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2414B1 - 캠핑용 안전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캠핑용 안전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2414B1
KR101332414B1 KR1020130009613A KR20130009613A KR101332414B1 KR 101332414 B1 KR101332414 B1 KR 101332414B1 KR 1020130009613 A KR1020130009613 A KR 1020130009613A KR 20130009613 A KR20130009613 A KR 20130009613A KR 101332414 B1 KR101332414 B1 KR 1013324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terminal
signal
camping
s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96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삼
Original Assignee
김명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명삼 filed Critical 김명삼
Priority to KR10201300096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24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24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24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69System arrangements wherein the object is to detect the exact location of child or item using a navigation satellite system, e.g. GP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undesired emission of substances, e.g. pollution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undesired emission of substances, e.g. pollution alarms
    • G08B21/16Combustible ga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20Status alarms responsive to moistur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Toxic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캠핑 장비 및 캠퍼의 이탈을 확인하고 수면 조건을 감시하여 캠핑을 안전하게 즐길 수 있는 캠핑용 안전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캠핑용 안전관리 시스템의 구성은 공기의 상태를 검출하며, 검출된 공기상태 데이터와 설정된 데이터에 근거하여 경고신호를 발생하고, 무선통신으로 요청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요청신호에 따른 응답신호를 수신하는 메인단말기 및 상기 메인단말기와 일정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경우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메인단말기의 요청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메인단말기로 응답신호를 전송하는 서브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캠핑용 안전관리 시스템{SAFETY MANAGEMENT SYSTEM FOR CAMPING}
본 발명은 캠핑용 안전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캠핑 장비 및 캠퍼의 이탈을 확인하고 수면 조건을 감시하여 캠핑을 안전하게 즐길 수 있는 캠핑용 안전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캠핑(camping)이라 함은 산, 들 및 바닷가 등지에서 텐트 또는 임시로 지은 초막 등에서 일시적인 야외생활을 하는 여가활동을 말하는 것으로, 야영 또는 노영이라고 한다.
이러한 캠핑은 자연 속에서 서로의 인격에 접촉하는 소박한 협동생활을 함으로써 우호적인 인간관계를 맺으며, 등산, 수영, 낚시 기타 야외활동을 통해 자연에서 배울 뿐만 아니라 신체를 단련하는 것에 의의를 찾을 수 있는 것으로, 최근 주 5일 근무제와 맞물려 캠핑을 즐기는 사람이 늘고 있다.
이에 발맞추어 캠핑을 안전하게 즐기도록 하는 캠핑장 조성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이미 여러 지역에서 500여 개의 캠핑장이 운영되고 있어 캠핑 문화가 빠르게 정착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캠핑에 따른 캠핑장비의 매출이 급속도로 증가되어 캠핑관련 업체 매출이 연간 20%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캠핑과 관련하여 자동차에 텐트 등을 싣고 캠핑장을 이용하는 오토 캠핑에 대한 관심도 증가되고 있다.
이러한 캠핑은 야외에서 취침하게 되는데, 근래 이상 기후에 의한 안전사고가 빈번하게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이상 기후에 의해 야간 온도가 급격히 내려가는 경우 감기에 걸리거나 저체온증을 유발할 수 있다. 또한, 좁은 텐트에서 여러 명이 수면을 취하는 경우 일산화탄소가 증가되어 일산화탄소 중독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특히 일산화탄소 중독은 일산화탄소가 체내로 유입되어 산소가 부족해 지는 현상으로 뇌세포에 손상을 유발하고 심한 경우 사망이 이르기도 한다.
이에 일산화탄소 등 실내 공기의 오염도를 측정하여 제어하는 장치로 등록특허공보 제10-1160986호에 실내공기 오염도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실내공기 제어 시스템이 게시되었다.
한편, 캠핑은 오픈된 장소에서 이루어지는 데, 가족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다. 이에 따라 어린이 및 노약자 등은 캠핑장 이탈시 복귀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09214호에 영역 진입/이탈 알림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이 게시되었다.
