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3879B1 -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3879B1
KR101333879B1 KR1020100081908A KR20100081908A KR101333879B1 KR 101333879 B1 KR101333879 B1 KR 101333879B1 KR 1020100081908 A KR1020100081908 A KR 1020100081908A KR 20100081908 A KR20100081908 A KR 20100081908A KR 101333879 B1 KR101333879 B1 KR 1013338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host
control
mobile terminal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19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18919A (ko
Inventor
이태영
김태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4645534&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333879(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Priority to KR10201000819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3879B1/ko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US13/191,363 priority patent/US8634818B2/en
Priority to EP11176526.9A priority patent/EP2424170B1/en
Priority to CN201110237610.XA priority patent/CN102377819B/zh
Publication of KR201200189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89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38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3879B1/ko
Priority to US14/152,152 priority patent/US9113312B2/en
Priority to US14/827,716 priority patent/US9503559B2/en
Priority to US15/354,691 priority patent/US9930499B2/en
Priority to US15/911,495 priority patent/US10225697B2/en
Priority to US16/290,914 priority patent/US20190200172A1/en
Priority to US16/694,905 priority patent/US10904714B2/en
Priority to US17/146,668 priority patent/US20210136533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5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involving copying of the display data of a local workstation or window to a remote workstation or window so that an actual copy of the data is displayed simultaneously on two or more displays, e.g. tele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7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09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indicating that an appliance service is present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7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12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describing content present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e.g. audio video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7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14Exchanging control software or macros for 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7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ome appliance used
    • H04L2012/2849Audio/video applia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for remote control of applia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27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games or graphical anim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는, 호스트 및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통신부, 상기 호스트로부터 이용 가능한 컨텐츠 정보 및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는 디바이스 정보를 수신하는 검색부, 수신된 컨텐츠 정보 및 디바이스 정보를 이용하여, 컨텐츠 및 디바이스의 선택 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 및 상기 컨텐츠 및 디바이스에 대한 선택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호스트로 선택된 디바이스에 선택된 컨텐츠가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의 표시 화면에 상기 컨텐츠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 화면을 표시하는 명령을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제어 방법{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클라우드 컴퓨팅 방식을 이용하여 디바이스와 컨텐츠를 공유하고,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 통신 기술과 제반 인프라가 급속히 발전함에 따라, 이동 단말기는 일반적인 음성 통화 뿐만 아니라, 게임, 메시지 송수신, 인터넷 검색, 무선 정보 통신, 전자 수첩, 디지털 카메라, 영상 통화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매체로 진화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이동 단말기 시장은 소비자의 구매를 자극하는 새로운 기술 및 기능으로 인하여 단순한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하는 단계를 넘어서서 사용자들의 요구에 맞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들이 설치되고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음성 정보, 문자 정보, 화상 정보, MP3 또는 게임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클라우드 컴퓨팅 방식을 이용하여 디바이스와 컨텐츠를 공유하고,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컨텐츠의 재생을 제어하는 이동 단말기에 있어서, 호스트 및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통신부, 상기 호스트로부터 이용 가능한 컨텐츠 정보 및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는 디바이스 정보를 수신하는 검색부, 수신된 컨텐츠 정보 및 디바이스 정보를 이용하여, 컨텐츠 및 디바이스의 선택 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 및 상기 컨텐츠 및 디바이스에 대한 선택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호스트로 선택된 디바이스에 선택된 컨텐츠를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의 표시 화면에 상기 컨텐츠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 화면을 표시하는 명령을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또한, 이용 가능한 컨텐츠 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입력부는 상기 메모리부의 컨텐츠 정보를 이용하여, 컨텐츠 및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는 디바이스의 선택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제어부는 선택된 디바이스로 선택된 컨텐츠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호스트 또는 상기 선택된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선택된 디바이스를 통해 출력되는 컨텐츠에 대한 부가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호스트 또는 상기 선택된 디바이스로 상기 선택된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제어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호스트로부터 상기 선택된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 모드를 수신하고, 수신된 제어 모드를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디바이스의 제어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컨텐츠의 재생을 제어하는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제어 방법에 있어서, 호스트로부터 이용 가능한 컨텐츠 정보 및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는 디바이스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컨텐츠 정보 및 디바이스 정보를 이용하여, 컨텐츠 및 디바이스의 선택 신호가 입력되는 단계, 선택된 디바이스에 선택된 컨텐츠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 명령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명령을 상기 호스트로 전송하여, 선택된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선택 신호가 입력되는 단계는, 이용 가능한 컨텐츠 정보가 저장되는 단계 및 저장된 컨텐츠 정보를 이용하여, 컨텐츠 및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는 디바이스의 선택 신호가 입력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선택된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호스트 또는 상기 선택된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선택된 디바이스에서 출력되는 컨텐츠에 대한 부가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택된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호스트 또는 상기 선택된 디바이스로 상기 선택된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택된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호스트로부터 상기 선택된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 모드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모드를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제어 방법은,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물리적으로 분리된 디바이스와 컨텐츠를 공유하고, 상기 분리된 디바이스를 통합 정보 관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 호스트 및 디바이스 사이의 관계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 호스트 및 디바이스 사이의 통신 과정을 도시하는 순서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디바이스의 제어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와 디바이스의 컨텐츠 공유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제어 방법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이 속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도면을 참조 또는 변형하여 상기 구성에 대한 다양한 실시예를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다양한 실시예를 포함하며 이루어지며, 아래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통신부(110), 검색부(120), 입력부(130), 메모리부(14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한다.
