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9946B1 - 모바일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모바일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9946B1
KR101329946B1 KR1020120050888A KR20120050888A KR101329946B1 KR 101329946 B1 KR101329946 B1 KR 101329946B1 KR 1020120050888 A KR1020120050888 A KR 1020120050888A KR 20120050888 A KR20120050888 A KR 20120050888A KR 101329946 B1 KR101329946 B1 KR 1013299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exible display
display unit
housings
hous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08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영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1200508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99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99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99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04M1/0268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pa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H04M1/0218The hinge comprising input and/or output user interface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에 의한 모바일 디바이스는, 일면에 디스플레이 영역을 가지며, 적어도 일방향으로 슬라이딩 및 폴딩 가능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유닛,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향되는 타면에 형성되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유닛을 슬라이딩 및 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하우징유닛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유닛과 결합되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유닛의 슬라이딩방향을 따라 지지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유닛의 표면 장력을 유지하는 지지부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유닛을 슬라이딩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드라이빙유닛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폴딩 동작에 연동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유닛의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하우징유닛에 대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유닛의 설치 불량을 방지함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유닛으로부터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모바일 디바이스{MOBILE DEVICE}
본 발명은 모바일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유닛을 구비하여 슬라이딩 및/또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폴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가 상대방과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는 모바일 디바이스로써, 셀룰러폰, PCS 또는 PDA 등은 휴대하면서 상대방과 통신할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로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모바일 디바이스는 평판 형상을 가지거나, 수납과 함께 사용 다양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다양한 자세로 변형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근래에는 국내공개특허 10-2008-0035709호(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3단 폴더형 휴대폰) 및 국내등록특허 제10-0867608호(접이식 휴대용 단말기)와 같이, 디스플레이 영역을 선택적으로 확장 가능하여 대형 디스플레이 영역을 구현시킬 수 있도록 다단 모바일 디바이스도 보급되고 있는 추세이다. 참고로, 상기 국내공개특허 10-2008-0035709호는 휴대성 및 표시창의 확장성을 높이기 위해 상위패널과 하위패널의 각 일단에 중간패널 또는 브릿지를 연결하여 3단 폴더 가능한 구성이 기재되며, 상기 국내등록특허 제10-0867608호는 복수단으로 접철 가능한 본체부와 표시부를 연결부로 연결하여 다단 접철 가능한 구성이 기재됩니다.
한편, 상기 다단 모바일 디바이스는 국내공개특허 10-2008-0035709호와 같이, 폴딩 특성으로 유연한 재질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유닛이 적용된다. 그런데, 상기 유연한 재질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유닛이 적용된 다단 모바일 디바이스의 경우, 플렉서블 디스플렉이유닛의 재질 특성으로 인해 모바일 디바이스의 폴딩 동작에 연동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유닛의 장력이 가변되는 문제점이 야기된다. 이러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유닛의 장력 변화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유닛이 들뜨거나 펄럭거리는 것과 같은 설치 불량이 야기된다. 이에 따라,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유닛의 모바일 디바이스 폴딩 동작에 연동하는 설치 불량 발생은 결국,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해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품질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유닛의 디스플레이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모바일 디바이스는, 일면에 디스플레이 영역을 가지며, 적어도 일방향으로 슬라이딩 및 폴딩 가능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유닛,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향되는 타면에 형성되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유닛을 슬라이딩 및 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하우징유닛 및,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유닛과 결합되고,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유닛의 슬라이딩방향을 따라 지지하여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유닛의 표면 장력을 유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유닛을 슬라이딩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드라이빙유닛을 포함한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하우징유닛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유닛을 지지하는 제1 내지 제3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내지 제3하우징은 복수의 폴딩 