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4271B1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preventing loss of personal belongings and loss prevention apparatus fo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Google Patent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preventing loss of personal belongings and loss prevention apparatus fo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4271B1
KR101334271B1 KR1020120031788A KR20120031788A KR101334271B1 KR 101334271 B1 KR101334271 B1 KR 101334271B1 KR 1020120031788 A KR1020120031788 A KR 1020120031788A KR 20120031788 A KR20120031788 A KR 20120031788A KR 101334271 B1 KR101334271 B1 KR 1013342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terminal
mobile communication
loss
user
loss preven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178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109772A (en
Inventor
박대혁
김영민
강의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에스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에스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에스피
Priority to KR10201200317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4271B1/en
Publication of KR201301097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977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42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427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24Reminder alarms, e.g. anti-loss alar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개인 소지품 분실 방지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이 개시된다. 이동통신 단말은 제한된 거리 내에서 통신하는 근거리 통신부, 개인 소지품들에 연결된 분실 방지 장치별 감시 주기와 감시 영역을 포함하는 설정 데이터가 저장된 저장부, 및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분실 방지 장치별 설정 데이터에 따라 상기 근거리 통신부를 통해 해당 분실 방지 장치를 검색하되, 상기 검색에 실패할 경우 사용자에게 개인 소지품의 분실을 알리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은 다수의 개인 소지품들 각각에 대해 개별적인 분실 알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 개인 소지품별로 서로 다른 감시 주기와 감시 영역에 따라 분실 감시를 할 수 있다.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preventing the loss of personal belongings is disclose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ay include a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communicating within a limited distance, a storage unit storing setting data including a monitoring cycle and a monitoring area for each anti-lost device connected to personal belongings, and setting data for each anti-logging device stored in the storage unit. According to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to search for the loss prevention device, if the search fails to include a control unit to notify the user of the loss of personal belongings. Accordingl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 provide an individual loss notification service for each of a plurality of personal belongings, as well as monitor the loss according to different monitoring cycles and monitoring areas for each individual belongings.

Figure R1020120031788
Figure R1020120031788

Description

개인 소지품 분실 방지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 및 이동통신 단말용 분실 방지 장치{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preventing loss of personal belongings and loss prevention apparatus fo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preventing loss of personal belongings and loss prevention apparatus fo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은 개인 소지품의 분실을 방지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개인 소지품의 분실을 방지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ique for preventing the loss of personal belongings, and more particularly to a technique for preventing the loss of personal belongings using short-range communication.

블루투스를 이용한 휴대폰의 분실 방지 시스템이 잘 알려져 있다. 이 시스템은 휴대폰에 내장 설치되어 일정 간격으로 2.4Ghz의 블루투스 RF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와, 송신부에서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를 포함한다. 이 수신기는 송신부에서 송신된 블루투스 RF 신호를 일정시간 동안 수신하지 못할 경우, 5m의 통신 유효거리를 이탈한 것으로 판단하여 경보음이나 진동 또는 램프 점등의 방식으로 사용자에게 휴대폰의 분실을 알린다.Bluetooth anti-lost systems are well known. The system includes a transmitter installed in a mobile phone and transmitting a 2.4Ghz Bluetooth RF signal at regular intervals, and a receiver receiving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ransmitter. When the receiver does not receive the Bluetooth RF signal transmitted by the transmitter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receiver determines that the effective communication distance of 5 m has been departed and notifies the user of the loss of the mobile phone by the alarm sound, vibration, or lamp lighting.

따라서 사용자가 수신기의 휴대폰 분실 알림을 인지한다면 휴대폰을 분실하지 않게 된다. 그러나 사용자가 수신기의 휴대폰 분실 알림을 곧바로 인지하지 못하고 상당한 시간이 흐른 후에 분실 장소와는 동떨어진 곳에서 휴대폰 분실 사실을 인지하게 된다면, 분실 장소를 알 수가 없어 휴대폰을 다시 찾는 것이 매우 곤란해진다. 또한 수신기는 오로지 한 대의 휴대폰에 대해서만 분실 알림 기능을 제공할 뿐이어서, 휴대폰을 제외한 개인 소지품들에 대해서는 분실 알림 서비스를 제공할 수가 없다. 또한 사용자가 휴대폰이 아니라 수신기를 분실한 경우에는 휴대폰에 대해서도 분실 알림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없다.Therefore, if the user recognizes a cell phone lost notification of the receiver, the cell phone is not lost. However, if the user does not immediately recognize the cell phone lost notification of the receiver and after a considerable time passes and recognizes the cell phone lost from the lost place, it is very difficult to find the cell phone again because the lost place is unknown. In addition, the receiver only provides a loss notification function for only one mobile phone, and thus cannot provide a loss notification service for personal belongings other than the mobile phone. In addition, if the user loses the receiver, not the mobile phone, the lost notification service cannot be provided for the mobile phone.

본 발명은 다수의 개인 소지품들 모두에 대해 개별적인 분실 알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can provide a separate loss notification service for all of a plurality of personal belongings.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개인 소지품에 대한 분실 알림을 인지하지 못한 채 분실 장소와 상당히 멀어진 곳에서 분실 사실을 알게 된다 하더라도 용이하게 분실 장소에 찾아갈 수 있게 하는 이동통신 단말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allows a user to easily go to a lost place even if the user does not recognize the lost notice for the personal belongings and finds the lost fact in a place far away from the lost place.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자신의 이동통신 단말을 분실할 경우에 그 분실물을 재습득할 수 있도록 사용자에게 분실 위치를 정확히 알려줄 수 있는 분실 방지 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oss prevention device that can accurately inform the user of the location of the loss so that when the user loses his mobile terminal.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개인 소지품 분실 방지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은 제한된 거리 내에서 통신하는 근거리 통신부, 개인 소지품들에 연결된 분실 방지 장치별 감시 주기와 감시 영역을 포함하는 설정 데이터가 저장된 저장부, 및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분실 방지 장치별 설정 데이터에 따라 상기 근거리 통신부를 통해 해당 분실 방지 장치를 검색하되, 상기 검색에 실패할 경우 사용자에게 개인 소지품의 분실을 알리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preventing the loss of personal belongings includes a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communicating within a limited distance and a loss prevention device-specific monitoring cycle and a monitoring area connected to personal belongings. A control unit that searches for the loss prevention device through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according to the storage unit storing the setting data stored therein and the setting data for each loss prevention device stored in the storage unit, and fails the search to notify the user of the loss of personal belongings. It includes.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색에 실패할 경우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이동 경로를 파악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며, 상기 저장된 이동 경로 데이터가 반영된 맵 이미지를 화면 출력한다. 또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색에 실패할 경우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위치를 파악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며,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현재 위치로부터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위치 좌표로의 이동 경로 데이터가 반영된 맵 이미지를 화면 출력한다.If the search fails, the controller grasps the movement path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stores the movement path in the storage unit, and outputs a map image reflecting the stored movement path data. Alternatively, when the search fails, the controller detects the loc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stores the location in the storage unit. The map image reflects movement path data from the current loc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the location coordinates stored in the storage unit. Will print the screen.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분실 방지 장치별 감시 주기와 감시 영역을 개별 설정하여 그 설정 데이터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한다.The controller individually sets a monitoring period and a monitoring area for each loss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a user input and stores the setting data in the storage unit.

