. 4, the SPO2 sensor 111 transmits light emitted from two light sources (for example, red light and infrared light) having different wavelength bands installed at the upper end, through a finger, and then passes through a light receiving unit (eg, photodiode) installed at the lower end. Each electrical signal for the emitted light, i.e., a volume pulse wave (PTG) signal, is detected. The PTG signal can be detected by this optical method because oxygen (0 2 ) in the blood absorbs light. Oxygen hemoglobin (Hb0 2 ) and pure hemoglobin (Hb) of red blood cells in the blood have different absorption coefficients. The oxygen saturation is measured using this characteristic, and the PTG signal appearing during the measurement has a heartbeat period. By processing such a signal, a waveform similar to the signal appearing when measuring blood pressure can be obtained.

한편, 정보 수집 단말(110)은 도 6과 같이 보행보조기모드에서 사용될 측정 기구의 측정 시작을 제어하기 위한 복수의 버튼/스위치를 구비하며, 위와 같은 보행보조기모드 측정기구(111, 112, 113 등)와 유선 케이블(경우에 따라서는 블루투스, 지그비, 와이파이 등 무선 통신 연결 가능)로 연결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위와 같은 버튼/스위치를 조작해 해당 측정기구의 측정 시작을 제어하면 해당 측정기구가 측정하여 생성하는 생체 신호를 수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정보 수집 단말(110)은 보행보조기모드 측정기구(111, 112, 113 등)에서 수집된 생체 신호를 근거리통신부(도 6참조)를 통해 유선(RS232 시리얼 통신) 또는 무선 통신(블루투스, 지그비, 와이파이 등) 방식으로 정보 처리 장치(120)로 전송할 수 있다. 정보 처리 장치(120)는 근거리통신부(도 6참조)를 통해 정보 수집 단말(110)로부터 수신하는 생체 신호를 데이터 처리부(도 6 참조)에서 처리를 통해 디스플레이 수단으로 비주얼하게 표시하기 위한 사용자의 생체 관련 정보를 생성하고 메모리에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사용자는 측정과 동시에 실시간 또는 추후 데이터 조회를 통해 해당 생체 관련 정보를 비주얼하게 일자별 또는 시간별 생체 신호의 변화 추이를 그래프 등으로 확인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information collecting terminal 11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buttons / switches for controlling the start of the measurement of the measuring instrument to be used in the walk aid mode as shown in Figure 6, the walk aid mode measuring device (111, 112, 113, etc.) ) And a wired cable (in some cases,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Bluetooth, ZigBee, Wi-Fi, etc.), and when the user controls the start of measurement by controlling the above buttons / switches, The bio signals that are generated can be collected. Accordingly, the information collecting terminal 110 transmits the biological signal collected by the walking aid mode measuring device (111, 112, 113, etc.) through a short range communication unit (see FIG. 6) or wired (RS232 serial communication) or wireless communication (Bluetooth, Zigbee). , Wi-Fi, etc.) may be transmitted to th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120. Th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120 may display the biosignal received from the information collecting terminal 110 through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unit (see FIG. 6) by the data processing unit (see FIG. 6) and visually display the biosignal through the display means. Related information can be created and stored in memory for management. At the same time as the measurement, the user can visually check the relevant bio-related information through a real-time or later data inquiry and check the change of the bio-signal by date or time as a graph.

또한, 도 5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행 보조 로봇의 휠체어 모드에서, 사용자는 사용자의 혈당 측정용 혈당계(141), 또는, 보행 보조 로봇에 장착된 혈압 측정용 공기압 발생 수단(도 1 참조)으로부터 공기압을 제공받아 사용자의 혈압을 측정하기 위한 혈압계(142) 등을 통해 필요한 생체 신호를 측정할 수 있다. 이외에도 수납용 공간(140)에는 사용자의 저주파 안마 자극을 위한 저주파 안마 자극기(143)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필요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wheelchair mode of the walking assistance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5, the user may measure the blood glucose measurement 141 of the user, or the air pressure generating mean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mounted in the walking assistance robot (FIG. 1) can be used to measure the necessary bio-signal through a blood pressure monitor 142 for measuring the blood pressure of the user. In addition, the accommodation space 140 may include a low frequency massage stimulator 143 for stimulating a low frequency massage of the user so that the user may use it when necessary, thereby improving convenience.