힌지에 의해 상호 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제1 내지 제3하우징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유닛이 지지되는 전면과 상기 전면에 대향되는 후면을 각각 포함하며, 상호 폴딩 시 상기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 각각의 후면과 상기 제2하우징과 제3하우징 각각의 전면이 상호 대면되도록 폴딩된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제2 하우징 및 제3 하우징은 폴딩 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유닛이 절곡되는 절곡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절곡부를 수용하는 수용부를 더 포함한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수용부는 상기 절곡부의 형상에 대응하여 상기 제2하우징 및 제3하우징으로부터 함몰 형성되되, 상기 절곡부의 절곡된 크기보다 더 큰 수용공간을 가진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지지부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유닛을 지지한 채 상기 제1 내지 제3하우징 중 어느 한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유닛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상기 슬라이딩방향으로 가동되는 제1가동체 및, 상기 슬라이딩방향에 나란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유닛의 양측을 지지하도록 상기 제1 내지 제3하우징 중 어느 한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유닛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상기 슬라이딩방향으로 가동되는 제2가동체를 포함한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제1 및 제2가동체는 상기 제1 내지 제3하우징 중 어느 한 하우징에 마련되는 제1 및 제2가동레일을 따라 상기 슬라이딩방향으로 슬라이딩된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1 및 제2가동체가 설치되지 않은 상기 제1 내지 제3하우징 중 다른 하우징에 대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유닛의 양측을 지지하는 지지체 및, 상기 지지체가 삽입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가동체가 설치되지 않은 상기 제1 내지 제3하우징 중 다른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딩방향으로 상기 지지체의 움직임을 지지하는 지지레일을 더 포함하여, 상기 하우징유닛에 대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유닛의 설치 간격을 유지시킴과 아울러 움직임을 지지한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1 내지 제3하우징 중 어느 한 하우징의 단부에 축 결합되어 회전 중심을 제공하는 제1힌지기어, 상기 제1힌지기어와 맞물리도록 상기 제1 내지 제3하우징 중 어느 한 하우징의 이웃하는 하우징의 단부에 축 결합되어 회전 중심을 제공하는 제2힌지기어 및, 상기 하우징유닛의 폴딩 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제1 및 제2가동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기 슬라이딩방향으로 가동시키도록, 상기 제2힌지기어와 상기 제1 및 제2가동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호 연결시키는 링크체를 포함한다.
일측에 의하면, 상기 링크체는, 상기 제1 내지 제3하우징이 폴딩됨에 연동하여 상기 제1 및 제2가동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일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며, 상기 제1 내지 제3하우징이 상호 평평하게 펼쳐짐에 연동하여 상기 제1 및 제2가동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기 일방향의 반대방향인 타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킨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첫째, 폴딩 가능한 하우징유닛에 설치되는 폴딩 가능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유닛의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음으로써, 하우징유닛에 대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유닛이 들뜨거나 이탈되는 것과 같은 설치 불량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유닛으로 인해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둘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유닛의 디스플레이 영역을 선택적으로 확장 또는 축소시키더라도 일정 디스플레이 품질을 확보할 수 있음으로써, 사용 다양성 확보와 함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모바일 디바이스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모바일 디바이스의 폴딩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모바일 디바이스의 펼침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도 2의 Ⅵ-Ⅵ선을 따라 절단하여 제1 및 제2수용홈에 선택적으로 수용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유닛의 절곡부를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도 3의 Ⅴ-Ⅴ선을 따라 절단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도 1의 Ⅵ-Ⅵ선을 따라 절단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드라이빙유닛의 지지부를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드라이빙유닛의 구동부를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9는 도 8에 도시된 구동부가 폴딩 상태에서 펼침 상태로 이동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10은 제1 내지 제3하우징의 변형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모바일 디바이스(1)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유닛(10), 하우징유닛(20) 및 드라이빙유닛(30)을 포함한다.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유닛(10)은 일면에 디스플레이 영역을 가지며, 적어도 일방향으로 슬라이딩 및 폴딩 가능하도록 유연한 즉, 플렉서블하게 마련된다.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유닛(10)의 일면은 도 2 및 도 3과 같이 상태에 따라 디스플레이 영역이 가변된다.
상기 하우징유닛(20)은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모바일 디바이스(1)의 몸체로써, 복수의 하우징(21)(22)(23)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3개의 하우징 즉, 제1하우징(21), 제2하우징(22) 및 제3하우징(23)을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하나, 꼭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1 내지 제3하우징(21)(22)(23)은 제1 및 제2폴딩 힌지(28)(29)에 의해 상호 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제1 및 제2폴딩 힌지(28)(29)는 상기 제1 내지 제3하우징(21)(22)(23)의 부드러운 폴딩 동작을 가이드함과 아울러, 도 3 및 도 5의 도시와 같이 상호 평평하게 펼쳐진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유닛(10)을 지지한다.