한편,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분실 방지 장치는 RF 전력을 조절하는 전력 조절기를 포함하며, 상기 전력 조절기에 의해 조절된 전력에 따른 제한된 거리 내에서 통신하는 근거리 통신부, 이동통신 단말에 대한 감시 주기와 감시 영역을 포함하는 설정 데이터가 저장된 저장부, 및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설정 데이터에 따라 상기 근거리 통신부를 통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을 검색하고, 상기 검색에 실패할 경우 사용자에게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분실을 알리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분실을 알린 후 상기 감시 영역 내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이 검색되면 상기 전력 조절기 제어를 통해 상기 RF 전력을 조절해가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을 지속적으로 검색하며 그 검색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과의 거리 변화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제어부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loss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includes a power regulator for adjusting the RF power, the local area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ng within a limited distance according to the power adjusted by the power regulator A search unit for storing the setting data including a monitoring period and a monitoring area fo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searching fo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unit according to the setting data stored in the storage unit, and failing to perform the search. Informing the user of the los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forming the user of the los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searching fo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in the monitoring area,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adjusted while controlling the RF power through the power regulator control. Search continuously and based on the search result distance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control anger notifying the user.

상기 분실 방지 장치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분실 위치를 알리기 위한 발광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거리 변화에 따라 상기 발광부의 발광 색상을 변화시킨다.The loss prevention apparatus further includes a light emitting unit for notifying the lost posi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rein the control unit changes the light emission color of the light emitting unit according to the distance change.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을 분실한 경우는 물론 이동통신 단말을 제외한 개인 소지품들을 분실한 경우에도 분실 알림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user may be provided with a loss notification service even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lost as well as when personal belongings other tha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re lost.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은 다수의 개인 소지품들 각각에 대해 개별적인 분실 알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 개인 소지품별로 서로 다른 감시 주기와 감시 영역에 따라 분실 감시를 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은 사용자가 개인 소지품의 분실 알림을 인지하지 못한 채 분실 장소와 상당히 멀어진 곳에서 분실 사실을 알게 된다 하더라도 사용자에게 분실 장소로의 경로를 안내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분실 장소로 정확히 찾아가 분실물을 습득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창출한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n individual loss notification service for each of a plurality of personal belongings, as well as monitor the loss according to different monitoring cycles and monitoring areas for each individual belongings. Furthermor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guides the user to the lost place even though the user does not recognize the loss notification of the personal belongings and finds the loss at a place far away from the lost place, thereby allowing the user to lose the lost place. It will create an effect that will allow you to find exactly what you los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분실 방지 장치는 이동통신 단말이 분실된 경우에 분실 알림을 발생시킴은 물론 분실 위치를 알려줌으로써, 사용자에게 보다 신속하게 이동통신 단말을 찾을 수 있게 하는 효과를 창출한다.In addition, the loss preven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generates a loss notification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lost, but also informs the location of the loss, thereby creating an effect of enabling the user to fi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ore quickl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 소지품 분실 방지 시스템 블록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동통신 단말의 개인 소지품별 감시 영역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 소지품 분실 방지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실 방지 장치 블록도.
1 is a block diagram of a personal belongings loss preven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onitoring area for each personal belonging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llustrated in FIG. 1.
Figure 3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lock diagram for preventing the loss of personal belonging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block diagram of the loss preven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본 발명의 양상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하여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이러한 실시예를 통해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foregoing and further asp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preferred embodiments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 소지품 분실 방지 시스템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personal belongings loss preven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개인 소지품 분실 방지 시스템은 이동통신 단말(100)과 이동통신 단말(100)을 제외한 다수의 개인 소지품들의 분실 방지 장치(200)들이 포함된다. 이동통신 단말(100)은 근거리 통신 수단을 갖는 단말로서, 스마트폰일 수 있다. 그리고 분실 방지 장치(200)는 이동통신 단말(100)과 통신하기 위한 동일한 근거리 통신 수단을 갖는 장치이다. 분실 방지 장치(200)들은 서로 다른 개인 소지품들에 물리적으로 연결된다. 이를 위해, 분실 방지 장치(200)는 개인 소지품에 부착될 수 있는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개인 소지품에 고리 연결될 수 있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개인 소지품들로는 노트북, 지갑, 가방, USB 메모리, 자동차 키, 무선 헤드셋, 고급 사인펜 등을 예로 들 수 있다.As shown, the personal belongings loss prevention system include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nd a loss prevention device 200 of a plurality of personal belongings except fo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s a terminal having a short range communication means, and may be a smart phone. And the loss prevention device 200 is a device having the same short-range communication means for communicating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Loss prevention devices 200 are physically connected to different personal belongings. To this end, the loss prevention device 200 may be made in a form that can be attached to personal belongings, or may be made in a form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personal belongings. Personal belongings include notebooks, wallets, bags, USB sticks, car keys, wireless headsets, and high-end sign pens.