이와 같은 휠체어 모드 측정 기구들은 도 5와 같이 사용자가 의자(130)에 앉아 구동할 때 편리하게 꺼내 사용할 수 있도록 손이 닿는 위치의 수납용 공간(140)에 설치됨으로써, 사용자가 보행 보조 로봇을 사용 중에 편리하게 측정될 수 있도록 하였다. Such wheelchair mode measuring instruments are installed in the storage space 140 of the touched position so that the user can conveniently take out and use them when driving by sitting on the chair 130 as shown in FIG. It can be conveniently measured during the test.

이와 같은 휠체어 모드 측정 기구들은 사용자가 필요시 사용하며, 정보 수집 단말(110)과 무선 통신(블루투스, 지그비, 와이파이 등)으로 연결될 수 있다(경우에 따라서는 RS232 유선 시리얼 통신 가능). 이에 따라 정보 수집 단말(110)은 휠체어 모드 측정 기구가 측정하여 생성하는 각각의 생체 신호를 무선으로 수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정보 수집 단말(110)은 휠체어 모드 측정 기구(141, 142 등)에서 수집된 생체 신호를 근거리통신부(도 6참조)를 통해 유선(RS232 시리얼 통신) 또는 무선 통신(블루투스, 지그비, 와이파이 등) 방식으로 정보 처리 장치(120)로 전송할 수 있다. 정보 처리 장치(120)는 근거리통신부(도 6참조)를 통해 정보 수집 단말(110)로부터 수신하는 생체 신호를 데이터 처리부(도 6 참조)에서 처리를 통해 디스플레이 수단으로 비주얼하게 표시하기 위한 사용자의 생체 관련 정보를 생성하고 메모리에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측정과 동시에 실시간 또는 추후 데이터 조회를 통해 해당 생체 관련 정보를 비주얼하게 일자별 또는 시간별 생체 신호의 변화 추이를 그래프 등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Such wheelchair mode measuring instruments are used when necessary by the user, and may be connected to the information collecting terminal 110 by wireless communication (Bluetooth, Zigbee, Wi-Fi, etc.) (when RS232 wired serial communication is possible in some cases). Accordingly, the information collection terminal 110 may wirelessly collect each biosignal measured and generated by the wheelchair mode measuring instrument. Accordingly, the information collection terminal 110 is a wired (RS232 serial communication) or wireless communication (Bluetooth, ZigBee, Wi-Fi, etc.) through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see Fig. 6) the biological signal collected from the wheelchair mode measuring instruments (141, 142, etc.) ) Can be transmitted to th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120 in the following manner. Th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120 may display the biosignal received from the information collecting terminal 110 through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unit (see FIG. 6) by the data processing unit (see FIG. 6) and visually display the biosignal through the display means. Related information can be created and stored in memory for management. Accordingly, the user can visually check the change in the biosignal by date or time by graph or the like by visually searching the relevant biometric information through real-time or later data inquiry.

한편, 도 6을 참조하면, 컴퓨터(예, 노트북, 데스크탑, 태블릿 PC 등)와 같은 정보 처리 장치(120)는 근거리통신부를 통해 와이파이 등의 방식으로 무선 인터넷에 연결되어 인터넷 상의 모니터링 서버와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정보 처리 장치(120)는 메모리에 저장 관리하는 사용자의 생체 관련 정보를 위와 같이 근거리통신부를 통해 인터넷 상의 모니터링 서버로 전송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모니터링 서버는 수신한 사용자의 생체 관련 정보를 각 사용자별로 구분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Meanwhile, referring to FIG. 6, a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120 such as a computer (eg, a laptop, a desktop, a tablet PC, etc.) may be connected to a wireless server through a local area communication unit such as Wi-Fi, and connected with a monitoring server on the Internet. have. Th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120 may transmit the biometric information of the user stored and managed in the memory to the monitoring server on the Internet through the local area communication unit as described above. Accordingly, the monitoring server transmits the received biometric information of the user to each user. It can be classified and stored in the database and managed.