위에 게시된 종래 기술들은 각각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즉, 실내공기의 오염도를 측정하여 알리는 장치는 실내의 온도, 습도,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 등을 검출하고 기준범위에서 벗어나는 경우 알림 신호를 출력하여 후속 조치를 통해 실내의 공기를 개선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영역 진입/이탈 알림 서비스 시스템은 근거리 무선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피감시자의 영역 범위에서 감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각각의 장치 및 시스템은 단일 작업을 수행하는 것으로, 복합적인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캠핑 중일 경우 수면 중 텐트의 공기 상태를 검출하여 알림신호를 발생하거나 캠핑장 이탈시 이를 인지시킬 수 있는 복합적인 장치가 요구되며, 이에 더하여 효율적인 인적 관리를 수행할 수 있는 시스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을 위와 같은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텐트 내부의 공기 상태를 파악하여 경고를 발생함과 동시에 일정거리 이탈시 알림신호를 발생하여 안전을 도모하며, 효율적인 인적관리를 수행할 수 있는 캠핑용 안전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캠핑용 안전관리 시스템은 공기의 상태를 검출하며, 검출된 공기상태 데이터와 설정된 데이터에 근거하여 경고신호를 발생하고, 무선통신으로 요청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요청신호에 따른 응답신호를 수신하는 메인단말기(100) 및 메인단말기(100)와 일정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경우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메인단말기(100)의 요청신호에 대응하여 메인단말기(100)로 응답신호를 전송하는 서브단말기(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따른 캠핑용 안전관리 시스템은 수면 중 텐트 내부의 온도, 습도 및 일산화탄소 등의 공기 상태를 검출하고 검출수치가 설정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알림신호를 발생하여 사용자의 후속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으로, 캠핑 중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캠핑장 이탈시 이를 경고하거나 캠핑장 내부에 위치한 캠퍼의 효율적인 인적관리가 가능하여 유익하고 즐거운 캠핑 여가를 제공할 수 있어, 캠핑활동의 확산에 기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캠핑용 안전관리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캠핑용 안전관리 시스템에서 메인단말기, 서브단말기 및 개인휴대단말기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캠핑용 안전관리 시스템에서 개인휴대단말기에 설치되는 캠핑용 애플리케이션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행화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캠핑용 안전관리 시스템의 캠핑용 애플리케이션에서 일실시예에 따른 일산화탄소의 검출결과에 대한 경보를 나타낸 화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캠핑용 안전관리 시스템의 캠핑용 애플리케이션에서 일실시예에 따른 온도의 검출결과를 나타낸 화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캠핑용 안전관리 시스템의 캠핑용 애플리케이션에서 일실시예에 따른 서브단말기의 이탈을 나타낸 화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캠핑용 안전관리 시스템의 캠핑용 애플리케이션에서 일실시예에 따른 안전점검을 나타낸 화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캠핑용 안전관리 시스템의 일실시예에 따른 흐름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요지를 드러내기 위해서 필요하지 않은 사항 즉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자명하게 부가할 수 있는 공지 구성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거나, 구체적으로 기술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본 발명은 캠핑 장비 및 캠퍼의 이탈을 확인하고 수면 조건을 감시하여 캠핑을 안전하게 즐길 수 있는 캠핑용 안전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첨부된 도면의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캠핑용 안전관리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캠핑용 안전관리 시스템에서 메인단말기, 서브단말기 및 개인휴대단말기의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캠핑용 안전관리 시스템은 크게 메인단말기(100), 서브단말기(200) 및 개인휴대단말기(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메인단말기(100)는 공기의 상태를 검출하며, 검출된 공기상태 데이터와 설정된 데이터에 근거하여 경고신호를 발생하고, 무선통신으로 요청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요청신호에 따른 응답신호를 수신하는 장치로, 그 내부에 배터리를 구비하여 전기에너지를 전원을 인가받아 구동된다.
이러한 메인단말기(100)는 제1통신모듈(110), 제2통신모듈(120), 공기상태검출모듈(130), 경고모듈(140), 호출모듈(150), GPS모듈(160) 및 가속도센서모듈(170)을 포함한다.
제1통신모듈(110)은 서브단말기(200)와 무선통신을 하기 위한 통신모듈로 서브단말기(200)에 요청신호를 전송하고 응답신호를 수신한다.
이때, 요청신호는 일정 주기로 반복되어 발생되게 구성될 수 있으며, 요청신호를 수신한 서브단말기(200)는 요청신호에 대응하여 메인단말기(100)로 응답신호를 전송한다.
제2통신모듈(120)은 개인휴대단말기(300)와 무선통신을 하기 위한 통신모듈로 무선통신을 통해 데이터의 상호 전송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공기상태검출모듈(130)은 공기 상태를 검출하여 공기상태 데이터를 생성하는모듈로, CO센서(일산화탄소센서, 131), 온도센서(132) 및 습도센서(133)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메인단말기(100)는 사용자(또는 캠퍼(camper))가 수면을 취하는 공간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캠퍼가 수면의 취하는 텐트 및 캠핑카 등에 배치하고, 수면을 취하는 동안 수면 공간의 공기를 주기적으로 검출하도록 한다.
CO센서(131)는 일산화탄소를 검출하는 센서로, 정전위 전해법, 적외선 흡수법, 광간섭법, 접촉연소법, 반도체법 및 가스 크로마토그래프법 등이 이용하여 일산화탄소를 검출한다.
일산화탄소는 무색, 무취의 기체로서 산소가 부족한 상태로 연료가 연소할 때 불완전연소로 발생한다. 인체의 폐로 들어가면 혈액 중의 헤모글로빈과 결합하여 산소보급을 가로막아 심한 경우 사망에까지 이르게 한다. 일산화탄소는 연탄의 연소가스나 자동차의 배기가스 중에 많이 포함되어 있으며, 큰 산불이 일어날 때도 주위에 산소가 부족하여 많은 양의 일산화탄소가 발생되기도 하고 담배를 피울 때 담배연기 속에 함유되어 배출되기도 한다. 일산화탄소의 인체에서 작용은 그 자체로 독성이 있는 것이 아니고, 폐에서 혈액중의 헤모글로빈(Hb)과 결합하여, Hb본래의 기능인 체내로의 산소공급능력을 방해하여, 체내조직세포의 산소부족을 불러오는 결과로서 중독증상이 나타난다. 일산화탄소의 흡입이 계속되어 체내로의 산소공급이 부족해지면, 우선 산소결핍에 민감한 중추신경계(뇌, 척추)가 그 영향을 받아, 두통·현기증·이명·가슴두근거림·맥박증가·구토가 일어나고, 마침내 마취상태에 빠질 수 있다. 따라서 캠핑카의 시동상태에서 배기가스가 캠핑카로 유입되거나 근처의 자동차에서 배출되는 매연이 텐트로 유입되는 경우, 또는 난로의 사용으로 일산화탄소에 중독될 수 있으며, 캠퍼의 안전을 위해서 일산화탄소의 검출은 중요하다.