이동통신 단말(100)은 다수의 분실 방지 장치(200)들과 1:n 근거리 통신, 바람직하게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분실 방지 장치(200)들을 검색하는데, 분실 방지 장치(200)별로 설정된 감시 주기와 감시 영역에 대한 설정 데이터에 따라 분실 방지 장치(200)들을 각각 검색한다. 그리고 분실 방지 장치(200)들 또한 내부에 저장된 감시 주기와 감시 영역에 대한 설정 데이터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100)을 검색한다. 참고로 이동통신 단말(100)이 분실 방지 장치(200)마다, 즉 개인 소지품마다 개별 설정된 감시 영역 내에서 그 존재 여부를 감시하는 직관적인 이해를 돕기 위한 예가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예와 같은 감시 영역 내에서 해당 분실 방지 장치(200)에 대한 검색에 실패할 경우, 이동통신 단말(100)은 사용자에게 개인 소지품의 분실을 알린다. 분실 방지 장치(200) 또한 설정된 감시 영역 내에서 이동통신 단말(100)에 대한 검색에 실패할 경우, 사용자에게 이동통신 단말(100)의 분실을 알린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searches for the loss prevention devices 200 through 1: n short-range communication, preferably Bluetooth communication, with a plurality of loss prevention devices 200, and a monitoring period set for each loss prevention device 200; The loss prevention apparatuses 200 are searched for according to the setting data for the surveillance area. In addition, the loss prevention apparatuses 200 also search fo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monitoring period and the setting data for the monitoring region stored therein. For reference, an example for helping an intuitive understanding tha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monitors the presence or absence thereof in a monitoring area individually set for each loss prevention device 200, that is, for personal belongings is illustrated in FIG. 2. If the search for the loss prevention device 200 fails in the surveillance area as shown in FIG. 2,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notifies the user of the loss of personal belongings. The loss prevention apparatus 200 also notifies the user of the los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when a search fo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fails in the set monitoring area.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 소지품 분실 방지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 블록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preventing the loss of personal belonging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10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110)와 통신부(120)와 근거리 통신부(130)와 위치 수신부(140)와 저장부(150) 및 제어부(160)를 포함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10)는 사용자를 위한 입출력 인터페이스로서, LCD 터치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20)는 이동통신 네트워크 이용을 위한 하나 이상의 통신 모듈을 포함한다. 통신부(120)에 포함될 수 있는 통신 모듈로는 3G용 통신 모듈, LTE(Long Term Evolution)용 통신 모듈, 와이파이(WIFI)용 통신 모듈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근거리 통신부(130)는 제한된 거리 내에서의 통신을 위한 통신부로서, 블루투스 통신부일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근거리 통신부(130)는 블루투스 모듈(131)과 전력 조절기(132) 및 블루투스 안테나(133)를 포함한다. 블루투스 모듈(131)은 블루투스 통신 규격에 맞게 송수신 신호를 처리하여 블루투스 안테나(133)를 통해 신호를 송수신한다. 그리고 전력 조절기(132)는 후술할 제어부(160)의 제어에 따라 RF 전력을 조절한다. 즉, 전력 조절기(132)는 제어부(160)의 제어에 따라 송신용 전력 증폭기의 증폭을 조절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송신 신호의 도달 거리를 조절한다. 위치 수신부(140)는 이동통신 단말(100)의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GPS 위성으로부터 위치 좌표 데이터를 수신하는 GPS 모듈일 수 있다.As show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ncludes a user interface 110, a communication unit 120, a near field communication unit 130, a location receiving unit 140, a storage unit 150, and a controller 160. The user interface 110 may be an input / output interface for a user and may include an LCD touch panel. The communication unit 120 includes one or more communication modules for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Examples of the communication module that may be included in the communication unit 120 include a 3G communication module, a LTE (Long Term Evolution) communication module, a Wi-Fi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like.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unit 130 is a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on within a limited distance and may be a Bluetooth communication unit. As 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unit 130 includes a Bluetooth module 131, a power regulator 132, and a Bluetooth antenna 133. The Bluetooth module 131 processes signals transmitted and received according to the Bluetooth communication standard and transmits and receives signals through the Bluetooth antenna 133. And the power regulator 132 adjusts the RF powe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60 to be described later. That is, the power regulator 132 adjusts the amplification of the transmission power amplifie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60, and as a result, adjusts the reach of the transmission signal. The location receiver 140 may be a GPS module configured to receiv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nd receive location coordinate data from a GPS satellite.

저장부(150)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한다. 저장부(150)에는 분실 방지 장치(200)별 감시 주기와 감시 영역에 대한 설정 데이터가 저장된다. 이 설정 데이터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10)를 통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분실 방지 장치(200)별로 개별 설정될 수 있는 것으로, 감시 주기는 초(sec) 단위로 1, 2, 5, 10, 20, 60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감시 영역은 미터(meter) 단위로 1, 2, 3, 4, 5로 설정될 수 있다. 참고로 정상적인 1회 통신 시간은 20msec가 소요되며, 1000mA/h 리튬 이온 배터리를 사용할 경우에 1초 간격으로 통신시 56일간 사용 가능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통신 간격 조정을 통해 배터리 수명 연장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추가로 분실 방지 장치(200)별 설정 데이터에는 경보 방식과 경보음이 더 포함될 수 있다. 경보 방식은 알람, 진동, 알람 및 진동 등으로 나뉠 수 있다. 경보 방식과 경보음 또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분실 방지 장치(200)별로 개별 설정될 수 있는 것이다. 저장부(150)에 저장된 분실 방지 장치(200)별 설정 데이터가 표 1에 예시되어 있다.The storage unit 150 includes one or more memories. The storage unit 150 stores the monitoring cycle and the setting data for the monitoring area for each loss prevention device 200. The setting data may be individually set for each anti-lost device 200 according to a user input through the user interface 110, and the monitoring period may be set to 1, 2, 5, 10, 20, and 60 in units of seconds. The monitoring area may be set to 1, 2, 3, 4, or 5 in meters. For reference, the normal one-time communication takes 20msec. When using 1000mA / h lithium ion battery, it can be used for 56 days when communicating at 1 second intervals. Thus, the user can extend the battery life by adjusting the communication interval. In addition, the setting data for each anti-lost device 200 may further include an alarm method and an alarm sound. Alarm methods can be divided into alarm, vibration, alarm and vibration. The alarm method and the alarm sound may also be individually set for each anti-lost device 200 according to a user input. Table 1 shows setting data for each loss prevention device 200 stored in the storage 150.

분실 방지 장치Anti-lost device 개인 소지품Personal belongings 감시 주기Monitoring cycle 감시 영역Watch area 경보 방식Alarm system 경보음Alarm A 장치A device 자동차 키Car keys 1초1 second 1m1m 진동/알람Vibration / Alarm 제1경보음First alarm sound B 장치B device 노트북laptop 2초2 seconds 2m2 m 진동/알람Vibration / Alarm 제2경보음Second alarm sound C 장치C device 지갑wallet 5초5 seconds 3m3m 알람alarm 제3경보음Third alarm sound D 장치D device 가방bag 10초10 seconds 4m4m 진동vibration -- E 장치E device 무선 헤드셋Wireless headset 20초20 seconds 5m5m 진동vibration --

또한 경보 방식이 진동일 경우, 분실 방지 장치(200)마다 진동 패턴이 다르게 설정될 수도 있다. 추가로 저장부(150)에는 이동통신 단말(100)의 현재 위치에서 개인 소지품을 분실한 장소로의 경로를 안내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이 저장될 수 있다. 이 애플리케이션은 독립적으로 맵 상에 경로를 반영하여 화면 출력을 통해 사용자에게 분실 장소로의 이동 경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고, 아니면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여 서비스 서버로부터 실시간으로 맵 상에 경로가 반영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화면 출력을 통해 사용자에게 분실 장소로의 이동 경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일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애플리케이션은 서비스 서버로 이동통신 단말(100)의 이동 경로 데이터 또는 분실 장소에 대한 위치 좌표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다. 이는 서비스 서버에서 맵 상에 이동 경로를 반영한 후 이동통신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마지막으로, 제어부(160)는 이동통신 단말(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마이컴일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alarm method is a vibration, the vibration pattern may be set differently for each loss prevention device (200). In addition, the storage unit 150 may store an application for guiding a path from the current loc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to a place where personal belongings are lost. This application can independently reflect the route on the map and provide the user with the route information to the lost place through the screen output, or access the service server and reflect the route on the map in real time from the service server. It may be to provide the movement path information to the lost place to the user through the screen output. In the latter case, the application may transmit the movement path data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or the position coordinate data of the lost place to the service server. This is to transmit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fter reflecting the movement path on the map in the service server. Finally, the controller 160 is a component for controlling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nd may be a microcomputer.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이동통신 단말(100)의 동작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제어부(160)는 분실 방지 장치(200)별로 감시 주기와 감시 영역을 설정할 수 있는 설정 모드를 제공한다. 이에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10)를 통해 분실 방지 장치(200)별로 감시 주기와 감시 영역을 설정할 수 있으며, 추가로 경보 방식과 경보음도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10)를 통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분실 방지 장치(200)별 설정 데이터를 생성하여 저장부(150)에 저장한다. 저장부(150)에 설정 데이터가 저장되면, 제어부(160)는 그 설정 데이터에 따라 분실 방지 장치(200)들을 감시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 인터페이스(110)를 통해 개인 소지품 감시 기능 활성화를 위한 사용자 입력이 있을 경우에만, 제어부(16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분실 방지 장치(200)들을 감시한다.Hereinafter,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The controller 160 provides a setting mode for setting a monitoring period and a monitoring area for each loss prevention device 200. Accordingly, the user may set a monitoring period and a monitoring area for each loss prevention device 200 through the user interface 110, and may additionally set an alarm method and an alarm sound. The controller 160 generates setting data for each anti-lost device 200 according to a user input through the user interface 110 and stores the setting data in the storage 150. When the setting data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150, the controller 160 monitors the loss prevention apparatuses 200 according to the setting data. In one embodiment, only when there is a user input for activating the personal belongings monitoring function through the user interface 110, the controller 160 monitors the loss prevention apparatuses 200 as described below.