상기 통신부(110)는 호스트 및 디바이스와 유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디바이스는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디바이스를 모두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어, TV, 오디오, 카메라, 프린터, 게임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호스트는 클라우드 컴퓨팅 방식에서 등록된 각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제어 시스템으로, 서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상기 통신부(110)를 통해, 호스트로부터 이용 가능한 컨텐츠 정보 및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는 디바이스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통신부(110)를 통해 상기 호스트로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제어 명령을 송신한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상기 통신부(110)를 통해, 상기 호스트로부터 부가 정보 또는 제어 모드 등을 수신하고,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부가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와 통신하는 디바이스가 각각 상이한 ID로 구분되어 호스트에 미리 등록됨으로써 상기 호스트를 통해 디바이스와 통신하거나,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 IrDA 기술 등을 통해 디바이스와 직접 통신할 수 있다.
상기 검색부(120)는 상기 통신부(110)를 통해 상기 호스트로부터 이용 가능한 컨텐츠 정보 및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는 디바이스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컨텐츠 정보 및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는 디바이스 정보가 하나 이상인 경우에는, 리스트 형태로 표시되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검색부(120)는 상기 호스트로부터 이용 가능한 컨텐츠 정보와 동시에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는 디바이스 정보를 수신하거나, 또는 상기 호스트로부터 이용 가능한 컨텐츠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로부터 임의의 컨텐츠에 대한 선택 신호가 입력되면, 선택된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는 디바이스 정보를 더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키며, 구체적으로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컨텐츠 정보 및 디바이스 정보를 이용하여, 컨텐츠 및 디바이스의 선택 신호를 입력받는다. 상기 입력부(130)는 상기 검색부(120)의 검색 방법에 따라, 컨텐츠 및 디바이스의 선택 신호를 동시에 입력받거나, 순차적으로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출력하고자 하는 컨텐츠가 복수의 디바이스에서 출력 가능한 컨텐츠인 경우, 상기 입력부(130)는 복수의 디바이스에 대한 선택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택된 컨텐츠가 영화인 경우, 상기 입력부(130)는 영상 출력 디바이스, 음성 출력 디바이스, 부가 정보 출력 디바이스 또는 제어 디바이스 중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에 대한 선택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고, 선택된 컨텐츠가 복수의 사용자가 동시에 재생할 수 있는 게임인 경우, 상기 입력부(130)는 영상 출력 디바이스, 음성 출력 디바이스 및 복수개의 제어 디바이스 중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에 대한 선택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상기 메모리부(140)는 이용 가능한 컨텐츠 정보가 미리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부(140)에 상기 컨텐츠 정보가 저장되는 경우,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상기 메모리부(140)에 저장된 컨텐츠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입력부(130)를 통해 컨텐츠에 대한 선택 신호 및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는 디바이스에 대한 선택 신호가 입력되면, 선택된 디바이스에 선택된 컨텐츠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부(140)는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를 리스트 형식으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부(140)는 상기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는 디바이스 정보를 추가적으로 더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50)는 통상적으로 음성 통화 및 화상 통화 등의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 제어 및 데이터 통신에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입력부(130)를 통해 컨텐츠 및 디바이스의 선택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호스트로 선택된 디바이스에 선택된 컨텐츠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 명령을 전송한다. 