위와 같은 인터넷 상의 모니터링 서버는 병원, 요양원, 재활 치료원, 보건소, 구청 등 신체 활동이 불편한 자를 관리, 치료, 또는 상담 등을 위해 운영되는 센터에서 운영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모니터링 서버를 운영하는 운영자, 관리자, 또는 의사 등 지시자는 수신되는 생체 관련 정보를 확인하고 해당 사용자(환자)에 상응하는 의견, 또는 처방전 정보 등을 정보 처리 장치(120)로 피드백함으로써 사용자가 볼 수 있게 할 수 있다. The monitoring server on the Internet as described above may be operated in a center operated for the management, treatment, or counseling of persons with physical disabilities, such as hospitals, nursing homes, rehabilitation centers, public health centers, and ward offices. The indicator, such as a manager, a doctor, or the like, may check the biometric information received and feedback the feedback or prescrip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 (patient) to th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120 so that the user may view it.

예를 들어, 운영자, 관리자, 또는 의사 등의 지시자는 모니터링 서버의 데이터베이스를 조회하여 사용자의 하나 이상의 생체 관련 정보(심전도, SPO2, 체온, 맥박, 혈당, 혈압 등)를 디스플레이 수단을 통해 그래프 등으로 시간별/날짜별로 확인할 수 있으며, 의견이나 처방이 필요할 때, 모니터링 서버를 통해 필요한 의견, 또는 처방전 정보를 입력하여 정보 처리 장치(120)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정보 처리 장치(120)는 그에 상응하는 하나 이상의 해당 생체 관련 정보에 대응시켜 수신한 의견, 또는 처방전 정보 등을 메모리에 저장 관리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정보 처리 장치(120)에 저장 관리되는 데이터를 검색하여 언제든지 하나 이상의 해당 생체 관련 정보에 대응된 지시자의 의견(예, 몇일 동안 외출 안됨, 1시간 간격으로 혈당 체크 등), 또는 처방전 정보 등을 조회하여 디스플레이 수단을 통해 표시하여 볼 수 있게 된다. For example, an operator, an administrator, or a doctor may query a database of monitoring servers and display one or more biometric information (ecg, SPO2, body temperature, pulse rate, blood sugar, blood pressure, etc.) of a user as a graph through display means. It can be checked by time / date, and when an opinion or prescription is required, the necessary opinion or prescription information can be inputted through the monitoring server to be transmitted to th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120. Accordingly, th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120 may store and manage the received comments, prescription information, etc. in correspondence with one or more corresponding biometric information corresponding thereto, and thus the user may store the information in th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120. At any time, the managed data can be retrieved and the opinion of the indicator corresponding to one or more of the relevant bio-related information (e.g. not going out for a few days, checking blood glucose every hour), or prescription information can be viewed and displayed on the display means. It becomes possible.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고령자 등 사용자에 대한 전자 건강 기록(EHR)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으며, 간호사의 도움 없이도 고령자, 환자 등 활동이 불편한 사람의 건강상태를 확인 및 치료할 수 있도록 보조하여 질 높은 의료서비스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As such, the present invention can increase the efficiency of electronic health records (EHR) for users such as elderly people, and assists to check and treat the health status of elderly people, patients with discomfort, and the like without the help of nurses. Can be enabled.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y way of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from such descriptions. This is possible.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equivalents of the claims, as well as the claims.

정보 수집 단말(110)
정보 처리 장치(120)
생체신호측정 기구(111, 112, 113, 141, 142, 143)
Information collecting terminal 110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120
Biosignal measuring instruments (111, 112, 113, 141, 142, 143)

Claims (6)