저장부(150)에 저장된 분실 방지 장치(200)별 설정 데이터가 표 1과 같다면, 제어부(160)는 근거리 통신부(130)를 통해 1초마다 A 장치를 검색하고, 2초마다 B 장치를 검색하고, 5초마다 C 장치를 검색하고, 10초마다 D 장치를 검색하며, 20초마다 E 장치를 검색한다. 이때 제어부(160)는 표 1과 같이 분실 방지 장치(200)별로 감시 영역을 달리하기 위해 전력 조절기(132)로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RF 전력이 조절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100)은 근거리 통신부(130)를 통해 1초마다 반경 1m 영역 내에서 A 장치를 검색하고, 2초마다 반경 2m 영역 내에서 B 장치를 검색하고, 5초마다 반경 3m 영역 내에서 C 장치를 검색하고, 10초마다 반경 4m 영역 내에서 D 장치를 검색하며, 20초마다 반경 5m 영역 내에서 E 장치를 검색한다.If the setting data for each of the loss prevention apparatuses 200 stored in the storage unit 150 are shown in Table 1, the controller 160 searches for the A device every second through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unit 130, and searches for the B device every two seconds. Search for device C every 5 seconds, search for device D every 10 seconds, and search for device E every 20 seconds.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160 outputs a control signal to the power regulator 132 to vary the monitoring area for each loss prevention device 200 as shown in Table 1 so that the RF power is adjusted. Accordingl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searches for the device A within a radius of 1 m every 1 second through the local area communication unit 130, searches for the B device within a radius of 2 m every 2 seconds, and has a radius of 3 m every 5 seconds. Search for device C within, search for device D within 4m radius every 10 seconds, and search for device E within 5m radius every 20 seconds.

이 같은 주기적인 검색 과정에서 검색에 실패하면, 제어부(160)는 설정된 경보 방식에 따라 알람과 진동 중 적어도 하나를 발생시켜 사용자에게 개인 소지품의 분실을 알린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부(160)는 검색에 실패하자마자 곧바로 경보를 발생시킨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부(160)는 검색에 실패하면 소정 횟수만큼 해당 분실 방지 장치(200)를 재검색하고, 재검색에도 실패한 경우에 경보를 발생시킨다. 여기서 재검색은 감시 주기와는 무관하게 검색에 실패하자마자 곧바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경보 발생과 함께 저장부(150)에 저장된 설정 데이터에서 감시 영역으로 지정된 거리를 확인하여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에게 이동통신 단말(100)과 분실 방지 장치(200) 간의 이격 거리를 알려줘 분실 방지 장치(200)를 보다 용이하게 찾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If the search fails during such a periodic search process, the controller 160 generates at least one of an alarm and a vibration according to the set alarm method to notify the user of the loss of personal belongings. In one embodiment, the controller 160 generates an alert as soon as the search fails. In another embodiment, if the search fails, the controller 160 rescans the corresponding loss prevention apparatus 200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and generates an alarm when the rescanning fails. Here, the rescan can be performed immediately as soon as the scan fails regardless of the monitoring cycle. In addition, the controller 160 may check the distance designated as the surveillance area from the setting data stored in the storage 150 and display the screen on the screen along with the alarm. This is to inform the user of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nd the loss prevention device 200 to more easily find the loss prevention device 200.

한편, 개인 소지품의 분실을 알리기 위한 경보음 및/또는 진동을 발생시킨다 하더라도, 사용자가 그 경보음 및/또는 진동을 인식하지 못할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분실 알림을 통해서도 분실 사실을 알지 못하고 몇 시간이 지난 후에야 분실 장소와는 완전히 동떨어진 장소에서 분실 사실을 알게 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분실 장소가 어디인지조차도 파악할 수 없게 된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제어부(160)는 검색 또는 재검색에 실패한 경우에 위치 수신부(140)를 통해 지속적으로 수신되는 위치 좌표로 이동통신 단말(100)의 이동 경로 데이터를 생성하여 저장부(150)에 저장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부(160)는 검색 또는 재검색에 실패한 시점부터 이동 경로 데이터를 생성하여 저장부(150)에 저장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부(160)는 분실 알림 후 소정 시간 이내에 사용자로부터 분실 알림 확인을 의미하는 어떠한 입력도 없을 경우에 이동 경로 데이터를 생성하여 저장부(150)에 저장한다. 이후, 사용자가 분실 사실을 인식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110)를 통해 이동 경로 정보를 요청하거나 혹은 요청 없이도, 제어부(160)는 저장부(150)에 저장된 경로 안내를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함으로써 이동 경로 데이터가 반영된 맵을 화면에 출력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동 경로를 추적하여 분실 장소를 찾아갈 수 있으므로, 분실물을 다시 찾는 것이 보다 용이하다.On the other hand, even if the alarm sound and / or vibration to notify the loss of personal belongings, the user may not recognize the alarm sound and / or vibration. Therefore, the user may not know the loss even through the lost notification, and after several hours, the user may be aware of the loss in a completely separated place. In this case, the user may not even know where the lost place is. In consideration of this point, when the search or re-search fails, the controller 160 generates the movement path data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with the location coordinates continuously received through the location receiver 140, and then stores the data in the storage 150. Store in In one embodiment, the controller 160 generates the movement path data from the time point at which the search or re-search fails, and stores the movement path data in the storage unit 150. In another embodiment, if there is no input indicating a loss notification confirmation from the user within a predetermined time after the loss notification, the controller 160 generates movement path data and stores the movement path data in the storage unit 150. Thereafter, the user recognizes the loss and requests the movement route information through the user interface 110 or without the request, and the controller 160 executes an application for guiding the route stored in the storage unit 150 so that the movement route data is stored. Print the reflected map on the screen. Therefore, the user can go to the lost place by tracking the moving path, so it is easier to find the lost object again.