상기 컨텐츠의 종류는 동영상, 게임, 프로그램 등 이동 단말기(100)를 통해 제어될 수 있는 다양한 장르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컨텐츠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메모리부(140) 또는 호스트에 미리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메모리부(140)에 저장된 컨텐츠 정보를 이용하여, 임의의 디바이스에 임의의 컨텐츠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입력부(130)를 통해 컨텐츠 및 디바이스에 대한 선택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표시 화면에 선택된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선택된 디바이스에서 선택된 컨텐츠가 출력되는 동안, 상기 호스트 또는 상기 선택된 디바이스로 상기 선택된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 명령을 더 전송할 수 있고, 상기 호스트 또는 상기 선택된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선택된 디바이스를 통해 출력되는 컨텐츠에 대한 부가 정보를 수신하여, 이동 단말기의 표시 화면을 통해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표시 화면에, 선택된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 화면을 표시할 수 있고, 표시된 제어 화면을 통해 선택된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 선택된 컨텐츠를 출력하는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 모드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호스트로부터 상기 선택된 컨텐츠를 출력하는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 모드를 수신하여, 수신된 제어 모드를 이용하여 제어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어 모드는, 디바이스 종류 또는 컨텐츠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이 가능하며, 예를 들어, 영상 또는 오디오 컨텐츠의 경우, 재생, 중지, 빨리감기 등의 기능이 포함된 제어 화면이 될 수 있고, 게임 컨텐츠의 경우, 상, 하, 좌, 우 방향으로 컨트롤 할 수 있는 제어 화면이 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 모드는, 디바이스를 통해 출력되는 컨텐츠를 제어하는 화면 이외에도, 컨텐츠의 정보, 평가 내용, 사용법 또는 줄거리 등의 부가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선택된 디바이스가 선택된 컨텐츠를 재생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선택된 컨텐츠의 출력 방식을 다운로드 또는 스트리밍 중 하나의 재생 방식으로 지정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호스트를 통해 선택된 디바이스와 컨텐츠를 공유하는 중에도, 선택된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는 디바이스의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선택된 컨텐츠가 영화인 경우, 영상 출력 디바이스를 TV로, 음성 출력 디바이스를 홈씨어터로, 제어 디바이스를 이동 단말기로 설정한 경우에도, 이후,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영상 출력 디바이스, 음성 출력 디바이스 및 제어 디바이스를 모두 이동 단말기로 변경하여 환경 변화에서도 컨텐츠의 연속적인 이용을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컨텐츠의 불법 복제 또는 공유를 방지하기 위하여, 선택된 컨텐츠의 출력이 종료되면, 상기 호스트 또는 상기 선택된 디바이스로 상기 선택된 컨텐츠를 회수하는 제어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 호스트 및 디바이스 사이의 관계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관계 구성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 호스트(200) 및 디바이스(300)를 포함한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 및 호스트(200) 사이의 연결은 무선 인터넷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바이스는(300) 맥 어드레스(MAC address), 시리얼 넘버(serial number) 또는 디바이스 모델 ID(device model ID) 등을 통해 각각 상이한 ID로 호스트(200)에 등록될 수 있고, 유무선 인터넷을 통해 상기 호스트(200) 및 상기 디바이스(300) 사이의 통신이 수행된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100) 및 상기 디바이스(300) 사이에서도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 및 IrDA 등을 통해 직접 통신이 수행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 호스트 및 디바이스 사이의 통신 과정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에서 호스트(200)로 상기 이동 단말기(100) 또는 호스트(200)에 저장된 컨텐츠에 대한 검색을 요청하면(S310), 상기 호스트는 이용 가능한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상기 이동 단말기(100)로 제공한다(S320). 만약, 상기 이동 단말기에 컨텐츠 정보가 미리 저장된 경우에는, 이동 단말기에 저장된 컨텐츠 정보가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임의의 컨텐츠를 선택하여, 선택된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는 디바이스에 대한 검색을 요청하고(S330), 상기 호스트(200)는 선택된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는 디바이스 정보를 이동 단말기(100)로 전송한다(S340). 만약, 상기 이동 단말기에 디바이스 정보가 미리 저장된 경우에는, 이동 단말기에 저장된 디바이스 정보가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상기 디바이스 정보를 이용하여, 임의의 디바이스를 선택하여 선택된 디바이스가 선택된 컨텐츠를 출력하도록 제어 명령을 전송하고(S350), 상기 제어 명령을 수신한 호스트(200)는 선택된 디바이스(300)로 선택된 컨텐츠를 전송하여(S360), 선택된 디바이스를 통해 선택된 컨텐츠를 출력시킨다. 이 후, 상기 선택된 디바이스(300)는 컨텐츠 전송이 완료되면, 컨텐츠 전송 완료 확인 신호를 상기 호스트(200)로 전송할 수 있다(S370).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디바이스의 제어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으로, 도 4a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는 호스트로부터 컨텐츠 및 디바이스 정보를 수신한다(S411). 만약, 상기 이동 단말기에 컨텐츠 정보가 미리 저장된 경우에는, 이동 단말기에 저장된 컨텐츠 정보가 이용될 수 있다. 이후, 상기 이동 단말기에 컨텐츠 및 디바이스에 대한 선택 신호가 입력되면(S412), 상기 이동 단말기는 선택된 디바이스가 선택된 컨텐츠를 출력하도록 하는 제어 명령을 생성하여(S413), 상기 제어 명령을 호스트로 전송한다(S414).