상기 제1 내지 제3하우징(21)(22)(23)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유닛(10)이 지지되는 전면(21a)(22a)(23a)과, 전면(21a)(22a)(23a)에 대향하는 후면(21b)(22b)(22c)을 각각 포함한다. 이에 따라, 도 2와 같이 제1 내지 제3하우징(21)(22)(23)이 상호 폴딩되어 포개질 경우, 제1 및 제2하우징(21)(22) 각각의 후면(21b)(22b)과, 제2하우징(22)과 제3하우징(23) 각각의 전면(22a)(23a)이 상호 대면되도록 폴딩된다. 이때, 상기 제1 내지 제3하우징(21)(22)(23)의 폴딩 동작에 연동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유닛(10)은 제1 내지 제3하우징(21)(22)(23)의 전면(21a)(22a)(23a)을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유닛(10)이 슬라이딩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2의 도시와 같이 제1 내지 제3하우징(21)(22)(23)이 상호 포개지도록 폴딩된 모바일 디바이스(1)의 상태를 폴딩 상태로 지칭하고, 도 3의 도시와 같이, 제1 내지 제3하우징(21)(22)(23)이 상호 이웃하게 펼쳐지는 모바일 디바이스(1)의 상태를 펼침 상태로 지칭하여 설명한다. 이때, 도 2와 같은 폴딩 상태에서는 제1하우징(21)에 대응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유닛(10)의 디스플레이 영역만이 소정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도 3과 같은 펼침 상태에서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유닛(10)의 디스플레이 영역의 전체 면적을 이용하여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내지 제3하우징(21)(22)(23)의 내부에는 모바일 디바이스(1)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과 같은 추가 구성품이 내장될 수 있으나, 이는 공지의 기술로부터 이해 가능하며 본 발명의 요지가 아니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1 내지 제3하우징(21)(22)(23)의 폴딩 시, 도 4a 및 도 4b의 도시와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유닛(10)이 절곡되는 절곡부(11)에 대응되는 위치에 절곡부(11)를 수용하는 수용부 즉, 수용공간이 제1 및 제2수용홈(25)(26)에 의해 마련된다. 상기 제1 및 제2수용홈(25)(26)은 상호 마주하는 제2 및 제3하우징(22)(23)의 단부에 각각 함몰되어 마련됨으로써, 폴딩 상태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유닛(10)의 절곡부(11)가 도피되도록 수용된다. 아울러, 도 4b의 도시와 같이, 상기 펼침 상태에서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유닛(10)은 제1 및 제2수용홈(25)(26)에 의해 마련되는 수용공간을 벗어나 평면으로 펼쳐진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수용홈(25)(26)에 의해 마련되는 수용공간인 수용부는 절곡부(11)의 형상에 대응되되 절곡부(11)가 절곡되는 크기보다 큰 수용공간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유닛(10)의 폴딩 동작에 대응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유닛(10)의 일부가 선택적으로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이 제1 및 제2수용홈(25)(26)에 의해 제공됨에 따라, 폴딩 및 펼침 상태 사이에서 제1 내지 제3하우징(21)(22)(23)의 상태가 변형되더라도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유닛(10)의 장력이 일정하게 유지된다.
상기 드라이빙유닛(30)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유닛(10)과 결합되는 지지부(40)와 구동부(50)를 포함하여,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유닛(10)의 장력을 유지하면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유닛(10)을 슬라이딩 구동시킨다.
상기 지지부(40)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유닛(10)의 슬라이딩방향(D)을 따라 지지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유닛(10)의 표면 장력을 유지시킨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부(40)는 상기 폴딩 및 펼침 상태 사이에서 제1 내지 제3하우징(21)(22)(23)의 폴딩 동작에 연동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유닛(10)을 복수의 하우징(21)(22)(2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하우징(21)(22)(23)에 대한 면방향에 나란하게 상호 이웃하는 하우징(21)(22)(23)으로 향하는 슬라이딩방향(D)으로 가동시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유닛(10)의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킨다.
참고로, 상기 제1 내지 제3하우징(21)(22)(23)이 폴딩 상태로 이동됨에 연동하는 슬라이딩방향(D)을 일방향으로 지칭할 경우, 반대로 펼침 상태로 이동함에 연동하는 슬라이딩방향(D)은 일방향에 대한 반대방향인 타방향으로 지칭한다. 즉, 상기 지지부(40)는 폴딩 및 펼침 상태에서 제1 내지 제3하우징(21)(22)(23)을 일방향과 타방향 즉, 양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킨다.
참고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지지부(40)가 도 6의 도시와 같이, 제2하우징(22)에 인입되어 마련되는 설치부(24)에 설치되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유닛(10)을 슬라이딩방향(D)으로 양방향 슬라이딩시키는 것으로 예시한다. 그러나, 꼭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제1 내지 제3하우징(21)(22)(23) 모두에 각각 설치되는 것과 같은 변형예도 가능함은 당연하다. 이러한 지지부(40)는 제1가동체(41) 및 제2가동체(42)을 포함한다.