온도센서(132)는 공기의 온도를 검출하는 센서이며, 습도센서(133)는 공기중에 포함된 습도의 양을 검출하는 센서로, 온도 및 습도의 검출은 캠퍼의 유익한 캔핑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온도는 수면 중 기온이 급격히 내려가는 경우, 감기 등에 걸릴 수 있어 난방을 위한 것이며, 습도는 불쾌지수를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온도 및 습도의 복합적인 관계에 따라 식중독의 위험을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경고모듈(140)은 공기상태검출모듈(130)에서 생성된 공기상태 데이터와 설정된 데이터에 근거하여 공기상태 데이터가 설정된 데이터 범위에서 벗어나는 경우 경고신호를 발생하는 모듈로, 진동 및 음성 등을 이용하여 경고신호를 발생시킨다. 이때, 경고모듈(140)로는 바이브레이터(vibrator, 141) 및 스피커(14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현재 국내에서 대기중 일산화탄소 기준은 1시간 평균치 25ppm이하, 8시간 평균치 9ppm이하로, 일산화탄소의 경우 안전상태, 주의상태, 경보상태 및 위험상태로 구분되어 경고신호가 발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전상태는 8시간 노출시 최대 일산화탄소 농도 35ppm 이하인 경우, 주의상태는 일산화탄소의 농도가 120ppm 이하인 경우, 경보상태는 일산화탄소의 농도가 200ppm 이하인 경우, 위험상태는 일산화탄소의 농도가 400ppm 이하인 경우로 구분하여 안전상태에서는 경고모듈(140)이 작동하지 않도록 하되 일산화탄소의 농도가 그 이상인 경우에는 경고모듈(140)이 동작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상태에 따라 바이브레이터(vibrator, 141) 및 스피커(142)를 구분하여 동작되도록 구성하거나 동시에 작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스피커(142)를 통해 경고신호를 발생하는 경우, 각각의 상태에 따라 안내 멘트를 달리하여 출력되게 구성되거나 음성신호의 음량을 달리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일례로, 주위상태인 경우 안내 멘트는 "일산화탄소량이 증가되고 있어 주의하십시오"라는 멘트가 출력되게 하거나 위험상태인 경우 사이렌을 발생하도록 하여 주변 캠퍼의 도움을 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온도와 습도의 경우는 초기설정에 의해서 경고신호가 발생하도록 하거나 사용자의 변경에 따라 경고신호가 발생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호출모듈(150)은 제1통신모듈(110)을 통해 서브단말기(200)로 호출신호를 송출하고 답신신호를 수신하는 모듈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서브단말기(200)를 호출하는 경우에 사용된다.
GPS모듈(160)은 메인단말기(100)의 위치를 검출하는 모듈이며, 가속도센서모듈(170)은 가속도센서를 이용하여 가속도, 진동 및 충격을 검출하는 모듈로, GPS모듈(160) 및 가속도센서모듈(170)은 후술한다.
서브단말기(200)는 메인단말기(100)와 일정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경우 무선통신을 통해 메인단말기(100)의 요청신호에 대응하여 메인단말기(100)로 응답신호를 전송하는 장치로, 제3통신모듈(210), 음성신호발생모듈(220) 및 답신모듈(2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3통신모듈(210)은 제1통신모듈(110)과 무선통신을 하는 것으로, 서브단말기(200)와 메인단말기(100)가 무선통신을 통해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하다.
이때, 제3통신모듈(210)과 제1통신모듈(110)은 지그비(zigbee)를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지그비(zigbee)는 근거리 통신을 지원하는 IEEE 802.15.4 표준 중 하나를 말하는 것으로, 실내에서는 10∼20m 범위서 통신이 가능하고 야외에서는 100m 내외의 통신이 가능하다. 또한, 지그비는 250kbps 속도로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며, 하나의 무선네트워크에 255대의 기기를 연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여기서, 지그비에 사용되는 안테나 타입(type)에 따라 최대 1000m까지 통신이 가능하다.
메인단말기(100)에서는 제1통신모듈(110)을 통해 요청신호가 일정 주기로 반복되어 발생되고, 서브단말기(200)는 이 요청신호를 수신하여 응답신호를 발생한다. 이때 서브단말기(200)가 메인단말기(100)로부터 이격되어 통신범위에서 벗어나면, 메인단말기(100)에서는 경고모듈(140)을 통해 음성신호를 출력한다. 여기서 출력되는 음성신호는 서브단말기(200)가 통신거리에서 이격되었음을 알리는 멘트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브단말기(200)를 캠퍼의 가족, 유아 등이 소지하고 캠핑장소에서 이격되면 메인단말기(100)는 음성신호를 출력하여 안전사고에 대비할 수 있다. 또한, 서브단말기(200)를 캠핑 장비에 수납하는 것으로 캠핑장비의 도난 및 유실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음성신호발생모듈(220)은 호출모듈(150)의 호출신호에 가청신호를 발생시는 것으로, 메인단말기(100)에서 호출모듈(150)을 통해 호출신호가 수신된 경우, 이에 해당되는 음성 멘트를 출력한다.