도 4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으로, 도 4b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는 호스트로부터 컨텐츠 정보를 수신한다(S421). 만약, 상기 이동 단말기에 컨텐츠 정보가 미리 저장된 경우에는, 이동 단말기에 저장된 컨텐츠 정보가 이용될 수 있다. 이후, 상기 이동 단말기에 컨텐츠에 대한 선택 신호가 입력되면(S422),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호스트에 선택된 컨텐츠가 출력될 수 있는 디바이스 정보를 요청하여, 선택된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는 디바이스 정보를 수신한다(S423). 상기 이동 단말기에 디바이스에 대한 선택 신호가 더 입력되면(S424), 상기 이동 단말기는 선택된 디바이스가 선택된 컨텐츠를 출력하도록 하는 제어 명령을 생성하여(S425), 상기 제어 명령을 호스트로 전송하여(S426), 상기 선택된 디바이스가 선택된 컨텐츠를 출력하도록 한다(S429). 만약, 상기 이동 단말기에 선택된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제어 명령이 입력되면(S427),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입력된 제어 명령에 따라 선택된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있다(S428). 만약, 상기 이동 단말기에 상기 선택된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 모드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호스트로부터 제어 모드를 수신하여, 수신된 제어 모드를 이용하여 선택된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 4a 및 도 4b 과정을 통해, 선택된 디바이스에서 선택된 컨텐츠가 출력되는 동안,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호스트 또는 상기 선택된 디바이스로부터 출력되는 컨텐츠에 대한 부가 정보를 더 수신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와 디바이스의 컨텐츠 공유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영화 컨텐츠를 공유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5b는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게임 컨텐츠를 공유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를 통해 호스트에 접속하여 임의의 컨텐츠인 영화 2를 선택한다(S511). 상기 호스트는 상기 이동 단말기로 선택된 영화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는 디바이스 리스트를 전송하고, 사용자는 상기 디바이스 리스트를 이용하여 출력 디바이스로, 영상 디바이스에 TV를, 음성 디바이스에 홈씨어터 및 TV를, 부가 정보 표시 디바이스에 휴대폰을, 제어 디바이스에 휴대폰을 선택하고, 출력 방식으로 스트리밍 방식을 선택하여(S512), 상기 선택 사항을 호스트로 전송한다(S513). 상기 선택 사항을 수신한 호스트는, TV로 선택된 컨텐츠인 영화 2의 영상 정보 및 음성 정보를 스트리밍으로 전송하고(S514A), 홈씨어터로 선택된 컨텐츠인 영화 2의 음성 정보를 스트리밍으로 전송하며(S514B), 휴대폰으로 부가 정보 및 제어 모드에 대한 정보를 전송한다(S514C)
도 5b를 참조하면, 복수의 사용자 A,B,C,D가 동일한 축구 게임을 즐기기 위해서, 사용자 A는 이동 단말기를 통해 호스트에 접속하여 임의의 컨텐츠인 게임을 선택한다(S521). 상기 호스트는 상기 이동 단말기로 선택된 게임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는 복수의 디바이스 리스트를 전송하고, 사용자는 상기 복수의 디바이스 리스트를 이용하여 출력 디바이스로, 제어 디바이스에 휴대폰 A, B, C 및 D를, 영상 디바이스에 TV를 선택하여(S522), 상기 선택 사항을 호스트로 전송한다(S523). 상기 선택 사항을 수신한 호스트는, TV로 선택된 컨텐츠인 게임의 영상 정보를 전송하고(S524A), 휴대폰 A, B, C 및 D로 상기 선택된 컨텐츠인 게임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 모드에 대한 정보를 전송한다(S524B, S524C, S524D 및 S524E).