상기 제1가동체(41)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유닛(10)의 타면을 지지한 채, 복수의 하우징(21)(22)(23) 중 어느 한 하우징인 제2하우징(22)에 설치되어, 이웃하는 제1 및 제3하우징(21)(23)이 폴딩 상태 또는 펼침 상태로 이동됨에 연동하여 슬라이딩방향(D)으로 가동된다. 즉, 상기 제1가동체(41)는 복수의 하우징(21)(22)(23) 중, 제1하우징(21)과 제3하우징(23)이 제2하우징(22)에 대해 펼침 상태로 이동하기 위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유닛(10)을 지지한 상태로 슬라이딩방향(D)으로 슬라이딩됨으로써,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유닛(10)의 장력이 유지되도록 조절한다.
이러한 제1가동체(41)는 도 7의 도시와 같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유닛(10)을 지지되되, 제2하우징(22) 측으로 절곡된 슬라이딩단(41a)을 구비하여, 상기 제2하우징(22)의 설치부(24)에 마련된 제1가동레일(41b)과 맞물려 슬라이딩방향(D)으로 슬라이딩된다. 여기서, 상기 제1가동체(41)는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며, 상기 슬라이딩단(41a)은 슬라이딩방향(D)에 대해 직교하도록 제1가동체(41)의 양측단으로부터 절곡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가동레일(41b)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단(41a)과 맞물리도록 돌출된 레일단(41c)을 구비하는 플레이트 형상을 가진다. 그러나, 꼭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1가동레일(41b)이 상기 슬라이딩단(41a)과 맞물리도록 제2하우징(22)의 설치부(24)로부터 일체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돌기 형상을 가지는 변형예도 가능함은 당연하다.
상기 제2가동체(42)는 상기 슬라이딩방향(D)에 대해 직교하는 즉, 상기 슬라이딩방향(D)에 대해 나란한 방향을 기준으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유닛(10)의 양측을 지지한 상태로 제2하우징(22)에 설치되어, 이웃하는 하우징인 제1 및 제3하우징(21)(23)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폴딩 및 펼침 상태로 이동됨에 연동하여 슬라이딩방향(D)으로 가동된다. 이러한 제2가동체(42)는 도 6와 같이 제1 및 제3하우징(21)(23)이 펼쳐져 펼침 상태로 이동함에 연동하여 제1하우징(21) 또는 제3하우징(23) 측으로 즉, 슬라이딩방향(D)으로 슬라이딩되어, 제1가동체(41)와 함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유닛(10)의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킨다.
여기서, 도 7의 도시와 같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유닛(10)의 양측단을 관통하여 삽입되는 고정체(F)에 의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유닛(10)의 양측단이 제2가동체(42)에 고정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가동체(42)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유닛(10)을 지지한 상태로 제2하우징(22)에 슬라이딩방향(D)에 대해 나란하게 마련된 제2가동레일(22d)을 따라 슬라이딩방향(D)으로 슬라이딩된다. 이때, 상기 제2가동레일(22d)에 간섭되는 제2가동체(42)의 단부는 라운딩된 형상을 가짐으로써, 제2가동레일(22d)을 따라 슬라이딩됨에 있어서 마찰 발생이 억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40)는 지지체(43)와 지지레일(44)을 포함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유닛(10)의 양측단이 하우징유닛(20)에 대해 들뜨지 않고 슬라이딩되도록 지지한다.
상기 지지체(43)는 상기 제2가동체(42)와 유사하게,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유닛(10)의 양측단을 지지하나, 제1 및 제2가동체(41)(42)가 설치되지 않은 제1 및 제3하우징(21)(23)에 대응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유닛(10)의 양측단 영역을 지지한다. 상기 지지레일(44)은 상기 지지체(43)가 삽입되도록 제1 및 제3하우징(21)(23)에 설치된다. 이렇게, 상기 지지체(43)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유닛(10)의 양측단을 지지한 상태로 지지레일(44)을 따라 슬라이딩됨으로써, 드라이빙유닛(30)과 별도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유닛(10)이 하우징유닛(20)에 대해 들뜨지 않고 지지된 상태로 슬라이딩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지지체(43)가 디스플레이유닛(10)을 지지한 상태로 지지레일(44)을 따라 가동됨으로써, 디스플레이유닛(10)이 하우징유닛(10)에 대해 이탈되어 들뜸이 방지할 수 있게 됨과 아울러, 디스플레이유닛(10)의 슬라이딩을 보다 원활히 가이드하게 된다. 이러한 지지체(43)는 마찰발생이 적은 재질로 형성되어, 지지레일(44)을 따라 슬라이딩됨에 있어서 마찰발생을 억제시킴이 좋다.