답신모듈(230)은 제3통신모듈(210)을 통해 상기 호출모듈(150)로 답신신호를 송출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버튼의 동작에 의해 구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음성신호발생모듈(220)과 답신모듈(230)을 부연하면, 메인단말기(100)에서 필요에 의해 호출신호가 발생되면, 서브단말기(200)에서는 음성신호발생모듈(220)을 통해 "메인단말기에서 호출입니다."라는 멘트가 출력되고, 서브단말기(200)의 답신모듈(230)의 버튼을 누르면 답신신호가 메인단말기(100)로 전송되며, 메인단말기(100)는 스피커(142)를 통해 "서브단말기에서 답신이 왔습니다."라는 멘트가 출력되도록 구성된다.
메인단말기(100) 및 서브단말기(200)에는 이와 같은 기능에 따라 이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LED 램프 등이 더 구성됨은 당연하다.
개인휴대단말기(300)는 메인단말기(100)와 무선통신을 통해 메인단말기(100)로부터 공기상태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공기상태 데이터를 설정된 데이터에 근거하여 알람신호를 발생하며, 인터넷에 연결이 가능하고 애플리케이션이 설치 가능한 장치로, 스마트폰 및 PDA 등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는 개인용 단말기이면 충분하다.
이 개인휴대단말기(300)는 메인단말기(100)와 서브단말기(200)를 등록하고 관리하며, 메인단말기(100)로부터 공기상태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공기상태 데이터 공기상태 데이터가 설정된 데이터 범위에서 벗어나는 경우 알람신호를 발생시키는 캠핑용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다.
이때, 서브단말기(200)는 복수 개로 구성되고, 개인휴대단말기(300)는 메인단말기(100)를 통해 선택된 하나의 서브단말기(200)로 요청신호를 전송하고, 서브단말기(300)는 조작에 의해 요청신호에 대응된 응답신호를 메인단말기(100)를 통해 개인휴대단말기(300)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서 캠핑용 애플리케이션에는 캠핑용 서브단말기(200)를 선택하여 호출하고, 서브단말기(200)로부터 답신신호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캠핑용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 중심의 인터페이스가 출력되는데, 첨부된 도면의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캠핑용 안전관리 시스템에서 개인휴대단말기에 설치되는 캠핑용 애플리케이션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행화면으로, 설정상태를 보여주는 아이콘부(101), 일산화탄소의 설정상태를 보여주도록 하는 일산화탄소 경고 아이콘(102), 온도를 검출하여 보여주도록 하는 온도계 아이콘(103), 서브단말기(200)의 이탈을 감시하는 안전감시 아이콘(104), 서브단말기(200)의 통신으로 인원을 점검하기 위한 인원점검 아이콘(105), 사용자관리 아이콘(106) 및 태그관리 아이콘(107) 등이 구비된다.
아이콘부(101)는 개인휴대단말기(300)의 배터리표시부, GPS 동작표시부, 감시동작 표시부, 블루투스연결 표시부, 온도센서동작 표시부, 경고신호 발생 동작 표시부 및 안전감시동작 표시부 등이 표시되며, 동작되는 경우 활성화 아이콘으로 표시되고 동작을 정지시킨 경우 비활성화 아이콘으로 표시되도록 구성된다.
일산화탄소 경고 아이콘(102) , 온도계 아이콘(103), 안전감시 아이콘(104) 및 인원점검 아이콘(105)은 하기에서 첨부된 도면을 통해 설명한다.
사용자 관리 아이콘(106)은 배경화면, 화면의 밝기 및 아이콘 등을 설정하고 변경하기 위한 아이콘이며, 태그관리 아이콘(107)은 메인단말기(100)에서 서브단말기(200)로 요청신호를 발생하는 신호발생주기, 서브단말기(200)와의 거리를 조절하기 위한 신호세기 및 경보신호에 대한 경보발생 종류(진동, 음성, 사이렌) 등을 설정하기 위한 아이콘이다.
위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캠핑용 애플리케이션은 제4통신모듈(310), 등록모듈(320), 알람모듈(330), 안전점검모듈(340) 및 응급구조모듈(350)을 포함한다.
제4통신모듈(310)은 메인단말기(100)의 제2통신모듈(120)과 무선통신을 통해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하다. 이때, 제4통신모듈(310)과 제2통신모듈(120)은 블루투스(bluetooth)를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블루투스는 근거리 무선 기술 표준을 의미하는 것으로, 통신범위가 10미터 안팎의 초단거리에서 저전력 무선 연결을 위해 사용된다.
블루투스의 무선 시스템은 ISM(Industrial Scientific and Medical) 주파수 대역인 2400~2483.5MHz를 사용한다. 이 중 위아래 주파수를 쓰는 다른 시스템들과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2400MHz 이후 2MHz, 2483.5MHz 이전 3.5MHz까지의 범위를 제외한 2402~2480MHz, 총 79개 채널을 쓴다. ISM이란 산업, 과학, 의료용으로 할당된 주파수 대역으로, 전파 사용에 대해 허가를 받을 필요가 없는 것이 장점이다.