그리고 제어부(160)는 이동 경로 데이터를 생성하여 저장부(150)에 저장하는 대신에 분실 장소의 위치 좌표 데이터만을 저장부(150)에 저장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부(160)는 검색에 실패한 시점에 위치 수신부(140)를 통해 수신된 이동통신 단말(100)의 위치 좌표 데이터를 분실 장소 위치 정보로 설정하여 저장부(150)에 저장한다. 이후, 사용자가 분실 사실을 인식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110)를 통해 분실 장소 위치 정보를 요청하거나 혹은 요청 없이도, 제어부(160)는 저장부(150)에 저장된 경로 안내를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100)의 현재 위치에서 분실 장소 위치로의 경로가 반영된 맵을 화면에 출력한다. 여기서 애플리케이션은 이동통신 단말(100)의 현재 위치에서 분실 장소 위치로의 안내 경로를 직접 생성하고 맵 상에 반영한 후 화면 출력할 수도 있고, 아니면 이동통신 단말(100)의 현재 위치 좌표 데이터와 분실 장소의 위치 좌표 데이터를 서비스 서버로 전달하여 서비스 서버로부터 안내 경로가 반영된 맵 데이터를 수신한 후 화면 출력할 수도 있다. 이후, 사용자가 경로 안내에 따라 분실 장소에 도달하면, 제어부(160)는 그 도달 위치에서 분실물의 분실 방지 장치(200)에 대한 감시 영역 정보를 저장부(150)에서 확인하여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위치로부터 반경 4m 내에서 가방을 분실하였습니다”와 같은 메시지가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The controller 160 may store only the position coordinate data of the lost place in the storage 150, instead of generating and storing the movement path data in the storage 150. In one embodiment, the control unit 160 sets the location coordinate data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received through the location receiving unit 140 as the lost place location information when the search fails, and stores the location coordinate data in the storage unit 150. do. Subsequently, the user recognizes the lost location and requests the lost location location information through the user interface 110 or without the request. The controller 160 executes an application for guiding the path stored in the storage unit 150 to execut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map reflecting the path from the current location of the lost location to the lost location is output on the screen. Here, the application may directly generate a guide path from the current loc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to the lost place location and reflect it on a map, and then output the screen, or alternatively, the current location coordinate data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nd the lost location. The location coordinate data may be transmitted to the service server, and the screen data may be output after receiving map data reflecting the guidance path from the service server. Thereafter, when the user reaches the lost place according to the route guidance, the controller 160 may check the storage area 150 for the loss prevention device 200 of the lost object at the reached position and display it on the screen. have. For example, a message such as "Lost bag within 4 meters of the current location"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한편, 이동통신 단말(100)은 역으로 분실 방지 장치(200)의 감시 대상이다. 즉, 분실 방지 장치(200)들은 각각 내부에 저장된 감시 주기와 감시 영역을 포함하는 설정 데이터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100)을 감시한다. 여기서 분실 방지 장치(200)들 각각에 저장된 설정 데이터는 이동통신 단말(100)로부터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전달된 것일 수 있다. 여기서 분실 방지 장치(200)들로 전달되는 설정 데이터는 분실 방지 장치(200)들 각각에 대해 개별적으로 설정된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이동통신 단말(100)에 저장된 분실 방지 장치(200)별 설정 데이터와 분실 방지 장치(200)들 각각에 저장된 설정 데이터는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통신 단말(100)에 저장된 A 장치에 대한 설정 데이터가 표 1과 같다면, A 장치에 저장된 이동통신 단말(100)에 저장된 설정 데이터 또한 그와 동일하다. 이 경우, 제어부(160)는 저장부(150)에 저장된 표 1과 같은 분실 방지 장치(200)별 설정 데이터를 해당 분실 방지 장치(200)로 전달한다.On the other h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s a monitoring target of the anti-lost device 200. That is, the loss prevention apparatuses 200 monito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setting data including the monitoring period and the monitoring area stored therein, respectively. Here, the setting data stored in each of the loss prevention apparatuses 200 may be transmitted through the Bluetooth communication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Herein, the setting data transmitted to the loss prevention apparatuses 200 may be individually set for each of the loss prevention apparatuses 200. In one embodiment, the setting data for each loss prevention device 200 stor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nd the setting data stored in each of the loss prevention devices 200 may be the same. For example, if the setting data for the A device stor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s shown in Table 1, the setting data stor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stored in the A device is also the same. In this case, the controller 160 transfers the setting data for each loss prevention device 200 shown in Table 1 stored in the storage unit 150 to the loss prevention device 200.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실 방지 장치 블록도이다.Figure 4 is a block diagram of the loss preven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분실 방지 장치(200)는 배터리(210)와 충전 커넥터(220)와 스피커(230)와 발광부(240)와 입력 스위치(250)와 저장부(260)와 근거리 통신부(270) 및 제어부(280)를 포함한다. 배터리(210)는 분실 방지 장치(200)의 동작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것으로, 장시간 사용이 가능한 용량과 콤팩트한 사이즈 조건을 갖춘 것이 바람직하다. 일 예로, 배터리(210)는 코인형 리튬 배터리일 수 있다. 충전 커넥터(220)는 배터리(210)를 충전하기 위한 커넥터로서, 이동통신 단말(100)용 충전기를 이용하여 배터리(210)를 충전할 수 있게 하는 커넥터일 수 있다. 스피커(230)와 발광부(240)는 이동통신 단말(100)이 분실되었음을 알리기 위한 용도로 이용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발광부(240)는 다양한 색상으로 발광 가능한 LED 디스플레이이다. 입력 스위치(250)는 분실 방지 장치(200)의 전원 온/오프 전환을 위한 전원 스위치이다. 아니면 입력 스위치(250)는 감시 기능 활성화/비활성화 전환을 위한 감시 스위치일 수도 있다. 아니면 분실 방지 장치(200)는 전원 스위치와 감시 스위치를 모두 구비할 수도 있다.As shown, the anti-lost device 200 includes a battery 210, a charging connector 220, a speaker 230, a light emitting unit 240, an input switch 250, a storage unit 260, and a near field communication unit 270. ) And the controller 280. The battery 210 supplies power for the operation of the loss prevention apparatus 200, and preferably has a capacity that can be used for a long time and a compact size condition. For example, the battery 210 may be a coin-type lithium battery. The charging connector 220 may be a connector for charging the battery 210 and may be a connector for charging the battery 210 using a charger fo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The speaker 230 and the light emitter 240 are used for notifying tha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s lost. In one embodiment, the light emitter 240 is an LED display capable of emitting various colors. The input switch 250 is a power switch for switching the power on / off of the loss prevention apparatus 200. Alternatively, the input switch 250 may be a supervisory switch for activating / deactivating the supervisory function. Otherwise, the loss prevention apparatus 200 may include both a power switch and a monitoring switch.