이외에도, 상기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디바이스로 프린터를 제어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에 저장된 사진 컨텐츠를 선택하면서, 출력 디바이스로 영상 디바이스를 TV로, 출력 디바이스를 프린터로, 제어 디바이스를 휴대폰으로 선택한 후, 상기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사진 컨텐츠를 TV로 보면서, 임의의 사진은 프린터를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제어 방법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100: 이동 단말기
110: 통신부
120: 검색부
130: 입력부
140: 메모리부
150: 제어부
200: 호스트
300: 디바이스

Claims (15)

  1. 컨텐츠의 재생을 제어하는 이동 단말기에 있어서,
    호스트 및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통신부;
    상기 호스트로부터 이용 가능한 컨텐츠 정보 및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는 디바이스 정보를 수신하는 검색부;
    수신된 컨텐츠 정보 및 디바이스 정보를 이용하여, 컨텐츠 및 디바이스의 선택 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 및
    상기 컨텐츠 및 디바이스에 대한 선택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호스트로 선택된 디바이스에 선택된 컨텐츠가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의 표시 화면에 상기 컨텐츠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 화면을 표시하는 명령을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부는 상기 호스트로부터 이용 가능한 컨텐츠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입력부를 통해 컨텐츠의 선택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호스트로부터 선택된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는 디바이스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3. 제1항에 있어서,
    이용 가능한 컨텐츠 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입력부는 상기 메모리부의 컨텐츠 정보를 이용하여, 컨텐츠 및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는 디바이스의 선택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제어부는 선택된 디바이스로 선택된 컨텐츠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 및 디바이스에 대한 선택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이동 단말기의 표시 화면에 선택된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제어 화면을 표시하고, 표시된 제어 화면을 통해 선택된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호스트 또는 상기 선택된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선택된 디바이스를 통해 출력되는 컨텐츠에 대한 부가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호스트 또는 상기 선택된 디바이스로 상기 선택된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컨텐츠가 복수의 디바이스에서 출력 가능한 컨텐츠인 경우,
    상기 입력부는 복수의 디바이스에 대한 선택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호스트로 선택된 복수의 디바이스에 선택된 컨텐츠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호스트로부터 상기 선택된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 모드를 수신하고, 수신된 제어 모드를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디바이스의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호스트로 상기 선택된 컨텐츠의 출력 방식을 지정하는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컨텐츠의 출력이 종료되면, 상기 호스트 또는 상기 선택된 디바이스로 상기 선택된 컨텐츠를 회수하는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1. 컨텐츠의 재생을 제어하는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제어 방법에 있어서,
    호스트로부터 이용 가능한 컨텐츠 정보 및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는 디바이스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컨텐츠 정보 및 디바이스 정보를 이용하여, 컨텐츠 및 디바이스의 선택 신호가 입력되는 단계;
    상기 선택 신호에 따라, 선택된 디바이스에 선택된 컨텐츠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 명령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명령을 상기 호스트로 전송하여, 선택된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제어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신호가 입력되는 단계는,
    이용 가능한 컨텐츠 정보가 저장되는 단계; 및
    저장된 컨텐츠 정보를 이용하여, 컨텐츠 및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는 디바이스의 선택 신호가 입력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제어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호스트 또는 상기 선택된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선택된 디바이스에서 출력되는 컨텐츠에 대한 부가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제어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호스트 또는 상기 선택된 디바이스로 상기 선택된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제어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호스트로부터 상기 선택된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 모드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모드를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제어 방법.
KR1020100081908A 2010-08-24 2010-08-24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제어 방법 KR1013338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1908A KR101333879B1 (ko) 2010-08-24 2010-08-24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제어 방법
US13/191,363 US8634818B2 (en) 2010-08-24 2011-07-26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EP11176526.9A EP2424170B1 (en) 2010-08-24 2011-08-04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CN201110237610.XA CN102377819B (zh) 2010-08-24 2011-08-18 移动终端和控制方法