등록모듈(320)은 메인단말기(100)와 서브단말기(200)를 등록하고 관리하는 하는 것으로, 등록된 메인단말기(100)는 서브단말기(200)는 애플리케이션이 표시되며, 메인단말기(100) 및 서브단말기(200)에 전원의 투입으로 활성화되고, 전원의 차단에 의해 비활성화되도록 구성된다.
알람모듈(330)은 메인단말기(100)로부터 공기상태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공기상태 데이터 공기상태 데이터가 설정된 데이터 범위에서 벗어나는 경우 알람신호를 발생하는 것으로, 그 기능은 메인단말기(100)의 경고모듈(140)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되 시각적으로 디스플레이되는 기능을 더 포함한다.
안전점검모듈(340)은 메인단말기(100)를 통해 선택된 하나의 서브단말기(200)로 요청신호를 전송하고, 서브단말기(200)는 조작에 의해 요청신호에 대응된 응답신호를 메인단말기(100)를 통해 수신하여 출력한다.
이를 순차적으로 설명하면, 캠핑용 애플리케이션의 디스플레이 되는 서브단말기(200) 중에서 1개를 선택하여 요청신호를 전송하면, 요청신호는 제4통신모듈(310)과 제2통신모듈(120)을 통해 메인단말기(100)로 전송된다. 메인단말기(100)로 전송된 요청신호는 호출모듈(150)을 이용하여 제1통신모듈(110)과 제3통신모듈(210)을 통해 선택된 서브단말기(200)로 전송된다. 이때, 서브단말기(200)는 음성신호발생모듈(220)을 통해 가청신호로 출력된다. 출력되는 가청신호에 따라 사용자가 답신모듈(230)의 버튼 등을 눌러 답신하게 되면 메인단말기(100)를 거쳐 개인휴대단말기(300)로 답신신호가 전송되고, 개인휴대단말기(300)에서는 이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거나 음성으로 출력한다.
응급구조모듈(350)은 개인휴대단말기(300)는 GPS모듈(160) 및 가속센서모듈(170)에서 검출된 데이터에 근거하여 관계기관으로 응급신호를 송출하는 것으로, 메인단말기(100)를 소지한 사용자(캠퍼)의 GPS모듈(160) 및 가속센서모듈(170)을 이용하여 이동거리, 가속도, 진동 및 충격을 검출하고 이상 검출에 따라 관계기관에 응급구조신호를 전송하는 모듈이다. 캠핑은 야외에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캠퍼는 다양한 안전사고에 노출되는데, 순간적인 이동거리가 검출되거나 발생하기 힘든 가속도, 진동 및 충격 등이 검출되는 경우는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주위의 캠퍼가 없는 경우에는 캠퍼 스스로가 응급신호를 요청하지 못하게 될 수 있다.
또한, 메인단말기(100)에서 일산화탄소를 검출하고 이를 경고모듈(140)을 통해 경고신호가 발생되더라도 캠퍼가 숙면 중인 경우에는 수면에서 깨어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일산화탄소의 농도가 400ppm에서는 1시간 이내에 두통, 어지러움 구토, 3시간 내에 사망할 수 있는 위험한 상황이다. 일정시간 경고모듈(140)이 동작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의 후속조치가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는 사용자(캠퍼)가 위험에 노출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따라서 위와 같은 상황 즉, 사용자가 위험 상황에 있다고 판단되면 응급구조모듈(350)은 자동으로 관계기관에 응급신호를 요청하여 캠퍼를 구조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관계기관은 병원, 응급구조센터 및 경찰서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GPS모듈(160) 및 가속센서모듈(170)을 이용하여 사용자(캠퍼)의 이동거리 등을 추적하여 여행경로 및 활동량 등을 분석할 수 있는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캠핑용 애플리케이션에 출력되는 일실시예 따른 화면을 도시한 것으로,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캠핑용 안전관리 시스템의 캠핑용 애플리케이션에서 일실시예에 따른 일산화탄소의 검출결과에 대한 경보를 나타낸 화면, 온도의 검출결과를 나타낸 화면, 서브단말기의 이탈을 나타낸 화면 및 안전점검을 나타낸 화면이다.
도 4는 도 3의 일산화탄소 경보 아이콘(102)을 클릭하여 보여지는 화면으로, 일산화탄소의 검출 농도에 따라 안전, 주의, 경보 및 위험 단계별로 구분되어 출력되는 음성의 크기를 달리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5는 도 3의 온도계 아이콘(103)을 클릭하여 보여지는 화면으로, 검출된 현재온도와 검출된 온도에 따른 불쾌지수, 식중독지수 및 부패지수 등을 표시하여 사용자의 설정온도에 따라 검출된 온도가 설정온도를 벗어나는 경우 경보신호가 발생되도록 구성된다.
도 6은 도 3의 안전감시 아이콘(104)을 클릭하여 보여지는 화면으로, 등록된 서브단말기(200)와 메인단말기(100)가 통신이 두절된 경우, 서브단말기(200)의 이탈을 표시하는 화면으로, 이탈을 표시하면서 경보음이 발생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서브단말기(200)의 이탈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으며, 서브단말기(200)를 캠핑장비에 설치한 경우에는 캠핑장비의 도난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전감시가 가능하다.