보행 보조기 모드와 휠체어 모드에서 사용자의 조이스틱 조작에 따라 진행방향을 결정하고 사용자의 악력을 감지하는 힘센서에서 발생하는 센서 신호에 따라 해당 속도로 진행하여 사용자의 보행을 보조하는 보행 보조 로봇에 있어서,
보행보조기모드에서 사용자의 생체신호를 측정하기 위해 보행보조기모드 조이스틱 주변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보행보조기모드 측정기구와 휠체어모드에서 사용자의 생체신호를 측정하기 위해 수납용 공간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휠체어모드 측정기구를 포함하는 복수의 생체신호측정 기구;
상기 보행보조기모드 측정기구와 케이블로 연결되어 상기 보행보조기모드 측정기구의 측정 시작을 제어해 상기 보행보조기모드 측정기구로부터 출력되는 생체 신호를 수집하며, 상기 휠체어모드 측정기구와 무선 통신으로 연결되어 상기 휠체어모드 측정기구로부터 출력되는 생체 신호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 단말; 및
상기 정보 수집 단말이 수집하여 전송하는 상기 생체 신호를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방식으로 수신하여, 상기 생체 신호의 처리를 통해 디스플레이 수단으로 비주얼하게 표시하기 위한 사용자의 생체 관련 정보를 생성하고 저장하여 관리하는 정보 처리 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보조 로봇.
In the walking assistance robot and the walking aid mode, the walking assistance robot which determines the direction of travel according to the user's joystick operation and proceeds at a corresponding speed according to the sensor signal generated by the force sensor detecting the user's grip force,
One or more pedestrian aid mode measuring instruments installed around the pedestrian aid mode joysticks to measure the user's vital signs in pedestrian aid mode and one or more wheelchair mode measurement devices installed in the storage space to measure the user's vital signs in wheelchair mode. A plurality of biosignal measuring instruments comprising;
It is connected to the pedestrian mode measuring device by a cable to control the start of measurement of the pedestrian mode measuring device to collect the biological signal outputted from the pedestrian mode measuring device, and is connected to the wheelchair mode measuring device by wireless communication An information collection terminal for collecting bio signals output from the wheelchair mode measuring device; And
Information for generating, storing and managing biometric information of a user for visually displaying on a display means through the processing of the biosignal by receiving the biosignal collected and transmitted by the information collecting terminal through 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Processing unit
Walking assistance robot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행보조기모드 측정기구는,
사용자의 손가락을 통해 SPO2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 사용자의 손 또는 손가락을 통해 심전도 측정을 위한 센서, 사용자의 손 또는 손가락을 통해 체온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 또는, 사용자의 손 또는 손가락을 통해 맥박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보조 로봇.
The method of claim 1,
The walk aid mode measuring mechanism,
A sensor for measuring SPO2 through a user's finger, a sensor for measuring ECG through a user's hand or finger, a sensor for measuring body temperature through a user's hand or finger, or a pulse through the user's hand or finger A walking assistance robot comprising a sensor for measur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휠체어모드 측정기구는,
사용자의 혈당 측정용 혈당계, 또는, 상기 보행 보조 로봇에 장착된 혈압 측정용 공기압 발생 수단으로부터 공기압을 제공받아 사용자의 혈압을 측정하기 위한 혈압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보조 로봇.
The method of claim 1,
The wheelchair mode measuring mechanism,
And a blood pressure monitor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of a user by receiving an air pressure from a blood glucose meter for measuring blood glucose of a user or an air pressure generating mean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mounted on the walking assistance robo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용 공간에는 사용자의 저주파 안마 자극을 위한 저주파 안마 자극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보조 로봇.
The method of claim 1,
The walk assistance robot, characterized in that the storage space is provided with a low-frequency massage stimulator for low-frequency massage stimulation of the us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 장치는, 사용자의 상기 생체 관련 정보를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방식으로 인터넷 상의 모니터링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모니터링 서버는 수신한 사용자의 생체 관련 정보를 각 사용자별로 구분하여 저장하고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보조 로봇.
The method of claim 1,
Th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transmits the user's biometric information to a monitoring server on the Internet through 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the monitoring server stores and manages the user's biometric information for each user. Walking aid robot.
제5항에 있어서,
운영자, 관리자, 또는 의사를 포함하는 지시자는 상기 모니터링 서버의 디스플레이 수단을 통해 사용자의 생체 관련 정보를 조회하며, 지시자의 의견, 또는 처방전 정보를 입력하여 상기 정보 처리 장치로 전송되도록 하여, 상기 정보 처리 장치가 관련 하나 이상의 해당 생체 관련 정보에 대응시켜 저장하고 디스플레이 수단을 통해 사용자가 해당 정보를 조회하여 볼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보조 로봇.

