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3107B1 - 디지털 영상미디어의 객관적 화질 평가 시스템 및 장치 - Google Patents

디지털 영상미디어의 객관적 화질 평가 시스템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3107B1
KR101333107B1 KR1020120019815A KR20120019815A KR101333107B1 KR 101333107 B1 KR101333107 B1 KR 101333107B1 KR 1020120019815 A KR1020120019815 A KR 1020120019815A KR 20120019815 A KR20120019815 A KR 20120019815A KR 101333107 B1 KR101333107 B1 KR 1013331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quality
test signal
image
signal
bur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98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98027A (ko
Inventor
한찬호
Original Assignee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198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3107B1/ko
Priority to US14/380,961 priority patent/US9319671B2/en
Priority to PCT/KR2012/001476 priority patent/WO2013129711A1/ko
Publication of KR201300980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80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31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31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7/00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7/00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 H04N17/004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for digital television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텔레비젼의 화질 측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 화질 측정 시스템은, 소스 영상의 각 프레임의 TEA (Transient Effect Area)의 사전 설정된 영역에 화질을 테스트하기 위한 테스트 신호를 삽입하는 화질 테스트 신호 삽입 장치; 수신된 후 복원된 영상 신호의 사전 설정된 영역으로부터 테스트 신호를 검출하여 출력하는 화질 측정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테스트 신호의 삽입 위치는 영상의 하단부에 위치하는 TEA 영역의 1-line 또는 둘 이상의 line 이며, 상기 테스트 신호는 DC ~ 샘플링 주파수의 1/2 의 범위에 있는 다수 개의 주파수들을 구비하는 멀티버스트(multi-burst)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디지털 영상미디어의 객관적 화질 평가 시스템 및 장치{Objective Picture Quality Assessment system and Equipment for Visual Digital Media}
본 발명은 디지털 영상미디어의 객관적 화질 평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디지털 영상미디어인 소스 영상에 테스트 신호를 삽입하여 송출하고, 이를 수신한 후 복원하여 테스트 신호를 검출하여 분석함으로써, 디지털 영상 미디어의 화질을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에 사용되는 화질 테스트 신호 삽입 장치 및 화질 평가 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방송 시스템(Digital Broadcasting System)은 전 과정이 디지털 신호로 처리되어 화질이 선명하며, 저음역에서 고음역까지 음향신호를 세분화하여 고음질을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디지털 방송 시스템은 지상파, 위성, 케이블 TV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하여 빠른 속도로 응용 및 확산되고 있다.
이와 같은 디지털 방송을 수신하기 위한 DTV 수신기의 테스트는 방송 시스템으로부터 신호를 받아서 기능이나 성능을 테스트해야 한다. 그러나, 실제 방송 시스템을 사용한 테스트는 동작 테스트는 가능하지만, 수신기의 특수한 기능의 테스트나 수신기의 성능을 일정하게 하기 위한 특수한 신호는 제공되지 않고 있다. 그러므로 DTV 수신기 개발 및 제조자는 이러한 기능 테스트와 성능 평가를 위하여 가상의 방송 시스템을 구성하고, 이 시스템을 이용하여 DTV 테스트를 수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한편, 아날로그 텔레비젼 시스템에 있어서, 영상에 대한 화질 평가를 위하여, 소스 영상의 각 프레임의 VIR (Vertical Interval Reference)영역에 테스트 신호(VITS : Vertical Interval Test Signal)를 삽입하여 송출하고, 이를 수신단의 오실로스코프와 같은 측정 장비나 모니터와 같은 디스플레이장치에 디스플레이시킴으로써, 영상에 대한 화질을 평가하였다.
하지만, 디지털 텔레비젼에서는 전술한 방법의 사용이 어려워짐에 따라 영상에 대한 객관적 화질 평가 방법에 대한 다양한 논의가 제안되었다. 특히, 방송 송출 장치는 소스 영상은 압축등의 인코딩 과정을 거친후 송출하게 되며, 수신 장치는 수신된 영상 신호를 디코딩하여 복원시킨 후 화면에 디스플레이시킨다.