도 7은 도 3의 안전점검 아이콘(105)을 클릭하여 보여지는 화면으로, 도 7의 (a)는 등록된 서브단말기(200)를 표시한 화면이며, (b)는 서브단말기(200)를 호출하기 위한 화면을 보여주는 화면이다. 도 7의 (a)에서는 전체인원 1명 중에서 확인된 인원이 0명 이였으나, (b)에서는 서브단말기(200)에서 1명이 응답하여 확인된 인원은 1명으로 표시된다. 이에 따라 인원을 점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위에 기술된 내용은 개인휴대단말기(300)에서 메인단말기(100)를 통해 서브단말기(200)로 신호를 송출하여 서브단말기(200)를 확인하거나 메인단말기(100)와 서브단말기(200)와의 통신으로 서브단말기(200)를 확인하는 것이나, 서브단말기(200)를 소형화하기 위해서는 서브단말기(200)에 적용되는 배터리의 크기를 작아질 수밖에 없다. 따라서 서브단말기(200)의 배터리 소모를 최소화하여 장시간 사용 가능하도록 하는 구성이 요구된다.
이에 따라 서브단말기(200)의 경우 메인단말기(100)에 등록이 된 이후에, 배터리의 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해 평상시에는 오프(OFF)된 상태로 유지하고, 주기적으로 서브단말기(200)의 정보를 메인단말기(100)로 전송하며, 메인단말기(100)에 전송된 정보는 개인휴대단말기(300)에 전송하여 서브단말기(200)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캠핑용 안전관리 시스템의 일실시예에 따른 흐름도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메인단말기(100)와 서브단말기(200)를 연결하는 페어링(pairing) 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이때 등록은 개인휴대단말기(300)에서 서브단말기(200)의 고유번호 등을 입력하여 페어링되거나 서브단말기(200)의 답신모듈(230, 도 2 참조)에 구비된 버튼(도면부호 미표시)을 통해 메인단말기(100)를 호출(페어링 요청 단계)하고 메인단말기(100)는 서브단말기(200)에 요청신호를 응답(페어링 응답 단계)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페어링이 완료된 이후에 서브단말기(200)는 주기적으로 서브단말기(200)의 상태를 메인단말기(100)로 전송하고, 메인단말기(100)로 전송된 정보는 개인휴대단말기(300)로 전송되어 관리된다.
이때, 서브단말기(200)는 메인단말기(100)와의 통신에 소모되는 배터리 소모가 상당하므로, 일정시간 동안은 슬립(sleep) 모드로 유지되고 소정의 시간 동안만 무선통신이 가동되도록 하여, 무선통신이 가동된 시간 동안에만 메인단말기(100)에 서브단말기(200)의 정보를 전송(서브단말기 정보 전송 단계)하도록 한다. 또한 슬립 모드를 유지하는 시간은 수초에서 수십초로 설정될 수 있으며, 이 시간은 개인휴대단말기(300)에 설치된 캠핑용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변경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메인단말기(100)에서는 서브단말기(200)에서 전송된 정보를 개인휴대단말기(300)로 서브단말기(200)의 상태를 전송(서브단말기 상태 전송 단계)하고 서브단말기(200)는 수신에 대한 응답신호(응답신호 전송 단계)한다.
이때, 개인휴대단말기(300)에서 메인단말기(100)를 통해 서브단말기(200)를 호출(서브단말기 호출 단계)하는 경우, 서브단말기(200)가 슬립 모드인 경우에는 메인단말기(100)와 서브단말기(200)는 통신이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메인단말기(100)에서 개인휴대단말기(300)에서 전송된 호출신호를 서브단말기(200)로 전송하지 못하므로, 메인단말기(100)는 개인휴대단말기(300)로부터 전송된 호출신호는 메모리(도면에 미표시)에 저장(예약)되어 관리된다.
일정시간 이후에 서브단말기(200)가 활성화되어 무선통신이 가능해지면, 이를 메인단말기(100)에서 확인하여 메모리에 저장된 호출신호를 로드하여 서브단말기(200)로 전송(서브단말기 호출신호 전송 단계)한다.
이에 서브단말기(200)는 호출신호에 응답(호출신호 응답 단계)하면 메인단말기(100)는 이를 개인휴대단말기(300)로 전송(호출신호 응답 단계)하여 1 사이클이 완료된다. 이때, 메인단말기(100)에 저장된 호출신호 중에서 응답이 완료된 호출신호는 삭제된다.