The method of claim 5,
An indicator including an operator, a manager, or a doctor inquires the user's biometric information through a display means of the monitoring server, inputs an opinion of an indicator or prescription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information to th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thereby processing the information. A walk assistance robot, characterized in that the device is stored in correspondence with one or more relevant bio-related information and the user can inquire and view the information through the display means.

KR1020120000308A 2012-01-02 2012-01-02 Walking Support Robot for Efficient Electronic Health Record KR10133692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0308A KR101336925B1 (en) 2012-01-02 2012-01-02 Walking Support Robot for Efficient Electronic Health Recor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0308A KR101336925B1 (en) 2012-01-02 2012-01-02 Walking Support Robot for Efficient Electronic Health Recor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9054A KR20130079054A (en) 2013-07-10
KR101336925B1 true KR101336925B1 (en) 2013-12-04

Family

ID=489918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0308A KR101336925B1 (en) 2012-01-02 2012-01-02 Walking Support Robot for Efficient Electronic Health Recor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6925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21905B (en) * 2015-07-03 2016-09-14 浙江大学 Gait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5517B1 (en) * 2014-10-24 2016-02-19 한국생산기술연구원 Smart walking support machine
US9854203B2 (en) * 2015-05-06 2017-12-26 Orbis Robotics, Inc. Convertible telepresence robot
KR102055677B1 (en) 2017-02-02 2019-12-13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robot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43888A (en) 1999-05-12 2002-12-24 ヒル−ロム サービシ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Walking equipment
KR20070114544A (en) * 2006-05-29 2007-12-04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Living body signal measurement system
KR20080008133A (en) * 2006-07-19 2008-01-23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An old walk aid robot a wireless health monitoring of possibility
KR100910629B1 (en) 2007-06-27 2009-08-05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Measuring Apparatus of Electrocardiogra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43888A (en) 1999-05-12 2002-12-24 ヒル−ロム サービシ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Walking equipment
KR20070114544A (en) * 2006-05-29 2007-12-04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Living body signal measurement system
KR20080008133A (en) * 2006-07-19 2008-01-23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An old walk aid robot a wireless health monitoring of possibility
KR100910629B1 (en) 2007-06-27 2009-08-05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Measuring Apparatus of Electrocardiogra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21905B (en) * 2015-07-03 2016-09-14 浙江大学 Gait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9054A (en) 2013-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289312A1 (en) Mobile medical workstation
US6832987B2 (en) Chair and ancillary apparatus with medical diagnostic features in a remote health monitoring system
US20060020216A1 (en) Medical information detection apparatus and health management system using the medical information detection apparatus
US20130281887A1 (en) Medical Sensor Kit for Combination with a Chair to Enable Measurement of Diagnostic Information
US20070208241A1 (en) Vital Sign Sensing Device
US20110168478A1 (en) Interface apparatus for manipulating wheelchair and wheelchair using the same
CN110167430A (en) Vital signs monitoring device, system and method
KR101336925B1 (en) Walking Support Robot for Efficient Electronic Health Record
KR101278552B1 (en) health care robot having check module of biometric data
WO2018018922A1 (en) Integrated physical sign measuring machine of a reclining style
TWM444565U (en) Electronic vital-sign system with manually entering vital-sign data function
KR100910629B1 (en) Measuring Apparatus of Electrocardiogram
KR100855042B1 (en) Apparatus for noninvasive, continuous, and simultaneous measurement of blood pressure and arterial stiffness
Chan et al. Smart rollator prototype
KR20180017419A (en) Smart medical bed system and patient management method using the system
KR100949309B1 (en) Health care monitoring system using mobile computer
Giorgio Innovative medical devices for telemedicine applications
JP2006026209A (en) Robot
Krithika et al. Iot-Assisted Health Monitoring Frame Work With Secure Data Transmission System
Pereira et al. Development of a medical care terminal for efficient monitoring of bedridden subjects
Panda et al. An Integrated Medical Convertible Wheelchair with IoT Based Surveillance System for Patient Monitoring: Design and Development
KR20160038915A (en) Healthcare System using Bio Signal
Lokesh et al. Integrated wireless multi parameter telemetery system
WO2015083036A1 (en) Self electrocardiogram acquisition device
Giorgio ICT for telemedicine and health care innov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