상기 구동부(50)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유닛(10)을 슬라이딩 구동시킨다. 상기 구동부(50)는 상기 제1 상기 제1 및 제2하우징(21)(12) 사이에 마련되는 제1 및 제2폴딩 힌지(28)(29)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유닛(10)을 구동시키며, 본 실시예에서는 제1폴딩 힌지(28)에 마련되는 것으로 예시한다. 이러한 구동부(50)는 제1 및 제2힌지기어(51)(52)와 링크체(53)를 포함한다.
상기 제1힌지기어(51)는 제1하우징(21)의 단부에 축 결합되어 폴딩 및 펼침 상태 사이에서 폴딩 동작될 때의 회전중심을 제공하며, 상기 제2힌지기어(52)는 제2하우징(22)의 단부에 축 결합되어 폴딩 및 펼침 상태 사이에서의 폴딩 동작시의 회전 중심을 제공한다. 이러한 제1 및 제2힌지기어(51)(52)는 상호 맞물리도록 제1폴딩 힌지(28)에 내장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음이 좋다.
상기 링크체(53)는 상기 힌지 하우징(53)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드라이빙유닛(30)이 슬라이딩방향(D)으로 가동되도록 제2힌지기어(52)와 지지부(40)를 상호 링크 연결시킨다. 이때, 상기 링크체(53)의 일단은 제2힌지기어(52)와 연결되고, 타단은 제1가동체(41)와 연결됨이 좋다. 그러나, 꼭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링크체(53)의 타단이 제2가동체(42)와 연결되는 변형예도 가능하며, 이 경우 링크체(53)와의 연결을 위해 제2가동체(42)의 형상이 변형될 수 있음도 당연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모바일 디바이스(1)의 폴딩동작을 도 2 내지 도 9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2 및 도 4a의 도시와 같이 상기 제1 내지 제3하우징(21)(22)(23)이 상호 포개진 폴딩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도 3 및 도 5와 같은 펼침 상태로 펼쳐진다. 이러한 폴딩 상태에서 펼침 상태로 하우징유닛(20)의 상태가 변경됨에 연동하여, 도 6과 같이 드라이빙유닛(30)이 슬라이딩방향(D)으로 가동되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유닛(10)을 제1하우징(21) 측에서 제3하우징(23) 측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킨다.
구체적으로, 도 7의 도시와 같이, 상기 제1하우징(21)이 폴딩 상태에서 펼침 상태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유닛(10)의 타면과 측단이 각각 제1 및 제2가동체(41)(42)에 지지된 상태로 도 6과 같은 슬라이딩방향(D) 즉, 제1하우징(21)에서 제3하우징(23)을 향하는 방향으로 가동됨으로써,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유닛(10)의 장력이 조절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가동체(41)(42)는 각각 제2하우징(22)에 마련되는 제1 및 제2가동레일(41b)(22d)을 따라 슬라이딩된다. 이러한 지지부(40)의 슬라이딩 동작에 연동하여, 제1 및 제3하우징(21)(23)에 대응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유닛(10)의 양측단이 지지체(43)와 지지레일(44)에 의해 지지됨에 따라, 하우징유닛(20)에 대한 들뜸이 방지된 상태로 슬라이딩된다.
아울러, 도 8 및 도 9의 도시와 같이, 폴딩 상태에서 펼침 상태로 이동함에 연동하여 제1 및 제2하우징(21)(12) 사이를 연결하는 제1폴딩 힌지(28)와 연결되는 링크체(53)가 제1가동체(41)를 슬라이딩방향(D) 중, 일방향에 대해 반대방향인 타방향으로 밀어냄에 따라, 가동력이 가이드된다. 참고로, 도 1의 도시와 같이, 상기 제1 내지 제3하우징(21)(22)(23)의 사이에 마련된 제1 및 제2폴딩 힌지(28)(29)에 의해 제1 내지 제3하우징(21)(22)(23)이 폴딩 상태에서 펼침 상태로 완전히 평평하게 펼쳐질 수 있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유닛(10) 또한, 평평하게 펼쳐질 수 있다.
아울러, 도 4a 및 도 4b의 도시와 같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유닛(10)이 폴딩 상태에서 펼침 상태로 이동될 때, 절곡부(11)가 제1 및 제2수용홈(25)(26) 사이 공간에 선택적으로 회피될 수 있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유닛(10)의 장력 조절시 평평한 상태를 계속 유지하여 품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폴딩 상태에서 펼침 상태로 제1 내지 제3하우징(21)(22)(23)이 이동함으로써, 제1 및 제2수용홈(25)(26)에 도피되어 있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유닛(10)의 절곡부(11)가 드라이빙유닛(30)에 의해 슬라이딩방향(D)으로 가동되어 제1 및 제2수용홈(25)(26)을 벗어나게 된다.