상기와 같은 제어 방법을 통해 서브단말기(200)의 이탈 및 인원점검을 수행할 수 있으며, 서브단말기(200)에서 소모되는 배터리를 최소화하여 장시간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에서 도 2 내지 도 8을 이용하여 서술한 것은, 본 발명의 주요 사항만을 서술한 것으로, 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가 가능한 만큼, 본 발명이 도 2 내지 도 8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
100: 메인단말기 110: 제1통신모듈
120: 제2통신모듈 130: 공기상태검출모듈
131: CO센서 132: 온도센서
133: 습도센서 140: 경고모듈
141: 바이브레이터 142: 스피커
150: 호출모듈 160: GPS모듈
170: 가속도센서모듈 200: 서브단말기
210: 제3통신모듈 220: 음성신호발생모듈
230: 답신모듈 300: 개인휴대단말기
310: 제4통신모듈 320: 등록모듈
330: 알람모듈 340: 안전점검모듈
350: 응급구조모듈

Claims (12)

  1. 공기의 상태를 검출하며, 검출된 공기상태 데이터와 설정된 데이터에 근거하여 경고신호를 발생하고, 무선통신으로 요청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요청신호에 따른 응답신호를 수신하는 메인단말기(100);
    상기 메인단말기(100)와 일정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경우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메인단말기(100)의 요청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메인단말기(100)로 응답신호를 전송하는 서브단말기(200); 및
    개인휴대단말기(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서브단말기(200)는 복수 개로 구성되고,
    상기 개인휴대단말기(300)는 상기 메인단말기(100)를 통해 선택된 하나의 서브단말기(200)로 요청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서브단말기(200)는 조작에 의해 상기 요청신호에 대응된 응답신호를 상기 메인단말기(100)를 통해 상기 개인휴대단말기(300)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핑용 안전관리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인단말기(100)와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메인단말기(100)로부터 공기상태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공기상태 데이터를 설정된 데이터에 근거하여 알람신호를 발생하며, 인터넷에 연결이 가능하고 애플리케이션이 설치 가능한 개인휴대단말기(3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핑용 안전관리 시스템.
  3. 삭제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공기상태 데이터는 일산화탄소, 온도 및 습도의 검출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핑용 안전관리 시스템.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메인단말기(100)는 상기 요청신호에 따른 응답신호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에 경고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핑용 안전관리 시스템.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메인단말기(100)는 상기 요청신호에 따른 응답신호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에 경고신호를 발생하며, 상기 경고신호 발생을 상기 개인휴대단말기(300)로 전송하고,
    상기 개인휴대단말기(300)는 수신된 경고신호를 표시하며 알람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핑용 안전관리 시스템.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메인단말기(100)는
    상기 서브단말기(200)와 무선통신으로 요청신호를 전송하고 응답신호를 수신하는 제1통신모듈(110);
    상기 개인휴대단말기(300)와 무선통신하는 제2통신모듈(120);
    공기 상태를 검출하여 공기상태 데이터를 생성하는 공기상태검출모듈(130);
    상기 공기상태검출모듈(130)에서 생성된 공기상태 데이터와 설정된 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공기상태 데이터가 설정된 데이터 범위에서 벗어나는 경우 경고신호를 발생하는 경고모듈(140) 및
    상기 제1통신모듈(110)을 통해 상기 서브단말기(200)로 호출신호를 송출하고 답신신호를 수신하는 호출모듈(15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핑용 안전관리 시스템.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서브단말기(200)는
    상기 제1통신모듈(110)과 무선통신을 하는 제3통신모듈(210);
    상기 호출모듈(150)의 호출신호에 음성신호를 발생하는 음성신호발생모듈(220) 및
    상기 제3통신모듈(210)을 통해 상기 호출모듈(150)로 답신신호를 송출하는 답신모듈(2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핑용 안전관리 시스템.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개인휴대단말기(300)는
    상기 메인단말기(100)와 상기 서브단말기(200)를 등록하고 관리하며, 상기 메인단말기(100)로부터 공기상태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공기상태 데이터 공기상태 데이터가 설정된 데이터 범위에서 벗어나는 경우 알람신호를 발생시키는 캠핑용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핑용 안전관리 시스템.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캠핑용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서브단말기(200)를 선택하여 호출하고, 상기 서브단말기(200)로부터 답신신호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핑용 안전관리 시스템.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캠핑용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제2통신모듈(120)과 무선통신하는 제4통신모듈(310);
    상기 메인단말기(100)와 상기 서브단말기(200)를 등록하고 관리하는 등록모듈(320);
    상기 메인단말기(100)로부터 공기상태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공기상태 데이터 공기상태 데이터가 설정된 데이터 범위에서 벗어나는 경우 알람신호를 발생하는 알람모듈(330) 및
    상기 메인단말기(100)를 통해 선택된 하나의 서브단말기(200)로 요청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서브단말기(200)는 조작에 의해 상기 요청신호에 대응된 응답신호를 상기 메인단말기(100)를 통해 수신하여 출력하는 안전점검모듈(3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핑용 안전관리 시스템.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메인단말기(100)는 위치를 검출하는 GPS모듈(160) 및 가속도센서를 이용하여 가속도, 진동 및 충격을 검출하는 가속도센서모듈(17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개인휴대단말기(300)는 상기 GPS모듈(160) 및 가속센서모듈(170)에서 검출된 데이터에 근거하여 관계기관으로 응급신호를 송출하는 응급구조모듈(35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핑용 안전관리 시스템.