US14/152,152 US9113312B2 (en) 2010-08-24 2014-01-10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US14/827,716 US9503559B2 (en) 2010-08-24 2015-08-17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US15/354,691 US9930499B2 (en) 2010-08-24 2016-11-17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US15/911,495 US10225697B2 (en) 2010-08-24 2018-03-05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US16/290,914 US20190200172A1 (en) 2010-08-24 2019-03-03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US16/694,905 US10904714B2 (en) 2010-08-24 2019-11-25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US17/146,668 US20210136533A1 (en) 2010-08-24 2021-01-12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1908A KR101333879B1 (ko) 2010-08-24 2010-08-24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8919A KR20120018919A (ko) 2012-03-06
KR101333879B1 true KR101333879B1 (ko) 2013-11-27

Family

ID=446455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1908A KR101333879B1 (ko) 2010-08-24 2010-08-24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8) US8634818B2 (ko)
EP (1) EP2424170B1 (ko)
KR (1) KR101333879B1 (ko)
CN (1) CN10237781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0473B1 (ko) * 2013-11-05 2020-11-1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US11509057B2 (en) 2015-08-05 2022-11-22 Matsing, Inc. RF lens antenna array with reduced grating lobes
US11509056B2 (en) 2015-08-05 2022-11-22 Matsing, Inc. RF lens antenna array with reduced grating lobes
US11394124B2 (en) 2015-08-05 2022-07-19 Matsing, Inc. Antenna lens switched beam array for tracking satellites
US11050157B2 (en) 2015-08-05 2021-06-29 Matsing, Inc. Antenna lens array for tracking multiple devices
US11431099B2 (en) 2015-08-05 2022-08-30 Matsing, Inc. Antenna lens array for azimuth side lobe level reduction
US11909113B2 (en) 2015-08-05 2024-02-20 Matsing, Inc. Squinted feeds in lens-based array antennas
US11234051B2 (en) * 2019-01-04 2022-01-25 Apple Inc. Predictive media routing
CN112463085A (zh) * 2019-09-06 2021-03-09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功能集合系统及功能集合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44435A (ja) 2000-06-01 2001-12-14 Seiko Epson Corp コンテンツ配信方法
JP2006211539A (ja) * 2005-01-31 2006-08-10 Sony Computer Entertainment Inc コンテンツ出力装置
EP2164258A1 (en) * 2007-06-11 2010-03-17 Sharp Kabushiki Kaisha Content delivering apparatus,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Family Cites Families (7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51327A1 (en) * 2000-12-22 2002-10-17 David Levitt Program selector and guide system and method
US20020184307A1 (en) * 2001-05-30 2002-12-05 Pineau Richard A. Method and apparatus for printing remote images using a mobile device and printer
AUPR576801A0 (en) * 2001-06-19 2001-07-12 University Of Tasmania Methods and pharmaceuticals for treating muscle insulin resistance and related conditions
EP1276237A1 (en) * 2001-07-12 2003-01-15 Sony Corporation Remote controller and system having the same
KR100792289B1 (ko) * 2001-07-13 2008-01-07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텐츠 다운로드 시스템 및 방법
US20030043260A1 (en) * 2001-08-29 2003-03-06 Adrian Yap Videophone answering device
US20110119353A1 (en) * 2002-08-06 2011-05-19 Tsao Sheng Tai Ted Method and Apparatus for information exchange over a web based environment
US8443288B2 (en) * 2002-11-22 2013-05-14 Sony Pictures Entertainment Inc. Ubiquitous companion agent
US7627313B2 (en) 2003-12-22 2009-12-01 Gigaset Communications Gmbh Method, telecommunication system and telecommunication handset for wireless communication and telecommunication in a smart home environment
US7212783B2 (en) * 2004-07-07 2007-05-01 Motorola, Inc.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content between devices in various domains
US20060010789A1 (en) * 2004-07-14 2006-01-19 Andino Jose R Assembly and method of forming an arch
KR20060011417A (ko) * 2004-07-30 2006-02-03 삼성전자주식회사 음성 출력과 영상 출력을 제어하는 장치와 제어 방법
WO2007007847A1 (ja) * 2005-07-13 2007-01-18 Sharp Kabushiki Kaisha 電子会議システム、電子会議管理装置、端末装置、電子会議管理方法、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それ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US8812526B2 (en) * 2005-09-14 2014-08-19 Millennial Media, Inc. Mobile content cross-inventory yield optimization
US7649522B2 (en) * 2005-10-11 2010-01-19 Fish & Richardson P.C. Human interface input acceleration system
US20090262661A1 (en) * 2005-11-10 2009-10-22 Sharp Kabushiki Kaisha Data transmission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data receiving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data transfer system, data transmission device control program, data receiving device control program, and storage medium containing the programs