저장부(260)는 메모리로서, 플래시 메모리일 수 있다. 저장부(260)에는 이동통신 단말(100)에 대한 감시 주기와 감시 영역을 포함하는 설정 데이터가 저장된다. 추가로 설정 데이터에는 경보음이 더 포함될 수 있다. 감시 주기는 초(sec) 단위로 1, 2, 5, 10, 20, 60일 수 있으며, 감시 영역은 미터(meter) 단위로 1, 2, 3, 4, 5일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저장부(260)에 저장된 설정 데이터는 이동통신 단말(100)로부터 전달된 것으로, 적어도 감시 주기와 감시 영역에 대해서는 이동통신 단말(100)에 저장된 분실 방지 장치(200)에 대한 설정 데이터와 동일할 수 있다. 즉, 분실 방지 장치(200)가 표 1의 B 장치인 경우, 저장부(260)에 저장된 설정 데이터 내 감시 주기는 2초이며 감시 영역은 2m이다.The storage unit 260 may be a flash memory as a memory. The storage unit 260 stores setting data including a monitoring period and a monitoring area fo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n addition, the setting data may further include an alarm sound. The monitoring period may be 1, 2, 5, 10, 20, 60 in seconds, and the monitoring area may be 1, 2, 3, 4, 5 in meters. As described above, the setting data stored in the storage unit 260 is transmitt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nd at least for the monitoring period and the monitoring area, is stored in the loss prevention apparatus 200 stor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t may be the same as the setting data. That is, when the loss prevention device 200 is the device B of Table 1, the monitoring period in the setting data stored in the storage unit 260 is 2 seconds and the monitoring area is 2m.

근거리 통신부(270)는 제한된 거리 내에서의 통신을 위한 통신부로서, 블루투스 통신부일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근거리 통신부(270)는 블루투스 모듈(271)과 전력 조절기(272) 및 블루투스 안테나(273)를 포함한다. 블루투스 모듈(271)은 블루투스 통신 규격에 맞게 송수신 신호를 처리하여 블루투스 안테나(273)를 통해 신호를 송수신한다. 그리고 전력 조절기(272)는 후술할 제어부(280)의 제어에 따라 RF 전력을 조절한다. 즉, 전력 조절기(272)는 제어부(280)의 제어에 따라 송신용 전력 증폭기의 증폭을 조절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송신 신호의 도달 거리를 조절한다. 마지막으로, 제어부(280)는 분실 방지 장치(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구성이다. 제어부(280)는 플래시 메모리를 구비한 마이크로 제어 유닛(Micro Control Unit, MCU)일 수 있으며, 이 경우 플래시 메모리는 상술한 저장부(260)를 의미한다.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unit 270 is a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on within a limited distance, and may be a Bluetooth communication unit. As 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unit 270 includes a Bluetooth module 271, a power regulator 272 and a Bluetooth antenna 273. The Bluetooth module 271 processes a transmission / reception signal according to a Bluetooth communication standard and transmits and receives a signal through a Bluetooth antenna 273. The power regulator 272 adjusts the RF powe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280 to be described later. That is, the power regulator 272 adjusts the amplification of the transmission power amplifie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280, and as a result, adjusts the reach of the transmission signal. Finally, the controller 280 is a component for controlling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loss prevention apparatus 200. The controller 280 may be a micro control unit (MCU) having a flash memory, in which case the flash memory refers to the storage unit 260 described above.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분실 방지 장치(200)의 동작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loss prevention apparatus 2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입력 스위치(250)가 온 되어 전원이 인가되거나 감시 기능이 활성화되면, 제어부(280)는 저장부(260)에 저장된 설정 데이터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100)을 감시하기 위한 동작을 개시한다. 만일 저장부(260)에 설정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지 않으면, 분실 방지 장치(200)는 감시 동작을 수행하지 않으며, 이후 이동통신 단말(100)로부터 근거리 통신부(270)를 통해 설정 데이터가 수신되면, 수신된 설정 데이터를 저장부(260)에 저장한 후 그 저장된 설정 데이터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100)을 감시한다. 예를 들어, 저장부(260)에 저장된 설정 데이터에 포함된 감시 주기가 20초이고 감시 영역이 5m일 경우, 제어부(280)는 근거리 통신부(270)를 통해 20초마다 반경 5m 영역 내에서 이동통신 단말(100)을 검색한다. 이때 최초 검색 개시시, 제어부(280)가 설정 데이터에 따라 해당 감시 영역 내에서 이동통신 단말(100)을 감시하도록 전력 조절기(272)를 제어하여 전력을 조절함은 물론이다. 이 같이 전력 조절기(272)에 의해 전력이 조절되면, 그 조절된 상태가 유지된다.When the input switch 250 is turned on to supply power or the monitoring function is activated, the controller 280 starts an operation for monitor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setting data stored in the storage unit 260. If the setting data is not stored in the storage unit 260, the loss prevention apparatus 200 does not perform a monitoring operation, and after the setting data is receiv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through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unit 270, After storing the received setting data in the storage unit 260,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s monitored according to the stored setting data. For example, when the monitoring period included in the setting data stored in the storage unit 260 is 20 seconds and the monitoring area is 5 m, the control unit 280 moves within a 5 m radius area every 20 seconds through the local area communication unit 270. Search for th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t this time, when the initial search is started, the control unit 280 controls the power regulator 272 to monito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n the corresponding monitoring area according to the setting data, of course, to adjust the power. When the power is adjusted by the power regulator 272 in this manner, the adjusted state is maintained.

이후, 주기적으로 이동통신 단말(100)을 검색하는 중에 검색에 실패하면, 제어부(280)는 사용자에게 이동통신 단말(100)이 분실되었음을 알린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부(280)는 검색에 실패하자마자 곧바로 경보를 발생시킨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부(280)는 검색에 실패하면 소정 횟수만큼 이동통신 단말(100)을 재검색하고, 재검색에도 실패한 경우에 경보를 발생시킨다. 여기서 재검색은 설정된 감시 주기와는 무관하게 검색에 실패하자마자 곧바로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에게 이동통신 단말(100)이 분실되었음을 알리는 방식에 있어서, 제어부(280)는 저장부(260)에 저장된 설정 데이터에 속한 경보음을 스피커(230)로 출력하거나 발광부(240)를 발광시킬 수 있다. 아니면, 제어부(280)는 둘 다를 모두 수행할 수도 있다.Thereafter, if the search fails while searching fo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periodically, the controller 280 notifies the user tha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s lost. In one embodiment, the controller 280 generates an alert as soon as the search fails. In another embodiment, the controller 280 rescan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for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when the search fails, and generates an alarm when the search fails. Here, the rescan can be performed immediately as soon as the retrieval fails regardless of the set monitoring period. In a manner of notifying the user tha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s lost, the controller 280 outputs an alarm sound belonging to the setting data stored in the storage unit 260 to the speaker 230 or emits light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240. You can. Alternatively, the controller 280 may perform both.