도 1은 종래의 방식에 따른 디지털 영상에 대한 화질 평가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송 송출 장치(100)는 인코더를 이용하여 원본 소스 영상을 인코딩한 후, 채널 업 컨버터(Channel Up Converter)에서 상기 인코딩된 소스 영상을 RF 레벨로 변조 및 업 컨버팅하고, 디지털 전송 링크(104)를 통해 출력한다. DTV 수신기, 즉 셋탑 박스에서 RF 신호인 영상 신호를 수신한 방송 수신 장치(110)는 디코더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된 영상 신호를 디코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 및 화질 평가 장치(120) 또는 오실로스코프와 같은 측정 장비로 각각 출력한다. 상기 화질 평가 장치(120)는 방송 송출 장치로부터 다른 채널을 이용하여 인코딩되지 아니한 원본 소스 영상 신호 또는 원본 소스 영상으로부터 특징을 추출한 영상의 특징 정보를 포함하는 기준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기준 신호와 상기 수신된 디코딩된 소스 영상을 비교하여 영상의 품질, 즉 화질을 평가한다.
이러한 종래 방식에 따른 화질 평가 방법은 별도의 채널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여야 되므로 방송과 동시에 (in-service) 실시간으로 화질 평가를 수행하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방식에 따른 화질 평가 방법은 원 소스 영상이나 특징 정보를 포함하는 기준 신호와 디코딩된 소스 영상의 비교를 통해 영상의 품질을 평가하게 되는데, 이러한 영상 품질 평가 방식이 매우 복잡하여 고가의 영상 품질 평가 시스템이 요구되는 단점이 있다.
한편, 시각적인 화질이란 본래 주관적이고 많은 요소들에 의해 영향을 받기 때문에 정확하게 화질을 측정하는 것이 쉽지 않다. 따라서, 주관적인 화질 평가에 대한 여러가지 테스트 방법들이 제안되고 있다. 하지만 주관적인 화질 측정 방법의 복잡성과 비용으로 인해,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화질을 특정짓는 방법들이 관심을 끌게 되었다. 이와 같이 객관적인 화질 평가 방법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는 방법은 MSE(Mean Squared Error)를 기반으로 계산된 PSNR(Peak Signal to Noise Ratio)이다. PSNR은 로그 단위로 측정되며 이미지에 존재할 수 있는 최대 샘플 개수의 제곱과 원본 이미지와 손상된 이미지 또는 비디오 프레임 사이의 평균제곱오차(MSE)의 비율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높은 MSE 값은 원본 영상과의 차이가 많을 것을 의미하고 이는 낮은 PSNR로 측정되기 때문에 낮은 품질의 영상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여러가지의 이유로 인하여 PSNR에 따른 평가가 실제 주관적인 화질과 반드시 연관되지 않은 경우가 왕왕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전술한 다양한 문제점들로 인하여, 디지털 텔레비젼의 화질의 품질을 객관적으로 평가하기가 쉽지 않은 실정이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방송중에도(in-service) 실시간으로 영상 품질을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디지털 텔레비젼의 화질 평가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소스 영상이나 소스 영상에 대한 특징 정보의 전송없이도 영상 품질을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디지털 텔레비젼의 화질 평가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소스 영상이나 소스 영상에 대한 특징 정보의 전송없이 방송 중에도 실시간으로 모든 프레임에 대하여 객관적으로 영상 품질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소스 영상의 특정 영역에 테스트 신호를 삽입하는 디지털 텔레비젼의 화질 평가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특징은 화질 테스트 신호 삽입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화질 테스트 신호 삽입 장치는, 영상 품질을 테스트하기 위한 테스트 신호 생성부; 소스 영상의 각 프레임의 TEA (Transient Effect Area)의 사전 설정된 영역에 상기 테스트 신호를 삽입하는 신호 삽입부; 상기 테스트 신호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테스트 신호에 프레임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타임 코드를 추가하는 타임 코드 삽입부;를 구비한다.