JP4356688B2 (ja) * 2005-12-07 2009-11-04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およびデータ記録方法、データ表示制御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8784196B2 (en) * 2006-04-13 2014-07-22 Igt Remote content management and resource sharing on a gaming machine and method of implementing same
WO2008022338A2 (en) * 2006-08-17 2008-02-21 Core Mobility, Inc. Presence-based communication between local wireless network access points and mobile devices
KR101299683B1 (ko) * 2006-10-20 2013-08-2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7840686B2 (en) * 2006-10-25 2010-11-23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 and system for conducting communications over a network
KR100805254B1 (ko) * 2006-12-01 2008-02-21 주식회사 애트랩 광 포인팅 장치 및 이 장치의 데이터 전송 방법
CN101227489B (zh) * 2007-01-18 2010-10-13 中国移动通信集团公司 网络存储数据的共享方法及共享系统
EP1954049A1 (en) * 2007-01-31 2008-08-06 Koninklijke KPN N.V. Video system
US20100197236A1 (en) * 2007-07-02 2010-08-05 Panasonic Corporation Communication terminal and device connection availability determining method
KR101435876B1 (ko) * 2007-07-06 2014-09-01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바일 단말기의 인터페이스 방법 및 장치
JP2009026255A (ja) * 2007-07-24 2009-02-05 Hitachi Ltd データ移行方法、データ移行システム、及びデータ移行プログラム
KR20090017315A (ko) * 2007-08-14 2009-02-1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컨텐츠 기록 시스템 및 그 더빙 방법
WO2009028103A1 (ja) * 2007-08-31 2009-03-05 Panasonic Corporation コンテンツ管理装置、コンテンツ再生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0091345B2 (en) * 2007-09-04 2018-10-02 Apple Inc. Media out interface
US20090089401A1 (en) * 2007-10-01 2009-04-02 Microsoft Corporation Server-controlled distribution of media content
KR101265266B1 (ko) * 2007-10-16 2013-05-20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텐트 저장 장치의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US8397065B2 (en) * 2007-10-17 2013-03-12 Telcordia Technologies, Inc. Secure content based routing in mobile ad hoc networks
CN101145975A (zh) * 2007-10-30 2008-03-19 许志敏 网络媒体播放器及其远程管理控制器和远程控制方法
KR20090050374A (ko) * 2007-11-15 2009-05-20 삼성전자주식회사 저장 매체를 이용한 컨텐츠의 연속 재생 방법 및 이를 위한장치
US8306402B2 (en) * 2007-12-28 2012-11-06 Panasonic Corporation Time shift view/listening system, display device, and time shift view/listening method
KR20090119436A (ko) * 2008-05-16 2009-11-19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저장 장치에 저장된 컨텐트들과 관련된 서비스를제공하는 방법 및 그 장치
US8340726B1 (en) * 2008-06-30 2012-12-25 Iwao Fujisaki Communication device
US8321885B2 (en) * 2008-07-29 2012-11-27 Pino Jr Angelo J In-home system monitoring method and system
CN102113338B (zh) * 2008-08-07 2013-04-24 富士通株式会社 数据广播系统、数据广播服务器以及数据广播方法
US20100053108A1 (en) * 2008-09-01 2010-03-04 Chae Jung-Guk Portable device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1285119B1 (ko) * 2008-11-13 2013-07-17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관련 컨텐츠 제공 시스템, 제공 방법, 서비스 서버, 종단 단말기 및 저장 매체
US8904459B2 (en) * 2008-11-24 2014-12-02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media content for mobile devices
KR101598910B1 (ko) 2009-01-07 2016-03-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시분할 이중화 방식의 프레임 구조를 이용하여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JP5233708B2 (ja) * 2009-02-04 2013-07-10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006357B2 (ja) * 2009-03-11 2012-08-22 株式会社東芝 ボンディング方法およびボンディング装置
KR100911032B1 (ko) * 2009-04-01 2009-08-05 (주)애니쿼터스 Nfc 칩 모듈과 외부 rf 리더기를 통한 휴대폰 단말기의 벨소리·카메라·통신기능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598335B1 (ko) * 2009-06-11 2016-0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JP5526642B2 (ja) * 2009-08-03 2014-06-18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方法、情報処理システム、並びにプログラム
TW201106639A (en) * 2009-08-05 2011-02-16 Jian-Meng Yang Auto-transmission method of multiple transmission interfaces and electronic product performing the same
JP5129211B2 (ja) * 2009-08-06 2013-01-30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動作制御システム、及び画面データ生成プログラム
KR20110042982A (ko) * 2009-10-20 2011-04-27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텐츠 다운로드 서비스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단말장치
KR101278721B1 (ko) * 2010-01-08 2013-06-25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단말장치를 이용한 재생 제어 시스템 및 재생 제어 방법
US20110219097A1 (en) * 2010-03-04 2011-09-08 Dolby Laboratories Licensing Corporation Techniques For Client Device Dependent Filtering Of Metadata
JP2011186913A (ja) * 2010-03-10 2011-09-22 Fujifilm Corp ウェブサイト閲覧システム及びサーバ