사용자가 경보를 감지하여 이동통신 단말(100)을 분실한 사실을 인식하면 이동통신 단말(100)을 찾기 위한 이동을 할 것이며, 이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100)은 다시 분실 방지 장치(200)의 감시 영역 내에 존재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제어부(280)는 경보를 울린 후에도 근거리 통신부(270)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100)을 검색한다. 바람직하게, 제어부(280)는 감시 주기인 20초에 구애받지 않고 지속적으로 이동통신 단말(100)을 검색한다. 경보를 울린 후에, 이동통신 단말(100)이 통신 영역 내에 다시 위치하게 되면, 즉 이동통신 단말(100)이 검색되면, 제어부(280)는 전력 조절기(272)를 제어하여 RF 전력을 변화시켜가면서 이동통신 단말(100)을 검색한다. 이 같이 하는 이유는 분실 방지 장치(200)와 이동통신 단말(100) 간의 거리를 파악하기 위함이다. 부연 설명하면, 예를 들어 4m의 감시 영역 내에서 이동통신 단말(100)은 검색되나 3.9m의 감시 영역 내에서는 이동통신 단말(100)이 검색되지 않는 경우, 분실 방지 장치(200)와 이동통신 단말(100) 간의 거리가 3.9~4m로 파악될 수 있는 것이다. 더불어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거리 변화도 파악될 수 있다. 거리 변화가 파악되면, 제어부(280)는 발광부(240)의 발광 색상을 변화시켜 이동통신 단말(100)과 가까워지는지 아니면 멀어지는지를 사용자에게 알려준다. 예를 들어 분실 방지 장치(200)와 이동통신 단말(100) 간의 거리가 가까워질수록 발광 색상을 녹색으로 점점 변화시키며, 거리가 점점 멀어질수록 발광 색상을 빨간색으로 점점 변화시킨다. 이는 분실 위치의 정밀 파악을 가능하게 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손쉽게 이동통신 단말(100)을 찾을 수 있게 한다.
When the user detects an alarm and recognizes tha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s lost, the user will move to fi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ccordingl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gain returns the loss prevention apparatus 200. It can be present in the surveillance area. Therefore, the controller 280 searches fo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through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unit 270 even after the alarm is sounded. Preferably, the controller 280 continuously searches fo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regardless of the monitoring period of 20 seconds. After the alarm,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s located in the communication area again, that is,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s found, the controller 280 controls the power regulator 272 to change the RF power. Search fo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The reason for doing this is to determine the distance between the loss prevention apparatus 200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n detail, for example,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s searched in the 4m surveillance area bu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s not searched in the 3.9m surveillance area, the loss prevention device 200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are described. The distance between the terminals 100 can be understood as 3.9 ~ 4m. In addition, the distance change can be detecte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user. When the distance change is detected, the controller 280 changes the light emission color of the light emitter 240 to inform the user whethe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s near or away. For example, the light emission color gradually changes to green as the distance between the loss prevention apparatus 200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pproaches, and the light emission color gradually changes to red as the distance increases. This enables accurate grasp of the lost location, allowing the user to easily fi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So far I looked at the center of the preferred embodiment for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Therefore, the disclosed embodiments should be considered in an illustrative rather than a restrictive sens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by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all difference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thereof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100 : 이동통신 단말 110 : 사용자 인터페이스
120 : 통신부 130 : 근거리 통신부
131 : 블루투스 모듈 132 : 전력 조절기
133 : 블루투스 안테나 140 : 위치 수신부
150 : 저장부 160 : 제어부
200 : 분실 방지 장치 210 : 배터리
220 : 충전 커넥터 230 : 스피커
240 : 발광부 250 : 입력 스위치
260 : 저장부 270 : 근거리 통신부
271 : 블루투스 모듈 272 : 전력 조절기
273 : 블루투스 안테나 280 : 제어부
100: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user interface
120: communication unit 130: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131: Bluetooth module 132: power regulator
133: Bluetooth antenna 140: location receiving unit
150: storage unit 160:
200: anti-lost device 210: battery
220: charging connector 230: speaker
240: light emitting unit 250: input switch
260: storage unit 270: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271: Bluetooth module 272: power regulator
273: Bluetooth antenna 280: control unit

Claims (11)