제1 특징에 따른 화질 테스트 신호 삽입 장치에 있어서, 상기 테스트 신호의 삽입 위치는 영상의 하단부에 위치하는 TEA 영역의 1-line 또는 둘 이상의 line 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 특징에 따른 화질 테스트 신호 삽입 장치에 있어서, 상기 테스트 신호는 DC ~ 샘플링 주파수의 1/2 의 범위에 있는 다수 개의 주파수들을 구비하는 멀티버스트(multi-burst)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2 특징에 따른 화질 측정 장치는, 복원된 영상 신호의 사전 설정된 영역으로부터 테스트 신호를 검출하는 테스트 신호 검출부; 테스트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 출력부; 테스트 신호로부터 타임 코드를 추출하고, 상기 타임 코드로부터 프레임 식별 정보를 검출하여 출력하는 타임 코드 판독부; 테스트 신호를 이용하여 영상 품질을 객관적으로 측정하여 제공하는 영상 품질 측정부;를 구비한다.
제2 특징에 따른 화질 측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영상 품질 측정부는 테스트 신호로부터 각 버스트(burst)의 진폭(Amplitude)를 측정하고, 이를 이용하여 시간 영역에서의 영상 품질을 수치화하여 출력하거나, 테스트 신호를 FFT(Fast Fourier Transform)한 후 각 버스트(burst)의 진폭을 측정하고 이를 이용하여 주파수 영역에서의 영상 품질을 수치화하여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3 특징에 따른 디지털 텔레비젼의 화질 측정 시스템은, 소스 영상의 각 프레임의 TEA (Transient Effect Area)의 사전 설정된 영역에 화질을 테스트하기 위한 테스트 신호를 삽입하는 화질 테스트 신호 삽입 장치; 수신된 후 복원된 영상 신호의 사전 설정된 영역으로부터 테스트 신호를 검출하여 출력하는 화질 측정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테스트 신호의 삽입 위치는 영상의 하단부에 위치하는 TEA 영역의 1-line 또는 둘 이상의 line 이며, 상기 테스트 신호는 DC ~ 샘플링 주파수의 1/2 의 범위에 있는 다수 개의 주파수들을 구비하는 멀티버스트(multi-burst)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화질 평가 시스템은 소스 영상의 TEA 영역에 테스트 신호를 삽입하여 전송하고, 수신후 복원된 영상으로부터 테스트 신호를 검출하고 분석함으로써, 방송 중에도 기존 방송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화질의 평가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질 평가 시스템은 테스트 신호를 영상 신호에 삽입하여 전송함으로써, 송신단에서 소스 영상이나 소스 영상에 대한 특징 정보를 별도로 전송하지 않더라도 수신단에서 소스 영상에 대한 화상의 품질에 대한 평가가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질 평가 시스템은 복원된 소스 영상으로부터 검출된 테스트 신호를 시간 영역 및 주파수 영역에서 각각 분석함으로써 객관적 영상 품질 평가 방법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9는 종래의 객관적 영상 품질 평가 방법과 본원 발명에 따른 화질 평가 시스템에 의한 영상 품질 평가 방법에 따라 각각 프레임들에 대한 Y(휘도)신호의 PSNR 을 도시하여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9를 통해, 본원 발명에 따른 평가 방법과 종래의 영상 품질 평가 방법의 평가 결과는 객관적으로 일치함으로 쉽게 알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방식에 따른 디지털 영상에 대한 화질 평가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텔레비젼의 화질 평가 시스템을 전체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1920 × 1080 영상 형식을 도식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에 있어서, 화상 품질을 테스트하기 위하여 TEA영역에 삽입되는 테스트 신호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5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에 의하여 TEA 영역에 테스트 신호가 삽입된 영상이며, (b)는 수신후 복원되어 디스플레이된 영상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질 평가 장치의 테스트 신호 출력부에 의하여, 출력된 테스트 신호를 오실로스코우프를 이용하여 출력한 그래프들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질 평가 장치의 영상 품질 측정부를 이용하여 시간 영역에서의 영상 품질 평가를 위하여 수신된 테스트 신호를 출력한 그래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질 평가 장치의 영상 품질 측정부를 이용하여 주파수 영역에서의 영상 품질 평가를 위하여 수신된 테스트 신호를 출력한 그래프이다.