US8365219B2 (en) * 2010-03-14 2013-01-29 Harris Technology, Llc Remote frames
US8560731B2 (en) * 2010-04-09 2013-10-15 Mobila, Inc. Subscription-based dynamic content optimization
US8789131B2 (en) * 2010-05-14 2014-07-22 Lg Electronics Inc.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sharing contents thereof with other devices
KR20110130173A (ko) * 2010-05-27 2011-1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기기 및 전자기기의 제어 방법
US8301765B2 (en) * 2010-06-22 2012-10-30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Event detection and response using rich network content
US8803940B2 (en) * 2010-07-28 2014-08-12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Merging content
US9516357B2 (en) * 2010-09-10 2016-12-06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Recording variable-quality content stream
US9049696B2 (en) * 2010-10-25 2015-06-02 Projectone Solutions, Inc. Multiple call session system and method for a mobile phone
KR101761616B1 (ko) * 2010-10-29 2017-08-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5444476B2 (ja) * 2010-11-18 2014-03-19 シャープ株式会社 コンテンツデータ生成装置、コンテンツデータ生成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KR101984462B1 (ko) * 2010-12-31 2019-05-30 이베이 인크. 간단한 커맨드로 복수의 네트워크화된 디바이스에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CN109559148A (zh) * 2011-01-04 2019-04-02 Aq株式会社 广告信息提供系统
US9338494B2 (en) * 2011-02-11 2016-05-10 Son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recommended content playback on a display device
US20120262378A1 (en) * 2011-04-12 2012-10-18 Yang qing-wen Touch flat pane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computer processing functions
KR101788060B1 (ko) * 2011-04-13 2017-11-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콘텐츠 관리방법
KR101774316B1 (ko) * 2011-04-18 2017-09-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콘텐츠 관리방법
US20130092032A1 (en) * 2011-10-18 2013-04-18 Bsh Home Appliances Corporation Intelligent home cooking appliance, associated systems, and/or method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44435A (ja) 2000-06-01 2001-12-14 Seiko Epson Corp コンテンツ配信方法
JP2006211539A (ja) * 2005-01-31 2006-08-10 Sony Computer Entertainment Inc コンテンツ出力装置
EP2164258A1 (en) * 2007-06-11 2010-03-17 Sharp Kabushiki Kaisha Content delivering apparatus,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128046A1 (en) 2014-05-08
KR20120018919A (ko) 2012-03-06
CN102377819B (zh) 2016-04-13
CN102377819A (zh) 2012-03-14
EP2424170A1 (en) 2012-02-29
US20120052847A1 (en) 2012-03-01
US8634818B2 (en) 2014-01-21
EP2424170B1 (en) 2018-12-19
US20180199165A1 (en) 2018-07-12
US9113312B2 (en) 2015-08-18
US20170070863A1 (en) 2017-03-09
US20200092684A1 (en) 2020-03-19
US20150358454A1 (en) 2015-12-10
US10225697B2 (en) 2019-03-05
US20190200172A1 (en) 2019-06-27
US9930499B2 (en) 2018-03-27
US10904714B2 (en) 2021-01-26
US20210136533A1 (en) 2021-05-06
US9503559B2 (en) 2016-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3879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제어 방법
KR101810403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주변 디바이스의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8649652B2 (en) Slide show display system with BGM, slide show display method with BGM,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playback device, and programs
US2011030444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Operating Media Devices
KR20130095519A (ko) 스크린 미러링 방법 및 그 장치
CN103516885B (zh) 一种多媒体播放系统及多媒体播放方法
KR102364317B1 (ko) 디스플레이 장치
CN112073761B (zh) 蓝牙功能的实现方法及装置、双硬件系统显示设备
CN112073768B (zh) 蓝牙通信方法及显示设备
US20160248832A1 (en) Multimedia resource management method, cloud server and electronic apparatus
CN102918512A (zh) 信息设备数据连接系统、验证设备、客户端设备、信息设备数据连接方法和记录介质
CN105611349A (zh) 一种播放终端遥控器的生成方法及移动终端
JP5220490B2 (ja) データ出力装置、データ提供装置、データ出力システム、データ出力装置の制御方法、及びデータ提供装置の制御方法
KR20130009186A (ko) 사용자 단말 장치와 영상출력장치간 컨텐츠 공유 시스템, 그리고 이를 위한 방법 및 기록매체
JP5833611B2 (ja) 通信管理装置、端末、通信管理システム、通信管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情報記憶媒体
US20230388580A1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for
JP2012079220A (ja) 電子機器、電子機器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CN116248915A (zh) 一种截屏方法及终端设备
TWI521957B (zh) A method and a device for sharing multimedia messages in a remote sequence
JP2010004401A (ja) データ出力装置、データ出力システム、及びデータ出力装置の制御方法
KR20220056218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
KR20210000520A (ko) 디스플레이 장치
WO2013114472A1 (ja) 通信装置、その動作方法およびその動作プログラム
JP2010268142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10004402A (ja) データ出力装置、データ出力システム、及びデータ出力装置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