제한된 거리 내에서 통신하는 근거리 통신부;
개인 소지품들에 연결된 분실 방지 장치별 감시 주기, 감시 영역, 경보 방식 및 경보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설정 데이터와,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서 개인 소지품을 분실한 장소로의 경로를 안내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분실 방지 장치별 설정 데이터에 따라 상기 근거리 통신부를 통해 해당 분실 방지 장치를 검색하되, 상기 검색에 실패할 경우 사용자에게 개인 소지품의 분실을 알리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설정 데이터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분실 방지 장치별로 개별 설정될 수 있고,
상기 감시 주기 및 감시 영역은 배터리 수명 연장을 위한 통신 간격 조정을 위해 조정될 수 있으며,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맵 상에 경로를 반영하여 화면 출력을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분실 장소로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거나,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실시간으로 맵 상에 경로가 반영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화면에 출력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분실 방지 장치별 감시 영역을 달리하기 위해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RF 전력이 조절되도록 하며, 상기 검색에 실패하면, 상기 감시 주기와 무관하게 검색에 실패하자마자 소정 횟수만큼 해당 분실 방지 장치를 재검색하고, 재검색에 실패할 경우, 경보를 발생시키며,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분실 방지 장치까지의 이격 거리를 알려주기 위해 상기 설정 데이터에서 감시 영역으로 지정된 거리를 확인하여 화면에 표시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소지품 분실 방지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
A short range communication unit communicating within a limited distance;
An application for guiding a path from a user's current location to a place where personal belongings are lost, and setting data including at least one of a monitoring cycle, a monitoring area, an alarm method, and an alarm sound for each anti-lost device connected to personal belongings. A storage unit for storing; And
Searching for a corresponding loss prevention device through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according to the setting data for each loss prevention device stored in the storage unit, if the search fails, and includes a control unit to notify the user of the loss of personal belongings,
The setting data may be individually set for each anti-lost device according to the user's input through a user interface.
The monitoring period and the monitoring area can be adjusted to adjust the communication interval for extending battery life,
The application reflects the path on the map and provides the user with a moving path to the lost place through the screen output, or accesses a service server and receives data reflecting the path on the map in real time from the service server and displays the data on the screen. Output,
The control unit
RF power is adjusted by outputting a control signal to change the monitoring area for each loss prevention device, and if the search fails, rescan the corresponding loss prevention device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as soon as the search fails regardless of the monitoring period. When rescanning fails, an alarm is generated and the distance specified to the surveillance area is checked and displayed on the screen to inform the user of the separation distance to the loss prevention devic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preventing the loss of personal belonging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색에 실패할 경우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이동 경로를 파악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며, 상기 저장된 이동 경로 데이터가 반영된 맵 이미지를 화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소지품 분실 방지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
The method of claim 1,
If the search fails, the controller grasps the movement path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stores the movement path in the storage unit, and outputs a map image reflecting the stored movement path data. Communication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색에 실패할 경우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위치를 파악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며,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현재 위치로부터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위치 좌표로의 이동 경로 데이터가 반영된 맵 이미지를 화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소지품 분실 방지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
The method of claim 1,
If the search fails, the controller detects the loc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stores the loc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the storage unit, and maps a map image reflecting movement path data from the current loc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the location coordinates stored in the storage uni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preventing the loss of personal belongings,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put screen.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통신부는 블루투스 통신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소지품 분실 방지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preventing the loss of personal belongings, characterized in that the Bluetooth communication unit.
RF 전력을 조절하는 전력 조절기를 포함하며, 상기 전력 조절기에 의해 조절된 전력에 따른 제한된 거리 내에서 통신하는 근거리 통신부;
이동통신 단말에 대한 감시 주기와 감시 영역이 포함된 설정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분실 위치를 알리기 위한 발광부; 및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설정 데이터에 따라 상기 근거리 통신부를 통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을 검색하고, 상기 검색에 실패할 경우 사용자에게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분실을 알리며,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분실을 알린 후 상기 감시 영역 내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이 검색되면 상기 전력 조절기 제어를 통해 상기 RF 전력을 조절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을 지속적으로 검색하고, 그 검색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과의 거리 변화를 파악하며, 파악된 상기 거리 변화를 상기 발광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알리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색에 실패하면, 상기 감시 주기와 무관하게 검색에 실패하자마자 소정 횟수만큼 상기 이동통신 단말을 재검색하며, 재검색에 실패할 경우, 경보를 발생시키고, 상기 사용자의 위치 이동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 단말과 가까워지는지 아니면 멀어지는지를 상기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과의 거리 변화에 따라 상기 발광부의 발광 색상을 변화시키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분실 방지 장치.
A short range communication unit including a power regulator for adjusting RF power and communicating within a limited distance according to the power controlled by the power regulator;
A storage unit which stores setting data including a monitoring period and a monitoring area fo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Light emitting unit for notifying the lost loc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searched through the local area communication unit according to the setting data stored in the storage unit. If the search fails, the user is notified of the los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monitor is notified of the los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searched in the area, the power regulator is controlled to continuously search fo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y adjusting the RF power, and based on the search result, determine a change in distance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control unit for notifying a user of the detected distance change through the light emitting unit;
The control unit
If the search fail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re-searched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as soon as the search fails, irrespective of the monitoring period, and if the re-search fails, an alarm is generated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move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user's location. Changing the light emission color of the light emitting unit according to a change in distance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inform the user whether it is near or away
Loss preven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삭제delet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상기 근거리 통신부를 통해 상기 설정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실 방지 장치.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And the control unit receives the setting data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unit and stores the setting data in the storage unit.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데이터에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분실을 알리기 위한 경보음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실 방지 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Loss preven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etting data further comprises an alarm sound for notifying the los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제7항, 제9항 및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통신부는 블루투스 통신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실 방지 장치.
11. A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7, 9 and 10,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is a loss preven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Bluetooth communication unit.
KR1020120031788A 2012-03-28 2012-03-28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preventing loss of personal belongings and loss prevention apparatus fo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133427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1788A KR101334271B1 (en) 2012-03-28 2012-03-28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preventing loss of personal belongings and loss prevention apparatus fo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1788A KR101334271B1 (en) 2012-03-28 2012-03-28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preventing loss of personal belongings and loss prevention apparatus fo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9772A KR20130109772A (en) 2013-10-08
KR101334271B1 true KR101334271B1 (en) 2013-12-02

Family

ID=496319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1788A KR101334271B1 (en) 2012-03-28 2012-03-28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preventing loss of personal belongings and loss prevention apparatus fo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4271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57189B2 (en) 2020-03-30 2023-05-23 Kyndryl, Inc. Object loss prevention using cognitive computing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18996B (en) * 2013-12-13 2017-05-10 北京奇虎科技有限公司 Position data processing method, client and server
CN105681548A (en) * 2015-12-31 2016-06-15 上海摩软通讯技术有限公司 Mobile terminal and anti-theft method of the mobile terminal
KR102022650B1 (en) * 2018-08-28 2019-09-18 유경학 Learning Management Method Using Electronic Pen, Managing Server Used Therein, and Media Recorded with Program Executin Learning Management Method Using Electronic P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9037A (en) * 2001-11-09 2003-05-17 엘지전자 주식회사 Access monitoring method for bluetooth device
JP2008070964A (en) * 2006-09-12 2008-03-27 Nec Corp Loss prevention system for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equipment
KR20110120497A (en) * 2010-04-29 2011-11-04 김태순 Loss prevention and loss finding device
KR20120019999A (en) * 2010-08-27 2012-03-07 최승호 Chipset for tracking position and method for driving of chipset for tracking position and terminal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9037A (en) * 2001-11-09 2003-05-17 엘지전자 주식회사 Access monitoring method for bluetooth device
JP2008070964A (en) * 2006-09-12 2008-03-27 Nec Corp Loss prevention system for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equipment
KR20110120497A (en) * 2010-04-29 2011-11-04 김태순 Loss prevention and loss finding device
KR20120019999A (en) * 2010-08-27 2012-03-07 최승호 Chipset for tracking position and method for driving of chipset for tracking position and termina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57189B2 (en) 2020-03-30 2023-05-23 Kyndryl, Inc. Object loss prevention using cognitive comput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9772A (en) 2013-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008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distance in bluetooth device
US2012025874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Using a Wireless Mobile Handset Application to Locate Beacons
KR101476103B1 (en) Smart phone for wireless-charging wearable device and method for transmitting wireless power of the same
KR101334271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preventing loss of personal belongings and loss prevention apparatus fo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11247578B2 (en) Electric charging stations with docking management and methods of use
JP2012016170A (en) Power supply device
CN101822033A (en) Communication system
ES2950409T3 (en) Wireless charging and communication with power supply devices and power charging devices in a communication system
KR101773395B1 (en) Alaram card and system for preventing loss one's using a smartphone
KR101812234B1 (en) A Drone charging system and controlling method using magnetic resonance type
KR101925050B1 (en) Auxiliary battery having preventing loss fuction and system using the same
KR20160102745A (en) Perpormance control system for battery of i o t terminal
KR101887944B1 (en) Loss preventing device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with mobile device
JP7271994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program
JP2020072281A (en) Portable radio terminal and positioning system
KR10130677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a plurality of the mobile devices
US11349518B2 (en) Cover for portable terminal
JP2018128293A (en) Beacon tracking system and method
US10798550B2 (en) Terminal device, method of controlling terminal device, and program
KR101638936B1 (en) Method for displaying beacon message
TW201604844A (en) Lost item positioning system and target device thereof
US20220311275A1 (en) Wireless Power System Operable With An Audiovisual Electronic Device
JP6948534B1 (en) Loss prevention and position search device for monitored objects
JPWO2006117908A1 (en) Mobile terminal devic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d mobile terminal device misplacement detection system
US20160249317A1 (en) Wireless Arra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