도 9는 종래의 객관적 영상 품질 평가 방법과 본원 발명에 따른 화질 평가 시스템에 의한 영상 품질 평가 방법에 따라 각각 프레임들에 대한 Y(휘도)신호의 PSNR 을 도시하여 비교한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텔레비젼의 화질 평가 시스템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텔레비젼의 화질 평가 시스템을 전체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텔레비젼의 화질 평가 시스템은 테스트 신호 삽입 장치(20), 디지털 전송 링크(25), 화질 평가 장치(30)를 구비한다.
상기 테스트 신호 삽입 장치(20)는 소스 영상의 TEA의 사전 설정 영역에 영상 품질을 테스트하기 위한 테스트 신호를 삽입하는 장치로서, 테스트 신호 생성부(202), 타임 코드 삽입부(204) 및 테스트 신호 삽입부(206)을 구비한다.
테스트 신호 생성부(202)는 영상 품질을 테스트하기 위한 테스트 신호를 생성한다. 타임 코드 삽입부(204)는 상기 테스트 신호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테스트 신호에 프레임 식별 정보 및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타임 코드를 추가한다. 테스트 신호 삽입부(206)는 소스 영상의 각 프레임의 TEA (Transient Effect Area)의 사전 설정된 영역에 상기 테스트 신호를 삽입한다.
상기 테스트 신호 삽입부는 디스플레이 영역의 하단부에 위치하는 TEA의 1-line 또는 둘 이상의 line에 상기 테스트 신호를 삽입한다. 상기 테스트 신호는 DC ~ 샘플링 주파수의 1/2 범위에 있는 주파수들의 멀티버스트(multi-burst)들로 구성되며, 최대 휘도값(예컨대 235)에 의해 제한된다.
도 3은 1920 × 1080 영상 형식을 도식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영역(Clean Aperture; 400)은 1888 × 1062 사이즈이며, 디스플레이 영역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9 lines으로 구성되는 제1 및 제2 TEA(Transient Effect Area ; 404, 405) 영역이 위치하며, 디스플레이 영역의 좌/우측에 각각 16 픽셀들로 구성되는 제3 및 제4 TEA 영역 (406, 407)이 위치한다. Transient Effect Area(TEA)는 신호 처리를 위한 필터가 동작하여 완전하지 않은 영상을 출력하는 영역으로서, 정상적인 TV 화면에는 보여지지 않는 영역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영상의 TEA 영역에 디지털 텔레비젼의 화질 테스트용 신호를 삽입하여 화상의 품질을 테스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에 있어서, 화상 품질을 테스트하기 위하여 TEA영역에 삽입되는 테스트 신호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테스트 신호의 크기는 최대 휘도값(예컨대, 235)에 의해 제한되며, 상기 테스트 신호는 타임 코드(time code) 및 멀티 버스트들을 구비하며, 상기 멀티버스트는 DC 부터 샘플링 주파수의 1/2 까지의 주파수 범위내의 다수 개의 주파수들로 구성된다.
상기 타임 코드는 특정 프레임을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서, HH:MM:SS:FF 로 구성되며, 그 레벨(L)은 수학식 1로 결정된다.