한편, 상기 펼침 상태에서 폴딩 상태로 상기 하우징유닛(20)가 폴딩될 경우, 상기 드라이빙유닛(30)은 제3하우징(23)에서 제1하우징(21)로 향하는 슬라이딩방향(D)으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유닛(10)을 재 가동시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유닛(10)의 장력을 유지시킨다. 이때, 상기 링크체(53)가 제1가동체(41)를 슬라이딩방향(D) 중 일방향으로 가동시켜 가동력을 가이드한다.
참고로,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내지 제3하우징(21)(22)(23)이 상호 포개지는 폴딩 상태와, 폴딩 상태를 벗어나 상호 이웃하게 펼쳐지는 펼침 상태만을 도시하였으나, 제1 내지 제3하우징(21)(22)(23)의 상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하우징(21)(22)은 상호 마주하도록 포개지고, 제3하우징(23)만이 제2하우징(22)에 대해 펼쳐지는 변형 상태도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제3하우징(23)이 제2하우징(22)과 이웃하도록 완전히 펼쳐지지 않고 대략 90도 펼쳐짐으로써,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유닛(10)은 제1 내지 제3하우징(21)(22)(23)에 대해 대략 "L"자 형상으로 디스플레이 영역이 노출되게 된다. 이러한 제1 내지 제3하우징(21)(22)(23)의 상태 변형시에도, 드라이빙유닛(30)에 의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유닛(10)이 슬라이딩방향(D)(도 6 참고)으로 가동됨과 아울러, 제1 및 제2수용홈(25)(26)에 일부가 수용되어 도피된 상태임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유닛(10)의 장력이 유지된다.
이상과 같이, 상기 하우징유닛(20)의 상태가 다양하게 변형됨으로써,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유닛(10)의 디스플레이 영역이 하우징유닛(20)의 폴딩 상태에 따라 다양하게 조절될 수 있음과 아울러, 다양한 각도에서 소정 정보의 표시도 가능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모바일 디바이스 10: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유닛
11: 절곡부 20: 하우징유닛
21: 제1하우징 22: 제2하우징
23: 제3하우징 30: 드라이빙유닛
40: 지지부 50: 구동부

Claims (10)

  1. 일면에 디스플레이 영역을 가지며, 적어도 일방향으로 슬라이딩 및 폴딩 가능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유닛;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향되는 타면에 형성되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유닛을 슬라이딩 및 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하우징유닛; 및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유닛과 결합되고,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유닛의 슬라이딩방향을 따라 지지하여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유닛의 표면 장력을 유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유닛을 슬라이딩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드라이빙유닛;
    을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유닛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유닛을 지지하는 제1 내지 제3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내지 제3하우징은 복수의 폴딩 힌지에 의해 상호 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모바일 디바이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하우징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유닛이 지지되는 전면과 상기 전면에 대향되는 후면을 각각 포함하며, 상호 폴딩 시 상기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 각각의 후면과 상기 제2하우징과 제3하우징 각각의 전면이 상호 대면되도록 폴딩되는 모바일 디바이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 및 제3 하우징은 폴딩 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유닛이 절곡되는 절곡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절곡부를 수용하는 수용부를 더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절곡부의 형상에 대응하여 상기 제2하우징 및 제3하우징으로부터 함몰 형성되되, 상기 절곡부의 절곡된 크기보다 더 큰 수용공간을 가지는 모바일 디바이스.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유닛을 지지한 채 상기 제1 내지 제3하우징 중 어느 한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유닛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상기 슬라이딩방향으로 가동되는 제1가동체; 및
    상기 슬라이딩방향에 나란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유닛의 양측을 지지하도록 상기 제1 내지 제3하우징 중 어느 한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유닛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상기 슬라이딩방향으로 가동되는 제2가동체;
    를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가동체는 상기 제1 내지 제3하우징 중 어느 한 하우징에 마련되는 제1 및 제2가동레일을 따라 상기 슬라이딩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모바일 디바이스.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1 및 제2가동체가 설치되지 않은 상기 제1 내지 제3하우징 중 다른 하우징에 대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유닛의 양측을 지지하는 지지체; 및
    상기 지지체가 삽입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가동체가 설치되지 않은 상기 제1 내지 제3하우징 중 다른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딩방향으로 상기 지지체의 움직임을 지지하는 지지레일;
    을 더 포함하여, 상기 하우징유닛에 대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유닛의 설치 간격을 유지시킴과 아울러 움직임을 지지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1 내지 제3하우징 중 어느 한 하우징의 단부에 축 결합되어 회전 중심을 제공하는 제1힌지기어;
    상기 제1힌지기어와 맞물리도록 상기 제1 내지 제3하우징 중 어느 한 하우징의 이웃하는 하우징의 단부에 축 결합되어 회전 중심을 제공하는 제2힌지기어; 및
    상기 하우징유닛의 폴딩 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제1 및 제2가동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기 슬라이딩방향으로 가동시키도록, 상기 제2힌지기어와 상기 제1 및 제2가동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호 연결시키는 링크체;
    를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체는, 상기 제1 내지 제3하우징이 폴딩됨에 연동하여 상기 제1 및 제2가동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일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며, 상기 제1 내지 제3하우징이 상호 평평하게 펼쳐짐에 연동하여 상기 제1 및 제2가동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기 일방향의 반대방향인 타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는 모바일 디바이스.