KR1020130009613A 2013-01-29 2013-01-29 캠핑용 안전관리 시스템 KR1013324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9613A KR101332414B1 (ko) 2013-01-29 2013-01-29 캠핑용 안전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9613A KR101332414B1 (ko) 2013-01-29 2013-01-29 캠핑용 안전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2414B1 true KR101332414B1 (ko) 2013-11-22

Family

ID=498583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9613A KR101332414B1 (ko) 2013-01-29 2013-01-29 캠핑용 안전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2414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1171B1 (ko) * 2015-08-05 2017-04-27 강현 휴대 단말기와 연동하는 화재 경보 방법 및 장치
KR101823633B1 (ko) 2016-05-19 2018-01-30 주식회사 씨밀레테크 M2m 서비스 플랫폼 시스템 기반의 smart 서비스 시스템
CN108215724A (zh) * 2018-01-25 2018-06-29 广东机电职业技术学院 一种车载防眩晕装置和车内防眩晕方法
KR101893737B1 (ko) * 2018-06-04 2018-10-04 정성훈 텐트 실내 공기질 측정기와 휴대단말기의 연동을 통한 캠핑 안전관리 시스템
WO2019031692A1 (ko) * 2017-08-11 2019-02-14 이민구 스마트 텐트 관리장치
KR20190107337A (ko) 2018-03-12 2019-09-20 강귀심 스마트 사물인터넷을 적용한 카라반 운영시스템
WO2020175751A1 (ko) * 2019-02-26 2020-09-03 이민구 휴대용 보안안전장치
KR102289843B1 (ko) 2021-02-25 2021-08-12 정재민 캠핑용 실내 위험 자동경보장치
KR20220077355A (ko) 2020-12-02 2022-06-09 박재우 캠핑차량 관련 통합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230064834A (ko) 2021-11-04 2023-05-11 임준일 펠릿 난로용 소화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16735A (ja) * 2004-04-28 2005-11-10 Secom Co Ltd 徘徊者通報システム及び携帯端末
KR20050119024A (ko) * 2004-06-15 2005-12-20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공기오염 측정 시스템 및 장치 및 방법
KR20070009214A (ko) * 2005-07-15 2007-01-1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영역 진입/이탈 알림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16735A (ja) * 2004-04-28 2005-11-10 Secom Co Ltd 徘徊者通報システム及び携帯端末
KR20050119024A (ko) * 2004-06-15 2005-12-20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공기오염 측정 시스템 및 장치 및 방법
KR20070009214A (ko) * 2005-07-15 2007-01-1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영역 진입/이탈 알림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1171B1 (ko) * 2015-08-05 2017-04-27 강현 휴대 단말기와 연동하는 화재 경보 방법 및 장치
KR101823633B1 (ko) 2016-05-19 2018-01-30 주식회사 씨밀레테크 M2m 서비스 플랫폼 시스템 기반의 smart 서비스 시스템
WO2019031692A1 (ko) * 2017-08-11 2019-02-14 이민구 스마트 텐트 관리장치
CN108215724A (zh) * 2018-01-25 2018-06-29 广东机电职业技术学院 一种车载防眩晕装置和车内防眩晕方法
CN108215724B (zh) * 2018-01-25 2023-11-10 广东机电职业技术学院 一种车载防眩晕装置和车内防眩晕方法
KR20190107337A (ko) 2018-03-12 2019-09-20 강귀심 스마트 사물인터넷을 적용한 카라반 운영시스템
KR101893737B1 (ko) * 2018-06-04 2018-10-04 정성훈 텐트 실내 공기질 측정기와 휴대단말기의 연동을 통한 캠핑 안전관리 시스템
WO2020175751A1 (ko) * 2019-02-26 2020-09-03 이민구 휴대용 보안안전장치
KR20220077355A (ko) 2020-12-02 2022-06-09 박재우 캠핑차량 관련 통합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289843B1 (ko) 2021-02-25 2021-08-12 정재민 캠핑용 실내 위험 자동경보장치
KR20230064834A (ko) 2021-11-04 2023-05-11 임준일 펠릿 난로용 소화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2414B1 (ko) 캠핑용 안전관리 시스템
US11893880B2 (en) Enhanced emergency detection system
US10690622B2 (en) Portable gas sensing instrument
US9311805B2 (en) Responsive units
US11246187B2 (en) Worker safety system with scan mode
US8674842B2 (en) Responsive units
JP2019522391A (ja) 作業員安全システム
US20160335879A1 (en) System for providing advance alerts
US9842479B1 (en) Systems including a smart device for receiving a prerecorded message and transmitting the prerecorded message to a detector
US20120112920A1 (en) Carbon monoxide and smoke alarm device
RU2015115588A (ru) Пожарное устройство обнаружения, сигнализации и передачи информации о дыме и других газах
CN103942917B (zh) 一种安全监护系统
KR101146474B1 (ko) 화재 경보 장치 및 화재 확산 방향 분석 방법
CN107851368A (zh) 安全自动化系统和操作方法
CA3215844A1 (en) Combustible gas sensing element with cantilever support
CN202159417U (zh) 室内安全监测报警装置
KR20120033607A (ko) 구조자의 현재 위치 파악 시스템
KR20100081594A (ko) 차량용 다중 가스 센서 및 차량용 가스 측정 방법
CN103716479B (zh) 突发健康事件家庭报警系统
JPH1166477A (ja) 救助活動支援システム
CN107170174A (zh) 一种楼宇环境智能监控系统
JP2002064595A (ja) 移動体通信端末機及び移動体通信救援システム
CN205375777U (zh) 一种火灾监测物联网报警装置
JP3230050B2 (ja) 救助活動支援システム
KR20150112417A (ko) 헬스케어 카메라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