[수학식 1]
L = n/9 ×214 +21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질 평가 장치(30)는 디지털 전송 링크를 통해 수신되어 디코딩된 영상 신호로부터 테스트 신호를 검출하고 분석하여 영상의 품질을 측정하여 출력한다. 상기 화질 평가 장치(30)는 테스트 신호 검출부(310), 타임 코드 판독부(320), 테스트 신호 출력부(330), 제1 및 제2 화질 측정부(340, 342)를 구비한다. 도 5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에 의하여 TEA 영역에 테스트 신호가 삽입된 영상이며, (b)는 수신후 복원되어 디스플레이된 영상이다.
상기 테스트 신호 검출부(310)는 디코딩된 영상 신호의 TEA 영역으로부터 테스트 신호를 검출한다. 상기 타임 코드 판독부(320)는 상기 검출된 테스트 신호로부터 프레임 정보를 포함하는 타임 코드를 검출하고 해당 프레임의 프레임 식별 정보를 검출한다.
상기 테스트 신호 출력부(330)는 테스트 신호를 오실로스코프와 같은 외부 측정 장치로 출력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질 평가 장치의 테스트 신호 출력부에 의하여, 출력된 테스트 신호를 오실로스코우프를 이용하여 출력한 그래프들이다. 도 6을 통해, 전송율이 증가함에 따라 각 burst의 왜곡의 정도가 감소하고 화질이 우수해짐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화질 평가 방법 및 시스템은 in-service 에서 실시간으로도 화질 평가가 우수하게 수행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화질 측정부(340, 342)는 상기 검출된 테스트 신호를 이용하여 영상 품질을 객관적으로 측정하여 제공한다. 제1 화질 측정부(340)는 시간 영역에서의 영상 품질을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테스트 신호로부터 각 버스트(burst)의 진폭(Amplitude)를 측정하고, 각 버스트의 진폭들에 대한 평균값을 계산하고, 상기 평균값을 이용하여 영상 품질을 수치화하여 출력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질 평가 장치의 영상 품질 측정부를 이용하여 시간 영역에서의 영상 품질 평가를 위하여 수신된 테스트 신호를 출력한 그래프이다. 제2 화질 측정부(342)는 주파수 영역에서의 영상 품질을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테스트 신호를 FFT(Fast Fourier Transform)한 후 각 버스트의 평균 진폭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출력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질 평가 장치의 영상 품질 측정부를 이용하여 주파수 영역에서의 영상 품질 평가를 위하여 수신된 테스트 신호를 출력한 그래프이다.
이와 같이, 상기 화질 측정부는 테스트 신호의 각 burst의 왜곡 정도를 시간 영역 및 주파수 영역에서 측정하고 이를 수치화하여 제공하게 된다. 또한, 타임 코 드를 이용하여 소스 영상의 각 프레임에 대하여서도 화질 평가를 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질 평가 시스템은 디지털 텔레비젼의 화질 평가 뿐만 아니라, DVD 등과 같은 영상 어플리케이션 및 서비스에도 널리 사용될 수 있다.
20 : 테스트 신호 삽입 장치
25 : 디지털 전송 링크
30 : 화질 평가 장치
202 : 테스트 신호 생성부
204 : 타임 코드 삽입부
206 : 테스트 신호 삽입부
310 : 테스트 신호 검출부
320 : 타임 코드 판독부
330 : 테스트 신호 출력부
340 : 제1 화질 측정부
342 : 제2 화질 측정부

Claims (15)

  1. 영상 품질을 테스트하기 위한 테스트 신호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테스트 신호 생성부; 및
    소스 영상의 각 프레임의 TEA (Transient Effect Area)의 사전 설정된 영역에 상기 테스트 신호를 삽입하는 신호 삽입부;
    를 구비하고, 상기 테스트 신호는 DC ~ 샘플링 주파수의 1/2 의 범위에 있는 다수 개의 주파수들을 구비하는 멀티버스트(multi-burst)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질 테스트 신호 삽입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스트 신호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테스트 신호에 프레임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타임 코드를 추가하는 타임 코드 삽입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신호 삽입부는 타임 코드가 추가된 테스트 신호를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질 테스트 신호 삽입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스트 신호의 삽입 위치는 영상의 하단부에 위치하는 TEA 영역의 1-line 또는 둘 이상의 line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질 테스트 신호 삽입 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스트 신호의 크기는 상기 소스 영상의 최대 휘도값에 의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질 테스트 신호 삽입 장치.