KR1020120050888A 2012-05-14 2012-05-14 모바일 디바이스 KR1013299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0888A KR101329946B1 (ko) 2012-05-14 2012-05-14 모바일 디바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0888A KR101329946B1 (ko) 2012-05-14 2012-05-14 모바일 디바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9946B1 true KR101329946B1 (ko) 2013-11-14

Family

ID=49857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0888A KR101329946B1 (ko) 2012-05-14 2012-05-14 모바일 디바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9946B1 (ko)

Cited B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40524A1 (ko) * 2015-03-05 2016-09-09 임경원 단일면 폴딩장치
KR20170044622A (ko) * 2014-02-21 2017-04-25 삼성전자주식회사 접철식 기기
KR101776262B1 (ko) * 2014-06-27 2017-09-11 삼성전자주식회사 접철식 기기
US9791892B2 (en) 2014-06-27 2017-10-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Foldable device
US9923156B2 (en) 2015-07-23 2018-03-20 Samsung Display Co., Ltd. Foldable display apparatus
WO2018110749A1 (ko) * 2016-12-16 2018-06-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US10104788B2 (en) 2016-04-12 2018-10-16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CN108803779A (zh) * 2017-11-27 2018-11-13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用于柔性屏的折叠机构
CN108922408A (zh) * 2018-09-19 2018-11-30 云谷(固安)科技有限公司 一种可折叠支撑装置及可折叠柔性显示装置
US10209746B2 (en) 2016-03-29 2019-02-19 Samsung Display Co., Ltd. Foldable display device
US10215332B2 (en) 2014-11-11 2019-02-26 Samsung Display Co., Ltd. Apparatus for supporting display panel
US10216224B2 (en) 2015-07-06 2019-02-26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US10423196B2 (en) 2014-02-21 2019-09-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Foldable device
US10444917B2 (en) 2016-09-01 2019-10-15 Samsung Display Co., Ltd. Flexibl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US10599378B2 (en) 2016-05-11 2020-03-24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WO2020186890A1 (zh) * 2019-03-15 2020-09-24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转轴机构及移动终端
WO2021020631A1 (ko) * 2019-08-01 2021-02-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WO2021237828A1 (zh) * 2020-05-26 2021-12-02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滑动式柔性显示装置
WO2021261740A1 (ko) * 2020-06-22 2021-12-30 삼성전자 주식회사 폴더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JP2022113719A (ja) * 2013-12-20 2022-08-04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半導体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74506A (ja) * 2005-02-08 2006-06-29 Columbus No Tamagotachi:Kk フレキシブルディスプレイを備えた携帯型通信端末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74506A (ja) * 2005-02-08 2006-06-29 Columbus No Tamagotachi:Kk フレキシブルディスプレイを備えた携帯型通信端末

Cited By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2113719A (ja) * 2013-12-20 2022-08-04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半導体装置
KR102097765B1 (ko) 2014-02-21 2020-04-07 삼성전자주식회사 접철식 기기
US10423196B2 (en) 2014-02-21 2019-09-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Foldable device
KR101986617B1 (ko) 2014-02-21 2019-06-07 삼성전자주식회사 접철식 기기
KR20200118786A (ko) * 2014-02-21 2020-10-16 삼성전자주식회사 접철식 기기
KR20180056614A (ko) * 2014-02-21 2018-05-29 삼성전자주식회사 접철식 기기
KR102278681B1 (ko) 2014-02-21 2021-07-16 삼성전자주식회사 접철식 기기
KR101861348B1 (ko) 2014-02-21 2018-06-29 삼성전자주식회사 접철식 기기
KR102165889B1 (ko) 2014-02-21 2020-10-14 삼성전자주식회사 접철식 기기
US11567540B2 (en) 2014-02-21 2023-01-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Foldable device
KR20170044622A (ko) * 2014-02-21 2017-04-25 삼성전자주식회사 접철식 기기
KR102394460B1 (ko) 2014-02-21 2022-05-06 삼성전자주식회사 접철식 기기
KR20220044706A (ko) * 2014-02-21 2022-04-11 삼성전자주식회사 접철식 기기
KR20190064552A (ko) * 2014-02-21 2019-06-10 삼성전자주식회사 접철식 기기
US10901464B2 (en) 2014-02-21 2021-01-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Foldable device
KR20200037191A (ko) * 2014-02-21 2020-04-08 삼성전자주식회사 접철식 기기