  6. 복원된 영상 신호의 사전 설정된 영역으로부터 테스트 신호를 검출하는 테스트 신호 검출부; 및
    테스트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 출력부; 및
    테스트 신호를 이용하여 영상 품질을 객관적으로 측정하여 제공하는 영상 품질 측정부;
    를 구비하고, 상기 영상 품질 측정부는 테스트 신호로부터 각 버스트(burst)의 진폭(Amplitude)를 측정하고, 이를 이용하여 시간 영역에서의 영상 품질을 수치화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질 측정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화질 측정 장치는 타임 코드 판독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타임 코드 판독부는 테스트 신호로부터 타임 코드를 추출하고, 상기 타임 코드로부터 프레임 식별 정보를 검출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질 측정 장치.
  8. 삭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품질 측정부는 테스트 신호를 FFT(Fast Fourier Transform)한 후 각 버스트(burst)의 진폭을 측정하고, 이를 이용하여 주파수 영역에서의 영상 품질을 수치화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질 측정 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신호는 각 프레임의 TEA 영역의 하단부에 화상 품질을 테스트하기 위한 테스트 신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질 측정 장치.
  11. 디지털 텔레비젼의 화질 측정 시스템에 있어서,
    소스 영상의 각 프레임의 TEA (Transient Effect Area)의 사전 설정된 영역에 화질을 테스트하기 위한 테스트 신호를 삽입하는 화질 테스트 신호 삽입 장치;
    수신된 후 복원된 영상 신호의 사전 설정된 영역으로부터 테스트 신호를 검출하여 출력하는 화질 측정 장치;
    를 구비하고, 상기 테스트 신호는 DC ~ 샘플링 주파수의 1/2 의 범위에 있는 다수 개의 주파수들을 구비하는 멀티버스트(multi-burst)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질 측정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테스트 신호의 삽입 위치는 영상의 하단부에 위치하는 TEA 영역의 1-line 또는 둘 이상의 line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질 측정 시스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테스트 신호는 DC ~ 샘플링 주파수의 1/2 의 범위에 있는 다수 개의 주파수들을 구비하는 멀티버스트(multi-burst)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질 측정 시스템.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화질 측정 장치는 테스트 신호를 이용하여 영상 품질을 객관적으로 측정하여 제공하는 영상 품질 측정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영상 품질 측정부는 테스트 신호로부터 각 버스트(burst)의 진폭(Amplitude)를 측정하고, 이를 이용하여 시간 영역에서의 영상 품질을 수치화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질 측정 시스템.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화질 측정 장치는 테스트 신호를 이용하여 영상 품질을 객관적으로 측정하여 제공하는 영상 품질 측정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영상 품질 측정부는 테스트 신호를 FFT(Fast Fourier Transform)한 후 각 버스트(burst)의 진폭을 측정하고, 이를 이용하여 주파수 영역에서의 영상 품질을 수치화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질 측정 시스템.


KR1020120019815A 2012-02-27 2012-02-27 디지털 영상미디어의 객관적 화질 평가 시스템 및 장치 KR1013331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9815A KR101333107B1 (ko) 2012-02-27 2012-02-27 디지털 영상미디어의 객관적 화질 평가 시스템 및 장치
US14/380,961 US9319671B2 (en) 2012-02-27 2012-02-28 System and apparatus for objective evaluation of image quality of digital image media
PCT/KR2012/001476 WO2013129711A1 (ko) 2012-02-27 2012-02-28 디지털 영상미디어의 객관적 화질 평가 시스템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9815A KR101333107B1 (ko) 2012-02-27 2012-02-27 디지털 영상미디어의 객관적 화질 평가 시스템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8027A KR20130098027A (ko) 2013-09-04
KR101333107B1 true KR101333107B1 (ko) 2013-11-26

Family

ID=490828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9815A KR101333107B1 (ko) 2012-02-27 2012-02-27 디지털 영상미디어의 객관적 화질 평가 시스템 및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319671B2 (ko)
KR (1) KR101333107B1 (ko)
WO (1) WO201312971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5390B1 (ko) 2017-08-30 2018-09-05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영상 대비 평가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45214B (zh) * 2013-01-23 2016-03-3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终端侧时间域视频质量评价方法及装置
KR20150055123A (ko) 2013-11-08 2015-05-21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디지털 tv 방송에서의 영상 전송 장치
CN106447647A (zh) * 2016-07-12 2017-02-22 中国矿业大学 一种压缩感知恢复图像的无参考质量评价方法
CN113358829B (zh) * 2021-05-13 2022-11-25 三江侗族自治县仙池茶业有限公司 一种红茶品质的评定方法及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5095A (ko) * 2003-07-01 2005-0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텔레비젼 수신기의 립 싱크 테스트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17431A (ja) 1995-05-23 1996-11-2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信号発生装置及び位置検出装置及び画像補正装置
US5844615A (en) 1997-01-16 1998-12-01 General Instrument Corporation Communication of VBI data in digital television data stream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5095A (ko) * 2003-07-01 2005-0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텔레비젼 수신기의 립 싱크 테스트 방법 및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5390B1 (ko) 2017-08-30 2018-09-05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영상 대비 평가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319671B2 (en) 2016-04-19
US20150304654A1 (en) 2015-10-22
WO2013129711A1 (ko) 2013-09-06
KR20130098027A (ko) 2013-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3107B1 (ko) 디지털 영상미디어의 객관적 화질 평가 시스템 및 장치
EP0986269B1 (en) In-service realtime picture quality analysis
JP4763721B2 (ja) マルチメディアビデオ通信品質を測定する方法
US758654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esting lip-sync of digital television receiver
US20030023910A1 (en) Method for monitoring and automatically correcting digital video quality by reverse frame prediction
EP1246476A2 (en) Frozen field detection of formerly encoded video signal
US8730327B2 (en) System and method for video quality parametric tests
US771045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al time testing of DTV antenna transmitting systems in time domain under full power
Huynh-Thu et al. No-reference temporal quality metric for video impaired by frame freezing artefacts
US20100026813A1 (en) Video monitoring involving embedding a video characteristic in audio of a video/audio signal
US20170347139A1 (en) Monitoring Quality of Experience (QoE) at Audio/Video (AV) Endpoints Using a No-Reference (NR) Method
TWI403169B (zh) 資料集之水印方法及資料集傳輸越過傳輸通道用之傳輸系統
EP0921695B1 (en) Video alignement using a selected partial picture
WO201010311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video quality measurement without reference
Rau Automated test system for digital TV receivers
CN112422956B (zh) 数据测试系统及方法
KR100902887B1 (ko) 디지털 영상 장치의 영상 왜곡 판단 테스트 자동화 시스템
Ong et al. Video quality monitoring of streamed videos
Punchihewa et al. A survey of coded image and video quality assessment
Bretillon et al. Method for image quality monitoring on digital television networks
KR101362429B1 (ko) 영상 콘텐츠 품질 측정 시스템 및 방법
Zou et al. Methods for evaluation of digital television picture quality
Suresh et al. Real-time prototype of a zero-reference video quality algorithm
CA2739189C (en) System and method for video quality parametric tests
Bueno et al. Objective Analysis of HDTV H. 264 x MPEG-2 with and Without Packet Los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