US9791892B2 (en) 2014-06-27 2017-10-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Foldable device
US11137801B2 (en) 2014-06-27 2021-10-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Foldable device
US10152089B2 (en) 2014-06-27 2018-12-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Foldable device
US10585458B2 (en) 2014-06-27 2020-03-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Foldable device
KR101776262B1 (ko) * 2014-06-27 2017-09-11 삼성전자주식회사 접철식 기기
US11609612B2 (en) 2014-06-27 2023-03-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Foldable device
US10215332B2 (en) 2014-11-11 2019-02-26 Samsung Display Co., Ltd. Apparatus for supporting display panel
WO2016140524A1 (ko) * 2015-03-05 2016-09-09 임경원 단일면 폴딩장치
US10216224B2 (en) 2015-07-06 2019-02-26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US9923156B2 (en) 2015-07-23 2018-03-20 Samsung Display Co., Ltd. Foldable display apparatus
US10209746B2 (en) 2016-03-29 2019-02-19 Samsung Display Co., Ltd. Foldable display device
US10104788B2 (en) 2016-04-12 2018-10-16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S10599378B2 (en) 2016-05-11 2020-03-24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S10754483B2 (en) 2016-09-01 2020-08-25 Samsung Display Co., Ltd. Flexibl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US10444917B2 (en) 2016-09-01 2019-10-15 Samsung Display Co., Ltd. Flexibl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WO2018110749A1 (ko) * 2016-12-16 2018-06-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US10965796B2 (en) 2016-12-16 2021-03-30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CN108803779B (zh) * 2017-11-27 2021-10-15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用于柔性屏的折叠机构
CN108803779A (zh) * 2017-11-27 2018-11-13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用于柔性屏的折叠机构
CN108922408A (zh) * 2018-09-19 2018-11-30 云谷(固安)科技有限公司 一种可折叠支撑装置及可折叠柔性显示装置
CN108922408B (zh) * 2018-09-19 2024-02-27 云谷(固安)科技有限公司 一种可折叠支撑装置及可折叠柔性显示装置
WO2020186890A1 (zh) * 2019-03-15 2020-09-24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转轴机构及移动终端
US11846997B2 (en) 2019-03-15 2023-12-19 Huawei Technologies Co., Ltd. Rotating shaft mechanism and mobile terminal
WO2021020631A1 (ko) * 2019-08-01 2021-02-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WO2021237828A1 (zh) * 2020-05-26 2021-12-02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滑动式柔性显示装置
WO2021261740A1 (ko) * 2020-06-22 2021-12-30 삼성전자 주식회사 폴더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9946B1 (ko) 모바일 디바이스
EP3739561B1 (en) Screen body support device and foldable flexible display device
US20210011514A1 (en) Bendable mechanism and flexible display device
US11589471B2 (en) Hinge, hinge assembly and foldable electronic device
KR101346146B1 (ko)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장치용 힌지모듈
JP4731587B2 (ja) 移動通信端末機
US8813312B2 (en) Hinge for display device
EP3722922A1 (en) Hinge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KR102163739B1 (ko) 접철식 기기
KR20200103111A (ko) 접이식 지지 장치 및 접이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EP2325717B1 (en) Electronic device
KR102495075B1 (ko) 라운드지지바가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용 반자동 힌지장치
JP2019506651A (ja) 折畳み可能コンポーネントおよびモバイル端末
EP3627802B1 (en) Foldable mobile terminal
CN108665809B (zh) 柔性显示装置及其折叠机构
US20230171334A1 (en) Folding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KR101604826B1 (ko) 힌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JP4984335B2 (ja) 電気光学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電子機器
CN110770814A (zh) 折叠机构及终端
JP6917973B2 (ja) 折り畳み式表示装置
JP4505721B2 (ja) 電気光学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電子機器
WO2018157729A1 (zh) 折叠终端
JP5363415B2 (ja) スライド式電子装置
CN114424141A (zh) 铰链机构及具有铰链机构的可折叠设备
EP4290835A2 (en) Hinge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